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이여! 이 땅에 인재들을 보내소서!
2013.07.11
국익(國益)과 애국심(愛國心)이란 말을 우리들이 아닌 오히려 탈북동포로부터 듣는 오늘의 현실에서 우리의 미래가 걱정스럽다.
십 수년 전 영국 쉐필드(Sheffield)에 있는 한 단조(鍛造)공장을 방문한 적이 있었다. 노후해 보이는 공장시설과 주로 수동(手動)으로 이루어지는 원시적인 작업방법을 보면서, 국내의 현대화된 공장과 자동화 시스템을 갖춘 생산시설 등을 주로 보아온 필자에게 은근히 자긍심이 솟았던 순간이 있었다. 하지만 바로 그곳에서의 주 생산품이 우주항공물체의 머리 부분에 들어가는 특수재질의 특수부품이며 그 납품처가 NASA라며 세계에서 자기네만이 만들 수 있다는 득의에 찬 설명을 접하는 순간 약간의 외경심이 솟으며 산업기술력(産業技術力)이란 과연 무엇인가를 새삼 되새겨본 기억이 난다.
25여 년 전에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기차로 약 2시간 거리에 있는 배스또로스(Vstors)라는 곳의 한 핵연료가공(nuclear fabrication)공장을 어렵게 방문한 적이 있었다. 경계가 엄한 핵단지(核團地)인 그곳에서의 인상은 대단히 평화스러워 보였지만 장미열매를 익혀서 먹는다며 자기고장의 특징을 유창한 영어로 설명해 주던 건장한 체구의 공장장은 대단히 거만하고 교만해 보였다. 핵연료 가공시설이 어떻게 생겼는지도 모르던 당시 비(非) 엔지니어인 필자가 던지는 우문(愚問)탓도 있었겠지만, 그보다는 받는 자가 아닌 주는 자의 입장에서 내보이던 여유로운 태도에서 오는 그런 느낌을 받았었다. 사실 스웨덴은 900만 명 정도의 조그마한 나라이면서도 노벨상(Nobel Prize)을 주는 나라다. 주는 자리와 받는 처지가 엄청나게 다르다는 것은 그네들의 산업에서도 당시 찾아 볼 수 있었다. 그들은 자동차, 전기통신, 원자력발전, 항공사, 기관차 부문에서 Volvo, Saab, Ericsson, ASEA, SAS 등 유수의 세계적 기업들이 세계시장을 무대로 활동하고 있었다. 물론 지금은 당시와는 사정이 많이 달라져있지만.
십여 년 전 오스트리아의 유명한 철강 엔지니어링회사 Voestalpine 를 방문해서 그네들이 자랑하는 연구진의 연구결과를 들을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그때 연구진들은 나이가 꽤 듬직한 기술자들이려니 생각했었다. 그런데 나이도 어리고 화장기라고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젊은 여성 엔지니어들이 상당수였던 사실에 오스트리아의 힘이 어디에서 오는지를 일면 깨달았던 기억이 새롭다.
시드니(Sydney)의 해수욕장이나 몰디브(Maldives)의 고도(孤島), 태국 파타야(Pataya)해변, 필리핀 보라카이(Boracay)해변 등의 요지에 의례 있기 마련인 스위스인 소유의 별장이나 빌라를 보면서 문득 커피 한 톨 생산되지 않는 나라가 향(香)으로 세계를 제패하는 역량을 지닌 스위스의 저력이 연상되었던 적도 있었다. 사실 스위스의 저력은 국토면적이 우리의 반(半)도 안 되며 인구는 1/6이 안되면서도 2012년 현재 Fortune 글로벌 500대기업에 우리보다 2개사가 더 많은 15개가 속해 있는 데서도 확연히 들어난다.
전 세계 많은 당뇨환자들이 맞고 있는 인슐린(insulin) 주사약은 양돈(養豚)국인 덴마크에서 생산되어 미국의 제약회사를 통해 공급함으로써 고(高)부가를 이룬다는 사실은 2011년 덴마크의 1인당 국민소득 4만 불선이 어떻게 해서 얻어지는가를 잘 보여준다.
특수강(特殊鋼)하면 당연히 독일 회사이려니 생각했던 필자에게 한 독일인 기술자가 특수강은 누가 뭐래도 이태리 밀란(Milan)의 다니엘리(Danielli)라며, 섬유 패션을 비롯한 전문성의 원천이 한때 세계를 제패했던 로마인의 후손(後孫)이라는 그네들의 자부심과 무관하지 않음도 상기시켜 주었던 적이 있다.
유럽의 대학교 하면 제일 먼저 Oxford, Cambridge 등을 떠 올리지만 영국의 Cranfield, 네델란드의 Erasmus, 스위스의 St. Gallen, 이태리의 Bocconi 등이 굉장한 경쟁력을 지닌 학교임을 아는 이는 흔치 않다.
호주의 소젖을 덴마크의 기술로 가공 처리하여 동남아 시장에서 판매하는 우유 사업주는 대만인 화교다.
한국은 대(大)국도, 소(小)국도 아닌 중간 정도 국가로 작년(2012)에 50-20 (인구 5천만 일인당 소득 2만 불) 클럽에 진입한 세계 7번째 국가로 선진국(developed country)으로 불리는 나라가 되었다.
그런데 지금 G2를 자처하는 중국은 힘을 바탕으로 역사왜곡(歷史歪曲)을 통해 동북공정(東北工程)을 진행하고 있으며 또 떼거리로 서해를 유린하면서 이어도(離於島)도 들먹이고 있고 한편 일본은 독도(獨島)의 영토관할권에 대한 도전을 통해서 그들의 패권을 신장시키려 하고 있다. 지구촌 어디에도 없는 체제세습의 북한은 핵(核)놀이를 통해 까놓고 우리의 생존을 본격적으로 위협하고 있다.
자, 이들 틈바구니에서 우리를 지키기 위한 강한 힘을 우리는 어디에서 어떻게 찾을 것인가?
지금 우리는 글로벌 대(大)격변의 어려움 속에서도 대한민국의 지속번영을 추구하려는 국가수호(國家守護)애국세력과 오직 지역(地域)과 이념(理念)과 과거(過去)를 붙들고 늘어지는 국가부정(國家否定)무리들, 반(反)국가세력들로 대단히 혼란스럽다.
군복무 10년간 휴가 한번도 못나오는 군대를 오직 굶어 죽지 않기 위해 가려 해도 키 147cm, 체중 35kg이 못돼서 군대에도 못가는 북한의 그 수많은 피골이 상접한 젊은이들을 보면서도, 심지어는 몇 십, 몇 백만의 인민들이 굶어 죽어가는 데도 그런 곳을 그렇게도 향모 하는 반(反)국가무리들의 광란은 도저히 상식으로는 이해가 안가는 심각한 수준에 다 달은 느낌이다.
국익(國益)과 애국심(愛國心)이란 말을 우리들이 아닌 오히려 탈북동포로부터 듣는 오늘의 현실에서 우리의 미래가 걱정스럽다.
이런 절박함 속에서 지역・세대・계층 간 대립(對立)대신에 화합(和合)과 공동선(共同善)을 추구하며 우리의 강함을 과거(過去)가 아닌 미래(未來)에서 찾고 반(反)국가세력에 대한 정화(淨化)・순화(醇化)를 도모하면서 국력을 응집시켜 대한민국을 선(善)하고 강(强)한 나라로 키워갈 국가경영 지도자와 그를 보필할 참으로 깨끗한 인재들이 과연 이 땅에는 없는 것일까?
하늘이여! 당신 뜻을 경외(敬畏)하며 따르는 의(義)롭고 깨끗한 지혜로운 인재들을 이 땅에 보내소서!
글 / 김인호 한양대 명예교수. 다이나믹 매니지먼트 학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