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 前 4월을 가며…

2020 이라는 숫자와 더불어 ‘0 제로’로 끝나는 지나간 해들을 중에서 1970이라는 숫자는  반백 半百 50 오십 이라는 숫자와 맞물려 ‘반세기’라는 특별한 세월의 흐름을 만나게 된다.  나에게도 반세기라는 것이 개인적으로 해당이 된다는 것, 반세기란 세월이 오래 전, 소싯적에 생각했던 것처럼 그렇게 장구하고, ‘영원스러운 [이런 말도 있나?]’ 시간은 아닌 듯 느껴진다. 물론 50년은 결코 짧은 것은 아니지만, 머릿속이 기억에 의하면 바로 엊그제의 일들로 느껴지는 것들이 생각보다 많은 것이다. 특히 나에게 1970년 4월의 대한민국은  더욱 그렇다.  잊으려 해도 잊으려 해도 안 잊어지는 듯, 이렇게 끝까지 남아서 ‘즐겁고, 괴롭게’하는 것들,  9년 전에 이 당시의 추억을 blog post로 남기기도 했었다. 

 

귀환 후 축하 파티에서: Fred Haise, Jim Lovell, Jack Swigert (l to r)

 

¶  Apollo 13:  50년 전 1970년 4월, 그 유명한 ‘Houston, We have a problem‘, 아폴로 Apollo 13의 ‘무사귀환’ 사건이 있었다. 4월 11일 시작된 Apollo 13의 달로 향한 여정은 13일에 산소탱크가  폭발하는 사고를 맞았다.  Thirteen, 13이란 숫자의 무서운 위력을 보여주는 case였다.  재수없게 운석隕石에 맞았던 것으로 처음에 추측했지만 나중에 알고 보니 역시 ‘인재 人災’였다. 부랴부랴 달의 중력의 힘으로 달을 선회한 뒤 귀환하는 과정은 사실 극적이었다. 하지만 NASA engineer를 비롯한 전체의 팀이 인간 이성과 과학적 방법을 총 동원해서 17일에 무사히 귀환을 시켰다. 

 

산소탱크 폭발 후 표면이 떨어져나간 Service Module, 대기권 들어오기 전에 분리된 후

손에 땀을 쥐게 한 대기권 재진입 이후, 무사히 귀환된 commander Jim Lovell

인류 사상, 처음 달에 착륙했던 Apollo 11 이후 대중적인 관심도가 떨어진 때라서 처음에는 TV 중계조차 없었지만, 이 사고와 극적인 생환 덕분에 3명의 우주인 astronaut들은 하루아침에 세계적 관심을 받게 된 영웅이 되었다. 이 당시 전 세계사람들의 관심과 우려가 대단했던지, 바티칸의 교황님이 공개적인 무사귀환 기도를 드릴 정도였다.  다른 쪽으로 생각하면 달에 첫 착륙을 했던 아폴로 11호 보다 이들이 더 기억에 남는 ‘전설’ 이 되었고, ‘가장 성공적인 실패‘라는 명언을 남기기도 했다.

 

1970년 4월, 지리산 세석평전에서

 

¶  아~ 지리산:   극적인 세상의 드라마가 펼쳐지고 있던 시기에 나는 백두대간 白頭大幹 의 마지막 자락에 우뚝 솟은 [빨갱이 중의 빨갱이, 공비共匪들로 유명했던] 지리산 전全 코스 능선 종주등반을 하고 있었다. 연세대 4학년이 시작되었던 때, 학교의 소속과 (전기공학) 의 제주도 졸업여행을 사양하고[빼먹고] 친구들과 3명이 거의 일주일 동안 지리산 등반에 간 것이었다.  지금 생각하면 참 나도 철이 없었다. 일생의 단 한번 대학 졸업반 여행이었는데, 그것을 빼 먹고… 지금 되돌아 보면 후회가 되지만 그 당시에는 사실 조금도  다른 생각이 없었다.  오로지 ‘청춘의 멋과 내음새’ 로 머리가 가득 찼던 ‘4월의 노래’였다.

그 당시의 세상은 사실 미국의 counterculture와 맞물린 격동의 시기였고 우리들도 박정희 정권 타도 데모, 빨갱이를 의식한 학원내의 교련 강요 등등으로 소란했지만 나 개인적으로는 그렇게까지 격동의 시기는 아니었다. 오히려, 학생데모가 터지면 휴교를 틈타서 ‘산 행’을 생각하며 즐겁기까지 했던, 참 지금 생각하면 철 없고 어렸던 시절이었다.

 

1970년 4월 22일 첫 지구의 날 행진, 차가 완전히 사라진 뉴욕 맨해튼 거리에 운집한 군중들

 

대조적인 대한민국, 늘어나는 자동차가 자랑이던 때, 초라한 지구의 날 보도

¶  Earth Day 50주년: 그 해 4월 22일에는 아폴로 13호 와 다른 미국발 뉴스가 있었다. 바로 Earth Day ‘지구의 날’, 민간인[사실은 정치인] 의 자발적 운동으로 시작된 날이 바로 4월 22일었다.  창시자는 비록 정치인이었지만 순수한 의도로 개인적 신념으로 시작, 결과적으로 전세계적인 ‘환경운동’의 시발점이 되었다. 주로 교육과 계몽을 목적으로 시작된 이 지구의 날 행사는 자원봉사자들의 노고로 전 세계로 알려졌고 특히 뉴욕에서의 행사는 상상을 초월하는 거대한 반응을 일으켜서 이날, 지구의 날의 장래가 아주 순조롭게 계속됨을 예고하기도 하였다. 문제는 대한민국에서다. 환경오염 같은 것은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같은 발전구상에 전념하던 우리에게는 그림의 떡, 부자나라들의 사치 정도로 비쳐졌던 것이다. 사실 나도 그랬으니까… 가난해서 먹을 것이 우선인 곳에서 조금 더 맑은 공기는 사실 사치에 가깝게 들렸다. 하지만 50년 뒤의 결과를 보면, 이날의 창시자들의 원대한 꿈은 결코 헛되지 않음을 절실하게 느낀다.

 

First Earthday activists, volunteers in Washington DC, 1970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