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잠깐 뉴스를 보니 낯익은 얼굴이 보이고, 심장마비로 갑자기 사망하였다고 했다. 지난주에도 심근경색증으로 ‘갑자기’ 사망한 교우님의 장례미사에 다녀왔는데 또 심장마비.. 누군가 했더니 반가운 얼굴, 60년대의 유명한 rock group, The Monkees의 ‘꼬마’ Davy Jones였다.
나이는 나보다 두 살 위인 66세였다. 언젠가 TV에서 보았을 때 모습이 참 건강해 보였는데, 살도 별로 안 찌고 심장마비의 체질로는 보이지 않았다. 이 나이가 되니까, 이렇게 하나 둘씩 같은 세대의 사람들, 그것도 이렇게 유명했던 인물이 사라짐은 역시 을씨년스럽게 느껴진다.
1968년 즈음에 정말 정말 The Monkees를 좋아했었다. 그들의 TV show를 당시의 미8군 방송이었던 AFKN에서 빠지지 않고 보았고, 유엔군 방송이었던 VUNC에서 그의 열렬한 fan이었던 여성 disc jockey (이름을 잊었다) 덕분에 그들의 hit songs들에 깊이 빠지기도 했다. 그 중에서도 바로 오늘 세상을 떠난 Davy Jones의 Daydream Believer, 어찌 잊으랴.. 그들의 hit 중에서도 제일 멋진 곡이었다.
작년 봄 나의 blog, The Best 5 of ’68’s 에서 나는 바로 그 곡을 제1위로 올려 놓았다. 오늘 뉴스의 기사에서, 그는 자기의 심장이 25세 정도의 심장처럼 건강하다고 의사들이 말을 했다고.. 이 말은 다른 말로 하면, 이 정도의 나이가 되면 ‘누구라도 내일을 못 볼 수 있다’는 그런 의미심장한 경고가 아닐까.. 다시 한번 우리 세대의 idol이었던 그의 명복을 빌며.. RIP..
멘데레스 수상.. 엄청 지난 세월에도 그 이름만은 기억을 한다. 멘데레스, 정확히 말하면 1958년 당시 터키 수상 멘데레스, 그가 아시아 순방길에 서울에 들린 것이다. 그 당시에 외국의 수상급이 한국에 온다는 것은 사실 큰 뉴스거리였다. 그만큼 외국에서 올 만한 거물급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한창 전쟁을 겪은 거의 폐허로 변한 찌들게 가난한 나라에 무슨 일이 있어서 온단 말인가? 설령 누가 꼭 방문을 해야 하는 이유가 있었어도 곤란한 것이, 그렇게 높으신 분이 묶을 변변한 숙소, 그러니까 호텔도 없었던 시절이었다. 그 당시 유일한 호텔은 시청 근처에 있던 반도호텔이었을 것이다.
그 당시 추억에, 나는 서울 재동국민학교 5학년이 갓 되었을 때였다. 하루는 담임 선생님 (이원의 선생님) 께서 외국에서 ‘대통령’이 오신다고 하시며 그 나라의 국기를 다같이 그리자고 하셨다. 나라의 이름은 ‘털기‘ 라고 했다. 이것이 조금 웃기는 추억이었다. 도대체 ‘털기’가 무엇인가.. 우리는 한바탕 웃고 그저 ‘먼지 털기‘ 로 연상을 해 버렸다. 국기는 초생 달이 있는 것이었다. 그 당시 우리의 유일한 뉴스의 원천은 이런 식으로 학교에서 듣는 것인데, 신문은 한자가 너무나 많아서 읽는 것이 거의 불가능했고, 우리들도 그 나이에 그런 ‘정치뉴스’에 별로 관심이 없었을 것이다.
나중에 털기라는 나라는 정확하게 ‘터키’였고, 신문에서는 한자로 ‘토이기(土耳基)‘라고 쓰기도 한, 육이오 동란 때 유엔군 16개국의 일원으로 전투사단을 보내어 이미 우리땅에서 피를 흘렸던 나라임을 알게 되었다. 또한 당시의 세계정세로 미국, 소련의 냉전 하에서 공산진영과 민주진영으로 ‘완전히’ 갈린 상태에서 터키는 우리나라와 같은 쪽에서 빨갱이와 대적한 입장이고 보니, 이승만 대통령과 터키 수상 멘데레스는 자연스레 가까운 사이가 된 것이다. 그 당시, 미국이 소련 공산주의의 확대를 막기 위한 전략으로 아시아에서는 서쪽 끝으로는 나토, 터키 를 출발로 해서 월남, 자유중국(대만), 한국(과 일본)를 동쪽 끝으로 거대한 방어망을 구축하고 있었다.
그 나이에 외국의 ‘우두머리’가 온다는 것과, 그 분을 환영하러 우리들이 거리로 나간다는 사실은 사실 신나는 소식이었다. 우선 거리로 나가려면 학교 공부를 빼먹어야 한다는 것이 제일 신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거리로 나가서 거물급들이 탄 차들을 보는 것도 신났다. 하지만 일단 거리로 나가서 환영을 하려면 그들의 차들이 지나가는 몇 시간 전에 나가서 기다려야 하는 고역을 겪어야 했다. 또한 목이 빠지게 기다리다가도 차들이 지나가는 시간은 불과 몇 초도 걸리지 않았으니, 참 허무하기도 했다. 그 몇 초를 위해서 몇 시간을 목이 빠지기 기다렸으니.. 그 다음날 가도에서 멘데레스 수상을 기다리던 우리들의 사진이 신문에 나왔다고 집에서는 난리가 났었다. 심지어는 내가 사진에 나왔다고까지 했다. 그것이 조금은 우리 집의 ‘역사’가 되어서 지금까지 기억에 남아있는 것이다. 나는 그 신문을 본 기억이 나지는 않지만, 무언가 비슷한 것이 실렸었을 것이라고 짐작은 하면서 54년이 흐른 것이다. 그것을 지금 그 당시의 신문을 다시 보게 되면서 확인을 할 수 있었다. 분명히 우리들이 사진이 나왔고, 그것은 1958년 4월 26일자 동아일보 (나는 경향신문으로 알았다) 였다.
문제는 그 사진을 암만 보아도 나의 존재를 확인 할 길이 없다는 것이다. 신문의 사진은 원래 바로 찍은 것을 보아도 지금의 기준으로 보면 아주 해상도가 ‘저질’에 속하는데 그렇게 오래 전의 것은 더 나쁠 것이니 말이다. 또한 그 때의 경향신문을 지금은 볼 수가 없는데, 아마도 그곳에 내가 있는 사진이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것은 큰 문제가 아니다. 그때의 생생한 기록과 사진을 찾은 것만 해도 큰 수확인 것이고, 이 사진을 보면서 그 당시 우리들의 ‘꾀 죄죄’한 모습들이 너무나 반가운 것이다. 역사의 아이러니는 그 당시의 그 두 거물 이승만 대통령과 터키의 멘데레스 수상 모두 몇 년 후에 정권에서 쫓겨났다는 것이다. 이승만 대통령은 1960년 4.19 학생 혁명으로 물러났고, 멘데레스 수상은 같은 해, 군사 쿠데타로 실각, 체포, 나중에는 사형까지 당했다. 참 역사는 이런 것인가.
¶ 2월 26일, 재의 수요일 이후의 첫 일요일이다. 그러니까 2012년 사순절(Lent) 첫 주일인 것이다. 비록 재의 수요일(Ash Wednesday) 미사에서 이마에 ‘재의 십자가’를 받고, ‘고난의 40일 여정’ 은 시작 되었건만, 별로 크게 한 것도 없이 순식간에 사순 첫 주일을 맞았다.
가톨릭 신자들은 이 사순(40일)의 시기를 다음의 세 가지를 염두에 두고 지내게 된다. 즉, (1) 기도, (2) 자선,선행, (3) 절제, 단식과 금육 등이 그것이다. 이중에서 ‘절제, 단식, 금육’ 란 것 중에 절제는, 각자의 방식에 따라 다르겠지만, 오랜 역사를 통해서 흔히들 하는 것들은 거의 정해져 있다. 가장 흔한 것이 평소 ‘즐겨서 탐닉’하던 것(도박, 술, 담배 같은)으로부터 멀어지거나, 아주 끊어 버리는 것이다.
단식(fast), 금육(abstinence)은 글자 그대로 끼니를 거르고, 먹더라도 고기 (생선은 제외) 류를 안 먹는 것이다. 단식은 재의 수요일과 성 금요일(부활 전 금요일) 에 적용이 되고 그것도 하루 한끼만 거르면 된다. 금육은 재의 수요일과 사순절 매 금요일에 적용이 된다.
하지만, 이것도 꽤가 많은 이곳 사람들, 여러 가지의 예외를 만들어 두었다. 그 중에 있는 것이 14세 미만의 아이들과, 60+세 이상의 ‘노약자’에 대한 배려인데, 이것이 조금은 웃긴다. 여기서 60+세의 기준은 분명히 수십 년 전에 만들어졌을 것이다. 어디를 보아도 요새 나이 60+세는 대부분 건강하지, ‘노약자’로 보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그들이 조금 덜 먹거나, 한두 끼 굶는 것은 아무리 보아도 무리가 없는 것이다.
사실 예외조항은 나이보다 각자가 처한 건강상태에 두어야 할 듯하다. 우리 부부는 원래 ‘소식(小食)’ 이라서 사실 완전히 몇 끼 굶지 않으면 큰 의미가 없고, 금육도 그리 자주 고기를 먹지를 않아서 큰 문제가 없다. 절제에 대해서, 나에게 유일한 즐거움은 gourmet coffee 인데, 이것을 완전히 끊는 것을 예전에 내가 즐겨 사용하던 방법이었다. 이것은 실행하기 전, 처음 느끼는 고통이 ‘장난’이 아니었다.
특히 아침에 커피의 카페인에 의한 자극이 없어지면서 무언가 불안하고, 정신의 집중이 잘 되지 않았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레 적응이 되었다. 그러면서, 조금은 ‘맑아지는’ 머릿속을 느끼곤 했다. 그것이 바로 ‘절제’의 매력이었다. 그러다가 몇 년 전부터 커피는 절제대상에서 제외를 했는데, 조금 꽤가 났던 것일까.. 그것 보다는 사순절을 그렇게만 보내는 것이 너무 소극적이라는 이야기를 들었기 때문이었고, 레지오에 입단하면서 생각도 조금 달라지게 되었다.
봉사적인 활동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던 것이다. 레지오는 ‘절제’같은 것 보다는 적극적으로 밖으로 나아가 사람 속에서 활동하는 것을 더 중요시하기 때문이다. 그런 활동은 사실 ‘무언가를 안 하거나 끊는 것’ 보다 더 어려울 수 있다. 특히 나 같이 원래 소극적이고 내향적인 사람에게는 더욱 그러하고, 그래서 더 보람이 있을 것 같다. 올해는 과연 그런 지향으로 어떤 결과가 나올지 궁금하다.
¶ 지나가는 주에는 정말 오랜만에 장례에 관한 뉴스가 두 건이나 있었다. 사실 그 동안은 연도나 장례행사가 뜸했었다. 그것(뜸한 것)은 정말 좋은 것이지만, 레지오 행동단원에게는 그만큼 한가한 시간을 주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의사들이 병자가 줄어드는 것을 보는 것과 비슷할 것이다. 두 가지의 장례에서 하나는 이번에 이곳에서 일어난 충격적인 일가족 5명이 살해된 끔찍한 사건에 관한 것이고, 다른 것은 조금은 평범할 수도 있는 어떤 60대 남자교우에 관한 것이었다.
여기서 사실은 이 60대의 평범한 분에 관한 것이 결과적으로 나에게는 더 충격적인 이야기가 되었다. 이 ‘평범한’ 교우님은 해방둥이 남자로, 김태균 요한 교우이신데, 심근경색증으로 며칠 전 갑자기 돌아가셔서 23일에 연도가 있었고, 24일에는 장례미사가 있었다. 우리부부는 장례미사엘 갔었고, 예와 같이 고인의 명복을 빌게 되었는데, 그곳에서 아주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고인의 가족들을 보게 되었는데, 그 중에 고인의 형님이 바로 내가 한때 알았던 사람이었던 것이다. 그것도 거의 40년 전에 알았던 분이었다.
물론 모습으로 알 수는 없을 정도로 세월이 지났다. 하지만 장례미사 안내서에서 그 분 따님의 이름을 내가 알아본 것이다. 지금도 나는 어떻게 아직까지 그분 따님의 이름을 기억할 수 있는지 알 수가 없다. 아마도 나의 전 ‘서울식당’ blog에서 그 당시를 회상하며 쓴 것이 있었는데 그때 기억을 해 냈을 지도 모를 일이다. 그 분의 이름을 모르고 지냈으니, 사실 그분을 알아 볼 수가 없었던 일이었다.
비록 70대의 나이였지만, 자세히 보니 역시 그분이었다. 훤칠한 키에 멋쟁이 스타일 (옷), 그대로였다. 그 부인, 그러니까 세란이 엄마는 한 눈에 알아 볼 수가 없었다. 너무나 나이보다 젊어 보여서 그랬는지도. 가서 인사를 드릴 까 생각을 했지만, 역시 주저하고 말았다. 옛 사람을 찾는 것과 서로 다시 알고 지내는 것과는 별개의 문제임을 나는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역시 나만의 추억으로 간직하고 싶은 마음이 더 컸기 때문일까.. 하지만 지난 40년간 어떻게 지내셨는지 궁금하기는 하다.
이들이 누군가? 한눈에 알아보았다. 반세기 전에 보았던 신문 속의 흑백사진, 아직도 나의 뇌리에 남아있었다. 1964년 1월 1일 동아일보에 실렸던 설날 특집기사 중의 하나, ‘새해의 꿈’ 에서 그 당시 ‘최고의 여배우 5명‘ 들이 1964년에 바라는 꿈을 짧게 적어놓았다. 글 보다는 역시 이 사진이 이 기사의 주역이었다.
기억한다. 그 당시 동아일보는 ‘매년’ 1월 1일에 그 당시 최고 인기 여자배우들 5명을 뽑아서 큼직하게 사진과 함께 그들의 이야기를 싣곤 했다. 그런데 내가 유일하게 기억하는 것이 바로 이사진이었다. 다시 보고 놀란 것이, 내가 기억한 것이 ‘거의’ 정확했다는 사실.. 이것이 star power일까.. 그리고 50년이나 지난 현재의 미(美)의 기준으로 보아도 이들은 아직도 멋진, 미인들이라는 사실이다.
왼쪽부터, 전계현, 엄앵란, 김혜정, 태현실, 그리고 방성자.. 정말 그들은 그 당시 어린이, 어른 상관없이 사랑을 받던 우리들의 ‘멋지고 예쁜’ 누나들이었다. 그들은 과연 어떠한 인생들을 살았을까?
Young Lovers – Paul and Paula – 1963
‘젊은 연인들‘ – 당시를 풍미하던 ‘old fashioned love’ oldie
Wolfram Alpha? 이것은 한글로 어떻게 쓸까? 아마도 월프램 알파? 상관없지 않을까? 그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이것이 ‘무엇’인가가 더 중요하니까. Wolfram은 ‘머리가 기가 막히게 좋은 예외적인 천재 과학자’, software designer, entrepreneur..(소프트웨어 디자이너, 기업,창업가)의 수식어가 붙는 유대 계 영국인이다. Full name은 Stephen Wolfram(another Steve, oh no!).
머리가 좋은 것은 그의 이력으로 충분히 짐작이 간다. 영국에서 배경 좋고 머리 좋은 유대인가정에서 태어나 그곳 유명한 Eton school에서 아인슈타인을 능가할 정도의 두뇌로 학교와 선생님들을 ‘괴롭히며’, 어린 15세 때 이미 ‘물리 논문’을 발표했고, 곧이어 Oxford로 진학해서 particle physics (입자물리학)을 공부했는데, 그 학교 교수들의 가르침이 ‘지루하고, 재미가 없어서’, 결국 미국으로 와서 남들이 대학 3학년일 나이에 그 유명한 Caltech(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에서 Ph.D.(박사학위)를 받고, 그 3년 후에는 역시 유명한 MacArthur Prize(맥아더 賞)를 수상했다.
1959년생으로 나이 ‘겨우’ 50세 갓 넘은 그는 , 이 정도면 우선 천재 중에서도 예외적인 천재일 것이다. 수학, 물리학이 주 전공분야였지만, 나중에 그의 주관심사는 computer, computing분야가 되었다. Wikipedia로 그의 약력을 보면 전형적인 천재지만, 그는 조금은 겸손치 못한 천재인 듯 싶었다. 그 정도로 자가의 머리에 자신이 있는 모양이다. 머리 좋은 유대인 가정이 그러하듯이 그도 ‘머리 좋은’ 수학자와 결혼을 해서 4명의 자녀를 두었다. 생각에, 머리 좋은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그 자녀들의 IQ가 과연 어느 정도가 될까, 의문이 생긴다.
이 사람이 원래는 수학, 물리학으로 시작을 했지만, 점점 이론적인 computing system쪽으로 관심이 바뀌어서, Cellular Automata 분야를 그 유명한 Richard Feynman의 옆에서 연구하기도 했다. 1987년 Wolfram Research를 세우고 부터는 Mathematica 라는 symbolic mathematics (대수학)를 다루는 computer software를 개발, 판매하는 등 그만의 독특한 분야를 개척해 왔다.
1992년부터 2002년까지 그는 일생일대의 최대 과업을 수행했는데, 그것이 바로 그의 독특하고, 심지어는 논란의 여지를 낳은 저서 ‘A New Kind of Science, NKS’ 의 출판이었다. 1000 페이지가 훨씬 넘는 이 방대한 연구의 결과는 사실 그 여파를 가늠하기도 벅찰 정도다. 우주는 analog가 아니고 digital이라는 조금은 ‘유행적’으로 보이는 결론, 암만 복잡한 system도 비교적 간단한 computer software로 설명할 수 있다는 등등.. 논란의 여지가 없을 수 없는 논조일 것이다.
그의 computer중심의 물질,우주관: universe is computer라는 말은 예전에 Sun Computer, Scott McNealy의 network is computer라는 말을 연상시킨다. 다른 말로, 이들은 모든 것들을 너무 자기중심의 ‘사상’적인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도 들 정도다. 이 책이 출판된 뒤 몇 개월 뒤에(2002년)Charlie Rose와 interview한 것(아래에 보이는 비디오)을 보는 것이 이 책의 골자를 빨리 이해하는 첩경인데, 물리학자가 아닌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Charlie Rose Show에서 그 방대한 분량의 책을 쉽게 설명하려는 Walfram의 노력은 정말 가상할 정도다.Charlie Rose 인터뷰 video가 그 동안 server에서 사라진 관계로 대신 더 최근 video, 야심작 Wolfram Alpha를 소개하는 하바드 대학 강의를 아래에 실었다.
Stephen Wolfram introducing Wolfram Alpha at Harvard University
최근에는 그의 정열을 조금 다른 각도로 Google의 성역으로 도전을 하는 것인지, Wolfram Alpha라는 거대한 작품을 선 보였고, 결국은 다른 Steve(a.k.a., Rotten Apple)가 곧바로 이것을 Siri라는 것에서 쓰기 시작하면서 더욱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것은 Google의 search engine과 비슷하게 보이지만 목적과 결과가 사뭇 다르며 다른 말로 answer-knowledge engine에 가깝다.
Google은 keyword로, 찾으려는 ‘모든 관련된’ website의 location, link (address)를 알려준다. 알려준 곳을 찾아가서 ‘네가 찾는 것을 더 찾으라’는 것이다. 일단 출처를 알려주고 나면 Google의 목적은 달성되는 것이다. 찾으려는 그때부터는 정보를 찾으려는 사람이 역량에 달려있는 것이다. 하지만 Wolfram Alpha는 한 단계 이상 더 나아가서 그 결과를 찾아내어, 자기 나름대로 ‘정리’를 해서 report형식으로 건네주는 것이다. 물론 그것을 하려면 ‘방대한 super computer network’이 뒤에서 찾아내서 정리를 해야 하지만, 찾는 사람 입장에서는 대부분 거의 ‘자동적으로 불과 몇 초 만에’ 결과를 얻게 된다. 그것이 바로 rottenApple iPhone의 Siri 가 ‘신기하게 답을 제공하는’ 원리인 것이다.
나는, 생각하기에 따라서 21세기의 최고의 과학자가 될 잠재력’ 을 지닌 그를 이제까지 별로 잘 몰랐고 관심도 없었다. 그것이 불과 몇 달 전에 내가 home office에서 즐겨 이용하는 IP PBX (software-based PBX)인 PIAF (Pbx-in-a-Flash) 이라는 것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 rottenApple iPhone의 Siri(이것의 발음은 일본에선 ‘엉덩이’라는 뜻이다) 처럼,이 PIAF software에서도 Wolfram Alpha에서 제공하는 service를 쓰는 것이다.
간단히 말하면, PIAF에 연결된 전화기에서 4747(Iris, Siri를 거꾸로 쓴것)를 누르면, ‘질문’을 말하라는 prompt가 나오고, ‘영어’로 문제나 keyword를 말하면, 그것을 copy해서 반복을 하고, 확인을 하면 곧바로 그 ‘음성질문’을 Google의 speech-to-text service로 보내어(이것은 아직까지 무료) text로 바꾸어 다시 그 text를 Wolfram Alpha로 forward를 하면 그에 대한 ‘해답’이 text로 PIAF로 return이 된다.
그 시간이 불과 몇 초밖에 걸리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이것은 Siri와 거의 같은 PIAF만의 App인 것이다. 현재는 익숙지를 못해서, 아주 초보적인 질문 (weather, today’s history 같은) 밖에 못하지만, 시간이 흐르면 일상적으로 유익한, 학문적으로도 도움이 되는 정보를 computer가 아닌 ‘전화’로 얻게 되지 않을까.. 희망을 해 본다. 참, 흥미진진한 세상을 살고 있다.
내가 살고 있는 이곳, 아틀란타 metro지역의 한인사회도 그 동안 참 많이 변했다. 물론 이런 말 자체가 참 진부한 표현일지는 모르지만 (세월이 지나면 변하는 것이 정상이니까), 문제는 별로 좋지 않게 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 표현도 조금은 과장된 것일까? 어떤 사회가 좋지 않게 변한다는 것, 단정적으로 말할 수는 없다. 사람이 많이 모이면 모일수록 ‘평균화’ 되는 것에 불과할지도 모르니까.
여기서의 사람들이란 이곳 아틀란타 메트로 지역에 사는 한국인들(얼굴과 언어에 의한)을 말한다. 어느덧 이곳에 산 것이 내 나이의 거의 삼분의 일에 가까워 오니 주제넘은 소리지만 조금은 잡다하고 소란스러운 일상생활의 잡음을 초월한 높이에서 이곳을 생각하고 볼 수 있게 되었다.
나의 지난 세월의 꿈이 담겨있는 이 blog에서 내가 사는 곳에 대한 부정적인 현재에 대해서 쓰고 싶지는 않았지만, 어제 알게 된 충격적인 뉴스로 조금 생각을 바꾸었다. 그 뉴스는 이곳에서 sauna spa(한국식 찜질 방?)를 경영하고 있는어떤 다섯 명 한인가족의 집단 총기 살인과 범인의 자살에 관한 것이었다. 너무나 끔찍한 것이라서 national news (msnbc)로까지 알려지고 이곳에선 떠들썩하다. 이곳도 위성채널에 이 지역전용 한국방송이 매일 나올 정도가 되어서, (우리만 빼고) 거의 대부분이 그것을 보고 알았을 듯하다.
요즈음에는 미국에선 이런 종류의 뉴스(집단 총격사건)에 많이 익숙해져 있지만, 문제는 별로 ‘총기 문화(gun culture)에 생소한’ 한인사회에 까지 이런 일이 일어났다는데 있다. 게다가 사망한 가족 중에는 우리 (정확하게는 연숙)에게 잘 알려진 사람도 있었다는 사실에 놀라서 입을 다물지 못했고 심지어는 겁까지 나기도 했다. 어제는 사실 2012년 사순절(Lent)의 시작인 ‘재의 수요일(Ash Wednesday)’이어서 조금 더 삶과 죽음의 의미를 생각하고 다가오는 40일(사순)을 준비하는 날인데 이런 충격적인 일이 일어난 것이다.
사건의 내막은 대강 짐작을 할 수 있었다. 쉽게 말해서 ‘시한폭탄(time bomb)’ 터졌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올 것이 결국은 온 것이었다. 전혀 희망이 없는, 이미 전에 총기 집단 살인, 자살기도 경력을 소유한 인생패배자, 인간이기를 이미 오래 전에 거부한 패륜아인 그런 시한폭탄과 같이 살아야만 했던 가족들의 고통은 짐작이 가지만, 그래도 조금은 다른 방법으로 살 방도는 없었을까?
살인,자살극(murder-suicide)’의 주범인 남자동생은, 이번에 우발, 충동적인 요소도 다분히 있었지만, 유서까지 남길 정도로 계획을 한 ‘전과자’로 이것은 누가 보아도 이유여하를 막론하고 ‘절대로, 절대로 용서받지 못할 비겁한’ 살인범죄행위였다. 우리가 믿는 천주교의 교리에 의하면 그의 영혼은 연옥의 근처도 못 가고 지옥으로 직행하는 케이스인 것이다. 영혼조차 회개의 가능성이 제로이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것을 보면서, 역시 먼 곳과 높은 곳에서 삶과 죽음, 그것들의 의미를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다. 지루하면서도 바쁘고 피곤하고 정신 없이, 로보트처럼 살아가는 대부분의 ‘생활인’들, 예전에 나도 그 중의 하나였다. 가끔 느끼는 작은 기쁨은 있었을지 몰라도, 인생이란 것에서 제일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확실히 모르며 살았다. 한 마디로 인생의 보편적, 절대적인 나침반(羅針盤)에 의지하지 않고 나만의 생각으로 산 것이다. 그런 ‘생활인’들이 대거로 이곳으로 이주하면서 이곳도 많이 달라졌다. 좋게 말하면 한인사회의 평준화가 되어가고 있다고나 할까.. 아니면 ‘하향 평준화’가 더 정확한 표현일지 모르지만.
우리는 사실 ‘상상도 못할 life style‘을 자랑하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음을 안다. 이번에 일어난 위의 끔찍한 사건도 그런 논리의 연장으로 보면 쉽게 이해가 간다. 기회와 부(富)를 찾아서 온 평범한 사람들이 대부분이겠지만, 숫자가 많다 보니 극히 예외적인 인간군상도 없을 수가 없는 것이다. 그래서, 그래서 1996년 전의 시대가 지금은 그립다. 그때, 아틀란타 올림픽 전의 ‘촌스럽지만’ 평화로웠던 시대 말이다. 최근의 지독한 불경기로 한인사회도 팽창의 추세가 주춤하고 있고, 심지어는 떠나는 사람도 있다고 하지만, 절대로 절대로 옛날의 소박한 평화의 시절로 돌아갈 수는 없는 것이다.
The Right Stuff.. 책과 영화의 제목.. 미국의 우주개발 초창기 때에 관한 얘기들, 특히 첫 프로그램이었던 머큐리의 7인 우주비행사 (우주비행사를 미국에서는 astronaut, 당시의 소련에서는 cosmonaut라고 했다) 들에 관한 이야기들이다. 바로 50년 전, 그러니까 반세기 전, 오늘이 이 프로그램의 절정에 해당하는 기념일이라고 할 수 있다.
1962년 2월 20일은 소련에게 완전히 선두를 빼앗겼던 미국의 첫 완전 지구궤도 비행이 성공한 날이다. 그 우주인이 아직도 90세로 건재한 한국전에도 전투기 조종사로 참전했던, 해병대 중령출신인 존 글렌, John Glenn, 그는 1969년에 달에 사상 최초로 착륙한 Neil Armstrong과 같이 Ohio주 사람으로, 나중에는 오랫동안 연방 상원의원으로 정치를 했고, 한때는 미국 대통령으로 출마를 하기도 했다.
The Right Stuff의 영화를 보면 짐작이 가듯이 그는 7인의 astronaut중에서도 유별나게 ‘도덕적, 신앙적’인 사람이었고, 그런 곧디 곧은 성품으로 전 인생을 보낸 셈이고 90세인 지금의 나이에도 전혀 나이에 의한 장애를 느끼지 않는 듯한 그야말로 몸과 마음이 건강하게 보인다. 나는 이 미국의 첫 지구 궤도비행 성공 소식을 서울에서 중앙중학교 3학년이 시작되기 전 2월에 신문과 라디오 방송으로 들었다.
미국, 소련의 심각한 냉전의 공포 속에서 두 초강국은 우주경쟁을 전쟁의 연장으로 보았다. 하지만 초창기부터 이것은 미국의 절대 열세였다. 1957년의 Sputnik 소련 인공위성을 필두로 Yuri Gargarin의 사상 첫 소련 우주인 탄생 등등 계속 소련의 연전 연승이었다. 그럴 때, 미국은 로켓을 쏘아 올릴 때마다, 거대한 화염에 싸여 곧 추락을 하곤 했다. 한마디로 미국의 체면이 말이 아니었다. 그러다가 젊고도 젊었던 40대의 케네디가 대통령이 되고, NASA가 본격적으로 가동을 하면서, 이렇게 John Glenn의 성공적인 첫 궤도비행이 탄생한 것이다.
소련의 입장에서 보면 사실 이것은 별 것이 아닐 수도 있었다. 하지만 미국과 미국인들에게 끼친 심리적인 효과는 정말 상상을 초월한 것으로 보인다. 조금 자신감이 생긴 것이고, 케네디 대통령의 “1970년 전까지 인간의 달 착륙과 귀환” 공약까지 나오게 되고, 결국은 이것을 출발점 으로 1969년 여름에 달에 착륙을 함으로써 미국의 승리로 끝나게 된 것이다.
1962년부터 시작된 미국의 space program은 정말 흥미진진한 것이었다. 나는 곧이어 중앙중학교 3학년이 되면서 같은 반에 있던 윤태석이 수시로 가져다가 교실 뒤의 벽에 붙여놓은 우주 프로그램의 총천연색 화보 (아마도 미국 공보관을 통해서 나온 것)를 보면서 비교적 자세히 알 수 있게 되기도 했다.
그 당시의 신문을 다시 보게 되면서, 그때의 우리들을 생각한다. 그전 해(1961년)에 5.16군사혁명으로 박정희 의장시절이었다. 그러니까 민정으로 이양이 되기 전, 군사혁명 국가재건최고회의에 의해서 모든 것이 통치되던 시절이었다. 경제는 말도 아니었고, 미국 원조 수준은 떨어지고, 휴전선 너머에는 살이 더 찐 김일성 개XX가 침을 질질 흘리고 있고.. 철전지 원수 일본은 우리 동족간의 전쟁 덕분으로 날로 부강해지고, 급기야 올림픽을 눈앞에 두었고, 우리는 구차스럽지만, 일본에게 돈을 꾸어달라는 외교를 해야만 했던 그런 시절.. 하지만 박정희는 ‘한가지를 향해서’ 뒤도 안 보고 달리기 시작하던 그런 시절이었다.
그럴 때, 우리에게는 ‘평화의 십자군’ 으로 보이던 미국에서 이런 신나는 소식이 온 것이고, 따라서 우리는 박수 갈채를 보내던 그런 시절이었다. 그리고 우리도, 무언가 앞으로 ‘잘 풀릴’ 것이라는 그런 희망들이 조금씩 싹트기 시작한 시절이기도 했다.
Bert Kaempfert – “Wonderland By Night” ‘밤하늘의 트럼펫’, 그 당시의 hit instrumental melody
¶ 우등 한번 못해본 서울대 수석합격: 김두철을 다시 찾았다. 나의 재동국민학교 동창, 3학년과 6학년 때 같은 반이었고 특히 6학년 때는 나와 같은 ‘1 분단’에 있기도 했던 ‘머리 좋은’ 동창이다. 나의 재동국민학교 추억에 관한 blog에서 잠깐 언급을 했었는데, 그 당시에는 100% 나의 머리 속에 남아있던 기억력으로 쓴 것이었는데, 이번에는 의외의 도움(Internet, what else?)으로 그의 이름을 다시 보게 되었다.
1966년 2월 중순경의 일간지는 서울 주요 대학입시 합격자 명단이 실려 있는데, 그 가운데 조그만 기사 중에 김두철의 사진과 이름이 보였다. 그 것이 동아일보였는데, 지금 생각을 해 보니 아주 어렴풋이 그 기사를 그 당시 나도 본 것 같은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 반세기가 가까이 되는 엄청난 과거였으니.. 역시 확실하지는 않다. 그 기사는 김두철이 서울대학 ‘전체 수석’ 합격자 였다는 기사였다.
그는 서울공대 전자공학과를 지망했는데, 거의 만 명이 넘는 지원자중의 수석 합격자였던 것이다. 국민학교 시절, 김두철은 ‘항상 일등, 우등생’이었는데, 아마도 경기중,고에 진학하면서 1등은 별로 못했던 듯, 우등을 못해본 수석합격이라고 기사는 강조를 했다. 본인이 ‘점수벌레’를 싫어 한다고 했지만, ‘의외로 수석’이 되었다고.. 참 이렇게 부러운 친구가 있을까? 그러니까, 별로 ‘노력을 안 했어도’ 그렇게 되었다는 말이 아닌가?
이런 심리는 아마도 ‘일류 심리’에서 비롯 되었을 듯 하다. ‘거의 항상 top’으로 일관을 했으니, 크게 자랑스러운 것도 없다는 뜻일까? 평소의 실력으로 그렇게 되었다는 말이 조금은 거슬리기도 하지만, 어찌하랴.. 그렇게 태어났으니. 이 기사로 나는 그가 나와 같이 ‘납북자’ 가정, 편모슬하의 외아들이라는 것도 알게 되었지만 우리 집과 다르게 그의 어머니는 이화여대 교수(金蓮玉, 당시 41세)였다. 그의 아버님은 서울 공대교수로 재직 중 육이오 동란 시 납북이 되셨다고 했다. 그러고 보니 우리 집과 참 비슷한 환경이었다.
국민학교 시절에는 그런 것을 전혀 모르고 지냈다. 게다가 기사는 김두철이 절대로 ‘공부벌레’가 아니라는 것으로, ‘산 사나이’라는 것을 강조했다. 그의 장기는 rock climbing이라고.. 기자조차 부러운 듯이 “힘껏 공부하고 맘껏 노는 화려한 대학생활”을 예상했는데, 과연 그는 어떻게 대학생활을 했을까? 그는 지금 어떤 ‘업적’으로 이름을 ‘크게’ 남겼을까 궁금하다.
¶ 뼈 속으로 스며드는 듯한 차가운 안개 비가 하루 종일 나리는 2월, 중순이 완전히 접히고 하순으로 접어드는 일요일, 무슨 꿈에서 깨어나는 듯이 놀란다. 어느새 2월의 삼분의 2가 없어졌나? Groundhog Day, Lincoln’s Birthday, Valentine’s Day.. 모두 지나갔다. 내일은 President’s Day, 그것이 문제가 아니다. 화요일은 Legio (Mariae) Tuesday인 동시에 Mardi Gras, 그러니까 그 다음날 수요일이 중요한 날인 것이다. Ash Wednesday(재의 수요일)인 것이다.
작년에 비해서 올해는 새해부터 거의 예외 없이 high note로 지내왔다. 그러니까, euphoric하다고나 할까? 이 나이에 ‘신난다’는 표현은 어불성설이고, 아마도 ‘잔잔히 들뜨는’ 그런 기분이라고나 할까? 지난 10년간 항상 나는 depression속에서 살았다고 ‘나의 역사’를 만들었지만 지난 한 달여를 보면서 아마도 나는 서서히 그런 길었던 ‘동면’의 기간에서 나오고 있는지 모른다는 생각을 한다. 몇 가지의 ‘단순한 계기나, 이유’로 그렇게 어두운 터널에서 나왔다고는 절대 생각 치 않는다. 그 이상의 무엇이 작용을 했을 것이다. 이것은 나뿐이 아니고 나의 반려자도 같이 느끼는 듯 하니까, 아마도 맞을 듯 하다. 그 이상의 것은 과연 무얼까?
Ash Wednesday, 재의 수요일, 2월 22일은 2012년 부활절 (Easter) 전까지 교회력으로 40일간 계속되는 Lent (사순절)의 시작이다. 예수님의 Passion (수난)을 거치며 부활의 절정에 이르는 기독교신앙의 절정기에 속하는 정말 중요한 40일이 수요일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개신교는 어떨지 몰라도, 천주교는 아주 ‘겸손, 절제, 회개’로 이 시기를 보내게 되는데, 이제는 나도 조금 익숙해져서 미리 생각도 할 수 있게 되었다.
재의 수요일 바로 전날은 Mardi Gras (Fat Tuesday)는 ‘고난의 40일’ 전에 마음껏 ‘세속의 맛’을 느끼자는 축제의 절정인데, 이곳에서는 New Orleans (Louisiana주) 의 Mardi Gras 축제가 유명하다. 재의 수요일 미사에서는 작년의 Palm Sunday에 썼던 palm tree leaves(종려나무 잎)을 태운 것을 기름이나 물에 섞어서 신부님께서 신자들의 이마에 십자가를 그려주신다. 대부분 저절로 없어질 때까지 이마에 그것이 보이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이 재는 아마도 이런 뜻이 있을 것이다. 창세기 3장 19절(Genesis 3:19)의 “Remember that thou art dust, and to dust thou shalt return“.. 그러니까 사람은 먼지에서 왔다가 먼지로 돌아 간다는 뜻이 아닐까?
이날로 시작되는 사순절, 40일을 올해는 어떻게 보낼까? 회개와 절제와 고행.. 말은 간단하지만 실제로 하려면 복잡해진다. 회개는 물론 고백성사를 통해서 공식적으로 할 수 있지만, 다른 것들은 개개인마다 천차만별일 것이다. 어느 해에는 좋아하는 커피를 완전히 끊기도 했고, ‘절대로’ TV를 안 보기도 했다. 하지만 이것의 요점은 역시 왜 그렇게 하는가를 묵상하며 하는 것이다. 그러려면 역시 성경을 중심으로 한 ‘영적인 공부’가 중요할 것이다. 또한 나는 레지오 단원이라서 이것 외에도 하려면 할 것이 너무도 많다. 얼마나 의지력을 가지고 실행을 하는 가 그것이 문제일 것이다.
¶ The Rotten Apple, 이제는 완전히 부풀어 오른 monster기업, 크기가 이제는 Microsoft와 Google을 합한 것 보다 커진 상태가 되어서 결국은 조금은 defensive한 모습을 보이기 시작한 듯, 중국 내 산재해 있는 ‘조립공장’의 열악한 환경을 규탄하는 단체들과 비우호적인 언론의 압력을 의식한 듯하다. 물론 이 문제는 ‘문제의 진실’을 누가 조직적으로 파헤치지 않는 한, 어느 쪽이 옳다고 볼 수가 없는 성질의 복잡한 것이다. 이럴 때는 결국 ‘가진 자’가 결백하다는 것을 증명해야 하는 것이 옳지 않을까?
금고에 넘쳐서 어쩔 줄 모르는 그 억수같이 많은 돈을 경쟁적인 기업을 소송하는 노력만큼 자기의 ‘결백’을 증명하기는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닐 듯하다. 그들의 덩치가 이제는 예전같이 빨리 움직일 수도 없고, 움직인다 해도 예전같이 ‘독립적이고 자유스러운’ 입장이 절대로 아니다. 현상유지를 하려면 ‘어떤 술수’라도 써야만 하는 아주 어려운 입장인 것이다.
이것을 보면서 나는 앞으로 닥칠 필연적인 문제는 그들의 stock price가 얼마나 올라가느냐가 아니고, 엄청난 technology outsourcing (more than manufacturing) 에 의한 중국기업의 세계적인 일류기업으로 발 돋음인 것이다. 최근의 세계적인 최첨단 기업의 역사를 보면 결과가 어떨지 상상하기 어렵지 않을 것이다.
¶ 황동규시인 너무도 오랜만에 황동규 시선 “三南에 내리는 눈” 을 꺼내어 읽어보게 되었다. 비록 vinyl cover 덕분에 겉은 멀쩡했지만 속을 펼치니 거의 目不忍見.. 너무나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거의 30여 년간 빛을 별로 못 보다가 근래에 무슨 골동품 고서처럼 나의 앞에 나타나게 된 것이다.
이 시집에 대한 특별한 사연은 나의 2010년 blog에 이미 밝혀 두었고, 기록을 위해서 재빨리 사진까지 찍어 놓은 이후에는 항상 나의 눈에서 떠나지 않는 곳에 꽂아 놓았다. 지금 보니 2년 전보다 낱장들이 더 ‘노랗게’ 변했다. 질이 낮은 인쇄 종이를 써서 그럴까, 아니면 ‘지독히도 긴 세월’ 덕분일까.. 다른 한편으로는 무슨 ‘고서’ 같은 기분이 나쁘지는 않다. 그래서 부랴부랴 책 ‘전체’ 를 typing하기 시작했다.
이제야 황시인의 그 당시 시 세계를 어렴풋이 짐작하게 되었다. 시대적으로도 아주 내가 회상하기 좋은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그의 시 세계.. 그 시대는 나에게도 너무나 그립고, 잊고 싶지 않은 때가 아니었던가? 황시인도 이제 나이가 70세 중반으로.. 서울고, 동숭동 서울대 출신, 그때의 그 세대 선배들의 대강 몸가짐과 모습들, 그리 상상하기 어렵지 않게 그리운 모습들..
이번에 새로 알게 된 사실은 (wikipedia에서) 이 황동규시인이 바로 그 유명한 원로 소설가 황순원씨의 장남이었다는 사실.. 그 동안 왜 내가 그것을 몰랐을까? 너무나 의외롭다. 황시인과 어울리던 ‘친구’ 마종기, 김영태 제씨들.. 나도 익히 듣던 반가운 이름들.. 어떻게 이 세분이 친구가 되었는지, 그것을 찾아보는 것이 다음의 과제다. 현재의 Wikipedia의 황동규 페이지는 사실 너무나 빈약한 듯 보인다. 혹시, 희망에, 내가 더 알아내는 것들이 있다면 그것을 더 멋지게 만들고 싶다
겨울밤 노래 황동규
조금이라도 남은 기쁨은 버리지를 못하던
해 지는 언덕을 오를 때면 서로 잡고 웃던
해서 눈물겹던 사내여 오라
우리 같이 흰 흙을 핥던 午後에는 배가 안
고프고
언덕에서 내려뵈던 깊은 黃昏
캄캄하게 그 黃昏 속을 달려가던 사내여 오라
겨울날 빈 터에 몰려오는 바람소리
그 밑에 엎드려 얼음으로 목을 추기고
얼어붙은 못 가에
등을 들판으로 돌리고 서서
못 속에 있는 우리의 마음을 바라볼 때
몸과 함께 울던 우리의 옷을 보라
걷잡을 수 없이 떨리던 손
그 떨리는 손에는 네 목을 잡고
머리칼 날리며 빙판에 서서
서로 마주 보며 네 목을 잡고
내 들려주리
쓰러지지 않았던 쓰러지지 않았던 사내의
웃음을
어둡다 말하면 대답소리 들리는
쇳날을 만지면 살이 떨어지는
그런 떨리는 노래는 이제 우리에게
서로 붙잡은 우리의 어지러움
어지러움 속으로 길은 헐벗고 달려가고
그 길 끝에 열려 있는 술집은 이제 우리에게
친구여 너는 술집의 문을
닫아도 좋다
문을 닫아도 바람소리 바람소리
우리 같이 흰 흙을 핥던 午後에는
배가 안 고프고
그때 땀 흘리던 우리의 배를 記憶하라
열린 채 땀 흘리던 우리의 배를 記憶하라
하면 아침이 눈길 위로 올 때까지
우리 서로 얼음 냄새를 풍기며
때로 주먹으로 壁을 두드리고
기름냄새를 맡으며
줄어드는 심지를 바라보며
단추 떨어진 우리 젊은 날의
어둡다 말하며 벗어던진 옷을 말리자.
Same-sex marriage? 이것도 말이 되나? 이런 것들은 ‘오래 살아서 봐야만 하는 괴로운’, 그런 case에 속하는 대표적인 것이다. 이것이야 말로 oxymoronic한 것이 아닐까? 어떻게 same-sex가 결합과 결혼이 되냐? 이것은 간단한 ‘변태, pervert‘ 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조금은 다른 각도에서 보아야 할 듯하다. 그것보다 더 심각한 것이기 때문이다.
제일 쉽게 자연스럽게 상상할 수 있는 것, 그들의 ‘성행위’ 를 그려보면 간단히 짐작할 수 있다. 그런 상식적이고 자연적인 이유로 인류 역사이래 그들은 그 오랜 세월 그늘 속에서 숨어 살아왔을 것이다. 이것은 ‘종교나 도덕률’을 떠나서 생물학적, 인류학적으로 생각을 한 것으로 그들은 한마디로 ‘정상적’인 인간들이 아닌 것이다. 이유야 어떻든 그렇게 태어나고 싶지 않다고 우겨도 그것을 정상적이라도 우길 수는 절대로 없는 것이다.
그들을 어떻게 대하는 가는 별도의 문제지만, 출발점은 한가지다. 그들의 생활방식은 한마디로 지독한 변태인 것이고, 인간의 퇴보된 형태인 것이라는 사실이다. 이것을 엉뚱하게 ‘민권(civil right)’ 문제로 비약을 시키고, 차별을 받는다고 우기는 단계를 이제 훨씬 넘어서서 그들은 가정(엄마+엄마, 아빠+아빠?)을 가지겠다고 우긴다. 이런 것이 어떻게 이 지경까지 오게 되었는지, 나는 정말 이해를 할 수가 없다.
그들을 왕따 시키거나 공공연히 차별하는 것도 절대 반대지만, 그들을 main stream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어불성설인데, 이 세상이 어쩌다 이렇게까지 타락(이것은 사실 퇴보다)을 하게 되었는지.. 이렇게 모든 것을 ‘상식을 떠난 궤변‘으로 법을 만들라 치면, 다음 단계는 무엇일까? 아마도, ‘합법적, 근친결혼’이 다음 단계일 것이다. 그 다음은? 내가 homophobia일지도 모르지만, 무섭다.. 어찌 상상을 하랴? 역시 내가 너무 오래 살았나 보다.
¶ 오랜만에 날씨에 관한 것이 잡스러운 뉴스를 비집고 고개를 내밀었다. 그런데 이것도 사실 놀랄만한 것이 하나도 아니다. 오래 산 ‘기억과 경험의 축적’ 탓인가.. 아무리 진짜 겨울, 1월이 별볼일 없더라도, 2월과 3월이 겨울의 진면목을 보여 줄 확률이 생각보다 높다는 사실을 안다. 특히 지난 20년 동안이 더욱 그렇다.
그런 추세의 예외가 바로 작년 한 해였다. 좌우지간, 꽃들이 만발하려 ‘완전히’ 준비가 되어가던 차에 드디어 시베리아의 바람(이곳은 캐나다의 바람, Alberta Clipper?)을 느끼게 되었다. 오늘은 낮에도 빙점에서 맴돌며 내일은 드디어 (섭씨) 영하 10도? 이런 때에 나는 오랜만에 다른 종류의 cold, 감기로 고생을 하게 되었다.
사실은 감기란 것이 고생까지는 아니지만, 거추장스럽다고나 할까.. 특히 편도선이 붓는 것이 제일 고역이고, 다음으로 진행되는 콧물,눈물..재채기.. 마지막으로 기침.. 우리 신부님 말씀대로 ‘코를 만지지 말라’는 경고를 무시했던 모양이다. 더 심술스러운 다른 병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에 비해 애교 정도로 보이는 것이 감기나 독감이지만, 섣불리 안심하는 것은 사실 그렇다. 1994년 큰 딸 새로니가 ‘조그만’ 감기로 시작한 것이, ‘거의 사경’을 헤매던 악몽으로 이어졌던 것을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 특히 나와 같은 60+ 나이에는 더욱 그렇다.
¶ 우리들의 사회적, 과학적, 문명적인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점쟁이들의 수준을 훨씬 넘어서 아주 심각한 ‘학문’의 영역이다. 미래학회 같은 곳은 정기적으로 학회지도 간행하는 과학적인 방법으로 미래를 연구하는 단체이다. 이들의 주장을 자세히 보면, 최소한 내가 보기에, 대부분 ‘공상적’인 느낌을 많이 준다.
다른 말로 하면 그 정도로 미래를 미리 느끼기가 힘들다는 것일까. 그들은 분명히 과거와 현재의 상태에 근거해서 추측(extrapolation) 하는 것일 것이다. 한마디로 수학적(통계,확률)인 방법을 쓰는 것이다. 며칠 전에도 그런 류의 소식 중에: 인간의 수명이 150세 이상 200세까지 될 날이 ‘멀지 않았다’ 는 것도 있었다. 이것은 major network news에서 본 것이라서 신빙성도 있는 것이었다. 과연 그럴까?
분명히 지금 진행되고 있는 과학적 연구들 중에서 가장 좋은 예들을 골라서 나온 best case일 것이다. 수명이 늘어나는 것, 우선은 반가운 것으로 들리겠지만, 이것도 과연 그렇게 간단히 ‘무조건’ 좋기만 할까? 50년 전의 미래학의 ‘함정’을 보면서 이것도 not so fast!의 한 예가 되지 않을까 생각을 한다.
아래에 있는 사진은 1950년대에 ’50년 후인 2004년의 home computer’를 상상, 예측하고 RAND corporation(당시의 IBM)에서 만든 것이다. 설명을 보면, 가정에서 쓰는 이 컴퓨터는 teletype terminal과 FORTRAN을 쓸 것이라고 되어있다. 웃지도 못할 미래학의 결정체가 아닐까? 미래학 함정의 극단적인 케이스라고 그냥 웃을까? 이것의 치명적인 과오는 불과 몇 년 후에 출현할 반도체(solid state, transistor, IC)를 전혀 예측 못했다는 사실이다.
1950년대에 상상한 2000년대의 가정용 컴퓨터
¶ 얼마 전에‘얼마 남지 않은 미국의 양심, 희망’ PBS-TV 에서 작년 3월 12일 경의 일본 도호쿠(東北)지방의 지진,쓰나미(해일), 잇달아 생긴 후쿠시마 다이이치(福島 大一) 원자력 발전소(원전) 사고(nuclear meltdown)로 인해 큰 타격을 받은 원전의 안전과 미래에 대한 FRONTLINE (주로 문제점 분석 중심) 프로그램, Nuclear Aftershock 이 방영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일본재난의 1주년에 맞추어 제작한 듯 한데, 당시에 발생한 비극적인 인명(18,000명 이상 사망),재산 피해보다 장기적인 원전사고의 후유증과 그로 인한 세계적 에너지 공급문제를 객관적으로 분석했다. 이 프로그램을 보면서 생각한 것 중에는: 인간이 원자력을 장기적으로 안전하게 control할 수 능력의 한계, 원자력의 매력과 그것을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가 생각보다 적다는 사실, 미국에 있는 원전들이 생각보다 덜 안전하다는 사실은 비록 쓰나미의 위협이 적음에도 그것과 맞먹는 최악의 사고 시나리오가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음산’한 현실 같은 것들이 있다.
그리고 지난 해의 사고 이후 독일의 ‘성급해 보이기도 하는’ 100% 원전 포기선언과 원전대신으로 전통적인 화석연료 발전소를 이용한다는 조금은 의아한 결정같은 것이 있다. 이 결정은 ‘지구온난화 문제’ 해결에 정면으로 대결하는 결정이기 때문이다. 이래저래, 이 ‘에너지’ 문제는 참 간단한 것이 아닌가 보다.
내성적인 사람들의 시대.. What? ‘오래 살다 보니 이런 별일이..’ 라는 느낌을 받을 때가 종종 있는데, 이것도 그런 부류에 속한다. 기억에, 제일 ‘큰 별일’ 에는 20년 전쯤, ‘공산당 종주국’ 소련(Soviet Union)이 해체 된 ‘역사적 사건’ 이 있었다. 나의 살아생전에 그런 일을 볼 수 있을까 하는 그런 그런 것.. 또한, 다른 것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도 있었다. 고국 한국이 경제적으로 일본을 따라갈 수 있을까.. 하는 것. 그것이 이제는 예전처럼 아주 불가능한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한마디로 오랜 conventional wisdom이 ‘하루아침에’ 바뀌거나 생각보다 빨리 무너지는 그런 것이다.
그러다가 지난 주의 Time magazine에는 급기야 ‘내성적인 사람의 시대'(Health Special: an article by Bryan Walsh, The Power of Introverts) 라는 특집기사가 실렸다. 내가 내성적인 인간이다 보니 이것은 아주 흥미로운 기사가 아닌가? 내성적(being introvert)인 것과 수줍어(shyness)하는 것을 연관시켜서 다루었는데, 결론적으로 말해서, 시대(문화)가 변하고 있어서 이제는 과거처럼 외향적인 사람이 더 쉽게 유명하게 되고, 성공하는 시대가 아니라는 것이다. 나는 이 두 가지 (내성적, 수줍음)에 다 해당을 해서, 이런 시대가 왜 더 빨리 오지 않았을까, 하는 불만도 생긴다.
사람의 성격이란 것이 어찌 그렇게 2가지만 있으랴마는 많은 사람들은 그 중간에 속할 것이다. 나는 99% 내성적인 부류고, 아내 연숙은 분명히 외향적인 쪽에 치우치는 중간일 듯 싶다. 이런 것은 역시 유전적인 것으로 본인의 의지와 상관이 별로 없다는 것도 밝혀졌다. 나의 아버님도 내성적이었다고 들었고, 어머님도 외향적은 아니었다. 본인의 의지로 바꾼다고 해도 성격을 바꾸는 것이 아니고, 겉으로 바뀐 것처럼 보여도 그것은 아마도 ‘연극’에 가깝다고 한다. 내가 생각해도, 그것이 맞는 것 같다. 사회생활이란 자체가 개인, 단체들이 교류를 하는 ‘외향적’인 활동인데 그곳에서 생존하는 방법은 역시 필요에 의해서 외향적인 것처럼 행동을 하는 수 밖에 없으니까..그래도 내성적인 사람들은 그런 ‘교류 활동’을 마음속 깊이 편하게 느끼지는 않는다.
여기서 내성적인 것이 재평가를 받게 된 것은, 오랜 동안 ‘단점만 크게 부각되는’, 과소평가를 받았기 때문인 것이고, 이것도 시대와 사회문화적 변화에 따라 이렇게 재조명을 받는 것 같다. 두 가자 부류(내성적, 외향적)가 모두 거의 같은 정도로 장, 단점이 있는데 한쪽만 지나치게 평가를 받았다는 것이다. 이런 것을 보면서, 나의 지나간 ‘인생’을 생각한다. 어릴 적 지독히도 사람들 앞에서 수줍어 하는 나를 어머니는 정말로 걱정하셨다. 이 ‘험한 남자들의 세상’에서 어떻게 살아갈까 하는 그런 생각이셨을 것이다. 줄을 서도 밀려 밀려 제일 뒤로 밀리고, 수업 중에 바보같이 보일까 봐 질문도 잘 못했다. 사람들이 많은 곳에 가면 겉으론 멀쩡해도 속으로는 계속 불안했다. 나를 포함해서 누구나, 이런 내성적인 성격으로 많이 ‘손해’를 봤을 것이라고 생각하기도 했다. 하지만, 물론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생각을 남보다 많이 하는 편이고, 남보다 더 조심하며 일을 하니까, 남보다 큰 실수는 적었을 것이고, 사람들 사이에서 즐거움을 찾는 것 만큼 내 안에서 즐거움을 찾는 것도 별로 큰 차이가 없었으니까.
이 기사를 통해서, 새로 알게 된 사실 중에는 정치가들 중에 많은 사람이 내성적인 사람들이라는 것이고, 대표적인 예로 ‘그렇게 말을 잘하는’ 현직 ‘미국’ 대통령인 President Obama(오바마)가 그 중에 한 사람이고, 현 국무장관 (Hillary Clinton)힐러리 클린턴도 그쪽에 속한다. 현재 공화당 대통령 후보 중에는 Mitt Romney, Ron Paul이 내성적 인물이다. 그런 조명으로 이들을 보면, 대강 이해가 간다. 남들보다 그들은 조금은 주저하는 듯 하지만 대신 아주 신중하고, 치밀하다. 그러니까 아주 치명적인 실수는 피하는 것이다. 정반대 쪽에는 전직 대통령 빌 클린턴과 전 국회의장, 현 공화당 후보중의 한 사람인 Newt Gingrich가 있는데, 이들이 외향성의 위험한 면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케이스다. 빌 클린턴은 ‘아주 위험한 여자관계’로 탄핵의 고초를 겪었고, Newt Gingrich는 ‘과대망상적인 큰소리, 복잡한 여자관계’로 아직까지 피해를 겪는 셈이다. 한마디로 말해서 하느님은 인간은 ‘그런대로’ 공평하게 설계한 것일까?
시대가 지식, 정보사회로 점점 접어들면서 아무래도 직접적인 인간관계보다는 자세하게, 치밀하게 생각하고 분석하는 쪽의 중요성이 아무래도 부각이 될 것이다. 대강 30% 정도가 내성적이라고 분류가 되는 것을 보면 대부분은 이 밖의 ‘비 내성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니까 대다수는 외향성이라고 보아야 한다. 그 동안 내성적인 ‘소수파’가 이들에 ‘눌려서’ 살았지만, 세대와 시대는 변하고 흘러서 어느덧 이들이 ‘동등한 위치’를 찾게 되었는지.. 참 인생 후반에 찾아온 반가운 소식이라고나 할까..
2012년 2월, 이제 ‘완전히’ 과거가 된 2011년을 마지막으로 돌아보는 때가 되었다. 대부분 년 말이 다가오면 지난 해를 기억하고 정리를 하지만 한 해가 완전히 지난 때 하는 것이 더 정확할 것이다. 이런 것을 나의 제일 활동적인 나이에 했으면 얼마나 더 효과적이었을까 하는 아쉬움은 있지만 지금이라도 하는 것도 다행이라고 자위를 한다. 지난 2011년 나에게 제일 중요한 정치 사회적, 개인적 뉴스, 사건, 일들은 과연 무엇이었을까?
유지호, 나의 원서동(苑西洞) 죽마고우(竹馬故友)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친구, 별로 잊고 산 적이 없는듯한 착각도 든다. 헤어져서 못 보고 산 세월이 꽤 오래되었지만 그런 사실과 상관없이 아직도 가슴 아련히 찐~하게 느껴지니 참 어릴 적 친구는 별수가 없다. 그 녀석을 정말 오랜만에 얼마 전 꿈에서 생생히 보았다. 생각에 생각이 꼬리를 물고 그 녀석, 유지호와의 어린 추억을 회상한다.
사실 나의 블로그 에서 옛 친구들을 그리며 쓴 글이 꽤 많이 있었지만, 몇몇 친구들에 대해서는 아직도 쓸 엄두를 내지 못하며 시간을 보내고 있었는데, 이유는 간단하다. 너무나 감정이 복받친다고 나 할까, 심지어 괴로울 것 같아서 미루어 온 것이다. 친구 유지호가 바로 그런 친구 중에 하나라고나 할까.. 그런데 정말 오랜만에 그를 꿈에서 보게 되었고, 잘못하면 못 보고 죽을 수도 있겠다는 가능성과 함께, 이제는 더 미룰 수 없는 생각이 들었다.
지호, 유지호(柳池昊).. 구수한 얼굴만 생각해도 정겹게 느껴지는 친구, 이 친구와 이렇게 일생을 떨어져 살리라고는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마지막으로 본 것이 1980년1월 나의 결혼식 때였을까.. 마지막 소식은 우리 어머님께서 그 해 5월쯤 그 녀석의 딸이 태어났을 때 병원으로 찾아가셔서 본 때였고 그 이후 우리는 소식이 끊어졌다.
그 이후 우리 어머님은 항상 지호의 안부를 걱정하셨다. 심지어는 혹시 죽은 것이 아닐까 하시기도 했다. 그리고 인생이라는 커다란 수레바퀴에 치어서 정신 없이 살아온 것이다. 한동안 여러 군데로 수소문을 해 보기도 했지만 소용이 없이 지호는 어디에서도 찾을 수가 없었다.
지호는 친구 중에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친구다. 물론 우리들은 너무 어려서 기억이 안 나지만, 어머님으로부터 들은 바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숨은 사연이 있었다. 원래 육이오 동란 전에 지호의 아버님과 우리 아버님은 친구였던 것 같고 (우리 아버지는 지호 아버님을 ‘원동 친구’라고 불렀다고 함, 원동은 지금의 원서동), 전쟁 발발 후에 두분 다 납북행렬에 끼어서 북으로 끌려갈 때, 지호 아버님은 구사일생으로 탈출을 하셨다고 한다. 그래서 우리 아버님이 납북되신 것을 우리 어머님께 알리셨던 것이다. 그러다가 1.4 후퇴(1951년 1월 4일) 당시 지호네 식구는 모두 피난을 가게 되었고, 우리 집은 그대로 원서동에 남게 되었다.
하지만 그때 지호의 나이가 (나와 동갑인) 두 살밖에 되지 않아서 그랬는지 우리 어머님께 임시로 맡기고 전라도 지방으로 피난을 가게 되었다. 아버지가 납북되신 후 거처가 마땅치 않았던 어머님께서는 우리 집 남매, 그리고 지호를 데리고 원서동 비원 담 옆 텅 빈 지호네의 커다란 한옥의 사랑채에서 머물며 우리들을 돌보셨는데, 나중에 지호는 전라도로 피난 간 가족의 품으로 갔다가, 휴전 후에 다시 가족들과 함께 서울로 올라와 원서동에서 살게 되었다.
지호와는 이런 우리가 기억할 수 없는 묘한 인연이 있었다. 어머님의 추억에, 그 길게만 느껴졌던 지호네 사랑채에서의 생활이 참 무서웠다고 한다. 젊은 여자 혼자서 어린 애들 세 명을 데리고 텅 빈집에서 전쟁을 겪었다는 것은 생각만 해도 아슬아슬하고, 무섭게 느껴지곤 했다. 그래서 어떨 때는 지호가 우리 집 식구처럼 느껴지곤 할 때도 있었다. 나의 가장 오래된 지호에 대한 기억은 역시 원서동의 개천을 사이에 두고 살던 국민학교 1학년 시절이 아닐까..
우리는 승철이네 집에서 세 들어 살고, 지호네는 비원 담을 끼고 있던 커다란 한옥에 살았다. 그때의 지호는, 우리와 별로 다른 것이 없었다. 구제품 옷을 입고 신나게 개천을 중심으로 뛰어 놀았다. 지호와 우리가 뚜렷이 달랐던 것은, 그의 말투였다. 분명히 우리와 다른 말투.. 알고 보니 그것은 바로 전라도 사투리였다. 전라도에 잠깐 피난 생활을 하면서 배운 것이다. 우리들은 그것을 가지고 신나게 놀리곤 했다.
비원에서 흘러나오는 비교적 맑은 원서동 개천은 그 당시 우리들 꿈의 놀이터였다. 여름이면 시원한 물장난, 종이배 띄우기, 목욕을 할 수 있었고, 겨울에는 더 신나는 썰매타기, 빙판에서 팽이 돌리기를 하며 놀았다. 하지만 지호는 그런 것 이외에도 개천을 좋아하는 이유가 더 있었다. 바로 “폐품수집” 이었다. 개천가에는 군데군데 폐품, 심지어 쓰레기까지 버린 곳들이 있었는데, 대부분 더럽다고 피하는데 지호는 그곳을 열심히 뒤지면서 ‘보물’을 찾는 것이었다. 우리는 그런 것이 신기하고 재미있었지만 어른들은 더럽고, ‘거지같다’ 고 핀잔을 주곤 했다.
원서동에서 가까운 국민학교는 옆 동네에 있는 재동(齋洞)국민학교였고, 대부분이 그곳을 다녔지만, 이상하게도 지호는 낙원동 덕성여대 옆에 있던 교동(喬桐)국민학교를 다녔고, 우리 집에 같이 살던 승철이네 누나 시자 누나도 교동국민학교엘 다녔고, 졸업을 했다. 사실 왜 그곳을 다녔는지 그 이유를 모르지만, 학군에 관한 정확한 법적 제한이 없던 시절이어서 그랬는지도 모른다.
아직도 건재한 재동국민학교와 달리 교동국민학교는 비교적 일찍 폐교가 되어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말았다. 중고등학교는 지호 아버님이 서무부장으로 근무하시던 계동(桂洞) 입구의 휘문(徽文) 중 고교를 다녔는데, 중학교 시절에 철봉을 하다가 잘못 떨어져서, 팔이 골절되는 바람에 일년을 휴학을 해서 나보다 1년 늦게 (1967년) 졸업을 하였다.
내가 원서동에서 가회동으로 국민학교 4학년 때 이사를 가는 바람에 헤어지고 말았지만 그래도 연락은 끊어지지 않고, 계속되었다. 한가지 특기사항은 나에게 그 당시 친구들이 많았지만 그들 서로가 다 친구는 물론 아니었다. 심지어는 지호와 다른 친구들의 사이가 별로 좋지 않을 때도 있었다. 대표적인 예가 나의 다른 절친한 죽마고우인 안명성과 지호의 아주 설명할 수 없는 관계였는데, 간단히 말해서 그들 서로가 좋아하지 않는 그런 사이였다.
그 가운데 내가 있어서 가끔 모두 만날 때에도 느껴지는 분위기기 별로 좋지 않았다. 그래서 나중에 나는 이들과 별도의 관계를 유지하기에 이르렀다. 지금도 생각을 한다. 왜 그들은 그렇게 서로 좋아하지 않았을까? 뚜렷한 이유가 없었는데.. 하지만 결과적으로 나는 지호보다 명성이와 더 가깝게 중 고교 시절을 보내게 되었지만, 육이오 때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역사 때문일까, 무언중에 서로의 우정에는 추호의 변함도 없음을 서로 느끼며 살았다.
중 고교 시절, 지호네는 육이오 때부터 살던 오래된 원서동 집을 새로 아주 깨끗하고 중후한 느낌의 한옥으로 개축을 하였다. 그 당시 동네에서 아마도 가장 멋진 한옥 중의 하나였을 것이다. 식구 수에 비해 방이 많아서, 항상 직장인 하숙생을 두고 있었는데, 언젠가는 방송국의 기술자 (아마도 엔지니어)가 하숙을 들어 살았는데, 가끔 그의 빈방을 우리는 몰래 들어가 보기도 했다. 그 당시, 아마도 고교 1년 때, 나는 한창 라디오를 중심으로 전기,전자 쪽에 관심이 많을 때여서 각종 전기,전자 부품으로 가득 찬 그 방의 책상설합을 보는 것은 즐거움이었다. 게다가 TV가 귀하던 그 시절, 그 하숙생 아저씨는 아주 옛날 것으로 보이는 동그란 스크린을 가진 흑백 TV 수상기가 있어서 비록 화면은 엉망이지만 그것으로 권투 중계 같은 것도 보곤 했다.
그 ‘악동’의 시절, 더욱 흥미로웠던 기억은 지호와 광순 형(지호의 형)으로 부터 들었던 ‘이웃집 여자 담 넘어보기‘ 이야기였다. 바로 이웃집에는 ‘화류계’ 여자가 살고 있었는데, 어느 날 마당에 나와서 목욕하는 것을 본 것이다. 그 당시는 개인 집에 목욕탕이 거의 없어서 공중 목욕탕을 쓰는데, 더운 여름에는 어두운 밤에 마당에서 목욕을 하기도 했다. 그런데 그 여자는 숫제 대낮에 나와서 목욕을 한 모양으로, 지호와 광순형이 손에 땀을 쥐고 담을 넘어 엿본 것은 완전히 김홍도의 그림1 같은 이야기가 된 것이고, 아직도 생생한 지호의 손에 땀을 쥐게 하던 이야기가 귀에 쟁쟁하다.
1966년 봄이 되면서 지호와 ‘지리적’으로 가까워지는 계기를 맞게 되었다. 우리 집이 연세대 1학년 초, 용산구 남영동에서 영등포구 상도동으로 이사를 갔는데. 그 당시 이미 지호네는 원서동에서 상도동 김영삼의 집 근처의 멋진 양옥으로 이사를 가 있었던 것이다. 지호 아버님이 이전에 무진회사(당시의 금융회사) 출신으로 수완이 좋으셔서 그랬는지, 큰 수입이 없으신 것처럼 보였는데도 아주 크고 멋진 집을 잘도 구하셨다.
나의 집은 비록 전세였지만 완전히 단독주택으로 그 당시 상도동 숭실대학 앞, 버스 종점 옆에 있어서 지호네 집은 걸어가도 될 정도로 가까웠고, 방 두 개의 작은 우리 집에서 그 녀석의 ‘파란 잔디에 별채까지 딸린 커다란 저택’에 가서 노는 것은 아주 즐거운 일이었다.
지호는 휘문고를 졸업하고 일차대학에서 낙방을 했는지, 한전(한국전력 주식회사) 산하의 수도공대에 입학을 하였는데, 서로 학교가 다르고, 학교 환경에 의한 관심사와 대학 친구들이 달라서 생각만큼 자주 만나지는 못했어도, 한번도 연락이 끊기거나 한 적은 없었다. 그래서 생각이, 이 녀석은 친구라기 보다는 나의 친척 같은 느낌을 줄 때가 많았다. 친척이야, 자주 못 보거나, 잠시 헤어져도 그 기본적인 관계는 없어지지 않기에 바로 우리들의 관계가 그것과 비슷했던 것이다.
지호는 그 당시 나이에 비해서 조금 느린 듯 하지만, 대신 여유 있고 폭 넓은 행동과 인간 관계를 유지하는 느낌을 주었다. 느린듯한 인상은 그 나이에 맞는 유행이나 멋 같은 것에 남보다 둔감한 편이고 그것은 옷이나 유행 같은 것에서 그가 좋아하는 것들을 보면 쉽게 짐작이 되었다.
그가 알고 지내는 사람들을 보면, 나 같은 비슷한 나이가 비슷한 사람들 이외, 나이와 배경 같은 것이 다른 사람들과도 잘 어울렸다. 대학시절부터 지호는 CCC (Campus Crusade for Christ) 라는 김준곤 목사가 이끄는 개신교 대학생 선교단체에 관련이 되어서, 나도 끌리다시피 그곳에 몇 번 가보기도 했다. 나는 아직도 지호가 그때 그렇게 신앙심이 깊었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그 당시 그는 아주 진지하게 활동을 하곤 했고, 흔히 생각하듯이 여학생을 만나기 위해서 그곳에 들어갔다는 느낌도 들지 않았다.
그 당시 CCC는 명동입구 부근에 어떤 빌딩의 옥상에 자리를 잡고 있었고 나도 지호와 몇 번을 가보았다. 지호는 이미 AS (Athletic Society, 체육부)라는 부서의 멤버로 활약을 하고 있었고 그곳에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나는 그 당시 신앙적으로 너무나 유치해서 그곳에서 하는 신앙적인 활동에는 큰 관심을 없었고, 그저 대학생들, 그것도 꽤 많은 여대생이 있는 것만 관심이 있었다. 이곳에서도 역시 지호는 ‘인심 좋은 아저씨’ 같은 인상이었다. 이사람, 저 사람 할 것 없이 편하게 사람들과 사귀고 있었는데, 그것이 바로 우리 나이에 비해서 성숙한, 하지만 부정적으로 표현하면, 조금 ‘영감’ 같은 그런 지호의 모습이었다.
‘I Am a Rock’ – Simon & Garfunkel – 1966 – Live
그 당시 둘이서 즐겨 ‘따라’ 부르던 smash hit oldie
이때에 일어난 잊지 못하는 일이 하나 있었다. 내가 가끔 발동하는 ‘악동기질’을 발휘해 지호에게 부탁을 해서 CCC소속 여대생들의 주소를 얻어낸 것이었다. 그때가 아마 1968-1969에 걸친 겨울 방학이었을 것인데, 그때는 거의 매일 광화문 근처에 있던 교육회관 지하다방2에서 살다시피 할 때였는데, 장난기가 발동해서 주소록에 있는 몇몇 여대생들에게 편지를 보내서 그 다방으로 불러낸 것이었다. 편지는 ‘연세춘추3‘에서 보낸 것처럼 하고, 무슨 설문조사(대학생의 팝송취향)를 한다고 꾸며 댄 것이었다. 내가 아이디어를 내고 내가 편지를 쓰고 보내고 했지만 내가 보아도 거의 ‘완벽’한 각본이었다. 그때 다방에서 기다리고 있던 사람은 나와, 양건주, 이윤기 등이었는데, 물론 이들은 ‘주저하는 공범’이 되고 말았다.
솔직히 나는 그 당시 너무나 심심해서 한 장난이었고, 그들이 나오리라고는 전혀 상상도 하지 않았다. 문제는 그들이 모두 나왔다는 사실이었고, 물론 그들과 ‘설문조사’까지 해야만 했다. 이구동성으로 그 여대생들은, 혹시 속는 것이 아닐까 하고 나왔다고 했고, 우리들의 ‘진지한 모습’에 안심을 했다고 했다. 그제야 나는 무언가 우리들 너무 장난이 심했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물론 모두 나의 ‘잘못’이었다.
이 ‘연극사건‘은 사실 여기서 끝난 것이 아니었다. 그때 내가 편지를 보낸 여대생 중에는 CCC와 상관이 없었던 전에 잠깐 알았던 윤여숙(창덕여고, 이대 생물과) 이라는 여대생도 끼어있었는데 나의 최대의 관심사는 사실 그녀가 나올까 하는 것이었다. 사실 전혀 기대를 안 했던 것인데, 놀랍게도 그녀가 ‘편지를 들고 출현‘을 한 것이었다.
우리와 만나서 ‘설문조사’를 했던 여대생들에게는 편지로 우리가 기다리는 위치를 미리 알려주었지만, 윤여숙씨 에게는 카운터(계산)로 와서 찾으라고만 해 두었는데, 역시 그곳에 편지를 들고 나타났던 것이다. 나는 너무나 놀라서 얼굴도 못 들고 옆에 앉아있던 이윤기에게 그녀가 어떻게 하고 있느냐고 묻기만 한 것이 고작이었다. 카운터에서 편지를 들고 그녀가 화를 내고 있다는 얘기를 듣고, 그제서야 내가 너무 지나친 장난을 했구나 하고 겁이 나기 시작했다. 그녀의 아버지가 경찰관이라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었다. 이때의 이 ‘지나친 장난’은 두고두고 잊지 못하는 추억이 되었고, 후회를 하기도 했지만, 지금 생각을 하니 그 나이에 그런 악의 없는 장난은 조금 애교 있게 보아도 되지 않을까?
연세대 2학년 시절, 나는 연호회라는 남녀 대학생 클럽에서 활동을 했다. 말이 활동이지.. 그저 남녀 대학생들끼리 만나는 것이 주목적인 조금은 맥 빠진 듯한 클럽이었지만, 그 나이에 젊음을 발산하는 알맞은 역할을 하기도 했다. 활동이란 것에는, 정기적으로 다방에서 만나는 것, 야외로 놀라가는 것 등, 주로 ‘노는 것’ 이외에도, 조금은 심각한, 말도 그럴듯한 ‘견학’이란 것도 있었다. 그러니까 조금 공부하는 활동인데, 우리들이 유일하게 성사시킨 것이 ‘동양방송국 견학‘ 이었다. 그 당시 동양 방송국, TBS는 삼성재벌 산하의 아주 큰 언론기관으로 군림하고 있었다. 그 중에서 우리가 간 곳은 서소문에 있던 동양 텔레비전 방송국이었는데, 그것을 성사시킨 것이 바로 지호였다. 지호가 알고 있던 어떤 ‘아저씨’가 그곳에서 엔지니어로 일을 하고 있어서 가능했던 것이다. 그 아저씨는 역시 지호네 집에서 하숙을 하던 사람이었을 것이다. 그런 식으로 지호는 엉뚱한 곳에서 엉뚱한 사람들을 많이도 알고 있었다.
대학 3학년 (1969년) 때 즈음, 지호 아버님의 환갑잔치가 있었다. 그때만 해도, 시골은 물론이지만 서울에서도 환갑이란 것은 집안, 친척의 경사요, 동네의 경사이기도 할 정도로 나이 60세를 장수한 것으로 여길 때였다. 그때가 1969년 경이었으니까, 지호 아버님은 아마도 1909년 생이셨을 것인데, 우리 아버님이 1911년 생이셨으니까, 우리 아버님보다 나이가 위셨다. 나는 그 잔치에 특별히 관심은 없었지만 지호가 스냅사진 좀 찍어달라고 해서 갔고, 우리 어머님도 잠깐 들리셔서 돈 봉투를 놓고 가셨다. 나는 사실 처음 환갑잔치에 갔던 것인데, 신발 표까지 나누어 줄 정도로 사람들이 많이도 왔다. 그때 지호네 친척들이 또한 많다는 사실에 놀랐다. 가족들 마다 모여서 합동으로 절을 하였고, 그런 것들을 그 당시에 고가였던 플래시를 써서 모두 찍었는데, 상당히 많은 양의 사진을 찍고 다녔지만, 나는 어디까지나 ‘아마추어’ 자격으로 찍은 것이고, 프로 사진기사가 와서 정식으로 사진을 다 찍었다. 그런데, 나중에 알고 보니, 그 프로 사진기사가 찍은 사진이 무언가 크게 잘못되어서 모두 못쓰게 되었다고 해서, 결과적으로 내가 찍은 사진이 ‘완전히’ 환갑기념 공식사진으로 남게 되었다. 그런데, 그 사진들이 내가 보아도 괜찮게 나왔던 것이다. 만약 이날 내가 사진을 찍지 않았더라면 그 큰 환갑잔치의 모습들은 영원히 사라졌을 것이다. 나는 이것을 계기로 사진에 대해서 자부심을 갖게 되기도 했고, 두고두고 그 지호 아버님의 환갑잔치는 머리에 사진처럼 남게 되었다. 특히 지호 아버님, 기분이 좋으셔서 커다란 안방에 사람들에 둘러싸여 덩실덩실 춤을 추시던 모습, 지호의 형 광순형 또한 완전히 만취가 되어서 나를 붙잡고 ‘기분 좋게’ 술주정을 하던 모습 등등.. 참 기억하고 싶은 잔치였다.
1970년 (대학 4학년) 쯤에는, 항상 폭넓은 친구관계를 유지하고 있던 지호를 통해서 나는 오랫동안 잊고 살았던 (원서동) 친구들과도 다시 만나게 되기도 했다. 그 중에는 국민학교 친구, 김천일과 또 다른 죽마고우였던 손용현이 있었고, 그렇게 친하지는 않았지만 역시 원서동 개천친구, 한성우(한성택 형의 사촌) 도 다시 보게 되기도 했는데, 이것은 지호가 그들과 끊어지지 않는 원만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김천일은 원서동의 토박이로 재동국민학교 동기동창이었는데, 중학교 1학년 때 사소한 나의 철없던 실수로 헤어지게 되었는데 지호를 통해서 다시 만나게 된 것이다. 나이는 조금 밑이었지만 박창희와 같이 국민학교 4학년 때까지 개천을 사이에 두고 살았던 손용현.. 이들은 나중에 내가 미국으로 떠날 때까지 나와 아주 가까이 지낸 친구들이 되었다.
지호는 언뜻 보기에 그다지 노래 같은 것을 잘 부르지는 않았어도 아주 좋아하여서, 그런 기회가 있으면 빠지지 않았다. 그 예로 어느새 ‘서울합창단’이란 곳에 가입을 해서 활동을 하였던 것을 나중에 알게 된 것이고, 우리들은 사실 장난끼 섞인 말로 ‘비웃기’도 했다. 지호는 그런 것에 아랑곳하지 않고 아주 꾸준히 그 ‘서울합창단’이란 곳에 나갔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아주 ‘공식적이고, 역사 있던’ 단체여서 나도 놀랐다. 그곳은 장상덕이란 분이 지휘자로 있었고, 그분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도 자주 볼 수 있던 사람이었다. 그러다가 지호가 나보고도 가입하라고 했는데, 회원이 부족하다고 하던가.. 했는데, 사실은 그 때, 10월 유신이 나고 박정희가 통일주체국민회의란 것을 만들어서 종신 대통령으로 선출이 되는 시기였는데, 그 취임식이 열리는 장충체육관에서 ‘공화당 찬가’를 이 서울합창단이 맡게 되었다는 것이었다. 우리들은 사실 정치에 별로 관심이 없었고, 공화당찬가를 부른다는 것이 별로였지만 이미 청탁을 받고 연습을 시작한 모양이어서 나도 ‘끌려 가다시피 해서’ 합창 연습을 하곤 했다. 실제로 나는 장충체육관에 가지는 않았지만, 두고두고 이것은 별로 좋지 않은 찜찜한 추억으로 남게 되었다.
그 이후 지호는 군대로, 나는 미국으로 가서, 헤어졌다가 1975년 여름에 지호를 서울에서 다시 잠깐 만났는데, 어엿한 대기업의 자재과 샐러리맨이 되어있었다. 그리고 5년 뒤, 1980년에는 나의 결혼식에 왔고, 그 후 소식이 끊어졌는데, 주위를 암만 찾아도 그 녀석은 없었다.과연 지호는 어디에서 어떻게 살고 있을까? 동국대 사학과를 나온 지호의 형, 광순형 도 찾을 수가 없었다. 이제는 거의 포기하는 심정으로 이렇게 회고담 속에서나 듣고, 보고, 느낄 수 밖에 없는가?
1. 17세기 조선,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 단오 2. 위치가 좋아서 1960년대 말 대학생, 직장인 할 것 없이 ‘잘나가던’ 다방 3. 연세대학교 발행, 학교신문
postscript: 오랫동안 기억해낸 추억을 글로 옮기는 것, 몇 시간이면 될 줄 알았지만, 결과적으로 일주일 이상이 걸렸다. 한 가지를 쓰고 나서 다음 날, 다른 추억이 되 살아나고, 그런 것이 며칠이나 걸렸다. 이제 내 기억력의 한계를 분명히 느낀다.
¶ 거의 이른 봄 같은 온화한 날씨 속에 2월로 접어들었다. 무언가 신경 쓸 것들이 많았던 1월을 벗어나니 조금 어깨가 가벼워짐을 느끼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의외로 즐거운 기억을 심어주었던 한 달이 지난 것이 아쉽기도 하다. 하지만 그렇게 즐거웠던 사실이 이번 달에도 계속되리라고는 기대는 안 한다. 지난 달은 여러모로 ‘예외’적인 시간들이었지, 그것이 절대로 new normal은 아니라고 내가 나를 달래고 있다.
내일은 2월 2일.. 아하! 바로 Groundhog Day로구나. 이곳에 오랜 살다 보니 이날도 아주 친숙하게 느껴진다. groundhog은 한국어로 뭐라고 할까? 아마도 두더지 정도가 아닐까? 이것이 ‘봄’을 알리는 첫 동물로써, 이날 땅 위로 기어 나와서 자기의 그림자를 볼 수 있으면 겨울이 6주간 더 계속된다는 재미있는 날이다.
이것만으로는 별 것이 아니지만, 숫제 이것에 대한 행사를 하며, 뉴스중계까지 한다. 각 지방마다 하고 있을지 모르지만 ‘공식적’인 것은 역시 펜실베니아 주 피츠버그 근처의 Punxsutawney(펑스토니?)라는 곳에서 열리는 것이 그것이다. 그곳에 Phil이라는 groundhog을 아침 7시경에 꺼내가지고 그림자 ‘실험’을 한 후, 결과를 발표하는데.. 겨울이 6주간 더 계속 될지.. 물론 그곳은 관광지가 되어서 많은 외부인들이 방문을 한다.
이것에 대한 얘기는 이것만이 아니다. 1993년 이맘때 나온 영화제목이 또한 Groundhog Day인데, Saturday Nigh Live, Ghost Buster의 Bill Murray가 주연을 한 comedy, fantasy, romance류의 영화로써, 처음, ‘그저 그런 영화’라는 평으로 시작을 했지만, 이제는 거의 ‘최고의 Classic’으로 각광을 받게 되었다. 그렇게 오랜 동안 인기를 누린 영화인 것이고, 특히 이맘때면 꼭 봐야 하는 (크리스마스 영화처럼) 것으로 되었다.
나도 이것을 꽤 많이 보았는데, 처음에는 별로였다가 보면 볼수록 빠지는 그런 것이었다. ‘반복되는 듯한 삶’에 지친 사람들에게는 무언가 교훈을 주는 그런 내용이어서, 이것을 자기의 삶과 비교해서 생각하는 것, 참 재미있고, 유익하지 않을까? 꼭 한번 보기를 권하고 싶다(이 영화는 이곳에서 무료로 볼 수 있음). 이것에 대한 자세한 것이Wikipedia에 나와 있는데 이 영화를 만든 location (로케장소)이 사실은 Punxsutawney가 아니고 일리노이 주와 위스컨신 주의 접경에 있는 Woodstock, Illinois라는 사실도 그렇고, 그것으로 그곳 역시 ‘관광 명소’가 되었고, 이제는 그 곳에서도 매년 Groundhog Day행사를 열고 있다는 사실 등등.. 참 재미있지 않은가? 영화의 위력을 새삼 실감하는 예가 되었다.
¶ 지난 달 27일에는 우리 집에서 친지들이 모여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원래는 매년 1월 21일을 전후해서 우리 집에서 모이는데 올해는 차질이 생겨서 거의 일주일 뒤에 모인 것이다. 1월 21일은 우연히도 나와 최동환씨(최형) wife(진희엄마)의 생일이라서, 그것을 기념(?)해서 매년 모이는 것인데 세월이 흘러 흘러 이제는 January Classic이 되었다.
예전에는 주로 식사로 시간이 갔지만 얼만 전부터 최형이 기타를 배우고 있어서 ‘통기타 노래잔치‘를 하곤 한다. 한마디로 아주 ‘건전’해진 모임이 된 것이다. 하기야, 술만 마시고, 종교 정치얘기로 열을 올리는 것 보다 이렇게 노는 것이 훨씬 뒤끝 맛이 좋은 것이 사실이다. 음악전공 wife가 두 명이나 되고, 윤재만씨도 색소폰을 배운지 얼마 되었고, 이태리가구 전성준 사장은 피아노, 기타로 하는 노래 솜씨가 거의 프로에 가깝다. 약간 아쉬운 것은 부인님들이 별로 노래를 안 부른다는 것인데, 시간이 지나면 조금씩 흥미를 갖고 참여를 할지도 모를 일이다.
무려 $2000짜리 Martin guitar를 장만한 최형은 생각한 것 보다 자세가 심각하다. 그 동안은 그룹으로 배우더니 이제는 개인 레슨까지 받는 모양이고, 지난 번보다 솜씨가 더 늘었다. 우리야 모여서 부르는 노래가 60/70년대 노래가 주종이고 가끔 그 이후의 노래도 배우고 부른다. 이구동성으로 말하는 것은 역시 그때의 노래가 ‘진짜’ 노래라는 것이다. 그 이후의 노래는 세월이 암만 지나도 classic이 될 수가 없다는데 모두 의견을 같이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