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anksgiving, no turkey

Thanksgiving SongMary Chapin Carpenter

 

2010년대 마지막 해 2019년의 Thanksgiving season 를 한가하게 보낸다. 오랜 만에 진정한 의미의 휴일 같은 기분이 든다. 거의 해야 할 것이 없기 때문인가…  가족의 진화(아니면 퇴화?) 란 것이 이런 것인가? 자식들이 집을 다 떠나고 둘 만 남은 처지에 하루 종일 아침부터 부엌 근처에서  ‘궁상맞게 지지고 볶고’ 하는 모습이 이제는 조금 피곤하게 느껴지는 것이다.

아이들이 태어나기 전부터 우리는 거의 ‘의무적, 신앙적’으로 이곳 대다수가 하는 대로 생소하게만 보이는 터키를 굽고 거의 정해진 side dish들을 ‘만들고 먹고, 아이들이 생기면서부터는 그것의 규모도 점점 커지며 조금씩 이곳이 고향이 될지도 모른다는 희미한 생각으로 이날을 맞곤 했다.

아이들이 다 떠난 후부터는 아이들이 모두 모일 때와 안 모일 때가 아주 다르게 지나치곤 했다. 신앙심이 대거로 나에게 돌아오면서 이 ‘감사의 날’을 나는 조금 더 겸손하게 지나간 일년을 되돌아 보며 감사할 것들의 list를 만들고자 했는데, 그것이 생각보다 쉽지는 않았다.

그것이 나의 불찰인가… 심각하게 생각을 해보니 감사할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닌 것이 문제였다. 어쩌면 그렇게 큰 것, 작은 것들 고맙다는 생각 없이 살았는가.. 물론 후회거리가 없다고 할 수는 없지만 그것은 고마운 것에 비하면 사실 ‘새 발의 피’ 격이라고 할까… 그렇다면 나, 우리의 삶이 그렇게 변한 것인가, 아니다… 생각하는 관점, 눈의 높이, 삶의 의미에 따라서 이렇게 변한 것이다. 그것을 나는 칠십여의 나이에서 조금씩 알게 된 것이다.

‘그리운 친구’ 양건주의 말대로 ‘세상만사, 생각하기 나름이다’, 그것은 과연 명언중의 명언이었다. 무엇이 나에게 제일 중요한 것이었나?  나의 인생은 나에 관한 것이 아니다. 그 보다는 훨씬 높고 먼 곳에 있는 것이다. 나의 인생의 주인공은 나 혼자가 아니다…

올해의 추수 감사절은 11월의 마지막 날에 ‘거의 다 모인 가족들’과 같이 저녁을 나누는 것과 새로니가 정식으로 propose를  받은 것으로 나에게는 충분한 감사절이 되었다. 또한 오늘은 가톨릭 전례력으로 올해의 마지막 날, 내일은 대림절 Advent의 시작으로 4개의 대림초가 성탄까지 주일마다 하나씩 더 켜지는 희망의 시즌을 기다리게 되었다.

冊, 108編 사랑의 詩

드디어 ‘108편 사랑의 시’의 모두 정독, 필사를 오늘 끝냈다. 조금 피곤한 느낌을 떨칠 수가 없지만 그래도 보람은 느낀다. 그렇게 ‘머나먼 다리’ 처럼 보이던 ‘알다가도 모를 그것, ‘시’의 초보단계를 넘어가고 있는 듯하다. 그렇게 이 시란 ‘문학’은 일생을 통해서 나에게는 생소했던 것이었지만, 지금은 어렴풋이 ‘아하! 이런 것이었구나..’ 하게 되었다.

오래 전에 가족들과 즐겨보던 almost classic, Robin Williams 주연의 The Dead Poet Society, 한 장면이 떠오른다. 어린 10대 나이의 학생들에게 지나친 ‘생각의 자유스러움’을 가르친 것이 비극적인 결말을 보게 되지만 이 영화의 message는 비교적 간단한 것이었다. 시를 가르치던 시간에 이 선생, 교과서의 첫 몇 이지를 찢어 버리라고 명령을 한다. 한마디로 시와 교과서는 양립할 수 없다는 극단적인 장면이었다. 그 첫 페이지는 ‘기하학적으로 분석한 시’를 다룬 것이어서 나도 그것은 지나친 것이 아닐까 했었지만, 그래도 나에게는 그런 방법이 도움이 된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었다.

특히 사랑이란 주제의 시를 108편씩이나 모아서 ‘전문가의 느낌’을 곁들인 것, 나에게는 하나의 ‘시의 교과서’ 역할을 멋지게 했다. 아무리 시란 것이 읽는 사람의 생각에 따라 다를 수가 있지만 그래도 ‘교과서적’인 시의 의미는 나 같은 사람에게는 아직도 필수적인 것이다.

이 책의 ‘사랑의 시’들을 여성 허영자 시인의 입장으로 다시 읽게 되면 내가 읽는 느낌과 비교를 하는 것, 나에게는 커다란 도움이 되었다.

108편의 사랑의 詩 중, 나에게 사랑의 느낌을 다시 일깨워준 것 하나를 다시 읽으라면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어릴 적의 뚝섬의 추억과 그 이후 젊은 시절 사랑의 느낌과 환상이 교차하는 느낌.. 어쩔 수가 없다.

 

 

 

뚝섬에서

金容浩

 

 

江물이 흐르는 것이 아니라

당신과 마주 설

空簡이 流失된 地域

 

어쩌면 이처럼 싱싱히 돋아나는

아픔입니까

變貌없이 파아랗게 살고 있는

거울 속

거기, 포프라 한 그루 있고

주고 받은 會話가 자라

이제 新綠으로 紋彩한 江邊

 

산 너머 절에선가

鐘이 波紋하는 이 黃昏에

祈禱보다도 더 切實한

당신에의 追憶은

어느 또 하나 다른 거울 속에

소보옥히 담아 두어야만 합니까.

 

 

여름날 뚝섬엘 가면 푸른 강물이 흐르고 키 큰 포플라 나무들이 강변에 줄지어 서 있습니다.

보통 사람의 눈에는 뚝섬의 강물은 한강 상류의 강물에 지나지 않습니다만 이 시인의 눈에는 당신과 마주설 공간이 유실된 지역인 것입니다. 이별의 이미지를 이 한 마디 말로 조형 造形 한 시인의 상상력과 솜씨는 놀라운 것입니다.

강물은 이렇게 해후의 공간이 유실된 지역일 뿐만 아니라 또 변함없이 맑은 거울로 됩니다. 그리고 그 거울 속에 들이비치고 있는 푸른 녹음은 단순한 나무잎새들이 아니라 사랑하는 이와 주고 받은 이야기들이 자란 것입니다.

사랑을 간직한 이의 마음과 감각은 이처럼 사물의 뜻을 놀랍게 파악할 수도 있는 법인가 봅니다.

가을, 사랑, 추억, 소년..

 

본격적인 ‘깊은’ 가을의 모습이 나의 두 눈과 귀, 그리고 뇌리 속으로 무섭게 다가오고 있다. 정말 멋지고 멋진 가을 모습, 느낌의 정수精髓를 나는 만끽하고 있다.  가을 중에도 ‘추운 쪽’의 가을은 정말 멋지고 고요하다. 모든 만물들이 하나하나 막을 내리듯 가라앉는 것들, 바로 ‘낙엽과 단풍’들… 그와 함께 나의 살결에도 주름이 몇 개난 더 생겨났는가…

박인환 朴寅煥 시인의 명시, ‘歲月이 가면’,  거의 자동적으로 떠오르기도 하지만 이번에는 그 보다 조금 덜 ‘속 된’ 느낌을 주는 ‘추억의 샘’을 발견하였다.  8.15의 감격을 며칠 앞두고 이국의 형무소에서 선종한 윤동주 시인, 자신의 어린 시절을 회상한 듯한 ‘소년의 사랑 고백’이었다.

이 ‘少年’이란 짧은 시를 읽으며 우리, 아니 나의 소년시절 추억을 넘길 수가 있는가. 소년이 느끼는 어렴풋한 사랑의 감정… 소년이란 몇 살부터 시작되고 몇 살에 끝나는지 확실치 않지만, 나의 추억은 확실한 ‘소년적인 감정’이고 추억이다. 가을, 사랑, 추억..의 모습이 겹치며 보이는 것은 한마디로 ‘아련함’, 바로 그것이다.

10대 초, 서울 가회동  집 골목에서 경험했던 어렴풋한 사랑의 감정, 아이에게도 이성 異性에 대한 감정은 있었지 않았을까?  윤동주 시인의 소년은 ‘순이’에게 느끼는 감정이 있었고 나에게도 아직 기억에 남는 ‘소년의 느낌’이 있었다. 어떻게 이렇게 긴 세월 뒤에 그런 기억이 사진처럼 남는 것인가… 올해 가을이 나에게 일깨워 준 ‘추억의 힘’이었다.

 

 

少年

尹東柱

 

여기저기서 단풍잎 같은 슬픈 가을이 뚝뚝 떨어진다.

단풍잎 떨어져 나온 자리마다 봄을 마련해 놓고

나뭇가지 우에 하늘이 펼쳐 있다.

가만히 하늘을 들여다 보려면 눈썹에 파란 물감이 든다.

두 손으로 따뜻한 볼을 씻어보면 손바닥에도

파란 물감이 묻어난다.

다시 손바닥을 들여다 본다.

손금에는 맑은 강물이 흐르고, 맑은 강물이 흐르고,

강물 속에는 사람처럼 슬픈 얼골

아름다운 순이 順伊의 얼굴이 어린다.

소년은 황홀히 눈을 감어본다.

그래도 맑은 강물은 흘러 사랑처럼 슬픈 얼골

– 아름다운 순이 順伊의 얼골은 어린다.

 

위령의 달, 두 죽음

 

¶  가톨릭의 전례력으로 매년 11월은 ‘위령의 달’, 그 중에서도 11월 2일은 ‘위령의 날’로써 ‘돌아가신 영혼들’을 기리고 있다. 영어로는 The Commemoration of All the Faithful Departed 라고 부르지만 간단히 All Soul’s Day, Month 로 불리기도 한다. 한마디로 ‘죽은 영혼들’이 이 기념일들의 주인공인 것이다.

내가 속한 레지오 마리애에서는 11월 중에 반드시 위령미사봉헌을 하게 되고, 전례행사에도 ‘죽은 영혼’들이 주제를 이룬다. 미사 중의 성가들도 거의 모두 ‘죽은 영혼들’에 관한 것들이다. 비록 일반인들에게는 11월의 절정이 ‘추수감사절’이고 크리스마스의 기분을 서서히 내는 때이긴 하지만 가톨릭은 충실하게 죽은 영혼들을 기리는 것, 나는 너무나 좋은 전통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것들을 보며 나는 마틴 루터가 너무나 성급하게 종교개혁을 했다고 단정하고 있다.

올해의 위령의 날 (11월 2일), 우리는 동네 미국본당에서 미사를 보았다. 지난  몇 년 동안은 한국 본당(도라빌 순교자 성당)의 위령미사엘 갔었다. 이 미사는 마리에타 공원묘지에서 야외미사 형식으로 하기에 그야말로 ‘위령’의 분위기가 정말 좋았다. 하지만 그 후, 이 미사를 집전하는 사람이 둘루스 한인성당의 주임신부라는 것을 알고는 그야말로 완전히 포기를 하게 되었다.  그를 보는 것만으로 연옥으로 떨어지는 느낌이 들기에 그렇게 한 것이지만 그 신부가 완전히 아틀란타를 떠나면 생각을 바꾸게 될 듯 하다.

 

 

¶  위령의 달을 지내면서 우리는 너무나 놀라운 ‘두 죽음’을 접하게 되었고 아직도 그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첫 번째 놀라움은 위령의 날 미국본당에서 알게 된 어떤 Hispanic 형제님의 죽음이었다. 매일 아침미사에서 보고 알게 된 이 형제님이 갑자기 지난 일년 동안 돌아간 신자들의 명단 사진에 오른 것. 위령의 날에는 지난 일년 간 선종한 신자들의 이름과 사진을 보여주며 신부님이 일일이 이름을 부르고 종을 친다. 이 형제님은 나이는 비록 나와 비슷한 편이겠지만 아주 건강한 편이었는데, 얼마 전에 돌아가신 것, 우리는 모르고 지냈던 것이다. 우리의 놀라움은 사실 컸다. 소문에 의하면 ‘갑자기 쓰러진’, 그러니까 아마도 심장마비 같은 것이 아니었을까 추측을 한다.  선종소식도 못 듣고 장례식도 못 알았기에 우리의 놀람이 컸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것과는 비교가 안 되는 놀람 중의 놀람은 며칠 전에 일어났다.  Roswell Nursing Home에서 우리 부부가 레지오 단원으로 몇 년간 방문하며 알게 된 한국사람 유학남 형제님, 나보다 5 년 위이신 치매성 환자인데 정신질환 을 빼면 이분은 사실 나보다 더 건강하고 깨끗한 모습이었다. 치매병동의 갑갑한 분위기에서도 항상 복도를 배회하며 ‘집에 가야 한다고’ 하던 이 형제님이 언제부터는 확연히 조용해지고 방에만 머무는 모습을 보게 되었다. 덕분에 우리가 방문하면 방에서 차분하게 대화를 할 수 있었다. 얘기가 잘 풀리면 가끔 ‘이분이 정말 치매환자인가?’ 하는 의문이 들 정도로 거의 정상인처럼 말씀을 하시곤 했다. 서울 아현동 철물점도매를 하던 시절의 이야기, 동양극장 주변의 이야기들, 독립문파 깡패, 부통령 이기붕 집의 추억 등등 이야기는 정말 흥미로웠다. 나는 그런 옛이야기를 나누면 아마도 서울에서 이분을 본 적이 있었을지도 모르겠다는 착각에도 빠지곤 했다. 문제는, 그 옛추억은 100% 논리적이고 실감나는 것들이었지만 지금 현재의 본인의 상태는 거의 모르는 듯 했다는 사실이었다. 현재 자기가 어디에 있는지를 모르는 것이다. 치매환자는 다 이런 식인가?  나는 이 형제님을 형이라고 불렀는데 얼마 전부터 나는 이 ‘형’이 나의 머리에서 떠나질 않게 되는 이상한 불길한 ‘예감’이 들곤 했는데 나의 우려가 갑자기 극단적인 현실이 되었다.

이 날도 평소의 routine대로 아래층 접근제한이 된 병동엘 내려가서 습관적으로 이 형제님의 방을 노크를 하고 들어가려 하니 옆에 있던 staff들이 와서 ‘무조건, 집에 연락을 하라고 한다. 표정들이 아주 심각하고 불친절한 느낌마저 들었다. 연락처를 받아 전화를 하니 형제님의 사위라는 사람이 전화를 받았고 곧 바로 어제 밤에 돌아가셨다는 놀라운 소식을 전해 듣게 되었다. 뒷통수를 꽝… 하고 맞는 듯한 충격을 느꼈다.

도저히 믿을 수가 없는 일이 아닌가… 아무리 정신질환이라고 해도 육신은 정말 건강하고 깨끗한 상태였는데 어떻게 아무런 불길한 전조 前兆 없이 그렇게 숨을 거두셨을까…나이도 팔십이 채 되지 않았는데… 아무리 망각증으로 고통을 받는다고 해도, 이해가 되질 않았다.

곧바로 사위분으로부터 ‘카톡’ 메시지가 왔고 ‘리 장의사’에서 고별입관예배 공지문을 받았다. 가족이 개신교에 다닌다는 사실은, 한때 병실 벽에 붙어있던 <아틀란타 한인교회> 달력을 보고 짐작은 했었다. 하지만 가족사항에 대해서는 전혀 idea가 없었다. 장례식에 가보니 역시 개신교회예식으로 준비가 되어있었고 가족들과도 인사를 나누게 되었다. 비교적 단란한 대가족이었고 부인이신 권사님을 통해서 어떻게 돌아가셨는지도 듣게 되었다. 그야말로 갑자기 호흡곤란이 왔고 곧바로 숨을 거두셨다는 것, 참… 어떻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을까? 가족들도 도저히 이해가 안 간다는 표정들이었다.

형제님의 지나간 인생을 보여주는 각종 사진들이 screen으로 비쳐지고, 또 다른 형제님의 모습들을 볼 수 있었다. 손주들에게 그렇게 자상하셨다는 고별사를 들을 때는 ‘아현동을 주름잡던 시절’의 이야기와는 아주 다른 느낌의 형제님 모습을 그리게 되었다. 어떤 인생을 사셨는지 항상 우리는 궁금했는데 이렇게 비극적인 이유로 다 알게 되어서 허탈한 심정을 금할 수가 없었다. 거의 2년 동안 정기적으로 ‘꿈 같은 이야기’를 서로 나누었던 추억들이 우리에게 언제까지 남게 될 것일지…

冊, Rome Sweet Home

 

Scott & Kimberly Hahn 의 잘 알려진 이야기,  ‘개신교 골수분자’였던 이들 부부가 가톨릭으로 개종을 하던 과정을 자세히 쓴 책의 제목이 바로 Rome Sweet Home이다. 이름부터 이채롭다. 그들에게는 ‘이단 종교의 아성’으로 증오의 상징이었던 로마 교황(청) Vatican 이 결국은 그들에게는 ‘오랜 방황 후에 돌아온 나의 고향’이 된 것이다.

나는 이들의 이야기를 지난 20년간 아주 조금씩 ‘귀동냥’ 정도로 들었던 것이 전부였다. 주류 크리스천들이 개종하는 이야기는 사실 그렇게  큰 이야깃거리는 아니지만 이 부부의 개종은 아주 의미심장, 지각변동적, 특별한 것이기에 ‘사회적, 세속적 뉴스’까지 된 것이 아닐까?

내가 그 동안 이 사실에 대해서 듣고 안 것들은 아주 피상적이고 ‘소문의 수준’ 정도였는데 이 책을 일주일 만에 두 번을  cover-to-cover 로 읽고 나서, 나는 놀랍기도 하고, ‘그러면 그렇지..’하는 안도감, 이제라도 이런 ‘천재 신학자’를 가톨릭으로 보내준 사실이 아주 우연만은 아닐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들었다.

제일 인상적인 표현은 이것이다. 이 사람의 ‘역할, 위치’는  한마디로 Luther in reverse, 바로 그것이다.  그러니까 종교개혁 reformation의 반대 과정을 거친, ‘개신교에서 기독교의 원형인 가톨릭’으로 거슬러 올라간  장본인이 된 것이다. 그래서 ‘나의 본향을 찾았다!’ 하고 외친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아니, 모든 독자들이) 제일 관심을 갖고 찾았던 부분은 물론… 어떻게 왜 무슨 이유로 ‘본향’을 찾았을까… 하는 것이었다. 물론 이 부부의 깊은 학자적, 성경신학적인 배경을 알면 절대로 ‘간단한 결정’은 아니었음을 알게 된다.

내가 이 책으로 느낀 점 중에 제일 나를 부끄럽게 했던 것이 있다면, 역시 Holy Bible, Scripture에 관한 것이다. 역시 가톨릭은 ‘소문’ 그대로 성경에 대한 열정만은 개신교에서 배워야 한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분명한 사실이고 가톨릭 신자들도 인정하는 현실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부러움’이 결국은 개신교의 근본적인, 기본적인, 역사적인 문제중의 문제가 됨을 알면 놀라게 된다. 그러니까, 개신교의 근본 공리적 명제는 Sola Scriptura (성경 유일)와 Sola Fide (믿음으로만).. 이 아닌가? 이것에 ‘근본적, 신학적’ 문제가 있으면 어찌 되는 것인가?

Scott Hahn 은 젊은 시절부터 ‘광신적 성경, 믿음 유일주의자’였고 ‘광신적 가톨릭 혐오자’라고 자부를 하던 ‘유망한 젊은 신학도’였다. 그가 성경으로 깊숙이, 깊숙이 들어가면서 새로운 사실을 깨닫게 되면서 그의 ‘생애의 고민’은 시작된 것. 처음 그가 경험했던 고민은 ‘어디에 성경만이 모든 것’이라는 근거가 있는가를 ‘탐정적 열정’으로 찾은 것으로 비롯된다. 신학교 젊은 교수시절 한 ‘명석한 학생’의 순진하지만 심각한 질문, ‘성경의 어느 곳에 성경만이 전부’라는 구절이 있습니까?’ Martin Luther이후 누구도 이런 질문을 하지 않았던가?  이 사실은 그를 너무나 놀라게 했을지도 모른다.

문제는 거기서 끝 나지 않았다. 더 나아가서 성경에는 Sola Fide, Faith Only라는 것 이외에 교회초기의 교부들과 전통들도 같이 강조되는데 그것은 어떻게 타협을 하느냐?  허~~  문제는 성경만이 절대로 옳은 것이라면 이 두 문제는 ‘모순’에 가까운 것이 아닌가?

이런 ‘사태’에 직면한 Scott Hahn, 그의 모든 지적 능력을 통해서 그는 결국 전통적인 가톨릭 문헌, 교리를 철저히 파헤치기 시작하고 그는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게 된다. 가톨릭의 교리, 전통, 성경 모두 그들이 공부한 성경에서 벗어나는 것이 없다는 놀라움이었다.

마지막 걸림돌이었던 것은 ‘역시’ 성모신심, 교리였지만 이것은 이미 문제가 아니었다. 그것은 성령을 통한 묵주기도를 통해서 비교적 쉽게 극복이 되었다.

그의 영적 동반자 부인인 Kimberly는 5년 뒤에 그를 따라 개종을 했는데 그 과정은 예상보다 쉽지 않았다. ‘이혼’까지 각오를 한 Scott의 용기는 실로 극적인 것이었고 결국은 그들은 평화 속에서 다시 합류를 하게 되었다.

그들은 이제 교황청에서도 인정하는 ‘세계 정상급 신학자’의 대열에 서게 되었고 유명한 가톨릭 대학 Franciscan University의 유명한 교수로서 열정적인 교육, 전교 활동을 하고 있다. 이들은 수 많은 강론 여행을 하며 ‘그릇된’ 개신교 기본교리를 알리고 있다. 개신교에서는 이 명석한 부부 가톨릭 신자를 어떠한 눈을 볼까…  바보 같은 질문이지만 그래도 ‘신학은 신학으로’ 대하고, 풀어야 하지 않을까?

 

轉換點 The Turning Point – 카프라

¶  얼마 전, 거의 40년 만에 ‘먼지 속에서’ 다시 찾게 된 책, 다시  읽게 된 , Fritjof Capra의 international bestseller, ‘名著’ The Tao of Physics (物理學의 道, 번역서: 現代物理學과 東洋思想)로 인해서 그 이후의 Capra의 ‘변모과정’을 다시 읽고 알게 되었다. 대강적인 그 과정은 물론 ‘무료’ Wikipedia를 보면 알 수 있지만 조금 더 깊이 알게 되면서 ‘궁극적 진리를 향한 길’은 끝이 없다는 것을 실감한다.

40년 전의 나와 현재의 나, 또한 그런 과정을 겪었겠지만 나는 그 긴 세월 동안 너무도 ‘쪼잔 하고, 미세한’ 영역에서 인생의 대부분을 ‘낭비’했다는 자책감을 금할 수가 없다. ‘나무만 보지 말고 숲도 보라’는 진부한 표현에 숨어있는 진정한 지혜를 왜 나는 그렇게 무시했던 것일까?

여기에 언급된 Capra의 두 번째 저서 The Turning Point를 다시 읽게 된 과정도 전에 발견했던 떼이야르 샤르댕 Teilhard Chardin의 때와 아주 흡사했다.  근래에 나를 ‘지혜중의 높은 지혜’의 방향으로 이끄는 나침반: ‘오늘의 思想 100인 100권1, 역사를 움직인 100권의 철학책2‘ 이 바로 그것이다. 이곳에서 나는 인류의 엄청나게 축적된 다양한 지혜에 다시 감사하며 나의 눈길을 끄는 것부터 읽는다. 세상에는 참 지혜롭고 명석하고 선지자적인 안목을 가진 사람들이 참 많다는 사실에 놀란다. 또한 이러한 사실을 잘 이해하고 소화한 대한민국의 지성들을, 최소한 그들의 이름과 전문분야를 알게 되니 얼마나 다행한 일인가.

여기 소개된 The Turning Point를 짧은 글로 소개하신 분 ‘이성범 李成範’은 놀랍게도 시인 詩人으로 나와있다. 이 ‘시인’은 Capra의 첫 bestseller 인 The Tao of Physics의 번역본 공동저자이기에 낯이 설지 않다. 하지만 시인이라는 사실은, 어쩐지 너무나 동떨어진 분야가 아닌가… 놀랍지만 이것도 즐거운 놀람의 하나가 되었다. 바로 이것이 최근 최소한 지난 50년간 진행되고 있는 trend가 아닐까.. 모든 분야를 총괄적으로 보려는 노력, 이 시인도 그런 현상의 일부일 뿐이다. 현대과학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싶어하는 ‘시인’, 그 계기는 잘 모르지만 참신하고 희망적인 사실이 아닐까…

 

************************

 

小論考

전환점 轉換點(1982)

The Turning Point

카프라 (Fritjof Capra 1939~ ) 著

 

(琴谷 금곡)  이성범 李成範 (詩人)

 

카프라 박사는 1966년에 비엔나 대학에서 이론물리학의 박사학위를 받은 후 빠리대학 캘리포니아 대학 런던 대학 등에서 물리학 연구와 강의를 했으며, 1975년 이후 현재까지 캘리포니아 대학의 로렌스 버클리 실험실 Lawrence Berkeley Laboratory에서 소립자 연구를 계속하며 강의하고 있는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이론물리학 교수이다. 그는 또한 The Elmwood Institute를 창설하여 여러 학문분야에서 새로 일어나고 있는 운동을 종합하고 상호 통신하며 조직화하는 야심적인 작업을 하고 있다.

그의 첫 저서인 <물리학의 道 The Tao of Physics, 拙譯 ‘現代物理學과 東洋思想’> 는 1975년에 출판되었는데, 그 후 각국어로 번역 출판돼 세계적인 베스트 셀러가 되어 있다. 이 책은 상대성이론과 양자물리학 등 현대물리학에서 밝혀진 새로운 물질관 또는 세계관을 상세히 설명하면서, 그 세계관이 고대로부터의 동양의 사상들 (불교사상 음양사상 도교사상 힌두사상 등)에 담겨 있는 전일적 全一的이며 역동적인 신비사상과 어떻게 유사하며 부합하는가를 종합적으로 서술한 것이다. 이 책은 미국은 물론 유럽 각국에서 많은 논의의 대상이 되었고, 세계적인 과학자 철학자들에 의해 그 내용이 많이 인용되고 토의되고 있다.

<전환점, The Turning Point, 拙譯 ‘새로운 과학과 문명의 전환‘)은 그의 두 번째 저서로서, 1982년에 뉴욕에서 출판된 것이다. 이 책은 발간 즉시 독일과 프랑스에서 번역 출판되었고, 독일에서는 출판 직후 35주 동안 계속 베스트 셀러가 되었다.

 

2

<전환점>은 네 장으로 나뉘어져 있다.

제1장<위기와 변형>에서는 현대의 우리 사상 속에 깊이 박혀 있는 물질적 과학적 세계관의 유래를 밝히고, 인류 역사에 있어서의 여러 문명의 흥망에 따른 세계관의 변천을 서술한다. 이와 동시에 현대문명이 직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위기 현상을 지적하면서, 그것이 실제의 일면만 보는 ‘데카르트-뉴턴’의 기계론적 세계관에 과거 3백 년 간 너무나 오래 집착해 온 데서 기인했다는 것을 설명한다. 그리고 현대물리학에서 깨달은 새로운 세계관과 학문방법이 이제는 기타의 여러 학문 분야 (생물학 의학 심리학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 등)에 급속히 퍼져가고 있으며, 이것은 르네상스시대에 새로운 세계관과 문명의 전환이 있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현대문명에 획기적 전환이 일어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한다.

 

제2장 <두 개의 모형>에서는 ‘뉴턴’의 기계론적 세계와 새로운 물리학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저자는 중세의 유기체적 영적 세계관이 1500년과 1700년 사이에 어떻게 기계론적 세계관으로 전환했는가를 ‘코페르니쿠스’를 위시하여 ‘케플러’ ‘갈릴레이’ ‘데카르트’ 등의 사상을 예시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고, 그 기계론적 세계관이 ‘뉴턴’에 이르러 완성되었으며 그 기계론적 세계관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설명한다. ‘뉴턴’의 위대한 성공은 기타 과학의 발전을 급속히 촉진시켰고 모든 과학은 ‘뉴턴’의 수학적, 분석적, 환원주의적 방법을 답습했으며, 그 기계론적 세계관이 자연과학뿐만 아니라 기타의 모든 학문분야의 기저에 깔려 있음을 지적한다. 그러나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물리학이 전자장의 현상을 다루어야 되고 생물학에서 진화의 현상을 다루어야 됨에 이르러, 우주는 기계론적으로 단순하게 다룰 수 없는 더 복잡하고 오묘한 것으로 보이기 시작했다.

현대 물리학은 ‘플랑크’가 1900년에 양자를 발견한 데 뒤따른 ‘아인슈타인’의 광전효과 Photoelectric effect 론 과 상대성원리 Principle of Relativity에서 시작된다. 상대성이론은 ‘뉴턴’ 역학의 기본 가정이 되는 절대공간과 절대시간이 틀린 개념임을 증명했다. 시간이란 ‘뉴턴’ 또는 고전물리학에서 생각했던 것처럼 과거로부터 미래로 일정하게 흐르는 것이 아니라 관찰자에 따라 그 동시성과 흐름이 다른 것임을 ‘아인슈타인’은 보여주었다. 또 공간도 ‘뉴턴’이 생각했던 것처럼 물체를 담고 잇는 빈 그릇과 같은 ‘유클리트’ 기하학적 균질 均質의 것이 아니라 그 담고 있는 물질의 질량에 따라 다른 곡률 曲率로 휘어져 있는 것이다.  또 우주는 질량을 가진 고체물질로 구성되어 있다고 ‘뉴턴’은 생각했지만, 물질이란 에너지의 한 형태에 불과한 것으로서 물질의 질량은 E=mc2(E: 에너지, m: 질량, c: 광속)의 등식에 의해서 정의되는 에너지의 양인 것이다. 또한 우주는 시공 연속체의 4차원 속에서 부단히 변화하고 있으며, 이 우주 속에는 정지해 있는 것이 아무 것도 없다는 것도 ‘아인슈타인’은 보여주었다.

모든 물질의 궁극적인 구성체로 여겨진 원자를 찾아낸 물리학자들은 20세기 초반에 와서 원자의 많은 속성들을 발견하였으나, 그것은 우리들의 논리적 사고방식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점이 많았기 때문에 국제적으로 물리학자들은 절망에 가까운 혼란상태에 빠졌다. 드디어 ‘하이젠베르크’는 1927년에 불확정성원리 Uncertainty Principle를 완성시켜 원자현상을 수학적으로 다룰 수 있게는 했으나 그것은 ‘뉴턴’이나 고전물리학의 철칙이었던 인과율을 파기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과학의 기반을 송두리째 소멸시키는 것처럼 보였다. 그래서 불확정성원리가 핵심이 되는 양자역학의 해석에 대하여 ‘아인슈타인’과 ‘닐스 보어’간에 유명한 논전이 벌어졌다.

‘아인슈타인’은 ‘국소원인 원리’ 局所原因 原理 Principle of local causes를 주장하면서 양자물리학이 더 발전하는 어느 날엔 인과율이 원자의 세계에도 다시 적용될 것이라고 했고, ‘보어’는 불확정성원리는 자연의 기술에 있어서 부동의 원칙이며 불확정성은 관찰의 미비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자연 본연의 속성이라고 했고, 우리의 시스템은 ‘비非국소적 연결’ Non-local connection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라고 했다.

그 후, 1964년에 ‘벨, G. S. Bell‘은 이른바 ‘벨의 정리 Bell’s Theorem‘를 발표하여 ‘보어’의 ‘비국소적 연결’을 뒷받침했다. 우리의 시스템이 ‘비국소적 연결’로 연결된 것이라면 현재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건들이 멀리 떨어져 있는 곳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의 영향을 즉각적으로 받는다는 것이 되며, 이것은 우리의 세계가 기계와 같은 것이 아니라 유기체와 같다는 것을 뜻한다. 우주는 ‘뉴턴’이 생각했던 것처럼 하나의 거대한 기계가 아니라 거대한 유기체로 보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현대물리학에서는 물질의 개념이 바뀌어졌고 실재 實在 를 논리적으로 이해하려는 인간 사고의 한계를 깨닫게 되었으며, ‘인간의식’을 떠난 과학의 완전한 객관성이 성립할 수 없게 되었고, 우주는 인과율에 의해 기계와 같이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분명해졌으므로 고전과학의 기계론적 세계관은 받아질 수 없는 것이 되었고, 새로운 시스템적 유기체적 우주관이 대두하게 된 것이다.

 

제3장 <데카르트-뉴턴 사상의 영향>에서는 그 기계론적 세계관과 그 분석적 환원주의적 방법이 얼마나 뿌리 깊이 생의학 심리학 경제학 등 과학 전반에 박혀 있으며, 그 고정관념에의 수세기에 걸친 집착이 이제는 이들 학문의 발전을 얼마나 저해하게 되었으며 또 그것이 현대문명 전반에 얼마나 많은 피해를 입히고 있는가를 지적한다.

 

제4장 <새로운 실재관 實在觀> 에서는 새로 대두하는 시스템적 세계관을 상세히 상술한다.

우주를 거대한 유기체로 보는 것은 우주를 거대한 기계로 보는 것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기계는 활성이 없는 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분의 구조가 기계 전체의 기능을 결정하는 것이므로 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그 부분들을 가능한 한 최소의 구성단위까지 분석하고 분할하여 그 작동의 인과관계를 관찰하여야 한다. 반면 유기체는 생동하는 전체의 시스템으로서 전체와 부분이 상호작용하고 협력하면서 스스로의 조직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창조적인 것이다. 기계에서는 부분의 합계가 기계 전체의 기능을 결정하지만, 유기체는 전체의 필요가 부분의 기능을 결정하는 것이다. 우주를 하나의 유기체라고 본다면, 그 안에는 무수한 수준의 유기체적 기관들이 있으며, 각 수준의 유기체들은 상호작용하고 부단한 창조활동으로 진화하는 것이다. 기계론적 세계관을 가진 고전과학이 분석과 분할을 학문의 방법으로 한 데 반하여, 유기체적 세계관의 신 과학은 전일적 全一的 인 종합의 방법을 중요시 한다.

현대의 학문은 너무나 다기화되고 전문화되어서 학문 또는 문화 전체의 기반을 보지 못하기 쉽다. 이제 현대의 문화는 중요한 전환기에 와 있으며, 이와 같은 문화의 전환은 인류 역사상 드물게 일어나는 것이다.

 

3

‘카프라’ 박사는 현대문명을 종합 진단하여 그것이 중병 상태에 있음을 지적하고, 새로운 문화의 대두에 의한 새로운 문명의 출현을 상세히 기술하여 문명의 획기적 전환을 예언한다. 그는 무수한 과학논문을 썼고, 많은 철학적 일반강연을 했으며, 이 책 다음에는 ‘녹색 정치, Green Politics‘라는 책을 ‘샬렌 스프레트나크 Charlene Spretnak와 공저로 1984년에 출판 한 바 있다.

인류의 장래는 결정론적으로 예단할 수 없는 것이지만 ‘카프라’ 박사의 문명전환론은 세계적인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

  1. 1986년 신동아 1월호 별책부록, 동아일보사
  2. 1984년 신동아 1월호 별책부록, 동아일보사

신부님, 우리 신부님

지나가는 일주일 그리고 또 일주일 동안 나의 머리 속을 끊임없이 맴도는 생각, 그것은 신부님, 더 나아가서 사제직, 수도자, 수녀들. 이들은 과연 나에게 어떤 사람들인가 하는 조금 새삼스러운 생각들을 하게 되었다.  내가 너무나 한가해졌는가?

이런 생각을 하게 된 계기는 분명히 있다. 지나간 4년간 우리들의 목자로 계셨던 주임 이재욱 [세례자 요한] 신부님이 임기를 ‘무사히’ 마치고 아틀란타를 떠나게 된 것, 그 뒤를 이어 부임 차 서울에서 오신 신임 주임 이영석 [세례자 요한] 신부님을 맞게 된 것 등등.. 이 바로 그것이다.

두 목자의 세례명이 똑같이 세례자 요한인 것이 흥미롭다. 나는 간단히 JL재욱 [John Lee], JL2영석[John Lee 2]로 표기하는 이 ‘예수회 사제’들, 우리는 더 이상 바랄 것이 없는 ‘이상적인 사제’라고 생각하며 이런 생각에는 충분한 이유가 많이 있다. 온화한 말씨와 배려하는 성품, 대부분 중립적이고 공정한 사고방식, 비 극단적인 정치적 성향.. 등등.

사실 이번 새 신부님이 오시기 전에 우리, 특히 나는 불안한 심정을 금할 수가 없었다. 같은 Atlanta 지역의 ‘형제 성당’에 있는 ‘어떤 사제’와 같은 류의 주임신부가 만의 일이라도 오게 되면 나는 최악의 경우 향후 4년간 성당을 떠날 준비까지 할 각오가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10년 전까지만 해도 나는 ‘신부의 자질’은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마음에 안 들면 내가 안 보거나 성당을 떠나면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동안 나의 생각은 완전히 바뀌었다. 나 자신을 위해서, 나의 미래를 위해서, 나의 가정을 위해서 이곳, 성당 공동체에서 떠나는 것은 거의 실질적인 자살행위로까지 생각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곳을 떠나서 현재 같은 높이의 건강, 건전한 여생, 삶을 사는 것, 자신이 없다는 것은 경험적으로 누구보다도 내가 잘 안다.

오늘 신임 이영석 신부님을 모시고 병중에 있는 채 아오스딩 형제의  병자성사 동행을 했을 때, 우리는 신부님을 가까이서 느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는데 환자교우를 대하는 모습을 보고 우리는 너무도 좋은 인상을 받았고, 안도감을 훨씬 넘은 기쁨을 맛 보았다.

이 인상 좋고 대하기 편하고 유머감각이 넘치는 새 신부님의 약력을 보니 더욱 안심이 된다. 인품을 떠나서 학자적 지식의 기반이 더 이상 바랄 것이 없을 정도로 보인다. 더욱이나 가톨릭의 장점인 ‘포용성’을 반영하듯, 인도철학박사의 배경을 가지고 있다. 이 신부님 부임 직전에 서강대학 교수직 제의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먼저 약속이 된 이 ‘험난한 교포사목’ 직을 수락하셨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서 나의 좋은 인상은 여전히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현재까지 본 새 신부님, 완전 합격 정도가 아니라 향후 4년이 너무나 희망적으로 기대가 되기에 우리 둘은 너무나 기대가 크다.

 

위령의 달, 수녀 이해인

11월로 접어들며, 1일의 ‘모든 성인의 날 All Saints Day‘를 시작으로 2일에는 ‘위령의 날 All Souls Day‘ 를 맞는다. 이 두 날은 모두 ‘가톨릭 천주교 전례력’의 기념일이지만, 11월이라는 ‘깊어가는 가을’을 배경으로, 사실 제한된 시간을 살고 있는 모든 사람들이라면 최소한 한번은 ‘죽음, 특히 자기의 죽음’에 대한 성찰, 묵상을 하고 싶은 때가 아닐까…

작년 이맘때 ‘그리운 친구, 양건주’가 고맙게 보내준, 당시로서는 신간에 속하는 이해인 수녀님의 수필집 <기다리는 행복>을 이제야 다 읽게 되었다. 비록 여백이 넉넉히 있는 각각의 페이지에도 불구하고 전체는 무려 400쪽에 가까운 ‘두꺼운’ 책으로 ‘필사’는 물론 깊이 소화하는데 무려 일년이 걸린 것이다.

내용 중에 ‘순례자의 영성’ 章에서는 위령의 달, 위령의 날을 묵상하는 시와 글이 실려있다. 역시 수도자답게, 죽음은 끝이 아니고 우리가 돌아가야 할 고향임을, 우리들 모두 인생의 순례자임을 고백하고 있다. 그래도 그래도 역시 작은 인간이기에 ‘죽음이 있는 곳’은 안 가보았기에 두려움은 인정을 한다. 얼마나 솔직한 표현인가.

이해인 수녀님의 ‘명성’은 사실 오래 전 연숙을 통해서 익히 듣고 짧은 수필을 읽어 보기도 했는데 이번에는 아주 heavy weight를 들어올리는 기분으로 책 전체를 읽게 되었고, 근래에 조금씩 ‘시詩의 눈 眼’이 열리는 덕인지 수녀님의 주옥 같은 시에서 영성적 차원의 시상 時相을 얻기도 한다.

수녀님의 이력 중에 나의 관심을 끈 것이 있다면 나이가 나의 누나와 동갑인 닭띠인 것과, 서울 가회동 성당에서 유년시절을 보냈다는 사실이 있었다. 상상으로 아마도 나와 같은 시절(1950년대) 같은 동네 (가회동)를 걸었을지도 모른다는 것, 참 놀랍고 즐겁기까지 하다. 혹시 재동국민학교 출신이 아닐까 하는 ‘희망’도 있었지만 ‘애석하게’도 수녀님은 조금 떨어진 ‘창경국민학교’ 를 다녔음을 알게 되기도 했다.

가회동성당 주일학교 소풍 1955년, 아마도 수녀님은 오른쪽에서 두번째가 아닐까..

안타까운 사실은 역시 수녀님의 건강상태, 몇 년 전 ‘타계’ 라는 오보를 접하고 놀랐던 사실이 있어서 무의식적으로 이 ‘누님’의 안녕을 잊을 수가 없다. 고통은 다른 쪽으로 은총이라는 ‘싫은 진리’도 있기 하지만 아마도 수녀님은 그런 진리를 모두에게 보여주시는 듯 보통 나약한 사람들보다도 더 건강하게 사는 것처럼 느껴지니, 이런 것들이 모두 우리가 role model로 삼을 수 있는 case가 아닐까. 자주는 아니더라도 시와 글의 일부분이라도 머리에 떠오르면 반드시 화살기도를 바치리라.. 항상 생각한다.

 

 

순례자의 영성

 

저무는 11월에

한 장 낙엽이 바람에 업혀 가듯

그렇게 조용히 떠나가게 하소서

(……………….)

한 점 흰구름 하늘에 실려 가듯

그렇게 조용히

당신을 향해 흘러가게 하소서

 

죽은 이를 땅에 묻고 와서도

노래할 수 있는 계절

차가운 두 손으로

촛불을 켜게 하소서

 

해 저문 가을 들녘에

말없이 누워있는 볏단처럼

죽어서야 다시 사는

영원의 의미를 깨우치게 하소서

 

– 이해인, <순례자의 기도> 중에서

 

 

세상 떠난 이들을 위해 공동체가 함께 기도하는 위령의 달, 위령의 날을 나는 좋아합니다.

우리 수녀님들이나 친지들이 긴 잠을 자고 있는 무덤가에 서면 마음이 절로 차분하고 온유해지기 때문입니다. 먼저 떠난 분들에 대한 그리움에 잠시 슬퍼지다가도 그들이 보내오는 무언의 메시지에 정신이 번쩍 들곤 합니다. 지난해와 올해만 해도 여러 명의 수녀님이 세상을 떠났는데 어떤 분은 매장하고, 어떤 분은 화장해서 수녀원 묘지에 모셔옵니다. 비록 육신은 떠났으나 그들이 너무도 생생히 꿈에 보이거나 바로 곁에 있는 것처럼 기도 속에 떠오를 때면, 허무를 넘어선 사랑의 현존으로 행복을 맛보기도 합니다. 오래 전 수도공동체의 수련장이었던 노수녀님을 동료수녀와 같이 병간호하러 가서 환자 수녀님과 성가도 부르고 배도 깎아 먹으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는데, 다음 날 새벽 수녀님은 갑자기 살짝 주무시듯이 고요하게 선종하셨습니다. 너무 당황한 나머지 함께 지켜보던 동료 수녀는 떠나는 수녀님을 향해 “아주 가시는 건가요? 그럼 안녕히 가세요!” 라고 마지막 인사를 하는데 그 인사말이 어찌나 간절하고 인상적이던지! 잠시 출장을 가거나 지상 소임을 마치고 저쪽 세상으로 이사 가는 이에게 건네는 이별 인사로 여겨져서 슬픔 중에도 빙긋 웃음이 나왔습니다.

 

사랑하는 이들이 먼저 떠나가서 친숙하기도 하지만, 또 한편은 가보지 않은 세상이기에 두렵고 낯설기도 한 죽음을 깊이 묵상하는 11월, 우리는 그 무엇에도 그 누구에게도 매이지 않는 가벼움과 자유로움으로 순례자의 영성을 살면 좋겠습니다. 적어도 하루에 한 번 아직은 오지 않은 자신의 죽음을 잠시라도 묵상하는 것은 오늘의 삶을 더 충실하게 가꾸는 촉매제가 되어줍니다.

“주님, 이 밤을 편히 쉬게 하시고 거룩한 죽음을 맞게 하소서.”

매일 외우는 끝기도의 마무리 구절을 묵상해봅니다. 삶의 여정에서 자존심 상하고 화나는 일이 있을 적마다 언젠가는 들어갈 ‘상상 속의 관’ 속에 잠깐 미리 들어가보는 것, 용서와 화해가 어려울 적마다 십자가 위의 예수님을 바라보며 자신을 겸손히 내려놓는 순례자의 영성을 살아야겠습니다. 자신을 극복하는 작은 죽음을 잘 연습하다 보면 어느 날 주님이 부르실 때, “네!” 하고 떠나는 큰 죽음도 잘 맞이할 수 있으리라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