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 fires up, 가을비는 언제..

어제 이 지역으로 내려온 찬 공기의 영향으로 오늘 아침에는 드디어 얇은 스웨터를 찾아 입을 정도가 되었다. 사흘 전까지만 해도 이곳까지 쳐들어 온 열대성 폭우 ‘마이클’로 대기는 온통 습기로 가득 차 있었고 가끔 에어컨이 필요할 정도였는데, 하루 아침에 습기가 완전히 사라진 ‘추운 느낌’의 진짜 가을이 된 것이다. 올해의 환절과정을 보면서 ‘조금은 이상하다’라는 느낌을 떨칠 수가 없다. ‘정상적’이 아니기 때문이다. 혹시, 혹시 이것도.. 그것.. global warming의 영향은 아닐까..

 

Time to ‘test’ fire up central heating..

 

오늘 아침에는 조금 마음을 졸이는 ‘첫 추위와 난방’ switch-over 과정을 거쳐야 했다. 난방 furnace system ‘점화’ 때문이었다. 올 여름에 모든 heating & air system 을 새것으로 바꾸었을 때, 에어컨은 물론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것을 알았지만 사실 그 더운 여름에 난방 system은 테스트 한 기억이 없기 때문이었기에 항상 그것이 마음에 걸렸던 것이다.

드디어 그것을 test할 순간이 온 것이다. 예전에는 위층은 electronic, 아래층은 pilot lamp system이라서 아래 층은 그 ‘어두운 지하’로 들어가서 손으로 점화를 해야 했다. 하지만 이제는 아래층도 electronic으로 바뀌어서, 예전 같은 고생을 하지 않아도 되는데… 문제는 한번도 내 눈으로 test를 한 적이 없다는 것이다. 다행히 위층의 furnace는 test에서 문제없이 fire가 되어서 한숨을 놓았고 아래층에도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믿음이 생겼다. 

 

Best time to reminisce, rainy autumn with hot coffee

 

며칠 간 계속되는 ‘추운 쪽의 가을’ 을 맞으며 겨울도 아주 멀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과, 부지런히 가을/겨울 옷들을 찾아야 하는 귀찮음을 느낀다. 비록 황금색의 낙엽과 하얀색 눈의 자연은 나를 즐겁게 하겠지만 머리 속이 예년의 그것과 너무나 다른 ‘처음 경험하는 일’들로 가득 찬 요즈음, 과연 나는 예전처럼 ‘감상적 사치’ 를 즐길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그래도 기대는 있다. 차가운 가을 비 내리는 바람 부는 한가한 오후에 편한 의자에 기대어 향기로운 coffee를 마시는 기대.. 한번 기대해 보자…

가을비, 19차 사업보고..

¶  가을비를 보며:  오늘 아침, 10월 중순을 향하는 길목에서 나는 아직도 열대성 공기를 느끼며 깨어나 캄캄한 어둠 속에서 바지를 찾는다. 어제부터 처음으로 ‘긴 바지, 긴 셔츠’를 입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덥다기 보다는 따뜻하게 느껴지는 것을 느끼니.. 아 ‘긴 팔, 긴 바지’의 진정한 가을이 코 앞에 다가오고 있구나 하는 잔잔하고 편안한 느낌을 받았다.

‘습기 없는’ 시퍼런 하늘을 유난히도 올해는 내가 기다렸는데 야속하게도 이제는 지겨운 ‘열대성 대기’는 쉽게 물러가지 않았다. 설상가상 이제는 갑자기 나타난 Michael이란  남자 이름을 받은 허리케인 hurricane이 열대성 습기와 강한 바람을 몰고 FloridaPanama City Beach 쪽을 강타하고 무서운 속도로 이 지역을 스치고 지나가고 있다. 다행히 메트로 아틀란타 지역은 ‘반가운 비’를 제외하고는 거의 영향이 없는 듯 하다.

 

아틀란타 주변을 스쳐 지나가고 있는 tropical storm Michael

 

몇 주간 뜨겁게 마르고 있던 대지들이 오랜만에 단비의 맛을 보았던 어제 밤과 오늘 아침의 주변은 그야말로 축복을 받는 느낌. 이번의 비와 바람이 올해 ‘마지막 여름’을 장식하는 것이 아닐까.. 그러면 진정한 O. HenryThe Last Leaf 의 느낌을 한껏 주는 추위 속의 낙엽과 Halloween의 찬란한 가을을 보게 될 것이다. 아직도 어두운 밖에는 정말 오랜만에 듣는 소리가 나의 귀를 의심케 한다. 바로 ‘피해 없이 내려오는’ 잔잔히 빗소리였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the last leaf clings to the bough, just one leaf..

 

¶  19차 레지오 사업보고:  레지오 단원이면 누구나 알고 있는 ‘사업보고 business report’, 일년에 한번씩 지나간 일년간 레지오 단원으로 했던 활동 실적을 총집계해서 꾸리아 월례회의 때 발표를 하는 것으로 지나간 일년을 되돌아 볼 수 있는 아주 중요한 자료이며 계기가 된다.

하지만 애석하게도 많은 단원들이나 평의원들에게 별로 특별히 관심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한마디로 관행대로 하는 routine, 그저 해야 되는 것, 심지어는 귀찮은 것 정도로 생각되던 것이다.

이것이 올해는 아주 ‘다른 모습’으로 나에게 다가왔다. 우선 내가 발표를 하여야 하는 단장이 되었고, 어떻게 이것을 발표할 것인가 하는 것이 ‘나의 책임 소관’이 되었기에 생각을 더 하게 된 것이다.

지난 일년 동안 ‘우리들’이 ‘뛰었던’ 모습들이 서기회의록에 고스란히 남아있다. 이것을 근거로 ‘정해진 form’에 주로 ‘숫자’들을 적어 넣는다. 그리고 이것을 단장이 꾸리아 평의회에서 ‘보고 읽는’ 것이다. 읽은 후에는 질문을 받고 답변을 하면 끝이 난다. 이런 ‘다람쥐 쳇바퀴’ 도는 듯한 과정을 매월 겪는데, 어떨 때는 너무나 형식적으로 들려서 지루한 시간이 될 수도 있다.

올해의 사업보고서 작성을 끝내며 다시 생각에 잠긴다. 전 해의 것과 비교해 보면 단원의 숫자가 반으로 감소했으니까 활동도 반으로 줄어들 것으로 우려를 했지만 그 정도는 아니었다. 이번 보고에는 글로 쓰게 되어있는 ‘운영 상황’ 난을 통해 지난번 꾸리아 단장과 면담을 했던 ‘자비의 모후 명예회복을 위한 특단 조치’에 관한 우리의 결심을 공적으로 알리기로 했다. 실명을 쓸 수가 없지만 아마도 당사자 (2명의 미친X들) 들은 아마도 짐작하게 될 것이라 생각하니 흥미롭기까지 하다.

 

바로 전에 print된 ‘따끈따끈’한 레지오 사업보고서, 일요일에 발표될 예정.

 

이렇게 올해의 사업보고 작성을 매듭지으며 나에게 도대체 레지오란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가 새삼스럽게 생각을 해 보았다. 거의 8년 동안 뒤를 안 보고 달려왔던 것, 암만 생각해 보아도 나에게 이것은 거의 기적에 가깝기에 나는 나에게 매일 놀란다. 이것이 바로 나에게 있어서 레지오의 의미다. 다른 설명이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러면 앞으로 언제까지 계속 달릴 수 있을까… 오직 그분만이, 성모님만이 아실 것이다.

 

레지오 마리애 도입 50주년

일요일에 제출, 발표할 레지오 연례 사업보고서를 작성하며 도움이 될만한 자료가 있는지 googling을 하던 중에 ‘보물’을 찾았다. 얼마 전 자비의 모후 Pr. 단장이 되면서 훈화를 준비하며 도움을 받고 있는 ‘레지오 훈화집’의 저자 ‘레지오 박사’ 최경용 신부님의 글을 발견한 것이다. 비록 2003년도에 발표된 것이지만 현재 나에게는 거의 모두 유효한 기사, 글이었다.

이 최신부가 쓴 ‘레지오 영성’이란 책도 언젠가 잠깐 읽은 기억이 난다. 그 책을 보고 이분이 로마에서 레지오 마리애 영성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것도 알게 되었다. 한마디로 레지오 마리애 박사 신부님인 것이다.

2003년이 한국에 레지오 마리애가 처음 창설된 50주년을 즈음하여 당시의 대한민국 레지오의 현황을 예리하게 분석한 것으로 지나친 신학적 전문용어를 쓰지 않고 설명한 것이 매우 인상적인데 이것을 읽으며 거의 모든 분석이 현재 내가 있는 ‘아틀란타 레지오’에 모두 적용된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그 중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형식적이고 소극적인 활동 때문에 사업보고서의 특기사항이 거의 비어있다.”

올해 처음으로 관심을 가지고 이 점을 보면 동감이 간다. 별로 ‘특기할 만한’ 활동이 없는 것이다.

 

 **  “간부직이 부담스러워 서로 맡지 않으려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솔직히 간부는 고사하고 평단원들조차 입단 시키기 어려운 실정, 이것은 레지오 전체의 이미지나 단원들이 보여주는 ‘자질’에 문제가 있을 것이다.

 

**  “레지오 마리애가 지도신부의 관심과 사랑 없이 그냥 두어도 잘 되는 단체는 결코 아니다.”

특정 지도 신부님만의 문제가 아니고 이것은 제도적 문제가 아닐까? 너무나 바쁜 사제들에게 레지오에 우선권을 두라고 강요할 사람이 없다. 다만 꾸리아 차원에서 지도사제의 관심을 유도시키는 것은 가능하지 않을까?

 

**  “소 공동체와 레지오의 마찰”

대표적인 소 공동체는 ‘구역 모임’이 있는데 이들과 활동이 중복되는 것이 있을까? 경쟁의 대상이 아니라 상호보완적 특성을 활용하면 문제가 없을 것이다.

 

**  “레지오 마리애는 창설자의 정신에 따라 간부와 단원들의 질적 향상을 위해 공부와 교육에도 정성을 쏟는다.”

주회합에서 하는 영적독서, 훈화, 교본공부가 거의 전부인 현재의 우리들의 실정으로는 간부, 단원을 고사하고 신단원이 레지오의 정신을 배울 기회는 거의 없다. 현재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꾸리아 차원에서 ‘시간과 돈’을 지속적, 제도적으로 투자하는 수 밖에 없다.

 

**  “규칙과 규율이 무시되면 군인정신이 해이해져 힘을 쓰지 못하는 군대가 되고 만다.”

이런 ‘군대의 특성’이 무시되면 어떤 일들이 일어날 수 있는지 나는 일년 전부터 내 눈으로 보았고 그 여파는 아직도 끝나지 않고 있다. 법에는 항상 예외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법이 어겨지면 그 처리 결과가 있어야 한다. 이것을 할 수 있는 곳은 현재 영적지도자, 꾸리아 밖에 없다.

 

**  “단원들이 신심과 활동보다 친교에 더 큰 비중을 두게 되면 레지오 마리애는 무너지고 침체될 수밖에 없다.”

신 단원 교육에서 제일 강조할 것이 바로 이것이다. 레지오의 조직과 정신을 제대로 알지 못하면 이런 일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나는 수없이 이런 사례를 목격했고 결과는 거의 예외 없이 이런 ‘무너지고, 침체될’ 그런 것이었다. 현재도 나는 ‘주 회합 후 외식하는 재미’로 사는 사람들을 매주 본다.

 

** “레지오 행동단원이 받는 혜택과 은총”

1. 개인 성화로 자신이 구원을 받고,

2. 주간 활동을 통하여 보람 있는 생애를 보내며,

3. 활동 대상자들에게 크나큰 위로와 용기를 주며,

4. 기도, 공부, 활동을 통하여 성숙한 신앙생활을 하게 되고 대인관계의 폭도 넓어 지고,

5. 군인정신과 프로 정신으로 역경을 극복할 수 있으며,

6. 따라서 기쁨과 감사의 삶, 구원의 삶을 살게 되고,

7. 성모, 성령신심을 통해 열매를 맺는 생활이 되고,

8. 활동을 통해서 신체적인 건강을 유지하게 되고,

9. 수많은 레지오 장례와 위령미사의 혜택과 은총을 받는,

 

나의 개인적인 경험으로도 위의 거의 모든 것들은 내가 받았던 것들이고 또한 창설자(프랭크 더프)가 몸소 실천한 삶이다.

 

 


레지오 마리애 도입 50주년을 맞이하여

최경용 (부산교구 신선본당 주임신부)

 

 

1. 시작하는 글

한국의 레지오 마리애는 1953년 5월 31일에 아일랜드로부터 도입되어 올해(2003년) 50주년을 맞았다. 레지오 마리애는 외국에서 도입한 한국의 첫 평신도 사도직 단체로서 다른 나라의 추종을 불허할 만큼 거대한 조직으로 성장, 발전하였다.

레지오 마리애가 쌓은 공로와 업적은 아무리 칭찬해도 모자랄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레지오 마리애가 위기에 봉착해 있다는 말이 자주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릴 정도로 장래가 심히 우려된다. 왜냐하면 레지오 마리애의 알맹이인 선교활동과 봉사활동의 정신은 쇠퇴하고, 껍데기인 친목과 친교에 치중하는 현상이 만연해 있기 때문이다. 레지오 마리애 정신이 얼마나 해이해졌으면 한국 레지오 마리애 도입 50주년을 맞아 레지오 마리애 정신 회복에 지향을 두고 묵주기도 5억 단 봉헌운동을 펼쳤겠는가? 간부들과 단원들이 얼마나 레지오 마리애 창설자의 정신에서 벗어나 있었으면 한국 레지오 마리애 협의회가 ‘레지오 마리애의 정신 회복’이라는 주제로 심포지엄까지 개최했겠는가?

지금은 레지오 마리애의 변화와 쇄신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레지오 마리애의 정신은 곧 창설자의 정신이다. 따라서 레지오 마리애 단원들은 창설자 프랭크 더프의 정신을 새롭게 인식하고 창설자의 정신으로 돌아가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기 위해 먼저 오늘날 한국 레지오 마리애의 문제점들을 짚어보면서 창설자의 정신에 비추어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오늘날 한국 레지오 마리애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오늘날 우리나라 레지오 마리애가 당면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크게 열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선교활동과 봉사활동 기피, 단장을 비롯한 간부들의 사명감 결여, 영적 지도자와 영적 지도 문제, 소공동체와 레지오의 마찰, 교육 문제, 규칙과 규율 문제, 지나친 친목, 물질 구제 문제와 자금 사용 문제, 노인·청소년·신학교 쁘레시디움 문제, 단원 모집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각각 살펴보고 해결방안을 알아보고자 한다.

 

1) 선교활동과 봉사활동 기피

한국 가톨릭 교회 공동체의 선교 실적이 낮아지고 있다. 이는 레지오 마리애 단원들이 주간 활동 의무를 다하지 않는 데 그 근본 원인이 있다고 본다. 

활동은 레지오 마리애의 본질이다. 레지오 마리애 주회합의 핵심은 활동보고와 활동배당이다. 주회합에서 묵주기도를 포함한 기도 시간보다 활동보고와 활동배당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길어야 한다. 

주회합의 3대 요소인 기도, 활동, 공부를 감안하여 주회합의 소요시간 기준을 한 시간 반으로 정한 것이다. 그런데 마치 쫓기듯이 주회합을 한 시간 이내에 해치우고, 곧바로 평일 미사에 참례하는 쁘레시디움이 많이 있는 것 같다. 활동보고 내용과 활동배당이 빈약하다 보니 주회합을 한 시간도 채우지 못하고 끝내는 것이다. 

형식적이고 소극적인 활동 때문에 연중 사업 보고서의 특기사항이 빈약하기 짝이 없다. 특기사항란이 아예 공백인 쁘레시디움도 있다. 1년 동안 특기할 만한 선교활동과 봉사활동을 전혀 하지 못했다는 뜻이다. 교본은 적극적인 활동을 위해서는 단원들이 모든 시간을 복무시간으로 여겨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다.

레지오 마리애는 성모님의 정신으로 복음화에 앞장서는 선교단체이므로 선교와 복음화 활동에 정성을 쏟아야 한다. 본당마다 쉬는 교우와 거주 미상자가 수두룩하여 큰 문제가 되지만, 사실 이러한 문제는 레지오 마리애가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한국 레지오 마리애 협의회는 이를 위한 사업을 점차적으로 연중 사업 계획에 넣어 본당과 교구 사목에 획기적인 업적을 세울 것을 제안한다.

 

2) 단장을 비롯한 간부들의 사명감 결여 

간부직이 부담스러워 서로 맡지 않으려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그저 평단원으로서 부담 없이 레지오 마리애 단원 생활을 하겠다는 것이다. 군대생활을 하면서 장교가 되기는 싫고 사병으로만 머물겠다는 말과 똑같다. 그래서 걸핏하면 레지오 마리애를 잘 모르는 신참 단원이 간부직을 떠맡게 되는 안타까운 사례가 여기저기서 생기고 있다. 모름지기 간부직은 성모님께서 직접 맡겼다고 여겨야 하는데도 그걸 모른다. 이를 순명 으로 받아들였을 때의 은총을 깨닫지 못하기 때문이다.

간부들이 잘못하면 쁘레시디움 전체가 잘못된다. 특히 레지오 마리애의 운명은 단장에게 달려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단장이 주회합에 자주 결석하거나 활동 계획서를 꼼꼼히 챙기지 않아 활동배당을 제대로 해주지 않는다든지, 단장 자신이 활동을 소홀히 하고 언행도 일치하지 않으면서 단원들 위에 군림하려 한다든지, 레지오 마리애에 대한 사랑과 열성 없이 타성에 젖어있다면, 그 쁘레시디움은 얼마 안 가 존폐 위기를 맞게 된다. 단원들이 하나 둘씩 퇴단하기 때문이다. 단장의 결정적인 결함은 단원들에게 악영향을 미치므로 그럴 경우 단장을 교체하여 물갈이가 되도록 해야 한다.

단장을 비롯한 간부들은 하느님께서 주신 재능을 땅에 묻지 말고 십분 활용해야 한다. 

 

3) 영적 지도자와 영적 지도 문제

레지오 마리애는 초창기부터 주회합에 사제를 영적 지도자로 모셨다. 레지오 마리애는 본당 사목의 협력기구이므로 대체로 영적 지도자들은 레지오 마리애를 사목적으로 적극 활용한다.

레지오 마리애의 제도와 규율에 따르면 영적 지도자도 쁘레시디움과 평의회의 당연직 간부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사목자들은 자신이 간부임을 잘 모르고 있다. 이것이 문제이다. 영적 지도자가 레지오 마리애의 간부라면 당연히 상급 평의회의 지시에 순명해야 할 의무를 지닌다. 그러나 사목자가 상급 평의회의 지시에 따라주면 좋지만 그 지시에 순명해야 할 의무는 없다. 오히려 영적 지도자가 레지오의 지단과 평의회를 설립하고 해체할 권한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단원들은 상급 평의회의 지시보다는, 주임신부가 직접적으로 지시한 사항이 있다면, 그것을 따르는 것이 더 중요하고 우선적이다. 따라서 주임신부가 레지오의 간부가 되는 제도는 문제가 있다고 본다. 

영적 지도자는 주회에 처음부터 끝까지 참석하여 묵주기도, 영적 독서, 까떼나, 선서 후 강복, 훈화, 회합의 마침 강복을 주도록 규정되어 있지만 그렇게 하기에는 역부족이다. 그렇다고 레지오 마리애가 지도신부의 관심과 사랑 없이 그냥 두어도 잘 되는 단체는 결코 아니다. 

그래서 주임신부는 보좌신부, 수녀 등 대리자에게 영적 지도를 일임하고 꼭 필요한 경우에만 참석한다. 쁘레시디움이 많은 레지오 마리애를 원활하게 관리하고 운영하려면 사목자가 꾸리아 간부 연석 월례회, 쁘레시디움 단장 연석 월례회를 개최하여 레지오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4) 소공동체와 레지오의 마찰

레지오 마리애가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활기를 잃고 침체되기 시작한 와중에 소공동체 운동이 일어났다. 물론 그 전부터 교회의 기반 조직인 구역, 반모임이 있었지만 소공동체 운동을 통해 조직이 더욱 강화되었다. 소공동체 교재를 통해 성서에 맛들이게 되고 구성원 간의 친목과 유대를 돈독히 하고 본당 공동체에 대한 신자들의 관심도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소공동체 운동은 모든 교구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소공동체가 없는 본당은 없을 것이다. 

이제는 전국 어느 본당이든 레지오 마리애가 존재한다는 말은 옛말이 되어가고 있다. 왜냐하면 소공동체를 선호하는 본당 사목자들이 레지오 마리애가 소공동체 운동에 적극 참여하지 않는 것을 보고 쁘레시디움과 평의회를 해체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소공동체와 레지오 마리애는 상호보완이 가능하다. 교회의 사명은 신자들의 성화와 선교활동이요, 레지오 마리애의 목적도 개인 성화와 선교활동이다. 그러므로 레지오 마리애를 해체하는 것은 교회의 사명 수행을 막는 것이며, 잘못된 일이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오히려 사목자는 본당의 소공동체 모임에 적극 참여하지 않거나 창설자의 정신에서 빗나가는 레지오 마리애를 바로잡아주고 본래의 정신을 되찾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소공동체와 레지오 마리애는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라 상호협조를 통한 상생의 관계로 정립되어야 한다.

 

5) 교육 문제

레지오 마리애는 창설자의 정신에 따라 간부와 단원들의 질적 향상을 위해 공부와 교육에도 정성을 쏟는다. 주회합에서는 영적독서, 훈화, 교본공부가 레지오 마리애의 일상적 교육에 해당된다. 교본공부를 위한 「교본 해설집」도 필요하고, 특히 「훈화집」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아무쪼록 한국 레지오 마리애 협의회의 노력으로 하루빨리 새 훈화집이 발간되어 영적 지도자와 단장의 애로사항을 해결해 주어야 할 것이다. 

주회합에서 하는 훈화와 짧은 교본공부만으로는 단원들의 질적 향상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레지오의 양적 팽창에 질적 수준이 따라가지 못하는 우리나라 실정에는 반드시 별도의 교육 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 특히, 레지오 마리애에 대해 아직 잘 모르는 단원들이 단장이나 간부직을 맡게 되는 실정에서 간부 양성교육은 대단히 중요하다. 따라서 1990년에 접어들어 세나뚜스나 레지아 주관으로 ‘레지오 마리애 학교’를 개설하였으며, 교육기간은 대개 매주 2시간씩 8-13주간이다(교구에 따라 명칭이나 기간이 다양함).

앞으로 세나뚜스 협의회에서 전국적인 레지오 마리애 교육 협의회를 결성하여 강사진을 폭넓게 활용한다면 레지오 교육에 획기적인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6) 규칙과 규율 문제

레지오 마리애는 규칙과 규율로써 군기를 확립하고 일사불란하게 운영된다. 규칙과 규율이 무시되면 군인정신이 해이해져 힘을 쓰지 못하는 군대가 되고 만다. 레지오 마리애는 규칙과 규율의 힘으로 지탱하기 때문에 모든 단원은 선서를 할 때 “레지오 규율에 온전히 복종하겠나이다.”라고 서약한다. 레지오 마리애의 규율과 규칙은 교본에 수록되어 있으며, 각 지역마다 달라서도 안 되고 임의로 바꿀 수도 없다. 그러나 교본에 구체적이고 세부적으로 명시되지 않은 규칙과 규율이 많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창설자의 의도와 관례를 감안하여 국가 평의회인 세나뚜스에서 결정을 하면 된다. 

규칙과 규율도 사람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므로 시대의 변천에 따라 법의 정신을 새롭게 다듬을 필요가 있다. 한국 레지오 마리애는 규율과 규칙에 집착하거나 문자에 얽매이기보다 탄력성, 융통성, 신축성을 갖고 끊임없이 변화하여 시대의 요청과 징표에 적응해야 한다. 마치 인터넷 시대에 인쇄매체에만 매달려서는 안 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레지오의 규정은 지켜져야 한다. 그러나 항상 예외는 있기 마련이고 시대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예수님께서는 율법을 중요시하셨지만 결코 율법주의자는 아니셨다. 그것이 바로 레지오 마리애 창설자의 정신이라고 할 수 있다.

 

7) 지나친 친목

레지오 마리애는 단원들이 활동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친목을 통한 단원들 간의 결속과 일치를 중요시한다. 창설자도 주회합이 끝나고 그 자리에서 잠깐 다과를 나누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단원들 간의 친목 도모를 소중하게 생각하였다.

레지오 마리애는 단원들이 ‘끼리끼리’ 사귀지 않고 ‘고루고루’ 사귀기를 바란다. 그것이 창설자의 정신이다. 그런데 오늘날 끼리끼리의 사귐이 지나친 것 같다. 단원들에게 바라는 레지오의 이상은 신심과 활동, 친교가 균형을 이루는 것이다. 단원들이 신심과 활동보다 친교에 더 큰 비중을 두게 되면 레지오 마리애는 무너지고 침체될 수밖에 없다. ‘회합은 짧게, 친교는 길게’라는 구호가 생길 정도로 단원들이 회합과 활동을 소홀히 하고 친교를 더 중요시한다. 저녁에 주회(週會)를 마치고 술자리를 마련한다는 뜻으로 형제들 간에 2차 주회(酒會)라는 말이 성행한 지 벌써 오래되었다. 자매들 간에도 비밀헌금 외에 친목을 위한 헌금을 별도로 갹출한다. 그리하여 레지오가 계모임처럼 끼리끼리 즐겁게 노는 친목단체로 전락하고 있다.

단원들 간의 지나치게 끈끈한 정이 오히려 레지오 마리애 정신을 좀먹고 공적인 일에 차질을 빚게 한다. 지나친 친목은 단원들이 공(公)과 사(私)를 분명하게 구별하지 못하게 만들고 순명정신을 약화시킨다. 레지오 마리애는 결코 친교 위주의 오합지졸 군대가 되어서는 안 된다.

 

8) 물질 구제 문제와 자금 사용 문제

레지오 마리애의 물질적 구제 금지 규정은 1921년 레지오 마리애 창설 주회합에서 결의된 것이다. 그것은 물질적 자선단체인 성 빈첸시오 아 바오로회와 부딪히는 것을 피하려는 취지였다. 프랭크 더프는 레지오 마리애가 비록 빈첸시오회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영신적 자선활동 단체임을 밝히고자 했다. 그는 물질적인 자선보다도 영신적인 자선을 더 중요하게 여겼던 것이다. 물론 레지오 마리애는 물질적 구제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으며 결코 가난한 사람들의 사정을 외면하지 않는다. 다만 레지오 마리애의 이름으로 비밀헌금을 사용하면서까지 직접적으로 물질 구제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영적인 활동만 한다는 규정 때문에 단원들이 당장 물질적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도움을 주지 못하고 때를 놓쳐버린다면, 그것은 사람을 죽이는 것이나 다름없는 율법이므로 고쳐야 한다.

레지오 마리애는 모든 이에게 영신적인 유익을 가져다 준다는 원리를 바탕으로 설립되었으므로 물질적인 영리를 추구하지 못하며, 단원들이 레지오 안에서 사리사욕을 추구할 수 없다. 단원들끼리 계모임을 하거나 금전관계를 맺거나 다단계 판매 등의 상행위를 하는 것은 레지오의 순수성을 저해하므로 결코 용납되지 않는다. 

레지오 마리애에 필요한 모든 경비와 자금은 오로지 단원들의 의무적인 비밀헌금에만 의존하며, 레지오 마리애의 기금은 성모님의 군자금이므로 레지오의 조직과 관리 운영, 사업에만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영적 지도자인 사목자는 레지오 마리애의 재정 문제만큼은 원래의 규정과 정신을 보존할 수 있도록 지도해 주기를 바란다. 

 

9) 노인·청소년·신학교 쁘레시디움 문제

행동단원이란 사도직 활동을 행동으로 옮기는 단원을 말한다. 노인으로 구성된 쁘레시디움은 사도직 활동을 하지 못하고 기도만 하기 때문에 더 이상 전투 부대가 아니고 기도 부대, 보급 부대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활동할 수 없는 노인 행동단원은 협조단원이 되도록 해야 한다. 그들이 세상을 떠나면 사목자와 협의하여 레지오 장례를 치르면 될 것이다. 그러나 레지오 장례도 기준이 있어야 한다. 한국 레지오 마리애 협의회에서 통일된 규정과 기준을 정해주어야 할 것이다. 

레지오 마리애는 청소년에게도 매력이 있는 단체가 되어야 한다. 청소년들은 미래 교회의 기둥이다. 그들의 단원생활은 공동체 의식 함양과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키우는 귀중한 훈련의 기회가 될 것이다. 성인 쁘레시디움과 평의회는 청소년 쁘레시디움 운영과 육성을 조직 체계의 일부로 여겨야 하며 재정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소년 레지오 마리애는 사제와 수도 성소의 못자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교본에서 창설자가 강조하듯이, 신학교에도 쁘레시디움이 있어야 한다. 한국 세나뚜스 협의회나 신학교가 있는 교구 평의회는 신학교 안에 쁘레시디움을 설립하도록 교섭하고 추진해야 한다. 과거에는 쁘레시디움이 있는 신학교도 있었다. 소년 쁘레시디움 출신 신학생들이 많이 있었던 것이다. 신학교 안에 레지오 마리애 지단이 있다면 훌륭한 영적 지도자의 양성소가 될 것이며, 교본공부 등의 학습활동을 통하여 레지오 마리애를 더 잘 알게 되고 기도와 봉사활동으로 성덕을 쌓고 영육의 건강도 유지하게 될 것이다. 

 

10) 단원 모집 문제

해가 갈수록 레지오 마리애 행동단원과 협조단원들의 숫자가 줄어들고 있다. 신자들도 입단을 꺼려하고 부담스러워 한다. 기존 단원들이 기쁨과 긍지를 가지지 못하고 마지못해 단원생활을 하기 때문이다. 단원이 됨으로써 좋은 점이 많고 은혜롭다면 레지오 마리애를 자신 있게 홍보할 수 있고 단원들을 더 많이 모집할 수 있을 것이다. 레지오 마리애의 행동단원이 되면 과연 어떤 혜택과 은총을 받는지 알아보자. 

레지오 마리애 단원은 개인 성화를 통하여 먼저 자신이 구원받고, 주간활동을 통하여 타인도 구원받게 함으로써 보람 있는 생애를 보내며 활동 대상자들에게 크나큰 위로와 용기를 주게 된다. 선교활동으로 한 명이라도 영세시키면 활동 대상자에게는 영신 생명의 은인이 된다. 레지오 마리애 단원이 되면 기도, 공부, 활동을 통하여 굳건하고 성숙한 신앙생활을 하게 되며 대인관계의 폭도 넓어진다. 

그리고 투철한 군인 정신과 프로 정신으로 불굴의 의지를 가지고 역경도 극복할 수 있으며, 기쁨과 감사의 삶, 구원의 삶을 살게 된다. 또한 성모 신심이 깊어지고 성모님의 덕성을 본받게 된다. 또한 성령 신심을 통해 성령의 열매를 맺는 생활을 하도록 인도된다. 단원으로서 열심히 활동하면 할수록 신체적인 건강도 유지하게 된다. 레지오 마리애 생활을 통하여 선종하는 은혜를 입게 되고 레지오 장례와 수없이 많은 위령미사의 혜택을 받게 된다. 이 모든 것이 레지오 마리애 단원들에게 주어지는 혜택이며 은총이다. 또한 이 모든 것이 창설자가 몸소 실천한 삶이다. 

 

3. 맺는 글

지금까지 레지오 마리애 창설자 프랭크 더프의 정신에 어긋나는 점을 짚어보며 해결방안을 나름대로 제시해 보았다. 레지오 마리애 단원들에 대한 창설자의 소망은 첫째로, 단원들 자신이 먼저 성화하여 구원받는 삶을 사는 것이고 둘째로, 단원들이 성모님의 정신과 덕성을 본받아 선교활동과 봉사활동을 통해 다른 사람들도 구원받는 삶을 살도록 이끎으로써 하느님께 영광을 드리는 것이다.

이 목적과 소망을 달성하려면 레지오 마리애 단원들은 주회합을 통하여 기도와 공부로써 정신을 무장하고 활동을 배당받아 적극적으로 주간활동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창설자는 행동과 실천이 수반된 개인 성화와 성모 신심을 강조하였다. 그는 레지오 회합의 핵심인 사도직 활동을 중심으로 기도하고 공부하며 친교를 나누도록 하였다. 따라서 행동단원(Active Member)이란 명칭을 활동단원으로 바꾸는 것이 더 나을 것이다. 

그리고 해가 갈수록 활동의 폭을 넓혀나가야 한다. 그런데 활동의 폭을 넓히기는커녕 오히려 단원들이 활동을 하지 않으려 하고, 먹고 즐기는 친교에 치중함으로써 스스로 위기를 자초하고 있다.

창설자의 정신은 그리스도 왕국을 확장하는 데 충성을 바치는 투철한 군인 정신이며, 또한 인류 구원을 위하여 끊임없는 기도와 사랑을 실천하는 성모님의 정신이다. 창설자의 정신은 참된 성모 신심의 정신이고 봉헌의 정신이다. 참된 성모 신심은 봉헌과 사도직 활동을 요구한다. 남미의 레지오 마리애 선교사 알피 램은 ‘레지오에 산다.’는 말을 자신의 좌우명으로 삼았다. 이 말은 레지오 마리애의 규율도 지키면서 레지오 마리애의 정신대로 산다는 것이다. 레지오 마리애의 정신대로 산다는 것은 창설자의 정신대로 사는 것이다. 단원들이 창설자의 정신대로 산다면 레지오 마리애는 다시 활성화되어 꾸준히 발전할 것이다.

한국 레지오 마리애 도입 50주년을 맞아 레지오 마리애 간부들과 단원들 모두가 자성하고 심기일전한다면 전성기를 다시 누릴 수 있을 것이고, 앞으로 75주년, 100주년도 기쁘게 기념할 수 있을 것이다.

 

사목자료 – 창설자의 정신으로 돌아가자 2003년 10월호 (제 297호)

본당의 날, 가라오케 blues

가라오케, Karaoke, ‘가라 오케스트라, 가짜 오케스트라’.. 참 준말의 귀재들, 일본아해들 말도 잘 만들었다. ‘축소지향의 일본인’들이라서 작지만 유용한 것들 잘도 만들었다. 밴드나 반주하는 악단 없이 노래와 율동을 마음껏 할 수 있는 sound system, 누가 마다하겠는가?  지나간 주일에는 이것과 연관된 일들이 두 번이나 겪었다. 노래를 불렀을 것이라 즐겁고 신나는 일들이었어야 하겠지만 결과는 정 반대다.

첫 번째 case가 지난 23일 일요일에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의 ‘본당의 날과 추석잔치’ 행사 중에 있었던 audio system near-disaster 였다. 이날의 행사는 내가 마리에타 사랑구역장이 된 이후 제일 진을 빼고 신경을 썼던 것으로 ‘불참하자고 징징 우는’ mere mortal, member들의 등을 떠밀며 강행했던 ‘노래와 율동’의 공연이었다.

 

 

다른 구역들의 공연내용을 보면 거의 모두 ‘가라오케’ audio 로 100% 율동을 하는 것으로 이날 이들은 목소리에 전혀 신경을 쓰지 않고 신나게 춤들을 추었다. 하지만 우리를 비롯한 소수의 그룹은 ‘vocal’에 초점이 맞추어진 것으로 microphone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요건에 속했다. 문제는 이날 sound system 을 맡은 ‘사목회’ (내가 보기에 ‘시로도’급)는 거창한 mixer를 포함한 wifi-youtube-karaoke 에는 시간을 썼지만 무대에 놓여진 몇 개의 microphone은 모두 ‘먹통’으로 방치해 놓은 것이었다.

 

 

미리 stage rehearsal을 했으면 이런 문제를 방지할 수 있었겠지만 때는 늦었다. 공연 무대에 올라가 악을 쓰고,  기타는 줄이 끊어질 정도로 노력했지만 결과는 ‘소리가 하나도 안 들린다’라는 혹평, 결국 우리도 ‘율동’만 관객에게 전해진 셈이 되었다. 도대체 누구의 잘못인가? 우리 구역 총책임자인 나도 책임을 면할 수 없었다. 미리 점검을 못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른 구역조차 같은 문제로 고생을 했으니 결국은 무대 연출 총 책임자가 그야말로 책임을 질 노릇이 아닌가?

두 번째 가라오케 disaster는 3명이 매월 마지막 목요일 밤에 모이는 ‘목요회’에서 있었다. 이것은 사실 그 정도로 놀랄 일은 못되었다. 3명 중 한 명이 노래방에 앉아서 침묵으로 일관을 한 것인데.. 정말 안타까운 노릇이 아닌가? 이날은 목요회가 모이기 시작한지 1주년이 되는 날이라 특별한 event를 만들고 싶었는데 아무리 우울하다고 해서 그 정도로 노력을 못 한다는 것이 놀랍기만 했다. 이날 비로소 나는 이 친구가 정말 심각한 정신적인 ‘병’을 앓고 있음을 실감할 수 있었고 무슨 ‘파격적인 수’를 써야겠다는 자괴감에 빠진 그런 목요회 1주년을 보냈다.

 

글 글, 글의 精粹

 

“이번에 글을 쓰면서 나는 이런 것을 생각해 봤읍니다. 즉 하나의 글은 한 인간을 이루고 있는 인격과 비슷하다는 것 말입니다. 나는 글의 내용을 글의 생명으로 보았고, 그 내용을 이루고 있는 사건들을 글의 몸에 비교해 보았읍니다. 그리고 그 사건들을 문장화하는 표현을 한 인간의 옷에 비유했었고, 또 그 표현의 테크닉을 그 사람이 지니고 있는 삶의 멋이라고 말할 수 없을까를 생각해 봤읍니다. 남에게 호감을 주고 또 존경 받는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훌륭한 인격과 좋은 몸매와 단정한 옷차림과 명랑하되 고상한 삶의 멋을 적절하게 가져야만 하듯이, 글이란 것도 그래야만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고마태오 신부, ‘영원의 방랑객’ 312쪽

 

어젯밤 거의 우연히 나의 손에 ‘잡힌’ 책, ‘존경하는’ 고 마태오 신부님의 장편 서사시적 실화소설 ‘영원의 방랑객’ 을 ‘난독’하며 나의 눈에 들어온 ‘글에 대한’ 글이다.

 

“트렁블레 신부가 술잔을 들자 나도 술잔을 들어 축배를 나누었다. 그리고 우리는 유쾌하게 웃었다. 그날 밤 나는 기분이 아주 좋았다. 그리고 나는 감격해 있었다. 가난한 집안에 태어나 학교라고는 왜정 시대 소학교밖에 다니지 못한 내가 프랑스어로 글을 쓰고, 그것이 곧 책으로 출판된다니 도무지 꿈인 것만 같았다. 하지만 그것은 엄연한 현실이었다. 이러한 현실을 실감하고 있을 때 내 마음은 흥분하지 않을 수 없었다.”

— 고마태오 신부, ‘영원의 방랑객’, 313쪽

 

국민학교 출신, 문학적 수업은 물론 국어교육조차 제대로 못 받았던 이 ‘전설적’인 고 (종옥)마태오 신부님이 한국어도 아닌 프랑스어로 책을 쓰시고 출판1하기 전에 밝힌 ‘글이란 무엇인가?’, 한 문단으로 집약된 신부님의 ‘글의 정수 精粹’ 론 論이다.

‘진짜 글’은 ‘한 인간의 인격’이다. 내용은 생명이고, 내용 중의 사건들은 몸, 문장화 된 표현은 옷, 표현의 기교는 삶의 멋..  이것이 신부님이 생각한 글의 모습이다. 간단히 말해서 글이 글다운 멋을 지니려면 그 저자도 함께 멋이 있어야 한다는 그런 것이 아닐까? ‘못된 인간’이 쓴 글은 어쩔 수 없이 ‘못된 글’이라는 비교적 자명한 사실을 확인해 주고 있는데, 이 고 마태오 신부님의 ‘잔인할 정도로 솔직한’ 자세는 그가 쓴 글에도 100% 그대로 남아있어서 가끔 나는 벌어진 입을 다물지 못할 정도다.

 

이것을 읽고 생각하며, ‘나의 글’을 되돌아 보게 된다. 지나간 거의 10년에 가까운 세월 동안 사적, 공적인 나의 글 (개인 일기 diary 와 블로그 public blog)을 가끔 읽게 되는데, 어떨 때는 ‘내가 어떻게 이런 글을 썼을까?’ 하고 부끄러운 감탄을 할 때도 있지만 대부분은 ‘좀 더 솔직히, 자세히..’ 라는 아쉬움도 많다. 특히 ‘자기 도취, 자기 연민’이 대부분인데, 한마디로 ‘삶의 사연들, 그것도 감동적인..’ 이 절대로 결여되어 있다. 이래서 글의 본질에 내용을 이루는 ‘사건’들을 잘 창조하고 이끌어 나가는 저자의 삶이 절대로 중요함을 느끼고, 위의 고 마태오 신부님은 그런 면에서 거의 신화에 가까운 ‘감동적 삶의 연속’을 경험하셨기에 ‘글의 정수’의 표본을 우리에게 보여 주신 것이 아닐까?

열대성 기후가 아직도 섞여있는 2018년 초가을, 날씨 탓도 있지만 이렇게 나의 머리가 정리되지 못한 혼탁한 상태에서 우연히 다시 손에 ‘걸린’ 이 책 속의 ‘인간애의 표본’ 고 마태오 신부님.. 아직도 살아 계셨으면 당장 비행기라도 타고 가서 뵙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 ‘하느님은 사랑이시다, 라는 간단하지만 어려운 말을 그대로 일생을 통해 실천하신 고 마태오 신부님, 영원히 사랑합니다. ‘글로 표현이 되지 못한 생각은 진정한 생각이 아니다’ 라는 명언을 생각하며, 나도 좀 더 솔직하고 꾸밈없고 용기 있는 글을 쓸 수 있는 하느님의 은총을 기다리며, 습기가 사라진 진정한 가을하늘을 기다려본다.

  1. 프랑스어 제목: ‘모든 길을 신에게로’, 후에 출판된 한국어판 제목: ‘예수 없는 십자가

Autumn too far..

¶  가을은 도대체 언제, 어디에? 올해의 9월 초순은 유별나게 더운 느낌이고 사실 실제로도 그렇다. 하지만 나의 불평은 햇살 따가운 그런 것이 아니라 장마 뒤의 끈끈한 그런 날씨의 연속이라는 사실이다. 거의 매년 날씨의 느낌을 개인 일기로 남긴 탓에 나는 계속 작년 이맘때와 일일이 비교를 하는 ‘함정’에 빠진다. 작년의 9월은 Nine-Eleven (2001년 9월 11일)의 그때와 거의 비슷하게 바짝 마른 시퍼런 하늘의 연속이었다. 나는 그런 9월 초순을 기대하였는지도 모르지만 실제로는 정 반대가 되었다.

이런 때, 즉 여름 같은 느낌의 9월을 느끼게 되면, 빠지지 않고 잊지 않고 떠오르는 9월의 날씨는 1968년의 9월 서울에 살 때의 기억이다.  연세대 2학년 2학기가 시작 되었던 때, 그렇게 재미있던 학교공부가 갑자기 시시하게 느껴지고 연세대 입구에 즐비한 다방에 앉아서 pop song에 심취되고, 그 당시에 시작된 어떤 학생 클럽(남과 여)에 거의 모든 시간을 ‘낭비’하던 시절이었다. 지금 생각하면 조금은 철없는 듯 하지만 절대로 후회를 할 수 없다. 그 때는 아무리 생각해도 인생에서 두 번 다시 없는 가장 ‘즐거운, 추억을 남길 수 있는 때’ 였으니까.. 신촌 로터리에서 이대 쪽으로 가는 언덕길에서 ‘클럽 뉴스’를 등사 service 하는 집에 부탁하고 시내버스를 기다리던 때, 9월 중순 무렵, 엄청 더웠다. 바로 지금 내가 겪는 그런 날씨였다. 그 이후 나는 ‘더운 9월’을 맞이하면 그때 그 길에 있었던 ‘등사 service’1하던 집을 회상하곤 한다. 아마도 지금 같았으면 집에서 Microsoft Word로 편집을 해서 집에서 print하거나 email로 회원들에게 보냈을 것이지만.. 50년 전에는 이렇게 모든 것이 ‘느리지만 너무나 인간적’인 그런 시절이었다.

오랜 만에 들어보는 단어 hurricane, 이것도 꽤 기억에서 희미해 진 것이다. Global warming 과 함께 익숙했던 이것, 이것이 올해는 생각보다 가까이 왔다. 바로 옆에 위치한 Carolina (주로 North)로 들이 닥친 것이다. Hurricane Florence.. 여자의 이름, 줄여서 Flo라고 했던가. Carolina 사람들은 무섭고 귀찮겠지만 안전한 거리에 있는 이곳 (Metro Atlanta) 에서는 그저 ‘시원한 북쪽의 공기’를 이곳으로 보내주고 시원하고 잔잔한 비나 좀 많이 뿌려주기를 바랄 정도다.

 

¶  2018년 9월 8일, 끈끈한 구름 속으로 작열하는 태양의 열기가 대단한 9월 초, 올해의 9월은 작년의 그것과 이렇게 다른가… 작년의 daily (personal)  journal을 보면 습기가 완전히 빠져나간 파란 초가을의 풍경이 생각이 나는데.. 비까지 그친 날씨 아래 흙먼지가 뽀얗게 일어나는 올해의 backyard는 그렇게 예쁜 모습이 아니다.

오늘은 사실 교회력으로 ‘성모님의 탄생축일’인데도 불구하고 아침미사를 거르게 되었다. 큰 이유가 있는 것도 아니고 그저 ‘귀중한 아침의 시간’을 집에서 보내고 싶다는 유혹을 이기지 못했던 것 뿐이다. 사실 이런 아주 작은 유혹들에게 넘어가면 결과는 예측불허다. 경험을 통해서 어찌 모르랴… 관건은 이 작은 유혹에서 더 이상 후퇴를 안 하는 것이다.

달력을 앞뒤로 보니 내주 화요일이 9월 11일… 2001년 9월 11일… 나인원원… 갑자기 몸이 움츠려 든다. 기분이 갑자기 나빠지고 쳐진다. 어느 누군가 안 그럴까? ‘그 당시 당신은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었나?’ 라는 질문이 나에게 떨어질 듯한 기분을 느낀다. ‘악의 실재’를 처음으로 체험한 날을 어찌 누가 잊겠는가? 기분이 또 쳐진다.

  1. 당시에 print물을 copy하려면 거의 등사란 것을 해야 했다. 복사기(copier) 가 없거나 너무나 비쌌기 때문이다.

‘자비의 모후’ 단장으로..

9월 4일, 내가 8년 동안 몸담고, 나름대로는 헌신적으로 봉사했던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소속 레지오 쁘레시디움1 ‘자비의 모후’ 의 단장이 되었다. 2011년 초 입단선서 이후 거의 8년 동안 회계 2년, 서기 6년을 맡았는데 그것들의 임기가 모두 다 끝난 것이다. 그 동안 세월이 그렇게 흐른 것에 놀랐다.

물론 나의 다음 일은 ‘피할 수 없는 운명’, 단장직이라는 것을 모를 리가 없었고, 지난 8년 동안 ‘그저 하라는 것은 묻지도 말고 따르자’ 하는 순명의 자세로 임하면 된다고 생각을 하며 이 시점을 맞았지만,  생각지도 않았던 ‘묘한 timing’ 이 아주 신경이 쓰였다. 예상치도 않게 지난 7월부터 성당 구역장이 된 것, 생각보다 신경 쓸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니고 거의 모두가 ‘사람과의 관계’에 대한 것으로, 그 동안 조용하게 살았던 생활방식이 송두리 채 바뀌고 있는 바로 그런 시점에 또 다른 ‘장 長 자리’에 앉게 된 것이다. 어떤 장 長 자리가 더 중요한 것인가? 왜 칠순이 넘은 나이에 이런 일들이 나에게 온 것인가? 하지만 깊이 생각할 겨를이 없다. 그 정도로 몸과 마음이 바빠진 것이다.

단장의 임무 중에 제일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레지오의 운명, 발전과 성패는 단장에게 달려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라는 말로 임무의 중요성은 알겠지만 문제는 이런 중차대한 임무를 어떻게 구체적으로 이룰 수 있는가 하는 것이 아닐까? 서기직을 6년 동안 하면서 대강 단장의 일을 옆에서 보아 왔기에 익숙해 졌다고 생각은 하지만 일단 맡고 시작을 해보니 생소하게만 느껴진다.

일단 ‘성모님의 부탁’을 받았으니 나름대로 계획을 세우고 3년을 마칠 각오는 되어있지만 우선 처리해야 할 중차대한 안건이 나의 머리를 떠나지 않는다. 그 동안 우리를 괴롭히고 분열시키려고 했던 ‘두 명의 독소 毒素 적 현, 전 단원’을 징계하고 탄핵하는 일, 바로 그것이다.

  1. 레지오 마리애 조직, 군대의 분대 격

Hectic August, Weekend Mechanic

¶  Busiest ever, unsettling August 2018:저물어가는 8월의 작열하는 석양을 며칠 째 보며 무언가 바쁘고 힘들고 무거운 느낌을 주는 한 달이 나를 이제 완전히 지나가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무거운 느낌은 무엇인가? 어깨도, 머리도, 몸 전체가 무거운 것도 있지만 그것보다는 심리적, 영적으로 무언가 차분하지 못한, 안정이 안 된, 그런 생각들이 나의 8월 달에 일어났던 모든 일들을 더욱 무겁게 느끼게 한다.

근래 나의 기억력을 매일 매일 정직하게 지켜주는 desktop calendar & journal 을 보면 더 쓸 곳이 없을 정도로 무언가 깨알 같은 글씨로 가득 차있다. 그만큼 나는 바빴던 것인가? 정신적, 육체적으로 정말 정신이 거의 없었음이 이 ‘깨알 글씨’가 적나라 하게 보여주고 있다. ‘힘들다’ 와 ‘보람 있다, 가슴이 뿌듯하다’ 라는 감정이 거의 한달 간 교차하며 지속 되었다. ‘소싯적’에 나는 이렇게 짜여진 스케줄을 따르는 ‘바쁜 일정’을 별로 경험하지 못하고 살았음을 뚜렷하게 기억하고 있기에 신명이 나기도 한다. 한마디로 최근 나의 role model의 한 분으로 떠오른 안득수 마리오 형제님, 안박사님의 책 제목처럼 ‘어떻게 나에게 이런 일이’ 라는 탄성이 나온다. 속으로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라는 말도 저절로 나온다. 솔직히 ‘이제 죽어도 큰 여한이 없다’라는 과장된 느낌도 드는 것이다.

 

¶  Socket Wrench time: 2000년 대 우리 집의 ‘효자’노릇1을 오랫동안 했던 1999 6-cylinder Plymouth Voyager, the minivan 현재는 garage앞의 driveway 에서 은퇴한 듯 졸며 쉬고 있지만 완전히 retire를 한 것은 아니다. 매년 emission test도 받고 비상시와 무거운 것들을 나를 때 쓰기도 한다. 보험과 tag fee등을 생각하면 ‘처치’ 할까 하는 생각이 없는 것은 아니나 independent한 lifestyle을 원한다면 아직은 필요한 물건이다. 한가지 귀찮은 문제는 비록 drive를 거의 하지는 않아도 ageing 에 따르는 ‘낙후 고장’은 막을 도리가 없다.

지난 8월 중순 경 구역장 연수회에 혼자 가는데 이 차가 필요한 때가 왔는데 하필이면 바로 그 즈음 큰 문제가 생긴 것을 ‘우연히’ 알게 되었다. 이것을 이때 몰랐으면 망망대해 freeway에서 차가 서버리는 사태가 생겼을 것이다.  Battery를 charge 충전하는데 필요한 alternator가 고장 난 것이다.  이것이 없으면 engine이 start는 해도 drive 중에 모든 electrical power가 죽어버리는 귀찮은 사고가 난다.

설상가상으로 얼마 전 비가 올 때 유리창을 닦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windshield wiper (이거 한글로 뭐라고 하나?)  가 갑자기 서 버렸다. 분명히 wiper motor가 죽었을 듯 하다. 소낙비가 자주오니 이런 상태로는 집을 떠나기가 겁난다. 이외에도 앞쪽의 tire 하나의 바람이 아주 서서히 샌다. 1-2주일에 현저하게 공기가 빠지는 것이다.

이런 것들, 차가 없으면 꼼짝 못하는 아틀란타에서 한마디로 귀찮은 일들이다. 생각을 한다. 이럴 때는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제일 현명한 것일까?  별로 쓰지 않는 차에 $$$를 쓰는 것은 나의 구미에 당기질 않는다. 그렇다면 방법은 한 가지뿐, 내가 손을 보는 것이다. 이런 것, weekend mechanic이라고 하던가… 하도 오래 전에 해 본 일들이라 거의 다 잊고 살았다.

비록 바쁜 와중이지만 이런 일은 나의 머리를 완전히 ‘공돌이’쪽으로 바꾸어 주기에 그 나름대로 매력이 있다. 그래서 부지런히 공부를 하기 시작했다. 만능박사 YouTube의 도움도 받았고, 그 동안 거의 쓰지 않아서 찾을 수가 없는 socket wrench (ratchet) set에도 투자를 해서 2주일간에 걸쳐서 ‘천천히’ 모든 일을 끝냈다. 내가 다 고친 것이다. 비용을 제외하고 아마도 $500 이상은 save하지 않았을까? 하지만 그만큼 고생을 한 것은 말할 나위가 없다.

 

찌는 듯한 늦여름에 나는 팔을 걷어 부치고 hood를 열었다

천신만고 끝에 ‘죽어버린’ alternator를 빼내었다. 예상외로 힘든 작업이 바로 특수공구 부족.. 그것이었다.

빗까번쩍 한 새 alternator를 넣는 것이 오히려 덜 힘들었다.

새로 교체한 alternator는 예상대로 14V+ 이상을 ‘발전’ 하고 있었다!

Windshield wiper assembly를 꺼집어 내어서 ‘죽은’ motor를 빼 내었다

새 wiper motor로 교체된 wiper assembly가 제 자리를 잡은 후, 큰 문제가 없었다!

천천히 새는 tire, 정말 그 새는 곳을 찾는 것, 귀찮은 일이다. 결국은 찾고 plug으로 고치는 것, 시간이 꽤 들었다

내친 김에 battery (dis)connector 를 battery에 설치했다. 이것으로 오랫동안 차를 안 쓸 때 이것으로 battery가 방전됨을 막을 수 있다

 

  1. 이 차는 그야말로 우리 가족을 위해 참 많이 달려주었다. 특히 여행을 갈 때 널찍한 공간으로 고마움을 많이 느끼곤 했다.

At Fort Yargo

 

Peaceful, serene Fort Yargo State Park

 

Workshop at Fort Yargo: 이런 색다른 workshop 에 마지막으로 가본 것이 언제였을까? 암만 머리를 굴려도 이런 모임에 가본 적은 없는 것 같다. Workshop이니까 무엇을 배우러 간 것인데, 특색은 하룻밤을  Fort Yargo State Park resort cabin에 20여명 이상의 가톨릭 신자 형제, 자매들이 모여서 ‘놀고, 나누고, 배우는’ 그런 것으로 끝나고 난 지금도 사실  아직도 머리가 제대로 정리가 되지 않은 상태다.

이’구역장 workshop’ 은 2018년도의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구역장들이 신부님, 사목회장단 들과 모여서 어떻게 성당을 구역 중심으로 효과적으로 운영을 하는가에 대해서 공부하는 좋은 기회인데, 특별히 나 같이 ‘경험이 전혀 없는 구역장’에게는 시기적으로 적절한 모임이었다.

하지만 문제는 역시 ‘귀찮다’ 라는 외침이 마음 속 깊은 곳에서 나를 유혹하는 것, 이 칠십의 나이에 전혀 모르는, 그것도 대부분 나보다 젊은 사람들 사이에 끼어서 그것도 하루 밤을 자면서.. 그것도 신부님, 자매님들도 같이… 우아~ 싫다, 갑자기 귀찮아진 느낌을 떨칠 수가 없었지만 역시 ‘레지오 성모님에게 등을 떠밀려’ 각오를 단단히 한 자세로 이 모임을 받아들였다.

 

Cabins at Fort Yargo

Fully nicely furnished cabin interior

 

1박 2일 예정의 이 workshop의 첫 날(밤)은 사실 친교(나눔과 여흥)로 거의 밤잠을 설칠 정도였는데, 서로 잘 모르는 구역장들이 친숙해지려면 이 방법도 좋을 듯 했다. 이 친교가 끝나고 난 후에는 거의 모든 참가자들이 거의 친구처럼 느껴질 정도였으니까..  이날 밤 여흥 순서는 예측대로 노래방에 간 듯한 느낌이었고 가끔 신부님도 기타를 치고, 노래를 부르며 분위기를 이끌었다.

이날 전에 듣던 대로 신부님의 기타 style을 목격할 수 있었다. Strumming이 상당한 수준급이었고 노래의 chord는 거의  암기한 듯 했다. 그러니까 혼자서 기타를 많이 치시는 듯 했다.  모든 사람들, 돌아가며 mic 를 잡고 신들린 듯 가라오케 노래, 춤을 추었다. 나의 차례가 오자 난감한 나에게는 역시 몇 곡의 익숙한 노래와, 통 guitar밖에 없었고, 신부님 기타를 빌려 70년대의  ‘젊은 연인들’을 불렀는데 갑자기 바뀐 70/80 style 노래의 느낌에 모두들 놀란 눈치였지만 많은 박수를 받기도 했다. 하지만 속으로는, 칠순의 나이에 ‘젊은 연인들’을 부르는 것, 웃기는 것 아닌가 하는 어색함은 떨칠 수가 없었다.

다음 날 하루 종일 교회에서 구역의 의미와 운영에 대한 심도 있는 workshop이 진행되었고 나는 이때 실질적인 문제에 대한 많은 조언, 경험담, 해결책 등 을 접할 수 있었다. 나에게 당장 떨어진 우리구역 운영에 대한 것이라 실감나게 곧 써먹을 수 있는 각종 tip을 얻은 셈인데 이것으로 비록 밤잠을 거의 못 잔 피로감은 엄습했지만 참가하길 너무 잘했다는 안도감으로 위로를 받았다.

앞으로 나는 ‘경험이 전혀 없는’ 신 구역장으로 20명 내외의 구역식구들을 이끌고 본당의 날 행사에 참가해야 하는 ‘무거운 일’이 기다리고 있다. 하지만 결과에 너무 연연하지 않고 최선을 다해서 노력을 하는 것, 그것이 나의 목표다.

자비의 모후 1,000차 주회합..

¶  레지오 ‘연 年’ 피정:  안정호 이시도르 예수회 신부님이 지도한 2018년 레지오 연 피정이 “그리스도 내 안에 형성될 때까지 성모님과 함께!” 라는 주제로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에서 3일 동안 있었다. 처음 이틀간은 레지오 단원을 위한 것이고 마지막 날 일요일은 전 신자 대상의 강론이었다. 10여 년 전 주임신부로 계셨던 안 신부님, 이날 환영의 열기를 보니 정말 대단한 인기였음을 알게 되기도 했다.

하지만 가뜩이나 지난 달부터 피곤한 나날을 보낸 우리에게 이번 3일 피정 스케줄은 사실 부담이 아닐 수 없었다. 또한 솔직히 말해서 피정의 ‘강론 부분’에 대해서 큰 기대를 하지 않았다. 오랜 전에 경험한 안 신부님의 강론 스타일을 기억해서 그랬는지도 모른다.  점심식사 후에 듣는 강론은 아무리 흥미가 있어도 졸리게 마련이다. 하지만 이것은 우리의 우려에 불과했다.

한마디로 예상을 뒤엎는 결과적으로 너무나 만족스런 피정이 되었다. 결론적으로 예전의 안 신부님이 아니었다. 그 동안 이 신부님 많은 영적인 경험을 거친 더욱 성숙한 사제가 되어 있었다. 믿음과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힘찬 강론에 간간히 ‘이상하지 않은’ 유머러스 한 일화들.. 어찌 일초라도 졸 수가 있겠는가?

게다가 레지오 단원들을 조준 겨냥한 심도 깊은 ‘경고’는 최근에 힘이 빠지는 듯한 일반적 레지오에 대한 장래에도 희망이 있다는 것을 일깨워 주었다. 현재 아틀란타 순교자성당 소속 레지오가 겪고 있는 ‘실존위기’를 의식하셨는지는 모르겠지만 timing이 아주 정확했다. “레지오 단원들이여, 깊은 잠에서 깨어나라” 는 것을 현대 사회심리학적인 각도로 재 조명한 강론은 정말 기억에 남을만한 명강론이었다.

 

¶  YMCA, YMCA!  오늘 오랜만에 YMCA gym엘 갔다. 무언가 생활이 정상 routine으로 돌아왔다는 것을 느낀다. 꽤 오랜만이라는 생각은 들었지만 정확하게 얼마만인지는 전혀 idea가 없다. 달력을 보니 (요새는 달력을 안 보면 전혀 알 수가..) 지난 달 23일이 마지막이었다. 그러니까 2주가 넘게 우리는 운동을 못한 것이다.

보통 일주일에 평균 2~3 번 정도는 가는데 꽤 오래 쉰 것이다. 매년 여름이면 사실 가끔 ‘우리도 쉬자, 방학이다’ 라는 기분으로 쉬기도 하고 YMCA swimming pool을 deep cleaning한다고 해서 쉬기도 했지만 2주 이상 쉰 기억이 없어서 이번은 예외적이다. 이유는 두 가지: (1) 너무나 바빠서, (2) 너무나 피곤해서..  하기야 바쁘니까 피곤한 것이지만 이번은 조금 그 정도가 심했다.

장례식, 레지오 점심봉사 이틀 중노동, car maintenance service trip, 이목사님 부부 외식, 거기다 3일간 레지오피정, 1,000차 레지오 주회합 기념 주회.. 와~~ 이 정도면 우리 나이에서는 피곤한 일정이었다. 하지만 운동을 너무 오래 쉬는 것은 피로가 풀리는 것이 아니라,  더 쌓이게 한다는 것도 이번에 깨달았다.

 

¶  자비의 모후 1,000차 주 회합: 이번 주 우리 성모님의 군대,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자비의 모후가 드디어 1,000차 주 회합을 맞았다. 일주일씩 모이는 주회합 1,000차.. 일년이 52주니까, 거의 20년의 세월이 아닌가? 내가 입단한 것이 8년 전쯤이니까 그 이전에도 12년 여의 역사가 있었다니 참  장구한 세월을 ‘견디어’ 온 것이다.

이 레지오의 운명은 사실 보장된 것이 없다. 언제고 문제가 있으면 하루 아침에 사라질 수도 있다. 비록 성모 마리아를 ‘총사령관’으로 삼고 있지만 일시적 인간의 방해공작으로 깨질 수 있다. 지나간 8년 동안 내가 겪었던 ‘해체 위기’는 3번 있었지만 작년 8월 말의 ‘더러운 사건, 일명 레지오 미친년 난동사건 이 가장 치명적이었다. 그때 나는 정말 자비의 모후가 사라지는 줄 알았다. 하지만 그 순간부터 자비의 모후 가장 빛나는 역사가 시작되었음을 몰랐다. ‘악’의 치명타를 견뎌내고 일어섰고 감격적인 1,000 차 주 회합을 맞은 것이다.

이날을 기념하기 위해서 처음에는 간단하게 미사예물 정도 봉헌하는 것으로 끝낼까 했지만 생각을 바꾸어 ‘의도적 과시 誇示‘를 위해서 ‘외부인사’를 초청하고 그들과 함께 기념 주 회합을 하고, 미사가 끝나고 근처 화식집 ‘만천홍’에 가서 푸짐하게 회식하며 기념 주회를 끝냈다.  이날 초청된 ‘인사’는 자비의 모후 창단 간부단원, 내가 입단 할 때의 단장, 부단장님 등이었는데, 이때 창단 시절의 얘기들도 듣기도 했다. 꾸리아에서도 각별히 신경을 써서 축하 떡도 보내주고 1,000차 기념 banner도 제공하였다. 아마도 ‘너무나 어려운 위기를 넘긴’ 사실을 감안했던 것은 아닐까 추측을 한다.  하지만 작년에 당한 상처는 아직도 아물지 않았고, 최소한 나는 절대로 그 사건을 잊지 않을 것이다.

 

장마 아틀란타 斷想

¶  Waning Summer, already? 오늘 이른 아침 일년 365일 매일 하는 대로 바로 전에 켜진 전깃불 (6시 30분에 켜진다)을 의식하며 아래층 내 서재로 내려오는데 기억에도 조금 희미한 ‘싸늘함’을 느꼈다. 서재로 가니 써늘함을 더한 듯 느껴지고.. 아마도 올 여름 시작되고 처음 맛보는 싸늘함이었던가? 긴 바지가 어디에 있더라는 생각도 스쳤다.

그리고 달력을 보니 8월 3일.. 어찌된 일인가? 8월 초밖에 안 되었는데. 그리고 생각하니 며칠 전에 노오란 school bus가 아침에 동네를 오가는 것을 보았는데… 아이들이 집에 없어서, 학교들이 개학을 하는 것도 잊었나? 그렇구나.. 올해의 여름도 서서히 물러가는구나.. 한 계절이 서서히 또 물러가는데, 나는 무엇을 하고 살았나? 아마도 비가 며칠 동안 계속 내려서 태양의 열기가 땅에서 거의 사라진 결과로 이렇게 싸늘함을 느끼고 있는 것이다. 다시 열기는 돌아오겠지만 며칠 뒤는 입추, 그 뒤로 말복이 가까워오고.. 한마디  올 여름도 서서히 늙어가고 있는 것이다. 가을의 그림을 상상하는 것, 이 시점에서 그렇게 조급하고 이상한 것이 아니다.

 

 

¶  장마 단상 斷想:  비가 억수로 쏟아진다. 가끔은 폭포수 같이 퍼붓는다. 비를 워낙 좋아하는 나지만 어떤 순간에는 조금 겁이 난다. 혹시 우리 집에 홍수가 나는 것은 아닌가? 물론 우리 집은 우리 동네에서 낮지만 언덕 비슷한 곳에 있기에 심각하게 걱정하지는 않는다. 문제는 이런 억수, 장대배가 며칠 째 내린다는 사실이다. 오늘도 예외 없이 꽤 내리고 있다. 가끔 보슬비로 변하기도 하지만 끊임없이 줄기차게 내린다.

반세기전 나를 낳아준 어머니 대한민국에서 경험했던 장마라는 단어가 머리에 떠오른다. 요새도 그곳에 장마라는 것이 있을까? 50년이면 기후 system도 변할 수 있는 것일까? 들리는 얘기로 예전보다 조금은 더워졌다고 한다. 거의 ‘아열대성 subtropical’ 이라던가… 속으로 ‘설마’ 하는 생각도 든다. 기억에 7월 초부터 시작되었던 기억, 폭우가 쏟아지는 것보다는 그저 ‘구질구질’ ‘오락가락’하는 것만 두뇌 기억세포에 남아있다.

요새 이곳의 ‘장마’, 이것이 진짜 장마가 아닐까? 그 옛날 ‘장마의 기억’에 ‘남태평양의 열대성 저기압’ 어쩌구 했는데 이곳은 ‘멕시코 만의 열대성 저기압’으로 바뀐 것 뿐이다. 그 옛날의 장마는 젊었던 20대 초 혈기에 답답한 나날들이었다. 유일한 ‘밖의 휴식처, 다방’ 이라도 가려고 밖으로 나가려면 ‘구질구질’한 시내버스에 시달려야 하고, 조금 더 신나는 도봉산 등산도 비 속에선 너무나 처량맞은 것이다. 조그만 나의 온돌 방에 누워서 무언가 하려면 없는 것 투성이.. PC, 인터넷, smart-phone, cable TV.. 비슷한 것은 고사하고 cassette recorder도 희귀하던 시절, 그저 유일한 것은 흑백TV와 radio, Stereo recorder player정도로 정말 만사가 simple했던 시절. 하지만 나이 탓에 모든 것들이 신기하고 즐거웠던 시절이기도 했다. 이렇게 반세기를 뛰어넘는 두 종류의 장마를 비교할 수 있는 것, 역시 반세기를 뚜렷하게 비교할 수 있는 나이와 능력을 가진 사람만의 특권이다. 이렇게 세상은 공평한 것이다.

 

¶  Depression? 며칠간 우울한 느낌의 횟수가 부쩍 늘어간다. 느낌뿐이 아니고 육체적으로도 피곤함의 횟수가 잦아지고.. 결과적으로 매사의 능률은 떨어지고 기쁨도 횟수도 같이 떨어진다. 왜 그럴까?  나이를 의식하지 않고 코앞에 다가온 것들을 처리하는데 문제가 있었나?

예를 들면 지난 주말 이틀 연속으로 레지오 점심봉사에 매달렸던 것은 피곤했지만 보람을 느꼈지만,  ‘아마도’ 70의 나이에 조금은 무리였을지도 모르고 7월 중에 있었던 구역미사 준비 차 육체적으로 힘든 일을 했던 것 등으로 피로가 쌓인 것은 아닐까?  혹시 골머리를 썩힌 것이 있었나? 7월 초부터 맡고 있는 구역장의 임무에 너무 신경을 쓰는 것은 아닌가?

사실 처음으로 경험하는 group leadership은 보람 반, 고민,실망 반 정도로 진행 중이지만, 어느 정도 self-control에 단련이 된 내가 조그만, 사소한 걱정거리로 휘청거릴 수는 없다. 그렇다면 다른 걱정, 고민거리가 나를 우울하게 만들었던 것인가? 있었다.

잊으려고 안간힘을 쓰던 것… 나의 친구, 영혼의 짝.. Tobey가 내 옆에서 영원히 떠난 것.. 바로 그것이었다. 그것이 나의 잠재의식 깊은 속에서 움직이지 않고 있었던 것, 이제야 인정을 한다. 충분히 나는 울지도 슬퍼하지도 못했던 것일지도 모른다. 문득 문득 내 옆에 없다는 것을 의식하면 미칠 듯하지만 곧바로 감정을 덮어버리곤 했으니까.. 결론은 한가지.. 세월과 시간 바로 그것이고 슬픔과 눈물을 감추지 않는 그것이 올바른 처방약이라는 사실.

 

¶  Sushi Yoko: 스시 요꼬, 스시 전문집 이름이 요꼬라는 뜻일까? 알고 보니 일본인이 경영하는 일본식당이었다. 요새 일본식당은 거의 비일본인들이 경영을 하는데 이런 집은 희귀한 case가 아닐까?  오래 전부터 Peachtree Industrial Blvd를 North로 drive하다 보면 바른 쪽으로 그 간판을 본 적은 있었지만 그것이 전부였다. 거의 정기적으로 만나게 되는 이(동수)목사 부부, 이번에는 목사님의 제안으로 그곳에서 만나 점심식사를 했다.

 

 

지난 3월 초 이후 처음이니 거의 5개월 만난 목사님 부부, 무언가 더 밝아진 느낌을 받았다. 이날의 대화는 조금 더 일반적인 신앙적, 사회적이 화제로 소화하기에 큰 무리도 없었다. 비록 개신교와 천주교의 대화지만 전혀 문제가 없다. 이목사님은 이날도 ‘귀향’에 대한 희망을 피력하였다. 귀향이란 말, 참 매력적이고 감상적으로 들릴 수 있지만 실제로 생각처럼 쉬운 것일까. 하지만 희망은 언제나 좋은 것, 꿈일 수도 있지만 없는 것보다 낫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이날 경험한 스시요꼬의 맛은 만족스런 것이었다. 스시도  ‘진짜’ 스시처럼 느껴지고 내가 처음 먹어본 나가사끼 짬뽕 (Nagasaki Chanpon)은 한마디로 색다른 부드러운 그런 맛으로 중국식 그것과는 완전히 다른 하나도 맵지 않은 그야말로 일본냄새가 나는 것이었다.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과 비교적 가까워서 ‘값이 엄청 오른1‘ 한국식당대신 앞으로 이곳을 찾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식사 후 역시 가까운 곳에 있고, 실내가 운동장처럼 넓은 Bakery Mozart에 가서 못다한 이야기와 ‘붕어빵‘ coffee로 이날 즐거운 만남을 끝냈다. 다음 만나는 시기는 언제인가.. 아마도 하얀 눈이 연상되는 대림절 12월 쯤이 아닐까?

 

¶  Car Connex Time: 거의 한 달을 미루어오던 2009 Hyundai Sonata 100,000 mile checkup을 이제야 하게 되었다. 오래 전의 기억에 차가  100,000 mile이 넘으면 수명이 거의 다 되었다고들 했지만 차 만드는 기술이 발전해서 요새는 그것보다 훨씬 오래 탄다고 들었다. ‘멋진 차, 고급 차’에 별로 관심이 없지만 나이에 걸맞고, 안전한 그런 차에는 관심이 있다. 물론 우리의 $$수준에 맞아야 한다.

현재의 차 Hyundai Sonata는 지난 9년 동안 우리 부부에게 별로 고장 없는 거의 완벽한 (transportation) service를 해주었다. 우리는 ‘효자‘라고 부르기도 한다. Mr. Won (owner, master mechanic)은 우리 차가 비교적 ‘얌전하게’ 유지되었기에, 앞으로 몇 년간 큰 문제가 없을 거라고 한다. 생각에 2~3년 정도 뒤 쯤에 새 차를 살까 하지만 요새의 새 차 값을 보니 장난이 아니어서 심각한 budgeting을 하여야 할 듯하다.

 

  1. 또라이 트럼프 무역관세 덕분에 엄청 오른 중국산 때문인가..

7월 말, 흐린 여름날에..

¶  서서히 길어지는 밤:   7월, 그것도 30일.. 허~~ 벌써 7월이 다 갔다는 말인가? 언제나 세월의 ‘가속도’에 놀라지만 이번은 그 중에서도 제일 빠른 느낌이다. 한 달이 거의 일주일도 안 된 느낌이 드는 것이다. 하기야 이번 7월은 나의 기억에서 정말 제일 바쁜 그런 나날들이었으니까 빠른 느낌일 수 밖에 없다. 게다가 무언가 머릿속도 정리가 잘 되지 않은 채 지나간 느낌,  점점 한가해져야 하는 이 나이에 나도 조금 이해하기가 힘 든다.

이른 아침에 밖을 쳐다보니 조금 느낌이 다르다. 확실히 아침이 전보다 조금 어두워졌다. 낮 길이가 점점 짧아지고 있음을 느낀다. 이렇게 밤과 낮이 같아지면 또 가을이 시작되는가? 또한, 그림자들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 것인데 오랜 만에 보는 시야였던가.. 아하! 날씨가 흐렸구나. 작열하는 햇빛이 없으니 당연히 서늘한 느낌도 들었다.

그러고 보니 한 동안 거의 매일 code Orange같은 경고가 나올 정도로 공기가 메말랐던 나날을 보낸 것이다. 한차례 시원한 소나기가 조금 그리워지는 7월말 중복이 지나가고 말복을 향한 본격적인 늙은 여름을 기다리게 되었다. 그러면 다시 계절은 바뀔 것이고..

올 여름은 비교적 시원한 편이다. 비가 자주 와서도 그렇지만 심리적으로 ‘새로 설치한’ 2대의 에어컨, 이제는 하루 아침에 고장 나는 일이 없으리라는 생각에, 두 다리 쭉 뻗고 찬 공기를 만끽하니 더욱 시원한 느낌이다.

 

¶  레지오 점심봉사:  지나간 주말(어제, 그제)은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점심봉사로, 피곤하지만 보람 있는 이틀을 보냈다. 일년에 한번씩 레지오가 하는 점심식사 봉사팀에 우리가 포함되었는데 3년에 한번씩 돌아오게 되는 것이라 사실 큰 부담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번의 봉사팀의 구성은 인원수가 워낙 적어서 (참가 3 쁘레시디움이 모두 최소한의 적은 단원을 가졌음) 신경이 쓰였는데 다행히 꾸리아에서 ‘전폭 지원‘을 해 주어서 무사히 성공리에 끝을 냈다. 또한 대부분이 자매님들인 레지오에서 이번의 봉사팀에는 의외로 형제님들이 그런대로 있어서 큰 도움이 되었다.

 

 

이날 점심은 지난 6월 우리 구역 점심봉사 때 했던 ‘모밀국수’를 했는데 그때의 경험을 100% 활용을 하였다. 물론 대부분의 모밀국수 menu idea는 연숙으로부터 나온 것이지만 모두들 열심히 협조해서 ‘오천 명을 먹이신 예수님’을 생각하기도 했다.

솔직히 이번의 일, 우리는 2일 거의 full-time으로 일을 한 셈인데, 역시 조금 무리라는 생각을 떨칠 수가 없었다. 우선 우리들의 나이도 그렇고, 해야 할 다른 일들이 끊임없이 기다리고 있어서 이런 식으로 언제까지 버틸까 하는 의구심도 들었다. Moderation, moderation을 motto로 살아왔던 우리들, 이런 것들이 시험 case인가.. 한마디로 take it to the limit이란 Eagles의 노래가 생각날 정도였다. 이날 모든 일들을 마치고 귀가해서 나는 아무 생각 없이 멍하니 아픈 후유증을 달랬지만 역시 나이 탓인가… 쉽게 풀리지를 않는다.

 

¶  1년이 가까워 오는 목요회:  7월의 마지막 목요일 밤 8시 반에 어김없이 우리 목요회 멤버들이 ‘궁상맞게’ 모였다. 다 늙은 남자 3명이 목요일 그것도 밤 8시 넘어서 외식을 한다는 것은 암만 그림을 예쁘게 그려보아도 예쁠 수가 없다. 하지만 모임은 계절을 몇 번 거듭하면서 조금씩 덜 궁상맞게, 더 예쁘게 탈바꿈을 하고 있다. 그것을 모두 같이 느끼는 것 또한 경이로운 사실이다.

작년 9월 마지막 목요일에 모였던 것이 시작이었고 언제까지 계속될 지 아무도 알려고 하지 않았지만 무언 無言 속의 표정들은 ‘아마도’ 오래 가지 않을까 하는 것이었다. 3명 모두 너무나 다른 사연과 생활방식을 가지고 있고 풀어나가야 할 도전이 만만치 않다. 이런 모임에서 그런 문제들을 정면으로 풀어나가는 것, 어렵다는 것을 알기에 가벼운 화제, 논쟁의 여지가 없는 이야기로 2시간 정도를 보낸다.

살기가 너무 힘든 때에는 아무 말 못하고 듣기만 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거의 일년이 가까워 오는 지금 시점에서 우리는 서로를 많이 알게 되어가고 이 모임은 확실히 우리에게 어떤 삶의 희망을 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어디 그 뿐인가? 얼마 전부터 오랜 냉담을 풀고 귀향을 한 형제가 있었으니.. 그래서 그런지 이번에 모였을 때는 이제까지 중에서 가장 즐겁고 유쾌한 그런 모임이 되었고, 1년이 되는 9월에는 모두들 ‘무언가 기념식’이라도 하자고 의견을 모으며 늦은 밤 헤어졌다. “친구들이여 우리 그날까지 열심히 삽시다!

 

¶  장례 예배:  장례, 연도 같은 연령행사가 뜸했던 요즈음 뜻하지 않은 곳에서 부음 訃音 을 듣게 되었다. 연숙의 이대 梨大 선배 김경자씨의 남편이 타계한 것이다. 이분은 1990년대 아틀란타 부동산업계의 선두주자로 잘 알려지신 분이었는데 언젠가부터 소식이 뜸해지고 우리도 거의 잊고 살게 되었다. 지금 사는 마리에타 우리 집은 1992년 초에 이분의 소개로 사게 되었던 사연도 가지고 있다.  그 당시 집 구경을 처음 할 때 서로 만났던 McDonald’s, 우리가 자주 가는 곳인데 갈 때마다 가끔 이분의 기억을 떠올리곤 했다.

이분들은 개신교 배경의 집안이라서 교회에서 장례식을 하리라고 생각했는데 의외로 장의사 chapel에서 해서 그곳에 다녀온 것이다. 천주교 장례미사와 너무나 차원이 다른 ‘간단한 예식’이었다. 그곳에서 알게 된 사실은 고인의 막내 동생이 성당에 다닌다는 사실, 전에 교리반 교사로 연숙과 같이 일했었다는 원선시오 형제였다는 사실, 이날 얼굴을 보니 사실 고인과 얼굴이 닮긴 닮았다. 나는 이 형제님을 잘 모르지만 ‘접근하기가 어려운’ 그런 독특한 분위기를 풍기는 사람이었다.  

 

 

Take it to the limitThe Eagles

 

  Jim Beam & Charlie Chan: 근래에 ‘공적인 활동’이 늘어난 이후 느끼는 것은 바쁘고 보람된 일들 뒤에 ‘꼭’ 찾아오는 선물 같은 ‘심도 깊은 평화, 망중한의 텅 빈 머리’ 이것들 중에도 망중한 忙中閑의 기쁨 중에도 이 두 단어가 바로 그것들이다. 우리 집에서 있었던 구역미사를 위해서 liquor store까지 가서 사온 ‘양주’가 있었다. 그것이 바로 Bourbon의 명품, Jim Beam이었다. 그때 ‘몰래’ 사온  세 가치의 cigar도 나의 기대를 자극하는 즐거움이었다.  물론 양주는 신부님 접대용이었지만 결과적으로 실제로 거의 없어지질 않아서 그 이후 cigar와 함께 망중한의 즐거움으로 쓰였다. 사실 혼자서 즐기는 것이 되었지만 이럴 때 먼 옛날의 친구들과 어울려 마실 때를 회상하지 않을 수가 없다. 다~ 지나갔다. 모든 즐거움 들은 다 추억 속으로 사라졌다.

또 다른 것, Charlie Chan.. 수십 년 전 미국에 처음 왔을 때 TV를 보면 그 당시의 nostalgic channel 역할을 하던 channel에서 이런 류의 TV drama가 있었다. 평생에 이런 Charlie Chan이란 말 조차 못 들었는데 그 옛날 (1940년대)에 어떻게 ‘짱께’가 주인공을 나오는 TV program이 있었을까 의아하기만 했다. 그것을 요사이 Youtube를 통해서 다시 보게 된 것이다. 요새 기준으로 보면 비록 범죄추리극이라고는 하지만 너무나 순진한 장면들 투성이.. 그러니까.. 마음 놓고 마음 안 상하고 ‘즐길 수’있는 그런 것, 특히 편히 쉴 때 이것을 보면 마음 속 깊은 평화까지 느끼게 된다.

 

Peace and joy with Jim Beam & cigars..
Peace with Charlie Chan time

 

‘첫’ 구역미사, 기쁨의 의미는..

  ‘사상 史上 첫’ 구역미사, 지나간 2주일에 가까운 동안 나의 머리는 온통 한가지 생각으로 꽉 차있었다. 구역미사… 오랫동안 별 큰 느낌이나 생각 없이 습관적으로 체험했던 구역미사라는 것, 그것이 이번에는 완전히 개인적인, 가족적인 ‘큰’ 행사로 우리 집에서 집전되는 구역미사가 나의 코 앞에 다가 왔던 것이다.

우선 제일 큰 의미는,  우리 집에서 봉헌된 미사라는 것이고, 따라서 우리 집에 ‘사상 처음’으로 사제가 방문을 했다는 것에 있었다. ‘자기 집에서 신부, 사제 모시고 식사를 같이 했다’ 라는 주변의 말 많이 들었지만 사실 그때는 그런 것 솔직히 그렇게 부럽지는 않았다. 그저 그런 ‘올바른 생활의 사나이’들과 같이 앉아서 식사가 편히 될까.. 하는 유치한 생각으로 살았던 때도 기억이 난다.

하지만 그런 유치한 생각은 몇 년 전부터 서서히 사라지고 한번 모시는 것도 나쁘지 않다.. 라는 쪽을 나의 가슴이 열리기 시작하더니 급기야 몇 년 전부터는 한번 모시자.. 라는 희망사항으로 바뀌었다. 신부, 사제가 어떤 직분의 사람들이라는 것을 이제는 ‘열린 가슴으로 정확히, 올바르게’ 이해했기 때문이다. 그 첫 case가 바로 전 주임신부님, 하태수 미카엘 신부님이었다. 결과적으로 모시는 계획은 유산되었지만 그 이후 나는 활짝 열린 마음을 가지고 세상을 다른 눈으로 보게 된 ‘새로운 세계관’의 소유자로 살수 있게 되었다.

 

구역미사를 기다리는 우리 집의 living room view, 협소한 공간이지만 just right size..

 

이번 우리 집에서 집전된 구역 미사는 내가 마리에타 사랑구역장을 7월 초부터 인수하고 난 후 처음의 ‘큰 구역 행사’가 되었는데 이런 사실이 우리 집에는 기쁘긴 하지만, 그만큼 나와 연숙에게 상당한 스트레스를 준 것도 부인할 수 없다. 나는 아직도 생소한 우리 구역식구들에게 미사참례를 독려하는 중요한 책임으로, 연숙은 hostess로 신부, 구역식구들의 음식준비로 정신이 거의 없었다. 구역식구의 반 이상이 오면 나는 우선 성공한 것이라 미리 점을 치기도 했다.

어려움은 이런 정신적, 심리적 스트레스 뿐이 아니었다. 오랜 세월 동안 (최소한 20여 년) 별로 ‘찾아온 손님’이 거의 없었던 우리 집은 이런 ‘큰 행사’를 치르기에 너무나 피곤하고 깨끗하지 못함을 알기에 생각보다 힘든 ‘육체적 노동’을 피할 수가 없었다. 지난 5월 말에 일단 구역모임을 한 번 경험했고 그 당시에 일단 ‘대강의 청소’는 했지만 이번에는 신부님과 총구역장까지 오게 되어서 가급적 ‘때 빼고, 광 내는’ 과정을 거쳐야 했던 것, 이것이 아무래도 나의 나이에 무리였을 것이다. 비록 기쁜 마음으로 노동은 했지만 후유증은 상당했다.

 

  현 주임 이재욱 요한 신부님은 부임초기부터 병자성사에 동행을 하면서 가깝게 느꼈고, 온화함, 배려심 등으로 언제나 함께하고 싶은 본당신부님으로, 이임하기 전에 한번 집에 모시고 싶었던 참이었는데 이날 다른 계기로 우리 집을 방문하게 된 것이고,  우연일까, 아주 우연만은 아닌 듯한 생각도 들었다. 

미사참례 출석률이 예상을 넘는 2/3 정도가 되어서 안도의 한숨을 쉬었던 이번의 우리 집 구역미사의 의미는 무엇일까.. 생각한다. 결론부터 말하면 우리 집은 이제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의 mainstream parishioner가 되었다는 것, 그것이 아닐까? 부차적으로 나의 첫 구역장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수했다는 사실, 우리 구역식구들과의 mutual chemistry의 ‘냄새’를 조금은 맡을 수 있었다는 것도 앞으로 2년간 약속된 나의 구역장 임기를 무사히 마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희망.. 그런 것 아닐까…

 

구역미사의 bonus, 찬란한 수국의 향기와 자태.. 어떤 자매님의 선물이었다

 

It is well, it is well..

¶  It is well, it is well.. with my soul:  눈물이 나의 눈가에 다시 서린다. 슬픔인가 안도감인가 평화인가.. 상관없다. 더러운 눈물은 없으니까..  특히 지난 며칠간 나의 귀와 눈을 감싸는 듯한 나와 너의 message 처럼 느껴지는 말.. ‘내 영혼 평안해..’ 이제는 나의 ‘분신 分身’으로 14년을 살고 갔다는 믿음이 서서히 생기는, Tobey가 저 세상으로 떠난 지도 벌써 3주가 훨씬 넘어간다.

‘그까짓 개(새끼)가 죽은 것 가지고’ 라는 매정한 comment는 이미 들었기에 조심하려고 애는 쓰지만 정말 이 세상은 온갖 종류의 생각과 경험이 다른 인간들이 어울리며 산다는 놀라움을 떨칠 수가 없다. 하지만.. 그래도 그렇게 ‘정 떨어지는‘ comment를 들으면 놀라움 보다는 실망감과 가벼운 분노를 억누를 수가 없다. 우리는 이런 ‘당연한’ 세상에서 산다는 것만 인정하면 된다.

불현듯 ‘내 영혼 평안해’라며 요란하게 짖는 Tobey의 자태를 상상한다. 워낙 요란하게 짖는 그 녀석이 없는 요즈음은 그야말로 “piercing sound of silence”가 우리 집을 압도하고 있다. 이것, 정말 어떨 때는 미치도록 괴롭고 그립다.

 

It is well, Tobey.. you’re immortal in my soul…

 

 

 

Joy of Cigar & Coffee: 새로니가 Florida로 scuba diving 여행을 갔다 오면서 뜻 밖의 선물을 가지고 왔다. 상상도 못했던 것, Miami에서 사온 cigar와 coffee였다. Coffee는 이제까지 그런대로 선물로 많이 받은 기억이 있는데 cigar는 한마디로 놀라움이었다. 담배, 담배.. 담배… 담배란 나에게 무엇이었나? 가끔 얻어서 피우는 담배, 그것은 cigarette이지 cigar는 아니었다. 그렇게 ‘괴물 시’하던 담배를 큰 딸애가 사온 것은 ‘선물용, 그것도 cigarette가 아닌 cigar’는 큰 문제가 없는 모양이다.

나는 기억에 옛날에 cigar를 피워 본 적은 있었지만 한마디로 별로.. 라는 느낌만 받았다. 무언가 heavy하고 귀찮은 느낌을 주는 연기..  1990년대에 ‘공식적으로 끊은’ 담배 이후 ‘식구들의 묵인 아래’ 숨지 않고 이 선물로 사온 Romeo & Juliet 이란 Little Havana 산 cigar를 며칠 간 정말 맛있게 피웠다. 이것이야 말로 뜻밖의 ‘행복’이라고 느껴졌다. 곁들여서 사온 La Coladita coffee맛도 일품이었다. 아직도 piercing sound of silence가 감돌고 있는 우리 집이 갑자기 포근하게 느껴진다.

 

7월 초: independence days..

2018년의 6개월, 그러니까 정확히 절반을 벗어난 7월의 첫 주가 또 서서히 지나가고 있다. 어쩌면 시간과 세월은 그렇게도 정직한 것일까? 어김이 없다. 절대로.. 절대로 시간과 세월을 가지고 ‘놀면’ 안 된다는 교훈을 다시금 일깨우는 요즈음, 나는 경미 輕微한 우울감 憂鬱感을 떨치지 못하며 살고 있다. 그와 비례해서 마음속 깊은 곳 평화의 깊이도 함께 얕아진 것을 느낀다. 주원인은 물론 나의 분신 Tobey1가 거의 ‘갑자기’ 나에게서 영원히 떠나간 것, ‘실존적 부재 不在’가 주는 공허, 고통이 어쩌면 그렇게도 괴로운 것인지.. 이렇게 세월은 공평한 것, 사람의 삶의 나날은 높을 때도 있고 낮을 때도 있다.

그제부터 새로니의 pet dog Ozzie가 우리와 일주일간 머물게 되었다. 물론 새로니가 vacation차2 집을 떠나야 하기 때문이었지만, 갑자기 조용해진 우리 집에 다시 개의 소리가 들리게 된 것, timing이 나쁘지 않았다. Tobey와 너무나 personality가 다른 Ozzie, 같이 머무는 것 나의 생각을 한 곳만 머물지 못하게 하는데 큰 도움이 되기를 바라지만 어떨까? 오늘도 한여름다운 여름 날씨에 그 녀석을 데리고 동네를 걸었다. 거의 10여 년간 Tobey와 같이 걷던 이 course를 이 녀석과 둘이 만 걸으니 다시 ‘없는’ Tobey가 그리워진다. 한 여름 날씨를 가슴으로 느끼며 불현듯, 갑자기.. 거의 20년 전 쯤 온 가족이 여름마다 갔었던 Florida Gulf coast,  Panama City Beach의 백사장이 떠오르고 며칠 동안 그곳이나 다녀올까… 하는 생각이 스쳤지만 역시 ‘귀찮다’는 생각이 모든 것을 덮쳐버린다.

 

나의 study에 언제나 앉아 있던 Tobey가 없어진 자리에 Ozzie가 졸고..

Tobey 없는 dog walk, 대신 Ozzie와 같이 걷고 playground에 눕기도..

 

어제는 Fourth of July, Independence Day holiday.. just another holiday일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며 지냈다. 과연 미국이란 어떤 나라일까 새삼스러운 것은 무슨 조화일까? 거의 45년 가까운 동안 살면서 별로 그런 생각을 못하고 살았는지도 모른다는 자책감이 없지 않다. 그저 하늘아래 그것도 대한민국과 반대편 쪽 바다에 걸친 거대한 대륙에 250년에 가까운 ‘자유 민주주의’ 전통.. 과연 이런 역사 기록을 가진 나라가 다른 곳에 있을까 하는 의문도 가진다. 각종 문제와 싸우고는 있지만 그래도 이곳은 이들이 금과옥조 金科玉條로 여기는 ‘헌법 constitution’에 목숨을 건, 용맹스러운 나라임에는 틀림이 없는 것 같다. 이날 동네 본당인 Holy Family 성당 아침 미사에서는 Father Dan (Ketter)은 평상적인 homily대신 Declaration of Independence 전문 全文 을 읽었는데, 250년 전의 그 문장은 그리 옛 것처럼 들리지 않았다. 특히 첫 부분의 두 번째 문장은 정말 인상적이 아닐 수 없다. truth, equal, endowed, Creator, Rights, Life, Liberty, Happiness… 그 중에서도 Creator란 단어는 그저 장식용으로 쓴 것은 절대로 아닐 듯하다.

We hold these truths to be self-evident, that all men are created equal, that they are endowed by their Creator with certain unalienable Rights, that among these are Life, Liberty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무언가 허전한 기분을 달래려 계획에 없는 barbecue 생각이 났고 거의 일년 만에 charcoal grille의 cover를 꺼내고 마지막으로 남은 wood charcoal에 불을 부쳐서 barbecue보다 더 맛있는 ‘불고기’를 구웠다. 그래도 이렇게 7월 4일의 오후를 연숙, Ozzie와 같이 맥주, grille 로 보낸 것, 조금은 추억에 남지 않을까..

 

 

 

이날 밤은 다행히 비가 올 chance가 많지 않아서 불꽃놀이의 소음을 예상하고 있었다. 우리 동네 subdivision는 ‘전통적’으로 불꽃놀이 firework이 없었고 먼 곳에서 하는 것들의 소리만 듣곤 했지만 이번에는 우리 앞집의 비교적 젊은 Josh가 주동해서 우리 집 바로 앞의 cul-de-sac 에서 firework을 했는데 비록 개인적으로 한 것이지만 어찌나 요란스럽던지 우리 집의 개와 고양이들이 모두 겁에 질려 숨을 곳을 찾기도 했다. 매년 별 감흥 없이 이런 소리를 듣고 했지만 이번에는 조금 더 의미가 실린 ‘자유의 외침’ 같은 것으로 들린 것이, 나 역시 나이가 깊이 들었구나 실감을 한다. 앞으로 이런 ‘자유의 소음’을 몇 번이나 듣게 될까..

 지나간 주일(일요일)날은 예전 같았으면 한국성당에 아무 business가 없었기에 조금은 편한 일요일이었지만 이번부터는 사정이 달라졌다. 7월부터 2년간 아틀란타 한국 순교자 성당의 (마리에타 사랑)구역장을 맡게 되었고 첫 주일날에는 구역장회의가 있기 때문이었다. 이 직책이 별것 아닐 수도 있지만 그래도 나에게 맡겨진 직분, 최선을 다하자는 각오는 변함이 없다. 아마도 내가 ‘봉사’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려는 노력을 하면 된다. 내 인생의 후반에 더욱 깨닫는 것 중에 ‘결과보다는 과정’에 더 의미가 있다는 것이 있는데, 젊었을 때와는 사실 완전히 반대인 것이 재미있다. 2년 뒤 나의 임기가 무사히 끝나게 되면 나는 어떤 구역장으로 기록이나 기억에 남게 될 것이지 궁금하다. 

 

The United State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1. 우리와 14년 평생을 살아온 pet dog
  2. 이번에는 Mexico로 deep sea diving이라고… 허.. 듣기만 해도 으스스..

Adios, 잊고 싶은 유월이여

달력을 멍하니 보니 오늘은  6월 30일이다. 그러니까 2018년 6월의 마지막 날이 지나고 있는 것이다. 지나간 6월의 나날을 생각하니 무언가 머리가  정리되지 못한 혼란스러움이 떠나질 않는다. Father’s Day가 있는 예년의 6월 추억은 그런대로 나쁘지 않았다. 예를 들면 작년에는 온 가족이 gourmet hamburger 외식을 했던 기억도 있었다. 올해의 6월 달, 그것도 Father’s Day 전후는 아마도 최악이 아니었을까.. 올해의 이날은 나나 가족들이 거의 잊고 지나간 정도로 정신이 빠진 듯한 그런 것이었다. 물론 큰 이유는 가족같이 14년 가까이 우리와 살아온  Tobey가 거의 갑자기 우리를 영원히 떠났기 때문이다.   6월 달,  그것도 Father’s Day 후 며칠은 정말 잊고 싶기만 하다. 

이런 황량한 6월의 느낌은 오래 오래 나의 머리 속에 남아서 나를 우울하게 할 것이지만 그런 와중에도 순간순간의 보람과 기쁨이 없었던 것은 물론 아니었다. 그것이 삶의 본질, 기본이 아닐까? 슬픔이 있으면 기쁨도 반드시 찾을 수 있는 것..

드디어 임명장을 받았다. 그것도 성당 미사 중에 받은 것, 형식적인 것이라도 나는 이제 신부님이 임명하는 20명 내외의 마리에타 사랑구역의 구역장이 된 것이다. 그렇게 도망 다니며 살아오더니 칠순의 나이에  많은 사람들이 피하려고 하는 이 직무, 어떤 것일까? 그래.. 한번 해 보자.. 못할 것 하나도 없다.

비록 Father’s Day는 망쳤지만 의외로 6월 달 등대회 모임(60~70대 성당 친목회)은 안도의 숨을 쉬게 하는 잔잔한 기쁨도 있었다. 새로 사귄 교동학교 동갑내기가 회장으로 뽑혔는데 알고 보니 이곳에 나와 나이가 엇비슷한 형제,자매들이 ‘대거’ 포진하고 있었다. 어떤 사람들인지 모르지만 그것이 문제가 아니다. 나와 같은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이란 그것이 더 의미가 있는 것이다.

또한 작은 보람이 있었다면 복잡한 머리를 싸매며 목요회 모임이 우리 집에서 모인 것이다. 전에 약속을 했었던 것이라 포기할 수가 없었다. 매달 식당에서 모이던 것을 집에서 모이는 것은 사실 큰 변화를 주는 것이지만 결과적으로는 별다른 ‘사고’없이 모임을 마쳤다. 내가 스파케티를 해 준다고 했지만 결국은 연숙이 모든 것을 준비해 주었다. 나의 서재에서 편하게 wine을 마시며 시간을 보낸 것, 그들은 어떤 기분이었을까? 나의 의도는 그들의 집에도 돌아가며 가보는 것인데… 아직 준비가 안 되어 있는 그들의 얼굴을 읽는다. 시간이 걸리면 이것도 다 해결되리라..

June, Cruelest month

미국태생 영국 시인 T. S. Eliot은 ‘4월은 잔인한 달’이라고 그의 대표적인 시 詩 ‘황무지 荒蕪地, The Waste Land ‘에서 읊었던가.. 아~ 나에게 4월은 ‘목련꽃 피는.. 항구에서.. 배를 타는’ 너무나 낭만적인 달인데 어쩌다 처참한 심정을 갖게 하는 ‘잔인한 6월’을 맞게 되었는가? 그러니까 나에게는 ‘6월은 잔인한 달’이 된 것이다.

머리가 띵~ 하고 정상적인 생각을 할 수가 없다. 그저 ‘작용, 반작용’을 되풀이하는 단세포 생물이 된 느낌이다. 어쩌다 이런 잔인한 일들이 한꺼번에 나에게 다가 온 것일까? 가슴 속 깊이에서는 계속, ‘이것이 정상적인 인생의 한 단면이다’라고 외치고 싶지만 ‘왜? 왜?’ 라는 반론을 억누를 수가 없다.

 

나와 Tobey에게 가장 행복한 순간이 있다면.. 바로 이때..  올해 3월 경..

 

나의 손에서 마지막 숨을 거두었던 Tobey, 죽기 전 2주일 동안 어쩌면 그렇게 급속히 몸이 노쇠해질 줄은 몰랐다. 속으로 ‘설마 설마’하며 어찌할 바를 몰랐다. 그 짧았던 고통의 시간들, 눈이 안 보이고 거의 걷지를 못하고 먹는 것도 힘들고.. 어떻게 그렇게 갑자기 몸이 망가져 가고 있는지 놀라울 뿐이었다. 죽음을 예견을 못한 것은 아니지만 너무나 빨리 그 순간을 맞았다.

 

Tobey가 죽기 하루 전, 이때는 거의 죽은 듯이 잠만 잘 때였다. 고통이 없는 모습이 너무나 고맙고 고마워..

나의 손에서 마지막 숨을 쉰 후, 녀석 영원한 잠에 빠져들었다.. 잘가라.. 잘 가~~또 보자~

 

뒤뜰에 묻으며 정성을 다했지만 그런 것 하나도 위로가 될 수가 없었다. 마지막 숨을 몰아 쉬던 그 순간, 나는 그 녀석의 귀에 입을 대고 수없이 속삭였다. ‘가가구구, 가가구구, 가가구구, 가가구구…’ 이것은 우리들 만의 ‘암호’였다. 사랑해 Tobey야.. 라는 암호였다. 믿고 싶다.. 녀석의 ‘아버지, 주인’이 너를 그렇게 사랑했으니 이제는 편히 쉬어라.. 하는 말을 들었을 것이라고.

 

후들거리는 다리를 잡으며 나는 관을 만들었다. 녀석의 덩치에 편히 맞는..

Tobey 야, 이제는 편히 쉬거라.. 창밖으로 너를 매일 볼게…

너의 덩치에 맞는 십자가, 너에게도 우리처럼 영생이란 것이 있기를..

 

땅 속으로 묻힌 후, 나는 무서운 허전함을 달래야 했다. 아무 것도 나를 위로할 수 없었다. 몇 일간 서재의 불을 거의 꺼버리고 어둠을 응시하며 몇 시간이고 앉아 있었다. 연숙에게 이런 나의 모습에 대해 미리 양해를 구하였다. 딴 일을 하며 그 허전한, 슬픈 순간들을 잊을 수도 있었다. 좋아하는 영화나 drama video를 보며 그 순간들 잊을 수는 있다. 하지만 그것은 일회용 반창고나 다름이 없다. 언젠가는 갚아야 할 빚인 것이다. 정식으로 슬픈 시간을 고스란히 경험하고 싶었던 것이다.

애도의 시간을 무한정 갖고 싶었지만 어찌 그것이 가능할까? 근래 들어 갑자기 많아진 ‘공적인’ 일들, 정식으로 신부님으로부터 구역장 임명장까지 받고, 곧 시작될 구역장의 임무들.. 이런 것들이 무섭게 머리 속에 자리를 잡기 시작하며 조금씩 애도의 기간은 짧아지고..

제일 싫고 무서운 때가, 집에 들어올 때의 느낌이다. 녀석이 있었을 때, 우리의 차가 garage로 들어서면 Tobey는 무섭게 짖곤 했다. 문을 열고 들어서면 그 녀석 미친 듯이 나의 입술과 뺨을 핥곤 했다. 하지만 이제는 집에 들어설 때 나는 piercing sound of silence 를 견뎌야 했고, 당분간 그럴 것이다. 이때가 제일 괴로운 순간이다. 무언가 없는 것, 있어야 할 것이 없는 것…

설상가상… 와~ 왜 하필 이때에 30년 된 에어컨 system이 망가질 것이 무엇인가? 매년마다 올해는 이 고물이 돌아갈까.. 점을 치곤 했는데 그것이 하필이면 제일 내가 어려운 바로 그 순간에 ‘죽어버린’ 것이다. 왜.. 왜.. 지금.. Tobey의 죽음과 에어컨의 죽음이 거의 같은 시간에 일어난 것, 우연일까? 결과적으로 우리 집의 아래 위층의 에어컨, heating system이 하루 만에 새것으로 바뀌었다. Carrier  system, $$$$ 은 예상보다 많이 들었지만 이제는 두 다리를 쭉 뻗고 시원함을 즐기게 되었다. 힘든 때에 우리를 도와준 2명의 에어컨 월남기술자들, 아직도 감사를 드리는데, 비용도 비용이지만 그 더운 날 거의 ‘순식간’에 아래 위층의 전체 시스템을 교체하는 것, 놀라운 노력과 기술이었다. 젊은 ‘사장’ 기술자는 완전히 ‘장인’에 가까울 정도의 기술을 가지고 있었고 보조하는 나이 든 분도 묵묵히 도왔다. Big name contractor가 왔으면 아마도 며칠 걸리며 엄청난 비용을 요구했을 것이다. 한마디로 재수가 좋았던 경험이 되었다. 

 

수십 년만에 최신형 에어컨 Carrier 의 잔잔한 소음소리가 애도하는 느낌으로..

 

2018년의 6월은 정말로 잔인한 달이 되었다. 하지만 나와 우리 식구들을 굳게 믿는다. Tobey, 정말로 사랑을 받았고 행복한 생을 우리 집에서 보냈다고.. 죽음을 앞둔 고통을 누가 피할 수 있으랴.. 나는 정말 후회가 없다고 자신할 수 있다. 한가지 희망이 있다면 ‘저 세상에서 만날 수 있을지도..’ 라는 것,  영화 What Dreams May Come에서 Robin Williams 도 사랑하는 pet dog을 저 세상에서 반갑게 만났지 않았는가? 하느님에게 불가능이란 없다. 

 

평생을 다니던 동물병원에서 애도의 조화를 보내 주었다.. 감사합니다~~

 

Bye Tobey: 2004~2018

우리 집에서 우리와 함께 거의 평생을 우리 가족으로 살아온 13살이 넘은 mixed Dachshund, Tobey가 하느님의 섭리로 하느님의 품에 안겼다. 지난 몇 주간에 걸쳐서 서서히 몸이 약해지더니 급기야 지난 며칠 사이에는 눈이 안 보이더니, 거의 걷지도 서지도 먹지도 못하며 고생을 하였다.  이대로 병원엘 가면 거의 분명히 ‘안락사’를 권할 것이 분명한 시점에서 우리는 고민을 하였지만 결국 오늘 낮 12시 15분에 나의 손에 안겨 마지막 숨을 쉬었다. 영원히 잠든 것이다.

최악의 경우를 예상을 못한 것은 아니지만, 나의 충격은 상상을 넘는 것으로 이 사실이 나를 더 놀라게 했다. 오랜 세월 나의 옆에서 자나깨나 나를 따라다니고 기다리고 살았던 이 녀석, 이렇게 ‘자연스럽게’ 보낸 것이 잘한 것인지, 죄책감을 억누르려 안간힘을 썼지만, 어쩔 수가 없다. 내가 느낄 수 있는 유일한 위로는, 고생을 며칠 했어도 ‘안락사’를 피한 것은 잘 되었다는 사실, 그것만은 확신한다.

나의 모든 일상 생활 routine이 완전히 정지된 이 상태가 언제까지 계속될지 잘 모르지만 비교적 빨리 ‘애도기간’이 끝났으면 하는 바램뿐이다. 슬프고 힘든 몸을 움직여 알맞은 size의 관을 만들어 뒤뜰 양지바른 곳에 묻었다. 그 녀석 매일 돌아다니던 익숙한 곳에 묻힌 것, 당분간 찾아 볼 수 있어서 큰 위안이 되기도 하지만 반대로 그 녀석과의 오랜 기억들을 다시 떠올리는 것은 괴롭기도 할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 자연스러운 grieving process 일 것이다. Tobey야, 편히 쉬어라… 매일 그곳에서 너를 보아줄게.. 편히, 편히..

Roller Coaster Week

¶  Roller coaster week:  지금 지나가고 있는 하루하루는 글자 그대로 roller coaster week 라고 할 수 있다. 희비가 교차하는, 오르락 내리락 하는 느낌이 거의 주기적으로 반복되었던 주일,  때로는 정말 괴로운 순간들도 있었던 6월 초순을  보내고 있다.  주 원인은 우리 집 열네 살이 넘은 ‘나보다 늙은’  정든 개 Tobey의 건강문제 때문이었지만 우리가 바보같이 만든 ‘인재 人災’도 이럴 때 사태를 더욱 악화시킨 결과만 만들었다. 왜 이렇게 ‘어려운 일’들이 한꺼번에 터져 나오는 것일까? 그것이 인생이다.. 라면 더 이상 할 말이 없고 그것이 또한 사실이다.

갑자기 구토, 설사로 시작된 것, 왜 그랬는지 이유는 알 길이 없지만 문제는 먹지를 못하니 평소에 ‘관절염’으로 먹는 약까지 끊게 되어 사태는 악화일로 였다. Good Old veterinarian (수의사) 에게 데려가는 것은 원칙적으로 꺼린다. 각종, ‘불필요할지도 모르는’ test로 시간을 다 보낼 것이 분명한 것이고 그러면 더 악화가 될지도..

이 녀석 기운이 빠지고 아파하는 모습에서는 ‘죽음의 그림자’까지 느껴지고, 우리는 절망의 기분까지 들었다. 급할 때는 묵주를 무의식적으로 굴리고 있을 정도였지만, 성모님의 도움인지, 정성스런 간호 덕인지 다행히 설사도 멎고 서서히 먹기 시작하면서 죽음의 그림자는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 하지만 회복이 예전에 비해서 너무나 느린 것을 보면서 다시 생각한다. 나이 탓인가.. 아니면 무슨 큰 병이 있는 것인가? 얼마 있으면 annual medical checkup이 있어서 (동물)병원엘 가니까 그때면 더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있을 것이다.

moaning & limping.. sick Tobey

 

Pet 을 집에서 키우는 사람들은 이런 것 한두 번씩은 경험을 했을 것이지만 이렇게 거의 집안 식구가 된 pet animal을 영원히 보낸다는 생각을 하면 사람이나 동물이나 큰 차이가 없음을 다시 한번 절감을 한다.  이런 것들 사실 자연의 법이기에 겸허하게 받아드리는 것이 옳은 일일 것 같다. 세상에서 변치 않는, 영원한 것은 하느님 밖에 없다는 사실만 잊지 말자.

 

Climbing in Canada:  새로니가 (여름)방학이 되자마자 떠난 2주간의 Canada trip을 마치고 돌아왔다. 학교 teacher가 되면서 2개월에 가까운 ‘긴’ 여름방학을  손꼽아 기다린다. 우리 시절에는 꿈도 못 꾸던 모험적인 취미여행을 떠나곤 한다. 요새 ‘아이’들, 경제적 여유만 있으면 이런 즐거운 30대를 보낸다. 결혼과 가정을 만드는 것에 관심을 가져야 할 나이에 이렇게 놀러 다니는 것을 보며 세대가 참 많이 변했음을 실감한다.

새로니 친구들과 모두 3명이 갔던 Canada(Rockies, Vancouver)  여행 사진을 보며 나는 다른 생각에 빠진다. 나나 연숙, 이제 그런 여행들, 귀찮다는 인상을 받는다. 편한 집에 눌러 앉아 있는 것이 우리에게는 훨씬 유익하고 건강한  ‘휴가여행’인 것이다. 솔직히 돈을 주고 갔다 오라고 해도 별로 구미가 안 당기는 것이다. 단 한가지, 이번 여행 중에 찍은 사진 중에 rock-climbing하는 것, 나의 오래된 추억이 샘물처럼 흘러 나왔다. 한때 나도 저런 것에 ‘미친 때’가 있었지.. 하는 감상적인 느낌들은 즐기고 싶었다. 그때가 1970년 경, 거의 일 년을 ‘바위 타기’에 많은 시간을 ‘허송’했던 대학 4학년 시절. 비록 ‘공부’는 손해를 보았을지라도 아직까지 나에게는 이렇게 신명 나는 추억거리를 제공했으니 그깟 공부가 그렇게 대수인가.. 그것에 지금 나의 딸이 푹 빠져있으니 무엇이라고 말할 것인가?

2주 동안 우리 집에서 다른 의미의  vacation을 가져야만 했던 새로니의 pet dog Ozzie가 새로니와 함께 집으로 돌아간 우리 집은 갑자기 고요 속을 빠진 듯한 느낌. 우리 집의 Tobey가 아직도 완쾌가 되지 않은 상태라서 더욱 고요하고 우리의 느낌은 쳐진다.

 

Curia Monthly Sunday: 머리 속이 안정이 되지 않은 채로 ‘꾸리아 월례회의’가 열리는 매달 2번째 주일을 맞아 ‘조심스럽게’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을 갔다. 조심스럽게 간 이유는 꾸리아 월례회의 때문이기 보다는 주일미사를 누가 집전을 할까 하는 우려 때문이었다. 만약 둘루스 성당 (윗동네) 신부가 집전하는 것을 미리 알 수 있다면 미국성당으로 향하여야 하기 때문이었다. 그 정도로 나의 ‘그 신부’에 대한 ‘반감, 혐오감, 앨러지’가 특이하다. 아무리 노력을 해도 별 수가 없어서 포기한 상태이기도 하다. 다행히 우리 본당 신부님 집전이 밝혀져서 ‘안심하고’ 그곳엘 가게 되었다.

이날은 오랜만에 등대회 형제님들, 특히 요한 형제와 점심을 같이할 수 있었고, 꾸리아 월례회의도 그런대로 흡족한 느낌으로 마칠 수가 있었다. 생각한다. 전에 있던 간부진들에 비해서 아주 신선한 스타일로 회의를 진행하며 ‘약해질 대로 약해진’ 레지오 조직에 대한 많은 생각을 하는 것을 피부로 느낄 수가 있었다. 

불과 몇 달전 前의 꾸리아  leadership을 싫지만 기억한다. 그 중에서 2명은 믿기지 않을 정도로 toxic, terrible, horrible한 기억으로,  앞으로 ‘연구 대상’이 될 정도다. 그러니까 ‘이런 사람들처럼 하면 안 된다’는 교훈을 주는 case study로 삼을 정도란 뜻이다. 그 결과 현재 이 조직은 거의 limping하는 상태라고 볼 수 있다.

별것 아닌 듯 보이는 꾸리아 평의원들, leadership을  잘못 뽑으면(Trump처럼) 이런 disaster가 생길 수도 있다는 것을 조금이라도 생각하면 다음부터는 공과 사를 전혀 구별 못하는 ‘아줌마 tribalism‘ 에서 벗어나는 노력을 조금이라도 하면 어떨까?

이렇게 결과적으로 밝은 기분으로 ‘주일 의무’가 끝났는데, 이날은 bonus까지 주어졌다. 정말 오랜만에 스테파노 형제 부부와 같이 성당근처에 있는 Mozart Bakery에 모여서 ‘수다’를 떠는 기회가 생긴 것이다. 작년 8월의 ‘레지오 괴물, 미친년 사건’ 덕분에 가까워진 이 부부, 나이가 비슷하고,  ‘사귈만한 부부’라는 인상을 받아서 가급적 관계를 ‘가꾸어 나가고’ 싶기도 하다. 오랜만에 ‘대한민국 style 빙수와 붕어빵’을 즐긴 이날 주일은 그야말로 ‘주님의 날’이 되었다.

민족과 문화 – 길현모

40년 만에 다시 읽는 명 논설, ‘민족과 문화’. 내가 이 논설을 읽었던 때가 1978-9 년 경이었을 듯하다. 당시 ‘월간중앙’ 창간 10주년 기념호의 별책부록으로 ’10년간 게재 월간중앙 명논설집’이란 것이 나의 손에 들어왔다. 1978년 4월호의 부록이었다. 그 중에 인상 깊게 읽고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을 하는 논설이 바로 이것이었다.

당시 나이 30세에 읽었고 40년 후에 다시 읽은 것인데, 아직도 나는 ‘내가 그 동안 얼마나 변했나’ 하는 것에 주 관심을 가지고 있다. 당시의 느낌과 지금의 느낌을 비교하는 것이다.

고유한 문화와 그릇된 애국심의 허구성을 무자비하게 비판하는 글, 그것이 인상적이었다. 이 논설이 원래 발표된 것이 1974년이고 당시의 국내정세는 추측하기 힘들지 않다. 유신독재의 서슬이 시퍼럴 때, 이 저자는 왜 고유문화, 국수주의적 애국심을 비판했을까? 그것이 유신체제를 간접적으로 공격한 것이라면 어떻게 이 글이 무사히 게재가 되었을까?

이 글을 자세히 읽어보면 그런 ‘제약’을 멋지게 우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문화의 개방, 인류의 공통적 재산임을 주장하는 이 글은 결국 40년 뒤의 현 대한민국의 일반적 실상을 예언하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100년 동안이나 서구문명을 수용했던 일본의 성장을 부러워하던 저자의 글대로 대한민국도 이제는 그에 못지 않은 개방적 문화를 자랑하지 않는가? 이런 문화적 발전이 정치적 발전의 도움을 받았는지는 나는 아직도 단언은 못하지만, 아마도 방해는 안 되었을 것이다.

 

民族과 文化

길현모 吉玄謨 서강대교수 서양사

 

약력

1923년 평북 희천 熙川 生

1949년 서울대 문리대 사학과 졸업

1963년 서강대 교수

 

文化方向의 倒錯

근래 강화되고 있는 문화의 국수주의적 경향을 경계해야 하며 민족정신론에 대한 비판을 서둘러야 한다.

모든 정책이 그러하듯이 문화정책이란 문화라는 것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토대로 해서만 올바르게 수립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란 결코 용이하게 이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필자는 여기서 오늘날의 우리의 문화방향이 올바른 방향을 지향해 나가고 있는가, 아니면 그 반대인가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물론 표제가 이미 말해주고 있듯이 필자의 문제에 대한 견해는 대단히 비판적이다. 필자는 자신의 비판적인 견해가 감정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기를 바란다. 그런 까닭에 다만 결론뿐만이 아니라 지면이 허용하는 한 자신의 논거를 윤곽이나마 제시해 보려고 노력하였다.

 

문화란 원래 인류의 공동의 재산이다. 거기에는 국적이 붙어 있는 것도 아니고 국적을 붙일 수도 없다. 설사 국적을 붙여 본다 한들, 기득권이 행사될 수도 없고 특허나 독점 등의 권리가 설정될 수도 없는 문화에 대해서는 그것은 완전히 무의미한 일이다. 다시 말해 문화는 군사력이나 정치권력에 의하여 一國民의 독점물이 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 그 기원이나 출처 여하를 막론하고 오직 그 힘을 필요로 하고 그 가치를 이해할 줄 아는 자들만이 주인이 될 수 있는 개방된 寶庫이다.

그런 까닭에 우리들은 문화국민이라는 것을 말할 때에 그들이 향유하고 있는 문화의 국적이나 계보나 고유성을 기준으로 삼는 것은 아니다. 그들의 국민복지에 이바지할 수 있는 문화적 총역량만이 유일한 기준이 될 수 있을 뿐이다.

이와 같은 명백한 사리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전시대의 신화처럼 퇴색해 버린 문화의 고유성과 문화의 순수성에 대한 숭상이 새로운 활기를 얻어 팽배하고 있으며 외래문화를 국적 없는 문화로서 배척하는 국수주의적 경향이 급격히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문화의 배타성과 폐쇄성은 언제나 문화의 불모, 문화의 자살을 향한 첩경임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우리들은 근래에 와서 더욱 강화되고 있는 국수주의적 경향을 크게 경계해야 할 것이며 이와 같은 도착된 문화방향의 뿌리를 이루고 있는 민족정신론과 고유문화론의 핵심에 대하여 검토와 비판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이것은 우리나라 문화인들이 당면하고 있는 가장 시급한 과제이며 또한 그것은 때늦기 전에 이루어져야 한다. 왜냐하면 이미 그것은 하나의 ‘터부’로 化해 가고 있기 때문이다.

 

民族 文化論의 系譜

요즈음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표현을 빌린다면 지금 우리나라에서는 국민의 도의는 땅에 떨어졌고 국적 없는 문화가 잡초처럼 무성한 가운데서 소비성 문화가 범람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의 문화 현황에 대한 이와 같은 진단은 우선 그 비관적인 색채에 있어서 안정과 번영을 구가해온 정치나 경제계의 진단과는 극히 대조적이라는 점이 주목된다. 그러나 우리가 아는 한 이와 유사한 암담한 문화 진단은 수십 년을 두고 되풀이 되어왔을 뿐 그간에 아무런 進境을 보인 일이 없었던 것이다.

만일 이와 같이 핵심도 없고 두서도 없는 피상적인 문화 진단이 문화적 소양을 기본자질로 삼지 않는 일반 정치인이나 지적으로 미숙한 대학초년생 정도가 내려본 것이라면 구태여 문제 삼을 일은 못 된다.

그러나 문제는 그러한 수준의 문화 진단이 우리나라의 문화계의 제일선에서 지도적 지위를 독점해온 사람들의 입에서 수없이 되풀이 되어 왔다는 점에 있다. 그들은 오늘날까지 문화위기에 대한 감상적인 개탄만을 토로해 왔을 뿐, 최소한도의 진지한 문화 분석의 결과를 제시한 일이 없으며 더구나 이에 대한 납득할 만한 원인 규명의 노력을 제시해 본 일도 없다.

말하자면 이 땅에서는 이직도 초보적인 문화론조차도 없이 문화위기의 단정만이 되풀이 되어온 셈이다. 물론 이러한 가운데서도 그들이 일치하여 내세운 한가지 논점은 있다. 즉 그것은 문화적 위기의 유일한 원인은 민족정신이 땅에 떨어졌기 때문이라는 것이며 따라서 지극히 당연하게도 이에 대한 유일한 대책은 민족정신을 진흥 고양하는 데에 있다는 것이다.

필자로서는 오늘날의 우리의 문화 상황이 민족정신의 저하 내지는 추락을 반영하는 것인지, 그 서서한 혹은 급격한 상승을 나타내는 것인지에 대해서 판별할 능력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 그러나 그보다도 앞서서 필자에게 있어 우선 문제되는 것은 그들이 항상 자명한 것처럼 내세우는 민족정신이란 그 명확한 내용과 속성이 무엇인가 라는 점이다. 이 문제를 해명한다는 일은 필자에게는 오랜 숙제의 하나이었던 것이다.

사실 오늘날 4,50대 이상의 기성세대에 속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민족정신이란 말은 이미 오랜 세월을 두고 낯익어온 말임에 틀림없다. 뿐만 아니라 요즈음 우리 주위에서 보급되는 민족정신론의 발상과 표현 상태와 선전 방식의 어느 것에 대해서나 거의 생소할 것이 없다. 왜냐하면 우리들은 일제치하의 10대, 20대의 어린 시절부터 민족정신에 대한 무수한 강론을 들어왔고 이를 고취하기 위한 허다한 운동을 체험해 왔기 때문이다.

먼저 일제는 일본민족의 민족정신이 세계에 유례없는 가장 우수한 정신이라고 강조하기에 여념이 없었고 따라서 우리들은 그들의 지배하에 동화되어야 한다고 설득하였다. 이에 대하여 우리의 지도자들은 한 민족에게는 오히려 일본의 민족정신보다도 더욱 우수한 고유의 민족정신이 있으니 일제의 지배를 벗어나서 독립할 권리와 의무가 있다고 응수했다. 말하자면 우리들은 한국의 민족정신과 일본의 민족정신과의 싸움 속에서 자라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제 민족정신론의 모방성

이상과 같은 틈바구니 속에서 우리들은 얼마 안 가서 자기 나름대로 이 문제를 졸업했다고 생각하기에 이르렀다. 왜냐하면 그렇게도 많은 노력과 설득에도 불구하고 일본인들이 내세우는 대화혼 大和魂 즉 일본의 민족정신이라는 것의 내용이 무엇인가를 이해할 수 없었고 따라서 무엇이 고유하고 무엇 때문에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정신인지를 전연 납득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후일에 이르러서 필자는 다시 자신이 이 문제의 이해에 심히 미흡하다는 점을 깨닫게 되었다. 그 이유는 민족정신론의 기수로서 자처한 일본인들의 배후에는 이 분야의 대선배가 있었다는 사실, 다시 말해서 민족정신론의 계보에서의 시조로서 독일인들이 있었다는 사실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줄리앙 방다’의 말에 의하면 국가간의 정치적인 싸움을 민족문화의 싸움으로 확대하고 민족정신론이라는 새로운 무기를 창안해 쓰기 시작한 것은 독일인들이며 그 정확한 시점은 1813년이라는 것이다. 또한 문화인들이 자기들의 문화활동의 소산을 민족정신의 발현이라고 의식적으로 말하기 시작한 것도 역시 독일의 ‘레싱’과 ‘쉴레겔’ 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발상의 사상적 배경이 개성숭배를 모태로 한 독일 낭만주의였다는 사실은 지적할 필요조차 없다.

이리하여 민족정신론의 조국이라고 할 수 있는 독일에서는 이를 숭상, 고취한 수많은 문화인들을 배출하였는데 마침내 그 최고의 완성은 ‘프러시아’ 군국주의의 어용사가로서 유명한 ‘트라이츠케’에 이르러서 이루어졌다. 필자는 근래에 독일인들의 민족문화론 내지는 민족정신론과 일본인들의 그것과는 대비해 보기 위해서 일제 후기의 일본 문화계의 대표적 저작들을 읽어 보고 그들의 민족정신론이 독일의 선배들을 모방, 표절한 아류임을 다시 확인하면서 일종의 감회를 금할 수가 없었다.

필자는 오늘의 우리나라의 민족문화론자들의 선의 善意를 의심하고 싶지 않다. 그들 중 적지 않은 사람들이 소박한 심정의 소유자일 것이며 애국의 충정에 차 있기도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여기서 기필코 다짐해 두어야 할 일은, 만일 그들이 우리나라의 문화건설의 핵심적 토대를 민족정신론에 두고자 한다면 자신들의 논의 의 발상과 표현 방식을, 선전과 운동의 전개 형식을, 표어와 선언문과 내용 및 어조를 이상과 같은 민족정신론의 역사적 계보에 비추어서 대비 검토해 달라는 일이다.

만일 그들이 의식 못하는 가운데서 현대사상 전율할 만한 문화적 파괴와 민족적 죄악을 남긴 불길한 사상적 계보와 너무나도 놀라운 친연성 親緣性 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될 때에는 하루 속히 이를 청산해야만 할 것이기 때문이다.

 

맹목적인 復古

문화 내용의 분석-검토를 위해서나 문화 건설의 효과 있는 계획을 위해서나 이에 앞서 이룩되어야 할 여건은 문화 형성의 기본원리에 대한 올바른 이해이다. 역사가들의 일반적인 견해에 의하면 고등한 문화는 반드시 고등한 종교를 토대로 해서만 이룩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우리들은 이를 보완해서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고등한 문화는 하나의 고등종교 내지는 신앙의 경지로까지 숭앙될 수 있는 하나의 이념 체계를 핵심으로 해서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라고.  다시 말해서 문화란 이상과 같은 핵심 이념을 향해 바쳐진 사회 구성원들의 헌신의 소산인 것이며, 그들의 순교적 신앙과 희열에 따라 찬란한 광휘를 지니게 되는 것이다. 우리들은 우리의 과거 역사 속에 나타난 불교문화나 유교문화의 문화 소산을 통해서 이상과 같은 이치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문화이념은 구체적으로는 해당 사회의 원대한 목표 즉 이상으로서 구현되며 이로부터 반드시 황금시대를 동경하는 지향성을 수반하게 되는 것이다. 이리하여 하나의 문화가 이상사회를 실현할 황금시대를 미래 속에 설정하게 될 때에는 미래지향적인 자세를 지니게 되고, 과거역사의 특정시대 속에서 그 모형을 발견하게 될 때에는 復古의 자세를 취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복고란 그것이 정당한 것이 될 수 있기 위해서는 반드시 불가피한 이유가 전제되어야만 하는 것이며 또한 거기에는 일정한 질서 즉 특정의 대상과 시기가 설정되어 있어야만 하는 것이다. 만일 우리들이 현재에 지향할 이상적인 문화이념이 불교적인 것이어야만 한다면 우리의 역사 속에서 불교문화의 최고의 황금시대가 복고 대상이 될 것이며 이 때에는 천여 년 전의 불교문화의 모든 유산들이 성스러운 후광을 지니고 우리들의 새로운 숭앙의 대상으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또한 만일 우리가 추구할 문화이념이 유교이념이어야만 한다면 마찬가지로 우리들의 숭앙은 유교문화의 황금시대로 되돌아 갈 것이며 이때에는 유교문화가 남긴 단편적 유산조차도 우리들의 무한한 감동의 대상이 될 것이다. 복고시대의 문화창조의 정신적 ‘에너지’는 바로 이러한 성질의 것이다. 그런 까닭에 ‘크로체’의 이른바 ‘노스탤지어’의 역사서술도 그것에 수반되는 커다란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이런 경우에 한해서는 정당성을 지닐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우리의 경우와 같은 무질서, 무한정한 ‘노스탤지어’는 도대체 어떠한 정당한 근거를 가진, 무엇을 향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인가. 왜 우리들은 지난 시대의 모든 유물, 풍습의 보잘 것 없는 흔적에 까지도 그다지도 깊은 감동을 느껴야만 하는 것인가.

구석기시대로부터 현대에까지 이르는 조상들의 모든 행적과 유물에 무조건의 숭상과 애착을 강요하는 이와 같은 복고란 정신분열적인 지력과 감정의 낭비 이외의 것이 아니며 필경은 그릇된 복고, 맹목적인 복고의 통탄스러운 예에 불과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우리의 사이비 似而非 문화인들은 정책적인 노선에 부화뇌동하면서 복고의 환상을 끈임 없이 확산하여 국민들의 맹목적인 好古 性向을 조장하고 있는 것이다.

 

기원보다 중요한 변화와 발전

아마도 그들은 복고의 이념을 우리의 민족정신 그것이라고 말할는지도 모른다. 그리고 지금까지 일부 학자들이 주장해온 것처럼 우리의 민족정신의 고유성은 예의와 정결성의 존중, 그리고 평화애호의 미덕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말할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들은 이상과 같은 인류의 보편적인 이상과 미덕들이 어찌하여 우리 민족만의 고유한 것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납득할 만한 설명을 들어 본 적이 없다. 예의의 근본은 인가니 개개인의 인격과 인권에 대한 존중을 토대로 해서만 성립될 수 있다.

또한 정결의 근본은 비단 심미적 성향 뿐만 아니라 위생과 사회기풍의 정결성을 토대로 해서만 성립될 수 있다. 만일 오늘날 이러한 점에서 우리를 앞지른 국민들이 있다면 그들은 우리 민족의 고유정신을 앞질러 모방했다는 논리가 성립되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이와 같은 결론을 도출한 학문적 근거 자체가 모호한 것이다. 그들에게는 천 수백 년 전의 중국의 사적史籍 중의 몇 구절, 논거가 극히 의심스러운 가설 수준의 몇 편의 신화해석 등이 모두 의심할 수 없는 확증적인 자료처럼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자료의 타당성에 대한 올바른 비판도 없이 역사적 방법도 아니요 언어학적 방법도 아닌 애매모호한 방법을 통하여 계시적 啓示的 인 결론만이 도출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들은 이러한 근거 위에 민족의 제단 祭壇 을 설치할 수는 없다. 만일 그들이 내세우는 정신적 대상에 대한 민족의 귀의 歸依를 요구하려 한다면 이를 위한 하나의 신학 神學 내지는 철학 체계를 제시해야만 할 것이다.

이리하여 민족정신이 딸에 떨어졌다, 이를 진흥하기 위해서는 자각을 해야 한다라는 식의 상투적인 사고방식부터가 청산되어야 한다. 도대체 민족정신이 영원히 우리 역사를 관철하는 지고 至高의 정신이라면, 왜 그렇게도 쉽사리 땅에 떨어질 수가 있단 말인가. 그것은 자기모순 내지는 자기모독적인 표현이 아니겠는가. 만일 우리의 민족정신이 땅에 떨어졌다면 그것은 어떤 원인으로 어떤 시기부터 그리 되었다는 것인가. 여러 사람들이 말하는 것처럼 그것이 일제의 침략의 결과라고 한다면 우리의 민족정신은 그들에게도 대항할 수 없으리만큼 그렇게도 무력한 정신일 수 있단 말인가.

또한 그것이 우리들의 무자각의 결과이었다고 한다면 우리들은 왜 자각을 못하게 되었다는 것인가. ‘게르만’의 자연신이 전투에 효험이 없다고 해서 ‘그리스도’교에 개종했다고 하는 ‘클로비스’의 지력에도 못 미칠 이런 수준의 논리가 왜 우리들에게는 오늘날까지 방치되어만 왔단 말인가

민족정신론자들이 상용하는 또 하나의 방법은 해당 민족이 이룩한 역사상의 두드러진 업적과 인물들을 모두 민족정신의 구현이라고 주장하는 방법이다. 이런 경우에는 민족정신의 내용은 더욱 모호한 것이 될 수 밖에 없으며, 마침내는 각 국민 간의 민족정신의 경쟁적인 전시가 현출될 수 밖에 없다. 소련인들은 1930년대에 이런 경쟁에 비상한 열의를 발휘하여 근대과학의 주요 발명과 창안들은 물론, 심지어는 ‘스포츠’의 주요 종목도 모두 자 국민의 창안이라고 발설하기에 이르렀다. 그러한 결과가 세계의 냉소를 초래했을 뿐이었음은 우리들의 기억에도 생생한바 있다.

가령 ‘플라톤’ 과 ‘아리스토텔레스’ 가 ‘그리스’인이었다고 해서 오늘날의 ‘그리스’인들의 철학적 자질이 특출하다고 보아주는 사람은 없는 것이며, ‘코페르니쿠스’가 ‘폴란드’ 인이었다고 해서 그것으로 서 ‘폴란드’인의 탁월한 천문학적 자질이 증명되는 것도 아니다. 무엇보다도 인류문명의 토대 자체를 타민족들에 앞서서 형성했던 ‘이집트’ 인조차도 오늘날에 와서는 문화민족의 대열에서 탈락된 지 이미 오래다. 역사에서 보다 중요한 것은 기원이 아니라 변화와 발전의 과정인 것이다. 그런 까닭에 역사가 ‘마르크 불록’은 기원에 대한 지나친 집착을 역사가들의 병폐의 하나라고 지적한 바 있다.

 

고유문화의 환상

위에서 우리들은 그릇된 민족정신론의 모순의 일단을 살펴본 바 있다. 그러나 그것은 그릇된 민족문화론이 낳아 놓은 쌍생아 雙生兒 중의 하나에 불과하다. 우리는 다시 그들의 또 하나의 거점인 고유문화론에 대하여 검토해 봐야 할 것이다.

원래 고유의 숭배는 개성적인 것에 대한 예술적인 영탄 映嘆 에서 비롯된다. 그런 까닭에 “개성적인 것은 형용을 초월한다”라는 유서 깊은 어구가 되풀이 인용되고 있다. 만일 그것이 개성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것에 대한 예술적인 감흥으로만 시종되는 것이라면 거기에 하등의 문제가 있을 수 없다. 그러나 문제는 개성적인 것같이 보이는 것을 고유의 것이라고 단정하고 나아가서는 그것을 가장 우수한 것이라고 단정하는 데서 생겨나는 것이다. 그것은 고유성의 기원을 판별하는 역사의 기능과 가치의 판별이라는 철학의 기능과 를 불가피하게 개입시키게 되기 때문이다.

우선 하나의 문화가 가장 우수하다, 따라서 가장 가치가 있다는 단정은 타 문화와의 비교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그러나 고유문화론자들이란 이성과 논리에 대한 기피성향을 본색으로 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결국 그들이 찾을 수 있는 귀착점은 논리를 포기한 무조건-절대절대라는 영역이다. 이로부터 그들이 신봉하는 표어로서 “내 것이기 때문에 무조건 절대 우수하다”라는 말이 탄생된다. 이것이 바로 문화적 이기주의의 대표적인 예인 것이다.

다음으로 고유성의 단정이라는 문제에 있어서도 그들이 찾을 수 있는 길은 학문으로부터의 도피 이외에는 있을 수 없다. 따라서 그들은 역사적인 추적이 불가능한 환상의 세계나 신화의 세계, 혹은 이론적인 분석이 지난 至難 한 예술의 세계로의 도피습성을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는 것이다.  우리들은 여기서 ‘나치’ 독일의 민족이론의 귀착점이 ‘고대 게르만 영웅족’이라는 환상이었다는 사실 그리고 일본의 고유문화론자들의 중심 거점이 신화의 세계이었다는 사실만을 상기함으로써 족할 것이다.

원래 역사상 이름 붙일 수 있는 고급한 문화란 예외 없이 왕성한 문화교류의 소산인 것이며 반드시 복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만일 그 기원에 있어서 고유한 것을 찾으려고 한다면 사회생활의 완전한 폐쇄성을 상정할 수 있는 원시시대로까지 소급할 수 밖에는 없다. 문화의 고유성내지는 순수성이란 설사 그러한 것을 인정할 수 있다 하더라도 그것은 해당 문화의 저급성을 말하는 것일 뿐 결코 명예로운 표지가 될 수는 없다.

 

‘애국’이라는 이름의 문화적 폭력

물론 문화의 영역 내에는 지역적인 혹은 지리, 풍토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요소들이 있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는 없다. 그러나 그러한 요인들은 고급한 문화에 있어서는 그 핵심 부분이 아닌, 다만 거기에 첨가되고 가미된 부분일 따름이며 전형적으로는 문화의 외곽산물일 따름이다. 즉 축제의 형식, 복장, 음식 등의 민속적 부분이 모두 그러한 것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축제 형식의 특수성이나 복장, 음식 등을 가지고 문화의 우열을 가릴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다만 여기서 우리들의 보다 신중한 검토를 요구할 만한 대상은 언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언어가 민족문화론에서 항상 큰 비중을 차지해 온 첫째의 이유는 그것이 민족을 구분하는 가장 유용한 기준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과거에 흔히 사용되어 온 혈통이라든가 국토경계선 등의 기준에 비하여 민족의 구분기준으로서 언어가 지니는 개연적 蓋然的인 효용성이 매우 크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는 고유한 언어이기 때문에 우수하다든가 언어의 순수성을 지켜야 한다든가 하는 문제와 혼동될 수는 없다. 언어도 그 밖의 문화분야와 마찬가지로 교류와 상호 영향하에서만 풍부해질 수도 있고 발달할 수도 있다. 만일 우리 언어의 고유한 순수상태를 되찾는다고 말하면 과연 어느 시대에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할 것인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필경 그것은 언어의 원시화를 제창함과 다를 바 없을 것이다.

누구나 자기 언어의 우수성을 자랑하고 싶어하고 자랑하기도 한다. ‘이탈리아’ 의 한 작가는 ‘이탈리아’어를 자랑하면서 그 이유를 그것이 자기들만이 사용하는 언어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한 일이 있다. 이에 비하여 불어는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언어이기 때문에 저급하다는 것이다. 이것은 지난날의 어리석은 웃음거리의 하나에 불과하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의 경우에 있어서는 반드시 하나의 웃음거리만은 아닌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도 같이 고유문화론 이란 문화와 역사의 본성을 무시한 하나의 허구에 불과하고 고유성의 숭상 崇尙 이란 하나의  역리 逆理 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문적인 정확성을 숭상함에 있어서 그렇게도 지극한 이 나라의 일류학자들이 어찌하여 고유문화론 앞에서는 한결 같이 학문을 포기하고 공순 恭順 의 뜻만을 표시해 왔던 것일까. 이에 대하여 필자는 하나의 중대한 이유를 제시할 수 있다.

즉 그것은 이들 고유문화론자들이 ‘애국’이라는 고지 고지를 이미 점령하고 그들에게 추종을 거부하는 자들에게는 ‘비애국자’ 내지는 ‘반역자’ 의 낙인을 찍을 위협적인 태세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그들이 안출 案出 한 성공적인 음모의 하나이었으며 그들은 이를 통하여 사실상 이 나라의 문화계를 위압할 수가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제 우리들은 이러한 문화적 폭력을 이 이상 좌시해서는 안될 것이다.

 

권력층에 독점될 수 없는 애국심

이들은 진정한 애국심은 고유문화와 고유정신에 대한 확고한 이해와 신념을 토대로 해서만 비로소 발휘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원래 애국심이란 고유문화 의식과는 무관한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심정인 것이다. 그것은 향토와 동포에 대한 사랑의 자기 희생적인 발로 이외의 것이 아니다. 인간의 존립은 원시시대로부터 기본집단의 존립에 좌우되었기 때문에 집단의 존립과 방어를 위한 희생적인 헌신은 인간의 가장 본원적인 속성의 하나인 것이다.

우리들은 부모형제가 문학적으로 우수해야만 비로소 사랑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의 동포가 아무리 무식해도 우리의 국토가 아무리 빈약해도 그 수호를 위하여 우리의 애국심은 발동되는 것이다. 그런 까닭에 애국심이란 소박한 부족애의 국민적 발현 이외의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서 그 발현은 자연적인 것이며 문화적 가치나 고유의식 등이 그 필수적 전제가 되지 않는다.

우리들은 이러한 사리를  허다한 역사적 사례를 통해서 충분히 설명할 수가 있다. 우리 조상들은 중국문화에 대한 지극한 존숭감 尊崇感 을 지니면서도 그들의 침략에 대해서는 항상 열렬한 애국심을 발휘하여 국토를 방어해 왔다. 우리들의 오늘날 있음은 민족정신이 무엇인지 고유문화가 무엇인지도 알지 못한 이름없는 조상들의 거룩한 애국심의 결과인 것이다.

고대 ‘로마’인들은 ‘그리스’문화를 높이 숭상하는 가운데서도 ‘그리스’인들을 능가하는 애국심을 발휘하여 그들을 정복하였다. 또한 영국인들의 문화를 이어받은 미국인들은 열렬한 애국심을 발휘하여 그들과 싸워 독립하였다. 아니 그보다도 ‘아메리카 인디언’ 의 부족애가 미국인들의 애국심에 비해 참되지 못하다거나 강하지 못하다고 누가 감히 단정할 수 있겠는가. 이러한 의미에서 오늘날 우리 주위에서 애국심을 고유문화론과 결부시킴으로써 이를 권력층들과 더불어 독점하려고 하는 일부 문화인들의 독선적, 배타적인 기도 企圖 는 허용될 수 없는 것이다.

  우리들은 지금 우리의 문화관을 보편적인 이성의 토대 위에 수립할 것인가 혹은 이기적인 감정의 토대 위에 수립할 것인가를 결정할 시점에 위치해 있다. 역사가 ‘크레블리언’은 ‘영국사’의 첫 대목에서 영국인들은 역사과정을 통해서 여러 민족들의 피를 섞어 가질 수 있었기 때문에 우수한 자질을 지니게 되었다고 자랑하고 있다. 또한 개성숭배의 사상적 계보를 계승한 ‘마이네케’ 조차도 ‘민족정신의 우수성을 나타내려는 공허한 의도’를 비판하면서 이러한 의도는 ‘타민족들의 냉소’를 초래할 뿐이라고 말하였다. 민족의 자주성과 자긍은 문화의 고유성이라는 근원에서 찾아지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그것을 보다 확고한 기반, 즉 인류가 분유 分有 하는 존엄한 평등성 위에 확고히 수립하여야만 할 것이다.

 

‘호이징하’의 말 – 선택에 대한 책무

해방 후 수십 년간에 걸쳐서 우리들은 이 나라의 문화인임을 자처해 왔고 또한 학자임을 자처해 오기도 했다. 그러나 회고해 보건대 그 동안 우리들은 하나의 뚜렷한 문화적 경륜조차도 제시해 본 일이 없었던 것이다. 말하자면 과거의 우리의 족적은 지식의 빈곤, 철학의 빈곤, 역사적 안목의 빈곤을 나타내는 것 이외의 아무 것도 아닌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의 이 땅의 일부 기성 문화인들은 지칠 줄도 모르고 단체를 결성하고 새로운 간판을 내걸고 당파싸움과 자리다툼에 몰두하고, 정치권력과 금력에 아부하는데 여념이 없다.

그들의 근래의 기치는 민족적인 것 다시 말해서 한국적인 것을 고취한다는 점에서 더욱 뚜렷해졌다. 그리하여 ‘한국적 민주주의’ ‘한국적 문화’ ‘한국적 사고방식’ 등이 그들의 열렬한 숭상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들은 이미 이러한 한국적인 것을 가지고 국민학교로부터 대학과정에까지 이르는 교과서의 내용을 채워야만 한다고 주장하기에 이르렀다. 말하자면 이들은 국민문화와 국민교육 전반에 걸친 일대 변혁운동에 착수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성공을 거둘 수 있을 것인가. 그들은 현하의 모든 부조리의 근원을 한국적 특수성을 가지고 합리화할 수 있을 것인가. 그들은 끝내 개별적인 가치가 보편적인 가치에 우선하고 개별적인 판단이 보편적인 판단에 우선한다고 설득할 수 있을 것인가.

1935년에 ‘네델란드’의 사가 史家 ‘호이징하’는 목전에 다가오고 있는 암담한 역사적인 파국을 내다보면서 자신의 심경을 다음과 같이 말한 바 있다.

“우리들이 체험하고 있는 무거운 정신적 압박의 시대는 젊은이들보다도 노인들에게 있어 견디어내기가 보다 쉽다. 노인들은 시대의 중압을 조금만 더 끌고 나가면 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들의 공포와 근심은 죽음의 접근으로 해서 경감된다. 그들의 희망과 신뢰, 그들의 행동에의 의욕과 용기는 앞으로 더 살아나가야 할 젊은이들의 손에 넘겨진다. 판다, 선택, 노력, 활동에 대한 중대한 책무를 맡게 되는 것은 이들 젊은이들이다.”

‘불크할트’를 이은 20세기 최대의 문화사가라고 불리어지는 ‘호이징하’의 이상과 같은 겸허한 자세에서 오늘날의 한국의 기성 문화세대들은 많은 것을 배워야만 할 것이다.

우리는 이미 자신들의 희망을 최소한도로 정리하여 앞날의 문화건설의 고귀한 책무를 다음 세대에 맡겨야 할 시점에 도달한 것이다.

우리는 그들에게 자신의 지적인 빈곤과 무기력을 넘겨 주어서는 안 될 것이다. 우리는 그들의 앞길을 더 이상 흐려 놓아서는 안 될 것이며 오직 그들을 위한 한 주먹의 거름이 되고자 노력해야만 할 것이다. 우리는 그들에게 우리 민족이 계속해서 지향해야 할 이상은 보다 많은 자유, 보다 많은 평등, 보다 많은 부 富의 실현이기 때문에 이러한 복지를 보다 앞서 실현한 선진 국민들의 문화이념을 겸허하게 배워야 한다고 당부해야만 할 것이다.

아마도 일부 인사들은 필자의 이러한 심경을 국적 없는 사이비 문화인의 비애국적인 감상이라고 비난할 것이다. 그러나 필자는 그들에게 오늘날 이미 세계적 강대국으로 성장한 일본의 경우를 허심탄회하게 관찰할 것을 권고한다. 왜냐하면 그들이 오늘날 지니고 있는 사회적 문화적 역량은 일본민족의 고유문화의 힘이 아니라 그들이 백 년간을 숭상하며 섭취한 서구문명의 힘 이외의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들의 백 년이 꼭 우리의 백 년이 되라는 법은 없다. 또한 백 년이라 한들 필경은 역사의 일순간에 불과하다. 우리들은 오늘날의 선진국민들이 당면하고 있는 문화적 제諸문제를 우리의 문제로서 앞질러 근심할 필요도 없다.

역사는 각시기에 따라 그에 해당한 과제들을 인류에 부과해 왔으며, 인류는 그들 나름대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해 나왔기 때문이다.

 

 

– 월간중앙 1974년 1월호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