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st of May, 2017

2017년 ‘우리들의 5월 1일’이 되었다. 친구들이여, 지난 한해 잘 살았던가? 아니.. 큰 변화는 없었던가? 창희는 물론 교회를 맴돌며 보람 있는 나날을 보냈을 것 같고, 용현이는 어떤 세월을 보냈는지 전혀 idea가 없구나. 나와 나의 가까운 사람들은 비교적 잘 살았던 듯하다.

우리들의 5월 1일은 어제였던가? 아마도 1970년부터 1973년 사이가 아니었을까? 박정희 대통령의 독재적 경제발전의 서막이 시작되던 때에 우리들 모두 생의 진로를 놓고 방황하며 불투명한 미래를 잊고자 발버둥 치지 않았던가?

당시에 느꼈던 우리들의 세상은 아무리 아무리 하늘이 어두웠어도 그 저쪽에는 밝은 태양이 맴돌고 있었지 않았던가? 젊음의 선물인 ‘이유 없는 희망’, 바로 그것을 우리들은 만끽하며 길게만 느껴지던 몇 해를 보냈지.

그 ‘어린’ 나이에 세계관이 변할만한 신앙을 찾았던 창희, 당시에 ‘우리 들’은 이해를 못할 수 밖에 없었다. ‘신나고 멋지게 오래 오래 살자’ 가 전부였던 나이였기에 ‘죽음’의 세계는 우주의 저~ 편으로 느끼던 20대 초.. 그런 느낌의 세월들이 우리들의 5월 1일, 이제는 역사의 뒤안길로 ‘거의’ 사라져 가고 있구나.

비록 3총사가 뿔뿔이 흩어져서 소식도 모르며 숨어 살고 있지만 이런 추억으로 인한 꿈속의 세계는 예전이나 지금이나 하나도 변함이 없구나. 이런 pace로 세월이 흐른다면 이제는 서로 죽는 날도 모르고 뜨겠다는 자괴감에 젖지만, 그래도 그래도 나는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언제나 작은 기적이 있다는 경험을 가지며 살고 있으니까.. 내년 5월 1일, 다시 보자.. 멋진 친구들이여!

 

창희야, 용현아 그립구나.. 행복하게 살기를..

 

중앙고 독일어, 강성위

책, 二十世紀 哲學 역자, 강성위.. 1978년 대한민국 왜관 분도출판사에서 발행된 철학 번역서. 강성위 는 번역한 사람의 이름이다. 지난 주일날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에 레지오 꾸리아 월례회의에도 참석할 겸해서 그곳에서 주일미사엘 갔는데, 근래에 자주했던 것처럼 ‘성물방, 도서실’ 엘 들렸다가 우연히 발견한 책의 제목이었다.

갑자기 철학에 눈이 뜬 것이라기 보다는 번역자의 이름이 나의 눈을 끌었고 곧바로 2주 대출을 하게 되었다. 강성위.. 강성위.. 1963~4년, 무려 반세기가 지난 때의 기억 속에 아직도 지워지지 않은 이름이었다. 서울 중앙고등학교 독일어 선생님의 이름.. 바로 그 강성위 선생님이 분명했다.

지난 해에도 이 ‘조그마한’ 도서실에서 재동국민학교 동창 김정훈 부제의 유고집 [산 바람 그리고 나]을 발견한 바가 있었는데 그런 추억이 담긴 발견의 두 번째가 된 것이다. 오래 살다 보니까 이런 식의 ‘역사 속 발견의 즐거움’을 종종 대하게 된다. 세월의 즐거움 중에 하나일 것이고 ,길지 않은 삶의 세계에서는 상상도 못할 것이다.

거의 40년이 가까운 이 책은 비록 ‘소책자’의 느낌을 주지만 내용은 정 반대로 ‘거대한 주제를 압축적으로 다룬’ 만만치 않은 책이었다. 우리가 살아온 20세기를 풍미하며 우리를 직접 간접으로 지배해 온 사상, 물론 서양적인 관점에서 본 것들을 정리한 것, 지금 읽으니 우리들도 피할 수 없던 이런 ‘사상 들’ 속에서 평생을 살았구나.. 하는 감회도 든다. 때로는 ‘사상이 밥 먹여 주냐?’ 는 때도 있었겠지만 그것은 너무나 피상적인 의견일 것이다.

강선생님 졸업앨범 사진

강성위 독일어 선생님.. 비록 2년 여의 짧은 기억이지만 추억은 아주 너무나 또렷하게 남는다. 1963-64년..  박정희가 5.16 혁명 2년 후 군복을 벗고 대한민국 제3공화국의 대통령이 되었던 때..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요란하게 선전되던 때 [주로 중화학 산업개발], 강선생님, 중앙고 1학년의 독일어 선생으로 만나게 되었다.

독일어.. 는 분명히 입시중심의 교육과정에서 별로 빛이 없었던 ‘제2외국어’에 불과했다. 하지만 당시 1960년 당시만 해도 2차대전의 강국 독일문화의 후광은 그런대로 남아있어서 대학과정에서 독일어는 거의 필수적 선택이었고 대학원엘 들어가려면 독일어 시험을 치러야 했던 시절이었다. 그래서 고등학교에 들어가면 독일어 같은 제2외국어는 필수과목으로 배워야 했고 그렇게 ‘되길어 [당시 우리들은 풍자적으로 그렇게 불렀다] 강성위’ 선생님을 만난 것이다.

고등학교와 독일어, 영어가 아닌 언어를 배우는 것은 신선하고 어깨를 으쓱하게 하는 자랑할 만한 것이었지만 결과적으로 나와 독일어 자체는 악연으로 끝나고 말았다. 한마디로 독일어의 재미를 못 느끼며, 게다가 핵심을 못 배운 것이다. 그저 기억 속에는 정관사 der des 같은 것이 전부다. 이런 탓으로 나는 대학시절에도 이 ‘어려운 말’과 고전을 하게 되었고 대학원 입학에 이 독일어 시험이 있다는 것을 알고 아예 대학원은 꿈도 못 꾸기도 했다. 왜 그랬을까?

나름대로 나는 노력을 했다고 기억을 하는데 결과적으로 ‘완전 실패’였다. 나는 독일어를 잘 못 배운 것이다. 다른 애들은 어땠는지 기억은 잘 안 나지만 ‘열심히 해도 잘 못 배운 것’은 어쩌면 선생님 탓도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당시에는 그런 생각까지 하지는 않았지만 지금 곰곰이 생각하니 이 ‘강성위 되길어’ 선생님의 독일어 강의는 절대로 흥미 있는 것이 아니었다. 주입식으로 그저 외우는 것 외에는 기억이 전혀 없다.

이 강선생님에 대한 다른 추억은 독일어가 아니고 ‘장난치고 이상하게 때리는’ 당시로써는 ‘전통적 선생님’이 아니었던 것. 독일어와는 전혀 상관없는 이야기로 아이들과 장난을 치고, 수시로 아이들에게 손찌검을 했는데 그 방식이 독특하게 ‘때리는 것이 아니고 꼬집는 것’ 이었다. 이런 식으로 고교 1, 2년을 보내고 이과를 선택한 나는 독일어와는 상관이 없게 되었고 이 강선생님도 보기가 힘들게 되었다.

졸업 후에 완전히 잊고 살다가 친구 정교성에게 강성위 선생님의 이야기를 잠깐 들었던 기억, 대학교수가 되었다는 것, 독일에 유학을 갔었다는 것.. 그것이 전부였다. 은근히 속으로 놀라긴 했지만[아니.. 그 꼬집던 선생님이 독일유학?] 큰 관심은 없었다.

그러다가 이번에 강선생님의 이름이 들어간 책을 보게 되었고 1978년까지의 ‘약력’을 볼 수가 있게 된 것이다. 과연 독일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고 국내 대학에서 가르치는 약력이 그 책에 적혀있었다. 정교성의 말이 맞은 것이다. 언제 독일유학을 갔는지는 모르지만 아마도 우리가 고등학교를 졸업한 1966년 직후가 아니었을까? 지금이라도 googling을 하면 더 자세한 약력과 근황을 알 수도 있겠지만 이 정도에서 stop을 하기로 하였다.

중앙고교 천주교반 앨범사진, 1965

 

중앙고교 졸업앨범을 보고 다시 당시의 모습을 찾을 수 있었고 바로 그 모습을 나는 머리에 간직하고 있다. 하지만 다른 사진에서는 새로운 사실을 알 수가 있었는데 바로 ‘천주교 반’ group 사진에 ‘지도 교사 격’으로 찍은 사진이었다. 아하! 강선생님.. 천주교 신자였구나!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었다. 게다가 친구 정교성의 모습도 보이고.. 희미하게 기억에 남는 동창들[이태식, 김창호 등등] 의 얼굴도 보인다. 근래 나의 인생의 나침판이 된 천주교를 믿는 영혼들이 아닌가?

그렇다면.. 아직도 나의 기억에 남는 ‘꼬집는 강성위 선생님’보다는 더 친근한 천주교 교우인 ‘강성위 박사, 형제님’ 이 친근하게 다가온다. 영세 명은 과연 무엇일까? 궁금해지지만 오늘은 이것으로 충분하다.. 언젠가는 알 수가 있을 것이고 어떤 본당에 나가시는지도 알게 될 테니까..

 

Typewriter.. 그리고 추억..

1960년 대 Hermes typewriter

1960년 대 Hermes typewriter

 

Georgia 10, 굴림 10:  얼마나 멋진 type shape인가? 하지만 그것보다 더 멋진 것은.. 아~~ 그립다, 태곳적 太古的 둔탁하지만 경쾌한 typewriter의 잔잔한 소음들.. 지금은 원시적인 얼굴의 mono type Pica, 그들은 이제 모두 어디로 갔는가? 아~~ 그 예전에 ‘학문적, 지적 정보’의 총아 寵兒 였던 mechanical typewriter 의 멋진 추억들이여!

나와 typewriter의 첫 만남은 1960년대 초쯤이었다. 서울 중앙중학교 1, 2학년 쯤이었나.. 나의 경기고교생 가정교사였던 김용기 형, 나이에 비해서 조숙했던 그 형이 나의 typewriter에 대한 꿈을 며칠 동안 이루어 주었다. 나의 꿈은 그 것을 직접 만져보고 쳐보는 것이었는데 어느 날 갑자기 그 괴물처럼 무겁게 보였던 Underwood typewriter를 들고 나타난 것이다. 내가 하도 그것에 대한 호기심을 보였기에 그 형이 어디선가  며칠간 ‘빌려온’ 것이었다.

지금 생각해 보아도 그것, Underwood typewriter는  ‘고철’이었다. 크고, 무거운 쇠 덩어리로 보였던 것이다. 어린 애는 들기도 힘들 정도였다. 당시 중학교부터 영어를 배우기 시작해서 영어에 대한 관심이 많을 때였고 학생전용 영어 신문도 학교에서 가끔 볼 수도 있었는데 typewriter는 집에서 활자체로 인쇄물을 찍어 낼 수 있다는 사실에 나는 완전히 그것의 위력에 매료되기도 했다. 영자신문 비슷한 것을 찍어보기도 하며 즐거워한 기억이 생생하다.

당시의 typewriter는 물론 거의 모두 ‘중고’, 아마도 미8군 부대를 통해서 흘러나왔을 것이고 그 값은 만만치 않은 것이고.. 보통 사람들은 그것은 가질 수 없는 물건이었다. 고등학교 대학교를 다니며 그것을 집에 가진 사람은 거의 못 보았다. 당시에 이미 한글타자기(공병우 3벌식)도 나와 있었지만 아마도 대부분 기업체에서나 쓸 정도고 학생들은 그것을 쓸 수가 없었다. 지금 생각하면.. 언제 그랬나 할 정도로 당시는 거의 모든 학교 공부, 강의 시간에 손으로 받아 쓰는 것으로 시간을 보냈다.

Typewriter가 나에게 가까이 온 것은 대학교 4학년 당시의 겨울방학 때였다. ‘무위도식의 극치’를 실행하던 당시 나는 한강 남쪽 ‘변두리’에 속했던 숭실대학이 있었던 상도동 종점 부근에 살았는데 무슨 구실로든가 시내 그러니까 종로, 명동 등지로 나와야 했다. 그래서 찾은 것이 타자학원이었다. 왜 타자학원을 골랐는지 지금은 기억이 희미하다. 좌우지간, 졸업 후에 공부를 더 하거나 유학 같은 것을 가려면 타자기를 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는 단순한 생각이었을 것이다. 하루에 한번 씩 종로거리로 나올 수 있다는 것이 주목적이긴 했지만, 그래도 일단 배우려고 한 것이라 열심히 배우긴 했다.

타자학원에 가서 놀란 것은 이것이다. 학생들이 ‘모조리’ 여자, 그것도 아주 젊은 여자들이었다. 그것도 그럴 것이 그들은 그 ‘기술’로 취직을 하려 했기에 나와는 목적이 전혀 달랐다. 그들은 심각한 자세였고 청일점인 나에게는 관심조차 없었다. 학원 강사는 남자였는데, 나의 출현에 꽤 놀란 눈치였고 아주 반가운 모습이었다. 강의가 끝나면 그는 나와 사무실에 앉아서 이야기를 나누기도 했다. 우리들이 그곳에서 유일한 남자들이었다.

집에 타자기가 없었던 관계로 학원에서 배우는 것은 비교적 값싼 방법이었고, 종로2가에 학원이 있어서 나는 매일 종로거리로 나올 수 있었기에 그것은 지루한 겨울방학을 보내는데 안성맞춤이었다. 나의 타자 실력이 얼마였는지 생각이 안 나지만 그것은 나에게 큰 관심사는 아니었다. 최소한 touch typing만 알면 나의 목적은 이루어지는 것이었으니까..

그 이후 미국유학을 준비할 때 나는 ‘중고’ 아주 portable 한 typewriter, swiss 제 Hermes란 것을 살 수 있었다. 싼 것은 아니었어도 미국에 가면 필요할 것 같아 미리 투자를 한 것이다. 유학을 떠날 때까지 나는 이것으로 심심한 시간을 보내기도 했다. 왜 그렇게 그 타자 소리가 나에게는 멋지게 들렸는지 아직도 이유를 모른다. 당시 그것을 치는 사람들은 주로 여성들, 그것도 회사의 비서급 사람들이었다. 그리고 간혹 남편이 논문 같은 것을 쓰게 되면 그의 아내들이 그것을 돕느라 타자를 치곤 했다. 남자가 손수 타자를 치는 것은 정말 흔치 않은 일이었다. 그러니까 나는 결국 남자들은 나중에 쓰지 못할지도 모를 기술 touch typing을 미리 배운 셈이 된 것이다.

미국에 와서 사실 내가 직접 typewriter를 쳐야 할 기회는 별로 찾아오지 않았는데, 당시만 해도 학교에서 꼭 typewriter로 쳐서 내는 숙제는 별로 없었다. 쓰려면 도서관에 가면 되기에 꼭 나의 것을 사야 할 이유도 없었다. 그러다가 우연히 나의 눈을 끈 것이 있었다. 바로 electric typewriter, 바로 그것이었다. electric! 보통 typewriter는 완전히 수동, manual, 온 손끝의 힘으로 치는 것이지만 electric은 조금만 touch를 하면 electric striker가 이어받은 치는 것이다. 처음에는 그것이 그렇게 신기할 수가 없었다. 그것으로 끝난 것이 아니고 결국은 나는 그것을 사고 말았다. 비록 큰 돈이었어도 당시만 해도 100% 자유스러운 ‘총각’시절.. 마음만 먹으면 아무 것이나 가능하던 그 자유스러운 시절..

비록 멋으로 샀지만 실제로는 방 구석에서 놀고 있었는데, 결국은 시간은 찾아왔다. 70년대 중반 쯤 나는 West Virginia에서 공부를 하고 있었는데, 당시 course들 중에 typewriter를 써야 하는 것들이 꽤 있었다. 남들은 잘 모르지만 나는 이제 그 옛날 ‘타자학원’에서 배웠던 기술, 철저히 쓸 기회가 온 것이다. 그 때 보니까 나의 typing 속도는 꽤 빨랐고 제출해야 할 것들은 손쉽게 처리할 수 있었다. 나중에는 그 소문을 듣고 나에게 typing을 부탁하는 classmate들도 등장했다. 여자들 같으면 돈을 받고 쳐 주곤 했지만 나는 ‘취미’로 생각했기에 모두 무료로 service해 주곤 했다.

Electric typewriter의 위력은 나중에 Ohio State University에서 논문을 쓸 때 절정을 이루었다. 남들은 모두 professional typist를 찾는 고역을 치렀지만 나는 조금 더 시간을 내서 내가 모두 치곤 했다. 그 때 나는 상당한 분량의 논문을 typing했는데, 나중에 ‘책’으로 나온 그 논문집을 도서관에서 찾아보니.. 역시.. professional이 typing한 것과 비교하니.. 완전히 아마츄어 냄새가 났다. 조금은 부끄럽기도 했지만 그래도 내가 손수 만든 것이라고 나를 위로하기도 했다.

그 이후 typing의 필요는 사라지는 듯 했다. 가끔 영어로 쓰는 서류, 편지들 이외에는 그것이 공부하는데 꼭 필요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누가 예상을 했으랴.. digital computer의 출현이 모든 것을 바꾸어 놓았다. 처음에는 ‘집채만한’ mainframe ‘monster’ (e.g., IBM S/360), 다음에는 minicomputer (e.g., PDP11) 이것들은 거의 모두 keypunch input으로 결국은 typing기술이 필요한 것, 나중에 나온 personal (micro)computer들 (e.g., Apple II, IBM PC) 모조리 앞 모양은 거의 typewriter의 모습을 갖춘 것이었다. 본격적으로 touch typing 의 위력이 돋보이는 세월이 도래한 것이다. Touch typing에 전혀 문제가 없었던 나는 그때 비로소 느꼈다.. 무언가 배워서 절대로 손해를 볼 수가 없다는 사실..

typesetsEngineer들의 필수 portable ‘analog calculator’ 였던 slide rule (계산척)은 1970년대 초에 ‘갑자기’ 등장한 ‘digital’ calculator로 ‘하루아침’에 사라지고, 향수에 젖은 ‘mechanical’ typewriter는 personal computer/printer의 등장으로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져갔다. 하지만 그리운 향수를 느끼게 하는 그것들, 가끔 그리울 때가 있다. 갑자기 무언가 쓰고 간단히 ‘하~얀’ 종이 한 장에 까~만 typeset의 짧은 문장을 쓰고 싶을 때… 그것이 그립다. computer로 쓰면 고치는 것 떡 먹기지만 한 장 정도 print 할 때 얼마나 overhead가 많은가.. 귀찮고.. 그립다.. 그립다.

그 지겹게 공해로 찌들었던 서울의 겨울 하늘아래서 꽤죄죄한 타자학원을 다녔던, 비록 동기는 뚜렷하지 않았더라도, 나는 꽤 쓸만한 겨울방학을 보냈던 것이다. 그 touch typing 기술은 현재까지도 두고 두고 나를 도왔다. 특히 빠른 typing이 필요했던 때, 나는 1960년대 말 서울 종로에 있었던 ‘xx 타자학원’을 떠올리곤 하며 빙그레 웃곤 한다.

 

휴우~ 덥다 더위.. 6월 24일!

¶  휴우~ 덥다 더워.. 6월 24일!  이렇게 쓰고 보니 조금은 웃긴다.. 임마 (이런 말 아직도 쓰나?) 6월도 24일이면 한창 여름이 무르익어가는데 그것이 정상이지, ‘빠가야로‘! 하는 등뒤의 속삭임에 내가 웃는다. 그렇지, 지금은 더운 것이 정상이지.. 그런데.. 92도 라면.. 어떨까? 아마도 옛날 옛적의 대구더위에 비길 수 있겠지. 며칠 계속된 더위지만 극적으로 때맞추어 ‘내가 고친’ 에어컨 바람이 더 나에게는 시원하게 느껴진다. 이럴 때는 물론 오후에 때맞추어 쏟아지는 시원한 소낙비.. 하지만 느낌에 그런 chance는 거의 zero 인가 보다. 아니면 Johnny Rivers 의 60’s classic oldie, Summer Rain을 연상케 하는 그런 추억의 비는.. 어떨까.. 하지만 이것은 거의 꿈같은 이야기다.

 

 

1968년 여름의 추억, Summer Rain – Johnny Rivers 

 

오랜만에 그 동안 바깥 구경을 못하고 살았던 우리 집 두 마리의 ‘재미있는 개’ Tobey & Ozzie, 오늘은 내가 더 쳐지기 전에 용감하게 끌고 동네를 돌았다. 거의 할아버지 나이가 된 우리의 개 Tobey가 언덕을 ‘새로니의 개’ Ozzie를 앞지르며 나를 끌고 올라간다. 얘는 아마도 어렸을 때부터 이 동네 언덕을 나와 걸었기에 단련이 되어서 그런지 모른다. 공을 던지면 총알처럼 뛰어가는 다리가 긴 ‘젊은’ Ozzie, 2주째 우리 집에 머물며 자기 엄마 ‘새로니‘를 거의 잊은 듯 잘 지내고 있지만 그래도 밤에 ‘혼자’ 자야만 하는 그 녀석을 보면 측은한 마음이 들기도 한다.

얼마 전에 이곳을 걸었을 때 내가 열을 받았던 것, TRUMP FOR PRESIDENT, MAKE AMERICA GREAT AGAIN..이란 SIGN이 두 곳에서 나를 자극했던 것.. 오늘도 어김없이 그곳에서 ‘빠가’ 트럼프의 ‘쌍통’을 연상시킨다. 이 두 집이 바로 우리동네의 idiots, white trash인 셈이다. 이곳 East Cobb county는 물론 very conservative한 지역이고 전통적으로 ‘인정머리라고는 하나도 없는’ 그런 ‘잘 사는 Republican white trash’들이 많은 곳이다. 그래서 이런 쓰레기 같은 SIGN을 본 것이 당연한 일이건만.. 나는 보기만 해도 구역질이 날 정도니.. 이건 분명히 내가 over하는 것이 분명하다. 하지만 그야말로.. I CANNOT HELP IT.. 어쩔 수가 없다. 도대체 이 덩치 큰, ‘젊은’ 나라는 어떤 쪽으로 흘러 들어가고 있는 것인가? 덥기만 한 날씨에 더 열을 받고 있는 내가 한심하기도 하지만.. 그래.. 이래 저래해도.. 모든 것들은 다~~~ 지나가리라..

 

¶  6월 24일 세례자 성 요한 탄생 대축일:  오늘 평일미사를 가면서 6월 24일이 세례자 성 요한 탄생 대축일 (Solemnity of the Nativity of Saint John the Baptist) 임을 매일 복음묵상 ‘newsletter’에서 보고 알았지만, 사실 그 전에 이미 알고 있었던 것이: 메주고리예 성모님 발현 ‘사건’으로부터 였다. 바로 이날 6월 24일에 발현을 하신 메주고리예 성모님을 이 ‘대축일’ 때문에 집에서 쉬던 (놀던) 그 ‘애’들이 본 것이다. 그 당시 이 발현 과정에서 이날이 ‘세례자 성 요한 탄생 대축일’임을 누누이 밝히고 있었지만 그 때 나는 그 말의 의미조차 잘 몰랐다. 이런 생각을 하니, 금요일 평일 미사엘 가면 분명히 세례자 성 요한과 예수님을 비교하는 짧은 강론을 듣지 않을까 기대를 했지만.. 그것이 아니었다. 요새 거의 본당신부님 역할을 하시는 방문 신부님 Fr. Joseph, 뜻 밖에도 새로 부임하실 본당 신부님에 관한 얘기를 하며.. 우리의 ‘이해’를 구하는 듯한 인상을 주었다. 사연은 물론 본당 Holy Family 성당에 7월 초에 새로 부임할 주임신부님이, ‘부인이 있고 가정이 있는 남자’ 라는 우리에게는 ‘폭탄’ 같이 느껴지는 사실 때문이었을 것이다.

오늘 방문 신부님의 설명과 ‘양해’는 나도 아는 사실이다. 바티칸에 소속된 모든 가톨릭 ‘종파’들이 모두 다른 Rite를 가지고 있는데 현재 우리의 ‘보편 된’ 것이 Latin Rite, 이곳에서는 신부님들이 결혼을 안 하지만 다른 극소수의 종파에서는 성공회같이 결혼을 한다고.. 듣던 얘기다. 이번의 새로 부임할 신부님은 Melkite 에 속한 신부님이라서 신부님들이 결혼을 한다고.. 하지만 우리들의 느낌은.. 그래도.. 하필이면.. 왜 그런 ‘소수 종파’의 신부님을 ‘주임신부’로 보냈는가 하는 것이다. 우리 본당 Holy Family는 지역적으로도 보수적이고 Irish Catholic의 전통이 농후한 곳인데.. 아마도 그들 대부분은 불만이 적지 않을 듯하다. 그 중에는 우리도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상상을 하니 아찔하다. 가족을 주렁주렁 데리고 사제관에서 생활을 하며 가족들과 같이 미사에 들어 온다는 광경은 도저히 상상할 수가 없는 것이다. 도라빌 순교자 성당에서는 구역문제로 우리는 고민에 빠지고 있는 마당에 이번에는 우리의 피난처 같은 미국본당에 부인, 가족을 동반한 주임신부가 온다는 사실.. 참.. 오래 살다 보니..

 

¶  성모님, 좀 봐주세요..  근래 우리부부와 자주 보게 되고, 예전 보다 조금 더 가깝게 지내는 C 자매님,  순교자 성당에 레지오 member를 중심으로 새로 생긴 Guitar Friends 그룹에도 참여 열심히 guitar도 연습하고, Holy Family 미국본당에서는 거의 매일 미사에 보게 된 멀게도 느껴지고 가깝게도 느껴지는 자매님, stress받는 것이 제일 싫어서 많은 사람과 가까이 지내는 것을 피하며 조용히 살지만 할 것은 다 하며 열심히 사는 자매님.. 왜 하느님은 어떻게 그런 병고를 주셨을까. 병고라면 이미 오래 전에 가족을 통해서 겪을 만큼 겪지 않았을까, 공평하지 않은가? 모든 아픔이 아물어가며 어떻게 다시 이런 고통을 보냈을까? 오늘 아침 미사가 끝나며 어제 doctor visit의 결과가 조금 짐작이 되었다. 우리 부부, 너무나 안쓰럽고, 미안하며, 어쩔 수가 없어진다. 그저 할 수 있는 말은 ‘기도를 더 열심해 해야겠군요’ 정도였다. 이럴 때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기도 이외에 무엇일까.. 늦은 아침을 먹으며 우리는 생각하고 생각한다. 성모님, 좀 봐주세요…

 

¶  육이오 6.25, 66년:  66년, 허~ 66년이라.. 여기다 6 하나를 덧붙이면 666가 되는구나. ‘악+악+악’, triple ‘악’ 인가? 그래 잊고 싶어도 잊지 못하는 단어가 육이오, 유기오, 융요 (박정희 대통령의 발음).. 그래, 의식이 살아있는 한 이 단어는 나를 ‘움찔’하게 만들 것이다. “아~ 아~ 잊으랴, 어찌 우리 이날을 조국의 원수들이 짓밟아 오던 날을…” 이제는 ‘사학자’들도 총대를 멜 때가 되지 않았나? 미국의 역사 교과서는 현직 대통령도 역사의 심판대에 올려 놓는데.. 우리나라의 ‘병신 사학자님’들은 어떠신가? 아직도, 아직도 빨갱이 운동권의 역사관을 가지고 있는가?

 

 

아직도 귀에 생생한, 육이오의 노래

 

요사이 재동 동창 김정훈 부제의 유고집 ‘산 바람 하느님 그리고 나’ 를 읽고 읽고 읽으며.. 다시 느끼는 것, 나도 나도 아버지가 살아계셨으면.. 아니 육이오가 없었으면, 아니 김일성 개XX가 태어나지 않았으면.. 나의 인생은 아마도 김정훈 부제의 ‘사직동 김판사댁‘  못지않게 ‘원서동 이정모 교수댁‘ 이란 ‘선망의 눈초리’를 받으며 컸을 지 누가 알랴? 어떻게 육이오의 몇 개월 사이에 한 가정, 한 가족의 운명이 그렇게 뒤집어 질 수가 있을까? 물론 우리보다 더 ‘처참한’ 인생의 역전을 겪었던 수를 헤아릴 수 없는 죄 없는 동포들이 있었다. 하지만 그들은 내가 아니고 우리가 아니다. 우리 집은.. 우리 집을 말하는 것이다. 이 세상이 끝나고 저 세상에 가면 나는 반드시 ‘김일성’을 찾아내리라.. 그 개XX를 찾아 내리라.. 아마도 그 아들 김정일 개XX도 같이 있을 지 모른다. 하지만, 그들을 찾기가 힘들 것이 분명히 그들은 지옥에 있기 때문이다.

 

독후감 讀後感 “산 바람 하느님 그리고 나” Part 1

2주일 대출기한이 수개월을 지나가면서 이 책을 우선 반납하여야 한다는 stress를 느끼며 이제까지 ‘시간이 날 때마다’ 이곳 저곳을 훑어보고, 비교적 가볍게 접한 이 책에서 나의 재동 齋洞 동창, 김정훈 부제에 대해서 알게 되고 느낀 것을 정리한다.

신학생 김정훈
신학생 김정훈

이 책을 처음으로 접하면서 제일 궁금했던 사실은 정훈이가 어떻게 그렇게 일찍 타계 他界 를 했던가 하는 것보다는 그가 생전에 어떻게 살았는가, 그의 집안, 가족은 어떠한 사람이었는지.. 어떻게 신앙, 성소를 가지게 되었는지..그런 것들이었다. 하지만 이 책은 그가 20대를 훨씬 넘은 시절부터 쓰여진 일기 형식이기도 하고 자기의 생각이 정성스럽게 담겨진 ‘문학적 냄새’가 나는 글로써,  꼼꼼히 ‘정독’을 하지 않는 한 그러한 나의 궁금증에 대한 답은 쉽게 찾을 수가 없었다.

처음 대강 책을 훑으며 느꼈던 감정은 의외로 반갑지 않는 나의 반응이었다. “좋은 집안, 머리가 좋은 덕으로 선택된 선망의 대상으로 어려움과 고민 같은 것 별로 없이 유럽 유학 중, 좋아하는 등산을 하다가 조난사고로 운명”.. 비록 너무나 이른 인생의 비극적인 마감이지만 이러한 피상적인 이력서적인 눈에 쉽게 뜨이는 사실들 만으로는 정훈이 이야기가 왜 이렇게 ‘김수환 추기경의 서문’이 실릴 정도로 큰 화제나 영원히 남을 만한 책으로의 가치가 될까 하는 의문은 남는다. 물론 이 책을 계속 읽으며 이것은 나의 ‘너무나 성급한’, 생각임을 알게 된다.

 

¶ “산, 바람, 하느님 그리고 나.. “ 김정훈 유고집의 제목인데.. 과연 이것은 어떻게 나온 것일까? 이 궁금증은 19 쪽을 보면 간단한 설명이 나온다. 이 대목은 김정훈의 신학교 영적 지도 신부인 Stefan Hofer신부의 추모의 글에 있는데 그 신부님은 김정훈이 조난을 당한 사고 현장에 있었다고 했다.

우리는 별이 총총한 밤에 세르레스(Serles)에 등반하였던 적도 있었다. (중략) 베텔풀프(Bettel Wurf) 정상 정복자가 된 우리는 그 곳의 방명록에 우리들의 이름도 기록하였다. 베드로(김정훈)는 이름뿐만 아니라 한국 말로 무엇인가 썼다. 내가 무엇을 썼는지 그에게 묻자 그는 독일어로 그 밑에 주를 달았다.

산, 바람, 하느님과 나, 김 베드로.”

이처럼 베드로는 단순한 산에의 낭만주의뿐만 아니라 그때 그때의 깊은 종교적 느낌 속에서 산을 찾고 만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런 ‘회고’를 보며 생각한다. 정훈이는 진정으로 산을 사랑하고 등반을 했지만 단순히 산이 좋아서, 산이 그곳이 보이고 있어서라기 보다는 깊은 종교적 체험을 통한 등반을 더 사랑하였던 듯 싶다. 나도 대학시절 참 산을 많이 찾아 다녔지만.. 어떨까, 종교적인 체험을 하였던 기억이 거의 없음에 정훈이의 나이에 비해 ‘성숙한’ 인생체험은 더욱 돋보인다.

 

¶ 정훈이의 가족관계는 어떤가? 이것은 사실 기본적인 호기심이 아닐 수 없다. 비록 재동 동창생이지만 ‘공부를 잘 해서 경기중학교에 갔다’는 사실 이외는 아는 것이 아무 것도 없다. 재동학교 졸업 후 중학교 시절, 파고다공원 수영장에서 그가 아이(아마도 동생)를 데리고 가는 것을 보았던 기억.. 그것이 전부다. 그러니까 남자 동생은 있었을 듯 하다. 이 책에 가족에 관한 단편적인 이야기들이 간단히 이곳 저곳에 나오기에 한 눈에, 명확하게 알기는 힘이 들었다. 우선 자신이 묘사한 가정은 204쪽에 다음과 같이 나온다.

사직동 김판사네 가정도 한국에서는 신앙으로 가꾸어진 훌륭한 이상적인 가정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근래에 와서 일이 잘 풀려 나가지 않는 면들도 보인다. 아이들이 제 발로 걸을 수 있을 때까지, 자기가 사리를 스스로 옳게 판단할 수 있을 때까지는 부모가 이끌어 주어야 한다. 그들의 인생관과 신앙에 근거해서. 그런데 압도적으로 비중이 큰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그만 손보기가 어려워져 버린 난맥상이 드러나고 있다. (중략) 곧 아버님 돌아가신 지 10년째가 된다. 벌써 그렇게. 강산이 정말로 크게 변했다. 아버지의 그 보화를 캐내어 나눠 줘야 할 큰 책임은 바로 나에게 있는 것이 이 순간 확연해진다. (1975년 3월 10일)

이 글은 1975년 3월 10일 일기에 나오는 것이다. 오스트리아 친구 클레멘스의 가정을 부러워하는 글 뒤에 나온 것이다. 그 친구의 가정이 부러운 이유 중에는 ‘아버지가 높은 지위에 있고 건강한 아이들, 높은 교육을 받은 것, 3남 2녀라는 것.. 이런 것과 더불어 잘 화합된 부모의 교육, 그것도 참된 신앙에 의한 것.. 이라는 사실. 아마도 김정훈의 가정도 이에 뒤지지 않았던 이상적인 가정은 아니었을까? 하지만 10년 전에 돌아가신 ‘김판사’ 아버님의 비중이 너무나 컸기에 가정은 ‘난맥상’이 드러났다는 판단이다. 그러니까.. 1965년 경에 아버님이 타계를 하셨으니까, 정훈이 경기고 3학년 때였을 것이다. 혹시 그런 충격이 정훈이에게 깊은 성소의 뜻을 남긴 것은 아니었을까? 사회적 지위가 높고, 신앙심이 깊고, 가정을 사랑하는 아버님을 가진 정훈이었다. 아버지 없이 자란 나로써는 부럽지 않을 수가 없다. 분명히 천주교 가정이었기에 자연스럽게 천주교인이었을 정훈이네 가정, 혹시 대대로 내려온 ‘박해 받았던 가문’은 아니었을까? ‘비중에 컸던 아버지’에 대한 회고는 이곳 저곳에 나온다.

나가이 다카시의 ‘만리무영’에서 여러 대목을 읽었는데 느끼는 점이 많다. 우선 그 글에서 풍기는 분위기가 차분하고, 원만하고, 노력을 기막히게 많이 한 신앙인인 것을 알게 해 준다. 내게 특히 좋게 여겨지는 것은 그 글의 분위기와 저자가 바로 돌아가신 아버지를 연상시키는 까닭이다. 무엇보다 진지하고 신념에 찬 신앙인의 모습을 보여 주는 것도 그러하고, 어투며 그 상황까지 어쩌면 그렇게 흡사할까. 공감 가는 점이 정말 많다. 자식에 대한 배려, 아내 생각 등도 아버지 경우와 같다. 동시에 그 사람의 아들들은 어떨까 하는 호기심이 부쩍 동하는데, 많은 사람이 우리 집안이나 나에게 대해 갖는 기대와 주시도 그런 종류일 것이다. 불쌍하신 아버지, 죽음을 앞두고 아내를, 자녀들을 그대로 놔두고 가야 한다는 것을 알았을 때 무슨 생각에 젖으셨을까? 얼마나 우심 憂心 이 크셨을까? (1972년 6월 11일)

위의 일기에서, 아버지가 권해준 책을 읽으며 그 책의 저자가 아버지를 연상시키는 ‘좋은 점’들을 열거한다. 여기서 보아도 그 아버지는 정말로 존경 받을 만한 가장이었음이 짐작이 된다. 일찍 운명을 하신 아버지, 아마도 불치의 병으로 돌아가신 듯하다. 장남일 것 같은 정훈이, 이때부터 아마도 가장으로써의 기대를 받으며 성장하지 않았을까?

 

¶ 20대를 꽉 차게 살아오던 정훈이의 모습, 언행, 성품 등은 어땠을까? 이것은 친구들이 본 것이 아마도 제일 정확한 것이 아닐까? 일찍 타계한 친구를 보내며 친구 대표 ‘기헌’의 ‘조사’에 잘 묘사되어 있다.

너는 너의 가족들이 기도하며 바랐던 대로, 평소에 너를 아끼고 사랑했던 사람들과 친구들이 기대했던 대로, 너의 훌륭한 재능과 착하고 인간미 넘치는 성품이 더욱 닦아지고 완성되어 이 한국 교회를 위해서 많은 일을 했어야 하는데.. 이제 겨우 서른 해를 넘기고 가다니.. (중략)

너는 순진하고 단순하면서도 깊이가 있는 사람이었어. 너의 신심 생활의 진보는 언제나 앞서 있었고, 너의 정신적인 사고력은 언제나 예리하게 우리를 압도했었지.

책 읽기를 그렇게나 좋아하고, 깊은 명상과 기도의 생활을 너는 얼마나 사랑했었니? 그러면서도 네 마음은 언제나 뜨거운 인정이 넘치고 있었다. 친구들을 얼마나 사랑하고 아낀 너였는지 우리는 잘 안다. 모든 친구들에게 한결같이 잘 해 주었어. 특히 괴로운 일을 당하고 있는 친구들에게는 어떻게 해서라도 도와 주고 싶어하던 너였지. 너의 특징인 아무 말도 못하고 그저 머리를 긁적거리면서 두 눈을 껌벅거리던 너. 어떻게 해서라도 그 괴로움을 나누고 싶어 너는 애썼지.  (중략) 그러기에 친구이면서도 우리는 너를 존경하였고, 우리를 대신해서 큰 일을 해 주리라 믿었다. (중략) 착하고 아름답게 산 너의 영혼이었기 때문에 우리는, 주님께서 말씀하신 백 배의 보상을 틀림없이 천국에서 받을 것이라고 확신하고, 너와 영결하는 이 마지막 순간을 기쁘게 받아들이겠다. (1977년 6월 7일, 정훈이를 보내며.. 친구대표 기헌이가)

비록 고인을 기리는 조사이긴 하지만 이 글에서 정훈이의 이목구비, 면모, 표정, 성격 들이 직접 간접적으로 다 보인다. 나로써는 이것이 ‘성인’ 정훈이를 상상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친구들에게 그렇게 기대를 받았던 ‘장래가 촉망되던 큰 재목’ 이었다는 인상을 받지 않을 수가 없다.

 

¶ 가톨릭 신부와 여성, 신부 지망생 그러니까 신학생이었던 김정훈은 어떤 여성관, 여성 경험을 가졌을까.. 20대 중반의 혈기왕성한 ‘멋진 남자’에게 여성과의 교제가 없다는 것은 사실 말이 안 된다. 나와 동갑(돼지띠) 이기에 1970년대 중반의 나를 생각하면 너무나 쉽게 상상이 가는 것이다. 다만 나의 background와 그 이외 많은 것들이 아마도 나와는 ‘하늘과 땅’ 같은 차이가 있었음을 생각한다.

우선 절대자 하느님, 예수님을 자연스레 알고 믿는 그, 완벽한 가정교육을 받고 자란 유복한 가정.. 등을 생각하면 정말 ‘자격을 갖춘 멋진 여성’이 그의 주변이 있었을 듯 하다. 다만 이 유고집에는 그에게 가장 중요한 여성, J 라는 여성만이 눈에 뜨인다. 과연 J란 여성은 누구일까? 거의 한 chapter “J와 인생” 이 J 라는 여성에 관한 일기인 것을 보면 ‘신부와 결혼’에 대한 그의 결심에서 가장 심각한 인물이었음 에는 틀림이 없다.

J에 대한 나이, 출신배경, 알게 된 경위 같은 것은 알 수가 없다. 다만 집 식구들에게는 알려진 사람, 공개된 데이트였음은 확실히 알 수 있다. 신부를 지망하는 신학생과 데이트를 하는 여성은 어떤 여성들일까? 결혼을 전제로 할 수가 없는 100% 순수한 지적인 만남이었을까? 계속되는 깊어지는 만남에 자신에게 제동을 거는 자신의 결심도 보인다.

J와의 문제에 단안을 내려야 하고, 내렸으면 확실하게 밀고 나가야 한다.

‘그래야 하는 까닭’

1. 실험적인 사귐은 있을 수 없다.

2. 그렇지 않으면 내 자신이 문제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타의에 의하게 됨.

3. 그녀를 위해서도 더 깊어지지 않는 것이 좋다. 실제로 나의 결론은 지어졌는데, 실행은 빠를수록 좋다.

4. 언젠가 끝에 가선 내가 당황하게 될 것이다.

이 문제는 내 햄, 내 의지만으로 될 수 없는 것이니 주님, 빛과 길을 주소서. 이럴 때 주님을 찾는다고 나무라지 마소서. 이럴 수밖에 없습니다.

이 일기에서 그는 ‘조직적’으로 차근차근하게 문제의 본질과 방향을 찾으려고 필사적인 노력을 한다. 문제의 심각함과, 어려움을 알고 그는 결국 ‘절대자’의 힘을 기대하고 있다. 그 당시, 나의 모습을 여기에 비추며 돌아본다. 이런 문제에 있어서, 나는 절대로 혼자였다. 절대자가 절대로 나에게는 없었다. 혼자였던 나는 모든 것을 ‘나침반’이 없이 헤매며 허우적거린 세월들이었다. 나와 정훈이의 20대 중반은 이렇게 하늘과 땅만큼 멀리 있었던 것이다. 그는 한마디로 ‘은총을 일찍 받았던’ 영혼이었다.

곧바로 그는 J에게 쓴 ‘헤어짐의 편지’를 쓴다. ;7월 23일자 일기에 편지가 실려있다. 분명하지 않은 것이.. 이 편지는 일기인가 아니면 실제로 J에게 보내진 편지인가 하는 것이다. 이별의 편지, 참 balance와 courtesy, essence가 모두 있는 편지가 아닐까?

J씨 귀하,

이 시간을 얼마나 기다렸는지 모릅니다. 왜냐하면 어차피 있어야 할 순간이고 또 그 때는 빠를수록 좋기 때문입니다. 이런 책이며 글 같은 것이 부질없는 것이고 오히려 없느니만 못한 것이라고도 생각됩니다만 다른 방법이 없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역시 글로 써야 제 뜻을 그래도 명확히 전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동안 정말 고마웠습니다. 그리고 참으로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그 동안 받은 것에 대해 어떻게 감사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주로 받기만 하고 드린 것은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그것은 제가 주는 방법을 몰라서가 아니라 줄 것을 가지고 있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사람에게는 누구나 자기의 길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설령 기존의 길이란 있는 것이 아니라 해도 자기가 뜻을 정하고 온 가능성을 모으고 있는 터에 이와 상치되는 사상 (事象)을 지닌다는 것은 일을 이루지 않겠노라는 것과 다를 바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저의 목표가 확실한데 이런 상태를 계속한다는 것은 저로써 더 이상 용납 못 할 일입니다. 그것은 제 자신과 J씨를 크게 속이는 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이것입니다. 그리고 그 시간이 길면 길수록 쓰라림만 커질 것입니다. 여기서 해야 할 것이 무엇이겠습니까? 저는 항상 이것을 알면서도 갈팡질팡하며 생각을 모으려고 노력해 왔습니다. 그리고 오늘을 기다린 거지요.

지금 이 글월을 쓰면서 저는 이 글의 의미가 엄청난 데 스스로 놀랍니다. 이는 우리의 사귐에 대한 결단일 뿐 아니라 저로서는 제 삶의 의미를 향해 다시 한 번 크게 내딛는 순간이기도 한 때문입니다. 이런 결정이 일방적이고, 제게 있어서는 쉬운 일이고 또 회피가 아니냐고 하지 마십시오. 또 이 일이 그런 점을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하고, 단안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이냐고 도 하지 마십시오. 제가 얼마나 힘들게 이 글을 쓰고 있는지 또 그런 만큼 얼마나 정확하게 그 의미를 파악하려 하고 있는지를  J씨라면 아실 것입니다. 우리는 일생에 몇 번은 결정을 내려야 할 때를 만나고, 또 한 번 내린 결정은 단호히 밀고 나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J씨는 제게 너무도 과분하고 소중한 분이었습니다. ‘두 번 다시 그런 사람은 만나지 못한다.’ 는 것을 분명히 알고 있습니다. 그런 만큼 지금의 제 심정도 몹시 단호함으로 차 있습니다. 아니, 단호하려고 애써 노력하고 있습니다. 학교 주소도 아시고 또 9월에 학관에도 나가겠지만 제게 소식 주지 마시기를 바랍니다. 끝으로, 언젠가 고등학교 때 학생회장이 말했다고 한 것처럼 저도 J씨가 그 근본을 향한 고귀하고 투철한 노력을 조금도 흩뜨리지 않고, 그 동안 얘기했던 모든 것을 이루실 수 있으리라고 굳게 믿으며, 용맹스럽게 전진하시기를 진정으로 빕니다.

– 김정훈

이 책은 그 동안의 우정에 대한 저의 기념의 선물입니다. 기꺼이 받아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작별편지를 보면, 그의 확고한 결심을 J에게 전하며 다시는 연락을 하지 말라는 부탁을 한다. 이 정도만 아주 단호한 결심이 아니었을까? 이런 것으로 보아서 J라는 여성은 ‘적극적’으로 정훈이를 만나는 사람으로 느껴지고, 아주 나이에 비해서 성숙할 것이라는 생각도 든다. ‘9월에 학관에도 나간’다는 구절을 보아서 이들은 아마도 같은 ‘학관’에 다녔던 것은 아닐까? 학관이란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대강 그 당시에는 ‘학원’이라는 말을 썼는데.. 학관은 종류가 다른 것이었을까? 마지막 구절에 ‘근본을 향한 고귀하고 투철한 노력을 … 용맹스럽게 전진하시기를..’ 이것으로 J라는 여성도 무슨 뚜렷한 목표를 향한 ‘지식층’ 여성이었을 것 같은 느낌도 받는다.

이 ‘편지 일기’ 이후에도 그는 사실 J를 잊은 것이 아닌 것 같다. 계속 J를 만나며 그녀에 대한 글이 나오니까.. 아마도 서로가 ‘가벼운 마음’으로 ‘결혼의 가능성을 배제한’, ‘진정한 친구’로써 만난 것일지도 모른다. 다음 8월 21일의 일기는 J에 대한 끈질긴 미련과 자신의 필연적인 결심에 대한 분석이 나온다.

J를 본 지 열흘이 지났다. 지난 금요일과 월요일에도 만나지 못했다. 당연한 일이다 하면서도 보고 싶다.

그냥 당겨지는 이 마음은 무엇인가? 왠가? 누가 무엇이라 한다 해도 이런 마음은 참 순수한 것이다. 그리고 자연적 현상이다.

간단한 기록으로 끝나려 했는데 또 길어진다. 내심에 잠겨 있는 것이 들고 일어나는 까닭이다. 파헤쳐 본다는 것도 힘에 겨웁다.  문제는 결단만이 해결의 관건임을 너무나 잘 알고 있다. 또한 결단을 내렸으면 책임지고 수행해야 하고, 끝까지 충실해야 한다.

그런데 결혼도 포기하고, J와 같은 사람과의 사귐도 금기(禁忌)인 신부가 되려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신부행(神父行)을 결심한다는 것은 그만한 의미가 있어서일 터인데 과연 그런가? 어째서 내 단 하나뿐인 인생을 사제에다 걸었는가? 사제가 무엇인가? 그 본질을 분명히 보고 결단해야 하는 것이다. 오늘은 비교적 분명하게 문제점들이 드러난다.

내가 보는 신부에 대한 정의, 그 신원(身元)은? 고전적 정의로서는 내게 그 의미가 약하다.

위의 일기로 나는 그가 아직 신부가 되려는 결정을 하지 못한 것을 안다. 하지만 계속 내면적으로 고민을 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자연적으로 생리적으로 끌리는 사랑을 느끼는 이성, 그것도 20대 중반의 나이에.. 어찌 간단히 결단을 내릴 수가 있단 말인가? 이 과정에서 김정훈의 ‘결단의 힘’을 볼 수 있다. 한 인간인 여성에 대한 사랑, 관심, 끌림 등과 신부가 되려는 성소의식이 치열하게 싸우는 듯한 몇 개월로 1973년의 마지막을 보내는 김정훈, 드디어 무서운 결단을 내리며 편지를 쓴다. 신부가 된다는 확고한 결심이다.

J씨 귀하.

이 시각을 위해 사귐을 해 왔다는 말이 과언이 아닐 정도로 저는 초조하리만치 이 순간을 기다려 왔습니다. 뜻밖의 이 글월을 받고 놀라시리라 믿습니다만 끝까지 읽으시기 바랍니다. 이 글이 가능한 근거는 우리가 하느님을 지고(至高)로 모시고 있고, 그 동안 J씨나 저나 거짓 한 점 없이 서로 성실하였다는 사실 자체에 있습니다. 무슨 얘기를 하려는지 벌써 짐작을 하실지 모르나 정말 그렇습니다. 결단을 지금 내려야 합니다. 일찍이 저는 신부행(神父行)을 결단했습니다. 설령 각 사람에게 이미 정해진 길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해도 저의 그 선택에는 후회나 변함이 없습니다. J씨는 제게 너무나도 소중한 분이었습니다. 지난 번에 J씨가 말한 뜻대로 그 동안 우리는 분명 서로에게 성실하였습니다. 그러나 한계가 있다는 것 자체가 피치 못할 불성실의 시작입니다. 반드시 그렇습니다. 제가 J씨를 아끼는 그만큼 이 문제는 절실합니다. 이 문제는 누가 무어라 해도, 어떤 식으로 가설을 세운다 해도 사실입니다. 이 점을 항상 의식한 저는 두려워하면서도 이 시각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한껏 회피하려 했으나 결단은 있어야 할 것이 분명합니다. 그리고 빠를수록 좋을 것입니다. 비참하고 단호한 심정으로 이 글을 씁니다. 저는 이 글을 쓰기가 쉬웠고, J씨는 어렵다고 믿고 싶지 않습니다. 우리의 만남, 사귐이 그렇게 순수했던 것처럼 이 시작도 서로에게 순수해야 하고, 전적인 동의로써 받아들여져야 한다고 믿습니다. J씨는 J씨의 길을 힘차고 명랑하게 가십시오. 저도 제 길을 용기 있게 웃으면서 가렵니다. 이상이 제가 쓰고 싶은 전부입니다. 사실 J씨는 이 글의 진의(眞意)를 잘 알고 계십니다. 저의 집 전화번호도 알고 또 찾을 수도 있지만 저를 찾지 마십시오. 이별은 엄청난 사건이지만 한 순간에 이루어집니다. 저도 결코 J씨를 찾지 않겠습니다.

1973년 12월 26일 김정훈

정중하고 진심이 우러나오는 글이지만, ‘영원히’ 남녀로써 헤어져야 한다는 냉혹한 진실 또한 외면하지 않았다. 미련을 0%도 남기지 않고 그는 ‘결코 J씨를 찾지 않겠습니다.’라는 작별인사로 끝을 내는 그.. 얼마나 괴로웠을 결단이었을까? 그 나이에 나라면 ‘절대로 절대로’ 못하였을 것이고 그렇게도 하지 않았을 것이다. 다음 해 1974년 봄 무렵 유럽 유학을 떠나는 그는 아마도 그 때서야 J씨를 조금은 더 쉽게 잊을 수 있지 않았을까? 그렇게 남녀관계는 알 수가  없는 것이니까..  (Part 2로 계속 됨)

 

First of May, 2016

5월 1일의 친구들이여 용현아, 창희야.. 잘들 있었는가? 다시 5월 1일이 일년을 지나서 우리를 이렇게 ‘허공’에서 만나게 하는가? 허공에서라도 큰 문제는 없지 않는가? 생각과 의식적 역학으로 우리는 일년 동안 계속 만날 수 있으니까. 이래서 일년의 흐름을 가늠하며.. 자네들의 지난 지난 일년, 옛 친구의 정을 이런 찬란한 어머님의 계절에 다시 한번 추억하는 것.. 나쁘지 않네..

코흘리개 원서동 개천시절부터 연인들까지 합세한 대학시절들까지.. 우리의 시대, 역사 속으로 빠르게 사라지고 있지만.. 사진 같은 그런 추억들은 ‘절대로’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 믿고 싶다. 이제는 다시 이 세상의 친구로 만날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지나가는 생각이 들 때는 하찮은 ‘느끼고 보여야만 하는’ 이 세상이 지나면 다른 그림들이 보이지 않을까 생각을 한다.

지난 일년 어디서라도 가족들 모두 건강하게 잘 지냈으리라 믿고 싶고, 우리 집도 하느님의 보호로 비교적 건강한 세월을 보냈다고 말 하고 싶다. 너희들은 분명히 출가한 자식들이 있으리라 추측을 하지만 우리는 아직도 모두 single을 고수하는 이상한 풍조에 휩쓸려 편안한 ‘혼자의 인생’을 고집하고 있으니.. 하지만 나는 이것만은 조금 progressive한 쪽인가..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다. 자기들의 인생은 이미 우리에게서 떠난 것이고, 어떻게 사는 것이 ‘올바른’것인지 그것은 공식이 없지 않은가?

70을 바라보는 시점에서.. 자네들은 나머지 세월을 어떻게 보낼 것인가 생각을 하며 사는가? 나는 아직도 뚜렷한 계획이 없지만 조만간 어떤 ‘계시’를 받을 수 있다는 희망은 버리지 않는다. 예전에 그렸던 노후인생의 모습들은 이제 완전히 사라지고 전혀 예상치 않았던 다른 세계관에 의한 것들이 우리의 앞에 나타나는구나. 아마도 그것이 진정한 평화로 가는 유일한 길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래도,

아무리 ‘나의’ 세계관이 엄청 변했어도 절대로 변할 수 없는 것은 역시 ‘우리들의 시대’에 대한 아련한 추억들일 것이다. 내년 2017년 5월 1일에 다시 만나자! Adios Amigo!

 

창희야, 용현아 그립구나.. 행복하게 살기를..

 

The Student Phenomenon

4.19 에 대한 것, 물론 나의 기억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지만 상당한 부분은 news media에 의한 것들이다. 현장에서 목격한 당시 서울의 일간지가 제일 그렇고 나머지 것 중에는 미국의 LIFE magazine도 한 몫 낀다. 특히 당시의 ‘최첨단’ 사진기자, 기술을 자랑하던 잡지라서 그 역사적 가치는 상당할 것이다. 하지만 사진, 화보 이외에도 사설, 논설 등도 수준급이었는데, 다만 지금 기준으로 보면 조금은 left-leaning (좌향적)  한 쪽이 아니었을까는 생각도 든다. 4.19 학생 혁명이 난 후 처음으로 기사와 화보를 다룬 것이 5월 9일자였고 거기에는 아주 비중 있는 ‘논설, editorial’이 실렸다. 제목이 바로 The Student Phenomenon, 학생현상(?).. 그 전문을 여기에 발췌하였다.

논설의 주제는 바로 ‘학생’들이다. 한국의 학생을 중심으로 세계도처의 학생들, 그들의 사회적, 정치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이 논설을 쓰게 된 동기는 ‘분명히’ 한국 이승만 정권을 ‘무너뜨린’ 4.19 혁명이었을 것이다. 공교롭게도 곧바로 터키에서 4.19 와 비슷한 혁명이 일어났고 ‘이승만의 친구’ 멘데레스 수상이 실각을 하였는데, 미국의 입장에서 보면 조금 난처한 사태가 아닐 수가 없었다. 두 나라가 거의 같은 미국의 ‘맹방’, 제1의 적인 소련의 공산당과 총칼로 맞선 나라가 아닌가? 이 나라의 지도자들을 돕지 않을 수 없는 입장이고 보니 나라 안에 조금 잡음이 있어도 외교적으로 무마할 정도였다. 4.19 혁명 당시도 미국은 한국 학생의 ‘유혈사태 희생자’정도에만 관심을 두었다. 만에 일이라도 이 사태를 이용해서 김일성 개xx가  제2의 6.25 라도 꿈을 꾼다면 그것이 진짜 미국의 악몽이 아니었을까?

아무리 그래도 자기 국민의 지지를 못 받는 맹방의 지도자, 사실 또한 골칫거리였을 것이다. 터키 또한 비슷한 상황이고 보니 한쪽은 ‘한미 상호 방위조약’, 다른 쪽은 나토 NATO로 묶여 있는 상황의 미국, 참 입장이 어려웠을 듯 하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각자 국민이 원하는 방향으로 사태는 흘러갔고 미국의 입장 또한 큰 문제없이 해결 된 셈이다.

LIFE magazine의 논설은 다음 사실을 주목하였다.

이 두 나라의 사태의 ‘근본적’인 원인은 역시 “immeasurable stresses of the cold war” 지독하게 심각한 미국 소련간의 냉전상태 라는 사실. 이 편이 아니면 저 편, 중간이 없었던 그런 심각한 냉전 상태에서 ‘약소국’들은 어쩔 것인가? 그러다 보니 지도자들에게 너무나 많은 권력 남용이 허용되었고, 그들이 독재자로 ‘전락’하게 되었다. 이런 어려운 여건을 견디지 못한 첫 그룹이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 학생들이었다.

미국의 경우, 학생들의 정치에 대한 ‘운동권’ 형성이 이제까지 거의 없었던 이유는 ‘아마도’ 미국이 독립하는 과정의 혁명이 ‘완전한’ 것이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미국의 문제는 아마도 ‘노예제도의 전통’을 고수하는 주들과 연방정부간의 마찰, 충돌이다.

이어서 논설은 유럽의 사례를 들며, 1848년 Hungary 의 학생을 중심으로 한  ‘무정부주의, 허무주의, 사회주의’ 운동을 예로 든다. 근래의 예로써 1956년 역시 Hungary의 소련침공을 유발시킨 ‘자유운동’을 들었다. 대부분의 학생운동들은 결과적으로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갔지만, 극단적인 예외는 세계 제1차 대전을 유발시킨 ‘사라예보사건’ 이었다.

논설은 다시 LIFE magazine의 progressive value를 다음과 같은 ‘미국 흑인차별’의 사건들에서 나타내고 있다.

미국의 South (남북전쟁의 남쪽 측)에서 흑인 학생들이 제도적인 흑백차별에 항의해서 식당 같은 곳에서 백인들 옆에 앉아서 식사를 하는 ‘데모’를 벌리고 있고 미국 전역에서 지지를 얻고 있다. 이런 ‘남측의 웃기는 전통’에 대항하는 이런 운동이 가능하게 된 것은 아마도 신세대들이 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덕이 아닐까.

동정적으로 이승만 대통령을 보는 논설은, 학생들이 정부의 극단적인 탄압적인 정책에 반발을 한 것으로 보았다. 그것은 사실이었다. 3.15 부정선거를 비롯해서, 정치깡패, 정치경찰들이 얼마나 웃길 정도로 비행을 저질렀던가? 그저 휴전선 넘어 김일성 개xx가 ‘무서워서’ 침묵만 지키던 일반 국민들과 달리 대학생들은 그런 목불인견 적인 꼴들을 못 참았을 것이다. 그런 백주대로 강도 같은 정책을 싫어한 것은 한국 대학생만이 아니었음을 주지하는 논설은 당시의 국무장관 ‘허터 Herter‘와 아이젠하워 Eisenhower 대통령을 예로 들었다.

아무리 맹방이고 소련에 대항하는 동맹국이라고 해도 미국의 기본적인 자유의 가치를 저버리는 것은 용납할 수가 없다. 탄압적인 정책이 안보를 위한 일시적인 것이 아니고 ‘영구적인 정책’이어서는 안 된다. 국무장관 허터와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생각도 마찬가지인 것이다.

남미에서 일어난 학생운동에 대한 것도 거의 같은 ‘미소 냉전’의 산물이었다. 공산당을 잡으려는 부패정권에 대항한 학생들의 데모와 항의에 의한 것이다. 하지만 아무리 어려워도 ‘자유를 억압’하는 것은 참을 수가 없다는 미국의 기본 자세는 이곳에서도 변함이 없었다. 남미의 좌익을 지지하는 학생들이 쿠바 카스트로 를 왜 미국에 반대하는가 항의를 했을 때,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대답은 간단했다. 카스트로 Fidel Castro 가 ‘공약’을 어기고 ‘자유를 억압’ 했기 때문이라고 한 것이다. 바로 기본적인 ‘자유’가 모든 것의 밑에서 흐르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논설은 한국과 터키의 학생들을 지지하는 결론을 내린다.

학생들이 생각하는 불만사항을 들어주는 것이 옳은 것이다. 이것은 미국만이 아니고 전 세계가 기대하는 것이기도 하다. 특히 미국의 credo가  Don’t tread on me! (밟지 마!)라는 사실임을 주지해야 한다.

논설을 4.19혁명이 난지 66년이 지난 뒤에 읽으니 격세지감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그 때나 지금이나 상황적으로 가치적으로 변한 것은 거의 없다는 느낌이니까. 기본적인 ‘사회적, 정치적’ 자유가 무엇인지를 알고 있으면 역사의 잘못을 되풀이 하지 않을 것이고.

이 논설이 조금 과소평가한 낙관적인 분석은: ‘미국 학생들은 절대적 자유가 보장된 덕분에 조용할 것이다’ 라는 것.. 이 논설이 쓰여진 지 불과 10년도 되지 않아서 미국은 역사상 유례없는 ‘반정부 학생운동’의 전성기를 겪게 되니까.. 월남전의 정당성에 대한 불만에 의한 것, 이것은 반대로 지나치게 자유가 ‘보장, 허용’ 되어서 그랬던 것은 아닐까.. 역사적인 irony가 아닐 수가 없다.

 

LIFE cover
LIFE cover

There is a fascinating pattern emerging in Latin America, Korea and now Turkey. What is taking place in these widely separated lands is an outburst of resentment by university students against governments which – partly as a result of the immeasurable stresses of the cold war – have become tyrannical. And what the students are proving – which free men must of course welcome – is that young, spirited and determined people can still make tyrants tremble, and even totter.

Political revolt by university students is a well-known story abroad, thought not common to our own land. This may be a reflection on the seriousness and maturity o f U.S. students but, whatever the cause, other students around the world are politically minded by traditional and are accepted as a dynamic political force.

Perhaps the contrast exists because our own revolution was so complete – in establishing the basic freedoms of conscience, press and speech for once and all – that there has been no need to question what it has settled. The greatest challenge was met in our War Between the States which settled forever that no man may be another’s master.

In Europe, where things have been different, it was a young poet, Sándor Petöfi, who in 1848 set off the revolution in Hungary against the tyranny of the Habsburgs, only to be crushed later by the Russian czar. And it was the students of Budapest again in 1956, acting in the name of Petöfi, who overthrew – if only briefly – the czar’s successors. Serious, impassioned Italian students were the backbone of Garibaldi’s Risorgimento. In France, it was students who in 1897 rioted in defense of Captain Dreyfuss. Students were the nihilists, the anarchists, the Marxists of Russia. What all these movements had in common was idealism backed up by willingness to fight. Sometimes this violence was bent to good ends and sometimes ill. It was, we must remember, a Bosnian student named Princip who at Sarajevo lit the fuse which doomed more than eight million men.

Most of these revolts of the young have been beneficial. We are seeing something of that sort now in our own country. By their sit-ins Negro students in the South are demonstrating the silliness of a system which denies the right of humans to eat alongside one another. They are getting an impressive amount of support from which students outside the South. They are getting some, too, from which students in the South, who find they cannot rationalize or defend these paradoxes. The spread of education in the South has produced a force to make men think.

The students who have overthrown the government of Syngman Rhee in Korea have obviously been stirred to the depths by oppressive practices. Rhee’s motives were understandable in a land which has been horribly devastated by Communist incursions and must still live beneath the gun of possible new attacks. This is true in Turkey, which lies immediately beneath the guns of the vast Soviet Union and is subjected to continuous and insidious subversion. Yet, when all is said and one, the fear of losing freedom can never be made an excuse for suppressing freedom – certainly not as a permanent policy.

The demonstrating students who are insisting on freedom have an ally in Secretary of State Herter. In his denunciations of the killings of South Africa and Korea, he has made clear that he will not allow the common interests of defense to put the U.S. in the position of endorsing practices which offend our basic principles. The students have another wise friend in President Eisenhower. On his Latin American visit Chilean students asked him trenchant questions about our alleged hostility to Fidel Castro. The President’s written answer to them left little more to be said: Castro has betrayed “the ideals of freedom of expression, equal protection of the laws, and the right freely to choose a representative government.”

Of course, that is also what Rhee did, and what Menderes is doing in Turkey. Students are letting them know that the time is later than they thought – and are right to do so. And we are right to endorse their legitimate grievances and their right to have them redressed. That is what the world would expect – and is entitled to expect – of a nation born in revolution and whose credo was, “Don’t tread on me!”.

 

아래의 사진을 보라.. LIFE에 실린 내 또래 아이들의 모습들.. 국민학생, 중학생이 섞인 이 데모는 4.19 이후 계엄령이 선포되면서 송요찬 장군휘하의 계엄군이 탱크를 몰고 시내 중심을 장악했을 때 ‘군인 아저씨 우리를 쏘지 마세요’ 라고 다시 학생들이 그것도 어린 아이들이 외쳤다.

당시 계엄군은 ‘정치적 중립’을 고수하며 자기 국민을 ‘보호’하였다. 1년 뒤 5.16으로 ‘그 고마운 군인아저씨’ 들 자신이 정권을 잡았다. 이 사진을 유심히 보며.. 서울 시청을 뒤로하며 남대문 쪽으로 행진하는 아이들.. 바로 나를 보는 듯 했다. 꾀죄죄한 구제품 옷, 신발, 교복을 ‘걸치고’ 골목 뒤에서 놀다가 나온 모습들.. 바로 나의 모습, 이 사진의 ‘아이’들 다 70을 바라보는 할아버지들이 되었을 것인데 그 날 ‘형님 학생’들에게 이끌려 나온 사연이나 기억하고 있을는지..

 

4.19 이후, 서울 중심가 악동들의 절규와 호소..

4.19 이후, 서울 중심가 악동들의 절규와 호소..

 

4.19 아침인가..

아침에 달력을 보니 4월 19일.. 화요일, 물론 4.19라는 숫자는 56년이나 지났어도 어제처럼 느껴짐을 피할 수가 없다. 그만큼 비록 세월의 깊이에 맞게 뇌의 깊숙한 곳에 잠겨있어도 아주 ‘큰’ 세포에 간직된 것이라 그럴 것이다. 그리고 화요일.. 이었다. 1960년의 4월 19일도.. 99% 화요일이었다는 기억. 56년이란 세월이 지났다는 사실에 조금은 실망을 함은, 그 세월이 그렇게 역사 책에서나 볼 수 있는 긴 세월이 아니었다는 사실이다. 어렸을 때 일제 36년, 유럽의 100년 전쟁.. 등에서 느꼈던 그 햇수는 너무도 길었던 것이지만 내가 이런 56년을 어제처럼 기억하게 살면서 느낀 것은 너무나도 짧았다는 사실이 조금은 등골이 오싹한 것이다.

'전투' 대학생, 고대 형님들의 절규의 함성, 국회 의사당 앞에서

‘전투’ 대학생, 고대 형님들의 절규의 함성, 국회 의사당 앞에서

당시의 데모 열기 함성과 카빈 소총 소리, 어는 곳에서나 볼 수 있는 수 많은 군중들.. 그렇게 찬란한 4월의 계절은 소음과 정적이 교차하는 순간들이었다. 모든 학생들의 새카만 교복의 물결, 심지어 대학생 형님들까지도.. 모두 한 덩어리가 되어서 뛰고, 트럭을 타고, 소방차를 타고 서울의 중심가를 돌고 도망가고 숨고 쓰러지던 그 때.. 모습들.

우리의 아버지 이승만 대통령이 하루아침에 역적으로 공격을 받던 날 우리 중학교 1년생의 혼란한 심정.. 누가 누구를 쫓아가고 쫓겨가던가.. 누가 우리의 역적이던가? 우리들은 그저 놀란 얼굴로 바라만 보았다. 난생 처음으로 들려오던 요란한 카빈 소총 소리들.. 종로 경찰서 지붕에 설치된 만화에서만 보던 ‘기관총’들.. 곧 이어 아스팔트 길에 우람한 바퀴자국을 내며 웅장하게 들어오던 탱크의 무리들.. 4월 달.. 4월 달 ,1960년의 찬란한 꽃이 만발하던 4월 달이었다.

쓰러진 형님, 누나들.. 그렇게 가난하지만 희망을 잃지 않고 싸우던 그들.. 지금은 다 어디에 가셨는가? 그들은 과연 그들이 싸우던 목적을 이루며 살았던가? 혹시 그들도 나중에는 ‘역적’들과 같은 무리를 닮아가지는 않았던가?

 

Axis of Power, 권력의 축: 이승만, 프란체스카, 이강석, 이기붕, 박 마리아

Axis of Power, 권력의 축: 이승만, 프란체스카, 이강석, 이기붕, 박 마리아

이승만, 이기붕, 이강석, 프란체스카, 장면, 윤보선, 허정, 그리고 장도영, 박정희.. 꼬리에 꼬리를 물고 기억의 열차에 남았던 역사 속의 그들.. 모두 어디에 있는가? 젊으셨던 우리 어머니, 그래도 이승만의 잘못을 지적하시던 지성을 가지고 침묵으로 우리를 가르치셨고, 우리는 아직도 그 말의 뜻을 새기고 감사하며 산다. 역사는 돌고 돌지만 그것에서 배우고 최소한 되풀이 하지 않는 ‘자유의지’를 가진 인간들이기에 희망은 버리지 않는다. 2016년 4월 19일, 싸늘한 아침에 머리를 맴도는 넋두리, 이렇게 정리를 하지만 전혀 정리가 되지 않음을 안다. 그것이 정상이다.

뼈 저리는 그리움의 아픔이..

연말이라 또 그런 것일까? 아니다.. 나는 이런 참을 수 없는 가슴 속 깊숙한 곳으로부터 나오는 뼈 저린 아픔과 그에 수반되는 참을 수 없는 눈물을 주체할 수가 없을 때가 적지 않다. 물론 눈물을 쏟아내면 이상하게 시원함이 따른다. 하지만 아련한 아픔은 잔잔하게 남는다. 엄마와 가족들을 그리는 원초적, 생물적인 본능일까.. 아니다 그보다는 후회와 안타까움으로부터 나오는 참회의 눈물임이 분명하다. 곁들여.. 나의 아련한 옛날 옛적, 이제는 분명히 70년에 가까워지는 길어지기만 한 나의 인생역마차, 역정, 누나와의 운명적인 이별의 인생.. 이런 것들이 나를 ‘비극의 주인공’으로 만드는 듯 하고, 나는 ‘불행한 인간’이라는 주체할 수 없는 괴로움에 젖는다.

비록 근래에 나는 다시 찾은 신앙의 도움으로 가정과 나의 주위에서 제자리를 찾아가고, 제 정신으로 돌아오고, 하느님의 세계관에 의한 인간과 인생의 근본적인 위치를 알았다고는 하지만, 나의 옛적부터 쌓인 그리움의 기억들은 ‘조금도’ 지울 수가 없다. 아니 지워서는 안 된다. 절대로 안 된다. 그것이 나인 것을 어찌하랴? 하지만 나는 예전의 사고방식으로 이 그리움의 노예가 되기는 싫다. 새로 만난, 찾은 세계관에 의한 새로운 의미의 그리움, 그 속에서 포근한 安住感을 느끼고 싶은 것이다.

포근한 엄마의 자상한 ‘경우야~ 걱정 마’ 하는 말씀이 듣고 싶다. 나를 위로할 수 있는 존재는 나에게 현재 없다. 엄마의 그런 따뜻한, 무조건적인 사랑의 위로의 말씀을 나는 이제는 들을 수가 없다. 내가 상상할 뿐이다. 하지만 이제는 조금씩 나의 다른 어머니 성모님과 개인적으로 친해지려고 노력을 하면서 그런 ‘무조건적 사랑’의 말씀을 들으려고 노력은 한다. 우리 쓸쓸한 가족 3명이 살던 시절을 그린다. 나를 그렇게 보금자리 같은 곳으로 느끼며 자라게 해 주셨던 나의 어머님의 헌신적인 노력 덕분에 나는 따뜻한 곳에서 이렇게 달콤하고 포근한 추억들을 만들 수가 있었다. 그것을 나는 비록 감상적이긴 하지만 나의 보물로 간직하며 사랑하고, 즐거워하고 있지 않은가?

이런 느낌을 남에게도 나누어 주고 싶지만 그것이 쉬울까? 요새 우리부부가 돌아다니며 노력하고 있는 봉사활동이 그런 것에 속할까? 얼마나 우리는 그런 포근한 사랑을 나누어 주고 있는 것일까? 어둡게 살고 있는 사람들, 나는 그들의 기분을 알 듯하다. 하지만, 하지만 어떻게 그들에게 내가 받은 사랑을 나누어 줄 수 있을까? 어떻게 남은 삶을 사는 것이 제일 보람된 방법일까? 묵주기도 속에 그것의 해답이 있을까? 새해를 맞이하며 계속 기도를 해 보자.

깡패 유감 有感

bully-1깡패.. 흠.. 참 더럽고 싫은 말 중에 하나다. 귀여운 깡패도 없는 것은 아니겠지만 나에게는 99.99999% ‘증오의 대상’ 중에 하나다. 이 말이 주는 ‘더러운’ 느낌은 내가 어렸을 때부터 있었고 요새도 있는 것으로 보아서 참 잘 만들어진 단어라는 생각이 든다. 그 어원은 무엇일까? 깡+패.. 그러니까 ‘깡, 오기’를 부리는 ‘패, 거리’ 정도 아니었을까? 소리지르고 깡만 부리면 통한다고 생각하는 불쌍한 쓰레기들인가.. 상관없다. 싫고 증오스러운 것은 변함이 없으니까.

나의 blog에서 ‘회고록 류’ 그러니까 memoir 는 가장 쓰기 힘든 것이지만, 그만큼 쓰는 보람은 그에 비례해서 제일 크다고 할 수 있다. 문제는 그 회고가 즐거운 것인가, 괴로운 것인가.. 에 따라서 일어나는 감정은 참 다르다. 그러니까 즐거운 추억이나 개인 역사를 더 잊기 전에 더 쓰고 남기고 싶었고, 나의 blog에서도 대부분 아련한, 즐거운, 포근한 그런 추억들을 주로 쓰곤 했다.

반대로 기억하기 괴로운 것들은 어쩔 것인가? 당연히 요리조리 피하며 생각조차 하고 싶지 않은 것인데,그 중에서 ‘깡패의 추억’은 가히 괴로운 것 중에 괴로운 것, 잊고 싶은 것이다. 어떤 ‘개인적 사건들’은 가끔 자다가도 벌떡 일어날 정도로 잊고 싶었던 것들인데 분명히 나의 잠재의식 깊은 곳에 버젓이 살아 있어서 그럴 것이다.

하지만, 하지만 나의 나이가 70에 육박하면서, 조만간 早晩間 에 나는 이것을 정리하여야 한다는 강박감은 항상 가지고 있었고, 이것은 사실 불편한 것이어서 성당에서 고해성사 告解聖事하는 기분으로 깡패의 추억들을 다 ‘정리 해고’하고 싶었던 것도 사실이었다. 이것, 숨어있는 ‘이글거리는’ 증오심도 나의 dark side의 일부가 되었다면 나는 이것을 가끔 하는 고해성사에 포함시켰어야 되었을 것이지만 그만한 값어치 조차도 나는 여기에 포함시키지 싫었다.

깡패, 깡패들.. 내가 말하는 깡패는 100% 소위 말하는 ‘조무래기, 피래미 급’으로 이들의 특징은 철저히 ‘약육강식’의 쓰레기 철학으로 무장하고 자신들의 불만과 욕구를 철저히 채우려는 한마디로 ‘불쌍한 쓰레기’급 인간들이다. 문제는 그들의 연령층인데.. 유감스럽게도 내가 말하는 인간들은 모두 미성년이거나 지독히 젊었던 깡패들이어서 이것은 지금은 조금 다시 생각을 하게 되었다. 어떠한 환경이 그들에게 선택의 여지가 없게 만들었을까 하는 사실이다. 그 ‘쓰레기’들이 과연 자기들이 하는 짓이 옳은 것인가.. 한번이라도 생각을 해 보고 한 것이었을까.. 집단심리에 의한 불우하거나 불행한 자기 환경의 산물이었을까.. 하는 것이다.

내가 자라던 6.25 이후의 역사적인 환경은 사실 어쩔 수 없는 깡패들을 무수히 배출하여야만 했던 암울하고 가난하고, 법 이전에 주먹이 훨씬 효과적이었던 그런 시절이긴 했다. 게다가 급수가 아주 높았던 ‘정치깡패’들이 판을 치던 그런 시절도 겪었다. 한마디로 ‘법치국가’란 것은 말 뿐이던 ‘폭력의 사회’ 가 생활의 일부가 되었던 6.25 전쟁 후의 대한민국 실정.. 나는 그런 ‘남자들의 험악한’ 환경에서 알맞게 적응을 못했던 것이었을까? 특히 가부장제가 굳건하였던 그 시절 아버지 없었던 집의 내성적인 남자아이가 사회적으로 겪었던 것은 남들보다 더 심각한 경험들이었다.

이번에 더 미루지 못하고 ‘깡패의 추억’을 논하게 된 마지막 계기는, 얼마 전 같은 성당구역의 교우형제의 이야기를 들었을 때였다. 그 형제님 왈 曰.. 자기가 “깡패였다”고 서슴지 않고, 당당하게 말하는 것이 아닌가? 조금도 주저함이나 부끄러움이 그 태도에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그는 나이 탓인지 예전에 보던 그런 ‘나쁜 깡패’의 인상을 풍기지도 않았다. 모두들 오래 전의 아련한 추억 정도로 무협영화를 보는 정도로 들은 듯 하였지만 나는 복잡한 생각 뿐이었고, 이렇게 ‘정리해고’를 더 미룰 수는 없다.. 는 생각을 굳힌 것이다. 옛날 옛적의 ‘나쁜 놈들’ 이들을 용서할 것인가, 죽을 때까지 증오할 것인가?

내가 반세기도 넘는 옛날 옛적 70년대 초 미국에 처음 왔을 때 느낀 것도 깡패에 관한 것이었다. 이 나라 이 땅에는 주변에 추악한 깡패들이 안 보였던 것이다!  최소한 나의 눈앞에 그 놈의 ‘쌍판’들이 보이지 않았다. 아하! 내가 살 곳은 바로 이곳이로구나.. 쾌재를 불렀고 그 이후에도 나의 주변에는 깡패가 단 한 명도 등장하지 않았다. 어떻게 된 것인가? 왜 이렇게 같은 지구 위에서 사는 곳이 다른가?  경제적인 요인이 제일 먼저 떠 오르고 다음은 사회, 문화적인 것 등이 있지만 결과는 모두 ‘종합판’일 것이다. 복합적인 것들..

미국에도 bully 정도의 ‘순한 깡패’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내가 경험했던 ‘한국판 bully’와는 game이 안될 정도다. 욕을 하는 정도가 하늘과 땅의 차이고, 폭력의 정도도 마찬가지다. 모든 ‘불운과 잘못’을 남에게 전가하며 남을 괴롭혔던 대한민국 조무라기 깡패들, 한마디로 ‘쓰레기 중의 쓰레기’였다. 내가 이들에게 괴롭힘을 당할 때 정말 무서웠던 사실은 ‘맞아서 아프고 수치심을 느끼고’ 하는 것 보다는 ‘꿈에라도 기관총으로 이들을 모조리..’ 하는 생각이 들 때였다. 상상이지만.. 이것이 상상에서 벗어나는 것도 상상을 했기 때문이었다.

이런 나의 괴로운 추억들도 나이가 들면서 다 수그러지고 조금씩은 ‘자비’의 심정으로 그 쓰레기들을 이해하려고 노력도 하게 되었다. 내가 그들의 입장이었으면 어땠을까.. 하는 ‘반전 scenario’도 생각할 정도였다. 하지만 마음 속 깊은 곳에서는 역시 ‘나는 절대로 그런 쓰레기가 될 수가 없다’.. 였다. 그 쓰레기들.. 환갑을 넘기고 칠순을 바라보는 나이에 자기들의 과거를 어떻게 회상을 하며 손주들에게 이야기를 해 줄까.. 재미있는 상상도 꼬리를 문다. ‘할아버지가 옛날에 깡패였고, 누구누구를 매일 패 주었다’ 고 자랑을 할까.. 아니면.. 조금이라도 자기에게 괴롭힘을 당한 애들에게 조금이라도 미안한 심정이 들었다면 괜찮은 노후를 맞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꿈 속에 ‘기관총으로 모조리..’ 라는 표현을 생각하며 나는 다시 한번 놀란다. 미국은 근래에 들어서 ‘깡패들에게 괴롭힘을 당한 아이’들이 실제로 ‘기관총 급의 무기’로  깡패들은 물론 옆에 있는 수많은 무고한 사람들을 쓸어버리는 mass shooting이 다반사로 일어나는데.. 나는 100% 그 ‘정신병자, 피해자’를 이해할 수 있다. 그들의 mindset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것들 모두 극단적인 case이지만.. 원인을 따져보면 ‘쓰레기급 깡패’에게 책임이 없는 것이 아니다.

이제는 정말로 나의 마음 속 깊이 수십 년간 눌려있었던 나쁜 추억, 잠재의식, 분노..등을 ‘정리해고’할 때가 왔다. 나를 괴롭혔던 ‘쓰레기’들.. 용서하고 싶고 그들도 진정한 회개를 하며 노후를 맞이하기 바라는 마음이다. 잊을 수는 없겠지만 그들을 용서하려는, 하는 나의 의지는 변함이 없다. 혼자의 힘으로 안 되면 ‘높은 곳’의 도움을 청하고 싶다.

 


Sam the Sham & Pharaohs – Wooly Bully – 1965 

 

El Niño winter, Advent spirit, 또 찾은 사람..

Still, I'm dreaming of white.. in my old dream
Still, I’m dreaming of white.. in my old dream

¶  El Niño Christmas Holidays   한 마디로 ‘따뜻한 성탄절’을 말한다. 지나간 몇 년간 이곳 지역은 아주 추운 겨울을 경험했지만, 그런 weather system이  Northeast지방(I-95 corridors, New York, Boston)에서는 물러가는 모양으로 National news 에서는 온통 ‘따뜻한 겨울’이 뉴스거리가 되고 있다. 지난 5년간은 이 지역에서는 희귀한 white Christmas도 보았고 고드름과 폭설 같은 ‘북방’에서만 볼 수 있던 것도 보았던 세월이어서 사실 holiday의 기분을 마음껏 느낄 수는 있었다. Northeast 지방에서 그런 기후 pattern이 서서히 물러가는 모양으로, 이것이 ‘엘 니뇨‘ 현상이고 하는지 (따뜻한 태평양 수온), 앞으로 몇 년간은 그쪽 지방은 다시 비교적 조용하고 ‘따뜻한’ 성탄절이 되는가 보다. 우리가 사는 Southeast지방은 3개월 장기예보가 ‘wetter, cooler’ 라고 나와서 겨울이 가기 전에 눈(雪)같은 것을 기대해 볼만하지만  이번 성탄절을 즈음한 날씨는 ‘wet, very warm’이라고 예보가 되어서.. 미리 심리적으로 ‘white Christmas는 물 건너 갔다’ 라고  마음의 준비를 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Advent, advent.. waiting & waiting .. with 4 candles

Advent, advent.. waiting & waiting .. with 4 candles

 

¶  Advent spirits, 2015   나의 전통적인 12월은 한마디로 Charles Dickens 의 classic  A Christmas Carol 에 나오는  Christmas Past 라고 할 것이다. 평소에도 “현재보다는 과거”를 더 많이 생각하면 사는 나에게 12월이 되면 어떨 때는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감상적 늪에 빠지기도 한다. 설상가상 雪上加霜으로 나이가 ‘고령 高齡’으로 접어들면서는 나이를 더 먹게 되는 년 말이 되면 더욱 축~ 쳐지고, 우울해지기도 하는 괴로운 시기가 되기도 했다. 내가 ‘비정상’인지는 확실치 않아도 분명히 ‘정상적’인 것 같지는 않아서, 나의 감정이나 느낌을 남에게 보이기도 싫었다. 한마디로.. 결국 12월은 심지어 즐겁지 않았던 season으로 변하고 있었다. 하지만.. 수년 전부터 ‘서서히, 천천히’ 나는 이런 ‘bad trap’ 에서 벗어나기 시작해서 올해는 현재까지 중에 ‘최고’의 spirit을 찾게 되었다. 그러니까.. Christmas present를 찾게 된 것이다. 거의 “기적”과 같은 이 변화는 어떻게 가능했을까.. 참 인생이란 오묘하기만 하다.  

예전에 비해서 눈에 띄게 달라진 것 중에는: (1) Holiday decoration은 빨라도 12월 20일 이후에 하고, (2) Christmas carols, movies 같은 것도 그 이후에 즐기고.., (3) 가급적 holiday shopping같은 것을 피하고 정 필요하면 딱 하루 날을 잡아서 하고, (4) 진정한 성탄 holiday는 12월 25일에 시작이 되어, 다음 해 1월 5일 (12 Days of Christmas) 이후까지 지속된다. 작년에 이런 것들을 부분적으로 단행했는데, 결과적으로 너무나 뒤 느낌이 좋았다. 올해는 ‘모두’ 실천을 해 볼 계획으로 오늘까지 Christmas tree 장식 같은 것을 hold해 오고, carol이나 movie같은 것도 안 듣고, 안 보고 있다. 어떨까? 이것은 사실 ‘교회’에서 오랫동안 권장해 오고 있는 것들이지만.. 이제야 그 참 의도를 알 듯한 것이다.

과거에 성탄 전날까지 요란법석 시끌벅적 하다가 성탄 아침에 무섭게 선물을 나누어 뜯어 ‘버리고’, 거의 거짓말 같이 ‘모든 것’이 끝나던 정말 괴상한 풍습.. 어떻게 우리가 그렇게 보냈을까.. 성탄 씨즌이 성탄절부터 시작이라는 간단한 사실을 어떻게 그렇게 외면하며 살았는지.  좌우지간 이러한 것이 그런대로 진정한 ‘대림절의 정신’일 듯하다.

 

¶  염경자 누나   바로 얼마 전에, 나의 2011년  blog post: ‘가회동의 추억‘에 누가 찾아와 댓 글 comment를 올려 놓았다. 알고 보니 그 ‘사연’은 정말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가 없었고 꽤 놀라기도 했다. California (LA area)에 사시는 나와 같은 재동국민학교 졸업, 6년 정도 후배, 송요한 씨가 그 주인공인데, 오래 전 가회동에 같이 살았기에 나의 글을 찾았고 본 듯하다. 게다가 레지오 단장을 역임한 같은 천주교 교우.. 그러니까 송요한 형제님, 얼마나 반가운 사실인가? 자세한 것은 모르지만 가회동 내가 살던 곳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을 곳에 사셨던 듯하지만 내가 더욱 놀란 것은 내가 살던 ‘주인’ 집의 ‘미인중의 미인‘, 막내 따님 염경자 누나를 알고 있었다는 사실이었다.

참, 인연도 묘한 것이.. 송형제의 wife와 염경자 누나가 같은 항공사 스튜어디스 출신이라고 하며 그것도 같은 지역에 사신다는 것이다. 그래도 그렇지.. 어떻게 그렇게 연관이 될 수가 있을까? 그러니까 희미하게 알고만 있던 ‘주인집’ 소식을 조금 더 자세히 들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의 어린 시절의 추억이 흠뻑 젖었던 그 당시의 한 가족들을 찾은 것이다. 이것으로 tiny blog의 ‘무서운 위력’을 다시 실감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세월은 흘렀지만 추억과 기억이 변할 수는 없을 것이고 그런 것을 나눌 수 있는 ‘인연의 사람’들을 다시 찾는 것은 오래 산 보람이라고 할 것이다.

impromptu helper team, 12.12 redux

¶   어제는 ‘아픈 나의 몸’ 때문에 한 주일을 걸렀던 ‘금요일 봉성체 동행’ 봉사자로 연숙과 순교자 성당엘 갔다. 젊은 엄마 환자, 허 자매님의 봉성체가 이제는 고정적으로 금요일로 정해지면서 우리에게 금요일 정오 평일미사를 순교자 성당에서 참례하게 된 것은 무슨 큰 의미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조금은 이곳에서, ‘한국식 가톨릭 문화’ 에 가까워짐은 느낀다.

몇 주전부터 시작된 ‘교우 환자 허 자매님 돌보기’는, 주말을 빼고 거의 매일 (4일) 돕기 위한 작은 helper team이 순교자 성당 소속 레지오 단장들을 중심으로 ‘급조’가 되어서 현재까지 큰 차질 없이 진행 되어오고 있는데, 이것은 본당주임 이재욱 신부님께서 허 자매님을 집으로 방문하신 후에 즉각, 직접 레지오에 봉사 활동을 부탁하신 결과였다. 이 과정을 바로 옆에서 직접 목격한 나는 이신부님의 ‘사목 스타일’을 한눈으로 볼 수가 있었는데, 진정한 가톨릭 목자의 온유함과 측은지심을 느낄 수가 있었다.

허 자매님, 비록 식구들의 따뜻한 보살핌을 받고 있다고 하지만 문제는 낮 시간에 집이 비어있는 때가 많아서 식사나 거동에 큰 불편을 겪고 있었고 심리적으로도 외로움을 느끼고 있어서 이렇게 봉사자들이 필요한 것으로 현재까지 봉사자 ‘자매’님들 열심히 성심껏 활동을 하고 있고 봉사 후에는 Kakao  ‘group’ Talk으로 간단한 보고를 곁들인 소감을 나눈다. 한결같이, 이구동성으로 모두들 봉사를 한 것에 비해서 무언가 얻고 느낀 것이 더 크다고 입을 모은다. 어떨까.. 이럴 때 ‘기동성과 조직력, 동원력’을 골고루 갖춘 레지오의 조직과 특성이 가장 빛날 때라는 것을 느끼게 되어서 외로울 수 있는 연말연시에 따뜻하고 훈훈한 느낌을 주고 있다.

 

¶   십이십이, 1979년 12월 12일, 36년 전..  바보처럼 손가락으로 햇수를 한참 세고 나니 바로 36년 전이라는 해답이 나온다. 이제는 사실 30년 정도는 긴~ 세월의 축에 끼지도 않을 정도로 ‘진짜 긴 세월’에 익숙해 졌다. 아.. 이것이 바로 ‘나이 듬’에서 나오는 공짜로 받는 지혜요 고집인가보다.

사실 35년 전이라고 생각되는 작년 12월 12일 나의 blog post가 빠져 버린 것을 기억한다. 이날을 유난히도 추억의 명단에 넣고 싶은 나의 희망이 작년에는 무언가 바쁘게 느껴졌던 당시의 상황은 그런대로 기억을 하지만 글로 남기지 않았던 것이 일년 내내 후회가 되기도 해서, 이번에는 작심을 하고 몇 자라도 남기려 하고 있다.

이날을 기억하고 싶은 이유는 몇 년 전 나의 blog post에서 밝혔듯이 현재 우리 가족이 있게 해준 결혼이 결정될 무렵이었기 때문이었다.

1979년, 부모를 잃은 장녀, 박근혜
1979년, 부모를 잃은 장녀, 박근혜

사진같이 선명했던 꿈같은 당시의 느낌과 광경들이 실로 세월의 횡포에 서서히 물러나가는 듯.. 희미해짐을 실감하고 나는 슬픈 심정을 누를 수는 없지만 이것이 순리요 자연의 법칙 임도 알기에 겸허하게 받아들인다. 총각이던 그 시절 나의 mindset은 어떠한 것이었을까, 자유스러운 것일까, 불안한 것이었을까?

평생 ‘대통령’으로 머리 속에 남아있는 ‘박정희 대통령’이 사라진 그 당시, 솔직히 일생일대의 대사였던 ‘결혼’, 나의 미래인생을 설계하던 그 당시에 ‘대통령 유고’, ‘전두환 등장’ 등은 나에게 아무래도 첫 관심사는 아니었다. 서른 살이 넘었어도 지금 생각하면 나는 그 정도로 유치했나? 나라의 미래보다는 나의 미래에 더 관심을 쏟던 그 시절이었다.

그 와중에 ‘정치적인 이유’로 12월 12일은 후세에 역사로 남았지만 나는 당시에 거의 전혀 무슨 일이 그날 일어났는지 관심 밖이었다. 전두환이란 이름도 생소했지만 외신에 의해서 그가 현재 정치적으로도 제 1 강자로 부각하고 있다고는 들었다. 하기야 서울을 장악한 수경사란 것이 그의 것이었으니 이해하기에 어렵지는 않았다.

그날, 나와 결혼을 약속한 연숙은 그녀의 이화여대 지도교수(박사과정) 김숙희교수를 김포공항으로 보러 갔었다. 김교수는 현재는 유명인이 된 도올 김용옥의 누님이었고 독신으로 이대 총장을 바라볼 정도로 실력자이기도 했는데 그 당시 그녀는 미국의 어떤 대학으로 ‘출장’을 출국을 하던 참이었는데.. 나는 그녀에게 끌려 ‘인사를 하러’ 나가게 된 것이었다. 마음이 크게 내키지는 않았지만 결혼식 전에 다시 못 볼 것이라 인사를 하여야만 하게 된 처지가 되었던 것이다.

그날, 기억이.. 참 매서운 겨울바람이 몰아치던 김포공항 가는 길.. 우리는 한참을 걷게 되었는데 그날 내가 처음으로 그녀의 손을 잡은 것이 우리에게 ‘추억의 12.12’로 만든 계기가 되었다. 장갑을 끼지 않은 손을 잡았으니 사실 그것은 고역이었을 테지만 젊음은 좋은 것이었나 보다. 따뜻한 체온이 전해옴을 느낀 것이 기억의 전부였다.

우리는 ‘큰 사고’없이 김포공항으로부터 한강교를 넘어서 집에 왔지만 그 이후부터 한강의 모든 다리들이 차단이 되었다. 전두환 대통령시해 조사본부장 전두환의 휘하 계엄군 부대들이 한남동 육본 총장공관으로 출동, 정승화 총장을 체포하는 과정에서 무력충돌이 일어났고, 이것이 전두환 혁명의 최초의 시발점이 되어서, 전두환은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고 말았고, 이후는 모두 역사가 되었다.

아~~ 세월이여.. 1979년 12월 즈음의 나의 주변과 세상은 과연 어떤 것들이었을까? 어떤 냄새를 가지고 있었던 세상이었을까? 간신히 나의 인생 반려자의 얼굴과 체취를 익히기 시작하던 꿈같은 시절.. 민족중흥 박정희 대통령의 서거, 전두환의 등장, 지미 카터가 이란 인질사태로 악전고투를 하던 시절, 미국 소련의 냉전, ideology 에 의한 세계질서, 공산당이 제일 무섭던 시절.. 참~~ 세상 많이도 변했구나. 그 동안 우리의 새 생명들이 어느덧 30살을 넘게 되고, 우리들은 ‘완전한 고아’가 된 기나긴 세월이었다.  멋지고 희망이 있던 시절들이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불안하고 외로움에 시달리던 시절들이기도 했다. 이제는 그런 외로움과 불안감은 거의 사라졌다. 세월이 준 선물인지도 모른다.

 

한강교가 '끊어진' 12월 12일 밤, 통행금지가 있었던 시절

한강교가 ‘끊어진’ 12월 12일 밤, 통행금지가 있었던 시절

12-12-2

전두환 계엄군이 정승화 총장 공관에서 충돌하던 12월 12일, 1979년

 

나를 순간적으로 그 당시로 돌아가게 해 주는 classic oldies

 

 

Somewhere in the Night – Barry Manilow 

 

 

Love is the Answer – England Dan & John Ford Coley

 

 

Goodbye Girl – David Gates

 

Lazy-Hazy-Crazy Days..

 

Those lazy, hazy, crazy days of summerNat King Cole

 

지나가는 2주간을 보내는 나의 촉감은 바로 1960년대 초  Nat King Cole의 hit song  ‘Those lazy hazy crazy days of Summer‘ 가 100% 맞을 것이다. 시원하게 내리던 비가 어느 순간에 ‘딱!’ 그치고 이후 2주간은 정말 바람 한 점 없이 뿌연 하늘과 공기에 엉킨듯한 뜨거운 열기, 늦은 밤까지 쉬지 않고 돌아가는 a/c와 electric fan의 소음.. 이것은 Nat King Cole의 노래 가사와는 거리가 아주 먼~ 것인 듯… 지난 몇 년 동안 우리들의 아틀란타 여름은 사치스러울 정도로 비에 씻긴듯한 상쾌한 것이었지만 올해는 not so lucky, 조금 다른 게 돌아가는 것인가?  ‘여름을 사랑하는 젊은이’들의 ‘여름 찬가’ 에 가까운 이 Nat King Cole의 경쾌한 tune을 추억으로 더듬으며.. 어리고, 젊었던 시절의 그 뜨거운 여름 밤의 공기를 회상하기도 한다.

태고적같이 느껴지는 1950년대의 한여름.. 가회동에 있었던 ‘남미당‘의 아이스케익.. (그때는 아이스케키 라고 불렀다) 그것이 먹고 싶어서 여름을 기다리기도 했다. 비교적 시원했던 그 당시의 여름 밤에는 모기장이란 것을 방에 치고 자기도 했고 그것도 너무나 좋은 추억거리였다. 중학교 시절 한 여름 에는 골목의 꼬마들을 몰고 뚝섬으로 수영을 갔는데 지금 생각하며 아찔한 것이 만약 무슨 ‘큰 사고’라도 났으면 어땠을까.. 그 당시에는 그런 걱정 하나도 하지 않고 그저 시원한 물에 뛰어드는 생각만 하며 뚝섬행 버스를 탔다. 물가도 시원하지만 사실은 공해 ‘하나도’ 없었던 당시의 삼청공원 뒤 ‘말바위‘ 주변은 거의 완벽한 어린시절의 피서지였다. 크지 않았던 남산에 가린 ‘강북’ 서울이 눈에 다 보이고 써늘한 무공해 바람을 즐기던 그 시절이었다. 서울 도심에서도 당시의 여름에는 매미가 요란하게 울어댔다. 그 매미소리가 끝날 무렵이면 잠자리들이 나타나고 그러면 그것이 바로 가을의 시작이었다. 찐득거리는 한 여름도 이런 추억을 생각하면 너무나 시원해진다.

젊음의 여름은 분명히 ‘흐느적거리는 듯한, 별로 할 일없는 듯 하지만 멋지고 재미있는 기나긴 여름’을 바라겠지만 현재 나는 9월 중순의 상쾌한 가을바람을 꿈속에서나마 그리고 있다. 2개월도 채 안 남은 시간이지만 올해는 길게만 느껴진다. 자연, 산, 바다와 자꾸만 멀어지는 우리들의 규칙적인 suburban 생활 때문만은 아닐 것이지만, 이런 ‘규칙적’임도 조심해야 할 것 중에 하나라는 것을 작년 이맘때의 경험을 통해서 안다. 폭탄이 터지듯 RESET!을 외치며 일방적으로 1주일 간의 ‘강제 휴가’를 선언했던 때였다. 머리청소가 필요할 때는 역시 vacation밖에 없다는 진리를 터득했던 때였다. 아마도 올해는 그 정도로 머리가 혼잡하지는 않기에 작년과 같은 ‘대형 사고’는 없을 것이다.

동심초 同心草, 표류도 漂流島

영화 동심초 신문광고, 1959년 7월 22일자 동아일보

영화 동심초 신문광고, 1959년 7월 22일자 동아일보

 

며칠 전 오랜만에 열어본  KoreanFilm@youtube 에서 머리를 띵~ 하게 만든 영화 제목을 보게 되었다. 다름이 아닌 1959년 멜로드라마 최은희, 김진규 주연 신상옥 감독 영화 ‘동심초 同心草’ 였다. 이 동심초 영화는 당시 대한민국의 유일한 ‘라디오’ 방송 KBS의 ‘초 인기’ 일요 드라마 (당시에는 ‘방송극’이라고 했던) 를 영화화한 것이고, 당시에 어린 나도 ‘누나, 아줌마들’ 옆에 끼어서 같이 들을 정도로 대단한 인기 방송으로 기억을 한다.

그 당시 국민학교(서울 재동 齋洞) 6학년이었던 내가 그런 ‘어른들’ 순정드라마를 어찌 이해할 수 있을까.. 당시 자세한 내용은 잘 몰랐지만 항상 흘러나오던 주제곡만은 녹음기처럼 기억을 한다. 당시 최고 인기가수 권혜경씨가 불렀던 그 주제곡이 나는  원로 김성태씨의 가곡인 것을 잘 몰랐다. 아니.. 지금까지도 그 곡이 오래 전부터  있었던 가곡인 것을 몰랐던 것이다. 그러니까.. 가곡이 먼저인가, 주제곡이 먼저인가.. 나의 무식의 소치였던 것이다.

이 영화를 거의 surreal한 기분으로 보는 느낌은.. 1959년 당시의 대한민국, 특히 서울을 감싸고 있던 ‘공기, 분위기’ 같은 것이 ‘어른들의 사랑’보다 더 관심이 갔다. 그 당시의 분위기, 공기는.. 어떤 것들일까?

 

당시에 TV가 없었던 때, 유일한 것이 그저 ‘듣기만 하는 라디오’.. 가 전부였다. ‘책보다 읽기 쉬운’ 라디오는 서울에서는 거의 모든 가정이 가지고 있었을 것이고, 그곳에서 ‘정기적’으로 듣게 되는 ‘드라마’는 참 매력적인 연예 프로그램이었기에 어린 우리들까지 ‘꼽사리’를 끼어서 듣기도 하고, 웃기도 하고.. 대부분 여자들 (누나들, 식모 누나들, 아줌마들이 거의 전부) 틈에 끼어서 들었던 기억이 너무나 즐겁기만 했다. 기억나는 것들.. ‘산 너머 바다 건너’, ‘청실 홍실’, ‘동심초’, ‘현해탄은 알고 있다’,  기독교 방송국의 ‘수정탑’, 그 후에 ‘현해탄은 알고 있다’, ‘장희빈’ 등등.. 이 당시의 성우들은 당시 영화배우에 버금가는 최고의 연예인, idol, celebrity에 속했다.

나의 1950년대 향수 nostalgia를 너무나도 자극하는 이런 오래 된 영화들을 다시 보게 된다는 사실 자체에 나는 전율을 할 정도다. 비록 동심초 영화는 처음 보는 것이고, 그 내용의 ‘순진함, 단순함’에 코웃음이 나오지만.. 그것은 내가 인생을 그만큼 오래 살아서 그럴 것이다. 1959년, 내가 재동국민학교 6학년 시절.. 박양신 담임선생의 ‘입시지옥’ 열차를 한창 타며 고생하던 시절이다. 4.19혁명을 향한 이승만 대통령의 최후의 정권유지 안간 힘을 쓰던 시절이었다.

 

이 영화와 비슷한 시대적 배경을 가진 다른 영화 ‘표류도’, 이 영화는  잘 기억이 나지 않지만 근래에 인터넷으로 여러 번 본 기억으로 이제는 친숙하게 느껴진다. 당시의 신문을 보면 역시 1960년 12월 25일 성탄절 때 을지로 국도극장에서 개봉된 영화광고를 볼 수 있었다. 시대적으로 ‘표류도’는 4.19학생 혁명 후, 5.16 군사혁명 전 장면 내각시절인 1960년 말에 나온 것으로 동심초와 거의 비슷한 때에 나온 것이지만 동심초 처럼 라디오 방송 드라마에 근거한 것이 아닌 ‘박경리’ 여사의 소설을 영화화 한 것이 다르다고 할까.. 아니면 이것도 방송극으로 먼저 소개가 된 것이었을까.. 확실할 것은 나도 모른다.

 

영화 표류도 신문광고, 1960년 12월 25일자 동아일보

영화 표류도 신문광고, 1960년 12월 25일자 동아일보

나에게 이 두 영화가 일깨워 준 사실은, 그 동안 잊고 살아온 자질구레한 시대적 역사보다 더 의미가 있었던 것도 있었다. 당시, 육이오 전쟁이 휴전으로 끝났던 사회적인 배경으로 이 두 영화의 ‘주인공’들, 특히 여성 protagonist들의 모습들이다. 동심초의 최은희, 표류도의 문정숙 씨들이 연기한 그 주인공들의 처지나 배경들은 모두 대학출신의 고등교육을 받은 인텔리 여성들로서, 거의 완전히 나의 어머니의 것, 바로 그것이었다. 그래서 이 두 영화를 나는 더 자세히 관심을 가지고 보게 되는 것인지도 모른다.

 

전쟁 미망인.. 당시 전쟁으로 남편을 잃었던 여인들이 불리던 이름이었다. 대부분 군인으로 전사를 했던 case였지만 그 이외의 case도 부지기수.. 우리 어머님의 case는 남편이 하루아침에 ‘사라진’.. 그러니까 납북(당시에는 납치라고 했다) 된 어처구니 없는 시대였다. 대부분 어린 아이들이 있었던 그 여인들.. 전쟁으로 황폐된 땅에서 어떤 도움을 정부로부터 기대를 하겠는가? 친척들의 도움이 아니면 길거리로 나가서 돈을 벌어야 했을 것이다. 영화 동심초에서 최은희, 표류도의 문정숙 모두 그래도 버젓이 자기집을 가지고 있었는데도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가정을 떠나 살벌한 사회에 뛰어들었던 것인데.. 우리 집의 경우, 그것은 사치였다고 할까.. 자기 집이 없었기에 어린 남매를 데리고 셋집을 전전해야 했던 어머니.. 얼마나 고난의 세월을 보내셨을까?

거의 모든 것을 가장, 남편에게 의지했던 당시의 사회적 상황에다 전쟁 후의 파탄 직전의 경제 상황.. 그런 것들을 느끼기에 너무나 어렸던 나는 오랜 세월이 지난 후에야 피부로 조금 실감하게 되었다. 지금은 ‘상상’으로나마 나의 것으로 실감할 수 있다. 동심초의 주인공 최은희는 경제적 해결을 위하여 양장점을 경영하다가 실패로 빚을 지고 결국은 집까지 팔고 시골의 집으로 내려간다. 그 과정에서 경제적인 도움을 주는 김진규와 사랑을 하는 사이가 되지만 그것조차 미망인과 총각 사이가 주는 사회적인 파장 때문에 실패를 한다. 영화 표류도에서는, 법적인 결혼 전에 아기를 낳고 전쟁으로 남편을 잃은 후, ‘용감하게’ 생활전선으로 뛰어들어 다방을 경영하는 고급 인텔리 여성 문정숙의 파란만장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사생아라는 낙인이 찍힌 딸 전영선을 데리고 ‘철 없는’ 어머니를 모신 ‘가장’이 된 문정숙, 물장수를 한다고 멸시를 주는 대학동창생들.. 그녀를 동정하다가 사랑하게 되는 동창생 남편 김진규, 당시의 사회적 윤리 도덕을 느끼며 망설이다가 우발적으로 살인을 해서 감옥엘 가고, 병보석으로 출감 후에 기적적으로 김진규와 결혼, 낙도에서 일생처음으로 행복을 맛 보지만.. 병의 악화로 세상을 떠난다. 그야말로 파란만장한 이야기.. 나에게는 하나도 낯 설지 않게 느껴지는 이야기들이다.

 

이 두 영화의 공통점 중에 하나는, 자식이 있는 여자가 혼자 살기가 쉽지 않고, 가장 家長 그러니까 남자주인인 남편이 가정에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경제적인 이유가 제일 크지만 그것을 제외한 다른 모든 사회적인 여건도 남자 주인이 필요했던 시절이었다. 하지만 혼자 된 여자가 다시 남편을 만다 산다는 것은 힘들고 모험이기도 했다. 우리 집의 경우, 어머니가 경제활동을 하셔서 우리 가정을 지켰지만 그 30대 초의 꽃다운 나이에 ‘청혼’이 없었을까? 우리들이 너무 어려서 실감은 못했지만, 재혼의 유혹은 항상 있었을 것이고, 그 중에 한 가지의 ‘일’은 내가 어른이 된 나중에야 다시 깨달은 것도 있었다. 영달이 아저씨.. 경주출신으로 학교 선생님이었던,  잘 생겼던 아저씨였는데, 몇 번인가 우리 집에 그 아저씨의 친구와 같이 ‘초대’된 것을 기억한다. 어떻게 알게 된 아저씨인지 밝힐 수는 없지만, 지금 생각해 보니 아마도 재혼까지 생각이 된 관계는 아니었을까.. 훗날 어머니는 ‘우리남매를 위해서’ 모든 것을 포기했다고 하신 말씀을 남기셨다. 당시의 사회적, 윤리적인 상황이 그랬다. 아마도 그때 다른 쪽으로 ‘재가’를 하셨다면 나와 우리 누나의 인생은 ‘완전히’ 다른 곡선을 탔을 것은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그 이후 반세기가 훨씬 넘어가는 지금은 어떤가? 가련한 남편들이 늘어가는 요즈음, 가련한 여인들이 등장하는 이런 이야기는 분명히 ‘고전 중의 고전’으로 그야말로 ‘옛 이야기’일 것이고 나 자신도 그 중에 하나.. 도대체 이 세상은 어떻게, 어데 까지 변할 것인가?

 


영화 동심초, 1959년  

6ㆍ25때 남편을 여읜지 8년. 이숙희(최은희)는 양장점을 하다가 빚을 지고, 출판사 전무 김상규(김진규)가 빚 청산을 도와주면서 둘은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상규는 사장 딸 옥주(도금봉)과 약혼한 사이고 누이(주증녀)는 그의 출세를 위해 이 결혼을 서두른다. 숙희의 장성한 딸 경희(엄앵란)는 어머니의 행복을 위해 상규와의 재가를 권유하지만, 숙희는 자신에게 주어진 사회적 관습과 윤리적 도덕관 때문에 갈등한다. 숙희와 상규는 진실로 사랑하지만, 숙희는 헤어지는 길을 택하고 서울 집을 팔아 고향으로 떠난다. 몸 져 누워있던 상규는 이 소식을 듣고 서울역으로 나가 이 여사가 탄 기차를 바라보며 괴로워한다. 

 


영화 표류도 1960년  

사생아인 딸(전영선)과 어머니(황정순)를 부양하며 살고 있는 여인 강현희(문정숙)는 `마돈나’라는 다방을 운영하면서 생계를 유지한다. 현희는 생활고에 시달리지만 자존심을 잃지 않고 살아가기 위해 애쓴다. 그러나 그녀가 사생아를 낳고 다방을 경영한다는 사실만으로도 사람들은 그녀를 무시하려 한다. 강현희는 손님 중의 한 명인 신문사 논설위원 이상현(김진규)과 사랑에 빠지지만 그는 그녀의 대학동창과 결혼한 몸이다. 한편 `마돈나’의 단골손님인 젊은 시인 민우(최무룡)는 현희를 좋아하지만 현희가 받아주지 않자 술을 먹고 행패를 부린다. 민우를 좋아하는 다방종업원 광희(엄앵란)는 민우와 하룻밤을 지내고 민우가 자신의 사랑을 받아주지 않자 절망하여 현희의 도움도 거절하며 거리에서 몸을 팔다가 정신을 잃고 자살한다.

현희는 사랑과 윤리 사이에서 고민하면서도 상현과의 사랑을 키워나간다. 그러나 상현이 출장 차 미국으로 떠난 어느 날, 손님 중의 한 명인 통역자 최영철(허장강)이 외국인에게 자신을 팔아 넘기는 대화를 듣고 분노하여 우발적으로 화병을 던져 영철을 죽인다. 감옥에 수감되어 병을 앓던 현희는 병 보석으로 풀려나 상현과 함께 외딴 섬으로 내려가 살게 되지만 행복한 시간도 잠시, 병으로 죽음을 맞이한다.

 

5월 16일, 2015년..

무언가 쓰고 싶고, 남기고 싶은 조금은 우울한 듯한 마음을 달래려 pen을 다시 잡는다. 잔잔한 강박감에 밀려 쓰는 것이긴 하지만 이렇게 쓰고 나면 조금은 기분이 솟는 듯 하다. 오일육, 5월 16일, 2015년.. 박정희의 얼굴이 보이고 당시의 서울 장안 냄새와 모습이 느껴지고 보이는 듯한 착각에 빠진다. 나는 과연 무엇일까? 나는 누구일까?

나의 정체성, identity는 과연 무엇인가? 이경우란 인간은 어디에 소속이 된 생명체일까? 왜 나는 지금 이곳에 있는 것일까? 내가 있어야 할 곳은 이곳이 아닌 듯 한 심정은 왜 이렇게 오랜 세월 동안 나를 당혹하게 하는 것일까? 이런 생각들이 나를 지독히도 우울하게 한다. 

내가 제일 무서워하는 것 중에는 ‘서울, 대한민국, 우리 누나네 식구들, 나의 죽마고우’들과 다시 맞대면 하는 것이다. 성모님이 나를 진흙탕 골에서 이끌어 주시는 모습을 나는 자주 그려왔다. 나의 손목을 잡으시고 구덩이 속에서 이끄시는 성모님의 옷이 진흙탕에 묻어서 더러워졌음도 나는 그린다. 조금은 서광이 비치는 듯한 나의 머리 위에는 다른 ‘고통’이 보인다.. 그것이 바로 나의 조국 대한민국이라는 거대한 바위인 것이다. 진흙탕 구렁텅이가 아니고 거대한 높은 바위.. 언젠가는 그곳을 넘어야 한다는 압력.. 거의 일생의 전부를 피하며 살아왔던 그곳..이 바로 나의 조국 대한민국인 것이다. 모순중의 모순.. 그렇게 몽매 그리워하는 곳을 나는 피하고 무서워하는 것이다.

내가 아는 고향이 ‘아주’ 없어졌을 것이라는 확신이 나를 정말 우울하게 한다. 통근하듯 고국 행 비행기를 자주 타는 주위의 인간들.. 모두 부럽다 못해 밉기까지 한 사람들이다. 꿈속에서 가끔 보는 ‘상상의 나라’ 나의 없어진 고향을 나는 어떻게 찾아야 하는 것일까? 나의 ‘위치’를 과연 어디에 맞추어야 하는 것일까? 나는 어떻게 나의 ‘정체성’을 정리해야 하는가? 나의 어머니를 어찌 다시 뵐 것인가? 멀어지기만 한 누나의 가족들은.. 나를 완전히 잊었을 듯한 친구들은.. 그들이 ‘잘 사는’ 모습을 나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이것이 나를 기다리는 다음의 monster일까? 성모님이 어떻게 나로 하여금 그 ‘거대한 바위’를 넘게 하실 것인가? 성모님이시여.. 저를 위해 빌어주소서..

연세대학의 추억(3): 2학년, 1968

¶  들어가며

연세대학 시절의 추억과 회상에 관한 나의 memoir blog을 쓴지 일년이 훨씬 넘어가고 있다. 첫 두 편의 연세대 회상기(1966~1967)를 쓸 당시 너무나 진을 뺐는지 한동안 그것에 대한 것을 잊고 싶기도 했다. 그렇게 쓰고 싶었던, 누가 보거나 말거나 써서 남겨야만 했던 그 시절의 이야기 임에도 많이 희미해진 기억과 싸우는 것도 힘들었다.

또한 그 당시를 회상을 할 때마다 가슴이 벅찰 정도로 느껴지는 흥분과 격정은 어떨 때는 며칠이고 나를 못살게 굴 때도 있었다. 이제 세월의 약이 작용해서 다시 나의 약해져 가는 기억력과 싸울 용기가 충전이 되었다. 연세대학의 추억 제 3편은 2편의(1학년 가을학기) 이후, 그러니까 대부분 대학 2학년 시절, 그러니까 1968년 경과 그 전후의 이야기가 된다.

 

¶  1.21사태, 김신조, 프에블로, 월남 확전

대학교 1학년 시절이 2년에 걸쳐서 두 동강이로 갈라지고1 조금 패배의식도 느꼈지만 마지막 한 학기에 나는 모든 것을 정신적 육체적으로 회복 하고 제 정신을 차리면서 1968년을 맞았다. 1968년 1월에는 나의 생일이 있는데 바로 나의 20세 생일이 되는 달이기도 했다.

하지만 아직도 그 해 나의 생일이 기억에 더 남는 것이, 바로 생일 전날 밤에 ‘북괴’의 김신조를 위시한 31명의 무장 공비2 게릴라 특공대가 청와대 근처까지 잠입해서 그 유명한 1.21사태를 유발했기 때문이었다. 유혈 사태의 대부분은 1월 21일에 보도가 된 것이어서 일.이일 사태라고 이름이 붙었다.

박정희 목따러..김신조
박정희 목따러..김신조

박정희 목 따러.. 나의 생일을 전후로 대강 서울의 날씨는 정말 무섭게 춥다3. 그때도 예외가 아니어서 모든 것이 무섭게 얼었던 기억인데, 죽음을 각오한 김일성의 로보트(robot)4 공비들에게는 그런 추위가 아랑곳 없었다. ‘박정희 목을 따러’ 기계처럼 행진하며 쳐들어 온 것이다. 지금 생각해도 등골이 오싹할 정도의 김일성 개XX의 전쟁도발이었다. 그때 만약 그 무장공비들이 작전에 성공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아마 나의 인생도5 바뀌었을지 모른다는 생각도 든다.

대부분의 공비들은 사살되거나 휴전선을 넘어 도주를 했고6 유일한 생존자는 김신조 뿐이었다. 기자회견에 황급히 끌려 나온 그의 얼굴은 얻어맞은듯한 멍으로 일그러져 있었고, 첫 마디가 ‘박정희 목 따러 왔수다..’ 그런 정도의 것으로 기억을 한다. TV에서 그 투박한 이북사투리를 듣고 모든 사람들이 잠에서 깬 듯이, ‘정부의 선전대로 북의 위협은 사실이구나..’ 하는 조금은 자책적인 심정으로 정말 김일성의 위협이 국가적 생존위협임을 모두 실감을 하게 되었다. 비록 이 김일성의 무모한 작전은 실패했지만 이 사건의 여파는 나의 남은 대학시절과 그 이후에도 두고두고 우리에게 미쳤다7.

프에블로 나포.. 이 사건 이후 얼마 안 있어, 이번에는 미국의 조그만 첩보선 프에블로(Pueblo) 호가 원산 앞바다 공해에서 북괴에 나포가 되고 그 과정에서 선원들은 죽거나 포로가 되는, 또 하나의 한반도 전쟁 위기를 맞는다. 곧바로 미국의 원자력 항공모함 Enterprise가 원산 앞바다에 나타나고 무력행사를 불사하는 미국의 성명이 발표되는 등 정말 심각한 전쟁의 구름이 몰려왔다. 하지만 월남전에 완전히 발이 빠진 미국은 더 이상의 작전을 중지하고 외교적으로 포로 석방 협상의 노력을 시작하게 되어서 더 이상 악화는 피하게 되었다.

1968 사이곤 Tet offensive
1968 사이곤 Tet offensive

악화일로 월남전.. 사실 그 당시의 국제정세는 미국의 월남전 100% 개입으로 말이 아니었다. 국제적인 비난이 거세지고, 미국내의 여론도 학생을 중심8으로 악화일로, 데모는 끊임이 없는 그야말로 미국판 ‘운동권’의 시대이기도 했다. 박정희의 대한민국은 조금 다른 입장이었는데, 박정희 정부는 ‘명분이 밥 먹여주냐.. 실리가 최고다‘ 의 정책을 거세게 밀어 부친 것이다.

거의 6만 명의 전투부대를 월남에 보내며, 미국과의 협상으로, 수출, 월남전 수입 등으로 경제 제1주의를 고수해 나가기 시작한 것이다. 당시의 국내정치의 분위기로 사실 박정희는 반대를 무리 없이 무마하는 권력과 정치 기술을 잘 이용해 나갔다. 경제적인 효과가 국민의 피부에 느껴지기 시작하면 모든 반대와 파병에 따른 후유증을 처리하리라 보았을 것이다. 또한 그것은 사실상 그렇게 되어가고 있었다. 실제로 대한민국으로 $$$ 가 흘러 들어오고, 경제 규모가 조금씩 커지고, 기간산업이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며 우리들 눈과 피부로 ‘무언가 잘 되고 있다’ 라는 희망이 느껴지던 그런 시절이었다.

박정희의 고민.. 당시 공산주의 정치세력의 두목 격이었던 소련과 중공은 무언가 미국의 군사력을 월남전에서 분산시키려 했을 것인데, 김일성은 분명히 그 총 두목들에게, Yes Sir..하며 머리를 굴렸을 것이고 그것이 바로 1.21 사태프에블로 선박 나포 사건으로 이어졌던 것이다. 사실 이 연속적인 김일성의 불장난의 결과로 곧바로 대한민국 국회에서는 야당에서 추가 월남파병 보류안 이 나오게 되었지만, 박정희가 그것이 쉽게 통과되도록 놔둘 리는 없었다. 미국 자신은 월남전에서의 고전을 모를 리가 없었지만, 파리 평화협상 회담과 더불어, ‘명예로운’ 철수작전을 구상하면서 B-52 전폭기로 월맹(하노이 정부) 폭격을 계속하는.. 참 미국이 고전하던 시절이었다. 그 반면에, 김일성과의 ‘의미 있는’ 평화협상이 100% 불가능했던 우리들은 미국의 ‘꼬붕’ 이라는 국제적 비난과 고립9에도 불구하고, 그저 ‘반공, 경제’ 의 두 가지로 똘똘 뭉치며 살 수 밖에 없었다.

 

¶  나를 1968년으로 보내주세요

이런 으시시 한 국제, 국내 정치적 배경에서도 나는 ‘희망’의(why not, 그때는 팔팔한 20세였느니..) 대학 2학년 시절을 맞게 되었으며, 나의 오래된 추억 중에서도 이 1968년의 대학2년 시절은 나에게 제일 ‘신나며 기억하고 싶은’ 시절로 꼽힌다. 사실, time machine을 타고 과거의 한 해로 돌아갈 수 있다고 하면 나는 주저 없이 내 나이 20세였던, 1968년으로 가고 싶을 것이다.

 

정법대 앞에서 박창희, 이윤기, 이경우 2학년이 시작될 무렵 1968년 이른 봄

정법대 앞에서 박창희, 이윤기, 이경우 2학년이 시작될 무렵 1968년 이른 봄

 

¶  연세대 보건학강의

학부 2학년이 되면서 1학년의 ‘교양학부’는 끝이 나고 대망의 전기공학 전공과정이 ‘조금씩’ 시작되었다. 교양학부 1학년의 과정은 마치 고교 3년 과정의 연장선 같은 느낌을 주었지만 그래도 상아탑 대학의 맛을 보여주는, 전공과는 상관이 없는 과목들도 많아서 그런대로 느낌이 좋았다. 특히 연세대만이 자랑하는 의대교수들이 가르치는 과목들, 특히 ‘보건’이라는 것도 기억에 상당히 남았다. 전매청 담배 소비의 극치를 이루던 그 나이에 그 과목은 우리들에게 ‘소름 끼치는’ 담배의 해독에 대해서 무자비하게 경고하기도 했다.

그런 교육은 정말로 선견지명적인, 몇 십 년 후에 미국에서 담배가 제한 받기 시작한 것을 보면, 연세대 의대 교수들의 사명적인 결단이었다. 하지만 불행히도 그런 교육을 받은 우리들 조차도 ‘성인들의 특전’이었던 담배를 오히려 더 피고 즐기는 대학생 시절을 보내게 된다.

 

¶  매력적인 담배와 술

이 무렵에 나는 ‘진정한 성인 남자’의 상징이었던 ‘대망’의 담배10를 배우게 되었다. 1966년 대학 입학 후 거의 2년간 나는 별로 담배를 피울 마음이 없었는데 1968년 들어서야 주위의 친구들 보다 거의 2년 늦게 이 담배에 대한 무관심이 풀어지기 시작하고 있었다.

술의 맛은 그보다 6개월 전 어머님이 미제시장에서 사다 주신 ‘깡통 맥주, Black Label‘로 이미 알고 있었는데 이번에는 드디어 담배에 도전한 것이다. 1학기가 시작되기 전, 어느 날 같은 상도동에 살던 나의 원서동 죽마고우 유지호가 놀러 와서 그가 피우던 담배11를 나에게 권한 것이다. 그 때, ‘한번 피워보자’ 라는 생각이 들었고 실행에 옮기었다. 결과는 뻔했다. 피우고 나서 나는 거의 ‘기절’ 상태로 빠져서 한 동안 혼미상태를 경험하였다. 하지만 그 다음의 흡연은 완전히 성공이었고, 그 맛과 멋도 조금씩 알게 되었다. 그것은 다른 ‘성인 식’의 하나였다. 그 이후로 나는 꽤 담배를 많이 피우는 축에 속한 대학생이 되었다12.

 

¶ 담배와 문상희 교수

연세대와 담배..하면 빼놓을 수 없는 일화가 있는데.. 이 사실을 모르면 아마도 당시 연세대 ‘남학생’이라고 할 수 없을 정도로 ‘공개적’인 사실이었다. 당시 신과대학에 ‘문상희’라는 교수가 있었는데 이분이 바로 요새 말로 하면 담배추방운동의 우두머리 중의 우두머리 격이었고, 그 추방 방식이 독특했고 문제가 되기도 했다. 캠퍼스를 돌아다니며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무조건 ‘저지’를 하고 ‘폭행’까지 했다. 자유의 전당이라고 하는 대학 캠퍼스에서 그것도 신과대학 교수가 ‘불심검문’을 하며 ‘폭행’을 한다는 사실은 아무도 믿지 못할 것이지만 당시에는 사실이었다.

나는 직접 ‘얻어 맞는’ 경험은 못 했지만 실제로 ‘목격’은 했다. 입이 벌어질 정도로 놀랐지만 대학당국에서 ‘아무도’ 그를 제지 못했다. 지금 생각하면 당시의 ‘개신교 문화’에서 담배는 ‘지독한 악’으로 여겨졌던 것도 한 몫을 한 것이 아니었을까? 심지어는 동료 교수들 조차 그의 제지를 받았다고 했을 정도다. 지금 와서 생각하면 그 문교수님은 ‘선각자’임에 틀림이 없지만 당시에는 ‘빈축과 냉소’의 대상이기만 했다. 제일 ‘우스운’ 사실에는 어떤 신문사 기자가 도서관 앞에 앉아 있다가 갑자기 이 문교수에게 얻어 맞고 항의를 하니.. 문교수 왈.. 왜 옆에 있는 사람이 담배 피우는 것을 제지 못했느냐고 했다고 한다. 사실인지 과장인지 확인을 할 길은 없지만 당시에는 꽤 유명한 소문이기도 했다.

 

¶  복교생과 재학생, 민바리와 군바리

새 학기가 시작되면서 ‘복교생, 복학생’들이 대거로 들어왔고 그보다는 적은 수의 재학생들이 입영영장을 받고 학교를 떠났다. 다행히 나와 나의 친구들의 대부분은 아직 영장을 못 받아서 큰 변화가 없었다. 나는 다른 친구들과 다르게 호적상 사망으로 처리된 6.25때 납북되신 아버지 ‘덕분’13에 병역법상 ‘부선망 단대독자14 라는 긴 이름의 ‘특혜’가 있어서 영장이 나와도 졸업 후로 입영을 연기할 수 있는 입장이어서 졸업 전까지는 군대 생각을 안 하고 있었다.

복학생들이 대거 복교를 하면서 순식간에 우리 과의 분위기는 변했으며 완전히 나이별 2파로 나뉘게 되었고, 재학생들은 ‘민바리’, 복학생들은 ‘군바리’로 불리게 되었다. 나이가 거의 2~3년 차이가 나는 두 그룹이 생긴 것이다. 분명히 나이가 위였던 그들이었어도 우리들에게 반말을 쓰지 못했지만 우리들은 깍듯이 선배 대우를 해 주었다. 하지만 같은 고등학교 동창관계가 되면 이것은 완전히 다시 고등학교로 간 기분이 들 정도로 거의 군대식으로 대우를 했다. 나의 경우에는 중앙고 선배(54회 2명, 53회 1명)들이 3명이 들어왔고 우리들은 큰 원군을 만난 듯 그들을 친형들처럼 따르게 되었다. 재학생 중에 중앙고 출신이 5명이나 있어서 총 8명의 ‘중앙고’ 그룹이 형성되었고, 숫자로써도 상당한 세력이었다. 그 3명의 중앙 선배들이 바로 안낙영, 오성준, 최종인 제 형들이었고, 이들과 나는 졸업할 때까지 3년을 같은 전공으로 공부를 하게 된다.

재학생들과 복학생들은 비록 3~4년 정도밖에 나이차이가 없었지만, 생각과 행동은 완전히 서울과 부산처럼 달랐다. 군대를 갔다 온 이유도 있었지만 우선 공부하는 자세가 아주 심각했다. 이 형들은 졸업과 동시에 취직을 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그에 비해서 우리 재학생들은 어차피 도중이나 졸업과 동시에 군대를 가야 하기 때문에 조금은 불투명한 미래를 보며 방황하는 기분이었다. 그 당시 나이에서 군대 복무기간인 2년 6개월 (거의 3년)은 참 영원처럼 긴 것처럼 느껴졌기에 더욱 절망감 같은 것도 느끼곤 했다. 그런 환경에서 시작된 나의 2학년 학교 생활은 조금씩 조금씩 학점에 연연하는 것으로부터 멀어지기 시작했다. 그렇다고는 하지만 1학년 1학기 때의 ‘땡땡이’의 쓰라린 경험은 잊지 않고 학점의 최소한 하한선은 유지하려 애는 썼다. 하지만 지난 1학년 2학기, 가을학기 때 진정한 공부의 맛을 느끼던 그 당시의 정열은 어쩐지 많이 빠져나간 기분이었다.

 

¶  중앙고 동창들과 아미고 클럽

당시 나는 주로 중앙고 출신 동창들과 타교 출신 몇몇과 어울리게 되었는데, 그 중에는 화공과의 중앙고 동창 양건주도 있었다. 왜 화공과의 양건주가 전기과의 우리들과 섞이게 되었는지는 확실치 않았으나 그냥 중앙고 출신이었기에 그랬을 것이다. 전기과에는 이윤기, 박창희, 김태일, 이상일이 중앙 동창이었지만 사실 박창희 김태일 이상일은 모두 나의 중앙고 1년 후배들 이어서 친구로 지내기는 조금은 거북한 관계였다. 하지만 여기에 중앙 1년 후배였던 박창희가 사실은 ‘옛날’ 원서동에서 잔뼈가 굵었던 죽마고우 친구였기에 아주 묘한 ‘일년 선배,후배’로 이루어진 그룹이 형성된 셈이다. 나는 창희와 직접적인 친구관계여서 큰 문제가 없었지만 나의 동기 친구인 이윤기는 사실 갑자기 1년 후배들과 친구처럼 지내야 하는 문제가 있었지만 그런 것을 따질 그런 나이들이 아니었다. 한마디로 문제가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이렇게 자연스레 형성된 그룹의 이름의 ‘아미고 클럽’이었다. 아미고는 물론 Spanish로 amigo, 그러니까 ‘남자친구’란 뜻이었다. 아마도 그 시절 유행하던 Jim Reeves의 hit country, Adios Amigo에서 이름을 따 왔을 것이다. 이 클럽에는 타교 출신들도 있었는데, 전라도 유학생 김진환, 강원도 유학생 김철수가 바로 그들이었다. 그리고 이상일은 비록 중앙 동창이었지만 우리 그룹에는 전혀 관계를 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 당시 우리 아미고 클럽은: 화공과 양건주, 전기과 나(이경우), 이윤기, 박창희, 김태일, 김진환, 김철수 등으로 7명이 연세대 캠퍼스에서 만나거나 학교 입구에 있는 ‘굴다리’ 바로 앞에 있었던 ‘빵집’에서 모여서 ‘잡담’을 즐기곤 했는데, 사실 그것이 보기보다는 참 즐거운 시간 들이었다.

 

¶  1968년 봄의 관악산

Scan10308-1그 해 봄에 아미고 클럽 전원이 관악산으로 ‘등산’ 을 갔었는데 그 때의 ‘흑백’사진이 고스란히 남아서 그 당시의 우리들 ‘꽤죄죄’한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그 당시에 관악산엘 가려면 용산 시외버스 터미널로 가서 과천 행 시외버스를 타고 갔다.

비록 ‘구제품 복장, 교복’등의 신세에서는 벗어났다고 하지만 당시 대학생들의 복장은 참 가관이었는데, 100% 신사복에서 100% 염색된 작업복까지.. 천차만별이었고 등산복도 마찬가지.. 우리 클럽에서 박창희를 제외하고는 등산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그저 허름한 옷들.. 우리들은 그저 ‘잠바’라고 부르던 옷 차림 일색이었다. 외모에 각별한 감각이 있었고 등산의 유행에 민감하던 박창희는 우리가 보기에 완전한 ‘히말라야 등산대’ 옷차림으로 관악산을 올랐다.

 

그때 남은 사진을 보면 ‘진실로, 진실로’ 어제 같은 착각에 빠지곤 한다. 너무나 그 당시를 생생하게 기억하기 때문이다. 나는 그때 처음으로 술에 취하는 것을 경험했다. 관악산 정상 바로 아래 자리를 잡고 신나게 밥을 해 먹고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는데 누가 술을 가지고 왔는지 기분에 취해서 멋도 모르고 마신 것이다. 우리들은 모두 취해서 돌아오는 시외버스 속에서 너무나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사실 그때 나는 난생 처음으로 술에 취하면 기분이 너무나 좋아진다는 사실을 체험하였고, 평소보다 말이 더 많아지고, 피하거나 못했던 말들이 ‘거침없이’ 나온다는 신기한 현상도 알았다.

 

아미고 양건주, 김진환, 김철수, 이경우, 이윤기, 박창희, 김태일.. 과천에서 관악산으로..  1968년 봄

아미고 양건주, 김진환, 김철수, 이경우, 이윤기, 박창희, 김태일.. 과천에서 관악산으로.. 1968년 봄

 

¶  연세대 연영회와 갈월동 양옥

학기 초에 기억나는 것 중에는 학교 내 서클 중에 연영회라는 서클에 가입하려 했던 추억이다. 그 당시에는 요새 흔히 쓰는 ‘동아리’라는 말이 없었고 그저 서클이라고 불렀다. 그 중에 연세대에는 역사가 깊다는 사진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모임이었던 연영회(延影會)라고 불리던 서클이 있었고, 나와 양건주가 그곳에 가입을 하려고 그 모임엘 나가게 되었다. 왜 건주와 같이 그곳에 가입하려 했는지는 확실히 기억이 나지를 않지만, 나는 2년 전 입학했을 때 몇 개월간 사진, 카메라 등에 빠져서 살았다. 입학기념으로 어머님이 사주신 일제 Petri 카메라를 가지고 이곳, 저곳을 다니며 사진을 찍곤 했고, 도서관에서 사진 촬영에 대한 책도 많이 대출해서 읽기도 했다. 아마도 그래서 연영회에 관심이 있었는지도 모른다.

대학 2학년이니까, 특별활동도 하고 싶었던 마음도 있었다. 그 당시 입회신청을 해놓고 기다리니까, 연영회 신입회원 모임을 한다는 공지가 붙어서 읽어보니 ‘갈월동 어느 어느 빵집‘에서 모인다고 했다. 빵집에서 학교서클이 모이는 것이 조금 그랬지만, 아마도 환영하는 의미로 빵을 먹으며 모이나 보다 생각하고 건주와 그곳엘 갔는데, 가 보니 사실은 그곳에서 모임을 하는 것이 아니고 그 빵집 근처에 있는 연영회 ‘간부’의 집에서 모인다고 해서 안내를 받아서 단체로 그 집을 찾아갔다. 갈월동 그 빵집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근사한 양옥집’이 있었는데 그곳에는 입추의 여지없이 연대생들로 꽉 차있었다. ‘근사한’ 여학생들도 꽤 있어서 흥미진진했는데, 그보다 더 흥미로운 것은 커다란 거실 구석에 완전히 프로 같이 전기기타와 드럼까지 갖춘 rock band가 warming up을 하고 있었던 것이었다.

그들도 모두 연영회원이라고 했는데 가만히 그 중의 한 명을 보니 낯이 익었다. 건주는 그를 곧바로 알아보았다. 중앙고 ‘심상욱’이라는 우리의 동기동창이었던 것이다. 그는 우리를 전혀 알아보지 못했는데, 건주가 가서 우리도 중앙고 출신이라고 했어도 그는 우리를 알아 보지를 못했다. 신입회원으로 꽉 찬 모임에서 간부, 임원들이 나와서 연영회 소개를 하고 돌아가며 자기 소개도 하고 했는데, 그 임원들은 새로 가입한 ‘멋진 여대생’들에게 꽤나 관심을 보였다. 사실은 그 여대생들도 그 ‘근사한 양옥집에 근사한 rock band’에 완전히 매료된 것으로 보이긴 했다. 그 모임에서 우리 둘은 뜻밖에 우리의 전기과 복학생, 중앙 선배 최종인 형을 만났다. 그도 사진에 꽤 취미가 있다고 했는데, 군대를 갔다 온 신입회원이 없었던 관계를 그 형은 아주 ‘정중한’ 대접을 받았다. 그렇게 멋진 모임이었었지만, 후에 우리는 그 모임에 전혀 나가질 못했다. 다른 곳에서 다른 흥미로운 일을 찾아 다녔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  이성에 눈이 뜨이던 시절

아미고 클럽의 남자친구들도 좋았지만 나의 연세대 2학년 시절은 내가 이성에게 완전히 눈을 뜨기 시작했던 시절이기도 했다. 사실 이전까지만 해도 나는 이성(異性)에게 크게 끌리는 그런 심정이 없었는데, 이때는 달랐다. 분명히 정상적인 20세의 남성 호르몬의 영향이 본격적으로 작용했던 모양이었다. 그래서 나는 1968년, 연세대 2학년을 그렇게 생생하게 기억하는 모양이다. 하지만 그 일년 전부터 나는 조금씩 무언가 여성에게 끌리는 나 자신을 발견하고 놀란 적이 있었다. 첫 번 것은 TV에서 본 어떤 여자 탤런트를 보고 밤에 꿈을 꾼 것이다. 그녀는 조영일 이라는 인기 탤런트였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다른 탤런트 오지명이라는 사람의 부인이었다. 두 번째는 지난 가을학기 때 상도동 종점에서 치과를 다녔는데 그때 거기서 치과의사 조수를 하던 어떤 ‘여성’도 나의 꿈에 나타난 것이다. 그러니까 ‘아이’같았던 내가 분명히 ‘어른’으로 변하는 것을 느끼던 그런 때였던 것이다.

 

¶  남과 여, 윤여숙과 용정애, double date

그 당시 나의 원서동 죽마고우 친구였던 안명성은 한양대 섬유공학과엘 다녀서 나와는 별로 만날 기회가 없었는데 한번 연락이 와서 double date를 하자고 하였다. 솔직히 내가 깜짝 놀랐던 것이, 내가 알던 명성이는 나와 비슷하게 숫기가 없었던 것으로 알았는데 어떻게 여자 2명씩이나 알았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가 말하는 두 여자는 한양대학생 용정애 씨, 이화여대 생물학과 여대생, 윤여숙 씨였다. 명성이가 먼저 자기와 같은 대학에 다니던 용정애씨를 알았고, 그녀의 창덕여고 동창생인 윤여숙 씨를 데리고 나오겠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double date가 시작되었고, 우리는 그 당시 유행하던 불란서 영화 ‘남과 여’를 같이 보았다. 서울 근교의 광릉으로 피크닉도 같이 갔고, 관악산으로 등산도 갔다. 그것이 1968년 봄이었다. 그때 난생 처음으로 여성들과 가까이 어울리면서 이래서 사람들은 결혼을 하는구나 하는 ‘자연의 섭리’를 절실히 실감하기도 했다. 나의 의지도 상관이 없이 여성들에게 ‘무조건 끌리는’ 체험은 사실 나에게 겁을 주기도 했다. 학교 공부가 잘 되지를 않았던 것이다. 바로 6개월 전만해도 나는 공부의 재미에 푹 빠져 있었지만 지금은 정말 자신이 없었다. 학교 공부에 애를 먹기 시작한 것이다.

 

남과 여 (Un Homme Et Une Femme

 

double date는 명성이와 용정애씨, 나와 윤여숙씨가 짝을 되었는데, 그 이유는 명성이가 용정애씨를 먼저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그때 놀란 것은 명성이가 여자들을 다루는 자세가 정말 나에 비하면 성숙하고 노련했던 사실이었다. 그러니까 최소한 겉으로 보기에 자기 할 일을 다 잘 하면서 여자와 date를 즐기는 모습이었는데, 나는 정 반대였던 것이다. 내가 알아온 명성이의 모습과는 조금 다른 면을 본 것이지만, 그때의 나이 20세였으니 한창 우리들을 변하고 있었기에 그것이 당연하다고 생각되었다. 한마디로 말하면 ‘쑥맥’이었던 나는 ‘완전히’ 나의 ‘정상적’인 학교생활의 리듬이 깨어짐을 느꼈고, 학교 공부도 예전처럼 제대로 될 리가 없었다. 바야흐로 나의 이성에 대한 동경과 호기심이 완전히 싹이 트기 시작할 무렵이었다. 한마디로 나는 그 윤여숙씨에게 빠진 것이었다. 나이가 우리와 거의 같았지만 학년은 하나 위였을 것이다. 그러니 그녀들은 우리들 보다 ‘훨씬’ 성숙하고 세련되어 보였다. 아마도 그런 점을 내가 좋아했을 것이다.

그 때 우리들 네 명은 중앙극장에서 개봉되었던 영화 ‘남과 여’ 를 같이 보았고, 관악산으로 등산도 갔었다. 또한 당시 유원지가 별로 없었던 때 그런대로 갈 수 있었던 ‘광능’이란 곳으로 놀러 가기도 하였다. 그 해의 봄은 정말 찬란한 느낌이었고, 하늘에 떠있는 느낌이었다. 나로써는 아마도 puppy love같은 심정을 가졌을 것이다. 하지만 그런 꿈같은 시절은 오래가지 못했다. 봄이 거의 가던 무렵, 명성이가 나를 보자고 해서 만나니, 그 녀석 왈, 윤여숙씨가 이제 나를 안 만난다고 했다는 통고였다. 쉽게 말하면 나는 한마디로 ‘차인 것’이다. 감정처리에 지독히도 미숙했던 나는 사실 실망보다는 당황 그 자체였다. 그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몰랐다. 헤어지자는 이유를 안다는 자체가 우습지만 명목상은 그녀의 아버지가 경찰관이었는데, 우리들이 같이 다니는 것을 보았다는 것이다. 참 편리한 이유였다. 물론 내가 싫다는 뜻을 그렇게 나의 체면을 세워준 것이라고 나는 해석했다.

그때 나는 일생 처음으로 동대문 근처의 어떤 술집에서 명성이와 같이 막걸리를 퍼 마셨다. 그리고 비틀 거리며 집으로 왔다. 그래도 그녀는 나보다 성숙했었는지 우리들이 ‘마지막 인사’할 기회를 주는 아량이 있었다. 돈암동 종점 부근에 있었던 한일다방에서 우리는 마지막 대화를 하고 헤어졌다. 그 당시 그 다방에서는 Engelbert Humperdinck의 당시 hit ‘Am I that easy to forget‘ 이 요란하게 나오고 있었다. 완전히 그 때의 situation에 알맞은 제목의 노래였다. 이때 나의 ‘상처’는 두고두고 이성(여자)에 대한 나의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전에 나의 다른 blog에서 1968년 당시 나의 죽마고우 친구 유지호를 회상할 때, 윤여숙씨에 대한 나의 ‘선의의 장난’을 언급한 것도 있었다. 사귄 지 불고 몇 개월 만에 이 두 여대생들과는 헤어지게 되었지만 명성이는 저력을 발휘해서 용정애씨와 계속 관계를 유지하는 듯 했고 몇 년 뒤에 윤여숙씨도 잠깐이나마 한번 보았지만 이미 그때에는 나도 전에 비해 훨씬 성숙한 남자로 변해 있어서 아주 유연한 자세로 그녀를 대했던 것으로 기억을 한다.

 

¶  오성준 형과 이대생 김갑귀

오박사, 오성준 형
오박사, 오성준 형

비록 지난 학기에 비해서 공부에 신경을 덜 썼지만 아미고 클럽의 친구들 덕분에 사실 학교생활은 전에 비해서 훨씬 재미있었다. 그러니까 학점에 연연하던 생활보다 훨씬 더 진짜 대학생 같은 느낌도 들었던 것이다. 하지만 아미고 클럽은 역시 100% ‘거무틱틱하고 냄새 나는’ 남자들 뿐이어서 모이기만 하면, ‘우리도 한번 여성 동무들과 어울릴 수 없을까..’ 하고 성토를 하곤 했는데, 어느 날 갑자기 우리의 염원이 이루어지는 계기가 왔다. 우리의 ‘자랑스런 군바리’ 중앙선배 오성준 형이 구세주처럼 우리 앞에 ‘답’을 가지고 나타난 것이다. 우리에게 형이 아는 친구의 여동생을 소개시켜 주겠다는 믿을 수 없는 희소식이었다.

오성준 형은 자그마한 체구였지만 사교성 좋고 유머러스하고 특히 후배들을 아주 잘 돌보아주는 그런 타입의 사나이여서 우리들이 아주 잘 따랐는데, 그 형의 공군 동료친구가 연세대 뒤에 있는 북가좌동(남가좌?)에 살고 있고 이화여대에 다니는 여동생이 그 집에 살고 있다고, 나와 이윤기를 데리고 그 집엘 가게 되었다. 우리들은 그렇게까지 ‘빨리’ 도와줄 줄은 몰라서 그저 ‘황송하고 고맙게’ 따라갔다. 하지만 그 집엘 가보니 문제의 그 형의 친구도, 여동생도 없었다. 그것은 그 오성준 형의 성격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일이나 문제가 있으면 질질 끌며 생각하기 보다는 행동에 먼저 옮기고 보는 그런 시원스런 것이었다.

이렇게 해서 나중에 그 문제의 이대생과 만나게 되었는데, 그녀의 이름은 아직도 생생한 ‘김갑귀’.. 아니 무슨 여자 이름이 갑귀인가? 한자이름으로 오형의 말대로 ‘갑오년에 귀하게 태어난’ 것인지는 잘 몰랐지만 한번 듣고 ‘절대로’ 잊지 않는 이름이 되었다. 만나보니 이름과는 느낌이 다르게 아주 귀엽게 생겼고, 행동도 귀여웠고, 어리광 부리는 느낌이 절로 흘러 나왔다. 그녀는 이화여대 법대에 다닌다고 했지만 법대 스타일로는 보이질 않았다. 우리들은 그녀에게 우리의 아미고 클럽을 소개하고 거기에 맞는 여대생들 좀 소개시켜 달라고 매달렸다. 이때의 이런 ‘궂은’ 일들은 나와 이윤기가 도맡아서 했는데, 아직도 왜 우리 둘만 여자에게 ‘관심’을 가지고 덤볐는지 확실치 않다. 지금 생각에, 나는 그 당시 ‘윤여숙 사건’으로 ‘여자 실전 경험’의 소유자가 되었고 그래서 조금 더 성숙해 졌을 것이고 이윤기는 그 당시 연애 같은 것은 안하고 있었지만 원래 cool한 사나이라서 ‘묵묵히’ 여자들에게 관심이 많았을 것이라는 추측을 한다. 아미고 클럽의 나머지 ‘아이’들은 사실 나보다도 ‘덜 성숙’한 상태여서, 여자들에게 그렇게 목매거나 하지는 않았다.

 

¶  남녀 클럽, 해양다방, 선화공주님

이렇게 우리는 ‘여대생’들을 우리 클럽에 연관시키려 시도를 했고, 결국 ‘착한’ 김갑귀 씨는 자기 과 科 여대생들을 데리고 나와서 meeting비슷한 것을 했는데.. 이대 앞 어느 음식점에서의 그 첫 모임은 아주 어색한 느낌이었다. 남자들 보다 여자들이 ‘훨씬’ 성숙하고, 키가 훌쩍 컸고, 그래서 그런지 나이까지 들어 보였던 것이다. 이런 과정으로 우리는 정기적으로 만나는 것으로 ‘합의’는 보았지만 무언가 ‘화학적, 체감적’인 것이 맞지를 않았는지, 모임 자체가 흐지부지 되어버리고 말았다. 그래도 그 중에 몇 명하고는 따로 만나는 기회가 몇 번 있었다. 그 중에 생각나는 사람이 ‘신인옥‘ 씨였는데 왜 그 사람의 이름과 얼굴까지 기억이 나는지 나도 잘 모른다. 특히 그녀의 pop song에 대한 지식은 상당해서 대화가 아주 재미있었다. 또 한 명, 키가 무척 컸는데 불행히도 얼굴이 아주 못생겼던 그 여대생, 미도파 옆에 있었던 ‘거대한 소파의 운동장’, 삼화다방 에서 만나곤 했는데 그 때마다 주로 이윤기와 같이 만나곤 했다. 하지만 여름방학이 다가오면서 그들과의 만남도 끝이 나게 되었다.

한번 여대생들과 어울리기 시작하면서 우리들 (주로 이윤기와 함께)은 그 ‘매력’을 잊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염치불구하고 김갑귀 씨에게 다시 매달릴 수 밖에 없었다. 그 당시 그녀가 유일한 ‘여자들과의 통로’였기 때문이었다. 역시 김갑귀 씨는 동정심도 많고 착한 여자였다. 이번에는 숫제 자기의 친한 여고동창생을 소개시켜 주겠다고 한 것이다. 그녀는 창덕여고 출신이었다. 지난번 나에게 상처를 주었던 윤여숙 씨도 창덕여고 출신이어서 나는 창덕여고와 무슨 인연이 있는 모양이었다. 사실 가회동에 오래 살면서 창덕여중고는 나에게 참으로 친숙한 학교이긴 했다. 그 친한 친구가 바로 이선화씨였다. 실은 그 전에 이미 한번 그녀를 본 적이 있었다. 김갑귀 씨와 만날 적에 한번 같이 나온 것을 멀리서 본 적이 있었던 것이다. 이제 그녀를 ‘공식적’으로 소개를 받게 된 것이다. ‘바보, 선화공주’, 이선화 씨..

이선화씨는 서울간호학교에 다니던 간호원 지망생이었고, 그녀의 간호학교 친구들을 소개시켜 주겠다고 해서 우리들은 ‘여자에 대한 제 2차의 도전’을 하게 되었다. 1968년 1학기(봄학기)가 거의 끝나갈 무렵에 명동의 어느 식당 2층 방에서 우리들은 단체로 만나게 되었다. 나와 이선화씨는 구면이었지만 나머지는 모두 처음인 셈이다. 이번에는 지난번 이대생 들과의 모임의 실패를 만회하고자, 나가기 전에 조금 계획을 만들어 놓고 그대로 밀어 부쳤다. 계획이란 별로 유별난 것이 아니고, 만나서 통성명을 하며 시간을 끌지 않고 우리가 미리 생각해 놓은 그룹의 성격과 조직을 ‘알리고’ 밀어 부치는 것이었다. 그러니까 첫 모임에서 ‘무조건’ 어떤 그룹이 생기게 하는 그런 ‘선제공격’ 의 치밀한 계획인 것이다.

물론 여자들은 뻥~한 모습으로 당황을 했지만 그렇다고 ‘조직적’으로 반대도 하지 못했다. 그것이 그룹의 습성인 것이다. 이렇게 해서 명목상 우리들의 남녀혼성 클럽이 생기게 되었는데, 회원은 그날 모인 사람으로 우선 정하고 ‘정기적’으로 만나기로 합의까지 보게 되었다. 한번 모여서 그 정도의 합의는 사실 기대 이상으로 성과가 좋은 것이라고 우리들은 ‘신’이 났었다. 우리가 정기적으로 모이게 된 장소는 국제극장 옆쪽 골목에 있었단 해양다방이었고 우리들은 앞으로 최소한 6개월 이상을 그곳을 ‘아지트’로 삼아 모여서 ‘친목도모’를 이루게 된다. 여름방학이 다가오고 우리는 새 2학기에 만나는 암암리의 약속을 하며 헤어지게 되었다.

 

¶  여름의 설악산과 3도 화상

여름방학.. 1968년의 여름방학은 나에게 절대로 잊을 수 없는 한 달이 된다. 그 당시를 몇 마디로 요약을 하면, ‘설악산, 축축한 비’, ‘2~3도 화상’, ‘비행기’ 쯤.. 될 듯하다. 방학이 시작되면서 나는 전부터 계획한 대로 죽마고우 안명성과 둘이서 설악산엘 갔다. 물론 ‘등산’을 하러 간 것이다. 친구 안명성은 지금은 산에 대한 취향이 나와 조금 다르지만 그 때는 그것이 큰 문제가 아니었다. 20세의 젊음의 혈기로 아무것도 모른 채 ‘완전 군장’으로 설악산 ‘정복’을 하러 간 것이다. 하지만, 나중에 우리들의 사진에 나타난 ‘꼴’은 등산이 아니라 무슨 하이킹 하는 듯한 모습들이었다. 그러니까 우리는 무슨 북악산, 남산 보다는 조금 더 심각한 산에 간다는 기분으로 간 것이다. 그 당시 외 설악은 요새에 비하면 거의 처녀 산이나 다름없이 덜 개발이 된 상태였지만 그래도 다른 산에 비하면 ‘하이킹’도 할 수 있을 정도의 코스도 즐비했다. 우리의 복장이나, 장비는 사실 하이킹이나 캠핑에 맞는 정도의 수준이었다. 우리는 버스로 속초로 갔고, 거기서 다른 버스로 외설악의 입구인 신흥사 앞, 설악동으로 들어갔다.

우리가 갔을 때부터 설악산은 완전히 ‘장마’ 철로 접어들어서 그야말로 ‘매일’ 비가 왔다. 아마도 해를 못 보았던 기억이니까.. 문제는 확실히 ‘언제’ 우리가 그곳엘 갔는지 전혀 기록이 남아있질 않다는 것이라서 참 안타깝다. 방학이 시작되고 얼마 안 되었으니까 분명히 7월 말 정도가 아닌가 추측만 한다. 캠핑 장비가 별로 없었고, 비가 매일 와서 우리는 할 수 없이 신흥사 입구에 있는 설악동에 즐비한 어떤 여관에서 짐을 풀었고, 날씨로 봐서 우리는 그곳을 base camp로 삼고 매일 ‘출근’을 할 생각을 했다. 그 당시 여관을 잡으려는데 우리는 뜻밖의 사람을 만나게 되었는데, 나의 중앙고 동창 이종원을 만난 것이다. 그는 ‘혼자서’ 그곳엘 왔다고 했다. 게다가 우리와 비슷한 등산객 청년 두 명도 그곳에서 만나 방값도 줄일 겸해서 같은 방을 쓰기로 했다. 그러니까.. 5명의 사나이가 한 방을 쓰게 된 것이다.

비는 그칠 줄 모르고 오락가락해서 우리는 거의 비를 맞으며 이곳 저곳 ‘구경’을 갔다. 그것은 진짜 등반하는 등산이 아니고 하이킹 정도에 속했지만 그래도 ‘난생 처음’ 그 유명한 설악산에 왔다는 자부심으로 가지고 즐기려 했다. 구름이 자욱하게 덮인 울산암은 아직도 그 바위들이 생생하게 기억이 난다. 개울과 바위를 걷던 완만한 계곡들, 물론 모두 구름 속의 모습들이었다. 제일 힘들었던 곳은 바로 여관에서 개울 건너 하늘을 찌르듯이 솟아있던 ‘권금성‘이었다. 바위는 하나도 없던 ‘토산’이었지만 어떻게 경사가 가파르던지 오르는 자체가 고행이었고 비까지 맞으며 오르는 것은 한마디로 괴로움의 연속이었다. 그래도 그곳에서 고생을 한 것으로 조금은 ‘날라리’ 하이킹한다는 아쉬움’에서 벗어날 수도 있었다.

권금성 입구에 있는 설악천 다리에서 안명성과..
권금성 입구에 있는 설악천 다리에서 안명성과..

그리고 운명의 날이 왔다. 권금성에 갔던 날 저녁, 파김치가 되어서 여관으로 돌아와서 예의대로 저녁 준비를 하게 되었다. 물론 비가 계속 뿌리던 그런 날이었다. 비가 오는 관계로 방 안에서 버너로 식사를 만들고 있는데, 이종원이 우리가 쓰는 것과 다른 종류의 버너를 쓰라고 내어 주었다. 그것은 당시에 많지 않았던 프로판 가스 버너였다. 요새는 보통 집에서 불고기를 식탁 위에서 구어 먹을 때 흔히 쓰지만 그 당시는 사실 새로 나온 것이었다. 문제는 프로판 가스통(카트리지)을 버너의 본체에 충격을 주며 밀어 넣는데 조금 프로판 가스가 새어 나올 수 있다는 것을 나는 몰랐던 것이다. 가스 통이 장착이 될 때 만약 근처에 불이 있으면 그대로 인화가 되어 폭발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을 모르고 나는 생각도 없이 가스통을 밀어 넣었고, 그것은 그대로 옆 버너의 불에 인화가 되어 흡사 전쟁에서 무기로 쓰는 ‘화염 방사기’ 같이 불을 요란하게 뿜어 댔다. 너무나 급작스러운 일이었다. 가스 통에서 뿜어 나오는 불길은 나의 발 등을 태우고, 나의 얼굴을 데어 버렸다. 불과 몇 초가 되지 않았을 것이지만 나에게는 아주 긴 고통과 충격의 시간으로 느껴졌다. 그 순간에 나의 1968년 여름방학은 완전히 폐허로 변해 버렸다.

나는 순식간에 오른 쪽 발등은 3도, 얼굴은 2도 화상을 입게 되었고, 곧바로 속초 시내로 옮겨졌다. 어느 ‘돌팔이’ 외과의원에 일단 갔는데.. 이곳은 정말 거의 ‘무허가, 돌팔이’ 의사가 진단서를 돈 주고 파는 그런 정말 양심 없는 중년 의사가 있던 곳이다. 그러니 나는 사실 며칠 간 이곳에서 하나도 치료가 안 되었던 괴로운 시간을 보낸 것이다. 명성이가 우리 집에 연락을 해서 누나가 기차를 타고 오고 있었지만 나는 화상의 여파로 정신이 하나도 없었다. 발과 얼굴은 심하게 부어 오르고 나는 아무래도 발보다는 얼굴에 신경을 더 쓸 수밖에 없었다. 누나는 우리들의 원서동 친척 같은 벗, 시자 누나와 함께 그 먼 길을 중앙선 기차를 타고 왔다. 당시에 속초는 극동항공 쌍발 여객기(아마도 DC-9)가 정기적으로 서울과 연결이 되어 있어서 나는 그것을 타고 정말 ‘눈 깜짝할 사이’에 서울 김포공항에 도착하게 되었다. 난생 처음으로 비행기를 타 보았지만 기분은 괴롭고 착잡하였다. 서울에 도착하여 나는 곧바로 청와대 근처에 있는 화상 치료로 유명하다는 ‘목상돈’ 외과 의원에 입원을 하여 집중치료를 받았고, 일주일 가량 입원을 끝내고 퇴원을 하여 그 때부터 통원치료를 받았다. 그렇게 해서 나의 1968년 여름방학이 완전히 끝난 것이다. 정말 악몽 같던 비와 불에 젖은 설악산 여행이었다. 그 당시 그 사고로 인하여 같이 갔던 명성이도 고생 고생하며 집으로 돌아왔다고 들었다.

나의 오른 발등의 3도 화상은 생각보다 심각한 것이었는데 초기에 적절한 치료가 늦어서 잘못했으면 큰일 날 뻔 했다고 들었다. 하지만 나는 발 보다는 얼굴에 신경을 더 쓰고 있었다. 나이 20세에 발 등이 중요한가 얼굴이 중요한가는 어려운 질문이 아니다. 하지만 여름 방학이 다 끝날 무렵에는 얼굴이 거의 정상적으로 돌아왔다. 발등 화상의 영향으로 조금 쩔뚝거려도 나는 사실 하나도 걱정하지 않았다. 그러는 사이에 여름방학은 ‘완전히’ 끝나가고 있었다.

 

¶  연호회, 본격적인 이성들과의 만남

1968년도 2학기, 가을학기가 시작되어서 학교엘 갔더니 역시 사람들 속에 어울리는 것은 좋은지.. 지나간 여름의 악몽이 조금씩 잊혀지기 시작하고, 여름 방학 전에 ‘급조’ 되었던 우리들의 남녀 클럽에도 나의 사고 소식이 전해 졌는지, 어느 날 연세대 캠퍼스로 이선화씨가 찾아왔다. 나는 그때의 ‘감격’을 잊을 수가 없다. 그런 꿈은 누구나 가지고 있을 것이다. 아프고 외로움을 느낄 때, 어떤 ‘아련한 여자’가 위로 차 자기를 찾아 온다는 상상은 어느 남자나 하고 있을 것인데, 그런 꿈이 실제로 나에게 찾아온 것이다. 그때 나는 선화씨를 진정으로 가깝게 느끼게 되었고 조금은 의지하는 감정까지 느끼게 되었다. 이렇게 1968년 2학기는 이선화씨와의 짧지 않은 ‘영원히 잊지 못할’ 아련한 추억을 만들게 되는 시기가 되어갔다.

2학기에는 약간의 편입생들이 들어왔는데 그 중 한 명이 우리와 ‘눈이 맞아서’ 어울리게 되었는데, 그의 이름은 윤인송 이었다. 그래서 자연스레 우리의 아미고 클럽에 합류하게 되었지만 우리 클럽에서 ‘탈퇴’한 사람도 있었다. 그가 바로 강원도 출신 유학생 김철수였다. 김철수, 너무나 친근한 ‘교과서적 이름’이었고, 우리들은 정말 왜 그가 우리에게서 떨어져 나갔는지 이유를 모르지만 추측에 그는 여학생들과 어울리는 것이 달갑지 않았나 하는 생각은 해 보았다. 나는 개인적으로 그를 참 좋아했고 그가 우리를 떠난다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었는데, 슬프게도 그것이 현실이 되었다. 내가 알았던 김철수가 실상의 김철수가 아니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게다가 그는 한때 전기과에서 다른 과로 적을 옮기는 등 참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했는데 거의 반세기가 지난 지금도 ‘왜..왜..’ 라는 의문만 남는다.

학기가 시작되면서 이선화씨의 서울간호학교 친구들과 국제극장 옆 골목, 경기여고로 가는 길에 있던 해양다방에서 거의 정기적으로 만나게 되었고, 정식으로 클럽의 이름도 ‘연호회’라고 붙였는데, 윤인송의 제안으로 ‘연세 와 간호’ 에서 연 자와 호 자를 따서 붙인 그럴듯한 이름이었다. 이렇게 해서 1학기 때 실패로 끝났던 이대생들과의 클럽 만들기가 이제야 다른 ‘여대생’들과 조그만 성공을 이루게 되었고, 내가 그리고 상상하던 ‘멋진 대학생활’ 이 우리 앞에 보이는 듯 했다. 하지만 이런 즐거움 뒤에는 아무래도 이런 ‘과외활동’이 학교 공부하는 시간을 빼앗는 부정적인 면도 있었다. 하지만, 우리는 한창 잘나가던 청춘 20세의 ‘아무것도 두려울 것이 없었던’ 그런 때였기에 큰 신경을 쓰지 않았다.

연호회 클럽의 여학생들은 모두 간호원 지망생들로, 간호원은 당시 한창 외국으로 잘 나가는 직종이었고 그녀들은 분명히 해외취업이나 이민을 꿈꾸고 있었을 ‘세상을 조금은 냉정하게 보는’ 자세를 가졌음에 비해 우리들 남자들은 모두 ‘병역 미필’의 백일몽을 꾸는 듯한 ‘아이’들이었고 나도 그 중에 하나였다. 장래의 꿈은 그렇게 심각성의 차이가 있었어도 만나기만 하면 우리들은 같은 나이또래의 꿈과 취미를 나누며 장시간 담배연기 자욱한 해양다방에 죽치고 시간을 보내곤 했다. 그 때의 여성동무 6명들, 존칭을 빼면: 이선화, 조인선, 신언경, 이재임(인자), 황인희, 정수임 등이었는데, 이들은 알고 보면 우리 남자들같이 서로 친한 사이가 아닌 것 같고, 우리 클럽에 ‘불려 나와서’ 서로 친해진 듯 했다. 심지어, 어떤 여학생(이재임)은 자기가 어떻게 그곳에 나왔는지 이유도 모를 지경이었다. 하지만 우리 남자들 에게는 그런 것은 문제가 되지 않았다. 특히 그 중에 정수임씨는 학생이라기 보다는 아예 직장인 같은 인상을 주며 주말에는 ‘경마장’에서 일하는 아르바이트 생으로 모임에도 거의 빠져서 아직도 그 녀는 무슨 베일에 가린 듯한 추억을 남겼다.

 

연호회 가을산행 관악산 1968

연호회 가을산행 관악산 1968

곡식이 한창 무르익던 가을의 햇볕이 따갑지만 드높은 가을하늘이 파랗던 어느 일요일에 연호회의 첫 하이킹 겸 등산이 한강의 남쪽, 관악산에서 이루어졌다. 그 당시에는 등산 붐이 서서히 일고 있었지만, 주로 ‘남성적’인 북한산 (백운대, 도봉산) 이 인기였고, 관악산은 사실 모르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로 등산코스로 알려지지 않았었다. 용산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모여서 우리들은 과천 행 버스를 타고 갔는데, 그 당시 우리들은 버스 속에서 서로 어울려 그 당시 유행하던 ‘참새 시리즈‘ 농담 같은 ‘그 나이에 맞는 유치한 이야기들’ 을 하며 정말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언제나’ 프로 산악인 임을 자랑하는 박창희는 역시 ‘너무나’ 멋진 등산복 차림으로 등장했지만 15 나머지 ‘날라리 남녀들’ 은 모두 하이킹 차림으로 관악산 정상으로 올라갔다. 그때의 등산은, 주말 경마장에서 일을 하는 정수임씨 빼고 모두 참가를 했던, 지나고 보니 우리 클럽의 ‘유일한’ 산행이었다. 게다가 적지 않은 ‘흑백’ 사진도 고스란히 남게 되어, 더 이상 설명이 필요 없는 그 당시의 우리들의 갓 스무 살의 젊음을 지켜주게 되었다. 그 사진에 있는 애 띤 모습의 ‘호남 사나이’ 김진환은 비교적 젊었던 나이에 운명을 해서 지금은 없기에, 사진을 보면서 ‘하늘나라’에 있을 김진환의 애 띤 모습을 더욱 안타깝게 그리곤 한다.

Scan10129-1꿈에 그리던 남녀 혼성클럽을 나 자신은 가슴 뿌듯하게 여겼다. 그것을 만드는데 나의 시간과 정성도 많이 들어갔기에 그런 것도 있었지만 정기적으로 그녀들과 해양다방에서 볼 수 있다는 생각 자체로도 행복했기 때문이다. 2학년 2학기, 그러니까 1968년의 가을학기를 나는 사실 공부보다는 연호회 과외활동에 더 신경을 쓰며 지냈는데, 그 시절은 비록 학교 공부에 게을러 몇 년 후에 큰 후회를 하기는 하지만 참 아직도 다시 돌아가고 싶을 정도로 후회 없는 청춘의 시간들이었다. 우리 중에 가장 의젓한 모습의 양건주가 회장을 했는데 사실 그는 나이보다 성숙한 편이어서 이런 모임도 조금은 우리보다 심각하게 이끌어 나갔다. 그래서 여자 회원들이 그를 ‘도사’라고 부르기도 했는데, 그 별명은 참 잘 지어졌다고 생각하기도 했다. 우리들이 모이면 대부분은 그 나이에 걸맞게 노래들, 특히 미국 pop song을 즐기곤 했는데, 나는 가끔 그 당시 유행하던 top tune들의 가사를 print(당시에는 등사기로 찍은) 해서 나누어주곤 했는데, 사전에 아무런 이야기도 없이 그런 일을 하는 나를 건주는 사실 못 마땅하게 생각하는 듯 했다. 그 때는 내가 그런 그의 태도가 이해가 잘 가질 않았지만 후에 왜 그랬는지 충분히 이해가 갔고, 역시 깊이 생각하는 그의 다른 면을 보는 듯 했다.

 

¶  이윤기의 짝짓기 아이디어

남녀가 모인 클럽이고, 분명히 클럽의 목적은 이름도 그럴싸한 ‘친목도모’였기에 남녀의 개인적인 사귐은 예상하기 어렵지 않았고, 그러면 분명히 예상치 못한 일들이 나올 것도 예측을 할 수가 있었다. 가을 해가 따갑던 가을 어느 날 나와 윤기는 연세대 중앙도서관에서 시험공부를 하다가 조금 쉬려고 담배연기로 앞이 안 보이는 끽연실에서 모였는데 느닷없이 연호회 남녀에 대한 ‘심각한’ 이야기를 하게 되었다. 윤기의 말은 직설적으로서, 서로 속으로 꿍꿍대지 말고 아예 미리 ‘짝을 짓자’라는 것이었는데, 처음에는 놀랐지만 충분히 이해는 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서 어떤 사람을 두 사람 이상이 동시에 좋아하게 되면 문제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협정’의 골자는 윤기 자기는 이재임(본명: 이인자) 씨와 짝이 되고 나는 이선화씨와 짝을 이루자는 것이었다. 정말 재미있는 이 발상은 나중에 다른 남자들에게도 알려져서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나머지 여자들을 ‘골라 잡게’까지 되었는데, 창희는 신언경씨, 건주는 황인희씨.. 등등이었다. 물론 이것은 거의 ‘장난의 수준’에서 이야기가 된 것이지만, 그런대로 이 ‘협정’은 지켜진 듯 하고, 장래에 이 ‘짝’이 결혼까지 이르는 경우도 생겼다.

 

¶  연고전 보다 대지다방

이런 ‘유치한 사건’이 도움이 되었는지는 모르지만 나는 눈에 띄게 이선화씨와 가깝게 느껴지게 되었고, 이것은 상호적인 감정임도 서로 알게 되었다. 그때부터 나와 선화씨는 ‘정식 데이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그 시절에 정식이라 함은 서로의 집안에 이 사실을 알리고 만나는 것을 뜻했다. 하지만 그것은 내가 우리 집 식구들(어머니와 누나)에게 말한 것일 뿐, 선화씨의 집안 사정은 솔직히 확실하지 않았다. 가끔 일요일 일찍 만나서 하루를 마음 놓고 즐긴 기억인데, 그 당시 우리들은 ‘정말로, 진짜로’ 순수한 감정을 나누었던, 하지만 ‘사랑, 연애’란 말이 어울리지 않던 그런 관계였다. 지금도 다시 생각해 본다. 그때 우리들은 과연 ‘연애’를 한 것이었을까.. 아마도 ‘연애’까지는 아니었을 것이다. 주말이 아니었던 어느 날에는 선화씨와 연세대 앞에 있었던 2층 ‘대지다방’ (신촌로터리에서 가까운)에서 강의가 모두 끝난 시간에 만나기로 해서 기쁜 마음으로 시간을 기다렸는데, 그만 그날은 연고전 응원연습이 예정된 날이기도 했다.

조금은 미안하지만 그것을 빼먹고 백양로를 빠져나가려고 하는데, 예상대로 그날도 체육과 교수(강교수)의 진두지휘로 ROTC생들이 스크럼을 짜고 길을 막고 있었다. 사실 그 며칠 전 연습 시에 그것을 보았고 그날은 친구들과 연세대 뒤에 있는 ‘연희고지’를 넘어서 ‘도망’나간 경험이 있었기에 이번에 데이트가 있던 날은 아주 간교하게 머리를 써서, 죽마고우 유지호의 ‘수도공대’ 학교 배지를 빌려와서 그것을 달고 ‘당당히’ ROTC 스크럼을 빠져나가 대지다방까지 갔었다. 아마 나의 얼굴이 그들(ROTC)에게 잘 알려졌었으면 나는 ‘정학처분’을 받았을지도 모른다. 가끔 나는 기대를 벗어난 ‘악동’기질을 발휘하곤 했는데, 대부분 문제가 없었지만 지금 생각하니 후회가 없는 것이 아니다. 드높은 푸른 하늘에 펼쳐지는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연고전을 마다하고 어둡고 가라앉은, 시끄러운 다방엘 가려고 그런 행각을 했다는 것이 부끄러운 것이다. 하지만 그 당시에는 두 번 생각할 겨를이 없이 그런 ‘달콤한’ 시간들을 즐기기에 바빴다.

 

¶  연호회지, 국전감상, 동양 TV 견학, 음악감상회

연호회가 확실히 자리를 잡고 정기적인 모임이 활기를 띠면서 무엇인가 기록과 역사를 남기려는 노력이었을까.. 물론 확실한 이유는 기억이 안 나지만 회보를 만든다는 그 자체가 멋진 생각이었다. 남녀가 정기적으로 어두운 다방에 죽치고 앉아서 ‘친목도모’를 하는 것은 그 자체가 보기보다는 즐겁기는 했지만 그런 모임이 오래 갈 수가 없음도 자명했다. 그렇게 해서 연호회보가 탄생했고, 순식간에 글과 시 들을 모아서 주로 나와 박창희가 편집을 해서 지금 기준으로 보면 ‘원시적’인 수준의 철필, 가리방 과 등사기로16 조그만 책자를 낼 수 있었다. 내가 권두사를 쓰고 설악산에서 겪은 화상, 사고를 그린 설악산 등산기, 박창희의 산에 관한 글 ‘악(岳)’ 이라는 글, 주로 여자회원들의 시들이 실렸다.

우리의 회보 발간 자체에 대한 열의는 상당했지만 그것이 우리 연호회에 미친 영향은 미미했고 시간과 정력이 생각보다 많이 소요되어서 단 한번 발행으로 끝이 나고 말았다. 아련한 기억 속의 이 ‘회보’는 세월의 횡포 속으로 사라지고 말았지만 가끔 다시 보고 싶은 생각이 들기도 했다. 창간호로 끝이 난 연호회지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지만 정말 기적적으로 2000년이 되던 즈음 양건주가 그것의 ‘사본’을 나에게 보내주었다. 제일 웃긴 것은 내가 쓴 글을 내가 알아보지 못했다는 사실17이었고 이것이 바로 세월의 장난이었다.

1968년 가을은 유난히도 청명했던 기억인데 그 찬란한 가을에 우리들은 경복궁으로 국전을 보러 가기도 했다. 평소에 나는 국전 같은 것에 별로 관심이 없었지만 이성과 같이 감상한다는 것은 별다른 의미가 있었는지 이렇게 아직도 기억에 남을 정도로 인상적이었다. 볼 줄도 모르는 예술작품이 눈에 들어온 것이다. 나는 사실 본격적으로 이성의 존재와 의미에 즐겁게 놀라기도 했다. 한마디로 ‘삶이 신나는, 즐거운’ 시절이 시작된 것이다. 반면에 나의 ‘공부’에 대한 열정은 그에 비례해서 식어 들어가기만 했다.

당시 나의 원서동 죽마고우인 유지호가 잘 알고 지내던 젊은 ‘아저씨’가 동양 테레비에서 엔지니어로 근무를 하고 있었고 우리 연호회 회원들이 단체로 ‘견학’을 할 기회를 만들게 되었다. 내가 중간에서 주선을 한 것이고 이것이 성사가 되어서 나는 내심 자랑스럽기도 했다. 우리들은 흡사 낙도 어린이들이 서울 수학여행 온 듯이 방송국 내부를 흥미 있게 돌아 보았다. 평소 테레비에서 보던 ‘인물’들, 연예인 평론가 등이 연습, 녹화하는 것도 보았는데 기억 속에 당시 잘 나가던 펄 시스터즈가 신나는 soul에 맞추어 춤추며 노래하는 것도 보았고 뉴스 평론가 김용기 씨도 본 기억이 난다.

또한 인상적이었던 것은 방송국 옥상에 있는 ‘거대한’ 마이크로웨이브 안테나였는데.. 그 기술자 아저씨 설명이 방송국의 모든 program이 이 안테나를 통해서 지척에 보이던 남산의 거대한 안테나로 ‘송신’이 된다고 했다. 그것까지는 보통의 설명이었는데.. 그 아저씨 왈, 그 안테나 근처에 가지 말라고, 특히 앞쪽으로 가지 말라고 했는데.. 그야말로 전기통닭 구이가 될 정도로 ‘열’이 날 것이라고 했다. 그 정도로 energy가 큰 것으로 바로 이것이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의 원리였던 것이다.

그 당시 한창 pop song, mostly American 에 심취해 있던 우리들에게 좋은 pop 음악이 나오는 다방에 죽치고 앉아 있는 자체가 즐거움이요 멋이었는데 다방 보다는 우리들만의 음악감상을 할 자리를 마련해서 실컷 좋은 음악을 들어보자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의욕도 거창하게 연세대 뒤편에 있는 ‘청송대‘ 숲 속에서 하자는 이야기도 있었다. 같은 과에 있는 김광호가 자기 클럽이 그렇게 했다는 말을 해서 생각하게 되었는데, 문제는 ‘전축’ audio system의 전원을 어떻게 마련하는 가에 있었다. Battery로 가능한 big audio system이 없던 그 시절이었다. 결국은 회원이었던 박창희의 집에서 하게 되었고, 그 집에는 그런대로 멋진 전축이 있어서 큰 문제가 없이 음악감상회를 진행할 수 있었다. 이날 새로 느낀 것은 나로써는 이해하기 힘들었지만, 모든 회원들이 다 나만큼 pop song을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었다. 

 

¶  크리스마스 비밀 데이트, 윤인송의 입대

그 해의 크리스마스는 이런 배경으로 조금은 ‘덜’외로운 시간을 보내게 되었다. 확실한 timeline은 다 잊었지만 당시 유행하던 (아마도 일본에서 유래 된?) 크리스마스 이브에 ‘길거리’로 나가야만 했던 ‘해괴한’ 풍습은 우리도 피할 수가 없었다. 우리들이 생각했던 idea는 간단히 말해서 남녀 한 쌍이 각기 다른 다방에서 크리스마스 이브에 만난다는 것인데.. 사실 생각만 해도 너무나 멋졌고 모두 동의를 해서 실행이 되었다. 이것은 제비를 뽑아서 정해진 couple이 정해진 다방에서 만나는 그런 것이었다. 다만 누가 누구와 한 쌍이 되었는가가 아직도 확실치 않지만 나는 ‘거의 확실히’ 선화씨와 만났던 것 같다. 너무나 오랜 세월이 지난 것이다. 그 당시에는 그렇게 생생했던 시간들이 왜 그렇게  희미해졌을까.. 안타깝다 안타까워..

이 무렵쯤 윤인송이 군대 징집영장을 받고 입영준비를 하는 ‘신세’가 되어서 우리들의 클럽은 조금씩 김이 새기 시작하게 되었다. 하기야 큰 이유가 없었으면 이 나이에 대개 군대를 가던 시절이었고 우리 클럽의 나머지 남자들도 거의 영장을 기다리던 때였다. 그 중에 윤인송이 제일 먼저 가게 된 것이다. 그때가 1968년이 지나가던 연말 연시 즈음이었는데.. 우리 그룹에서 제일 먼저 입영을 하는 case가 되어서 유난히 관심을 많이 받았다. 윤인송도 그것을 의식했는지, 흥분이 된 상태로 년 초로 예정된 입영 날 자를 기다리며 2학년 2학기를 마치고 있었다. 당시 제일 기억이 나는 것 중에는 인송이가 평소와는 다른 의외의 면모를 보게 되었던 것이 있었다. 평소에 여자 회원들과 깊이 사귀는 것은 고사하고 그런 것에 별로 관심을 보이지도 않았는데 입영날자를 받고는 ‘완전히’ 다른 사람처럼 변해서 이 여자 저 여자와 개인데이트를 하기 시작을 해서 우리를 놀라게 했다.

조용하고 무슨 비밀의 베일에 싸인듯한 모습의 이재임(본명: 이인자, 평창이씨)와 단독 데이트를 했고, 신언경씨의 경우에는 숫제 그녀의 집에 ‘쳐들어가서’ 식사 대접을 받기도 했다. 우리로서는 도저히 상상도 할 수 없는 일들이 벌어진 것이다. 당신에는 조금 의아하기도 했지만 나중에 생각해 보니.. 역시 군대를 간다는 ‘엄청난’ 사실 하나로 모든 것이 이해가 되고 동감도 하게 되었다. 다른 면으로 그는 ‘멋진’ 입영 전야를 보낸 셈이 아닐까? 그런 후 인송이는 1969년이 되자마자 수색 군부대로 입영을 하고 우리에게서 일단 사라졌다.

 

¶  21세 생일, 교육회관 지하다방과 연세춘추

1969년 1월 21일은 나의 21세 생일이었는데 그날 나는 가까운 친구들 (남녀)을 우리 집으로 불러서 식사를 했었다. 그 당시에는 생일을 사람들과 같이 차려먹는 관습은 지금처럼 흔하지 않았던 기억인데 어떻게 내 생일에 그들을 초대했었는지 정말 기억이 또렷하지 않다. 분명한 것은 대부분 연호회 회원들과 가외로 같은 과에 있었던 다른 중앙고 1년 후배 이상일이 합세를 했다는 사실이었다. 어떻게 음식을 차렸는지 기억이 희미하지만 아마도 누나가 힘을 썼을 듯 하였다.   당시만 해도 어머님은 밖에서 일을 하실 때였다. 그 추운 겨울에 당시 널리 보급되었던 ‘석유난로’로 마루방을 덥혀서 그런대로 아늑한 분위기였다. 식사도 한식이었지만 풍성하였고.. 그래서 정말 재미있는 시간을 보냈다. 양건주가 무슨 게임을 하자고 해서 모두 더 즐거웠던 기억도 난다. 이채로웠던 것은 많지는 않지만 여대생들이 함께 그 자리를 채웠다는 사실이었는데, 나는 당시에 그 사실 하나 만으로 너무나 즐겁기만 했었다.  그 때는 그런 식으로 나는 본격적으로 이성에 눈이 뜨이던 그런 시절이었었다.그 당시 어떤 ‘여자’가 그 자리에 있었는지 나는 수십 년 동안 기억하려 애를 썼지만 100% 확실치 않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이재임(이인자)’씨(평창이씨)는 분명히 그 자리에 있었고, 나의 regular 이선화씨가 함께 했었는지.. 나는 그것이 더 궁금하지만 슬프게도 사진도 없고 기억도 확실하지 않았다.

대학 2학년이 끝나가던 겨울방학 중에 나는 친구들과 교육회관 지하다방에서 진을 치고 시간을 보냈다. 당시 겨울방학에는 무슨 여가 활동을 할 여지가 별로 없었다. 학구열이 이미 조금씩 시들해지던 시절, 본격적으로 ‘이성’에 눈이 뜨이던 그런 때에 제일 손쉽게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방법은 pop 음악이 멋지게 흘러나오고 여대생들이 복작거리는, 담배연기가 자욱한 ‘지하다방’에 죽치고 앉아서 시간을 죽이는 것이다. 시간이 ‘무한정’ 있다고 생각하며 살던 20대 초의 전형적인 생각일지도 모르지만 지금 생각하면 조금 한심한 작태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때 내가 낸 기발 난 ‘time-killer’ idea중에 하나가 생생하게 기억난다. 지루한 시간도 ‘죽이고’, 오랜 전(하지만 1년도 안 된)에 한때 ‘빠졌던’ 사람을 볼 수 있게 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가졌던 것.. ’20대 초 악동’의 장난이었지만 그 후에 후회도 많이 했다. 장난은 결국 ‘새빨간 거짓말’에 의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나의 ‘음모’에 수동적으로 가담해서 ‘공범’이 된 사람들은 양건주와 이윤기 였지만 그들은 그저 옆에서 의아해 하고 놀란 모습만 보여 주었다. 모든 것은 100% 나의 작품이어서 아직도 이 두 친구에게 미안한 마음이다.

이 project의 핵심은 가급적 많은 ‘여대생’을 ‘계속’ 만날 수 있게 하는 것 이었다. 하지만, 순진한 ‘사기’극이라고 할 수 있을까? 가능한 많은 여대생들의 주소를 찾아서 ‘연세춘추(연세대 학보)’의 이름으로 편지를 보낸다. 일종의 대학생들의 pop culture 특히 pop song에 대한 그들의 의견을 듣는 것이다. 그러니까 그 당시에 제일 ‘잘 나가던’ 유행음악이 무엇인가 ‘취재’를 하는 것이다. 이런 plan은 사실 크게 잘 못된 것이 없지만 우리가 ‘연세춘추 기자’라고 한 것은 ‘사칭’에 속하는 일종의 ‘범죄’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런 것까지 생각할 정도로 머리가 굳어진 나이는 아니기에 ‘거침없이’ 계획을 밀어 부쳤다.

죽마고우 유지호가 열심히 다니던 CCC(Campus Crusade for Christ)란 대학생 선교회 회원들의 주소록을 입수한 것이다. 거기에는 우리들이 침을 흘리던 여대생들의 주소가 빽빽이 실려 있었고, 몇 명의 주소를 고르고 그들에게 연세춘추의 이름으로 편지를 보냈다.

별로 기대를 하지 않았지만 ‘연세춘추’의 위력이 있었는지, 초대받았던 몇 명의 ‘여대생’이 담배연기 자욱한 다방으로 하나 둘씩 걸어 들어왔다고, 놀란 것은 사실 우리들이었다. 비록 ‘인터뷰’ 준비는 하고 있었지만 너무나 당황한 우리 모습들이 우리가 보아도 웃겼다. 다행히 당시 나는 pop song의 ‘권위자’ 급에 속해서 크게 실수를 안 하고 그들이 좋아하는 것들을 물어보고 즐겁게 대화를 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곳에 나왔던 ‘여대생’들 중에는 ‘짱!’ 하는 느낌을 주는 무언가 없었다. 그저 ‘시간을 죽인’ 효과만 얻을 수 있었던 것이다. 사실 그것이 우리가 원하던 것이었으니까.. 별로 후회는 없었다.

이런 ‘성공적’인 일이 있고 나는 조금 더 ‘대담’한 생각을 하게 되었다. 오래 전 (사실은 반 년이 조금 넘은.. 당시에는 그 정도면 ‘영원’에 가까운 세월이었다.) 헤어진 나의 첫 date 윤여숙 씨에게 도전을 해 보는 것이었다. 그러니까.. 이번에 성공리에 끝난 ‘연세춘추 인터뷰’의 방법을 써서 그녀를 불러내 보자는 idea.. 얼마나 장난스러운가?  그것이 전부였다. 그저 한번 해보자.. 는 100% 장난이었다. 나의 이런 idea에 두 친구들은 회의적이고 반대를 했지만 나는 밀어 부쳤다. 이런 아이장난에 쉽게 넘어갈 상대가 아니기에 밀어 부쳤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문제는 그 초대받은 날에 그녀가 ‘출현’을 한 것이었다. 이렇게 되면 나는 대책이 없었다. 그녀와 맞대면한 용기는 제로에 가깝고.. 이런 식으로 만나는 내 자신이 사실 ‘비참’하게 느껴졌기에 속으로 그녀가 안 나타나기만 바랬는데..

약속시간이 되어 다방 문에 출현한 그녀를 보고 나는 완전히 얼어 붙었고 고개를 숙이고 어찌할 바를 몰랐고 옆에 있던 두 친구들은 왜 그러냐고 계속 추궁을 했다. 만날 곳, 좌석의 위치가 지정되어 있기에 우리 옆까지 온 그녀를 나는 계속 고개를 숙이고 있었고 ‘연세춘추 기자’라고 인사를 못하고 있으니 결국 그녀는 급기야 counter에 가서 무언가 이야기를 하고 있었고.. (이 모습들은 내가 목격한 것이 아니고 옆에 있던 친구들이 본 것이다).. 화가 난듯한 모습으로 counter에 무언가 ‘따지고’ 있었다고 했다. 아마도 우리를 찾으려고 했을지도 모른다. 사실 그런 모습들은 내가 생각한 그녀의 평소 모습들이 아니라서 나는 놀라기만 했다. 너무나 적극적인 것이었다.

결국 그녀는 사라지고 나는 다른 걱정을 할 수밖에 없었는데.. 그녀의 아버지가 경찰관’이라고 들었기 때문이다. 만에 일이라도 이런 ‘사기극’이 그녀의 아버지에게 알려지는 날이면… 우아.. 너무나 아찔한 상상이었다. 이런 이후 나는 그녀를 ‘완전히’ 기억에서 잊게 되었고 그것이 나에게 ‘안전’함을 알았기에 이번의 ‘사기극’이 나에게 큰 도움이 되었다고 자위를 하기도 했다. 몇 년 후에 (도미 직전) 그녀를 볼 기회가 있었는데.. 이 당시의 일을 전혀 기억을 못하는 것을 보고.. ‘연세춘추’ 사건의 배후에 내가 있었다는 것도 모르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때 내가 ‘진실’을 밝혔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한다. 그저 넘치는 시간을 주체 못한 덜 성숙한 ‘아이’의 애교라고 생각할 수도 있었지 않았을까? 아~~ 추억이여.. 모든 추억이 이렇게 아름다웠으면..

 

¶  나가며…

2013년 7월 초에 쓰기 시작했던 이 blog.. 일년 반 만에 ‘나가며’ 란 종장을 쓰게 되었다. 짧지는 않을 것이라 예상은 했지만 이렇게 오랜 세월과 싸울 줄은 미쳐 몰랐다. 서두에 말했듯이.. 내가 time machine을 타고 돌아갈 수 있는 ‘일 년’이 있다면 서슴지 않고 1968년이라고 말할 수 있기에 나는 더욱 나의 굳어져가는 머리의 기억세포를 짜내었고 그것이 너무나 힘이 들었기에 시간이 갈 수록 더욱 더 쓰기가 싫어지게 되었음도 솔직한 고백이다. 하지만 과정보다는 결과가 더 중요하다. 내가 짜 낼 수 있는 것은 99% 뽑아 낸듯하다. 이제는 ‘가미사마‘의 심판을 기다리는 기분으로 이곳에 홀로 남겨두고 나는 떠난다. Good Bye (forever).. 1968!

 


 

  1. 1966년 입학해서 1학기를 마치고 휴학하고 다음해 2학기에 복교를 하였다.
  2. 요새도 공비라는 말이 있는지조차 나는 확신이 없다. 공비라는 말은 ‘공산당 비적’의 준 말이다.
  3. 대개 소한과 대한이 이때에 걸쳐있다.
  4. 이들은 보통 사람의 능력을 넘는 체력으로 거의 나르듯이 행군을 했다고 한다.
  5. 그때 박정희 대통령이 살해가 되었다면.. 아마 소규모의 전쟁으로 이어지지 않았을까?
  6. 상당수가 살아서 월북을 했을 것이다.
  7. 이때 미국의 미온적인 태도는 박정희의 자주국방 의지를 더욱 단단하게 만들게 되고, 미국식 자유민주주의 체제하에서는 국가의 존망 자체가 문제가 될 수 있어서 3선 개헌으로 시작되는 ‘장기집권’의 명분과 빌미를 주게 된다. 그러니까 김일성 개xx도 박정희 장기집권을 도와준 셈이 되는 것이다.
  8. 부족할 것 하나도 없었던 그 당시 ‘철부지’ 학생들은 거의 문화혁명을 방불케 하는 권위에 대한 도전의식으로 월남전을 기피하고 반대를 했다.
  9. 당시 대한민국은 경제적으로도 쪼들렸지만 국제적인 입지도 미국의 똘마니 정도, 미국에 완전히 의지하는 약소국가로 취급이 되었고, 반면에 김일성 개xx의 북괴는 의외로 ‘자주국가’로서 제3세계까지 포함한 상당 수의 국가들에게 지지를 받고 있었다.
  10. 담배와 담배연기, 담배 피우는 남자의 모습은 여성들과, 거의 모든 곳(특히 영화나 TV 드라마)에서 멋진 것으로 묘사되던 시절이었고 여자가 담배를 피우면(할머니는 예외) 그녀는 분명히 화류계로 취급이 되었을 것이다.
  11. 아마도 아리랑 아니면 신탄진이었을 것이다.
  12. 그때 피우기 시작한 담배는 1990년 중반까지 계속 되었다.
  13. 그 당시는 군에 가는 것은 가급적 피하고 싶었던 의무였다. 사실상 군 복무 시 사고로 죽거나 병신이 되는 예도 허다하게 많았다.
  14. 父先亡 單代獨子, 아버지 없는 1대 독자
  15. 창희는 이미 거의 프로에 가까운 요델 산악회의 멤버였다.
  16. 이것이 사실 당시의 유일한 desktop publishing 의 한 방법으로 그야말로 Gutenberg를 연상케 하는 수준이었다.
  17. 권두사가 바로 그것인데.. 당시 유행하던 G-CliffsI Understand란 노래중의”let bygone be bygone“을 유치하게 인용한 글.. 그것을 읽고 누가 이런 유치한 글을 썼을까.. 생각했지만 희미한 기억으로 조금은 귀에 익은 글이라는 생각 끝에 나는 그것이 나의 글이었음을 알고 정말 의자에서 떨어질 정도로 놀랐다.

‘팔도 사나이’와 원서동 ‘사이다 공장’

paldo-guys-2
1969년 1월 21일자 동아일보

얼마 전에 정말로 우연히 1969년 (국산)영화 ‘팔도八道 사나이‘란 것을 YouTube에서 download해서 보았다. 그 당시 1960년대 말, 유행하던 영화, 가요 등에 ‘팔도’란 단어가 붙은 것이 많았다. 팔도란 대한민국 행정구역의 8도를 말하고, 그저 ‘우리나라 전역’을 뜻했을 것이다. 그것의 선두주자가 ‘팔도강산‘이란 영화, 그리고 같은 이름의 주제가였다. 한창 서구, 특히 미국의 유행음악, pop song, pop culture에  심취해 있던 대학생 시절  ‘촌스럽게만’ 느껴지던 그런 영화를 보았을 리가 없었지만 세간에서 많이 유행하던 것들이고 그 주제가를 당시 최고가수 최희준씨가 ‘덩실거리며’ 불러서 기억에는 또렷이 남았다. 다른 쪽으로는 유행어 ‘팔도의 원조’ 팔도강산은 사실 당시 박정희 정부의 경제개발, 해외수출정책, 외화, 국민소득증대정책 등과 묘하게 엮이기도 했다.

 그런 ‘팔도’란 말이 거의 유행어처럼 다른 영화에도 붙어서 1 나오고 했는데 이 ‘팔도 사나이’도 그 중에 하나였을 것이라 짐작이 갔다.  하지만 정작 이 영화를 보니.. 나의 빠른 예측은 완전히 빗나갔다. 팔도 사나이의 팔도는 팔도강산의 팔도와 배경과 의미가 100% 달랐기 때문이다. 당시 액션영화에서 잘나가던 장동휘씨와 새로 나온 신선한 모습의 윤정희, 그리고 조금은 중견배우의 무게가 실려있는 태현실이 등장하며,  ‘싸움질 하는 영화의 고정 급’들이 모조리 출연한 일제시대를 배경으로 한 ‘의협심,애국심 있는 깡패들 이야기’영화라고나 할까..

1969년 영화지만 영화 줄거리의 배경은 일제시대(허.. 요새는 점잖게 ‘일제 강점기’라고 하던가..), 고아출신의 싸움 잘하는 소년이 서울 중심가 거리에서 일본 야쿠자, 고등계 형사들과 맞서서 싸운다는 이야기.. 그러고 보니 어디서 많이 듣던 익숙한 이야기가 아닌가? 그렇다… 이것은 거의 분명히 항일투사 김좌진의 아들, 반공깡패 김두한의 이야기를 각색한 것이다.  활동무대 중에는 내가 국민학교 시절 많이 갔던, 극장 우미관도 나온다. 그러고 보니, 1980년대의 영화 <장군의 아들2> 도 김두한의 이야기였다. 그러니 아마도 이 <팔도 사나이>는 전설적 ‘정치, 반공깡패’ 김두한 영화의 원조가 될지도 모른다.

 영화자체는 1960년대 말, 대한민국 영화의 수준을 보여주는 정도라고 생각 되었다. 장동휘의 연기도 평균수준.. 조금은 김빠지는 인상도 받았고, 윤정희의 연기도 별로 크게 뛰어나지 않았다. TV 쪽으로 많이 얼굴이 보이던 오지명, 그는 원래부터 액션물에 맞아서 그런지 의협심 있는 깡패 역에 잘 어울렸다. 하지만 일본 깡패들로 등장한 황해, 허장강.. 너무나 맡았던 역과 어울리지 않아 보였다. 그들의 익숙한 역과 맞지 않아서였을까? 오히려 100% 악역 전문인 ‘장혁’은 오히려 일본 헌병 역에 잘도 어울렸다.

하지만 이영화가 나를 정말로 놀라게 했던 이유는 내 추억의 황금기였던 서기 1969년의 영화라는 사실 보다 이 영화 첫 장면이 찍힌  location에 있었다. 처음 이 영화를 보는 순간, 거의 순간적으로 나는 이 첫 장면이 찍힌 곳을 알게 되었다. 마치 10여 년 전에 TV 드라마 <겨울연가>를 보았을 때, 나의 모교 중앙고교의 웅장한 campus를 순간적으로 알아 보았던 것처럼 이것도 마찬가지다. 그 장면이 찍힌 곳은 나의 어린 시절의 꿈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원서동 이었다. 내가 8살 때부터 10살 때까지 살았던 곳이 이 장면에 그대로 있었다. 하지만 나의 가슴을 울렸던 것은 그 오래된 추억만이 아니었다. 그곳 그곳에 나의 집이 없었던 사실이 나를 울리게 한 것이다.

 그 한길에서 장동휘가 싸우던 그 ‘넓은’ 길 그 자리에 바로 우리 집이 있었다. 바른쪽 비원 담 옆에 도열한 집들을 따라 원서동 개천이 흐르고 그 개천과 왼쪽에 있는 집들 사이에 우리 집이 있었다. 이 우리 집은 내가 국민학교(재동) 2학년 이후부터 4학년 1학기까지 살았던 우리가족 3식구가 살았던 유일한 단독 주택이었다. 나의 추측에 아주 헐값으로 그 단독주택을 사셨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그 집에는 사연이 있었는데, 그 집은 흔한 말로 ‘도시계획’3에 의해서 나중에 ‘철거’가 되어야 하는 운명에 있었던 것이다. 어머님이 어떤 재주로 그 집을 사셨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셋집이 아닌 우리 집이라는 사실 하나로 오래오래 기억에 남는다. 그 이후로는 세운상가 아파트를 사기 전까지 우리는 전세로 남의 집에 살았다. 이 집에서의 추억은 참으로 거의 사진처럼 선명하다. 개천 옆이라 밖에 나가면 모두 여름 겨울 모두 우리의 놀이터가 기다리고 있었고, 이곳에서 원서동의 죽마고우들이 나에게 많이 생기기도 했다. 승철이네 집, 명성이, 동만이, 창희, 용현이.. 꿈에도 잊지 못할 죽마고우들을 다 이곳에 살 때 만난 것이다.

바른 쪽 전주(그 당시에는 전보산대라고 불렀다) 에 거의 붙어 있는 집이 나의 잊지 못할 죽마고우 박창희, 손용현이 살던 집이었다(창희야, 용현아, 너희가 살던 집이 영화에 나왔다!). 그러니까..그들의 집은 1969년 당시까지 ‘건재’했던 것이다. 또 그 옆쪽으로 초가집도 보인다. 내가 살 당시만 해도 원서동에는 초가집이 참 많았고 1969년까지 그렇게 남아있었던 것이다. 사실 나는 이렇게 ‘복개공사’가 된 원서동을 1967년 경에 마지막으로 보았고 그 뒤에는 꿈에서나 보게 된다. 나의 집이 없어졌다는 사실은 그러니까 나는 이미 알고 있지만, 꿈 속에는 그대로 남아있다. 왼쪽에 무슨 ‘공장’처럼 생긴 건축물이 바로 우리가 어렸을 때 ‘사이다 공장’으로 불리던 곳인데.. 정말 1969년까지 하나도 변하지 않았던 것이다. 내가 어렸을 때 바로 집 옆에 있던 그곳 공터에서 많이 놀았다. 특히 그곳에 있던 ‘열린 계단’은 내가 ‘낙하산 실험’을 하며 놀던 곳이다. 높은 곳에 오를 길이 없어서 낙하산을 만들어 던질 곳이 없었던 차에 그 열린 계단은 안성맞춤이었다. 그때가 아마 1955~1956년경 이었을까.. 참 오래 전의 모습들이다. 지금 이곳도 ‘상전벽해’가 되었을까? 하지만 걱정은 없다. 나의 머리 속에 아직도 선명하게 남아있기 때문이다. 지금도 의문이 남는다. 그 당시 우리들은 ‘공장’을 사이다 공장이라고 불렀는데.. 과연 그곳은 사이다를 제조하던 곳이었을까? 원서동의 역사를 잘 아시는 분들, 향토역사가들 고수들은 아마도 아실지도 모를 일이다.

 

행인들이 지나가는 길 바로 옆의 집이 '창희와 용현이'가 살던 집이었다.

행인들이 지나가는 사진 정 가운데의 집이 ‘창희와 용현이’가 살던 집이었다.

이 모습은 우리집 자리에서 보이는 사이다 공장의 입구의 모습이기도 했다.

이 모습은 우리집 자리에서 보이는 사이다 공장의 입구의 모습이기도 했다.

바른쪽 장동휘씨가 서있는 그 자리에 바로 우리집이 있었고 그 옆으로 원서동 개천이 있었다.

바른쪽 장동휘씨가 서있는 그 자리에 바로 우리집이 있었고 그 옆으로 원서동 개천이 있었다.

사이다 공장 뒤로 '낙하산' 돌계단이 선명히 보인다

사이다 공장 안쪽 사람들이 모인 고 왼쪽 옆으로 ‘낙하산’ 돌계단이 선명히 보인다

원서동 사이다 공장.. 나의 기억 속의 모습도 이 모습이었다.

원서동 사이다 공장.. 나의 기억 속의 모습도 이 모습이었다.


 

1969년 영화 <팔도 사나이>

  1. 예를 들면 ‘팔도 며느리
  2. 이 <장군의 아들>을 만든 개XX는 완전히 X-rated 를 능가하는 섹스 scene을 겁도 없이 보여주었다. 이 미친 ‘제작, 감독’ XX들은 자기 가족, 아이들과 같이 그 영화를 볼 생각을 했을까?
  3. 간단히 말하면 원서동 개천을 복개공사를 하며 개천 ‘위’에 걸쳐진 모든 집을 철거하는 것.

빨간 마후라 red scarf

1964년 4월 8일자 동아일보 영화 광고
1964년 4월 8일자 동아일보 영화 광고

얼마 전 역시 우연히.. stumbled upon.. ‘재수 좋게’ 이 영화를 정확히 거의 50년 만에 다시 보게 되었다. 이 영화는 1964년 봄에 개봉된 신상옥 감독, 신필름 제작의 전쟁영화로 당시에 장안의 화제를 상당히 끌었고, 흥행도 대 성공이었던 것도 기억을 한다. cast도 당시 최고의 인기 배우들이 등장을 했지만 그보다 더 인상적인 것은 전투기, 거의 모두 F-86 Sabre jetfighter 가 대거 등장을 했고 지금 다시 보아도 ‘우습지 않게 보이는’ 정도로 당시로서는 상당한 촬영 기술을 보여 주었다는 사실이었다.

이것을 ‘우연히’ 발견하고 혹시 이것도 ‘한국 영상원’ 어쩌구 하는 곳에서 ‘올려 놓은’ 것인가 했지만 정말 다행히도 ‘표준 youtube video protocol’ video여서 부지런히 ‘download’ 를 해 두었다. 이제는 ‘안심하고’ 언제든지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여기까지는 good news였는데 bad news는..  막상 보게 되니.. video quality가 ‘엉망’이었다. 그러니까 VHS video tape보다도 못한 상태였던 것이다. 거기에는 이유가 있었다. 영화 첫 부분에 그 이유에 대한 ‘양해’ 메시지가 나온다. 이것도 역시 빨갱이 탓이었던가.. 신상옥씨가 강제 납북되면서 자신 소장의 original들이 모두 없어졌다는 말이 나온다. 여기에 의문은.. 신씨가 납북되면서 왜 그가 만든 영화들을 가지고 갔는가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자발적으로 북을 간 것인가? 좌우지간 여기에 보이는 영화의 video는 영화를 상영하면서 video camera로 찍은 것이 분명했다.

이런 사연을 알고 보니 더욱 이 video가 값지게 느껴졌다. 아차..하면 이것도 못 보고 죽었을 수도 있지 않은가? 가끔 이 영화가 생각나곤 하고.. 그 당시 보았던 영화의 장면, 줄거리 등을 머리를 짜내며 생각하기도 했다. 몇 장면과 대사는 아직도 기억을 한다. 또한 당시 인기 4중창단 불루벨즈 가 불렀던 주제곡은 이 영화의 전체적 분위기와 참 잘 어울렸고 또 영화와 별도로 인기곡으로 남게 되었는데.. 사실 그것이 전부였다.

이 영화는 1964년 봄에 개봉이 되었고 상당한 인기였지만 당시 중앙 고교 2학년 생이었던 나는 그렇게 관심이 없었다. 왜냐하면 당시 그 나이에는 ‘외국영화, 미국영화’가 아니면 모두 ‘촌스럽게’ 느껴지고, 사실이 그랬다. 그 정도로 국산영화의 질은 한마디로 저질이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 영화 ‘빨간 마후라‘ (당시 마후라 란 말은 가벼운 느낌의 목도리란 뜻으로 거의 표준어처럼 쓰였는데 알고 보니 muffler의 순 일본식 발음이었다) 는 조금 달랐다. 우선 당시 우리들에게 상당히 인기가 있었던 박택규 화학 선생님이 이것을 보고 와서 아주 인상적으로 ‘선전’을 하셨던 것이다. 그것이 이 영화를 보게 된 이유가 됐다.

그 박택규 선생님은 화학을 ‘대학 교수’ 스타일로 ‘강의’하시던 독특한 선생님으로 역시 수년 후에 대학교로 ‘영전’이 되시어 가시기도 했다. 그 선생님은 우리들을 마치 친구처럼 생각할 정도로 화학 과목 이외의 주제에 대해서 이야기 해 주시고 자신이 본 영화 같은 것도 감상을 나누곤 했다. 당시 입시위주의 분위기에서 그런 선생님은 참 드문 case였다. 그 선생님이 알려 준 이 영화 장면들 중에서 ‘최무룡’ 이 수송기에 의해서 ‘기적적으로’ 구출 되는 것.. 그것은 아직도 나의 머리 속에 남아있다.

나중에 직접 이 영화를 보고 느낀 것 중에는 한마디로 모조리 멋진 사나이들.. jetfighter pilot들의 ‘여성 편력’이 대단하다는 사실이었는데.. 이런 사실은 아마도 동서양을 막론하고 마찬 가지인 모양으로 1980년대 미국 영화 Top Gun을 보아도 거의 비슷한 것이다. 여자들이 그 조종사들을 그렇게 멋지게 본다는 사실이 미국 영화보다 우리가 훨씬 앞서 이 빨간 마후라에서 나타난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신영균, 최은희, 최무룡.. 이 세 최고 배우가 주름잡는 이 영화는 6.25 전쟁 당시 강릉 공군기지를 무대로 펼쳐지는데 나도 당시의 느낌을 고스란히 간직한다. 강릉 공군기지는 나에게도 친숙한 이름이었고 그곳에서 ‘뜨는’ 공군 조종사들을 내가 9살 쯤인가 원서동 살 당시에 가까이 보기도 했다. 물론 그 조종사도 ‘여자’와의 관계로 더욱 우리에게 알려진 case라서 내가 갖는 이들의 playboy인상은 이 영화에서 재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100% 확실한 기억 속의 장면 중에는 최은희가 고급 술집에서 hostess로 아주 취한 상태로 ‘쉬~ 하러 간다’는 말을 하는 장면이 있는데 당시 고2의 나이에 이것은 아직도 기억에 남을 정도로 erotic하게 들렸다. 또한 크리스마스 파티가 끝나고 그룹의 조종사들과 여자들이 모조리 good night ladies’ kiss를 같이 하다가 비행단 최고 상관인 ‘박암’이 자동차 headlight를 키며 노려 보자, 신영균이 그가 누군지도 모르고 ‘이노무 새끼..’ 하며 다가가는 장면.. 50년이 되었지만 생생한 기억들이다.

당시 F-86 조종사들은 아마도 군인들 중에서 최고 ‘엘리트’ 급에 속했을 듯 하다. 왜냐하면 영어에 능통을 해야 미군들에 의해서 훈련을 받는데다가 비행기를 이해할 정도면 rocket scientist는 아니더라도 대학졸업 정도는 해야 하지 않았을까? 그러니까.. 군인들 중에서는 최고의 선망의 대상이었을 것이다. 물론 신영균, 최무룡 급의 미남들을 아니었어도 그것이 큰 문제가 되겠는가.. 하늘을 나르며 조국의 지킨다는 사실 하나 만으로도 ‘멋진 여성’들의 가슴을 설레게 했을 것 같다. 최소한 그 당시 이 영화를 본 나의 나이 또래는 그렇게 느꼈을 것 같다.

이 영화를 다시 본 느낌은.. 다 좋은데.. 끝 부분이 전체적인 ‘멋진 인상’을 구겨놓았다는 아쉬움이랄까.. 멋진 외국영화를 보다가 불현듯 ‘촌스러운’ 국산영화의 느낌으로 끝을 낸 것이다. 그 장면은 ‘한국적 정서’를 나타내려고 한 듯이 ‘죽은 신영균의 어머니, 한은진’ 이 조금은 부자연스럽게 불현듯 나타난 것인데.. 글쎄, 각본 때문에겠지만 이 장면으로 완전히 ‘멋진 꿈에서’ 깨어난 듯 느껴진다.

 

 영화 빨간 마후라, 1964

 

 

추위, 상도동 종점의 고뇌

cold-jan-2014올해 겨울은 정말 춥다.  아~~ 고뇌.. 이 지독히도 오래된, 아득히 먼 옛날에 내가 자주 되뇌던 표현이 문득 되살아난다. 이유는 간단히 말해서.. 아주 쓸쓸하고 황량한 시베리아 같은 그 때와 같은 느낌의, 뼈 속 깊숙이 스며드는 추위를 느꼈기 때문이다.
정말 이런 느낌은 그 ‘때’ 이후 처음으로 느낀 것이다. 그것이 반갑기도 하고 춥고 쓸쓸하기도 하다. 여기서 말하는 ‘그때’는 거의 45년 전인 1960년대 후반이었고 그 ‘시베리아’는 연세대 재학 시 살았던 상도동 종점 부근이었다.

지금 내가 아틀란타 지역에서 느끼는 ‘연일 계속되는 지독한’ 추위는1 뉴스가 될 정도로 의외적인 기후현상이고 거의 25년간 이곳의 ‘전형적’인 ‘더운 겨울’에 적응이 된 탓에 지금의 지독히 추운 겨울은 바로 ‘그때’ 느꼈던 ‘고뇌’와 비슷한 느낌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지난 해에 발표되었던 북미주 장기 일기 예보가 정말 ‘까무라칠’ 정도로 적중한 것에 나는 놀라기만 한다. 일기예보과학이 참으로 발전을 한 모양이다. 그 예보에 의하면 서부를 제외한 전체 북미주 전체가 ‘더 춥고, 더 습한’ 그런 것이었는데 현재까지 거의 모두 맞고 있다. 이것으로 global warming 같은 ‘정치적’인 것과 연관을 시키는 것은 무리겠지만.. 과연 어떨까?

옛날 ‘그때’는 20세 전후의 팔팔한 젊음을 자랑하던 때였지만 우리세대들.. 6.25이후 잘 못 먹고 자랐는지 신체적으로 별로 건강한 편은 아니었고, 박정희 정부의 요란한 경제발전 소음은 요란했지만 그것에 비해서 ‘따뜻하고 편한’ 환경은 절대로 아니어서 지독한 서울의 매서운 바람은 정말 ‘고뇌’로 느껴질 수 밖에 없었다. 요새 그 흔한 storm parka같은 것도 없었고 overcoat도 너무나 비싸던 시절..시베리아 성 서울의 1월 맹 추위는 정말 겨울중의 겨울이었다.

특히 데이트 같은 것이 늦어져서 시내버스 막차로 상도동 종점 (숭실대학 입구) 에 내려서 집까지 가는 골목의 맞바람 추위는 정말 대단해서.. ‘그때’ 내가 ‘즐겨 되뇌던’ 말이 바로 ‘아~ 고뇌’였다. 이 말을 ‘계속’ 해서 내 뱉으며 어둠 속의 골목길을 걸으며 집으로 향했던 ‘그때’였다. 그 집이란 것도 당시에는 중류층 수준이었겠지만.. 글쎄.. 연탄이 거의 전부였던 시절, 온돌방과 연탄난로의 난방은 사람을 거의 꼼짝 못하게 만들고, 따라서 이불을 깔고 백일몽을 즐기며 아름다움 추억의 씨를 뿌린 기억들 뿐이다. 하지만 그 느낌들은 지금 ‘절대로’ 재현할 수 없는 정말 아름다운 그런 것들이었다.

같은 추위에도 같은 느낌이 꼭 들까? 아닌 것 같다. 이곳 아틀란타 지역으로 이사오기 전까지 나는 거의 Midwest 지방2에서 살았기에 그곳의 진짜 무서운 눈과 추위를 고스란히 경험하였지만 그곳 추위의 느낌은 ‘절대로’ 서울 1월의 느낌과 달랐고, 지금 느끼는 아틀란타 지역의 느낌과도 다르다.

그 ‘북쪽’의 추위는 심리적으로 너무나 추운 겨울을 예상해서 그런지 느낌이 ‘고뇌’성 같이 괴롭지 않았다. 그런 추위에서 거의 ‘걷는’ 일이 거의 없고 지독히 절연된 난방 된 집과 차에 의지하며 겨울을 나면 별로 추운 느낌을 기억하지 못해서 그런지도 모른다. 현재 이곳의 ‘겨울 환경’이 아마도 1960년대 말 서울과 거의 비슷한 것은 아닐까..하는 재미있는 추리를 해 본다.

 

Bridge over Troubled Water – Simon & Garfunkel, 1970
classic oldie가 나의 당시 고뇌를 말해 주기도 했다.

 

  1. 최저 섭씨 영하 12도.. 최고는 빙점에서 오락가락..
  2. Illinois, Ohio, Wisconsin같은 모두 Big 10 지역

진로 소주와 강남스타일

jinro-soju보드카 야.. 물러가라, ‘강남스타일’ 진로소주가 들어간다.. 이런 식으로 진로소주의 본격적인 미국 주류시장 공략에 대한 이야기가, 미국 주요 뉴스 매체[major news outlet]가 보기에 ‘하찮은’ 것들 즐겨 찾는 NPR[National Public Radio]에 보도가 되었는데 그냥 지나치려다가 ‘파아란’ 쏘주 병 사진을 보고 어쩔 수 없이 보고야 말았다. 그 ‘파아란, 두꺼비 표’ 진로 쏘주 병 색깔을 보니 어쩔 수 없는 향수 심이 돋아나는 것이었다.

이 보도를 보면 내가 그 동안 몰랐던 것들이 있었다. 그 중에, 진로 소주는 술 종류 SPIRITS (증류주?) 중에서는 판매량이 ‘세계에서 1위’라는 것이다. 대표적인 ‘경쟁 주’는 Smirnoff, Jack Daniel’s, Bacardi등이 있는데 그들의 판매량 보다 거의 갑절이라는 것은 사실 놀랍기만 하다. 하지만 미국 시장에서는 ‘보이지 않을 정도’로 판매량이 적은데 전체의 5% 정도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한국시장이 거의 압도적으로 제일 크고, 다음이 일본, 중국 정도 인데.. 이것도 충분히 이해하고도 남는다. 나는 한국사람들의 술 문화를 비록 오래 전이었지만 ‘알맞게’ 겪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국의 ‘술고래’ 전통이 계속 그렇게 유지되지는 않을 듯.. 그래서 이제는 제일 큰 미국시장을 겨냥하는 것일지도… 술을 파는 것은 사실 술 맛도 중요하지만 ‘멋진 광고’도 중요할 것이고, 그래서 제일 효과적일 수 있다는 강남스타일을 광고로 골랐는지도 모른다. 나 자신은 그 ‘강남 어쩌구’ 하는 것, 한마디로 ‘병신 지x’로만 보이지만 그것에 넘어가는 작은 머리들이 생각보다 많을 지도 모른다. 그것이 광고인 것이다. 그저 ‘넘어가면’ 그 역할을 끝나는 것이니까. 그러니까 ‘한국 팝 문화’를 이용하고, 곁들이는 방식인데, 글쎄요.. 그것이 그렇게 보는 것처럼 쉬울까?

한 전문가는 지금까지의 넘버 원이었던 러시아 보드카를 예로 들었는데, 그것이 처음 들어왔을 때가 1950년대였고, 현재에 이르러서 그것이 top이 되었으니.. 얼마나 오랜 세월이 걸렸는가? 반세기가 흐른 것이다. 그것이 ‘술 문화’가 변하는 ‘속도’인 것이다. 그런데, 난생 처음 들어보는 아시아의 요상한 맛을 가진 소주를 ‘강남 스타일’ 등으로 팔겠다는 것도 생각보다 긴 ‘세월’이 필요하지 않을까?

그렇지만, 소주에는 보드카에 없는 장점이 하나 있는데 그것은 소주의 알코홀 ‘도수’가 20%라는 것인데, 이것은 정식 주류 면허에 못 미치는 맥주, 와인 정도의 면허만으로 팔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낮은 알코홀 도수이기에 보드카로 만드는 칵테일 대신에 색깔이 같은 소주를 대신 쓸 수가 있고, 실제로 이런 방식으로 소주를 bar에서 많이 쓴다고 한다. 물론 이것은 한국문화의 관계성과는 전혀 상관없이 ‘장사 속’으로 생각해서 훨씬 경제적이라는 뜻이다. 미국 시장에서의 성공 여부를 떠나서 아마도 진로소주는 내년에도 ‘전세계 판매량 제1위’를 계속 유지할 확률이 크다고 한다.

이러한 보도를 읽으며 생각을 해 본다. 나 자신의 ‘술 문화’를 생각하는 것이다. 그 옛날 대학시절 무렵, 팔팔할 적에는 술에 너무나 약해서 제대로 ‘술 맛과 멋’을 몰랐다. 쉽게 퍼 마셔도 별로 탈이 없었을 나이에 제대로 못 마신 것이다. 취하면 기분이 날라갈 듯했지만 대신 ‘술 탈’로 고역을 겪어야 했다. 유혹에 약해서 술을 제대로 거절할 수 도 없었다. 그런 문화에서 계속 살았으면 나는 나의 절친한 친구 김호룡1 처럼 50세도 못 채우고 황천으로 갔을 확률이 90% 이상이었을 것이다. 다행히 술 문화가 ‘전혀 다른’ 미국에서 오래 살아서 나는 그런 함정은 피할 수 있었고, 대신 ‘서서히, 알맞은’ 속도로 주량을 늘려 나가서 이제는 맥주 5병을 마셔도 괜찮고, 기분도 좋게 되었다. 한마디로 나의 ‘체질’이 변한 것이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주막집 문화’를 느끼며 마시는 ‘재미’는 물론 거의 없고, 대신 집에서 하는 모임 같은 곳에서나 그런 재미를 ‘상상’하긴 한다. 그 옛날 서울 포장마차에서 마셨던 ‘진짜 진로 소주‘는 없어지고, 이곳에 들어온 것들은 모두 ‘와인’ 정도로 ‘약 하게’ 변해서 도저히 그 옛날의 ‘목 젖이 아파오는‘ 그런 짜릿한 맛을 찾을 수 없게 되었다. 20% 소주가 그런 것들이다. 술에 얽힌 이야기들은 적지 않지만 대부분 기억하고 싶지 않은 것들이 많아서 잊은 것도 많다. 하지만 언젠가는 그것들도 ‘치매 예방’ 차원에서 하나 둘 씩 기억을 해내어 개인 역사에 남겨 놓는 것도 나쁜 생각이 아닐지도 모른다.

 


 

  1. 중앙 중학, 고교, 연세대 동창, 연세대 기계공학과 교수역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