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개 속의 송년은..

짙은 안개와 젖은 땅.. 조금씩 개이는 그런대로 포근할 것 같은 2007년 마지막 날..

결국 2007년도 마지막 날로 접어들 수 밖에 없었다. 

한 해가 슬그머니 가려고 하고 있다.  못 막는다.  이건 신이 주신 법칙이다.  거역할 수 없는 거야.  앗 사리 즐겁게 맞이 하는 게 난 것이다.  웃어라.. 웃으려고 노력이라도 해라.  무언가 티끌만한 것이라도 움직여서 하라.  무언가 먼지만한 것이라도 ‘성취’하라.

올해는 연숙과 둘이서 새해를 맞이하게 되었다.  나라니가 이화친구들을 만나러 뉴저지로 갔기 때문이다.  사실 둘이서만 보내는 게 편하기는 할것 같다.  무언가 ‘부담’을 덜 느끼게 될 테니까.  휴일/명절마다 나를 짓누르는 이 ‘부담감’때문에 올해는 더 우울하게 보낸 것 같다.  이제는 아주 병적으로 부담을 느낀다.  이게 무슨 망발인가 말이다.  이래서 ‘선물’로 치장이 된 휴일들을 더 좋아하지 않게 되는 것인지도.  하지만 이건 내가 바뀌어야 할 듯 하다.  노력을 해서 즐겁고 의미 있게 보내도록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언제부터 나는 정말 ‘죽음’에 대해서 이렇게 심각하게 생각을 했더라.  분명히 나는 희망이 거의 없다고 생각할 때부터 그랬다. 희망의 부재, 모두 어두움의 자식들이다.  나는 분명히 내리막길로 맹렬히 달리고 있다고 느꼈고.. 지금도 느낀다.  부드럽게 말하면 사는 ‘재미’가 거의 없다는 생각이다.  아니 나는 분명히 거의 다 살았다고 생각하고 있는지도.  이런 상태로 산다면 60세도 많이 살았다고 생각을 해도 될지도.  물론 생명과 수명의 하느님의 권한이다.  나는 그저 생각만 할 뿐 행동은 못한다.  이제는 조금 하느님의 존재를 느끼기 시작하며 아니 그보다는 느끼고 싶다.  그게 현재 나의 거의 유일한 희망이다.  이런 것으로 보면 연숙과 나의 사랑하는 두 딸들에게 고개를 들 수가 없게 죄스럽고, 수치스럽기까지 하다.  하지만 그게 솔직한 나의 심정이다.

최근 들어서 본격적으로 Linux 를 가지고 시간을 보내게 되었다.  그 동안은 사실 그렇게 ‘심각’하진 않았다.  이번은 최초로 ‘본격적’으로 Linux installation부터 씨름을 해서 hands-on experience를 얻어가고 있다.  우선의 목표는 multibooting from Ubuntu or Fedora인데.. 이것으로 간접적으로 다른 것도 배우게 되겠지.  아주 오래 전에 DOS 시절에 그렇게 많이 command line 을 썼건만 아주 이제는 둔해진 기분이다.  최근 들어 Linux에 관한 책도 그런대로 모았다.  물론 거의가 $10이하로 한정은 했지만 그래도 만족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hardware에 관련된 Linux는 나를 ‘살게 하려는 의욕’에 큰 보탬을 주고 있다.  사실 그건 나를 거의 즐겁게 할 정도가 아닌가.  그 다음은 새로 산 Linksys’ SPA3K VoiP Gateway이다.  거의 이상적인 device이건만 아직도 결말을 못보고 있다.  그래도 어느 정도 성과는 있다고 생각한다.  나머지는 내가 거의 일년간 미루고 있었던 그야 말로 must-do project인데.. DotNetNuke, Polaway Database등등.. 해야 한다.  해야 한다.. 죽기 전에 해야 한다.. 나는 이것만은 해 놓고 그 다음이다.. 해야 한다.

 

나에게도 ‘숙명’이라는 게..

나에게도 ‘숙명’이라는 게 있을까.. 아니면 운명이라도..  교향곡 ‘숙명’을 작곡하고 있는 ‘와가 에이료’라는 작곡가,  일본드라마 ‘모래그릇’ 을 보면서 나의 ‘인생’을 회상해 본다.  어찌할 수 없는 운명이란 게 있을까  모두가 어찌할수 없는 그런 것이 있을 것 같다.  나의 인생은 그런 ‘운명적’ 요소가 남 보다 더 많을지도.  변명일까.   레미제라 (잔발잔)을 연상 게 하는 그런 대하 성 드라마 ‘모래그릇’을 보면서 생각해 본다.  60세에 접근하면서 더 나의 ‘인생’을 생각해 보는 것은 자연적인 것이겠지.

오늘은 7시가 훨씬 지난 뒤에 놀라서 깨었다.  6시면 눈이 떠지곤 했는데.. 어제 밤은 왜 그리 화장실에 자주 가게 되었는지.. 여기서 엄마생각을 해 본다.  화장실이 귀찮아서 누나네 집에서 자기가 싫다고 하시던 그 말씀 그때는 그렇게 실감을 못했지.. 누나 집에서 그렇게 밤에 소리를 내기가 싫었겠지요.  누가 그 심정을 알겠어요.. 이 아들도 몰랐는데.  왜 내가 이렇게 살아야만 했는지 항상 저를 누르는 족쇄같이 느끼며.. 속죄하는 마음을 잊지 않으려 발버둥 칩니다.  우리의 단란했던 가족이 왜 이렇게 헤어져서 이런 인생들을 살아야만 했는지.. 선택이라고 하기엔 너무나 가혹합니다.

최근에는 조금만 진한 커피가 들어가면 (카페인?) 심장이 무거워 짐을 느낀다.  그래서 조금 양을 줄이려고 2잔 이하로 끓이려 한다.  이것이 요새 나를 조금 ‘즐겁게’하는 것 중의 하난데.. 술은 거의 ‘정복’을 했고.. 이것도 양을 극히 조절하는 노력을 해야지.  조금은 서럽다.  그렇게 ‘즐기는’것을 무자비하게 조절을 해야 하는 게.  하지만 하느님과 부모님이 주신 내 몸속으로 들어가는 것은 극히 조심해야 하지.  사실 커피를 제외하고는 우리 (부부)의 식생활은 건강한 듯 하다.  외식만 조심하면.  요새는 가끔 내가 음식을 조금 더 쉽게 잘 만들수 있을까.. 생각을 해 본다.  우선 연숙을 도울 수 있을 것 같고.. 내가 ‘할 수’ 있는 것이 늘어나고..(취미로?)  이것도 다른 여러 가지 ‘아이디어’ 수준에서 머리 속에서만 있는 것들.. 역시 ‘행동’으로 이어지지를 않는다.  왜 이리 머릿속의 것이 실행으로 연결이 안 되는 걸까..  순간적으로 결정을 내린다.  커피를 줄여야겠다.   좋은 방법은 전에 썼던 것.. 쉽게 줄이는 것은 혼자 서는 커피를 마시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거의 주로 연숙과 같이 마시면 된다.  밖에서도 마찬가지.. 누구와 같이 마시거나 누가 권하거나 할 때를 제외하곤 절대 혼자 마시지 않는다.  기억에 이렇게 하면 큰 ‘고통’ 없이 많이 줄일 수가 있는 것이다

그제 저녁은 예정대로 우리 한인성당 구역의 구역미사가 있었다.  예견이 되었던 광경들이겠지만 이번은 또 ‘무거운’ 심정으로 일찍 돌아왔다.  그 축복스런 성사들이 왜 이렇게 추한 심정으로 변하는 것일까.. 악마의 소행이라면 간단히 설명이 되겠지만 왜 그런지는 나도 조금 무시할 수가 없다.  나의 영혼이 그렇게나 쉽게 변하고 허물어 진다면 어떻게 앞으로 신앙생활을 할 수 있을까?  왜 그렇게 사람들과 어울리지를 못하는 것일까.. 왜 그렇게 초라하게만 느껴지고, 안타깝게만 느껴지고.. 화도 나고..왜 그렇게 다 좋게 생각을 못하는 것일까?  많고 많은 문제가 나에게 있는 듯 하다.  더욱 더 겸허해지고 나 자신을 더 낮추어야 하나 (준주성범 처럼)

 

Here and Now

Henri Nouwen의  Here and Now 조금씩 읽고 있다.  이 양반의 문체는 정말 한마디로 쉽게 머릿속으로 들어온다.  One day at a time의 사고방식임에는 틀림 없지만 매우 공감이 가게 쓰고 있다.  이 책은 2006년 연숙으로부터 Father’s Day 선물로 받은 것인데 그 동안 내내 먼지만 쌓이다가.. 이번에 아주 우연한 기회로 재발견하게 되었다.  하느님께 감사.  매일매일의 일상생활과 성서적인 영성 생활을 어떻게 조화 시키는가는 누구에게나 어려운 문제인데.. 이게 바로 그것을 집중으로 다룬다.  조금씩 읽고 있지만 그래도 만족이다.

지난 일요일 저녁에는 한인천주교회의 구역모임이 있었다.  이번에는 구역 장을 다시 뽑는 문제도 있고 해서 별로 가고 싶지를 않았다.  매번 그랬다.  하지만 갔다 오면 그런대로 좋은 것도 있었다.  이게 아니면 내가 가족 이외에 누굴 본단 말인가.  이렇게 작은 그룹이지만 그것도 쉽지를 않다.  이 나이가 되면 이제 이런 것 다 짐작하고 모든 ‘인간’을 포용해야 하는 것 아닌가.  전 선생님 부부가 미리 ‘경고’한 대로 ‘탈퇴’를 하였다.  이런 것도 이렇게 선언을 하고 나가는 게 이해를 하기 힘들지만.. 그분들은 그런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유일한 ‘선배’격의 교우여서 유난히 신경을 쓰며 대했는데.. 이제는 그게 끝이다.  전선생의 지독히 직설적인 ‘용공론’이 계속 걸려 왔지만.. 이것도 끝인가.

나는 아직도 나의 머리를 너무 과신하고 있는가.  며칠 동안 연숙의 pola.mdb를 다시 review하면서 느낀다.  생각 같아서는 그저 몇 시간이면 될 듯한 게.. 벌써 일주일이 되어가나..  잡상과 분심 등으로 시간이 쪼개 지지만 그래도 거의 나의 시간을 다 쓸 수 있는 이런 형편에.. 이게 무슨 추태이란 말인가.  하지만 이번에는 무슨 ‘결론’을 내려고 한다.  성공 아니면 실패.. 중간은 없다.  원죄 없으신 성모마리아 어머니여.. 저를 조금만 밀어 주소서.

 

봉정암

KBS Special (downloaded): 봉정암을 본다.  처음에는 그저 그랬는데 더 보니 아주 좋은 것 같다.  옛날을 달린다.  확실치를 않다.  설악산에 갔을 때 내가 그곳엘 갔던가.. 천일이와 같이 내설악으로 들어갔을 때 아마도 갔던 것 같다.  아마도 대학 4학년 여름인가.. 천일이, 김종호와 같이 동해안으로 돌아서 포항, 그리고 대구로 왔던가.  거의 맞는 듯 하다.  분명히 갔었다.. 봉정암.  거의 정상 바로 아래 있던 절.. 포타즈 스프를 그곳에서 먹었다.  비록 김천일이와 티격태격 했지만 좋은 추억으로..  다시 이런 비디오로 자세히 보니 아주 수려한 절이다.  언젠가 한번 가볼 수 있을까.. 꿈 같은 꿈이다.

Dotnetnuke site가 거의 순식간에 복구가 되고 있다.  비록 template에 의한 design이지만 그것이 ‘돌아’ 간다는 것은 큰 성과이다.  이제는 어떻게 나의 content를 넣느냐.. 그게 진짜 과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