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백, 꿈과 이세영 교수

¶  Passing 600!  와! 드디어 내 블로그의 view count가 600을 돌파하였다. 다른 사람들이 들으면 코웃음을 칠 육백이겠지만, 나에게 육백은 상당한 것이다. 내 블로그의 특징은 ‘일부러 널리 알리는’ 것을 피하며, 쓰이고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그래도 하루 평균 20 views는 사실 상당한 것이다.

처음부터 이 글들은 거의 사 적, 극히 제한 적인 독자를 염두에 두었고, ‘이 세상에서’ 나를 조금이라도 알았던 사람들의 소식을 이곳이 매체와 촉매가 되어서 다시 그들의 소식을 듣고 싶은 마음에서 시작이 되었던 것이다. 현재까지 결과는 기대를 훨씬 못 미치는 실망적인 것이었지만, 그렇다고 크게 절망적은 아니다. 이렇게 조금씩이나마 알려지면, 누가 알겠는가..

 

blog-counts

¶  지난 밤에는 조금 괴상한 꿈을 꾸었다. 우리 집 장례식을 치르는 꿈이었다. 문제는 누가 죽었는가 하는 것, 그러니까 누구의 장례인가 하는 것인데, 그것이 확실치 않은 것이다. 좌우지간 그것은 ‘완전한’ 장례식 풍경이었다. 근래에 부쩍 많이 찾아간 연도, 장례식, 장례미사.. 등 때문에 그런 꿈을 꾸었을 것이고, 그것을 통한 ‘죽음’에 대한 생각들이 더욱 그런 꿈을 꾸게 했을 것이라고 짐작한다.

그곳에서 우리가족보다는 오히려 현재 투병중인 자매님을 보게 되어서 더욱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나중에 슬픈 소식을 듣게 되었다. 예상치도 않게 다른 곳에 사시는 분의 타계소식을 들은 것이다. 우리 레지오 단원부부, 우 요셉 형제부부가 잘 알고 있다는, San Diego, CA 에 사신다는 이세영 교수님.. 이 바로 그 분이셨다. 갑자기 암 진단을 받고, 얼마 전에 수술을 하게 되어서 우리들이 병자기도를 바치고 있었는데, 너무나 진행된 상태여서 결과가 좋지 않았던 것 같았다.

우 요셉 형제님 부부가 특별히 병자기도를 요청한 바가 있어서 우리 레지오 단원들이 열심히 기도를 하고 있었는데.. 그만 오늘 돌아가셨다는 것이다. 이래서 나의 장례식 꿈은 이세영 교수님 소식을 예고한 것이었음을 짐작하게 되었다. 우 요셉 형제님 부부가 Savannah, GA에 사실 때, 도움을 많이 받았고, 가깝게 지냈다는 대학교 정치과 교수님.. Googling을 해 보니, 고인에 대해서 몇 가지를 더 알게 되었다.

1958년 미국유학생.. 와~~ University of Missouri (Columbia)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거의 전 생애를 위의 Savannah, GA에 있는 Armstrong Atlantic State University 에서 정치학 교수로 재직하고 은퇴 후, 2007년부터 San Diego, CA에 정착을 하셨다. 듣기에 아들과 딸이 각각 medical doctor와 약사로 일을 한다고 했는데, 그들도 역시 암 투병에는 한계가 있었던 것 같다.

이래 저래, 요새는 참 ‘암 투병’이란 것이 거의 보편화, 일반화 되어서.. 크게 놀랄 일도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어떤 암 투병에 대한 일본 드라마를 보니, 모든 암은 유전이라기 보다는, 암이 되는 원인 체를 거의 모두가 가지고 있다고 나온다. 한마디로, 걸리고 안 걸리고는 ‘재수’라는 얘기도 있을 정도다. 그러니까, 예방을 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고나 할까.. 어찌 할 것인가? 다른 일본 의료 드라마 ‘판도라‘ 처럼, ‘기적적인 항암제’가 개발이 된다면..

레지오 斷想

이제 레지오 활동 단원 선서를 한지도 일년이 훨씬 넘게 되었다. 일요일 미사에 가는 것이 가톨릭 신자 삶의 전부인 줄로 크게 착각하며 산지도 거의 30년이 지난 후 어떻게 이렇게 내가 레지오 마리애란 본당소속 평신도 단체에 들어오게 되었는지 생각하면 할 수록 신앙이란 것이 오묘하다는 생각이 든다. 우연이라고 생각한 적도 있지만, 사실 그것은 천만의 말씀 임도 깨닫게 되었다.

누군가, 어떤 무엇이 나를 위해 기도를 한 것이 큰 역할을 했다는 ‘상투적인 말’이 이제는 많이 이해가 가고 믿게 되었다. 그러니까 쉽게 말하면 한마디로 ‘기도의 힘’을 믿게 된 것이다. 그것을 깨닫기 시작하면서 이제는 많은 전에 못 보며 살았던 것들이 눈에 보이고, 들리고, 이해가 되기 시작한 것이다.

얼마 전에 레지오 마리애 특유의 ‘군대 같은 조직의 힘‘을 발휘해서 쓸쓸할 수밖에 없을, 가족 친지가 그렇게 많지 않은 어떤 교우 가정의 연도와 장례식에 참석을 해서 마지막 가시는 길을 같이했다. 이런 것이 레지오 활동의 대표적인 예인데, 이것 이외에 상당히 많은 종류의 레지오 활동들이 있지만 나는 개인적으로 이렇게 가족들과 고통의 슬픈 이별을 하는 과정을 함께 같이하는 것에서 제일 보람을 느낀다.

그래서 레지오의 ‘왕’ 초보과정을 거치면서 한가지 결심한 것 중에는, ‘쓸쓸한 연도와 장례’일 수록 ‘우선적’으로 참여한다는 것도 있었다. 어떤 의미로 이것은 내가 개인적으로 겪은 수치스럽고, 후회스럽기만 한 쓰라린 경험에서 나온 것이다. 내가 나의 가족에게 못다한 것을 이것으로 조금이라도 보상받으려는 얄팍한 심리일지도 모르지만, 그것이 무슨 상관이랴?

이렇게 쓸쓸하게 보이는 영혼을 조금 더 따뜻하게 보내드리는 것 이외에 신앙의 신비를 체험 못하고 살았던 사람들을 교회로 인도하는 것도 레지오 마리애 으뜸의 사명으로 꼽힌다. 나는 사실 ‘왕 초보’ 급이어서 그것까지는 사실 꿈도 못 꾸는 단계지만 연숙은 그런대로 경험이 쌓인 단원이라서 옆에서 보는 것만으로도 실습적인 공부가 된다.

이것이 바로 레지오가 말하는 ‘도제제도(apprenticeship)’ 라는 것인데, 이론적인 것보다는 그저 선배를 보며 자연스럽게 배우는 것이다. 예술가나 장인匠人들이 선배들의 기술을 옆에서 배우는 과정과 비슷할 것이다. 얼마 전에 그런 완전한 한 과정을 보게 되었는데, 연숙이 어떤 영혼과 육체가 모두 지친 자매님을 교회로 이끌어 세례까지 받게 한 것이다. 몇 개월에 걸친 꾸준한 노력의 결실을 맺는 것을 보면서 나는 큰 감명을 받았다.

마냥 편하고, 행복하게 인생을사는 것이 그리 쉬운 것이 아님을 매일 느끼며 살지만, 이런 활동을 통해 보면 우리보다 훨씬 덜 행복하고, 덜 편한 삶과 인생도 안 보이는 곳에 많다는 것을 보며 놀란다. 이번에 새로 ‘부활절 이후 특별 영세’ 를 받은 자매님도 그런 인생을 살았었을 듯 한데, 그날 본 인상은 정말 완전히 새로 태어난 듯한 행복한 얼굴이었다. 이것이 바로 레지오 활동과 보람의 ‘정수(精髓, essence)’가 아닐까.. 거듭 생각하고 생각하며, 나도.. 어떨까.. 이런 일을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에 머물면 망설여진다.

바로 내가 이런 초보, 겁 많은 단계에 있는 것이다. 레지오 교본을 거듭 읽으면, 이런 것들은 역시 ‘인간 의지’만으로는 부족함을 알 수 있고, 성모적 신심과 조직의 힘을 절묘하게 ‘이용’해야 가능함을 알게 된다. 나는 아직도 멀었다는 생각도 들지만, 첫 술부터 배부르랴.. 모든 것에는 다 초보단계를 거치며 실수와 방황을 하게 마련이니까, 조급할 것은 없지만, 그래도, 시간이 그렇게 생각보다 많지 않으니..

Spring rain, soaker..

Atlanta metro soaking rain
Atlanta metro soaking rain

간밤에 근래에 듣기 힘들었던 소리를 들었다. 폭우.. 쏟아지는 물.. 잔잔하게 계속 내리는 비, 어둠 속에서도 봄비의 내음새가 코를 찌른다. 끈끈하게 느껴지기만 하고 실제로 내리지 않는 비를 기다리던 날들이 얼마나 되었던가.. 초봄에 시작된 우리 집 연숙의 자랑인 텃밭의 풍작도, 이 단비를 기다린 지 얼마나 되었던가?

그것이 어제부터 낌새가 봄비의 냄새를 풍기기 시작했지만, 우리가 사는 곳은 기가 막히게도 피해가더니 결국은 아틀란타 메트로 지역전체를 휘감고 ‘물을 퍼붓기’ 시작한 것이다. 바로 이것이 단맛의 냄새를 내는 봄비였다. 이것을 한참 잊고 살았다.

 이 글의 아래 실려있는 youtube video, Spring Rain은 아주 오래 전 작을 딸애, 나라니, Veronica가 어렸을 때, Father’s Day때 나에게 선물로 준 sleep music series 의 하나인 audio cassette tape을 나의 없는 실력을 총동원해서 music video로 바꾸어 youtube에 올려놓은 것이다. 이곳의 image들을 모두 google image에서 실례를 한 것이고, Windows의 ‘공짜 프로그램’인 MovieMaker를 사용했다.

원래의 테입이 양면 (A와 B)으로 되어있어서 한 면씩 따로 copy를 해서 part 1과 part 2로 올려 놓았다. 이 ‘소리’의 특징은 자연적인 빗소리와 그에 걸 맞는 instrumental music을 절묘하게 섞어 놓아서 그야말로 sleep music 이름대로, 눈을 감고 이것을 들으면 촉촉히 대지를 적시는 봄비소리를 생각하며 잠을 잘 수도 있다.

오늘 New York Times의 기사에, 어떤 여론, 설문조사에 대한 것이 실렸다. 일반인들이 느끼는 기후에 대한 것인데, 이것은 조금 느낌이 새로운 것이, 자연 현상에 대한 여론조사? 이런 것도 있었나.. 하는 느낌이었다. 자연현상은 100% 객관적, 과학적인 것이 아니던가.. 이것도 사람들이 느끼는 ‘주관적’인 것이 상관이 되는가? 이 세계적 기후변화는 이제 과학적, 객관적인 것이 아니고 거의 ‘주관적, 정치적’인 화제로 변했다는 증거일 것이다.

특히 ‘병신같은 무지랭이‘ 일부 미국인들의 역할이 크게 작용을 한다. 과학적인 것과, 초자연적인, 종교적인 것을 ‘거의’ 혼동하는 이 ‘병신같은 무지랭이, 일부 미국인 들’.. 완전한 희극의 절정을 보여준다. 그런대로 배웠다는 정치인 중에도 이런 부류들이 섞여있다. 그들의 출신지역의 ‘병신같은 유권자‘를 의식했을 것이다.

그러던 것이 작년에 그들이 실제로 보고, 느끼고, 겪었던 extreme weather로 조금 기세가 꺾인 것이 이번 여론,설문조사에서 들어난 것이다. ‘거의 대부분’이 이제는 기후,기상 system이 무언가 잘못 돌아가고 있다는 반응을 보인 것이다. 정말, 이런 한심하고 우매한 ‘병신’들이여..극소수의 ‘목소리가 큰’ 기상 과학자들.. 그들은 이제 어떠한 반응을 보일 것인가? 종교와 과학의 회색지대에 살고 있는 이들은 정말 위험한 부류의 인간들이고, 이들이 진정한 의미의 종교철학에 오명을 남기고 있는 ‘배반자’이라는 생각이 든다.

 

 
Spring rain, soothing sound of refreshing rain! 

 

Spring rain at our backyard

너무나 멋진 봄비가 뒷뜰에 내린다

Tax time again..

It's Tax Time
일년 내내 Tax service 업소들이 기다리던 때

Tax Day, 2012: 4월.. 중순.. 정확히 15일은 이곳에선 조금 떠들썩한 날이다. 15일까지 income tax (소득세) 서류를 IRS (Federal Internal Revenue Service) 보내야 하는 날이고 이것만으로도 수억 명의 ‘개인 들’에게 큰 일과 부담을 주기에, 이 ‘마지막’ 날은 조금 특별한 날로써, 각가지 ‘흥미로운’ 행사 (세금에 불만을 나타내는)까지 열리고, 어떤 곳은 숫제 축제분위기까지도 보인다. 세금에 대한 미국적 정서를 이 ‘마지막’ 날에 잘 볼 수 있는 것이다. 하기야 자고로 어느 누가 땀 흘려 번 돈을 ‘남에게’ 주는 것을 좋아하랴? 이것은 사실 성서에서도 나와 있듯이 ‘세금을 걷어 가는 인간’을 최하의 인간으로 표현하지 않았던가? 하지만 인생을 살아보니 이것은 인간이 모여 사는 ‘사회와 국가’가 있는 한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임을 실감 한다. 우리가 공기를 마셔야 살 듯이, 사회적인 동물로서의 인간에게 이것은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그래서 사람에게 100% 확신 할 수 있는 것은 “죽음과 세금” 이란 말도 있지 않은가?

Income Tax를 처음으로 ‘납부’를 하던 시절 (80’s), 이 ‘서류’를 손으로 작성해서 ‘우편’으로 보내던 시절을 기억한다. 어떨 때는 4월 15일 마지막 날, 자정이 가까울 무렵에 우체국에서 줄을 서서 보내던 기억도 있었다. 나에게 ‘소꿉 장난이 아닌’ Income이 생기고, 거기에 따른 ‘세금’이 ‘공제’되기 시작하면서 이것을 어떻게 하면 많이 (이미 공제된 세금을) ‘돌려 받을까’ 하는 것에 머리를 짜내느라 사실 며칠씩 걸리며 공부를 하기도 했다. 컴퓨터와 인터넷이 나오기 전의 일이다. 나와 같은 ‘월급쟁이’들은 비교적 이것이 간단한 편이라 사실 생각보다 어렵지는 않았다. 하지만 항상 나는 ‘법이 허용하는 것’ 보다 더 많이 세금을 낸다는 불만은 있었지만, 그것의 ‘내막’ 을 알아내는 것은 나의 머리로는 거의 불가능하고, tax professional을 동원할 용기도 없지만 그것에 쓰는 돈이 더 아까웠다.

매년 거의 ‘기계적’으로 하던 이 부담스러운 이 일이 연숙이 business를 하게 되면서 조금 복잡하게 되었다. 정석적으로 하면, 이때야 말로 tax professionals (주로 CPA들) 들을 동원해야 할 정도지만, 우선 그렇게 ‘큰’ business도 아니고, 그들에게 쓰는 돈이 도저히 정당화 될 수가 없어서 ‘모조리’ 나의 ‘제한된 머리’ 로 해결을 했다. 조금 더 공부를 해서 한 것이지만 오늘날까지 솔직히 이것이 정확한 것인지, 얼마나 ‘손해’를 보는 것이지도 모른다.

세월이 가면서 그렇게 복잡하던 tax return 서류가 아이들이 다 크게 되어서 성인이 되고, 모든 것들이 ‘안정’이 되면서 훨씬 간단하게 되었다. 게다가 calculator와 paper 로 하던 것들이 거의 Internet 으로 ‘가난한 사람’들에게는 무료로 제공되기 시작해서 이제는 훨씬 ‘정확하고, 빠르게’ 할 수 있게 되었다. 올해도 예외가 아니어서 작년보다 더 간단해 질 것을 예상하지만, 문제는 timing이다. 예년에는 나는 3월 중에 이것을 끝마치곤 했는데, 올해는 우선 ‘하기 싫어서’ 계속 미루다가 deadline이 코 앞으로 다가왔고, 요새 매일 조금씩 stress를 받으며 하루하루 미루고 있다가 오늘이 4월 13일, deadline이 이틀 남았음을 알고, 부지런히 IRS.gov으로 찾아가니.. 이것이 웬 떡인가? 올해의 tax day(deadline)이 15일이 아니고 17일이 아닌가? 우선 이틀을 ‘번’ 것이다. 이유는 간단했다. 15일이 우선 일요일이라 하루가 연기되어서 16일이 되어야 하는데 왜 17일? 그것은 16일이 Washington DC의 holiday이라서 그런단다. 16일.. Emancipation Day? 이것은 ‘노예해방’에 관한 것인가.. 자세한 역사는 잘 모르지만 우선 2일의 bonus day가 생긴 것이 좌우지간 신선하고, 즐겁기까지 하다. 재미있지 않은가? 하지만, 이런 것을 무시하고 오늘 끝내야겠다는 ‘의지’가 갑자기 불타오른다.

 

4월 단상

¶  4월은 미국태생 영국 거장 시인 T.S. Eliot 에 따르면 ‘잔인한 달, April is the cruelest month‘, 그리고 대한민국의 작곡가 박순애 교수의 가곡 classic ‘사월의 노래‘를 생각하게 하는 그런 달이다. 사월의 노래를 생각하면 특별히 1963년 4월이 생각난다. 그때에 나는 서울 중앙고교 1년 재학 중이었고, 사월의 노래는 담임 선생님 김대붕 음악 선생님께서 가르쳐주신 노래였다. 작곡자가 이화여대 음대 김순애 교수라는 것을 강조하셨는데, 그 당시 그 이유는 몰랐지만, 혹시 김선생님과 무슨 특별한 관계가 있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그 후에 들곤 했다.

1963년이면 그 전 해에 일어난 5.16 군사혁명으로 모든 것들이 ‘재건’의 구호 하에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던 때였고, 사실 ‘느끼기에’ 비록 경제적으로 가난은 했어도 앞날이 희망적인 시절이어서 그 해 4월의 유난히 더 청명하던 계절과 함께 기억하고 싶은 때였다. 이곳 아틀란타 지역은 3월에 거의 ‘여름’같은 맛을 일주일 이상 보여 주더니 4월로 접어 들면서 완전히 2월 달 같이 거의 겨울 같은 날씨로 돌아섰다. 며칠 전에는 거의 섭씨 5도까지 떨어질 정도였다. 어떤 사람들은 이것도 new normal의 하나라고 푸념을 하던데.. 확실히 무언가 변한 것 같다.

 

 

4월의 노래
김소월 시, 김순애 곡

 

¶  올해의 부활절에 이르는 기간은 정말 우리 부부에게 기억에 남을 만한 각가지 기록을 깨면서 보낸 정말 ‘은총’을 받은 듯한 기분으로 보냈다. 비록 나는 판공성사를 거르는 심각한 잘못을 하긴 했어도 다른 것들로 많이 보완을 했다고 믿는다. 그 중에서 지금은 거의 습관이 된, 매일미사 참례가 그 중에 가장 큰 보람이 되었다. 사순절이 시작되면서 화요일을 제외한 나머지 매일 우리의 미국본당 Holy Family Catholic Church에서 아침 9시의 미사를 본 것이다.

이것은 사실 연숙이 이번에 시도한 ‘33일 봉헌‘이라는 사순절 행사에 ‘도전’을 하면서 내가 옆에서 도와주는 것으로 시작이 되었다. 33일 봉헌이라는 것에는 매일 미사 참례를 ‘적극적’으로 권하기 때문이었다. 연숙은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것이 참 어려운 사람이라서 나의 도움이 필요했다. 그래서 나도 같이 갔는데.. 이것도 Never say Never 의 한 예가 아닐까 할 정도로 내가 미리 생각했던 것과 결과적 느낌이 아주 달랐다. 하루를 이 미사로 시작한 것이 너무나 하루를 보내는데 도움이 되는 듯 싶었다. 더 시간을 효율적으로 쓰게 되었고, 하루 한번 꼭 밖으로 나와서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 자체가 나에게 보이지 않는 힘을 주었던 것이다.

나는 ‘절대로’ 며칠 못 견딜 것이라 ‘단정’을 했지만, 결과적으로 그것은 내 자신에 대한 지나친 과소평가였다. 이래서 매일 미사에 나오는 사람들이 그렇게 있구나 하는 생각 뿐이었다. 이것이 올해 사순절, 부활주일에서 가장 보람된 일이었고, 성3일도 빠지지 않아서 판공성사만 빼고는 거의 완벽한 성주간을 보낸 셈이 되었다. 이것이 우리 부부나 가정에 어떠한 영향이나 도움을 줄지는 ‘수학적’으로 계산을 할 수는 없지만, 이제는 신앙이란 것, 믿는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그야말로 ‘어렴풋이’ 느끼게 되었다.

 

¶  아틀란타 혼또니 입빠이 제 2탄   믿을 수 없다. 정말 정말.. 혼또니 혼또니.. 이것이 바로 요새 유행어로 New Normal인가, New Frontier인가? 이곳 아틀란타의 ‘악명’을 하나 더 높일 사건에 우리들은 놀라기만 했다. 또 다른 한인 일가족 ‘총기 살인, 자살’ 사건이 터진 것이고, 이번에도 역시 우리가 아는 사람이 관련이 되어서 벌어진 입이 다물어지지 못했다.

이 사건들의 공통분모는 역시 ‘총’이란 것에 있다. 만약에 이것이 없었으면, 누가 알까.. 일본 같았으면 ‘칼’을 썼을 것이고, 오랜 전 같았으면 아마도 대판 주먹질을 하며 싸울 정도가 아니었을까?  이것도 New Normal 중의 하나로, 완전히 서부개척시대를 연상시킬 정도가 되었다. 불륜에서 비롯된 이런 사건은 사실 흔한 것이지만 이렇게 분에 못 이겨 그것도 여자가 총으로 분을 풀고 자살하는 case는 사실 그렇게 흔한 것이 아닌데.. 그것도 한인들이었고, 불륜의 주인공이 한때 우리가 잠시 알았던 50대 초반의 ‘아줌마’였으니.. 놀라지 않겠는가?

일명 ‘나래 엄마’.. 그 나래라는 여자 아이는 1990년대 초에 연숙의 한국학교 유치반에 있었고, 그 ‘나래 엄마’는 나도 그 당시 그곳에서 가르치고 있어서 알고 있던 한 젊은 엄마였다. 그 엄마가 어떤 인생을 살아왔기에 한 가정의 가장과 불륜을 저지르고 그런 사건의 빌미를 제공했을까? 역시, 올바른 인생은 못 살았을 것이다. 나래 엄마와 ‘공공연히 자기 앞에서’ 바람을 피운 남편이 얼마나 증오스러웠으면 그 가해자인 아내는 남편과 나래엄마를 총으로 쏘고 자기도 쏘았을까?

결과적으로 그 부부는 사망을 했지만, 나래 엄마라는 여자는 죽지는 않았다. 그 여자는 어떻게 어떻게 세상을 바라보며 살아갈지.. 상상이 가지를 않는다. 참 무서운 세상이여..  총이 사람을 죽이는 것이 아니고 그것을 쓰는 사람이 죽이는 것이라는 기가 막힌 궤변이 잘 통하는 이곳 .. 실증이 나기 시작한다.

양지혜씨 어머님 – 홍윤숙 여사

양지혜씨, 오랜 만에 생각난 이름이다. 1970년대 말에 Ohio State (University) 총각 시절 보았던 화학전공의 여자 유학생이었고, 80년대 초에는 결혼 이후 다른 인연으로 만났다. 알고 보니 연숙의 고등학교 후배였고, 그녀의 돌 지난 아들을 연숙이 babysit해 준 것이 다른 인연이었다. 그 당시, 1970년대는 미혼 여자 유학생들이 아주 귀한 시절이었고, 그녀는 상당히 남학생들에게 인기가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나중에 그녀는 모든 사람의 예상을 뒤엎고, 연하의 어떤 교민1.5세 건축학 전공 한국학생, 김두순 (Albert Kim)씨와 결혼을 했고 아들까지 두었다. 그(김두순씨)는 나이보다 애 띠게 보였지만 그에 못지않게 양지혜씨도 나이만큼 보이지 않았으니 둘이 잘 어울려 보였다. 그녀는 학위가 끝나고 post doc으로 학교에서 계속 일을 했는데, 그들의 아들 ‘진’을 연숙이 우리가 살던 곳에서 babysit한 것이다. 그 당시에 우리는 대학원생(graduate student)아파트였던 Buckeye Village에 살았고, 우리의 큰 딸 새로니도 첫 돌을 넘기고, ‘진’이와 잘 놀아서 babysit하기에는 안성맞춤이었다.

그 무렵에 양지혜씨의 어머님께서 딸인 양지혜씨를 보러 Columbus (Ohio) 를 방문하셨고, 우리부부도 초대를 받아서1 양지혜씨 아파트에서 같이 저녁식사를 하게 되었다. 알고 보니 그 어머님은 잘 알려진 ‘여류 문인’이 셨지만 아깝게도 나는 문학 쪽에는 거의 관심이 없던 시절이어서 그 어머님의 문학계에서의 위치 같은 것은 잘 몰랐다. 그저, 어디선가 들어 본 이름.. 바로 ‘홍윤숙’ 여사였던 것이다. 그런 것은 문학과 그렇게 가깝지 않았던 아내 연숙도 마찬가지 였을 것이다. 그런 우리들이 어떻게 홍윤숙 여사와 같이 저녁 식사를 하며 ‘문학적 담소’를 했는지 지금도 확실치 않으나, 홍 여사님은 참, 겸손하시고 기품이 있으셨다. 그런 인연으로 나는 ‘문인 홍윤숙’ 여사의 ‘존재’를 알게 되었고, 일부러 산 ‘홍윤숙’ 책은 없었지만 혹시라도 보게 되면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일년 정도 뒤에 양지혜씨 가족은 San Francisco로 직장이 되어서 이사를 갔고, 그 이후로 소식이 끊어지고 말았다. 남편 김두순씨는 건축가였는데, 참 사람이 건실하고 침착한 청년이어서 나이차이는 있어도 사귈만한 사람이라고 생각했는데, 그렇게 헤어지게 된 것이 못내 섭섭하기도 하였다. 이사를 갈 당시 그는 자기가 쓰던 ‘건축가 작업용 desk로 쓰던 문짝’을 나에게 주고 가기도 했고, 아직도 그것은 ‘기념’으로 남아있다.

Peer-to-peer file-sharing 이 한창이던 때, ClubBox (download website) 란 곳에서 ‘책’ file이란 것을 보고 혹시나 싶어서 모두 download를 해 두고는 그 이후로 한참을 잊고 살았다. 그러다 그것 중에 홍윤숙이란 이름이 보여서 자세히 보니 여사의 수필-산문집 <모든 날에 저녁이 오듯이> 을 typing한 text file이었다. 어느 누가 그런 수고를 했는지는 몰라도 내가 요새 하는 readying-by-typing을 연상케 하는 노력이었다. 나는 그 출판된 ‘종이 책’을 본 적이 없지만, 조금씩 그 글이 나의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문제는 text format에 hard-return (carriage-return)을 사용한, 그러니까 computer wordprocessor에는 잘 맞지 않는 ‘고약한’ format으로 typing이 되었다는 사실로서, 이것은 전부 나의 손으로 고쳐져야만 했다. 그것은 비록 고생이긴 했지만, 끝나고 나니 책 거의 전부를 ‘읽은’ 셈이 되었다. 그러면서 양지혜씨 가족에 대한 추억도 생각나고, 홍윤숙 여사에 대해서 더 관심을 갖게 되었다. Copyright문제를 떠나서 이미 오래 전에 ‘공개’된 이 글의 발췌 본을 이곳에 올려 놓았다.

하루 한 순간을 - 홍윤숙
70년대 수필 하루 한 순간을

그리고 우연히 위의 책 <모든 날에..> 보다 훨씬 전에 출판된 여사의 다른 책 <하루 한 순간을>이란 ‘진짜 책’ 을 집의 책장에서 찾았는데, 아마도 이것은 오래 전에 영구 귀국을 하는 어떤 아는 사람이 주고 간 책이었을 것이다. 1975년경의 책이라서 그 당시 여사의 생각과 감정을 알게 해 주어서 아주 도움이 되었다. 나에게 제일 큰 여사의 수필 산문의 매력은 신앙, 그것도, 가톨릭적인데 있고, 다음은 이 글들이 쓰여진 때가 여사의 나이 60대가 넘었을 때였다는 사실에 있다. 사실 비록 여사는 비록 달필의 여성이지만, 요새 내가 느끼는 진솔한 감정 같은 것이 어쩌면 그렇게 공감이 갈까.. 놀라웠다. 특히 ‘나이 먹음에 따른’ 인생관, 세계관의 변화 같은 것도 그러했다. 그래서 이 글들은 한번 읽고 끝나는 것들이 아니고, ‘죽을 때까지’ 계속 읽어도 좋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이번 기회에 여사를 찾아보니, 작년에 여사의 책 한 권이 출판된 것을 알게 되었다. 그 책은 여사의 어머님을 생각하는 ‘참회록‘에 가까운 책이라고 했다. 전에 출판된 많은 저서에서 여사의 어머님이 이곳 저곳에 언급은 되었으나, 사실 피상적인 것임을 느낄 수 있었는데, 아마도 고령의 연세를 의식하셨는지, 본격적으로 어머님을 그리신 것 같았다. 세월은 흘러서 이제는 85세를 훌쩍 넘기신 여사님.. 근황은 어떠신지 궁금하기만 하다.

 

  1. 이것은 정말로 희미한 기억이어서 연숙은 숫제 완전히 잊고 있었다.

채준호 마티아 신부님 연도

오늘은 레지오 화요일, 우리부부가 속한 레지오 쁘레시디움 (Presidium1 ‘자비의 모후’가 모이는 날이었다. 지난 몇 주간 유럽 성지순례를 다녀오신 고레따 자매님이 돌아 오셔서 조그만 성물 기념품까지 나누어 주셔서 반가웠지만, 거의 ‘영웅적으로’ 암 투병을 하시고 있는 쁘레시디움 회계 J 자매님은 회합이 거의 끝날 무렵에 얼굴을 비치셨다. 회합이 끝나면 곧 12시 정오 미사가 있는데, 오늘은 본당 신부 하태수 미카엘 신부께서 강론 대신에 4월 1일 채준호 신부님의 급작스런 선종에 대해서 개인적인 일화를 하나 하시고 사회자로 하여금 마티아 신부의 글 ‘나 왔수‘ 를 낭독하게 하셨다. 미사 후에 곧 이어서 채 신부님의 연도가 이어졌다.

나는 채준호 마티아 신부님을 본 적도 없고, 강론을 들은 적도 없다. 다만 본당의 website에서 신부님의 강론 비디오가 사진과 함께 실려 있다는 사실만 알고 있었다. 하지만 마티아 신부님에 대해서는 들은 바가 많았다. 우선 우리의 한국 본당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에 2000년대 말에, 몇 년간 거주신부로 계신 것을 알고 있고2, 본당 신심단체 중의 하나인 CLC을 적극적으로 활성화 시키신 분으로 알려져 있었다. 또한 얼마 전에 레지오 꾸리아에서 빌려온 다른 예수회 소속 송봉모 신부님의 저서 <미움이 그친 바로 그 순간> 읽으면서 채 신부님의 글이 많이 인용된 것도 보았기에 그가 심리학적 상담의 대가인 것도 알게 되었다.

‘채준호 Googling‘ 도 이번에는 큰 수확이 없었지만, 그래도 그가 미국 Loyola University 심리학 박사라는 것도 알았고, 한국의 ‘초대’ 예수회 관구 장을 역임했다는 ‘빛나는’ 이력도 알게 되었다. 그러다가 갑자기 4월 1일 선종했다는 조금은 ‘의아스러운’ 비보를 듣게 된 것이다. 의아스럽다는 표현은, 글자 그대로다. 50대 중반이긴 하지만, 요새의 50대가 어디 옛날과 같을까.. 거의 ‘청년’일 수도 있는 몸과 마음을 가질 수 있는 나이가 아닐까. 확실하게 어떤 ‘병’으로 선종하셨는지는 모르지만 ‘사고’는 아닌 듯 싶다. 한마디로 정말 ‘아까운’ 일이다. 천주교회, 수 많은 기대를 어깨에 짊어졌을 만한 ‘인물’이었을 텐데..

본당 신부님은 예수회 입회 당시 만난 채 신부님을 조금은 ‘덜 심각한’ tone으로 들려 주셨는데, 경상도 출신으로 겪는 ‘쌀’과 ‘살’ 발음에 얽힌 유머러스한 일화였다. 솔직히 그런 것보다는 조금 더 ‘높은 차원’의 일화나 추억을 기대했는데.. 하지만 그 신부님의 기억이 그것이 전부였는지도 모를 일이다. 이 신부님들은 전부가 ‘서강대 사단‘의 일원이라서 이곳의 ‘서강대 친지’들에게서 다른, 더 들을만한 일화를 기대하지만.. 글쎄.. 과연 있을는지. 연옥을 지나쳐서 천국으로 직행 하셨을 신부님의 명복과 그의 가족, 친지들의 마음의 평화를 빌면서..

  1. 레지오 마리애에서 가장 작은 단위의 조직, 군대 조직의 소대에 해당함.
  2.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은 1990년 중반부터 전적으로 한국 예수회에서 파견 신부를 받아들이고 있다.

Palm Sunday, 2012

Palm Sunday of the Passion of the Lord, 2012. 오늘은 천주교 전례력으로 이런 기다란 이름으로 불리는 날이다. 고국에서는 아마도 ‘주님 수난 성지 주일‘이라고 하던가? 간단히 말하면 부활절 바로 전 일요일인 셈이다. 신약 성경에서 비롯된 이날의 모습은, 열두 제자와 함께 ‘조랑말’을 타고 예루살렘 성으로 들어오실 때, 군중들이 palm tree (종려나무?)가지를 흔드는 모습이 그려진다. 그리고 수난(passion)의 ‘성 금요일’을 향한 일주일이 시작되는 것이다. 아마도 기독교 자체가 이 한 주일에 집약이 되었다고 생각하면 간단하다.

올해의 사순절(Lent) 기간 매일 미사를 빠짐 없이 찾았기에, 우리 미국본당에 오는 것이 그렇게 편하게 느껴질 수가 없어서 올해의 부활절은 그런대로 잘 맞을 준비가 된 듯한데, 한 가지 중요한 것을 빼먹고 있다. 바로 ‘고백성사’ 다. 어떨 때는 비교적 쉽게 할 수 있었고, 이번처럼 거의 전신이 마비된 듯 느끼며 피할 때도 있다. 나는 왜 이 고백성사라는 것이 그렇게 힘든 것일까? 누구는 안 그렇겠는가.. 하지만 어떤 사람은 수시로 거의 습관된 듯 자주 하는 사람들도 있다던데.. 대부분 무슨 큰 죄를 지었겠는가?

하지만 그런 죄가 아니고 마음 속의 ‘안 보이는’ 죄를 모조리 기억하고 고백을 해야 함은 생각보다 어렵다. 준비를 철저히 해야만 그런대로 ‘만족’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나의 고민은 그것이 아니고, 다른 것이다. 내가 고백해야 할 것의 주제가 바로 나의 고백을 들어주시는 신부님이라는 사실.. 쉽게 말하면 내가 신부님께 ‘불만’이 있다는 ‘죄’를 고백해야 하는 것이다. 이것이 아직도 나를 붙잡고 있다. 어떻게 그런 사실을 그에게 고백을 해야 하는가? 이것의 해답은 사실 다른 신부님께 하면 되는데 불행히 그런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어찌할 것인가? 그대로 부활절을 맞아야 하는가.. 그러기에는 찜찜하기만 하다.

 

Palm Sunday, 2012

Palm Sunday, 2012 Holy Family 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