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 Christmas 2016

Uh oh.. 와~ 오늘이 며칠인가.. 2016년 12월 24일, 사실 이날의 느낌이 12월 25일 보다 훨씬 더 설레고 진하던 시절을 오래 전에 보냈던가? 이제는 그런 설렘은 기억 뿐이지만 그래도 잔잔한 설렘은 어쩔 수가 없다. 요새 비교적 평화로움을 유지하며 여기까지 온 것만도 나에게는 더 큰 성탄 선물일 것이다.

오래 오래 오래 전 우리 둘 모두 교회, 성당을 모르던 시절 신혼 초, 정말 고요한 밤을 보냈다. 아니 너무 고요해서 심심하고 쓸쓸한 밤이었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Eve 밤 늦게 차를 몰고 downtown (당시는 Columbus, Ohio)을 배회하는 것이었는데.. 왜 그런 해괴한 idea가 우리 둘의 머리에서 나왔는지.. 아마도 찬란한 holiday decoration, tree light같은 것을 보려고 했을 것이지만 집에 들어오면 이상하게 더 쓸쓸해지는 것을 알았다. 외롭기도 하고.. 별로 좋지 않았다. 그런 것이 크리스마스의 진짜 이유를 찾고 알게 되면서 모든 것이 변했다. 그 이후는 우리 가족의 역사가 되었다.

최근에 들어서는 최소한 우리 직계가족 전부 (4명)이 모여서 우리 집 근처 Holy Family성당에서 합창단과 더불어 함께 노래를 부른 후, 자정미사를 보는 것이 정상이 되었다. 오늘 밤도 같은 routine을 거칠 것이다.

 

+ 강 마리아 자매님..

오늘 저녁에 우리부부는 개인연도를 하고 있었다. 이틀 전에 ‘갑자기’ 타계하신 강 마리아 자매님, 향년 90세로 하늘로 떠나셨다. 인생 90년은 비록 짧지는 않게 느껴지지만 우리에게는 결코 더 오래 사실 것, 100세는 사실 것으로 안심을 하며 지내던 터에 더욱 슬프고, 당황하고 미안하기도 하고 복잡한 심정으로 고인의 영결행사 대신 이렇게 집에서 연도를 한 것이다. 부디 연옥의 고통에서 빨리 벗어나시도록 간절히 빌었다.

강 마리아 자매님, 우리와 처음 만난 것 레지오 수첩을 찾아보니 아마도 2013년 11월 경이었을 것이다. 당시의 모습들을 비교적 자세히 기억한다. 레지오 연차 총친목회 준비로 난타 연습이 진행 중이었고 지금은 귀국하고 없는 전요셉 형제와 친해지려고 하던 그 때, 레지오의 다른 단원과 친분이 있었던 ‘할머니 교우’ 였던 강 마리아 자매님이 senior home에 사시는데 ‘치매기’가 있고 성당엘 나올 수 없으니 봉성체를 부탁한다고 알려 왔다. 나는 ‘봉성체 자격증’ 이 없지만 다행히 연숙은 그것이 가능해서 나는 봉성체 동행으로 따라가기 시작한 것이 인연이 되었다.

알고 보니 강마리아 자매님은 전요셉 형제와도 이미 친분이 있었다. 몸이 성할 당시 성당 미사시간에 옆 자리에 앉으시곤 했다고 했다. 그래서 한번은 전요셉 형제도 함께 봉성체를 가기도 했다. 사시는 곳은 ‘비싼’축에 속하는 senior home이었는데 비록 환경은 좋다지만 외롭게 사시는 것은 별 수가 없었다. 하루 종일 조그만 방에서 시간을 보내시는 것.. 보기에도 쓸쓸하게 보였다. 하지만 강 마리아 자매님은 활달한 성격이고 항상 웃으시는 것이 우리 어머님 같은 느낌까지 들 정도 친하게 되었다. 비록 경미한 기억상실증dementia 같은 것은 있었어도 우리가 방문 당시에는 거의 정상인 같이 보였다. 이래서 거의 2년 여의 봉성체 인연을 맺기 시작하게 되었다.

치매, 그러니까 망각증상은 분명히 있었으나 특별한 질환이나 쇠약함이 별로 없는 자매님, ‘약 하나도 안 먹는다’ 고 자랑을 하시기도 하고 일제시대 부산에서 미래의 남편 되시는 분이 지나가는 자기를 ‘꼬시려고’ 할 때의 ‘기꾸꼬 짱!’ 하며 불렀던 기억, 일본 군가 같은 노래를 가사를 똑똑히 팔을 흔들며 부르시던 모습 또한 새롭다.

‘잘 나가는 가족들’을 두신 자매님, 어쩌다 이렇게 미국 아틀란타의 어느 조용한 양로원에 오시게 되었는가? 절대로 남의 이야기가 아닐 것이다. 자랑스러운 아드님 부부도 가까이 살고 있지만 같이 살지는 않았다. 경험 있는 관록이 붙은 회계사였던 아드님, 경제적으로 부유했지만 어머님을 모시기에는 너무나 바빴던 모양이지만, 우리 어머님을 내가 모시지 못하고 보낸 나의 처지에서 그런 것을 comment하는 것조차 죄스럽게 느껴진다.

한 번은 자매님이 가출했다고 난리가 난 적이 있었다. 양로원 근처를 방황하다가 발견되어 큰 문제가 없었지만, 그것으로 우리는 분명히 망각증이 더 진행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24시간 주위의 보호를 받고는 있지만 그런 사고는 날 수가 있는 모양.  한번은 가보니 무거운 장거리 여행용 가방을 챙겨두고 계셔서 어디 가시냐고 여쭈었더니 ‘나도 여행을 가야겠다’고 말씀하셔서 깜짝 놀랐지만 양로원 측의 말이 자주 저러신다고 했다. 짐작에 아들네 부부가 ‘세계일주’를 갔는데 따라가시려고 한 모양이라고 했다.

그러다가 지난 몇 개월 봉성체를 거르게 되었는데, 이유는 간단하지 않았다. 우리도 바빴고 ‘치매 환자의 봉성체에 대한 이견’ 때문이었다. 신부님께서 가급적 치매환자 봉성체를 자제하라는 ‘소문’을 들었기 때문이다. 이런 저런 이유로 강마리아 자매님을 찾지 못하고 지나다가 이번에 정말 놀랍게도 타계하신 소식을 접했는데, 솔직히 머리가 땅! 하고 얻어 맞은 느낌이 들었다. 죄송, 죄송..죄송합니다.. 라는 말 밖에 할 말을 잊었다. 봉성체를 못해드려도 찾아라도 뵐 걸.. 하는 자괴감에서 벗어날 수가 없었다.

사실 몸이 성한 우리 같은 신자로서 봉성체 봉사는 그 분들에게 드리는 도움보다도 그로 인해 내가 받는 은혜와 은총이 더 많음을 항상 절감하곤 한다. 대부분 인생 선배님들은 그들에게서 나는 산 역사 공부를 하고, 신앙공부도 하게 되며 앞으로 우리들이 어떻게 살아야 할 지도 배우는 등.. 참 알고 보면 내가 더 도움을 받으러 그 분들을 찾아 뵙는다는 느낌을 떨칠 수가 없다. 아직도 환~하게 웃으시는 강마리아 자매님의 얼굴.. 나에게는 항상 살아서 ‘찾아 주어서 고맙데이…’ 하시면 양로원 문까지 배웅해 주시던 조그만 체구의 마리아 자매님.. 영원히 살아 계실 것이다.  성모 마리아와 모든 성인들이여, 이 자매님에게 영원한 안식을 주시기를 빌어 주소서…

 

중앙고 독일어, 강성위

책, 二十世紀 哲學 역자, 강성위.. 1978년 대한민국 왜관 분도출판사에서 발행된 철학 번역서. 강성위 는 번역한 사람의 이름이다. 지난 주일날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에 레지오 꾸리아 월례회의에도 참석할 겸해서 그곳에서 주일미사엘 갔는데, 근래에 자주했던 것처럼 ‘성물방, 도서실’ 엘 들렸다가 우연히 발견한 책의 제목이었다.

갑자기 철학에 눈이 뜬 것이라기 보다는 번역자의 이름이 나의 눈을 끌었고 곧바로 2주 대출을 하게 되었다. 강성위.. 강성위.. 1963~4년, 무려 반세기가 지난 때의 기억 속에 아직도 지워지지 않은 이름이었다. 서울 중앙고등학교 독일어 선생님의 이름.. 바로 그 강성위 선생님이 분명했다.

지난 해에도 이 ‘조그마한’ 도서실에서 재동국민학교 동창 김정훈 부제의 유고집 [산 바람 그리고 나]을 발견한 바가 있었는데 그런 추억이 담긴 발견의 두 번째가 된 것이다. 오래 살다 보니까 이런 식의 ‘역사 속 발견의 즐거움’을 종종 대하게 된다. 세월의 즐거움 중에 하나일 것이고 ,길지 않은 삶의 세계에서는 상상도 못할 것이다.

거의 40년이 가까운 이 책은 비록 ‘소책자’의 느낌을 주지만 내용은 정 반대로 ‘거대한 주제를 압축적으로 다룬’ 만만치 않은 책이었다. 우리가 살아온 20세기를 풍미하며 우리를 직접 간접으로 지배해 온 사상, 물론 서양적인 관점에서 본 것들을 정리한 것, 지금 읽으니 우리들도 피할 수 없던 이런 ‘사상 들’ 속에서 평생을 살았구나.. 하는 감회도 든다. 때로는 ‘사상이 밥 먹여 주냐?’ 는 때도 있었겠지만 그것은 너무나 피상적인 의견일 것이다.

강선생님 졸업앨범 사진

강성위 독일어 선생님.. 비록 2년 여의 짧은 기억이지만 추억은 아주 너무나 또렷하게 남는다. 1963-64년..  박정희가 5.16 혁명 2년 후 군복을 벗고 대한민국 제3공화국의 대통령이 되었던 때..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요란하게 선전되던 때 [주로 중화학 산업개발], 강선생님, 중앙고 1학년의 독일어 선생으로 만나게 되었다.

독일어.. 는 분명히 입시중심의 교육과정에서 별로 빛이 없었던 ‘제2외국어’에 불과했다. 하지만 당시 1960년 당시만 해도 2차대전의 강국 독일문화의 후광은 그런대로 남아있어서 대학과정에서 독일어는 거의 필수적 선택이었고 대학원엘 들어가려면 독일어 시험을 치러야 했던 시절이었다. 그래서 고등학교에 들어가면 독일어 같은 제2외국어는 필수과목으로 배워야 했고 그렇게 ‘되길어 [당시 우리들은 풍자적으로 그렇게 불렀다] 강성위’ 선생님을 만난 것이다.

고등학교와 독일어, 영어가 아닌 언어를 배우는 것은 신선하고 어깨를 으쓱하게 하는 자랑할 만한 것이었지만 결과적으로 나와 독일어 자체는 악연으로 끝나고 말았다. 한마디로 독일어의 재미를 못 느끼며, 게다가 핵심을 못 배운 것이다. 그저 기억 속에는 정관사 der des 같은 것이 전부다. 이런 탓으로 나는 대학시절에도 이 ‘어려운 말’과 고전을 하게 되었고 대학원 입학에 이 독일어 시험이 있다는 것을 알고 아예 대학원은 꿈도 못 꾸기도 했다. 왜 그랬을까?

나름대로 나는 노력을 했다고 기억을 하는데 결과적으로 ‘완전 실패’였다. 나는 독일어를 잘 못 배운 것이다. 다른 애들은 어땠는지 기억은 잘 안 나지만 ‘열심히 해도 잘 못 배운 것’은 어쩌면 선생님 탓도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당시에는 그런 생각까지 하지는 않았지만 지금 곰곰이 생각하니 이 ‘강성위 되길어’ 선생님의 독일어 강의는 절대로 흥미 있는 것이 아니었다. 주입식으로 그저 외우는 것 외에는 기억이 전혀 없다.

이 강선생님에 대한 다른 추억은 독일어가 아니고 ‘장난치고 이상하게 때리는’ 당시로써는 ‘전통적 선생님’이 아니었던 것. 독일어와는 전혀 상관없는 이야기로 아이들과 장난을 치고, 수시로 아이들에게 손찌검을 했는데 그 방식이 독특하게 ‘때리는 것이 아니고 꼬집는 것’ 이었다. 이런 식으로 고교 1, 2년을 보내고 이과를 선택한 나는 독일어와는 상관이 없게 되었고 이 강선생님도 보기가 힘들게 되었다.

졸업 후에 완전히 잊고 살다가 친구 정교성에게 강성위 선생님의 이야기를 잠깐 들었던 기억, 대학교수가 되었다는 것, 독일에 유학을 갔었다는 것.. 그것이 전부였다. 은근히 속으로 놀라긴 했지만[아니.. 그 꼬집던 선생님이 독일유학?] 큰 관심은 없었다.

그러다가 이번에 강선생님의 이름이 들어간 책을 보게 되었고 1978년까지의 ‘약력’을 볼 수가 있게 된 것이다. 과연 독일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고 국내 대학에서 가르치는 약력이 그 책에 적혀있었다. 정교성의 말이 맞은 것이다. 언제 독일유학을 갔는지는 모르지만 아마도 우리가 고등학교를 졸업한 1966년 직후가 아니었을까? 지금이라도 googling을 하면 더 자세한 약력과 근황을 알 수도 있겠지만 이 정도에서 stop을 하기로 하였다.

중앙고교 천주교반 앨범사진, 1965

 

중앙고교 졸업앨범을 보고 다시 당시의 모습을 찾을 수 있었고 바로 그 모습을 나는 머리에 간직하고 있다. 하지만 다른 사진에서는 새로운 사실을 알 수가 있었는데 바로 ‘천주교 반’ group 사진에 ‘지도 교사 격’으로 찍은 사진이었다. 아하! 강선생님.. 천주교 신자였구나!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었다. 게다가 친구 정교성의 모습도 보이고.. 희미하게 기억에 남는 동창들[이태식, 김창호 등등] 의 얼굴도 보인다. 근래 나의 인생의 나침판이 된 천주교를 믿는 영혼들이 아닌가?

그렇다면.. 아직도 나의 기억에 남는 ‘꼬집는 강성위 선생님’보다는 더 친근한 천주교 교우인 ‘강성위 박사, 형제님’ 이 친근하게 다가온다. 영세 명은 과연 무엇일까? 궁금해지지만 오늘은 이것으로 충분하다.. 언젠가는 알 수가 있을 것이고 어떤 본당에 나가시는지도 알게 될 테니까..

 

레지오 연총, 2016

지나간 거의 반년 이상 줄기차게 레지오 서기록 공지사항에 적혀 있었던 것이 바로 레지오 연차 총친목회, 이것이 드디어 끝이 났다. 대강 이 행사가 끝날 즈음이면 대림절 이후 늘어나는 촛불의 숫자를 필두로, 성탄절과 송년의 기분을 조금 느낄 수 있는 시기가 된다. 올해에도 예외 없이 대림초 2개가 켜지는 날 주일, 12월 4일에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천상은총의 모후 꾸리아 산하의 모든 레지오 단원들이 커다란 친교실에 모두 모여서 일년을 무사히 우리들을 지켜준 ‘총사령관’ 성모님께 감사, 전구기도를 드리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나로써는 올해가 벌써 6년째가 되는 이 연말 행사, 처음이 2010년 12월이었지.. 그때는 정말 햇병아리 신참, 정단원 선서를 기다리던 시절에 이 행사를 보며 ‘난생처음’ 이렇게 많은 사람들 속에서 ‘동료의식’을 조금은 느끼며 흥분된 기분이기도 했다. 해가 거듭할 수로 익숙해지고 있지만 매년 조금씩 다른 느낌을 받는다. 거의 대부분이 ‘자매님’들인 이 단체, 나 같은 ‘형제님’들은 이 여성들을 따라가야 한다.

이 행사는 비록 Ireland 냄새가 짙게 나는 유럽에서 유래된 Legion of Mary (Legio Mariae)의 연말 행사지만 우리가 치르는 이 행사는 거의 99.9% ‘대한민국화’ 된 것이다. Universal Church를 지향하는 천주교의 전통에 따라 이것도 세계화 되었기에 전세계 곳곳에서 열릴 것이고 ‘막강한’ power를 자랑하는 한반도의 전역 본당에서도 열릴 것이고, 그들의 연총 행사는 위에 말한 것같이 ‘한국화’된 것이다.

그러면 우리가 하고 있는 이곳 아틀란타의 그것은 무엇인가? 원칙적으로 우리가 숨쉬고 있는 이곳 미국 땅의 그것의 문화를 따라야 할 것이지만, ‘한국인의 근성’이 어디로 갈까? 더욱이나 ‘막강해진’ Korean Connection은 이곳 아틀란타에서는 피할 수가 없다. 레지오 조직의 법적인 차원을 떠나서 사실 우리는 별 수 없이 대한민국의 그것을 따르고 있는 것이다.

나는 대한민국의 레지오 연차 총친목회를 한번도 경험한 적이 없지만 짐작에 우리가 현재 여기서 하고 있는 그것이 바로 그것이 아닐까? 아마도 똑 같을 것이다. 하지만 그런 것 크게 상관이 없다. 레지오의 교본에 따라 레지오의 연차 총친목회의 정신을 따르면 문화적인 것은 2차적인 관심이다. 평소 잘 못보고 지내던 ‘레지오 동지’들과 친교를 이루면 그 목적은 달성되는 것이니까…

이 행사는 동료 단원들과 친교를 이루는 한 방법으로 ‘연예 프로그램’을 긴 시간 동안 준비를 한다. 이 긴 시간을 통해서 친교를 하게 되는데 올해 우리는 비교적 잘 알고 지내던 ‘은총의 모후’와 함께 ‘누군가 널 위해 기도하네’와 ‘개똥벌레’라는 두 곡을 연습하여 당일에 그 솜씨를 발표 하였다. Chorus style이었지만 그래도 조금 색다르게 rearrange를 해서 2번째 부른 ‘개똥벌레’는 자매님들이 귀엽게 율동을 해서 연속된 노래의 지루함을 벗어날 수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지나간 여름부터 시작된 ‘기타 club’의 학생자매님들이 guitar로 반주를 했고, 나는 전체적인 guitar 반주를 하는 등, 보는 사람들에게도 신선한 performance가 되었으리라 생각한다. 한가지 아쉬움은.. 연총 당일을 위해 지난 몇 개월간 열심히 guitar 반주 연습을 같이 했던 크리스티나 자매님 (나와 guitar duet)이 감기에 걸려 어쩔 수 없이 공연을 포기하게 된 것… 정말 아쉽기만 했다. 그 자매에게 감기는 정상인에 비해서 심각한 것이라.. 어쩔 수가 없었다.

차가운 비가 하루 종일 뿌리던 12월 4일 일요일 오후의 이 행사, 이제 모든 것이 끝났다. 아니 2016년 레지오 마리애의 굵직한 행사의 마지막이 끝난 것.. 이제부터는 성탄을 향한 본격적인 대림절로 기다리는, 편안한 12월의 휴일 기분을 만끽할게 되었다.

 

Chilly soaking steady..

‘가을비 우산 속’의 꿈이 거의 사라지고 벌써 하얀 눈과 정겨운 크리스마스 movie들이 이곳 저곳에서 보이기 시작하는 2016년 대림 2주일째, 어제 저녁부터 시작된 ‘아마도 곧 그치지 않을 듯’한 을씨년스럽고 뼈 속까지 써늘한 기분의 잔잔한 가랑비가 밤새도록 그치지 않고 내린다. 지독한 가뭄의 여파로 어떠한 모습이라도 비라는 것은 다 반갑기만 하다.

 

촉촉히, 잔잔히, 싸늘하게 내리는 겨울비

 

대림 2주가 되는 일요일, 어제는 거의 하루 종일 정말 오랜만에 tool time으로 보냈다. 손볼 것들이 산더미처럼 쌓여갔던 청명하고 서늘했던 낙엽의 시절의 시간들을 다 허비한 느낌, 나는 그 동안 방 속에 앉아서 과연 무엇을 하였나? 어제의 tool time은 계속 미루어 오던 숙제, 우리 집 backyard feral cats 아롱이와 다롱이가 겨울을 보낼 shelter 를 ‘급조’한 것이었다. 하지만 생각보다 크고 단단한 것이어서 무려 5시간이 걸렸다. 뒤쪽 deck에 위치한 그 shelter에서 2 마리의 sibling들 무사히 겨울을 나기를..

 

making cat shelter in 5 hou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