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d, my own cold

¶  오랜만에 날씨에 관한 것이 잡스러운 뉴스를 비집고 고개를 내밀었다. 그런데 이것도 사실 놀랄만한 것이 하나도 아니다. 오래 산 ‘기억과 경험의 축적’ 탓인가.. 아무리 진짜 겨울, 1월이 별볼일 없더라도, 2월과 3월이 겨울의 진면목을 보여 줄 확률이 생각보다 높다는 사실을 안다. 특히 지난 20년 동안이 더욱 그렇다.

그런 추세의 예외가 바로 작년 한 해였다. 좌우지간, 꽃들이 만발하려 ‘완전히’ 준비가 되어가던 차에 드디어 시베리아의 바람(이곳은 캐나다의 바람, Alberta Clipper?)을 느끼게 되었다. 오늘은 낮에도 빙점에서 맴돌며 내일은 드디어 (섭씨) 영하 10도? 이런 때에 나는 오랜만에 다른 종류의 cold, 감기로 고생을 하게 되었다.

사실은 감기란 것이 고생까지는 아니지만, 거추장스럽다고나 할까.. 특히 편도선이 붓는 것이 제일 고역이고, 다음으로 진행되는 콧물,눈물..재채기.. 마지막으로 기침.. 우리 신부님 말씀대로 ‘코를 만지지 말라’는 경고를 무시했던 모양이다. 더 심술스러운 다른 병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에 비해 애교 정도로 보이는 것이 감기나 독감이지만, 섣불리 안심하는 것은 사실 그렇다. 1994년 큰 딸 새로니가 ‘조그만’ 감기로 시작한 것이, ‘거의 사경’을 헤매던 악몽으로 이어졌던 것을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 특히 나와 같은 60+ 나이에는 더욱 그렇다.

 

¶  우리들의 사회적, 과학적, 문명적인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점쟁이들의 수준을 훨씬 넘어서 아주 심각한 ‘학문’의 영역이다. 미래학회 같은 곳은 정기적으로 학회지도 간행하는 과학적인 방법으로 미래를 연구하는 단체이다. 이들의 주장을 자세히 보면, 최소한 내가 보기에, 대부분 ‘공상적’인 느낌을 많이 준다.

다른 말로 하면 그 정도로 미래를 미리 느끼기가 힘들다는 것일까. 그들은 분명히 과거와 현재의 상태에 근거해서 추측(extrapolation) 하는 것일 것이다. 한마디로 수학적(통계,확률)인 방법을 쓰는 것이다. 며칠 전에도 그런 류의 소식 중에: 인간의 수명이 150세 이상 200세까지 될 날이 ‘멀지 않았다’ 는 것도 있었다. 이것은 major network news에서 본 것이라서 신빙성도 있는 것이었다. 과연 그럴까?

분명히 지금 진행되고 있는 과학적 연구들 중에서 가장 좋은 예들을 골라서 나온 best case일 것이다. 수명이 늘어나는 것, 우선은 반가운 것으로 들리겠지만, 이것도 과연 그렇게 간단히 ‘무조건’ 좋기만 할까? 50년 전의 미래학의 ‘함정’을 보면서 이것도 not so fast!의 한 예가 되지 않을까 생각을 한다.

아래에 있는 사진은 1950년대에 ’50년 후인 2004년의 home computer’를 상상, 예측하고 RAND corporation(당시의 IBM)에서 만든 것이다. 설명을 보면, 가정에서 쓰는 이 컴퓨터는 teletype terminalFORTRAN을 쓸 것이라고 되어있다. 웃지도 못할 미래학의 결정체가 아닐까? 미래학 함정의 극단적인 케이스라고 그냥 웃을까? 이것의 치명적인 과오는 불과 몇 년 후에 출현할 반도체(solid state, transistor, IC)를 전혀 예측 못했다는 사실이다.

 

future-home-pc1950년대에 상상한 2000년대의 가정용 컴퓨터

 

¶  얼마 전에 ‘얼마 남지 않은 미국의 양심, 희망’ PBS-TV 에서 작년 3월 12일 경의 일본 도호쿠(東北)지방의 지진,쓰나미(해일), 잇달아 생긴 후쿠시마 다이이치(福島 大一) 원자력 발전소(원전) 사고(nuclear meltdown)로 인해 큰 타격을 받은 원전의 안전과 미래에 대한 FRONTLINE (주로 문제점 분석 중심) 프로그램, Nuclear Aftershock 이 방영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일본재난의 1주년에 맞추어 제작한 듯 한데, 당시에 발생한 비극적인 인명(18,000명 이상 사망),재산 피해보다 장기적인 원전사고의 후유증과 그로 인한 세계적 에너지 공급문제를 객관적으로 분석했다. 이 프로그램을 보면서 생각한 것 중에는: 인간이 원자력을 장기적으로 안전하게 control할 수 능력의 한계, 원자력의 매력과 그것을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가 생각보다 적다는 사실, 미국에 있는 원전들이 생각보다 덜 안전하다는 사실은 비록 쓰나미의 위협이 적음에도 그것과 맞먹는 최악의 사고 시나리오가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음산’한 현실 같은 것들이 있다.

그리고 지난 해의 사고 이후 독일의 ‘성급해 보이기도 하는’ 100% 원전 포기선언과 원전대신으로 전통적인 화석연료 발전소를 이용한다는 조금은 의아한 결정같은 것이 있다. 이 결정은 ‘지구온난화 문제’ 해결에 정면으로 대결하는 결정이기 때문이다. 이래저래, 이 ‘에너지’ 문제는 참 간단한 것이 아닌가 보다.

 

 

Dear Rotten Apple, enough is enough!

요즈음, 그렇게 잘 나가는 내가 ‘제일 싫어하는’ 기업인 애플이 지독한 구설수에 올랐다.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에서 그들의 중국의 수많은 공순이들에 대한 ‘지독히도 열악한’ 처우가 제일 큰 구설수에 오른 것이다. 극대적인 이익을 추구하다 보니 그렇게 된 것이지만, 문제는 그렇게 해서 그들이 번 돈의 ‘천문학적‘ 이라는 사실에 있다. 이 피를 빠는듯한 회사의 지난 사사분기의 수입이, $46,000,000,000.. 제로가 아홉 개가 있는, 그러니까 사백육십 억 달라! 이 액수로 살 수 있는 것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상상이나 갈까?

이렇게 많이 수입 뒷면에는 바로 위에 보이는 수많은 공순이들이 있다. 옛날 옛적에 고국도 그런 과정을 겪었다. 수많은 공순이들, 버스 안내양들..최저임금도 고마워하며 일을 했지만 그들은 별로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하지만 그들을 부렸던 기업과 지금의 이 애플과는 비교조차 할 수가 없다. 그리고 그때는 1970년대였고, 지금은 21세기인 2010년 대.. 어찌 비교를 할 수가 있을까? 최저의 임금과 건강을 위협하는 무자비한 환경에서 절대적으로 극대의 이익을 만든 돈이 지금 어디에 가 있는가? 그들은 iPhone을 만들기 위해 ‘죽어가며’ 일을 하고 있다. 결국은 여기에 보이는 petition(서명운동)까지 나오게 되었다. 나도 여기에 서명을 한 셈이지만.. 도저히 이것을 피할 용기가 없었다.

 

Rotten Apple

 

Every day, tens of millions of people will swipe the screens of their iPhones to unlock them.

On the other side of the world, a young girl is also swiping those screens. In fact, every day, during her 12+ hour shifts, six days a week, she repetitively swipes tens of thousands of them.She spends those hours inhaling n-hexane, a potent neurotoxin used to clean iPhone glass, because it dries a few seconds faster than a safe alternative. After just a few years on the line, she will be fired because the neurological damage from the n-hexane and the repetitive stress injuries to her wrists and hands make her unable to continue performing up to standard.

Right now we have a huge opportunity as ethical consumers: The launch of the iPhone 5 later this year will be new Apple CEO Tim Cook’s first big product rollout, and he can’t afford for anything to go wrong — including negative publicity around how Apple’s suppliers treat their workers. That’s why we’re launching a campaign this week to get Apple to overhaul the way its suppliers treat their workers in time for the launch of the iPhone 5.

In many cases, people literally are dying while making Apple products. Reporters have documented cases of deadly explosions at iPad factories, and repeated instances of employees dying of exhaustion after working thirty to sixty hour shifts. In some of the factories Apple contracts with, so many employees have attempted suicide that management installed nets to prevent employees from dying while jumping off building ledges.

Can Apple do this? Absolutely. Apple is the richest company in the world, posting a profit margin for the last quarter of 42.4% yesterday. They’re sitting on $100 billion in the bank. According to an anonymous Apple executive quoted in the New York Times, all Apple has to do is demand it, and it’ll happen – “Suppliers would change everything tomorrow if Apple told them they didn’t have another choice.”

Use the form here to sign the petition to Apple telling them to make the iPhone 5 ethically.

 

Davos WEF, Global Agenda 2012

지난 1월 25일부터 개막이 되었던 Davos WEF (World Economic Forum) 2012가 어제로 막을 내렸다. 무언가 세계가 심각하게 변하고 있다는 것을 느끼면서, 다른 해에 비해서 조금 더 관심을 가지고 지켜 보았지만, 기껏해야 뉴스 채널 그것도 인터넷을 통해서 볼 수 있었던 것이 고작이다. 인터넷 speed가 빨라지면서 이제는 video의 화질도 놀랍게 나아져서 그런대로 Davos에 모인 ‘부러운 인간’들의 열기를 조금이라도 느낄 수 있었다.

현재의 미국식(시장경제) 자본주의의 한계성과 대체 자본주의의 가능성 등에 관한 토론이 아주 흥미로웠는데, 해답보다는 의문점을 더 제기한 아주 복잡한 주제였다. 자본주의를 대체할만한 특효약은 없는 듯하고, 계속 보완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것으로 결론이 모아지는 듯 했다. 과연 그럴까? 하기야 모든 것을 빨리 해결하려는 공산주의 실험은 완전히 파탄과 실패로 끝나갔고, 그것 보다 조금은 온건한 사회주의도 큰 희망을 주지 못하고, 끈질기게 남아서 버티는 것이 그저 자본주의일 듯 하다. 게다가 아직까지는 유일한 super power인 미국이 그 종주국으로 있는 한 누가 대체 주의를 밀겠는가?

유일한 변수는 역시 짱께, 쭝국의 기발한 변종 ‘국가’ 자본주의 일까.. 내가 생각하는 현재의 자본주의에 대한 해답은 그렇게 복잡하지도 않다. 그저, 그저, 돈을 ‘자유롭게’ 벌더라도 정직하게, 남도 좀 생각하며, 자기 분수에 맞게 벌라는 소리다. 그렇게 간단한 해법이 어디 있을까?

 아래에 있는 WEF video는 The Global Agenda라는 주제를 가지고 세계적 기업을 대표하는 사람들의 열띤 토론을 보여주는데, 눈을 끄는 것 중에는 Facebook를 대표하는 COO(Chief Operating Officer) 여성(Cheryl Sandberg) 의 등장이다. 주식공개가 임박한 Facebook.. 어떻게 그들은 그렇게 빨리 성장을 했을까.. 기술적인 입장에서 보면 사실 Facebook같은 사업은 ‘누구라도 할 수 있는(심하게 말해서 조금 머리 좋은 고등학생도)’ 그런 사업모델이었는데, 그들에게는 어떤 ‘운’이 있었을까?

암만 요새의 ‘미친 인터넷 경제’를 고려한다 해도 나는 이렇게 거의 ‘임의적인 superstar’의 돌연한 출현은 정말 마음에 들지를 않는다. 아마도 우리세대의 prime time은 이제 멀리 지나갔는지도 모른다는 한숨이 나오기도 한다

 

지독한 부자(富者)들과 지나친 자본주의

¶  현재 진행되고 있는 11월 미국의 대통령 선거를 향한 치열한 공화당 후보들의 debate와 이틀 전부터 시작된 2012년 스위스 다보스(Davos, Switzerland)의 World Economic Forum(WEF)을 주의 깊게 지켜보면서 조금씩 복잡한 나의 심경을 정리하느라 정신이 없었다.

우선 강하게 느끼는 ‘감정’은 바로 이것이다. ‘지독한 부자’에 대한 혐오감이다. 여기서 지독한 부자는 ‘돈 장난’을 해서 ‘지독히도’ 많이 번 부자들을 말한다. 자칫하면 ‘질투’로 부터 나온 것일 수도 있지만 그렇게 간단히 말할 수 없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 정도로 그들이 ‘부럽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현재 front-runner인 Mitt Romney의 ‘거대한 재산’은 아주 눈에 가시처럼 보인다. 과연 그가 99%의 심정을 조금이라도 이해를 할 수 있을까? 본인은 분명히 머리가 좋으니까 그렇다고 생각하겠지만, 현실적으로 참 힘들 것이다.

Warren Buffet같이 부자들이 더 세금을 내야 한다고 하는 양심들도 있지만, 이들은 절대로 자기들이 ‘법적’으로 하자가 없다고 우긴다. 여기서 말하는 것은 절대로 법적인 것 만이 아니다. 인간과 사회는 법이 전부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현재 쟁점이 되는 것이 법 자체를 바꾸자는 의견이다.

그런데 이 법은 단순한 법의 차원을 넘어서, 숫제 자본주의 자체를 수정하자는 정도까지로 나갔다. 문제는, 그 것이 예전 같았으면 ‘배가 나온, 지독한 부자’ 들이 총 동원해서 반격을 할 텐데.. 이번에는 Occupy Wall Street 때문일까.. 비겁하게 눈을 깔고 관망만 하는 듯 보인다. 그래서 그런지 이번 Davos에도 그들 특히 banker, investment fund manager같은 부류들이 대거 불참을 했는데, 내 생각에 그들은 ‘무서워서’ 못 온 것 같다. 나도 그런 ‘대중’의 의견에 100% 동감이 간다. 어찌 그렇지 않겠는가?

 

¶  I TOLD YOU SO department:  이 분명한 사실이 믿기는가? 바보 같은 iPxx customers & Apple Lover 들이여, 그대들이 꾸뻑~하고 흠뻑 빠져버린 iPxx (iPod, iPad, iPhone, iWhatnext?)$Apple company에 갖다 바친 돈이 얼마나 되는가? 46 BILLIONS! 이것이 얼마나 큰 돈인지 아시는가?

거기에 비해서 지난 10년 이상 그렇게 억수로 돈을 벌던 $Microsoft조차도 년 수입이 $20 BILLIONS이고, 고철 컴퓨터의 대부, computer science를 독자적으로 창시한 IBM 조차 $25 BILLIONS에 지나지 않는다. 나에게 애플이 그렇게 억수로 돈을 번 것 자체가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고, 그들이 어떤 방식으로 벌고 있고, 그렇게 번 $$$이 어떻게 쓰이고 있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같은 것들이 어떨까가 더 회의적이고 문제라는 것이다.

그 들은 현재의 상태를 결사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특허재판 전쟁으로 엄청난 돈을 뿌리고 있다. 말도 안 되는 것들을 모조리 특허로 만들었다. $Apple company가 앞으로도 그들의 ‘대부’ S. Jobs의 그늘에서 계속 머문다면 역시 그들의 운명도 분명히 시간문제일 것이다. Jobs는 죽어가는 마당에서도 그의 국가 대통령인 Obama에게 ‘죽어도 iPxx 는 미국땅에서 만들지 않을 것(결국은 중국에서만)’ 이라고 단언을 했다는 말을 듣고 정말 그가 그런 생각으로 죽고 싶었을까 하는 측은지심을 버릴 수가 없었다. 절대적인 이익을 위해서 모든 것을 경쟁국이며 잠재적인 군사적국인 ‘공산당 중국’의 착취적인 노동력을 이용해서 사상 초유의 이익을 추구하는 Jobs 의 집단, 완전히’무엇인가에 미친 영혼’을 보는 것 같아서 긴 시간을 두고 생각하게 되었다. 비슷한 배경의 억수 부자라도 MicrosoftBill Gates는 완전히 스펙트럼의 반대쪽에서 전 세계인들의 존경을 받는다. 과연 누가 이 시대의 진정한 영웅일까?

 

Number 1 죽마고우, 유지호¶  나의 친척 같이 느껴지는 죽마고우 친구, 유지호를 생각하며 쓰기 시작한 글, 시작한지 이제 보름도 넘었다. 거의 끝났다고 생각하면 다음날 아침에 꿈결에 새로 기억이 되살아 나는 것이 있어서 보충을 하고, 다음 날 또 새로운 것이 되 살아나고.. 그런 식으로 보름이 지난 것이다. 왜 이리 기를 쓰고 있는 것 없는 것 다 기억하고 기록을 남기려 할까.. 생각해 보니 나도 조금 웃음이 난다.

혹시 내가 치매예방을 염두에 두고 두뇌운동을 하는 것일까.. 아니, 그런 생각을 해 본 적이 없다. 하기야 그렇게 두뇌 운동을 하면 조금 치매방지에 도움이 되기도 하겠지만.. 그 동안 오랜 동안 잊고 산 것이 죄스럽기도 하고, 시간이 갈 수록 기억이 새로워질 리는 만무하고, 지금이라도 기록을 어디엔가 남겨두면, 그 친구를 ‘죽기 전에’ 다시 소식을 들을 chance가 조금은 올라갈 것이라는 그저 희망에서 쓰기 시작한 것이고, 다시 들을 수 없다면 그저 그가 어디에선가 건강하게 살고 있기를 바랄 뿐이다.

 

Fast Moving January 2012

¶  와~~ 언제 18일이 되었나? 근래 나의 세월이 다람쥐 쳇바퀴 도는 듯한 느낌이 지배적이지만 그래도 가끔 뜻밖의 즐거움도 가볍게 섞일 적도 있어서 빨라지는 시간에 제동을 걸기도 한다. 이미 지나간 일월의 시간들도 그런 느낌이었다. 두 번의 가족 생일과, 우리부부의 결혼기념일까지 있고 이제는 감각이 많이 희미해졌지만 ‘구정’이란 것도 있어서 잔잔하지만 약간은 상기되는 느낌의 정월이다.

이런 가족적인 것 이외에 내가 조금 관심을 가지는 행사로 매년 일월 하순경 스위스다보스(Davos)에서 열리는 World Economic Forum (WEF)이 있다. 이 Forum의 역사가 생각보다 길지만 내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게 된 것은 불과 10여 년 전부터다. 올해도 1월 25일부터 열리는데, 올해는 과연 어떤 ‘세계적인 정치, 경제, 사회적 처방‘들이 나올지 자못 궁금하다.

아래의 streaming video는 World Economic Brainstorming: Business, Governance and Leadership – New Pressures and Realities 라는 brainstorming session인데 참가자들의 모습이 아주 다양하고 태도가 진지하다.

 

 

sopa-google
Google – Free Internet Dead!

¶  SOPA/PIPA: 읽기도 요상한 이런 이름의 ‘법안’이 지금 한창 떠들썩하다. SOPAStop Online Piracy Act의 약자로 미국 하원(House of Representatives)에서 심의 중이고, PIPAProtect IP(Internet Protocol) Act의 약자로 미국 상원(Senate)에서 심의 중인 법안이다. 그러니까.. ‘소파, 피파’ 로 불리는 이 법안은 조금은 다르지만 골자는 거의 같아서, 인터넷 상에서 저작권자를 ‘강력하게’ 법적으로 보호, 대응하겠다는 것들이다.

물론 이 법안의 의도는 이해가 가고, 필요한 것처럼 들린다. 문제는 역시 이것이다. Devil’s in the detail.. 자세히 들여다 보고, 실행하는 단계에 이르면 문제 투성이고, 심지어는 아주 위험한 ‘지나 친’ 법이라는 사실이다. 이런 법은 전체주의나, 독재국가에서는 아주 쉬울 것이지만, 미국에서는 생각처럼 쉽지 않을 듯하다.

원칙적으로도 이것이 fair하지 않은 것은 바로 이런 비유를 생각하면 쉽다. 도둑이 와서 물건을 훔쳐갔을 때, 도둑을 잡기도 전에 그것을 ‘방조한 듯이 보이는’ 주변을 먼저 처벌하려는 것이다. 그것도 엄청난 처벌로, 그 주변을 ‘일방적으로 폐쇄’ 하려는 으름장을 ‘합법적’으로 내릴 수 있다는 것이다. 내가 생각해도, 아주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를 너무나 ‘쉽게’ 풀려는 의도가 보이고, ‘물건을 쌓고 사는’ 가진 자, 부자만을 너무나 보호하려는 의심까지도 보인다. 결국은 엉뚱하게 불똥일 튄 사람들, 그것도 세력이 만만치 않은 Google같은 곳도 반기를 들고, 이제는 ‘대부분 일반인’들까지 반대를 하고 나서게 된 것이다.

요새, 가진 ‘부자들'(1%)과 못 가지 대부분 사람들(99%)이 사회적, 심지어 정치적으로 부각이 되고, 미국 대선에서도 쟁점이 될 듯한 것을 보면서 이 법안도 그런 각도에서 보면 조금 더 깊게 이해를 할 수 있다. 인터넷의 raw power를 보여주기 위해서 GoogleWikipedia는 이 법안에 대한 인상을 극적으로 보여준다.  Google은 ‘검은 사각형’을 보여주는데 아마도 인터넷의 죽음을 상징하는 ‘관’이 아닐까, 그리고 Wikipedia는 숫제 site의 service를 폐쇄해 버렸다. 조금은 극단적이지만, 그 정도로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의도일 것이다.

 

¶  올해는 작년에 비해서 현재까지 날씨가 아주 한마디로 ‘양반’이다. 그러니까 쉽게 말하면 Weather Channel이 별로 돈을 못 벌고 있다는 사실이다. 날씨에 관한 커다란 뉴스가 많아야 그들이 돈을 벌 터인데, 매일매일의 별로 특별하지 않은 일기예보 말고는 별로 그것을 볼 필요조차 없는 그런 겨울인 것이다.

겨울이 아직도 많이 남았지만 작년에 비하면 정말 조용하고, 특히 작년 이곳 아틀란타 지역의 폭설을 생각하면 지금도 조금 흥분이 될 지경인 것이다. 작년의 아틀란타 폭설은 아마도 100년에나 오는 그런 것이었고, 완전히 일주일 동안 이곳의 경제활동을 stop시킬 정도였다. 그래서 이름도 snowpocalypse (snow + Apocalypse) 나 snowmageddon (snow + Armageddon)등으로 불릴 정도다.

사실은 작년은 근래 미국 역사상 가장 많은 눈이 내렸고, 전세계적으로도 일본재해, 미국의 killer tornados등으로 일기에 관한 뉴스매체는 쉴 틈이 없을 정도였다. 문제는 최악의 경제상태로 정부레벨에서 이런 재난을 대처할 재력이 없다는 것인데, 천만 다행으로 Mother Nature가 아직까지는 잘 협조를 하고 있고, 장기적 예보에도 큰 변화가 없는 듯해서 다행이다.

 

Atlanta Snowpocalypse 2011

작년의 아틀란타 폭설은 뒤따른 강추위로 일주일간 전혀 녹지 않았다

 

 

 

GD SOB, Vista Security 2012

Vista Security 2012

The rogue malware “Vista Security 2012” looks like this

You God Damn, Son of Bitch coward, losers whom I hate most in universe, they are the people who intentionally infects people’s computer with this rogue malware called Vista Security 2012. When my daughter called home scared complaining about her infected Vista laptop, I knew it was one of those fairly easy infections. But it was wrong when I actually saw it myself. In a word, the Windows becomes virtually useless, only thing you can do was clicking OK to purchase their ‘anti-malware’ problem! Probably some eastern European mafia hired some third-rate malware writer cheap, wants free money. Knowing the infected Vista laptop is almost impossible to use for finding some help on Internet, I found how other people handle this trash, and some removal tips from my own PC. To be honest, even those sites looks like eastern European mafia showing so many misleading ads. With desperation, I actually tried following their tips, but again it looks like either long process or eventually futile attempt. Then, I came to think of it.. SYSTEM RESTORE built in feature on Vista. This, from my experience, would almost always works, nixing any worst infection by going back to previous PC snapshot mode. But again, I could not ‘execute’ the SYSTEM RESTORE on fully running Windows screen simply because the rogue malware blocks every attempt to do that. Only possible method in this case is to log into SAFE PROMPT mode (hitting F8 key while boot). When you’re on DOS PROMPT screen, run the system restore program by typing “RSTRUI.EXE” (without quotation marks). Then the PC may look ‘dead’ but after some time, it will run the SYSTEM RESTORE. This is what I did, still believe the best, cleanest, and easiest method.

 

 

What’s wrong with the newly released PIAF2 with CentOS6.2?

Nerd Vittle's PIAF2 on CentOS6.2

Nerd Vittle’s PIAF2 on CentOS6.2

Question: Am I the only one in the world whose installation of newly released PIAF2 (PBX-in-a- Flash 2)on PVE (Proxmox virtual machines) miserably keeps failing?

This feels so strange because I can not remember if it ever failed to install before. The problem is that after the first phase of installation, it just goes the infamous #bash prompt meaning the following phases simply refuse to begin. I first suspected the problem with network connection (ethernet, IP etc), but when I do ‘ifconfig’, it correctly displays dhcp‘ed IP address and ethernet connection information. I have repeated this process at least 4 times before declaring something is gravely wrong with this latest release. It looks to me not even ready for the usual internal alpha-release stage, how they dared?

 


HAPPY NOTE: I’m sorry, PIAF2! Again, it’s not your fault but my own ‘not-so-perfect’ installation setup. I, somehow, suspected this for some time, but not was so sure. As it turns out, my network’s dhcp server didn’t provide DNS server info correctly, rather it did not supply one! Later PIAF2 installation scripts also was at fault in that it simply gave up trying to connect PIAF server too early without giving any hints what’s wrong! Just one lousy error message would have saved a lot of my wasted time. After I replaced current dhcp server (which is a simple DSL router) with a dedicated DD-WRT router which has more robust dhcp server in it. Now, this latest, greatest release installed without any glitch, I am now eager to find out what’s in there.

 

 

Yourduino becomes Notmyduino

This is one good example of how a nice-sounding family-friend run small business on Internet. The business is has no physical store as I know, but very good web-based store along with sweet-looking background friend-family story. They apparently are electronic enthusiasts at least if not full engineers selling mostly Arduino related small electronics parts to Arduino community. So far so good.

 After long hiatus from exciting electronics building days, I decided to start with this wonderful, inexpensive Arduino open-source micro-controller boards. First, I got introduced to MakerShed and SparkFun which sells good-quality Arduino parts, and bought some basic components like Arduino board, ZigBee radios from them. Their prices were very reasonable if not expensive.

 Then comes yourduino.com.. My impression was like: good international friends turn their passion of Arduino into good global-reaching business taking advantages of ‘dirt-cheap Chinese labor’. Well, looks good and sounds good until I found out otherwise. What I have not realized that the proprietors have near-zero control over their own stock, fulfillment process, record-keeping etc.. In short, they have no idea what they have shipped for my order! This is exactly “you get what you have paid for” situation. In conclusion, I have no intention to have another business with this virtual shop in future.

 

아이 트리플 이, 스펙트럼

¶  아이-트리플-이 스펙트럼.. 이것은 IEEE Spectrum의 한글 표기이다. 여기의 IEEE는 미국에 본부를 둔 (대부분이 그러하듯이) ‘전기,전자공학도 학회를 뜻하는,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의 약자이고 읽을 때는 대부분이 I triple-Eee로 말한다. 이곳에는 아주 많은 세분된 학회들이 모여있는데, 물론 전기,전자공학에 관련된 것 들이다. 이 학회의 ‘간판’ 격 회지의 이름이 바로 Spectrum magazine이다.

이 학회에 가입을 하면 (년 회비를 내면), 이 ‘잡지’는 무조건 받게 되고 분과 학회에 가입된 곳의 회보(주로 논문집)를 따로 받는다. 나는 이곳에서 학교에 다닐 때 거의 ‘자동적’으로 학생회원으로 가입을 했다가 졸업을 하면서 일반회원으로 남게 되었는데, 거의 10+년 전부터 이곳에서 나오게 되었다. 상당히 비싼 연회비로 그렇고, 내가 직장에서 하는 일 (embedded systems)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이 그리 많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이곳에서 나오게 되면서 그리 아쉬운 것을 못 느꼈지만, 단 한가지.. 이 간판 격 월간지 Spectrum magazine만은 조금 아쉽게 느껴졌다. 이 월보는 상당히 그때그때의 인기를 끄는 기사들을 아주 ‘쉽게’ (일부러 ‘수학’ 공식을 피한 듯한) 계제하곤 해서 ‘누워서 편하게’ 읽을 수 있을 정도였다. 오랜 세월을 잊고 살다가, 며칠 전 정말 우연히 이곳을 website에서 보게 되었고, 정말 고향을 찾은 기분을 만끽하게 된 것이다.

다행인 것은 다시 회원으로 가입을 하지 않고, 아주 질 높은 technology, 특히 consumer electronics에 관련된 기사를 보게 된 것이다. 언제까지 이곳이 ‘무료’일지는 모르겠지만 (New York Times처럼), Google처럼 우리 같은 99%를 조금 더 생각해 주는 그런 ‘자선’적인 자세로 일관하지 않을까.. 희망해 본다.

ieee-spectrum

IEEE Spectrum mag site

¶  20년 전통의 Nativity scene:  우리가 사는 subdivision에 이사온 지도 내년 3월이면 벌써 20년이 되어간다. 이곳에서 우리 아이들도 거의 다 자란 셈이고 우리도 늙은 청춘을 다 보낸 느낌이다. 별로 크지 않은 곳이라 사실 어떤 사람들이 사는지 대개 알 정도가 되었고, 우리는 이제 ‘고참’ 축에 속하는 집이 되었다.

이곳에서 크리스마스를 지낸 지도 그렇게 오래되었는데, 그때마다 20년 동안 변함없이 앞 뜰에다가 아기예수님 태어나신 모습으로 장식을 한 집이 있었다. 물론 독실한 크리스천 일 것이고, 걷다가 인사도 자주하는데, 내가 놀라는 것은 어쩌면 20년을 한해도 거르지 않고 ‘똑같은’ 장식을 똑같이 그렇게 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이다. 아마도 이것이 없어지는 날은 우리 동네의 큰 뉴스거리가 될 것이다.

20 years of Nativity

20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예수탄생 전시

 

¶  Wordle: 워들?  아마도 word riddle을 줄인 말이 아닐까? 이 site에 가보면 금방 알 수 있겠지만, 이것은 blog site에서 많이 쓰이는 에 많이 쓰이는 computer software인데, 쓰이는 빈도에 비례해서 글자, 단어를 여러 가지 모양으로 보여준다. 이것을 보면 어떤 단어가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지 한눈에 들어오는데, 문제는 아직까지 한글을 모른다는 사실이다.

이 프로그램을 만든 사람은 IBM에 근무를 하며, 여가시간에 이것을 만든 모양인데, 아깝게도 이것은 open source  software가 아니고 IBM에 그 copyright가 있어서, 한글용으로 바꾸거나, 한글 기능을 첨가하는 것이 쉽지 않을 듯하다.

My current interests in Wordle

My current interests in Wordle

 

Sunday before Thanksgiving

¶  와~~ 벌써 11월 20일 일요일.. 2011년 추수감사절이 4일 밖에 남지 않고, 가톨릭 달력으로는 2011년의 마지막 일요일이기도 하다. 그러니까 다음 주 일요일부터 새 전례력이 시작 되고, 성탄까지는 대림절 (Advent)의 4주가 또한 시작되는 등, 세속적인 제일 큰 두 명절(추수감사절, 성탄절)로 겹쳐서 조금은 휴일 스트레스가 쌓이기 시작하는 때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제는 그런 쓸데없는 스트레스를 감당하는 지혜도 함께 쌓여서 조금은 나은 편이다. 각종 휴일의 유래와 전통, 목적, 뜻을 음미하면 훨씬 도움이 된다. 비 직계가족 식구가 아무도 없는 우리 집은 이럴 때 잘못하면 외로움을 느끼기도 하지만, 그래도 모이면 네 명은 되지 않는가? 혼자서 휴일의 외로움을 달래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가를 생각하면서 위로를 한다.  

 

Archbishop Emeritus John Francis Donoghue
아틀란타 전 대주교님 John Francis Donoghue

¶  지난 11월 11일 (이곳은 Veteran’s Day, 유럽에서는 Armistice Day?), 전 아틀란타 대교구의 John Francis Donoghue 대주교님께서 향년 83세로 선종하셨다. 그 동안 별로 주교님의 건강에 대한 뉴스가 없어서, 이런 갑작스러운 뉴스에 놀라게 되었다. 특히 나는 이 뉴스를 4일이나 지난 11월 15일 레지오 회합에서 듣게 되어서 아주 부끄럽기까지 했다.

한 지역소속 종교지도자의 선종은 사실 큰 뉴스는 아닐지라도 내가 어떻게 4일씩이나 늦게 알게 되었을까? Local TV뉴스를 자주 보면 아마도 알았을 것이지만 제일 큰 이유는 11월 13일의 주일 미사를 못 간 것이 치명적인 원인이 되었다. 신자들 대부분은 그 때 알게 되었을 것이다. 이 도노휴(도나휴, Donahue와 스펠링이 조금 다른 common Irish name) 대 주교님은 1993년에 아틀란타 대주교가 되시어 2004년 12월에 은퇴하실 때까지 참 많은 일을 하셨다. 그 전 오랫동안 침체 속에 있던 이 아틀란타 대교구를 눈부시게 활성화 시키신 것이다.

미국에서 제일 큰 <아틀란타 성체대회, Eucharistic Congress>를 크고, 단단히 성장시키고, 대교구에 <성체조배, Eucharistic Adoration> 신심행사를 강력히 권고하셔서 우리 ‘미국성당’ 에도 계속되고 있다. 전형적인 ‘사제 같은 인자한 품성’을 보이시고, 대교구내 수많은 크고 작은 본당의 견진성사를 주관하셔서 우리 아이들도 가까이서 뵙고, 사진도 찍기도 해서 대주교라는 직함에 어울리지 않게 친근한 할아버지 같은 추억을 갖게 되었다. 은퇴 후에는 ‘명예’ 대주교라는 직함으로 사실 전과 같은 정열로 그 모습을 보이셔서, 이번의 ‘뜻밖의’ 선종은 너무나 아쉽고, 슬프기만 하다. RIP, Rest In Peace.. Archbishop John Francis Donoghue..

 

¶  YouTube에 조금씩 나의 조잡한 video를 올리면서, 조금씩 이곳을 더 자세히 보게 되고, 가끔은 그 동안 못 찾던 것을 찾게 되기도 하는데.. 이번이 바로 그런 때가 되었다. 작년에 나의 중앙고교 3학년을 추억하는 블로그를 쓸 때, 이 추억의 노래를 찾고 찾았지만 소용이 없었는데, 이번에 찾은 것이다. 아마도 그 동안 어떤 분이 만들어 올려놓았던 것 같다. 그것을 찾을 당시, 노래의 제목을 잊은 상태여서 더 찾지 못했을까?

 

행복의 샘터 , 박재란 이양일 1965년

 

알고 보니.. 그것은 <박재란, 이양일> 두 분의 <행복의 샘터> 였다. 이제 생각을 하니 제목이 어렴풋이 기억이 되는 것 같았다. 이것은 1965년 초에 나온 거의 ‘가곡 풍’의 유행가였다. 한참 유행하던 시절이 바로 내가 중앙고 3학년 초였던 것이고, 그 때부터 고3 하면 두 분이 연관이 되어 기억이 된 것이다. 그러다가 정말로 46년 만에 다시 듣게 되었다. 그 당시 최고의 인기가수 박재란씨와 이양일씨는 그 동안 어떻게 살아 오셨는지..

 

Draganflyer X8
카메라가 달린 Draganflyer X8

  DraganFly?  <dragonfly, 잠자리> 의 misspelling일까? 내가 만일 내일 아침을 못 보는 신세가 된다면, 이것도 중의 하나가 아니었을까? 그러니까, 인터넷 파급효과의 하나를 건진 것이다. 거의 10년이 넘는 역사의 이 흥미로운 UAV (Unmanned Aerial Vehicle) technology를 그 동안 나는 모르고 살았던 것이다.

한 마디로 이름에서 연상이 되고, 어렸을 때 꿈도 많이 꾸었던, ‘잠자리 비행기’와 비슷한 이것의 특징은 회전날개가 1개나 2개인 기존의 헬리콥터와 달리 최소한 4개의 회전날개를 가지고 remote control로 조종이 되는 ‘취미용 비행기’인 것이다. 장난감 헬리콥터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것은 취미의 수준과 ‘상업용’ 수준의 구분이 잘 안 될 정도로 ‘심각한 기술’이라는 점이다.

Canada에 본사를 둔 이 DraganFly Innovation이라는 회사는 Zenon & Christine Dragan이라는 발명가에 의해서 무선조종 풍선, 비행접시 등의 취미로 시작을 해서 근래에는 완전히 심각한 상업용 UAV technology회사로 성장을 해서 지금은 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곳의 demo video를 보면 따로 이것의 잠재성에 대해서 긴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정부의 차원에서 쓰는 UAV는 크고, 비싼 것들이지만 이것들은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저렴한 것들이다. 현재는 주로 공중 비디오 촬영으로 쓰이고 있지만 이것의 쓰임은 상상력에 달렸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깊어가는 가을에..

30년이 넘는 빛나는 역사를 자랑하며 우리를 즐겁게 해 주었고, 집안 가족들에게 진정한 안방극장의 역할을 다 했던 비디오 테이프(‘테입’ 이 더 맞을 듯 한데, 아마도 표준용어는 역시 ‘테이프’ 인 모양), VHS video tape들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몇 주 전에 우연히 VHS cassette에 있는 오래 전의 영화를 보려고 하다가 VCR(video cassette recorder, 일본에선 VTR: video tape recorder라고 함) 이 ‘고장’ 난 것을 발견하고, ‘망연자실’을 한 적이 있었다. 그리고 갑자기, 이렇게 많이 쌓여있는 ‘옛날’ 비디오 영화들을 어떻게 할 것인가 생각하게 되었다.

5년 전쯤에 우리가 찍었던 가족 비디오들은 일단 모조리 computer로 복사를 해 두었지만 돈을 주고 산 영화 비디오들은 너무 많아서 엄두를 못 내고 그대로 두었고, 최악의 경우에 그런 것들은 나중에 DVD로 다시 나올 것이니까, 가족 비디오처럼 중요한 것이 아니라서 잊고 살았던 것이다. 물론 그것은 VCR이 ‘건재’ 하다는 전제하에서의 이야기였는데, 이제는 손쉽게 테이프에 있는 영화 비디오 조차 못 보게 된 것이다. 결론은 분명히: 이번에 무언가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VCR+DVD player combo
VCR+DVD player combo

최우선의 과제는, 오랜 동안 모았던 주옥 같은 영화 비디오를 가족이 모일 때, TV로 쉽게 볼 수 있어야 하므로, VCR을 사야 하는 일이고, 다음은 언젠가는 ‘없어지거나, 상태가 나빠져 못 볼’ 이 많은 영화 비디오를 ‘가족 비디오처럼’ computer로 옮겨야 하는 일이었다. 컴퓨터로 일단 digitize가 되면, 수명은 거의 반 영구적이 될 것이고, 여기저기서 computer로 볼 수가 있게 되니까, 조금 지루한 일이지만 효과는 몇 배로 나올 것이다. 그래서 곧바로 VCR 을 사려고 보니까, 요새는 VCRDVD player가 함께 붙어서 나오고, 값도 $70 정도여서, 참 세월의 흐름을 느끼게 했다. 그 옛날 VCR이 처음 나올 당시.. 처음에는 천불이 넘었었던 것을 기억하니까.. 이렇게 해서 VHS tape을 computer(digital) movie file (WMV, Vidx/Xvid/AVI format)로 하나 둘씩 옮기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장난이 아니게 많아서, 언제 끝나게 될지 한심하다. 하지만 정말 오랜만에 다시 보는 영화들을 다시 볼 수 있어서 조금은 덜 지루할지도 모른다. 예를 들면 벌써 Carroll BakerRoger Moore의 명화 The Miracle(기적), Tom HanksApollo 13, Jennifer JonesThe Song of Bernadette (루르드 성모님 이야기) 등등을 다시 보게 되었다. 이것들의 대부분은 1990년대에 우리 집 식구들이 즐겨 본 것들이라 그 당시의 추억도 함께 떠오른다. 근래에 HD(high definition) TV에 익숙해지고 있는 마당에 VHS의 ‘조잡한’ SD (standard, low) definition을 보니까 어떻게 옛날에 저런 것을 보며 살았나 하는 생각도 들지만, 사실은 그런 ‘조잡’한 맛이 은근한 맛도 있고, 감정적으로도 부드럽고, 따뜻하게 느껴지니, 나도 참 오래 살았나 보다.

 

10 years with YMCA.. 허.. 언제 이렇게 되었나? YMCA의 gym에서 운동을 한 것이 10년이 넘었다. 우리 가족은 1990년대에 다같이 이곳에서 ‘거의’ 정기적으로 운동, 수영을 했지만, 나는 2011년 9월 이전까지는 아주 가끔 갔었다. family plan으로 멤버가 되면 조금 싼 이유도 있었지만, 정기적 육체적인 운동의 필요성을 누가 모를까, 집에서 비교적 가까운 곳에 연숙이 거의 강제로 가게 만들어 놓은 것이 이제 10년이 훨씬 넘게 된 것이다. 요새는 우리 부부만 일주일에 3일 정도를 목표로 하고 다니는데, 이제는 습관이 되어서 안 가게 되면 더 신경이 쓰일 정도가 되었다. 생각한다. 지난 10년 동안, 이것마저 없었다면 어땠을까? 생애를 통해 지난 10년은 사실 내가 감당하기 힘들었던 십 년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아마도 아마도 이 YMCA는 내가 ‘살아’ 남는데 큰 한 몫을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듯하다.

East Cobb YMCA
East Cobb YMCA

처음에는 주로 아침에 갔고, 그때면 주변에 사는 한인들과도 어울리며 커피나 얘기도 나누기도 했는데, 그때 알던 부부가 거의 연달아서 암으로 세상을 떠나기도 해서 참 가슴이 아프기도 했다. 그때 느낀 것 중에 하나가, 운동을 하고, 겉으로 건장하게 보여도 그것과 ‘수명적인 건강’과는 크게 상관이 없다는 사실이었다. 오랜 옛날 미국에 오기 전에 서울 종로에 있던 종로서적센터 뒤에 있던 그 당시에는 최신식인 health center에 몇 개월 다니면서 ‘빈약한’ 근육을 바꾸려고 노력을 한 적이 있었고, 친구 이경증과 같이 서울 운동장에 있었던 체육관에도 가본 적이 있어서, 이곳에 있는 weight training 은 그다지 생소한 것이 아니었고, bench press에서 나의 체중(145파운드) 무게로 10 reps까지 하게 되었지만, 요새는 근육의 모양새보다는 근육의 목적에 더 신경을 쓴다. 예를 들면 무거운 것을 옮긴다던가 할 때 큰 문제없이 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고, 다음은 역시 근육의 빠른 노화를 완화시키는 것인데 사실인 이것이 더 중요할 것이다. 요새는 근육운동보다 걷는 것, bike등으로 하체에 더 신경을 쓰는데, 이유는 간단하다. 더 나이가 들어서 ‘넘어지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YMCA gym에 갈 때마다 그 옛날 나에게 ‘역기운동’의 기초를 가르쳐주던 친구 이경증을 생각하곤 한다.

 

며칠 후의 일기예보는 드디어 올해 처음 아틀란타 메트로 지역에 빙점(화씨 32도, 섭씨 0도)의 가능성을 예고해서, 본격적인 가을의 중반을 향하는 느낌이다. 2주 뒤에는 크리스마스에 다음의 미국 최대 명절인 Thanksgiving Day (추수감사절)이고, 사실상 그때부터 크리스마스 season이 시작이 된다. 올해는 조금 ‘극단적인’ 기후였는지는 몰라도 단풍을 보니 역시 피곤한 빛이 역력하였다. 빛깔이 그렇게 곱지를 않은 것이다. 동네를 걷다 보면 이 근처에서 제일 빛이 찬란한 나무가 하나 있는데, 나는 그것으로 올해의 단풍의 질을 판단하게 되었다. 역시 작년에 비해서 조금은 초라한데, 색깔자체는 크게 차이가 없지만 잎사귀들이 건강하게 변하지를 않았고 심지어는 한쪽이 대머리처럼 듬성듬성 빠져 보여서 조금은 가엽게 느껴지기도 했다. 자연도 기후의 스트레스를 왜 받지 않았겠는가? 우리 집 앞쪽에 있는 나무들도 역시 색깔들이 바랜 것하고 떨어지는 모양새가 예년에 비해서 아주 비정상적으로 불규칙한 모습들이다. 확실히 ‘심한’ 기후에 의한 피곤한 자연의 표현이다. 이러다가 바람이 부는 을씨년스런 날이라도 오게 되면 아마도 하루 아침에 앙상한 가지만 남게 되지나 않을까? 작년의 폭설을 기억하면서 올해는 과연 어떨지 궁금하기도 하다.

 

Fall Colors, 2011

기후 탓으로 예년만 못한 Fall colors, 2011

 

200번째 블로그를 맞으며..

200번째 블로그, 지금 쓰고 있는 blog이 200번째 post가 되었다. 작년 말쯤에 100번째를 지났는데 일년이 되기 전에 다시 다음의 이백이란 숫자를 지나게 되는 것이다. 처음에 이것을 시작할 무렵에는 일주일은커녕 한 달에 한번 쓰기도 힘들었다. 거의 수십 년 동안 쉬어온 ‘한글쓰기’가 그렇게 쉬울 리가 없다. 특히 인터넷 출현 전에는 한글로 쓴 글을 보는 것도 쉽지 않았다. 가끔 보는 신문이 전부랄까..그런 식으로 생각하면 인터넷의 출현이 나에게는 그렇게 늦은 것은 아니다. 다시 한글을 볼 수 있게 되었고, 이제는 쓰게도 되었으니까. 사실 이 blog으로 나는 다시금 한글을 배우고 있는 셈이다. 정말 많은 ‘섬세하고, 아름다운’ 수식어들을 잊어 버렸다. 어쩔 수가 없다. 그런 것은 문화적이기 때문에 한글의 중심지에서 살지 않으면 아무리 잘 쓰려고 해도 어색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100% 영어권 직장생활을 오래 한 여파로 솔직히 영어를 쓰는 것이 편하고 쉬울 때가 참 많았다. 그런 배경에서 다시 한글과 한국말을 쓰려는 것은 생각보다 간단치 않아서 나도 적지 않게 놀랐다. 세월의 횡포여.. 솔직히 말해서 우리가 쓰는 한국말은 아무래도 너무나 직선적이고 직설적이다. 그러니 그것을 한글로 쓰게 되면 정말 다시 읽기도 싫을 정도로 메마른 느낌인 것이다. 나의 blog은 그런 배경에서 쓰여진 것이지만, 나로써는 정말 기를 쓰고 최선을 다한 것이다. 다음의 단계인 300번째 쯤 되면 조금은 더 ‘세련’된 문장이 되지 않을까..하는 희망을 해본다.

 

Hillary Clinton on TIME
Hillary Clinton on TIME cover

힐러리 클린턴, 이번 주 타임 매거진의 표지 기사가 힐러리 클린턴에 관한 것이다. 아마도 이번에 리비아의 내전이 카다피의 피살로 끝나게 되면서 미국이 취한 신중한 개입의 성공이 힐러리 클린턴의 ‘빛나는’ 외교에 의한 것으로 보는 듯하다. 이번 리비아의 쾌거는 사실 유럽연합(EU), NATO와 미국의 신중하지만 무서운 파괴력을 가진 개입의 성과인 것이 분명했다. 그러니까 지상군이 전혀 개입을 하지 않고 ‘기술적’인 지원으로 일관을 한 것이고 그것이 완전히 성공을 했다. 어떻게 힐러리는 어려울 수도 있는 이런 공동전선을 구축했을까? 첨단기술을 완전히 이해를 하는 대표적인 신여성인 그녀는 그런 능력이 충분히 있다고 보는 것이다. 여기서 첨단기술이란 대부분 social networking tools들, 대표적인 것이 twitter, facebook같은 것 들이다. 어떻게 보면 별것 아닌 듯 하지만, ‘고리 타분할’ 수도 있는 덩치 큰 국무성의 최고 관리가 그런 것을 자유자재로 쓴다는 것은 별것이 아닌 것이 아니다. 더 나아가서 해외의 모든 미국대사관들에게 그런 social networking tools을 적극적으로 쓰게 했다는 것은 사실 놀라운 성과일 것이다. 예를 들어 국무성에는 현재 192 Twitter feeds, 288 Facebookaccounts가 쉴새 없이 쓰이고 있다는 것인데, 옛날 생각에 ‘늙게만’ 보이던 ‘할아버지’ 국무장관들이 그런 것들을 쓴다는 것은 상상도 못할 일이다. 나와 나이가 거의 비슷해서 항상 관심 있게 주시하고 있는 그녀, 참 매력적일 수도 있다. 이렇게 ‘머리 좋은 여자’ 힐러리, 과연 그녀는 장차 대통령이 되려는 생각을 어떻게 머리 속으로 조정하고 있을까 궁금하다.

 

Dennis Ritchie, 1999
Dennis Ritchie, 1999

지난 10월에 C Programming Language의 ‘창시자’ 인 Dennis Ritchie가 타계를 하였다. 그리고 그는 computer operating system의 할아버지 격인 Unix를 Ken Thompson과 같이 ‘발명’을 한 장본인 이기도 하다. 그것들이 만들어질 당시는 personal computer란 것은 아예 이름조차 없었고 대부분 IBM mainframe아니면 PDP minicomputer가 전부였던 호랑이 담배 먹던 시절이었다. 나도 그 시대를 모두 거치며 컴퓨터를 배워서 그들을 생생히 기억한다. FortranCobol, Assembler 등이 programmer들의 전부였던 그 시절에 ‘대담하게도’ 거의 혼자서 C language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후에 완전히 컴퓨터의 ‘표준 언어’가 될 줄은 그들은 상상을 못했을 것이다. 나는 software engineer로 일 하던 내내 이것 한 가지로 ‘밥을’ 먹은 셈이 되었다. 거의 만능적인 ‘간결함’과 ‘적응성’을 가진 언어여서 business application서 부터 embedded system에 이르기까지 이것이 안 쓰인 곳이 거의 없었다. 그뿐이랴.. Unix는 어떠한가? 이것은 C language보다 더 큰 파급효과를 남겼다. 지금의 Linux완전히 이것을 ‘베낀’ 것이고, Apple/Mac/OS도 이것을 조금 바꾼 것이다. 심지어 Microsoft쪽의 MS-DOS, Windows 같은 것도 기본적인 idea는 모두 이곳에서 나왔다. 이렇게 보면 이것을 ‘만든’ Dennis Ritchie의 업적을 조금 이해할 수 있다. 그래서 올해의 Japan Award를 받아서 뒤 늦게 그들을 인정했지만, 아깝게도 ‘겨우’ 70세에 타계를 한 것이다. 내가 존경할 만한 한 computer pioneer가 사라진 것이다.

 

지난 주말에 보스턴에서 열렸던 이화여대 북미주 총동창회, 연숙이 그곳에 다녀와서 날씨와 연관된 일화를 듣게 되었다. 거의 기록적인 10월의 폭설로 인해서 동창회가 열렸던 호텔이 정전이 되었다고 한다. 그것도 동창회의 주 행사가 시작될 무렵에 정전이 되어서 끝날 무렵에 다시 복구가 되었다니.. 조금 타이밍이 기묘하지 않았을까? 완전히 비상등만 켜진 상태에서 그 커다란 행사를 한다고 상상을 해 보라.. 특히 식사준비도 완전히 혼란에 빠져서 많은 참가자는 main dish를 못 먹었다고 한다. 하기야 어찌하랴.. 이것은 완전히 Mother Nature의 자연적인 act of God인데.. 그런데, 결과적으로는 너무나 추억에 남는 행사가 되었다고.. 한 사람도 빠짐이 없이 ‘즐기고’, 사회를 보는 동창은 너무나 감정과 감격에 겨워서 ‘울었다’ 고.. 내가 들어도 가슴이 뭉클하였다. 특히 연숙은 너무나 오랜만에 총장 친구, 김선욱씨와 해후를 해서 사적인 시간을 즐겼다고 해서 나도 기분이 흐뭇했다.

 

윤태석, 박종원 그리고 비행기

윤태석,  중앙고 57회 앨범에서 1966
윤태석, 중앙고 57회 앨범에서 1966

윤태석, 박종원, 그리고 비행기.. 이들은 오래 전 한때 나의 친구들이었다. 처음 만난 친구가 윤태석.. 중앙중학교 3학년 때, 그러니까 1962년이었다. 교실에서 윤태석은 나의 바로 뒤에 그의 짝꿍 정만준과 나란히 앉아있었다. 그때 윤태석은 이미 우주과학과 비행기 광이었다. 그 나이에 그런 것들에 흥미가 없는 아이들이 얼마나 될까.. 하지만 그것들을 알고, 좋아하는 정도가 완전히 프로 급이었다.

 윤태석과 박종원은 그 당시 이미 서로 친한 친구로써 모형 비행기를 같이 날리고 있었지만 내가 윤태석을 통해서 박종원과 만나게 된 것은 대학 1학년에 된 후였다. 윤태석은 중학교 3학년 때, 이미 비행기와 더불어 우주과학에도 심취해 있었는데, 어디서 구해 왔는지 부지런히 총천연색으로 인쇄된 미국 우주개발에 대한 화보들을 교실의 뒤에다 붙여놓곤 했다. 그 당시 반 친구들, 좋건 싫건 간에 그런 사진들을 보면서 소련과 미국의 우주경쟁 현장을 생생하게 목격할 수 있었다. 요새 같으면 물론 칼라 텔레비전 현장 중계로 보겠지만 그 당시는 사실 흑백 텔레비전도 흔치 않던 시절이었다.

1961년 4월 12일, 소련(Soviet Union)은 1957년 10월 사상 최초의 인공위성 스프트닉(Sputnik)에 이어서 역시 사상 최초로 cosmonaut 유리 가가린 (Yuri Gagarin)의 지구궤도 완전 우주비행을 성공시켰다. 미국이 또 한발 늦은 것이다. 한 달 후에 미국도 알란 쉐퍼드, astronaut Alan Shepard의 우주비행에 성공을 했지만 그것은 완전 지구궤도비행이 아니고 비교적 짧았던 15분 정도의 우주비행이었다. 그러다가 1962년 2월 드디어 미국도 존 글렌, astronaut John Glenn Jr.를 space capsule 우정7호Friendship 7에 태우고 거의 5시간 동안 지구를 3번 선회하는 기록을 세웠다. 이때가 바로 미국의 첫 번째 NASA space program인 머큐리 프로젝트Mercury Project가 진행되던 정말 손에 땀을 쥐게 하던 때였다.

John Glenn Jr. on Friendship-7, 1962
John Glenn Jr. on Friendship-7, 1962

이 당시에 윤태석을 알게 되어서 미국과 소련의 우주경쟁을 생생한 화보로 목격을 할 수 있었고, 또한 모형비행기에 대해서도 그에게 많은 것을 듣고 배우게 되었다. 그 당시 모형비행기라면 조잡한 수준으로 대나무와 습자지 같은 종이, 고무줄로 프로펠러를 돌리거나, 글라이더로 날리던 그런 시절이었다. 가끔 만들어 보고 날리기도 했지만 무언가 잘 되질 않았다. 재료가 형편이 없던 시절이어서 더욱 그랬을 것이다. 가끔 학생을 중심으로 모형비행기대회가 열리곤 했지만 나는 꿈도 못 꾸었는데 윤태석은 박종원이란 자기 친구와 같이 참가하곤 했다고 들었다.

 그때 윤태석이 학교로 가지고 와서 보여준 잡지는 미국의 Model Airplane News 였고, 그것을 보고 나는 깜짝 놀랐다. 이제까지 우리들이 만들던 모형비행기와는 근본적으로 ‘차원’이 달랐기 때문이다. 대나무와 습자지, 창호지로 만들던 것은 전혀 없었고, ‘진짜’ 비행기와 똑같은 것들, 게다가 고무줄 동력이 아니고 조그마한 엔진을 가지고 있었다. 그야말로 진짜 비행기를 그대로 축소한 것이었다. 그것을 보고 흥분한 것은 잠깐이고, 현실로 돌아와서, 우리들이 그런 것들을 만들거나 가질 수 없다는 것은 물론이고 볼 수도 없다는 것을 알았다. 다만 미국에서는 그런 것들이 가능하다는 ‘미국 환상’만 심어준 계기가 되었다.

고등학교로 올라가면서 윤태석과 헤어지게 되었다. 중앙고교 3년 동안 한번도 같은 반을 하지 않았다. 비행기에 대해서도 거의 잊게 되었다. 고등학교 때는 비행기 대신에 망원경과 전파과학에 심취하게 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다가 대학교에 가면서 윤태석을 다시 만나게 되었다. 나는 연세대 전기과엘 갔고, 태석이는 고대 물리학과에 갔는데, 어떻게 연락이 되어서 만나게 되었는지 그 기억이 가물거린다. 그런 어느 날 태석이가 박종원과 함께 우리 집엘 놀러 와서, 말로만 들었던 박종원을 처음으로 만나게 되었다. 그도 나와 함께 중앙 중 고교 6년을 다녔지만, 한번도 같은 반을 해 본적이 없어서 사실상 얼굴을 모를 정도였다. 하지만 그것은 별로 큰 상관이 없이 우리들은 같은 취미를 가진 동창생으로 다시 만나서 비행기 이야기로 얘기꽃을 피웠다.

gas engine powered model airplane, Angst, 1966
나의 ” engine, Enya 019″ line-controlled 모형비행기, Angst, 1966

 알고 보니 태석이보다 박종원이 이쪽 계통은 더 프로였다. 청파동에 있던 그의 집에 가보니 진짜 미국 잡지에서 보던 엔진이 달린 비행기들이 있었다. 엔진도 꽤 많이 가지고, 숫제 조그만 machine shop까지 가지고 있었다. 그의 집은 2층 양옥으로 상당한 고급주택이었는데, 그의 아버지가 어떤 사립학교 재단의 이사장이라고 했다. 그날부터 나는 그 집을 수시로 드나들며 ‘진짜’ 모형비행기 만드는 데 시간을 쏟았는데, 결과적으로 이렇게 쓰인 시간 때문에 대학의 강의를 듣는데 상당히 stress를 주어서 성적을 유지하느라 상당히 고생을 하기도 했다.

그것이 1966년 봄이었다. 그 봄을 나는 온통 엔진 비행기 만드는 것, 날리는 것으로 세월을 보냈다. 그런 것들에 필요한 재료들은 거의 전부가 미8군을 통해서 나오는 것들이라 상당히 비싼 편이었다. 그런 것을 취급하는 유일한 곳은 ‘스카라 극장’앞, 퇴계로 근처에 있었던 ‘합동과학교재사‘ 라는 곳이었는데, 그곳에도 사실 종류가 그렇게 많지 않았다. 비행기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실은 그것을 날린 장소가 더 중요했다. 어느 곳이고 사람들이 득실거리는 서울에서는 거의 불가능했기 때문이었다. 그런대로 학교 운동장은 예외였지만 대부분 출입이 제한 되어있어서 쉽지 않았다. 그래서 가는 곳이 교외선을 타고 가는 화전비행장이었다. 말이 비행장이지 제일 작은 신문사에서 쓰는 경비행기들이 활주하는 커다란 풀밭이었다. 그러니까 아주 한가한 곳이고 넓은 평지가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곳은 교통편이 불편했는데, 그 복잡한 교외선 열차에 비행기를 들고 타야 하기 때문이었다.

대방동 공군사관학교에서 열린 모형비행기 대회, 1966
대방동 공군사관학교에서 열린 모형비행기 대회, line-control 비행기가 나르고 있다.1966

한번은, 졸업 후에 처음으로 중앙고교 뒷산까지 비행기를 들고 가서 날렸는데, 나의 실수로 비행기가 완전히 박살이 나기도 했다. 그때 비행기 조종은 거의 U-reely 이라는 것을 비행기 날개에 연결해서 빙빙 돌게 만들고 그것으로 뒷날개의 elevator로 하는 것이었다. 그것이 별로 비용이 들지 않았기 때문인데 사실 진짜 프로들은 radio control로 조종을 했다. 그 당시만 해도 radio control의 값이 너무나 비싸서 머리만 굴리다가 못하고 말았다. 무선 조종 비행기의 시범을 한번 보았는데, 나는 완전히 넋이 나갈 정도로 감명을 받았다. 그것은 공군사관학교 교정에서 열린 ‘한국 모형비행기 대회’ 란 것이 박종원과 참가를 했다가 본 것이다. 학생도 많았지만, 직장인, 미군들이 대거 참가를 한 아마도 제일 큰 대회였을 것이다. 기어코 무선조종을 해 보려고 했지만 아무래도 기재를 구하는 것이 장난이 아니었다. 그러면서 능력의 한계를 느끼게 되고, 조금씩 ‘꿈’에서 깨어나게 되면서 서서히 열기가 식어가게 되었다. 그렇게 다시 만났던 윤태석과 박종원과도 헤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1972년 경에 마지막으로 윤태석을 그의 짝꿍이었던 정만준과 같이 한번 만났고, 그것이 그들과의 마지막이었다. 세월의 수레바퀴가 구른 한참 뒤에 윤태석과 중앙고 동창회의 인터넷을 통해서 연락이 되었는데, 그는 경인에너지에서 오래 근무를 했고, 학교 선생님인 부인과 결혼을 했다고.. 현재는 비행기 대신에 망원경에 더 관심을 쏟는 모양이었다. 한때 개인 천문대를 만들 계획을 다 세웠다고 들었다.

미국에서는 모형비행기는 상당히 프로 급의 취미에 속하고 역사도 amateur radio(HAM)과 더불어 상당히 오래 되었다. 고국도 경제여건에 따라 이런 취미는 미국이나 일본 수준까지 온 듯하다. 나의 조카(임준형)도 한때(대학시절) 이것에 심취를 한 모양이고, 그것이 거의 15년 전인데 그때 벌써 무선조종을 손쉽게 하는 것을 보고 그 수준을 알게 되었다. 비록 이 ‘고급취미’ 때문에 학교공부를 소홀히 해서 두고두고 고생을 하기도 했지만 절대로 후회하지는 않는다. 이렇게 멋진 추억을 가질 수 있게 되었으니까.. 윤태석, 박종원.. 지금은 어떻게 살고 있는지..

 

Catholic Sunday

오늘 아침은 3주 만에 미국본당 Holy Family CC(Catholic Church) 에서 8시반 주일미사를 보았다. 그러니까 2주 계속 주일미사를 거른 셈이다. 레지오 화요일 주중 미사는 절대로 거르지 않아서 조금은 변명 감 있긴 해도 역시 주중의 ‘약식’ 미사와 주일의 ‘정식’ 미사는 느낌이 많이 다른 것이라서 역시 ‘손해’를 본 것은 우리들이다. 10월 초에 걸맞은 계절의 맛을 마음껏 내듯 아침 바깥 기온이 45도(섭씨 7도) 로 떨어져서 이건 완전히 춘추복의 날씨로 오랜만에 “넥타이만 없는 정장”으로 갈아 입었다.

Holy Family Fall Festival 2011
Holy Family Fall Festival 2011

2주 동안 못 본 낯익은 얼굴들, 비록 이름도 모르고, 본당 밖에서 따로 만난 적이 없어도,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다. 그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들의 얼굴이 안 보이면 조금은 신경이 쓰이기도 하니까. 오늘의 주보를 보니, 역시 10월의 상징인 (Halloween) pumpkin의 색깔로 가득하고 돌아오는 토요일 예정인 본당주최 Fall Festival 내용으로 그득하다 . 오늘은 주임신부님, Fr. Darragh (대라, common Irish name), 오늘 복음 말씀(마태오: 21:33-43)에서, “stewardship”을 주제로 삼아, 미사 이외의 본당활동에 더 적극 참여하라고 강조하시고, 숫제 volunteer form까지 모든 좌석이 비치해 놓으셨다. 각자가 가지고 있는 talent를 썩히지 말라고.. 그런 각자의 ‘재능’을 좋은데 쓰지 않으면 하느님께서 도로 가져간다고 거듭 강조하신다. 이런 말씀 많이 들었고, 나는 안다. 무슨 뜻인지..

생각해 보면 이 정든 ‘동네’ 본당에 내가 봉사를 할 것은 적지 않다. 하지만 현재 하나도 하는 것이 없고, 이것은 항상 갈등을 느끼게 한다. 이것은 오랜 동안의 영어문화권 직장을 떠난 후에 나타난 현상 중의 하나다. 역시 우리 같은 사람은 잔뼈가 굵은 곳의 언어문화권으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 본능일까? 이곳에 살면서 계속 겪던 문화적 혼동과 갈등이 결국 나중에는 이런 곳에서도 나타나는 것일까, 아니면 내가 조금 더 민감하게 느끼는 것일까.. 참 어려운 것이다. 아틀란타 한인 순교자 본당소속, 레지오에 입단한 이후, 조금씩 모국 문화권에 더 익숙해 지면서 이런 문화적, 언어적 갈등을 생각하게 된다. 문제는, 어떻게 나의 나머지 인생을 보내야 할까.. 너무나 멀어진 고국문화를 다시 배우며 살까, 아니면 더 영어권으로 들어가서 적극적으로 그들과 어울릴까.. 정답은 없다. 절대로 선택문제인 것이다. 어느 것이 더 나에게 보람을 느끼게 할까 에 달려있다. 

 

올 들어 처음으로 central heating system을 시험하는 날이 왔다. 아래층의 kitchen area에 앉아 있으려니 추울 정도라서 thermostat를 보니 67도.. heater로 스위치를 켰는데.. 잠잠.. 분명히 68도로 맞추었으니까 더운 바람이 잔잔하게 나와야 하는데, 아주 조용한 것이다. 직감적으로 아하! 아래층 furnace의 thermocouple을 새것으로 갈 때가 되었구나. 그러니까 thermocouple이 수명이 다 되면 pilot lamp가 꺼지고, fire(점화)가 안 되는 것이다. 요새의 furnace는 물론 거의 다 automatic firing mechanism을 가지고 있어서 이런 골치를 썩지 않아도 되지만 우리 것은 거의 20년 전의 것이라 이런 불편이 있다. 문제는 이 thermocouple이 생각보다 자주 교체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비싼 것은 아니지만, 이것을 새것으로 바꾸려면… 조금은 ‘기계적’인 머리도 필요하고, 그 우중충한 ‘지하’ 공간으로 기어 들어가다시피 해야 하는 그런 ‘남자의 일’인 것이다. 그래서 여자만 사는 집이라면 99% handyman을 $$을 주고 불러야 할 듯 한데 나의 우려는, 내가 먼저 죽으면 연숙이는 어떻게 이런 것들을 ‘고치며’ 살까.. 조금은 우습지만, 사실은 실제적인 문제다. 이런 것은 기계적인 것에 한하지 않고 우리 집에 거미줄처럼 깔려있는 computer network같은 것들.. 거의 자동적으로 돌아가지만, 문제가 생기면.. 생각만 해도 아찔하다.

 

며칠 전, 빛의 속도보다 빠른 물체를 실험으로 관측1을 했다는 기사를 보면서, 정말 오랜만에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을 추억과 함께 생각을 하게 되었다. 추억이란 물론 내가 처음 이 ‘기가 막히게 멋진 과학 이야기’ 들을 때의 기억이다. 우리 또래들은 이런 것들을 거의 대부분 책을 통해서, 그것도 ‘만화’를 통해서 접하고 배우게 되었다. 그 당시에는 교과서가 거의 유일한 지식의 원천이었다. 백과사전은 나오지도 않았고, 나왔을 때는 너무 비싸서 ‘월부’로 사기도 힘든 때였다. 라디오에서 이런 것을 가르쳐 줄 리는 만무하고, TV는 없었을 때였다. 나도 역시 만화에서, 그것도 ‘공상과학’ 만화에서 처음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원리라고 해서 듣고 배우게 되었다. 그때 내가 느낀 것은 과장되게 표현해서 ‘소름이 끼칠’ 정도였다. 그 만화에서 상대성원리의 결과로 보여 준 것이 이런 것이었다. 두 형제가 있었는데 그 중 한 명이 빛의 속도로 나르는 로켓을 타고 여행을 떠난다. 몇 년 뒤에 그는 지구로 돌아왔는데, 그 때는 이미 지구시간은 수만 년이 지난 후여서 그의 가족 뿐만 아니라 지구 전체가 완전히 바뀐 뒤였다. 이것은 광속도에 접근하는 로켓(과 그 안의 사람)에서 시간이 아주 느리게 흐른다는 사실에 근거를 한 것으로, 이론상으로는 문제가 없는 공상이었다.

이런 식의 이야기는 상당히 충격적이었는데, 중학교 2학년 가회동에 살 당시, 같은 집에서 자취를 하던 경기고교 생 양병환 형으로부터 이런 류의 이야기로 밤을 새우기도 했다. 그 중에 하나가, 우리의 과거를 볼 수 있다는 역시 조금은 소름 끼치는 이야기도 있었다. 도저히 이해는 안 갔지만 이론적으로는 역시 큰 문제가 없었다. 이 이야기의 함정은, 우리가 우리의 과거를 본다는 것이 아니고 다른 사람이 나의 과거를 본다는데 있었다. 가령 예를 들어서 지구에서 10광년 떨어진 별에서 거대한 망원경으로 지구를 보면 10년 전의 지구가 보일 것이고, 10년 전의 우리들을 볼 수 있을 것이 아닌가? 전혀 문제가 없었다.
그런 이야기들을 들으며 대학 1학년 때, 드디어 흥분의 순간이 왔다. 대학 물리시간에 특수 상대성 이론이 나온 것이다. 이것은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그대로 다룬 것인데, 조금 충격적이었던 것은, 그 이론은 전혀 ‘어렵지’ 않아 보인 것이다. 그러니까 그 이론에서 쓴 수학들이 정말 그다지 어려운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심지어 너무나 ‘간단’ 했던 것이다. 그곳에 상대성원리의 매력이 있었을 것이다. 우주의 법칙은 절대로 ‘복잡’하면 안 된다는 아인슈타인의 지론이 그것이다. ‘하느님의 법칙’ 은 의외로 간단한 것이다. 예를 들어서 에너지의 공식을 보라. E=mc2 이렇게 간단한 공식이 어디 있는가? 이런 이론들을 과학적 증명이 거의 없이 ‘발명’한 그는 한마디로 천재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 후 100년 동안 그의 이론은 거의 실험으로 하나하나 ‘직접, 간접적’으로 증명이 되고 있다. Gutenberg.org의 도움으로 아인슈타인의 원래 저서 ‘상대성 원리’를 download해서 보았다. 역시 비교적 내용이 길지 않은 책이었다. 위대한 저서는 이런 식으로 의외로 간단해 보이는가? 비록 독일어를 영어로 번역을 한 것이지만 아인슈타인의 ‘냄새’가 여기저기서 나는 위대한 책이다. 시간이 나면 한번 녹슨 머리를 굴려가며 다시 한번 읽어 보리라. 어렸을 때와 다른 것은 이제는 ‘하느님의 작품인 거대한 우주’ 라는 framework을 염두에 두고 있기에 그 때와 같이 방황하지는 않으리라.

 

  1. 아마도 이것은 quantum entanglement 실험을 말하는 것은 아니었을까?

빛의 속도, 조탁 이성복

Albert Einstein
Albert Einstein

빛의 속도에 대한 논란: 이 우주에서 제일 빠른 속도는 ‘이론적’으로 정해져 있다. 바로 빛의 속도인 것이고 변치 않는 상수(常數) c 로 표시된다. 이것은 고등학교 물리시간에서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이론’ 을 통해서 배운다. 이것을 배울 때, 대부분은 담담히 받아 들인다. 어찌 의문을 제기할 수가? 상대는 ‘상대성 원리의 천재, 아인슈타인’ 인데.. 말 잘못 했다가는 물리 선생으로부터 면박이나 당할 것이다. 이 우주에서, 어떤 물체가 아무리 빨라도 빛을 따를 수가 없다고 하고 그의 상대성 이론은 이것을 ‘기초’로 해서 성립이 되었다. 그리고 100여 년 동안 그의 이론은 실제와 거의 맞아 떨어지기도 했다.

문제는 ‘거의’라는 단서인데, 100% 증명을 할 수는 없는 것이다. 빛의 속도도 마찬 가지다. 만의 일이라도 어떤 것이 빛 보다 빠르다고 판정이 되면: 그것은 판정이 잘 못 되었거나, 상대성 이론이 ‘허구’일 수도 있다는 둘 중의 하나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얼마 전 프랑스의 과학자들이 6개월 이상 실험 끝에 어떤 ‘입자,neutrino‘가 빛 보다 60 ns(nano-second, 1/1000,000,000초) 빠른 것을 발견한 것이다. 대부분은 ‘우선’ 이 실험에 결함이 있다고 할 것이다. 실험자들은 최선을 다했다고 할 것이다. 누구를 믿을 것인가? 문제는 60ns이면 실험 오차치고는 상당한 오차인 것이고, 그들의 실험이 그렇게 허술했나 하는 것이다. 100여 년 동안 우리의 ‘삶의 철학’ 까지 바꾸어 놓았던 ‘상대성 이론’ 도 조금씩 무너지나.. 그 다음은 어떤 것이 나오려나.. 100년 마다 이렇게 큰 이론의 변화가 나오면 1000,000년 뒤에는 어떨까? 이래서 인간이다. 인간은 역시 신이 아닌 것이다.

 

이성복을 찾았다! 일년도 넘는 비교적 오래된 나의 blog <누가 이성복을 보았는가?> 라는 나의 외침에 대한 답이 온 것이다. 나는 다시 한번 Google’s indexing power의 위력을 실감한다. 비약적인 생각으로, 우리가 보는 우주 전체를 포함한 하느님의 성역 전부를 indexing할 날도 시간 문제가 아닐까? 어느 것이 이길까? 하느님, 아니면 Google’s Datacenter? 좌우지간.. 나의 ‘도박’은 일단 성공한 것이다. 이성복의 comment에 의하면, 성복이의 아우가 이 blog을 보게 되어서 나를 찾았다고 했다. 그리고 성복이가 만든 navor blog 을 보게 되었다. 나의 예상을 뒤엎고, 완전히 ‘국어학 박사’ 급의 글들로 가득.. 거기다 저서가 다섯 권씩이나.. 이게 어찌된 일인가? 제목을 보니: <한국어: 맛이 나는 쉬운 문장>, <논리적인 글의 요건>, <논문 맵시 내기>, <마침한 말 바른 표기>, <틀리기 쉬운 맞춤법> 등등.. 

이 녀석, 분명히 고대 농대에 들어갔다고 들었는데, 어떻게 (한)국어학 박사가 되었단 말인가?이 녀석, 요새 흔치 않은 호까지 있다. “조탁(彫琢) 이성복”, 와~~ 근사하지 않은가? 그런데, 이 ‘조탁’이란 호는 어떤 뜻인가? 새길 조에, 쫄 탁? 암만 생각해도 그림이 떠오르지 않는다. 하지만 그것이 무슨 큰 문제인가? 이렇게 ‘살아 있는 이성복’을 ‘만나게’ 되었는데.. 현재 나의 의문, 어떻게 농대출신이 국어학박사, 저자가 되었나? 곧 의문은 풀릴 것이지만,그래도 궁금하다. 50년 동안 어떻게 살아왔을까? 왜 동창회 연락처에 이 친구가 빠져 있었을까? 이런 의문도 곧 풀릴 것이다.

 

구월 하순, GXP-285, GPS, 연고전

9월 21일, 구월의 하순으로 접어들었다. 날씨는, 지난 2 주 동안 가을의 맛을 느끼게 해주는 ‘첫’ 싸늘함으로 우리들을 즐겁게 해 주었다. 다만 매일 기대했던 비가 내릴 듯 말듯 하며 내리지를 않아서 그것이 조금 신경이 쓰인다. 지독히도 가물고 더웠던 여름 동안 앞 쪽의 잔디는 색이 바래고, 숨을 죽이고 죽은 듯이 보인다. 하지만 그들은 다시 파랗게 살아날 것이다. 올해 이곳의 날씨는 다행히 ‘뉴스’가 없이 지나갔다. 다른 곳에 비하면 그런대로 준수하다고나 할까. 과연 이번 겨울 날씨는 어떨지 자못 기대가 된다. 작년에는 정말 춥고, 많은 눈이 내렸기 때문이다.

Grandstream GXP-285 SIP Phone
Grandstream GXP-285 SIP Phone

오늘 며칠 전에 Amazon.com에 order했던 Grandstream GXP-285 (SIP) VOIP phone이 도착했다. 미리 review도 보았고, USERS MANUAL도 이미 download해서 보았기 때문에 생소할 리가 없다. 사실 몇 년 전에 이미 GRANDSTREAM의 VOIP phone adapter를 써본 적이 있어서 눈에 익은 제품이긴 하다. 하지만 진짜 phone은 이번이 처음이다. 몇 달 전에 ebay에서 LINKSYS (Cisco)의 SPA-841 2-line VOIP phone, 쓰던 것을 산 적이 있었다. 그러니까 나에게 SIP VOIP phone은 그것이 처음이었던 셈이다. 그 동안 이 전화기를 많이 쓰지는 않았지만, 얼마 전에 Google Voice로 한국에 전화를 했을 때, 너무나 음질이 좋았다. 그러니까 Internet phone의 수준이 완전히 PSTN (analog) phone의 수준에 도달한 것이다. 문제는 아직도 VOIP 의 대부분이 softphone (on PC)을 쓰는 사람들이 많고, SKYPE 같은 조금 non-standard technology를 쓰기 때문에 전통적인 Bell phone같은 ‘쓰기 쉬운’ 맛이 덜 하다는데 있다. 하지만 이제 VOIP (특히 SIP compatible) phone도보기와 느낌이 거의 똑 같이 analog phone과 비슷해서, ‘전통적인 전화기’의 남은 수명도 그렇게 긴 것 같지 않아 보인다. 나의 home-office에는 이미 Asterisk-based IP-PBX (PBX-IN-A-FLASH: PIAF)가 있어서 (running on Proxmox Virtual Server), 미국과 캐나다는 Google Voice로 무료로 통화를 할 수 있고, 국제전화도 정말 싸게 사용할 수 있다. 이번에 산 전화기는 비록 값이 저렴한 것이지만 (under $50) Home-Office에는 적당해서, 연숙의 office에서 쓰게 할 예정인데, 가끔 ‘음질이 형편없는’ cell-phone에서 벗어나서 이렇게 ‘안정되고 깨끗한’ 음성을 즐길 수 있는 것도 좋을 듯 하다.

GPS' dead battery
GPS’ dead battery

몇 년 전에 크리스마스 때 연숙에게 선물로 준 GPS가 별로 쓰지도 않았는데 charge가 되지를 않는다. 그러니까 power cord (usb or adapter)를 써야만 이것을 쓸 수가 있게 된 것이다. 우리는 GPS를 별로 쓸 필요가 없지만, 그래도 가끔 쓰려고 하면 이런 것이 짜증이 나는 것이다. 고급 차를 타는 사람들은 요새 아예 GPS가 dashboard console에 있어서 쓰기가 참 편한 것 같았다. 그렇다고 다른 것을 살 필요까지는 못 느끼고.. 이럴 때는 역시 ‘공돌이 정신 (hacker mentality)’이 발동을 하게 된다. 그래서 ‘열어보게’ 되었다. charge가 안 되니까 이것은 rechargeable battery가 ‘죽은’ 것이다. 어떻게 그렇게 빨리 죽었는지, 역시 이 battery도 Made in China였다. ‘조잡한’ 것을 썼을 것이다. 이것은 portable device에서 많이 쓰는 3..7V의 Polymer type인데, 암만 Internet을 뒤져 보아도 이것과 같은 것은 찾을 수가 없었다. 비슷한 것을 찾아도, 값이 ‘장난’이 아니게 비쌌다. 그렇게까지 해서 고칠 필요는 없지만, 그렇다고 GPS를 버리기도 그렇고.. 그러다가 얼마 전에 거의 못쓰게 된 Canon digital camera의 Battery가 생각이 나서 보니 거의 power spec이 비슷했다. 3.7V 1200mAh! 모르긴 몰라도 이것을 쓸 수만 있으면 될 것 같은데.. 문제는 battery terminal을 다시 연결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해 보인다는 사실이다. Soldering 을 해야 하는데, 워낙 terminal이 작아서 그것이 문제인 것이다. 하지만, 계속 궁리를 하면 무슨 idea가 생길지도 모른다.

오늘, 요새 거의 자취를 감춘 ‘엽서’ 한 장이 배달되었다. 보낸 사람은 Law Office of Se Ho Moon, PC (Suwanee, GA)라고 인쇄가 되어 있었다. 그러니까 스와니 (아틀란타 동북단의 suburb)에 있는 ‘문세호 변호사‘ 가 보낸 것이다. 요새 변호사 개업을 했나.. 하며 읽어보니 “친애하는 연세대학교 동문 여러분,”으로 시작이 된다. 아하! 연세대 동문회에서 보낸 것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순간, 아, 이맘때면 연례 연고전이 있던 때구나 하는 생각도 들었다. 9월 25일에는 골프대회, 10월 2일에는 구기대회. 나는 골프를 치지 않으니까 그날은 관심이 없지만, 구기대회에는 조금 생각을 하게 되었다. 내가 마지막으로 연고전 참가를 한 것이 1997년 쯤이었다. 그러니까, 15년 전이 되었다. 그 때는 무슨 바람이 불었는지, 연말 연대 송년회까지 참석을 했는데, 그 후에 어떻게 되었는지 완전히 잊고 살게 되었던 것이다.
이곳에 이사온 후 나는 사실 동창회에 별로 관심이 없었는데, 그 당시에는 가까이 알고 지내던 연대 이원선 동문이 그 해 동문회 회장이 된 바람에 조금은 손 쉽게 참가를 하게 된 것이었다. 사실, 처음 나갈 때 모르는 동문을 만나는 것이 물론 반갑기는 하지만 서먹서먹하고 어색한 것도 사실이라서 그렇게 참가를 안 한 것도 이유가 된다. 이원선 동문은 68학번 연대 기계공학과 출신인데, 내 친구였던 (타계) 같은 연대 기계과 김호룡을 알고 있었고, 우리와 같이 아틀란타 천주교회에도 같이 나갔던 동문이었다. 아쉽게 그 이후 서로 소식이 거의 끊어지게 되고 같은 지역에 살면서도 거의 잊고 살게 되었던 것이다. 요새는 내가 레지오에 입단하면서 성당에 갈 수가 있어서, 가끔 이원선씨의 부인을 뵙곤 하였지만 끝내 이원선씨는 볼 수가 없었다. 올해 이 연고전 엽서를 받고 조금은 생각을 하게 된다. 거의 숨어서 살다가 조금씩 밖으로 나간 김에 올해는 한번 연고전 ‘소프트 볼’ 대회에 참가하거나 구경을 가 볼까 하는 생각이다. 그곳에서 운동과 놀기를 좋아하는 이원선 동문을 보게 될지도 모른다.

 

iJobs’ going, 디지털 세대는 흐른다

Two Steves with Apple-I prototype, 1975
Two Steves with Apple-I prototype, 1975

뉴스를 잠깐 보니.. Steve Jobs가 물러난다고.. 일선에선 물러나지만 ‘회장’자리를 지킨다고 한다. 그의 ‘이름’이 당분간 필요한 그 회사의 사업상 이유는 충분히 이해가 간다. 이 회사의 주식을 가진 인간들이 그것을 요구했을 것이다.

인간적으로 그는 나와 같은 computer engineer로서 세상을 보는 관점이나 직업에 대한 정열,애착 같은 것을 많이 공감하는 편이다. ‘무언가를 만들어야 한다’는 외골수 적인 인생을 어찌 이해를 못하겠는가? 그것이 $$$ 으로 이어지면 더 좋고, 그렇지 못하더라도 그렇게까지 실망할 필요도 없었을 것이다. ‘만드는 그 자체’ 에 만족을 하면 되니까. 나는 그와 거기까지만 공감을 하며, 그 나머지 그의 제품에 대한 ‘접근방식’은100% 불만이고, 그와 정반대인 편에 있다.

지금까지 그가 한 방식, 결과를 보면 그는 완전히 ‘자기도취’에서 만족하고 살았다. 다만, 결과적으로 한 회사에 막대한 $$$를 벌게 해주고, 그에 따라 주주들도 같이 덕을 본 것 뿐이다. 물론 그것이 가능케 한 것은 그의 제품에 ‘팔린’ 대부분 ‘기술적으로 문제가 많은 돈 많은 인간들’에게 있다. 여기서 기술적으로 덜 떨어진 인간들은 주로 ‘언론인, 연예인, 예술가’ 들이 많고 그들은 완전히 ‘신앙적’으로 믿으며 제품 선전을 해 주었다. 완전히 삼박자가 맞아 떨어진 ‘완벽한 무용’ 이었다.

나는 ‘골동품’ 애플 시절부터 그것들을 싫어했다. 완전 아마츄어 급의 제품이었기 때문이다. 남들의 연구한 결과를 교묘하게 이용해서, 완전히 ‘예술품’ 급의 판매 가격으로 매킨토시를 만들기도 했다. 그러니 회사가 한때 거의 도산지경에 까지 가지 않았던가? IBM-PC의 성공, 보급으로 5%정도의 보급율로 회사를 살리려니 제품의 가격은 절대로 항상 premium급이었다. 하기야 언론인, 예술가중에는 $$$이 많았던 사람들이 많았으니까.

PC clone이 나오면서 ‘살려고’ 한 짓은 절대로 Apple clone을 막아야 한다는 ‘철칙’이었다. 그때부터 100% ‘닫힌 시스템’이 고수되었다. 이것은 사업상으로 이해를 할 수 있지만, 사실은 Steve Jobs의 기본 철학이었다. 한마디로 ‘내가 만든 제품은 절대로 열어볼 수 없게 만든다‘ 라는 것이다. 이때부터 나는 완전히 애플(매킨토시)로 부터 등을 돌렸다. Unix를 완전히 자기 것처럼 ‘변종’을 시켜서 쓰면서 ‘절대로’ 그것을 ‘열어’놓지 않았다. 이것도 Steve Jobs의 철학이었을 것이다.

나는 직장에서 가끔 매킨토시를 ‘써야만 할’ 기회가 있었지만, 이건 ‘컴퓨터 엔지니어’의 머리로는 쉽게 이해할 수 없는 시스템이었다. 아하! 바로 이것이 ‘stupid people’을 위한 것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하기야 stupid한 사람들이 절대로 많은 세상이 되었으니까.. 하지만 그런 사실들이 그들의 business에는 좋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런 의미에서 조금 다른 쪽인 Windows쪽은 최소한 open된 것을 고수하였다. 하지만 이곳도 나중에는 많이 ‘이기적’으로 변했지만 매킨토시에는 비교도 못하게 ‘열린’ 것이다. 최소한 hardware를 내 마음대로 고르고 만들 수가 있으니까..

문제는, 이런 ‘닫히고, 고가를 자랑하는’ 시스템의 방식이 그들이 처음 만들었다고 주장하는 smart phone (iPhone)으로 연결되어 stupid mass가 완전히 그것에 ‘빠졌다는’ 현실이다. 그것은 거의 monopoly나 다름이 없고, brainwash에 가깝다. 분명히 바보 같은 ‘언론인, 예술인’들이 앞장을 섰을 것이고, 거의 ‘공짜 선전’을 해 주었을 것이다. 그의 salesmanship은 절대로 인정하지만, 불행하게도 그의 방식은 절대로 많은 open system people에게는 먹히지 않는다. 거의 반대편에 있는 Open System쪽은 어떠한가.. 이래서 오래 살고 볼 일이다. 모든 것을 나누어서 공익을 취하자는 거의 ‘사회주의적’인 방식이 기술 쪽에 들어왔을 때, 그것의 파급효과는 상상을 초월한다.

최근 나 같은 ‘돈 없는’ 사람을 ‘살려준’ 것은 Linux를 선두로 대부분의 Open System 운동이었다.그와 정반대의 쪽이 있던 것이 바로 Steve Jobs 같은 selfish, egomaniac한 인간 부류들이고, 그 중간에서 어정쩡하게 버티고 있는 것은 ‘머리를 잃어버린’ Microsoft쪽이다.

 

 

WYD 2011, 레지오의 전산화

World Youth Day 2011 Madrid, Spain
World Youth Day 2011 Madrid, Spain

2011년 마드리드, 스페인에서 열린 세계청년대회 가 ‘무사히’ 막을 내렸다. 전야 미사 중의 날씨가 나빠져 조금 걱정이 되었지만, 다행히 사고는 없었던 모양이다. 오늘 CatholicTV.com을 보니 드디어 어제 일요일의 “폐막 미사”의 비디오가 올라와 있었다. 이 행사를 며칠 유심히 보면서 나는 거의 내가 ‘가톨릭 청년’ 이 된 기분이 되어서 참 기분이 좋았다. 폐막미사의 광경은 참 ‘장엄’하면서도 100만의 젊음의 활기가 완전히 ‘공항’을 휩싸는 그런 것이었는데..이것은 실제로 그 현장에 있지 않으면 ‘절대로’ 전부를 느낄 수 없는 것들이다. 지난 6월 이곳 아틀란타에서 열린 연례 대교구 주최의 ‘성체대회’에 참가하면서 이런 사실을 절감하게 되었다. 수만 명의 형제,자매 신자들과 같이 함께 모여서 미사를 본다는 사실은 글로 그 느낌을 다 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스페인, 마드리드 외곽에 있는 한 비행장 전체가 ‘완전히’ humanity로 채워진 모습은 비록 작은 화면으로 보더라도 실감이 되었다. 그 광활한 평지를 완전히 메웠던 백만 명의 ‘멋진’ 젊은이들.. 잘못 보면 무슨 rock concert에 온 젊은이들 같이도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분명히 그들은 다르다. 1960년대 말, 미국 Woodstock Rock Concert의 모습이 떠오르면서 그 광경이 겹치는 것을 느낀다. 완전히 drug, sex & rock music이 주제가 되었던 그 시절, 그 세대.. 사실은 나도 그것들을 보면서, ‘인간의 완전한 자유에 열광’을 하던 오래 전의 추억이 있다. 하지만 ‘다른 모습의 완전한 자유를 보여주는’ 이런 전혀 다른 젊은이들의 모습을 보면서, 역시, 이래서 항상 ‘희망’이란 것이 있구나 하는 생각도 들었다. 그리고, 그 ‘멋진’ 젊은이들이 얻었던 며칠간의 체험은 그들, 그들 주변, 그가 속한 사회, 나라에 예측할 수 없는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사실, 의심하지 않는다. 작은 호기심 하나는, 어떻게 100만 여명에게 성체를 분배할까..하는 별로 의미 없는 것이다.

 

레지오 마리애의 전산화: 이것도 잘못 들으면 oxymoronic한 구절이 아닐까. 절대적인 성모마리아께 대한 순명의 정신으로 무장한 이 거룩한 평신도 단체는 언제까지 ‘낭비적인 시간’을 허용할 것인가? 로마군단의 효율적인 체제를 본 받으려면 현재에 가능한 온갖 ‘도구’를 다 써야 할 것이 아닐까? 여기서 ‘도구’란 물론 digital tool을 말한다. 물론 computer가 그것이다. 예전에는 computer하면 막연히 desktop system을 뜻했지만 지금은 아주 다양해졌다. 여기에는 물론 Internet의 영향이 절대적이었다. 모든 것들이 ‘연결’이 되었고, 무서운 기세로 연결이 되어 가고 있으니까. 이제 이 ‘도구’는 누가 어떻게 먼저 자기 목적에 맞게 쓰는가가 관건이 되었다.

얼마 전에 나의 예상을 뒤엎고, 연숙이 본당소속 꾸리아의 부회장에 피선이 되고 말았다. 전부터 나는 레지오 평의회에서 봉사하는 것을 극구 말리고 있었다. 조금이라도 더 ‘평화로운 시간’을 가지고 싶었던 것이다. 누군가가 해야 하는 ‘봉사적’인 직책이지만, 우리에게는 아직도 덜 바쁜 시간이 필요함을 잘 알기에 나는 반대를 한 것이다. 또한 직책의 ‘과정’도 중요하지만 ‘결과’도 중요함을 나날이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제는 어떤 직책의 ‘일’이란 것이 사실은 ‘타협, 양보, 조절’의 기술이 나머지 것들 보다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나이가 들어가면서’ 알게 되는 것이다. 헌신적으로 일을 할 자격이 있다는 것은 알지만, 그것이 전부가 아닐 것이다. 그래서 나는 극구 말렸지만, 본인의 의사는 별로 반영이 되지 않게 피선이 되었으니.. 이제는 현실로 받아야 할 듯하다. 한마디로 나에게도 영향이 있다는 뜻이다. 나는 비록 평 단원이지만 부부로써 옆에서 가만히 보고 있을 수도 없지 않는가? 그래서 첫 번째로 연숙이 가지고 온 ‘일’ 중의 하나가, “레지오 멤버들의 관리” 에 제일 중요한 레지오 <행동단원 복무기록부> 를 정리하는 일이 되었다. 아주 두터운 3-ring binder에 꾸리아소속의 거의 모든 단원의 신상기록이 있는데, 물론 이것을 ‘전산화’ 하려는 것이고, 그것을 첫 과정이 data entry가 아닌가? 가장 쉬운 Excel-format으로 시작을 하는데, 역시 문제는 한글, 영어가 섞어야 하는 조금은 복잡한 데이터 들에 있고, 불완전한 record, 고유한 개개인의 아이디(id)등인데 이것은 아마도 본당의 교적부의 database를 참고로 하면 좋을 듯하다.

이것이 시작이지만, 그 이외에 예상할 수 있는 ‘과제’는 적지 않다. 제일 내가 눈독을 들이는 것은 모든 서류양식을 writable-pdf 화 하여 computer screen에서 직접 입력을 하게 하는 것이다. 처음에는 이런 것들이 역사 깊은 레지오에서 이미 했을 것으로 생각하고 온통 인터넷을 뒤져 보았지만 심지어 Ireland(아일랜드)의 레지오 세계 총본부에서도 볼 수가 없었다. 그러니까 format file을 download-print해서 손으로 쓰는 것이다. 그러니까 ‘종이’는 아직도 계속 써야 하는 실정인 것이다. 아직도 나는 이해를 할 수가 없다. 그렇게 digital gadget이라면 사족을 못쓰는 고국의 레지오도 마찬가지로 이곳은 거의 아래아 한글(hwp format)로 된 것을 쓰고 있었다. 그래서 가만히 생각을 해 보니 이것이 현재의 레지오 단원 평균 연령층 때문이 아닌가 싶었다. 활발한 레지오 연령대는 어느 곳에서나 시간이 조금은 여유가 있는 세대일 것이다. 그들은 거의 장년층일 것이고 아무래도 그들은 젊은 세대보다는 technology에는 덜 익숙하지 않을까? 꾸리아 레벨에서 산하 쁘레시디움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려면 ‘정보적인 도움’이 아주 중요할 것이다. 기계적인 일들은 모두 computer에 맡기고 그 시간에 더 생산적인, 창조적인 일을 하는 것이 더 유익하지 않을까? 궁극적으로는 모든 것이 cloud-model로 가는 마당에, 이것을 database application으로 바꾸고, 그것을 webify(web application으로 바꿈) 해서 모든 ‘단원, 임원’ 들이 “위치에 상관없이” 볼 수 있고, 쓸 수있게 하는 것이 제일 좋을 듯하다.

 

 

analog gurus, ISSUU

Analog guru, Jim Williams
Analog guru, Jim Williams

두 명의 세계적인 analog guru (analog electronics engineers) 가 불과 며칠 간격으로 세상을 떠났다. 이 중의 한 명이 떠났어도 큰 뉴스거리이자 학계, 업계의 큰 손실일 터인데, 이렇게 heavy급 두 명이 거의 함께 사라졌다는 것은 사실 할 말을 잃어버릴 정도다. 처음에 6월 19일에는 나와 동갑인 Jim Williams 뇌일혈로 급서를 하였다. 사진으로 보기에 그렇게 보이지 않았지만 이런 것을 누가 예측을 할 수 있겠는가? 그러니까, 건강하게 보여도 60세가 넘으면 ‘통계적으로도’ 다음날을 못 볼 수도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실감케 한다. 다음 사람은 Bob Pease, 이 사람은 70세가 넘었고 도사 풍의 긴 수염이 특징이다. 위에 말한 Jim Williams의 장례식에 ‘늦게’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차가 절벽으로 구른 모양인데 아마도 운전 실수가 아니고 심장에 갑자기 이상이 생겼던 것으로 추측을 하고 있다. 이렇게 세계 정상급의 analog engineer둘이 기이한 인연으로 세상을 떠난 것이다.

Analog guru, Bob Pease
Analog guru, Bob Pease

나이로 보아서 나와 비슷한 electronics경험을 가진 사람들이다. 그러니까 transistor이전의 vacuum tube(진공관)으로 시작한 세대인 것이다. 진공관, 트랜지스터, IC (Integrated Circuit)를 모두 경험한 electronics에서 great generation에 속한다 고나 할까.. 특히 Jim Williams는 ‘경력’이 이채롭다. 그 흔한 학위가 없는 것이다. 대학교라고는 디트로이트의 Wayne State University에서 한 학기 공부한 것 밖에 없는 것이다. 거의 완전히 ‘실무와 독학’으로 세계의 ‘정상’급에 도달한 것이다. 나는 충분히 이해를 하고도 남는다. 그 분야에 대한 강렬한 집착과 노력이 ‘그저 수학 같은 공부만 잘하는’ 엔지니어보다 나을 수 있다는 사실을.. 세상이 물론 많이 바뀌어서 ‘납땜’질 한번 안 해보고 그저 computer simulation으로 살아가는 새 세대의 engineer들 천지인 요새 세상, 그렇게 design된 것들이 많은 경우에 의도한 대로 ‘작동’을 못한 다는 사실을 잘 모르고 있고, 수학적인 것과 땀과 먼지 가득한 실제의 현장과는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과연 어디서 누구로 부터 배울 것인가?

 

한국의 천주교회, 특히 주교회 발행 경향잡지 site를 보면서, 자주 보는 잡지나 책 같은 것을 online으로 보는 web applications (web apps)에 대해서 생각을 하게 되었다. 특히 ‘글자’들과 멋진 page format등이 많은 페이지를 , 그것도 많은 분량을 읽는 것은 그렇게 편하거나 즐거운 경험은 아닌 듯 싶다. WWW의 역사가 종이로 만든 책의 역사에 비하면 거의 제로에 가까운 만큼, 우리는 아무래도 책을 읽을 때, 책장을 넘기는 기분 정도는 잘 알고 있다. 현재 수준의 웹 페이지는 그것을 제대로 못하고 있다. 비록 비디오는 비교적 잘 볼 수 있게 되었지만 책 종류는 그것이 아닌 것이다. 하지만 이것도 YouTube style영향으로 바뀌고 있다. 그 중에 하나가 바로 이 괴상한 이름의 ISSUU인 것이다. Denmark의 venture인 듯 한데, 비슷한 종류의 service중에서 제일 세련되었고, 우선 느껴지는 맛이 그 중에서 제일 매끄러운 것이다. 이것을 test하려고 내가 손수 scan해서 만든 중앙고 57회 졸업앨범pdf 를 이곳에 올려 놓아 보았다. 과연 소문대로 모든 것이 ‘선전’한 그대로이다. 앞으로는 조금이라도 ‘책’이나 ‘서류’의 기분을 느끼게 하는 것들은 이 service를 이용하면 좋을 듯 싶다.

 

ISSUU-hosted 중앙고 57회 졸업 앨범

 

 

Convergence, 10+ years after..

stupid TV를 안 본지 일주일이 넘었을까? 그리고, 생각한다. 과연 인터넷이 전통적인 의미의 TV service를 점차 죽이고 있는 것이 현실로 나타나는 것일까? 그것은 아마도 사실일 것이다. 나의 생전에 진정한 의미의 인류전체적으로 통신혁명이 일어나고, 그것이 빠른 속도로 진행 중임을 보게 된 것이 조금 흥미롭고, 편리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착잡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Telstar – The Ventures

‘6백만 불의 사나이’, Telstar. 소련의 Sputnik에서 시작된 우주경쟁, 세계통신 혁명의 시발점도 되었다. 1962년 AT&T(Bell Lab)제작 6백만 불의 통신위성.. 이론적으로 전세계인구가 실시간 통신권 안에 들어섰다.

 

이렇게 빠른 pace로 바뀌어 나가면 10년 앞도 정확하게 예측하기가 힘들 정도가 아닌가? 나의 ‘한창’ 시대, 그러니까 20~30년 전쯤엔 어땠을까? 기껏해야, 위성통신 덕분에 전세계로 전화나 TV service가 가능해지던 그런 시기였을 것이다. 기억에 Elvis PresleyHawaii 공연이 위성으로 전세계의 tv로 방영된 것이 그 당시에는 큰 뉴스였으니까.

보수와 절대가치의 아성인 가톨릭, 바티칸이 Facebook/Twitter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것을 보면 정말 새로운 통신혁명의 깊이가 실감이 간다. 이제는 웬만한 tv program들이 Internet streaming으로 볼 수 있게 되고 있다. 10+년 전쯤에 Scientific-Atlanta에서 일을 할 당시 convergence란 말이 유행했었다. 쉽게 말하면 모든 ‘것’들이 Internet service로 ‘통합’이 될 것이란 말이었다. 그것이 요새는 조금씩 실제로 느껴진다. 사실 telephone과 tv service만 Internet으로 흡수되어도 convergence는 거의 실현이 되는 것이다.

문제는 ‘나이 드신 옹고집 어르신들’ 이다. 물론 나의 세대를 포함한 말이다. 어떨 때는 현실을 피하고, 이것만은 옛 것이 좋다고 하는 그들이 Amish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심지어, 옹고집의 아성인 바티칸이 이렇게 현실을 전적으로 포용을 하는 마당에.. 제일 문제는 어중간한 ‘우리 세대’들이다. 옹고집 어르신 세대와 완전히 새로운 문화 속에서 자란 자식세대의 중간에 어정쩡하게 서있는 우리세대.. 이 새로운 문화에서 거의 ‘전맹’ 의 처지에 있는 사람들이 ‘닥상’이다. 더 세월이 흐르기 전에 조금은 노력을 하는 것이 바람 직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