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사다난 多事多難 했던 2015년 을미년 乙未年 이 서서히 저문다. 일년 내내, 생각하면서 살아간다고 자부하곤 하지만 제일 생각을 많이, 깊이, 천천히 해야 할 듯한 년 말이 되면 무언가에 떠밀리고, 쫓기는 듯, 번번이 후회를 남기며 ‘하나도’ 생각을 못한 듯한 회한 悔恨을 남기고 새해를 맞곤 했다만, 올해는 그 달갑지 않은 전통을 깨어볼까.
2015년은 내가 살아온 나이가 ‘만 滿’ 으로 67세인 해로써 70대 쪽으로 ‘완전히 기울어진’ 나이였다. 그러니까, 70 이란 숫자가 60보다 훨씬 더욱 친근하게 느껴지던 그런 해였다. 60이란 숫자를 꼭 잡고 싶은 허황된 욕심이 없었다면 그것은 거짓말일 것이지만, 솔직히 그런 ‘아이 같은, 순진한’ 꿈을 꾸기에는 너무도 성숙한 나이가 되었다. 한마디로 나의 심정은 ‘초연.. 超然’ 한 것이다.
나는 과연 몇 살까지 살까? ‘늘어나는 평균수명’을 가지고 참 많이들 말장난을 하는 것 같지만 솔직히 나는 그것에 큰 관심이 없다. 분명 나 자신도 그런 ‘통계’의 일부일 것은 사실이지만, 나 자신이 그런 ‘통계’ 자체는 아닌 것이고 또한 언제 죽느냐 보다는 어떻게 죽느냐가 더 중요한 것이다. 보험 ‘장사’를 하는 곳에서는 이런 통계가 절대적인 것이겠지만 나는 그런 통계를 의식하며 살기는 싫다. 자연의 법칙에 위배되지 않도록 겸손하게 하루하루 살아가며 내가 역사적인 흔적을 조금이라도 남긴 이 세상에서 서서히 사라지는 것, 나는 그런 것을 원한다.
¶ 2015년의 ‘나의 사람’은 누구였던가? 비교적 자주 journaling을 하는 나는, 한 달처럼 느껴지는 1년 정도의 길지 않은 세월에서 내가 살아온 흔적을 찾는 것은 그렇게 어려운 것이 아니다. 문제는 그 ‘잡다한 흔적’들 속에서 어떻게 의미 있는 사람들을 찾는가 하는 것이다.
지난 해를 하루도 빠지지 않고 ‘초자연’적으로 나와 가족을 정북방향 true north을 잊지 않게 하시고 이끌어 주신 ‘성모님’, 비록 인간이셨지만 나에게는 하느님의 어머니로서 도와주셔서 지나가는 한 해를 나의 오랜 인생에서 ‘최고의 해’로 만들어 주셔서 ‘2015년 나의 사람’이 되셨다. 믿음의 결실이란 것이 무엇인가를 어려울 수도 있었던 지난 10년 간을 통해서 서서히, 확실하게, 조금씩 보여주셨다. 이제는 나의 어머니와 더불어 한시도 빠질 수 없는 나의 제2의 어머니가 되셨다.
연말이라 또 그런 것일까? 아니다.. 나는 이런 참을 수 없는 가슴 속 깊숙한 곳으로부터 나오는 뼈 저린 아픔과 그에 수반되는 참을 수 없는 눈물을 주체할 수가 없을 때가 적지 않다. 물론 눈물을 쏟아내면 이상하게 시원함이 따른다. 하지만 아련한 아픔은 잔잔하게 남는다. 엄마와 가족들을 그리는 원초적, 생물적인 본능일까.. 아니다 그보다는 후회와 안타까움으로부터 나오는 참회의 눈물임이 분명하다. 곁들여.. 나의 아련한 옛날 옛적, 이제는 분명히 70년에 가까워지는 길어지기만 한 나의 인생역마차, 역정, 누나와의 운명적인 이별의 인생.. 이런 것들이 나를 ‘비극의 주인공’으로 만드는 듯 하고, 나는 ‘불행한 인간’이라는 주체할 수 없는 괴로움에 젖는다.
비록 근래에 나는 다시 찾은 신앙의 도움으로 가정과 나의 주위에서 제자리를 찾아가고, 제 정신으로 돌아오고, 하느님의 세계관에 의한 인간과 인생의 근본적인 위치를 알았다고는 하지만, 나의 옛적부터 쌓인 그리움의 기억들은 ‘조금도’ 지울 수가 없다. 아니 지워서는 안 된다. 절대로 안 된다. 그것이 나인 것을 어찌하랴? 하지만 나는 예전의 사고방식으로 이 그리움의 노예가 되기는 싫다. 새로 만난, 찾은 세계관에 의한 새로운 의미의 그리움, 그 속에서 포근한 安住感을 느끼고 싶은 것이다.
포근한 엄마의 자상한 ‘경우야~ 걱정 마’ 하는 말씀이 듣고 싶다. 나를 위로할 수 있는 존재는 나에게 현재 없다. 엄마의 그런 따뜻한, 무조건적인 사랑의 위로의 말씀을 나는 이제는 들을 수가 없다. 내가 상상할 뿐이다. 하지만 이제는 조금씩 나의 다른 어머니 성모님과 개인적으로 친해지려고 노력을 하면서 그런 ‘무조건적 사랑’의 말씀을 들으려고 노력은 한다. 우리 쓸쓸한 가족 3명이 살던 시절을 그린다. 나를 그렇게 보금자리 같은 곳으로 느끼며 자라게 해 주셨던 나의 어머님의 헌신적인 노력 덕분에 나는 따뜻한 곳에서 이렇게 달콤하고 포근한 추억들을 만들 수가 있었다. 그것을 나는 비록 감상적이긴 하지만 나의 보물로 간직하며 사랑하고, 즐거워하고 있지 않은가?
이런 느낌을 남에게도 나누어 주고 싶지만 그것이 쉬울까? 요새 우리부부가 돌아다니며 노력하고 있는 봉사활동이 그런 것에 속할까? 얼마나 우리는 그런 포근한 사랑을 나누어 주고 있는 것일까? 어둡게 살고 있는 사람들, 나는 그들의 기분을 알 듯하다. 하지만, 하지만 어떻게 그들에게 내가 받은 사랑을 나누어 줄 수 있을까? 어떻게 남은 삶을 사는 것이 제일 보람된 방법일까? 묵주기도 속에 그것의 해답이 있을까? 새해를 맞이하며 계속 기도를 해 보자.
¶ 엘니뇨의 영향으로 미국 동부는 이상난동 異常暖冬에다 장마성 폭우로 사실 전통적인, 크리스마스 카드에 나오는 하~얀, 고향 같은 풍경의 기대가 완전히 사라졌다. 하지만 그런 기후적, 감상적인 것을 빼고는 사실 예년이나 다를 기분은 하나도 없고 Christmas Season (12월 25일부터 다음해 1월 둘째 일요일까지, 이번은 1월 10일, liturgical calendar) 의 첫날, 12 Days of Christmas 중의 첫날, First Day of Christmas 를 지낸다.
올해는 우리 집 오랜 전통을 깨고, 처음으로 성탄미사에 참례를 하게 되었다. 오랜 동안 우리는 미국 성당에서 성탄 전야 미사에 온 가족이 참례하고 정작 성탄절에는 완전히 집에서 늘어지게 쉬곤 했었다. 이것이 근래에 들어서 잘못 되었다는 것을 알기에 고쳐야겠다는 의견의 일치를 보고 있었던 참이었었다.
푸근~한 느낌의 성탄미사가 끝나고… 도라빌 순교자 성당 2015년 12월 25일
푸~근~ 하고, 잔~잔~한 미소를 띤 모습으로 성탄절미사를 집전하시는 이재욱(요한) 주임신부님, 흡사 ‘젊은’ 산타클로스 같다는 느낌도 받는다. 성탄의 진정한 의미, ‘고차원적인 사랑‘ 의 느낌을 강론과 몸으로 보여주신다. 오늘 이곳 도라빌 순교자 성당, 한국본당에 오게 된 계기도 우연이 아닐 듯.. 순교자 성당에서 아주 멀지 않은 apartment로 얼마 전에 이사온 작은 딸 나라니가 올해 family Christmas meal을 준비한다고 한 것.. 거기서 가족들이 모이게 된 것들.. 모두 우연이 아니었을까? 오랜만에 우리 집이 아닌 ‘다른 집’에서 나라니가 준비한 fusion Christmas luncheon 으로 성탄 오후시간을 즐겼고, 오랜만에 우리 집에 없는 big screen TV로 우리 가족들의 오래 된 classic movie였던 Bing Crosby, Ingrid Bergman 주연, 가슴을 훈훈하게 적시는 ‘The Bells of St. Mary‘를 보며 각자가 느끼는 추억이 어린 논평을 하기도 했다. 그것은 warm heart, loving heart 의 기적에 관한 것이 아니었을까?
이렇게 성탄절에 집에서 나왔던 덕분에 쓸쓸하게 성탄절 낮을 보낼 듯 했던 우리의 젊은 봉성체 환자 H 보나 자매님 댁도 찾아볼 수도 있었다. 이런 날, 몸과 마음이 쓸쓸한 영혼을 찾는 것은 우리들의 heart에도 엄청난 도움을 준다. 변함없는 모습과 감사하는 태도로 우리를 맞는 자매님, 비록 holiday decoration이 하나도 없는 조용한 집이었지만 그래도 최소한 가족들은 모두 가까운 곳에서 보살피고 있어서 그러한 쓸쓸함을 이기는데 도움을 준다. 사랑이 주제라는 성탄의 의미를 새겨볼 수 있는 거의 완전한 예들을 오늘 이렇게 경험한다.
오늘의 이런 ‘성탄절 봉성체’와 더불어 어제의 조금 다른 경험들이 나를 조금 움츠리게 한다. 지난 화요일 우리와 같이 고해성사를 했던 S 형제, 어제의 통화에서 다시금 우울한 holiday를 가족과 맞이하고 있음을 알고 나의 가슴은 주저앉는다. 오래 전의 나의 모습을 그에게서 보는 듯해서 더욱 우울해진다. 이럴 때 어떠한 말도 필요가 없음도 알기에 더욱 답답한 것이다. 어제 쏟아지는 빗속을 drive해서 올해 5월초 선종하신 배 베로니카 자매님 댁을 찾아가서 홀로 남은 두 아드님에게 작은 인사를 전하고 왔는데, 그 집도 역시 쏟아지는 빗속에서 성탄의 모습이 전혀 보이지 않고, 어둡게만 보였다. 쓸쓸한 모습으로 우리를 문 앞에서 맞은 그의 얼굴도 마찬가지로 쓸쓸하고 어두웠다. 밝은 빛이 탄생한다는 이런 날들에 이렇게 어두움이 있다는 것을 어찌 잊고 살 수 있을까.. 하지만 과연 어떻게 이들에게 빛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인가?
¶ 요사이 깜깜한 새벽에 일어나면 예외 없이 추위에 떨며 coffee를 ‘내려서’ 마시는 즐거움을 맞이하지만 문제는 그 ‘추위에 떠는’ 시간이 짧지가 않다는 사실이다. 그런데 이번에 그것을 해결해 주는 perfect present를 ‘아이들’로부터 받았다. Single cup coffeemaker 이것이 바로 해답이었다. 현재 우리 집 drip coffeemaker는 10 cups 이상을 만들어야 제 맛이 나는 monster급이고, pour-over coffee maker는 ‘내리는데’ 시간이 걸린다. 비록 ‘고급’은 아니더라도 이제는 power switch만 올리면 자동으로 personal single cup coffee가 만들어지니.. 추운 새벽의 괴로운 dark morning routine이 다가오는 1월 달의 ‘강추위’를 조금은 덜 괴로울 듯하고, 차가울 수 있는 가슴을 훈훈하게 느끼게 한다. Thank you, Kids!
The Twelve Days of Christmas – John Denver & the Muppets
¶ Unseasonal Christmas, 밤새도록 천둥과 번개, 폭우가 오락가락했다. 오늘이 무슨 날인가.. 성탄 eve 전날이 아닌가? Stormy holiday, 분명히 심상치 않은 성탄의 기분을 주지만, 문제는 이 stormy 란 것이 겨울이 아닌 여름, 그러니까 ‘열대성 tropical‘이란 사실이다. 이것도 몇 년 만인가? 기억에 3~4년 정도 전 이 맘 때였나? 맞다.. 2012년이었다. 그 때도, 억수같이 쏟아지는 폭풍우 속에서 ‘처량하게’ 가족 모두가 극장엘 가서 Spielberg의 Lincoln영화를 보았다. 왜 그랬을까? 절대로 포근한 추억이 아닌 것이다. 최소한 나의 style은 아니었다.
가족을 위해서 나갔다는 기억이 아직도 선명한 것을 보면 싫은 추억이 된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이런 unseasonal holiday은 싫은 것 중에 하나다. 하지만 꼭 그럴까? Christmas란 것이 과연 무엇이며 어떤 의미가 있는지 사람들.. 몇 초 정도라도 생각을 하며 보낼까? ‘집단’ 군중심리에 밀려서, 무슨 zombies같이 ‘shop, shop, shop, 줄을 서서’ shopping이나 하는 지독히 세속화 된 크리스마스.. 기다림(advent)이 내일로 끝난다는 단 하나의 희망, 그것이 나를 위로하는 것이 되었나?
¶ 며칠 전 일요일 저녁에 ‘세대 차를 뛰어넘는’ ‘100% 비공식’ 순교자 성당 구역 ‘친구’들의 간단한 저녁식사와 간담회가 있었다. 나의 레지오 협조단원이기도 한 ‘다多 차원적’인 host 형제님, 무섭게 바쁜 생활에서 틈을 내어서 이렇게 ‘마음이 맞는’ 형제, 자매들을 초대한 것 감사를 안 할 수가 없다. 비록 같은 구역에서 만난 사이지만 이야기들은 구역 politic을 초월한 것들, 개인적인 것들, 신앙적인 것들로 아주 화기애애하고 유익한 것들이어서 집을 나올 때 마음이 아주 가벼웠다.
어떠한 구역모임이 “이상적인, 본당이 바라는 모습”일까.. 이런 것도 허심탄회 虛心坦懷 하게 다루어졌고, 무언가 meaningful correction의 시점에 다다르고 있다는데 의견이 모아졌지만, 필요 이상의 ‘논쟁 성’ 대화는 아니었다. 이런 민감할 수도 있는 사안은 ‘순리’란 것에 맡기는 것도 좋을 수 있으니까.. 하지만 새해부터는 우리 구역도 조금은 “inclusive, faithful, ecclesiastical 한” 그런 쪽으로 나아갔으면 하는 마음이고, ‘잘 될 것’이라는 가느다란 희망도 가져본다.
¶ Busy busy Tuesday: 우아.. 이렇게 어깨에 천근만근 무게를 느끼며 보냈던 화요일이 있었을까? 레지오 회합으로 시작되는 화요일은 주로 봉성체로 끝을 내고 거의 저녁때 귀가하는 일정인데 이번 화요일은 그것을 넘는 일정들이 꽉~~ 차 있어서 그 전날에는 심지어 심한 stress까지 느낄 정도여서 왜 이렇게 schedule을 잡았나 하는 후회까지 할 정도였다. 하지만, 이런 것들은 ‘다 좋은 것들’이란 100% 확신이 있기에 주로 ‘don’t think twice, don’t look back, just say yes‘란 말만 되뇐다.
평소의 일정에 오늘은 ‘성탄 판공성사, 신부님 면담‘, 냉담교우 형제와 점심식사 에다가 저녁에는 친지들과의 Christmas dinner party까지 겹쳤다. 조금은 아찔한 일정이었지만 끝났을 때의 ‘날라갈 듯한 기분’을 미리 그리며 나를 달래기도 했다. 판공성사는 고백소에서 줄을 서서 해도 되겠지만 언제나 그것은 무언가 미흡한 뒷맛을 주기에 올해는 따로 면담 식으로 하고, 냉담하고 있는 ‘아오스딩, Augustine‘ 형제까지 불러 점심을 하고 같이 성사도 보게 되었다. 몇 년 만에 이런 기회를 갖게 된 이 형제와 조금은 깊은 대화를 하려 했지만 의외의 불청객이 있어서 무산되고 말았다. 이 형제님, 기나긴 냉담을 하고 있지만 항상 나의 기도 속에 있기에 ‘언젠가는’ 돌아오리라 굳게 믿는다. 고해성사의 ‘백미 白眉’는 역시 Matthew Kelly1의 말처럼 ‘지난 세월의 때와 먼지’가 씻겨나가는 홀가분한 뒷맛이 아닐까?
저녁에는 올해 새로 이사를 한 C 사장, 나이는 한참 밑이지만 우리 ‘동년배’ 그룹에서 당당히 끼어서 오랜 교분을 유지했던 Ohio State 동창 후배, Riverside Drive에 있는 멋진 upscale 집을 찾아가서 늦은 저녁 시간을 즐겼다. ‘개천에서 용 났다’라고 자칭하는 이 그룹은 뒤늦은 나이에 모든 것들이 잘나가게 되는 case여서 나에게는 조금 미묘한 감정이 교차됨을 피할 수 없지만 그래도 오~랜 ‘친지’들이 아닌가?
¶ ‘갑자기’ 커진 우리 자비의 모후 레지오 쁘레시디움, 비록 새 단원들이 모두 자매님들이지만 이들 덕분에 평균연령이 훨씬 떨어진 것은 감사할만한 것이었다. 무슨 ‘긴급 수혈’을 받은 느낌이 들 정도로 분위기가 밝아졌다고나 할까? 들락날락하며 전체 분위기를 흐려놓았던 눈에 성가셨던 일도 올해로 끝나면 얼마나 좋을까? 모든 것을 ‘가급적 원칙대로’ 하는 우리 레지오의 전통을 모르긴 몰라도 두고두고 감사한, 중요한 인생의 교훈을 체득하는 삶을 살게 하리라 나는 믿는다. 지난 9월부터 서서히 ‘수혈’을 받아오면서 현재는 출석률 100%가 새로운 정상이 되었다. 전원 출석하면 박수를 쳐야만 했던 사실, 들락날락하던 것이 정상이던 것이 이제는 출석률 100%가 정상이 된 것이다. 레지오 교본의 말씀들이 정말 100% 모두 맞는다.. 이것은 누구의 도우심인가?
¶ 아주 아주 오랜 만에 전호배 요셉형제와 KaTalk으로 통화를 했다. 나와 동갑 돼지띠 전 요셉 형제님, 작년 11월 쯤에 ‘갑자기’ 귀국을 했었다. 이곳에서 생활이 만족스럽지 않아서 그랬으리라는 짐작만 할 정도지만, 그래도 그가 황량 히 떠나버린 작년 12월은 찬바람만 부는 듯한 외로운 느낌을 주었다. 우리와 가까워진 지 일년도 채 안되었을 때 홀연히 떠난 것이다. 늦은 인생의 느낌을 말없이 공감할 수 있는 영혼을 만났다고 생각했었지만 그것은 조금 나에게 사치였는지.. 귀국한지 일년이 되는 지금에야 ‘무엇이 보인다’고 했다. 그 말이 확실히 무엇을 뜻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짐작은 할 수 있다.
편안히 안주해야 할 나이에 큰 변화는 사실 어렵거나 괴로울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상상도 못할 심리적, 혹은 육체적인 challenge가 왜 없겠는가? 그림이 잘 그려지지는 않지만 그래도 열심히 사는 모습이 느껴진다. 인근 성당(노원성당?)의 레지오에도 가입을 해서 활동을 시작했다고 했고, ‘조그만’ 직장도 잡아서 정상적인 생활을 하며 자매님은 양로원 같은 곳에서 일을 하신다고.. 정치적으로는 나와 잘 맞지는 않지만 그래도 곧은 지조와 믿음으로 만사를 해결하는 돼지띠 형제님, 모든 가족이 성탄, 새해를 잘 맞으시기 빕니다.
¶ ‘역사상’ 제일 ‘늦게’우리 집 mini 성탄 tree가 장식이 되었다. 그러니까 성탄 2일 전이다. 아이들이 이것에 대해 불만이 많은 듯 하지만, 그런 것에 개의치 않는다. 우리가 나가는 두 곳의 성당이 3일 전에 장식을 했으니까 우리는 ‘당당히’ 하루가 더 늦은 ‘쾌거’였다. 진정한 대림의 정신으로 잘 견디어낸 결과였고 ‘원칙’대로 1월 10일 이후에 치울 것이다. 어제부터 그렇게 보고 싶었던 작년의 movie collection을 하나씩 보기 시작했다. 제일 먼저 보고 싶었던 것이 The Christmas Box란 1995년 family classic. 여기 출연을 하는 Maureen O’Hara가 올해 타계를 했기에 더 이것을 보고 싶었다. 이 영화는 ‘진정한 성탄의 의미’를 지루하지만 차근차근하고 자상하게 보여준다. Family의 의미를 그렇게나 강조했던 1995년은 지금 생각하며 ‘고전적’인 시대였을지도 모른다. Transgender, LGBT, SS “Marriage’가 new normal이 되어가는 참 해괴한 세상이 도래한 이 시점에서 무엇을 더 언급하랴? 그래서 Advent의 희망이 더 무게를 더하는 (최소한 나에게는) 그런 2015년 성탄이 내일로 다가왔다. 우리 가족들과 함께 집에서 식사하는 것이 고작이지만 그래도 Christmas vigil Mass에 모두 간다는 사실이 거의 기적같이 느껴진다. 우리 아이들이 한마디로 C&E2 Christian3이 된 사실, 역사적인 irony에 속한다. 이것이 나의 personal Advent에 속하는 것이다.
Lights along the stairway to heaven
Australia-born American Catholic Author, Commentator, businessman, Author of ‘The Four Signs of A Dynamic Catholic‘ ↩
깡패.. 흠.. 참 더럽고 싫은 말 중에 하나다. 귀여운 깡패도 없는 것은 아니겠지만 나에게는 99.99999% ‘증오의 대상’ 중에 하나다. 이 말이 주는 ‘더러운’ 느낌은 내가 어렸을 때부터 있었고 요새도 있는 것으로 보아서 참 잘 만들어진 단어라는 생각이 든다. 그 어원은 무엇일까? 깡+패.. 그러니까 ‘깡, 오기’를 부리는 ‘패, 거리’ 정도 아니었을까? 소리지르고 깡만 부리면 통한다고 생각하는 불쌍한 쓰레기들인가.. 상관없다. 싫고 증오스러운 것은 변함이 없으니까.
나의 blog에서 ‘회고록 류’ 그러니까 memoir 는 가장 쓰기 힘든 것이지만, 그만큼 쓰는 보람은 그에 비례해서 제일 크다고 할 수 있다. 문제는 그 회고가 즐거운 것인가, 괴로운 것인가.. 에 따라서 일어나는 감정은 참 다르다. 그러니까 즐거운 추억이나 개인 역사를 더 잊기 전에 더 쓰고 남기고 싶었고, 나의 blog에서도 대부분 아련한, 즐거운, 포근한 그런 추억들을 주로 쓰곤 했다.
반대로 기억하기 괴로운 것들은 어쩔 것인가? 당연히 요리조리 피하며 생각조차 하고 싶지 않은 것인데,그 중에서 ‘깡패의 추억’은 가히 괴로운 것 중에 괴로운 것, 잊고 싶은 것이다. 어떤 ‘개인적 사건들’은 가끔 자다가도 벌떡 일어날 정도로 잊고 싶었던 것들인데 분명히 나의 잠재의식 깊은 곳에 버젓이 살아 있어서 그럴 것이다.
하지만, 하지만 나의 나이가 70에 육박하면서, 조만간 早晩間 에 나는 이것을 정리하여야 한다는 강박감은 항상 가지고 있었고, 이것은 사실 불편한 것이어서 성당에서 고해성사 告解聖事하는 기분으로 깡패의 추억들을 다 ‘정리 해고’하고 싶었던 것도 사실이었다. 이것, 숨어있는 ‘이글거리는’ 증오심도 나의 dark side의 일부가 되었다면 나는 이것을 가끔 하는 고해성사에 포함시켰어야 되었을 것이지만 그만한 값어치 조차도 나는 여기에 포함시키지 싫었다.
깡패, 깡패들.. 내가 말하는 깡패는 100% 소위 말하는 ‘조무래기, 피래미 급’으로 이들의 특징은 철저히 ‘약육강식’의 쓰레기 철학으로 무장하고 자신들의 불만과 욕구를 철저히 채우려는 한마디로 ‘불쌍한 쓰레기’급 인간들이다. 문제는 그들의 연령층인데.. 유감스럽게도 내가 말하는 인간들은 모두 미성년이거나 지독히 젊었던 깡패들이어서 이것은 지금은 조금 다시 생각을 하게 되었다. 어떠한 환경이 그들에게 선택의 여지가 없게 만들었을까 하는 사실이다. 그 ‘쓰레기’들이 과연 자기들이 하는 짓이 옳은 것인가.. 한번이라도 생각을 해 보고 한 것이었을까.. 집단심리에 의한 불우하거나 불행한 자기 환경의 산물이었을까.. 하는 것이다.
내가 자라던 6.25 이후의 역사적인 환경은 사실 어쩔 수 없는 깡패들을 무수히 배출하여야만 했던 암울하고 가난하고, 법 이전에 주먹이 훨씬 효과적이었던 그런 시절이긴 했다. 게다가 급수가 아주 높았던 ‘정치깡패’들이 판을 치던 그런 시절도 겪었다. 한마디로 ‘법치국가’란 것은 말 뿐이던 ‘폭력의 사회’ 가 생활의 일부가 되었던 6.25 전쟁 후의 대한민국 실정.. 나는 그런 ‘남자들의 험악한’ 환경에서 알맞게 적응을 못했던 것이었을까? 특히 가부장제가 굳건하였던 그 시절 아버지 없었던 집의 내성적인 남자아이가 사회적으로 겪었던 것은 남들보다 더 심각한 경험들이었다.
이번에 더 미루지 못하고 ‘깡패의 추억’을 논하게 된 마지막 계기는, 얼마 전 같은 성당구역의 교우형제의 이야기를 들었을 때였다. 그 형제님 왈 曰.. 자기가 “깡패였다”고 서슴지 않고, 당당하게 말하는 것이 아닌가? 조금도 주저함이나 부끄러움이 그 태도에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그는 나이 탓인지 예전에 보던 그런 ‘나쁜 깡패’의 인상을 풍기지도 않았다. 모두들 오래 전의 아련한 추억 정도로 무협영화를 보는 정도로 들은 듯 하였지만 나는 복잡한 생각 뿐이었고, 이렇게 ‘정리해고’를 더 미룰 수는 없다.. 는 생각을 굳힌 것이다. 옛날 옛적의 ‘나쁜 놈들’ 이들을 용서할 것인가, 죽을 때까지 증오할 것인가?
내가 반세기도 넘는 옛날 옛적 70년대 초 미국에 처음 왔을 때 느낀 것도 깡패에 관한 것이었다. 이 나라 이 땅에는 주변에 추악한 깡패들이 안 보였던 것이다! 최소한 나의 눈앞에 그 놈의 ‘쌍판’들이 보이지 않았다. 아하! 내가 살 곳은 바로 이곳이로구나.. 쾌재를 불렀고 그 이후에도 나의 주변에는 깡패가 단 한 명도 등장하지 않았다. 어떻게 된 것인가? 왜 이렇게 같은 지구 위에서 사는 곳이 다른가? 경제적인 요인이 제일 먼저 떠 오르고 다음은 사회, 문화적인 것 등이 있지만 결과는 모두 ‘종합판’일 것이다. 복합적인 것들..
미국에도 bully 정도의 ‘순한 깡패’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내가 경험했던 ‘한국판 bully’와는 game이 안될 정도다. 욕을 하는 정도가 하늘과 땅의 차이고, 폭력의 정도도 마찬가지다. 모든 ‘불운과 잘못’을 남에게 전가하며 남을 괴롭혔던 대한민국 조무라기 깡패들, 한마디로 ‘쓰레기 중의 쓰레기’였다. 내가 이들에게 괴롭힘을 당할 때 정말 무서웠던 사실은 ‘맞아서 아프고 수치심을 느끼고’ 하는 것 보다는 ‘꿈에라도 기관총으로 이들을 모조리..’ 하는 생각이 들 때였다. 상상이지만.. 이것이 상상에서 벗어나는 것도 상상을 했기 때문이었다.
이런 나의 괴로운 추억들도 나이가 들면서 다 수그러지고 조금씩은 ‘자비’의 심정으로 그 쓰레기들을 이해하려고 노력도 하게 되었다. 내가 그들의 입장이었으면 어땠을까.. 하는 ‘반전 scenario’도 생각할 정도였다. 하지만 마음 속 깊은 곳에서는 역시 ‘나는 절대로 그런 쓰레기가 될 수가 없다’.. 였다. 그 쓰레기들.. 환갑을 넘기고 칠순을 바라보는 나이에 자기들의 과거를 어떻게 회상을 하며 손주들에게 이야기를 해 줄까.. 재미있는 상상도 꼬리를 문다. ‘할아버지가 옛날에 깡패였고, 누구누구를 매일 패 주었다’ 고 자랑을 할까.. 아니면.. 조금이라도 자기에게 괴롭힘을 당한 애들에게 조금이라도 미안한 심정이 들었다면 괜찮은 노후를 맞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꿈 속에 ‘기관총으로 모조리..’ 라는 표현을 생각하며 나는 다시 한번 놀란다. 미국은 근래에 들어서 ‘깡패들에게 괴롭힘을 당한 아이’들이 실제로 ‘기관총 급의 무기’로 깡패들은 물론 옆에 있는 수많은 무고한 사람들을 쓸어버리는 mass shooting이 다반사로 일어나는데.. 나는 100% 그 ‘정신병자, 피해자’를 이해할 수 있다. 그들의 mindset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것들 모두 극단적인 case이지만.. 원인을 따져보면 ‘쓰레기급 깡패’에게 책임이 없는 것이 아니다.
이제는 정말로 나의 마음 속 깊이 수십 년간 눌려있었던 나쁜 추억, 잠재의식, 분노..등을 ‘정리해고’할 때가 왔다. 나를 괴롭혔던 ‘쓰레기’들.. 용서하고 싶고 그들도 진정한 회개를 하며 노후를 맞이하기 바라는 마음이다. 잊을 수는 없겠지만 그들을 용서하려는, 하는 나의 의지는 변함이 없다. 혼자의 힘으로 안 되면 ‘높은 곳’의 도움을 청하고 싶다.
¶ El Niño Christmas Holidays 한 마디로 ‘따뜻한 성탄절’을 말한다. 지나간 몇 년간 이곳 지역은 아주 추운 겨울을 경험했지만, 그런 weather system이 Northeast지방(I-95 corridors, New York, Boston)에서는 물러가는 모양으로 National news 에서는 온통 ‘따뜻한 겨울’이 뉴스거리가 되고 있다. 지난 5년간은 이 지역에서는 희귀한 white Christmas도 보았고 고드름과 폭설 같은 ‘북방’에서만 볼 수 있던 것도 보았던 세월이어서 사실 holiday의 기분을 마음껏 느낄 수는 있었다. Northeast 지방에서 그런 기후 pattern이 서서히 물러가는 모양으로, 이것이 ‘엘 니뇨‘ 현상이고 하는지 (따뜻한 태평양 수온), 앞으로 몇 년간은 그쪽 지방은 다시 비교적 조용하고 ‘따뜻한’ 성탄절이 되는가 보다. 우리가 사는 Southeast지방은 3개월 장기예보가 ‘wetter, cooler’ 라고 나와서 겨울이 가기 전에 눈(雪)같은 것을 기대해 볼만하지만 이번 성탄절을 즈음한 날씨는 ‘wet, very warm’이라고 예보가 되어서.. 미리 심리적으로 ‘white Christmas는 물 건너 갔다’ 라고 마음의 준비를 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Advent, advent.. waiting & waiting .. with 4 candles
¶ Advent spirits, 2015 나의 전통적인 12월은 한마디로 Charles Dickens 의 classic A Christmas Carol 에 나오는 Christmas Past 라고 할 것이다. 평소에도 “현재보다는 과거”를 더 많이 생각하면 사는 나에게 12월이 되면 어떨 때는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감상적 늪에 빠지기도 한다. 설상가상 雪上加霜으로 나이가 ‘고령 高齡’으로 접어들면서는 나이를 더 먹게 되는 년 말이 되면 더욱 축~ 쳐지고, 우울해지기도 하는 괴로운 시기가 되기도 했다. 내가 ‘비정상’인지는 확실치 않아도 분명히 ‘정상적’인 것 같지는 않아서, 나의 감정이나 느낌을 남에게 보이기도 싫었다. 한마디로.. 결국 12월은 심지어 즐겁지 않았던 season으로 변하고 있었다. 하지만.. 수년 전부터 ‘서서히, 천천히’ 나는 이런 ‘bad trap’ 에서 벗어나기 시작해서 올해는 현재까지 중에 ‘최고’의 spirit을 찾게 되었다. 그러니까.. Christmas present를 찾게 된 것이다. 거의 “기적”과 같은 이 변화는 어떻게 가능했을까.. 참 인생이란 오묘하기만 하다.
예전에 비해서 눈에 띄게 달라진 것 중에는: (1) Holiday decoration은 빨라도 12월 20일 이후에 하고, (2) Christmas carols, movies 같은 것도 그 이후에 즐기고.., (3) 가급적 holiday shopping같은 것을 피하고 정 필요하면 딱 하루 날을 잡아서 하고, (4) 진정한 성탄 holiday는 12월 25일에 시작이 되어, 다음 해 1월 5일 (12 Days of Christmas) 이후까지 지속된다. 작년에 이런 것들을 부분적으로 단행했는데, 결과적으로 너무나 뒤 느낌이 좋았다. 올해는 ‘모두’ 실천을 해 볼 계획으로 오늘까지 Christmas tree 장식 같은 것을 hold해 오고, carol이나 movie같은 것도 안 듣고, 안 보고 있다. 어떨까? 이것은 사실 ‘교회’에서 오랫동안 권장해 오고 있는 것들이지만.. 이제야 그 참 의도를 알 듯한 것이다.
과거에 성탄 전날까지 요란법석 시끌벅적 하다가 성탄 아침에 무섭게 선물을 나누어 뜯어 ‘버리고’, 거의 거짓말 같이 ‘모든 것’이 끝나던 정말 괴상한 풍습.. 어떻게 우리가 그렇게 보냈을까.. 성탄 씨즌이 성탄절부터 시작이라는 간단한 사실을 어떻게 그렇게 외면하며 살았는지. 좌우지간 이러한 것이 그런대로 진정한 ‘대림절의 정신’일 듯하다.
¶ 염경자 누나 바로 얼마 전에, 나의 2011년 blog post: ‘가회동의 추억‘에 누가 찾아와 댓 글 comment를 올려 놓았다. 알고 보니 그 ‘사연’은 정말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가 없었고 꽤 놀라기도 했다. California (LA area)에 사시는 나와 같은 재동국민학교 졸업, 6년 정도 후배, 송요한 씨가 그 주인공인데, 오래 전 가회동에 같이 살았기에 나의 글을 찾았고 본 듯하다. 게다가 레지오 단장을 역임한 같은 천주교 교우.. 그러니까 송요한 형제님, 얼마나 반가운 사실인가? 자세한 것은 모르지만 가회동 내가 살던 곳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을 곳에 사셨던 듯하지만 내가 더욱 놀란 것은 내가 살던 ‘주인’ 집의 ‘미인중의 미인‘, 막내 따님 염경자 누나를 알고 있었다는 사실이었다.
참, 인연도 묘한 것이.. 송형제의 wife와 염경자 누나가 같은 항공사 스튜어디스 출신이라고 하며 그것도 같은 지역에 사신다는 것이다. 그래도 그렇지.. 어떻게 그렇게 연관이 될 수가 있을까? 그러니까 희미하게 알고만 있던 ‘주인집’ 소식을 조금 더 자세히 들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의 어린 시절의 추억이 흠뻑 젖었던 그 당시의 한 가족들을 찾은 것이다. 이것으로 tiny blog의 ‘무서운 위력’을 다시 실감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세월은 흘렀지만 추억과 기억이 변할 수는 없을 것이고 그런 것을 나눌 수 있는 ‘인연의 사람’들을 다시 찾는 것은 오래 산 보람이라고 할 것이다.
며칠이나 되었나.. 거의 일주일 전쯤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정오 미사에 봉성체 준비 차 참례를 했을 때, 집전하신 한민 토마스 신부님, ‘어떤 연로하신 형제님이 돌아가셨다’는 짧은 comment를 하셨다.
처음에는 그저 또 하나의 ‘어르신의 타계, 선종’ 정도로 알았지만 그 다음날 Buford에 있는 서 베드로 형제 댁으로 그의 어머님을 위한 가족연도에 갔을 때 조금 더 확실한 실상을 알게 되었다. 거기 온 분들 모두 이 소식을 알고 있어서 들어보니.. 타계하신 형제님은 나도 알 정도의 낯익은 ‘키가 크신 분, 이 필립보 형제님’ 이었다.
미사 중에 ‘거양성체’를 할 때면 ‘항상’ 무언가 들리는 소리로 중얼거리셔서 사람들이 모를 수가 없을 터였고, 분심이 들 때도 있었다. 별로 오래 전이 아니었을 때 그분과 짧은 지나가는 대화를 한 기억도 있다. 나는 그 정도로만 알고 있었지만 사실은, 그 형제님에 대한 ‘소문’이 적지 않았다. 나이가 들면 힘든 ‘digestive gas’ 조절 문제도 그 중에 하나였고, 괴짜라는 것도 있었다. 하지만, 또한 성지순례로 다니시고, 레지오 단원도 하셨다는 것, 성실한 신자생활을 하셨다는 것도 어렴풋이 기억을 하게 되었다.
무엇보다 이번에 충격적인 사실은 혼자 사시는 senior apartment에서 아무도 모르게 운명을 하셨다는 사실이었다. 몇 달 전에 New York Times기사에 ‘경제대국’ 대한민국에 식구들로부터 ‘버려진 독거노인’에 대한 심각한 문제가 보도된 것을 읽고 놀랐지만, 그런 일이 성당 근처의 우리의 코앞에서 일어난 것이다. 이것이야 말로 ‘독거 사’가 아닌가?
문제는 역시 그 형제님의 ‘가족문제’에 있었는데, 이미 오래 전부터 ‘가족’이 없이 사신 것 같았다. 자세한 사연을 현재 알 수가 없지만, 대강 짐작을 할 수가 있지 않을까? 원만한 ‘정상적’인 가족관계를 유지하지 못하시고 사신 인생인지도 모른다는 생각과 추측.. 또한 오래 전에 San Francisco에 사실 때에는 그쪽 성당의 회장도 하셨다고 듣기도 했지만, 진짜 놀란 것은 이것이다. 그 형제님이 연세대 ‘대선배’라는 사실, 고등학교는 서울고 출신인 고등교육을 받으신 형제님 이었다는 사실이 다른 충격으로 다가온다.
솔직히 그런 ‘인텔리 인상’을 강하게 풍기지 않았기에 그랬는지도 모른다. ‘학벌’좋아하는 서울고 출신 C형, 그가 이런 사실을 모를 리가 없었고, 사실은 몇 달 전에 만난 적이 있었다고 했다. 심지어는 필립보 형제님, 연세대 시절 대학 농구 팀의 선수였다는 얘기도 있었고, 당시 유명했던 신동파 선수 와 함께 뛰었다는 등등.. 어느 것이 사실인지, 과장인지, 소문인지 알 길이 없었다.
이틀 전에 있었던 식구가 참석을 못한 성당연도에는 예상보다 사람들이 많이 왔는데 역시 서울고 동창들과는 잘 어울리셨는지.. 그쪽 ‘학벌 좋아하는 그룹’ 이 걸맞지 않는 성당연도를 함께 했지만 내가 아는 한 연세대 동창들의 조직적인 움직임은 전혀 없었다. 레지오의 이요셉 연세대 선배님께 물어보니.. 2년 정도 선배이시지만 동창회에서는 전혀 모르는 ‘동문’이라고 했다. 아마도 고등학교 동창들과는 조금 어울렸던 모양이지만, 그것이 전부였던 모양이었다.
열심한 신자였고 레지오까지 하신 경력으로 성당 연령회에서 모든 것을 도맡아서 연도와 장례미사를 준비하는 수고를 하는데, 장례미사는 가족들과의 연락문제로 내년 1월 5일에 있다고.. 하기야.. 그렇게 가족들과 연락 없이 사셨으니.. 장성하고 성공적인 자녀들이 있다고 하지만.. 아마도 그들이 연말 휴일이 겹쳐서 장례미사에 오는 일정에 문제가 있었지 않을까? 제 때에 장례식을 못하게 된 것이 누구 탓이겠는가 생각해 보지만 머리만 아파질 뿐이다.
이번 일로 본당 주임신부님, 일요일 미사가 끝나고, 주위에 사는 ‘독거 노인’들을 더 잘 보살피자고 부탁을 하셨다. 근래에 들어서 봉성체 관계로 독거까지는 아니더라도 꽤 많은 어르신들을 집으로 찾게 되었지만 대부분 가족들이 ‘대기하고, 보살피는’ 모습을 보았기에 이렇게 ‘완전히 혼자’ 계시는 분들이 당면한 문제를 실감하지 못했다. 나의 세대는 우리들 부모세대를 보았고 기억을 하기에, 삼대 가족들이 옹기종기 모여서 따뜻하게 어르신들을 보내드리는 그림을 상상하기도 하지만, 이런 것은 지금에는 누가 보아도 완전히 꿈이고 그림이다. 그래서 우리들은 그저 가족들에게 “필요이상의 폐’를 끼치지 않고 ‘조용히’ 사라지고 싶은 것이 제일 최상의 꿈이 되었다.
잠에서 깨끗이 깨고 보니 아직도 깜깜한 느낌, 멀찌감치 보이는 초록색의 LED clock radio를 눈을 찡그리며 ‘째려’ 보니 정확히 4:00가 희미하게 눈엘 들어온다. 그러니까 새벽 4시인 것이다. 순간적으로 뒤척이며 ‘더 자자..’ 하고 돌아누웠지만 다시 돌아누워 앉아 버렸다. 연숙은 새벽잠에 깊이 빠진 듯.. 움찔하지도 않는다. 이것도 조그만 tiny chain of decision time.. 그러다 깜깜하고 넓게 느껴지는 bedroom을 가로질러서 복도로 나왔다. 완전한 암흑의 싸늘한 공기가 나를 덮친다.
그제 서 베드로 형제 어머님 가족연도에 갔을 때, 그곳에 온 자매님, 별로 ‘연로’한 나이가 아니건만 ‘나이가 드니까 새벽에 일찍 깬다’는 comment가 생각이 난다. 밤에 쉽게 잠에서 깨는 경험은 많이 했어도 완전히 깨어나지 않고 정해진 시간에 일어나는 나에게도 서서히 그런 ‘연로 현상’이 덮치는 것인가.. 조금은 우울해진다. 생물학적인 나이는 ‘절대로’ 피할 수 없는 것인가?
그래도 ‘절대 새벽’의 느낌은 신선하고 새로운 세상을 느끼게 하는 가장 싼 경험이다. 물론 매일 이것을 느끼면 금새 시들해지겠지만, 가끔 이렇게 겪는 ‘연로 새벽’은 새롭고 젊은 느낌을 준다. 여기에.. 우~~ coffee, coffee.. ‘기가 막히는’ 향기의 freshly grounded coffee라도 곁들이면 이 새벽의 두어 시간 정도는 완전히 나의 세상이 된다. ‘적당한’ coffee drinking이 ‘급사’를 방지한다는 ‘의학보고’를 상기하며, 각종 상상력이 활보를 하고 비상 飛上을 하는 완전한 나의 세계, my domain.. 그래서 또 다른 하루가 아닌 특별한 하루를 시작하게 해 준 ‘연로성 불면증’에 감사하며 하루를 맞는다.
¶ 어제는 ‘아픈 나의 몸’ 때문에 한 주일을 걸렀던 ‘금요일 봉성체 동행’ 봉사자로 연숙과 순교자 성당엘 갔다. 젊은 엄마 환자, 허 자매님의 봉성체가 이제는 고정적으로 금요일로 정해지면서 우리에게 금요일 정오 평일미사를 순교자 성당에서 참례하게 된 것은 무슨 큰 의미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조금은 이곳에서, ‘한국식 가톨릭 문화’ 에 가까워짐은 느낀다.
몇 주전부터 시작된 ‘교우 환자 허 자매님 돌보기’는, 주말을 빼고 거의 매일 (4일) 돕기 위한 작은 helper team이 순교자 성당 소속 레지오 단장들을 중심으로 ‘급조’가 되어서 현재까지 큰 차질 없이 진행 되어오고 있는데, 이것은 본당주임 이재욱 신부님께서 허 자매님을 집으로 방문하신 후에 즉각, 직접 레지오에 봉사 활동을 부탁하신 결과였다. 이 과정을 바로 옆에서 직접 목격한 나는 이신부님의 ‘사목 스타일’을 한눈으로 볼 수가 있었는데, 진정한 가톨릭 목자의 온유함과 측은지심을 느낄 수가 있었다.
허 자매님, 비록 식구들의 따뜻한 보살핌을 받고 있다고 하지만 문제는 낮 시간에 집이 비어있는 때가 많아서 식사나 거동에 큰 불편을 겪고 있었고 심리적으로도 외로움을 느끼고 있어서 이렇게 봉사자들이 필요한 것으로 현재까지 봉사자 ‘자매’님들 열심히 성심껏 활동을 하고 있고 봉사 후에는 Kakao ‘group’ Talk으로 간단한 보고를 곁들인 소감을 나눈다. 한결같이, 이구동성으로 모두들 봉사를 한 것에 비해서 무언가 얻고 느낀 것이 더 크다고 입을 모은다. 어떨까.. 이럴 때 ‘기동성과 조직력, 동원력’을 골고루 갖춘 레지오의 조직과 특성이 가장 빛날 때라는 것을 느끼게 되어서 외로울 수 있는 연말연시에 따뜻하고 훈훈한 느낌을 주고 있다.
¶ 십이십이, 1979년 12월 12일, 36년 전.. 바보처럼 손가락으로 햇수를 한참 세고 나니 바로 36년 전이라는 해답이 나온다. 이제는 사실 30년 정도는 긴~ 세월의 축에 끼지도 않을 정도로 ‘진짜 긴 세월’에 익숙해 졌다. 아.. 이것이 바로 ‘나이 듬’에서 나오는 공짜로 받는 지혜요 고집인가보다.
사실 35년 전이라고 생각되는 작년 12월 12일 나의 blog post가 빠져 버린 것을 기억한다. 이날을 유난히도 추억의 명단에 넣고 싶은 나의 희망이 작년에는 무언가 바쁘게 느껴졌던 당시의 상황은 그런대로 기억을 하지만 글로 남기지 않았던 것이 일년 내내 후회가 되기도 해서, 이번에는 작심을 하고 몇 자라도 남기려 하고 있다.
이날을 기억하고 싶은 이유는 몇 년 전 나의 blog post에서 밝혔듯이 현재 우리 가족이 있게 해준 결혼이 결정될 무렵이었기 때문이었다.
사진같이 선명했던 꿈같은 당시의 느낌과 광경들이 실로 세월의 횡포에 서서히 물러나가는 듯.. 희미해짐을 실감하고 나는 슬픈 심정을 누를 수는 없지만 이것이 순리요 자연의 법칙 임도 알기에 겸허하게 받아들인다. 총각이던 그 시절 나의 mindset은 어떠한 것이었을까, 자유스러운 것일까, 불안한 것이었을까?
평생 ‘대통령’으로 머리 속에 남아있는 ‘박정희 대통령’이 사라진 그 당시, 솔직히 일생일대의 대사였던 ‘결혼’, 나의 미래인생을 설계하던 그 당시에 ‘대통령 유고’, ‘전두환 등장’ 등은 나에게 아무래도 첫 관심사는 아니었다. 서른 살이 넘었어도 지금 생각하면 나는 그 정도로 유치했나? 나라의 미래보다는 나의 미래에 더 관심을 쏟던 그 시절이었다.
그 와중에 ‘정치적인 이유’로 12월 12일은 후세에 역사로 남았지만 나는 당시에 거의 전혀 무슨 일이 그날 일어났는지 관심 밖이었다. 전두환이란 이름도 생소했지만 외신에 의해서 그가 현재 정치적으로도 제 1 강자로 부각하고 있다고는 들었다. 하기야 서울을 장악한 수경사란 것이 그의 것이었으니 이해하기에 어렵지는 않았다.
그날, 나와 결혼을 약속한 연숙은 그녀의 이화여대 지도교수(박사과정) 김숙희교수를 김포공항으로 보러 갔었다. 김교수는 현재는 유명인이 된 도올 김용옥의 누님이었고 독신으로 이대 총장을 바라볼 정도로 실력자이기도 했는데 그 당시 그녀는 미국의 어떤 대학으로 ‘출장’을 출국을 하던 참이었는데.. 나는 그녀에게 끌려 ‘인사를 하러’ 나가게 된 것이었다. 마음이 크게 내키지는 않았지만 결혼식 전에 다시 못 볼 것이라 인사를 하여야만 하게 된 처지가 되었던 것이다.
그날, 기억이.. 참 매서운 겨울바람이 몰아치던 김포공항 가는 길.. 우리는 한참을 걷게 되었는데 그날 내가 처음으로 그녀의 손을 잡은 것이 우리에게 ‘추억의 12.12’로 만든 계기가 되었다. 장갑을 끼지 않은 손을 잡았으니 사실 그것은 고역이었을 테지만 젊음은 좋은 것이었나 보다. 따뜻한 체온이 전해옴을 느낀 것이 기억의 전부였다.
우리는 ‘큰 사고’없이 김포공항으로부터 한강교를 넘어서 집에 왔지만 그 이후부터 한강의 모든 다리들이 차단이 되었다. 전두환 대통령시해 조사본부장 전두환의 휘하 계엄군 부대들이 한남동 육본 총장공관으로 출동, 정승화 총장을 체포하는 과정에서 무력충돌이 일어났고, 이것이 전두환 혁명의 최초의 시발점이 되어서, 전두환은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고 말았고, 이후는 모두 역사가 되었다.
아~~ 세월이여.. 1979년 12월 즈음의 나의 주변과 세상은 과연 어떤 것들이었을까? 어떤 냄새를 가지고 있었던 세상이었을까? 간신히 나의 인생 반려자의 얼굴과 체취를 익히기 시작하던 꿈같은 시절.. 민족중흥 박정희 대통령의 서거, 전두환의 등장, 지미 카터가 이란 인질사태로 악전고투를 하던 시절, 미국 소련의 냉전, ideology 에 의한 세계질서, 공산당이 제일 무섭던 시절.. 참~~ 세상 많이도 변했구나. 그 동안 우리의 새 생명들이 어느덧 30살을 넘게 되고, 우리들은 ‘완전한 고아’가 된 기나긴 세월이었다. 멋지고 희망이 있던 시절들이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불안하고 외로움에 시달리던 시절들이기도 했다. 이제는 그런 외로움과 불안감은 거의 사라졌다. 세월이 준 선물인지도 모른다.
한강교가 ‘끊어진’ 12월 12일 밤, 통행금지가 있었던 시절
전두환 계엄군이 정승화 총장 공관에서 충돌하던 12월 12일, 1979년
나를 순간적으로 그 당시로 돌아가게 해 주는 classic oldies
Somewhere in the Night – Barry Manilow
Love is the Answer – England Dan & John Ford Coley
¶ Come to me… and I will give you rest (Matthew 11:28):오늘의 성서 말씀, 그러니까 Today’s Readings 중 복음말씀, 마태오 복음 11장 28절은 이렇게 시작이 된다. “고생하며 무거운 짐을 진 너희는 모두 나에게 오너라.” 나머지 부분은 “내가 너희에게 안식을 주겠다.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내 멍에를 메고 나에게 배워라. 그러면 너희가 안식을 얻을 것이다. 정녕 내 멍에는 편하고 내 짐은 가볍다.”
귀에 많이 익은 구절이라 사실 새삼스러운 것 같지 않지만, 그래도 스치는 느낌은: “산 중 폭풍우 속에서 보이는 먼 곳 가물거리는 불빛이 흘러나오는 오두막집, 그곳으로 비틀거리고, 쓰러지며 들어가 푹신푹신한 이부자리에 쓰러지듯 누웠을 때”.. 오랜 세월을 살면서, 참 어떨 때는 삶, 인생이란 것이 이렇게 힘든가.. 묻고 물을 때, 게다가 편히 기댈 곳이 없을 때.. 친구가 하나도 없다는 자괴감에서 그 구세주란 것을 믿을 수 있었고, 그에게 기댈 수만 있었다면.. 하지만 나는 불행히도 그렇게 예수님을 믿으며 나의 모든 것을 기댄 적이 없는 것 같다. 이제는 조금 가능할 것 같지만. 하느님은 사랑의 자체이고 성삼위 성자께서 그것을 우리들에게 나누어 주시고자 한다는 비교적 간단한 교리, 진리를 전에 가슴으로 믿을 수만 있었다면.. 그랬었다면 나의 인생은 조금은 더 밝은 쪽으로 방향을 잡을 수 있었지 않았을까?
¶ retarded Trump, Americans:요사이 미국이 돌아가는 꼴을 보면 실로 가관중의 가관이다. 오~랜 세월을 이 common sense의 나라에 살면서 이런 해괴한 ‘정치적’ 현상들은 못 본 듯 싶은데.. 어떻게 이런 ‘속물중의 속물, 정박아, 양아치’ Trump란 ‘쓰레기’가 대통령을 하겠다고 나섰을까? 졸부중의 졸부, 부동산 투기의 귀재인 것은 인정하지만 그것 빼고는 그야말로 ‘양아치, 정박아’에도 미치지 못하는 그의 ‘원시적’ 생각은 그야말로 ‘쓰레기’ 수준이다. 하지만 내가 요사이 이 인간을 쫓아 다니는 news media를 피하는 이유는 이런 쓰레기를 쫓아다니며 바보, 천치 같은 얼굴로 환호하는 지지자들, 이들은 그야말로 미국인 유권자의 최저 중에 최저에 속하는 집단들이다. 대부분 white trash급에 속하는 불쌍한 인간군상들이다. 잘못하면 내년 봄까지 이 쓰레기들에 대한 것들을 듣고, 보고 할 생각을 하면 아찔해진다. 시간이 약이고 세월이 모든 것들을 correct 할 것이라 생각은 하지만 어쩌다 미국이 이 지경까지 추락하고 있는지.. 최악의 악몽중의 악몽은 이 쓰레기가 대통령이 되어서 ‘고함을 지르며, 악을 쓰며’ nuclear button을 누르는 모습이다. 그야말로 ‘성모님의 전구’가 진짜로 필요한 때가 온 것인가? 어머니, 제발 이 쓰레기가 나의 눈에 보이지 않게 해 주세요.. 부탁합니다, onegaishimas!
¶ Windows 10‘s coming… suddenly: 지난 달부터 나는 corporate life 이후의 나의 좌우명 ‘Never Apple, Never Microsoft‘란 철학으로부터 조금씩 외도를 시도하고 있었다. 나에게 그들은 two evils에 속했고 누가 lesser evil인가 하는 것은 시간에 따라서 뒤 바뀌기도 했다. 현재 나에게 lesser evil은 바로 Microsoft인 셈이다. 이들이 evil까지 된 것은 나의 신경을 건드리는 일들이 있었고 Apple의 경우에는 egomaniac Steve Jobs가 바로 그 이유고, Microsoft의 경우에는 당시 그렇게 엄청난 $$$를 가지고 마지막까지 1 cent라도 더 짜내려고 발상한 Activation이란 것이었다. 그런 nonsensical ‘사건’들 이후 나는 두 번 다시 뒤를 보지 않고 그들에게서 완전히 떠났다. Open Source 쪽이 나를 구해준 것이다. 하지만, Duopoly인 이 세상에서 그들을 100% 떠난다는 것은 불가능하기에 나의 결심은 “절대로 나의 $$$이 그들에게 가는 것만은 피하겠다는 것”으로 고착이 되어서 현재까지 흘러왔다.
다행히 세상이 desktop에서 mobile쪽으로 변하고 있지만 나에게는 아직도 desktop OS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중요한 생활의 일부이기에 조금씩 신경을 쓰다가 얼마 전에 우리에게 적합한 해결 방법을 찾게 되었다. Refurbished hp business pc, 그것도 OEM Windows 7이 들어있는 것, $70로 ‘실험용’으로 구입을 해서 샅샅이 test를 해 보니.. 이것이 ‘대박’이었다. 결과적으로 말해서 최신판 Windows 10으로 가는 ‘가장 싼’ 길이 바로 이것이었다. 최소한 나의 $$이 Windows 10으로 직접 쓰여진 것이 아니므로, 나의 자존심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었다.
현재까지 내가 만들어 쓰던 PC들과 다른 것은 물론 내가 마음대로 바꾸거나 고치는 것에 제한이 많지만 대신 이 ‘box’들은 정말 tank처럼 단단히 만들어짐을 알기에 큰 걱정이 필요 없었다. 나의 예상이 이 2 hp ‘box’들.. Windows 10으로 앞으로 수년간은 걱정 없이 우리들의 mainstream desktop 구실을 할 듯하다.
마지막으로 쓰던 Windows Vista에서 Windows 10의 변화는 참 신선한 것이어서 현재까지 나의 평가는 아주 호의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앞으로 나의 main desktop은 물론 Open Source, 그러니까 Linux임에는 변함이 없지만 side-by-side로 이 Windows 10로 ‘주류 세상’의 맛도 볼 것이다.
¶ 최인호의 신년 스페셜, 다큐로망: 장보고 이것이 나온 지 거의 15년이 되어가나.. 고국의 KBS 걸작 program이었던 ‘역사 스페셜‘ series, 다시 보게 되었다. 이번 Thanksgiving Holiday이후 일 주일 동안 앓아 누워지내며 ‘우연히’ home server에 있는 이것 중에서 예전에 안 보았던 ‘최인호 스페셜’을 보게 된 것이다. 왜 그 당시에 이것을 안 보았는지 기억은 안 나지만.. 아마도 당시에 내가 최인호에 대한 선입견이 안 좋아서 그랬을지도 모른다는 미안한 생각도 든다. 우리세대, 우리시대를 풍미하며 인기를 구가하던 그..얼마 전에 암으로 타계를 했다고 했을 때도 나는 그렇게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나와 비슷한 나이란 것, 연세대 동문이라는 사실을 빼고는 나와 공통점이 거의 없는 그였다. 나보다 2살 정도 위였지만 연세대는 나보다 조금 늦게 입학한 것을 보면 아마도 재수를 하였던 모양이다. 연숙은 그의 책을 잘도 보았지만 나는 그렇지 않았다. 1970대의 그를 기억하기에 그 시대의 유행을 잘도 타던 그가 나의 radar에서는 전혀 보이지 않았고 오랫동안 그렇게 살았다.
가톨릭으로 언제 개종을 했는지는 몰라도.. 주위에서 그가 아주 경건한 신앙인이 되었다는 얘기를 들었을 때는 조금 반갑기도 했지만 그런 것도 잠깐.. 어떻게 그렇게 건장한 나이에 암으로 타계를 해야만 했는지.. 아쉽고 아까운 기분, 우리 세대의 celebrity였던 그가 그렇게 ‘일찍’ 가는 것을 보며 우리들의 mortality도 생각 안 할 수 없었다.
이 ‘신년 스페셜, 다큐로망 장보고‘라는 5부작 video를 보면서 ‘처음으로’ 그의 모습과 인상을 자세히 ‘가까이’ 보게 되었다. 우리 세대라는 느낌이 우선 ‘확~’ 들어왔고, 다음은 ‘우와~ 멋진 사람이다’ 라는 탄성이 나왔다. 물론 celebrity의 후광이 있을지는 몰라도 그것과는 다른 ‘지식인, 신앙인’의 냄새가 확~ 느껴지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비록 ‘역사 스페셜’의 일부였지만 사실은 역사적인 접근보다는 ‘문학적인 접근’에 더 가까워서 그렇게 느낌이 신선했는지 모른다. 게다가 그가 ‘추적 취재’를 하며 보여주는 일본과 중국에서의 행적들은 내가 정말로 부러워하는 모습들이었다. 예를 들면 일본 취재를 하면서 산중의 고요한 온천 여관의 방에 앉아서 ‘향기 짙은 coffee’를 마시는 모습이 나는 그렇게 부러울 수가 없었다. 아하.. ‘인기’ 문학인들은 저런 멋에 사는구나. 처음으로 나도 ‘저런 멋진 문학인’이 되었다면 어떨까.. 하는 해괴한 상상도 서슴지 않았던 것이다.
이래저래.. 이 프로그램을 보면서 장보고와 9세기 무렵 활발했던 통일신라시대를 실감나게 공부했지만 그것 보다는 최인호란 ‘멋진 사람’을 왜 그렇게 일찍 데려가셨을까.. 하는 아쉬움이 나의 머리를 더 휩싸곤 했다. 지금 살아있었으면 얼마나 정열적으로 가톨릭 신앙을 전하기도 할 것이고, 숨어있는 역사를 문학적인 신선한 접근으로 우리들에게 전해 주지 않았을까? 아쉽다.. 아쉽기만 하다. 앞으로 (가능한 그날까지) 나는 이 작가의 글을 ‘체계적’으로 읽으며 우리가 살아온 세대를 ‘최인호가 본 눈’으로 기억하고 찾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다.
이 cute한 사진을 보고 안 웃을 수 있을까? 자유롭고 ‘유치’한 어린아이의 큰 웃음과 파안대소 교황님 프란체스코의 만남.. CNN의 제목은 ‘우울한 암울한 뉴스’에 치어 죽을만한 이 시기에 이런 웃음은 우리에게 어떤 선물일까? 희망은 있다.. 대림절의 뜻과 부합하는 희망이 솟구친다.
¶ 오늘은 기가 막히게도 청명하고 높은 하늘아래 10여일 만에 처음으로 regular normal routine을 따른 하루가 시작되었다. 심지어 생소하게까지 느껴지는 Holy Family 성당, 하지만 모든 것은 ‘그대로’ 우리를 기다리고 반겨주었다. 정말 ‘고향’같은 느낌까지 받았고 그렇게 하루의 평화는 주어졌다. 역시 그 동안 못 보았던 다른 프란체스코, ‘고려대 출신’ 김 프란체스코 형제, 역시 충실히 서울에서 방문오신 장모님을 모시고 미사 참례를 하고 우리와 만나게 되었다. 예상대로 형제님의 wife자매님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는데.. 아직도 여독과 시차가 있으리라 benefit of doubt을 생각하기도 하지만 아마도 미사란 것이 생소해서 그럴지도 모른다는 다른 생각도 든다.
별로 말이 없으신 장모님에게 거리감을 줄이려 대화를 하려고 성당 hospitality room으로 coffee 를 마시러 갔지만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오늘 따라 funeral이 있어서 쓸 수가 없었다. 할 수없이 우리가 잘 가던 Roswell road at Canton road에 있는 McDonald로 가 breakfast #2 로 짧지 않은 즐거운 대화를 하게 되었다. 그러니까 이렇게 모인 것은 아마도 처음이었겠지만 그래도 무슨 오랜 친지를 만난 듯 거리감 없이 대화를 하는 월요일 아침이 되었다. Regular routine 중에는 YMCA workout이 있는데 아마도 그것은 며칠 뒤에나 시작이 될 듯하다. 그래서.. 명언.. ‘이 모든 것 다 지나가리라..’ 세월은 흐른다.
대림2주일로 들어서는 아침이 밝아온다. 나의 올해, 2015년 대림주간은 내가 기억하는 한, 처음으로 ‘별로 묵상도 못하고’ 지낸 첫 대림주가 될듯하다. 아니 다른 곳에 정신이 ‘팔려서’ 그럴 것이고, 그 다른 것이란 ‘육체적 고통’이다. 사순절이라면 고통을 느끼고 묵상하는 것이 큰 의미가 있겠지만, 희망과 기다림이 주제인 대림절에서 말초적인 고통 감은 별로 달갑지 않았지만.. 별도리가 없었다. Thanksgiving Holiday를 비교적 무절제하게 ‘외도’했기에 당한 self-inflicted damage라고 순순히 받아들이는 수 밖에 없다. 하지만 그래도 앞으로 3개의 초가 남아있다. 희망은 있고 다시 겸손, 절제하는 생활로 들어가면 되는 것이다.
각종 ‘해괴한’ 것들이 news media에 흘러 넘치는 이 세상.. 어떨까? 암만 생각해도 유일한 희망과 해답은 ‘절대적 선(善)’이신 하느님, 구세주에게서 나오는 것이 아닐까? 맞다.. 모든 근초적인 악의 원인은 사랑의 부재에서 오는 것이고 사랑의 원천은 하느님이라고 보면 해답은 비교적 간단한 것이 아닐까?
¶ 레지오 연차 총 친목회 2015
참.. 세월도 빠르지.. 작년 ‘연총: 레지오 연차 총 친목회’의 기억이 어제같이 생생한데 어떻게 벌써 올해 또 이렇게 같은 곳에 모두 모였던가? 작년 것이 생생하다는 것은 글자 그대로 생생하게 몸으로 우러나오는 것을 말한다. 작년에는 우리들과 나이가 비슷한 ‘평화의 모후’와 같이 합작해서 karaoke style로 오승근의 ‘내 나이가 어때서’ 를 신나게 불렀었다. 그때에 연세대 선배님과 가까이 알게 되는 친목회의 목적이 달성되었다. 친목회의 목적은 지난 일년 동안 잘 모르고 지내던 단원들과 친교를 이루는 것으로 ‘레지오 교본’에 명시가 되어 있기도 하다.
올해는 ‘갑자기’ 늘어난 단원 수에 힘을 입어서 대담하게 새로운 것을 시도하였다. 연숙에 오래 전에 관여 되었던 ‘탈춤’을 ‘흉내’ 내 보기로 한 것이다. 예전부터 나는 그녀로부터 이 탈춤에 대한 추억의 얘기를 많이 들었기에 자연스럽게 받아들였지만.. 글쎄.. 가까이서 본 적도 없는 나로서는 ‘힘들 것이다’라는 우려를 하고 연습을 하면서 신도 별로 나지 않았다. 사실.. 나는.. ‘몸을 움직이는 예술’은 딱 질색이라서 그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기도 했다.
그래도 ‘순명’을 제일 덕목으로 삼고 있는 ‘성모님의 군단’의 ‘장교’로서 단체행동을 피해갈 수는 없는 것이고.. 빠지지 않고 연습을 했지만 결국은 마지막 단계에서 허리통증과 부차적인 고통으로 ‘공연’은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오늘의 ‘연총’ 은 작년 때와 거의 완전히 같은 format으로 진행이 되었지만 그래도 눈에 띄게 ‘발전’한 것이 있었다. 교본의 정신을 따라서 ‘사치스럽고, 게걸스러운 음식’들이 자제되었고, 각종 ‘경품’ 같은 것도 사라졌다. 그러니까 performing group에 거의 모든 focus가 맞추어져서.. 어떨까.. 이것이 이상적인 연총의 모습이 아니었을까?
나는 비록 탈춤공연에 참가는 못 했어도 오늘 하루 온전히 이 연례행사에 참가를 해서 오랜만에 ‘방관자’의 여유로 장기자랑(공연)과 행사의 진행을 만끽하였기에 예년과 다른 색다른 각도로 보고, 생각하는 뜻 깊은 기억을 만들었다.
¶ 은근히 그 동안 기다려 오던 2015년의 대림절이 시작되기도 전부터 나는 꼼짝없이 집안에 갇히는 신세가 되었다. 그러니까.. totally grounded가 된 것이다. 나의 기억 속에 이런 중요한 season에 이런 적은 한번도 없지 않았을까 생각이 되는데.. 속으로 생각하기에 그야말로 what a lousy timing! 인가 되뇌기만 하고 현재도 계속하고 있다. 왜 하필 이런 중요한 시기에.. 살아서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는 신세가 되었는가?
조금은 비 전통적인 Thanksgiving holiday를 보냈던 올해, 가족보다는 친지와 어울린 것에 대한 ‘보복’인가? 지금 생각해보니 그것은 무언가 주객이 전도된 느낌을 떨칠 수가 없다. Thanksgiving 이 무엇인가.. 가족들과 감사를 드리는 조용한 때인가 친지들과 어울려 부어라 마셔라 고성방가를 하는 시절인가? 완전히 무언가 잘 못된 것이었다. 그것이 시발이었는지.. 그 다음날 나는 ‘허리를 다쳐서’ 드러눕는 불쌍한 신세가 된 것이 그저 우연만은 아니라는 생각을 떨칠 수가 없는 것이다.
나의 등, 허리 문제는 보통 사람들도 가끔 당하는 조그만 사고일 수도 있지만.. 문제는 나의 ‘젊지 않은’ 나이와 그것과 겹쳐서 발생하는 다른 ‘이상한’ 고통들이 amplified가 되어서 무섭게 괴롭히는 시간의 시작된 것.. Bible 속 Job의 고통이 생각날 정도로 이 시간들 괴롭기만 하다. 오랜 동안 ‘몸에 익었던’ 친근한 daily routines들이 100% 정지가 되고, 중요한 Advent Sunday Mass는 물론 레지오 주회합 결석까지.. 서기로서의 간부기능도 빼먹게 되었고, 이제는 금요일 봉성체 동행도 포기할 지경이 되었다. 아니.. 이번 일요일의 레지오 연차 총친목회에 참석하는 것도 확신을 할 수가 없게 되었다.
작년 2014년 봄에 지독한 몸살독감으로 며칠을 누웠던 기억이 생생하다. 그때에도 밖으로 나갈 수가 없었고 레지오 주회합도 못 갔었던 나에게는 ‘대형 사고’였던 때였다. 그때에 느낀 것이 참으로 많았었다. 별로 육체적으로 고통을 모르고 살았던 나에게 처음으로 ‘아픈 사람들의 고통’을 생생하게 느낀 것이다. 몸이 아픈 누구를 보거나 들으면 그저 ‘상상’만 할 정도였고 그 고통에 동참을 할 수가 없었다. 그저 나의 표정과 말에 더 신경을 써서 위로할 정도였다. 그것이 그때에 확실한 교훈을 받았고 그 이후에는 많은 노력과 발전이 있었다.
이번의 경우에는 집 밖으로 ‘자유자재’로 나갈 수 없는 교우들을 생각하게 되었다. 그러니까 ‘거동이 불편’한 형제자매들을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얼마나 불편할까? 얼마나 나가고 싶을까? 얼마나 사람들과 만나고 싶을까? 그런 것을 일깨워주기 위해서 이런 고통을 받는다고 까지는 생각하지 않지만 timing이 전혀 우연만은 아닌 듯 해서 조금 더 묵상할 수 있는 시간을 얻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도 자유롭게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있는 사실만은 나를 지독히 우울하게 한다.
¶ “공산당이 그립다..” 허~~ 이게 웬 망언인가? 근래에 들어서 이렇게 가끔씩 ‘공산당 향수’란 것이 머리에서 왔다 갔다 함을 느끼고 나도 깜짝 놀란다. 이것은 사실 사연을 알고 보면 해괴할 것까지 없다. 근래에 뉴스를 보면 ‘악 중의 최고 악’도 세대의 변천에 따라 변하며 현재의 ‘최악’까지 온 듯하다. 현재의 최악은 물론 ‘모슬렘을 자처하는 미친 로보트’ 들이다. 솔직히 이들 존재는 내가 보기에 이미 ‘인간이기를 거부한, 악의 씨로 프로그램이 된 로보트 집단’으로 밖에 안 보이는 것이다. 이 ‘물건’들은 사실 그러니까 생각 깊이 할 필요도 없이 destroy되어야 하는 ‘물건’들인 것이다.
이 불쌍한 xx들은 이 세상이 싫어서 죽으려면 자기네들만 죽지 힘들게 남들과 함께 죽으려는 것인지.. 이런 물건들이 어떻게 세상에 출현하게 되었는지.. 종교를 탓하지 말고 그것을 교묘하게 이용하는 인간을 탓해야 할 것인지.. 그래서 생각하는 것이.. “그래도 ‘인간 집단’과 싸우던 공산당 시절이 그리운” 것이다. 그 공산당 집단도 극단적인 case에는 거의 로보트에 가까운 것들이었지만 최소한 자기와 가족들의 목숨은 아끼던 인간들이었기에 지금의 사태에 비하면 그들과 싸우던 그 시절이 조금은 그리운 것이다.
이런 ‘악에 대한 향수’ 중에는 어린 시절의 공포의 대상, ‘소련, 중공, 북괴, 일본 공산당’ 등이 떠오르는데.. 당시에는 정말 무서운 대상들이었지만.. 지금 생각하니 최소한의 ‘전쟁법’은 지키던 집단들이었다. 그런데 요새 일어나 기가 막힌 사태들의 주범들은 도대체 우주의 어디에서 도래한 종자들인가?
Thanksgiving Holiday 2015, 올해에 나는 우리는 어떻게 누구에게 giving thanks를 해야 할 것인가? 연일 뼈가 시려오게 내리는 가랑비의 하늘은 다시 ‘기가 막히게’ 멋진 낙엽을 바라보는 드높은 가을 하늘로 변했다. 지금 seasonal holiday의 상징인 pumpkin color로 온통 주변이 덮인 이곳에서 조용히 생각한다. 올해는 어떤 감사를 어떻게 드려야 하나..
상투적인 관례로.. 가족 친지들이 모두 건강했던 것.. 물론 제일 먼저 감사를 드려야 하지만 그것들 이외에도 생각보다 많은 것들이 있음을 안다. 아하… 구체적으로 밝힐 수 없는 어떤 ‘사건’ 이, 사실은 올해를 the best year of my life, our lives로 만들었다. 어떨까.. 그것이 우리의 노력이나 그저 행운의 chance로 말미암은 것이었을까? 분명히 아니다. 어떤 ‘안 보이는 손’이 우리 뒤에 있었음을 절대로 확신을 한다. 안 보이는 그것은 우리의 어머니요 하느님의 어머니였다는 사실도 거리낌없이 밝히고 싶다.
2011년부터 올해 6월까지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의 주임신부로 계시던 하태수 미카엘 신부님.. 어찌 잊을 수 있습니까? 내가 한국어미사 공동체인 그곳으로 서서히 복귀를 하며 이 ‘날카로운 지성’을 가진 예수회 사제로부터 무척 깊은 것을 배우고 소화를 시키려 했다. 그와의 3년은 나에게 무척 깊은 묵상자료가 주워졌던 시기였고, 오래 잊고 살았던 것, 안 믿었던 것, 확실치 않았던 것들에 서서히 빛이 비추어졌던 시기이기도 했다. 깐깐한 성격을 감안한다 해도 이 사제는 나에게는 ‘은인, 구원자’임에 틀림이 없고, 이곳을 이미 떠난 사실이 나를 허전하게 하지만.. 그것과 상관없이 나는 이 예리한 사제에게 감사, 감사 감사를 드리고 싶다.
하 신부님 뒤를 이어 새로 부임하신 주임신부 예수회 사제 이재욱 세례자 요한 신부님도 빼놓을 수 없는 감사의 대상이다. 개인적으로 사제를 사귀는 것은 나와는 거리가 먼 ‘취미’이지만, 본당 사목 차원의 사귐은 나에게 그렇게 이상할 것 없다. 이신부님은 사람과 거리를 두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정도로 친숙하게 다가온다. 우선 개인적인 친근감이 사제적인 후광에 앞 서서 느껴진다. 오시자 마자 쉴 틈도 없이 ‘봉성체 환자’를 찾아 나신 것.. 그것이 우리와 같은 차를 타게 만들었고 아주 가까운 입김을 느끼게 되고 이 젊은 사제의 사사로운 따뜻한 손길도 느낄 수 있었다. 예리한 지성의 하 신부님을 대신해서 따뜻한 온정의 손길이 우리 성당을 3년간 감싸 주시리라 생각하며 감사를 드리고 싶다.
친지 중에 이동수 목사님을 빼놓을 수가 있을까? 일년에 한두 번 정도 잊지 않을 정도로 우리 부부들끼리 만나지만, 만나면 농도가 짙고, 심도가 있는 이야기를 나눈다. 개신교와 천주교의 거리를 전혀 느끼지 않는 허심탄회한 자세로 말하고 듣는데, 나에게 큰 영향을 주는 이야기들의 깊이는 사실 말로 표현할 수 없다. 그의 체험적인 신앙, 영성은 하나도 빼놓을 수가 없이 진실하고 공감이 가는 것들이었다. 그리 건강하지 못한 것이 조금 신경이 쓰이지만 그래도 항상 밝게 살아가는 이 ‘아틀란타 한국학교’ 선생님 (한때 우리 부부는 같이 그곳에서 주말에 일을 한 적이 있다), 올해도 감사 드리고.. 부디 몸이 더 건강해 지기를 기도한다.
아차 하면 빼놓을 수 있는 우리의 ‘보금자리’가 있다. 그것은 내가 만 5년 째 몸담고 있는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의 레지오 이다. 5년 전에 입단한 것, 엊그제 같은데 올해로 5년이 지났다. 소박한 동기로 입단 활동을 시작했고, 99%가 자매님들인 이곳에서 내가 과연 몇 달을 버틸까 생각도 했지만 나의 부질없는 걱정은 완전한 걱정으로 나타나.. 이제 5년을 넘게 되었고, 이곳은 내가 몸이 불편하거나 ‘강제로’ 퇴단을 당하기 전까지는 큰 무리, 저항 없이 몸을 담고 싶은 ‘신비로운 단체’가 되고 있다. 신비라는 표현이 과장된 것이 아님을 누가 알랴? 보이지 않는 부드러운 손길로 성당 공동체 구석구석을 위해 봉사하는 이 ‘생활 전선에서도’ 바쁘기만 한 자매님, 형제님들은 가히 배울 것의 표본이다.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이 신심봉사 단체를 만들어 주신 Irish gentleman, Frank Duff형제께 감사를 빼놓을 수가 없다.
와~~ 싸늘하다.. 스웨터가 어디에 갔나.. 두꺼운 양말은.. 갑자기 느닷없이 11월에 장마 같은 비가 연일.. 거기다 기온은 급강하.. 그야 말로 double whammy인가? 뽀얀 안개가 뒤덮인 바깥은 온통 차가운 빗물에 섞여서 그야말로 뼈까지 시린 느낌을 준다. 황금색의 나무들과, 깊은 하늘을 연상시키는 11월의 상상이 완전히 건너가고 숫제 이제는 굵직한 warm-feeling holidays들이 기다려지는 그런 기분까지 느끼게 한다. 비록 weather person들은 ‘미안한 표정’을 계속 짓지만 나는 사실은 반대로 이런 ‘음산한 기분’을 즐기는 편이다. 이런 날씨에 나는 최소한 밖으로 나가지 않아도 되는 home office의 특권을 만끽할 수 있다.
이불로 igloo를 만들고 낮잠을 잘 준비가 끝난 Tobey
최근에 들어서 나는 30분 정도의 낮잠을 즐기는 습관이 들어가고 있다. 특히 피곤한 때의 낮잠은 아마도 최고의 선물일 듯하다. 우연히 얼마 전 피곤함을 느끼며 desk에 앉아서 고개를 떨구고 졸다가 그냥 carpet위에 쓰러져서 잤던 것이 시발점이 되었다. 그때의 바깥 날씨는 기억이 나지를 않지만 최소한 그때의 30분간의 낮잠은 너무나 경이로운 경험을 주었다. 그야말로.. 이것이 몇 십 년 만이냐.. 하는 기분. 나는 낮에는 ‘절대로’ 졸거나 잠을 안 자는 것이 철칙인데 역시 이것도 나이 때문일까? 그러다가 날씨가 싸늘해지고 요새처럼 음산하고 을씨년스러운 날씨의 낮잠은 정말 멋진 것이었다. 내가 낮잠을 자면 제일 날뛰는 것은 우리의 11살 짜리 pet dog, Tobey인데, 왜 내가 자기 옆에 누우면 그렇게 좋아하는 것일까 의아할 정도다. 그래도 옆에서 같이 그 녀석과 즐기는 음산한 날의 home office에서의 낮잠의 매력은 그 누구도 상상을 못할 것이다.
2015년 10월 달은 정말로 우리, 나와 연숙의 인생에서 가장 뜻 있는, 의미 있는, 많은 일들이 있었고, 또한 그런 일들을 ‘했고, 보았고, 느꼈고, 남기며’ 보내게 되었다. 나의 오래된 기억 속에 이번 10월 달 같은 특별한 달도 없었으리라 짐작을 한다. 이것이 흔히 말하는 ‘하느님의 은총’인지까지는 몰라도 그것에 가까운 것임에는 틀림이 없을 정도로 많을 것, 좋은 것들을 받았다. 시간적으로도 너무나 바쁜 일정의 시월 달이어서 무언가 나의 역사에 때 맞추어 남길 수가 없었지만, 틈틈이 남기고 기억된 것을 note, memo등을 더듬어 본다.
¶ 한민족이란: 10월 3일은 아틀란타 지역 한인회 주최 Korea Festival이 열린 날이었다. 이제까지 이런 ‘한류, 대한민국 적’ 인 것에 관심이 거의 없이 살았지만 올해의 사정은 조금 달랐다. 연숙이 관련된 ‘아틀란타 묵향 회원 전’이 이 행사에 맞추어서, 그곳에서 함께 열리게 된 것이 우리가 그곳엘 간 제일 큰 이유였지만 아주 오랜만에 ‘대한민국에서 갓 온 느낌을 주는 사람들’을 보고 싶은 묘~한 심정도 없지 않았다. 한 마디로 고향의 냄새를 조금 맡고 싶다는 순진한 희망이라고 할까.
그렇게 오랫동안 ‘한반도 땅’ 의 냄새를 안 맡고, 못 맡고 살았는가.. 조금은 타향살이의 슬픈 감정을 느끼고 싶었던 날이었고, 나는 아직도 ‘고향의 좋은 것과 싫은 것’을 분명하게 구별해서 알고 있기에 혼란스러운 심정도 어쩔 수가 없었다. 나의 identity 문제를 수십 년간 요리조리 피하며 살았던 게으름의 결과란 것도 잘 안다. 이제는 조금 이런 혼란스런 문제를 정면으로 맞대면할 때가 온 것도 잘 알기에 이렇게 별로 즐겁지 않은 ‘낮은 기대감’으로 이곳에 왔지만 역시 그곳을 떠나며 느끼는 앙금같이 가라앉는 찜찜함을 어쩔 도리가 없었다.
¶ Peace is flowing: 갑자기 말로 표현할 수 없는 평화와 해방감을 느낀다. 낮은 차원의 이유를 말하면 몇 가지가 있다. 하지만 그것은 조그만 원인에 불과하고 ‘높은 차원’의 것들은 그야말로 높은 곳에서 온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인생 최고의 10월’을 만끽하며 ‘자유 만세!’를 외친다.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 무엇이 진리였던가? 우리는 조금 알게 되었기에 그렇게 자유스럽고 해방감을 느끼는 것이다. 무슨 ‘개소리, 횡설수설’ 같이 들리는 이 말들을 어떤 피조물들이 상상을 할까마는… 상관없다. 이어 흐르는 평화는.. Peace’s flowing like a river..Carey Landry의 잔잔한 음성이 우리의 말랐던 가슴을 촉촉히 적신다. 감사합니다.
Peace is Flowing like a River – Carey Landry
¶ 레지오 사업보고 10월 둘째 주일 미사 후에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천상은총의 모후’ 꾸리아 월례회의에서 우리 자비의 모후 Pr. (쁘레시디움) 연례 ‘사업보고’가 있었다. 서기가 된 이후 벌써 네 번째 해보는 것이라 조금 익숙해지긴 했지만 그래도 ‘성가신’ 일이기도 하다. 단장 서기가 부부라 보니 집에서 편하게 일 년 사업을 정리하는 이점 利點 도 있다. 할 때마다 지난 해의 것과 비교해서 어떻게 ‘나아졌나’ 하는데 관심이 간다. 이번 것을 보면 확연히 지나간 해들 보다 돋보이는 것이 없지 않았다.
우리 부부의 출석률.. 주회합, 평의회 모두 100%인 것이 은근히 자랑스럽다. 출석이란 말.. 예전에는 크게 ‘사지’ 않았으나 지금은 그렇지 않다. 이 말에 많은 것이 담겨있기 때문이다. 한 마디로 우리 둘.. 최선을 다했다고, 하늘을 보고 부끄럽지 않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그것도.. 우리의 commander-in-chief, BVM: Blessed Virgin Mary께 더욱 그렇다. 단.. 단원이 8명에서 6명을 감소한 것이 제일 찜찜한데.. 이것도 최선을 다 했지만 그렇게 된 것이라고.. 미안합니다. 이유가 있어서 퇴단, 전출을 하는 것이니까.. 하지만 일 년 동안 1명이 들어오고 3명이 나간 것은 암만 생각해도 모두들 최선을 다했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묵주기도 횟수가 포함된 ‘영성 활동’도 다른 곳에 비해 아주 활발했지만, 그것보다 ‘진짜 활동 (몸으로 뛰는)’ 을 우리 단원들 ‘특기사항’으로 잘 정리해 둘 정도로 기억에 남는 것들이었다. 선종하신 배해숙 베로니카 자매님.. 그 ‘구원된 영혼’을 떠나 보내며 우리들 참 많은 것을 배웠기에 두고두고 기억할 것이다. 이날 관행적인 보고였지만 그래도 많은 꾸리아 간부, 임원들 경청을 해 주었고, 많은 관심을 보여 주어서 기억에 남는 꾸리아 월례회의가 되었다.
¶ RSVP @CPACS이미 시작된 나의 인생의 황혼기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보내야 하는 것일까.. 하는 생각을 최근에 들어서 많이 하게 되었다. 해답을 찾는데 성모님께 도움을 청하는 때도 종종 있었다. 하지만 이것은 그렇게 쉬운 문제가 아닌 모양.. 별로 해답을 못 찾고 지냈는데 불현듯 해답 ‘비슷한 것’이 찾아왔다. CPACS란 이름의 한인봉사센터에 근무하는 교우 오 안젤라 Angela 자매님의 귀띔으로 자원봉사, RSVP란 program이 시작이 된다고 와 보라는 것. 시간을 내서 그곳을 찾아가서 introductory meeting 비슷한 것에 우리부부가 참가를 했다. 이 program 이름이 귀에 익어서 생각해보니 일전에 연세대 장 선배가 이것을 한다는 얘기를 들은 기억이 있었는데 물론 곧 잊고 지냈는데 이번에 다시 온 것이다.
그날 소개모임에서 비교적 자세한 이야기를 들었고 간단히 말해서 ‘seniors help seniors‘란 것. 취지는 ‘노인복지는 노인들 스스로가 돕자’ 라는 것. 하고 싶은 때 하는 것이 아니고 어느 정도의 조직 속에서 기본적은 시간을 봉사해야 한다. 미국인들 사회는 이 program이 이미 뿌리를 내렸다고 한다. 이런 소개말을 들으며 속으로 ‘계산’을 하기에 바빴는데.. 우리의 현재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시간과 energy를 할애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내가 기다리고 찾고 있었던 ‘황혼기에 할 일’이 바로 이것이었나 하는 ‘운명적’인 느낌도 없지 않았던 것이다.
하지만 아깝게도 현재 우리가 뛰고 있는 레지오와 겹친 일이라서 문제가 없지 않았고, 다음은 시간이 문제였다. 한마디로 commit 를 할 단계가 아니라는 결론인 것이다. 우선은 다음으로 미루자 라는 것으로 이 일은 끝이 났지만 조금 미안한 생각도 없는 것은 아니었다. 우리의 시간, energy를 필요로 하는 senior들이 얼마든지 있다는 사실을 어떻게 외면할 수 있을까? 하지만 우리의 ‘변명’은.. 조금 뒤로 미루며 때를 기다려 보자는 것, 그것으로 일단 정리가 되었다. 안젤라 자매님.. 미안합니다.
¶ PC Recycling 전에 Kristie의 최사장, business computer들 특히 오래된 것들을 처분해 달라는 부탁이 있었다. Old PC들이란 거의 모두 10년 가까이 된 것들이지만 그런대로 running하는 것도 많았다. Business가 다음 세대로 (literally) 경영권이 바뀌는 과정인데 역시 차세대답게 모조리 stupid head’s Mac으로 비싸게 바뀌고 server들도 모두 cloud로 사라지고 있었다. 글쎄.. business가 멋과 유행을 타야 하는지 나는 의아하지만.. that’s not my business.
문제는 거의 junk같이 보이는 이 많은 고철들을 어떻게 할 것인가.. 우선 떠오르는 것이 혹시 ‘고쳐서 쓸 수 있으면’, donation하는 것은 어떤가.. 드디어 그 고철들이 pickup truck에 잔뜩 실려서 우리 집 garage에 도착했고 곧바로 savage 작업에 들어갔다. 현재까지 printer와 pc 하나 씩은 살려내었지만 나머지들은 아무래도 고치는데 비용이 한계를 넘을 듯.. 이것은 사실 나의 머리와 시간의 싸움이다. 아마도.. 위로를 받는다면, 나의 치매예방에 조금 도움이 되지 않을까?
¶ 연차 총 친목회: 10월 달.. 이제는 익숙한 광경이 눈에 떠오르게 되었다. 12월 초에 있는 순교자 성당 레지오 연차 총친목회 발표 준비를 시작하는 달인 것이다. 지난 몇 년 동안 최소한 나는 신들린 듯이 열심히 참가를 했고 즐기려 노력을 했다. 그것이 이 연례 행사의 주 목적이 아닌가? 문제는.. 무엇을 어떻게 ‘발표’를 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나이가 많은 우리 단원들에게는 그저 ‘합창’ 류가 제일 쉽고 무리가 없다. 작년에는 ‘내 나이가 어때서’ 라는 비교적 잘 알려진 유행가에 맞추어 노래와 line dance를 했는데 올해는 연숙이 ‘아주 다른 것’을 하고 싶은지.. 자기가 오래 전에 했던 ‘봉산 탈춤’ 비슷한 것을 제안했고 모두들 찬성을 해서 벌써 연습을 2번이나 했다. 이런 것들은 참가자가 가급적 ‘모두, 열심히’ 하는 것이 주 목적인데 현재까지 최근에 입단한 신 단원들이 아주 열심히 따라와 주어서 보기가 아주 좋았다. 하지만 나 개인적으로는 무리, 무리, 무리라는 생각.. 나는 흔히 말하는 ‘몸치’임을 내가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2015년 10월 12일, 며칠 있으면 ‘또’ 10월의 반이 지나간다. ‘진부한 표현’으로 세월은 잘도 흘러간다. 세월이 갈 수록 daybook 과 calendar 를 유심히 챙기는 습관이 더욱 세월의 흐름을 실감나게 느끼게 한다. 인생의 남은 시간이 하루 하루 줄어든다는 생각에 조금이라도 무언가 남기고 싶은 심정을 억제할 수가 없어서 시간과 세월의 감각을 흔적이라도 남기려 애를 쓰지만 모든 것은 순리적으로, 절대적 존재에 맡기는 자세를 취하려 애도 쓴다. 이런 mental balancing은 어느 나이에도 중요한 것이기에.. 이런 횡설수설이 나는 요새 필요한가 보다.
내일은 10월 13일, 1917년 바로 같은 날에 Portugal의 Fatima에서 성모님이 three shepherds 세 목동 어린이 shepherd children들에게 발현 apparition 하신 날이기도 하다. Portugal의 ‘국, 관영 신문’에 당시에 성모님이 어린이들에게 약속을 하셨던 ‘태양의 기적’ 보도가 된 것이 특이하고, 이에 관한 극 drama 영화도 몇 개 있어서 나는 그것들을 흥미 있게 보기도 했다. 2017년이면 100주년 기념이 되기에 서서히 그곳으로 관심이 쏠릴 것을 예상한다. 역사이래 성모님 발현은 수없이 세계 전역에서 보고가 되지만 실상 교회가 공식인정을 한 것은 불과 수십 건밖에 안 된다. 그 중에서도 아주 유명한 곳은 몇 군데에 불과하고, 아마도 Fatima(파티마)는 프랑스의 Lourdes(루르드)에 이어 두 번째로 유명한 발현지일 것이다. 근래에는 30년도 넘게 ‘계속 매일’ 발현하시는 곳, Medjugorje 메주고리예 가 수많은 순례 행렬이 끊이지 않는 곳이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아직도’ 교황청의 공식인정을 받지 못한 곳이다.
Fatima 의 성모님은 발현 당시부터 Rosary(묵주)를 들고 나오셔서 묵주기도의 중요성을 알리시기도 해서, 10월이 묵주기도의 성월로 정해 졌을지도 모른다. 묵주기도.. 2007년 초부터 거의 매일 매일 하는 묵주기도, 이제는 내 몸의 일부처럼 느껴진다. 거의 10년에 가까워오는 나의 묵주기도 역사, 솔직히 나 자신이 보아도 이건 기적 중에 기적에 속한다. 예상도 못했고, 아직도 변함없이 계속되는 것도 그렇고, 그런 ‘와중’에 세계관이 완전히 변한 나 자신, 이 모든 것은 솔직히 기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묵주기도에 무슨 마력이라고 있을까? 아마도 아닐 것이다. 너무나 단순 반복되는 간단한 기도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point는 이 기도가 성모님이 간절히 ‘요청’하는 것이라는 사실일 것이다. 시작한지 몇 년 동안은 외우느라고, 지루함을 이기느라고 애를 쓴 기억이고 점차 습관이 되면서는 짧은 묵상 같은 것도 할 정도가 되었다. 바로 이것이었다. 지루하고 반복되는 그 시간 중 몇 초씩 들어가는 ‘생각지도 못한 느낌’, 바로 그것이 내가 기대하는 시간이 되었고, 그렇게 지루한 것을 극복할 수가 있었다. 집에서 연숙과 둘이서 하던 묵주기도에서 레지오의 ‘강도 높은’ 묵주기도로 바뀌며 나는 ‘기도’란 것이 무엇인지 어렴풋하게 알아가게 되었다. 레지오 5년 동안 계속되는 이 ‘지루하고 반복되는’ 묵주기도, 이제는 알 듯하다. 왜 성모님이 ‘친히’ 이 ‘고역’을 청하시는지를..
Glorious, deep blue, higher and higher.. 갑자기 쏱아진 가을하늘에는..
¶ 습기가 갑자기 사라진 하늘은? 올해의 여름의 특징은 흔히 말하는 heat index, 그러니까 ‘불쾌지수’라는 것이 유난히 높았던 것이다. 한번도 화씨 95도를 넘지를 못했지만 문제는 지독한 습도였다. 정말 무시무시하게 높은 습기는 공기를 완전히 steam room같은 것으로 만들어, 보통 때면 선풍기면 시원한 것도 이번만은 ‘절대로’ a/c로 습도를 낮추어야 하는 것으로.. 이것이 쉬지도 않고 밤낮으로 돌고 돈다. 시원한 것은 좋은데.. 문제는 엄청난 electric bill. 아마도 $400까지 치솟지 않을까 미리부터 우울해 진다. 그런데 하루 아침에 하늘의 물기가 완전히 사라졌고 a/c의 소음도 따라 없어지고.. 9월로 깊이 접어들며 경험하는 신선하고 즐거운 느낌.. 이래서 계절의 변화는 신비스럽기만 하다.
¶ 거의 매일 장례식: 주임 신부님 (이재욱 세례자 요한)의 얼굴과 입술에 피로의 기색이 역력히 보인다. 연일 열리는 듯한 연도, 장례식, viewing.. 이것과 관련해서 거의 매일 병자성사, 병원방문, 장의사 연도.. 어찌 피곤하지 않을까? 9월 초부터 시작된 이런 의식들이 9월 중순에서야 끝이 났다. 황 어거스티나 자매님과 조 이시도르 형제님.. 특히 조형제님은 최근 몇 개월 동안 봉성체, 병자성사들을 통해서 신부님과 같이 많이 찾아 뵙기도 했다. 그렇게 우리의 방문을 꺼려하던 형제님, 선종 몇 주를 앞두고부터 서서히 가슴을 열고 우리의 방문을 기다리게 되었던 분.. 비록 신앙심의 열매를 더 맺었으면 했지만 그것이 그렇게 중요할까.. 절대자에게 조금이라도 가슴을 열고 가셨으니.. 우리는 분명히 평화스런 곳으로 가셨으리라 믿고 있다. 황 자매님은 레지오 활동단원으로 선종을 하셔서 순교자 성당 초유의 ‘레지오 장’으로 장례미사가 치러지기도 했다. 기술적인 문제를 떠나서 레지오를 그렇게 사랑하신 자매님에게 이런 ‘선물’을 누가 마다하겠는가?
¶ 나는 어떻게 죽을까.. 레지오에 입단한 이후 참 많은 선종과 장례의식을 경험을 하였다. 입단 5년 가까이 되는 이 시점에 나는 정말 많은 영혼들과 작별을 하였고 그들의 유족들과 함께 있기도 하였다. 지난 5년간 나의 ‘좌우명’ 중에 하나는 결혼식은 빼먹을 수 있어도 장례의식은 ‘가능하면, 최선을 다해서’ 참석하리라는 것이었다. 그 이전까지 나는 이와는 정반대의 행로를 걷고 살았다. 그것이 하루 아침에 완전히 180도 뒤 바뀐 것이고 이것은 나에게 작은 기적 중에 하나로 남게 되었다. 이런 경험을 통해서 나는 항상 생각하는 것이 ‘나는 어떻게 죽을까, 죽어야 할까’ 하는 절체절명 絶體絶命의 대명제 大命題.. 바로 이것이다.. 나는 이 해답을 찾기 위해서 그렇게 나를 바꾸어 놓은 것이다. 이 죽음이야 말로 신앙의 핵심주제가 아닌가? 나는 배우러 그곳으로 가는 것이고 그 결과는 상상을 초월한 무궁무진한 놀라움 뿐이고 아직도 변함없이 계속되고 있다.
¶ Dark night of ..
어두운 밤에 캄캄한 밤에 새벽을 찾아 떠난다.. 종이 울리고 닭이 울어도, 내 눈에는 오직 밤이었소. 우리가 처음 만난 그 때는 차가운 새벽이었소. 당신 눈 속에 여명 있음을 나는 느낄 수가 있었소…
2012/13년도 레지오 연차 총친목회에서 우리 레지오에서는 ‘희귀동물’에 속하는 몇 명의 남성단원들과 같이 연습하고 불렀던 노래 중에 나오는 가사 중에 바로이다. 당시에는 큰 묵상이나 생각조차 없이 ‘신나게’ 불러 댔지만.. 어떤 것이 캄캄한 밤일까.. 생각한다. 내가 현재 가끔 겪는 것도 그 캄캄한 밤에 속하는 것일까? 특히 9월 중순의 며칠간 겪은 마음속의 고통은 예상외로 심한 것이어서 속으로 계속 이것이 바로 ‘어두운 밤의 시작..’일 것이라고 혼자 단정을 해 버리기도 했다.
대체로, dark night (of the soul)은 가톨릭 신앙에서 ‘믿음의 위기’를 말한다. 대표적으로 ‘복자 (blessed)’ Mother Teresa의 경험은 유난히 오랫동안 지속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나에게는 사실 근래까지의 ‘지독한 냉담’ 생활이 바로 이런 것이었을 것이지만 그 당시에 전혀 그런 사실조차 느끼지 못하고 살았다. 서서히 가슴을 열면서, 보이고 느껴지는 ‘빛’을 보고 느끼면서 비로소 나는 내가 바로 그 dark night에서 살았다는 것을 처음으로 실감하게 되었다.
새벽을 찾아 떠난 과정이 비록 하루 아침에 생긴 일이 아니었어도 그렇다고 그렇게 긴 여정은 아니었기에 아직도 그 경험이 신선하게 느껴지고 이제는 ‘줄줄 외울 수’ 있을 정도로 정리가 되었다. 목적은 다시는 절대로 다시는 그 전의 세월 (어두운 밤) 로 돌아가지 않겠다는 우려에서였다. 하지만 그것이 그렇게 말처럼 쉬울까? 다행히 9월 중순의 ‘어두운 밤’은 불과 며칠간 계속된 ‘가벼운’ 것으로 끝이 났다.
나는 도대체 어디에 속한 인간일까? 나를 근본적으로 혼란하게 하고 심지어 슬프게 하는 것이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이다. 나는 정말 모르고 모르고 살았고 아니 모르게 만들며 살았다는 놀라운 실감에 나는 또 한번 경악을 한다. Pretending의 극치인가? 나는 그렇게도 모질고 지독하고 이상한 인간일까? 나의 identity 에 대한 극도의 혼란을 나는 ‘모른 척’ 하고 수십 년을 살았다는 사실에 나는 초조함을 느끼기도 한다.
인생의 대부분의 세월에서 나는 이 근본적인 질문을 100% 피하며 살아 왔다. 내가 속한 곳은 도대체 어디란 말인가? 나에게도 살아계신 어머니가 서울 쪽에 아직도 계신다면 훨씬 편한 마음이었을 것이다. 나의 어머니의 땅이 나에게도 포근한 고향이고 언제라도 갈 수 있다는 생각에 나는 도취되어 행복한 마음이 될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이미 오래 전에 지나간 과거사가 되었다. 누나.. 어찌하여 누나는 나와 가족을 잊고 살게 되었을까? 나는 이제 고립무원, 혈혈단신이라는 슬프고 괴로운 현실을 직시하며 나의 자리를 찾아야 한다.
언제부터 나는 KOREA를 잊기 시작했을까.. 분명 나의 고향은 그곳인데 어째서 나는 남들이 못하는 ‘쾌거’를 이루었을까. 모질게도 그곳에 관한 것은 무자비하게 피하고 없는 것처럼 연극을 하며 나를 세뇌했을까? 궁여지책으로 바로 옆에 있는 일본에 기대어 가짜 향수를 느끼려고 했을까? 다른 것 보다는 비슷한 것이 더 많은 일본에서 나는 가짜 향수를 느끼고 포근함을 느끼려고 했다. 본질적인 고향은 너무나 너무나 나를 미치게 그립게 하기에 그랬다고 나는 자위하기도 한다. 그곳의 연속극, TV 영화 등을 마치 옆 동네 것처럼 가까이 달며 사는 주위의 사람들.. 연숙도 마찬가지지만.. 부럽기도 하고.. 아니.. 질시하기도 하지만 경멸하기도 했다. 이곳까지 와서 그곳을 그렇게 가까이 느끼며 살려는 그들의 자세를 비하시켜 비난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런 내가 이제는 마지막으로 나의 고향을 다시 찾아야 한다고 움직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작년 9월 10일에 시작된 ‘고향찾기 운동’의 시작.. 일년이 되어온다. 대 장정이라고 나는 이름을 붙였지만 솔직히 1년이 되도록 계속될 줄을 몰랐다. 이제는 조금 ‘풀이 죽어서’.. 그저 기다리기로 했다. 기다리면 오겠지.. 내가 또 성모님을 잊었던가? 나를 흙탕 또랑에서 위로 이끌어 주시는 성모님을 또 잊었던가?
나의 진정한 고향은 어디로 갔는가? 내가 편안하게 안주해왔던 머릿속에만 있던 꿈의 고향들은 사실 꿈에만 있는 것일까? 내가 너무나 심하게 옛날을 그리며 그곳에서 편안함을 찾았던 것일까? 남들처럼 ‘하나도 끌리지 않는’ 요새 세상을 포용하며 살아야 하는 것일까? 고향을 놓치지 않으려고 발버둥하며 살아온 만큼 다시 고향을 조금씩 놓아가며 현재에 더 익숙해지며 사는 것이 ‘옳은 것’일까? 그것이 나는 너무나 어렵다. 나의 신분과 움직임이 조금 더 자유스러워진다고 해도.. 나는 어려움을 겪을 듯 하다.
하지만 나는 ‘진보’하고 있다. 5년 전을 생각해보라.. 나는 ‘한국인과 한국말’을 절대로 피하며 살았지 않았던가? 5년 동안 나는 ‘어머님’을 향해 뒤를 안 보고 달렸지 않았던가? 그러한 노력과 은총이면 나의 남은 시간도 헛되게 보내지는 않으리라. 나에게 어떤 ‘과제’가 주어질지를 나는 아직도 모르기에 방황하는 것이라고 나는 낙관적으로 생각하고 싶다.
¶ 2015년 Summer season을 서서히 마감하는 여름의 마지막 휴일, Labor day weekend를 맞이한다. 오랜 전에는 어딘가 불쑥 계획 없이 집을 떠나기도 한 기억이 있지만 지금은 그것이 사실 너무도 옛날의 이야기일 듯 하다. 그 중에 쉽게 기억이 나는 것이 1983년 Labor Day 때의 것, 당시 9개월이 된 첫 딸 새로니를 차 뒤에 ‘묶어 두고’, 그야말로 아무런 생각 없이 Chicago 쪽으로 에어컨도 없는 ‘고물’ 차를 몰았던 추억이다. 당시에는 Columbus (Ohio)에서 학생시절이었고, 지긋지긋한 기나긴 학교생활에서 간신히 벗어나 나의 첫 career job이 정해진 직후였다.
나에게 너무나 익숙한 Chicago는 가까운 거리는 아니었지만 그저 ‘진짜 한국음식’, 그 중에서도 ‘진짜 한국식 중국음식’들이 너무나 그리워서 에어컨도 없는 차를 겁도 없이 몰았다. 총각 때의 경험 만으로 그렇게 겁이 없었던 것일까.. 가다가 차에 문제가 생겨서 repair shop에서 지체하기도 했지만 결국 우리는 그렇게 먹고 싶던 한식, 한국식 중국음식 등으로 배를 채웠다. 지금 생각하면 조금은 아찔한 여건이었지만 젊음 때문이었을까.. 우리 부부 둘, 참 겁도 없이 그렇게 다녔다. 점점 지옥같이 느껴졌던 학교 생활을 떠났다는 기쁨에 들떠서 모든 것들이 뽀얀 희망으로 보였던 시절이었다. 새로 태어난 우리의 제2의 생명과 새로운 나의 첫 직장, 새로 얻은 가톨릭 신앙.. 등등으로 시작된 우리의 기나긴 ‘가족인생’ 여정의 출발, 그 뒤로 또 하나의 생명을 얻었고 하느님의 도우심으로 4식구가 건강하게 나이를 먹으며 작은 식구가 같은 곳에서 모여 살게 되었음을 감사하는, 그 당시가 새삼스럽게 기억나는 오늘이 되었다.
¶ 어제 저녁때는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의 교우이자 레지오 단원이셨던 황 어거스티나 자매님 연도에 다녀왔다. 레지오 단원의 급작스러운 선종이기에 긴 휴일 주말에도 불구하고 많은 레지오 단원들이 참석해서 정성스럽게 레지오 전 묵주기도문과 연도를 바쳤다. 참 올해는 유난히도 연도, 장례식이 많은 느낌이었지만 이 자매님의 경우 너무나 예상치 않았던 죽음에 모두들 놀라기만 했다. 몇 달 전까지만 해도 ‘비교적’ 건강하고 씩씩한 모습이었던 모습으로 기억을 하는데 어떻게 그렇게 갑자기 가셨을까.
각종 레지오 모임에서 보게 되는 익숙한 모습이고, 근래에는 우리와 같이 봉성체 봉사를 같이 하였고, 작년에는 점심식사도 같이 했던 친근하고 시원스러운 자매님, 정말 급작스럽게 가셨다. 병명은 ‘희귀 병’이라고 하는데.. 의사들도 마지막 순간에서야 확실한 병명을 발견했다고 했다. 미리 원인과 병명을 알았어도 치료 방법이 확실치 않은 희귀 병이라고 하니.. 참, 누구를 탓할 것인가? 선종하기 전에 유언으로 ‘레지오 장 塟’을 원하셨다고 해서 장례미사는 아마도 많은 레지오 휘장 banners 을 보게 될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