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I blog

Before the Internet, most people rarely wrote for pleasure or intellectual satisfaction after graduating from high school or college.

 – Clive Thompson on Wired Magazine

 

Some researchers believe that by writing and then editing our own stories, we can change our perceptions of ourselves and identify obstacles that stand in the way of better health.

 – Tara Parker-Pope on New York Times

 

5년 전쯤 나의 Serony’s Friends personal blog을 시작할 때 ‘왜, 지금?’ 이라는 생각은 별로 심각하게 한 기억이 없다. 이유가 있었다면, 그저 막연하게.. 남들이 하니까.. 혹시 옛 친구나 친지를 이곳을 통해서 다시 만날 수 있을까.. 정도가 아니었을까? PC 앞에 앉아 있는 시간이 많은 덕분에 tinkering을 하는 시간도 따라 많고, 그 중에 blogging은 아주 적당한 ‘머리 운동’일 수도 있는 것이다.

그  동안 나의 blog post (and pages)가 500 에 다다르게 되었고, 이것들을 ‘찾거나, 보아주는’ view count는 30,000 에 가깝다. 블로그의 숫자를 보면 나는 일주일에 2번 이상 posting을 했다고 볼 수 있고, 이것들이 public viewer 들에게 ‘노출된’ 것은 하루 평균 거의 30회에 달한다. 이런 통계는 나를 모르는 public에게 알리는 것을 꺼려하는 것에 비하면 놀랍게도 상당한 ‘노출’인 것이다. 하지만 이런 ‘무미건조’한 통계가 나의 블로그 그 자체는 아니다. 그 이외의 숨은 나도 모르던 것들이 있었을 것이다. 그런 것을 위에 인용한 Wired magazine와 New York Times 기사들을 보며 조금 깊이, 다른 각도로 생각하게 되었다.

위에 quote 된 Wired Magazine의 말 대로, 한마디로 인터넷이 대중화1 되기 전까지 (아니면 blog가 출현하기 전까지) 대부분 사람들.. 학교를 떠나고 나서, ‘필요에 의해서가 아닌’ 이유로 의미 있는 ‘자기의 글’을 쓰게 될 기회가 있었을까? 아마도 아주 소수의 ‘선택된’ 사람들을 제외하고, 거의 없었을 것이다. 그런 글들도 대부분 diary, journal 정도였을 것이다. 나도 무언가 남기고 싶은 심정으로 일기를 조금 씩 ‘남기곤’ 했지만 그것도 사실 나이가 들어가며 서서히 없어지고 있었다. 이런 상태에서 ‘남이 볼 수도 있는 글이나 기록’을 만든다는 것은 사실 ‘말도 안 되는’ 꿈에 가까운 상상이었다.

20세기가 저물어가며 본격적으로 쓰기 쉬운 인터넷의 광장, World Wide Web 이 대중화 되면서 조금씩 ‘쓰는 것’이 쉬워지기 시작했는데, 이것도 대부분 ‘말도 안 되는 바보 같은 댓글’ stupid comments 가 주류였다. 조금은 심각한 forum같은 것도 있었지만 그런 곳에 심각한, 의미있는 글이 나올 것은 기대하기 힘들었다. 또한 그런 곳에 자신을 들어내며 글을 쓰는 부류는 아주 소수에 불과했고 대부분은 ‘읽기만 하는 정보 소비자’역할을 했다.

서서히 자신의 독특한 ‘의견, 견해, 주의’ 등을 특별한 대상이 없이 발표하는 ‘결심이 단단한’ 부류들이 생기기 시작했는데 그들이 지금 거의 당연시 되고 있는 블로그의 효시가 되었고 그들은 서서히  blog ecosystem, blogosphere를 형성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자신만의 homepage란 것을 만들어야 하는 귀찮은 과정을 거쳐야 했지만 무료 blog host2란 손 쉬운 platform 이 생기며 이것은 폭발적인 기세로 퍼져나가서 이제는 블로그 ecosystem에서 아주 중요한 얼굴이 되었다.

블로그 중에서도 나의 관심은 역시 ‘개인적 블로그’인 personal expressive blog 이다. New York Times의 기사가 그런 현상을 잘 보도하고 있다. 이 기사의 골자는 다음과 같다. 글을 쓴다는 것, 물론 전문적인 author 들이 아닌 고등학교, 대학교를 졸업한 정도의 사람들이 쓰는 수준을 말하지만 문제의 핵심은, 안 쓰는 사람보다 쓰는 사람들이 훨씬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을 여러 가지 ‘개인적 심리, 사회적 심리’의 각도에서 ‘과학적’인 실험을 하며 설명을 하였다. 이렇게 과장된 듯한 결론에 대한 우리의 의문은 역시,  ‘왜 그럴까?’ 하는 것이다.

언어의 힘, 언어의 잠재력.. 특히 written language의 특성을 잘 생각해 보면 위의 의문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다. 머리 속에서 맴돌던 생각, 오랜 동안 남았던 생각들, 골머리 앓던 생각들.. 이것과 ‘언어’에 의해서 말로 나타나면 더 구체적인 힘을 얻고, 더 나아가서 ‘쓰여진 언어’로 가면 다른 차원의 힘을 얻을 수 있다. 나는 이런 명제를 ‘성경쓰기’에서도 찾아 볼 수 있고, 책을 읽을 때 ‘쓰면서 읽는’ 방식에서도 분명히 느낄 수 있다. 이렇게 ‘나의 생각’을 글로 나타낸다는 행위는 생각 뿐인 것으로부터 구체적인 쪽으로 변화를 시키는 힘이 있는 것이다. 한마디로 ‘수동적, 피동적’에서 능동적, 적극적으로 바뀌는 촉매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내가 blog을 시작할 때, 이런 거창한 논제보다는 상식적인 선에 의해서 나의 blog agenda를 정하고, 고치며 지금까지 왔다. 100% personal한 것이 첫째이며 마지막이었다. 모든 것이 나에 관한 것, 나의 생각, 나의 결정, 나의 인생, 나의 주변..100% expressive blog을 목표로 하였다.  나의 blog은 물론 public이 대상이지만 이것은 별로 생각할 여지가 없는 선택의 여지가 없는 사항. 나 혼자 본다는 blog은 diary이기 때문(이미 쓰고 있는)이다. 그러니까 ‘가상적인’ viewer들을 ‘상상’할 수 밖에 없는데.. 나는 구체적인 목표를 만들었는데.. 나와 우리 가족을 개인적으로 아는 집단을 생각했다. 시공간을 뛰어넘어 나를 알았고, 기억하고, 알고 있는 사람들.. 과연 얼마나 될까? 과거로 돌아가면 꽤 많은 사람들이 있기에 이런 blog을 통해서 과거와 연결이 되기를 기대하며 글을 내 보였다. 이것이 나의 blog이 memoir로 시작된 이유가 되었다.

시간적으로 계속되는 blog은 한마디로 autobiography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blog tag line에도 autobio in progress가 붙게 되었다. 나의 개인자서전을 과연 누가 읽을까 하지만 그것은 전혀 문제가 아닌 것이.. 그것을 쓰는 자체가 주안점 whole point 이기 때문이다. 희망적으로는 내가 먼지가 된 오랜 후에 나의 offspring이 발견한다면.. 하는 것 뿐이다. 다음은 나의 남은 생의 과정을 남기고 싶었다. 그러니까 public diary인 셈이다. 나는 이것을 Daybook이란 category로 만들어서 쓰고 있다. 개인 일기는 ‘아무 것, 비밀, 욕, 불법적인 것’등을 마음대로 쓸 수 있지만 daybook은 그런 것들을 할 수 없다. 그것이 매력이고 마력이다. 나와 public이 같이 share할 수 있는 것들.. 그러니까 ‘사회적인 나’ 에 관한 것들.. 생각들.. 신변잡기, 나의 생각, 무궁무진한 제목들이 이곳에서 기다린다. 다만 대상이 public이란 특성을 항상 염두에 두고.. ‘조심스레’ 다루어야 한다. 현재까지 나는 큰 문제가 없었지만 그래도 작은 몇 가지 잡음을 경험했다. privacy control의 ‘절묘한’ 기술이 필요한 것이 바로 이곳이다.

현재까지 나의 Memoir 를 고등학교 시절까지는 일단 끝 냈고 근래에는 대학 2학년까지 다다르고 있다. 목표는 내 인생의 ‘전부’를 글로 남기려는 것이지만 글쎄 그것이 그렇게 쉬울까? 인생의 처음 부분이 비교적 쉽게 기억이 나고 쓰기가 쉬웠던 것은 역시 simple했던 시절이어서 그랬을까? 대학을 넘으며 더 어려워지고.. 인생의 전환기를 미리 생각만 해도 골치가 아파져 온다. 그래도 노력을 해 볼 것이다.

  1. 쉽게 말하면.. ‘보통 중년이 지난 아줌마’들이 매일 편히 쓸 정도가 될 때쯤이 아닐까?
  2. blogger나 wordpress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