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urdity & Me

 

지난 유월 초에 발행된 아틀란타 대교구의 격주간지 Georgia Bulletin 에서 나의 눈을 끌었던 기사,  정기 column이 하나 있었다. 제목이 조금 길었다. Absurdity and Hemingway’s ‘The Old Man and the Sea’. Absurdity 란 단어는 근래에 나의 눈길과 관심을 끄는 말 중에 하나이고, 그 다음은 물론 너무나 유명한 헤밍웨이의 1952년 단편소설에 관한 것이다.  왜 absurdity와 The Old Man and the Sea 가  연관이 되어 있는 것일까…

이 기사를 쓴 저자 professor David King, Ph.D,  이 지역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Kennesaw State University 대학의 English, Film Studies 의 교수인 동시에 같은 지역 Holy Spirit Church에서 가톨릭 교회 본당에서  예비신자 교리반을 책임 담당하는 [director of RCIA] 교우이기도 하다.  꽤 오랜 세월 동안 이 column을 읽어 왔는데, 대부분 그의 전공인 문학, 영화를 통한 [가톨릭]영성 추구가 주제여서 내가 즐겨 읽는 기사 중에 하나였다.

왜 absurdity란 말이 나왔는가는 쉽게 알 수 있다. 요사이 코로나 사태와 인종분규, 역기능적인 정치판도 등에 의한, 한마디로 위아래가 완전히 뒤집힌 듯한, ‘말도 안 되는’ 세상 때문이다.’ 이것이야 말로 20세기 이후에 세상을 풍미했던 ‘세상은 부조리 투성이’란 한탄의 전형이라는 뜻. 그 유명한 20세기 초 Kafka의 소설,  ‘심판, the trial’ 의 absurdity는 사실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지만, 나도 이런 말도 안 되는 일들을 근래에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내, 레지오 마리애 에서1 몇 번 겪고 나서 이것이 fiction의 영역만이 아님을 실감했다.

그런데 왜 ‘노인과 바다’ 소설이 함께 이곳에 언급된 것일까. 이 기사의 저자는 이 단편 소설에서 노인이 겪는 세상의 경험도 역시 absurd ‘말도 안 되는 이 세상’의 그것이 것이라는 뜻. 특히 무려 84일 동안이나 한 마리의 물고기를 잡지 못한 것, 구사일생으로 한 마리, 그것도 대어 marlin 를 낚았지만 결국은 돌아오는 도중에 상어에게 잃어 모든 것을 잃어 버린 것, 하지만 이 노인은 끝에서 크게 실망한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그에게는 아직도 꿈이 있었다. 이것이 우리에게 주는 일말의 희망이라는 것, 그것이 이 소설의 매력이 아닐까…  희망은 반드시 있다라는 것이 바로 궁극적인 희망이다.

 

우리에게 이 노인이 겪은 84일은 어떤 것인가? 저자는 코로나 사태가 초래한 사회적 변화부터 시작해서 인종사태, 정치적 기능상실, 경제적 불안감.. 등등 절망적으로 열거하지만, 이런 것들은 우리들과 가까운 주변의 사람들도 하나도 예외가 아니다.  직업, 경제난에 대한 불안감, 정치에 대한 절망감,  이제는 무감각해진 엄청난 숫자의 코로나 희생자들의 비극 등, 이런 것들이 ‘부조리의 극치’임을 말하지만 나 개인적으로도 그런 것 이외에 다른 것들도 많이 있다.

나의 84일에 해당하는 것은 사실은 118일이다. 지난 3월 17일부터 오늘까지가 118일인 것이다. 그 3개월 동안 우리는 성체성사를 한 번도 할 수가 없었다. ‘신영성체’라는 궁여지책 대안이 있었지만 그것이 신부님이 축성한 실제의 성체와 같을 수는 없다. 설상 가상 우리가 속한 레지오 마리애 활동이 완전히 중단이 되었다. ‘기도와 봉사’의 둘 날개가 완전히 떨어진 세상을 살고 있는 것이다. 그것 뿐인가.. 연령행사, 장례미사, 연도 등이 정지 되었다. 이 연령행사는 비록 고인과 가족들을 위한 것이지만 우리 자신을 위한 것이기도 하다. 쉽게 말해서 내가 더 은총을 받는다는 것이다. 가끔이나마 죽음의 이별을 통해서 다시 보는 삶의 의미, 세상의 교훈, 공부를 할 기회가 118일 동안이나 없다는 것, 이것이 바로 absurdity중의 absurdity가 아닐까?

우리가 몸 담고 있는 곳, 역시 정치적인 영역에서 기대할 수 있는 것은 하나도 없다.  완전히 불능상태에 빠진 정치체제에서, 오늘과 장래의 희망을 주어야 할 지도자가 자기 관심을 끄는데 온갖 관심을 두고 있고, 이런 인간을 관망하거나 지지하는 사람들이 주위에서 발견되는 놀라움 역시 absurdity중의 극치다.

그러면 과연 우리의, 아니 우리 후세들에게 어떤 희망은 있는가? 물론 희망이 없을 리가 없다. 그 ‘노인’에게도 꿈이 있었다. 문제는 언제 그 희망이 실현되는가 하는 것이다. 역시 해답은 ‘초월적’인 곳에 있다. 한 단계 위, 안 보이는 그곳을 향하여 보면 의외로 쉬운 문제가 아닐까?

 

 

  1. 무려 세 번을 겪었다.  그 모두가 세 명의 ‘문제 있는’ 여자들에 의한 것, 아직도 이해를 할 수가 없는…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