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에 인호형의 email을 받았다. 예의 ‘김인호 컬럼’이 아닐까 했지만 이번에는 다른 ‘한양대 명예교수 정기인 교수‘에 관한 것이었다. ‘국제무역 특히 상사(商事) 중재 분야의 국내전문가’라고 소개 된 이 정교수가 ‘대변신’을 해서 어떤 책을 출간한 것에 관한 소식이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전공인 경제와 다른 분야인 역사를 접목하고 거기다 ‘문학’ 장르를 감싼 그야말로 대 변신이었다는 것이다. 이름하여 ‘경제 역사소설’이라고 한다. 어떤 역사를 경제인의 눈으로 본 것이라고 하면 큰 무리가 없을까 생각을 했다.
소개된 글에 의하면 정 교수는 아마도 조선기에도 ‘경제통’이 있었을까 연구를 한 후에 그 사람이 바로 조선 19대 왕 숙종이었고, 수많은 사화를 통해 피를 뿌린 정치 뒤에는 ‘거대한 새로운 화폐 경제‘의 창출이 있었다고 한다. 이때가 바로 조선 전역에서 화폐가 보편된 때라고 한다. 화폐가 있어야 가치가 나오고 경제적 발전이 온다고 한다. 또한 더욱 흥미로운 사실은 그런 ‘정책’에 장희빈의 역할이 컸다고 했다.
정기인명예교수시사 talk 대담
나는 역사통도 아니고 경제통도 아니지만 상식적인 선에서 이런 사실은 가능하다고 추측은 한다. 한가지 사건을 여러 쪽의 각도에서 보는 것은 충분히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예전의 사극에서 본 것처럼 장희빈과 숙종의 이야기는 분명 흥미위주의 가느다란 각도로 본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나의 의문은 이 ‘소설’이 몇 percent가 fiction인가 하는 것인데 거기에 대한 명쾌한 답은 찾을 수가 없다. 그가 출연한 TV Talk Show에서도 그것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기에 그저 나는 아마도 ‘거의가’ 다 사실적, 역사적인 것이 아닐까 생각을 해 보았다.
저자인 정기인 교수는 “과거역사에서 음모술수와 권력투쟁, 전쟁으로만 묘사된 불건전하고 부끄러웠던 역사를 완전히 씻어냈다’고 자부를 했고, “전문가”로부터 “재미: 95점, 신지식: 100점, 다음 작품에 대한 기대치: 90점“을 받았다고 했다.
신간: 정기인 저, 경제대왕 숙종
이 책을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부끄러웠던 역사를 씻어냈다”고 하는 것은 어떤 뜻일지 조금 의아해진다. 역사를 그렇게 쉽게 바꿀 수 있는 것일지. 만약에 fiction으로 쓰여진 것이라면 그런 표현을 해도 되는 것인지.. 숙종의 “경제업적”을 박정희 대통령의 경제 성과와 비교하는 표현도 흥미롭기만 하다.
세계 최초의 『경제 역사 대하소설』
경제 대왕 숙종
숙종,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멸망한 조선을 경제대국으로 만들다
매일경제신문사 발행
노벨문학상에 도전하는 세계 최초의 ‘경제역사’소설!
-이제까지 역사소설은 음모술수, 권력투쟁, 전쟁뿐이었다-
-이제까지 노벨문학상작품들은 암울한 인권만 묘사했다-
-진정한 인권은 먹는 것과 전쟁예방이다-
숙종은 백성의 진정한 인권은 ‘먹는 것’과 ‘전쟁예방’이라 생각했다!
왜, 역사소설들은 음모술수, 권력투쟁, 전쟁 등 불건전한 주제만 다루었을까? 이 소설은 진정한 인권은 먹고 사는 것임을 확신하고 쓴 ‘경제역사소설’이다. 소설은 숙종이 화폐경제로 저축과 투자, 생산, 고용, 외상거래라는 초기자본주의 거시경제운용을 해서 불과 30년 만에 단축성장으로 경제대국을 이뤄냈음을 발견했다.
숙종은 박정희대통령에 300년 앞서 조국근대화와 경제개발에 성공한 경제대왕이었다. 왜란과 호란으로 멸망한 조선을 거시경제운용으로 성장동력을 일으켜 영조와 정조의 부강한 왕조를 열어주었다. 박대통령이 한국에 세계10대 경제대국의 길을 열어준 것과 비슷했다. 숙종 뒤에는 무역 장사꾼이었던 장옥정의 내조가 있었다. 이 소설에는 그 과정이 매우 재미있고 생생하게 그려져 있다.
<추천사>
“이 책은 경제역사대하소설이다. 300년 전에도 배곯는 백성을 위해 경제개발에 성공한 임금이 있었음을 알고 자긍심이 생겼다. 나는 한국경제의 개발과정에 깊숙이 관여했던 한 사람으로서 이 어려운 시기에 대학생과 직장인, 공무원, 군인, 정치가들에게 일독을 권하고 싶다.”
–서강대학교 전 총장 손병두
줄거리 요약
이제까지의 역사소설들은 권력투쟁, 음모술수, 전쟁 등 불건전한 주제만 다루었다. 과거의 국가통치자들도 富國强兵을 첫째로 삼았었을 텐데도 ‘富國’은 전혀 다룬 소설이 없었다. 저자는 300년 전에 숙종이 화폐경제로 저축과 투자, 생산, 고용, 외상거래라는 초기자본주의 거시경제운용을 해서 경제대국을 이뤄냈음을 발견했다. 박정희 대통령이 경제대국을 이룬 것보다 더 처절하고 리얼하다.
숙종 당시의 사회경제상황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조선의 폐해는 숙종 때까지 전해졌다.
선조실록에 의하면 “기근이 극심하여 사람고기를 먹기에 이르렀는데, 아무렇지도 않게 생각해 괴이함을 알지 못하더라. 길바닥에 굶어 죽은 사람의 시신을 메어 먹어 완전히 살이 붙어있는 것이 하나도 없을 뿐 아니라, 산사람을 도살하여 장과 위, 뇌의 골도 함께 씹어 먹는다”고 씌어 있고, “백성들은 굶다 못해 부모와 자식, 형제간에도 잡아먹었다”고 전하고 있다.
농토는 양란으로 170만결이 40만 결로 축소되었고 경상도는 6분지 1로 축소되어 충청도에 전세를 대신 내도록 명령하자 충청도 농민들은 야반도주했다.
그럼에도 사대부과 아문들은 권력을 이용해 농민과 상인들을 다시 수탈하기 위해 고문과 횡포를 자행한 지옥 같은 상이었다.
숙종은 자본과 교통, 통신, 항만 등 산업인프라와 학교, 병원 등 생활 인프라가 제로인 상태에서 경제적 성공을 이룩한 것이다. 높이 평가해야 마땅하다.
숙종의 거시경제운용과 단축성장 성공
저자는 과거 왕조들의 경제문제를 파고들다가 조선시대에 뛰어난 경제대왕이 있었음을 발견하였다. 조선 제19대 왕 숙종은 화폐경제와 거시경제운용으로 조국근대화에 착수해 국토개발과 과학기술개발, 자주국방의 시대를 이룩했다.
숙종의 화폐경제 정립은 경제학적으로 큰 업적이었다. 국가경제는 부가가치창출이 핵심으로 저축(투자)과 소득(소비·고용)에서 나온다. 저축은 화폐가 유통돼야 한다. 위대한 세종대왕이 경제대왕이 못된 것은 저축이 없었기 때문이다.
①화폐(상평통보)유통으로 저축과 투자, 교환, 손익계산, 대부 및 외상거래가 가능한 상업시대를 열었다. ②이로 인해 노동의 상품화가 이뤄지고 인신의 지배예속이라는 중세적 신분제도는 서서히 변화되었다. ③민간부문이 살아나고 공공부문도 숨쉬기 시작했다. 공사의 구분 및 기업과 가계의 분리가 이뤄지며 성장동력이 생겼다.
장희빈의 경제적 역할과 성과
숙종 뒤에는 칠패시장(현 남대문시장)에서 무역업을 한 장사꾼 장옥정(장희빈)이 있었다는 우리가 몰랐던 사실이 밝혀졌다.
장옥정은 장현의 조카로 칠패시장(현 남대문 시장)에서 장사와 무역을 했다. 장현은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이 심양에 볼모로 있을 때 6년을 모신 역관이었다.
장현은 효종의 비호아래 칠패시장에서 인삼무역, 비단무역, 무기무역으로 국중거부가 되었다. 장옥정은 외국어를 잘 해서 무역과 장사를 총괄했다.
장옥정은 1680년 22세의 늦은 나이에 장현의 권력야욕으로 궁녀가 되었으나 그녀의 뇌는 시장마인드와 정글법칙에 염색돼 성리학의 사대부들과 충돌한다.
성리학은 송시열을 필두로 선비는 장사나 농사를 해선 안 되며 오직 학문에 정진해야 한다고 주장해 인적자원 낭비의 주범이었다.
숙종 당시 인구는 680만 명인데 선비가 대략 10만 명인 경우 1인당 연간 생산액(GNP)을 30냥(쌀 30석)이라고 어림잡아도 연간 3백만냥의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셈이었다.
장옥정은 숙종에게 사농공상의 신분차별을 타파하고 선비들도 장사와 농사를 하도록 하여 국가의 인적 낭비를 없애도록 권고하였다.
장옥정은 화초처럼 자란 숙종에게 경제마인드를 심어주었으며, 화폐유통 등 경제혁신을 반대하는 노론의 지주인 송시열을 사사하도록 하는 등으로 방해자를 제거해 경제개발에 성공을 이뤄냈다.
그 결과 1,000여개의 장시가 생기고 3백만 명이라는 놀라운 고용이 창출돼 숙종은 불과 30년 만에 단축성장을 이뤄내 영조와 정조에게 부강한 문예부흥시대를 열어주었다.
숙종과 장희빈의 자주국방 노력
숙종은 자주국방을 위해 강소대국의 국방전략을 세웠다. 군인의 숫자보다 강력한 폭탄을 개발해서 국방을 강화하려 했다. 요즘으로 치면 핵을 보유해 국방을 강화하려는 것과 유사했다.
장옥정은 숙종의 자주국방에 대한 염원을 이루기 위해 화란의 폭탄전문가를 초청해 비밀리에 폭탄개발에 성공했다.
폭탄개발의 성공을 알게 된 청국은 병자호란 항복강화조약(기축약정) 제8항의 위반이라고 폭탄을 해체할 것을 강력히 압박함(요즘 핵개발을 금지하는 것과 유사)
청국은 이 폭탄이 청국에 대한 공격용인 동시에 외몽골과 위구르에 전달돼 위협이 된다며 폭탄의 해체와 숙종과 장희빈을 북경으로 입조하라고 압박한다.
이 기회를 이용해 노론은 청국과 힘을 합쳐 장희빈을 사사하도록 해서 숙종은 압력에 못 이겨 그녀를 사사한다.
장희빈에 대한 노론의 저주와 악담조작
장희빈은 노론에 의해 죽임을 당했지만 그들에 의해 지금까지도 악의적으로 비하되고 있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인현왕후전』과 『수문록』, 『숙종실록』(편집책임자: 인현왕후 오빠 민진원), 『사씨남정기(노론 김만중)』등이 노론의 대표적 허위기록들이다. 한 예로, 수문록은 노론의 사림학자들이 썼다고 보기에 민망할 정도로 저급하다.
“장희빈은 사약을 먹지 않기 위해 발악했고, 아들의 하초를 잡아당겨 고자로 만드는 패악을 부리다 억지로 사약이 부어졌다. 드디어 장녀가 죽으니 하늘의 천벌을 받아 시체가 순식간에 썩어 냄새가 궐내를 진동하는지라 즉시 궁밖에 내다버렸다.”
숙종 사후 조선의 몰락
경제대왕 숙종의 경제적 업적 역시 폄훼된 것은 정조가 독살 된 후 정순왕후와 노론의 세도 정치가들이 상인들의 재산을 탈취하고 경제행위를 억압함으로써 성장동력을 말살한 때문이다.
며칠 전부터 예고 되었던 ‘그 소식’이 현실화 되었다. 이 소식의 골자는 다음과 같다. 미국에 ‘불법’으로 5년 이상 체류해 오던 시민권, 영주권자 자녀를 가진 부모 들에게 3년간 제한적이지만, 합법적인 신분을 부여한다 것을 국회를 통한 이민법이 아닌 정부자체의 행정명령으로 실행한다는 것이다. 이 소식을 듣고 생각을 한다. 과연 이것이 고국 (a.k.a 대한민국)에서 온 사람들에게는 얼마나 적용이 되며 도움이 될까..하는 것이다. 이런 뉴스는 이곳에서 발행되는 한글로 된 신문들이 제일 좋아하는 소식 중에 하나이기에 더욱 그렇다. 이런 정도의 뉴스면 아마도 front page 제일 위에 실릴 만 할 것이다. 그 정도로 ‘이민법’에 관한 것은 우리 같은 minority community에게는 민감하고 중요한 것이라고 할까?
일년도 훨씬 전에 이미 상원에서 comprehensive immigration bill이 통과 되었지만 하원에서 거의 ‘초 죽음이 된 상태로 아사餓死 되기만 기다리는 신세가 되어있다. 그 당시 통과된 법안은 ‘범법자를 제외한 거의 모든 불법체류자’를 구제하는 것이 골자였다. 오래 전(Reagan era)의 일방적인 ‘사면 amnesty’와는 거리가 멀지만 그래도 기한의 제한이 없이 ‘안심하고 살 수 있게’ 하는 그런 것이었다. 물론 이것을 죽음으로 몰아간 장본인은 ‘인정머리 하나도 없는 공화당 Republican 패거리’의 인간들이었지만 Obama 도 머리만 굴렸지 별로 ‘타협이나 설득’을 못하는 졸렬한 정치력으로 일관을 해서 궁극적인 책임은 바로 그에게 있다고 본다. 결과적으로 희생자는 오랜 시간을 목 빠지게 기다리던 힘없고 지친 그들 (거의가 undocumented Mexican)이었다.
오랜 전에 나는 이들 undocumented 들의 ‘신세’에 큰 관심이 없었고 그저 ‘불법’이니까 ‘합법’으로 만들면 되지 않는가 하는 naive한 생각만 했다. 그러니까 어디까지나 이것은 ‘기술적 technical‘한 문제가 아닐까.. 그러니까 서류상의 문제’가 아닐까. 그것을 그렇게까지 야멸차게, 비인간적 대우, 차별을 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올바른가 하는 생각도 했지만 솔직히 말해서 이렇다 저렇다 말할 자신이 없었다. 하지만 9/11 사태로 모든 ‘서류’들이 중요해지고 거의 필수적인 것이 되어가며 이들의 일상 생활은 점점 ‘지옥처럼’ 변해가고 급기야 가족이 뿔뿔이 흩어지는 비극들이 속출하며 생각이 바꾸었다. 법이나 그에 따른 ‘서류, 종이조각’이 인간의 기본권의 위에 있는가 하는 원초적인 명제가 된 것이다. 나의 생각과 대답은 그렇지 않다는 쪽으로 머무르고 있고 아마도 앞으로도 변치 않을 것이다.
Victor Hugo의 Les Misérables, 우리에게는 쟌발잔Jean Valjean 으로 알려진 이 소설의 주인공들을 통해서 나는 다시 이 쉽지 않은 문제를 조명하기도 했다. 범법자가 법을 어긴 사람들이 회개한 후에 어떤 처우를 받아야 하는가, 배가 고파 훔친 빵으로 강제노동 형을 받았던 주인공과 그를 ‘법’이라는 이유 하나 만으로 ‘일생’을 쫓아다니는 형사.. 극과 극의 입장에 있지만 과연 그럴까? 나중에 나는 그 형사Javert가 사실은 하느님의 구원을 받아야 할 인물임을 확신하게 되었다. 또한 성서에서도 ‘사랑보다는 법’을 먼저 따지는 ‘바리사이 파’들을 질타하는 예수님을 본다. 이것과 현실은 물론 차이가 많지만 따지고 보면 맥락은 비슷하다. 현재 ‘법과 정의의 사자’로 자처하는 ‘공화당 극우파’들이 바로 그 형사 ‘Javert, 자베르’나 ‘바리사이 파’ 라고 보면 큰 무리가 없을 것이다. 쟌발잔은 바로 힘없이 쫓기는 undocumented들일 것이고. 내가 나이가 들어서 그런지는 몰라도, 어쩌면 그렇게도 그들, 공화당 기회주의자들, 인정머리가 없는 것일까? 정치적인 입장으로 그런다면 조금은 이해를 할 여지도 있지만 ‘진정으로 인정머리가 없는 본심’의 인간들이라면 역시 그들이 하느님의 도움이 필요할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Obama란 인물, 처음에는 Bush를 몰아낸 ‘공신’으로 좋아했었지만 시간이 지나가며 하나 둘씩 껍질이 벗겨지며 속의 실체를 보고 실망의 연속이었다. 속에 들은 것이 기대보다 텅 비었던 인상을 받았던 것이다. tactic과 speech같은 것은 능할지 몰라도 미국 대통령의 vision은 거의 없는 인물이었다. 그저 하나 humanism하나면 다 통할 줄 알았던 인물이었다. 심지어는 ‘동성결혼’을 지지하던 해괴한 언동도 서슴지 않았다. 그의 모든 정치적 trouble은 아마도 이런 빈, 텅 빈 character에서 온 것이 아니었을까. 이런 그가 이런 ‘행정적 용단’은 어떻게 밀어부친 것일까? 아마도 그가 신봉하는 humanism이 큰 도움이 되었을지 모른다. 비록 원래 원했던 법은 아니더라도 일시적 3년이나마 이렇게 그 불쌍한 사람들에게 햇빛을 비춘 것은 너무나 다행스럽다. 그는 비록 ‘신앙적, 영적’ 믿음이 없는 대통령이었다 해도 이런 용단은 우리 천주교의 입장과도 100% 일치하는 것이다. 그런 그의 이런 ‘자비’는 그에게 점수를 주는 기회가 될 지도 모른다.
피정이 끝나고 우리는 그 전날 약속이 되어 있었던 어떤 환자 자매님 댁을 방문하게 되었다. 마리에타 지역에 사시는 어떤 병중의 자매님께 ‘급하게’ 천주교 영세를 받게 하는 조그만 과제가 생긴 것이다. 아마도 아들과 둘이 사시는 어떤 우리 또래의 자매님이 중한 병에 걸려서 아마도 오래 못 사실 것이라는 판단으로 다른 주에서 급히 방문하신 친 가족(오빠와 여동생)들이 순교자 성당에 연락을 해서 혹시 외인(비신자)에게 ‘급하게’ 영세를 줄 수 있는가 문의를 했고 ‘우여곡절’ 끝에 연숙에게 연락이 온 것이다. 2년 전 모니카1 자매님이 그런 case였고 그 후의 결과가 너무나 좋았기에 이번에도 그렇게 해 주었으면 한 것인지도 모른다. 이런 때가 바로 레지오 단원들이 제일 사명감을 느낄 때라고 할까..
이때 우리가 방문한 목적은 상황판단이 전부였다. 어느 정도 병이 위중한지.. 그것이 제일 궁금한 것이다. 과연 짧더라도 교리공부를 받을 상황인지.. 그것이 불가능할 정도면 과연 신부님이 ‘비상 영세’를 주실 수 있는지.. 모든 것이 우리들이 눈으로 보고 듣고 하는데 달려있었던 것이다. 조금은 불안한 심정으로 찾아간 곳은 우선 middle-high-class 주택가로서 아마도 financial한 문제는 없으리라 짐작이 되었다. 반갑게 맞이한 오빠 형제님 2 여동생 자매님들.. 모두 인상도 좋았고 친절하였다. 전화로 이미 들었던 ‘사연’에 덧붙여 더욱 자세한 이야기도 들을 수 있었다. 비교적 대 가족이었지만 모두들 지역적으로 뿔뿔이 흩어져 살아서 그것이 우선 문제였다. 아픈 환자가족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간호를 할 것인가? 비록 두 아들이 있다고 하지만 그것으로 충분할까?
침대에 누어있는 환자자매님.. 모든 것이 아주 불편해 보였고 우리를 보고 고개를 갸우뚱하더니 계속 물끄러미 주시를 했는데.. 우리는 무언가 우리를 ‘의심’이라도 하는 것이 아닌가 했지만 그것이 아니었다. 그 아픈 자매님은 알고 보니 우리도 낯이 익었던 것이다. 우리가 오랜 세월 동안 다니던 YMCA에서 본 것이다. 나중에 알고 보니 이 자매님 부부가 YMCA에서 janitorial staff으로 일을 했던 것을 기억했다. 그것이 불과 2~3년 전이었지만 서로가 첫 눈에 못 알아 본 것이다. 그 자매는 처음에 나를 먼저 알아보고 나중에 연숙을 알아 보았다. 어떻게 이런 인연이 있을까? 우리는 너무나 반가워서 한동안 어쩔 줄을 몰랐고 옆에서 보고 있던 가족들도 너무나 기쁜 얼굴들이었다.
놀란 것은 그것 뿐이 아니었다. 그 자매님의 부군 형제님이 올해 4월에 이미 암으로 돌아가셨다는 소식이었다. 그 형제님은 남자 locker area에서 너무나 자주 보았고 이야기도 나누었던 사이었는데.. 나이도 아마 나와 비슷해서 더욱 친근감을 느낀 그런 분이 이미 이세상 사람이 아닌 것이다. 남편의 병간호가 너무나 힘이 들었는지 곧 바로 자기도 이런 중병에 걸렸다는 것이다. 어떻게 이런 비극이 있을까?
오빠와 여동생이 모두 이미 천주교 신자였고 이 아픈 자매님은 아직도 외인이었지만 가족들은 그 자매님이 천주교 신자가 되기를 간절히 바랬다. 비록 중병이라 할 지라도 하느님, 특히 천주교의 하느님을 알기를 원했던 것이다. 게다가 우연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여동생 암브로시아 자매님3과 이야기를 하다가 오하이오 주 Dayton, Cincinnati 지역에서 성당을 다녔다고 했고 우리의 영세 신부님 왕영수 신부님과 같이 신자생활을 한 것도 알게 되었다. 근래에도 한국으로 비행근무를 할 때 가끔 왕신부님과 만난다고.. 이런 뜻밖의 인연이 어디에 있을까? 성령운동에서 음악찬양을 하는 최데레사도 잘 안다고 했다. 이런 것들로 우리는 순식간에 ‘친구’처럼 느끼게 되었고 우리가 레지오 단원으로 자매님을 도울 수 있을것을 알게 된 그들은 어린이들처럼 기뻐했다. 다음날 직장 관계로 모두 떠날 그들이기에 더욱 그랬을 것이다.
세상은 넓고도 좁다던가.. 이런 인연으로 우리 부부는 레지오 단원의 한 조 로써 이 위중한 병으로 고생하는 자매님을 위해 봉사할 기회가 찾아 왔고 우리가 옛날 레지오 단원들에게 받았던 ‘은혜’를4 갚을 chance가 왔음을 느낀다. 얼마나 우리가 도울 수 있을지 아직은 미지수이지만 최선을 다할 각오는 되어있다고 느낀다.
¶ CLC 일일’一日’ 침묵피정 어제는 아침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아틀란타 CLC 가 주최한 ‘일일 침묵피정’이란 곳에 연숙과 참가하였다. 지나간 순교자 성당 주일 미사 후 점심 시간에 낯이 익은 CLC 자매가 갑자기 와서 ‘일일 침묵피정 신청서’를 건네주며 꼭 오라고 해서 조금 당황한 적이 있었다. ‘원칙적’으로 ‘못 간다’고 나는 이미 생각을 하고 있다가 후에 다시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런 기회가 또 올지 안 올지 확신이 서지를 않았던 것이고, 이것이야말로 it’s now or never란 생각도 들었다. 내가 가지 안더라도 연숙은 물론 갔을 것이지만 나의 결정으로 생전 처음 CLC주최 피정을 둘이서 참가하게 된 것이다. 이번의 일일 피정은 ‘CLC 골수단원’ 대상이 아니고 ‘일반인’ 대상이라 마음이 가벼웠지만 ‘침묵’이란 말이 조금 신경이 쓰인 것도 사실이었다.
CLC (Christian Life Community)하면 로욜라의 아냐시오 성인(St. Ignatius of Loyola)의 영신수련(spiritual exercise)을 바탕으로 예수회의 영적지도(spiritual guidance)를 받는 전세계 ‘평신도 단체’란 것을 나는 예전부터 연숙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들었다. 연숙이 전에 이런 ‘과정’을 거쳤었기에 나는 옆에서 조금씩 보고 듣게 된 것이다. 인간적인 갈등으로 비록 그’단체’를 떠나서 지금은 나와 전심으로 레지오 마리애를 하고 있지만 그곳에 대한 관심은 지금도 크게 떨어진 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 어제 그곳에 참석을 해서 그녀는 많은 사람들을 알아 보았다. ‘옛 동료’들처럼 보였다.
생각보다 비교적 많은 참석 인원(100+?)이 모인 그곳에서 우리가 속한 마리에타 2구역 ‘자매님’들도 만나서 너무나 반가웠는데, 그 중에는 전 스테파노 부부, 마르쎌리나, 히야친타 자매들도 보였고, 이곳 ‘역시’ 대다수가 자매님들이었는데 아마도 이것이 ‘정상’이 아닐까 생각되었다. 피정 자체는 ‘피정의 달인’이라고 소개된 방문신부 ‘정구평 마르코’ 신부님이 담당을 했는데 우리와는 최형 댁에서 ‘개인 적’으로 만난 경험도 있고 해서 큰 거리감 없이 강론을 따를 수 있었다. 피정 주제는 ‘기도와 관상’ 이었고 아마도 아냐시오 성인의 영신수련 중 ‘제 1과’ 정도가 아닐까 추측이 되었다. 배부된 handout text를 보면 피정 강의의 주요 골자는 다음과 같았다.
기도와 관상 1
‘나’에 대한 근본적인 정의
‘나’에 대한 조명
하느님 사랑 안에서 드러나는 ‘ 나’
기도란 무엇인가?
기도의 방법
기도의 목적
기도와 관상 2
영신수련에서 기도의 외적 형식
기도와 호흡
기도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호흡의 방법
생각 조절하기
기도 준비단계
기도와 관상 3
영신수련은 이성을 도구로 다양한 감정들을 분석하는 피정인가?
기도할 때에 올라오는 다양한 감정들
분심과의 싸움
기도와 관상 4
성 이냐시오의 관상
두 개의 깃발
기도와 관상 5
영적 여정의 시작(원리와 기초)
일상 안에서의 성찰
첫째 감사
둘째 조명
셋째 반성 및 성찰
넷째 결심
다섯째 마침기도
기도와 관상 6
생각, 말, 행동
이런 주제와 내용들에 대한 강의를 듣고 두 번에 걸친 30분 가량의 침묵기도 시간이 주어졌다. 아침 식사 때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시간이 조용했고 침묵을 유지하려는 노력들이 뚜렷했다. 그런 중에 두 번 30분 기도는 놀랍게도 그렇게 어렵지 않았다. 바로 전에 들었던 내용이 머리 속에 가득 찬 도움으로 평소에 꿈도 못 꾸었던 나의 모습도 바라볼 기회가 있었다. 문제는 그런 나의 모습과 ‘하느님’과의 관계를 어떻게 생각하느냐 하는 것이었다. 내가 못 느꼈지만 그래도 사랑을 받았던 나 였는가.. 긴 인생을 통해서 생각해 보기도 했다.
기도에 대한 것은 놀라울 정도로 실용적인 것으로 이것도 처음 보는 것이었다. 묵주기도와 기도문 기도에 전적으로 의지하던 것에 비하면 이런 것들은 아주 제한이 없는 것처럼 자유로운 것처럼 느껴졌다. 그래서 조금 불안하기도 했다. 무언가 의지할 곳이 없어진 것 같은 것이다. 비록 짧았던 하루 피정이었지만 나에게는 다른 쪽으로 눈을 뜨는 듯한 신선한 피정이었다. 아마도 ‘구면’이었던, 친근한 인상의 정구평 마르코 신부님의 피정 스타일이 그런 느낌을 받게 하는데 더 도움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자다가 깨어 생각해도 ‘신부생활, 하느님과의 시간’이 너무도 행복하다”는 신부님의 말씀도 큰 과장이 아닌 것으로 들리기도 했다. 시간이 나면 이쪽으로 더 공부를 하고 싶은 의욕도 느끼나. 글쎄..
재발 암 환자로 비신자였던 자매님, 속성과 교리공부와 영세 이후 기적적으로 암에서 치유된 case ↩
조금은 ‘늙은이의 하소연, 푸념’같이 들리는 이 말은 근래 대한민국에서 나온 유행가의 제목이다. 물론 나는 생전 처음 들어보는 노래였지만 요새 갑작스레 나에게 가까이 다가왔다. 다가온 것 뿐만 아니라 이제는 ‘달달 노래 연습’을 할 처지까지 되었다. 또 그 season이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레지오 연차 총친목회라는 긴 이름, 아마도 요새는 ‘연총’이라고 부르는 이것이 12월 7일에 열리는데 이때 각 쁘레시디움 별 talent show(장기자랑)에서 우리와 다른 team이 합작으로 이 곡을 ‘합창’으로 하게 되었다.
레지오 ‘연차 총친목회’의 원래 의도는 member reunion인데 이제는 완전히 모여 노는 것, talent show로 인식이 되어가는 모양이다. 올해로 나는 4년째 이것을 맞게 되었는데 해마다 조금씩 무언가 달랐다. 그 중에서 지난 2년은 추억으로 남겨도 될 것 같은 기분이 좋은 것이었다. 그야말로 reunion의 정신을 100% 살렸기 때문이다. 간혹 얼굴만 보던, 아니 전혀 생소한 단원들을 ‘그런대로’ 알게 된 기회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것이 아마도 ‘연총의 정신’이 아니었을까? 특히 작년에는 생소하기만 하던 ‘희귀동물’, 남성단원들이 ‘노래 연습’차 같은 방에 모일 기회도 만들어 주었기에 더욱 기억이 새롭다.
그에 비해서 올해는 조금 분위기가 을씨년스럽게 느껴졌지만 이렇게 다른 방식으로 두 쁘레시디움을 만나게 하는 계기가 되어서 멀리서만 보던 ‘모르는 단원’들과 가까이 할 기회가 되었다. 최 장년 축에 속하는 두 그룹이 모여서 이 ‘내 나이가 어때서’를 부르기로 한 것인데.. 조금은 self-pity 하는 기분이 들어서 나는 이 노래가 별로 마음에 들지 않았지만.. 중론이 모두 좋아한다고 하니 어찌할 수가 없다. 우리가 택한 version은 오승근이라는 ‘장년 세대’의 것인데.. 알고 보니 이 오승근이라는 사람은 우리세대에 그러니까 70/80에 속한 그야말로 senior그룹의 오래된 가수였다.
더욱 알고 보니.. 소싯적에 내가 좋아하던 Two Aces, ‘금과 은‘ Duet 중의 한 사람이 아닌가? 아직도 기억한다.. Two Aces시절 그들이 TV show에서 부른 Everly Brothers의 Dream Dream (All I have to do is). 나중에 바뀐 이름인 ‘금과 은’ 처럼 너무나 청순한 목소리로 잘 불렀었다. 그 듀엣, 둘중의 하나가 ‘오승근’이었단 말인가? 너무도 잊고 살았다. 더욱 놀란 것이 그가 ‘트롯트‘ style의 ‘전통가요’를 부른다고? 믿어지질 않는다. 너무나 큰 변신으로 느껴질 정도로 세상이 그렇게 변했구나. 이래서 Two Aces의 추억을 더듬고 그의 ‘내 나이가 어때서’를 부르게 되니.. 감회가 깊다. 그가 이 노래를 하는 모습을 보니 ‘만든 모습’인지 ‘자연스런 모습’인지 혼동이 올 정도로 ‘젊게’ 보인다. 하기야 요새 나이든 가수들을 보면 이것은 지극히 정상적인 현상이니까.. 이상할 것이 하나도 없다.
며칠 전, 우리 두 ‘장년층’ 쁘레시디움이 처음 모여서 연습을 하였는데 ‘가라오케’ 반주의 막강한 보호와 도움으로 그런대로 무난히 소화를 하게 되었다. 문제는 높은 음정의 이 곡을 과연 몇 명이나 smooth하게 넘길 것인가와, 비교적 짧은 이 곡을 어떻게 짧지도 않고 지루하지도 않게 re-arrange해서 무대에 설 것인가 하는 것인데.. 글쎄.. 나는 전혀 이런 것에는 문외한이라서…
Karaoke – 내 나이가 어때서 – 오승근 version
Karaoke – 내 나이가 어때서 – ballad version
¶ Very Early, November ‘Polar Vortex‘ Polar vortex.. 근래 특히 겨울에 많이도 듣던 말이다. 비교적 근래에 쓰이는 ‘기상용어’ 라고나 할까, 아니면 mass media의 유행어라고나 할까? 작년에 특히 많이 들었던 것 같다. 유난히 추웠을 적의 기억이다. Wikipedia에 의하면 북극과 남극에 ‘상주’하는 지독히 찬 공기덩어리가 있는데 이것의 이름이 바로 Polar Vortex라고 한다. 계절에 따라 커지고(겨울) 줄어들고(여름) 하는데 가끔 이것이 ‘암세포’처럼 커져서 퍼지면 지금처럼 되는 모양이다. 북극으로부터 몰아치는 ‘지독히 추운 공기의 바람’ 이 연상이 되고 한때는 Arctic Blast, Alberta Clipper란 말도 들었는데 이런 현상이 이제 유행이 아닌가? 좌우지간 이런 말들은 한 겨울에나 듣던 말인데.. 올해는 thanksgiving holiday도 2주나 남은 한창 가을에 이런 말을 듣게 되었다.
한반도에는 아마도 ‘시베리아의 강풍’이라고 연상하면 알맞은 어감이라고 할까? 혹시 이것도 global warming의 한 징조일까… 그래서 모든 것이 extreme쪽을 치닫는 것인가. 지금 현재 Canada 와 인접한 upper Midwest 쪽에는 거의 한겨울 같은 눈이 쏟아지고 기온도 급강하.. 며칠 후에는 낮의 최고가 freezing point까지 내려 간다고 한다. 문제는 이것이 우리가 사는 ‘따뜻한 Southeast’ 쪽으로 밀려 왔다는 사실이다. 오늘 아침에는 드디어 hard freeze가 되었고, 올 들어 처음으로 ‘고드름’을 목격하게 되었다.일기예보는 우리가 사는 지역도 이번 주말이 지나면 최저 18도까지 떨어진다고 한다. 이런 기온은 1월 말 정도에나 ‘가끔’ 겪는 것인데..
더욱 ‘괴상한 것’은 보통 같으면 blip같은 ‘짧은’ 현상이 이번에는 거의 일주일 이상 계속된다고 하니.. 어찌된 일인가? 평년의 11월 이맘때면 그야말로 ‘찬란한 황금색의 낙엽’을 자랑하는 비교적 따뜻한 모습이었는데, 올해는 어떻게 된 일인가? 한창 가을색을 자랑하려던 ‘낙엽’들은 아마도 이번에 모조리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가뜩이나 을씨년스러운 기분이 더욱 춥게만 느껴지고 한참 남은 끝을 못보고 있는 outdoor work들도 더 연기를 해야 하는 것인가.. 하지만 그런대로 문제없는 고물 ‘clunker‘ central heating이 버티고 있으니까.. 큰 걱정은 안 한다. 전혀 plus가 없는 것은 아니다.. 이런 날씨에는 진하고 뜨거운 black coffee 맛의 ‘정수精髓’를 즐길 수 있을지도 모르니까..
¶ THANKSGIVING BLEND 올해는 비교적 coffee를 많이 마시게 되었다. 한때 물을 많이 마시려고 일부러 줄인 적도 있었지만 나의 lifestyle은 아무래도 plastic water bottle보다는 coffee cup이 더 맞는 것을 느낀다. 특히 오랜 직장생활에서 morning ritual은 구수한 ground coffee의 냄새로 시작된다는 것도 어쩔 수없이 몸에 배인 모양이다. wine의 미묘한 맛의 차이는 잘 몰라도 이제는 coffee의 향과 맛의 차이는 잘 알게 되었다. 건강을 이유로 지나친 coffee를 자제하려는 자책감이 항상 있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나는 그런 정도는 아닌 듯 싶다.
현재는 주로 새벽과 아침 식사 때, ‘정식, 공개적’으로 마시고 가끔 (요새는 더욱 자주) 늦은 오후에 ‘혼자서’ 마신다. 연숙은 지독하게 caffeine 에 민감해서 점심이 지나서 마시면 잠을 못 자기에 아침식사 때만 나와 같이 마신다. 나는 물론 ‘전혀’ 그런 것이 ‘아직’은 없지만 인생 선배님들은 ‘언젠간’ 나도 그렇게 변할 것이라 경고를 해서 이것도 시간 문제일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든다. 그때까지 즐기는 것이 현명할 듯.. 며칠 전에 작은 딸 ‘나라니’가 집에 들렸을 때 coffee bag을 들고 왔는데 그것이 THANKSGIVING BLEND STARBUCKS whole bean 커피였다. 이런 때가 나에게는 정말 즐거운 순간이다. Starbucks coffee를 마셔 본지도 꽤 된듯한 기분이라서 그 독특한 맛도 거의 잊어가는 때 이렇게 기회가 온 것이다. 이것을 마셔보니, 그 동안 마시던 것과는 물론 비교가 되지 않는다. 이래서 우리는 아무래도 ‘경제적으로’ STARBUCKS class가 되는 것이 불편한 모양이다.
몇 년 전에 새로니 나라니가 번갈아 가면서 STARBUCKS 에서 part-time으로 일을 한 적이 있었는데 그때 ‘공짜로 주는’ coffee를 ‘무진장’ 즐겼던 경험이 있었는데 그 이후에 그것을 사서 마시기에는 아무래도 그랬다. 그래서 생각이 우리는 경제적으로 STARBUCKS class가 못 되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그저 그것을 ‘사 먹는’ 것이 불편한 것이다. 만약 우리가 그것이 불편하지 않을 정도가 된다면 어떨까.. 글쎄 그래도 불편할 듯 하다.
¶ Relevancy of Legion of Mary
Is the Legion of Mary[Legio Mariae] still relevant today? 레지오 마리애 지금도 큰 의미가 있는가? 이런 ‘끔찍한’ 생각이 요사이 들어서 나의 머리를 떠나지 않는다. 대답은 불행하게도 almost No! 인 듯해서 어깨가 더 쳐지는 듯 느껴진다. 4년여의 ‘Never look back’의 각오로 노력한 경험으로 이런 결론을 내린다는 자체는 가소롭지만 나에게는 정말 심각한 것이다. 아직도 ‘레지오’ 하면, 20세기 초에 머문듯한 ‘구닥다리’ 인상을 받게 되는 것은 왜 그럴까? ‘영웅적’인 레지오 창시자 Frank Duff같은 ‘준 성인’이 다시 필요한 때가 된 것일까? 레지오 마리애가 ‘영적인 군대’이며 군대와 같은 조직을 유지하고 있으면 이런 군대도 ‘현대화’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 고대 로마 군단의 조직을 유지하고 그 충성심과 용맹 성을 본 받는다고 하는 것은 분명히 레지오 만의 특징이고 자랑일 수 있지만, 초 현대 세속사회를 살아가는 영혼들에게 그런 것만으로 충분할까? 아마도 충분하지 않을 것이다.
레지오 마리애가 교회에 끼친 공헌 중에 제일 큰 것은 아마도 ‘평신도의 활성화’ 가 아닐까? 1960년대의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정신과 완전히 맞아 떨어졌다. 레지오의 위상도 역대 교황들의 ‘묵인과 승인’의 혜택을 충분히 받았고 각 본당에서도 ‘필수적’인 평신도 단체로 대우를 받아서 꾸준히 영향력을 늘려갈 수 있었다. 하지만 거의 신화적인 존재, 창시자 Frank Duff의 퇴진(1980년 11월 7일 선종, 91세) 이후.. 아마도 momentum이 서서히 줄어들고 지금은 거의 정지된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어떻게 ‘한 사람’의 부재가 이런 결과를 초래하고 있는가? 아마도 현재 Dublin, Ireland 세계 본부(꼰칠리움)가 제 역할을 다하고 있지 못하는지도 모른다. 그들의 mindset가 아직도 20세기에 머물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런 생각으로 우리 주변의 상황을 보면 크게 다를 것도 없다. 모든 것이 그저 status quo, status quo.. 현상유지에 급급한 모습들. 세상이 급속히 ‘진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가만히 있으면, 즉 ‘status quo’ 그것은 다름이 아닌 ‘후퇴‘인 것이다. 큰 의미가 없는 사소한 것들 가지고 모든 ‘바쁘기만 한 단원들’의 귀중한 시간을 허비, 낭비하는 평의회 모임들, 왜 우리들이 레지오 활동을 하는지 그 큰 목적은 완전히 잊은 듯 하고 우선순위에서 제일 밑에나 있을 듯한 것들 가지고 열을 올린다. 이런 것들을 계속 목격하면 이런 생각도 든다. 그런 ‘사소한 규칙을 지키려고 레지오 활동을 하는’ 듯한 착각에 빠지는 것이다. 그러니까 그 사소한 시행규칙들이 우리 레지오의 ‘제일 큰 목표’가 되어버린 것이다. 어딘가 이상하지 않은가?
모든 ‘진짜’ 군대들이 ‘완전히 전산화’가 되어서 모든 행정,사무가 이루어지는 이때에 군대의 효율성을 본받았다는 레지오의 현재 ‘서류 흐름’을 한번 보라. 이곳에 쓰는 시간 자체가 레지오 활동이 된 것 같은 착각에 빠질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 조직의 관리에 드는 시간을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최소한으로 줄이고 나머지 모든 시간을 ‘영혼을 위한 활동‘에 나서야 하는데 내가 본 실정은 거의 반대쪽으로 흐르는 듯한 느낌인 것이다. 레지오 단원 생활 4년 쯤 되면 모두들 이런 ‘권태기‘를 가지는 것인지 잘 모르지만 이런 때를 어떻게 잘 극복하는 가.. 역시 우리 어머니 성모님에게 의지하는 수 밖에 없다.
¶ Che sarà 케 사라~ 케 사라~ 케 사라~아~.. 이 친근한 Italian melody를 오늘 43년 만에 다시 듣게 되었다. 그야말로 Che sarà moment를 예기치 않게 맞이한 것이다. 43년 만에.. 43년 만에..
오래 살다 보니 ‘우연’이란 것을 심심치 않게 맞이하긴 하지만 오늘의 이 케사라 moment는 그야말로 우연이 되었다. 이 Che sarà는 1971년에 이탈리아 Sanremo 음악제에서 2위를 한 곡으로 아마도 미국만 제외하고 전세계에서도 2위의 영광을 누린 곡일 듯 하다. 왜냐하면 그 이후 미국에서 이 곡을 ‘한번도’ 들을 기회가 없이 그대로 잊혀지고 말았으니까..
Ricchi e Poveri – Che Sarà – Sanremo 1971
하지만 1971년도에 우리나라에서도 크게 알려진 이 곡은 그 melody의 특성상 잊을래야 잊을 수 없는 그런 것으로 두고두고 귓전에서 맴돌았던 것인데.. 40년이 지나가는 긴 인생의 여파로 그것도 많이 희석이 되어버렸다. 그렇다고 해서 완전히 잊은 것은 아니었다. 왜냐하면 몇 구절이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이 되니까.. 특히 amore mio.. 부분이 그러하다.
오늘 이 곡을 찾게 된 계기는 며칠 전에 연숙이 성당에서 ‘구입’한 류해욱 요셉 신부님의 신작 묵상 수필집 ‘영혼의 샘터’에 있었다. 받아 쓰기에 너무나 편한 신부님의 글이라 또 무료함을 달랠 겸 typing away를 즐기다가 ‘무엇이 되어야 할 것은 그렇게 되리니’ 라는 소제목의 글을 읽다가 1950년대의 미국 pop song ‘Que sera sera’에서 신부님의 묵상주제가 나왔음을 알게 되었다. 케 세라 세라.. 어렸을 적 1950년대에 많이 듣던 Doris Day의 hit였고 신부님 말씀대로 모두들 ‘될 대로 되라’로 잘못 번역된 뜻으로 해석하고 살았다. 하지만 진정한 케세라 세라는 그것이 아니고.. ‘무엇인가 되어질 것은 그렇게 될 것’ 이라는 거의 묵상재료에 가까운 뜻이었다. 될 대로 되라는 식의 자포자기가 아니고 “우리 삶 안에서 때로 원하지 않았던 일이 일어나거나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닥쳤다면 그것을 자기 인생에서 하느님의 계획표 안에 들어있던 그분의 뜻임을 알고 받아들이라는 의미” 로 해석을 하자는 류 신부님의 묵상은 참으로 좋았다. 동양사상으로 아마도 ‘순리’의 지혜가 아닐까? 너무 무리하지 말고 흐르는 강물에 몸을 맡기는 것도 지혜라는 것.. 어떨 때는 그것이 그렇게도 힘들었음을 오랜 ‘힘든’ 인생의 삶에서 알고 있지만..
José Feliciano – Che Sarà – Sanremo 1971
문제는 신부님이 여기서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서 Doris Day의 케세라 세라와 이태리 1971년 산레모 음악제 2위의 곡인 Che sarà (What will be) 케 사라.. 를 완전히 혼동, 그야말로 짬뽕을 해 버린 것이다. 나는 류 신부님을 탓할 수 없는 것이 이분의 나이가 나보다 적어도 10살은 밑일 듯하니까.. 1971년이면 아마도 중학생 정도였을 것이고 이런 노래들은 책을 통해서나 들었을 듯하니 어찌 그렇게 정확하게 알 수가 있으랴.. 하지만 Google과 Wikipedia의 세상에서 사실적인 것은 예전보다 비교적 값싸게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하지만 이런 신부님의 혼동의 덕택으로 나는 이 추억의 명곡을 기억할 수 있었고 하루 종일 1971년경 나와 우리 가족의 모습들을 회상할 수 있었다.
1971년을 대한민국에서 살았으면 아마도 매년 열리는 이 이태리 산레모 음악제를 기억할 것이고 참 주옥 같은 명곡들도 많았다. ‘문제’의 이 Che sarà 케 사라 는 당시 두 팀이 같은 곡을 경연하였는데 그 중에 한 팀은 vocal solo였던 ‘미국 (사실은 Puerto Rico, 미국령)’에서 외국가수 자격으로 출전했던 Jose Feliciano(호세 휄리치아노)였고1 이 같은 곡을 부른 다른 팀은 이탈리아 출신 혼성 vocal group 인 Ricchi e Poveri(Rich & Poor) ‘리키이포베리’ 였다. 당시 우리나라에서 큰 hit를 한 것은 혼성 팀 리키이포베리 팀이었고 나의 귓전에 아직도 생생한 melody도 이것이었다. 거의 같이 Jose Feliciano의 jazzy한 rendition도 큰 hit를 했지만 우리나라의 당시 정서로는 역시 열창가곡 스타일인 리키이포베리 팀이 더 사랑을 받았다. 오늘 이런 연유로 나는 1971년 당시 이 노래를 들을 당시를 회상하며 오랜만에 축 가라앉는 날씨와 더불어 그야말로 nostalgic & sentimental의 극치를 맛 보았다. 가라앉는 기분이지만 사실은 하나도 나쁘지 않았다.
José Feliciano – Che Sarà – Italian TV show
Ricchi e Poveri – Che Sarà – Italian TV show
¶ 오늘은 또 다른 의미의Che sarà moment도 있었다. 오늘 이른 아침 정들었던 교우 전요셉 형제가 고국으로 향하는 귀국 비행기에 부인과 함께 피곤한 몸을 실었다. 아무리 좋게 보아도 조금은 가슴 아픈 경험이라고 할까.. 이별도 그렇지만 귀국을 하는 전 형제의 뒷모습이 더욱 추운 날씨와 겹쳐서 나를 춥게 만들었다. 소위 말하는 ‘금의환향’ 까지는 아니어도 더 가벼운 마음으로 비행기를 탔으면 하는 바람을 금할 수가 없는 것이다. 작년 여름이었나.. 정말 우연히 돼지띠 동갑 교우 형제님을 알게 되었고 그가 바로 전요셉 형제였다.
이미 몇 년 전에 레지오 단원으로 우리들은 이 형제님을 위해서 열심히 기도를 한 적이 있었고 기적과도 같이 이 형제님은 전통적으로 불치의 병으로 알려진 ‘암’에서 회생을 하였다. 우리들은 물론 ‘묵주기도’의 힘을 더 믿게 된 계기도 되었다. 사실 그것이 전부였고 다른 자리에서 인사를 따로 할 기회가 없었는데 우연히 돼지띠 동갑임을 서로 알게 되고 순간적으로 우리는 ‘형제’처럼 느끼게 되었다. 긍정적인 의미로 very simple한 영혼이었고 우리는 그런 사실에 사실 모두 impress되었다. 작년 이맘때부터 시작된 레지오 연차 총친목회의 program에서 이 형제님과 다시 만나게 되었고 우리는 신나는 ‘난타’ team에서 열심히 북을 쳐 댔다. 오랜 미국 생활에서 터득한 지혜 중에는 ‘한 사람에게 너무..’ 라는 것이 나에게 있었지만 이번에는 조금은 예외적으로 느껴졌고, 정말 정말 오랜만에 고향의 친구, 형제를 만난 기분으로 그 동안 조금은 거리감이 있었던 순교자성당에 더 가까움도 느끼게 되었다.
미국 생활이 10년이 넘는다고 했지만 나이 탓인지 ‘고국 냄새’가 확연히 났지만 그 냄새들이 다 ‘좋은 쪽’의 것이어서 이 형제님을 통해서 수십 년 동안 잊고 살았던 ‘고향의 흔적과 풍습’을 배울 수도 있겠다는 나만의 희망도 갖게 되었다. 하지만 역시 나에게 돼지띠 동갑은 사치였는지.. 10여 년의 미국생활을 청산하는 결심을 한 형제님의 ‘귀국선언’은 을씨년스럽게 변하는 날씨 못지않게 우리를 쓸쓸하게 만들었다. 10여 년 동안 이 형제님은 참 열심히 노력하며 살았는데.. 결과적으로 무리가.. 순리가 아니었는지.. 하느님의 뜻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이것도 역시 ‘케 사라’ 인가.. 너무 무리하지 말고.. 흐름을 따르면.. 아직은 그럴 여유를 못 찾는다. 우선은 섭섭하고 쓸쓸한 늦 가을의 황량함만 느껴질 뿐이다. 형제님, 그 동안 돼지띠 동갑으로 즐거운 시간을 가졌지만 더 많은 시간을 나누지 못한 아쉬움 오래 오래 남을 듯 합니다. 인연이 되며 어디선가 또 만날 수 있으리라.. 믿고.. 바랍니다.
류해욱 신부님, 사실적인 것이 틀리면 고치는 것이 좋을 듯하고.. 호세 는 Hose가 아니고 Jose일 듯한데요… ↩
몇 개월 전이던가.. 확실치 않다.. 하지만 6개월은 넘지 않았을 것 같은 느낌. 우리가 다니는 미국 본당 Holy Family CC (Catholic Church)의 성체조배실 (adoration chapel) 에서 비교적 낡은 책 하나를 읽게 되었다. 조그만 책자였는데, 눈에 익은 이름이 보였다. HIS HOLINESS JOHN PAUL II.. 그러니까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저자인 책이었다. 제목이 바로 ‘CROSSING THE THRESHOLD OF HOPE” 였다. 직역을 하면 ‘희망의 문턱을 넘어서..’ 정도가 될까. 나 나름대로의 의역은 ‘희망으로 넘어 가며’ 조금은 어색한가.. 희망이 없던 사람이 그것을 찾으려 노력하다가 비로소 조금씩 그것을 찾아간다 정도가 아닐까?
성체조배실에서는 주로 성체를 앞에 두고 명상이나 묵상 나가가서 관상까지도 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무엇을 하던 사실 제한은 없는 것 같다. 연숙과 그곳을 거의 정기적으로 가게 된 것은 우리가 ‘평일 미사’를 시작하면서였고 평일 미사가 끝난 후에, 필수적으로 일주일에 몇 번을 하는 것은 정하지 않고, ‘가고 싶으면’ 가는 것으로 했는데 의외로 정기적인 것이 되었다. 이 본당의 성체조배 활동은 참으로 활발해서, 우리의 한국본당 순교자 성당에 비하면 ‘하늘과 땅의 차이’라고 할만 하다. 왜냐하면 순교자 성당에는 ‘성체조배실’이란 것이 아예 없기 때문이다. 항상 비어있는 듯한 컴컴하고 춥고, 더운 순교자 성당의 분위기1와 이곳의 24시간 쾌적하게 돌아가는 성체조배실이 있는 미국본당의 ‘눈에 안 보이는 차이’는 아마도 상상을 초월할 듯 하다. 어떤 자매님은 경험적으로 성체조배 활동이 있는 모든 본당의 신심 수준2은 ‘거의 자동적으로’ 올라가게 되어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나는 성체조배 Eucharistic Adoration 란 것이 처음에 너무나 생소했지만 의외로 좋은 ‘선배’들을 만나서 큰 무리 없이 합류가 되었고 이제는 ‘좋은 시간’ 중에 하나가 되었다. 레지오 덕분에 처음에는 ‘기본’ 묵주기도 의무를 채우려 이곳에서 그것을 하기도 했지만 시간이 지나며 나만의 ‘묵상, 생각’의 시간들이 늘어나기도 했다. 다른 것 중에는 그곳에 비치된 ‘좋은 책’들을 ‘난독’하는 것이다. 거기서 정독을 할 수는 없기에 눈에 ‘꽂히는’ 것을 읽는다. 이런 것들이 우연일 수도 있지만 이제는 그렇게 생각지 않게 되었다. 그 중에 하나가 여기에 언급하는 이제는 ‘성인’이신 요한 바오로 2세의 책인 것이다.
처음에 이 책을 접했을 때 직감적으로 ‘괜히 어려운 책을 골랐구나..’하는 생각을 했다. 교황님이 쓰신 글들은 ‘무조건 어렵다’ 는 선입관 때문이었을 것이다. 분명히 ‘교황 회칙이 어쩌구.. 교회 헌장이 어쩌구..’ 하는 글들이 태반이기 때문이었다. 그것이 원인이었을까.. 이 책을 조금 읽으며 나는 너무나 놀라서 입이 다물어지지를 않았다. 웬만한 교구신부님3들이 일반 본당에서 하시는 수준의 글들.. 주제 들은 ‘항상 궁금했지만 창피해서 물어보지 못하던 것’들로 꽉 차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이 우연이었을까.. 내가 이 책을 고르게 된 것이.. 아닐 듯 하다.
그렇게 성체조배실에서 ‘가끔’ 즐기던 이 책이 어느 날 보니 다시 찾을 수가 없었다. 누가 ‘빌려간’ 모양인지.. 아쉬운 마음이었지만 포기를 하고 있었는데, 최근에 다시 그 책이 돌아왔기에 이번에는 never again의 심정으로 그 책의 제목을 적어와서 Amazon.com에서 찾았다. 1994년 발행된 책으로 그러니까 20년이 된 책이었다. 역시 이것도 contemporary classic 영역으로 들어가는가.. 왜 이렇게 세월이 빨리 가는가. 아직도 ‘출판’이 되는 책인 것을 보니 역시 popular classic이 된 듯하다. 거의 free로 사게 된 (shipping & handling + nothing!)이 책.. 나와는 우연이 아닌 인연으로 성체조배실 보다 더 쾌적한 나의 서재에서 ‘정독’을 하게 되었다. 읽으며 ‘남기는’ 방법.. Reading by Typing.. 이것보다 더 좋은 방법이 어디에 있을까? ‘성경필사‘를 하는 이유와는 다른 것이지만 아마도 그 다음으로 좋은 방법이 아닐까? 읽은 후에 다른 ‘영혼’들과 이 생각과 글을 나눈다는 것은 내가 생각하는 ‘레지오의 사명‘ 중의 하나일 것이다.
이 책이 나오게 된 연유, 과정이 머리글에 자세히 적혀있다. 그것을 읽어보니 ‘왜 이 책이 그렇게 읽기 쉽던가?’ 하는 의문이 저절로 풀린다. 1993년 가을 이탈리아의 TV 방송국에서 ‘교황청 역사상 유례없는’ 기획을 했는데.. 교황과 TV인터뷰를 하는 idea였다. 그것도 ‘전세계로 방영이 되는’ 것으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은 그 당시에도 거의 ‘의외적’인 교황으로 ‘예상을 불허하는’ 교황직을 수행하고 있었기에 이런 제안을 ‘수락’한 것도 전혀 예상 밖은 아니었다고 한다. 교황과 인터뷰를 하려면 아마도 미리 ‘예상적인 질문’ 이 있었을 것이지만 그것, 대답, 반응도 예측 불허였을 것이다.
하지만 또 예상을 뒤엎고 이런 기획이 취소가 되었다. 너무나 바쁜 교황의 스케줄 때문이었다고 한다. 연기를 할만한 여유도 없었고.. 그러니까 TV 인터뷰 계획은 ‘물 건너 간 것’이 되었다. 몇 개월 후에 또 다른 surprise가 있었는데, 역시 요한 바오로 2세의 ‘예측 불허’한 행적이었을까.. TV 인터뷰 대신에 ‘서면’으로 인터뷰를 할 수 있다는 교황님의 대답이 왔고 그 결과가 이 책이 된 것이다. 이 책을 보면 ‘질문’과 ‘대답’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질문의 ‘수준’이 거의 예비자 교리공부의 것과 비슷할 정도다. 그러니까 교황님이 직접 지도하는 예비자 교리반 같은 분위기인 것이다.
이 책의 비교적 짧은 질문, 대답 을 읽는 것은 한마디로 즐겁기만 하다. 감히 교황님께 이런 질문이… 가당한가.. 하는 것들이지만 ‘기가 막힌 대답’들이 너무나 놀라운 것이다. 이분의 ‘지식’은 상상을 초월하지만 ‘알기 쉽게’ 설명하는 실력은 더 놀라운 것이다. 내가 제일 놀라워한 질문은 ‘예수님이 진정 하느님의 아들인가?‘ 하는 것이다. 이 정도면 우리 교리반 교사들 같으면 어떻게 대답을 했을까? ‘그것도 모르며 어떻게..’ 하지는 않았을까? 아마도 ‘그것은 ‘무조건’ 믿어야 하는 ‘공리’ 중에 하나다’ 할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의 대답은 그런 것들을 모두 뛰어 넘는 ‘자상한’ 대답들이다. 현재 1/4 정도 typing을 하고 있고, 덕분에 더 빠른 pace로 모두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정독을 하며, 각 질문과 대답에 대한 나의 생각을 정리하는 것은 전혀 다른 과제일 듯 하다.
¶ MERTON by Thomas Merton
Thomas Merton, 가톨릭 교회, 특히 ‘미국 가톨릭’ 계에서는 너무나 잘 알려진 ‘트래피스트 수사님’..이기전에 bestseller author 인 것을 나는 비교적 근래에 들어서야 알게 되었고 그 분의 사후 posthumous 의 인기와 power를 실감을 하게 되었다. 우선 1968년, 그러니까 아주 오래 전에 ‘선종’한 이 Trappist Monk가 왜 아직도 그렇게 화제이며 유명할까.. 흥미롭지 않은가? 현대판 성 어거스틴, 아우구스티노 라고도 불리는 이분의 일생은 비록 50세를 조금 넘는 비교적 짧은 기간이만 너무나 색채가 진하고 강하고 다양해서 이분의 전기를 쓰는 사람들은 아주 애를 먹으리라 생각이 된다. 50세의 인생을 이렇게 강렬한 후광을 뿌리고 갔다는 것 자체가 ‘멋진’ 것이 아닐까?
The Seven Storey Mountain칠층산 이란 제목의 ‘자서전, 참회록’이 초기 대표작이지만 그 이후 수 많은 주옥 같은 시집을 비롯한 저서를 남겼고, 사후 이분에 대한 저서는 셀 수도 없이 많다. 그만큼 후대에 큰 영향을 미친 ‘수도자’라 할 것이다. 일화에 위에 말한 그의 첫 자서전이 세상에 나온 뒤 1950년대에 많은 ‘건강한 젊은 남자’들이 이 책의 영향으로 가톨릭 수도회에 입회를 했다고 한다. 그들은 한결같이 뒤 주머니에 이 책을 끼고 왔다고 했다. 그 정도면 대강 짐작이 가지 않을까?
여기서 이들의 공통점은 그 책의 저자도 당시 ‘젊다’라는 것이고 영향을 받았던 이들도 젊었다는 것인데.. 지금 60대 중반을 훌쩍 넘어가는 나는 과연 이것들과 무슨 공통점이 있단 말인가? 나이에서는 전혀 공통점이 없다. 하지만 ‘진리를 찾고 싶고, 그 진리로 생을 살고 싶다.’ 라는 것은 비슷하지 않을까? 하지만 나는 그들처럼 수도승이 되고 싶지도 않고 사실 이제는 되고 싶어도 될 수도 없다. 그것 빼고 나머지는 나도 ‘진리’를 알고 싶은 것이다.
Thomas Merton을 가장 ‘짧게 소개한’ 글이 있을까? 대강 2~3 페이지 정도로.. 물론 내가 신뢰하는 Wikipedia를 보았지만 그곳은 ‘객관적’인 역사, 사실, 업적 들을 dry하게 기술했을 뿐이다. 그곳에는 ‘주관성’이 개입할 여지가 별로 없다. 그러다가 ‘우연히’ A Thomas Merton Reader란 책에서 내가 원하는 것을 찾았다. 그 방대한 Merton 저서들을 모아서 500 여 페이지 한 권으로 압축한 편리한 이 책의 서두에 있는 Introduction(by M. Scott Peck) 바로 그것이다. 이 ‘소개장’을 한마디로 줄이면 “Merton은 짧은 글로 표현하기 힘든 복잡한 사람’ .. 이것은 나도 이제 충분히 이해가 가고, 그래서 그렇게 많은 책들이 그를 모든 각도에서 조명하려고 했구나 하는 생각도 든다.
Merton에 대한 Introduction은 이렇게 시작이 된다.
It is impossible to adequately “introduce” Thomas Merton. I have a sense I might almost as well attempt to introduce God. This is not because I worship Merton but because he was an extraordinarily complex and complicated man, multifaceted, diverse, and variable. He was one of those occasional people who could be described as “larger than life”.
이 500 페이지의Reader를어떤방식으로읽을까생각하니이것이장난이아니다. Reading by Typing은물론이지만.. 첫페이지부터읽을것인가.. 아니면난독random 하게골라서, 아니면다른곳에서 ‘도움‘을받아서읽을것인가.. 아직은전혀 idea가없다. 하지만이제까지의경험으로나는 ‘난독‘으로시작할듯하다. 나에게그방법이제일 ‘효과적‘임을나는잘알기때문이다.
한 여름에 순교자 성당 대성당에서 성체조배를 해본 사람들이면 이것이 무슨 말인지 짐작이 갈 것이다. ↩
며칠 전이던가.. 우리의 미국본당의 달력을 보니 10월 22일에 Bl. John Paul II라고 적혀 있었다. 이 달력은 교회달력이라서 일년 열두 달 거의 매일 성인의 feast day가 적혀있다. 매일 미사를 다닌 이후 나는 이렇게 매일 성인의 축일이 있던 사실에 새삼 놀랐고 얼마나 내가 ‘무식한 천주교 신자’였던가 부끄럽기도 하였다. 매일 미사를 다니다 보면 ‘부수입’으로 이렇게 성인열전을 가볍게라도 공부하게 되어서 아주 유익하다.
그런데 오늘 10월 22일 수요일 미사엘 가니 바로 요한 바오로 2세의 ‘첫 축일’ 이었음을 알게 되었고 며칠 전에 잠깐 본 Bl. John Paul II가 생각났다. Blessed John Paul Second 그러니까 ‘복되신 요한 바오로 2세’의 축일이었던 것이다. 그것도 inaugural feast day, 시성 후 첫 축일이라서 나는 무슨 ‘역사적인 사건’을 겪는 듯 가벼운 흥분이 스며들었다. 올해 부활절 때 시성이 되신 후 첫 축일.. 역시 역사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나의 살아 생전에 ‘살아 계셨던’ 교황님이었고 나의 살아 생전에 돌아 가셨으며, 또한 살아 생전에 성인이 되신 것은 나로써는 조금 역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싶은 것이다.
무척 많은 ‘일반 인’들이 이 성인을 개인적으로 좋아하지만 나도 그들에 못지 않게 이분을 좋아한다. 아니 존경, 아니 공경을 한다. 내가 꿈에도 꿀 수 없는 role model로 삼고 살아간다고 하면 조금 over일까? 2005년 선종을 하실 때, 나는 처음으로 이분에 대해 깊이 공부를 하고 묵상을 하게 되었고 그 당시 나는 이분이야 말로 나의 남은 평생 role model로 삼아도 문제가 없을 것이라 100% 확신을 하였다. 그 이후 나는 얼음처럼 차갑게 얼었었던 나의 신앙심을 조금씩 녹여 나가기 시작해서 현재까지 계속 그 여파로 녹아가고 있다고 생각을 한다. 어떠한 인생관, 세계관, 가치관, 그리고 세속적인 변화에도 이분만은 변함없이 ‘진실’을 밝히고 선포하실 것이라 나는 믿게 된 것이다. Do not be afraid라는 간단한 명언을 나는 얼마나 좋아했던가?
처음에는 약간 감상적인 기분으로 이분을 존경하기 시작했지만 시간이 지나며 더 이 성인을 알아가며 인간 요한 바오로 을 ‘절대적’으로 믿고 존경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나를 매료시켰던 면은 이분의 ‘찬란한 지적 은총’이었다. 철저한 신앙적 믿음에 못지 않는 지성의 깊이는 상상을 초월하는 듯 하다. 한 마디로 ‘공부 잘하는’ 교황인 것이다. 후계 교황인 베네딕트 16세가 아마도 지적으로 이분을 능가할 지도 모르지만 베네딕트 16세는 요한 바오로 2세에 비해서 다른 면이 떨어지는 듯 느껴진다. 절대로 굽힐 수 없는 지켜야 할 ‘진리, 교리’를 지켰고, 세계 정치를 신앙적인 눈으로 설득시켜는 힘은 아마도 이 요한 바오로 2세 성인을 따를 수가 없을 것이다.
오늘 이날을 맞아 ncregister.com에 관련 기사가 실렸는데Catholics Remember St. John Paul II’s Personal Impact on Inaugural Feast란 제목으로 몇 명의 가톨릭 신자들이 이날을 맞아 이 성인에 대해 회고를 하는 기사였다. 평범한 젊은 신자에서 신부님까지 포함 된 이런 개인적 경험 일화를 보면서 1978년부터 2005년까지 이 성인이 세계적으로 미친 영향, 거의 한 세대에 걸친 범세계적인 불굴의 선교는 앞으로 상당한 기간에 걸쳐서 험난하고 어지러운 세상의 등대역할을 하리라 확신한다.
¶ 싸늘하고 깜깜한 가을 새벽: 새벽 5시에 깨어나니 칠흑 같은 어둠이 유난히 싸늘하게 느껴진다. 아~ 이제 2014년도 ‘겨울’이 서서히 오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 집의 Central Heating이 kick-in 된 것이 지나간 10월 5일 아침이었고, 그때 유난히도 끈적거리던 2014년 여름 기운이 순식간에 식어버렸다. 하지만 그 이후 간간이 이어지던 Indian Summer 로 말미암아 ‘월동 준비’는 손에 잡히지 않았다.
그 동안 심지어 tornado siren을 새벽에 듣기도 해서 아직도 따뜻한 10월의 나날을 보냈지만 역시 며칠 전부터 평년 같은 기온으로 급강하.. long sleeves shirts, pants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럴 때면 사실 약간 아쉬움이 남는다. 조금 더 편한 짧은 차림을 하고 싶은 것이다. 워낙 길었던, 은근히 덥던 여름이어서 올해의 ‘단풍’은 정말 늦게 오는 모양.. 아직도 주변이 거의 초록색이다. 하지만 지난 며칠 새에 곳곳이 주황색으로 변하기 시작 하였다. 아마도 11월 중순 경이면 완전히 deep fall color로 변하고.. 천주 교회력으로 대림절(Advent)이 시작되는 11월 30일부터는, 성탄을 기다리게 될 것이다. 9월 초에 시작된 우리 가정의 ‘일생일대의 최대 project‘ 가 시작된 이후 세월이 어떻게, 시간이 어떻게 흐르는지 ‘감’을 잊고 사는 요즈음.. 이것이 현재 나의 주변에서 내가 느끼고 보는 66마일로 질주하는 세월의 모습이다.
¶ Front side gutter re-gutted!
또 하나의 앓던 이가 빠졌다. 우리 집 앞쪽 지붕의 gutter를 완전히 새로 설치한 것이다. 내가 손수 달았던 이 vinyl gutter는 거의 15년이 넘어서 이은 부분이 여기저기서 물이 샌다. 뒤쪽 지붕은 올 봄에 모두 손을 보았지만 앞쪽은 그런대로 견딜 만해서 미루고 있었는데 바로 앞 문 위로 새는 빗물 때문에 벽돌 콩크리트 계단이 무너지는 것을 보고 정신이 바짝 들었다. 이구동성으로 ‘사다리’에 올라가지 말라는 주변의 우려는 잘 알지만.. 어찌하랴.. handyman을 살 돈도 없지만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알면서 돈을 쓸 수는 없지 않는가? 2006년에 작지 않은 사다리 사고의 경험이 있어서 이번 봄에는 정말 ‘초긴장’을 하며 사다리를 올라서 지금은 사실 큰 걱정은 하지 않는다. 근래 들어 YMCA에서 열심히 운동을 한 탓에 이런 일을 하는 것이 큰 무리로 느껴지지도 않는다. 하지만 이번 job은 하루 종일이 걸리는 큰 작업이었고 며칠 후까지 피로가 느껴지기도 했다. 하지만 $도 절약하고 나의 몸이 아직도 큰 무리 없이 움직인다는 사실에 그저 감사하기만 하였다. 며칠 후에 엄청난 폭우가 쏟아졌는데 다행히 이번에는 거의 완벽하게 ‘물 새는’ 것이 없어져서 기쁘기만 하였다.
¶ Cute pergolas at Marian Hill
연숙의 레지오 꾸리아 부단장 임기가 7월 중에 끝이 난 이후 우리는 오랜만에 무슨 vacation이나 방학을 맞는 느낌으로 몇 주일을 보냈는데 그 여파로 주일 미사를 근처의 미국본당에서 보는 횟수가 늘어났다. 한 달에 한번씩 있는 레지오 꾸리아 월례회의 때에만 순교자 성당엘 가게 된 것이다. universal church를 자랑하는 천주교회는 사실 어느 곳엘 가던지 미사는 똑 같으니 사실 성사생활에 큰 변화는 없지만 그래도 한국교우들과 ‘친교’를 못 이루는 단점은 있다. 하지만 아는 사람이 그렇게 많지 않은 나는 ‘큰 손해’를 보는 생각은 별로 들지 않는다. 오랜 만에 간 듯한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에서 새로운 것을 발견했다. 기존의 ‘성모 동산’에 무언가 ‘멋진 것’이 세워진 것이다. Bench까지 달린 앙증스럽게 귀여운 두 pergola였다. 성모님을 옆에 두고 그곳에 앉아 있는 것을 상상하니 흐뭇한 idea가 아닌가? 주변이 ‘너무나 삭막한’ 성모동산..이었는데 그래도 이것으로 조금은 포근한 느낌을 주게 되었다. 본당 목수가 손수 design을 했을까.. 아니면 home depot에서 kit를 샀을까? 하지만 아주 알맞은 design으로 보였다. 돈이 없어 항상 쩔쩔매든 인상을 주던 본당에서 어떻게 이런 $$을 쓰게 되었을까? 누가 이런 것을 제안하고 밀어 붙였을까.. 생각도 해 보았다. 한마디로 dollars well spent라고 말해주고 싶다.
¶ Tobey, a Live laptop: 우리 집 bully doggie, Tobey도 이제 12월에 10살 생일을 맞게 되었다. 사람의 나이로 나보다 더 늙었다는 것, 조금 슬퍼지기도 한다. 생후 1개월 쯤에 우리 집엘 왔나.. 이제는 좋던 싫던 완전히 우리 식구가 되었다. 성미가 유별나고 폭력을 가끔 쓰기도 해서 다른 식구들에게 미움도 사곤 했지만 그래서 그런지 나는 정이 들었다. 나를 너무나 잘 알고 ‘이해’하는 이 Tobey는 어떨 때는 나의 분신 같은 착각에 빠지게 한다. 24시간 나를 졸졸 따라다니는 것이 처음에는 너무나 부담이 되고 귀찮기도 했지만 이제는 완전히 나도 적응이 되어서 그렇게 하지 않으면 내가 섭섭해지기도 한다. 근래에 들어서는 flea때문에 고생을 하고 있지만 이제는 flea와 ‘같이 사는 지혜’도 터득해서 처음보다는 덜 고통스럽다. 나와 같이 동네를 산책하는 것도 이제는 거의 8 년째가 되어간다. 완전히 습관이 된 것이다. 나도 운동이 되고 Tobey도 아마도 건강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최근에 들어서 자세히 움직임을 관찰하곤 하는데 다행히 아직도 걷는 것은 변함없이 씩씩하다. 주위에 ‘늙은 개’를 키우는 집들을 보면 우리도 조금씩 ‘노후 대책’을 마련해야 하나 하는 걱정이 생기기도 한다. 눈이 멀어가는 개, 움직이지 못하는 개.. 등등.. 주인을 잘 만난 개들이라 크게 고통을 받지는 않지만 그것을 옆에서 보는 사람들의 기분은 어떨까? 나와 Tobey가 추운 계절이 돌아오면 좋아하는 습관 중에는 나의 무릎에 올려 놓는 것이다. 책상 위에 다리를 얹으면 뛰어올라 그곳에서 퍼지는 것이다. 이때 가끔 나는 뒤에서 번쩍 몸통으로 들어서 나의 가슴에 앉곤 하는데 처음에는 너무나 불편해 하더니 지금은 은근히 그런 시간을 기다리는 것처럼 보일 때도 있다. 이 녀석이 나보다 먼저 떠난다면 나는 이 순간들을 가장 값지게 추억으로 남겨둘 것 같다.
연세대학 시절의 추억과 회상에 관한 나의 memoirblog을 쓴지 일년이 훨씬 넘어가고 있다. 첫 두 편의 연세대 회상기(1966~1967)를 쓸 당시 너무나 진을 뺐는지 한동안 그것에 대한 것을 잊고 싶기도 했다. 그렇게 쓰고 싶었던, 누가 보거나 말거나 써서 남겨야만 했던 그 시절의 이야기 임에도 많이 희미해진 기억과 싸우는 것도 힘들었다.
또한 그 당시를 회상을 할 때마다 가슴이 벅찰 정도로 느껴지는 흥분과 격정은 어떨 때는 며칠이고 나를 못살게 굴 때도 있었다. 이제 세월의 약이 작용해서 다시 나의 약해져 가는 기억력과 싸울 용기가 충전이 되었다. 연세대학의 추억 제 3편은 2편의(1학년 가을학기) 이후, 그러니까 대부분 대학 2학년 시절, 그러니까 1968년 경과 그 전후의 이야기가 된다.
¶ 1.21사태, 김신조, 프에블로, 월남 확전
대학교 1학년 시절이 2년에 걸쳐서 두 동강이로 갈라지고1 조금 패배의식도 느꼈지만 마지막 한 학기에 나는 모든 것을 정신적 육체적으로 회복 하고 제 정신을 차리면서 1968년을 맞았다. 1968년 1월에는 나의 생일이 있는데 바로 나의 20세 생일이 되는 달이기도 했다.
하지만 아직도 그 해 나의 생일이 기억에 더 남는 것이, 바로 생일 전날 밤에 ‘북괴’의 김신조를 위시한 31명의 무장 공비2게릴라 특공대가 청와대 근처까지 잠입해서 그 유명한 1.21사태를 유발했기 때문이었다. 유혈 사태의 대부분은 1월 21일에 보도가 된 것이어서 일.이일 사태라고 이름이 붙었다.
박정희 목 따러.. 나의 생일을 전후로 대강 서울의 날씨는 정말 무섭게 춥다3. 그때도 예외가 아니어서 모든 것이 무섭게 얼었던 기억인데, 죽음을 각오한 김일성의 로보트(robot)4 공비들에게는 그런 추위가 아랑곳 없었다. ‘박정희 목을 따러’ 기계처럼 행진하며 쳐들어 온 것이다. 지금 생각해도 등골이 오싹할 정도의 김일성 개XX의 전쟁도발이었다. 그때 만약 그 무장공비들이 작전에 성공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아마 나의 인생도5 바뀌었을지 모른다는 생각도 든다.
대부분의 공비들은 사살되거나 휴전선을 넘어 도주를 했고6 유일한 생존자는 김신조 뿐이었다. 기자회견에 황급히 끌려 나온 그의 얼굴은 얻어맞은듯한 멍으로 일그러져 있었고, 첫 마디가 ‘박정희 목 따러 왔수다..’ 그런 정도의 것으로 기억을 한다. TV에서 그 투박한 이북사투리를 듣고 모든 사람들이 잠에서 깬 듯이, ‘정부의 선전대로 북의 위협은 사실이구나..’ 하는 조금은 자책적인 심정으로 정말 김일성의 위협이 국가적 생존위협임을 모두 실감을 하게 되었다. 비록 이 김일성의 무모한 작전은 실패했지만 이 사건의 여파는 나의 남은 대학시절과 그 이후에도 두고두고 우리에게 미쳤다7.
프에블로 나포.. 이 사건 이후 얼마 안 있어, 이번에는 미국의 조그만 첩보선 프에블로(Pueblo) 호가 원산 앞바다 공해에서 북괴에 나포가 되고 그 과정에서 선원들은 죽거나 포로가 되는, 또 하나의 한반도 전쟁 위기를 맞는다. 곧바로 미국의 원자력 항공모함 Enterprise가 원산 앞바다에 나타나고 무력행사를 불사하는 미국의 성명이 발표되는 등 정말 심각한 전쟁의 구름이 몰려왔다. 하지만 월남전에 완전히 발이 빠진 미국은 더 이상의 작전을 중지하고 외교적으로 포로 석방 협상의 노력을 시작하게 되어서 더 이상 악화는 피하게 되었다.
악화일로 월남전.. 사실 그 당시의 국제정세는 미국의 월남전 100% 개입으로 말이 아니었다. 국제적인 비난이 거세지고, 미국내의 여론도 학생을 중심8으로 악화일로, 데모는 끊임이 없는 그야말로 미국판 ‘운동권’의 시대이기도 했다. 박정희의 대한민국은 조금 다른 입장이었는데, 박정희 정부는 ‘명분이 밥 먹여주냐.. 실리가 최고다‘ 의 정책을 거세게 밀어 부친 것이다.
거의 6만 명의 전투부대를 월남에 보내며, 미국과의 협상으로, 수출, 월남전 수입 등으로 경제 제1주의를 고수해 나가기 시작한 것이다. 당시의 국내정치의 분위기로 사실 박정희는 반대를 무리 없이 무마하는 권력과 정치 기술을 잘 이용해 나갔다. 경제적인 효과가 국민의 피부에 느껴지기 시작하면 모든 반대와 파병에 따른 후유증을 처리하리라 보았을 것이다. 또한 그것은 사실상 그렇게 되어가고 있었다. 실제로 대한민국으로 $$$ 가 흘러 들어오고, 경제 규모가 조금씩 커지고, 기간산업이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며 우리들 눈과 피부로 ‘무언가 잘 되고 있다’ 라는 희망이 느껴지던 그런 시절이었다.
박정희의 고민.. 당시 공산주의 정치세력의 두목 격이었던 소련과 중공은 무언가 미국의 군사력을 월남전에서 분산시키려 했을 것인데, 김일성은 분명히 그 총 두목들에게, Yes Sir..하며 머리를 굴렸을 것이고 그것이 바로 1.21 사태와 프에블로 선박 나포 사건으로 이어졌던 것이다. 사실 이 연속적인 김일성의 불장난의 결과로 곧바로 대한민국 국회에서는 야당에서 추가 월남파병 보류안 이 나오게 되었지만, 박정희가 그것이 쉽게 통과되도록 놔둘 리는 없었다. 미국 자신은 월남전에서의 고전을 모를 리가 없었지만, 파리 평화협상 회담과 더불어, ‘명예로운’ 철수작전을 구상하면서 B-52 전폭기로 월맹(하노이 정부) 폭격을 계속하는.. 참 미국이 고전하던 시절이었다. 그 반면에, 김일성과의 ‘의미 있는’ 평화협상이 100% 불가능했던 우리들은 미국의 ‘꼬붕’ 이라는 국제적 비난과 고립9에도 불구하고, 그저 ‘반공, 경제’ 의 두 가지로 똘똘 뭉치며 살 수 밖에 없었다.
¶ 나를 1968년으로 보내주세요
이런 으시시 한 국제, 국내 정치적 배경에서도 나는 ‘희망’의(why not, 그때는 팔팔한 20세였느니..) 대학 2학년 시절을 맞게 되었으며, 나의 오래된 추억 중에서도 이 1968년의 대학2년 시절은 나에게 제일 ‘신나며 기억하고 싶은’ 시절로 꼽힌다. 사실, time machine을 타고 과거의 한 해로 돌아갈 수 있다고 하면 나는 주저 없이 내 나이 20세였던, 1968년으로 가고 싶을 것이다.
정법대 앞에서 박창희, 이윤기, 이경우 2학년이 시작될 무렵 1968년 이른 봄
¶ 연세대 보건학강의
학부 2학년이 되면서 1학년의 ‘교양학부’는 끝이 나고 대망의 전기공학 전공과정이 ‘조금씩’ 시작되었다. 교양학부 1학년의 과정은 마치 고교 3년 과정의 연장선 같은 느낌을 주었지만 그래도 상아탑 대학의 맛을 보여주는, 전공과는 상관이 없는 과목들도 많아서 그런대로 느낌이 좋았다. 특히 연세대만이 자랑하는 의대교수들이 가르치는 과목들, 특히 ‘보건’이라는 것도 기억에 상당히 남았다. 전매청 담배 소비의 극치를 이루던 그 나이에 그 과목은 우리들에게 ‘소름 끼치는’ 담배의 해독에 대해서 무자비하게 경고하기도 했다.
그런 교육은 정말로 선견지명적인, 몇 십 년 후에 미국에서 담배가 제한 받기 시작한 것을 보면, 연세대 의대 교수들의 사명적인 결단이었다. 하지만 불행히도 그런 교육을 받은 우리들 조차도 ‘성인들의 특전’이었던 담배를 오히려 더 피고 즐기는 대학생 시절을 보내게 된다.
¶ 매력적인 담배와 술
이 무렵에 나는 ‘진정한 성인 남자’의 상징이었던 ‘대망’의 담배10를 배우게 되었다. 1966년 대학 입학 후 거의 2년간 나는 별로 담배를 피울 마음이 없었는데 1968년 들어서야 주위의 친구들 보다 거의 2년 늦게 이 담배에 대한 무관심이 풀어지기 시작하고 있었다.
술의 맛은 그보다 6개월 전 어머님이 미제시장에서 사다 주신 ‘깡통 맥주, Black Label‘로 이미 알고 있었는데 이번에는 드디어 담배에 도전한 것이다. 1학기가 시작되기 전, 어느 날 같은 상도동에 살던 나의 원서동 죽마고우 유지호가 놀러 와서 그가 피우던 담배11를 나에게 권한 것이다. 그 때, ‘한번 피워보자’ 라는 생각이 들었고 실행에 옮기었다. 결과는 뻔했다. 피우고 나서 나는 거의 ‘기절’ 상태로 빠져서 한 동안 혼미상태를 경험하였다. 하지만 그 다음의 흡연은 완전히 성공이었고, 그 맛과 멋도 조금씩 알게 되었다. 그것은 다른 ‘성인 식’의 하나였다. 그 이후로 나는 꽤 담배를 많이 피우는 축에 속한 대학생이 되었다12.
¶ 담배와 문상희 교수
연세대와 담배..하면 빼놓을 수 없는 일화가 있는데.. 이 사실을 모르면 아마도 당시 연세대 ‘남학생’이라고 할 수 없을 정도로 ‘공개적’인 사실이었다. 당시 신과대학에 ‘문상희’라는 교수가 있었는데 이분이 바로 요새 말로 하면 담배추방운동의 우두머리 중의 우두머리 격이었고, 그 추방 방식이 독특했고 문제가 되기도 했다. 캠퍼스를 돌아다니며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무조건 ‘저지’를 하고 ‘폭행’까지 했다. 자유의 전당이라고 하는 대학 캠퍼스에서 그것도 신과대학 교수가 ‘불심검문’을 하며 ‘폭행’을 한다는 사실은 아무도 믿지 못할 것이지만 당시에는 사실이었다.
나는 직접 ‘얻어 맞는’ 경험은 못 했지만 실제로 ‘목격’은 했다. 입이 벌어질 정도로 놀랐지만 대학당국에서 ‘아무도’ 그를 제지 못했다. 지금 생각하면 당시의 ‘개신교 문화’에서 담배는 ‘지독한 악’으로 여겨졌던 것도 한 몫을 한 것이 아니었을까? 심지어는 동료 교수들 조차 그의 제지를 받았다고 했을 정도다. 지금 와서 생각하면 그 문교수님은 ‘선각자’임에 틀림이 없지만 당시에는 ‘빈축과 냉소’의 대상이기만 했다. 제일 ‘우스운’ 사실에는 어떤 신문사 기자가 도서관 앞에 앉아 있다가 갑자기 이 문교수에게 얻어 맞고 항의를 하니.. 문교수 왈.. 왜 옆에 있는 사람이 담배 피우는 것을 제지 못했느냐고 했다고 한다. 사실인지 과장인지 확인을 할 길은 없지만 당시에는 꽤 유명한 소문이기도 했다.
¶ 복교생과 재학생, 민바리와 군바리
새 학기가 시작되면서 ‘복교생, 복학생’들이 대거로 들어왔고 그보다는 적은 수의 재학생들이 입영영장을 받고 학교를 떠났다. 다행히 나와 나의 친구들의 대부분은 아직 영장을 못 받아서 큰 변화가 없었다. 나는 다른 친구들과 다르게 호적상 사망으로 처리된 6.25때 납북되신 아버지 ‘덕분’13에 병역법상 ‘부선망 단대독자‘ 14 라는 긴 이름의 ‘특혜’가 있어서 영장이 나와도 졸업 후로 입영을 연기할 수 있는 입장이어서 졸업 전까지는 군대 생각을 안 하고 있었다.
복학생들이 대거 복교를 하면서 순식간에 우리 과의 분위기는 변했으며 완전히 나이별 2파로 나뉘게 되었고, 재학생들은 ‘민바리’, 복학생들은 ‘군바리’로 불리게 되었다. 나이가 거의 2~3년 차이가 나는 두 그룹이 생긴 것이다. 분명히 나이가 위였던 그들이었어도 우리들에게 반말을 쓰지 못했지만 우리들은 깍듯이 선배 대우를 해 주었다. 하지만 같은 고등학교 동창관계가 되면 이것은 완전히 다시 고등학교로 간 기분이 들 정도로 거의 군대식으로 대우를 했다. 나의 경우에는 중앙고 선배(54회 2명, 53회 1명)들이 3명이 들어왔고 우리들은 큰 원군을 만난 듯 그들을 친형들처럼 따르게 되었다. 재학생 중에 중앙고 출신이 5명이나 있어서 총 8명의 ‘중앙고’ 그룹이 형성되었고, 숫자로써도 상당한 세력이었다. 그 3명의 중앙 선배들이 바로 안낙영, 오성준, 최종인 제 형들이었고, 이들과 나는 졸업할 때까지 3년을 같은 전공으로 공부를 하게 된다.
재학생들과 복학생들은 비록 3~4년 정도밖에 나이차이가 없었지만, 생각과 행동은 완전히 서울과 부산처럼 달랐다. 군대를 갔다 온 이유도 있었지만 우선 공부하는 자세가 아주 심각했다. 이 형들은 졸업과 동시에 취직을 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그에 비해서 우리 재학생들은 어차피 도중이나 졸업과 동시에 군대를 가야 하기 때문에 조금은 불투명한 미래를 보며 방황하는 기분이었다. 그 당시 나이에서 군대 복무기간인 2년 6개월 (거의 3년)은 참 영원처럼 긴 것처럼 느껴졌기에 더욱 절망감 같은 것도 느끼곤 했다. 그런 환경에서 시작된 나의 2학년 학교 생활은 조금씩 조금씩 학점에 연연하는 것으로부터 멀어지기 시작했다. 그렇다고는 하지만 1학년 1학기 때의 ‘땡땡이’의 쓰라린 경험은 잊지 않고 학점의 최소한 하한선은 유지하려 애는 썼다. 하지만 지난 1학년 2학기, 가을학기 때 진정한 공부의 맛을 느끼던 그 당시의 정열은 어쩐지 많이 빠져나간 기분이었다.
¶ 중앙고 동창들과 아미고 클럽
당시 나는 주로 중앙고 출신 동창들과 타교 출신 몇몇과 어울리게 되었는데, 그 중에는 화공과의 중앙고 동창 양건주도 있었다. 왜 화공과의 양건주가 전기과의 우리들과 섞이게 되었는지는 확실치 않았으나 그냥 중앙고 출신이었기에 그랬을 것이다. 전기과에는 이윤기, 박창희, 김태일, 이상일이 중앙 동창이었지만 사실 박창희 김태일 이상일은 모두 나의 중앙고 1년 후배들 이어서 친구로 지내기는 조금은 거북한 관계였다. 하지만 여기에 중앙 1년 후배였던 박창희가 사실은 ‘옛날’ 원서동에서 잔뼈가 굵었던 죽마고우 친구였기에 아주 묘한 ‘일년 선배,후배’로 이루어진 그룹이 형성된 셈이다. 나는 창희와 직접적인 친구관계여서 큰 문제가 없었지만 나의 동기 친구인 이윤기는 사실 갑자기 1년 후배들과 친구처럼 지내야 하는 문제가 있었지만 그런 것을 따질 그런 나이들이 아니었다. 한마디로 문제가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이렇게 자연스레 형성된 그룹의 이름의 ‘아미고 클럽’이었다. 아미고는 물론 Spanish로 amigo, 그러니까 ‘남자친구’란 뜻이었다. 아마도 그 시절 유행하던 Jim Reeves의 hit country, Adios Amigo에서 이름을 따 왔을 것이다. 이 클럽에는 타교 출신들도 있었는데, 전라도 유학생 김진환, 강원도 유학생 김철수가 바로 그들이었다. 그리고 이상일은 비록 중앙 동창이었지만 우리 그룹에는 전혀 관계를 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 당시 우리 아미고 클럽은: 화공과 양건주, 전기과 나(이경우), 이윤기, 박창희, 김태일, 김진환, 김철수 등으로 7명이 연세대 캠퍼스에서 만나거나 학교 입구에 있는 ‘굴다리’ 바로 앞에 있었던 ‘빵집’에서 모여서 ‘잡담’을 즐기곤 했는데, 사실 그것이 보기보다는 참 즐거운 시간 들이었다.
¶ 1968년 봄의 관악산
그 해 봄에 아미고 클럽 전원이 관악산으로 ‘등산’ 을 갔었는데 그 때의 ‘흑백’사진이 고스란히 남아서 그 당시의 우리들 ‘꽤죄죄’한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그 당시에 관악산엘 가려면 용산 시외버스 터미널로 가서 과천 행 시외버스를 타고 갔다.
비록 ‘구제품 복장, 교복’등의 신세에서는 벗어났다고 하지만 당시 대학생들의 복장은 참 가관이었는데, 100% 신사복에서 100% 염색된 작업복까지.. 천차만별이었고 등산복도 마찬가지.. 우리 클럽에서 박창희를 제외하고는 등산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그저 허름한 옷들.. 우리들은 그저 ‘잠바’라고 부르던 옷 차림 일색이었다. 외모에 각별한 감각이 있었고 등산의 유행에 민감하던 박창희는 우리가 보기에 완전한 ‘히말라야 등산대’ 옷차림으로 관악산을 올랐다.
그때 남은 사진을 보면 ‘진실로, 진실로’ 어제 같은 착각에 빠지곤 한다. 너무나 그 당시를 생생하게 기억하기 때문이다. 나는 그때 처음으로 술에 취하는 것을 경험했다. 관악산 정상 바로 아래 자리를 잡고 신나게 밥을 해 먹고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는데 누가 술을 가지고 왔는지 기분에 취해서 멋도 모르고 마신 것이다. 우리들은 모두 취해서 돌아오는 시외버스 속에서 너무나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사실 그때 나는 난생 처음으로 술에 취하면 기분이 너무나 좋아진다는 사실을 체험하였고, 평소보다 말이 더 많아지고, 피하거나 못했던 말들이 ‘거침없이’ 나온다는 신기한 현상도 알았다.
아미고 양건주, 김진환, 김철수, 이경우, 이윤기, 박창희, 김태일.. 과천에서 관악산으로.. 1968년 봄
¶ 연세대 연영회와 갈월동 양옥
학기 초에 기억나는 것 중에는 학교 내 서클 중에 연영회라는 서클에 가입하려 했던 추억이다. 그 당시에는 요새 흔히 쓰는 ‘동아리’라는 말이 없었고 그저 서클이라고 불렀다. 그 중에 연세대에는 역사가 깊다는 사진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모임이었던 연영회(延影會)라고 불리던 서클이 있었고, 나와 양건주가 그곳에 가입을 하려고 그 모임엘 나가게 되었다. 왜 건주와 같이 그곳에 가입하려 했는지는 확실히 기억이 나지를 않지만, 나는 2년 전 입학했을 때 몇 개월간 사진, 카메라 등에 빠져서 살았다. 입학기념으로 어머님이 사주신 일제 Petri 카메라를 가지고 이곳, 저곳을 다니며 사진을 찍곤 했고, 도서관에서 사진 촬영에 대한 책도 많이 대출해서 읽기도 했다. 아마도 그래서 연영회에 관심이 있었는지도 모른다.
대학 2학년이니까, 특별활동도 하고 싶었던 마음도 있었다. 그 당시 입회신청을 해놓고 기다리니까, 연영회 신입회원 모임을 한다는 공지가 붙어서 읽어보니 ‘갈월동 어느 어느 빵집‘에서 모인다고 했다. 빵집에서 학교서클이 모이는 것이 조금 그랬지만, 아마도 환영하는 의미로 빵을 먹으며 모이나 보다 생각하고 건주와 그곳엘 갔는데, 가 보니 사실은 그곳에서 모임을 하는 것이 아니고 그 빵집 근처에 있는 연영회 ‘간부’의 집에서 모인다고 해서 안내를 받아서 단체로 그 집을 찾아갔다. 갈월동 그 빵집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근사한 양옥집’이 있었는데 그곳에는 입추의 여지없이 연대생들로 꽉 차있었다. ‘근사한’ 여학생들도 꽤 있어서 흥미진진했는데, 그보다 더 흥미로운 것은 커다란 거실 구석에 완전히 프로 같이 전기기타와 드럼까지 갖춘 rock band가 warming up을 하고 있었던 것이었다.
그들도 모두 연영회원이라고 했는데 가만히 그 중의 한 명을 보니 낯이 익었다. 건주는 그를 곧바로 알아보았다. 중앙고 ‘심상욱’이라는 우리의 동기동창이었던 것이다. 그는 우리를 전혀 알아보지 못했는데, 건주가 가서 우리도 중앙고 출신이라고 했어도 그는 우리를 알아 보지를 못했다. 신입회원으로 꽉 찬 모임에서 간부, 임원들이 나와서 연영회 소개를 하고 돌아가며 자기 소개도 하고 했는데, 그 임원들은 새로 가입한 ‘멋진 여대생’들에게 꽤나 관심을 보였다. 사실은 그 여대생들도 그 ‘근사한 양옥집에 근사한 rock band’에 완전히 매료된 것으로 보이긴 했다. 그 모임에서 우리 둘은 뜻밖에 우리의 전기과 복학생, 중앙 선배 최종인 형을 만났다. 그도 사진에 꽤 취미가 있다고 했는데, 군대를 갔다 온 신입회원이 없었던 관계를 그 형은 아주 ‘정중한’ 대접을 받았다. 그렇게 멋진 모임이었었지만, 후에 우리는 그 모임에 전혀 나가질 못했다. 다른 곳에서 다른 흥미로운 일을 찾아 다녔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 이성에 눈이 뜨이던 시절
아미고 클럽의 남자친구들도 좋았지만 나의 연세대 2학년 시절은 내가 이성에게 완전히 눈을 뜨기 시작했던 시절이기도 했다. 사실 이전까지만 해도 나는 이성(異性)에게 크게 끌리는 그런 심정이 없었는데, 이때는 달랐다. 분명히 정상적인 20세의 남성 호르몬의 영향이 본격적으로 작용했던 모양이었다. 그래서 나는 1968년, 연세대 2학년을 그렇게 생생하게 기억하는 모양이다. 하지만 그 일년 전부터 나는 조금씩 무언가 여성에게 끌리는 나 자신을 발견하고 놀란 적이 있었다. 첫 번 것은 TV에서 본 어떤 여자 탤런트를 보고 밤에 꿈을 꾼 것이다. 그녀는 조영일 이라는 인기 탤런트였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다른 탤런트 오지명이라는 사람의 부인이었다. 두 번째는 지난 가을학기 때 상도동 종점에서 치과를 다녔는데 그때 거기서 치과의사 조수를 하던 어떤 ‘여성’도 나의 꿈에 나타난 것이다. 그러니까 ‘아이’같았던 내가 분명히 ‘어른’으로 변하는 것을 느끼던 그런 때였던 것이다.
¶ 남과 여, 윤여숙과 용정애, double date
그 당시 나의 원서동 죽마고우 친구였던 안명성은 한양대 섬유공학과엘 다녀서 나와는 별로 만날 기회가 없었는데 한번 연락이 와서 double date를 하자고 하였다. 솔직히 내가 깜짝 놀랐던 것이, 내가 알던 명성이는 나와 비슷하게 숫기가 없었던 것으로 알았는데 어떻게 여자 2명씩이나 알았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가 말하는 두 여자는 한양대학생 용정애 씨, 이화여대 생물학과 여대생, 윤여숙 씨였다. 명성이가 먼저 자기와 같은 대학에 다니던 용정애씨를 알았고, 그녀의 창덕여고 동창생인 윤여숙 씨를 데리고 나오겠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double date가 시작되었고, 우리는 그 당시 유행하던 불란서 영화 ‘남과 여’를 같이 보았다. 서울 근교의 광릉으로 피크닉도 같이 갔고, 관악산으로 등산도 갔다. 그것이 1968년 봄이었다. 그때 난생 처음으로 여성들과 가까이 어울리면서 이래서 사람들은 결혼을 하는구나 하는 ‘자연의 섭리’를 절실히 실감하기도 했다. 나의 의지도 상관이 없이 여성들에게 ‘무조건 끌리는’ 체험은 사실 나에게 겁을 주기도 했다. 학교 공부가 잘 되지를 않았던 것이다. 바로 6개월 전만해도 나는 공부의 재미에 푹 빠져 있었지만 지금은 정말 자신이 없었다. 학교 공부에 애를 먹기 시작한 것이다.
남과 여 (Un Homme Et Une Femme)
그 double date는 명성이와 용정애씨, 나와 윤여숙씨가 짝을 되었는데, 그 이유는 명성이가 용정애씨를 먼저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그때 놀란 것은 명성이가 여자들을 다루는 자세가 정말 나에 비하면 성숙하고 노련했던 사실이었다. 그러니까 최소한 겉으로 보기에 자기 할 일을 다 잘 하면서 여자와 date를 즐기는 모습이었는데, 나는 정 반대였던 것이다. 내가 알아온 명성이의 모습과는 조금 다른 면을 본 것이지만, 그때의 나이 20세였으니 한창 우리들을 변하고 있었기에 그것이 당연하다고 생각되었다. 한마디로 말하면 ‘쑥맥’이었던 나는 ‘완전히’ 나의 ‘정상적’인 학교생활의 리듬이 깨어짐을 느꼈고, 학교 공부도 예전처럼 제대로 될 리가 없었다. 바야흐로 나의 이성에 대한 동경과 호기심이 완전히 싹이 트기 시작할 무렵이었다. 한마디로 나는 그 윤여숙씨에게 빠진 것이었다. 나이가 우리와 거의 같았지만 학년은 하나 위였을 것이다. 그러니 그녀들은 우리들 보다 ‘훨씬’ 성숙하고 세련되어 보였다. 아마도 그런 점을 내가 좋아했을 것이다.
그 때 우리들 네 명은 중앙극장에서 개봉되었던 영화 ‘남과 여’ 를 같이 보았고, 관악산으로 등산도 갔었다. 또한 당시 유원지가 별로 없었던 때 그런대로 갈 수 있었던 ‘광능’이란 곳으로 놀러 가기도 하였다. 그 해의 봄은 정말 찬란한 느낌이었고, 하늘에 떠있는 느낌이었다. 나로써는 아마도 puppy love같은 심정을 가졌을 것이다. 하지만 그런 꿈같은 시절은 오래가지 못했다. 봄이 거의 가던 무렵, 명성이가 나를 보자고 해서 만나니, 그 녀석 왈, 윤여숙씨가 이제 나를 안 만난다고 했다는 통고였다. 쉽게 말하면 나는 한마디로 ‘차인 것’이다. 감정처리에 지독히도 미숙했던 나는 사실 실망보다는 당황 그 자체였다. 그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몰랐다. 헤어지자는 이유를 안다는 자체가 우습지만 명목상은 그녀의 아버지가 경찰관이었는데, 우리들이 같이 다니는 것을 보았다는 것이다. 참 편리한 이유였다. 물론 내가 싫다는 뜻을 그렇게 나의 체면을 세워준 것이라고 나는 해석했다.
그때 나는 일생 처음으로 동대문 근처의 어떤 술집에서 명성이와 같이 막걸리를 퍼 마셨다. 그리고 비틀 거리며 집으로 왔다. 그래도 그녀는 나보다 성숙했었는지 우리들이 ‘마지막 인사’할 기회를 주는 아량이 있었다. 돈암동 종점 부근에 있었던 한일다방에서 우리는 마지막 대화를 하고 헤어졌다. 그 당시 그 다방에서는 Engelbert Humperdinck의 당시 hit ‘Am I that easy to forget‘ 이 요란하게 나오고 있었다. 완전히 그 때의 situation에 알맞은 제목의 노래였다. 이때 나의 ‘상처’는 두고두고 이성(여자)에 대한 나의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전에 나의 다른 blog에서 1968년 당시 나의 죽마고우 친구 유지호를 회상할 때, 윤여숙씨에 대한 나의 ‘선의의 장난’을 언급한 것도 있었다. 사귄 지 불고 몇 개월 만에 이 두 여대생들과는 헤어지게 되었지만 명성이는 저력을 발휘해서 용정애씨와 계속 관계를 유지하는 듯 했고 몇 년 뒤에 윤여숙씨도 잠깐이나마 한번 보았지만 이미 그때에는 나도 전에 비해 훨씬 성숙한 남자로 변해 있어서 아주 유연한 자세로 그녀를 대했던 것으로 기억을 한다.
¶ 오성준 형과 이대생 김갑귀
비록 지난 학기에 비해서 공부에 신경을 덜 썼지만 아미고 클럽의 친구들 덕분에 사실 학교생활은 전에 비해서 훨씬 재미있었다. 그러니까 학점에 연연하던 생활보다 훨씬 더 진짜 대학생 같은 느낌도 들었던 것이다. 하지만 아미고 클럽은 역시 100% ‘거무틱틱하고 냄새 나는’ 남자들 뿐이어서 모이기만 하면, ‘우리도 한번 여성 동무들과 어울릴 수 없을까..’ 하고 성토를 하곤 했는데, 어느 날 갑자기 우리의 염원이 이루어지는 계기가 왔다. 우리의 ‘자랑스런 군바리’ 중앙선배 오성준 형이 구세주처럼 우리 앞에 ‘답’을 가지고 나타난 것이다. 우리에게 형이 아는 친구의 여동생을 소개시켜 주겠다는 믿을 수 없는 희소식이었다.
오성준 형은 자그마한 체구였지만 사교성 좋고 유머러스하고 특히 후배들을 아주 잘 돌보아주는 그런 타입의 사나이여서 우리들이 아주 잘 따랐는데, 그 형의 공군 동료친구가 연세대 뒤에 있는 북가좌동(남가좌?)에 살고 있고 이화여대에 다니는 여동생이 그 집에 살고 있다고, 나와 이윤기를 데리고 그 집엘 가게 되었다. 우리들은 그렇게까지 ‘빨리’ 도와줄 줄은 몰라서 그저 ‘황송하고 고맙게’ 따라갔다. 하지만 그 집엘 가보니 문제의 그 형의 친구도, 여동생도 없었다. 그것은 그 오성준 형의 성격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일이나 문제가 있으면 질질 끌며 생각하기 보다는 행동에 먼저 옮기고 보는 그런 시원스런 것이었다.
이렇게 해서 나중에 그 문제의 이대생과 만나게 되었는데, 그녀의 이름은 아직도 생생한 ‘김갑귀’.. 아니 무슨 여자 이름이 갑귀인가? 한자이름으로 오형의 말대로 ‘갑오년에 귀하게 태어난’ 것인지는 잘 몰랐지만 한번 듣고 ‘절대로’ 잊지 않는 이름이 되었다. 만나보니 이름과는 느낌이 다르게 아주 귀엽게 생겼고, 행동도 귀여웠고, 어리광 부리는 느낌이 절로 흘러 나왔다. 그녀는 이화여대 법대에 다닌다고 했지만 법대 스타일로는 보이질 않았다. 우리들은 그녀에게 우리의 아미고 클럽을 소개하고 거기에 맞는 여대생들 좀 소개시켜 달라고 매달렸다. 이때의 이런 ‘궂은’ 일들은 나와 이윤기가 도맡아서 했는데, 아직도 왜 우리 둘만 여자에게 ‘관심’을 가지고 덤볐는지 확실치 않다. 지금 생각에, 나는 그 당시 ‘윤여숙 사건’으로 ‘여자 실전 경험’의 소유자가 되었고 그래서 조금 더 성숙해 졌을 것이고 이윤기는 그 당시 연애 같은 것은 안하고 있었지만 원래 cool한 사나이라서 ‘묵묵히’ 여자들에게 관심이 많았을 것이라는 추측을 한다. 아미고 클럽의 나머지 ‘아이’들은 사실 나보다도 ‘덜 성숙’한 상태여서, 여자들에게 그렇게 목매거나 하지는 않았다.
¶ 남녀 클럽, 해양다방, 선화공주님
이렇게 우리는 ‘여대생’들을 우리 클럽에 연관시키려 시도를 했고, 결국 ‘착한’ 김갑귀 씨는 자기 과 科 여대생들을 데리고 나와서 meeting비슷한 것을 했는데.. 이대 앞 어느 음식점에서의 그 첫 모임은 아주 어색한 느낌이었다. 남자들 보다 여자들이 ‘훨씬’ 성숙하고, 키가 훌쩍 컸고, 그래서 그런지 나이까지 들어 보였던 것이다. 이런 과정으로 우리는 정기적으로 만나는 것으로 ‘합의’는 보았지만 무언가 ‘화학적, 체감적’인 것이 맞지를 않았는지, 모임 자체가 흐지부지 되어버리고 말았다. 그래도 그 중에 몇 명하고는 따로 만나는 기회가 몇 번 있었다. 그 중에 생각나는 사람이 ‘신인옥‘ 씨였는데 왜 그 사람의 이름과 얼굴까지 기억이 나는지 나도 잘 모른다. 특히 그녀의 pop song에 대한 지식은 상당해서 대화가 아주 재미있었다. 또 한 명, 키가 무척 컸는데 불행히도 얼굴이 아주 못생겼던 그 여대생, 미도파 옆에 있었던 ‘거대한 소파의 운동장’, 삼화다방 에서 만나곤 했는데 그 때마다 주로 이윤기와 같이 만나곤 했다. 하지만 여름방학이 다가오면서 그들과의 만남도 끝이 나게 되었다.
한번 여대생들과 어울리기 시작하면서 우리들 (주로 이윤기와 함께)은 그 ‘매력’을 잊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염치불구하고 김갑귀 씨에게 다시 매달릴 수 밖에 없었다. 그 당시 그녀가 유일한 ‘여자들과의 통로’였기 때문이었다. 역시 김갑귀 씨는 동정심도 많고 착한 여자였다. 이번에는 숫제 자기의 친한 여고동창생을 소개시켜 주겠다고 한 것이다. 그녀는 창덕여고 출신이었다. 지난번 나에게 상처를 주었던 윤여숙 씨도 창덕여고 출신이어서 나는 창덕여고와 무슨 인연이 있는 모양이었다. 사실 가회동에 오래 살면서 창덕여중고는 나에게 참으로 친숙한 학교이긴 했다. 그 친한 친구가 바로 이선화씨였다. 실은 그 전에 이미 한번 그녀를 본 적이 있었다. 김갑귀 씨와 만날 적에 한번 같이 나온 것을 멀리서 본 적이 있었던 것이다. 이제 그녀를 ‘공식적’으로 소개를 받게 된 것이다. ‘바보, 선화공주’, 이선화 씨..
이선화씨는 서울간호학교에 다니던 간호원 지망생이었고, 그녀의 간호학교 친구들을 소개시켜 주겠다고 해서 우리들은 ‘여자에 대한 제 2차의 도전’을 하게 되었다. 1968년 1학기(봄학기)가 거의 끝나갈 무렵에 명동의 어느 식당 2층 방에서 우리들은 단체로 만나게 되었다. 나와 이선화씨는 구면이었지만 나머지는 모두 처음인 셈이다. 이번에는 지난번 이대생 들과의 모임의 실패를 만회하고자, 나가기 전에 조금 계획을 만들어 놓고 그대로 밀어 부쳤다. 계획이란 별로 유별난 것이 아니고, 만나서 통성명을 하며 시간을 끌지 않고 우리가 미리 생각해 놓은 그룹의 성격과 조직을 ‘알리고’ 밀어 부치는 것이었다. 그러니까 첫 모임에서 ‘무조건’ 어떤 그룹이 생기게 하는 그런 ‘선제공격’ 의 치밀한 계획인 것이다.
물론 여자들은 뻥~한 모습으로 당황을 했지만 그렇다고 ‘조직적’으로 반대도 하지 못했다. 그것이 그룹의 습성인 것이다. 이렇게 해서 명목상 우리들의 남녀혼성 클럽이 생기게 되었는데, 회원은 그날 모인 사람으로 우선 정하고 ‘정기적’으로 만나기로 합의까지 보게 되었다. 한번 모여서 그 정도의 합의는 사실 기대 이상으로 성과가 좋은 것이라고 우리들은 ‘신’이 났었다. 우리가 정기적으로 모이게 된 장소는 국제극장 옆쪽 골목에 있었단 해양다방이었고 우리들은 앞으로 최소한 6개월 이상을 그곳을 ‘아지트’로 삼아 모여서 ‘친목도모’를 이루게 된다. 여름방학이 다가오고 우리는 새 2학기에 만나는 암암리의 약속을 하며 헤어지게 되었다.
¶ 여름의 설악산과 3도 화상
여름방학.. 1968년의 여름방학은 나에게 절대로 잊을 수 없는 한 달이 된다. 그 당시를 몇 마디로 요약을 하면, ‘설악산, 축축한 비’, ‘2~3도 화상’, ‘비행기’ 쯤.. 될 듯하다. 방학이 시작되면서 나는 전부터 계획한 대로 죽마고우 안명성과 둘이서 설악산엘 갔다. 물론 ‘등산’을 하러 간 것이다. 친구 안명성은 지금은 산에 대한 취향이 나와 조금 다르지만 그 때는 그것이 큰 문제가 아니었다. 20세의 젊음의 혈기로 아무것도 모른 채 ‘완전 군장’으로 설악산 ‘정복’을 하러 간 것이다. 하지만, 나중에 우리들의 사진에 나타난 ‘꼴’은 등산이 아니라 무슨 하이킹 하는 듯한 모습들이었다. 그러니까 우리는 무슨 북악산, 남산 보다는 조금 더 심각한 산에 간다는 기분으로 간 것이다. 그 당시 외 설악은 요새에 비하면 거의 처녀 산이나 다름없이 덜 개발이 된 상태였지만 그래도 다른 산에 비하면 ‘하이킹’도 할 수 있을 정도의 코스도 즐비했다. 우리의 복장이나, 장비는 사실 하이킹이나 캠핑에 맞는 정도의 수준이었다. 우리는 버스로 속초로 갔고, 거기서 다른 버스로 외설악의 입구인 신흥사 앞, 설악동으로 들어갔다.
우리가 갔을 때부터 설악산은 완전히 ‘장마’ 철로 접어들어서 그야말로 ‘매일’ 비가 왔다. 아마도 해를 못 보았던 기억이니까.. 문제는 확실히 ‘언제’ 우리가 그곳엘 갔는지 전혀 기록이 남아있질 않다는 것이라서 참 안타깝다. 방학이 시작되고 얼마 안 되었으니까 분명히 7월 말 정도가 아닌가 추측만 한다. 캠핑 장비가 별로 없었고, 비가 매일 와서 우리는 할 수 없이 신흥사 입구에 있는 설악동에 즐비한 어떤 여관에서 짐을 풀었고, 날씨로 봐서 우리는 그곳을 base camp로 삼고 매일 ‘출근’을 할 생각을 했다. 그 당시 여관을 잡으려는데 우리는 뜻밖의 사람을 만나게 되었는데, 나의 중앙고 동창 이종원을 만난 것이다. 그는 ‘혼자서’ 그곳엘 왔다고 했다. 게다가 우리와 비슷한 등산객 청년 두 명도 그곳에서 만나 방값도 줄일 겸해서 같은 방을 쓰기로 했다. 그러니까.. 5명의 사나이가 한 방을 쓰게 된 것이다.
비는 그칠 줄 모르고 오락가락해서 우리는 거의 비를 맞으며 이곳 저곳 ‘구경’을 갔다. 그것은 진짜 등반하는 등산이 아니고 하이킹 정도에 속했지만 그래도 ‘난생 처음’ 그 유명한 설악산에 왔다는 자부심으로 가지고 즐기려 했다. 구름이 자욱하게 덮인 울산암은 아직도 그 바위들이 생생하게 기억이 난다. 개울과 바위를 걷던 완만한 계곡들, 물론 모두 구름 속의 모습들이었다. 제일 힘들었던 곳은 바로 여관에서 개울 건너 하늘을 찌르듯이 솟아있던 ‘권금성‘이었다. 바위는 하나도 없던 ‘토산’이었지만 어떻게 경사가 가파르던지 오르는 자체가 고행이었고 비까지 맞으며 오르는 것은 한마디로 괴로움의 연속이었다. 그래도 그곳에서 고생을 한 것으로 조금은 ‘날라리’ 하이킹한다는 아쉬움’에서 벗어날 수도 있었다.
그리고 운명의 날이 왔다. 권금성에 갔던 날 저녁, 파김치가 되어서 여관으로 돌아와서 예의대로 저녁 준비를 하게 되었다. 물론 비가 계속 뿌리던 그런 날이었다. 비가 오는 관계로 방 안에서 버너로 식사를 만들고 있는데, 이종원이 우리가 쓰는 것과 다른 종류의 버너를 쓰라고 내어 주었다. 그것은 당시에 많지 않았던 프로판 가스 버너였다. 요새는 보통 집에서 불고기를 식탁 위에서 구어 먹을 때 흔히 쓰지만 그 당시는 사실 새로 나온 것이었다. 문제는 프로판 가스통(카트리지)을 버너의 본체에 충격을 주며 밀어 넣는데 조금 프로판 가스가 새어 나올 수 있다는 것을 나는 몰랐던 것이다. 가스 통이 장착이 될 때 만약 근처에 불이 있으면 그대로 인화가 되어 폭발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을 모르고 나는 생각도 없이 가스통을 밀어 넣었고, 그것은 그대로 옆 버너의 불에 인화가 되어 흡사 전쟁에서 무기로 쓰는 ‘화염 방사기’ 같이 불을 요란하게 뿜어 댔다. 너무나 급작스러운 일이었다. 가스 통에서 뿜어 나오는 불길은 나의 발 등을 태우고, 나의 얼굴을 데어 버렸다. 불과 몇 초가 되지 않았을 것이지만 나에게는 아주 긴 고통과 충격의 시간으로 느껴졌다. 그 순간에 나의 1968년 여름방학은 완전히 폐허로 변해 버렸다.
나는 순식간에 오른 쪽 발등은 3도, 얼굴은 2도 화상을 입게 되었고, 곧바로 속초 시내로 옮겨졌다. 어느 ‘돌팔이’ 외과의원에 일단 갔는데.. 이곳은 정말 거의 ‘무허가, 돌팔이’ 의사가 진단서를 돈 주고 파는 그런 정말 양심 없는 중년 의사가 있던 곳이다. 그러니 나는 사실 며칠 간 이곳에서 하나도 치료가 안 되었던 괴로운 시간을 보낸 것이다. 명성이가 우리 집에 연락을 해서 누나가 기차를 타고 오고 있었지만 나는 화상의 여파로 정신이 하나도 없었다. 발과 얼굴은 심하게 부어 오르고 나는 아무래도 발보다는 얼굴에 신경을 더 쓸 수밖에 없었다. 누나는 우리들의 원서동 친척 같은 벗, 시자 누나와 함께 그 먼 길을 중앙선 기차를 타고 왔다. 당시에 속초는 극동항공 쌍발 여객기(아마도 DC-9)가 정기적으로 서울과 연결이 되어 있어서 나는 그것을 타고 정말 ‘눈 깜짝할 사이’에 서울 김포공항에 도착하게 되었다. 난생 처음으로 비행기를 타 보았지만 기분은 괴롭고 착잡하였다. 서울에 도착하여 나는 곧바로 청와대 근처에 있는 화상 치료로 유명하다는 ‘목상돈’ 외과 의원에 입원을 하여 집중치료를 받았고, 일주일 가량 입원을 끝내고 퇴원을 하여 그 때부터 통원치료를 받았다. 그렇게 해서 나의 1968년 여름방학이 완전히 끝난 것이다. 정말 악몽 같던 비와 불에 젖은 설악산 여행이었다. 그 당시 그 사고로 인하여 같이 갔던 명성이도 고생 고생하며 집으로 돌아왔다고 들었다.
나의 오른 발등의 3도 화상은 생각보다 심각한 것이었는데 초기에 적절한 치료가 늦어서 잘못했으면 큰일 날 뻔 했다고 들었다. 하지만 나는 발 보다는 얼굴에 신경을 더 쓰고 있었다. 나이 20세에 발 등이 중요한가 얼굴이 중요한가는 어려운 질문이 아니다. 하지만 여름 방학이 다 끝날 무렵에는 얼굴이 거의 정상적으로 돌아왔다. 발등 화상의 영향으로 조금 쩔뚝거려도 나는 사실 하나도 걱정하지 않았다. 그러는 사이에 여름방학은 ‘완전히’ 끝나가고 있었다.
¶ 연호회, 본격적인 이성들과의 만남
1968년도 2학기, 가을학기가 시작되어서 학교엘 갔더니 역시 사람들 속에 어울리는 것은 좋은지.. 지나간 여름의 악몽이 조금씩 잊혀지기 시작하고, 여름 방학 전에 ‘급조’ 되었던 우리들의 남녀 클럽에도 나의 사고 소식이 전해 졌는지, 어느 날 연세대 캠퍼스로 이선화씨가 찾아왔다. 나는 그때의 ‘감격’을 잊을 수가 없다. 그런 꿈은 누구나 가지고 있을 것이다. 아프고 외로움을 느낄 때, 어떤 ‘아련한 여자’가 위로 차 자기를 찾아 온다는 상상은 어느 남자나 하고 있을 것인데, 그런 꿈이 실제로 나에게 찾아온 것이다. 그때 나는 선화씨를 진정으로 가깝게 느끼게 되었고 조금은 의지하는 감정까지 느끼게 되었다. 이렇게 1968년 2학기는 이선화씨와의 짧지 않은 ‘영원히 잊지 못할’ 아련한 추억을 만들게 되는 시기가 되어갔다.
2학기에는 약간의 편입생들이 들어왔는데 그 중 한 명이 우리와 ‘눈이 맞아서’ 어울리게 되었는데, 그의 이름은 윤인송 이었다. 그래서 자연스레 우리의 아미고 클럽에 합류하게 되었지만 우리 클럽에서 ‘탈퇴’한 사람도 있었다. 그가 바로 강원도 출신 유학생 김철수였다. 김철수, 너무나 친근한 ‘교과서적 이름’이었고, 우리들은 정말 왜 그가 우리에게서 떨어져 나갔는지 이유를 모르지만 추측에 그는 여학생들과 어울리는 것이 달갑지 않았나 하는 생각은 해 보았다. 나는 개인적으로 그를 참 좋아했고 그가 우리를 떠난다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었는데, 슬프게도 그것이 현실이 되었다. 내가 알았던 김철수가 실상의 김철수가 아니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게다가 그는 한때 전기과에서 다른 과로 적을 옮기는 등 참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했는데 거의 반세기가 지난 지금도 ‘왜..왜..’ 라는 의문만 남는다.
학기가 시작되면서 이선화씨의 서울간호학교 친구들과 국제극장 옆 골목, 경기여고로 가는 길에 있던 해양다방에서 거의 정기적으로 만나게 되었고, 정식으로 클럽의 이름도 ‘연호회’라고 붙였는데, 윤인송의 제안으로 ‘연세 와 간호’ 에서 연 자와 호 자를 따서 붙인 그럴듯한 이름이었다. 이렇게 해서 1학기 때 실패로 끝났던 이대생들과의 클럽 만들기가 이제야 다른 ‘여대생’들과 조그만 성공을 이루게 되었고, 내가 그리고 상상하던 ‘멋진 대학생활’ 이 우리 앞에 보이는 듯 했다. 하지만 이런 즐거움 뒤에는 아무래도 이런 ‘과외활동’이 학교 공부하는 시간을 빼앗는 부정적인 면도 있었다. 하지만, 우리는 한창 잘나가던 청춘 20세의 ‘아무것도 두려울 것이 없었던’ 그런 때였기에 큰 신경을 쓰지 않았다.
연호회 클럽의 여학생들은 모두 간호원 지망생들로, 간호원은 당시 한창 외국으로 잘 나가는 직종이었고 그녀들은 분명히 해외취업이나 이민을 꿈꾸고 있었을 ‘세상을 조금은 냉정하게 보는’ 자세를 가졌음에 비해 우리들 남자들은 모두 ‘병역 미필’의 백일몽을 꾸는 듯한 ‘아이’들이었고 나도 그 중에 하나였다. 장래의 꿈은 그렇게 심각성의 차이가 있었어도 만나기만 하면 우리들은 같은 나이또래의 꿈과 취미를 나누며 장시간 담배연기 자욱한 해양다방에 죽치고 시간을 보내곤 했다. 그 때의 여성동무 6명들, 존칭을 빼면: 이선화, 조인선, 신언경, 이재임(인자), 황인희, 정수임 등이었는데, 이들은 알고 보면 우리 남자들같이 서로 친한 사이가 아닌 것 같고, 우리 클럽에 ‘불려 나와서’ 서로 친해진 듯 했다. 심지어, 어떤 여학생(이재임)은 자기가 어떻게 그곳에 나왔는지 이유도 모를 지경이었다. 하지만 우리 남자들 에게는 그런 것은 문제가 되지 않았다. 특히 그 중에 정수임씨는 학생이라기 보다는 아예 직장인 같은 인상을 주며 주말에는 ‘경마장’에서 일하는 아르바이트 생으로 모임에도 거의 빠져서 아직도 그 녀는 무슨 베일에 가린 듯한 추억을 남겼다.
연호회 가을산행 관악산 1968
곡식이 한창 무르익던 가을의 햇볕이 따갑지만 드높은 가을하늘이 파랗던 어느 일요일에 연호회의 첫 하이킹 겸 등산이 한강의 남쪽, 관악산에서 이루어졌다. 그 당시에는 등산 붐이 서서히 일고 있었지만, 주로 ‘남성적’인 북한산 (백운대, 도봉산) 이 인기였고, 관악산은 사실 모르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로 등산코스로 알려지지 않았었다. 용산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모여서 우리들은 과천 행 버스를 타고 갔는데, 그 당시 우리들은 버스 속에서 서로 어울려 그 당시 유행하던 ‘참새 시리즈‘ 농담 같은 ‘그 나이에 맞는 유치한 이야기들’ 을 하며 정말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언제나’ 프로 산악인 임을 자랑하는 박창희는 역시 ‘너무나’ 멋진 등산복 차림으로 등장했지만 15 나머지 ‘날라리 남녀들’ 은 모두 하이킹 차림으로 관악산 정상으로 올라갔다. 그때의 등산은, 주말 경마장에서 일을 하는 정수임씨 빼고 모두 참가를 했던, 지나고 보니 우리 클럽의 ‘유일한’ 산행이었다. 게다가 적지 않은 ‘흑백’ 사진도 고스란히 남게 되어, 더 이상 설명이 필요 없는 그 당시의 우리들의 갓 스무 살의 젊음을 지켜주게 되었다. 그 사진에 있는 애 띤 모습의 ‘호남 사나이’ 김진환은 비교적 젊었던 나이에 운명을 해서 지금은 없기에, 사진을 보면서 ‘하늘나라’에 있을 김진환의 애 띤 모습을 더욱 안타깝게 그리곤 한다.
꿈에 그리던 남녀 혼성클럽을 나 자신은 가슴 뿌듯하게 여겼다. 그것을 만드는데 나의 시간과 정성도 많이 들어갔기에 그런 것도 있었지만 정기적으로 그녀들과 해양다방에서 볼 수 있다는 생각 자체로도 행복했기 때문이다. 2학년 2학기, 그러니까 1968년의 가을학기를 나는 사실 공부보다는 연호회 과외활동에 더 신경을 쓰며 지냈는데, 그 시절은 비록 학교 공부에 게을러 몇 년 후에 큰 후회를 하기는 하지만참 아직도 다시 돌아가고 싶을 정도로 후회 없는 청춘의 시간들이었다. 우리 중에 가장 의젓한 모습의 양건주가 회장을 했는데 사실 그는 나이보다 성숙한 편이어서 이런 모임도 조금은 우리보다 심각하게 이끌어 나갔다. 그래서 여자 회원들이 그를 ‘도사’라고 부르기도 했는데, 그 별명은 참 잘 지어졌다고 생각하기도 했다. 우리들이 모이면 대부분은 그 나이에 걸맞게 노래들, 특히 미국 pop song을 즐기곤 했는데, 나는 가끔 그 당시 유행하던 top tune들의 가사를 print(당시에는 등사기로 찍은) 해서 나누어주곤 했는데, 사전에 아무런 이야기도 없이 그런 일을 하는 나를 건주는 사실 못 마땅하게 생각하는 듯 했다. 그 때는 내가 그런 그의 태도가 이해가 잘 가질 않았지만 후에 왜 그랬는지 충분히 이해가 갔고, 역시 깊이 생각하는 그의 다른 면을 보는 듯 했다.
¶ 이윤기의 짝짓기 아이디어
남녀가 모인 클럽이고, 분명히 클럽의 목적은 이름도 그럴싸한 ‘친목도모’였기에 남녀의 개인적인 사귐은 예상하기 어렵지 않았고, 그러면 분명히 예상치 못한 일들이 나올 것도 예측을 할 수가 있었다. 가을 해가 따갑던 가을 어느 날 나와 윤기는 연세대 중앙도서관에서 시험공부를 하다가 조금 쉬려고 담배연기로 앞이 안 보이는 끽연실에서 모였는데 느닷없이 연호회 남녀에 대한 ‘심각한’ 이야기를 하게 되었다. 윤기의 말은 직설적으로서, 서로 속으로 꿍꿍대지 말고 아예 미리 ‘짝을 짓자’라는 것이었는데, 처음에는 놀랐지만 충분히 이해는 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서 어떤 사람을 두 사람 이상이 동시에 좋아하게 되면 문제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협정’의 골자는 윤기 자기는 이재임(본명: 이인자) 씨와 짝이 되고 나는 이선화씨와 짝을 이루자는 것이었다. 정말 재미있는 이 발상은 나중에 다른 남자들에게도 알려져서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나머지 여자들을 ‘골라 잡게’까지 되었는데, 창희는 신언경씨, 건주는 황인희씨.. 등등이었다. 물론 이것은 거의 ‘장난의 수준’에서 이야기가 된 것이지만, 그런대로 이 ‘협정’은 지켜진 듯 하고, 장래에 이 ‘짝’이 결혼까지 이르는 경우도 생겼다.
¶ 연고전 보다 대지다방
이런 ‘유치한 사건’이 도움이 되었는지는 모르지만 나는 눈에 띄게 이선화씨와 가깝게 느껴지게 되었고, 이것은 상호적인 감정임도 서로 알게 되었다. 그때부터 나와 선화씨는 ‘정식 데이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그 시절에 정식이라 함은 서로의 집안에 이 사실을 알리고 만나는 것을 뜻했다. 하지만 그것은 내가 우리 집 식구들(어머니와 누나)에게 말한 것일 뿐, 선화씨의 집안 사정은 솔직히 확실하지 않았다. 가끔 일요일 일찍 만나서 하루를 마음 놓고 즐긴 기억인데, 그 당시 우리들은 ‘정말로, 진짜로’ 순수한 감정을 나누었던, 하지만 ‘사랑, 연애’란 말이 어울리지 않던 그런 관계였다. 지금도 다시 생각해 본다. 그때 우리들은 과연 ‘연애’를 한 것이었을까.. 아마도 ‘연애’까지는 아니었을 것이다. 주말이 아니었던 어느 날에는 선화씨와 연세대 앞에 있었던 2층 ‘대지다방’ (신촌로터리에서 가까운)에서 강의가 모두 끝난 시간에 만나기로 해서 기쁜 마음으로 시간을 기다렸는데, 그만 그날은 연고전 응원연습이 예정된 날이기도 했다.
조금은 미안하지만 그것을 빼먹고 백양로를 빠져나가려고 하는데, 예상대로 그날도 체육과 교수(강교수)의 진두지휘로 ROTC생들이 스크럼을 짜고 길을 막고 있었다. 사실 그 며칠 전 연습 시에 그것을 보았고 그날은 친구들과 연세대 뒤에 있는 ‘연희고지’를 넘어서 ‘도망’나간 경험이 있었기에 이번에 데이트가 있던 날은 아주 간교하게 머리를 써서, 죽마고우 유지호의 ‘수도공대’ 학교 배지를 빌려와서 그것을 달고 ‘당당히’ ROTC 스크럼을 빠져나가 대지다방까지 갔었다. 아마 나의 얼굴이 그들(ROTC)에게 잘 알려졌었으면 나는 ‘정학처분’을 받았을지도 모른다. 가끔 나는 기대를 벗어난 ‘악동’기질을 발휘하곤 했는데, 대부분 문제가 없었지만 지금 생각하니 후회가 없는 것이 아니다. 드높은 푸른 하늘에 펼쳐지는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연고전을 마다하고 어둡고 가라앉은, 시끄러운 다방엘 가려고 그런 행각을 했다는 것이 부끄러운 것이다. 하지만 그 당시에는 두 번 생각할 겨를이 없이 그런 ‘달콤한’ 시간들을 즐기기에 바빴다.
¶ 연호회지, 국전감상, 동양 TV 견학, 음악감상회
연호회가 확실히 자리를 잡고 정기적인 모임이 활기를 띠면서 무엇인가 기록과 역사를 남기려는 노력이었을까.. 물론 확실한 이유는 기억이 안 나지만 회보를 만든다는 그 자체가 멋진 생각이었다. 남녀가 정기적으로 어두운 다방에 죽치고 앉아서 ‘친목도모’를 하는 것은 그 자체가 보기보다는 즐겁기는 했지만 그런 모임이 오래 갈 수가 없음도 자명했다. 그렇게 해서 연호회보가 탄생했고, 순식간에 글과 시 들을 모아서 주로 나와 박창희가 편집을 해서 지금 기준으로 보면 ‘원시적’인 수준의 철필, 가리방 과 등사기로16 조그만 책자를 낼 수 있었다. 내가 권두사를 쓰고 설악산에서 겪은 화상, 사고를 그린 설악산 등산기, 박창희의 산에 관한 글 ‘악(岳)’ 이라는 글, 주로 여자회원들의 시들이 실렸다.
우리의 회보 발간 자체에 대한 열의는 상당했지만 그것이 우리 연호회에 미친 영향은 미미했고 시간과 정력이 생각보다 많이 소요되어서 단 한번 발행으로 끝이 나고 말았다. 아련한 기억 속의 이 ‘회보’는 세월의 횡포 속으로 사라지고 말았지만 가끔 다시 보고 싶은 생각이 들기도 했다. 창간호로 끝이 난 연호회지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지만 정말 기적적으로 2000년이 되던 즈음 양건주가 그것의 ‘사본’을 나에게 보내주었다. 제일 웃긴 것은 내가 쓴 글을 내가 알아보지 못했다는 사실17이었고 이것이 바로 세월의 장난이었다.
1968년 가을은 유난히도 청명했던 기억인데 그 찬란한 가을에 우리들은 경복궁으로 국전을 보러 가기도 했다. 평소에 나는 국전 같은 것에 별로 관심이 없었지만 이성과 같이 감상한다는 것은 별다른 의미가 있었는지 이렇게 아직도 기억에 남을 정도로 인상적이었다. 볼 줄도 모르는 예술작품이 눈에 들어온 것이다. 나는 사실 본격적으로 이성의 존재와 의미에 즐겁게 놀라기도 했다. 한마디로 ‘삶이 신나는, 즐거운’ 시절이 시작된 것이다. 반면에 나의 ‘공부’에 대한 열정은 그에 비례해서 식어 들어가기만 했다.
당시 나의 원서동 죽마고우인 유지호가 잘 알고 지내던 젊은 ‘아저씨’가 동양 테레비에서 엔지니어로 근무를 하고 있었고 우리 연호회 회원들이 단체로 ‘견학’을 할 기회를 만들게 되었다. 내가 중간에서 주선을 한 것이고 이것이 성사가 되어서 나는 내심 자랑스럽기도 했다. 우리들은 흡사 낙도 어린이들이 서울 수학여행 온 듯이 방송국 내부를 흥미 있게 돌아 보았다. 평소 테레비에서 보던 ‘인물’들, 연예인 평론가 등이 연습, 녹화하는 것도 보았는데 기억 속에 당시 잘 나가던 펄 시스터즈가 신나는 soul에 맞추어 춤추며 노래하는 것도 보았고 뉴스 평론가 김용기 씨도 본 기억이 난다.
또한 인상적이었던 것은 방송국 옥상에 있는 ‘거대한’ 마이크로웨이브 안테나였는데.. 그 기술자 아저씨 설명이 방송국의 모든 program이 이 안테나를 통해서 지척에 보이던 남산의 거대한 안테나로 ‘송신’이 된다고 했다. 그것까지는 보통의 설명이었는데.. 그 아저씨 왈, 그 안테나 근처에 가지 말라고, 특히 앞쪽으로 가지 말라고 했는데.. 그야말로 전기통닭 구이가 될 정도로 ‘열’이 날 것이라고 했다. 그 정도로 energy가 큰 것으로 바로 이것이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의 원리였던 것이다.
그 당시 한창 pop song, mostly American 에 심취해 있던 우리들에게 좋은 pop 음악이 나오는 다방에 죽치고 앉아 있는 자체가 즐거움이요 멋이었는데 다방 보다는 우리들만의 음악감상을 할 자리를 마련해서 실컷 좋은 음악을 들어보자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의욕도 거창하게 연세대 뒤편에 있는 ‘청송대‘ 숲 속에서 하자는 이야기도 있었다. 같은 과에 있는 김광호가 자기 클럽이 그렇게 했다는 말을 해서 생각하게 되었는데, 문제는 ‘전축’ audio system의 전원을 어떻게 마련하는 가에 있었다. Battery로 가능한 big audio system이 없던 그 시절이었다. 결국은 회원이었던 박창희의 집에서 하게 되었고, 그 집에는 그런대로 멋진 전축이 있어서 큰 문제가 없이 음악감상회를 진행할 수 있었다. 이날 새로 느낀 것은 나로써는 이해하기 힘들었지만, 모든 회원들이 다 나만큼 pop song을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었다.
¶ 크리스마스 비밀 데이트, 윤인송의 입대
그 해의 크리스마스는 이런 배경으로 조금은 ‘덜’외로운 시간을 보내게 되었다. 확실한 timeline은 다 잊었지만 당시 유행하던 (아마도 일본에서 유래 된?) 크리스마스 이브에 ‘길거리’로 나가야만 했던 ‘해괴한’ 풍습은 우리도 피할 수가 없었다. 우리들이 생각했던 idea는 간단히 말해서 남녀 한 쌍이 각기 다른 다방에서 크리스마스 이브에 만난다는 것인데.. 사실 생각만 해도 너무나 멋졌고 모두 동의를 해서 실행이 되었다. 이것은 제비를 뽑아서 정해진 couple이 정해진 다방에서 만나는 그런 것이었다. 다만 누가 누구와 한 쌍이 되었는가가 아직도 확실치 않지만 나는 ‘거의 확실히’ 선화씨와 만났던 것 같다. 너무나 오랜 세월이 지난 것이다. 그 당시에는 그렇게 생생했던 시간들이 왜 그렇게 희미해졌을까.. 안타깝다 안타까워..
이 무렵쯤 윤인송이 군대 징집영장을 받고 입영준비를 하는 ‘신세’가 되어서 우리들의 클럽은 조금씩 김이 새기 시작하게 되었다. 하기야 큰 이유가 없었으면 이 나이에 대개 군대를 가던 시절이었고 우리 클럽의 나머지 남자들도 거의 영장을 기다리던 때였다. 그 중에 윤인송이 제일 먼저 가게 된 것이다. 그때가 1968년이 지나가던 연말 연시 즈음이었는데.. 우리 그룹에서 제일 먼저 입영을 하는 case가 되어서 유난히 관심을 많이 받았다. 윤인송도 그것을 의식했는지, 흥분이 된 상태로 년 초로 예정된 입영 날 자를 기다리며 2학년 2학기를 마치고 있었다. 당시 제일 기억이 나는 것 중에는 인송이가 평소와는 다른 의외의 면모를 보게 되었던 것이 있었다. 평소에 여자 회원들과 깊이 사귀는 것은 고사하고 그런 것에 별로 관심을 보이지도 않았는데 입영날자를 받고는 ‘완전히’ 다른 사람처럼 변해서 이 여자 저 여자와 개인데이트를 하기 시작을 해서 우리를 놀라게 했다.
조용하고 무슨 비밀의 베일에 싸인듯한 모습의 이재임(본명: 이인자, 평창이씨)와 단독 데이트를 했고, 신언경씨의 경우에는 숫제 그녀의 집에 ‘쳐들어가서’ 식사 대접을 받기도 했다. 우리로서는 도저히 상상도 할 수 없는 일들이 벌어진 것이다. 당신에는 조금 의아하기도 했지만 나중에 생각해 보니.. 역시 군대를 간다는 ‘엄청난’ 사실 하나로 모든 것이 이해가 되고 동감도 하게 되었다. 다른 면으로 그는 ‘멋진’ 입영 전야를 보낸 셈이 아닐까? 그런 후 인송이는 1969년이 되자마자 수색 군부대로 입영을 하고 우리에게서 일단 사라졌다.
¶ 21세 생일, 교육회관 지하다방과 연세춘추
1969년 1월 21일은 나의 21세 생일이었는데 그날 나는 가까운 친구들 (남녀)을 우리 집으로 불러서 식사를 했었다. 그 당시에는 생일을 사람들과 같이 차려먹는 관습은 지금처럼 흔하지 않았던 기억인데 어떻게 내 생일에 그들을 초대했었는지 정말 기억이 또렷하지 않다. 분명한 것은 대부분 연호회 회원들과 가외로 같은 과에 있었던 다른 중앙고 1년 후배 이상일이 합세를 했다는 사실이었다. 어떻게 음식을 차렸는지 기억이 희미하지만 아마도 누나가 힘을 썼을 듯 하였다. 당시만 해도 어머님은 밖에서 일을 하실 때였다. 그 추운 겨울에 당시 널리 보급되었던 ‘석유난로’로 마루방을 덥혀서 그런대로 아늑한 분위기였다. 식사도 한식이었지만 풍성하였고.. 그래서 정말 재미있는 시간을 보냈다. 양건주가 무슨 게임을 하자고 해서 모두 더 즐거웠던 기억도 난다. 이채로웠던 것은 많지는 않지만 여대생들이 함께 그 자리를 채웠다는 사실이었는데, 나는 당시에 그 사실 하나 만으로 너무나 즐겁기만 했었다. 그 때는 그런 식으로 나는 본격적으로 이성에 눈이 뜨이던 그런 시절이었었다.그 당시 어떤 ‘여자’가 그 자리에 있었는지 나는 수십 년 동안 기억하려 애를 썼지만 100% 확실치 않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이재임(이인자)’씨(평창이씨)는 분명히 그 자리에 있었고, 나의 regular 이선화씨가 함께 했었는지.. 나는 그것이 더 궁금하지만 슬프게도 사진도 없고 기억도 확실하지 않았다.
대학 2학년이 끝나가던 겨울방학 중에 나는 친구들과 교육회관 지하다방에서 진을 치고 시간을 보냈다. 당시 겨울방학에는 무슨 여가 활동을 할 여지가 별로 없었다. 학구열이 이미 조금씩 시들해지던 시절, 본격적으로 ‘이성’에 눈이 뜨이던 그런 때에 제일 손쉽게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방법은 pop 음악이 멋지게 흘러나오고 여대생들이 복작거리는, 담배연기가 자욱한 ‘지하다방’에 죽치고 앉아서 시간을 죽이는 것이다. 시간이 ‘무한정’ 있다고 생각하며 살던 20대 초의 전형적인 생각일지도 모르지만 지금 생각하면 조금 한심한 작태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때 내가 낸 기발 난 ‘time-killer’ idea중에 하나가 생생하게 기억난다. 지루한 시간도 ‘죽이고’, 오랜 전(하지만 1년도 안 된)에 한때 ‘빠졌던’ 사람을 볼 수 있게 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가졌던 것.. ’20대 초 악동’의 장난이었지만 그 후에 후회도 많이 했다. 장난은 결국 ‘새빨간 거짓말’에 의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나의 ‘음모’에 수동적으로 가담해서 ‘공범’이 된 사람들은 양건주와 이윤기 였지만 그들은 그저 옆에서 의아해 하고 놀란 모습만 보여 주었다. 모든 것은 100% 나의 작품이어서 아직도 이 두 친구에게 미안한 마음이다.
이 project의 핵심은 가급적 많은 ‘여대생’을 ‘계속’ 만날 수 있게 하는 것 이었다. 하지만, 순진한 ‘사기’극이라고 할 수 있을까? 가능한 많은 여대생들의 주소를 찾아서 ‘연세춘추(연세대 학보)’의 이름으로 편지를 보낸다. 일종의 대학생들의 pop culture 특히 pop song에 대한 그들의 의견을 듣는 것이다. 그러니까 그 당시에 제일 ‘잘 나가던’ 유행음악이 무엇인가 ‘취재’를 하는 것이다. 이런 plan은 사실 크게 잘 못된 것이 없지만 우리가 ‘연세춘추 기자’라고 한 것은 ‘사칭’에 속하는 일종의 ‘범죄’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런 것까지 생각할 정도로 머리가 굳어진 나이는 아니기에 ‘거침없이’ 계획을 밀어 부쳤다.
죽마고우 유지호가 열심히 다니던 CCC(Campus Crusade for Christ)란 대학생 선교회 회원들의 주소록을 입수한 것이다. 거기에는 우리들이 침을 흘리던 여대생들의 주소가 빽빽이 실려 있었고, 몇 명의 주소를 고르고 그들에게 연세춘추의 이름으로 편지를 보냈다.
별로 기대를 하지 않았지만 ‘연세춘추’의 위력이 있었는지, 초대받았던 몇 명의 ‘여대생’이 담배연기 자욱한 다방으로 하나 둘씩 걸어 들어왔다고, 놀란 것은 사실 우리들이었다. 비록 ‘인터뷰’ 준비는 하고 있었지만 너무나 당황한 우리 모습들이 우리가 보아도 웃겼다. 다행히 당시 나는 pop song의 ‘권위자’ 급에 속해서 크게 실수를 안 하고 그들이 좋아하는 것들을 물어보고 즐겁게 대화를 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곳에 나왔던 ‘여대생’들 중에는 ‘짱!’ 하는 느낌을 주는 무언가 없었다. 그저 ‘시간을 죽인’ 효과만 얻을 수 있었던 것이다. 사실 그것이 우리가 원하던 것이었으니까.. 별로 후회는 없었다.
이런 ‘성공적’인 일이 있고 나는 조금 더 ‘대담’한 생각을 하게 되었다. 오래 전 (사실은 반 년이 조금 넘은.. 당시에는 그 정도면 ‘영원’에 가까운 세월이었다.) 헤어진 나의 첫 date 윤여숙 씨에게 도전을 해 보는 것이었다. 그러니까.. 이번에 성공리에 끝난 ‘연세춘추 인터뷰’의 방법을 써서 그녀를 불러내 보자는 idea.. 얼마나 장난스러운가? 그것이 전부였다. 그저 한번 해보자.. 는 100% 장난이었다. 나의 이런 idea에 두 친구들은 회의적이고 반대를 했지만 나는 밀어 부쳤다. 이런 아이장난에 쉽게 넘어갈 상대가 아니기에 밀어 부쳤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문제는 그 초대받은 날에 그녀가 ‘출현’을 한 것이었다. 이렇게 되면 나는 대책이 없었다. 그녀와 맞대면한 용기는 제로에 가깝고.. 이런 식으로 만나는 내 자신이 사실 ‘비참’하게 느껴졌기에 속으로 그녀가 안 나타나기만 바랬는데..
약속시간이 되어 다방 문에 출현한 그녀를 보고 나는 완전히 얼어 붙었고 고개를 숙이고 어찌할 바를 몰랐고 옆에 있던 두 친구들은 왜 그러냐고 계속 추궁을 했다. 만날 곳, 좌석의 위치가 지정되어 있기에 우리 옆까지 온 그녀를 나는 계속 고개를 숙이고 있었고 ‘연세춘추 기자’라고 인사를 못하고 있으니 결국 그녀는 급기야 counter에 가서 무언가 이야기를 하고 있었고.. (이 모습들은 내가 목격한 것이 아니고 옆에 있던 친구들이 본 것이다).. 화가 난듯한 모습으로 counter에 무언가 ‘따지고’ 있었다고 했다. 아마도 우리를 찾으려고 했을지도 모른다. 사실 그런 모습들은 내가 생각한 그녀의 평소 모습들이 아니라서 나는 놀라기만 했다. 너무나 적극적인 것이었다.
결국 그녀는 사라지고 나는 다른 걱정을 할 수밖에 없었는데.. 그녀의 아버지가 경찰관’이라고 들었기 때문이다. 만에 일이라도 이런 ‘사기극’이 그녀의 아버지에게 알려지는 날이면… 우아.. 너무나 아찔한 상상이었다. 이런 이후 나는 그녀를 ‘완전히’ 기억에서 잊게 되었고 그것이 나에게 ‘안전’함을 알았기에 이번의 ‘사기극’이 나에게 큰 도움이 되었다고 자위를 하기도 했다. 몇 년 후에 (도미 직전) 그녀를 볼 기회가 있었는데.. 이 당시의 일을 전혀 기억을 못하는 것을 보고.. ‘연세춘추’ 사건의 배후에 내가 있었다는 것도 모르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때 내가 ‘진실’을 밝혔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한다. 그저 넘치는 시간을 주체 못한 덜 성숙한 ‘아이’의 애교라고 생각할 수도 있었지 않았을까? 아~~ 추억이여.. 모든 추억이 이렇게 아름다웠으면..
¶ 나가며…
2013년 7월 초에 쓰기 시작했던 이 blog.. 일년 반 만에 ‘나가며’ 란 종장을 쓰게 되었다. 짧지는 않을 것이라 예상은 했지만 이렇게 오랜 세월과 싸울 줄은 미쳐 몰랐다. 서두에 말했듯이.. 내가 time machine을 타고 돌아갈 수 있는 ‘일 년’이 있다면 서슴지 않고 1968년이라고 말할 수 있기에 나는 더욱 나의 굳어져가는 머리의 기억세포를 짜내었고 그것이 너무나 힘이 들었기에 시간이 갈 수록 더욱 더 쓰기가 싫어지게 되었음도 솔직한 고백이다. 하지만 과정보다는 결과가 더 중요하다. 내가 짜 낼 수 있는 것은 99% 뽑아 낸듯하다. 이제는 ‘가미사마‘의 심판을 기다리는 기분으로 이곳에 홀로 남겨두고 나는 떠난다. Good Bye (forever).. 1968!
이때 미국의 미온적인 태도는 박정희의 자주국방 의지를 더욱 단단하게 만들게 되고, 미국식 자유민주주의 체제하에서는 국가의 존망 자체가 문제가 될 수 있어서 3선 개헌으로 시작되는 ‘장기집권’의 명분과 빌미를 주게 된다. 그러니까 김일성 개xx도 박정희 장기집권을 도와준 셈이 되는 것이다. ↩
부족할 것 하나도 없었던 그 당시 ‘철부지’ 학생들은 거의 문화혁명을 방불케 하는 권위에 대한 도전의식으로 월남전을 기피하고 반대를 했다. ↩
당시 대한민국은 경제적으로도 쪼들렸지만 국제적인 입지도 미국의 똘마니 정도, 미국에 완전히 의지하는 약소국가로 취급이 되었고, 반면에 김일성 개xx의 북괴는 의외로 ‘자주국가’로서 제3세계까지 포함한 상당 수의 국가들에게 지지를 받고 있었다. ↩
담배와 담배연기, 담배 피우는 남자의 모습은 여성들과, 거의 모든 곳(특히 영화나 TV 드라마)에서 멋진 것으로 묘사되던 시절이었고 여자가 담배를 피우면(할머니는 예외) 그녀는 분명히 화류계로 취급이 되었을 것이다. ↩
이것이 사실 당시의 유일한 desktop publishing 의 한 방법으로 그야말로 Gutenberg를 연상케 하는 수준이었다. ↩
권두사가 바로 그것인데.. 당시 유행하던 G-Cliffs의 I Understand란 노래중의”let bygone be bygone“을 유치하게 인용한 글.. 그것을 읽고 누가 이런 유치한 글을 썼을까.. 생각했지만 희미한 기억으로 조금은 귀에 익은 글이라는 생각 끝에 나는 그것이 나의 글이었음을 알고 정말 의자에서 떨어질 정도로 놀랐다. ↩
千の風になっ – A Thousand Winds.. – 秋川雅史(아키가와 마사후미) – 2006
Do not stand at my grave and weep.
I am not there. I do not sleep.
I am a thousand winds that blow.
I am the diamond glints on snow.
I am the sunlight on ripened grain.
I am the gentle autumn rain.
When you awaken in the morning’s hush
I am the swift uplifting rush
Of quiet birds in circled flight.
I am the soft stars that shine at night.
Do not stand at my grave and cry;
I am not there. I did not die.
Mary Elizabeth Frye – 1932
천 갈래의 바람으로
내 무덤가에 서서 울지 마십시오.
나는 거기 없습니다. 나는 잠든 것이 아니니까요.
나는 천 갈래로 부는 바람입니다.
나는 흰 눈 위에 반짝이는 다이아몬드입니다.
나는 여무는 곡식 위에 비친 햇살입니다.
나는 조용히 내리는 가을비입니다.
그대가 아침의 고요에서 깨어날 때
나는 하늘을 고요히 선회하다가
갑자기 비상을 감행하는 새입니다.
나는 밤하늘에 부드러운 별빛입니다.
내 무덤가에 서서 울지 마십시오.
나는 거기 없습니다. 나는 죽은 것이 아니니까요.
얼마 전 아내 연숙으로부터 류해욱 요셉 신부님의 ‘그대는 받아 들여졌다’ 라는 책자를 건네 받았다. 류 신부님은 비록 나와 개인적인 인연은 없었어도 간접적으로 친근하게 느껴지는 신부님이다. 내가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에 ‘본격적으로’ 나가기 시작한 2010년대 이전에 한때 주임신부님으로 계셨기 때문이다. 그곳에서 ‘사진’도 보았고 연숙, 많은 교우들로부터 이야기도 많이 들었다. 최근에는 몸이 아프시다는 소식과 레지오에서는 ‘병자기도’의 요청도 들어와 많은 단원들이 기도를 열심히 하고 있기도 하다.
‘중풍’같은 stroke으로 쓰러지셨다는데 어떻게 또 이런 책이 나왔을까? 친필로 sign이 책 안에 보였는데 아닌 게 아니라 ‘떨리는 필체’였다. 아직도 ‘마비 증상’에서 못 벗어나신 것일까? 나이는 나보다 한참 밑이라고 알고 있는 ‘젊은’ 신부로만 알고 있었는데 어떻게 그런 고생을 하시는지 안타깝기만 하다.
류신부님의 책 번역 솜씨는 가희 내가 제일 좋아하는 style중의 하나다. 어떻게 그렇게 ‘자연스러운’ 번역을 하는지.. 이것은 번역 사이에 있는 2가지 언어를 거의 완전히 이해하지 않고서는 힘든 일이다. 직역 체와 의역 체의 거의 중간에 있는 거의 완전한 번역인 것이다. 특히 시어체의 번역은 더욱 그러하다.
이번에 접하게 된 책은 ‘51편의 묵상 잠언‘이라는 부제가 있는 대부분 시와 묵상들을 저자의 소견을 곁들여 간결하지만 깊이 있게 설명을 하고 있다.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된 사실 중에는 신부님이 이전에 ‘이미’ 갑상선 암 치료를 받았다는 사실이었고, 건강에 신경을 쓰는 탓인지 ‘나이를 먹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고 있음도 알게 되었다. 나보다 거의 10년이 ‘젊은’ 것을 생각하면 조금 ‘가소롭게’도 느껴지지만 어떻게 느껴지는 나이를 직접 비교를 할 수 있겠는가?
칼릴 지브란의 시가 많이 실린 것으로 지브란의 시를 좋아하고 있음도 알게 되었지만 나의 눈길을 끈 것은 바로 A Thousand Winds로도 알려진 Don’t stand at my grave and weep이라는 Mary Elizabeth Frye의 1932년 경의 시였다.
이 ‘나의 무덤에서 울지 마세요’로 시작되는 시는 내용적으로 추측해서 아메리칸 인디안 (native Indian)의 구전에 의한 것으로 추측을 했지만 사실 지금은 저자가 ‘완전히’ 밝혀진 것으로 1932년에 미국 Baltimore에 살고 있는 Mary Elizabeth Frye라는 여성의 시로 확인이 된 것이다. 내가 신뢰하는 Wikipedia에 의하면 오랜 세월 동안 비밀의 veil에 쌓였던 이 ‘감동적’인 시가 세상에 나오게 된 경위는 다음과 같다.
1932년 경 Frye여성은 같은 집에 독일에서 나치의 유대인 박해를 피해 미국에 온 유대인 여성과 그녀의 남편이 살고 있었는데 그녀는 항상 독일 나치 치하에 남겨두고 온 어머니를 걱정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런 어느 날 그 어머니가 병으로 돌아가시게 되었고 임종을 지키지 못한 슬픔으로 고통을 받는 것을 알게 된 Frye여성은 거의 즉흥적으로 그녀를 위로하려고 shopping bag 누런 종이에 생각이 나는 대로 시를 적었다고 한다. 그녀는 그 전에 시를 써본 경험이 없었다고 한다. 슬픔에서 고통을 받는 것을 위로하려고 거의 ‘본능적’으로 쓴 그 시가 그 이후로 전세계적으로 같은 슬픔으로 고통을 받는 이들을 위로하게 된 것이다. 이 시는 Frye여성의 친지, 주변에 천천히 알려지게 되고 ‘장례행사’같은 곳에서 낭송이 되었고 서서히 세계적인 시로 발전을 하게 되었다. 하지만 대부분 누구의 시인지 모르며 애송을 하여서 작자 미상으로 남게 되었고 심지어 American Indian의 전통적인 시로 추측이 되기도 한 것이다. 후에 본격적인 ‘저자 찾기’ 노력이 이루어 졌는데 저자인 Frye여사가 94세로 세상을 떠나며 자신이 저자임을 밝힌 사실이 미국 신문의 컬럼 Dear Abby로 잘 알려진 Abigail Van Buren 의 추적으로 확인이 되었다.
저자인 Mary Elizabeth Frye는 이 시에 저작권을 요구 않았기에 완전한 public domain에 남아서 누구라도 인용을 할 수 있게 되어서 가히 모든 사람의 ‘장례식 애송시’가 될 수 있었다. 이 시를 조용히 가만히 읊으면.. 사랑하는 가족, 친지와 이별을 해 본 사람이면 엄청난 위로를 받게 됨을 느낀다. 큰 재난 때마다 낭송이 되었다고는 하지만 나에게 개인적으로 다가온 것은 아마도 2007년 경이 아니었을까? 그것은 ‘나의 무덤에서..’ 가 아니고 ‘천 갈래의 바람.. a thousand winds’로 나에게 다가왔다. 2006년 말 일본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NHK의 연말 가요 홍백전에 이 시를 classic style로 부른 아키가와 마사후미 에 의해서였다. 처음 들을 때, 나는 이 노랫말이 일본 것인 줄 잘못 알았다. 센~노 가제 (천千의 바람)라는 제목이 붙은 이 classic style 곡은 곧바로 일본 최고의 인기 곡이 되었다. 그때까지도 나는 이 곡이 작자미상인 것도 몰랐다. 이 시는 당시의 일본 TV drama 였던 ‘어른들의 여름휴가(おとなの夏休み)’ 에도 나온다. 주인공 여성의 병 간호를 하는 할머니가 애송하던 시집이었다. 곧 바로 세상을 뜨는 할머니가 아마도 자기의 죽음 앞에서 울지 말라는 뜻이었을 듯 하다. 당시 그것을 보면서 나는 이 시가 왜 여기에도 나오는 가.. 일본인들과 무슨 큰 관계가 있는가 의아해 했었다.
결국은 류해욱 신부님의 신간인 ‘그대는..’ 에 의해서 나는 완전히 이 시를 알게 되었고 나를 매료시켰다. 왜 안 그렇겠는가? 나는 류 신부님처럼 나의 어머니를 생각한다. 이 시는 세상을 먼저 떠나간 사랑하는 사람이 남겨 두고 온 슬픔에 고통을 받는 이들을 위로한다. 거꾸로 된 것이다. 무덤 옆에서 먼저간 영혼을 위로하는 것이 아니고 그 반대인 것이다. 가슴을 깊이 울리는 아름다운 정경들을 배경으로 죽은 이가 산 이를 위로한다. 나는 죽지 않고 남겨둔 너를 항상 바라 보고 있다고. 영혼의 불멸을 믿게 된 나는 이 시어들을 이제는 100% 실감나게 믿는다. 그래서 더 나에게 ‘산’ 의미가 있다. 어떤 곳에서 세월호 비극 때에 이 노래가 번역이 되어서 불렸다고 들었다. 아마도 일본이라는 거부감 없이 슬픔에 고통을 받는 산 이들이 위로를 받았으리라.
대한민국은 비록 남북한 좌익선동세력의 억지와 깽판으로부터 협공 당하고 있지만, 결국은 이를 극복하고 정치적 선진국가로 발돋움할 것으로 낙관한다. 그 이유는 한국사회에 나타나는 정치적 적폐는 군중사회의 마지막 병리증상으로 보기 때문이다. 한국사회의 ‘군중현상’은 김대중-노무현 좌익세력이 침투한 상층부에 깊이 남아있다. 김대중-노무현 좌익세력은 군중인간들을 입법부, 사법부, 행정부에는 물론이고, 교육계, 종교계, 시민단체 등에 심었기 때문에, 군중현상이 한국사회의 저변에는 잘 나타나지 않고 오히려 상층부에 나타난다. 여기서 말하는 ‘군중현상’이란 오르테가 가세트, 윌리엄 콘하우저, 데이비드 앱터, 사무엘 헌팅턴, 로버트 니스벳 등이 지적한 군중의 파괴성을 뜻한다. 공동체(국가)에 대한 감사와 의무를 모르는 방자하고 무책임한 사회구성원을 ‘군중’이라고 부른다.
오르테가 가세트는 ‘완전한 직접 민주주의’는 전체주의를 초청할 것이라고 했는데, 전체주의적 선동꾼 김대중은 ‘아테네 이후에 최고의 직접 민주주의’라는 구호로써 2008년 광우병 촛불폭동을 부추겼다. 광우병 촛불폭동은 김대중의 선동능력이 구현된 반란현상이다. 김대중은 무자격적 군중인간에게 주권행사를 강조하면서, 오르테가 가세트가 말한, ‘민주적 폭군(democratic tyranny)’을 길러낸 민주주의 파괴범이었다. 오르테가 세세트는 군중인간을 문명파괴적 인간으로 봤다. 한국사회에서 광우병 촛불폭동, 국정원 댓글과 세월호 참사를 악용한 깽판극들을 벌이는 군중인간들은 사실상 민주주의를 할 자격이 없는 미개한 군중인간들이다. 정몽준 전 수울시장 후보자의 막내아들이, 성숙한 국민을 대변하여, 세월호 사건에 대한 군중인간들의 대응방식을 놓고 ‘미개인’이라고 지적한 것은 박원순 지지자들의 정치적 미개성과 기만성을 잘 지적한 것이다.
오그스트 콩트가 지적한 것처럼, 이런 군중인간들이 설치는 시대에 새로운 의식(정신)혁명이 없으면, 대한민국은 재앙을 맞을 수 있다. 지난 20여년 동안, 니체가 말한 ‘니힐리즘의 홍수’가 김대중-노무현 좌익세력에 의해 군중현상의 형태를 띠면서 한국사회를 휩쓸고 지나갔다. 오르테가 가세트가 지적한 것처럼, 옛날 제왕보다 더 풍족하게 살아가는 무자격적 군중인간들이 무의미성에 시달리면서 자신과 국가공동체를 파괴하는 자해극을 벌인 것이다. 한국사회에서 김대중-노무현 추종 좌익세력이 반정부 깽판질을 하는 한 심리적 원인 중에는 배부른 군중이 복에 겨워 지랄 발광하는 측면도 없지 않다. 좌익세력이 김대중-노무현 집권 기간에 분에 넘치는 부를 축적하여, 그 넘치는 자금으로 반국가적 억지와 깽판을 맘껏 치고 있는 측면도 있다. 지금 우익단체보다 좌익단체들이 더 군중 선동과 동원 자금을 풍족하게 확보해서 쓰고 있다는 사실도 자유민주체제 위협요인 중에 하나다.
그 결과 지금 한국사회에는 정상적으로 명령하고 정상적으로 복종하는 공권력이 약화된 상태가 됐다. 오르테가 가세트는 ‘군중의 반란’이라는 책에서 “국가는 정상적으로 명령하고 정상적으로 복종하는 것보다 더한 자유와 행복을 줄 수 없다”고 주장했는데, 지금 대한민국은 상층부에 뿌리내린 군중인간들에게 정상적으로 명령하고 정상적으로 복종하는 공권력 시스템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 한국사회의 교육계, 입법계, 사법계, 종교계, 언론계, 문화예술계에 주도권을 장악한 군중인간들에게 정부도 정상적인 공권력을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 좌익교육감, 좌익국회의원, 좌익 검판사, 좌익기자, 좌익교사, 좌익연예인들은 정부의 공권력이나 국민의 상식과 국가의 법치를 파괴하는 주범으로 등장했다. 저변 국민들은 애국심으로 국가공권력 유지에 애를 쓰는데, 상층을 장악한 좌익세력의 군중인간들이 자해적으로 공권력 파괴에 주범 역할을 하고 있다.
군중은 ‘양적인 떼’를 지칭하지 않고, ‘질적인 성격’을 의미한다. 물론 군중인간들이 떼법의 횡포를 보여주지만, 군중인간은, 오르테가 가세트가 지적한 것처럼, ‘아무런 권위나 외부인의 충고나 도움도 필요로 하지 않는 완전한 자족적 인간이라고 착각해서 억지부리는 방자한 인간’을 뜻한다. 전통사회(유교사회)가 붕괴되면서 어떤 사회적 권위나 통제도 무시하고 부자집 망나니처럼 불평과 불만에 찌든 인간이 바로 ‘군중인간’이다. 오르테가 가세트는 ‘군중인간’에 대해 “군중들의 토론 없는 직접적 의사표시는 문명을 파괴하는 폭력행사로 나타난다”며 “군중은 사회적 제약, 기준, 예절, 간접적 소통방식, 정의, 이성 등을 모조리 파괴하고 오직 단순화된 이분법적 구호를 사회적 난제에 대한 해답으로 강요한다”고 규정했다. 2008년 ‘광우병 촛불폭동’, 2013년 ‘국정원 댓글사건’, 그리고 2014년 ‘세월호 침몰사건’ 등에는 ‘군중인간의 이분법적 판단과 파괴적 횡포’가 두드러졌다.
한국사회에 나타나는 군중현상에서 군중의 속성은 바로 ‘극단주의’다. 극단적 좌절감과 소외감과 박탈감(‘을’의 콤플렉스)에 찌든 군중인간들이 갑자기 자신을 절대적 ‘갑’이라 되는 것처럼 폭력을 행사하는 양극적 행동양태를 군중인간들이 보여줬다. 과격한 ‘갑질’은 ‘을의 열등감 폭발’일 뿐이다. 에릭 호퍼는 이런 군중인간에 대해 “좌절과 소외에 시달리는 마음을 가진 군중은 모든 것을 자신이 신봉하는 망상에 내던질 준비가 되어 있는 자포자기의 확신범”으로 봤다. 이런 군중인간이 도덕적 성실성을 무시하고 후안무치 해지는 것은 당연하다고 에릭 호퍼는 봤다. 광우병 촛불난동, 국정원 댓글, 세월호 사건 등에는 자신의 도덕과 체면을 무시하는 군중인간들이 정치적 광신도가 되어서 법치와 공권력을 부정했다. 구스타브 르 봉이 지적한 것처럼, 한국사회에 나타난 군중인간들은 자신의 체면과 개성을 잃고 파괴적 집단의식에 예속된 익명의 노예들이었다.
이렇게 파괴적 감정에 취하여 충동성, 과잉반응, 추론능력 결핍, 비판정신의 부재, 과장된 감정표현의 노예가 된 군중인간들이 파괴적 수구꼴통이 되어 반정부 횡포와 난동을 부리니, 국가의 공권력은 부재상태로 전락되었다. 이런 군중인간의 위험성에 대해 윌리엄 콘 하우저는 ‘사회적 다원주의(자유민주주의)에 가장 해로운 적’으로서 ‘군중인간’을 지목했다. 그는 “군중운동은 자유민주적 정치체제를 파괴할 수 있는 위험성을 가졌다”고 ‘군중사회의 정치학(The Politics of Mass Society)’에서 주장했다. 그는 현대사회의 저변에는 ‘군중성향’과 ‘다원주의성향’이 경쟁한다고 봤다. 주어진 자유와 민주를 잘못 작동시키면, 다원주의적 자유민주체제는 쉽게 군중의 난동질이 난무하는 무정부상태가 되고 이런 무질서가 지속되면 전체주의적 선동꾼이 민심을 얻으면서, 전체 국가가 전체주의사회로 전락할 수 있다. 민주화는 흔히 과잉민주화와 공권력붕괴로 실패한다.
군중인간들에 의한 공권력 혹은 법치의 파괴를 군중연구가들을 모두 우려했다. 윌리엄 콘 하우저는 군중사회의 특징으로 ‘권위의 상실’를 주목하면서 ‘군중의 떼법이 교양인(엘리트)의 법을 대체하는 것이 군중사회의 조건’이라고 지적했다. 데이비드 앱터도 ‘정당한 공권력의 부재’를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군중현상의 적폐로 보면서 ‘권위적 정부의 부재가 민주주의를 구축하는 데에 적’이라고 주장했고, 구스타브 르 봉은 ‘문명을 무너뜨리는 수단으로서 군중 혹은 야만주의의 물결’을 지적했고, 오르테가 가세트는 ‘무자격적 주권 행사로써 군중은 사회적 권위를 파괴한다’고 지적했다. 콘 하우저는 “군중사회에서는 ‘공동체의 상실’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을 상실한 군중인간들과 지도력을 상실한 엘리트(사실상 군중인간)들은 사회를 원자화(파편화)시켜서 공동체로서 역할 하지 못하게 한다고 콘 하우저는 걱정했다.
한국사회에서 지도층이 깽판꾼이 되고 군중의 떼법에 공권력이 무력화 되는 현실은 전형적인 군중현상의 적폐다. 사무엘 헌팅턴은 ‘교육을 많이 받은 지식군중인간이 사회불안을 조성하는 주범이 되는 현상’을 주목했다. 한국사회에서 공권력을 마비시키는 과잉민주주의는 지식군중인간들의 법치파괴에 따른 병리증상에 가깝다. 좌익지식인들이 주도한 법치파괴에 대해 이명박-박근혜 정부는 정상적 공권력을 작동시키지 못했다. 언론계, 법조계, 입법계, 교육계, 종교계 등에 뿌리 내린 김대중-노무현 좌익세력은 정상적 법치를 거부했다. 한국사회에서 국가사회를 파괴하는 군중현상을 척결하기 위해서는 김대중-노무현 좌익세력의 척결은 필수적이다. 김대중-노무현 좌익세력은 대한민국에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고 좌우익에 연합한 추상적 연방제국가에 정서적으로 소속된 망상가들이다. 그래서 북괴의 독재와 폭압에는 침묵하고 대한민국의 넘치는 자유와 민주에는 불평하는 정치행태를 보여준다.
나쁜 군중사회를 김대중-노무현 추종세력이 만들어가는 것은 각성된 국민과 민주적 정부는 제압해야 한다. 우리 국민들은, 탈몬이 지적한 것처럼, 완전한 민주화를 요구하는 전체주의적 선동꾼의 군중 장악과 예속의 음모를 제압해야 한다. 이른바 ‘완전한 민주주의’를 외치는 좌익선동꾼들은 전체주의사회를 구축하려는 발악을 하고 있다. 2008년 남북한 좌익선동세력이 전개한 ‘광우병 촛불폭동’을 ‘아테네 이후에 최고의 직접 민주주의’라고 칭송한 김대중은 완전한 민주주의를 외치는 전체주의 선동꾼에 불과하다. 아직도 새정치민주연합이 김대중과 노무현을 민주주의의 화신으로 착각한다면, 이는 군중을 악용한 전체주의 추구세력으로 낙인 되어 마땅하다. 광주사태나 광우병 촛불폭동을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군중선동현상으로 비판하지 않는 한, 한국사회는 전체주의 선동세력에 취약하다. 김일성-김대중-노무현 추종세력은 대한민국의 안녕과 번성에 장애물이다.
그렇다면, 한국사회는 파괴적 군중선동에 기댄 김대중-노무현 좌익선동세력에 의해 자멸하는 군중사회로 악화될 것인가? 그렇지는 않아 보인다. 한국사회가 좌익선동세력의 억지와 깽판을 극복할 수 있는 두 가지 요인을 주목하는데, 하나는 바로 ‘군중현상은 시대적으로 일시적이라는 점’과 다른 요인은 ‘저변 한국인들 수준 높은 정치의식과 윤리성’을 꼽고 싶다. 망국적 군중현상이 ‘민주팔이’로 집권한 김대중-노무현 좌익세력의 쇠퇴와 함께 사라질 것이다. 지난 몇 년 동안 좌익세력이 그렇게 언론계, 문화예술계, 교육계, 법조계 등을 장악해서 군중을 기만하고 미혹했지만, 선거전에서 번번히 패배한 것은 남한 좌익세력에 대한 국민들의 각성과 반감이 고조되기 때문이다. 김대중과 노무현의 민주팔이, 통일팔이, 복지팔이는 서울이나 호남에서는 먹혀 들지만, 다른 지역들로부터 점점 배척되고 있다. 이정현 의원의 경우, 호남에서도 지역주의는 바람직하게 극복되고 있다.
저변 한국인들의 높은 교육열과 도덕성은 언론계, 교육계, 법조계, 정관계를 장악한 좌익세력의 조작과 선동과 억압을 극복하는 주요 원인이 될 것 같다. 비록 서울과 호남에서 낡은 좌익이념과 지역주의에 찌든 군중인간들이 다수를 차지하지만, 전국적으로 보면, 저변 민중들은 무섭고도 급격하게 각성되고 있는 것이다. 만약 한국의 저변 민중들이 월남 패망 전의 월남인들 처럼 거짓과 자멸의 좌익선동꾼들에게 깊이 홀렸다면, 지금 한국의 정치상황은 내전적 상태였을 것이다. 하지만, 저변 국민들이 언론계와 교육계의 좌익선동꾼들에게 홀리거나 눌리기 않아서 대한민국은 서서히 좌익선동세력이 물러나고 있다. 언론계의 좌익선동세력이 광적으로 선전선동하지 않으면, 장차 선거들에서도 좌익선동세력은 패배를 거듭할 것이다. 지금은 중도인 것처럼 위장한 박원순 같은 좌익선동꾼들의 정체도 날이 갈수록 더 드러날 것이다. 박원순의 역할은 박헌영 같아 보인다.
그리고 사회구조적 혹은 시대추세적으로 군중들을 미혹하는 좌익선동세력은 설 땅이 좁아질 것이다. 과학의 발달로 사회구성원들이 정치의식적 측면에서 미개해진다는 우려도 있지만, 워낙 통신과 교통이 발달해서 전체주의적 선동세력은 방송과 신문과 인터넷을 장악해도, 워낙 신속하고 대대적인 정보유통 때문에, 끝내 저변 국민들을 다 속이진 못할 것이다. 그 결과 좌익선동세력은 가파른 언덕을 기어올라가는 이념전쟁을 앞으로도 계속해야 할 것이다. 공산주의가 퇴조하면서, 남북한 좌익선동세력도 고립무원이 되어버렸기 때문에, 막강한 자금력과 선동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좌익세력은 집권에 막대한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김대중-노무현 추종 좌익선동세력은 한국사회에서 퇴조될 것이고, 그렇지 못하면 좌익선동세력을 퇴조시켜야, 대한민국이 다원주의적 민주사회를 유지시킬 것이다.
한국사회는 김대중 집권 후에 상층부가 좌경화, 군중화, 망국화, 무정부화 되었다. 지도층이 저변 민중들보다 정직성, 정의감, 민주의식, 애국심 등이 더 없다. 국가권공력은 입법부, 사법부, 언론계, 교육계, 종교계 등을 주도권을 장악한 좌익세력에 의해 심각하게 약화되었다. 떼법이 국법을 농락할 정도로 한국의 준법정신과 사법문화는 심각하게 훼손됐다. 간첩을 간첩으로 판결하지 못하는 판사들이 버젓이 법복을 입고 기업가들만 엄벌하고 있다. 우익세력의 도움으로 집권한 이명박-박근혜 정권은 껍데기만 집권했지, 사실상 반국가세력을 제압할 통치력을 구사하지 못했다. 집권은 했는데, 통치력이 없는 중도세력의 한계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남북한 좌익세력의 준동을 보면, 대한민국이 내전적 상황으로 전락할 것 같기도 하다. 적어도 군중 선동력과 동원력의 측면에서 좌익선동세력은 우익애국세력을 압도한다. 이번 점은 대한민국의 장래에 비관적 변수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구조적으로 잘 유지될 것이며, 민심도 국가를 번성시킬 정도로 수준이 높다. ‘이승만-박정희-전두환이 구축한 자유민주체제’와 ‘대한민국을 사랑하는 저변 국민’에 의해 대한민국은 건재할 것이다. 대한민국은, 좌익선동꾼이 두 번이나 대통령이 되어도, 국가를 지탱시킨 튼튼한 자유민주체제를 가지고 있다. 그런 점에서 자유민주체제를 한국사회에 깔았던 이승만 건국대통령의 기운은 지금도 대한민국을 지키고 있다. 군사력을 동원해서라도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체제를 지킨 박정희와 전두환도 군중선동세력에 맞서서 지금도 대한민국을 지키는 수호의 기운을 남겼다. 대한민국을 지키는 가장 핵심적 변수는 바로 누구도 함부로 대항할 수 없는 대한민국의 헌법과 자유민주체제인 것이다. 우리 헌법과 체제를 생뚱 맞은 핑계를 들이대면서 함부로 손대려는 좌익선동꾼들을 사회교란범이나 망국노로 의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의 저변 국민들은 상부 지도층보다 훨씬 더 위대하다. 광우병 촛불난동, 국정원 댓글사건, 그리고 세월호 침몰사건 등을 정권타도로 악용하려던 좌익선동세력을 제압한 주체는 언론인도 정치인도 교육자도 검판사도 아닌 바로 저변 민중들이었다. KBS, MBN, YTN, JTBC 등을 비롯한 좌익선동매체들이 아무리 사실을 왜곡해도, 저변 택시기사들의 현명한 판단을 유린하지는 못했다. 지식과 정보를 직업으로 다루는 전문가들이 무책임한 군중선동꾼으로 전락되어 있는 한국사회를 건전하게 유지하는 것은 저변 민중들이었다. 물론 서울과 호남의 일부 미개한 군중인간들이 골칫거리이긴 하지만, 한국의 전반적 민중들은 서서히 각성되어서, 이제는 좌익세력의 거짓선동이 민중들에게 쉽게 먹혀 들지 않는 것이다. 좌익세력의 준동 앞에, 상층부의 관군은 도피하고 저변 민병이 대한민국을 지킨다.
눈에 두드러진 두 현상이 있다. 하나는 요즘 대학가에서 좌익세력의 거짓선동이 먹혀 들지 않는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세월호 참사가 지난 6.4지방선거에서 서울을 제외하고 먹혀 들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 두 현상은 군중선동세력의 퇴조를 의미하는 사회변화의 징조로 보인다. 민주화를 빙자한 좌익세력에 의해 조장된 ‘군중사회’는 서서히 ‘선진사회’로 바뀌고 있다. 한국민들은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 ‘다원주의적 사고’로써 ‘복합적으로 판단’한다. 좌익선동세력의 이분법적 반미-반일-반한선동은 성숙한 국민들에겐 미개한 정치선동으로 취급되고 있다. 자유민주체제와 선진국민이 망국적 군중선동을 제압하니, 대한민국의 미래는, 군중의 난동질과 지도층의 무책임 등의 난관들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으론 낙관적이다. 아니 정부와 국민이 대한민국의 장래를 낙관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나의 comment: 위의 글, 논설은 인호 형(한양대 명예교수, Dynamic Management학회장)이 보내 준 것이다. 주로 경영학 쪽의 논설을 발표하시던 형이 근래에 들어서는 부쩍 정치, 사회 쪽의 글들을 나누어 주시는 것을 보고 조금은 현재 대한민국이 돌아가는 ‘꼴’을 의식하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다른 곳에서도 이런 류의 논설을 접하게 되는데 두드러진 특징 중에는 부쩍 늘어난 ‘강도 높은 표현들’인데, 이런 류의 단어들은 ‘좌익’이 즐겨 사용하던 것들이라.. 조금은 의아해지기도 한다. 그 정도로 대한민국의 정치현실도 미국 못지않게 polarized가 되어간다는 증거일지도 모른다. 모든 나라들이 ‘돈’을 쫓는 자본주의의 ‘후기’로 치닫는 시점에 100년이 넘는, 실패한 ideology의 흙탕물 속에서 싸우는 것 같아 안쓰럽기까지 하다.
나는 그 동안 그런 ‘꼴’을 피부로 못 느끼고 살아서 왈가왈부할 자격이 거의 없지만, 그래도 의견과 느낌은 다른 사람들에 못지않게 유지하며 살았다. 좌익, 우익 하지만 그것은 조금은 ‘정제, 순화 된’ 표현일까.. 나의 집안을 100% ‘파괴’했던 김일성 개XX 집단’이 좌익이라고 순화 된다면 나는 서슴지 않고 위의 논설에서 자주 사용한 ‘강도 높은 표현’의 ‘강도’를 100배 이상 거세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자주 생각하는 것 중에 가장 쉽게 이들의 ‘행태, 작태’를 노출 시키려면 이들을 돈을 많이 주어서 (세금으로) 그들이 ‘선망하는’ 김씨 왕조의 나라에 ‘이민’을 시도해 보는 것은 어떨까? 이들 미숙집단의 몇 %가 과연 이민 신청을 할 것인지.. 상상만 해도 즐겁기만 하다.
오늘 ‘또 우연히’..요새는 이렇게 우연히 란 말이 강한 느낌을 다가올 때가 많이 있지만 이것도 정말 우연히.. 모두 Google탓으로 돌려야 하나? 이것이야 말로 ‘우연히’를 더욱 많이 쉽게 접하게 하는 monster인 듯 하다. 모두 알다시피 Google은 그 massive한 network server power를 이리저리 휘두르며 하고 싶은 것은 무엇이나 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데, 그 중에는 ‘자선적’인 것도 있다. 그 예로 Google Voice internet phone service가 있다. 미국과 캐나다에 ‘무료’ 전화를 제공한다. gmail account만 있으면 된다. voice quality도 Bell network에 못지 않다. 단점은 ‘거의’ pc같은 computer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루 종일 computer앞에 있는 사람은 큰 문제가 없지만 ‘일반 대중’에게는 성가신 일이다. ‘보통 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라던가.. 이런 것을 가능하게 하는 gadget이 곧바로 나왔고 ‘불티 돋치듯’ 팔렸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조금 computer를 아는 사람은 그런 것도 필요가 없다. Linux computer에서 pbx-in-a-flash/Incredible PBX같은 software를 사용하면 그야말로 ‘무료’가 된다. 나는 처음부터 그런 방식으로 Google Voice의 애용자가 되었는데.. 세상에 진짜로 공짜가 무제한으로 있을까? 지난 5월 중순부터 Google에서는 생각을 바꾸어 이런 제3의 gadget이나 software를 사용하는 방식을 없앤다고 ‘엄포, 공포’를 놓았다. 그 ‘방식’이란 것이 바로 XMPP란 것인데 이것이 Google Voice와 3rd Party gadget을 연결해 주는 connector protocol software인데 이것이 support가 안 되면 그런 gadget들은 일순간에 무용지물이 되는 것이다.
그러니까.. no more free lunch인 셈이 되어서 실망이 대단했지만 그렇게 하겠다는데.. 무엇이라고 할 것인가? 그래서 나는 5월 중순이 되기 전에 미리 ‘보통 전화기’를 사용하는 Google Voice service를 나의 home pbx server에서 지워버렸다. 그리고 대치용으로 ‘아주 싼’ voip service인 voip.ms란 곳에 sign-up을 하였다. 이것으로 long distance와 international call을 하려는 의도였다. 그리고 이것에 대해서 잊어 버렸는데.. 오늘 우연히 XAPP가 Google Voice에서 그대로 살아있음을 발견한 것이다. 어찌된 일인가? 부리나케 pbx에서 test를 해 보았는데.. Bingo! It still works! 도대체 어찌된 일일까? 왜 Google은 마음을 바꾸었을까? 나는 Google Voice account(그러니까 phone numbers)가 3개나 있어서 정말 편리했지만 한동안 ‘성급하게’ 그것을 포기했던 것이다. PC에서 가끔 쓰긴 했지만 어찌 그것이 ‘진짜 전화’와 같은 기분일까? 이제는 다시 ‘진짜 전화기’로 Google Voice를 쓰게 되어서 너무나 기쁘다. 참고로 Google Voice XMPP service가 없어 지는 것을 예감하며 5월초에 썼던 unpublished blog post를 아래에 기록으로 남겨두려고 한다.
드디어 올 것이 왔다..2014년 5월 15일.. 이날이 무슨 날인가? 몇 년 동안 ‘공짜’로 전화 service를 해 주던 Google Voice에서 XMPP connection 을 완전히 끊어버리는 날이 바로 이날이다. Google Voice core service 자체는 그대로 있지만 그 동안 이것을 ‘진짜 전화 같은 느낌을’ 주게 하던 service가 없어지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Google Voice를 계속 쓰려면 ‘다시’ desktop PC 앞에 앉아서 웃기는 PC 용 headphone이나 더욱 웃기는 plastic mic/speaker를 써야 하는 것이다. 아마도 Google Voice가 처음 시작되었을 때에 그런 식으로 썼을 것이다. 생각을 해보라.. 전화를 걸고 쓰는데 누가 ‘반드시’ 컴퓨터 앞에서 앉아서 컴퓨터 화면을 보면서 쓰는 것을 좋아하겠는가? 나 같은 사람은 사실 큰 문제가 없지만 대부분은 안 그럴 것이다.
언젠가부터 Google이 무슨 생각을 했는지 XMPP란 ‘connector’를 이 service에 연결하면서 이야기가 달라졌다. 이 XAMPP가 연결되면서 우후죽순같이 3rd party device들이 등장하고 거의 완전히 ‘보통 전화’같이 이것을 쓸 수 있게 된 것이다. 한마디로.. 책상의 PC 앞에 붙어 앉아서 쓸 필요가 없고, ‘보통 전화기’같이 쓸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니까.. 쓰는 사람 입장에서는 ‘전화국’의 전화를 쓰는 것인지 아닌지도 모를 지경이 된 것이다. 분명히 ‘거의 공짜’ 전화 service가 된 것이다.
공짜라면 꼼짝 못하는 사람들.. 거의 공짜라는 것은 미국 내에서의 모든 long distance call을 말한다. 국제전화는 공짜가 아니지만 아주 싼 값이다. 이런 service를 쓰려면 cable TV를 보듯이 device를 사야 했지만 별로 비싼 것이 아니었다. 조금 기술적인 사람들은 그것도 필요 없었다. 이미 집에 있었던 Asterisk 라는 iPBX software를 쓰면 되었고 나도 그 중에 한 사람이었다. 새로 생긴 Google Voice전화번호를 걸면 집에 있는 iPBX로 자동 forward가 되고 voice mail이나 fax로 연결까지 된다. 하지만.. 이제는 그런 happy days는 다 지나간 것이다.
이 우울한 소식을 듣고 나는 몇 달 전에 이미 다시 desktop PC mode로 전환을 시작해서 이제는 ‘완전히’ 준비가 되었다. 최소한 나의 desk앞에 앉으면 이 ‘free service’를 계속 쓸 수 있게 되었다. 조금 나의 life-style을 바꾸면 어려울 것이 없다. 그래도 서운한 것은 Google Voice 전화번호 (DID)를 걸면 이제는 우리 집에 있는 iPBX에서 받지를 못하는 것인데.. 할 수가 없지 않은가?
끈적거리는 올해의 여름이 끝나가던 무렵부터 나는 ‘본의 아니게’ 갑자기 시간이 황금같이 느껴지게 바빠짐을 느낀다. 우리의 일상적인 routine을 제외한 예외적인 ‘일’들이 하나 둘씩 더해지더니 급기야 과장해서 수없이 많은 일들이 나를 기다리게 된 것이다. 내가 ‘좋아서’ 만든 일들은 결코 아니다. 급하거나 꼭 처리해야 하는 일들이 그렇게 한꺼번에 생기게 된 것이다. 하지만 나는 큰 불평은 없다. 이것이 내가 사실은 가장 ‘효과적’으로 일을 처리할 수 있는 여건이기 때문이다. 한가지 보다, 두 가지, 두 가지보다 세 가지… 등등으로 나는 많을 일을 한꺼번에 하는 것이 훨씬 ‘즐겁고 능률적’으로 느껴지고 실제로 결과도 나쁘지 않은 것이다. 특히 일의 성질이 ‘비슷한 것’이면 그 효과는 기하급수적으로 상승된다. 한마디로 adrenaline이 샘 솟듯 솟구치는 것을 느끼는 것이다.
현재 나는
일생 일대 ‘가장 중요한 서류’를 찾는 일,
나의 서재가 될 아래층 거실의 flooring을 교체하는 일,
front door의 ‘무너지는 듯 한’ structure를 고치는 일,
backyard vegetable garden의 완전 ‘자동화’ , drip watering irrigation works,
garage major cleanup..
이 외에도 몇 가지가 더 나의 시간을 기다리고 있는데.. 나는 이것을 ‘동시’에 하는 것이다. 연숙은 이런 나를 의아스러운 눈으로 보는 듯하다. 자기는 한가지를 ‘완전히’ 끝내야 다음 일에 착수한다고 하니까. 내가 이런 extreme multitasking을 하는 것은 아주 정연한 내 나름대로의 ‘이론’이 있다. 과학적인 것은 물론 아니지만 나에게는 과학적인 것이다. 나는 분명히 믿는다. 이런 방식이 전체적인 시간을 ‘훨씬’ 줄여 준다는 사실을.
¶ 친전 親傳 김수환 추기경의 친전… 친전이란 말은 ‘아마도’ 한자로 親傳을 말 할 것이다. ‘친히 전한다’는 말이니까, 이 친전의 글을 읽으면 김 추기경이 바로 나의 옆에서 말하는 것이라는 뜻이 아닐까? 이것은 얼마 전 연세대 이원선(도밍고) 동문의 부인 이 베로니카 자매가 연숙에게 빌려 준 것을 내가 다시 빌려서 읽어 보게 된 책의 제목이다. 돌아가신 김수환 추기경에 대한 것이라 문득 내가 알고 있는 추기경님은 어떤 분일까 생각을 해 보았다. 별로 자세히 아는 것이 없었다. 그저 기억에 나는 것으로는 내가 대학을 다닐 시절에 대한민국에 첫 추기경이 나왔고 그분의 이름은 김수환 신부였다 정도다. 그 당시 추기경이란 것이 무엇인지 나는 알 길이 없었고 사실은 관심도 없었다. 나와 천주교는 너무나 관계가 없었기 때문이었을까.. 천주교는 고사하고 종교, 신앙에 전혀 눈이 뜨이지 않았을 때 김수환 추기경님이 뉴스에 나온 것이다.
그 이후 미국에 살며 더욱 더 잊고 살다가 ‘간신히’ 내가 천주교에 입교하게 되면서 추기경의 뜻도 가깝게 느껴지게 되고 김수환 이란 이름도 친숙하게 나에게 다가왔다. 그것이 전부랄까.. 그저 반정부 데모 때에 데모 학생, 군중을 지지하는 ‘민중의 편’에 섰던 천주교를 초월한 민중의 지도자라는 것도 뉴스를 통해 간간히 듣게 되었다. 그러다가 몇 년 전에 ‘선종’을 하셨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그분의 죽음은 ‘전 국민의 슬픔’이었다는 것도 알았다. 비교적 객관적인 ‘김수환 론’은 한글 Wikipedia에 잘 나와있는데, 조금 읽기 거북한 ‘반 김수환 평’이 균형을 맞추려 실렸는데.. 참 비신자도 아니고.. 신앙인을 이끄는 사목자라고 하는 이름도 비꼬인듯한 ‘함세웅‘이란 인간은 어떤 사람인가 하는 답답함을 떨칠 수가 없었다. 시대적 사상이 인간 기본적인 가치를 넘을 수 있단 말인가? 어떻게 그런 시대착오적인 사제가 ‘원로’라고 할 수 있을까?
이렇게 나는 사실 철저한 ‘방관자’적인 입장에서 김수환 추기경을 느끼고 있었는데 이번에 ‘친전’ 책을 통해서 생생한 그분의 ‘육성’을 대하게 되었고 처음으로 그분의 인간적인 면모, 추기경 재직의 역사적 의미, 신앙적인 측면, 인간애 등을 비교적 상세하게 알게 되었다. 비록 철저하게 천주교에 근거한 신앙관, 도덕관, 정치, 세계관으로 삶을 살려고 했지만 그가 산 시대는 그를 만성 불면증으로 시달리게끔 복잡하고 어려운 것이었다. 그러한 그의 삶이 이 책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주위에서 본 그의 인간상이 적나라하게 적혀있는 것이다. copyright에 구애 없이 나는 또 reading by typing으로 나 이외에도 한 사람이라도 더 그의 삶을 보여주고자 이곳에 남겨 두었다. 시간 날 때마다 한 구절 한 단락,한 페이지씩 읽으면 매일 묵상거리로도 좋을 듯 하다.
¶ Sad Vindication
며칠 전 아주 오랜만에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의 구역 미사를 보았다.(미사를 ‘보았다’ 라고 하는 표현이 조금 이상하지만 그렇게들 쓰는 것 같고 영어에서는 미사를 ‘말한다, say mass’ 라고 하니.. 무슨 차이일까?) 우리가 속한 구역은 아틀란타 Metro 중에서 가장 역사가 깊은 (주로 Civil war에 관련된) Cobb county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마리에타 2구역’ 이다. 역사적인 전통은 그렇다지만 사실 살기에 편한 곳이라고 볼 수는 없을 정도로 다른 지역에 비해 조금은 ‘덜 진보적’인 색채가 강한 곳이다. 다른 쪽으로 말 하면 family를 키우기에는 조금 더 안전한 곳이라고 할 수 있지만, 한국계 사람들에게는 지금은 거의 ‘bedroom community’ 로 ‘전락’한 느낌도 든다.
이곳의 유일한 매력은 아직도 ‘학군’의 가치에 있는 듯하지만 우리는 1992년 이사올 당시 이 지역의 ‘학군’이 그렇게 좋은 것을 모른 채 ‘나의 새 직장의 위치’때문에 이사를 왔었다. 하지만 아틀란타 올림픽 이후 급속도로 증가한 한인들이 99% 우리가 사는 곳의 ‘반대쪽’으로 정착을 하면서 이곳의 몇 안 남았던 business를 모두 그곳으로 흡수하게끔 만들어서 지금은 ‘무언가 하려면’ 거의 30 miles drive해서 Korea town으로 가야 할 정도가 되었다. 그런 ‘불편’함은 확실히 있지만.. 그래도 이곳에 살다 보니 ‘지나치게 밀집된 minority들’ 이 없는 이곳의 장점도 적지 않다.
우리는 3년 전부터 내가 레지오 마리애에 입단 하면서 구역모임에는 거의 나가지 않게 되었다. 그 이유가 그렇게 간단한 것은 아니지만 이런 사실은 항상 우리를 우울하게 한 것은 부정할 수 없었다. 간단히 말하면 ‘안 나가는 것이 편하다’라는 사실 하나였다. 우리가 구역모임에 나가기 시작한 것이 2006년경이었고 한 동안은 그런대로 참가를 해서 몇몇 친근한 교우들도 생겼지만.. 차츰 차츰 구역모임의 성질이 변질하는 듯 하더니.. 급기야 이곳 저곳에서 이상한 말들을 들렸다. 의도는 좋을지 몰라도 지나친 socializing 에는 항상 위험한 요소가 있는 법이다. 특히 순교자 성당에 소속된 한 구역이라는 정체성(과 제한성)을 벗어나는 것은 더욱 그렇다. 솔직히 우리는 그것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런 예를 다른 구역에서 듣기도 했지만 설마 ‘조용하게만 보이는’ 우리구역에서 그런 잡음이 발생한다는 것은 상상도 못했다. 하지만 우리의 우려대로 모든 것은 최악의 상태로 치달은 듯 보였고 피할 수 없는 ‘희생자’까지 발생한 듯 했다. 얼마 전 정말 오랜만에 구역미사에 참가를 해서 그 ‘결과’를 우리 눈으로 목격을 하고 실감할 수 있었다. 항상 그곳에 있어야 할 사람들이 안 보였던 것이다. 그것이 전부다. 우리는 vindication이란 말을 새삼 느끼지 않을 수 없었던 그것도 때 늦은 sad vindication이라는 사실이.. 씁쓸하기만 하였다.
나의 눈앞에 다시 ‘다가온’ 아틀란타 ’70/80 style’ Live music restaurant 세시봉.. 거의 6개월 만에 다시 찾은, 추억의 음악과 추억의 경양식의 멋진 곳, 세시봉.. 어제의 일이었다. 자기 집안 식구 ‘전부, 아내와 딸’이 사업상 해외 여행을 떠난 renaissance guy 최형이 갑자기 전화를 걸어와서 다음 날 저녁 7시까지 세시봉으로 나오라고 해서 예의 모이던 그룹이 다시 모였다.
이번이 나에게는 세 번째인가.. 하지만 항상 머리 속에 잔잔한 흥분의 여운을 남기던 그런 곳이라 하나도 생소하지 않았다. Owner이며 performer인 Mr. 김도 예전과 같은 수수한 옷차림으로 같은 미소를 간직하며 우리 그룹을 기억하는 듯 했다. ‘사업’이 잘 되시느냐 물었더니 ‘우리들이 이렇게 너무 가끔 찾아주니 잘될 리가 있겠습니까’ 하는 농담 섞인 응답이었다. 실제로 지난 7월 8월은 ‘너무나 slow’ 했다고 한다. 하기야 그렇게 더운 때 대부분 vacation을 떠나니까 그럴 수도 있지 않을까.
이곳에 들어갈 때 입구에 조그만 종이글씨가 붙어 있었는데 잠깐 보니 ‘오늘은 나도 가수 왕‘ 이란 글이었다. 언뜻 아하.. 이곳에서도 손님이나 아마추어 들이 노래라 연주를 하는 program을 마련했나 보다.. 하는 생각이 들었다. 예전에 나도 주인에게 그런 comment를 한 기억이 있었다. 이런 곳을 아틀란타의 ‘명소’로 만들려면 고정적인 fan group을 형성하고, 그들 중에 재능이 있는 사람들에게 무대에 올라가게 하면 어떤가 하는 idea였다. 쉽게 말하면 amateur night 같은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그런 것을 하는 것이 쉽지 않다고 하는 대답을 들었다. 잘못하면 분위기 찾으러 온 손님들을 쫓는 결과도 나올 수 있다고 한다.
그날 가서 음식 menu를 보니.. 전에 비해서 음식 가지 수가 너무나 많이 늘었다. 전통적인 ‘일본식 경양식, donkatsu‘에서 출발해서 나는 알지도 못하는 것들이 많았다. 그리고 전에는 owner의 부인이 chef라고 알았는데 이번에 들으니 chef가 따로 있다고 했다. 그러니까 아주 전문적인 chef를 포함해서 추억의 음악, 연주,분위기..등등을 조금은 고급스럽고 exclusive한 전통을 만들려는 것이 아닌가 생각도 해 보았다. 이렇게 다른 곳과는 ‘아주 다른’ 분위기를 계속 유지시키면 ‘아틀란타 명소’가 될 가능성이 꽤 높을 것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Owner는 Smartphone으로 손님들이 찾아와 남기 여러 가지 ‘논평, comment’ 들이 Yelp에 나온 것을 보여주기도 했다. 대부분 음식에 대한 사진과 평들이었다.
멋 모르고 소문이나 겉 모습을 보고 찾아온 ‘젊은 세대’들의 평이 대부분인데 그들이 좋아하는 것은 대부분 contemporary favorite 예를 들면 ‘빙수‘, 오늘 처음 알게 된 New York strip steak 같은 것들이지만 우리 세대는 예외 없이 서울거리에서 60~70년대 맛을 보았던 ‘일본식 경양식’들, 예를 들면 ‘함박스테이크, 돈까쓰‘ 를 찾는다. 기억에 희미해졌지만 당시에 느꼈던 음식의 분위기를 너무나도 잘 ‘재현’해 놓았다. 특히 portage cream soup은 그 중에 제일 추억을 되 새기게 하는 것이다. 비교적 경제적인 wine과 추억의 생음악, 자유자재로 각종 악기를 연주하는 owner performer, 깨끗한 환경들.. 이곳은 확실히 두고두고 아틀란타의 명소가 될 potential이 있다.
그 동안 performer들, 특히 거의 pro에 가까운 ‘인재’들이 이곳을 찾았고 연주, 노래를 했다고 한다. 그리고 우리가 찾았던 금요일 저녁에는 ‘자칭 아마추어’ 들이 나온다고 했다. 물론 미리 audition 받고 무대에 올라갈 듯 했다. 우리가 간 날에는 retire한 남자 분이 saxophone을 들고 출연을 해서 기대보다 수준 있는 연주를 들려 주었다. 내가 보기에 이런 case가 바로 ‘좋아서 하는’ 진정한 amateur’ 정신의 발로가 아닐까 생각도 했다. 그저 좋으니까.. 사랑하니까.. 다른 이유는 없는 것이다.
크지는 않지만 격조있는 분위기의 performing stage (credit Yelp)
이런 분위기에서 우리그룹에서도 언제 한번 아마추어로 무대에 올라가 보자는 제안도 나왔다. 언뜻 윤형의 saxophone이 생각나고 그의 ‘연주 수준’이면 큰 무리가 없을 듯 해 보였다. 문제는 그 동안 얼마나 연습을 했는가 하는 것이고 작년 이맘때부터 부부가 완전히 full-time 으로 일을 하게 되어서 그 전과 같은 여유가 없어 보인 것도 있었다. 그러다가 화살이 우리에 오더니.. 순식간에 언젠가 한번 올라가라는 ‘강요’까지 나왔다. 속으로 it’s now or never라는 말도 있는데.. 못할 것도 없다는 오기를 달랬지만, 과연 그럴까? 최형의 idea는 우리 둘이 Everly Brothers의 classic oldie (All I have to do is) Dream dream 과 ‘젊은 연인들‘을 부르라는 것이었다. 하기야 이 두 곡은 눈을 감아도 언제라도 할 수는 있는 것들이다. 하지만 ‘무대에 올라?’.. 허.. 그런 ‘장난스러운 생각’과 놀아 보는 것도 너무나 즐겁고 재미있는 것이고 그곳의 분위기와 너무나 어울려서.. 역시 다른 세시봉 추억을 만들고 금요일 저녁을 보냈다.
¶ 고온 다습 高溫多濕..요사이 이 지역의 날씨를 보면 가관이다. 한 여름 중에는 가을 같이 이상하게 싸늘하더니 9월도 넘어선 늦여름은 그야말로 ‘hot and muggy, 고온 다습한’ 한 여름이 되었으니 말이다. 최근 들어서 날씨에 둔감해지려고 안간힘을 쓴 결과 많이 침착해 졌지만 요새의 기후만은 언급을 피하기가 힘이 들었다. 올해는 조금 a/c(air conditioning) 에서 $$을 절약하는가 은근히 쾌재를 불렀지만 mother nature는 역시 그런 ‘공짜’가 없나 보다.
‘고온 다습’이란 귀에 익은 말이 딱 들어 맞았지만 이 말을 쓰고 보니 그 옛날 고국의 한창 여름에 많이도 듣던 기상용어가 아닌가? 고온 다습한 태평양 고기압.. 바람이 남쪽, 그러니까 멀리 있는 태평양에서 부는 바람.. 그것이 서울에서 겪었던 한증막 같은 더위의 원인이었다. 장마도 마찬가지로 그 ‘고온 다습’ 한 것.. 그것이 지금은 Gulf of Mexico 멕시코 만灣의 고온 다습한 바람으로 바뀐 것이다. 요새의 공기는 그야말로 에어컨이 없으면 괴로운 그런 것.. 그 옛날 서울에서 어떻게 에어컨이 없이 살았던가?
¶ Crumbling infrastructure.. 이런 표현 근래에 national 뉴스에서 많이 접하곤 했다. 그런 뉴스에서는 주로 bridge같은 것이 너무나 낡아서 위험하다는 것들이었는데.. 요새 나는 우리가 사는 집이 그런 꼴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집의 겉모습은 물론 페인트가 벗겨지고 siding같은 것은 숫제 새들과 ‘기후’의 공격으로 구멍이 생기는 것도 목격이 되었다. 하지만 제일 충격적인 것은 집의 얼굴인 front door 쪽의 brick, concrete들, 그리고 front door threshold(문지방)등의 모습이 정말 목불인견이라는 사실..
집의 구조상 garage(차고)로 출입을 하니.. 앞문 쪽은 거의 사용을 안 하니 자주 볼 수도 없다. 손님들이 가끔 그곳을 쓰지만 대부분 어두울 때에 사용을 하니 자세히 볼 기회도 없다. 설상가상으로 앞 문 쪽으로 gutter물이 떨어져서 water damage를 예상은 했었다. 이번에 자세히 보게 되니.. 정말 ‘뚱뚱한 사람’이라도 그곳을 쓰게 되면 무너지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생길 정도다. 썩어버린 문지방은 wood filler를 쓰면 고칠 수 있을 듯하고 떨어져나가는 벽돌도 큰 비용은 들것 같지는 않다. 그리고 concrete slab도 조금 노력을 하면 내가 모두 고칠 수 있다는 결론이 내리고 대대적 수리의 준비에 돌입을 하였다. 오랜 만에 집 앞쪽이 대대적 face-lifting service를 기다리고 있다.
¶ 앓던 이(이빨)가 빠질 때.. 지난 4월부터 앓았던 독감 중에 지독한 치통이 나를 괴롭혔고 독감이 나은 이후에도 통증의 차이는 있었어도 계속되고 있었다. 치과를 가면 분명히 ‘고쳐줄’ 것이다. 문제는… 내가 이 세상에서 제일 피하고 싶은 곳이 바로 그 치과이기에 ‘가급적’ 나는 참는 것이 오히려 덜 고통스럽다. 하지만 이번에 느끼는 치통,구강 통증은 보통을 훨씬 넘게 나를 ‘매일’ 괴롭혔다. 분명히 이것은 ‘민간 요법’도 없을 듯 하고 ‘자가 요법’도 없을 것이었다. 내가 고작 하는 것은 ‘소금물 양치’가 전부였다. 보통 때는 그런대로 잊고 지낼 수가 있었지만 식사시간이 문제였다.
무언가 닿은 듯 하면 통증이 온다. 나의 나이에 내 치아의 상태는 보통 정도.. 일 듯한데.. 그것이 아닌 모양이다. 대학 2학년 때 ‘병신 같은 사고’로 앞니에 ‘큰 문제’가 생긴 이후 나는 사실 항상 ‘치과’에 가게 되는 사태를 피하려 전전긍긍하며 살았던가.. 마지막으로 치과에 갔던 것이 거의 8년 전.. 이후 나는 그곳을 피하며 산다. 이번의 통증은 물론 윗니 중의 하나 (사랑니 근처)가 빠지려고 발버둥치는 결과였는데.. 보통 사람 같았으면 그날로 치과에 가서 그것을 뽑았을 것이다. 그러다가 며칠 전 ‘저절로’ 그것이 얌전하게 빠졌다. 거의 순식간에 그 지독한 통증이 100% 사라졌다. 비록 이빨 하나를 잃었지만.. 지금 현재로서는 그것이 문제가 아니다. 날라 갈듯한 기분.. 이래서 ‘앓던 이가 빠진 기분’이라는 표현을 너무나도 절감, 실감, 만끽하게 되었다. 물론 앞으로 나는 치과의사를 보아야 할 것이지만.. 그것은 ‘우선’ 지금엔 문제가 전혀 되지를 않는다.
¶ Show Stopper..며칠 전에 처음으로 성령대회란 것을 가 보았다. 오랜 전, 1988년과 1989년에 우리는 인디애나 주에 있는 노틀담 대학, University of Notre Dame (South Bend, Indiana) 에서 열렸던 미국 성령쇄신대회 (Charismatic Renewal Convention)에 참석을 한 경험이 있긴 하지만 이번 것은 순전히 한인들이 주관하는 미국 동남부지역의 것, ‘제5차 미 동남부 성령대회‘였다.
성령에 관한 경험과 기억이 그렇게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었지만 올해는 그 옛날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에서 알게 된 최 데레사 양이 음악 지도자로 와서 정말 오랜만에 재회를 하게 되어서 한번 가 보자.. 하는 다분히 즉흥적은 결정을 하게 되었다. 매년 Labor Day에 맞추어서 열리는 비교적 큰 대회라 많이 알려지고 듣곤 해서 사실은 기대보다 생소하지는 않았다. 최 데레사의 12 string guitar 연주도 멋졌고 음악, 율동 팀들, 조직적으로 일사분란 하게 움직이던 red shirts의 봉사자들.. 모두 좋았다. 심지어 부산 교구에서 초빙된 주관 신부님의 ‘통성기도, 심령기도’ 소개,실습까지도 나는 거의 거부감을 느끼지 못해서.. 이제 나도 많이 ‘마음과 가슴’이 열렸구나 하고 만족한 심정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호사다마好事多魔’라고 했던가.. 복병이 나의 다리를 잡았는데.. 결과적으로 한마디로 최소한 나에게는 show stopper, disaster가 되고 말았다. 결과적으로 2일 간의 행사였지만 우리 부부는 이틀 째날 행사는 모조리 포기하고 말았다. 이유는? 나의 한 구석에 도사리고 있던 작은 Satan이었을까? 이유는 우습게도 첫날 두 번째로 ‘등단’했던 신부의 ‘지겨운 performance’ 에 있었다. 한마디로 나는 이 ‘사람’이 어떻게 ‘신부’가 되었을까 할 정도로 혼란한 시간과 싸우게 된 것이다. How did he ever become a priest? 저 사람이 신부인가?
절대로 용납될 수 없는 ‘음담패설’과 해외교민만이 겪는 아픈 곳들만을 철저하게, ‘밥맛 없고 저질적으로’ 찌르던 그의 강론은 다시 생각하기도 싫다. 뒤늦게 나온 지독히도 짧은, 본론이라고 나온 것은 전혀 무게가 없고 깊이가 없던.. I’m Joseph..you’re.. 어쩌구 하는 전혀 새로울 것 하나도 없던 넋두리들.. 옆자리에 앉아있던 자매님들만 없었으면 자리를 박차고 자리를 떠날 생각도 있었지만.. 참고 참고 또 참았다. 그의 얼굴에서 풍기는 인상.. 김영훈 스테파노 신부님과 같은 맑은 영혼의 느낌이 ‘하나도’ 느껴지지 않았다. 올해의 성령대회는, 결과적으로 거의 완전히 실패한 나의 ‘첫 성령대회 체험’이 되었다.
얼마 전에 정말로 우연히 1969년 (국산)영화 ‘팔도八道 사나이‘란 것을 YouTube에서 download해서 보았다. 그 당시 1960년대 말, 유행하던 영화, 가요 등에 ‘팔도’란 단어가 붙은 것이 많았다. 팔도란 대한민국 행정구역의 8도를 말하고, 그저 ‘우리나라 전역’을 뜻했을 것이다. 그것의 선두주자가 ‘팔도강산‘이란 영화, 그리고 같은 이름의 주제가였다. 한창 서구, 특히 미국의 유행음악, pop song, pop culture에 심취해 있던 대학생 시절 ‘촌스럽게만’ 느껴지던 그런 영화를 보았을 리가 없었지만 세간에서 많이 유행하던 것들이고 그 주제가를 당시 최고가수 최희준씨가 ‘덩실거리며’ 불러서 기억에는 또렷이 남았다. 다른 쪽으로는 유행어 ‘팔도의 원조’ 팔도강산은 사실 당시 박정희 정부의 경제개발, 해외수출정책, 외화, 국민소득증대정책 등과 묘하게 엮이기도 했다.
그런 ‘팔도’란 말이 거의 유행어처럼 다른 영화에도 붙어서 1 나오고 했는데 이 ‘팔도 사나이’도 그 중에 하나였을 것이라 짐작이 갔다. 하지만 정작 이 영화를 보니.. 나의 빠른 예측은 완전히 빗나갔다. 팔도 사나이의 팔도는 팔도강산의 팔도와 배경과 의미가 100% 달랐기 때문이다. 당시 액션영화에서 잘나가던 장동휘씨와 새로 나온 신선한 모습의 윤정희, 그리고 조금은 중견배우의 무게가 실려있는 태현실이 등장하며, ‘싸움질 하는 영화의 고정 급’들이 모조리 출연한 일제시대를 배경으로 한 ‘의협심,애국심 있는 깡패들 이야기’영화라고나 할까..
1969년 영화지만 영화 줄거리의 배경은 일제시대(허.. 요새는 점잖게 ‘일제 강점기’라고 하던가..), 고아출신의 싸움 잘하는 소년이 서울 중심가 거리에서 일본 야쿠자, 고등계 형사들과 맞서서 싸운다는 이야기.. 그러고 보니 어디서 많이 듣던 익숙한 이야기가 아닌가? 그렇다… 이것은 거의 분명히 항일투사 김좌진의 아들, 반공깡패 김두한의 이야기를 각색한 것이다. 활동무대 중에는 내가 국민학교 시절 많이 갔던, 극장 우미관도 나온다. 그러고 보니, 1980년대의 영화 <장군의 아들2> 도 김두한의 이야기였다. 그러니 아마도 이 <팔도 사나이>는 전설적 ‘정치, 반공깡패’ 김두한 영화의 원조가 될지도 모른다.
영화자체는 1960년대 말, 대한민국 영화의 수준을 보여주는 정도라고 생각 되었다. 장동휘의 연기도 평균수준.. 조금은 김빠지는 인상도 받았고, 윤정희의 연기도 별로 크게 뛰어나지 않았다. TV 쪽으로 많이 얼굴이 보이던 오지명, 그는 원래부터 액션물에 맞아서 그런지 의협심 있는 깡패 역에 잘 어울렸다. 하지만 일본 깡패들로 등장한 황해, 허장강.. 너무나 맡았던 역과 어울리지 않아 보였다. 그들의 익숙한 역과 맞지 않아서였을까? 오히려 100% 악역 전문인 ‘장혁’은 오히려 일본 헌병 역에 잘도 어울렸다.
하지만 이영화가 나를 정말로 놀라게 했던 이유는 내 추억의 황금기였던 서기 1969년의 영화라는 사실 보다 이 영화 첫 장면이 찍힌 location에 있었다. 처음 이 영화를 보는 순간, 거의 순간적으로 나는 이 첫 장면이 찍힌 곳을 알게 되었다. 마치 10여 년 전에 TV 드라마 <겨울연가>를 보았을 때, 나의 모교 중앙고교의 웅장한 campus를 순간적으로 알아 보았던 것처럼 이것도 마찬가지다. 그 장면이 찍힌 곳은 나의 어린 시절의 꿈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원서동 이었다. 내가 8살 때부터 10살 때까지 살았던 곳이 이 장면에 그대로 있었다. 하지만 나의 가슴을 울렸던 것은 그 오래된 추억만이 아니었다. 그곳 그곳에 나의 집이 없었던 사실이 나를 울리게 한 것이다.
그 한길에서 장동휘가 싸우던 그 ‘넓은’ 길 그 자리에 바로 우리 집이 있었다. 바른쪽 비원 담 옆에 도열한 집들을 따라 원서동 개천이 흐르고 그 개천과 왼쪽에 있는 집들 사이에 우리 집이 있었다. 이 우리 집은 내가 국민학교(재동) 2학년 이후부터 4학년 1학기까지 살았던 우리가족 3식구가 살았던 유일한 단독 주택이었다. 나의 추측에 아주 헐값으로 그 단독주택을 사셨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그 집에는 사연이 있었는데, 그 집은 흔한 말로 ‘도시계획’3에 의해서 나중에 ‘철거’가 되어야 하는 운명에 있었던 것이다. 어머님이 어떤 재주로 그 집을 사셨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셋집이 아닌 우리 집이라는 사실 하나로 오래오래 기억에 남는다. 그 이후로는 세운상가 아파트를 사기 전까지 우리는 전세로 남의 집에 살았다. 이 집에서의 추억은 참으로 거의 사진처럼 선명하다. 개천 옆이라 밖에 나가면 모두 여름 겨울 모두 우리의 놀이터가 기다리고 있었고, 이곳에서 원서동의 죽마고우들이 나에게 많이 생기기도 했다. 승철이네 집, 명성이, 동만이, 창희, 용현이.. 꿈에도 잊지 못할 죽마고우들을 다 이곳에 살 때 만난 것이다.
바른 쪽 전주(그 당시에는 전보산대라고 불렀다) 에 거의 붙어 있는 집이 나의 잊지 못할 죽마고우 박창희, 손용현이 살던 집이었다(창희야, 용현아, 너희가 살던 집이 영화에 나왔다!). 그러니까..그들의 집은 1969년 당시까지 ‘건재’했던 것이다. 또 그 옆쪽으로 초가집도 보인다. 내가 살 당시만 해도 원서동에는 초가집이 참 많았고 1969년까지 그렇게 남아있었던 것이다. 사실 나는 이렇게 ‘복개공사’가 된 원서동을 1967년 경에 마지막으로 보았고 그 뒤에는 꿈에서나 보게 된다. 나의 집이 없어졌다는 사실은 그러니까 나는 이미 알고 있지만, 꿈 속에는 그대로 남아있다. 왼쪽에 무슨 ‘공장’처럼 생긴 건축물이 바로 우리가 어렸을 때 ‘사이다 공장’으로 불리던 곳인데.. 정말 1969년까지 하나도 변하지 않았던 것이다. 내가 어렸을 때 바로 집 옆에 있던 그곳 공터에서 많이 놀았다. 특히 그곳에 있던 ‘열린 계단’은 내가 ‘낙하산 실험’을 하며 놀던 곳이다. 높은 곳에 오를 길이 없어서 낙하산을 만들어 던질 곳이 없었던 차에 그 열린 계단은 안성맞춤이었다. 그때가 아마 1955~1956년경 이었을까.. 참 오래 전의 모습들이다. 지금 이곳도 ‘상전벽해’가 되었을까? 하지만 걱정은 없다. 나의 머리 속에 아직도 선명하게 남아있기 때문이다. 지금도 의문이 남는다. 그 당시 우리들은 ‘공장’을 사이다 공장이라고 불렀는데.. 과연 그곳은 사이다를 제조하던 곳이었을까? 원서동의 역사를 잘 아시는 분들, 향토역사가들 고수들은 아마도 아실지도 모를 일이다.
행인들이 지나가는 사진 정 가운데의 집이 ‘창희와 용현이’가 살던 집이었다.
이 모습은 우리집 자리에서 보이는 사이다 공장의 입구의 모습이기도 했다.
바른쪽 장동휘씨가 서있는 그 자리에 바로 우리집이 있었고 그 옆으로 원서동 개천이 있었다.
지나가는 달들, 나날들에서 가끔 분명히 느끼는 것.. 이것이 혹시 그렇게 흔한 단어인.. ‘평화’인가? 너무나 조심스럽지만 아마도 그럴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이럴 때 나는 곧바로 이런 말을 붙인다. 내일 아침까지 만불 빚쟁이들이 들이 닥쳐도 같은 심정일까.. 바로 이것이 신앙적인 평화의 뜻이 아닐까? 이것 저것 나를 잡는 괴로움이 산재하고 남아있고 계속 생겨도 그래도 평화로운 시간의 흐름을 느낀다면 이상한 것인가? 아하! 바로 이것이 미사 때 마다 귀 딱지 앉도록 듣는 peace be with you.. 가 아닐까? 이제야 나는 이것을 알아 차리고 있는 것일까? 이것도 나의 ‘신앙, 믿음’의 진화의 과정인가? 어떨 때는 이것도 ‘무서울 정도로 느껴지는 잔잔한 평화’ 로 받아 들여진다. 하지만 현재 연숙과 나는 그런 ‘놀라운 평화’를 느끼며 한 여름을 보내고 있다.
4년이 다가오는 레지오.. 현재 나는 이곳이 거의 피난처 구실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것 밖에 없다는 생각으로 살아오지나 않았을까? 할 것이 없으니까.. 아니면? 아니다.. 이런 기회가 나의 세계관을 얼마나 많이 바꾸어 놓았는지 잊었는가? 나는 분명히 변했고, 변하고 있고 계속 변하고 싶다. 과거의 ‘고립된’ 세계관에서 벗어나야 나는 산다. 진리를 향해서 나는 계속 나아가야 한다.. 하지만 어떻게? 뒤를 돌아보지 않고 그저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최선일까? 요새 들어서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나는 뒤를 돌아보면 거의 99% 현재와 미래를 망침을 알기에 그런 것이지만 이제는 4년의 ‘실적과 전적’을 조금은 분석하고 비평하는 것은 어떨까? 요새 레지오 간부 선출 문제로 신경이 쓰여서 더욱 그런 생각이 들기도 했고, 조금은 ‘레지오 fatigue‘란 것을 느끼게 되어서 그런지도 모른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나에게 남은 인생에서 ‘레지오’를 빼놓음은 아직 ‘상상’을 못한다는 사실이다. 나는 성모님께 깊이 의탁하고 있고 그렇게 살고 싶다. 개인적으로도 나는 성모님과의 관계를 느끼고 싶고, 아니 관계를 쌓아간다고 조심스러운 희망도 하고 있으니까.. 어떨까? 죽기 전에 나는 과연 ‘레지오 마리애’와 나의 관계를 어떻게 회상하게 될 것인가?
작년 정도는 아직 아니지만 그런대로 ‘보통 여름’같은 올해.. 참 이것이 자연의 조화일까.. 모든 것이 ‘평균치’를 유지하는 자연계.. 얼마나 이것이 ‘기적’처럼 느껴지는지.. 모든 것들이 extreme으로 치닫고 유행이 되어가는 요즈음 ‘평균’이란 말만 들어도 신선한 것이다. 이제 푸근하게만 느껴지는 여름에도 적응이 되어가고, 그렇게 손에 안 잡히던 ‘일손’에 조금 힘이 생겼다. 몇 년간 방치되었던 집안의 크고 작은 ‘고치는 일’들이 이제는 자신이 생겨가고, 최근 다시 힘이 생긴 YMCA에서의 bench press로 어깨와 허리에 힘도 느끼고.. 이때가 그야말로 chance가 아닌가.. 올 여름에는 무언가 우리집도 변한 모습을 모여 주어야 할 때가 아닐까? 벼랑 끝에서 창으로 무장한 monster들이 나를 기다려도 나는 평화를 ‘죽기 전까지’ 느끼고 살고 싶다. 아니 그렇게 될 것이다. 성모님이 바로 나의 어깨를 잡아주고 계시지 않은가? 그렇지요.. 어머니?
오늘 나는 작은 ‘금자탑’을 쌓고, 하루 종일 그것을 즐거워하며 자축을 하였다. 작은 금자탑이란 85 파운드 barbell 을 bench press로 30번 들어올리기(30 reps)를 했다는 것인데.. 글쎄.. 이것도 그렇게 자축을 할만한 일일까? 나도 우습지만 사실은 나에게는 심각한 milestone 이 되기에 그렇게 우습지만 도 않은 것이다. 하지만 조금 “미안한” 것은 이것이 비록 bench (chest) press이긴 하지만 ‘free weight’ bench press가 아니고 smith press machine 이라는 사실이다. 흔히들 ‘pure’ bodybuilder들은 free weight가 아닌 것은 ‘사이비’라고 일축해 버린다. 그런 말은 부분적으로 나도 동감 하지만 그들은 주장은 과학적인 근거가 거의 없다고 한다. 과학적 연구의 결과는 대부분 smith machine의 효과는 free weight의 95% 에 달해서 사실은 smith machine의 장점을 고려하면 운동하는 환경에 따라서 훨씬 낫다는 생각이다. smith machine은 그 design상, 운동시에 거의 사고로 다칠 염려가 없기에 현재 나와 같은 경우에는 거의 필수적인 것 같다. free weight bench press는 아주 무거운 것을 들 때에는 spotter가 옆에서 지켜 주어야 안전한데 smith press는 그것이 필요가 없기에 나에게는 거의 구세주처럼 느껴진다.
현재 나는 집 근처에 있는 YMCA에 가서 weight lifting을 하고 있는데 이 운동이 나에게는 가장 남자다운 운동같이 느껴지기에 다른 것은 할 생각도 하지 않았다. 골프, 테니스.. 등등 나이가 들면 거의 고정적으로 하는 운동들이 있지만 나에게 그런 것들은 거의 ‘놀이’ 처럼 보이는 것이다. 물론 나의 생각이 100% 옳은 것이 아닐지라도 나는 그런 ‘놀이’를 배울 생각이 전혀 없는 것이다. 그저 ‘무거운 것을 들어 올릴 때의 희열’과 그 후에 느껴지는 ‘철철 넘치는 adrenalin’ 은 해 보지 않은 사람은 상상도 못할 것이다.
나는 오래 전 학교 다닐 시절에 이런 운동에 관심도 없었고 사실 ‘갈비씨 신세’에서 그런 것은 꿈도 꾸지 못하고 살았다. 그러다가 대학 졸업 후, 미국에 오기 바로 전에 친구 이경증과 같이 서울 운동장 체육관에서 운동을 시작을 하면서 weight training의 묘미를 알게 되었다. 그래서 당시 유행하기 시작한 health club에 가입을 하고 몇 개월 각가지 weight machine 으로 training을 받았는데 당시에는 몰랐는데 나중에 나의 몸을 보니 예전과는 아주 다른 ‘근육’이 붙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 이후에는 사실 다시 이런 것을 할 시간적이 여유가 없이 ‘인생열차’에 실려 세월을 보내다가 10여 년 전 온 가족이 ‘가끔’ 다니던 YMCA에서 다시 weight lifting과 ‘재회’를 하였고 조금씩 시작을 했는데 수십 년 전에 해본 그 경험이 무엇인지 거의 큰 무리가 없이 그 무거운 것들을 올릴 수 있는 것을 알고 너무나 신기했다. 특히 ‘고령’화 되는 나이를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대부분 친지들은 나이를 의식해서 이런 것은 꿈도 못 꾼다고 해서 나는 그들을 설득, 해명 시키느라 진땀을 뺀다. 물론 그들은 예전에 이런 것들과 접할 기회가 없었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내가 믿기에 그들도 지금부터 시작을 해도 큰 무리가 없음을 안다. 급속히 노화되는 근육을 살리는 길은 이것밖에 없다. 암만 달리고, 뛰고, 수영하고, 골프를 치고 해도 이런 근육을 살리는 것에는 시간이 너무나 걸리는 것이다.
근육운동의 효과는 ‘건장한 모습’을 보이는 것 이외에도 집안 일을 할 때에도 아주 유효하게 쓰인다. 예를 들면 집을 고친다거나 할 때 무거운 것을 들어야 하는 일이 많은데.. 이런 근육이 얼마나 많은 도움이 될 것인가? 나는 이런 것을 대비해서 더욱 더 이런 운동을 하기도 한다. 특히 나이가 들면 점점 남에게 의존해야 하는 ‘슬픈’ 지경에 이를 터인데 그런 시기를 조금이라도 늦추게 하는 것은 자기 몸에 ‘근육’을 살려 놓아야 하는 것이 아닐까? 이것이 60 중반을 지나간 내가 느끼는 ‘근육의 중요 함’의 이유가 될 것이다.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은 지난 반(半)세기에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이룬 세계 유일의 나라라고들 해외에선 이구동성(異口同聲)으로 칭송한다. 그런데 민주화에 대해서는 대한민국과 태극기와 애국가를 거부하는 것도 모자라 광화문 한복판에서 ‘김일성 만세’를 부를 수 있어야만 참다운 민주화라 외치는 반국가무리들의 회괴한 주장으로 인해 민주화의 의미가 엄청 변질·왜곡되었다고 보는 이가 국내에 다수인 반면 산업화 성공에 대해서는 국내외 그 어느 누구든 이의(異意)를 달지 않는다.
필자는 산업화 성공과 관련하여 참으로 운(運)좋게도 지난 40여년 이상 산업체와 정부의 재정지원에 힘입어 아주 값진 연구기회와 산업연구경험을 공유할 수 있었는데 이를 잠시 더듬어 보고자 한다.
1969년 공군중위 제대를 두 달 앞둔 5월 어느 날 우연찮게 합류하게 된 KIST에서 전문성도 없으면서 당장 POSCO 건설타당성연구의 실무책임을 맡아 수행해야했던 연구경험이 바탕이 되어 필자는 철강에 뒤이어 1981년까지 10여 년간 KIST,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KNFC(한국핵연료개발공단), KAERI(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정부가 주도했던 정보통신, 자동차, 전자, 에너지, 교통, 핵연료 등 중화학관련투자 사업에 대한 타당성연구(feasibility study)를 주도적으로 심도 있게 수행할 수 있었다. 그리고 1980년대 초반 교직으로 옮긴 후 필자의 손을 거쳤던 투자 사업들이 성공적으로 순항(順航)하고 있음에 대해 뿌듯하게 느끼며 그 성공원리를 이론적으로 구명(究明)하고픈 강렬한 연구욕구를 가지게 되었다.
1980년대 중반 KTA(현 KT의 전신) 장기발전전략연구 책임자로서 ATTACK 전략을 제시했던 필자의 연구경험에 비추어 후속으로 이어진 Harvard Business School의 Michael Porter 교수팀 Monitor Consulting사가 보여준 KTA 전략 연구결과에 대한 실망은 필자로 하여금 감히 Dynamic Management라는 새로운 경영패러다임을 독자적으로 계발하고픈 열망을 강력하게 촉발시켜준 계기가 되었다. 여기서 ATTACK이란 198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미·소 양극체제 붕괴가 전자통신에 줄 충격과 이에 대해 KTA가 어떻게 적응할 것이냐의 관점에서 제시한 전략으로 이는 ‘Advanced Total Telecom AdvantageCreating KTA: 첨단의 유·무선통신을 통해 우위를 창출하는 KTA가 되라’는 뜻의 이니셜로 표현되는 전략슬로건인데 포터 교수팀의 연구결과를 아무리 뜯어봐도 이런 측면이 전혀 담겨져 있지 않았음에 필자는 대단한 실망감을 느꼈으며 나아가 독자적으로 연구하고픈 강한 의욕을 갖게 되었다.
1990년대 초반 한국주택은행(현 국민은행과 합병이전의 국책은행) 장기발전전략 연구프로젝트 책임자로서 그리고 뒤이은 3여년 이상 주택은행 사외이사로 활동하며 실물경제와 금융경제와의 바람직한 관계에 대하여, 그리고 다소나마 눈뜨게 된 세계금융의 주도세력과 그들의 행보, 특히 1984년 신자유주의의 기치아래 추진된 레이건 정부의 규제완화(deregulation)가 금융업에 어떻게 작용할 것인가에 대하여 필자는 궁금증이 컸었다. 왜냐하면 규제완화 이후 재무 분야에서 위험관리(risk management)라는 미명하에 금융공학(financial engineering)이라는 신(新)용어를 들고 위험을 사고파는 희한한 돈놀이꾼들이 등장하여 금융파생상품(이는 그 자체가 본질적으로 제로섬zero-sum이므로 이 시장을 유지하는 비용만큼 사회에 부담을 주는 네거티브 섬 negative sum의 해악상품 임)을 통해 미국경제를 좌지우지하며 월가(Wall Street)를 주도하는 움직임이 심상치 않게 느껴졌기 때문이었다.
한편 1997년 IMF 금융위기로 대기업(재벌) 반(半)정도가 파산한 충격과 그 후 살아남은 기업들이 2008 미국발 경제위기에서 오히려 선방하며 한국경제를 업그레이드 시켜 온 산업화 성공경험은 필자로 하여금 한국 재벌구조(Chaebol Structure)의 진화논리와 기업의 지속번영원리를 보다 일반적으로 이해·설명할 수 있는 이론으로 정립하고픈 강한 열망을 더해 주었다.
그런데 이러한 연구열망이 생길 때마다 참으로 공교롭고 다행스럽게도 필자에게 기업과 정부의 연구비 지원이 뒷받침 되어주어 필자는 산업·기업·사업연구에 대하여 폭넓고 심도 있는 연구를 그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으며 이런 연구경험을 토대로 세계 석학들과 학문적 교류를 가지며, 다이나믹 매니지먼트(Dynamic Management)라는 새로운 경영패러다임을 구축해 올 수 있었는데, 이에 대해 필자는 늘 감사하며 대한민국과 우리 기업들에 대해 남다른 애정을 지니고 있다.
물론 때론 기업인들 중에서 장사꾼 행태의 일탈을 저지르는 경우를 접할 땐 그래서 더 큰 분노를 느끼기도 하지만 누가 뭐래도 대한민국 국력의 원천과 양질의 일자리 진원지는 기업이다. 그런 우리의 기업들이 지난 40여 년간 발전해 온 경험을 토대로 다이나믹 매니지먼트를 구축할 수 있었으니 이 어찌 감사하지 않으랴?
다이나믹 매니지먼트는 한마디로 니즈진화에 적응하는 혁신경영이며 이는 니즈맞춤혁신(needs-focused innovation)으로 대변될 정도로 고객니즈 밀착혁신을 강조한다.
고객맞춤혁신은 니즈진화가 거의 없는 경우에서건 니즈진화가 빈발(頻發)하는 상황에서건 기업은 언제나 구매력을 지닌 고객 중에서 자신의 니즈충족을 위해 구매/지불의향(willingness to purchase/pay: WTP)을 갖고 있는 바로 그 니즈(이를 현시니즈 explicit needs라 함)를 충족시켜줄 제품·서비스를 혁신을 통해 개발·제공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상식(常識)에 기초한다.
그래서 고객이 지불의향을 지니는 경우를 구명(究明)하는 데서부터 출발하여 거래조건과 최대의 지불의향수준(이를 이상적인 모범답안이라는 의미로 Norm이라고 부름)이 어느 정도일가를 탐색(seek norm)하고 기업에서 혁신을 통해 이를 달성하면(get to norm) 언제나 그 기업은 성공한다는 혁신논리를 다이나믹 매니지먼트는 제공해 준다.
‘Seek Norm & Get-to-Norm: 모범답안을 찾고 답안을 써라’는 혁신논리는 기업의 모든 활동은 모름지기 고객으로 하여금 우선 자사의 제품·서비스에 대해 지불의향을 갖게 하는데 집중되어야 한다는 말이다. 다시 말해 이는 여타의 기업 활동들이 제 아무리 호소력 있고 사회적 명분과 사회적 공헌이 크다손 치더라도 자사의 제품·서비스를 고객이 사주지 않는다면 기업은 곧 끝장이라는 상식에 기초한 말이다.
그런데 이렇게 지극히 당연한 명제가 경영학분야에서 그간 왜 크게 강조되지 않아왔던 걸까? 아무래도 그 연유는 경영학의 태동배경이었던 대량생산체제 탓이 아닌가 싶다.
개관컨대 20세기 초반 대량수요가 형성되어 있었던 미국의 산업현장에서 태동한 (정태)경영학의 주관심사는 대량생산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운영하는데 있었다. 대량생산시스템에서 각 요소들이 제 기능을 잘 수행해 주기만 하면 전체가 잘 돌아가는 상황(이를 요소환원주의: reductionism라고 함)에서 투입과 산출 비율(input-output ratio) 곧 능률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핵심 관심사였다.
1970년대 후반까지 여러 우여곡절을 거치며 철강산업, 자동차산업, 전기통신산업현장에서 대량생산체제가 유지되어 온 관계로 그때까지 경영학에서의 주된 이론/모델/방법/기법은 요소환원주의에 입각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키는데 집중되어 왔다. 그런데 1980년을 전후하여 디지털혁명이 일어나고, 1979년 2차 오일쇼크로 초(超)경쟁상황이 심화되던 산업현장에서는 능률/생산성을 높이는 노력을 계속하되 생존하려면 우선 경쟁자보다 우위를 점해야한다는 목소리가 호소력을 지니면서 경쟁우위 달성을 강조하는 전략경영이 등장하게 되었다.
물론 기존의 경영학에서 전략경영으로 진화했다고 해서 그간 강조되어 온 능률향상을 등한히 해도 좋다는 의미가 아니라 능률향상만으로는 경쟁상황에서 생존이 불투명하므로 우선 경쟁자보다 상대적으로 경쟁우위를 점해야한다는 주장이 강조되게 되었다는 얘기다.
그러다 2000년대를 전후하여 인터넷시대가 글로벌 차원에서 보편화되고 스마트 혁명이 전개되면서, 더욱이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을 거쳐 만물인터넷(Internet of Everything)으로 진행되어가면서 기업 및 산업시스템은 선형세계에서 비선형세계로 패러다임이동(paradigm shift)이 급전하고, 힘이 기업에서 고객으로 옮아가는 권력이동(power shift)이 심화되면서 새로운 경영패러다임이 요구되게 되었다.
그간 대량생산체제에서 산업·기업·사업시스템의 각 요소마다마다 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해 주면 족했던 선형세계에서와는 달리 인터넷/스마트혁명은 산업·기업·사업을 각각 하나의 전체로서(as a whole) 인식(이를 전일주의: holism라고 함)하고 요소와 요소간의 관계를 중시하는 비선형세계에 부합하는 새로운 경영패러다임의 등장을 불가피하게 하고 있으며 또한 고객이 힘을 쥐는 상황이 전개되자 고객이 구매력을 지니더라도 구매의향을 갖는 경우와 구매의향이 갖지 않는 경우를 구분해서 다룰 새로운 경영패러다임이 요구되게 되었는데 이를 동시에 충족시키고자 등장한 것이 바로 다이나믹 매니지먼트다. 이런 의미에서 다이나믹 매니지먼트는 인터넷/스마트혁명시대에 부합하는 경영패러다임이다.
그런데 선형세계란 비선형세계에서의 특수한 한 경우이며, 또한 고객이 힘을 쥔 상황일지라도 고객이 그 힘을 행사하지 않는 경우라면 이는 바로 기업이 힘을 쥐고 있는 경우와 같으므로 다이나믹 매니지먼트는 이익을 추구하는데 있어서 선형세계에서건 비선형세계에서건 또 기업이 힘을 쥐고 있는 상황에서건 고객이 힘을 쥐고 있는 경우에서건 항상 통하는 이익추구 일반이론(The general theory of profit-seeking)의 성격을 띠고 있으며 이는 혁신의 성공논리로서 그리고 기업의 지속번영원리로서 기업 및 산업현장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
기업레벨에서 이익추구 일반이론을 기초로 다이나믹 매니지먼트가 구축된 것은 마치 경제레벨에서 케인즈(Keynes)의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을 기초로 거시경제(macro economics)가 자리자게 된 경우와 비견(比肩)될 수 있지 않을까? 필자는 자족하며 감히 그리 생각해 보기도 한다.
현재 다이나믹 매니지먼트는 중국 북경대 MBA 정규 이수과목으로 가르쳐지고 있으며 이를 계기로 중국 전역으로 확산 중에 있고, 한편 한국 재벌구조의 진화논리가 영국 Wiley-Blackwell 출판사 경영백과사전 3판(2014)에 실려 전 세계경영학계와 산업계 및 컨설팅업계로 보급되며 글로벌 촌으로 퍼지고 있다.
김인호 교수는 서울상대(1965)와 공군장교복무후(1969),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전원자력연료(KNFC),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등 정부출연기관에서 10여 년간의 연구경험을 갖고 1981년 한양대학교에 부임하여 27년간 연구소장·학장·대학원장을 역임하며 주로 기업·산업연구에 전념했다. 2008년부터는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경상대학 경영학부 명예교수로 재임 중이며 현재 다이내믹 매니지먼트학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김 교수는 사업과 기업, 기술전략 관련 서적을 수십 권 저술하였으며, 최근 저서로는 2008년에 출판된 ‘Dynamic Management Theory’와 2010년에 출판된 ‘Why Industrial Hegemony Shifts’ 그리고 2013년에 출판된 ‘Dynamic Enterprise Strategy (Chinese version)’가 있으며 이들은 현재 amazon.com에서 판매되고 있다. (자료출처: 동태경영학회 Dynamic Management Society)
Do you know where you’re going to.. 오래 오래 태고적의 미국 pop song, 아마도 Diana Ross의 hit song 제목이었을 것이다. 그 노래는 나도 좋아 했던 기억이다. 멜로디보다도 그 제목이 더 선명하게 기억에 남고 현재도 그렇다. 내가 조금만 방황하는 기분이 들면 이 ‘누가’ 이 제목의 말로 나에게 속삭이는 느낌을 받곤 한다. 요사이.. 몇 달간은 더욱 이 속삭임이 나의 귀를 잔잔히 감싼다. ‘경우야.. 너 지금 어디로 가고 있니?’ 엄마의 자상한 목소리로 들릴 때도 있다. 이 세상에서 나를 ‘완전히’ 알고 있는 우리 엄마가 답답하게 느끼셨는가.. 경우야, 너 지금 어디로 가고 있니..
그렇다. 비록 최근에 나는 ‘이상하게 으시시한 평화’를 가끔 느끼곤 하지만 그 뒤쪽에는 항상 이 말이 숨겨져 있다. 너무 자만하지 말라는 경고일까? 하지만 가끔 만끽하는 ‘평화’는 정말 의외의 것이다. 한달 여 나를 괴롭히던 치통의 고통도 조금 완만해졌고, 익숙해져서 그런가? 아닐 것이다. 지난 3년 넘게 ‘노력’을 한 보람일까? 그것에 대한 하느님의 선물, 성령님의 선물일까? 내일 벼락이 떨어져도 느낄 수 있는 나만의 평화.. 그것의 맛을 조금 보여주시는 것일까?
지난 5월 말의 레지오 피정.. 지나간 해 보다 조금은 ‘들뜬’ 기분으로 맞았지만, 역시 old wisdom은 맞는가.. 예상보다 양과 질에서 비교가 안 되는 기대 이하의 것이었다. 하지만.. 하지만.. 그것이 그렇게 문제는 안 된다. 내가 그곳에 갔다는 사실이 훨씬 더 중요하지 않을까? 이제 모두 익숙해진 ‘자매님’들을 대하는 것도 조금은 즐거운 일이 되고 있음에 나는 실소를 금할 길이 없다. 어떨 때는 청춘의 한창 시절 명동의 어떤 곳에서 ‘멋진 아가씨’들을 보고 우리들 끼리 즐거운 상상을 하던 때를 떠올리기도 해서.. 이런 현상이 과연 바람직한 것이지 혼동을 받는다. 나와 하신부님을 제외한 모두가 여성들이라는 것이 나에게는 가벼운 즐거움이요, 놀람으로 느껴지는 것.. 어떨까..신경을 쓸 것은 많다지만 반드시 나는 솔직한 심정을 표현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내가 그들을 ‘이성’으로 느낀다는 사실은 과연 ‘억제’해야만 하는 ‘죄’일까.. 아니기를 바라지만 이것은 100% 나의 ‘속마음’의 영역이다. 하느님만 아실 것이다. 그 이하도 그 이상도 아닌 순간순간의 감정들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