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nt 2024

아~ 일어났다, 제 시간 6시에.. 오늘 대림절 미사에 갈 수가 있게 되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어제 성탄구유점등식엔 못 갔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Advent는 이렇게 놓치지 않은 것, 요즈음은 왜 이다지도 매일미사는 커녕 주일미사조차 허덕이며 노력을 해야 하는 ‘신세’가 되었을까? 하지만 결사적으로 노력을 하는 자신을 보기에 조금 안심은 하고 있다. 계속, 계속.. 이것에서 손을 놓으면 나는 가망이 없다, 가망이…
30도를 가리키는 backyard 온도계, 아~ 결국 겨울의 서광이 서서히 비추기 시작한 것, 그것도 대림절 첫날에 맞추어… 춥긴 하지만 이제는 익숙한 경험의 기억 덕분인가, 그다지 춥지 않게 느껴지는데… 아마도 오늘은 바람이 조금 덜 부는 때문이 아닐까? 그래도 오늘 외출 때, 목도리를 할 생각까지 하고 있는데…

이제부터 우리에게는 ‘새해’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것인가? 우리의 믿음의 원천 가톨릭교회의 새해, 대림절 시작인 Advent를 의미 있게 맞는다. 주임신부님의 강론은 여전히 일관성 있는 Christology, biblical, 참 좋구나. Bishop Barron의 그것, 그리고 오늘 새로 본 Scott Hahn의 그것, 거의 같은 맥락인데.. 나에게는 참 새로운 눈으로 오늘의 의미를 생각하게 해 주어서, 너무나 주일이 은혜로운데…

오늘 미사엔 그 동안 한동안 안 보였던 서 형제부부가 반갑게 보였다. 또 앞자리의 C 베로니카 자매가 혼자 앉아있는 것이 조금 이색적.. 이 자매를 보면 볼수록 내가 본 첫인상이 완전히 되살아나는 우울한 생각 뿐.. 참 이 사람도 이해하기 힘든 그런 type이 아닐지… 사람들, 참 그렇데 다른 것인가?

이제는 성당 친교실이 멀게만 느껴지고, 그곳에 아무런 미련이 없는 것처럼 느껴지는  날, 도망치듯 빠져 나와 곧바로 텅~ 비어있는 새로니 집에 잠깐 들렸다. 부탁 받았던 outdoor water meter가 있는 곳의 shutoff valve를 check하고 조금 더 tighten했는데 이미 그것은 굳게 잠겨있었다. 그렇구나, 집을 오래 비울 때는 이곳을 잠그면 되는 사실, 작년 긴 여행 때 했어도 될 터인데..

집에 돌아오자마자 나를 주시하는 녀석, 어찌 지체를 할 것인가? 이제는 나도 이 시간을 은근히 기다리는데… 1~2마일을 이렇게 매일 걷는다는 사실, 얼마나 건강한 느낌인가? 날씨까지 이렇게 멋지게 춥고, 녀석이 찾았고, 개발한 Ozzie Trail을 또 본다. 오늘은 1.4 마일 정도, 조금 slow down하는 지혜도 필요하지.. 참, 맑고 싸늘한 공기에서 하느님의 은총까지 보는데…

새로 달아 놓은 bird feeder 2개, 하나는 porch eave 처마 밑, 다른 것은 back yard 한 가운데 pole 위에.. 어제 보니 벌써 새들이 몰려오는 것이 보이는데, 역시 예상대로 뒷마당에 있는 것은 다람쥐가 곡예를 하는 모습 보인다. 오늘은 조금 높게 달아 놓았는데.. 결과는 어떨지..
오랜만에 스트레스를 덜 느끼는, 아니 자유롭고 편한 나머지 하루를 지냈다. 주일미사 이후의 주일 오후는 대강 이런 식으로 은총의 시간이 되는데.. 역시 주일이라서 그런지… 

Youtube에서 Holiday movie가 줄줄이 벌써 나오는데.. 아~ 몇 년 전 holiday season 때, 자주 즐겨 보았던 것 The Sound of Christmas를 다시 보게 되었다. 아마도 2018년 경이었던가? 그때의 것도 벌써 추억으로 변하고 있으니, 참~~~

얼마 전에 2000년대 때의 사진 하나를 찾아서 아예 desk앞에 놓아두고 본다. 건주, 윤기, 인송, 태일.. 연호회 멤버들이 2000년대 초, 졸업 후 재회를 한 기념으로 찍은 사진. 보면 볼 수록 가슴이 저려오는데…

오늘 두 끼 식사 (아침과 늦은 점심이 전부인 우리 식습관) 모두 연숙이 pro의 실력으로 마련해 주었다. 아침은 내가 좋아하는 ‘진짜 French Toast’, 점심은 역시 내가 좋아하는 것, ‘하이라이스’ 오늘 맛본 것은 어쩌면 그렇게 맛이 있던지.. 역시 ‘전업주부 경력’의 실력은 다른지..
어제 ‘홍KS 후배’ 집에 갔었던 것을 서서히 다시 돌아본다. 어제는 사실 어떨떨한 상태, 무엇을 기대할지도 모르는 그런 자세로 몇 시간을 그 부부와 함께 보냈는데, 오늘은 조금 더 천천히 대화, 만남의 기억을 찾는데.. 그 부부는 과연 어떤 사람들인지, 더 알고 싶은 것들 투성이지만, 만약 인연이 계속된다면 서서히 자연스레 알게 될 것인데… 우선 ‘피해 상상’만은 하지 않아도 될 듯한 그 사실을 감사하면…  후배와의 대화에서 느낀 것 중에서 제일 기본적인 것은 조금 나에게는 실망일지도… 듣는 것보다는 말하는 것에 신경을 쓰는 듯한 모습.. 한마디로 남에게 관심보다는 자기에게 더 관심을 가지게 하는 듯한 인상.. 나에게는 솔직히 말해서 ‘불리한 것’이라는 유치한 생각까지.. 하지만 두고 보면 다른 모습일지도 모르니..

Analytic Idealism in a Nutshell by Bernardo Kastrup
나에게는 이것이 진짜 AI, 본격적으로 읽기 시작~~ Bernardo Kastrup, 참으로 멋진 지성, 논리, 사상, 이것을 배우고 믿고 싶은데…. 과학과 영성을 예리하게 구분하지만 절대로 떼어놓지 않는 이 ‘젊은 양반’의 지혜는 한마디로 기적에 가까운데~  눈에 보이고 만질 수 있는 앞에 놓인 ‘의자’가 먼저인가, 아니면 그것을 생각할 수 있는 consciousness가  먼저인가? 너무나 당연한 질문과 대답이 이 ‘석학’이 죽도록 추구하는 metaphysics인데, 왜 그것이 그렇게 중요한지 이제야 조금씩 이해를 하게 되었으니~~ 조금 늦은 것인가?

Darkest, Saddest, Worst November 2024… Let it pass…

TWIT (This Week In Tech) technology podcast, host Leo가 보여주고 있는 mug에 쓰인 글자들..”I LOVE IT WHEN I WAKE UP AND TRUMP IS NOT PRESIDENT”, 최소한 상식적인 보통 사람들의 절제된 생각을 대변하는 글이 아닐지..

어젯밤 자기 전, 오늘 아침 일어 난 후, 떠나지 않는 생각들이 새벽 6시경에 모두 ‘일단’ 끝을 맺는다. 그 개XX의 압도적 승리라고~~ 허~~ 어떻게 이런 일이… 게다가 상원, popular vote까지~~ 최악 중의 최악~~ 유들유들하게 이빨을 들어내며 징그럽게 웃고 있는 얼굴이 단번에 떠오른다.

이런 세상 살기가 싫다는 생각 뿐~ 어떻게 이런 해괴한 세상을 살아가고 있는 것일까? 이것이 우리 주님이 원하시던 것일 수가 있을까? 더 깊은 뜻이 있다는 말인가? 싫은 세상, 싫은 나이, 싫은 것 투성이인 현재, 이 현재를 어떻게 빨리 극복하며 살 것인가? 앞으로 4년이면 나의 나이 80세~ 그리고 나면.. 아~ 싫구나. 어떻게 이렇게 극단적이고, 우매한 인간들 속에서 4년을 살아간단 말이냐? 주님, 하셔도 너무 하신 것 아닙니까? 너무, 너무한 것~~

내가 살려면 빨리 잊고 살자. 어떻게 잊을 수가 있겠는지, 그것은 방법의 문제다. 나는 할 수 있을 거다. 혼자가 아니니까~~~  이런 와중에서 ‘밝은 쪽’ 을 찾는 것도 현명한 것. 지나치게 진보적으로 기울고 있는 현재, 진정으로 상식적인 온건 보수주의를 위해서 이  ‘개XX’를 이용해 먹는 방법도 없지는 않을 것 아닌가? 교회가 조금 더 이성적인 쪽으로, 경제와 사회문제들도 마찬가지로 다시 제자리를 찾는 쪽으로… 등등.. 좋은 점들을 다시 기억, 생각하며 사는 수밖에 없지 않을지…   나도 우리도 살아야 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찾아야, 찾아야… 야속한 주님이시여, 왜 응답이 없단 말입니까~~~

미국의 진정한 민주주의는 앞으로 어떤 도전을 받을 건가? 너무 걱정하는 것 지나친 것인가, 그XX도 모든 것을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없다는 것은 분명히 알고 있을 터인데.. 자기 맘대로 한다는 것은 전보다 훨씬 어려울 것 같지 않은가? 앞으로 4년은 과연 어떤 세상이 될지 그것이 더 큰 문제~~ 대한민국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 2016년 때 깊이 생각하지 못하고 지났던 것, 이제 나는 톡톡히 겪게 된 기분이구나. 그래, 그것도 나쁘지 않을 거다. 나도 고민할 것은 하며 사는 거니까… 주님, 미국의 민주주의를 도와주소서….please, please…

당분간 모든 media (특히 news)에서 거리를 두며 사는 것이 좋을 듯한데.. 과연 이것이 올바른 생각인지, 그것은 모르겠지만 나의 ‘정신건강’에는 큰 도움이 될 거라는 것은 분명하게 느낀다. 가급적 특정한 개인에 대한 증오, 분노를 ‘조절’하는 지혜를 나도 찾아야겠다는 생각까지 든다. 왜 내가 이렇게 원래의 나답지 않게 개인적인 증오와 분노에 휩싸여 살아야 한단 말인가? 이것은 분명히 ‘사랑과 관용’의 모습과는 너무나 반대가 아닐까… 내가 나를 더욱 부축이며 증오하며 사는 것 이제는 조금 자제하고 싶기도 하다. 싫어하는 것은 너무 증오까지 하는 나 자신의 모습을 이번 기회에 돌아보는 것도 현명하고 지혜로운 것은 아닐까? 이것이 오늘 ‘슬픈 실망’의 사건에서 떠오르는 ‘새로운 지혜’의 하나라는 생각도 서서히 들기 시작하는데..

좌우지간 최소한 앞으로 1주일 이상은 세상의 잡음에서 떠난 모습으로 살 것이다. 기필코, 기필코… 다시 명상의 세계로, 책이 있는 고향으로 서서히 돌아가자. 그곳에 나의 삶과 희망이 있지 않은가? 무섭게 깊이 명상하고 읽고, 지혜를 찾자. 세상은 한 특정인에 대한 실망과 분노에 대한 것만이 아니라는 것, 그 사실을 다시 확인하자. 나에게 필요한 것은 ‘무조건 사랑’의 정신임을 잊지 않으며~ 무조건 사랑, 사랑의 정신, 험한 단어는 이제 자제하며 살자~ 그것은 내가 원하는 나의 모습은 아닌 것, 잘 알지 않으냐? 그것이 내가 아니다…

다행히 이런 ‘최악의 날’에 머리 속을 다른 쪽으로 돌리는 외출할 일이 있었다. 얼마 전 연숙의 kidney doctor가 order한 kidney ultrasound test를 오늘 하게 된 것, 몇 시간이나마 그곳에서 기다리는 동안 내가 신뢰하는 James Martin, S.J. 의 글을 읽었다. 이런 위기의 와중에 복음적인 지혜는 과연 무엇이란 말인가?

Two Absentee Ballots cast…

¶  산책에서 돌아오며 mailbox를 열어보니 조금 두툼한 것이 들어있다. 아하~ 기다리던 것 absentee ballot, 앞으로 3주 정도 여유는 있지만 일단 손에 잡힌 김에 일사천리로 작성을 해서 아예 mailbox에 다시 갖다 놓았다. 대통령 후보 명단 제일 위에 그 개XX의 이름이 보인다. 그 다음 후보들이 바로 (Pope Francis 의 권고) lesser evil이라는 후보들, ‘할 수 없이’ 선택해야 하는 신세, 나와 연숙의 의견은 100% 같아서 더욱 빨리 ‘부재자 투표지 작성’, 진행이 된 것.. 이것으로 우리의 ‘도덕적, 양심적 의무’는 달성이 된 것이고, 이제는 하느님, 성모님께 모든 것을 맡기며, 기도하는 자세로 살 것이다.

¶  3일째 연속으로 새벽의 central heating 따뜻한 소음을 들으며 일어난다. 이것이 올해 ‘첫추위’를 보여주는 것이 아닐지.. 싸늘하고 캄캄한 서쪽 하늘을 보니 아~ 이것이 뉴스에서 보았던 super Moon? 유난히도 밝지만~ 너무나 싸늘한 느낌…

유난히도 쓸쓸한 새벽인 것은 분명히 나의 머리 속은 ‘인간, 생명체의 운명’에 대한 각종 생각으로 가득 차 있어서 그럴 것 같다. 어제의 C 헬레나 자매의 ‘선종에 가까운 모습’에 대한 사실 때문일 거라고.. ‘죽음의 사자와 성모님의 기다리는 손길’의 대결이라도 기다리는 듯한 나의 모습이 사실은 너무나 쓸쓸하고 웃기는 것 같으니…

오늘도 성모님의 손길을 느끼려는 노력인가, mary.tv의 메주고리예 live shots 를 멍~ 하니 계속 보는데…  그곳은 비에 젖은 것 같고 아마도 안개비 정도가..  기온은 이곳보다 따뜻한 듯..  40년 전 이곳의 ‘포도, 담배밭 주변’, 성모님을 보고 놀라서 이곳으로 도망치던 ‘6 children visionaries, 목격자들’, 불현듯 나도 그곳에 서 있고 싶은 가느다란 충동…

¶  Fasting YouTube,  아니 아예 안 보며 지낸 지 1주일 째, 내가 노린 효과는 충분히 증명이 되었다.  복잡하던 머릿속이 분명히 ‘정화’되는 듯한 것… 역시 나는 너무나 오감(6감?)의 영향에 약한 인간임을 재확인 하는 실망감… 하지만 최소한 이런 사실을 알고 있다는 것에 감사할 수도… 잡스러운 low-budget noir 흑백영화들, 우타고코로 리에의 감동적인 음성, 노벨문학상의 ‘피할 수 없는’ 사상 점검의 시끄러움… 등등이 가까운 주마등처럼 지나가는데…

¶  오랜만에 나의 시야에서 벗어난 나의 보금자리의 모습, 역시 게으름의 연속이구나.. 정리가 채 되지도 않은 채 거의 몇 달째 방치된 나의 desk 주변~~ 제일 중요한 paper work이 나를 아직도 기다리고 있고,  조금 더 주변 가구를 편한 위치로 바꾸어 놓는 것도 중단 되었고… 아직도 8월 1일 ‘사건’으로 변명을 할 것인가? 이제는 조금 근육을 사용해야 할 때가 온 것이 아닌지.. 올해도 얼마 남지 않았는데~~

¶  오늘 불현듯 ‘자청해서’ 산책을 함께 하자고 한 것까지는 좋았는데, 역시 나는 아직도 멀었구나. 왜 이런 ‘함께하는 일’을 거의 의도적으로 보일 만큼 ‘진짜 바보’처럼 망치는 것인지? 두 사람 걷는 속도의 차이, 이것이 문제다. 걸음걸이를 맞추는 것, 이렇게 어려운가? 이것의 전형적인 ‘타협, 협조’의 진짜 모습인데… 평소보다 조금 빠르게, 느리게 걷는 것이 사실 보기보다 쉬운 것은 아니지만, 결과를 생각하며 노력하는 것은 가능할진대… 아직도 싸늘한 가을 하늘을 보며 걷긴 걸었으니까… 일단 OK. 

산책에서 돌아오며 집 가까이에 있는 것, 내가 제일 좋아하는 일명 ‘가을나무’, 이 녀석을 보니 이제야 조금 가을 색깔의 변화가 보인다. 이것이 노랗게 물들며 떨어지기 시작할 때가 우리 동네의 진정한 가을과 겨울인 것이다.

본당의 날,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은총의 날

¶  다시 여름이 돌아온 듯, 오늘은 모두 여름복장을 하고 성당엘 가게 되는데.. 오늘이 가을의 첫날, 추분이란다. 문제는 앞으로 일주일 이런 여름 날씨가 계속된다는 것, 조금 맥이 빠지는 것 아닌가? 기후조차 이제는 호락호락하지 않구나~~

오늘은 성 김대건 안드레아 대축일 겸 우리 성당의 주보 성인을 기리는 ‘본당의 날’이었다. 주임신부님의 대축일 강론, 평창이씨 이승훈 할아버지 이름이 몇 번씩이나 언급이 되어서 아주 흐뭇하고 자랑스러웠는데, 왜 아직도 성인 반열에 오르지 못하고 있는지 안타깝다.

오늘도 미사 직후 쏜살같이 성당을 빠져 나오려고 했는데, 오늘따라 베로니카, 맛있는 도가니탕 을 먹고 가자고… (이렇게 먹고 싶어하는데.. 그 동안 나는 계속 맛없다고 했으니..) 오늘은 본당의 날이라고, 성모회에서 특별 무료 아침으로 도가니탕을~~ 솔직히 정말 맛이 있었다. 이런 것이라면 앞으로 자주 먹어도 되지 않겠는가?

오랜만에, ‘지난 10여 년 동안 정들었던’ 넓은 친교실 table에 앉으니 감회까지.. 지나간 수 년 동안 도대체 무슨 일들이 우리를 이곳을 생소하게, 심지어 피하고 싶게 했는지.. 그렇구나, 모두 ‘정말 힘든 사람들’ 때문이라는 것은 흔히 듣던 진부한 현실일 뿐이다.

모처럼 H가브리엘 형제님 부부에게 인사도 했고 (특히 자매님의 환하고 건강한 외모가…), 놀랍게도 닥터 안 부부가 환한 얼굴로 나타나서 반갑게 인사를 했다. Mrs. 안의 모습은 역시 아직도 남다르게 행복한 모습이었으니.. 그 에너지가 충분히 느껴지는데…

또한 우연히 합석하게 된 불문학도 K 세실리아 자매님… 다시 나는 아주 멀지만 않았던 지난 추억을 찾는다. 한때 큰 가정의 위기를 맞았던 그 자매님을 어찌 잊으랴. 그래도 꾸준히 성당에서 그림자처럼 보는데 제대로 인사도 못하며 살았으니… 오늘은 그런대로 코 앞에서 온기를 느끼며 대화를 나누었으니, 이런 ‘사람의 에너지’가 나에게 엄청난 하루를 살 에너지를 주었으리라..

하지만 역시, 우리 정든 성당은 이제 크게 변하고 있고 이미 진화, 변화 한 것을 인정해야 하지 않을지… 역시 나는 ‘이곳에서의 나의 위치’를 다시 찾을 수 밖에 없지 않을까?

성당을 도망치듯 빠져 나오는데 입구 옆 ‘smokers’ bench에서 누가 부른다. 아하~ 놀랍게도 교리반 인연, S 베드로 형제, 전혀 하나도 조금도 변하지 않은 정겨운 모습… 그 옆에는 과달루페 순례동지, 현 사목회장이 웃고 있고.. 두 사람 모두 떳떳하게 의연한 모습으로 멋지게 담배까지 즐기고 있었으니… 솔직히 부럽기까지… 아~ 정말 멋진 일요일 아침이 아닌가? 놀랍게도 그 동안 미사에서 보기 힘들었던 베드로 형제는 아침 교중 미사에 나온 지 거의 일년이 되어간다는 사실,  하도 농담을 잘해서 혹시~ 했지만 설마… 아~ 이 사람도 변하고 있구나.  감사합니다.

¶  내일 온다고 했던 package가 벌써 왔구나.. Kastrup의 2권의 책과 Omron power adapter까지.. Adapter를 조심스레 test를 해 보니.. .아~ it works! 전에 bad product로  한번 속은 적이 있었지만 지금은 완전히 대만족이다. 이것으로 나는 수시로 battery (떨어질) 걱정 없이 혈압 수치를 알 수 있게 되었으니…

그리고 두 권의 (앙증맞게 얇은) 책, 이제 Kastrup library의 90% 이상이 채워지고 있구나. 어쩌다가 내기 이렇게 ‘이 젊은 세기적 석학’의 ‘이론, 사상’에 심취하게 되었는지… 이제 Kastrup  ‘ 이론, 사상’에 본격적으로 더 빠져들게 되었으니, 나는 대만족, 아니 행복하다. 어디엘 가나, 나는 이 책들만 옆에 있으면 지루하지 않을 것이다.

¶  아~ 오늘 하루의 절정은~~ 걱정이 100% 빠져나간 상태에서 이것, 수제 짬뽕을 ‘곱배기’로 배를 채우는 것은 행복의 최고봉이라고 할지.. 오늘따라 어쩌면 이렇게 맛이 있는 것일까? 고마워, 고마워 베로니카, 앞으로 그녀가 좋아하는 것 특히 내가 안  좋아했던 도가니 탕 등을 나도 함께 더 많이 더 자주 먹게 되기를…

¶  늦게 얻은 두 손자들, 아~ 익살맞은 큰형 로난 Ronan~ 언제 이렇게 커버리고 있단 말인가? 하지만 그 옆의 막내 낙스 Knox~가 솔직히 훨씬 더 귀엽기만 하니.. 제일 귀여운 때라서 그런가, 얼마 전부터 기우뚱하며 걷기 시작하더니 이제는 조금 안정이 된 포즈까지.. 엄마 아빠, 하지만 특별히 엄마 나라니는 매일 매일 힘든 속에서 삶의 원천, 에너지를 이런 모습에서 받으리라..제일 더운 9월 달의 하루를 이렇게 억척같이 또 Ellijay apple town orchard 까지 갔던 것이 가상하기만 하다.

¶  너무나 편하고 행복하기만 했던 주일 오후, 시간이 가는 것조차 아쉽기만 한데… 역시 너무나 늘어진 상태에서 기껏 했다는 것이 2000년 대 일본 TV 연속극  [부부도 夫婦道] 나머지 episode를 보는 것, Chromecast로 film noir 몇 편 본 것, 깊지 못한 늦은 낮잠..  조금은 아쉬운 시간들이 되었고… 두 권의 책은 조금 읽기 시작한 정도… 그래, 이 정도면 멋진 일요일이 아닌가? 감사하고, 만족하자….

WANTED: NEAR NORMALCY…

¶  8월 초, 교통 사고 이후, 그것도 ‘새 차’를 타고 동네성당 아침 매일 미사엘 간  첫날, 이것이 우리가 제일 기대하던 그런 날의 모습일 터인데… 결국 시간은 정직하게 흐르고, 그런 때를 맞게 되었다. 이것이야말로 감사하고 감사할 일이 아닌가? 성모님, 고맙습니다~~

우리 동네성당의 모습은 아직도 의연한 모습, 새로 부임한 베트남 신부님의 지나치게 웅얼거리는 미국영어 accent에 아직도 알아들으려 무척 고생을 하는 우리 둘의 모습, 하지만 ‘본토인’들은 그의 말을 ‘거의’ 알아듣고 웃고 고개를 끄덕이고… 그렇다면 반세기를 살았어도 우리는 아직도 영원한 언어의 이방인이란 말인가? 이 ‘월남’ 신부님은 추측에 1970년대 월남 패망 후 망망대해로 피난을 나갔던 boat people 소년이었을 듯하다. 그의 near perfect American accent도 그런 사실에 연유하는 것 아닐까?

성당의 packing lot에서 우리를 기다리고 있는 까만 차, 아직도 생소하게 보이는 차가 이제부터는 우리를 모시고 이곳엘 ‘언제까지’ 올 것이고, SONATA CAFE의 이름도 바꾸어야 하는지 고민이고..

 NORMALCY 중에 McDonald’s의 breakfast menu, No. 2 가 빠질 수는 없고, 계속 MacCafe coffee 를 즐기지만 베로니카는 GERD (역류성~~)에 대한 공포로 이런 것들, 특히 coffee가 금물이 되었으니..  이럴 때마다 나는 미안한 마음을 금할 수가 없으니… 몸의 건강을 우선으로 하니 너무나 ‘금물’의 종류가 많아지는 그녀, 그것을 의연히 견딜 각오를 ‘지나치게’ 과시하는 모습 등이 솔직히 슬플 정도다. 먹고 싶은 것을 못 먹는다는 것… 얼마나 애절한 노릇인가?

마지막 가는 곳은 역시 YMCA, 오늘은 조금 긴 시간을 할애 ‘받아서’ 편하게 늑장을 부리며 걷고, 들어 올리고… 나의 몸은 그렇게 크게 변한 것은 아직 느끼지 못하니… 이러 모든 일상적인 모습들이 지난 보름 동안 기다리고 기다리던 ‘보통의 날’인 것, 감사합니다…

 

¶  물만두로 배를 지나치게 불리 먹은 후의 지나치게 깊은 낮잠은 신선한 경험이었다. 거의 1시간 반을 정신 없이 잔 것이고, 베로니카도 마찬가지였다고… 8월 초의 ‘교통 사고 후유증’은 이로서 서서히 사라질 에너지를 얻게 될 거다. 늦잠 이후 나머지 오후, 남았던 물만두와 며칠 전에 사두었던 BELGIAN ALE 맥주를 곁들여 먹고 마시고… 아~ 이제 조금 살 맛이 나는 듯…  이것이 바로 ‘즐거운 삶’의 한 모습일 거다.

¶  아직도 ‘새 차, 새로 산 차’를 공부하는 나의 모습이 솔직히 보기 싫은 것이다. 이렇게 일들, 예전에는 사실 기분 좋은 일이었고,  아무런 저항도, 어려움도, 거부감도 없었던 것 아닌가? ‘차의 세계’가 20여 년 후에 그렇게 변한 것이지만 기본적인 것이야 50년 전과 다를 것이 무엇인가? 하지만 20년 동안 computerized 된 것들의 숫자는 정말 현기증이 날 정도다. 하지만 대부분 잡스러운, 눈에 현란한 것들만 요란하게 가미가 되어가는 것 아닌가? 안전 장치조차도 그렇게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처럼 보이지도 않고…  현재 애를 먹고 있는 것은 사실 ‘car console computer’ 를 새로 배우는 것에 불과하고, 새로운 feature가 있으면 배우면 될 것이 아닌가? 그것이 현재 시간이 조금 걸리는 것 뿐이다. 하지만 은근히 화가 나는 것은 어쩔 수가 없다. 이것은 거의 자존감에 대한 상처를 미리 우려해서 그럴 거다.  조금만 더 시간을 두고 천천히 가급적 편안한 마음으로 접근을 하자. 이제 남은 것 중에 제일 필요한 것은 NAVIGATION setup 정도가 아닐지.

 

단상 斷想, 작은 거미의 생명…

¶  하루의 첫 개시는 아래층 office로 내려오면서 desk stand ‘bankers‘ lamp의 switch를 켜는 것인데 오늘 잠깐 앉아서 보니 어두운 배경으로 예의 과달루페 성모님 이외에 무엇이 움직이는 모습~~ 아~ 반갑다, 살아있는 것이.. 거꾸로 매달려 곡예를 한다. 거미, 거미.. 맞다 매년 삼복 더위 즈음에 가끔, 아니다 아마도 매년 익숙한 녀석들… 왜 이런 날씨에 꼭 이렇게 나타나는 것일까? 각종 기후 조건, 현재 이 방의 온도, 습도 등 모두 상관이 되는 것인가.
올해는 마루 바닥에 예외 없이 보이는 작은 생물체(주로 roach같은 bugs류)가 거의 안 보이는데, 특히 roach를 밤새 사냥하던 고양이 Izzie도 이미 사라졌는데…
아이들, 손주들, 베로니카 모두 똑같이 질색을 하는 것이 바로 이 거미들인데.. 다행히도 나는 정반대의 모습으로 산다. 언제부터인지 잊었지만 나는 완전히 슈바이쳐 박사의 사상을 포용한 것처럼 도저히 일단 ‘살아있는 것’의 목숨에 절대로 손을 못 대고, 아니 안 대며 산다. 그 알량한 ‘생명경외 사상’인지는 몰라도 정말 나도 내 자신을 이해를 못할 정도로, 나 자신이 그렇게 변한 것이다. 가끔 다치게 하거나 하는 너무나 작은 개미들도 마찬가지, 절대 그대로 놔두고 싶은 것이다. 왜 그렇게 변했는지~ 분명히 이것은 거의 신앙적인 각도에서 보는 것이 이해가 빠를 터인데… 이런 생각에 잠기며 앞을  보니 ‘거미 녀석’은 이미 사라졌다. 미물微物의 삶도 ‘주어진’ 삶인 것, 아~ 나에게 왔던 거미녀석 주어진 생명 끝까지 편하게 살기를 빌어본다.

¶  꿈, 꿈, 아슬아슬하게 나의 손아귀에서 빠져나가는 생생했던 꿈, 사다리가 거꾸로 지붕에 매달린 것이 요란하게 떨어져 나가는 모습이 생생하고, 성당 내에서 무슨 ‘쪼잔한’ 일로 베로니카와 말다툼을 하던 모습, 이것 모두 좋지 않은 것들이 아닌가~~ 이런 잡스러운 꿈은 빨리 잊자, 잊어~~

¶  Avocado Sandwich, Breakfast by Veronica: 오늘 아침식사는 어떻게 베로니카 담당이 되었는가? 분명히 자청을 했을 듯 하고, 메뉴는 내가 못 만드는 것으로.. 역시 ‘주부’가 만드는 것은 확실히 시로도 인 나의 것과 차원이 다르구나..

¶  몇 달만인가? 꽤 오래 된 듯한 이곳, Goodwill donation center 오늘 결국 그곳엘 가서 적지 않은 ‘아직도 쓸 수 있는’ 잡동사니들을 전해 주고 왔다. 이곳엘 왔다 가면 왜 그렇게 기분이 상쾌한 것일까? 조금 남에게 유익한 일을 했다는 만족감 때문일 거다.
현재 위층의 물건들을 대 이동하면서 나오는 것들 대부분 재활용할 수 있는 것들이어서 앞으로 당분간 이곳엘 자주 올 거라는 예측을 하는데.. 오늘 우리를 맞아준 volunteer staff , 아마도 Hispanic 젊은 남성, 어찌나 진실로 고마운 comment를 한다. 특히 왜 이렇게 donation을 하느냐, God 때문은 아니냐는 질문에는 눈물이 날 지경이었다. 이런 staff들이 일하는 Goodwill, 앞으로 더 올 수 있는 상황을 만들면 좋을 것 같구나.

¶  YMCA gym 운동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외식 이야기가 나왔다. 내일 C치과에 갔다가 전처럼 삼봉냉면을 먹자는 얘기를 하다가, 오늘 집에 가는 길에 Thai restaurant,  Lemon Grass 에서 점심을 먹자는 제안을 하는 베로니카.. 아, 점심 준비가 조금 버겁구나 하는 조금 측은한 생각이 들고.. 나도 마다할 이유도 없었다. 오늘 따라 100% 나의 고정메뉴인 Broccoli Tofu대신에 다른 식구들의 고정메뉴 ‘팟타이’를 먹게 되었다. 거기다가 ice cold beer까지 곁들여 먹은 오늘 점심은 정말 맛있는 것, 이런 기분이라면 오후의 낮잠은 천국일 거라는 생각으로 오랜만에 ‘살맛 나는 인생’이라는 기분까지… 그래, 인생은 그렇게 외로운 것 만은 아니지…

¶  편한 낮잠에서 깨어나 다시 보게 된 것이 그 놈의 WF (Why File? 의 약자) 중독성이 강한 이 YouTube channel 를 보며 잠에서 깨어나는데… 갑자기 Unsubscribe하자!  라는 충동이 들었고 곧바로 행동으로 옮겼다. 이곳이야말로 toxic, addictive한 것의 전형이라는 생각이 든 것이다. 너무나 말도 안 되는 소재가 대부분, 게다가 제일 화가 나는 것은… 거의 현실성, 진실성이 없는 것들을 묘사 설명한 뒤, 믿고 안 믿고는 너의 몫이다, 허구인 것을 증명하는 것은 너의 몫이다… 라는 허무맹랑한 논리를 편다. 아~ 이것이 SOB TRUMP 개xx 집단들, conspiracy theorist들이 사용하는 수법이 아닌가? 지금이라도 발을 빼야겠다는 생각이 번득거리고.. 결국 행동으로 옮긴 것이다. 비록 ‘재미있는 Sci-Fi, 만화’를 더 이상 즐길 수는 없겠지만 나의 정신건강상 이것이 해독제인 것 아닐까?
이것은 나의 낙관적인 오해가 문제였을 것이다. 이 YouTube podcast의 성격, 목적을 내 나름대로 ‘상식적, 객관적’인 수준으로 일단 좋게 판단을 한 것이 잘못이었다. 돈을 벌려는 상업적, 흥미유발인 측면이 너무나 강한 것을 이제야 실감하게 된 것이다.

아아 잊으랴, 어찌 우리 ~~ 6.25 육이오~~

¶  이제야, 늦게야.. 오늘이 6월 25일이었음을 실감을 한다. 어떻게 내가 이렇게 되었는가? 다른 날도 아니고… 나는 그래도 잊지 말고 어제부터 이날의 의미를 조금이나마 느껴야 했었을 것인데, 장구한 세월이 이런 식으로 흐른 것인가? 육이오(박정희 대통령의 발음 ‘융요’를 즐겁게 추억하며) 를 완전히 잊고 하루를 보냈다니… 아~ 빨갱이, 빨갱이들이여~ 역사이래 인류가 고안한 가장 교묘하게 악질적이고 잔인한 ‘사상, 그것을 믿는 집단’들…
푸틴 개XX와 ‘젖먹이 돼지XX’ 김정은이란 X이 만나서 함께 차를 타고 가는 모습을 YouTube video에서 흘깃 보며 어휴 저 놈들~ 하며  저주를 하기도 했는데, 참 세상이 어떻게 이런 식으로 변하고 있는가? 한때 지구상에서 퇴화, 멸종이 되었다고 생각했던 이 ‘저주의 사상’이 어떻게 다시 이렇게 고개를 들게 되었는지.. 빨갱이, 빨갱이, 레닌, 스탈린, 모택동, 김일성, 김씨 세습 왕조, 나중에는 ‘친애하는 우리들의 운동권 출신’ 빨갱이들까지.. 이들은 무엇 때문에 그렇게 사람들을, 그것도 대부분 동족들을 대량으로 죽이면서까지 ‘공산주의 사회’를 꿈꾸었을까? 다른 한편 이들의 유물론이 얼마나 무서운 ‘또 다른’ 사교집단신앙인지 그들은 정말 몰랐을까?

¶  VIGANO, VIGANO….  이 사진, 언뜻 보기에 양순하고 착하게 보이는 ‘양의 탈을 쓴~~’, 이 인간, 멀쩡한 이력을 지녔는데, 최근에 갑자기 양의 탈을 벗고  또 다른 Trump 개XX 흉내 내는 亞流, 인간, 명색이 대주교, 한 때 바티칸의 미국 교황대사라는 인간 Vigano인가 뭔가 하는 놈, 그렇게 바티칸 교황, 교황을 온갖 중상모략하며 설치던 이 인간, 결국은 파문소송에 걸렸다는 소식.. 어떻게 그런 놈이 대주교였는지.. 교황과 교회를 완전히 매도하고 교회를 분열하려는 그런 놈, 거의 몇 년 동안 할말 못할 말 다 했던 놈, 그 얼굴이 거의 ‘웃는 악’처럼 나에게 보이는데… 2020년 이전까지는 비교적 양순한 모습으로 교회내의 부패, 사제 성추행 사건들을 파헤치던 것은 그런대로 이해를 하지만 이후 그는 완전히 악마의 하수인으로 돌변했으니..
교회를 분열하는 것까지는 그런대로 이해할 수 있을지 몰라도, 그가 트럼프 집단의 conspiracy 집단을 아예 부축이고, 그것도 모자라 COVID vaccine 을 ‘검은 집단’의 음모라고 거짓말까지 하고, 나중에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정당한 것’이라고까지.. 하니 이것만은 절대로 용서할 수가 없다. 왜 세상이 이렇게까지 돌아가고 있는가? 가톨릭 교회가 싫고 교황이 싫다면 네 자신이 떠나면 될 것 아닌가? 왜 분열을 시키며 거짓말이나 유포시키고, 그것도 교회 밖에서 떠들어 대는가? 정말 근래에 이렇게 보기 싫은 인간들이 [이 인간, 트럼프 집단, 한국에서는 이재명인가 뭔가 하는 인간] 왜 이렇게 자기 마음대로 세상을 휘젓는 것들이 용납이 되는 세상으로 변하고 있는 것인가?

¶  WORD POWER: Bishop Barron, CAVE or SPELUNKER?
WORD POWER라는 말이 자꾸만 추억과 함께 머리 속에 떠오른다. 소싯적 영어 공부할 때 열심히 끼고 다니던 책이 WORD POWER MADE EASY란 것이 있었는데, 오늘 Bishop Barron의 주일강론 중에 나오는 단어 spelunker 라는 단어를 처음 들었다. 알고 보니 이것은 cave와 동의어였다. 이 신부님의 말씀에는 거의 예외 없이 처음 나오는 잘 모르는 어휘, 단어들이 한두 가지가 있는데, 오늘도 예외가 아닌 것이다. 나의 영어 어휘력도 긴 세월의 덕분으로 만만치 않은데, 이 신부님은 그것을 거의 항상 초월하는 듯하다.
이것으로 나는 이 분의 기본적 학문적 지성을 짐작할 수 있고, 비약적으로 유추를 해서 신학적인 신비성까지 엿볼 수 있으니… 이것이야말로 이 신부님의 탁월한 WORD POWER의 힘이 아닌가?
Cave 대신에 spelunker라고 쓰면 조금 더 유식하게 들리는 것, 이것이 인간 속성인가? 이 주교님은 이런 사실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무언가 더 큰 뜻이 있는 착각에 빠지기도 하니까.. 이것이 WORD POWER의 위력…

¶  DARKER SIDE OF…  요새 거의 매일 보게 되는 나의 favorite ‘personalized’ YouTube, 3군데, 모두 나의 개성과 흥미를 반영하는 video들이 집결된 곳들이어서 ‘안심하고’ 나의 구미에 맞는 것들을 보는 것은 좋았는데, 가끔 난데 없이 ‘해괴한’ 놀라운 쓰레기들이 끼어드는 경험도 없지 않고, 어제가 그런 예가 되었다. 이것은 100%  YouTube의 실수일 것으로, 내가 film noir fan이라는 것 때문인 듯 하다. 1950년 대 초의 영화로 B movie에도 못 미치는 한마디로 쓰레기 급이었는데, 아~ 내용이.. burlesque 어쩌구~  [당시에는 rating이니 X 같은 것이 없었으니] 약간 조심은 했지만 설마 정도로 조금 보았다가 함정에 빠진 듯한 후회로 곧 성모님의 얼굴이 뒤에 보이는 착란~. 너무나 실망한 것은 나의 약점 중의 최악을 떠올리게 하는 그런 영상의 위력에 나는 아직도 아직도 속수무책임을 실감한 사실… 이런 것 나이와 절대로 상관이 없다는 것, 재삼 확인을 하는 기회가 되었다. 그저 한 가지, 어깨 너머로 성모님의 꾸짖는 듯한 자상한 얼굴을 보면 된다. 그것이 유일한 위로요 해결책인 것이다. 요새 YouTube는 피하고 싶은 정치광고(Trump 개XX의 징그러운 얼굴)로 흡사 지뢰밭을 지나는 긴장 속에서 보는데, 이런 ‘야한 것’들까지 합세해서 놀라게 하니..

¶  경운혼성합창단 연습 모임이 일주일도 채 남지 않은 오늘, 처음으로 내가 담당한 tenor part를 조심스럽게 악보로 자세히 보게 되었다. 지난 번 연습 모임에서 반주자가 피아노로 내 part를 친절하게 치며 녹음을 했던 것을 다시 들으니 생각보다 쉬운 것이었다. 이 정도면 며칠만 연습하면 다음 모임에는 자신을 가지고 참여할 수 있을 듯하다. 오늘 악보를 찬찬히 보면서 나의 궁금했던 것들, 높은, 낮은 음자리표의 관계를 처음으로 피아노 건반에 비교하여 알게 되었다.  내가 부를 tenor part가 거의 모두 “낮은 음자리”로 되어 있었기에 오늘은 이런 것들에 상당히 자신을 갖게 되었다.

¶  나의 여생, 남은 인생의 대부분을 보내고 있는 나만의 공간, 서재 오늘 유심히 본다. 이 방으로 이사온 것이 작년 여름 직전이었으니 이제 일년이 되어가고 그 동안 많이 적응도 되었다. 하지만 아직도 무언가 불편한 것이 적지 않다는 편치 못한 생각이 드는 이유는 무엇인가? 겉으로 보이는 것 보다는 나의 마음이 정리가 안 된 탓은 아닐지.

유월을 가며, 분꽃의 향연 饗宴 외…

¶  날씨가 더욱 더워지면서 더욱 만발을 하고 있는지, 분꽃의 향연..  우리 집의 backyard는 이제 vegetable garden에서 flower garden으로 변하고 있는 중인가…

¶  아~ 몸이 쑤신다, 결린다, 뼈마디가 우두둑거린다. 특히 발이 더 아프다.. 솔직하게 말하면 참는 것보다 이렇게 고백을 하는 것도 위안이 되는구나.. 바로 이것이 신경통이라는 것이구나. 무조건 참는 것만이 능사가 아닌지도.. 이럴 때마다 작년 말 ‘놀랍게, 갑자기’ 선종한 R 세례자요한 형의 웃는 얼굴이 떠오르니, 그가 바로 나와 비슷한 ‘똥 배짱’ 의 사나이였으니까.. 아픈 것을 무조건 참는 것이 멋진 사나이의 모습일 거라고 그도 생각했을  거야.. 하지만 그 결과는…
결국은 Tylenol로 항복을 한다. 하지만 자존심은 살아서 2알이 아니고 한 알만… 이것으로 우선 심리적인 치료는 받게 될 것이니까… 
어젯밤 일찍 retire를 하면서 BLACK BOX wine을 더 마시고 잔 것 때문에 혹시 이것이 혈압을 올리면…. 하던 것은 나의 기우였던가.. 오히려 다른 아침보다 낮은 수치로 시작이 되어서 그 수치를 오늘의 공식 기록으로 clinic에 보낸다. 그래, 이런 식으로 하루 하루.. 살면.. 되는 거야.. 그런가? 과연 그런가? 그렇다면 무엇이 문제인가?

¶  벌써 한 달이? 허~ 무섭다, 경운혼성합창단 연습 날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오는데, 이것이 요새 우리의 ‘한달 세월’의 척도, 기준 역할을 하고 있기에 신경이 쓰이는 것이다. 매번 연습 날 직후에 느끼는 것, 이번에는 곧 바로 연습을 시작해야지.. 그것이 곧 시간의 파도에 휩쓸리고.. 이제 겨우 일주일을 남겨놓고 있으니, 이것도 또 다른 ‘자학의 대상물’이 되는 것, 알면서도 못하는 것, 바로 성 바오로의 고백이기도 하니까… 위안이 없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노력을 하지 못했다는 사실만은 ‘용서받지 못할 것’ 임은 안다. 전혀 노력을 안 했으니까… 바보, 병신.. 병신…

¶  [KASTRUP: MEANING IN ABSURDITY, PAGE 34~]

The demise of realism.. quantum entanglement, Einstein’s local realism, Hidden Variables, Bell’s Theorem, Kastrup’s interpretation of this matter.. open minded skepticism. value of myths, story..

이 부분을 읽으며 다시 생각한다. 한때, 거의 포기하고, 안 보려고 했던 YouTube channelt ‘WF?: the Why File‘. 이곳에 극단적인 Absurdity case 들이 총집결 된 것인데, 한마디로 너무나 ‘웃기는 것들’ 때문에 나중에는 식상을 하고 있었는데, 이 작은 영웅, Kastrup의 심각한 논리를 읽고,  아직 포기하는 것은 현명한 생각이 아니라는 ‘번쩍이는’ 것을 느꼈기에… Skepticism은 필요하지만 open minded와 함께… 결국 absurdity의 뒤에도 숨은 정당한 논리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open mind가 필요한 것 아닐지…

¶  오늘은 어제의 무기력에서 조금 벗어나며 조금씩 쓰레기와 잡동사니, 그리고 숨겨진 보물들, 추억의 (주로 PC, gadget) hardware들을 분류, 폐기, 그리고 garage로 옮겨갈  준비에 박차를 가했다. 하지만 몸의 컨디션을 살펴가면서 거의 거북이처럼 느리게, 쉬며 쉬며 조심스레 진행하고 있다. 이제 목표는 7월 안으로 이번 project를 마칠 것으로 정해서 조금 정신적 여유를 갖게 되었다.

¶  일단 사서 쓰기 시작하면 고장 날 때까지 절대로 새것을 못 사며 살아온 전통, 아직도 고수하는데… 문제는 멀쩡한 것이 망가질 때 쉽사리 버리기가 아까운 것. 우선은 여가 선용 차원에서 repair를 시도하는데, 그것이 점점 귀찮아지는 것이 놀라운 사실이다. 모든 곳에서 retire를 하면 시간이 폭포수처럼 쏟아질 줄 알았는데~ 결과는 거의 정반대~~ 이번 고장 난 것은(picnic table umbrella),  별것(broken lift cord) 도 아니지만 실제로는 골치 아픈 repair job, 오늘도 조금씩 손을 보고 있고 이제 거의 어떻게 고칠 것인가 idea를 찾기 시작하고 있다. 결과는 아마도~~~

Meaning In Absurdity, Again

Absurd, absurdity~~ 이제는 영어 단어의 느낌이 잊혀진 아름다운 한글의 느낌보다 더 실감이 가기에, 오늘은 아예 ‘영한’ 사전을 찾아보았다. 아~ 잊고 살던 이 단어들: 불합리성, 불합리, 부조리, 어리석음, 황당무계, (괴패, 불성설, 탄망) ~~ 이제야 기억 속에 남았던 이 뜻을 알겠다…

This book is an experiment: an attempt to use logic to expose the absurd foundations of logic; an attempt to use science to peek beyond the limits of science; an attempt to use rationality to life the veil off the irrational.
– Bernardo Kastrup, Meaning in Absurdity

보기에도 ‘경쾌하게’ 보이는 124 페이지의 이 귀엽게 작은 책, 서문의 시작이 마음에 든다. 이 저자의 학술적 문장표현력은 또 다른 존경하는 지성 Bishop Barron 에 버금가는 것, 제일 중요한 ‘진정성, 솔직함’ 이 스며 나온다. 진실로 이런 저자들의 책은 읽는 것도 아까울 정도의 보물처럼 느껴진다.
사회, 정치 속의 absurdity에 치중하며 사는 현재의 상황을 떠나 진정한 깊은 철학, 과학적인 absurdity는 반갑게도 신선한 것들이어서 조금 살맛이 난다.

UFOs, fairies, quantum mechanics, analytic philosophy, history, mathematics, and depth psychology.. quantum entanglement, Gödel’s theorems, intuitionistic logic, and the history of science…

세월을 살며 잊고 살았던 것, open-minded skepticism, 이것이 나에게도 필요한 것인가? 무엇이, 어떤 것이 open minded인가?  그리고 skepticism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인가?

11시에 YMCA로 가서 예의 운동 routine을 마치고, 오랜만에 Home Depot와 Marshall shopping을 하고, 오는 길에 Wendy’s에서 중식을 하는 것. 일단 내일 아침 미사을 가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것도 나에게는 작은 심리적 분기점이 될 수도 있는데~~

큰 탈 없이 예정된 일들을 끝냈지만, 약간의 변동 사항이 있었다. YMCA 이후에  Marshall, Kroger 를 가려는 것은 연숙이가 피곤할 것을 미리 예상해서 내일로 미루게 되었다. 이것이 현명한 판단이었을 거다. 오늘 꼭 그렇게 돌아다닐 필요가 있겠는가? 내일 아침에 정말 오랜만에 아침미사엘 가려고 했기에 미사 이후에 나머지 일들을 하면 우리의 에너지와 시간을 균등하게 나누어 쓸 수 있으니 얼마나 좋은가?
오늘 YMCA에서는 주로 ab과 bicep을 강도 있게 열심히 했고, Home Depot에서는 연숙이 사슴들을 못 오게 하는 chemical을  구입, 집에 돌아오면서 예정대로 Wendy’s에서 big cup으로 Dr. Pepper와 함께 Dave’s Single로 이른 점심을 해결했는데… 오늘 이 hamburger의 맛이 조금 다르게 느껴져서 아마도 너무나 최근에 자주 왔던 것 때문이 아닐까 (조금 맛에 둔감해진 것)?

오후의 시간이 ‘엄청’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안도감을 마음껏 즐기려고 했지만 그것도 얼마 가지를 못했다. 거의 PC work이 다 끝났다고 생각했던 것이 잘못이었나? 왜 이다지도 문제가 끝까지 나를 괴롭히는 것인지..
크게 문제가 없었던 Beelink Mini.. Windows 11 pro를 reinstall한 것이 화근이 된 것, 이제는 웃음조차 나지를 않는구나. 왜 문제가 없는 것을 건드렸느냐 말이다, 병신아~~
어차피 언젠가는 reinstall을 하게 될 것이고 그때에는 reactivation문제가 있을 것을 예상해서 일찌감치 오늘 건드린 것인데.. 완전히 놀라움의 연속이 되었으니..  이제 마지막 남은 문제는 Beelink에서 보내준 activation key (2개)가 모두 실패를 하는 것 아닌가? 이것은 결국에는 어떻게 해서든지 해결은 될 것이겠지만, 참 기분이 좋지 않구나.
그래, 마음을 편하게 먹자, 이 조그만 것이 그렇게 나에게 중요한 것이냐? 최악의 경우 당장 없어도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 조금이라도 편한 마음으로 가급적 이런 pc work을 즐길 수는 없는가, stupid, 병신아~~~

결국 이 문제는 일단 깨끗이 해결이 되어서, happy ending 으로 끝났다.
11시 30분까지 씨름을 하다가 기적적으로 activation에 성공.. 이유는 알 수가 없으나 일단 새로 샀을 때의 상태로 완전히 복원이 되었다.  그러니까.. 이 Beelink 제품 자체에는 license문제가 없는 것인 모양…

Magic Windows Scale Factor, 110%

나와 함께 여생을 같이하는 것 중에 대부분 시간을 같이 하는 것이 있다면 무엇일까? 두말할 것도 없이.. desktop PC의 monitor가 아닐까? 그것이 나와 세상 삼라만상을 연결해주는 제일 중요한 window가 아닌가? 그것도 시각적이기에 제일 민감한 것이니, 그것이 평소와 조금이라도 다르게 보이면..
Analog video에서 벗어나려고 sub-d vga 에서 HDMI로 switch를 하는 과정에서 겪는 변화 중에 Windows display setting이 제일 신경이 쓰이는 곳, 떨어지는 시력 때문이기에 지금까지 display scale 125% 에 의존하다가 이번에 HDMI monitor (역시 Samsung) 로 바꾸면서 과감하게 100%로 바꾸어 보았는데… 아무래도 무리, 무리.. 나의 시력이 그 동안 좋아졌을 리가 없는데, 이것은 만용에 지나지 않았구나. 그렇다고 자존심 상하게 전으로 돌아가기는 싫고… 100%와 125% 사이의 것이 있다면.. 하고 살펴보니.. 아~ Windows 11 에 custom scale factor가 있지 않은가?  과감하게 110%로 바꾸어 보았더니.. 이것이 바로 magic scale factor로 느껴진다. 이제야 Windows 11에는 모르던 여러 가지 senior 들에게 필요한 feature들이 숨어 있음을 알게 되었고… 솔직히 Microsoft 에게 감사하고 싶은 심정까지… 참 세상 오래 살고 볼 것이다.

최근 serony-dot-com blog posting이 거의 중단이 되어서 WP (WordPress) admin page를 자세히 볼 기회가 없었는데, 그래도 posting을 하리라는 가느다란 희망을 갖고 가끔 열어보는데.. 이곳은 나의 private area임에도 가끔은 page의 위쪽에 notice정도는 일시적으로 보이기도 하는데 이번에 보이는 것은 조금 느낌이 좋은 그림이 아니었다. WPBoutik라는 해괴한 plugin에 관한 것, 그것이 무엇인지 알 수도 없고 관심도 없는데, 아니다 다를까, 기분이 안 좋더니… 며칠 째 이 보기 싫은 banner ad (사실은 spam으로 보이는)가 나의 신경을 건드리며 나의 참을성을 시험하는 듯했다. 요즈음 내가 참는 능력이 많이 떨어지는 듯해서 괴로운 차에 이런 것들은 정말 괴로운  것이 아닐 수가 없는데…
오늘은 아예 단단히 각오를 하고 몇 시간을 ‘낭비’하며 research를 해보았는데..
우선 WPBoutik란 것으로 출발을 해 보니 이미 complain message가 google의 도움으로 보인다. 아마도 내가 이 spam ad를 보기 시작할 무렵의 것이니.. 이 ‘괴물 광고’가 뜬 것이 내가 보기 시작한 그때였던 모양이다.

제일 key data가 WPBoutik이란 것인데, 이것을 찾아보니.. 프랑스에서 만든 WP plugin이고, 그것을 ‘사라는’ 광고였다.
이 고약한 banner ad는 광고를 지우는 plugin조차 제거할 수가 없는 것이어서 한때는 절망적인 기분까지 들었다.  계속 찾아보니 결국 단서를 잡게 되었다. 이 banner ad와 또 다른 plugin, WPS Menu Exporter 와 상관이 있다는 사실! 바로 이 plugin이 이 banner ad 문제의 장본인이었던 것, 나아가 나의 site에도 그것이 쓰이고 있었다는 결정적 단서, 그것을 없애고 난 이후에 결국 그 괴물 ad는 순간적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문제는 풀렸지만 내가 화를 참을 수 없었던 이유는 WPS Menu Exporter를 만든 ‘놈’과 WPBoutik를 만든 놈이 같은 놈 Nicolas Kulka란 인간이었다는 사실..   아마도 Menu Exporter 를 upgrade할 때 실수를 했을 가능성도 없지는 않지만 믿을 수가 없다. 그 인간은 완전히 거의 spam성 광고로 plugin을 design했다는 다른 user들의 증언이 있으니… 결국 나는 양심 없는 놈 Nicolas Kulka에게 모든 탓을 돌리게 되었다.
비록 며칠 동안 속을 끓이긴 했지만 happy ending을 맞이하게 된 오늘 오후는 머리도 몸도 가볍기만 했다.

이런 예기치 않은 골치 아픈 것이 해결된 이후 받게 된 Amazon deliveries 4가지 , 거의 $100이나 되는 것이었지만 package 는 가볍기만 했다. 모두 모두 가볍고 작은 것들이었기 때문이다.
500GB SSD는 곧 나의 main pc의 예전의 drive D로 설치, 예전의 각종 backup file들을 restore하게 되었고, 다른 한 개는 앞으로 pc system work에서 쓰면 된다.

Meaning in Absurdity, Kastrup의 7번째 책, 놀랍게도 얇고 가벼운 것이었다. 이제는 이렇게 ‘부담이 적은 소책자’가 더 마음에 드니까.. 기대가 된다.

2개의 Bluetooth 5.1 USB dongles, 이것은 어디에 쓸지.. 아직 정하지 못했고… 아하~ 기대가 큰 것은 바로 자동차 scratch 를 감쪽같이 복원, 감추는 nano pad인데, 솔직히 말해서 크게 기대는 안 하지만.. 누가 알랴?

Text message, 새로니의 것, 이번 주일부터 다음 주 수요일까지 Ozzie를 보아 달라고.. Richard 누나 식구가 그때 California 로부터 방문한다고. 그때 아마도 Chattanooga 에 가게 될지도 모른다는 것. 아마 이번에 그 빈집을 어떻게 처리하는가를 알아보려는 것은 아닌지.  Ozzie와 4일간 있는 것, 어찌 내가 마다하겠는가, 어림도 없지.. 가끔 귀찮을 때가 없는 것은 아니나, 99%는 나에게 즐거움과 보람, 행복함을 주는데..

연중 10 주 일요일, Ordinary Time, Sunday

아~ 올해 들어서 처음으로 90도에 접근하는 날, 이곳은 오후 3시 경까지 온도계가 89도를 지키고 있지만.. 아마도 90도를 넘지 않을지..
길고 긴 사순, 부활시기가 끝난 첫 ‘완전한’ 연중 주일미사가 시작되는 날이 진짜 여름 같은 날이 되었다. 예보가 최고 90도라고 하니 아마도 섭씨 32도 정도일 것인데 핵심은 ‘체감온도’인데 그다지 습도가 높은 것 같지 않았다. 이제야말로 여름이라는 생각이 든다.
오늘도 주일 미사 차 도라빌 순교자 성당으로 drive하면서 I-285 도로 공사가 시작되는 것을 본다. 이길, 도대체 몇 년째인가, 1992년부터 traffic과 싸우며 다니고 있는 이길,  지겹게 복잡한 길은 정말 지겹게도 각종 공사투성이여서 이런 모습 새로울 것 하나도 없지만 갑자기 빨라진 paving 의 속도는 놀랍기만 하다. 벌써 중요한 구간은 lane 별로 매끈한 모습, 전의 승차감과 이것은 하늘과 땅 차이..

오늘 주일 미사, 어제부터 오늘 아침까지 계속 Bishop Barron의 미사강론을 들어서 그런지 미사에 임하는 것, 준비가 잘 되었다는 만족감이 든다. 과연 그럴까.. 요즈음 각종 비종교 심지어 세속적, 비영성적인 것들과 친숙해지면서 상대적으로 영성독서가 소홀해진 것은 분명하지 않은가? 그래도 나는 적당한 balance를 맞추는 노력을 한다고 믿는다.
그래서 그런지 오늘도 구 미카엘 주임신부님의 강론이 참 알맞고 적절한 것, 아니 심지어 ‘멋진 강론’이라는 생각이 든다. 지난 주의 ‘맥 빠진’ 듯한 모습에서 조금 나아진 것을 보는 것은 좋았는데, 왜 하필이면 성당 주보를 줄줄 재독하는지 알 수가 없다. 특히 ‘등대회 모임’은 그렇게 빼놓지 않는지.. 그 언급으로 나는 또 작년 말에 일어났던 어처구니 없는 부정적인 기억들과 싸우느라 애를 쓰는 사실을 이 신부님은 알기나 아는가?

오늘은 일찍이 집에 돌아와서 연숙이가 ‘기운차게’ 움직이며 만들어준 Gorin style sandwich를 맛있게 먹었다. 기운만 차리면 이렇게 유쾌하게, 기분 좋게 service를 하는데.. 왜 그렇게 에너지가 많이 빠지게 된 것인지.. 
오늘은 혼자서 이대 야유회엘 운전을 해서 갔다 왔는데, 우리와 친숙한 동창들도 많이 왔다고… 이제 이렇게 혼자서 만나는 사람, 그룹을 찾고, 만나고 하는 사실이 정말 나는 기쁘고 반가운 것이다. 왜 안 그렇겠는가? 혼자가 되면 이런 사람들과의 관계 이외에 더 중요한 것이 무엇인가?
상대적으로 나의 현재 사회적 상태는 거의 제로, 아니 진짜 제로 상태까지 떨어진 듯… 마지막 남았던 ‘삼인방 목요회’도 이제는 기대할 수가 없게 되었으니.. 아니 새로 생긴 것, 경운 ‘혼성’ 합창단 그것 하나가 유일한 것이 되었으니.. 참, 내가 나를 보아도 조금 외롭고 불쌍하기까지 한데… 사실 이런 처지가 전에 비해서 그렇게 고통스럽지 않게 느껴지는 것, 그것 하나는 조그만 변화일지도 모르겠다.

새로 산 Beelink MINI pc와, 거의 모든 old PC들이 성공적으로 Windows 11으로 upgrade가 된 이후, 갑자기 system setup에 시간을 꽤 ‘소비’하고 있는데, 사실 이런 일들이 재미가 있음을 발견한다. 소일거리 정도일 수도 있지만 사실 머리를 쓰는 심각한 일임은 분명하다. 거의 모든 이런 일들의 목적은 사실 ‘매끈하게’ 인터넷을 쓰는데 있음을 알기에 더욱 적절한 소일거리가 될 수밖에 없지 않은가? 예전의 노인들은 이런 ‘소일거리’가 없었을 때 어떻게 살았는지 사실 상상을 할 수가 없을 정도다. 집안에서 할 수 있는 최고의 소일거리는 아마도 책을 읽거나 하는  정도가 아니었을까?
오늘은 전에 Richard가 쓰던 desktop pc mount 기재를 처음으로 나의 옆 shelve에 부착을 하고 그 위에 전에 쓰던 VIZIO digitial TV/PC Monitor를 제2의 monitor로 쓰게 하는 ‘실험’을 하고 있는데.. main desk에서 2개의 monitor를 쓰는 것보다 이런 format이 더 유용한 것인지 시험을 해 보고 싶다.

2024년 성모성심 대축일 토요일은…

성심, 聖心.. Sacred Hearts.. 어제는 예수성심, 오늘은 성모성심.. 성심이란 말 그렇게 익숙한 말이지만 과연 제대로 그 신심의 역사와 의미를 알고 지내는가 갑자기 의문이 든다. 가슴에 와 닿지 않는 회의까지… 왜 이렇게 이런 성심, 영성 등의 말이 멀게만 느껴지는 것일까? 가까운 이유는 이런 것들에 대한 책, 행사, 미사, 활동 등에서 떨어져서 살고 있었기 때문일 거다. 꼭 나쁜 것인지는 모르지만 항상 고향을 등지고 사는 외로움과 미안함을 느끼며 살고 있다. 또 다른 나의 진정한 가슴의 고향에서 떠난 것, 착각일까, 아니면 조금 생활방식을 바꾸어야 할 건가? 솔직히 나도 잘 모르겠다. 하지만 이것은 안다. 이 가슴의 고향은 언제나 나를 기다리고 있다는 사실을…

또 다른 ‘계절의 징표’인 하지를 향한 행진의 시작을 느낀다. 아침 6시가 넘으면서 곧 침실이 밝아오는 것, 자연의 경이… 또 이런 주기적인 자연의 경이를 몇 번 더 경험을 하며 우리는 영원한 고향으로 돌아갈 것인가, 항상 과학적, 철학적, 영성적인 생각을 금할 수가 없구나. 80을 향한 나의 인생여정이 주는 ‘깨달음’ 비슷한 것과 함께..  오늘은 머리도 맑고, 몸의 통증도 사라진 듯할 뿐만 아니라, 의외로 연숙이까지 밝고 가벼운 몸으로 나와 함께 기상을 할 수 있었는데..  아~ ‘우리들 주변의 거의 모든 것이 평화롭다’ 라는 느낌을 떨칠 수가 없구나. 잠깐이나마 이런 순간들의 출현이 더 많아지면 얼마나 좋겠는가…
이런 ‘탓’인가~ 엄격하고 잔인하게만 보이던 ‘새 혈압계’조차 나의 요사이 혈압이 현저히 ‘정상화’되고 있다는 사실이 아침, 저녁 나에게 용기와 희망을 불어넣어 준다. 알 수 없는 것이 혈압임은 알기에, 요새의 수치는 어떤 의미일지 궁금하지만 이것은 전문의들도 크게 자신을 못하고 있는 듯하니…

중앙고 동기반창 목창수, 창수의 카톡 문자를 잠깐만 보아도 반가운 에너지를 얻는다. 새로 동기회 총무로 일하면서 벌써 큰 행사를 치렀는데, 벌써 다른 ‘여행’ 행사를 주선해서 7월 초에 강원도 로 1박 2일의 산행여행을 한다고.. 벌써 신청자들이 줄줄이 신청을 한다. 모두들 눈에 익숙한 이름들. 회비는 무료, 그 동안 참으로 많은 교우들이 찬조금 기부 한 것을 알기에 부럽고도 미안하기만 하구나. 하지만 부러움이 훨씬 더 크지 않을까? 그들은 얼마나 좋을까, 그렇게 서로 만날 수도 있고 여행도 할 수 있으니 말이지.. 그것은 나에게 이제는 모두 늦은 것, 꿈 속에서나 실컷 상상을 할 수밖에 없는데, 나의 운명이라고…

어젠가 그젠가 YouTube에서 낯익은 얼굴이 보였다. Curtis Child.. 그는 Swedenborg Church (New Church) website 의 main personality로서 이제는 나에게도 익숙한 ‘젊은 신앙인’이다. 그가 여기에 보이는 Bryn Athyn 대학 졸업식의 연사로 나온 것이다. 알고 보니 그는 이 2006년 이 대학의 졸업생이었다. Philadelphia suburb에 있다는 이 작은 대학이 바로 이 (Swedenborg) New Church계통이라고… 아직도 이렇게 작은 대학이 건재하다는 사실, 이것은 바로 미국의 오랜 전통으로 보이고, 1973년 눈 내리던 겨울 Nebraska Peru State College에서 보았던 작고 멋진 대학을 보았던 아련하고 감미로운 추억을 되돌아보는 기회가 되었다.

각종 pc work으로 조금 혼란스러운 머리를 청소할 겸해서 오늘은 ‘무조건’ 집 밖으로 나갔다. 오늘은 front yard에서 알맞은 비 덕분으로 무성하게 자라는 잔디와 잡초를 corded trimmer로 deep mowing을 했다. 거의 한 시간 반 정도 일을 했는데 나중에 보니 거의 1마일 정도 걸은 것으로 나온다. 꽤 운동이 된 것인데, 나이를 감안해서 후유증이 있을까 봐 아예 소파에 누워서 낮잠까지 잤다. 이제는 나의 몸도 예전과 다름을 나 자신에게 일깨워주려는 것.

내일 주일미사를 의식해서 Bishop Barron의 주일강론을 YouTube를 보았다. 이번에 보면서 너무나 익숙해진 탓인지 조금 무감한 느낌이었고, 사실 최근 Word On Fire 에서 너무나 자주 날라오는 ‘GIVE’ message에 조금 식상하려는 듯 느껴지고.. 심지어 이 머리 좋은 주교님의 모습이… 조금 예전과 다른, 너무나 자신만만한 것처럼 느껴지기도 하고.. 그렇게 느끼는 나 자신을 탓하기도 하는데..
하지만 다른 video (얼마 전, 신학생들 대상의 강론)을 보면서 금세 나의 잘못을 탓하게 되었다. 이유는 조금 웃기는 것, YouTube 수많은 ‘감사’ comment들을 보면서 내가 너무나 지나친 비약의 함정에 빠진 것을 깨닫고, 역시 그는 현재 우리에게 거의 꺼지지 않는 신앙적 등대임을 재확인 하게 되었다.  다른 등대불 같은 인물들을 함께 생각하니..  몇 명의 얼굴이 떠오른다. 요새는 물론 Bernardo Kastrup 류의 과학철학 대가들이 있지만 조금 지난 시절에는 또 다른 과학신학자 Jesuit Fr. Robert Spitzer가 있지 않은가?

2024년 예수성심대축일 금요일은…

2024년 예수성심대축일, 금요일 6시 30분의 ‘최후의 기상시간’을 넘기고 일어난 것, 아쉽기보다 조금 기분이 새롭게 신선하다. 이런 작은 변화라도 없으면 이 시절에 무슨 재미가 있을 것인가?  그것도 부족해서 나보다 연숙이 먼저 기상? 이것은 더욱 더 재미있는 오늘의 작은 설렘을 느끼게 해 주는 것… 이라고 마음대로 상상한다.
오늘은 예수성심대축일 임에도 불구하고 아침식사는 물론 아침미사까지 못하고  9시 경까지 연숙의 breast cancer screen을 하러 Johnson Ferry Road의 North Side Hospital 로 갔다가, 모처럼 우리의 단골 아침식당, McDonald’s에서 비록 금육의 날이지만 No. 2 로 아침을 먹고 곧바로 YMCA로 가기로 한다. 이것이 오늘 하루의 일정이라고 생각하니 갑자기 어깨가 가벼워지고, 상쾌함까지 느껴지는데.. 과연 오늘 하루는 어떻게 끝나게 될 것인지, 성모님.. 부디 끝까지 봐주세요~~

며칠 째, 혈압의 상태가 나에게 안도감을 선사한다. 별로 크게 다른 일도 없는데 왜 혈압이란 것은 이렇게 알 수 없이 변화하는 것일까? 기분이 좋을 때에도 오르고, 힘들 때에도 내려가고.. 예측을 전혀 할 수가 없는 것, 그래서 부지런히 지켜보라는 것인지..  좌우지간 현재는 OK 라고 하니까, 감사하게 받아드려야..

어제 며칠 동안 완전히 ‘잃어버렸던’ 수많은 역사적 카톡 메시지를 다시 찾은 것이 나에게는 그렇게 기쁘고 기적처럼 보인다. 방법이 있었음에도 그것을 모르고 살았던 것이 조금 부끄럽기도 하다. 이제 연숙의 것도 모조리 되찾아 줄 수 있게 되어서 더욱 기분이 좋아진다. 그곳에 나의 지난 수년간의 일상이 알알이 남아있는데, 그것은 과연 나에게 그렇게 중요한 것인지는 솔직히 확실치 않지만 관건은 그것이 나의 작은 역사라는 사실 하나다.

피하려고 해도 소용이 없는가? 일단 정치를 포함한 거의 모든 세속적 잡것들에 대한 것(주로 TV 뉴스, YouTube fake news들)을 ‘차단’하며 살기에 마음의 평화가 되돌아오는데.. 이유야 간단하지 않은가, 바로 그(SOB) XX 에 대한 것, 특히 얼굴을 보고 싶지 않아서..  올해 11월 초까지는 결판이 날 것이라는 것 까지만 기억하고 싶지만, 과연 그것이 그럴게 수월할까?

그것과 더불어 나의 신경을 자극하는 것은 ‘우리의 분야’라고 할 수도 있는 것, 바로 AI (Artificial Intelligence)라는 ‘괴물’인데 나에게 더 흥미로운 것은 동일한 약자를 가진  Analytic Idealism인데, 어떻게 이런 우연이 있을 수가 있는지.. 이 두 약어 중에 Artificial Intelligence, 1980년대 Computer Science course중의 하나로 강의를 들었던 때도 있었던 것, 당시의 computer hardware의 수준으로는 이것은 상상의 산물에 불과했다. 최근에 다시 거대한 자본에 힘입어 등장한 이것,  물론 나도 처음 것에 관심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닌데 알 수 없는 이유로 계속 피하며, 아니 무시하며 살았는데.. 혹시 이것 내가 잘못 판단하고 있는 것은 아닐지.. 이제는 서서히 남들이 떠들어대는 수준 정도는 배워야,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닐지… 조금 더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용기가 나에게 필요함을 서서히 느낀다. 못할 것도 없지 않은가? 흥분하지 말고, 냉정하게 알아 보는 정도는…

나의 초소형 system lab이라고나 할까, 이제 mini-pc와 Vizio TV/monitor (예전에 desktop pc에서 쓰던 것)의 출현과, uC/IoT/Sensors의 활동저조 등으로 나의 main desk주변의 모습이 조금씩 변화를 보인다. 이것과 이곳 주변의 대거 서류 정리등과 함께 올 여름 내내 이곳을 쓰기 편하고 좋게 바꿀 희망을 갖는다.

예정대로 연숙의 mammogram screen차 Johnson Ferry Road에 있는 Northside  medical complex에 위치한 imaging center엘 갔다. 작년 이맘때 분명히 온 곳이데 이상하게도 정말 유감스럽게도 거의 기억을 잊어버렸다. 왜 그랬을까? 특별한 기억이 없었던 것인지.. 하지만 오늘 다시 가보니 아~ 이곳이 이런 곳이었지.. 100% 기억이 되살아난다. 이런 경험은 사실 드문 것인데, 혹시… 이것도 dementia 의 초기나 가벼운 증상인가? 그저 기억력 감퇴 정도라고 확신은 하지만… 정말 괴로운 나이가 지나가고 있구나~~

아침 식사는 물론 McDonald’s에서 같은 것으로 하는데, 연숙이도 한때 즐기던 MacCafe coffee를 피하는 것을 보니 솔직히 말해서 미안하고 불쌍하기도 한데, 나 같았으면 후유증이 있더라도 그렇게까지 피하지는 못했을 것 같다. 그 정도로 역류성기침이 그녀에게는 심각한 것이다.

또 거의 2주일 만에 찾는 YMCA, 지난 주 수요일에 왔을 때 이미 알았던 것, 아이들의 summer program의 시작인가.. 아~ 이 아이들, 줄을 서서 단체활동을 하는 똘망거리는 얼굴과 눈들.. 정말 귀엽고 부럽구나… 나의 routine exercise는 거의 똑같은 것이었는데, 사실 전혀 힘들지 않았다. 아직도 근육만은 건재하다는 증거다. 일주일에 2번 정도 이런 강도로 하면 이 나이에서 건강한 수준이 아닐까…

역시 어제와 비슷하게 유쾌하고 편안한 오후를 보냈다. 아직도 끝나지 않은 일, HDMI audio문제로 씨름을 하다 보니 오후의 시간이 정말로 빠르게 지나가고 말았다. 이런 일들, 대부분 이렇게 시간을 낭비하는 듯한 후회가 뒤따르지만 사실은 값진 시간을 보낸 것이라고 믿는다. 머리도 건강하게 쓰고, 나의 system (주로 computer) 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 아닌가?

Absolutely Positively Tropical Days

6시 직후에 79도의 실내기온을 보면서 일어난다. 이즈음 밤잠을 자는데 별 문제가 없다. 불면증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을 알기에 나는 그런대로 복 받은 사람이라는 것, 감사하고 감사한다. 가끔 설칠 때가 없을 리가 없지만 이 정도면 얼마나 다행인가? 밤 10시에 정확하게 잠자리에 드는 것, 그리고 새벽 6시가 지나며 일어나는 것, 이제는 거의 시계처럼 하루하루를 ‘둘이서’ 산다. 언제까지, 언제까지.. 감사하게 살고 싶다. 오늘 하루도 감사기도 속에 많은 사연들이 포함되기를 기도하는데…

6월 6일, 지난 며칠 동안 나의 Youtube channel에서는 유난히도 D-Day의 영상들이 계속 뜬다. 왜 아니겠는가? 오늘이 바로 D-Day June the 6th, 그것뿐이 아니고 80주년이라고.. 그렇구나, 1944~2024년, 와~ 80년 전이구나… 참 그들 은 그야말로 the great generation 우리 부모세대들, 그들이 존경스럽구나. 선과 악의 정체가 아주 선명하던 전쟁, 그들의 피와 땀의 덕분에 아직도 비교적 평화 속에서 살았던 우리 세대들, 다시 한번 머리를 숙이고 그들의 명복을 빌고 싶은데…

Absolutely positively tropical days~~ 이곳의 유월 초의 감각이 이런 것이었던가? 몇 년째 이곳에서 살았는데~  마치 전혀 idea가 없는 듯한 착각에 빠진다. 하지만 오늘의 tropical 한 것은 아주 얌전한 것, 비록 대기는 습기로 가득하지만 다행히 구름 덕분에 기온이 높지 않고, 한때 시원한 소낙비까지.. 아~ 게으르고 편안한 유월다운 피부의 감촉인가..  주위가 갑자기 눈이 아플 정도로 초록색이 눈을 찌르기 시작하는 때, 지금이 바로 그때로구나…

이대합창단 연습으로 연숙이는 벌써 두 번째 Duluth행 외출을 하는데, 가만히 생각해 보니 그녀의 현재 건강상태는 소강에서 벗어나 건강의 영역으로 접근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희망이 생기는데.. 하~ 또 방심, 방심.. 겸손하게 현재의 ‘소강’을 감사하게 받아들이면..
연숙이 차를 타고 나갈 무렵부터 시원한 소낙비가 쏟아지기 시작했는데.. 아쉽게도 그리 충분한 양은 아니었다. 그래도 감사해야지..

무려 4개의 ‘상품’을 Amazon 에서 order를 했다. 내가 아무리 많이 shopping을 한다고 해도 별수 없이 나는 ‘소심한 남자’다. $100 이상은 간이 조마조마해서 ‘절대로’ 할 수가 없는 몸. 어쩌다 이렇게 지독한 소심증 노인이 되었는가? 아니다, 이런 얻어진 습관, 습성은 벌써 역사가 30년도 넘어가는 것을 안다. 왜 그렇지 않겠는가? 이것이야말로 100% ‘자업자득 自業自得’의 전형적인 예인 것이고 그것의 ‘처벌’을 아직도 받고 사는 것인지도 모른다.

  1. Bluetooth usb dongles (2)
  2. Car ‘nano’ paint/scratch removers
  3. 512GB SSD (2)
  4. Bernardo Kastrup‘s 7th book, Meaning in Absurdity

오늘도 나는 전에 시작했던 집안 일들에는 손도 대지 않고, PC system에 관한 것들에 거의 모든 시간을 쏟았다. 며칠 동안 이 일을 하다 보니 은근히 재미가 있는데, 솔직히 말해서 거창하게 기대를 걸었던 electronics, sensors & IoT 는 다시 멀어진 듯 느껴지고 조금은 기대치를 낮추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까지 든다. 나이 탓인지 조그만 electronics part들을 상대하는 것, 점점 무리가 아닐 듯하고.. 아~ 정말 나는 나이가 너무나 들어가는가?

그것에 비해서 pc, 그러니까 system work는 나이가 그렇게 문제가 되지 않을 듯 싶은데, 그래 마음 편하게 하고 싶은 것을 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오늘 system work 중의 하나로 그 동안 잠자고 있었던 Google Chromecast dongle을 나의 office의 TV/monitor로 옮겨서 desk에 앉아서 보려고 했는데, 이것이 WiFi에 연결이 안 되어서 씨름을 하다가, 신경질까지 나고, 결국은 포기하고 아예 쓰레기통으로 보내려는 찰라, 갑자기 마지막 시도라고 생각하고 가만히 살펴보니.. 아, 너무나 작은 push button이 보이는 것이 아닌가? 그것이 reset button이었고 그것으로 완전히 factory reset을 거쳐서 결국은 완전히 살렸다. 이것이야말로 내가 원하는 공돌이의 기쁨인 것이다.

연숙이 이대 합창 뒤에 꼭 들리는 곳 Mega-Mart, 그곳에서 꼭 초밥을 사온다. 그것으로 늦은 점심을 둘이서 맛있게 먹는 것, 나는 직접 이런 우리의 모습을 볼 수는 없지만 YouTube에서 자주 보게 되는 사이 좋게 보이는 나이 지긋한 어르신네 부부의 모습이 연상이 되는데~  정말 이제 우리는 어느 정도의 건강을 유지하며 살고 있을지, 정말 괜찮은가, 아니면…?

하루가 다 가는 늦은 시간에 결국 나는 또 다른 ‘성공’ 의 기록을 남긴다. Windows 11 upgrade 를 하면서 카톡 chat message가 거의 다 사라진 것을 알았는데, 특별한 방법을 찾을 수가 없었다. 꽤 많은 삶의 기록들이 그곳에 있었는데, 처음에는 그야말로 망연자실, 실망하다 못해서 슬프기까지 했다. 이제 거의 포기를 한 상태가 되었는데… 조금 연구를 해 보니 방법이 없는 것이 아니었다. 그러니까 phone 에는 모든 data가 살아있었으니까, 그것을 copy하면 되는 것 아닌가?  하지만 직접 copy보다는 그것을 카톡 cloud로 BACKUP을 한 후에, pc에 있는 카톡을 새로 설치를 하면 거의 자동적으로 backup된 것을 restore를 하면 되는 것이었다. 이제 100% 오래된 옛날의 chat message들이 되돌아 온 것이다. 이것도 오늘 하루를 기쁘게 보낼 수 있는 큰 이유가 되었다… 그야말로, 감사합니다, 성모님~~

Tech Stuffs, No More Fun

오늘은 기필코 집에서 쉬리라~~ 쉬리라.. 다짐을 한다. 온몸이 쑤시고 결리고 정신까지 몽롱한 듯한 착각에 빠지고.. 나는 분명히 피곤한 상태인 것이다. 이런 것에도 불구하고 ‘깡’으로 더 움직이는 것은 분명히 무리인 것으로 보인다. 아무리 외출을 안 한다고 해도 편히 게으른 자세로 백일몽을 마음껏 즐기는 것, 그렇게 오늘 하루를 살고 싶은데… 과연 결과는 어떨지…

아~ 카카오 톡! ‘잃어버린 chatroom messages’..  며칠 전부터 Windows 11 upgrade의 열풍 뒤에 알게 된 불편한 사실 중 제일 아쉬운 것이 바로 나의 카카오톡 카톡방의 기록들이 거의 사라진 것, 아마도 이것의 역사도 짧지 않을 것 같은데.. 이런 기록들은 사실 한국에 있는 mega server, 그러니까 cloud에 있는 것인데 왜 PC 에서는 사라진 것일까? 예전에 연숙의 PC에서도 이런 ‘사고’를 보았는데, 당시 그것의 불편함을 실감 못하다가 내가 이번에 그대로 ‘당한’ 것인지…
특히 단체 카톡방의 대화방이 모조리 없어지니까, 사실 지난 날들이 모두 나에게서 사라진 아쉬움까지..  물론 phone에는 그대로 있지만 이 나이에 그 작은 screen과 keypad를 응시하며 씨름하는 것은 어불성설이어서 나는 그것을 거의 쓰지 않고 살았는데.. 어떻게 PC 에서 그것을 다시 restore하는 방법이 없을까.. 

Beelink S12 Mini, 이미 Windows 11 Pro가 install 되어있었지만 만약을 위해서 reinstall을 하려고 했지만 이제까지와 달리 자동으로 activation이 되지를 않았다. 알고 보니 이들의 Windows copy는 조금 특별한 것임을 알았다. Activation할 때마다 key가 필요하다는 듯 보이고, 이제 그 key가 왔는데 (왜 2개씩이나 되는지..), 실제로 test를 해보기 전까지는 100% 확신할 수는 없는데…

VMware testing, experimenting, toying fun starts… yeah~~
공짜라는 말, 그 위력을 늦게나마 새삼스럽게 만끽하는 경험을 한다. 한때 나에게는 ‘그림의 떡’처럼 보였던 선망의 대상, ‘유료’ virtual machinery의 godfather 격’인 VMware Workstation 17을 free로 만든 것은 분명히 무슨 ‘사업상의 비밀’일지도 모르지만, 상관없다, 공짜라면…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이 software가 Broadcom으로 tagline 바뀐 것으로 보아서 아마도 open (free) strategy 를 (Linux)처럼 시도해보는 것은 아닐지.

상관없다, 이것을 최저가의 Beelink S12 Mini의 Windows 11 Pro에 install하고 첫 guest로 Ubuntu 14 LTS를 run 해보는데, physical pc box의 그것과 screen상의 느낌은 거의 차이가 없으니.. 좋은 세상을 살고 있구나.

아~ 나의 ‘free’ vmware workstation pro 에 걸었던 나의 독특하고 대부분 결과적으로 틀린 결과를 초래하는 지나친 기대와 희망, 역시 예전처럼 실망 그 자체로 끝이 났다. 나는 그저 ‘비싸기만 했던 enterprise-class’ 라는 이름 때문에 너무나 기대를 했는데, 알고 보니 이곳 저곳이 허점과 심지어 bug들까지 보이는 듯한 ‘내다 버린 software’라는 인상을 받은 것이다.

일단 기대와 희망이 사라진 것에 더 미련을 두랴… 역시 구관이 명관인지.. 그렇다. 변함없이 문제가 없었던 Oracle의 선물, VirtualBox가 있었지 않은가? 오랜 세월 잊고 살았기에 혹시 이것 ‘없어진 것’은 아닌가 했지만.. 웬걸~~ 건재하고 있을 뿐 아니라 계속 개발을 거듭하며 version을 갱신하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당장 Ubutnu를 guest machine으로 설치를 하니.. 아~ 현재까지 전혀 문제가 없으니… 앞으로는 Proxmox와 더불어 VirtualBox를 다시 쓰면 된다는 사실을 오늘 하루 대부분 시간을 쓰며 알게 되었다.

오늘은 근래에 보기 드물게 평화의 강물이 잔잔히 흐르는 듯한 하루였고, 그렇다고 심심하고 무료한 것이 아닌 PC, 특히 Beelink Mini룰 중심으로 ‘재미있는’ 하루를 보내게 되었다. 평화와 행복함, 스트레스가 없는 덕분에 혈압도 정상 중의 정상이 되었으니… 아~  묵주기도의 성모님이 다시 가까이 우리를 보살펴 주신다는 착각이라도 좋으니.. 그렇게 생각하고 싶다. 감사합니다, 우리 어머님들…

One More Tucker Day

오늘도 일단은 Tucker day가 되었다. 솔직히 피곤하다. 며칠간 매일 ‘아침 외출’을 했기 때문인가, 아니면 몸이 그야말로 육신적으로 피곤한가.. 내 심리상태를 내가 알기에 혹시 ‘자가도취, 최면’ 상태인지 아니면 진짜 육신이 아픈 것인지 이제는 나도 모를 지경인데 이런 것 좋은 것이 아닐 듯싶다. 왜 그렇게 나는 나의 몸에서 느끼는 것에 대해서 솔직하게 느끼지,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일까? 그것이 나의 본성, 성격, 타고난 것이라지만 이제는 나 조차 그런 내가 피곤하게 느껴진다. 솔직해지자, 솔직해지자.. 성모님께 솔직한 것처럼 나 자신에게도 솔직해지잔 말이다~ stupid!

잊는다, 어디에 두었는가, 못 찾겠다.. 나의 잡동사니 (이외 포함)들, 찾으려면 환장하겠다. 이제는 자신이 없는 것이다. 종이로 된 것이건, 나머지 물건들이건 그렇게 정리하고 나의 등 뒤쪽으로 이곳 저곳에 놓아두었던 지 일년이 넘어가는데 제대로 나는 그것들을 들추어보지도 못했다.
하나 둘 다시 생각나는 것을 찾으려니… 알 수가 없구나. 기억력 감퇴 탓에 더욱 이런 고민이 가중이 되고.. 나를 우울하게 만든다. 해결책은.. 기억력은 내가 어찌할 수 없지만 나머지 것들은 노력으로 훨씬 편하게 고칠 수도 있는데, 그것을 나는 무슨 흉물을 보듯이 피하며 살고 있는 것이다.
그래, 하자, 하자, 못할 것 없다. 나의 등 뒤에 쌓이고 뒤섞인 곳을 모조리 모조리 늘어 놓고 나의 눈으로  하나씩, 둘씩 확인하고 제자리를 찾아 놓자. 이것이 되면, 아니 상태가 나아지면.. 스트레스 중의 큰 것 하나가 사라질 수도 있지 않을까?
오늘 아침 작은 쪼잔한 것 몇 개를 다시 찾으려다가 이런 생각이 들었는데.. 이제는 나도 조금 심각하게 이런 상황을 고려하고 manage해야 하지 않겠는가? 너무나 computer 속의 세상에 빠지다 보니 이런 일들이…아~ 정신차려라~~

열대성 비구름이 하늘을 서서히 덮기 시작하며 습도는 치솟고 햇살이 쪼이면 불쾌지수가 오르는 그런 날씨, 나라니 집은 완전히 냉방 수준으로 변하고 우리는 사실 시원한 것은 좋지만 불편할 정도의 실내 온도다. 아마도 74도 이하가 아닐지. 단층집에다가 Luke가 집 전체의 insulation에 신경을 써서 이 집은 우리 집과 차원이 다를 정도의 냉난방을 하고 있지만 우리에게는 아무래도 조금 맞지 않는 그런 생활방식이 아닐까… 오늘따라 연숙이 피곤한 듯 보이고 나 역시 몸이 조금 전과 같지 않게 졸리고 피곤하곤 했는데, 나이 탓일 거다.

Lost Since May 25, Name: Muffin (Male), Age: 8 Months, Type: Yellow Tabby…
어제 Knox와 stroller 로 산책하면서 보았던 이것, 고양이 실종 광고였다. 현상금이 무려 $100~~ 우선 사진을 보고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우리의 ‘양양이’,  Izzie와 100% 똑같은 모습이 아닌가? 비록  아주 흔한 고양이의 모습일지라도 유난히 닮은 데가 많구나… 하지만 이 고양이는 아주 어린 cat, 그러니까 kitten, 8개월 밖에 안 된 것이라고… 그러면 우리가 처음 Izzie를 ‘구했을 때’ 정도의 나이가 아닌가? 너무 어려서 길을 완전히 잃고 방황하는 모습이 그려지고, 다시 한번 Izzie에 대한 그리움이 몰려오는 순간을 이틀 째 이것을 보며 다시 맞았다.

내가 터득한 Knox를 ‘다루는’ 방법이 바로 이 집 앞에 있는 귀여운 그네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을 알았다. 너무나 무거워진 녀석, 말을 듣지 않을 때마다 안아주는 것은 이제는 나에게도 힘이 들었는데, 유일하게 이것만 타면 절대로 문제가 없이 긴 시간의 평화를 주니… 나는 아예 그 앞에 의자에 앉아서 조금씩 밀어주며 초여름을 즐기고.. 어찌 이제야 이것을 찾았단 말이냐, Knox야~~

아~ 여름 오후에 쏟아지는 폭우의 게으른 즐거움이여~~  이 비구름들은 필시 Gulf, 멕시코 만으로부터 직접 쳐들어온 것들이리라..
오늘 날씨는 거의 열대성 소나기가 오는 그런 습한 날씨였다. 하지만 Knox를 그네에 태우고 놀기에는 적당한 날씨가 되었다. 소나기 오는 모습.. 이제 본격적으로 전통적 여름의 모습을 보기 시작하는가…

유난히 졸리고 피곤한 날, 그런대로 우리의 가족 봉사 임무를 마치고 나니 또한 귀가의 즐거움과 함께 하는 나머지 화요일이 되었다. 빠지지 않고 저녁기도에 신경을 쓴 것도 오늘을 행복한 하루가 되게 하는데 도움이 되었고…
다만 하루가 너무나 빨리 지나가는 듯 한 것이 조금 겁이 나기도 … 이렇게 빠르게 세월이 지나가면 하고 싶은 일들은 언제 할 수 있단 말인가?

VMware Workstation Pro, download & installed..
전에 어떤 news에서 그렇게 비싸던 VMware  Workstation이 이제 free가 되었다는 것을 알았는데… 또 다른 이유, Virtual PC.. 다시 나에게 흥미 있게 다가 온 것은 이번에 값이 나의 수준에 맞는 mini-pc 때문이다. 16GB RAM… 이것 때문이다. 이 정도의 RAM이면 무엇을 못하겠는가? 비록 빠른 CPU 는 아니더라도 상관 없다. 

AM I CRAZY, NOT REALLY~~

¶  2024년의 big home project 중에서 제일 먼저 시도되는 attic insulationn/upgrade, 이 중에서 제일 먼저 끝나고 있는 것이 big & ugly monster whole house fan 를 완전히 attic에서 철거하는 작업이다. 어제 시작했던 것, 알고 보니 생각보다 크고 무거운 것이어서 attic에서 끌어내리는 작업이 생각보다 어렵고 심지어 무섭기도 했다. 잘못하면 사고는 물론, 결과적으로 부상을 입을 각오까지 할 정도였다. 안전한 방법은 attic에서 모든 part를 해체하는 것인데.. 아~ 세상이 그렇게 호락호락 한 것은 물론 아니다. 모든 부품들이 세월을 거치며 단단히 고정이 되어서 나의 tool로는 어림도 없는 소리…

좁고 아슬아슬한 attic hatch door/stair에서 곡예를 하듯 기를 쓰며 이 monster를 안고, 들고 결국은 2층 복도로 내려왔는데, 그때의 기억이 희미한 것을 보니, 완전히 혼이 빠진 듯한 것. 이런 초인적인 힘이 도대체 어디서 나온 것일까? 이것은 정상적인 몸과 마음의 상태는 아니고 마치 초인적인 힘이 나오는 그런 순간들이 아니었을까?

결국은 이 monster를 사고 없이 끌고 내려왔지만 다시 하고 싶은 일은 아니었다. 만약 큰 사고, 부상, 아니 그것보다 아찔한 상상까지… 현재 나의 나이가 도대체 몇 살인데.. 한편으로는 아직도 이런 일을 할 수 있는 육신이 허락된 은총에 감사할 뿐이다.

궁금한 사실은 도대체 이 monster의 무게가 얼마나 되는 것인지…

 ¶  Sunday Morning Disease, Self-Sabotage..  주일 새벽, 결국은 ‘선과 악’의 대결에서 일단 선이 패배를 했지만 큰 후회는 없다. ‘선과 악’이라는 말 자체가 지나치게 극단적인 것임을 가슴으로 알기 때문이다. 그래, 다음 주에 이것을 ‘만회’하면 되는 것 아닌가? 오늘은 추억적인 오래 전의 일요일 아침의 게으름과 상쾌함을 조금이라도 느끼고 싶구나.

며칠 간 계속되었던 ‘갑작스런 여름 날씨의 습격’으로 정신이 조금 혼미하기도 했는데 지난 밤 세차게 쏟아진 폭우로 조금 여름이란 것에 적응이 되는 듯하다. 어제는 하루 종일 a/c test 를 하며 앞으로 다가올 계절의 맛도 보았지. 그래… 너무 외로워하지 말고, 하루 하루 편안하게, 평화를 느끼며 천천히, 최선을 다 하며 살자. 정들었던 교회 공동체가 근래에 점점 멀어지고 있다는  너무 부정적인 생각은 하지 말고..

First of May, 2024

원서동 죽마고우들, 또 일 년이 흘렀구나..

¶  뚜루루.. 뚜루루.. 뚜루 루루 루루루루Brothers of Gibbs, Bee GeesFirst of May 감미로운 멜로디가 회상의 안개로 다가온다. 박창희와 손용현 두 ‘XX’들의 얼굴들이…  이날을 기해서  나의 지난 일년을  너희에게 보고하는 기회로 삼은 잔 수많은 해가 흘렀으니.. 창희는 분명히 살아있음을 느끼지만 용현이는 미지수다.   이제는 죽는 것 하나도 이상하지 않을 나이를 가고 있지 않은가?

¶  Theraflu PM 덕분으로 이틀째 계속 완전한 밤잠을 즐긴다.  한번도 깨어나지 않고 자는 잠, 근래에 거의 없었기에 나에게는 신기하기만 하다. 하지만 아프지도 않은데 ‘약’을 복용하는 것은 무리.. 무슨 성분이 들어있길래 그렇게 편하게 잠을 이룰 수 있게 했는지.. 그것이 조금 궁금하고 그 성분이 들어있는 수면제가 있는지도 궁금할 정도다.

¶  어제 예기치 않았던 폭발적 기침의 재발로 고생을 했던 베로니카, 지난 밤에는 조금 나아지는 듯했는데 도대체 왜 그렇게 심한 것인지 이해가 가지를 않는다. 바이러스성이 아니라고 하는 것도 의심스럽기에.. 혹시 정신적인 것(지나친 우려 같은) 요소는 없는 것인지, 알 수가 없으니.. 어지럼증과 함께 현재 우리의 편안한 생활을 가로막고 있는 장애물들.. 이런 것들과 이제는 함께 살아가는 것이 새로운 정상 생활이 되고 있는 것은 아닐까..

¶  오늘 원래는 도전의 날로 꼽고 있었다. 아침미사와 YMCA workout을 back-to-back으로 ‘연출’하는 것, 몇 개월째 못하고 있었던 것들이지만 이제는 조금 그 가능성이 사라지고 있구나. 그래도 기다려 보면..
무기력한 나의 모습, 싫지만 ‘그래 쉬자~’로 위안을 삼는다. 베로니카는 기침으로 아예 꼼짝 못하더니 시간이 조금 지나면 귀신처럼 제자리로 돌아온다. 나의 머리로는 쉽게 이해가 안 가는 그런 체질인 것, 어찌 모르랴마는… 나는 불시적, 예고없이 이렇게 일상 흐름에 변화, 구멍이 생기는 것, 솔직히 말해서 반갑지 않구나.

이런 날은 책도 제대로 읽히지 않고, 육체적이고 결과가 보이는 일들도  손에 잡히질 않는다. 결국은 어두운 sofa에 게으르게 누워서 ROKU hosted YouTube에서 용케도 나의 관심사를 예측하는 듯한 것들을 보며 빠르게 시간을 소비한다. 내 나이 또래들, 분명히 그들도 나와 마찬가지로 하루를 소일 할 것이라는 상상을 한다. 하지만 나는 그런대로 자부심은 있다. 그야말로 영양가가 절대로 없는 ‘바보 같은 화제, 주로 정치적인’들은 피하고 내가 보기에  ‘고상하고, 유익하고, 학문적인 것’에만 관심을 둔다는 사실, 그것으로 위안을 삼는다.

¶  이런 늦은 나이를 사는 것, 우울할 때도 많지만 그래도 덕을 보는 것도 있는 것인가?  특히 요새 열광을 하는 화제들이 그런 것들이다. 그렇게 조롱거리, 냉소를 받던 화제들: UFO/UAP [Unidentified Flying Object/Unidentified Aerial (or Anomaly) Phenomena] 그리고 NDE [Near Death Experience]가 대표적인 것들, 나의 신앙/종교적 진리 탐구의 여정이 이곳까지 온 것을 보면 신기하기만 하다. 내가 어떻게 이렇게 변할 수가 있었을까? 나의 주 관심사는 사실 예수님, 하느님의 ‘행방’을 찾는 것이었는데 그것이 완전히 신학, 형이상학, 철학, 물리학으로 발전한 것인데.. 현재의 추세로는 아마도 이런 탐구 여정을 죽을 때,  두뇌와 오감이 제대로 살아있을 때까지 지속할 것 같다.
작년 10월 초, 반세기 동안 잊고 살았던, 나를 낳아준 고향을 찾아가는 ‘대장정’ 이전의 나날들,  나는 솔직히 말해서 불안과 초조한 심정으로 count-down 을 기다리며 살았는데, 그때에 비해서 올해는 그런 big thing이 없어서 그런지 심적으로 지속되는 stress같은 것은 분명히 없다. 하지만 그것이 꼭 편안하고 좋은 것일까?

Azalea 산수유, 돌아온 사월은, 고향의 봄

집 주변, 동네를 돌아보니..  온통 총천연색의 향연인 듯, 본격적인 봄의 모습은 바로 azalea 진달래가 아닐까. 그렇게 무덤덤하게 이 꽃들을 보아왔던 나이는 서서히 물러가고 나도 별 수 없이 이런 자연의 신비가 무섭게 느껴지는 것, 역시 자연의 섭리에는 예외가 없는 모양이다.

산수유, 귀에 익지 않은 이름이다. 산유화는 익숙하지만..  중앙고 57회 동기회 총무를 맡아 열심히 노력하는 와중에도 이렇게 고향의 봄소식을 전해 주었다. 이곳과 조금 다른 모습의 ‘고향 진달래’와 함께, 처음 보는 듯한 산수유..  알아보니 이것은 이곳의 dogwood 과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렇게 동서양 봄소식을 김순애 작곡  ‘4월의 노래’와 함께 맞는 ‘돌아온 사월’,  애 띤 친구들의 모습이 가물거린다.

갑자기 기온이 10도씩이나 올라간  거의 늦봄 같은 날씨, 하지만 흐린 덕분에 정말 산책, 걷기 좋은 날, ‘녀석’과 지난 이틀 동안에 걸었던 옆 동네 산책길  외에  모처럼 우리동네 길을 조심스럽게 걸었는데… 예상 밖으로 녀석은 잘 걸어 주었다.  가파른 오름 길도 전에 비해서 크게 어려움이 없었다.

늦은 오후 예정대로 Atlanta Hearts Specialist  Dr. S 과의 regular checkup 만남, 특별한 것이 없었다. 심전도를 찍었는데 문제가 없었고.. 결국 앞으로 정기적인 만남은 일단 끝난 것으로 정해졌다. Dr. S,  침착하고 예리하지만 적절하게 친절했던 것이 그 동안 참 마음에 들었고 만족스러웠기에 아예 다시 만나고 싶을 정도지만…앞으로 만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이 얼마나 다행인가? 최소한 심장 쪽으로는 현재 문제가 없는 것이니까.. 폐의 ‘작은 그림자’도 일단은 OK라는 사실, 이것은 정말 감사해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