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lfram Alpha

Stephen_Wolfram
Stephen Wolfram

Wolfram Alpha? 이것은 한글로 어떻게 쓸까? 아마도 월프램 알파? 상관없지 않을까? 그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이것이 ‘무엇’인가가 더 중요하니까. Wolfram은 ‘머리가 기가 막히게 좋은 예외적인 천재 과학자’, software designer, entrepreneur..(소프트웨어 디자이너, 기업,창업가)의 수식어가 붙는 유대 계 영국인이다. Full name은 Stephen Wolfram(another Steve, oh no!).

머리가 좋은 것은 그의 이력으로 충분히 짐작이 간다. 영국에서 배경 좋고 머리 좋은 유대인가정에서 태어나 그곳 유명한 Eton school에서 아인슈타인을 능가할 정도의 두뇌로 학교와 선생님들을 ‘괴롭히며’, 어린 15세 때 이미 ‘물리 논문’을 발표했고, 곧이어 Oxford로 진학해서 particle physics (입자물리학)을 공부했는데, 그 학교 교수들의 가르침이 ‘지루하고, 재미가 없어서’, 결국 미국으로 와서 남들이 대학 3학년일 나이에 그 유명한 Caltech(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에서 Ph.D.(박사학위)를 받고, 그 3년 후에는 역시 유명한 MacArthur Prize(맥아더 賞)를 수상했다.

1959년생으로 나이 ‘겨우’ 50세 갓 넘은 그는 , 이 정도면 우선 천재 중에서도 예외적인 천재일 것이다. 수학, 물리학이 주 전공분야였지만, 나중에 그의 주관심사는 computer, computing분야가 되었다. Wikipedia로 그의 약력을 보면 전형적인 천재지만, 그는 조금은 겸손치 못한 천재인 듯 싶었다. 그 정도로 자가의 머리에 자신이 있는 모양이다. 머리 좋은 유대인 가정이 그러하듯이 그도 ‘머리 좋은’ 수학자와 결혼을 해서 4명의 자녀를 두었다. 생각에, 머리 좋은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그 자녀들의 IQ가 과연 어느 정도가 될까, 의문이 생긴다.

이 사람이 원래는 수학, 물리학으로 시작을 했지만, 점점 이론적인 computing system쪽으로 관심이 바뀌어서, Cellular Automata 분야를 그 유명한 Richard Feynman의 옆에서 연구하기도 했다. 1987년 Wolfram Research를 세우고 부터는 Mathematica 라는 symbolic mathematics (대수학)를 다루는 computer software를 개발, 판매하는 등 그만의 독특한 분야를 개척해 왔다.

1992년부터 2002년까지 그는 일생일대의 최대 과업을 수행했는데, 그것이 바로 그의 독특하고, 심지어는 논란의 여지를 낳은 저서 ‘A New Kind of Science, NKS’ 의 출판이었다. 1000 페이지가 훨씬 넘는 이 방대한 연구의 결과는 사실 그 여파를 가늠하기도 벅찰 정도다. 우주는 analog가 아니고 digital이라는 조금은 ‘유행적’으로 보이는 결론, 암만 복잡한 system도 비교적 간단한 computer software로 설명할 수 있다는 등등.. 논란의 여지가 없을 수 없는 논조일 것이다. 

그의 computer중심의 물질,우주관: universe is computer라는 말은 예전에 Sun Computer, Scott McNealynetwork is computer라는 말을 연상시킨다. 다른 말로, 이들은 모든 것들을 너무 자기중심의 ‘사상’적인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도 들 정도다. 이 책이 출판된 뒤 몇 개월 뒤에(2002년)Charlie Rose와 interview한 것(아래에 보이는 비디오)을 보는 것이 이 책의 골자를 빨리 이해하는 첩경인데, 물리학자가 아닌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Charlie Rose Show에서 그 방대한 분량의 책을 쉽게 설명하려는 Walfram의 노력은 정말 가상할 정도다.Charlie Rose 인터뷰 video가 그 동안 server에서 사라진 관계로 대신 더 최근 video, 야심작 Wolfram Alpha를 소개하는 하바드 대학 강의를 아래에 실었다.

 

Stephen Wolfram introducing Wolfram Alpha at Harvard University

 

최근에는 그의 정열을 조금 다른 각도로 Google의 성역으로 도전을 하는 것인지, Wolfram Alpha라는 거대한 작품을 선 보였고, 결국은 다른 Steve(a.k.a., Rotten Apple)가 곧바로 이것을 Siri라는 것에서 쓰기 시작하면서 더욱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것은 Google의 search engine과 비슷하게 보이지만 목적과 결과가 사뭇 다르며 다른 말로 answer-knowledge engine에 가깝다.

Google은 keyword로, 찾으려는 ‘모든 관련된’ website의 location, link (address)를 알려준다. 알려준 곳을 찾아가서 ‘네가 찾는 것을 더 찾으라’는 것이다. 일단 출처를 알려주고 나면 Google의 목적은 달성되는 것이다. 찾으려는 그때부터는 정보를 찾으려는 사람이 역량에 달려있는 것이다. 하지만 Wolfram Alpha는 한 단계 이상 더 나아가서 그 결과를 찾아내어, 자기 나름대로 ‘정리’를 해서 report형식으로 건네주는 것이다. 물론 그것을 하려면 ‘방대한 super computer network’이 뒤에서 찾아내서 정리를 해야 하지만, 찾는 사람 입장에서는 대부분 거의 ‘자동적으로 불과 몇 초 만에’ 결과를 얻게 된다. 그것이 바로 rottenApple iPhoneSiri 가 ‘신기하게 답을 제공하는’ 원리인 것이다.

나는, 생각하기에 따라서 21세기의 최고의 과학자가 될 잠재력’ 을 지닌 그를 이제까지 별로 잘 몰랐고 관심도 없었다. 그것이 불과 몇 달 전에 내가 home office에서 즐겨 이용하는 IP PBX (software-based PBX)인 PIAF (Pbx-in-a-Flash) 이라는 것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 rottenApple iPhone의 Siri(이것의 발음은 일본에선 ‘엉덩이’라는 뜻이다) 처럼,이 PIAF software에서도 Wolfram Alpha에서 제공하는 service를 쓰는 것이다.

간단히 말하면, PIAF에 연결된 전화기에서 4747(Iris, Siri를 거꾸로 쓴것)를 누르면, ‘질문’을 말하라는 prompt가 나오고, ‘영어’로 문제나 keyword를 말하면, 그것을 copy해서 반복을 하고, 확인을 하면 곧바로 그 ‘음성질문’을 Google의 speech-to-text service로 보내어(이것은 아직까지 무료) text로 바꾸어 다시 그 text를 Wolfram Alpha로 forward를 하면 그에 대한 ‘해답’이 text로 PIAF로 return이 된다.  

그 시간이 불과 몇 초밖에 걸리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이것은 Siri와 거의 같은 PIAF만의 App인 것이다. 현재는 익숙지를 못해서, 아주 초보적인 질문 (weather, today’s history 같은) 밖에 못하지만, 시간이 흐르면 일상적으로 유익한, 학문적으로도 도움이 되는 정보를 computer가 아닌 ‘전화’로 얻게 되지 않을까.. 희망을 해 본다. 참, 흥미진진한 세상을 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