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7월과 반세기…

 

올해,  2010년대 마지막 해의 칠월 달을 맞는다. 이즈음이면 충분히 무더위에 대한 적응이 잘 되었기에 날씨를 다시 언급하고 싶지 않다. 올해의 7월을 맞으며 유난히 머리에 떠오른 것들이 있는가… 역사적으로는 50년 전, 서울 상도동 집의 ‘조잡한 금성  19인치 흑백 TV’ 앞에서 새벽녘에 눈을 비비며 맞았던 Apollo 11Neil Armstrong의 역사적인 moon landing… 바로 그것이 떠오른다.  반세기 전의 역사라 지금 이곳도 서서히 Apollo 11 Special 비슷한 것들이 이곳 저곳 자주 눈에 띈다. 50년 전… 그것이 50년 전이라니.. 얼떨떨한 것, 50이란 숫자가. 거의 무감각한 50으로만 느껴지는 것이 정상인지..

그런 배경으로 올해의 7월은 날씨 보다는, 50년 전인 1969년이 주는 느낌이 더욱 나를 생각하게 만든다. ‘철모르고 잘나가던’ 대학 3학년 시절이었지.. 2학년까지의 회상은 분명히 적어 놓았는데 그 이후의 것, 특히 1969년 직후는 별로 쓰여진 것이 없다. 별일이 없으면 아직도 머릿속에 남아있는 추억을 정리해 놓을까 하던 것이 몇 년째인지..

정확히 50년 전 즈음, 다른 대학들과 마찬가지로 연세대 캠퍼스는 박정희 3선 개헌 반대 데모로 온통 수라장이었다.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순조롭게 끝날 무렵에 도저히 이런 꼴로 나라를 놔두고 물러날 수 없다는 심정으로 개헌을 강행한 것.  6월이 되면서 거의 매일 데모를 한 기억인데,  데모 자체는 물론 ‘주동 그룹(대부분 정법대생들)’이 주도를 하기  마련이고, 우리 같은 ‘(이)공돌이’들은 그들의 뒤를 따르는 식이었다.

그런 어느 날의 데모 광경은 아직도 눈에 선하다. 노천극장에서 한참 ‘선동 연설’을 들으며 기운을 모은 후에 우리들은 연세대 굴다리를 지나서 신촌 로터리 쪽으로 신나게 나가고 있었다.  로터리 쪽으로는 중무장한 전투경찰들이 도열하며 기다리고 있는 것이 보였다. 뒤를 따라가던 우리들은 앞장선 ‘용감한 정법대생’들만 믿고 나간 상태였는데 어느새 앞으로 보니 그들이 모조리 없어진 듯 느껴졌다. 그러니까 순식간에 우리들이 선두에 선 것이다.  순진하기만 했던 우리 ‘공돌이’들, 모두들 겁에 질려서 뒤로 물러나며 캠퍼스 쪽을 달리고 있었다.

당시의 데모는 그 후의 유신반대 데모와 비교하면 아주 ‘얌전한’ 것이었다. 서로 싸운 기억도 없고 다친 사람들도 거의 없었다. 하지만 나는 그때의 기억으로 ‘데모하는 것’에 대한 회의가 많이 들기 시작했다. 이것이 유일한 ‘반대하는 수단’인가.. 다른 방법은 없는 것인가.. (물론 당시에는 없었다)

이런 어수선한 6월이 지나면서 결국은 ‘강제 조기 방학’이 되어서 모든 학교는 3개월간의 잠을 자게 되었다. 우리들의 관심은 어이없게 3선 개헌 같은 정치적인 것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었고, 곧 있을 Apollo 11 의 달 착륙 같은 것들이 우리의 관심을 끌게 되었다. 나는 (박)창희와 소백산 등산을 계획 중이었고, 결국은 소개받은 2명의 아가씨들과 같이 4명이 소백산 등반을 하게 되었다.  그때 연화봉 바로 아래의 고원지대에서 본 밤하늘의 놀라움은 아직도 잊지 못한다. 그래서 나중에 그곳에 천문대가 생겼다고 들었을 때 크게 놀라지 않았다.

 

 

50년 전 소백산 고원의 초원지대에서 같이 ‘무섭게 많은’ 별들을 보았던 그 두 명의 아가씨들은 지금 어디서 어떻게 살고 있을까 가끔 상상을 해 보기도 한다.

1960년대 마지막 7월과 2010년대 마지막 7월의 모습들이 교차되며, 아~~ 오래 살았구나~~ 하는 생각을 떨칠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