떼이야르 – ‘人間 이란 現像’

Pierre Teihard de Chardin

 

人間이란 現像 (1955), The Phenomenon of Man

떼이야르 드 샤르댕 (Pierre Teihard de Chardin, 1881~1955) 著

 

역사를 움직인 100권의 철학책‘ (신동아 1984년 1월 별책) 중에서

김태관 金泰寬  (예수회 신부, 서강대 문과대교수, 서양철학, 1919~1990) , 小論考

 

 

1.

북경원인의 발견자의 한 사람이며 인류의 아프리카 기원설의 주창자인 ‘떼이야르’ 신부의 생애는 고생물, 지질학자로서 문자 그대로 지구의 표면을 종횡무진 왕래하며 지층을 파헤치면서 우주와 신의 통합적 비전을 찾기에 바쳐졌다.

‘삐에르 떼이야르’는 1881년 5월 1일 프랑스 중부 오베르뉴 지방 끌레르몽페랑 근교 사르스나 에서 한 귀족가문의 11형제 중 네 번째로 태어났다. 농장경영의 여가에 박물학과 고문서 연구를 하는 부친으로부터 어린 시절 자연관찰과 곤충 식물 암석 등 채집의 기쁨을 배웠다. ‘물질, 더 정확히 물질의 핵심에 반짝이는 어떤 것에 마음이 끌린 것이 6, 7세 적이었다’고 그는 회상한다.

16세에 리용 근처 몽그레 예수회계 고등중학교를 졸업, 18세에 예수회에 입회, 그 후 사제가 되는 모든 교육코스를 밟으며, 지질학과 고생물학에도 전문적 연구를 했다. 특히 카이로 예수회 고등학교에서 자연과학 교사로서 체류할 때 수억 년의 지층이 노출된 이집트의 광막한 대지에서 그의 미래는 더욱 뚜렷하게 되었다.

1911년 빠리박물관에서 고생물학자인 ‘마르슬렝 불’ (Marcellin Boule, 네안데르탈 인 연구로 유명)의 지도 아래 인류 고생물학의 전문연구에 몰두하게 되었다. 장기간에 걸친 공동연구, 그리고 깊은 우정으로 발전한 이 만남은 ‘떼이야르’의 일생을 결정하였다.

1914년 세계대전의 발발로 위생병으로 격전지에서 참전했다. 포성과 죽음과의 부단한 대결 틈틈에 비참한 참호 속에서의 그의 명상은 인간세계를 새로운 운명에 이끄는 우주적 규모의 독창적 세계관을 싹트게 하고 윤곽을 잡아 주었다.

1922년 소르본느 에서 자연학의 박사학위를 받고 그 논문으로 프랑스의 제1급 고생물학자로서 인정을 받았다. 1923년 황하유역 조사단원으로 중국으로 파견된다. 이래 20수년 동안 중국은 그의 제2의 고향이 된다. 쉴새 없는 지질조사와 연구와 보고서 작성 학회 탐험여행 틈틈이 ‘신 神 의 영역'(Le Milieu divin)이란 저서를 집필, 그리스도인의 태도와 과학자의 태도를 양립시킬 수 있는 종합적 세계관과 특히 진화론과 인간과 자연 사이에 새로운 연결을 시도했다.

1927~1928년 프랑스 체류 후 이디오피아 소말리랜드 지질조사, 주구점의 북경원인 발굴에서 지질학과 고생물학 부문을 지휘, 연구보고 발표 등의 일로 빠리와 천진 사시를 정기적으로 왕복, 1930년 뉴욕박물관의 중앙아시아 탐험, 31~32년 시트로엥 아시아대륙 자동차 횡단탐험에 참가, 1935년 예일-케임브리지 中北 인도탐험,  1937~38년 하버드 – 카네기 버마탐험참가, 39년까지 미국의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인류기원에 관한 심포지움에서 북경원인연구발표, 미국과 프랑스에 체류, 중국으로 귀환, 중일전쟁으로 북경에 6년 동안 유폐됨, 1940년 북경지질생물학연구소를 만들었다.

여기서 그는 그의 필생의 테마인 지구상의 진화와 인간미래에 관한 사색과 탐구의 총결산인 주저 ‘인간이란 現像’을 집필하며 추고 推稿추고 에 전념한다. 1946년 프랑스에 귀국, 국립과학연구소 연구주임 꼴레쥬 드 프랑스 교수로 초빙받았으나 여생을 뉴욕 웬너그렌 재단 인류학 종신연구원으로 보낸다.

1951년과 1953년 2차에 걸쳐 동 재단후원으로 남아프리카 조사연구여행, 선사시대의 고고학과 고생물학의 연구를 자극하고 공동연구계획을 조정했다. 1955년 4월 10일 뉴욕서 부활축일에 심장마비로 그의 파란만장한 생애는 끝난다.

그 당시 소수의 전문가 서클과 친구들 외에서 그 이름도 사상도 아는 사람이 극히 드물었다. 진화와 인류미래에 관한 그의 과학적 사상으로 해서 교회당국과 그의 소속인 예수회의 반대로 그는 교단과 조국에서 멀리 되었고, 순수전공 외의 저술은 출판을 보지 못했다.

그러나 그의 유고는 사후 즉시 각계의 세계적 저명인사들로 구성된 간행위원회가 조직되어 그 해 10월 제1권 ‘인간이란 현상’ 이 출간되자, 자연과학 철학 신학 등 광범한 분야에 격렬한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2.

‘인간이란 현상’에는 우주의 생성부터 인간에 이르기까지의 진화의 주요한 과정이 일관된 명쾌한 전망 속에 묘사되어 있다. ‘떼이야르’는 과학적 성과에서 출발하여 그리스도교인든 아니든 공정한 관찰자이면 누구든 받아들일 수 있는 세계관과 인간관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는 과거의 진화의 발걸음으로 인류의 미래를 예측하고 그 발전을 투시하며 이러한 시야 속에서 자리잡고 있는 그리스도교의 위치를 확인한다.

이 책은 ‘현상으로서’ 만의 인간을 취급하며 세계의 탐구해명이 아니고 그것을 위한 서론으로서 보아주기를 요구한다. 또 동시에 현상의 모든 것에까지 펼쳐진다.

“동물의 완성, 사고력을 가진 존재의 우위는 그 시선의 통찰력과 종합력으로 측정된다”. ‘본다’는 것은 생의 본질이다. 이것이 이 저서의 개요이고 결론이며 또 그의 사상의 핵심이다. ‘떼이야르’는 철두철미 과학자의 자격으로 과학의 성과로써 그 사상을 전개한다고 강조한다.

그의 우주관의 특징은 지구의 과거의 걸음걸이를 배경으로 하고 그 진화의 속도를 미래에고 연장 추정함으로써 인류의 미래상을 추론하는 데에 있다. 우주는 크나큰 극히 완만한 소용돌이와 같이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정향적 운동 중에 있다. 우주 와동 渦動 은 구심적 흐름이며 이 움직임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느리므로 우리는 포착하기가 힘든다. 그래서 ‘본다’는 것이 요구된다.

‘떼이야르’는 우주의 소재인 물질의 진화 속에 이미 정신적 에너지를 본다. 본질에서부터 정신에 이르기까지의 우주진화의 유일한 완전한 기준은 인간이다. 이 진화는 단순한 것에서 복잡화 – 의식의 무한대에의 증가로 일정방향으로 전진한다.

‘떼이야르’ 신부는 인간의 우주적 배경으로서 소위 무한대의 세계(상대성이론이 적용되는 현상세계)와 무한소의 세계(하이젠베르그의 부적확성 이론이 지배하는 현상세계)에 다시 복잡화 – 의식이란 제3의 무한을 추가한다. 복잡성- 의식화는 우주의 근본운동이다.

저자는 이 세계를 입자로 보고 우주에는 이 입자를 복잡화에로 좇는 보편적 힘이 일종의 ‘부하 負荷’로서 에너지원을 이룬다고 한다. 부하된 입자가 한 단계에 복잡성에 도달하면 종래의 차원과는 다른 출력을 가진 복잡성에 진화한다. 물질에서 생명의 발생 생명 속의 사고의 발생이 이에 해당한다.

생명의 출현에서 미생물과 분자, 세포 등이 서로 독립해서 출현하지만 사고력의 발생에로 진화의 흐름은 향하고 있다. 정신권의 전개에서 인류는 선사인류의 여러 서로 무관한 화석인류들의 분지 分枝  가 어떤 축을 중심으로 꽃봉오리모양 사회화를 이루며 진화한다. 원시사회에서는 방산 放散 팽창하던 것이 현대에 이르러 그것은 수축, 압축되어가는 단계에 있다. 미래의 세계종말에서는 인격사회의 인류의 일체화가 오메가 점, 수렴(convergence)의 극점인 그리스도 안에 만물이 일치하는 데에 이루어진다.

진화에 있는 우주는 마치 그물같이 위로 갈수록 그물의 눈은 압축되고 밀접 되어 주름이 더 잡히며, 끝으로 일 점에 집중되어 세계는 수렴되고 인류는 혼합이 아닌 합치를 이룩한다. 이 일치는 현대정보수단의 진보로 말미암아 인류전체가 하나의 의식으로 서서히 형성되어 가는 데서 예견된다.

‘떼이야르’는 이미 현대 컴퓨터 정보시대를 예견하고 사이버네틱스를 인간의 집단적 사고능력으로서 신 뇌수의 형성으로 보았다. 사회화의 상한적 종합작용으로 일대 다수의 인간의 합류점에 중복 일치 한다는 대 완결을 상정한다. 도식화 하면 다음과 같다.

우주의 생성 -> 생명권의 전개 -> 유인류의 불리 -> 인간의 출현, 즉 사고력의 제일보 -> 정신권의 성립, 즉 팽창의 단계에서 문명과 개체화 -> 정신권의 서욱, 즉 압축의 단계에서 인격화 적 일체화. 세계종말에서 인류는 인격공동체의 건설을 신인 神人 인 그리스도의 포괄적 신비체 안에서 성취를 보게 된다.

이것이 ‘떼이야르’ 신부가 자연과학과 사회학 심리학 등의 전 영역과 인간학의 전 범위를 종합함으로써 과학과 신앙, 우주와 신의 화해를 계기로 웅대한 우주관을 소묘한 것이다. 그의 관심은 그리스도교의 축원이기도 한 “때가 이르면 신은 그 계획을 시행하며 하늘과 땅에 있는 모든 것이 그리스도 안에 재결합(reunion)하리라” (바오로 에페소서 1,10)는 것을 인간을 현상으로서 과학적으로 다루면서 지시하려고 했다.

 

3.

 ‘떼이야르’의 명성과 평가는 사후 30년 가까이 되어가는 데도 더욱 고조되어 간다. 그 저작은 각국어로 번역되고 그 연구는 개신교나 공산권 내에서도 활발하다. ‘다윈’이나 ‘아이슈타인’이 일으킨 돌풍보다 더 큰 충격과 격론을 불러일으켰다. 아직도 그 연구와 촉매작용은 꾸준히 지속되고 있다. 1981년은 그의 탄생 1백 주년이어서 세계 각지의 떼이야르 협회는 기념행사를 가졌다. 특히 유네스코는 빠리에서 그 해 9월 16~18일 3일 동안 기념 심포지엄을 성대하게 치렀다. 1983년 뉴욕에서는 UN 38차 전체회의 벽두에 학술적 의견교환의 테마로 ‘떼이야르 드 샤르댕 의 저작과 인물’이 채택되었으며, 이 심포지엄은 평화촉진을 위한 ‘교육적 과정’을 진작하는 것이 의도였다.

찬반의 평가가 어떻든 ‘떼이야르’ 신부가 그 자신 안에서 인류의 기원을 캐내고 진화의 비밀에 육박하는 탐험, 우주 속에서 인류의 운명을 묻고 세계진화에서 신의 존재를 찾고 하나의 통합적 비전을 전달하려는 성자다운 기백과 준엄한 학자의 탐구의 생애는 그를 세기적 예언자적 사상가로 부각시키는데 별 이론이 없을 것이다.

 

 

주요저서

La place de l’homme dans la nature ‘자연 속의 인간의 위치’, 1965.

Science et Christ ‘과학과 그리스도’, 1965.

Comment je crois ‘나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1969.

Les directions de l’avenir ‘미래의 지향’, 1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