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romptu helper team, 12.12 redux

¶   어제는 ‘아픈 나의 몸’ 때문에 한 주일을 걸렀던 ‘금요일 봉성체 동행’ 봉사자로 연숙과 순교자 성당엘 갔다. 젊은 엄마 환자, 허 자매님의 봉성체가 이제는 고정적으로 금요일로 정해지면서 우리에게 금요일 정오 평일미사를 순교자 성당에서 참례하게 된 것은 무슨 큰 의미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조금은 이곳에서, ‘한국식 가톨릭 문화’ 에 가까워짐은 느낀다.

몇 주전부터 시작된 ‘교우 환자 허 자매님 돌보기’는, 주말을 빼고 거의 매일 (4일) 돕기 위한 작은 helper team이 순교자 성당 소속 레지오 단장들을 중심으로 ‘급조’가 되어서 현재까지 큰 차질 없이 진행 되어오고 있는데, 이것은 본당주임 이재욱 신부님께서 허 자매님을 집으로 방문하신 후에 즉각, 직접 레지오에 봉사 활동을 부탁하신 결과였다. 이 과정을 바로 옆에서 직접 목격한 나는 이신부님의 ‘사목 스타일’을 한눈으로 볼 수가 있었는데, 진정한 가톨릭 목자의 온유함과 측은지심을 느낄 수가 있었다.

허 자매님, 비록 식구들의 따뜻한 보살핌을 받고 있다고 하지만 문제는 낮 시간에 집이 비어있는 때가 많아서 식사나 거동에 큰 불편을 겪고 있었고 심리적으로도 외로움을 느끼고 있어서 이렇게 봉사자들이 필요한 것으로 현재까지 봉사자 ‘자매’님들 열심히 성심껏 활동을 하고 있고 봉사 후에는 Kakao  ‘group’ Talk으로 간단한 보고를 곁들인 소감을 나눈다. 한결같이, 이구동성으로 모두들 봉사를 한 것에 비해서 무언가 얻고 느낀 것이 더 크다고 입을 모은다. 어떨까.. 이럴 때 ‘기동성과 조직력, 동원력’을 골고루 갖춘 레지오의 조직과 특성이 가장 빛날 때라는 것을 느끼게 되어서 외로울 수 있는 연말연시에 따뜻하고 훈훈한 느낌을 주고 있다.

 

¶   십이십이, 1979년 12월 12일, 36년 전..  바보처럼 손가락으로 햇수를 한참 세고 나니 바로 36년 전이라는 해답이 나온다. 이제는 사실 30년 정도는 긴~ 세월의 축에 끼지도 않을 정도로 ‘진짜 긴 세월’에 익숙해 졌다. 아.. 이것이 바로 ‘나이 듬’에서 나오는 공짜로 받는 지혜요 고집인가보다.

사실 35년 전이라고 생각되는 작년 12월 12일 나의 blog post가 빠져 버린 것을 기억한다. 이날을 유난히도 추억의 명단에 넣고 싶은 나의 희망이 작년에는 무언가 바쁘게 느껴졌던 당시의 상황은 그런대로 기억을 하지만 글로 남기지 않았던 것이 일년 내내 후회가 되기도 해서, 이번에는 작심을 하고 몇 자라도 남기려 하고 있다.

이날을 기억하고 싶은 이유는 몇 년 전 나의 blog post에서 밝혔듯이 현재 우리 가족이 있게 해준 결혼이 결정될 무렵이었기 때문이었다.

1979년, 부모를 잃은 장녀, 박근혜
1979년, 부모를 잃은 장녀, 박근혜

사진같이 선명했던 꿈같은 당시의 느낌과 광경들이 실로 세월의 횡포에 서서히 물러나가는 듯.. 희미해짐을 실감하고 나는 슬픈 심정을 누를 수는 없지만 이것이 순리요 자연의 법칙 임도 알기에 겸허하게 받아들인다. 총각이던 그 시절 나의 mindset은 어떠한 것이었을까, 자유스러운 것일까, 불안한 것이었을까?

평생 ‘대통령’으로 머리 속에 남아있는 ‘박정희 대통령’이 사라진 그 당시, 솔직히 일생일대의 대사였던 ‘결혼’, 나의 미래인생을 설계하던 그 당시에 ‘대통령 유고’, ‘전두환 등장’ 등은 나에게 아무래도 첫 관심사는 아니었다. 서른 살이 넘었어도 지금 생각하면 나는 그 정도로 유치했나? 나라의 미래보다는 나의 미래에 더 관심을 쏟던 그 시절이었다.

그 와중에 ‘정치적인 이유’로 12월 12일은 후세에 역사로 남았지만 나는 당시에 거의 전혀 무슨 일이 그날 일어났는지 관심 밖이었다. 전두환이란 이름도 생소했지만 외신에 의해서 그가 현재 정치적으로도 제 1 강자로 부각하고 있다고는 들었다. 하기야 서울을 장악한 수경사란 것이 그의 것이었으니 이해하기에 어렵지는 않았다.

그날, 나와 결혼을 약속한 연숙은 그녀의 이화여대 지도교수(박사과정) 김숙희교수를 김포공항으로 보러 갔었다. 김교수는 현재는 유명인이 된 도올 김용옥의 누님이었고 독신으로 이대 총장을 바라볼 정도로 실력자이기도 했는데 그 당시 그녀는 미국의 어떤 대학으로 ‘출장’을 출국을 하던 참이었는데.. 나는 그녀에게 끌려 ‘인사를 하러’ 나가게 된 것이었다. 마음이 크게 내키지는 않았지만 결혼식 전에 다시 못 볼 것이라 인사를 하여야만 하게 된 처지가 되었던 것이다.

그날, 기억이.. 참 매서운 겨울바람이 몰아치던 김포공항 가는 길.. 우리는 한참을 걷게 되었는데 그날 내가 처음으로 그녀의 손을 잡은 것이 우리에게 ‘추억의 12.12’로 만든 계기가 되었다. 장갑을 끼지 않은 손을 잡았으니 사실 그것은 고역이었을 테지만 젊음은 좋은 것이었나 보다. 따뜻한 체온이 전해옴을 느낀 것이 기억의 전부였다.

우리는 ‘큰 사고’없이 김포공항으로부터 한강교를 넘어서 집에 왔지만 그 이후부터 한강의 모든 다리들이 차단이 되었다. 전두환 대통령시해 조사본부장 전두환의 휘하 계엄군 부대들이 한남동 육본 총장공관으로 출동, 정승화 총장을 체포하는 과정에서 무력충돌이 일어났고, 이것이 전두환 혁명의 최초의 시발점이 되어서, 전두환은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고 말았고, 이후는 모두 역사가 되었다.

아~~ 세월이여.. 1979년 12월 즈음의 나의 주변과 세상은 과연 어떤 것들이었을까? 어떤 냄새를 가지고 있었던 세상이었을까? 간신히 나의 인생 반려자의 얼굴과 체취를 익히기 시작하던 꿈같은 시절.. 민족중흥 박정희 대통령의 서거, 전두환의 등장, 지미 카터가 이란 인질사태로 악전고투를 하던 시절, 미국 소련의 냉전, ideology 에 의한 세계질서, 공산당이 제일 무섭던 시절.. 참~~ 세상 많이도 변했구나. 그 동안 우리의 새 생명들이 어느덧 30살을 넘게 되고, 우리들은 ‘완전한 고아’가 된 기나긴 세월이었다.  멋지고 희망이 있던 시절들이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불안하고 외로움에 시달리던 시절들이기도 했다. 이제는 그런 외로움과 불안감은 거의 사라졌다. 세월이 준 선물인지도 모른다.

 

한강교가 '끊어진' 12월 12일 밤, 통행금지가 있었던 시절

한강교가 ‘끊어진’ 12월 12일 밤, 통행금지가 있었던 시절

12-12-2

전두환 계엄군이 정승화 총장 공관에서 충돌하던 12월 12일, 1979년

 

나를 순간적으로 그 당시로 돌아가게 해 주는 classic oldies

 

 

Somewhere in the Night – Barry Manilow 

 

 

Love is the Answer – England Dan & John Ford Coley

 

 

Goodbye Girl – David G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