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의 마지막 날에
¶ 어느덧 삼월의 마지막 날이 되었다. 시간과 세월은 흐르는 것, 어찌 이날이 오지 않으리.. 시적인 감상에 젖는다. 3월이란 통상적인 기억과 조금 다른 ‘너무나 빨리 온 봄’ 같은 날씨의 연속이었다. 하지만 나이가 듦으로써 분명히 달라지는 것 중의 하나, 매섭게 추운 것 보다는 은근하게 포근한 날씨가 점점 좋아진다는 사실 때문인지, 그렇게 거부감을 느끼지는 않는다.
다만 적당히 포근하기만 하면, 그러니까 창문을 열어 놓을 정도면 된다. 갑자기 따뜻해진 날씨에 꽃나무들이 놀라서 지독하게 꽃가루를 내 뿜는 바람에 한때 비상이었지만, 그런대로 알맞게 촉촉한 봄비로 그것들을 진정해 주곤 했던 3월이었다.
별로 크게, 보이게 한 일은 없다지만, 그래도 예년과 분명히 달랐던 것은 사순절 동안 거의 매일같이 ‘매일 미사’에 연숙과 둘이서 갔었다는 사실.. 나도 믿기지는 않지만 그것이 사실이다. 아침 9시의 Holy Family Catholic Church, 우리의 미국본당 매일 미사를 꼬박 (레지오 화요일을 빼고) 갔다는 사실은 생각할 수록, 흥미롭기까지 하다.
우리 본당이 비록 가까운 위치에 있다지만, 그래도 매일 8시 반에 차를 타고 외출을 한다는 사실이 우리에게는 사실 조그만 기적에 가까운 것이기 때문이다. 더욱 놀라운 것은 그런 것들이 ‘생각보다 훨씬 수월했다는’ 사실이었다. 이런 것도 ‘never say never‘ 중의 하나일 것이다.
그 시간의 regular들은 거의 미국 (분명히 Irish처럼 보이는) 파란 눈의 아줌마, 할머니들이 대부분이지만 우리 같은 부부들도 있고, 가끔 ‘젊은 축’도 보인다. 조금 일찍 도착하면 그들 중의 한 그룹은 열심히 소리 높이 묵주기도를 하는데, 물론 영어이기 때문이 우리가 따라 하지는 않지만 다 이해를 하며 듣는다.
그들이 레지오 단원인지는 확실치 않지만, 대부분 ‘열성 신자’들임에는 틀림이 없고, 아마도 우리 본당의 요소에서 중책을 맡고 있는 사람들일 듯 싶다. 그곳에서 의외로 우리의 다른 본당인 아틀란타순교자성당 우리구역(마리에타 2구역)의 구역장 wife가 빠지지 않고 나와서 보곤 하는데, 글쎄.. 조금은 의외로운 느낌을 떨칠 수가 없다1.
이렇게 아침마다 매일 미사를 가는 것은 과연 우리에게 어떤 뜻이 있을까.. 생각을 해 본다. 우선 매일 영성체(성체를 모심) 하는 것, ‘살아있는, 잘 모르는 사람들을’ 매일 아침 만난다는 것.. 우리 부부가 ‘매일 아침’ 같이 외출을 한다는 것.. 사실은 모두 좋은 것들이다. 그렇다면 아침에 조금 ‘노력’을 하면 매일 못할 것도 없다는 생각도 든다. (사순절 뿐이 아니고) 참 세상은 의외로움의 연속이고 놀라운 것, 찾으려면 이렇게 얼마든지 있다는 사실을 2012년 3월을 보내며 새삼스레 느낀다.
¶ 오늘 New York Times2의 한 기사, 어떤 ‘잘 알려진’ 사람의 자살에 관한 것이 있었다. 제목이 Love Story여서, 자살과 love와의 관계가 궁금해서 읽었다. 얼마 전에 New York Times의 columnist David Brooks3 가 그의 column에서 ‘치매(망각증)의 사회적 파장’ 에 대해서 독자들의 의견을 구했고, 많은 응답이 왔는데, 그 중에 오늘 ‘자살한 유명인사’의 ‘꽤 긴 글’ 도 있었다.
그는 그의 글에서 ‘꽤 길게 그의 자랑스런 집안 내력’ 을 언급하고, 현재 그의 사랑하는 wife의 오랜 치매 간병에 대해서 쓴 것이었다. 그의 글이 조금 길어서 다 읽지는 못했지만 그 오랜 기간의 간병에 대해 자신이 있음을 나타냈다고 했다. 그가 갑자기 총으로 자살을 한 것이고 그의 ‘불쌍한 치매환자’인 wife도 죽었다고 했는데, 동반 자살인지는 100% 확실치 않지만 아마도 그런 case가 아닐까.
이 기사는 많은 사람들의 심금을 울렸지만, 의견은 모두 달랐다. 자살한 것이 ‘너무 쉬운’ 것이 아니냐.. 하는 것이다. 이런 혼동이 어디에서 오느냐 하는 것은 나의 신앙 가톨릭 교리를 보면 간단히 알 수 있다. 사람의 생명이 과연 ‘누구의 것이냐’ 하는 문제에 해답이 있는 것이다. 교리는 분명히 나의 생명은 ‘나의 것이 아니다’ 라는 것이다.
실제적으로 그렇게 안 느껴도 할 수가 없다. 나의 생명도 ‘거저 받았기에’ 내가 어쩔 수 없다는 것이다. 왜 자살을 했고, 사랑하는 wife까지 죽였어야 했는지 그 고통과 번민을 누가 모르겠는가? 하지만 자살이 정답은 아닌 듯 싶다. 아니 정답이 아니다. 그런 처지의 모든 사람들이 다 그런 식으로 답을 찾지는 않는다는 것이 또한 사실이니까.
¶ 집 부근을 산책하며 꽃들이 피고 지는 것을 유심히 본다. 이것도 나이가 들었다는 증거일 것이다. 전혀 모르던 꽃나무들을 열심히 구박을 받아가며 연숙에게 물어 외우곤 하지만 금새 잊는다. 그러기를 몇 해, 이제는 조금은 알게 되었다. 고등학교 다닐 당시 한때 ‘화훼학‘에 몰두했던 적도 있었지만, 그것이 전부였다. 본격적인 삶의 굴레 속에서 꽃과 나무들은 완전히 잊고 살았다.
내가 사는 이곳의 꽃 나무들이 고국과 비슷한 점이 많이 있고, 지형도 서울부근의 구릉지대 (piedmont)를 연상케 하는 점도 많이 있다. 땅과 흙의 색깔도 역시 비슷하다고 할까.. 봄을 알리는 첫 신호는 역시 이곳에 많은 ‘값싼’ Bradford Pear 꽃나무일 것이다. 이곳에 와서 제일 많이 본 꽃나무가 바로 이것이고 제일 먼저, 아마도 3월 초에서 중순까지, 만발을 한다. 이것이 지면 곧바로 전설적인 Dogwood tree가 피기 시작한다. 이 Dogwood의 꽃 중에 많은 것이 십자가 형상을 하고 있어서 부활절을 연상케 하는 전설이 많이 있다.
특히 이 나무는 이곳 Southeastern 지역의 특산물일 정도로 많이 있고, 이곳 아틀란타에는 4월에 숫제 Dogwood Festival이 있을 정도다. 그러니까 Washington DC지역의 Cherry Blossom(벗 꽃) 에 맞먹는 정도로 유명한 것이다. 3월이 지나가는 이즈음에 이런 꽃나무와 더불어 진달래, 개나리, 수선화, 목련.. 정말 찬란한 색들이 온통 이곳을 덮는데, 한가지 문제는.. 역시 하늘에 가득한 꽃가루 ‘공해’ 인데, 이것도 알맞은 비가 내림으로서 적당히 조절이 되는 것을 보면 참 자연의 ‘순리’를 느낄 수 있다.
아틀란타의 봄 2012, white dogwood, pink azal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