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est Blog: 김인호의 경영·경제 산책 15

자유와 평등과 정의를 생각해 본다

피의 혁명이 준 교훈

2013.05.08

 

김인호 교수
김인호 명예교수

필자가 40대 중반 때, 미술에 대한 특별한 관심과 지식이 있는 것도 아니면서도 불란서로 출장 갈 때마다 몇 차례 베르사유 궁전에 갈 기회가 있었다. 한번은 그곳 파리에 살고 있는 지인 가족들과 함께 베르사유 궁전 뒤 넓은 정원을 가로지르고 있는 십자형 인공호수의 어느 한편 잔디 위에서 바비큐를 즐긴 다음 궁전 전시관으로 들어가 이리저리 여기저기 역사미술관을 둘러보다가 어느 전시실 입구에서 주춤 놀란 적이 있었다. 그때까지 몇 번을 갔어도 그 전에는 한 번도 본바 없는 전시실에 온통 피를 뿌려놓은 듯한 그림들로만 꽉차있었던 때문이었다.

 특히 콩코드 광장에 설치해 놓은 기요틴(단두대)에 목이 잘리는 장면과 목이 잘리려고 쭉 줄지어 서 있는 풀죽은 사람들의 행렬과 잘린 목들에서 쏟아져 나오는 피가 콩코드 광장을 지나 세느강으로 흘러들어가는 장면을 생생하게 그린 그림이 제일 소름끼쳤고 또 너무나 사실처럼 적나라하게 그려져 있었다.

 그 방의 전시물이 전하는 시기가 도대체 언제 것들이기에, 온통 핏빛으로 장식되다시피 한 것일까? 도대체 그 시기의 상황이 피와 무슨 상관이 있는 걸까? 궁금하여 설명을 읽어보니 바로 루이 왕조가 무너진 1789년 불란서 혁명 발발 때부터 나폴레옹이 등장하기까지 10여 년 간의 것이란다.

불란서는 18세기 루이 14세 때 유럽에서 최강의 국가였으나 루이 16세 치하 때인 1789년 7월 14일 바스티유 감옥 습격으로 시작된 불란서 혁명으로 왕정을 포함한 구체제(앙시앙레짐 Ancient Regime)가 무너지고, 민간 혁명정부가 들어섰으며 동년 10월 5일 ‘자유 평등 박애’를 기치로 하는 ‘인권시민장정(The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Man and the Citizen)’이 선포되었단다. 그러나 얼마 뒤 민간 혁명정부에 의한 교회재산의 몰수, 뒤이은 중과소득세의 징수, 곡물가의 동결, 정부 가격제 불이행에 대한 극형실시, 개인 신분증 소지의 의무화, 이웃상호간의 감시제도 실시, 중상주의에 의한 경제정책의 실패와 지나친 지폐의 남발로 인한 재정혼란 등이 가중되게 되었다.

 이런 가운데 1792년에 제1차 공공안전위원회가 발족되자마자 반역자 처단명분으로 피의 학살이 파리 시가를 휩쓸게 되었고 뒤이어 정권이 여러 번 교체되면서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기요틴의 이슬로 사라져갔는데 불란서 대혁명 후 4만 명 이상을 죽인 이 피의 잔치는 1799년 나폴레옹의 독재정치가 등장할 때까지 10년간 지속되었다는 설명이었다. 필자는 바로 그 시기의 미술품들을 전시한 방을 본 것이었다.

 불란서가 220여 년 전 불란서 혁명을 통해 왕정에서 민정으로 또 다른 민정으로 바뀌는 와중에서 무정부 상태와 국가주의를 경험한 후 결국 전체주의의 독재로 옮겨가는 약 10년간 흘린 그 엄청난 피범벅과 살육으로 과연 무엇을 얻었단 말인가? 결국 나폴레옹 독재체제를 얻기 위해 그 많은 피를 흘렸단 말인가?

 그리고 가깝게는 1969년부터 1975년 사이에 캄보디아 폴포트(Pol Pot)가 자행한 인종말살(genocide)획책은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의 엄청난 해골더미가 보여주듯 그 잔학상이 끔직한데 그들은 이를 통해 또 무엇을 얻었단 말인가? 해골더미가 현재는 관광자원역할(?)을 하고 있는데 과연 지금의 관광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그토록 그 많은 살육을 자행했단 말인가?

 

2004년 여름 어느 국제학술회의 만찬장에서 만난 한 중국인 교수와 이런저런 얘길 나누는 중에 ‘왜 중국 사람들이 등소평(Deng Xiaoping)을 모택동보다 더 높이 평가하느냐’는 나의 질문에 그의 답은 의외로 명쾌했다. 일반적으로 중국 사람들은 모택동에 대해서는 언급을 안 하면서 다만 등소평을 중국을 건진 사람으로 생각한다며 그 이유는 ‘문화혁명(文化革命)을 끝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흔히 등소평 하면 이념보다는 실용노선(實用路線)을 강조한 사람으로만 알고 있던 나의 기대와는 전혀 다른 답이라서 그 이유를 묻었다. 그 교수의 설명에 의하면 문화혁명이 1965년경부터 1975년 등소평이 재등장할 때까지 10년간 지속되었는데, 한창 절정에 달했을 때는 단 세 명만 모여도 하나의 집단으로 인정되어 삼권(三權: 입법권, 행정권, 사법권)을 부여받고 무슨 일의 어떤 내용이든지 그 집단 맘대로 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테러와 다름없는 온갖 행태의 폭력과 무자비의 소용돌이가 중국 전역 여기저기를 휩쓸었다는 것이다.

 예컨대 학교 제자들이 스승을 걸상 여러 개를 높이 쌓아 올린 맨 꼭대기에 앉힌 후 밑의 의자를 뽑아내 떨어뜨리는 헬리콥터 심판이라든가, 심판 대상자의 집 자식을 2층이나 3층에서 아무렇게나 마구잡이로 내던져버리는 등등… 참으로 말로 다 할 수 없는 별 기괴한 잔악한 형태의 행태들이 중국 전역을 휩쓸었다는 것이다. 10여 년간의 문화혁명 기간 중에 겪었던 불안 공포와 상호불신과 암흑(暗黑)의 시기를 겪어보지 않은 이는 누구도 상상할 수 없을 것이라며 이를 등소평이 끝냈으니 그가 바로 중국을 건졌고 중국은 문화혁명으로 인해 적어도 20년 이상 후퇴했다는 설명이었다.

 또 2010년 튜니지아(Tunisia)로부터 시작된 아랍권의 쟈스민 혁명(Jasmine revolution)을 통해서는 무엇이 얻어지고 있는가? 아랍권에도 보다 많은 자유가 흘러 들어가는 듯 보이더니 아직은 잘 모를 정도다. 그러나 길게 보면 결국은 그곳에도 자유가 커지고 넓어지리라 기대해 본다.

30여 년 전 베르사유 궁 미술 전시실을 나오면서 저 피의 결실은 무엇이었냐고 자문했던 질문이 10여 년간의 홍위병을 앞세운 문화혁명(文化革命)으로 중국이 20년 이상을 후퇴했다며 중국인 교수가 치를 떨면서 들려줄 때, 폴포트의 만행을 상기하며, 또 최근의 아랍권에서의 쟈스민 혁명을 목격하면서 다시 한 번 더 강하게 필자의 뇌리를 때렸다. 무슨, 무슨 혁명이란 이름으로 흘린 그 엄청난 피로서 무엇들이 얻어졌단 말인가?

 불란서 혁명 때 흘린 그 엄청난 피에 대해서는 많은 역사학자들이 자유, 평등, 박애, 라는 고귀한 가치를 얻기 위한 피였다고들 강변하기도 하지만 과연 그런가?

 약 간 논리의 비약이긴 하지만 역사가 과연 인간에 의해 엮어져 가는 것일까? 아니면 마치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이라는 가격메커니즘을 통해 수요와 공급의 균형화(balancing)가 이루어지는 시장에서처럼 역사도 일견 사람들에 의해 이뤄지는 것 같지만 결국은 안 보이는 어떤 손에 의해서 역사가 진행되어 가는 건 아닌가?

 

이런 추론을 해보는 것은 불란서 혁명이 있은 지 150여 년이 지난 1946년에서야 비로소 불란서에서 여자에게 투표권이 주어졌기에 평등의 가치를 내세웠던 불란서 혁명에 의해 남녀평등이 실현되었다고는 결코 보여지지가 않기에 말이다.

 한편 불란서 이웃 스위스에서는 1971년에서야 여자에게 투표권이 주어졌다는 사실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국가정체성을 부정하는 것까지도 표현의 자유라고 외쳐대는 국가부정세력의 존재가 얼마나 엄청 자유를 왜곡하고 있는 건가를 새삼 깨닫게 해준다.

 피로서 자유가 얻어진다면 1980년대 중후반 구소련연방이 해체되고 자유의 물결이 흘러 들어가고 시장경제에 편입되게 된 것도 과연 피의 대가로서 얻어진 결과인가? 그게 아니지 않은가? 그렇다면 구소련연방은 왜 1980년대 중 후반에 해체되었는가? 아니 왜 해체될 수밖에 없었는가? 이 물음에 대한 답은 여러 관점과 각도에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나 필자는 혁신의 관점에서 이해해 보고 싶다.

 

혁신은 가치창조(value creation)의 동인이며, 혁신의 발현은 단순 룰(simple rule)을 제시하고, 최대한 자유를 인정해주고 보장해 줄 때 극대화된다는 메시지를 카오스(chaos)이론과 복잡성(complexity)이론이 전해주고 있다. 이는 혁신활동이 자유롭게 허용되는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 하에서는 혁신의 결과는 언제나 시장의 고객들에 의해 객관적으로 평가받게 되므로 끊임없이 보다 더 혁신적인 활동이 촉진되게 되고 그래서 국부(國富)가 증대되게 됨을 의미한다. 곧 혁신기술이 체화되는 시장경제/자유민주주의 체제에서는 국부가 증대하나 그렇지 않은 곳에서는 경제가 피폐화될 수밖에 없다는 얘기이다.

 1980년대 초반을 전후한 디지털화(digitalization)혁명은 계획지상주의(至上主義)와 엄격한 통제 및 감시체제를 기본으로 하는 공산권에게는 결코 편승할 수 없는 대 질풍과도 같은 충격일 수밖에 없었다. 그렇지 않아도 공산체제하에서 피폐화될 대로 피폐화된 낡은 체제가 디지털 혁명으로 전혀 새로운 기술경제패러다임으로 이동하자 구소련연방은 1985년 서부터 무너지기 시작했고 1989년에 완전히 붕괴되면서 자유의 물결이 쏜살같이 급격하게 구공산권으로 흘러 들어갔던 것이다.

 

긴 역사의 흐름 속에서 보면 자유는 때론 느리게 또 때론 거세게 또 어떤 땐 잠시 거꾸로 꼬이기도 하지만 길게 보면 세월과 함께 점점 더 넓게 퍼지는 비대칭(非對稱)의 한 방향으로 신장되어왔음을 보여주는데 특히 근&65381;현대사는 이런 경향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이 자유 신장의 흐름은 결코 오만과 냉혈과 폭력과 파괴와 살육을 일삼는 포악한 인간들에 의해서가 아니고, 남아선호(男兒選好)로 여아영애를 살해하면 할수록 계속하여 여아(女兒)를 더 낳게 하여 성비(性比)까지도 맞추어 주는 초자연적 질서에 의해 진행되고 있음을 실감케 한다.

 지금 도 세계 이곳 저곳에서 무슨 혁명, 무슨 혁명을 내걸며, 자본주의, 민주주의, 공산주의, 상대주의, 다원주의, 물질주의, 모던이즘, 포스트 모던이즘, 실증주의 등등 그 많은 이견과 상충의 대 혼란 속에서 자유와 평등과 정의를 외쳐대지만 참으로 옳은 자유와 평등과 정의에 대한 합의는커녕 말 잔치만 풍성하고 반목만 심한 글로벌 촌의 오늘의 모습이다.

‘일하지 않는 자는 먹지도 마라!’ 또 ‘가진 자는 더 가질 것이고 못 가진 자는 가졌다고 생각하는 그것마저도 빼앗길 것이다.’ 라는 경구(警句)는‘결과의 평등(equality of consequences)’을 부정하며 ‘더 일하는 자는 더 가질 것이고 덜 일한 자는 덜 가질 것이며 아예 아무 일도 하지 않은 사람은 아무 것도 못 가질 것’임을 일러준다.

 그래서 평등은 ‘결과의 평등’이 아닌 ‘기회의 평등(equality of opportunities)’에서 찾을 때라야 참으로 옳은 평등이요, 정의는 ‘뿌린 대로 거두는 인과응보(因果應報), 사필귀정(事必歸正)의 질서’로부터 찾을 때라야 참으로 옳은 정의임을 또한 일깨워 준다.

 그리고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는 말씀은 ‘자유는 언제 어디서나 진리 편에 섰을 때’라 야만 참으로 옳은 자유임을 또한 선언하고 있다.

 

글 / 김인호 한양대 명예교수 다이나믹 매니지먼트 학회장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