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1st Day of Christmas

12days of

¶ 엘니뇨의 영향으로 미국 동부는 이상난동 異常暖冬에다 장마성 폭우로 사실 전통적인, 크리스마스 카드에 나오는 하~얀, 고향 같은 풍경의 기대가 완전히 사라졌다. 하지만 그런 기후적, 감상적인 것을 빼고는 사실 예년이나 다를 기분은 하나도 없고 Christmas Season (12월 25일부터 다음해 1월 둘째 일요일까지, 이번은 1월 10일, liturgical calendar) 의 첫날, 12 Days of Christmas 중의 첫날,  First Day of Christmas 를 지낸다.

올해는 우리 집 오랜 전통을 깨고, 처음으로 성탄미사에 참례를 하게 되었다. 오랜 동안 우리는 미국 성당에서 성탄 전야 미사에 온 가족이 참례하고 정작 성탄절에는 완전히 집에서 늘어지게 쉬곤 했었다. 이것이 근래에 들어서 잘못 되었다는 것을 알기에 고쳐야겠다는 의견의 일치를 보고 있었던 참이었었다.

 

푸근~한 느낌의 성탄미사가 끝나고... 도라빌 순교자 성당 2015년 12월 25일

푸근~한 느낌의 성탄미사가 끝나고… 도라빌 순교자 성당 2015년 12월 25일

 

2015-12-25 13.24.41푸~근~ 하고, 잔~잔~한 미소를 띤 모습으로 성탄절미사를 집전하시는 이재욱(요한) 주임신부님, 흡사 ‘젊은’ 산타클로스 같다는 느낌도 받는다. 성탄의 진정한 의미, ‘고차원적인 사랑‘ 의 느낌을 강론과 몸으로 보여주신다. 오늘 이곳 도라빌 순교자 성당, 한국본당에 오게 된 계기도 우연이 아닐 듯.. 순교자 성당에서 아주 멀지 않은 apartment로 얼마 전에 이사온 작은 딸 나라니가 올해 family Christmas meal을 준비한다고 한 것.. 거기서 가족들이 모이게 된 것들.. 모두 우연이 아니었을까? 오랜만에 우리 집이 아닌 ‘다른 집’에서 나라니가 준비한 fusion Christmas luncheon 으로 성탄 오후시간을 즐겼고, 오랜만에 우리 집에 없는 big screen TV로 우리 가족들의 오래 된 classic movie였던 Bing Crosby, Ingrid Bergman 주연, 가슴을 훈훈하게 적시는 ‘The Bells of St. Mary‘를 보며 각자가 느끼는 추억이 어린 논평을 하기도 했다. 그것은 warm heart, loving heart 의 기적에 관한 것이 아니었을까?

 

IMAGE0001-12

이렇게 성탄절에 집에서 나왔던 덕분에 쓸쓸하게 성탄절 낮을 보낼 듯 했던 우리의 젊은 봉성체 환자 H 보나 자매님 댁도 찾아볼 수도 있었다. 이런 날, 몸과 마음이 쓸쓸한 영혼을 찾는 것은 우리들의 heart에도 엄청난 도움을 준다. 변함없는 모습과 감사하는 태도로 우리를 맞는 자매님, 비록  holiday decoration이 하나도 없는 조용한 집이었지만 그래도 최소한 가족들은 모두 가까운 곳에서 보살피고 있어서 그러한 쓸쓸함을 이기는데 도움을 준다. 사랑이 주제라는 성탄의 의미를 새겨볼 수 있는 거의 완전한 예들을 오늘 이렇게 경험한다.

오늘의 이런 ‘성탄절 봉성체’와 더불어 어제의 조금 다른 경험들이 나를 조금 움츠리게 한다. 지난 화요일 우리와 같이 고해성사를 했던 S 형제, 어제의 통화에서 다시금 우울한 holiday를 가족과 맞이하고 있음을 알고 나의 가슴은 주저앉는다. 오래 전의 나의 모습을 그에게서 보는 듯해서 더욱 우울해진다. 이럴 때 어떠한 말도 필요가 없음도 알기에 더욱 답답한 것이다. 어제 쏟아지는 빗속을 drive해서 올해 5월초 선종하신 배 베로니카 자매님 댁을 찾아가서 홀로 남은 두 아드님에게 작은 인사를 전하고 왔는데, 그 집도 역시 쏟아지는 빗속에서 성탄의 모습이 전혀 보이지 않고, 어둡게만 보였다. 쓸쓸한 모습으로 우리를 문 앞에서 맞은 그의 얼굴도 마찬가지로 쓸쓸하고 어두웠다. 밝은 빛이 탄생한다는 이런 날들에 이렇게 어두움이 있다는 것을 어찌 잊고 살 수 있을까.. 하지만 과연 어떻게 이들에게 빛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인가?

Ha.. single cup, finally!
Ha.. single cup, finally!

¶ 요사이 깜깜한 새벽에 일어나면 예외 없이 추위에 떨며 coffee를 ‘내려서’ 마시는 즐거움을 맞이하지만 문제는 그 ‘추위에 떠는’ 시간이 짧지가 않다는 사실이다. 그런데 이번에 그것을 해결해 주는 perfect present를 ‘아이들’로부터 받았다. Single cup coffeemaker 이것이 바로 해답이었다. 현재 우리 집 drip coffeemaker는 10 cups 이상을 만들어야 제 맛이 나는 monster급이고, pour-over coffee maker는 ‘내리는데’ 시간이 걸린다. 비록 ‘고급’은 아니더라도 이제는 power switch만 올리면 자동으로 personal single cup coffee가 만들어지니.. 추운 새벽의 괴로운 dark morning routine이 다가오는 1월 달의 ‘강추위’를 조금은 덜 괴로울 듯하고, 차가울 수 있는 가슴을 훈훈하게 느끼게 한다. Thank you, Kids!

 

The Twelve Days of Christmas – John Denver & the Muppets

‘독거 사 獨居死’ 연세대..

순교자 성당 성모님, 형제님을 인도하소서..
순교자 성당 성모님, 형제님을 인도하소서..

며칠이나 되었나.. 거의 일주일 전쯤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정오 미사에 봉성체 준비 차 참례를 했을 때, 집전하신 한민 토마스 신부님, ‘어떤 연로하신 형제님이 돌아가셨다’는 짧은 comment를 하셨다.

처음에는 그저 또 하나의 ‘어르신의 타계, 선종’ 정도로 알았지만 그 다음날 Buford에 있는 서 베드로 형제 댁으로 그의 어머님을 위한 가족연도에 갔을 때 조금 더 확실한 실상을 알게 되었다. 거기 온 분들 모두 이 소식을 알고 있어서 들어보니.. 타계하신 형제님은 나도 알 정도의 낯익은 ‘키가 크신 분, 이 필립보 형제님’ 이었다.

미사 중에 ‘거양성체’를 할 때면 ‘항상’ 무언가 들리는 소리로 중얼거리셔서 사람들이 모를 수가 없을 터였고, 분심이 들 때도 있었다. 별로 오래 전이 아니었을 때 그분과 짧은 지나가는 대화를 한 기억도 있다. 나는 그 정도로만 알고 있었지만 사실은, 그 형제님에 대한 ‘소문’이 적지 않았다. 나이가 들면 힘든 ‘digestive gas’ 조절 문제도 그 중에 하나였고, 괴짜라는 것도 있었다. 하지만, 또한 성지순례로 다니시고, 레지오 단원도 하셨다는 것, 성실한 신자생활을 하셨다는 것도 어렴풋이 기억을 하게 되었다.

무엇보다 이번에 충격적인 사실은 혼자 사시는 senior apartment에서 아무도 모르게 운명을 하셨다는 사실이었다. 몇 달 전에 New York Times기사에 ‘경제대국’ 대한민국에 식구들로부터 ‘버려진 독거노인’에 대한 심각한 문제가 보도된 것을 읽고 놀랐지만, 그런 일이 성당 근처의 우리의 코앞에서 일어난 것이다. 이것이야 말로 ‘독거 사’가 아닌가?

문제는 역시 그 형제님의 ‘가족문제’에 있었는데, 이미 오래 전부터 ‘가족’이 없이 사신 것 같았다. 자세한 사연을 현재 알 수가 없지만, 대강 짐작을 할 수가 있지 않을까? 원만한 ‘정상적’인 가족관계를 유지하지 못하시고 사신 인생인지도 모른다는 생각과 추측.. 또한 오래 전에 San Francisco에 사실 때에는 그쪽 성당의 회장도 하셨다고 듣기도 했지만, 진짜 놀란 것은 이것이다. 그 형제님이 연세대 ‘대선배’라는 사실, 고등학교는 서울고 출신인 고등교육을 받으신 형제님 이었다는 사실이 다른 충격으로 다가온다.

솔직히 그런 ‘인텔리 인상’을 강하게 풍기지 않았기에 그랬는지도 모른다. ‘학벌’좋아하는 서울고 출신 C형, 그가 이런 사실을 모를 리가 없었고, 사실은 몇 달 전에 만난 적이 있었다고 했다. 심지어는 필립보 형제님, 연세대 시절 대학 농구 팀의 선수였다는 얘기도 있었고, 당시 유명했던 신동파 선수 와 함께 뛰었다는 등등.. 어느 것이 사실인지, 과장인지, 소문인지 알 길이 없었다.

이틀 전에 있었던 식구가 참석을 못한 성당연도에는 예상보다 사람들이 많이 왔는데 역시 서울고 동창들과는 잘 어울리셨는지.. 그쪽 ‘학벌 좋아하는 그룹’ 이 걸맞지 않는 성당연도를 함께 했지만 내가 아는 한 연세대 동창들의 조직적인 움직임은 전혀 없었다. 레지오의 이요셉 연세대 선배님께 물어보니.. 2년 정도 선배이시지만 동창회에서는 전혀 모르는 ‘동문’이라고 했다. 아마도 고등학교 동창들과는 조금 어울렸던 모양이지만, 그것이 전부였던 모양이었다.

열심한 신자였고 레지오까지 하신 경력으로 성당 연령회에서 모든 것을 도맡아서 연도와 장례미사를 준비하는 수고를 하는데, 장례미사는 가족들과의 연락문제로 내년 1월 5일에 있다고.. 하기야.. 그렇게 가족들과 연락 없이 사셨으니.. 장성하고 성공적인 자녀들이 있다고 하지만.. 아마도 그들이 연말 휴일이 겹쳐서 장례미사에 오는 일정에 문제가 있었지 않을까? 제 때에 장례식을 못하게 된 것이 누구 탓이겠는가 생각해 보지만 머리만 아파질 뿐이다.

이번 일로 본당 주임신부님, 일요일 미사가 끝나고, 주위에 사는 ‘독거 노인’들을 더 잘 보살피자고 부탁을 하셨다. 근래에 들어서 봉성체 관계로 독거까지는 아니더라도 꽤 많은 어르신들을 집으로 찾게 되었지만 대부분 가족들이 ‘대기하고, 보살피는’ 모습을 보았기에 이렇게 ‘완전히 혼자’ 계시는 분들이 당면한 문제를 실감하지 못했다. 나의 세대는 우리들 부모세대를 보았고 기억을 하기에, 삼대 가족들이 옹기종기 모여서 따뜻하게 어르신들을 보내드리는 그림을 상상하기도 하지만, 이런 것은 지금에는 누가 보아도 완전히 꿈이고 그림이다. 그래서 우리들은 그저 가족들에게 “필요이상의 폐’를 끼치지 않고 ‘조용히’ 사라지고 싶은 것이 제일 최상의 꿈이 되었다.

Two Candles, ‘Legio’ Reunion

advent-2w

¶  두 번째 대림 초

대림2주일로 들어서는 아침이 밝아온다. 나의 올해, 2015년  대림주간은 내가 기억하는 한, 처음으로 ‘별로 묵상도 못하고’ 지낸 첫 대림주가 될듯하다. 아니 다른 곳에 정신이 ‘팔려서’ 그럴 것이고, 그 다른 것이란 ‘육체적 고통’이다. 사순절이라면 고통을 느끼고 묵상하는 것이 큰 의미가 있겠지만, 희망과 기다림이 주제인 대림절에서 말초적인 고통 감은 별로 달갑지 않았지만.. 별도리가 없었다. Thanksgiving Holiday를 비교적 무절제하게 ‘외도’했기에 당한 self-inflicted damage라고 순순히 받아들이는 수 밖에 없다. 하지만 그래도 앞으로 3개의 초가 남아있다. 희망은 있고 다시 겸손, 절제하는 생활로 들어가면 되는 것이다.

각종 ‘해괴한’ 것들이 news media에 흘러 넘치는 이 세상.. 어떨까? 암만 생각해도 유일한 희망과 해답은 ‘절대적 선(善)’이신 하느님, 구세주에게서 나오는 것이 아닐까? 맞다.. 모든 근초적인 악의 원인은 사랑의 부재에서 오는 것이고 사랑의 원천은 하느님이라고 보면 해답은 비교적 간단한 것이 아닐까?

 

¶  레지오 연차 총 친목회 2015

참.. 세월도 빠르지.. 작년 ‘연총: 레지오 연차 총 친목회’의 기억이 어제같이 생생한데 어떻게 벌써 올해 또 이렇게 같은 곳에 모두 모였던가? 작년 것이 생생하다는 것은 글자 그대로 생생하게 몸으로 우러나오는 것을 말한다. 작년에는 우리들과 나이가 비슷한 ‘평화의 모후’와 같이 합작해서 karaoke style로 오승근의 ‘내 나이가 어때서’ 를 신나게 불렀었다. 그때에 연세대 선배님과 가까이 알게 되는 친목회의 목적이 달성되었다. 친목회의 목적은 지난 일년 동안 잘 모르고 지내던 단원들과 친교를 이루는 것으로 ‘레지오 교본’에 명시가 되어 있기도 하다.

 

2015-12-06 15.57.52-1

 

올해는 ‘갑자기’ 늘어난 단원 수에 힘을 입어서 대담하게 새로운 것을 시도하였다. 연숙에 오래 전에 관여 되었던 ‘탈춤’을 ‘흉내’ 내 보기로 한 것이다. 예전부터 나는 그녀로부터 이 탈춤에 대한 추억의 얘기를 많이 들었기에 자연스럽게 받아들였지만.. 글쎄.. 가까이서 본 적도 없는 나로서는 ‘힘들 것이다’라는 우려를 하고 연습을 하면서 신도 별로 나지 않았다. 사실.. 나는.. ‘몸을 움직이는 예술’은 딱 질색이라서 그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기도 했다.

그래도 ‘순명’을 제일 덕목으로 삼고 있는 ‘성모님의 군단’의 ‘장교’로서 단체행동을 피해갈 수는 없는 것이고.. 빠지지 않고 연습을 했지만 결국은 마지막 단계에서 허리통증과 부차적인 고통으로 ‘공연’은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오늘의 ‘연총’ 은 작년 때와 거의 완전히 같은 format으로 진행이 되었지만 그래도 눈에 띄게 ‘발전’한 것이 있었다. 교본의 정신을 따라서 ‘사치스럽고, 게걸스러운 음식’들이 자제되었고, 각종 ‘경품’ 같은 것도 사라졌다. 그러니까 performing group에 거의 모든 focus가 맞추어져서.. 어떨까.. 이것이 이상적인 연총의 모습이 아니었을까?

나는 비록 탈춤공연에 참가는 못 했어도 오늘 하루 온전히 이 연례행사에 참가를 해서 오랜만에 ‘방관자’의 여유로 장기자랑(공연)과 행사의 진행을 만끽하였기에 예년과 다른 색다른 각도로 보고, 생각하는 뜻 깊은 기억을 만들었다.

‘Giving Thanks’ 2015..

Thanksgiving SongMary Chapin Carpenter

 

Thanksgiving Holiday 2015, 올해에 나는 우리는 어떻게 누구에게 giving thanks를 해야 할 것인가? 연일 뼈가 시려오게 내리는 가랑비의 하늘은 다시 ‘기가 막히게’ 멋진 낙엽을 바라보는 드높은 가을 하늘로 변했다. 지금 seasonal holiday의 상징인 pumpkin color로 온통 주변이 덮인 이곳에서 조용히 생각한다. 올해는 어떤 감사를 어떻게 드려야 하나..

상투적인 관례로.. 가족 친지들이 모두 건강했던 것.. 물론 제일 먼저 감사를 드려야 하지만 그것들 이외에도 생각보다 많은 것들이 있음을 안다. 아하… 구체적으로 밝힐 수 없는 어떤 ‘사건’ 이, 사실은 올해를 the best year of my life, our lives로 만들었다. 어떨까.. 그것이 우리의 노력이나 그저 행운의 chance로 말미암은 것이었을까? 분명히 아니다. 어떤 ‘안 보이는 손’이 우리 뒤에 있었음을 절대로 확신을 한다.  안 보이는 그것은 우리의 어머니요 하느님의 어머니였다는 사실도 거리낌없이 밝히고 싶다.

2011년부터 올해 6월까지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의 주임신부로 계시던 하태수 미카엘 신부님.. 어찌 잊을 수 있습니까? 내가 한국어미사 공동체인 그곳으로 서서히 복귀를 하며 이 ‘날카로운 지성’을 가진 예수회 사제로부터 무척 깊은 것을 배우고 소화를 시키려 했다. 그와의 3년은 나에게 무척 깊은 묵상자료가 주워졌던 시기였고, 오래 잊고 살았던 것, 안 믿었던 것, 확실치 않았던 것들에 서서히 빛이 비추어졌던 시기이기도 했다. 깐깐한 성격을 감안한다 해도 이 사제는 나에게는 ‘은인, 구원자’임에 틀림이 없고, 이곳을 이미 떠난 사실이 나를 허전하게 하지만.. 그것과 상관없이 나는 이 예리한 사제에게 감사, 감사 감사를 드리고 싶다.

하 신부님 뒤를 이어 새로 부임하신 주임신부 예수회 사제 이재욱 세례자 요한 신부님도 빼놓을 수 없는 감사의 대상이다. 개인적으로 사제를 사귀는 것은 나와는 거리가 먼 ‘취미’이지만, 본당 사목 차원의 사귐은 나에게 그렇게 이상할 것 없다. 이신부님은 사람과 거리를 두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정도로 친숙하게 다가온다. 우선 개인적인 친근감이 사제적인 후광에 앞 서서 느껴진다. 오시자 마자 쉴 틈도 없이 ‘봉성체 환자’를 찾아 나신 것.. 그것이 우리와 같은 차를 타게 만들었고 아주 가까운 입김을 느끼게 되고 이 젊은 사제의 사사로운 따뜻한 손길도 느낄 수 있었다. 예리한 지성의 하 신부님을 대신해서 따뜻한 온정의 손길이 우리 성당을 3년간 감싸 주시리라 생각하며 감사를 드리고 싶다.

친지 중에 이동수 목사님을 빼놓을 수가 있을까? 일년에 한두 번 정도 잊지 않을 정도로 우리 부부들끼리 만나지만, 만나면 농도가 짙고, 심도가 있는 이야기를 나눈다. 개신교와 천주교의 거리를 전혀 느끼지 않는 허심탄회한 자세로 말하고 듣는데, 나에게 큰 영향을 주는 이야기들의 깊이는 사실 말로 표현할 수 없다. 그의 체험적인 신앙, 영성은 하나도 빼놓을 수가 없이 진실하고 공감이 가는 것들이었다. 그리 건강하지 못한 것이 조금 신경이 쓰이지만 그래도 항상 밝게 살아가는 이 ‘아틀란타 한국학교’ 선생님 (한때 우리 부부는 같이 그곳에서 주말에 일을 한 적이 있다), 올해도 감사 드리고.. 부디 몸이 더 건강해 지기를 기도한다.

아차 하면 빼놓을 수 있는 우리의 ‘보금자리’가 있다. 그것은 내가 만 5년 째 몸담고 있는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의 레지오 이다. 5년 전에 입단한 것, 엊그제 같은데 올해로 5년이 지났다. 소박한 동기로 입단 활동을 시작했고, 99%가 자매님들인 이곳에서 내가 과연 몇 달을 버틸까 생각도 했지만 나의 부질없는 걱정은 완전한 걱정으로 나타나.. 이제 5년을 넘게 되었고, 이곳은 내가 몸이 불편하거나 ‘강제로’ 퇴단을 당하기 전까지는 큰 무리, 저항 없이 몸을 담고 싶은 ‘신비로운 단체’가 되고 있다. 신비라는 표현이 과장된 것이 아님을 누가 알랴? 보이지 않는 부드러운 손길로 성당 공동체 구석구석을 위해 봉사하는 이 ‘생활 전선에서도’ 바쁘기만 한 자매님, 형제님들은 가히 배울 것의 표본이다.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이 신심봉사 단체를 만들어 주신 Irish gentleman, Frank Duff 형제께 감사를 빼놓을 수가 없다.

Adieu.. September 2015

Glorious, deep blue, higher and higher.. 갑자기 쏱아진 가을하늘에는..

Glorious, deep blue, higher and higher.. 갑자기 쏱아진 가을하늘에는..

 

¶ 습기가 갑자기 사라진 하늘은?  올해의 여름의 특징은 흔히 말하는 heat index, 그러니까 ‘불쾌지수’라는 것이 유난히 높았던 것이다. 한번도 화씨 95도를 넘지를 못했지만 문제는 지독한 습도였다. 정말 무시무시하게 높은 습기는 공기를 완전히 steam room같은 것으로 만들어, 보통 때면 선풍기면 시원한 것도 이번만은 ‘절대로’ a/c로 습도를 낮추어야 하는 것으로.. 이것이 쉬지도 않고 밤낮으로 돌고 돈다. 시원한 것은 좋은데.. 문제는 엄청난 electric bill. 아마도 $400까지 치솟지 않을까 미리부터 우울해 진다. 그런데 하루 아침에 하늘의 물기가 완전히 사라졌고 a/c의 소음도 따라 없어지고.. 9월로 깊이 접어들며 경험하는 신선하고 즐거운 느낌.. 이래서 계절의 변화는 신비스럽기만 하다.

 

¶ 거의 매일 장례식:  주임 신부님 (이재욱 세례자 요한)의 얼굴과 입술에 피로의 기색이 역력히 보인다. 연일 열리는 듯한 연도, 장례식, viewing.. 이것과 관련해서 거의 매일 병자성사, 병원방문, 장의사 연도.. 어찌 피곤하지 않을까? 9월 초부터 시작된 이런 의식들이 9월 중순에서야 끝이 났다. 황 어거스티나 자매님과 조 이시도르 형제님.. 특히 조형제님은 최근 몇 개월 동안 봉성체, 병자성사들을 통해서 신부님과 같이 많이 찾아 뵙기도 했다. 그렇게 우리의 방문을 꺼려하던 형제님, 선종 몇 주를 앞두고부터 서서히 가슴을 열고 우리의 방문을 기다리게 되었던 분.. 비록 신앙심의 열매를 더 맺었으면 했지만 그것이 그렇게 중요할까.. 절대자에게 조금이라도 가슴을 열고 가셨으니.. 우리는 분명히 평화스런 곳으로 가셨으리라 믿고 있다. 황 자매님은 레지오 활동단원으로 선종을 하셔서 순교자 성당 초유의 ‘레지오 장’으로 장례미사가 치러지기도 했다. 기술적인 문제를 떠나서 레지오를 그렇게 사랑하신 자매님에게 이런 ‘선물’을 누가 마다하겠는가?

 

¶ 나는 어떻게 죽을까..  레지오에 입단한 이후 참 많은 선종과 장례의식을 경험을 하였다. 입단 5년 가까이 되는 이 시점에 나는 정말 많은 영혼들과 작별을 하였고 그들의 유족들과 함께 있기도 하였다. 지난 5년간 나의 ‘좌우명’ 중에 하나는 결혼식은 빼먹을 수 있어도 장례의식은 ‘가능하면, 최선을 다해서’ 참석하리라는 것이었다. 그 이전까지 나는 이와는 정반대의 행로를 걷고 살았다. 그것이 하루 아침에 완전히 180도 뒤 바뀐 것이고 이것은 나에게 작은 기적 중에 하나로 남게 되었다. 이런 경험을 통해서 나는 항상 생각하는 것이 ‘나는 어떻게 죽을까, 죽어야 할까’ 하는 절체절명 絶體絶命의 대명제 大命題.. 바로 이것이다.. 나는 이 해답을 찾기 위해서 그렇게 나를 바꾸어 놓은 것이다. 이 죽음이야 말로 신앙의 핵심주제가 아닌가? 나는 배우러 그곳으로 가는 것이고 그 결과는 상상을 초월한 무궁무진한 놀라움 뿐이고 아직도 변함없이 계속되고 있다.

 

¶ Dark night of ..

어두운 밤에 캄캄한 밤에 새벽을 찾아 떠난다.. 종이 울리고 닭이 울어도, 내 눈에는 오직 밤이었소. 우리가 처음 만난 그 때는 차가운 새벽이었소. 당신 눈 속에 여명 있음을 나는 느낄 수가 있었소…

 

2012/13년도 레지오 연차 총친목회에서 우리 레지오에서는 ‘희귀동물’에 속하는 몇 명의 남성단원들과 같이 연습하고 불렀던 노래 중에 나오는 가사 중에 바로이다. 당시에는 큰 묵상이나 생각조차 없이 ‘신나게’ 불러 댔지만.. 어떤 것이 캄캄한 밤일까.. 생각한다. 내가 현재 가끔 겪는 것도 그 캄캄한 밤에 속하는 것일까? 특히 9월 중순의 며칠간 겪은 마음속의 고통은 예상외로 심한 것이어서 속으로 계속 이것이 바로 ‘어두운 밤의 시작..’일 것이라고 혼자 단정을 해 버리기도 했다.

대체로, dark night (of the soul)은 가톨릭 신앙에서 ‘믿음의 위기’를 말한다. 대표적으로 ‘복자 (blessed)’ Mother Teresa의 경험은 유난히 오랫동안 지속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나에게는 사실 근래까지의 ‘지독한 냉담’ 생활이 바로 이런 것이었을 것이지만 그 당시에 전혀 그런 사실조차 느끼지 못하고 살았다.  서서히 가슴을 열면서, 보이고 느껴지는 ‘빛’을 보고 느끼면서 비로소 나는 내가 바로 그 dark night에서 살았다는 것을 처음으로 실감하게 되었다.

새벽을 찾아 떠난 과정이 비록 하루 아침에 생긴 일이 아니었어도 그렇다고 그렇게 긴 여정은 아니었기에 아직도 그 경험이 신선하게 느껴지고 이제는 ‘줄줄 외울 수’ 있을 정도로 정리가 되었다. 목적은 다시는 절대로 다시는 그 전의 세월 (어두운 밤) 로 돌아가지 않겠다는 우려에서였다. 하지만 그것이 그렇게 말처럼 쉬울까? 다행히 9월 중순의 ‘어두운 밤’은 불과 며칠간 계속된 ‘가벼운’ 것으로 끝이 났다.

 

여름을 보내는 문턱에서..

¶  2015년 Summer season을 서서히 마감하는 여름의 마지막 휴일, Labor day weekend를 맞이한다. 오랜 전에는 어딘가 불쑥 계획 없이 집을 떠나기도 한 기억이 있지만 지금은 그것이 사실 너무도 옛날의 이야기일 듯 하다. 그 중에 쉽게 기억이 나는 것이 1983년 Labor Day 때의 것, 당시 9개월이 된 첫 딸 새로니를 차 뒤에 ‘묶어 두고’, 그야말로 아무런 생각 없이 Chicago 쪽으로 에어컨도 없는 ‘고물’ 차를 몰았던 추억이다. 당시에는 Columbus (Ohio)에서 학생시절이었고, 지긋지긋한 기나긴 학교생활에서 간신히 벗어나 나의 첫 career job이 정해진 직후였다.

나에게 너무나 익숙한 Chicago는 가까운 거리는 아니었지만 그저 ‘진짜 한국음식’, 그 중에서도 ‘진짜 한국식 중국음식’들이 너무나 그리워서 에어컨도 없는 차를 겁도 없이 몰았다. 총각 때의 경험 만으로 그렇게 겁이 없었던 것일까.. 가다가 차에 문제가 생겨서 repair shop에서 지체하기도 했지만 결국 우리는 그렇게 먹고 싶던 한식, 한국식 중국음식 등으로 배를 채웠다. 지금 생각하면 조금은 아찔한 여건이었지만 젊음 때문이었을까.. 우리 부부 둘, 참 겁도 없이 그렇게 다녔다. 점점 지옥같이 느껴졌던 학교 생활을 떠났다는 기쁨에 들떠서 모든 것들이 뽀얀 희망으로 보였던 시절이었다. 새로 태어난 우리의 제2의 생명과 새로운 나의 첫 직장, 새로 얻은 가톨릭 신앙.. 등등으로 시작된 우리의 기나긴 ‘가족인생’ 여정의 출발, 그 뒤로 또 하나의 생명을 얻었고 하느님의 도우심으로 4식구가 건강하게 나이를 먹으며 작은 식구가 같은 곳에서 모여 살게 되었음을 감사하는,  그 당시가 새삼스럽게 기억나는 오늘이 되었다.

 

¶  어제 저녁때는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의 교우이자 레지오 단원이셨던 황 어거스티나 자매님 연도에 다녀왔다. 레지오 단원의 급작스러운 선종이기에 긴 휴일 주말에도 불구하고 많은 레지오 단원들이 참석해서 정성스럽게 레지오 전 묵주기도문과 연도를 바쳤다.  참 올해는 유난히도 연도, 장례식이 많은 느낌이었지만 이 자매님의 경우 너무나 예상치 않았던 죽음에 모두들 놀라기만 했다. 몇 달 전까지만 해도 ‘비교적’ 건강하고 씩씩한 모습이었던 모습으로 기억을 하는데 어떻게 그렇게 갑자기 가셨을까. 

각종 레지오 모임에서 보게 되는 익숙한 모습이고, 근래에는 우리와 같이 봉성체 봉사를 같이 하였고, 작년에는 점심식사도 같이 했던 친근하고 시원스러운 자매님, 정말 급작스럽게 가셨다. 병명은 ‘희귀 병’이라고 하는데.. 의사들도 마지막 순간에서야 확실한 병명을 발견했다고 했다. 미리 원인과 병명을 알았어도 치료 방법이 확실치 않은 희귀 병이라고 하니.. 참, 누구를 탓할 것인가? 선종하기 전에 유언으로 ‘레지오 장 塟’을 원하셨다고 해서 장례미사는 아마도 많은 레지오 휘장 banners 을 보게 될 듯하다.

가을 비, 마르쎌리나, 이시도르

rainy-leaves

I’m dreaming of rainy Autumn foliage..

 

¶ 지난 주부터 갑자기 건조한 가을날씨 선을 며칠 보이더니 그것도 며칠을 못 가서 다시 올 여름의 골칫거리인 습기로 가득 찬 하늘이 찾아왔다. 하지만 이런 ‘열대성 하늘’도 수명이 길지는 않으리라.. 이제부터 기대해 볼 것은 무엇일까? 건조하고 따가운 가을 햇살아래 무르익은 사과 밭의 풍경들, Holy Family성당 제단 옆의 전면유리에서 영화 장면처럼 변화하는 낙엽 떨어지는 고목들, 파~아란 하늘을 배경으로 지옥의 악마들이 하늘에서 떨어지던 9/11의 슬픈 기억들.. 하지만 최소한 한번 정도는 보여주는 ‘싸늘한 가을비‘의 포근한 느낌을 미리 그려보게 되는 2015년 9월의 시작이다.

 

¶ Marcellina, St. Marcellina  4세기 경 이태리의 성녀이름이다. 성녀 마르쎌리나.. 같은 이름을 ‘세례 명’으로 가진 자매님과 우리 부부가 같이 Fujihana 에서 점심을 했다. 마리에타 2구역에서 10 여년을 넘게 알듯 모르듯 낯을 익히며 지내던 같은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소속 교우 자매님이 아틀란타를 ‘완전히’ 떠나는, 이별을 아쉬워하는 뜻 깊은 오찬 시간이 되었다. 솔직히 섭섭한 마음을 금할 수가 없었다. 이런 타향살이에서 무언가 조금 통하는 영혼을 만나는 것 쉽지 않기에 더욱 섭섭하였다.

긴 세월 혼자서 자녀들을 다 키우며 근래에는 신앙적으로도 많이 활발해진 듯 보였기에 한때는 레지오 입단을 은근히 희망했지만 성당 성물방 봉사 등 다른 쪽으로 활동했는데 캘리포니아 주에서 공부하는 아드님의 뒷바라지를 위해서 완전히 이사를 가시는 모양이었다. 이별하는 자리에서 레지오 협조단원으로 가입을 하시는 선물과 함께 허심탄회한 인생살이를 솔직히 나누어준 자매님.. 기도 중에 서로를 기억하며 건강한 미래가 되기를 빕니다.

 

¶ Isidore, St. Isidore.. 이시도르, 이시도로, 이시돌.. 남자 성인의 이름을 가진 다른 교우 형제님의 이름, 조 이시도르 형제님. 지난 2개월 동안 시름시름 아프시다가 급기야 신부님으로부터 ‘병자 성사’를 받게 되었다. 옛날에는 ‘종부 성사’라고 불리던 이 의식은 사실은 ‘죽음이 임박한’ 가톨릭 신자에게 주는 ‘마지막 성사’다. 한때는 신부님은 물론이고 봉성체를 거부하던 이 형제님이 얼마 전부터 적극적으로 신부님과 영성체를 원하셨다. 우리가 볼 때 하나의 작은 기적이라고 할까.

사연이 간단치 않은 인생을 보내신 것을 알기에 우리는 더욱 하느님을 조금 더 알고 궁극적인 임종을 맞이하기를 희망했다. 비록 고통스럽게 투병을 하는 하루하루지만 그래도 자기가 가는 곳을 조금 더 알고 가는 것이 얼마나 위로가 될 것인가. 어제 너무나 급작스럽게 선종하신 황 어거스티나 자매님의 소식과 오늘의 병자성사는 인간에게 피할 수 없는 진실, 죽음을 더 생각하는 하루가 되었다. 

주여, ‘이 자매에게’ 임하소서..

Nearer, My God, to Thee

Sharon Singers of the Sharon Mennonite Bible Institute  

 

우리들이 거의 3년이 넘게 간절하게 기도해 오던 윤 막달레나 자매님이 오늘 오랜 암 투병을 마치고, 선종을 하셨다. 개인적인 연분이 거의 제로에 가까웠던 영혼이지만 나의 가족같이 생각하며 기도해온 것, 전혀 ‘효과’가 없었을까? 누가 알랴.. 어떠한 사연을 가지고 그 영혼이 하늘로 가게 되었을 지를. 몇 달 전까지도 성당에서 가끔 뒷모습을 보는 것, 그렇게 어려운 것이 아니어서 그때마다 안심을 하곤 했지만 기어코 그 극성스러운 ‘암 투병’에 육체는 더 견딜 수 없었나 보다.

이 자매님의 선종 소식에 더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은, 외롭게 가는 것과 사랑했던 사람들 옆에서 가는 것의 차이는 무엇일까 하는 것이었다. 저 세상으로 가는 것은 마찬가지니까 무슨 차이가 날까 하는 생각도 들지만, 그것은 본인의 생각이 아닐까? 옆에서 ‘봐야 하는’ 사람들에게는 쓸쓸한 선종은 역시 쓸쓸한 기분을 주기 때문이다. 막달레나 자매님의 선종이 그런 case가 아닐까.. 모든 ‘사랑하던 사람’을 멀리 떠나서 ‘조용히’ 가겠다는 의지는 과연 어떤 것일까? 이 자매님의 가족들은 어떻게 생각을 할까? 생각만 해도 가슴이 저려온다.

하느님을 ‘절대적’으로 믿고 가심을 알기에 그래도 그렇지 못한 영혼들 보다는 보내는 것이 덜 슬프긴 하지만.. 어찌 이런 과정이 담담할 수 있을까.. 결국은 슬프고 슬픈 것이다. 인간의, 아니 모든 피조물 creatures들의 ‘원죄’의 슬픔이여.. 자매님, 잠깐씩 가끔 본 인연이지만.. 부디 빛나고 편한 하느님의 세상에서 육체의 고통을 잊고 나비처럼 훨훨 나르며 그렇게 그리고 그리던 성모님, 예수님, 하느님을 보게 되시기를 기도합니다…


Updated on July 20, 2015

윤 막달레나 자매님: 지나간 주 초 初 에는 그 바로 며칠 전 선종 禪宗 하신 막달레나 자매님의 연도와 장례미사가 있었다. 불과 며칠 전에 병상에 누워서 이야기를 하던 모습을 본 것이 거짓말같이 선명하게 머리에 남는다. 그야말로 삶과 죽음의 갈래 길을 걸으며 며칠을 보낸 듯하다. 산 것이 무엇이고 죽은 것이 무엇일까.. 하는 원초적, 실존적인 물음만 계속 귀에서 울린다. 이 고독하지만, 고고 呱呱한 자매님, 고국에 가족 들이 있다는데 어떻게 해서 장례미사 안내서의 ‘유가족’란 이 완전히 비어있을까? ‘유가족 없음’.. 완전히 비어있는 것이 너무나 충격적이고, 나를 슬프게 만든다. 인간이 어찌 세상을 살다가 떠나면서 하나도 ‘인연’이 없단 말인가.. 행복하고 추억에 남기고 떠날 인연이 없음 때문일까.. 

나보다 더 불쌍한 사람을 위한 마음이었는지 자신의 시신을 병원에 의학연구를 위해 기증했다고 한다. 나의 몸 나 자신이야 떠나면 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과연 그럴까? 어떠한 인생 역정이 이 자매님을 그렇게 고독하게 가족마저 잊고 떠나게 했을까.. 나의 넓지 않은 머리로 이해를 하려 애를 쓰지만 쉽지 않은 문제다. 시신 없는 장례미사이라 조금 쓸쓸할 것 같았지만, 새로 부임하신 이재욱 (세례자) 요한 신부님, 적절한 절차와 인정의 균형 balance을 잘 맞추시며 몇 번 병자성사를 통해서 보았던 짧은 인연을 상기시키셔서 적지 않은 조문객들을 위로하셨다. 저희들의 연도를 통해서 자매님 하루속히 연옥의 고통을 마치시고…

Corpus Christi 2015

Scan10143-1¶  Corpus Christi 오늘은 가톨릭 전례력으로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이다. The Most Holy Body and Blood of Christ.. 그러니까 Corpus Christi 주일이었다. 성체성사, 그러니까 예수의 몸과 피가 성찬례에서 빵과 피로 형상화 되는 Eucharist의 진정한 의미를 생각하는 날인 것이다. 가만히 생각해 보면 예수교, 특히 천주교에서 이 ‘교리’는 진정한 핵심 중의 핵심일 듯 하다. 매일미사를 몇 년간 경험하며 느끼는 것은 ‘아직도’ 이 교리는 가슴으로 느껴질 듯 말듯 한 그야말로 신비의 영역이라는 것이다. 이것을 100% 확신하며 영성체를 하는 사람이 과연 있을까.. 

사실 우리는 이 축일을 지난 4년 동안 한번도 제 날짜에 지켜본 적이 없었다. 그것은 아틀란타 대교구 주관 성체대회에 참가하면서 그날 그러니까 토요일 저녁의 마감미사 때문이었다. 그것이 그러니까 특전미사여서 일요일을 편히 쉬었기 때문이었다. 올해는 4년 만에 처음으로 성체대회를 불참하게 되었는데.. 이유가 조금은 부끄럽기도 하다. keynote speaker로 예정되어 있던 Father Robert Barron이 갑자기 불참하게 되어서 조금 화가 난 상태로 일종의 protest로 불참하고 말았다. 도대체 무슨 일들을 그 모양을 했을까? 성체대회도 이제 조금은 ‘늙었나’ 하는 실망감도 들고.. 그래도 참가했어야 했던 것이 조금은 미안하기도 하다.

 

¶  지난 목요일과 금요일 이틀은 예정에 없었던 일들로 도라빌 순교자 성당엘 가게 되었다. 물론 매주 화요일에는 레지오 주회합, 정오 미사, 그리고 봉성체 등으로 그곳엘 가지만 이번 주에는 무려 사흘 이나 그곳엘 가게 된 것이다. 목요일은 ‘물론’ 예정에 없었던 장례미사 때문이었고 금요일은 신임 이재욱 요한 신부님을 모시고 우리가 하는 봉성체 환자 방문을 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목요일의 연도, 장례미사.. 노 데레사 89세 천수를 하신 교우 할머님의 연도와 장례미사를 우리는 갈 것인가 말 것인가 조금은 주저하기도 했다. 사실 우리는 그 분을 ‘전혀’ 모르기 때문이기도 하고, 또한 조문객들이 많을 수도 있다는 생각도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의 ‘느낌’에 아마도 별로 많지 않을 것이라고 의견을 모았다. 사실 우리에게 ‘평상’ 목요일은 YMCA에 가서 workout을 하는 날이고 집안의 밀린 일도 하는 reserved day라서 망 서린 것이다.

하지만 레지오를 하면서 성모님께 약속을 한 것이 그곳으로 가게 하였다. 교우 장례식에 가는 것을 rule로 약속을 한 것이다. 가끔 exception이 있다면, 아플 때나 우리가 못 가더라도 조문객이 많다고 생각 될 때다. 그래서 이제는 연도와 장례미사에 아주 익숙해졌다. 솔직히 말하면 나는 그곳을 ‘내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배우는 곳으로 생각하며 참석을 한다. 인간의 숙명인 죽음은 배우고 배워도 알 수 없는 신비이기 때문이다.

다음날 금요일에는 새로 부임하신 이재욱 세례자 요한 신부님을 모시고 우리들의 봉성체 교우들 (환자) 3명을 찾는 ‘레지오 활동’으로 하루를 보내게 되었다. 미국본당의 평일미사를 거르고 대신 순교자 성당 정오 미사를 참례하고 곧 바로 신부님을 3군데 교우님들이 계신 곳을 모두 찾아갔다. 이것도 전형적인 레지오 활동에 속하기에 우리는 기꺼이 일을 하였지만, 우리들이 조금 놀란 것은 신부님의 일반적인 태도, 행동이었다. 사실 이번 활동은 신부님이 먼저 요청을 하신 것이었기 때문에 조금은 ‘감명’을 받기도 했던 것이다. 여독도 별로 풀지 못하고 이렇게 사목에 나선 신부님이 조금 존경스럽게 보인 것이다. 교우 환자를 일일이 찾으며 성체를 영해 주시고, 참으로 자상스럽게 대화도 나누시는 모습이 ‘연세’에 걸맞지 않게 너무나 성숙해 보였기에 비록 예정에 없었던 하루를 밖에서 보냈지만 우리는 너무나 기쁘고 보람이 있었다.

What were they thinking? 2 episodes

green green grassy Ireland - sick surprise

green green grassy Ireland – sick surprise

 

¶ Irish Disaster 어떻게 이런 일이.. 그 동안 나를 괴롭히던 우려가 드디어 현실이 되었다. 이런 종류의 ‘믿기지 않는 현실화’는 근래에 꽤 있었다. 그저 이럴 때 내가 고작 되뇌는 말은 What are they thinking? 정도다. 서유럽에서 가장 ‘종교적, 보수적’인 초록색 ‘초원’의 나라, Lady of Knock성모님의 나라, 레지오 마리애 의 본고장 Ireland.. 어떻게 그들은 ‘국민투표’까지 해가며 남자끼리, 여자끼리 를 결혼 시킬 만용이 생겼을까? 그것이 fair하고 common sense인가? 그들은 St. Patrick을 완전히 잊었는가? 이제는 right is wrong, wrong is right의 세상이 되었는가? 무엇이 진실이고 무엇이 악인가.. 어떻게 남자와 남자가 결혼을, 여자와 여자가 결혼을 할 수 있단 말인가? 그들은 자식들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2명(이상)의 아버지나 2명(이상)의 엄마를 둔 자식들은 어떻게 세상을 볼 것인가? 이것은 종교적인 것을 완전히 초월한 ‘인간 자연 본능’을 완전히 거스르는 것임을 그 많은 사람들이 잊었을까? 어떻게 이런 일이.. 탄식하기 전에 나는 그저 놀라운 세상을 사는 내 신세를 탓한다.

 

¶ 몇 달 만에 마리에타 two 구역 모임에 갔다. long Holiday weekend라서 마음의 여유도 조금 생겼고, 몇 달 동안 완전히 이 ‘동네’ 모임을 잊고 살아서 조금은 가고 싶은 마음도 생긴 것이다. 더군다나 나의 ‘유일한’ 레지오 협조단원 K형제 댁에서 모이는 것이기에, 가는 마음이 조금은 더 가벼웠던 것도 사실이다. 그 동안 레지오 ‘협조단원 돌봄’에서 최선을 다 못하고 있어서, 항상 미안함을 느끼고 있었던 것도 나를 ‘두말없이’ 참석하게 하였다.

 그 동안 자주 못 보았던 반가운 형제, 자매님들, 특히 평소 가족과 떨어진 곳에서 직장생활을 하던 P 형제를  다시 이곳에서 보게 되어서 아주 반가웠고, 이번 부활절에 세례를 받았고 Holy Family C.C.  평일미사에서 요사이 자주 보는 K Francesco 형제도 반갑게 다시 만났다. 하지만 나중에 일찍 구역모임을 떠날 때의 나의 심정은 ‘역시’ 혼란스러운 것이었다. 왜 ‘또’ 내가 이곳엘 왔었는가.. 심지어, 그곳에서 도망가고 싶은 심정도 들 정도였는데..

 거의 40년 동안 ‘전혀’ 못 들어보았던 ‘심하고 원색적 vulgar, obscene 욕설과 위협적인 언사’를 바로 코 앞에서 목격을 한 후에 나는 밥맛이 완전히 떨어져서 식사도 거의 안 하고, 독한 술 몇 잔 들이키고 ‘what were they (2 guys) thinking?‘ 만 되뇌며 그 자리를 떠났다. 그것은 분명히 verbal violence 였고 옆에 있던 우리들은 collateral victim이 된 것이다 . 대부분 자매님들과 아이들이 있었던 그 자리에서 우리들은 맛있는 음식을 접시에 덜고 있었다가 그런 일을 어처구니 없게 목격을 한 것이 아직도 믿어지지 않을 정도다.

처음에는 관련 당사자 2명의 ‘싸움’이 100% practical joke인 줄 알았지만.. 자세히 얼굴을 보니 그것이 전혀 아니었고, 그것은 완전한 threatening curse 였고,. 나를 더욱 놀라게 한 것은 욕 자체라기 보다는 ‘증오에 가득 찬 언동 hateful demeanor’ 이었다. 이것이 과연 ‘사랑, 평화’의 천주교우 모임인가.. 그 동안 이 구역모임의 ‘인구의 증가’에 의한 ‘질의 변화나 진화 (or 퇴화)’를 예상 못한 것은 아니나 이것은 완전한 disaster 였다. 바로 옆 구역에서 이런 일이 일어났었다는 이야기를 전에 듣고 나는 사실 믿지를 않았지만, 이제는 조금 믿어진다.

 코 앞에서 이런 광경을 목격하며 솔직히 ‘육체적인 위협’까지 느껴질 정도여서 앞으로 장기간 이런 광경은 나의 뇌리에서 사라지지 않을 것 같다. 식사 전, 매일 복음 ‘성령과 평화’를 이야기 한 후에 생긴 이런 믿기지 않는 happening은 ‘아마도’ 이 sprawling group 의 ‘쉽지만은 않은’ 앞 날을 예고하는 신호가 아닐까? 아마도 이 group 은  현재 critical mass 에 도달했을지도 모르고 어떤 방향으로 나가야 할지 조금 더 현명한 선택이 필요할 것 같다. 이것은 왜 본당 공동체에 구역모임이란 것이 ‘존재’하는지 곰곰이 생각해 보면(a ‘written’ mission statement would help) 그렇게 어려울 것 같지는 않을 것 같지만.. 우선은  foreseeable future 까지 그저 잊고 살고 싶다는데 의견의 일치를 보았다.

30 seconds with Pope Francis

Pope Francis coming to America?

Pope Francis coming to America?

우연히 미국 예수회 America magazine website에서 ‘교황 프란치스코를 30초간 볼 기회가 있다면..’ 이라는 주제의 Youtube 비디오를 보게 되었다. 무슨 일이 있기에 이런 street interview를 한 것인가 의아 했지만 곧 의문이 풀렸다. 올해 9월 미국을 방문하는 교황에 대한 것이었다.

 

America Media asks:
“If you had 30 seconds with Pope Francis, what would you say?”

May 13 2015 – 10:19am

 

가톨릭 신자로서 교황의 위치와 의미는 잘 알려진 것이지만, 교황도 ‘겸손한’ 인간이기에 각 재위 교황마다 한결같이 다른 굴곡1 있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 내가 관심 있게 보고 있는 교황들은 주로 John Paul II (요한 바오로 2세) 로 부터 시작이 되었고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오랜 냉담 시절에는 교황의 위치를 하찮게 보기도 했었는데 나는 그 이후 그런 나의 ‘바보 같은’ 경솔함을 정말 후회하고 있다.

2년 전인가.. 당시 교황 Pope Benedict XI (베네딕트 16세) 이 갑자기 은퇴를 선언하며 퇴임하고 급작스레 선출 된 분이 현 교황 Francis (프란치스코)인데 최초로 남미출신(Argentina)인데다가 교황청과는 outsider 에 속해서 어떻게 재위를 할지 미지수였다. 전임 교황들, 요한 바오로 2세 같은 분의 뒤를 이으며 그분들이 닦아 놓은 업적을 유지, 계승, 향상 시키려면 그분의 어깨는 정말 무거웠으리라. 그 후의 경과, 결과는 어떤가?

너무나 놀라운 일이었다. 요한 바오로 2세를 능가하는 인기와 명성을 구가하게 된 것이다. 전임 같은 ‘두뇌’ 보다는 ‘인정, 솔직’함으로 거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그만의 독특한 스타일은 의심 많은 초현대의 가톨릭 신자뿐만 아니라 비 신자들을 매료한다. 그러한 인기를 잘 활용해서 드디어 세계 정치에도 서서히 관여하여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누가 뭐래도 변화 무쌍한 인류 가치관에 그는 변함없는 진리, 그리스도 가치관을 너무나 부드럽게 포용시킨다.

용감하게 유럽을 no longer fertile and vibrant, weary and becoming irrelevant 라고 가차없이 질타하고, 의혹 많기로 유명한 바티칸의 ‘재정비밀’을 투명하게 만드는 노력을 하는가 하면, 가톨릭 교리를 ‘요지부동’의 인상 보다는 ‘자비’를 강조하는 묘기도 보인다. 예수님의 기본 철학, ‘부자보다는 가난함을 사랑하는’ 실천적으로 가르치기도 하는데, 이런 모든 것들 소위 말하는 populism으로 보일 정도가 되었다. ‘부자 사제’는 척결하고 본인은 ‘소형차, 시민 아파트’를 택했다. 이런 배경으로 그의 agenda를 밀어 부치는 교황, 어떨까.. 퇴임 시에는 아마도 요한 바오로 2세의 인기를 능가하지 않을까?

이런 배경으로, 작년에 아틀란타 대주교에도 불똥이 튀겨, ‘공짜로 받은’ 주교관 mansion을 반납해야 하는 사태도 벌어졌다. 일반 신도들이 대담하게 교황의 모범을 무기로 항의를 했던 것이다. 어떨까.. 이런 와중에 한국출신 교포사목 동남부 사제단인가 (아틀란타 순교자성당, 김대건 성당도 포함) 하는 곳에서는 작년에 멕시코의 칸쿤 Cancun 에서 사제단 회의를 하였다. 그것도 자랑스럽게 말씀하던 신부님.. 속으로 ‘정신이 나간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왜 하필 세속사회의 상징인 멕시코 관광도시 칸쿤에서 비싸게 모여야 했을까? 누군가 설명을 해 주면 어떨까? 그들의 최고 통수권자 교황님의 행적을 그들은 전혀 몰랐던가, 무시했던가?

이 교황을 보려면 제일 직접적인 방법인 바티칸을 가야하고 그곳에서도 사실 가까이 보는 것은 운이 좋아야 한다고 했다. 그런 중에 이번 9월에 미국을 방문한다는 소식에 혹시.. 우리도 그곳에 가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 실험’을 하게 되었다. 크게 무리는 아닐 듯..  World Meeting of Families convention을 계기로 Philadelphia 대회에 참석하고, Washington DC, White House, Congress, New York을 방문 하다고 하니 교황을 비교적 가까이 보는 것이 불가능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렇다.. 내가 교황과 30초간 함께 있다면 무슨 말을 할까.. 이런 질문이 이제 100% 공상이 아닌 것이다.

  1. 현대 한국어에서 이런 말을 아직도 쓰는지..

아틀란타 성모의 밤 2015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2015년 성모의 밤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2015년 성모의 밤

 

Scan10139-15월의 절반이 지나가며, 나를 낳아준 조국, 대한민국 경제발전의 ‘원조’ 박정희 대통령을 생각하게 하는 오일육 군사혁명 기념일, 5.16 도 지나가는 이 시점에서 나는 다시 예수님의 어머니 Jesus’ Mother, ‘하느님의 어머니 Mother of God‘,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마리아 Immaculate Mary를 생각하는 날들을 맞는다. 5월 달 전체가 사실 성모 마리아를 기리는 달이고 그 중에서도 성모의 밤은 그 절정에 해당한다. 오늘이 바로 그런 날이었다. 나의 ‘한국어’ 본당 도라빌 소재 순교자 성당에서 2015년 성모의 밤이 ‘신선하고, 뜻 깊게’ 열렸고, 우리도 참가를 하여 ‘humanity’s 어머니 마리아’를 기렸다.

이 행사에 내가 참가하기 시작한 것은 레지오 입단 다음 해인 2012년 부터 였으니까.. 4년 째 가 되어가나.. 처음에는 익숙지 않아서 약간의 거부감도 없지는 않았지만 시간이 가면서 나는 이 행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성모 마리아의 가톨릭에서의 위치를 알려면 가톨릭 ‘마리아 4대 교의’를 상기하기도 하지만 그런 ‘무거운’ 것이 이날에 그렇게 중요할까.. ‘어머니의 자애’.. 하나만 생각하며 모든 생각이 필요가 없지 않을까?

올해 ‘성모의 밤’ 행사 자체도 예년과 ‘아주’ 다르게 ‘정중함’이 풍기는 완전한 절차 임도 알 수 있었다. 알고 보니 이제까지 내가 겪었던 것들은 모두 레지오 마리애 주최의 ‘약식’ 행사였었다. 하지만, 올해는 새로 부임한 ‘신입 보좌신부’ (정말 ‘어리게 보이는’) 와 전례부가 합작을 해서 ‘정식’으로 승격을 시켰다는 것을 나중에 알게도 되었다. 왜 갑자기 ‘약식 전통’을 바꾸었을까? 알 수는 없지만 아마도 주임신부의 이임과 상관이 있었을지 않았을까.. 나의 추측에 불과하지만.. 이임 신부님의 ‘마리아 신심’은 우리들의 기대에 ‘항상’ 못 미치기에 새로 부임한 ‘이 요한’ 주임신부의 그것은 어떨까 궁금하기만 하다.

 

 

언제나 웃으시는 마리아

 

제 사랑이 풍요로워 지도록

당신의 웃음을 곁들여 주십시오.

 

당신의 웃음을 닮아

저도 맑은 웃음을 웃게 해주십시오.

 

주님의 기쁜 소식을 전하려는 저를 도와주시어

당신처럼 웃음 띤 얼굴로

기쁘게 주님을 전할 수 있게 해주십시오.

 

걱정과 고뇌를 잊고

이웃과 기쁨을 함께 나누게 해주십시오.

 

밝게 웃는 얼굴로 이웃에게 다가가

친절과 위로를 나눠주게 해주십시오.

 

제 웃음에 비웃음이 섞이지 않고

언제나 성실하고도 참된 호의로

가득 채워 주시고

괴로울 때에도

웃음 짓은 것을 잃지 않게 해주십시오.

 

이웃을 사랑하는 기쁨을

마음 깊이 보존하게 해주시고

이 기쁨이 언제나 웃음으로 피어나게 해주십시오.

 

생각과 감정이 다를 지라도

언제나 웃음 띤 얼굴로 대하게 해주십시오.

 

호의를 가득 담은 얼굴로

이웃을 하느님께 이끄는데

저도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게 해주십시오.

 

< J. 갈로 >

Mother’s Day 2015

창고처럼 겨울을 난 back porch, 청소 뒤, 때 빼고 광낸 모습..

창고처럼 겨울을 난 back porch, 청소 뒤, 때 빼고 광낸 모습..

 

¶  뜨겁고, 피곤한 big cleanup:  이틀 간 집안 대 청소를 하며 먼지를 꽤나 많이 먹었다. 아마도 몇 년 동안 쌓였던 먼지일 것이다. 또한 무겁기만 한 stuff들을 옮기며 생긴 심한 근육통과 육체적, 정신적인 피로감이, 느닷없이 갑자기 찾아온 early heat-wave와 겹쳐서 나를 더 쳐지게 만든다. Mother’s Day 아침, 며칠 째, 거의 90도에 가까운 ‘고열’로 모든 것들이 따끈하게 달구어 진 느낌이고 이번의 더위는 5월 특유의 dry heat가 아니고 조금은 습한 더위라서 밤에도 더웠다. 처음에는 창문을 그냥 열어놓고 견딜까 했지만 그것이 아니다. 낮에 너무나 근육을 쓰는 일을 했던지 나의 몸이 빨리 식지를 않는 것이다. 몇 년 만에 처음으로 이렇게 일찍 a/c(air conditioner)를 가동했는지.. 우리의 ‘고물, clunker’ 수명을 넘긴 듯한 a/c, 올해도 수고를 많이 해 주어야 하는데.. 과연 올해를 넘길지 궁금하다. 이것은 capital spending에 가까운 ‘거액’을 요구할 터인데.. 이래 저래 ‘피곤하다…’

 

¶  어버이날과 어머니날:  어머니 날.. 나는 어떤 어머니를 생각해야 하나… 나의 어머니, 우리 집 아이들의 어머니, 주변에서 돌아가신 어머니.. 살아계신 어머니.. 오늘 어머니 날 주일 미사에서 ‘이태리 유학’ 하 신부님, 몇 년째 미국사목에도 불구하고 heavy accent로 ‘머더스 데이’를 말하신다. 한국식 ‘어버이’날에 익숙하신지 아버지까지 함께 언급을 하시지만 이곳에는 따로 아버지 날이 있는지 알고 계신지 궁금하다. 비록 부모님을 함께 기리는 ‘어버이 날’의 의도는 좋았을지는 몰라도 어머니와 아버지의 고유한 차이를 무시한 것 같은 ‘어버이 날’ 은 아직까지 생각해도 별로 좋은 idea가 아닌 듯 싶다. 항상 머리 속에 있는 것 같은 우리 어머님을 다시 깊이 생각해 보니, 불현듯 다시 보고 싶다. 비록 하늘나라엘 가면 볼 수는 있을 터이지만 그래도 지금 당장 옆에서 보고 싶은 것이다. 어머님을 제대로 떠나 보내지 못한 후회와 슬픔은 분명히 나의 남은 여생에서 십자가일진대 어떻게 그런 사치스런 바램을 논할 수 있을까. 그저 그저 사랑합니다, 어머니 우리 어머니, 저를 용서하세요.. 라는 넋두리만 내 입가에서 맴돈다.

 

우리시절의 ‘어머님 은혜‘, 1950년대 동요

 

¶ P 베로니카 아드님들:  오늘 여름 같은 Mother’s Day에 지난 주에 돌아가시고 장례미사를 치른 P 베로니카 자매.. 그 자매님의 두 ‘미혼’ 아들이 ‘감사와 인사’를 하러 난생 처음 순교자 성당에서 미사에 우리와 같이 ‘참여’를 하였다. 분명히 우리 옆에서 미사에 동참을 했지만, 어리둥절하고 확실히 무슨 뜻의 미사인지는 잘 몰랐을 것이다. 그래도 열심히 주위를 따라 일어났다 앉았다.. 심지어는 무릎을 꿇는 등 최선을 보여 주었다. 아마도 아무도 그들이 성당에 처음 나온 사람들인 것을 몰랐을 것이다. 작년 이즈음에는 아버지를 하늘나라로 보내고, 며칠 전에는 어머니까지 떠나 보낸 후, 처음 어머니 날을 맞는 그들 두 형제를 보니 가슴이 메이지는 슬픔을 참을 수가 없었다. 미사가 끝나고 나서 마침 우리가 속한 마리에타 2구역이 마련한 ‘맛 있는’ 미역국 점심을 하며 생소한 사람들 사이에서 그런대로 사람들과 인사도 나누는 등 coming out같은 느낌의 시간을 보냈는데, 우리의 바램은 큰 형이 언젠가 우리 가톨릭 공동체에 합류해서 신앙의 눈을 뜨는 것인데, 쉽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레지오의 정신, 성모님의 도움으로 불가능한 것은 없을 것이다.

장례미사, 자랑스런 ‘레지오’

가볍지만, 몇 개월 동안 쳐졌던 나와 연숙의 어깨가 조금은 올라간 날이 되었다. 안도의 큰 숨을 쉴 수도 있었고, 말로 표현하기 힘든 보람과 은총을 느끼는 하루도 되었다. 몇 개월 동안 우리와 인연을 맺으며 삶을 위한 고통스런 투쟁을 하였던 P 베로니카 자매님, 오늘 조촐한 가족들과 적지 않은 레지오 단원들의 전송을 받으며 하늘나라로 완전히 떠났다. 이번 일을 통해서 ‘달릴 곳은 끝까지 달려야 한다.’라는 레지오 교본의 구절을 굳게 상기하고, 성모님을 의지한 레지오의 막강한 힘을 절실히 느끼는 기회도 되었다.

연도와 장례 미사.. 공식적이고 전통적이며 사랑이 가득한, 정성된 신부님의 자상한 미사집전, 어느 것 하나 마음에 들지 않은 것이 없었다. P 베로니카 자매님은 물론이고 두 아들, 동생 자매님, 가까운 친척들도 같은 느낌이었으리라 생각을 한다. 장지 동행에 각별한 신경을 쓰셨던 Lee’s Funeral Home 이 사장님.. 이번에 처음 가까이 대하는 기회가 되었는데 참으로 자상한 분이셨다. 성당 연령회 분들도 정성을 다 해서 준비해 주셨고, 특히 눈이 시려오는 것은 생소하기만 한 ‘신 영세자’ 베로니카 자매님을 위해서 각별한 사랑으로 참석해 준 자랑스런 우리 본당 레지오 단원님들.. 어느 것 하나 ‘사랑’을 느끼게 하는 하루였다

자매님, 비록 고달픈 인생여정을 보냈어도, 가는 길은 너무나 희망적이고 자상한 여정이 될 것이라 우리들 모두 생각한다. 내가 제일 감동을 받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이 100% 확신 여부를 떠나서 ‘나는 하느님을 알고 간다’ 라는 천상의 선물을, 그 형언할 수 없는 고통 속에서 세례를 받음으로써 사랑하는 가족들에게 주고 갔다는 사실이다. 특히 짧지 않은 시간 동안 헌신적으로 어머니를 간호했던 큰 아들에게 주고 간 선물도 그것이 아닐까. 우리는 하느님의 섭리와도 같이 느껴지는 ‘묘한 인연’을 음미하며 우선 안도의 큰 숨을 내려 쉴 수 있게 되었고, 남은 유족, 특히 큰 아드님이 하루 빨리 안정이 되고 어머니의 간 길을 거울 삼아 ‘평화’를 찾는 긴 여정을 시작하기를 기도하기로 했다.

봉성체 奉聖體, 1년 후

봉성체 봉사자를 구하는 Holy Family 성당의 brochure
봉성체 봉사자를 구하는 마리에타 Holy Family Catholic Church 의 brochure

봉성체 奉聖體, home Eucharistic communion service, ministry 성체를 집으로 모시고 가서 영성체를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봉성체 라고 하는데 이것은 Extraordinary Minister of the Holy Communion 라는 평신도 중에서 특별히 선발되고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서류상으로도 본당, 교구, 대교구에 등록을 하여야 하고 대강 3년 정도 유효하다고 한다. 이만큼 사제가 아닌 평신도가 성체를 성당 밖으로 모시고 나가서 영성체 봉사service를 하는 것은 조심스럽고 신중하다고 할까.

4년 전쯤, 말기 암으로 투병을 하던 우리 레지오 단원 은 요안나 자매님이 거동이 불편해져 집에만 있게 되었을 때, 그 자매님에게 성체를 모시게 해 주고 싶다는 일념 으로 연숙이 ‘두말없이’ 봉성체 교육을 받고 교구청에 등록을 했는데.. 좀 늦었던가.. 안타깝게도 한번도 봉성체를 해 주지 못하고 그 자매님은 운명을 하게 되었었다. 그것이 계기가 되어서 그 이후로는 ‘가능하면’ 늑장을 부리지 않고 성체를 원하는 거동이 불편한 신자들을 찾게 되었고 필요한 곳은 찾아가게 되었다.

5년 전쯤만 해도 나는 ‘성체의 심각한 의미’를 잘 몰랐고, 생각한 적도 없었다. 성체와 성혈은 100% 예수님의 몸과 피라는 교리상식은 물론 ‘머리’에서는 알지만.. 그래서..어쨌다는 말인가 라는 선에서 멈추곤 하였다. 미사에서 성체, 성혈을 받을(모실) 때에도 ‘의미 있는 묵상’이 별로 쉽지 않았다. 그것은 물론 내가 별로 깊이 생각과 묵상을 안 해서 그런 것이다. 최후의 만찬에서 비롯된 성체,성혈의 신학적, 역사적 의미를 조금 더 겸손한 마음으로 받아들이는데 시간이 필요했다. 그러다가, 한 순간 ‘점들이 연결되는 순간부터’ 나는 거의 무조건 성체의 신비를 믿게 되었다. 의외로 간단한 과정이었을까?

그런 배경으로 봉성체 봉사자인 연숙을 따라다니며 ‘봉성체 동행’이라는 이름으로 우리는 레지오 활동의 일환으로 봉성체 봉사를 할 수 있게 되었고 집이나 병원에서 성체를 모시는 사람들을 많이 보게 되었다. 일년이 넘은,  작년 2월경 부터 우리는 정기적인 ‘화요일 봉성체’ routine을 시작하게 되었다. 실제적으로 우리는 레지오 주회합이 있는 화요일에 정기적인 봉성체 활동을 하고 가끔 비정기적인, 예외적인 봉사를 한다.

이 봉성체 활동을 하며 느끼는 것은 한마디로 가톨릭 신앙에서 얼마나 성체신심이 중요한 가 하는 때늦은 놀라움이다. 1982년 영세를 받고 나서 수십 년이 흐른 인생의 황혼기에 나는 이것을 정말 늦게 깨달아가고 있는 것이다. 성당의 미사를 못 보며 느끼는 이들 봉성체 대상 교우들의 성체에 대한 갈증, 갈망을 느끼고 보며 나는 너무나 많은 은총을 받는 듯 하다. 이 우리의 봉사는 사실 우리가 봉사를 받는 다는 쪽이 더 맞는 표현일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들 정도다. 고령의 봉성체 대상 자매님, 기억력과 씨름을 하시지만 우리들이 가면 ‘일제 시대(요새는 일제 강점기라고 하던가)’에 남편 형제님을 만나게 된 경위를 일본말을 섞어가며 설명하시던 모습을 보며, 이 분들에게 성체 이외에 ‘인간적 대화’가 필요함도 절실히 느낀다. 성체의 ‘기적’까지는 기대 못하더라도 이런 활동이 외로울 수도 있는 그분들에게 다른 기적을 가져다 줄 수 있게 되기를 바라며 우리는 ‘자동차와 다리가 성한 한’ 이 활동을 계속할 것이다.

사순절 판공성사, 2015

또 ‘그것’을 할 때가 다가왔다. 그것.. 판공성사, 고백성사, 고해성사.. 어떻게 표현해도 다 마찬가지다. 결코 쉽지 않은 ‘의무’, 가톨릭 신자의 의무다. 이것도 의무지만 자유로운 의무고 다른 쪽으로는 우리 교회만의 권리, 특권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이 성사의 의미와 특징 (좋은 쪽으로)은 열거하면 한이 없이 많다. Matthew KellyRediscovering Catholicism 책을 요새 다시 읽으며(aka typing) timing 좋게 confession 에 대해서 복습을 하였다. 시간이 갈수록 쓰레기로 쌓이는 집이나 차에 비유해서 정기적으로 청소를 하는 것과 비교한다. 많이 쌓이면 그런 사실자체에 둔감해져서 더 많이 쓰레기가 쌓인다고. 자주 하면 할 수록 좋은 것이라고.. 누가 모르나? ‘괴롭게 들어갔다가 날라가는 기분으로 나오는 곳’ , 그곳이 바로 고백성사란 것만 기억해도 좋은 것, 이것 하나, 나는 분명히 기억한다.

올해는, 아니 내일로 다가온 이 ‘것’을 어떻게 해야 하나? 무엇을 고백해야 하나? 어떻게 해야 하나? 10중 8/9는 하태수 신부님께 하게 될 듯 한데.. 그것이 상관이 있을까? 모두들 어렵다고 하는 이것, 나에게도 어려운 것인가, 아니면 귀찮은 것인가?

이제는 ‘양심성찰’을 해야 할 때가 온 듯하다. 지난 해 6월이었던가, Conyers의 수도원에서 가진 레지오 피정 때 내가 이것을 했다고 생각하는데, 알쏭달쏭하다. 한 듯하기도 하고, 안 한 듯 하기도 하고.. 하지만 작년 사순절 때는 100% 확실히 했다. 비록 ‘사소한’ 것을 고백한 기억이지만.

 

그 동안 나의 ‘죄’는 무엇이 있을까? 대죄는 물론 없다. 소죄는 있을 듯 하다. 확실히 기억은 안 나지만. 십계명으로 출발하면, 어떤 주일을 거룩하게 안 보낸 것은 확실할 것이다. 제일 쉬운 것이 이것인가? 하지만 이런 것을 하면 내가 만족할 수가 없다. “고백성사 101″을 다시 한번 볼까나..

아마도 십계명에 ‘정면으로 거역’ 된 일을 없을 것이다. 나에게 우상이란 것은, 분명히 없다. 하느님의 이름을 마구 함부로 ‘팔아 넘기듯’ 부른 적도 없다. 주일이나 종교적 축일들을 소홀히 보냈는가.. 다행히 지난 해에 우리는 ‘부지런히’ 주일, 축일을 보냈을 것이다. 부모님을 공경하는가.. 이것은 비교적 쉬운 듯 하지만, 실제적으로 우리는 죽어도 부모님을 잘 모셨다고 말할 수가 없었다. 영원히 죄로 고백해야 할 것 중에 하나다. 살인한 적도 없고, 간음한 적도 없다. 훔친 적도 없고, 요상한 소문을 낸 적도 없고 거짓말 증언을 한 적도 없다. 남의 아내를 엿보거나 흠모하거나 사랑한 적도 없다. 남이 잘 사는 것에 질투심을 느꼈을까? 이것은 100% 부인할 수가 있을까? 나는 ‘지나치게 사치하게 잘 사는’ 사람을 가끔 ‘경멸’한 적은 있지만 그 정도로 부러워한 적은 거의 없었다.

 

죄를 안 짓는다는 소극적인 것에서, 과연 적극적으로 ‘선행’을 하고 살았던가? 이것은 자신이 없다. 죄를 피하며 살았을지언정 적극적으로 남을 인간으로 사랑하거나 물질적으로 도와 주었다고 말할 수가 없는 것이다. 나의 ‘재주, 재능’을 하느님을 위해서 효과적으로 사용했을까? 이것도 자신이 없다. 비록 레지오라는 단체에서 ‘봉사’를 한다고 하지만 언제까지나 만족할 수 있는 일이라고 할 수가 없다.

 

예수님의 사랑의 2계명:

‘You shall love the Lord, your God, with all your heart, with all your soul, and with all your mind. This is the greatest and the first commandment. The second is like it: You shall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The whole law and the prophets depend on these two commandments’(Mt 22:37-40).

“Love is patient, love is kind. It is not jealous, [love] is not pompous, it is not inflated, it is not rude, it does not seek its own interests, it is not quick-tempered, it does not brood over injury, it does not rejoice over wrongdoing but rejoices with the truth. It bears all things, believes all things, hopes all things, endures all things. Love never fails” (1 Cor 13:4-8).

 

지난 해 판공성사 (사순절부터) 이후 나는 어떻게 살았는가? 남이 보기에 부끄러운 짓을 하지 않았던가? 고정적인 일상생활의 pattern으로 두드러진 것은 생각이 안 난다. 가깝게 나를 ‘괴롭히는’ 것이라면 ‘겸손하지 않다고 보이는’ 연숙의 행동들에 대한 나의 짜증 정도? 이것도 죄가 될까? 마찬 가지로 두 딸들에 대한 나의 실망감..

하지만 조금 밖으로 눈을 돌리면, 미안한 것들이 적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작년 여름 레지오 회합에서 큰 생각 없이 한 나의 ‘솔직한’ 말 때문에 장 실비아 자매가 퇴단까지 한 것은 처음에는 이해할 수 없는 뜻밖의 일이었고, 나의 말을 너무나 심각하게 받아들인 상대방만 탓하기도 했다. 하지만 원인은 무조건 나에게 있기에 나의 잘못이고 미안해 해야 한다는 생각이 너무나 뒤 늦게 들었다. 같은 여름 미국성당에서 ‘사소한 고정석’을 빼앗긴 것이 발단으로 ‘터진’ 나의 ‘분노’도 마찬가지로 전적으로 나의 ‘문제’에 의한 것이었다. 상대방이었던 필리핀 자매에게는 너무나도 잘못을 하였다. 기분이 쳐지거나 나의 ‘운전 불능’신세를 한탄하며 연숙의 운전 실력을 100% 매도하는 나날들 또한 어떨까.. 나의 일방적인 잘 못이 아닐까? 이런 것들을 떠나서 나는 언급하기 싫은 ‘잘못’을 했고 현재도 하고 있다. 가슴 속 깊이 잠자고 있는 나의 ‘깊은 상처, 수치’를 건들이거나 하고 싶지 않다. 그만큼 이것이 무서운 것이다.

근래에 너무나 가까워진 수 많은 ‘자매님들’.. 인간의 한 부류로 신선하게 다가온 수 많은 자매님들을 나는 어떻게 생각하는 것일까? 신앙적 동지일 수 밖에 없는 그녀들을 나는 가끔 어떤 생각까지 하며 ‘즐기고’ 있는 것일까? 아직도 나는 여성에게 여자의 미련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은근히 나는 이성들이 많은 곳에서 어떠한 환상적인 생각을 하고 싶은 것은 아닐까? ‘생물적’인 충동이 아직도 있다는 사실은 나를 진정 놀라게 한다. 그것 때문이 예전의 ‘환상적 잘못’의 세계로 조금이라도 다가 갈까 봐 조바심도 나는 것이다. 성모님에 의지하는 내가 왜 다시 성모님께 의지하지 않는 것일까? 너무나 수치감을 느껴서 그런지도 모른다. 나는 이런 상태를 초월하는 다음의 단계로 성숙해야 한다. 이것을 나는 어떻게 신부님께 고백을 해야 하는 것일까? 이것이 오늘 저녁에 예정된 성사에서 풀어야 할 과제가 되었다.

초조한 사순절 4주째..

차분하고 경건해야 할 것만 같은 사순절의 한 가운데를 지나면 왜 이렇게 ‘우리’는 초조함을 느끼는 것일까? 평화가 줄어들고 수심과 걱정이 휩싸이는 느낌.. 이번 사순시기는 무엇인가 이런 느낌을 떨칠 수가 없었지만 대부분 나의 탓이기에 할 말이 없다. 내가 그렇게 만든 것.. 이라고 생각한다. 해야 할 ‘중요한’ 것은 계속 뒤로 미루며 사는 것, 왜 나는 진정한 proactive한 인간이 못 되는 것일까? Matthew KelleyThe Four Signs of a Dynamic Catholic에게 오랜 만에 자극을 받는가 싶었지만 다시 주저앉는 나의 모습.. 절제된 자기훈련이 된 하루하루를 살고 싶었고 그렇게 할 희망은 충분히 아직도 있다. 비록 치통에 모든 잘못을 탓하고, 비실비실 잠열에 뒤척이는 모습이었지만.. 훌훌 털고 일어나자! 작년에 비한 우리의 ‘위상’은 하늘과 땅이 아니던가? 최소한 무언가 변하게 될 ‘희망’이 있지 않은가?

진정으로 우리를 초조하게 하는 것은 배해숙 자매의 병세 때문일 것이다. 생각보다 더 약한 모습으로 변하는 자매님, 돼지띠 동갑 자매님.. 놓칠 수가 없다. 우리 부부는 그런 심정으로 지금 싸우고 있는지도 모른다. 얼마 더 오래 살지는 하느님만 아시겠지만 우리의 ‘요구’는 최소한 이 자매님이 짧지 않은 ‘진정 행복한 나날’을 아드님들과 즐길 수 있는 ‘건강한 나날’을 주시라는 것이다. 수 십 년도 아니고 아니 몇 년이라도 좋다. 진정한 행복한 인생이 무엇인지 되돌아 볼 수 있는 건강한 기간, 시간을 주시라는 우리의 기도가 그렇게 무리일까? 아니지요.. 성모님.. 어머님.. 인자하신 성모님, 기도해 주세요.

오늘 예정대로 ‘병원’에서 배 자매님의 세례식이 ‘거행’될 것이다. 분명히 그녀는 하느님의 자녀로 새로 태어나실 것이다. 그것과 더불어 더 건강한 새 생명이 함께 하시게 되시기를 우리는 기도한다. 하신부님의 배려로 성사되는 이번의 세례식.. 조금 있으면 떠나게 되는 하 신부님, 지금부터 서운하기만 하다. 어쩌면 나와 그렇게 모든 ‘코드’가 잘 맞았는지 아무도 모들 것이다. 이런 신부님 앞으로 나는 다시 못 만날 것이다. 개인적으로 친해지고 싶었지만.. 지금은 모든 것이 다 지나지 않았던가..

전요셉, 황프란치스코

전 요셉, 황 프란치스코 형제님들.. 모두 듣기만 해도 가슴이 편안히, 따뜻하게 느껴지는 이름들이 되었다. 특히, 전 요셉 형제님의 이름은 요새같이 추운 날씨에는 따뜻하게 느껴질 때도 있었다. 전 요셉 형제님, 나와 같은 돼지띠 동갑으로 친구, 형제처럼 느껴질 때가 많았다. 분명히 나보다 생일이 위였으니까, 형 뻘이 되겠지만 그런 것 서로 따지지 않고 지냈다. 하지만 가깝게 알고 지낸 것이 불과 1~2년도 채 되지를 않았다. 채 깊이 알게 되기도 전에 전 요셉 형제님은 ‘갑자기’ 조상의 땅, 대한민국으로 ‘영구’ 귀국을 해 버렸다.

그때 느낀 기습적인 쌀쌀한 가을바람과 같은 공허감은 나를 놀라게 하기도 했다. 그것이 벌써 1개월 도 지났나? 귀국 후 잠깐 온 소식에 시차 적응으로 매일 잠만 잔다고 하더니 드디어 카톡(카카오톡)으로 잇달아 소식이 날아왔다. 계속 시차 적응 중이고 눈이 내린 고국의 모습이 멋있다며 사진도 보내왔다. 온양으로 간다고 했으니 아마도 온양 교외의 어느 곳인가 짐작을 한다. 처음에는 사업을 시작하려고 ‘땅’을 보러 갔다가 찍은 곳이 아닌가 했던 나의 상상이 너무나 우습기만 했다.

전요셉, 황프란치스코
전요셉, 황프란치스코

그리고 며칠 전에는 드디어 ‘사람의 사진’이 왔다. 전요셉 형제님의 모습이 ‘대한민국화’가 되었는지.. 완전히 ‘때 빼고 광 낸’ 모습이어서 놀라고 반갑기도 했다. 역시 평생을 살아온 고향 물이 좋긴 좋은 모양이라는 생각까지 들었다. 탁한 공기를 걱정하며 귀국을 했는데 꼭 그렇지만은 않은 모양.  그런데 이 사진을 누구와 같이 찍었는데.. 처음에는, 귀국하면 꼭 보아야 할 사람이 있다고 말한 것으로 미루어  아마 그분을 만나서 같이 찍은 것으로 생각을 했는데, 곧 이어서 사연인즉.. 그 분은 나도 이미 알고 있던 사람이 아닌가? 그 모습을 보고 너무나 우리부부는 반가웠다. 황 형제..

우리 부부가 봉사자로 수녀님을 보조했던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교리 반에 2014년 부활절 영세를 목표로 가족 4명, 전원이 등록했던  황 형제였던 것이다. 그 사진은 황 형제가 대전 노은동 성당에서 영세를 받고 전 형제와 같이 찍은 것이라고 했다. 영세명은 교황님과 같은 프란치스코.. 너무나 반가웠다. 황 형제님 부부 가족은 작년 가을 교리반에 등록 후에 사정이 생겨서 교리반 공부 도중에 올해 초에 ‘영구’ 귀국을 했는데.. 아마도 귀국 후에 교리공부를 계속해서 부부가 같이 영세를 받은 모양이었다. 이곳에서 알고 지내던 두 사람이 모두 영구 귀국을 했고 이렇게 다시 재회를 하며 찍은 사진.. 이 사진을 물끄러미 바라보며 나는 다시 생각에 잠긴다….

 4년여 전 레지오 활동단원을 갓 시작하며 나에게는 생소한 ‘병자기도’ 란  것이 있었고 그 대상 중에 레지오 단원이며 중병환자였던 전요셉 형제가 있었다. 멋도 모르고 나는 열심히 기도를 했다. 생전 처음 ‘남을 위한 기도’를 하게 된 것이다. 속으로는 회의도 많이 있었지만 ‘성모님의 군단’의 규율을 따라 어린아이처럼 열심히 열심히.. 1~2년 후에 우리는 기적과도 같은 소식에 놀라기만 했다. 그 ‘중병’이 ‘완치’가 된 것이다. 본인도 놀라고 레지오 단원들도 놀라기만 했다. 겨우 신앙을 찾아가고 있었던 레지오 햇병아리였던 나에게 그것은 너무나 커다란 ‘살아있는’ 신앙공부가 됐다. 그 이후 전 형제는 가끔 보는 정도였지만 만나면 최소한 얼굴을 익힌 정도가 되고 건강에 대한 인사를 나눌 수 있었다.

그러다가 작년 말 우연히 인사를 하다가 나와 돼지띠 동갑임을 알게 되었고 우리 사이에는 무언가 near-perfect chemistry가 있음도 느끼게 되었다. 서로 가끔 식사를 같이 하며 서서히 조금씩 상대방을 알게 되어갔지만, 역시 나이 들어서 새로운 사람을 알게 됨은 생각보다 어려운 것도 사실이었다. 나는 이곳에 오래 산 이유로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이 부자연스러울 때가 많았지만 전요셉씨는 내가 오랜 전에 알았던 ‘그 옛날’ 기분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다. 그것이 나는 너무나 그립고 신선하게 느껴지기만 했다.

우리는 무언가 너무나 다른 인생을 살았는지는 모르지만 그것이 오히려 더 가깝게 하는 이유였을지도 모른다. 같은 시대를 살았지만, 너무나 서로 다른 개인 역사가 너무나 흥미롭지 않을까? 작년 말에는 레지오 연차 총친목회를 준비하며 난타와 중창에서 가깝게 어울리기도 했고 기회가 있을 때마다 점심식사를 같이 하기도 했고, 봉성체, 교구 성체대회 같은 곳에도 같이 참가를 하는 등 오랜 만에 고향 친구를 만난 느낌도 들었다. 전 형제님은 어르신들과 참 잘도 어울렸는데, 그때 받는 느낌은 한마디로 ‘사람이 좋다’라는 그런 것이었다. 순진하기도 하고, 우직하기도 한 세상을 약삭빠르게 사는 스타일은 절대로 아니었다. 그런 성품으로 이곳에서 살아가는 것이 그렇게 쉽지 않았는지 결국은 귀향을 결심하고 홀연히 사라졌다. 한마디로 조금은 더 쓸쓸한 기분을 남기고 사라진 돼지띠 사나이.. 언젠가 다시 볼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으로 우선 섭섭함을 달래는 수 밖에 없나.. 전 형, 그곳에서 하시는 일 순조로이 풀리기를 바랍니다!

슬픈 해후邂逅, 침묵피정

¶  묘~한 인연과 슬픈 해후邂逅

피정이 끝나고 우리는 그 전날 약속이 되어 있었던 어떤 환자 자매님 댁을 방문하게 되었다. 마리에타 지역에 사시는 어떤 병중의 자매님께 ‘급하게’ 천주교 영세를 받게 하는 조그만 과제가 생긴 것이다. 아마도 아들과 둘이 사시는 어떤 우리 또래의 자매님이 중한 병에 걸려서 아마도 오래 못 사실 것이라는 판단으로 다른 주에서 급히 방문하신 친 가족(오빠와 여동생)들이 순교자 성당에 연락을 해서 혹시 외인(비신자)에게 ‘급하게’ 영세를 줄 수 있는가 문의를 했고 ‘우여곡절’ 끝에 연숙에게 연락이 온 것이다. 2년 전 모니카1 자매님이 그런 case였고 그 후의 결과가 너무나 좋았기에 이번에도 그렇게 해 주었으면 한 것인지도 모른다. 이런 때가 바로 레지오 단원들이 제일 사명감을 느낄 때라고 할까..

이때 우리가 방문한 목적은 상황판단이 전부였다. 어느 정도 병이 위중한지.. 그것이 제일 궁금한 것이다. 과연 짧더라도 교리공부를 받을 상황인지.. 그것이 불가능할 정도면 과연 신부님이 ‘비상 영세’를 주실 수 있는지.. 모든 것이 우리들이 눈으로 보고 듣고 하는데 달려있었던 것이다. 조금은 불안한 심정으로 찾아간 곳은 우선 middle-high-class 주택가로서 아마도 financial한 문제는 없으리라 짐작이 되었다. 반갑게 맞이한 오빠 형제님 2 여동생 자매님들.. 모두 인상도 좋았고 친절하였다. 전화로 이미 들었던 ‘사연’에 덧붙여 더욱 자세한 이야기도 들을 수 있었다. 비교적 대 가족이었지만 모두들 지역적으로 뿔뿔이 흩어져 살아서 그것이 우선 문제였다. 아픈 환자가족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간호를 할 것인가? 비록 두 아들이 있다고 하지만 그것으로 충분할까?

침대에 누어있는 환자자매님.. 모든 것이 아주 불편해 보였고 우리를 보고 고개를 갸우뚱하더니 계속 물끄러미 주시를 했는데.. 우리는 무언가 우리를 ‘의심’이라도 하는 것이 아닌가 했지만 그것이 아니었다. 그 아픈 자매님은 알고 보니 우리도 낯이 익었던 것이다. 우리가 오랜 세월 동안 다니던 YMCA에서 본 것이다. 나중에 알고 보니 이 자매님 부부가 YMCA에서 janitorial staff으로 일을 했던 것을 기억했다. 그것이 불과 2~3년 전이었지만 서로가 첫 눈에 못 알아 본 것이다. 그 자매는 처음에 나를 먼저 알아보고 나중에 연숙을 알아 보았다. 어떻게 이런 인연이 있을까? 우리는 너무나 반가워서 한동안 어쩔 줄을 몰랐고 옆에서 보고 있던 가족들도 너무나 기쁜 얼굴들이었다.

놀란 것은 그것 뿐이 아니었다. 그 자매님의 부군 형제님이 올해 4월에 이미 암으로 돌아가셨다는 소식이었다. 그 형제님은 남자 locker area에서 너무나 자주 보았고 이야기도 나누었던 사이었는데.. 나이도 아마 나와 비슷해서 더욱 친근감을 느낀 그런 분이 이미 이세상 사람이 아닌 것이다. 남편의 병간호가 너무나 힘이 들었는지 곧 바로 자기도 이런 중병에 걸렸다는 것이다. 어떻게 이런 비극이 있을까?

오빠와 여동생이 모두 이미 천주교 신자였고 이 아픈 자매님은 아직도 외인이었지만 가족들은 그 자매님이 천주교 신자가 되기를 간절히 바랬다. 비록 중병이라 할 지라도 하느님, 특히 천주교의 하느님을 알기를 원했던 것이다. 게다가 우연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여동생 암브로시아 자매님3과 이야기를 하다가 오하이오 주 Dayton, Cincinnati 지역에서 성당을 다녔다고 했고 우리의 영세 신부님 왕영수 신부님과 같이 신자생활을 한 것도 알게 되었다. 근래에도 한국으로 비행근무를 할 때 가끔 왕신부님과 만난다고.. 이런 뜻밖의 인연이 어디에 있을까? 성령운동에서 음악찬양을 하는 최데레사도 잘 안다고 했다. 이런 것들로 우리는 순식간에 ‘친구’처럼 느끼게 되었고 우리가 레지오 단원으로 자매님을 도울 수 있을것을 알게 된 그들은 어린이들처럼 기뻐했다. 다음날 직장 관계로 모두 떠날 그들이기에 더욱 그랬을 것이다.

세상은 넓고도 좁다던가.. 이런 인연으로 우리 부부는 레지오 단원의 한 조 로써 이 위중한 병으로 고생하는 자매님을 위해 봉사할 기회가 찾아 왔고 우리가 옛날 레지오 단원들에게 받았던 ‘은혜’를4 갚을 chance가 왔음을 느낀다. 얼마나 우리가 도울 수 있을지 아직은 미지수이지만 최선을 다할 각오는 되어있다고 느낀다.

 

¶  CLC 일일’一日’ 침묵피정  Scan10108-1어제는 아침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아틀란타 CLC 가 주최한 ‘일일 침묵피정’이란 곳에 연숙과 참가하였다. 지나간  순교자 성당 주일 미사 후 점심 시간에 낯이 익은 CLC 자매가 갑자기 와서 ‘일일 침묵피정 신청서’를 건네주며 꼭 오라고 해서 조금 당황한 적이 있었다. ‘원칙적’으로 ‘못 간다’고 나는 이미 생각을 하고 있다가 후에 다시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런 기회가 또 올지 안 올지 확신이 서지를 않았던 것이고, 이것이야말로 it’s now or never란 생각도 들었다. 내가 가지 안더라도 연숙은 물론 갔을 것이지만 나의 결정으로 생전 처음 CLC주최 피정을 둘이서 참가하게 된 것이다. 이번의 일일 피정은 ‘CLC 골수단원’ 대상이 아니고 ‘일반인’ 대상이라 마음이 가벼웠지만 ‘침묵’이란 말이 조금 신경이 쓰인 것도 사실이었다.

CLC (Christian Life Community)하면 로욜라의 아냐시오 성인(St. Ignatius of Loyola)의 영신수련(spiritual exercise)을 바탕으로 예수회의 영적지도(spiritual guidance)를 받는 전세계 ‘평신도 단체’란 것을 나는 예전부터 연숙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들었다. 연숙이 전에 이런 ‘과정’을 거쳤었기에 나는 옆에서 조금씩 보고 듣게 된 것이다. 인간적인 갈등으로 비록 그’단체’를 떠나서 지금은 나와 전심으로 레지오 마리애를 하고 있지만 그곳에 대한 관심은 지금도 크게 떨어진 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 어제 그곳에 참석을 해서 그녀는 많은 사람들을 알아 보았다. ‘옛 동료’들처럼 보였다.

생각보다 비교적 많은 참석 인원(100+?)이 모인 그곳에서 우리가 속한 마리에타 2구역 ‘자매님’들도 만나서 너무나 반가웠는데, 그 중에는 전 스테파노 부부, 마르쎌리나, 히야친타 자매들도 보였고, 이곳 ‘역시’ 대다수가 자매님들이었는데 아마도 이것이 ‘정상’이 아닐까 생각되었다. 피정 자체는 ‘피정의 달인’이라고 소개된 방문신부 ‘정구평 마르코’ 신부님이 담당을 했는데 우리와는 최형 댁에서 ‘개인 적’으로 만난 경험도 있고 해서 큰 거리감 없이 강론을 따를 수 있었다. 피정 주제는 ‘기도와 관상’ 이었고 아마도 아냐시오 성인의 영신수련 중 ‘제 1과’ 정도가 아닐까 추측이 되었다.  배부된 handout text를 보면 피정 강의의 주요 골자는 다음과 같았다.

 

기도와 관상 1 

  • ‘나’에 대한 근본적인 정의
  • ‘나’에 대한 조명
  • 하느님 사랑 안에서 드러나는 ‘ 나’
  • 기도란 무엇인가?
  • 기도의 방법
  • 기도의 목적

기도와 관상 2

영신수련에서 기도의 외적 형식

  • 기도와 호흡
  • 기도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호흡의 방법
  • 생각 조절하기
  • 기도 준비단계

기도와 관상 3

영신수련은 이성을 도구로 다양한 감정들을 분석하는 피정인가?

  • 기도할 때에 올라오는 다양한 감정들
  • 분심과의 싸움

기도와 관상 4

  • 성 이냐시오의 관상
  • 두 개의 깃발

기도와 관상 5

  • 영적 여정의 시작(원리와 기초)
  • 일상 안에서의 성찰
  1. 첫째 감사
  2. 둘째 조명
  3. 셋째 반성 및 성찰
  4. 넷째 결심
  5. 다섯째 마침기도

기도와 관상 6

  • 생각, 말, 행동

 

 이런 주제와 내용들에 대한 강의를 듣고 두 번에 걸친 30분 가량의 침묵기도 시간이 주어졌다. 아침 식사 때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시간이 조용했고 침묵을 유지하려는 노력들이 뚜렷했다. 그런 중에 두 번 30분 기도는 놀랍게도 그렇게 어렵지 않았다. 바로 전에 들었던 내용이 머리 속에 가득 찬 도움으로 평소에 꿈도 못 꾸었던 나의 모습도 바라볼 기회가 있었다. 문제는 그런 나의 모습과 ‘하느님’과의 관계를 어떻게 생각하느냐 하는 것이었다. 내가 못 느꼈지만 그래도 사랑을 받았던 나 였는가.. 긴 인생을 통해서 생각해 보기도 했다.

기도에 대한 것은 놀라울 정도로 실용적인 것으로 이것도 처음 보는 것이었다. 묵주기도와 기도문 기도에 전적으로 의지하던 것에 비하면 이런 것들은 아주 제한이 없는 것처럼 자유로운 것처럼 느껴졌다. 그래서 조금 불안하기도 했다. 무언가 의지할 곳이 없어진 것 같은 것이다. 비록 짧았던 하루 피정이었지만 나에게는 다른 쪽으로 눈을 뜨는 듯한 신선한 피정이었다. 아마도 ‘구면’이었던, 친근한 인상의 정구평 마르코 신부님의 피정 스타일이 그런 느낌을 받게 하는데 더 도움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자다가 깨어 생각해도 ‘신부생활, 하느님과의 시간’이 너무도 행복하다”는 신부님의 말씀도 큰 과장이 아닌 것으로 들리기도 했다. 시간이 나면 이쪽으로 더 공부를 하고 싶은 의욕도 느끼나. 글쎄..

  1. 재발 암 환자로 비신자였던 자매님, 속성과 교리공부와 영세 이후 기적적으로 암에서 치유된 case
  2. 오빠와 여동생은 오래 된 천주교 신자였다.
  3. Delta Airline의 여승무원으로 재직
  4. 1994년 큰 딸 새로니가 사경을 헤맬 때  순교자 성당 레지오 단원들이 병원까지 와서 간절한 기도를 해 주셨다.

Che sarà moment..

¶  Che sarà 케 사라~ 케 사라~ 케 사라~아~.. 이 친근한 Italian melody를 오늘 43년 만에 다시 듣게 되었다. 그야말로 Che sarà moment를 예기치 않게 맞이한 것이다. 43년 만에.. 43년 만에..

 오래 살다 보니 ‘우연’이란 것을 심심치 않게 맞이하긴 하지만 오늘의 이 케사라 moment는 그야말로 우연이 되었다. 이 Che sarà는 1971년에 이탈리아 Sanremo 음악제에서 2위를 한 곡으로 아마도 미국만 제외하고 전세계에서도 2위의 영광을 누린 곡일 듯 하다. 왜냐하면 그 이후 미국에서 이 곡을 ‘한번도’ 들을 기회가 없이 그대로 잊혀지고 말았으니까..

 

Ricchi e PoveriChe Sarà – Sanremo 1971

하지만 1971년도에 우리나라에서도 크게 알려진 이 곡은 그 melody의 특성상 잊을래야 잊을 수 없는 그런 것으로 두고두고 귓전에서 맴돌았던 것인데.. 40년이 지나가는 긴 인생의 여파로 그것도 많이 희석이 되어버렸다. 그렇다고 해서 완전히 잊은 것은 아니었다. 왜냐하면 몇 구절이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이 되니까.. 특히 amore mio.. 부분이 그러하다.

오늘 이 곡을 찾게 된 계기는 며칠 전에 연숙이 성당에서 ‘구입’한 류해욱 요셉 신부님의 신작 묵상 수필집 ‘영혼의 샘터’에 있었다. 받아 쓰기에 너무나 편한 신부님의 글이라 또 무료함을 달랠 겸 typing away를 즐기다가 ‘무엇이 되어야 할 것은 그렇게 되리니’ 라는 소제목의 글을 읽다가 1950년대의 미국 pop song  ‘Que sera sera’에서 신부님의 묵상주제가 나왔음을 알게 되었다. 케 세라 세라.. 어렸을 적 1950년대에 많이 듣던 Doris Day의 hit였고 신부님 말씀대로 모두들 ‘될 대로 되라’로 잘못 번역된 뜻으로 해석하고 살았다. 하지만 진정한 케세라 세라는 그것이 아니고.. ‘무엇인가 되어질 것은 그렇게 될 것’ 이라는 거의 묵상재료에 가까운 뜻이었다. 될 대로 되라는 식의 자포자기가 아니고 “우리 삶 안에서 때로 원하지 않았던 일이 일어나거나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닥쳤다면 그것을 자기 인생에서 하느님의 계획표 안에 들어있던 그분의 뜻임을 알고 받아들이라는 의미” 로 해석을 하자는 류 신부님의 묵상은 참으로 좋았다. 동양사상으로 아마도 ‘순리’의 지혜가 아닐까? 너무 무리하지 말고 흐르는 강물에 몸을 맡기는 것도 지혜라는 것.. 어떨 때는 그것이 그렇게도 힘들었음을 오랜 ‘힘든’ 인생의 삶에서 알고 있지만..

 

 José FelicianoChe SaràSanremo 1971

 

 문제는 신부님이 여기서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서 Doris Day의 케세라 세라와 이태리 1971년 산레모 음악제 2위의 곡인 Che sarà (What will be) 케 사라.. 를 완전히 혼동, 그야말로 짬뽕을 해 버린 것이다. 나는 류 신부님을 탓할 수 없는 것이 이분의 나이가 나보다 적어도 10살은 밑일 듯하니까.. 1971년이면 아마도 중학생 정도였을 것이고 이런 노래들은 책을 통해서나 들었을 듯하니 어찌 그렇게 정확하게 알 수가 있으랴.. 하지만 Google과 Wikipedia의 세상에서 사실적인 것은 예전보다 비교적 값싸게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하지만 이런 신부님의 혼동의 덕택으로 나는 이 추억의 명곡을 기억할 수 있었고 하루 종일 1971년경 나와 우리 가족의 모습들을 회상할 수 있었다.

 1971년을 대한민국에서 살았으면 아마도 매년 열리는 이 이태리 산레모 음악제를 기억할 것이고 참 주옥 같은 명곡들도 많았다. ‘문제’의 이 Che sarà 케 사라 는 당시 두 팀이 같은 곡을 경연하였는데 그 중에 한 팀은 vocal solo였던 ‘미국 (사실은 Puerto Rico, 미국령)’에서 외국가수 자격으로 출전했던 Jose Feliciano(호세 휄리치아노)였고1 이 같은 곡을 부른 다른 팀은 이탈리아 출신 혼성 vocal group 인 Ricchi e Poveri(Rich & Poor) ‘리키이포베리’ 였다. 당시 우리나라에서 큰 hit를 한 것은 혼성 팀 리키이포베리 팀이었고 나의 귓전에 아직도 생생한 melody도 이것이었다. 거의 같이 Jose Feliciano의 jazzy한 rendition도 큰 hit를 했지만 우리나라의 당시 정서로는 역시 열창가곡 스타일인 리키이포베리 팀이 더 사랑을 받았다. 오늘 이런 연유로 나는 1971년 당시 이 노래를 들을 당시를 회상하며 오랜만에 축 가라앉는 날씨와 더불어 그야말로 nostalgic & sentimental의 극치를 맛 보았다. 가라앉는 기분이지만 사실은 하나도 나쁘지 않았다.

 

 

José FelicianoChe Sarà – Italian TV show

 

Ricchi e PoveriChe Sarà – Italian TV show

 

¶  오늘은 또 다른 의미의  Che sarà moment도 있었다. 오늘 이른 아침 정들었던 교우 전요셉 형제가 고국으로 향하는 귀국 비행기에 부인과 함께 피곤한 몸을 실었다. 아무리 좋게 보아도 조금은 가슴 아픈 경험이라고 할까.. 이별도 그렇지만 귀국을 하는 전 형제의 뒷모습이 더욱 추운 날씨와 겹쳐서 나를 춥게 만들었다. 소위 말하는 ‘금의환향’ 까지는 아니어도 더 가벼운 마음으로 비행기를 탔으면 하는 바람을 금할 수가 없는 것이다. 작년 여름이었나.. 정말 우연히 돼지띠 동갑 교우 형제님을 알게 되었고 그가 바로 전요셉 형제였다.

이미 몇 년 전에 레지오 단원으로 우리들은 이 형제님을 위해서 열심히 기도를 한 적이 있었고 기적과도 같이 이 형제님은 전통적으로 불치의 병으로 알려진 ‘암’에서 회생을 하였다. 우리들은 물론 ‘묵주기도’의 힘을 더 믿게 된 계기도 되었다. 사실 그것이 전부였고 다른 자리에서 인사를 따로 할 기회가 없었는데 우연히 돼지띠 동갑임을 서로 알게 되고 순간적으로 우리는 ‘형제’처럼 느끼게 되었다. 긍정적인 의미로 very simple한 영혼이었고 우리는 그런 사실에 사실 모두 impress되었다. 작년 이맘때부터 시작된 레지오 연차 총친목회의 program에서 이 형제님과 다시 만나게 되었고 우리는 신나는 ‘난타’ team에서 열심히 북을 쳐 댔다. 오랜 미국 생활에서 터득한 지혜 중에는 ‘한 사람에게 너무..’ 라는 것이 나에게 있었지만 이번에는 조금은 예외적으로 느껴졌고, 정말 정말 오랜만에 고향의 친구, 형제를 만난 기분으로 그 동안 조금은 거리감이 있었던 순교자성당에 더 가까움도 느끼게 되었다.

미국 생활이 10년이 넘는다고 했지만 나이 탓인지 ‘고국 냄새’가 확연히 났지만 그 냄새들이 다 ‘좋은 쪽’의 것이어서 이 형제님을 통해서 수십 년 동안 잊고 살았던 ‘고향의 흔적과 풍습’을 배울 수도 있겠다는 나만의 희망도 갖게 되었다. 하지만 역시 나에게 돼지띠 동갑은 사치였는지.. 10여 년의 미국생활을 청산하는 결심을 한 형제님의 ‘귀국선언’은 을씨년스럽게 변하는 날씨 못지않게 우리를 쓸쓸하게 만들었다. 10여 년 동안 이 형제님은 참 열심히 노력하며 살았는데.. 결과적으로 무리가.. 순리가 아니었는지.. 하느님의 뜻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이것도 역시 ‘케 사라’ 인가.. 너무 무리하지 말고.. 흐름을 따르면.. 아직은 그럴 여유를 못 찾는다. 우선은 섭섭하고 쓸쓸한 늦 가을의 황량함만 느껴질 뿐이다. 형제님, 그 동안 돼지띠 동갑으로 즐거운 시간을 가졌지만 더 많은 시간을 나누지 못한 아쉬움 오래 오래 남을 듯 합니다. 인연이 되며 어디선가 또 만날 수 있으리라.. 믿고.. 바랍니다.

  1. 류해욱 신부님, 사실적인 것이 틀리면 고치는 것이 좋을 듯하고.. 호세 는 Hose가 아니고 Jose일 듯한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