썩은 사과, 황동규 시인

¶  The Rotten Apple, 이제는 완전히 부풀어 오른 monster기업, 크기가 이제는 MicrosoftGoogle을 합한 것 보다 커진 상태가 되어서 결국은 조금은 defensive한 모습을 보이기 시작한 듯, 중국 내 산재해 있는 ‘조립공장’의 열악한 환경을 규탄하는 단체들과 비우호적인 언론의 압력을 의식한 듯하다. 물론 이 문제는 ‘문제의 진실’을 누가 조직적으로 파헤치지 않는 한, 어느 쪽이 옳다고 볼 수가 없는 성질의 복잡한 것이다. 이럴 때는 결국 ‘가진 자’가 결백하다는 것을 증명해야 하는 것이 옳지 않을까?

금고에 넘쳐서 어쩔 줄 모르는 그 억수같이 많은 돈을 경쟁적인 기업을 소송하는 노력만큼 자기의 ‘결백’을 증명하기는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닐 듯하다. 그들의 덩치가 이제는 예전같이 빨리 움직일 수도 없고, 움직인다 해도 예전같이 ‘독립적이고 자유스러운’ 입장이 절대로 아니다. 현상유지를 하려면 ‘어떤 술수’라도 써야만 하는 아주 어려운 입장인 것이다.

이것을 보면서 나는 앞으로 닥칠 필연적인 문제는 그들의 stock price가 얼마나 올라가느냐가 아니고, 엄청난 technology outsourcing (more than manufacturing) 에 의한 중국기업의 세계적인 일류기업으로 발 돋음인 것이다. 최근의 세계적인 최첨단 기업의 역사를 보면 결과가 어떨지 상상하기 어렵지 않을 것이다.

young poet DG Hwang¶  황동규시인  너무도 오랜만에 황동규 시선 “三南에 내리는 눈” 을 꺼내어 읽어보게 되었다. 비록 vinyl cover 덕분에 겉은 멀쩡했지만 속을 펼치니 거의 目不忍見.. 너무나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거의 30여 년간 빛을 별로 못 보다가 근래에 무슨 골동품 고서처럼 나의 앞에 나타나게 된 것이다.

이 시집에 대한 특별한 사연은 나의 2010년 blog에 이미 밝혀 두었고, 기록을 위해서 재빨리 사진까지 찍어 놓은 이후에는 항상 나의 눈에서 떠나지 않는 곳에 꽂아 놓았다. 지금 보니 2년 전보다 낱장들이 더 ‘노랗게’ 변했다. 질이 낮은 인쇄 종이를 써서 그럴까, 아니면 ‘지독히도 긴 세월’ 덕분일까.. 다른 한편으로는 무슨 ‘고서’ 같은 기분이 나쁘지는 않다. 그래서 부랴부랴 책 ‘전체’ 를 typing하기 시작했다.

이제야 황시인의 그 당시 시 세계를 어렴풋이 짐작하게 되었다. 시대적으로도 아주 내가 회상하기 좋은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그의 시 세계.. 그 시대는 나에게도 너무나 그립고, 잊고 싶지 않은 때가 아니었던가? 황시인도 이제 나이가 70세 중반으로.. 서울고, 동숭동 서울대 출신, 그때의 그 세대 선배들의 대강 몸가짐과 모습들, 그리 상상하기 어렵지 않게 그리운 모습들..

이번에 새로 알게 된 사실은 (wikipedia에서) 이 황동규시인이 바로 그 유명한 원로 소설가 황순원씨의 장남이었다는 사실.. 그 동안 왜 내가 그것을 몰랐을까? 너무나 의외롭다. 황시인과 어울리던 ‘친구’ 마종기, 김영태 제씨들.. 나도 익히 듣던 반가운 이름들.. 어떻게 이 세분이 친구가 되었는지, 그것을 찾아보는 것이 다음의 과제다. 현재의 Wikipedia의 황동규 페이지는 사실 너무나 빈약한 듯 보인다. 혹시, 희망에, 내가 더 알아내는 것들이 있다면 그것을 더 멋지게 만들고 싶다

겨울밤 노래    황동규

조금이라도 남은 기쁨은 버리지를 못하던
해 지는 언덕을 오를 때면 서로 잡고 웃던
해서 눈물겹던 사내여 오라
우리 같이 흰 흙을 핥던 午後에는 배가 안
고프고
언덕에서 내려뵈던 깊은 黃昏
캄캄하게 그 黃昏 속을 달려가던 사내여 오라

겨울날 빈 터에 몰려오는 바람소리
그 밑에 엎드려 얼음으로 목을 추기고
얼어붙은 못 가에
등을 들판으로 돌리고 서서
못 속에 있는 우리의 마음을 바라볼 때
몸과 함께 울던 우리의 옷을 보라

걷잡을 수 없이 떨리던 손
그 떨리는 손에는 네 목을 잡고
머리칼 날리며 빙판에 서서
서로 마주 보며 네 목을 잡고
내 들려주리
쓰러지지 않았던 쓰러지지 않았던 사내의
웃음을

어둡다 말하면 대답소리 들리는
쇳날을 만지면 살이 떨어지는
그런 떨리는 노래는 이제 우리에게
서로 붙잡은 우리의 어지러움
어지러움 속으로 길은 헐벗고 달려가고
그 길 끝에 열려 있는 술집은 이제 우리에게

친구여 너는 술집의 문을
닫아도 좋다
문을 닫아도 바람소리 바람소리
우리 같이 흰 흙을 핥던 午後에는
배가 안 고프고
그때 땀 흘리던 우리의 배를 記憶하라
열린 채 땀 흘리던 우리의 배를 記憶하라

하면 아침이 눈길 위로 올 때까지
우리 서로 얼음 냄새를 풍기며
때로 주먹으로 壁을 두드리고
기름냄새를 맡으며
줄어드는 심지를 바라보며
단추 떨어진 우리 젊은 날의
어둡다 말하며 벗어던진 옷을 말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