그리운 친구, 양건주..

양건주, 1965년, 졸업앨범에서
양건주, 1965년, 졸업앨범에서

친구야, 친구야.. 그립다. 보고 싶다. 그때로 가고 싶다. 햇수로 세어본다. 손가락으로 하나씩.. 10년, 20년, 30년, 40년.. 10년을 네 번이나 세었다. 그 때에 우리에게 ‘사심’이란 것은 없었다. 그게 진짜 우정이 아닐까. 우정이란 말과 의미와 느낌을 잊고 산지도 손가락으로 세어도 한참 세어야 할 정도로 오래 되었는가.

친구, 건주, 양건주를 생각한다. 우리가 사귄 기간은 이 오랜 세월에서 년 수로 얼마 되지 않을 수 있는 짧은 기간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것이 나는 거의 영원한 것처럼 느껴질 때가 종종 있다. 중앙중고교 동창, 연세대 동창인 양건주. 내가 대학 2학년 때 연세대 캠퍼스 에서 만나서, 같이 연호회란 대학생 클럽활동도 같이 하였다. 1973년 내가 미국에 오면서 헤어졌다. 1979년 결혼 차 귀국했을 때는 만날 수가 없었다. 그러니까 우리는 1970년대 초의 젊은 모습을 아직도 서로 가지고 있을 것이다. 사실 건주는 중앙고교 2학년 때 SECC란 고등학교 영어회화클럽에서 만난 적이 있었다. 그때는 별로 친하게 지내지 못했다. 그러다가 연세대에서 다시 만났던 것이다. 나하고 그는 중앙중학교, 고등학교 6년을 같이 다녔건만 때 한번도 같은 반을 한 적이 없었다. 6년 동안 같은 반을 한번도 못한 것은 사실 그렇게 흔치 않은데..

건주는 나이에 비해서 확실히 성숙한 그런 친구다. 항상 공정, 공평하였고, 우선 ‘정’이 많았다. 그것을 요란스럽지 않게 은근히 풍기는 그런 다정다감한 친구.. 그런 친구가 계속 나의 옆에서 같이 있었다면 어땠을까. 나의 인생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까 하는 공상도 해 본다.

1969년, 양건주 군대 가기 전에 찍은 기념사진
1969년초 양건주가 군대가기 전에 연대앞의 사진관에서 찍은 기념사진, 앞줄 바른쪽이 양건주

1999년, 20세기가 저물던 때에 다시 online으로 연락이 되었다. 이것도 나는 거의 운명적이 아닌가 생각한다. 그리고 이어서 그때 헤어진 연호회 친구들의 소식을 다시 접하게 되었다. 이윤기, 윤인송, 김태일, 박창희, 김진환. 이어서 건주, 윤기, 인송, 태일이 모여서 술잔을 기울이는 사진도 보게 되었다. 김진환의 사망소식도 들었다. 다른 동창 친구 김호룡의 늦은 사망소식에 이어서 나는 한동안 충격 속에서 헤매었다.

1968, 69년, 우리들의 아지트였던 해양다방을 생각한다.국제극장 옆을 끼고 경기여중고로 향하는 좁다란 골목길에 있었다. 어떻게 그 다방에서 우리가 모이게 되었는지는 확실치는 않지만 어두운 구석 자리를 거의 전세를 내다시피, 우리들의 명실상부한 휴식처 노릇을 했다. 그 때의 그 여자회원들을 다 어떻게 되었을까? 물론 그 중에는 현재의 건주wife도 있었다. 그는 사실 그때 미래의 wife깜을 그곳에서 만났던 것이다.

아직도 그때의 추억은 흑백사진시대로 남아있다. 비교적 잘 남아있다.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추억의 영상일 뿐이다. 그 이상도 이하도 될 수가 없음을 알 때, 조금 서글퍼지는 이 마음, 어쩔 수가 없다. 영원한 친구 건주의 건강과 행복을 다시 한번 기원하면서..

 

마음이 울적할 때

저녁 강물 같은 벗 하나 있었으면

날이 저무는데 마음 산그리메처럼 어두워올 때

내 그림자를 안고 조용히 흐르는 강물 같은 친구 하나 있었으면

울리지 않는 악기처럼 마음이 비어 있을 때

낮은 소리도 내게 오는 벗 하나 있었으면

그와 함께 노래가 되어 들에 가득 번지는 벗 하나 있었으면

오늘도 어제처럼 고개를 다 못 넘고 지쳐 있는데

달빛으로 다가와 등을 쓰다듬어주는 벗 하나 있었으면

그와 함께라면 칠흑 속에서도 다시 먼 길 갈 수 있는 벗 하나

있었으면.

— 도종환의 ‘벗 하나 있었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