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배성사, 삼위일체, 6.3 사태

¶  완전히 뒤죽박죽이 되어버린 계절의 시계는 예측할 수도 없이 별로 쓸모가 없어지고 하루 하루의 날씨가 그날에 맞는 기후라고 생각하는 것이 편하게 되었다. 3월 중순에 섭씨 30도의 날씨가 일주일 계속되고, 4월 말에 거의 빙점의 날씨, 찌는 듯이 덥던 5월이 이제는 가을처럼 시원한 6월로 접어 들었으니.. 기상전문가들은 할 말이 있을까? 하지만 특별한 energy를 쓰지 않는 날씨는 언제든지 환영이다. 요새 며칠 같이..

 

¶  어제는 아주 오랜만에 결혼식에 둘이서 갔었다. 한인 순교자 성당 마리에타 1구역의 문요한 형제님, 지난번 레지오 마리애 꾸리아 단장을 역임하셨고, line dance mania group을 이끌고 있는 나이에 비해 정열적인 분.. 그분의 ‘장성한’ 아들이 성당에서 ‘혼배성사‘를 한 것이다.

우리 집 두 딸이 ‘요새의 이상한 문화’에 젖어서 결혼하는 것이 cool하지 않다고 생각하는지, 사실 결혼에 대한 말조차 꺼내지 못하는 마당에 이런 결혼식은 우리에게 참 신선하고, 참석하는 것이 즐겁게 느껴진다. 그곳에서 30여 년 전 우리의 결혼과 그때 만남의 의미를 생각할 기회가 되기도 했다. 특히 가족, 가정, ‘정상적인 결혼’ 등의 정의와 의미가 심각하게 도전을 받는 요새, 그런 ‘정상적인 결혼’을 보는 것도 큰 ‘은총’이 아닐까? 

결혼식에 간 ‘부수입’으로 정말 오랜만에(1992년 이후 처음으로) 역사 깊은 본당 성가대의 솜씨를 느끼게 되었다. 나는 사실 새 성전이 지어진 후 처음으로 성전 앞쪽에 있는 성가대를 보게 된 것이다. (예전에는 성전 뒤쪽에 있었다) 그 동안 우리세대는 완전히 뒤로 물러나고 더 젊은 세대가 들어왔지만, 그래도 약간은 아직도 우리들 세대인 듯 보였고, 특히 우리 자비의 모후 레지오 형제, 자매인 우요셉, 마리아 부부의 반가운 모습도보였다.

우리가 있을 때의 성가대와 다른 것은 중에는, 거의 ‘프로’에 가까운 audio system에 둘러 쌓여 있다는 것도 있었다. 우리가 주일 미사를 한국본당으로 ‘옮기게’되면 성가대에 ‘돌아와도 좋다’는 묵약은 있고, 이런 활동은 언제나 좋은 것이라 솔깃하긴 한데, 역시 오래 습관이 된 주일미사 의 고향을 바꾸는 것은 생각보다 정말 힘들다.

 

¶  오늘은 6월 3일, 일요일이다. 천주교 전례력으로는 삼위일체 대 축일로서 신학적으로도 신비로 여겨지는 Holy Trinity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날이기도 하다. 오래 전에 삼위일체 하면 고등학교 다닐 때, 영어 참고서로 ‘삼위일체 영어(문법, 해석, 작문)’ 라는 것이 생각나기도 하지만 신학에서는, 성부,성자, 성령(예전에는 성신이라고 했다).. 사실 아직도 깊은 의미는 오리무중이다. 절대, 전능, 영원, 무한..의 절대자가 3위를 가졌다는 것은 성경에 ‘분명히’ 나온다. 성경을 믿으면 사실 그것도 믿어야 하니까 큰 문제는 없다.

사실 요새 특별히 관심을 가지고 생각하는 것은 ‘성령’이다. 하느님인 성부, 예수님인 성자.. 그리고 ‘보이지 않는’ 성령, 그래서 Holy Spirit인가.. 신부님들의 강론을 잘 들어보면 성령에게 도움을 청하라는 말씀이 많이 나온다. 그것이 무슨 뜻인가? 성령께 기도를 하란 말인가? 우리 순교자 본당 주임 하태수 신부님은, 기도할 때 성령의 도움을 받으라고 누누이 강조를 하신다. 그것도 알듯 모를 듯한 얘기지만, 전 보다는 훨씬 받아들임에 크게 문제가 없는 나를 발견한다. 성령만을 크게 강조하는 성령 세미나 같은 것도 있으니까, 그것의 중요함은 강조할 필요가 없을 듯 하다.

 

 ¶  6월 3일.. 육 삼.. 하며 생각난 것6.3 사태란 것이 있었다. 4.19 같이 날짜에서 나온 무슨 큰 사건이 일어난 날을 말한다. 나는 오랫동안 이 6.3을 기억하고 있었지만 그것이 확실히 어떤 해였는지 확실치 않았다. 1964년 아니면 1965년으로 기억은 했었다. 그날은 1960년 4.19 학생혁명 이후 가장 심각한 학생데모가 난 날이었다. 그것도 5.16 군사혁명 이후, 박정희의 ‘민간’ 정부가 출범한 이후, 처음으로 겪는 ‘비상사태’였다.

그 데모가 난 이후 계엄령이 선포되고 모든 학교가 휴교를 하게 되었는데, 나는 그 해를 1965년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1965년 내가 중앙고 3학년 여름방학 전에 학생데모로 인한 비상사태로 휴교를 했던 기억이 분명하기 때문이었다. 그런 기억으로 오랜 세월을 살다가, 이번에는 확실히 ‘정답’을 찾으려고 그 당시의 일간지로 확인을 하게 되었다. 정답은 1965년이 아닌 1964년 6월 3일이었다. 1965년에 휴교를 한 것은 1964년 때와 다른 한일조약(국교 정상화) 반대 데모의 여파였던 것이다.

6.3 데모 주동자 김중태약간은 희미해진 1964년의 기억을 거스르며, 그 당시 신문을 보면서 (대) 학생데모로 이어지는 과정들을 짐작할 수가 있었다. 이번도 역시 대학생들이 주축이 된 것이고, 그것도 4.19와는 다르게 서울 문리대 학생들이 중심에 있었다. 군사정권에서 박정희 민간정권으로 이어지면서, 서서히 쌓여가는 국민의 불만들을 대학생들이 다시 행동으로 보기기 시작한 것이다. 그 당시 나는 고교 2학년이어서 사실 그 심각성이나, 의미를 잘 실감을 못했다. 박정희 정권의 ‘경제 개발’ 그것도 일본 자본에 크게 의지하려는 것, 그것에 따른 한일회담 등이 굴욕적으로 보인 것, 일을 빨리 진행하려 중앙정보부를 섣불리 학원으로 투입하는 등, 사실 정책적인 실수가 많았던 것이다.

하지만 지금 생각하면 박정권의 의도는 의외로 간단했을 것이다. ‘경제 자립’ 이었던 것이다. 그 괴로운 과도기를 혈기왕성했던 ‘서울 문리대’ 생들이 고분고분 참을 수 있었을까? 그들이 부르짖던 것은 ‘민족적 민주주의‘ 였고, 그것이 죽었다고 성토를 했다. 고려대학이 주축이 되어서 시작 되었던 4.19때와 달리 1964년에는 서울 문리대가 완전히 중심에 있었다 . 그래서 서울 문리대의 ‘용공성’ 물의까지 생겼을 것이다.

문리대 데모 주동자중의 하나인 ‘김중태‘ 는 사실 유명한 인물이었는데, 당시에 김중태를 모르면 간첩이라고 할 정도였다. 이렇게 가열된 서울 문리대 주동의 데모가 6.3일에 서울 지역 대부분 대학으로 퍼지면 절정에 달하고, 그날 오후에 급기야, ‘비상계엄령’ 선포로 이르게 한 것이다. 하지만 일반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없었던 대학생들의 데모는 계엄령으로 끝이 나고 말았다. 비상계엄으로 치닫게 한 또 하나의 이유 중에는 대학생들의 구호가 심상치 않게 격해지고, ‘박정권 하야’ 까지 간 사실도 있었다. 민간정부 6개월 만에 당한 ‘정권위기’를 맞아, 박정희 정권은 다른 도리가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박정권은 이런 격한 대학생들의 반대에도 개의치 않고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일본의 도움을’ 받아가며, 굴욕 외교의 모욕을 참아가며 밀어 부쳤다. 그리고 이후 그것은 하나의 중요한 역사가 되었다.

 

6.3 사태로 치닫는 대학생 데모

 당시의 신문보도, 6.3 사태로 치닫는 대학생 데모, 1964년

 

4.19이후 최대의 대학생 데모, 1964년 5월 말

서울 문리대 생들의 치열한 데모, 6.3 사태 1964년

 

6.3 사태 서울지역 비상계엄 선포

박정권은 별로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5.16 이후 처음 맞는 비상계엄령, 1964년 6월 3일

 

 

아틀란타 성모의 밤

Atlanta Night of Virgin Mary
아틀란타, 성모의 밤

우리의 또 하나의 본당,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에서 지난 5월 24일 저녁에 연례 성모의 밤 행사 (May Rosary Procession and May Crowning) 가 있었고, 나도 ‘난생’ 처음으로 참석을 해 보았다. 대강 무엇인지 짐작은 했으나, 결과적으로 참 느낌이 좋았던, 기대보다 알찬 행사였다.

비록 본당의 전 신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라지만 성모님이 행사의 중심에 있어서 역시 성모 마리아를 ‘총사령관’으로 모시는 레지오 마리애가 주관을 했고, 올해는 연숙이 레지오 꾸리아의 간부인 부단장의 위치에 있어서 더더욱 적극적으로 참석을 한 셈이 되었다. 게다가 얼마 전부터 나도 꾸리아의 정회원 (지단, 쁘레시디움의 회계)이 되어서 조금은 참가한다는 사실이 그렇게 이상할 것도 없었다.

2007년부터 시작된 성모님께 전구(intercession)기도를 바치는 묵주기도로 나는 사실 ‘상전벽해’ 같은 개인적인 변화를 느꼈고, 이제는 뒤로 한발자국도 물러설 수 있는 ‘사치’가 없게 되었다. 그렇게 나는 성모님의 존재와 의미를 믿게 된 것이다. 성모신심을 ‘거의 장난 삼아’ 놀리는 인간들을 보면 하나만 알고 둘을 모르는 바보같이 느껴지고, 그들에게 해주고 싶은 이야기는 수없이 많다만, 그런 구차스러움 보다 한마디만 한다면, ‘Never Say Never’ 라는 것 뿐이다.

이런 행사들은 그렇게 ‘절차’가 복잡하지는 않지만 조그만 실수는 곧바로 ‘신심’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많기에 치밀하게 계획을 하는 것을 이번에 옆에서 보게 되었다. 성당 내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행사들, 모두 그런 과정을 거칠 것이고 그것을 위해 수 많은 ‘봉사자’들이 바쁜 시간을 쪼개어 땀을 흘리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것도 나에게는 신선한 놀라움이었고, 그들을 다시 보게도 되었다. 한마디로 하면, ‘말 많은 몇 사람들 보다 묵묵히 신앙심 하나로 거북이처럼 움직이는 일꾼 봉사자들’ 을 보게 된 것이고 나도 그렇게 묵묵히 봉사하고 싶은 마음이었다.

성모님께 ‘바치는’ 수 많은 뜨거운 촛불과 장미꽃들의 행렬, 너무나 인상적이었다. 수 많이 모여있는 촛불 옆에서 더운 날씨 속에서 땀을 뻘뻘 흘리던 한복을 곱게 입고 봉사하던 자매님들, 어쩌면 그렇게 아름답게 보였을까, 그것이 성모님을 연상시킨다면 지나친 비약이었을까. 사회를 경건하고도 활발하게 잘 이끌어 준 자매님과 Ave Maria를 ‘기가 막히게’ 잘 불러 준 자매님과 젊은 냄새가 풀풀나는 성가를 선사해준 청년 성가대원들, 끝까지 하나도 흐트러지지 않고 행사에 참여한 형제,자매님들, 모두 멋들어진 교향악단원 들이었다.

하지만, 굳이 조금 아쉬운 것이 있다면, 신부님께서 조금 더 그 특유의 ‘학구적인 접근’으로 성모의 밤을 해석해 주었으면 하는 것이었다. 그분의 성모신심을 다른 쪽으로 생각하지는 않지만, 조금 아쉬운 감은 감출 수가 없다. 또한, 본당 사무실이 조그만 신경을 더 쓴다면 이럴 때 에어컨을 ‘빵빵’ 틀어주어서 수 많은 촛불과 사제복 속에서 땀을 흘리시는 신부님과, 성장을 한 한복의 자매님들을 편안하게 해 주었으면 아쉬움도 있었다.

 

Marian Hill at Korean Martyrs Catholic Church in Atlanta아틀란타 성모신심의 결정체, 순교자 성당의 아름다운 ‘성모동산

 

 
Shubert’s Ave Maria – Andrea Bocelli 

 

40명 사제의 미사, 채준호 신부 희재 연도

¶  2012년 5월 17일, 지난 목요일, 그러니까 천주교 전통적 전례력으로 “예수 승천 대축일(Ascension of the Lord)” 인 그날 저녁에 아주 이색적인 매일미사가 이곳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에서 집전이 되었다. 아마도 평생, 40명 사제가 드리는 미사는 처음이자 마지막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 정도다.

그 사제, 신부님들은 올해 이곳 아틀란타에서 개최된 (한’민족’) 북미주 지역 사제회의에 참석한 신부님들의 일부였고 그들이 회의 일정을 모두 마치고 떠나면서 드린 일종의 ‘파견’ 미사였고, 덕분에 우리 본당이 큰 ‘은총’을 받은 셈이 된 것이다. 결코 작지 않은 우리 본당의 좁게 느껴질 정도로 꽉 차고, 열기 넘치던 한마디로 ‘장엄미사’를 경험하게 되었다. 40여명의 사제들, 갓 신품 받은 젊은 신부부터 노익장들까지.. 그들은 어떻게 저런 ‘어려운’ 소명을 받아드렸을까? 

북미주 한인사제 중 40 신부님의 미사처음에는 ‘혹시라도’ 참가 사제 수에 비해서 빈약한 신자들의 참여를 염려했는지, 주임신부 하태수 미카엘 신부님 그 동안의 비교적 ‘점잖은’ 태도에서 아주 적극적으로 각종 channel을 통해서 ‘홍보’ 활동을 하시고, 결과적으로 대 성공적인 추억의 미사가 되었다. 인천교구에서 오신 해외사목담당 주교님을 비롯해서 북미주 지역 구석구석에서 한인들의 영혼의 건강의 맡고 있는 120명이나 되는 사제들.. 참 인상적이다.

대한민국의 사제의 숫자가 아무리 많다고 해도 120명의 사제가 북미주에서 사목을 한다는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커다란 은총이 아닐 수 없다. 우리 부부가 속한 레지오는 숫제 이번 미사참가가 ‘활동’으로 배당이 되었기에 선택의 여지가 없었지만, 얼마 전에 분가한 형제 본당 (김대건 성당) 소속 레지오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는 소식에 흐뭇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

 

¶   故 채준호(마티아) 신부님희재 연도가 2012년 5월 18일, 신부님이 한때 ‘머무셨던’ 이곳 미국 아틀란타 한인 순교자 성당에서 있었다. 희재 연도라 함은, 나에게는 귀에 익지 않은 용어지만, 대한민국(한국) 전통적 불교 장례의 49재와 비슷한 것으로 ’50재’에 해당한다고 한다. 그러니까 신부님 선종일로부터 50일째가 되는 날 드리는 연도인 것이다. 3월 말에 선종을 하셨으니 아마도 그쯤 되었다고 생각이 되는데, 이것은 확실치는 않지만 ‘본당차원’으로 가지는 것으로 다른 개인연도와는 다를 것이다.

개인적으로 알 기회가 없었던 이 채 신부님은 시간이 갈 수로 더 알고 싶어지는 그런 삶의 소유자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렇게 일찍 선종하신 확실한 이유가 시원스레 알려지지 않았던 것은 조금 생각해 볼 문제가 아닐까. 죽음은 궁극적으로 ‘개인적이고, 홀로 겪은’ 엄숙한 과정 (천주교 교리에서의, “다음 세계로 가는”)이긴 하지만 이 채 신부님같이 널리 알려진 ‘공적인 삶’이라는 사실도 무시할 수 없다. 비록 희미하게나마 ‘아주 어려운 case의 암 투병‘ 이었다고 듣기는 했지만 누구도 확실하게 장담을 못하는 실정이다.

그렇게 어려운 투병은 일반 평신도들은 원하면 누구나 널리 ‘기도의 요청’을 하며 같이 견디는데, 어찌해서 그런 지도자의 위치에서 그런 ‘공적인 도움’을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지 않는 것일까? 이것이야말로 속단은 금물이고, 결국은 신부님이나 그의 가족만의 privacy에 속하는 것이라고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고통도 나누며 견디면 그만큼 덜하다고 하던데..

‘매듭 푸시는 성모님’의 기도

Painting 'Mary, Undoer of Knots' since 1700
1700년경 독일에서 그려진 매듭의 성모님 상

지난 2012년 2월 사순절(Lent)부터 우리부부는 ‘시험적인 기분’ 으로 집에서 차로 15분 거리에 있는 우리가 15년간 소속되어 있던 미국본당 Holy Family Catholic Church매일 미사를 다니기 시작했다. 우선 목표는 사순절 시기에만 빠짐없이 매일 미사를 보는 것이었다.

이런 ‘어려운 목표’를 이루려면 사실 미사참석 그 자체보다는 그것을 뒷받침할 수 있게 life style을 바꾸어야 가능하다. 예를 들면 어떤 날 저녁 ‘술좌석’에 끼어서 밤 늦게라도 들어오는 것이 있다. 술에 덜 깬 기분으로 다음 날 아침 9시에 맞추어 미사에 가는 것은 사실 힘들다. 이런 것 등을 조금 ‘정신적으로 무장’을 하면 이것이 ‘듣기보다, 보기보다’ 훨씬 쉬워짐을 이번에 크게 깨닫게 되었다.

성당으로 가는 15분의 drive는 사실, 무슨 별장에 가는 것 같은 멋진 풍경들과, 골프장, 산장과 같이 생긴 예쁜 동네들을 거치게 되어서 30분여의 짧은 미사와 더불어 하루를 시작하는 것으로 아주 근사한 일과로 느껴지기 시작했고, 그야말로 하늘이 도와서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지금 같아서는 아마도 ‘무한정’ 계속되지 않을까 서로 기대를 할 정도까지 되었다.

매일 미사에 관한 우리의 ‘통속적인 인상과 기대’ 중에는 틀린 것이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우선 성전이 텅텅 빌 정도로 극소수의 신자들이 올 것이라 생각했는데, 그것은 우리의 기우였다. 비록 넓은 성전이 듬성듬성 채워지긴 했지만, 거의 다 채워지는 꽤 많은 숫자였다.

다음은 신자들의 연령대..인데, 역시 ‘할일 없는 고령자’들일 것이라 추측했지만, 이것도 틀렸다. 꽤 적지 않은 젊은이를 포함해서 직장인들, 우리 같은 중년들도 꽤 있었다는 사실이 우리를 놀라게 했다. 물론 그보다 더 나이든 Irish 파란 눈의 ‘아줌마, 할머니’들은 빼놓을 수 없다.

매듭 푸시는 성모님의 9일 기도 소책자
매듭 푸시는 성모님의 9일 기도 소책자

이곳, 매일 미사에서 보는 신자들이 주일미사와 근본적으로 다른 느낌은 역시, ‘주일미사, 성탄절 미사 신자’들과는 그 신앙심에서 차이가 난다고 할까.. 이것은 따로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매일 미사에 나온다는 그 자체가 차원이 다른 신앙심일 테니까. 그 중에 한 그룹의 신자들은 미사시작 20~30분 전쯤에 일찍 나와서 같이 묵주기도를 바치는데, 우리는 항상 그것이 시작된 조금 뒤에 도착을 해 그들과 같이 앉곤 해서 아주 친숙하게 되었다.

물론 그들은 영어로 묵주기도를 하므로 우리는 사실 듣기만 하지만 계속 듣게 되면서 이제는 거의 저절로 외우게 될 지경이 되었다. 묵주기도는 반복적으로는 길게 느껴지지만 사실은 비교적 짧은 기도가 반복되기에 금새 외울 수가 있다. 한마디로 ‘시간문제’인 것이고, 그것이 묵주기도의 매력일지도 모른다.

어느 날, 그들 중에 한 멋지고, 예쁘게 생긴 ‘아줌마’가 우리보고 ‘독실하게’ 보인다고 과분한 칭찬을 하더니, 조그만 책자를 주며 너무나 좋은 기도이므로 해보기를 권한다고 친절하게 말했다. 그것은 제목이 ‘Mary, Undoer of Knots’ 라는 소책자였다. 아마도 ‘매듭을 푸시는 성모님’ 이란 뜻일까? 이것도 역시 ‘성모신심 (Marian Devotion)’ 을 위한 또 다른 기도일 것이라 짐작이 되었는데, 책자는 이 기도의 역사적 배경을 자세히 설명하고 비교적 간단한 매듭 푸시는 성모님께 바치는 기도와, 이 기도로 하는 9일기도를 설명을 하고 있다.

한 마디로 ‘매듭처럼 얽힌 인생의 고통과 고민거리’ 를 성모님께 호소하며 도움을 청하는 ‘직설적’인 청원기도인 것이다. 그 기도의 원문은 아래와 같은데, 이것이 한글로 옮겨진 것을 찾으려 goolging을 했지만 쉽게 찾을 수가 없었다. 이것이 다른 언어로 옮겨지면 아마도 해당 지역 교구의 인가(NIHIL OBSTAT, IMPRIMATUR)를 얻어야 할 것이다.

 

Prayer to
Mary the Undoer of Knots!

 

Virgin Mary, Mother of fair love, Mother who never refuses to come to the aid of a child in need, Mother whose hands never cease to serve your beloved children because they are moved by the divine love and immense mercy that exists in your heart, cast your compassionate eyes upon me and see the snarl of knots that exist in my life.

 You know very well how desperate I am, my pain and how I am bound by these knots.

 Mary, Mother to whom God entrusted the undoing of the knots in the lives of his children, I entrust into your hands the ribbon of my life.

 No one, not even the Evil One himself, can take it away from your precious care. In your hands there is no knot that cannot be undone.

 Powerful Mother, by your grace and intercessory power with Your Son and My Liberator, Jesus, take into your hands today this knot… I beg you to undo it for the glory of God, once for all. You are my hope.

 O my Lady, you are the only consolation God gives me, the fortification of my feeble strength, the enrichment of my destitution and with Christ the freedom from my chain.

 Hear my plea.

 Keep me, guide me, protect me, o safe refuse!

 Mary, Undoer of Knots, pray for me.

 

 

이 기도문을 한글로 옮긴다면 어떤 모양일까? 아마도 서강대 예수회 류해욱 신부님이 옮기면 금상첨화일 것이라 생각되지만, 그것이 가능할지, 아니면 이미 옮겨져서 기도문으로 쓰이고 있는지도 모를지도. 의미는 모두 금방 들어오지만 정확한 ‘한국어 어휘’를 구사할 자신은 없다.

내가 구사할 수 있는 한글어휘 실력은 1970년대 초에 머물고 있고, 그 이후의 ‘생기 넘치는’ 21세기 말투들도 자신이 없다. 그만큼 초보적인 한글실력으로 어찌 이런 초월된 의미의 기도문을 옮길 수 있을까? 하지만, 하지만, 초보적 수준으로 기도문의 ‘의미’는 전할 수 있을지도.. 다음과 같이.. (더 낫게 옮길 수 있는 분은 고치셔서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매듭 푸시는 성모님께 드리는 기도

 

동정녀 마리아, 지극히 크신 사랑의 어머니, 도움을 청하는 자녀들을 항상 도우시는 어머니, 당신 가슴의 성스러운 사랑과 바다같이 넓으신 자비로 언제나 자녀를 끊임없이 보호하시는 어머니, 인자로운 눈으로 저희를 굽어보시고, 저의 인생에 얽혀있는 고통의 매듭을 풀어주소서.

당신은 제가 얼마나 이 얽혀있는 인생의 매듭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지 아십니다.

마리아, 하느님께서 당신 자녀들의 고통의 매듭을 풀어 주시도록 의탁하신 어머니의 손에 저의 인생을 의탁합니다.

아무도, 악마까지도 당신의 보호 하심을 빼앗지 못합니다. 당신 손으로 풀지 못할 매듭은 하나도 없습니다.

강한 어머니, 우리들을 구원하시는 당신의 아들 예수님의 전구자시여, 오늘 이 매듭을 주님의 영광을 위하여 당신 손으로 풀어주소서. 당신은 저의 희망이옵니다.

저의 성모님, 당신은 주님께서 주신 유일한 위안이고, 허약한 저를 강하게 하시고, 가난한 저를 풍요롭게 하시고, 예수님과 함께 저의 사슬을 풀어 주시는 분입니다.

저의 간청을 들어주소서.

계속 저를 인도해 주시고, 안전한 피난처에서 보호해 주시옵소서!

매듭을 푸시는 성모님이시여, 저를 위해 빌어주소서!

 

 

이 기도의 역사적 배경, 신학적인 정당성, 9일 기도의 형식과 내용 등은 다음에 계속 research를 해서(그런 자료가 있다면) 그것을 blogging 할 예정인데, 그것을 기다리느니 우선 급한 것, 매일 매일 우리를 ‘죽이도록 괴롭히는’ 매듭을 풀어달라고 어머님께 간청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듯 하다.

 

레지오 斷想

이제 레지오 활동 단원 선서를 한지도 일년이 훨씬 넘게 되었다. 일요일 미사에 가는 것이 가톨릭 신자 삶의 전부인 줄로 크게 착각하며 산지도 거의 30년이 지난 후 어떻게 이렇게 내가 레지오 마리애란 본당소속 평신도 단체에 들어오게 되었는지 생각하면 할 수록 신앙이란 것이 오묘하다는 생각이 든다. 우연이라고 생각한 적도 있지만, 사실 그것은 천만의 말씀 임도 깨닫게 되었다.

누군가, 어떤 무엇이 나를 위해 기도를 한 것이 큰 역할을 했다는 ‘상투적인 말’이 이제는 많이 이해가 가고 믿게 되었다. 그러니까 쉽게 말하면 한마디로 ‘기도의 힘’을 믿게 된 것이다. 그것을 깨닫기 시작하면서 이제는 많은 전에 못 보며 살았던 것들이 눈에 보이고, 들리고, 이해가 되기 시작한 것이다.

얼마 전에 레지오 마리애 특유의 ‘군대 같은 조직의 힘‘을 발휘해서 쓸쓸할 수밖에 없을, 가족 친지가 그렇게 많지 않은 어떤 교우 가정의 연도와 장례식에 참석을 해서 마지막 가시는 길을 같이했다. 이런 것이 레지오 활동의 대표적인 예인데, 이것 이외에 상당히 많은 종류의 레지오 활동들이 있지만 나는 개인적으로 이렇게 가족들과 고통의 슬픈 이별을 하는 과정을 함께 같이하는 것에서 제일 보람을 느낀다.

그래서 레지오의 ‘왕’ 초보과정을 거치면서 한가지 결심한 것 중에는, ‘쓸쓸한 연도와 장례’일 수록 ‘우선적’으로 참여한다는 것도 있었다. 어떤 의미로 이것은 내가 개인적으로 겪은 수치스럽고, 후회스럽기만 한 쓰라린 경험에서 나온 것이다. 내가 나의 가족에게 못다한 것을 이것으로 조금이라도 보상받으려는 얄팍한 심리일지도 모르지만, 그것이 무슨 상관이랴?

이렇게 쓸쓸하게 보이는 영혼을 조금 더 따뜻하게 보내드리는 것 이외에 신앙의 신비를 체험 못하고 살았던 사람들을 교회로 인도하는 것도 레지오 마리애 으뜸의 사명으로 꼽힌다. 나는 사실 ‘왕 초보’ 급이어서 그것까지는 사실 꿈도 못 꾸는 단계지만 연숙은 그런대로 경험이 쌓인 단원이라서 옆에서 보는 것만으로도 실습적인 공부가 된다.

이것이 바로 레지오가 말하는 ‘도제제도(apprenticeship)’ 라는 것인데, 이론적인 것보다는 그저 선배를 보며 자연스럽게 배우는 것이다. 예술가나 장인匠人들이 선배들의 기술을 옆에서 배우는 과정과 비슷할 것이다. 얼마 전에 그런 완전한 한 과정을 보게 되었는데, 연숙이 어떤 영혼과 육체가 모두 지친 자매님을 교회로 이끌어 세례까지 받게 한 것이다. 몇 개월에 걸친 꾸준한 노력의 결실을 맺는 것을 보면서 나는 큰 감명을 받았다.

마냥 편하고, 행복하게 인생을사는 것이 그리 쉬운 것이 아님을 매일 느끼며 살지만, 이런 활동을 통해 보면 우리보다 훨씬 덜 행복하고, 덜 편한 삶과 인생도 안 보이는 곳에 많다는 것을 보며 놀란다. 이번에 새로 ‘부활절 이후 특별 영세’ 를 받은 자매님도 그런 인생을 살았었을 듯 한데, 그날 본 인상은 정말 완전히 새로 태어난 듯한 행복한 얼굴이었다. 이것이 바로 레지오 활동과 보람의 ‘정수(精髓, essence)’가 아닐까.. 거듭 생각하고 생각하며, 나도.. 어떨까.. 이런 일을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에 머물면 망설여진다.

바로 내가 이런 초보, 겁 많은 단계에 있는 것이다. 레지오 교본을 거듭 읽으면, 이런 것들은 역시 ‘인간 의지’만으로는 부족함을 알 수 있고, 성모적 신심과 조직의 힘을 절묘하게 ‘이용’해야 가능함을 알게 된다. 나는 아직도 멀었다는 생각도 들지만, 첫 술부터 배부르랴.. 모든 것에는 다 초보단계를 거치며 실수와 방황을 하게 마련이니까, 조급할 것은 없지만, 그래도, 시간이 그렇게 생각보다 많지 않으니..

4월 단상

¶  4월은 미국태생 영국 거장 시인 T.S. Eliot 에 따르면 ‘잔인한 달, April is the cruelest month‘, 그리고 대한민국의 작곡가 박순애 교수의 가곡 classic ‘사월의 노래‘를 생각하게 하는 그런 달이다. 사월의 노래를 생각하면 특별히 1963년 4월이 생각난다. 그때에 나는 서울 중앙고교 1년 재학 중이었고, 사월의 노래는 담임 선생님 김대붕 음악 선생님께서 가르쳐주신 노래였다. 작곡자가 이화여대 음대 김순애 교수라는 것을 강조하셨는데, 그 당시 그 이유는 몰랐지만, 혹시 김선생님과 무슨 특별한 관계가 있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그 후에 들곤 했다.

1963년이면 그 전 해에 일어난 5.16 군사혁명으로 모든 것들이 ‘재건’의 구호 하에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던 때였고, 사실 ‘느끼기에’ 비록 경제적으로 가난은 했어도 앞날이 희망적인 시절이어서 그 해 4월의 유난히 더 청명하던 계절과 함께 기억하고 싶은 때였다. 이곳 아틀란타 지역은 3월에 거의 ‘여름’같은 맛을 일주일 이상 보여 주더니 4월로 접어 들면서 완전히 2월 달 같이 거의 겨울 같은 날씨로 돌아섰다. 며칠 전에는 거의 섭씨 5도까지 떨어질 정도였다. 어떤 사람들은 이것도 new normal의 하나라고 푸념을 하던데.. 확실히 무언가 변한 것 같다.

 

 

4월의 노래
김소월 시, 김순애 곡

 

¶  올해의 부활절에 이르는 기간은 정말 우리 부부에게 기억에 남을 만한 각가지 기록을 깨면서 보낸 정말 ‘은총’을 받은 듯한 기분으로 보냈다. 비록 나는 판공성사를 거르는 심각한 잘못을 하긴 했어도 다른 것들로 많이 보완을 했다고 믿는다. 그 중에서 지금은 거의 습관이 된, 매일미사 참례가 그 중에 가장 큰 보람이 되었다. 사순절이 시작되면서 화요일을 제외한 나머지 매일 우리의 미국본당 Holy Family Catholic Church에서 아침 9시의 미사를 본 것이다.

이것은 사실 연숙이 이번에 시도한 ‘33일 봉헌‘이라는 사순절 행사에 ‘도전’을 하면서 내가 옆에서 도와주는 것으로 시작이 되었다. 33일 봉헌이라는 것에는 매일 미사 참례를 ‘적극적’으로 권하기 때문이었다. 연숙은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것이 참 어려운 사람이라서 나의 도움이 필요했다. 그래서 나도 같이 갔는데.. 이것도 Never say Never 의 한 예가 아닐까 할 정도로 내가 미리 생각했던 것과 결과적 느낌이 아주 달랐다. 하루를 이 미사로 시작한 것이 너무나 하루를 보내는데 도움이 되는 듯 싶었다. 더 시간을 효율적으로 쓰게 되었고, 하루 한번 꼭 밖으로 나와서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 자체가 나에게 보이지 않는 힘을 주었던 것이다.

나는 ‘절대로’ 며칠 못 견딜 것이라 ‘단정’을 했지만, 결과적으로 그것은 내 자신에 대한 지나친 과소평가였다. 이래서 매일 미사에 나오는 사람들이 그렇게 있구나 하는 생각 뿐이었다. 이것이 올해 사순절, 부활주일에서 가장 보람된 일이었고, 성3일도 빠지지 않아서 판공성사만 빼고는 거의 완벽한 성주간을 보낸 셈이 되었다. 이것이 우리 부부나 가정에 어떠한 영향이나 도움을 줄지는 ‘수학적’으로 계산을 할 수는 없지만, 이제는 신앙이란 것, 믿는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그야말로 ‘어렴풋이’ 느끼게 되었다.

 

¶  아틀란타 혼또니 입빠이 제 2탄   믿을 수 없다. 정말 정말.. 혼또니 혼또니.. 이것이 바로 요새 유행어로 New Normal인가, New Frontier인가? 이곳 아틀란타의 ‘악명’을 하나 더 높일 사건에 우리들은 놀라기만 했다. 또 다른 한인 일가족 ‘총기 살인, 자살’ 사건이 터진 것이고, 이번에도 역시 우리가 아는 사람이 관련이 되어서 벌어진 입이 다물어지지 못했다.

이 사건들의 공통분모는 역시 ‘총’이란 것에 있다. 만약에 이것이 없었으면, 누가 알까.. 일본 같았으면 ‘칼’을 썼을 것이고, 오랜 전 같았으면 아마도 대판 주먹질을 하며 싸울 정도가 아니었을까?  이것도 New Normal 중의 하나로, 완전히 서부개척시대를 연상시킬 정도가 되었다. 불륜에서 비롯된 이런 사건은 사실 흔한 것이지만 이렇게 분에 못 이겨 그것도 여자가 총으로 분을 풀고 자살하는 case는 사실 그렇게 흔한 것이 아닌데.. 그것도 한인들이었고, 불륜의 주인공이 한때 우리가 잠시 알았던 50대 초반의 ‘아줌마’였으니.. 놀라지 않겠는가?

일명 ‘나래 엄마’.. 그 나래라는 여자 아이는 1990년대 초에 연숙의 한국학교 유치반에 있었고, 그 ‘나래 엄마’는 나도 그 당시 그곳에서 가르치고 있어서 알고 있던 한 젊은 엄마였다. 그 엄마가 어떤 인생을 살아왔기에 한 가정의 가장과 불륜을 저지르고 그런 사건의 빌미를 제공했을까? 역시, 올바른 인생은 못 살았을 것이다. 나래 엄마와 ‘공공연히 자기 앞에서’ 바람을 피운 남편이 얼마나 증오스러웠으면 그 가해자인 아내는 남편과 나래엄마를 총으로 쏘고 자기도 쏘았을까?

결과적으로 그 부부는 사망을 했지만, 나래 엄마라는 여자는 죽지는 않았다. 그 여자는 어떻게 어떻게 세상을 바라보며 살아갈지.. 상상이 가지를 않는다. 참 무서운 세상이여..  총이 사람을 죽이는 것이 아니고 그것을 쓰는 사람이 죽이는 것이라는 기가 막힌 궤변이 잘 통하는 이곳 .. 실증이 나기 시작한다.

채준호 마티아 신부님 연도

오늘은 레지오 화요일, 우리부부가 속한 레지오 쁘레시디움 (Presidium1 ‘자비의 모후’가 모이는 날이었다. 지난 몇 주간 유럽 성지순례를 다녀오신 고레따 자매님이 돌아 오셔서 조그만 성물 기념품까지 나누어 주셔서 반가웠지만, 거의 ‘영웅적으로’ 암 투병을 하시고 있는 쁘레시디움 회계 J 자매님은 회합이 거의 끝날 무렵에 얼굴을 비치셨다. 회합이 끝나면 곧 12시 정오 미사가 있는데, 오늘은 본당 신부 하태수 미카엘 신부께서 강론 대신에 4월 1일 채준호 신부님의 급작스런 선종에 대해서 개인적인 일화를 하나 하시고 사회자로 하여금 마티아 신부의 글 ‘나 왔수‘ 를 낭독하게 하셨다. 미사 후에 곧 이어서 채 신부님의 연도가 이어졌다.

나는 채준호 마티아 신부님을 본 적도 없고, 강론을 들은 적도 없다. 다만 본당의 website에서 신부님의 강론 비디오가 사진과 함께 실려 있다는 사실만 알고 있었다. 하지만 마티아 신부님에 대해서는 들은 바가 많았다. 우선 우리의 한국 본당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에 2000년대 말에, 몇 년간 거주신부로 계신 것을 알고 있고2, 본당 신심단체 중의 하나인 CLC을 적극적으로 활성화 시키신 분으로 알려져 있었다. 또한 얼마 전에 레지오 꾸리아에서 빌려온 다른 예수회 소속 송봉모 신부님의 저서 <미움이 그친 바로 그 순간> 읽으면서 채 신부님의 글이 많이 인용된 것도 보았기에 그가 심리학적 상담의 대가인 것도 알게 되었다.

‘채준호 Googling‘ 도 이번에는 큰 수확이 없었지만, 그래도 그가 미국 Loyola University 심리학 박사라는 것도 알았고, 한국의 ‘초대’ 예수회 관구 장을 역임했다는 ‘빛나는’ 이력도 알게 되었다. 그러다가 갑자기 4월 1일 선종했다는 조금은 ‘의아스러운’ 비보를 듣게 된 것이다. 의아스럽다는 표현은, 글자 그대로다. 50대 중반이긴 하지만, 요새의 50대가 어디 옛날과 같을까.. 거의 ‘청년’일 수도 있는 몸과 마음을 가질 수 있는 나이가 아닐까. 확실하게 어떤 ‘병’으로 선종하셨는지는 모르지만 ‘사고’는 아닌 듯 싶다. 한마디로 정말 ‘아까운’ 일이다. 천주교회, 수 많은 기대를 어깨에 짊어졌을 만한 ‘인물’이었을 텐데..

본당 신부님은 예수회 입회 당시 만난 채 신부님을 조금은 ‘덜 심각한’ tone으로 들려 주셨는데, 경상도 출신으로 겪는 ‘쌀’과 ‘살’ 발음에 얽힌 유머러스한 일화였다. 솔직히 그런 것보다는 조금 더 ‘높은 차원’의 일화나 추억을 기대했는데.. 하지만 그 신부님의 기억이 그것이 전부였는지도 모를 일이다. 이 신부님들은 전부가 ‘서강대 사단‘의 일원이라서 이곳의 ‘서강대 친지’들에게서 다른, 더 들을만한 일화를 기대하지만.. 글쎄.. 과연 있을는지. 연옥을 지나쳐서 천국으로 직행 하셨을 신부님의 명복과 그의 가족, 친지들의 마음의 평화를 빌면서..

  1. 레지오 마리애에서 가장 작은 단위의 조직, 군대 조직의 소대에 해당함.
  2.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은 1990년 중반부터 전적으로 한국 예수회에서 파견 신부를 받아들이고 있다.

Palm Sunday, 2012

Palm Sunday of the Passion of the Lord, 2012. 오늘은 천주교 전례력으로 이런 기다란 이름으로 불리는 날이다. 고국에서는 아마도 ‘주님 수난 성지 주일‘이라고 하던가? 간단히 말하면 부활절 바로 전 일요일인 셈이다. 신약 성경에서 비롯된 이날의 모습은, 열두 제자와 함께 ‘조랑말’을 타고 예루살렘 성으로 들어오실 때, 군중들이 palm tree (종려나무?)가지를 흔드는 모습이 그려진다. 그리고 수난(passion)의 ‘성 금요일’을 향한 일주일이 시작되는 것이다. 아마도 기독교 자체가 이 한 주일에 집약이 되었다고 생각하면 간단하다.

올해의 사순절(Lent) 기간 매일 미사를 빠짐 없이 찾았기에, 우리 미국본당에 오는 것이 그렇게 편하게 느껴질 수가 없어서 올해의 부활절은 그런대로 잘 맞을 준비가 된 듯한데, 한 가지 중요한 것을 빼먹고 있다. 바로 ‘고백성사’ 다. 어떨 때는 비교적 쉽게 할 수 있었고, 이번처럼 거의 전신이 마비된 듯 느끼며 피할 때도 있다. 나는 왜 이 고백성사라는 것이 그렇게 힘든 것일까? 누구는 안 그렇겠는가.. 하지만 어떤 사람은 수시로 거의 습관된 듯 자주 하는 사람들도 있다던데.. 대부분 무슨 큰 죄를 지었겠는가?

하지만 그런 죄가 아니고 마음 속의 ‘안 보이는’ 죄를 모조리 기억하고 고백을 해야 함은 생각보다 어렵다. 준비를 철저히 해야만 그런대로 ‘만족’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나의 고민은 그것이 아니고, 다른 것이다. 내가 고백해야 할 것의 주제가 바로 나의 고백을 들어주시는 신부님이라는 사실.. 쉽게 말하면 내가 신부님께 ‘불만’이 있다는 ‘죄’를 고백해야 하는 것이다. 이것이 아직도 나를 붙잡고 있다. 어떻게 그런 사실을 그에게 고백을 해야 하는가? 이것의 해답은 사실 다른 신부님께 하면 되는데 불행히 그런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어찌할 것인가? 그대로 부활절을 맞아야 하는가.. 그러기에는 찜찜하기만 하다.

 

Palm Sunday, 2012

Palm Sunday, 2012 Holy Family CC

 

3월의 마지막 날에

¶  어느덧 삼월의 마지막 날이 되었다. 시간과 세월은 흐르는 것, 어찌 이날이 오지 않으리.. 시적인 감상에 젖는다. 3월이란 통상적인 기억과 조금 다른 ‘너무나 빨리 온 봄’ 같은 날씨의 연속이었다. 하지만 나이가 듦으로써 분명히 달라지는 것 중의 하나, 매섭게 추운 것 보다는 은근하게 포근한 날씨가 점점 좋아진다는 사실 때문인지, 그렇게 거부감을 느끼지는 않는다.

다만 적당히 포근하기만 하면, 그러니까 창문을 열어 놓을 정도면 된다. 갑자기 따뜻해진 날씨에 꽃나무들이 놀라서 지독하게 꽃가루를 내 뿜는 바람에 한때 비상이었지만, 그런대로 알맞게 촉촉한 봄비로 그것들을 진정해 주곤 했던 3월이었다.

별로 크게, 보이게 한 일은 없다지만, 그래도 예년과 분명히 달랐던 것은 사순절 동안 거의 매일같이 ‘매일 미사’에 연숙과 둘이서 갔었다는 사실.. 나도 믿기지는 않지만 그것이 사실이다. 아침 9시의 Holy Family Catholic Church, 우리의 미국본당 매일 미사를 꼬박 (레지오 화요일을 빼고) 갔다는 사실은 생각할 수록, 흥미롭기까지 하다.

우리 본당이 비록 가까운 위치에 있다지만, 그래도 매일 8시 반에 차를 타고 외출을 한다는 사실이 우리에게는 사실 조그만 기적에 가까운 것이기 때문이다. 더욱 놀라운 것은 그런 것들이 ‘생각보다 훨씬 수월했다는’ 사실이었다. 이런 것도 ‘never say never‘ 중의 하나일 것이다.

그 시간의 regular들은 거의 미국 (분명히 Irish처럼 보이는) 파란 눈의 아줌마, 할머니들이 대부분이지만 우리 같은 부부들도 있고, 가끔 ‘젊은 축’도 보인다. 조금 일찍 도착하면 그들 중의 한 그룹은 열심히 소리 높이 묵주기도를 하는데, 물론 영어이기 때문이 우리가 따라 하지는 않지만 다 이해를 하며 듣는다.

그들이 레지오 단원인지는 확실치 않지만, 대부분 ‘열성 신자’들임에는 틀림이 없고, 아마도 우리 본당의 요소에서 중책을 맡고 있는 사람들일 듯 싶다. 그곳에서 의외로 우리의 다른 본당인 아틀란타순교자성당 우리구역(마리에타 2구역)의 구역장 wife가 빠지지 않고 나와서 보곤 하는데, 글쎄.. 조금은 의외로운 느낌을 떨칠 수가 없다1.

이렇게 아침마다 매일 미사를 가는 것은 과연 우리에게 어떤 뜻이 있을까.. 생각을 해 본다. 우선 매일 영성체(성체를 모심) 하는 것, ‘살아있는, 잘 모르는 사람들을’ 매일 아침 만난다는 것.. 우리 부부가 ‘매일 아침’ 같이 외출을 한다는 것.. 사실은 모두 좋은 것들이다. 그렇다면 아침에 조금 ‘노력’을 하면 매일 못할 것도 없다는 생각도 든다. (사순절 뿐이 아니고) 참 세상은 의외로움의 연속이고 놀라운 것, 찾으려면 이렇게 얼마든지 있다는 사실을 2012년 3월을 보내며 새삼스레 느낀다.

 

¶  오늘 New York Times2의 한 기사, 어떤 ‘잘 알려진’ 사람의 자살에 관한 것이 있었다. 제목이 Love Story여서, 자살과 love와의 관계가 궁금해서 읽었다. 얼마 전에 New York Times의 columnist David Brooks3 가 그의 column에서 ‘치매(망각증)의 사회적 파장’ 에 대해서 독자들의 의견을 구했고, 많은 응답이 왔는데, 그 중에 오늘 ‘자살한 유명인사’의 ‘꽤 긴 글’ 도 있었다.

그는 그의 글에서 ‘꽤 길게 그의 자랑스런 집안 내력’ 을 언급하고, 현재 그의 사랑하는 wife의 오랜 치매 간병에 대해서 쓴 것이었다. 그의 글이 조금 길어서 다 읽지는 못했지만 그 오랜 기간의 간병에 대해 자신이 있음을 나타냈다고 했다. 그가 갑자기 총으로 자살을 한 것이고 그의 ‘불쌍한 치매환자’인 wife도 죽었다고 했는데, 동반 자살인지는 100% 확실치 않지만 아마도 그런 case가 아닐까.

이 기사는 많은 사람들의 심금을 울렸지만, 의견은 모두 달랐다. 자살한 것이 ‘너무 쉬운’ 것이 아니냐.. 하는 것이다. 이런 혼동이 어디에서 오느냐 하는 것은 나의 신앙 가톨릭 교리를 보면 간단히 알 수 있다. 사람의 생명이 과연 ‘누구의 것이냐’ 하는 문제에 해답이 있는 것이다. 교리는 분명히 나의 생명은 ‘나의 것이 아니다’ 라는 것이다.

실제적으로 그렇게 안 느껴도 할 수가 없다. 나의 생명도 ‘거저 받았기에’ 내가 어쩔 수 없다는 것이다. 왜 자살을 했고, 사랑하는 wife까지 죽였어야 했는지 그 고통과 번민을 누가 모르겠는가? 하지만 자살이 정답은 아닌 듯 싶다. 아니 정답이 아니다. 그런 처지의 모든 사람들이 다 그런 식으로 답을 찾지는 않는다는 것이 또한 사실이니까.

 

¶  집 부근을 산책하며 꽃들이 피고 지는 것을 유심히 본다. 이것도 나이가 들었다는 증거일 것이다. 전혀 모르던 꽃나무들을 열심히 구박을 받아가며 연숙에게 물어 외우곤 하지만 금새 잊는다. 그러기를 몇 해, 이제는 조금은 알게 되었다. 고등학교 다닐 당시 한때 ‘화훼학‘에 몰두했던 적도 있었지만, 그것이 전부였다. 본격적인 삶의 굴레 속에서 꽃과 나무들은 완전히 잊고 살았다.

내가 사는 이곳의 꽃 나무들이 고국과 비슷한 점이 많이 있고, 지형도 서울부근의 구릉지대 (piedmont)를 연상케 하는 점도 많이 있다. 땅과 흙의 색깔도 역시 비슷하다고 할까.. 봄을 알리는 첫 신호는 역시 이곳에 많은 ‘값싼’ Bradford Pear 꽃나무일 것이다. 이곳에 와서 제일 많이 본 꽃나무가 바로 이것이고 제일 먼저, 아마도 3월 초에서 중순까지, 만발을 한다. 이것이 지면 곧바로 전설적인 Dogwood tree가 피기 시작한다. 이 Dogwood의 꽃 중에 많은 것이 십자가 형상을 하고 있어서 부활절을 연상케 하는 전설이 많이 있다.

특히 이 나무는 이곳 Southeastern 지역의 특산물일 정도로 많이 있고, 이곳 아틀란타에는 4월에 숫제 Dogwood Festival이 있을 정도다. 그러니까 Washington DC지역의 Cherry Blossom(벗 꽃) 에 맞먹는 정도로 유명한 것이다. 3월이 지나가는 이즈음에 이런 꽃나무와 더불어 진달래, 개나리, 수선화, 목련.. 정말 찬란한 색들이 온통 이곳을 덮는데, 한가지 문제는.. 역시 하늘에 가득한 꽃가루 ‘공해’ 인데, 이것도 알맞은 비가 내림으로서 적당히 조절이 되는 것을 보면 참 자연의 ‘순리’를 느낄 수 있다.

 

Saybrook Spring 2012

아틀란타의 봄 2012, white dogwood, pink azalea

 

  1. 우리 미국 본당을 떠난 지 오래되었기 때문이다
  2. 오늘까지는 한 달에 20개의 기사가 무료였고, 내일 부터는 5개의 기사만 무료.. 흠.. 이것도 이제부터는 돈을 주고 보아야 하나?
  3. 그는 비교적 신사적인 moderate conservative에 속한다.

Lenten fast & feast

어제 배달된 우리의 정든 미국본당(parish)  Holy Family CC (Catholic Church)의 newsletter에 작자 미상의 ‘사순절에 실천할만한 14가지 황금률‘ 이 실려 있었다.  이런 종류의 ‘사순절 목표’는 얼마든지 있다. 하지만 이것은 특별하게 Fast(단식,금기)와 Feast(축일)에 절묘하게도 비교를 시켜놓아서 사실 별 큰 관상(contemplation)이나 깊은 생각 없이 음미를 할 수 있어서 좋았다.

이것을 읽으면서 ‘인간의 나약함’을 순간적으로 느끼게 된다. 암만 각오하고 실천을 하려 해도 하루는 고사하고 몇 시간도 못 넘기고 실패함을 느끼니까.. 그러니까, ‘죽을 때까지’ 노력을 하는 수 밖에 없다.

 

원문을 table-format 으로 요약을 하면:

 

Fast from

Feast on

1

Judging other

Christ living in them

2

Harsh words

Words that build up others

3

Discontent

Gratitude

4

Anger

Patience

5

Pessimism

Optimism

6

Worry

God’s care

7

Complaining

Appreciation

8

Bitterness

Forgiveness

9

Self-concern

Compassion for others

10

Discouragement

Hope

11

Facts that depress

Facts that uplift

12

Suspicion

Truth

13

Thoughts that weaken

Promises that inspire

14

Idle gossip

Silence with a purpose

 

‘억지로’ 번역을 하자치면,

1

남을 심판하기 보다는 그의 마음에도 그리스도가 있음을 느끼자.

2

심한 말 보다는 그를 도와주는 말을 찾자.

3

짜증내기 보다는 감사하는 마음을 찾자.

4

화를 삼가고 대신 참을 성을 기르자.

5

비관보다는 낙관을…

6

걱정보다는 주님의 보살핌을 느끼자.

7

불평보다는 고마움을 느끼자.

8

원한을 갖지 말고, 용서하는 마음을 갖자.

9

나만 생각하지 말고 남에게 더 신경을 쓰자.

10

낙망하기 보다는 희망을 갖자.

11

우울하게 만드는 생각을 떨치고 기분을 좋게 하는 생각을 하자.

12

의심이나 의혹보다는 높은 곳의 진실과 진리를 찾자.

13

마음 약하게 하는 생각을 떨치고, 감동을 주는 약속을 생각하자.

14

한가한 소문에 들뜨지 말고, 사명감 넘치는 침묵을 갈망하자.

 

나이가 들면서 점점 힘들어지는 것은 바로 #1, 섣불리 남을 판단하고 비판하는 것이다. 그만큼 나의 ‘경험과 주장’이 있다는 얘기겠지만 상대방에게는 그것이 공평하지 않을 때가 많다. 특히 머리가 다 커버린 ‘자식’들에게 더욱 그러하다.

별 생각 없이 ‘충고’를 해도 그것이 ‘심판’의 소리로 들린다. 우리 젊었을 때도 그 정도였는지.. 요새 세상이 더욱 그렇게 되어서 그런지 모른다. 그래도, 옳다고 생각하는 것은 얘기해 주어야 한다는 것이 우리 부부의 지론이다.

레지오 활동을 하면서 제일 많이 ‘덕’을 본 분야는 #3, #7, #9, #14 일 것이다. 이것은 역시 레지오의 특성에서 나온 것으로 역시 ‘동료 인간’들과 수없이 접촉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그런대로 ‘자연적으로’ 이 분야에 도움이 된다는 생각도 든다.

#8.. ‘원한과 용서‘.. 이것은 그렇게 간단한 문제가 아닐 것이다. 죽을 때까지 노력을 해도 큰 성과가 없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희망을 가지고 나아간다는데 더 뜻이 있지 않을까? 오랜 된 기억을 동원하고 생각해서 아직도 용서 못할 ‘놈 들‘ 을 추려 내긴 했지만, 그들을 어떻게 ‘용서’ 해야 할지는 확실히 모른다. 그저 가능하리라는 희망만 가지고 있다. 나의 혼자 힘으로는 안 될 것이다.

#12.. 이것도 최근 5년 동안 많은 ‘발전’을 보았다. 그렇게 강철같은 힘으로 모든 믿음을 거부하던 시기는 지나고 있음을 느끼니까.. 이제는 모든 benefit of doubt높은 곳에 주기로 하며 살고 있다. 그것이 바로 모든 문제의 ‘열쇠’였다.

내가 아는 3월 15일은..

내가 사는 아틀란타의 35년에 가까운 역사, 전통을 자랑하는 한인천주교회1, 그곳에서 매년 신자들에게 발부하는 달력이 바로 나의 코앞에 걸려있다. 이것은 최근의 일이고, 그 전에는 다른 달력을 쓰거나 아예 걸지도 않았다. 그래서 근래에는 조금 신경을 쓰고 자세히 보게 되었다.

과연 이 달력이 어떤 사람들의 손에 의해서 만들어졌을까2..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것은 분명히 천주교의 전례력을 중심으로 만들어져서 신자들의 신앙 생활에 도움을 주게 되어있다. 그 다음은 아무래도 세속적인 것을 떠난 신앙생활은 힘드니까, 다수의 명절이 표기가 되어있다. 문제는 ‘어느 나라의 명절’ 이냐는 것이다.

제일 충격적인 것은 고국인 ‘대한민국’의 명절이 제일 큰 빨간 글자로 표기가 되어있는 반면, 현지인 미국의 명절은 보통글자로 빨갛게 되어있다는 사실이다.  그것 뿐이 아니다. 천주교의 전례력도 숫제 대한민국 전례력 중심이고, 그렇게 유명하고 중요한 Irish ‘천주교’ 명절인 St. Patrick’s Day(3월 17일)는 ‘완전히’ 빠져있다3.

그리고 오늘인 3월 15일에는 ‘3.15의거 기념일’이란 글씨가 올라가 있다. 내가 아는 3월 15일은 사일구(4.19) 학생혁명의 기폭제가 되었던 1960년의 부정 (정,부통령)선거 밖에 없는데, 언제 또 ‘데모와 혁명’이 그날에 있었을까? 더 웃기는 것은 4월 22일에, ‘정보통신의 날, 자전거의 날, 새마을의 날‘ 이 함께 쓰여있다. 여보세요, 도대체 이런 것들 이곳, 미합중국 아틀란타, 조지아에서 왜 필요하단 말씀입니까?

그것 이외에도 이렇게 ‘지역감정’을 완전히 무시한 것들이 수도 없이 많다. 이것은 본당신부의 지역,정체성 착각일까, 사무실의 무식이나 향수병에 의한 억지일까. 본당 지역역사가 거의 35년에 가까운 이곳의 의식이 이 정도면 조금 신경이 쓰인다. 앞으로 수십 년이 흘러야 이 달력도 조금은 ‘현지화, 미국화’ 가 되려나.. 과연 언제나 이곳에 Irish St. Patrick’s Day가 ‘조그만 글자’로라도 올라올까?

아무리 ‘대한민국’에서 신부님들이 오셔서 쉽지 않은 사목하시느라 고생하는 것은 알지만, 그래도 ‘현지가 어떤 곳이라는 정체성’은 조금 배려하며 사목을 하시는 것이 장기적 교포사목이 가야 할 길이 아니겠습니까? 오네가이시마스(おねかいします)!

  1. 아틀란타 한국 순교자 천주교회, Korean Martyrs Catholic Church of Atlanta
  2. 대한민국의 달력업체에 주문을 하는 것이 관행이라고 함.
  3. 이해가 안 되는 것은, 대한민국에서는 이날 Irish Association 주최퍼레이드까지 있다는 사실

사순 제1주일, 장례미사

¶  2월 26일, 재의 수요일 이후의 첫 일요일이다. 그러니까 2012년 사순절(Lent) 첫 주일인 것이다. 비록 재의 수요일(Ash Wednesday) 미사에서 이마에 ‘재의 십자가’를 받고, ‘고난의 40일 여정’ 은 시작 되었건만, 별로 크게 한 것도 없이 순식간에 사순 첫 주일을 맞았다.

가톨릭 신자들은 이 사순(40일)의 시기를 다음의 세 가지를 염두에 두고 지내게 된다. 즉, (1) 기도, (2) 자선,선행, (3) 절제, 단식과 금육 등이 그것이다. 이중에서 ‘절제, 단식, 금육’ 란 것 중에 절제는, 각자의 방식에 따라 다르겠지만, 오랜 역사를 통해서 흔히들 하는 것들은 거의 정해져 있다. 가장 흔한 것이 평소 ‘즐겨서 탐닉’하던 것(도박, 술, 담배 같은)으로부터 멀어지거나, 아주 끊어 버리는 것이다.

단식(fast), 금육(abstinence)은 글자 그대로 끼니를 거르고, 먹더라도 고기 (생선은 제외) 류를 안 먹는 것이다. 단식은 재의 수요일과 성 금요일(부활 전 금요일) 에 적용이 되고 그것도 하루 한끼만 거르면 된다. 금육은 재의 수요일과 사순절 매 금요일에 적용이 된다.

하지만, 이것도 꽤가 많은 이곳 사람들, 여러 가지의 예외를 만들어 두었다. 그 중에 있는 것이 14세 미만의 아이들과, 60+세 이상의 ‘노약자’에 대한 배려인데, 이것이 조금은 웃긴다. 여기서 60+세의 기준은 분명히 수십 년 전에 만들어졌을 것이다. 어디를 보아도 요새 나이 60+세는 대부분 건강하지, ‘노약자’로 보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그들이 조금 덜 먹거나, 한두 끼 굶는 것은 아무리 보아도 무리가 없는 것이다.

사실 예외조항은 나이보다 각자가 처한 건강상태에 두어야 할 듯하다. 우리 부부는 원래 ‘소식(小食)’ 이라서 사실 완전히 몇 끼 굶지 않으면 큰 의미가 없고, 금육도 그리 자주 고기를 먹지를 않아서 큰 문제가 없다. 절제에 대해서, 나에게 유일한 즐거움은 gourmet coffee 인데, 이것을 완전히 끊는 것을 예전에 내가 즐겨 사용하던 방법이었다. 이것은 실행하기 전, 처음 느끼는 고통이 ‘장난’이 아니었다.

특히 아침에 커피의 카페인에 의한 자극이 없어지면서 무언가 불안하고, 정신의 집중이 잘 되지 않았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레 적응이 되었다. 그러면서, 조금은 ‘맑아지는’ 머릿속을 느끼곤 했다. 그것이 바로 ‘절제’의 매력이었다. 그러다가 몇 년 전부터 커피는 절제대상에서 제외를 했는데, 조금 꽤가 났던 것일까.. 그것 보다는 사순절을 그렇게만 보내는 것이 너무 소극적이라는 이야기를 들었기 때문이었고, 레지오에 입단하면서 생각도 조금 달라지게 되었다.

봉사적인 활동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던 것이다. 레지오는 ‘절제’같은 것 보다는 적극적으로 밖으로 나아가 사람 속에서 활동하는 것을 더 중요시하기 때문이다. 그런 활동은 사실 ‘무언가를 안 하거나 끊는 것’ 보다 더 어려울 수 있다. 특히 나 같이 원래 소극적이고 내향적인 사람에게는 더욱 그러하고, 그래서 더 보람이 있을 것 같다. 올해는 과연 그런 지향으로 어떤 결과가 나올지 궁금하다.

 

¶  지나가는 주에는 정말 오랜만에 장례에 관한 뉴스가 두 건이나 있었다. 사실 그 동안은 연도나 장례행사가 뜸했었다. 그것(뜸한 것)은 정말 좋은 것이지만, 레지오 행동단원에게는 그만큼 한가한 시간을 주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의사들이 병자가 줄어드는 것을 보는 것과 비슷할 것이다. 두 가지의 장례에서 하나는 이번에 이곳에서 일어난 충격적인 일가족 5명이 살해된 끔찍한 사건에 관한 것이고, 다른 것은 조금은 평범할 수도 있는 어떤 60대 남자교우에 관한 것이었다.

여기서 사실은 이 60대의 평범한 분에 관한 것이 결과적으로 나에게는 더 충격적인 이야기가 되었다. 이 ‘평범한’ 교우님은 해방둥이 남자로, 김태균 요한 교우이신데, 심근경색증으로 며칠 전 갑자기 돌아가셔서 23일에 연도가 있었고, 24일에는 장례미사가 있었다. 우리부부는 장례미사엘 갔었고, 예와 같이 고인의 명복을 빌게 되었는데, 그곳에서 아주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고인의 가족들을 보게 되었는데, 그 중에 고인의 형님이 바로 내가 한때 알았던 사람이었던 것이다. 그것도 거의 40년 전에 알았던 분이었다.

물론 모습으로 알 수는 없을 정도로 세월이 지났다. 하지만 장례미사 안내서에서 그 분 따님의 이름을 내가 알아본 것이다. 지금도 나는 어떻게 아직까지 그분 따님의 이름을 기억할 수 있는지 알 수가 없다. 아마도 나의 전 ‘서울식당’ blog에서 그 당시를 회상하며 쓴 것이 있었는데 그때 기억을 해 냈을 지도 모를 일이다. 그 분의 이름을 모르고 지냈으니, 사실 그분을 알아 볼 수가 없었던 일이었다.

비록 70대의 나이였지만, 자세히 보니 역시 그분이었다. 훤칠한 키에 멋쟁이 스타일 (옷), 그대로였다. 그 부인, 그러니까 세란이 엄마는 한 눈에 알아 볼 수가 없었다. 너무나 나이보다 젊어 보여서 그랬는지도. 가서 인사를 드릴 까 생각을 했지만, 역시 주저하고 말았다. 옛 사람을 찾는 것과 서로 다시 알고 지내는 것과는 별개의 문제임을 나는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역시 나만의 추억으로 간직하고 싶은 마음이 더 컸기 때문일까.. 하지만 지난 40년간 어떻게 지내셨는지 궁금하기는 하다.

김두철, Ash Wednesday

¶  우등 한번 못해본 서울대 수석합격: 김두철을 다시 찾았다. 나의 재동국민학교 동창, 3학년과 6학년 때 같은 반이었고 특히 6학년 때는 나와 같은 ‘1 분단’에 있기도 했던 ‘머리 좋은’ 동창이다. 나의 재동국민학교 추억에 관한 blog에서 잠깐 언급을 했었는데, 그 당시에는 100% 나의 머리 속에 남아있던 기억력으로 쓴 것이었는데, 이번에는 의외의 도움(Internet, what else?)으로 그의 이름을 다시 보게 되었다.

1966년 2월 중순경의 일간지는 서울 주요 대학입시 합격자 명단이 실려 있는데, 그 가운데 조그만 기사 중에 김두철의 사진과 이름이 보였다. 그 것이 동아일보였는데, 지금 생각을 해 보니 아주 어렴풋이 그 기사를 그 당시 나도 본 것 같은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 반세기가 가까이 되는 엄청난 과거였으니.. 역시 확실하지는 않다. 그 기사는 김두철이 서울대학 ‘전체 수석’ 합격자 였다는 기사였다.

김두철 서울대 입시 전체수석, 1966그는 서울공대 전자공학과를 지망했는데, 거의 만 명이 넘는 지원자중의 수석 합격자였던 것이다. 국민학교 시절, 김두철은 ‘항상 일등, 우등생’이었는데, 아마도 경기중,고에 진학하면서 1등은 별로 못했던 듯, 우등을 못해본 수석합격이라고 기사는 강조를 했다. 본인이 ‘점수벌레’를 싫어 한다고 했지만, ‘의외로 수석’이 되었다고.. 참 이렇게 부러운 친구가 있을까? 그러니까, 별로 ‘노력을 안 했어도’ 그렇게 되었다는 말이 아닌가?

이런 심리는 아마도 ‘일류 심리’에서 비롯 되었을 듯 하다. ‘거의 항상 top’으로 일관을 했으니, 크게 자랑스러운 것도 없다는 뜻일까? 평소의 실력으로 그렇게 되었다는 말이 조금은 거슬리기도 하지만, 어찌하랴.. 그렇게 태어났으니. 이 기사로 나는 그가 나와 같이 ‘납북자’ 가정, 편모슬하의 외아들이라는 것도 알게 되었지만 우리 집과 다르게 그의 어머니는 이화여대 교수(金蓮玉, 당시 41세)였다. 그의 아버님은 서울 공대교수로 재직 중 육이오 동란 시 납북이 되셨다고 했다. 그러고 보니 우리 집과 참 비슷한 환경이었다.

국민학교 시절에는 그런 것을 전혀 모르고 지냈다. 게다가 기사는 김두철이 절대로 ‘공부벌레’가 아니라는 것으로, ‘산 사나이’라는 것을 강조했다. 그의 장기는 rock climbing이라고.. 기자조차 부러운 듯이 “힘껏 공부하고 맘껏 노는 화려한 대학생활”을 예상했는데, 과연 그는 어떻게 대학생활을 했을까? 그는 지금 어떤 ‘업적’으로 이름을 ‘크게’ 남겼을까 궁금하다.

 

¶  뼈 속으로 스며드는 듯한 차가운 안개 비가 하루 종일 나리는 2월, 중순이 완전히 접히고 하순으로 접어드는 일요일, 무슨 꿈에서 깨어나는 듯이 놀란다. 어느새 2월의 삼분의 2가 없어졌나? Groundhog Day, Lincoln’s Birthday, Valentine’s Day.. 모두 지나갔다. 내일은 President’s Day, 그것이 문제가 아니다. 화요일은 Legio (Mariae) Tuesday인 동시에 Mardi Gras, 그러니까 그 다음날 수요일이 중요한 날인 것이다. Ash Wednesday(재의 수요일)인 것이다.

작년에 비해서 올해는 새해부터 거의 예외 없이 high note로 지내왔다. 그러니까, euphoric하다고나 할까? 이 나이에 ‘신난다’는 표현은 어불성설이고, 아마도 ‘잔잔히 들뜨는’ 그런 기분이라고나 할까? 지난 10년간 항상 나는 depression속에서 살았다고 ‘나의 역사’를 만들었지만 지난 한 달여를 보면서 아마도 나는 서서히 그런 길었던 ‘동면’의 기간에서 나오고 있는지 모른다는 생각을 한다. 몇 가지의 ‘단순한 계기나, 이유’로 그렇게 어두운 터널에서 나왔다고는 절대 생각 치 않는다. 그 이상의 무엇이 작용을 했을 것이다. 이것은 나뿐이 아니고 나의 반려자도 같이 느끼는 듯 하니까, 아마도 맞을 듯 하다. 그 이상의 것은 과연 무얼까?

ash-wednesdayAsh Wednesday, 재의 수요일, 2월 22일은 2012년 부활절 (Easter) 전까지 교회력으로 40일간 계속되는 Lent (사순절)의 시작이다. 예수님의 Passion (수난)을 거치며 부활의 절정에 이르는 기독교신앙의 절정기에 속하는 정말 중요한 40일이 수요일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개신교는 어떨지 몰라도, 천주교는 아주 ‘겸손, 절제, 회개’로 이 시기를 보내게 되는데, 이제는 나도 조금 익숙해져서 미리 생각도 할 수 있게 되었다.

재의 수요일 바로 전날은 Mardi Gras (Fat Tuesday)는 ‘고난의 40일’ 전에 마음껏 ‘세속의 맛’을 느끼자는 축제의 절정인데, 이곳에서는 New Orleans (Louisiana주) 의 Mardi Gras 축제가 유명하다. 재의 수요일 미사에서는 작년의 Palm Sunday에 썼던 palm tree leaves(종려나무 잎)을 태운 것을 기름이나 물에 섞어서 신부님께서 신자들의 이마에 십자가를 그려주신다. 대부분 저절로 없어질 때까지 이마에 그것이 보이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이 재는 아마도 이런 뜻이 있을 것이다. 창세기 3장 19절(Genesis 3:19)의 “Remember that thou art dust, and to dust thou shalt return“.. 그러니까 사람은 먼지에서 왔다가 먼지로 돌아 간다는 뜻이 아닐까?

이날로 시작되는 사순절, 40일을 올해는 어떻게 보낼까? 회개와 절제와 고행.. 말은 간단하지만 실제로 하려면 복잡해진다. 회개는 물론 고백성사를 통해서 공식적으로 할 수 있지만, 다른 것들은 개개인마다 천차만별일 것이다. 어느 해에는 좋아하는 커피를 완전히 끊기도 했고, ‘절대로’ TV를 안 보기도 했다. 하지만 이것의 요점은 역시 왜 그렇게 하는가를 묵상하며 하는 것이다. 그러려면 역시 성경을 중심으로 한 ‘영적인 공부’가 중요할 것이다. 또한 나는 레지오 단원이라서 이것 외에도 하려면 할 것이 너무도 많다. 얼마나 의지력을 가지고 실행을 하는 가 그것이 문제일 것이다.

 

레지오 연차 총 친목회와 연도

레지오 마리애 연차 총 친목회
2011년 아틀란타 꾸리아 연차 총 친목회

어제 12월의 첫 일요일은 거의 하루 종일을 진정한 ‘일을 떠난 안식일’로 지냈다. 글자 그대로 안식일이면 일을 쉬는 날이겠지만 결과적으로는 그와 반대로 하루 종일 일을 한 셈이 되었다.물론 여기서의 일은 성당과 관련이 된 것들이다. 물론 집 근처의 미국본당에서의 주일 미사는 물론이고 이번에는 한국 본당까지도 ‘나들이’를 하게 된 것이다.

우리는 2011년 아틀란타 순교자성당 소속의 ‘천상 은총의 모후’ 꾸리아 주최 연차 총 친목회에 갔는데, 이번에는 평 단원으로 그냥 즐기러만 간 것 이외에도 연숙이 꾸리아 부회장을 맡은 관계로 봉사까지 하게 된 것이다. 어디 그뿐이랴.. 연숙은 총 친목회의 EmCee(사회)까지 맡게 되어 있었고, 나는 우리 쁘레시디움에서 발표하게 되어있는 ‘(거지)타령’ 에 끼어 있어서 둘 다 심리적으로 은근히 stress까지도 받은 것이 사실이었다. 다행히 연숙의 사회 진행은 큰 ‘사고’없이 잘 진행이 되어서 결과가 좋았는데, 우리 쁘레시디움의 타령 공연은 그렇게 만족할 만한 것이 못 되어서 조금 실망은 했지만, 그래도 어려운 여건에서 참가를 한 것만으로 위로를 받기로 했다.

오랜 만에 스트레스 성 일들이 이렇게 겹쳐서 그런지 모든 행사가 무사히 끝나고 나서 아주 안도감과 피곤함이 함께 몰려 들어서 그저 TobeyIzzie가 목매도록 기다리는 집으로 가고 싶었는데, 우리 둘은 갑자기 예정이 된 어느 자매님(베로니카)의 장의사 연도에 참석을 하러 가게 되었다. 우리 성당과 직접 연관이 없는 듯 보이는 자매님이라고 들어서 가는 것이 잠깐 조금 망설여지기도 했지만 연고자들이 별로 없다는 말에 정신이 버쩍 들었다. 그런 것이야 말로 우리 레지오가 필요로 하는 곳이 아니던가? 역시 갔다 와서 가길 너무 잘했다는 생각을 계속하게 되었다. 아주 단출한 가족이 전부인 곳, 예쁜 할머님 자매님이 그곳에 잠자듯 누워계셨다. 문득 꿈에 본 어머님 얼굴이 잠깐 어른거렸다.

어느 funeral home (장의사)의 조그만 chapel에서 조금밖에 모이지 않은 우리 레지오 단원들, 열심히 연도를 바치고, 고인에게 작별 인사를 하는 viewing을 하고, 유족을 위로했는데, 따님이 너무나도 서럽게 울며 서투른 한국말로 “레지오 마리애, 너무 감사합니다” 를 연발해서 우리들 모두 눈물을 감추기에 바빴다. 아마도 돌아가신 어머님과 따님은 무척 사이가 좋았던 듯 싶었다. 이런 광경들은 거기 모인 모두들, 자기 나름대로의 처지에 비추어서 생각하며 속으로 울었을 것이다. 나도 예외가 아니라서 눈물을 감추는 것 자체가 너무나 힘이 들었다. 이 돌아가신 베로니카 자매님은 어떤 인생여정을 보내시고 여기까지 오셨을까.. 하는 생각도 하며 한정된 인간 수명의 의미를 생각하기도 했다.

 

Advent 2011, 대림절

2011년 대림절
Advent 대림절 2011

¶  오늘은 가톨릭 달력으로 새해의 시작이 된다. 비록 세속적 새해는 아니지만 천주교 전례력은 오늘이 4개의 촛불로 상징되는 대림절의 시작, 그러니까 예수님의 탄생일이고 이곳 최대의 명절인 성탄까지 4주를 기다리는 대림절 첫 주일이 되고 성탄 이후부터는 다시 예수 부활을 기다리는 시기가 시작이 되고.. 이런 식으로 사실 성경의 말씀대로 ‘계속 기다리는’ 기간의 연속이 된다.

이런 것들이 이곳 미국에서는 거의 200여 년 동안 생활화가 되어있어서 크리스천이면 이런 종교적인 색채가 강한 명절, 휴일들에 별로 큰 무리가 없지만 다른 종교를 가진 사람들에게는 조금 눈에 거슬릴지도 모른다. 하지만, 어쩌랴.. 그것이 역사적 현실이고 문화의 일부가 되어 버렸으니.. 그래서 대림절이 시작되는 첫 주일은 의미가 큰 것인데 불행히도 우리는 미사를 거르게 되었다. 핑계는 꼭 있지만, 게으름이라는 핑계가 더 맞을 듯해서 사실 기분이 찜찜하다.

아침에 새로니가 Thanksgiving holiday를 집에서 보내고 오늘 아침에 Nashville로 떠나는 날이라서 시간이 조금 그랬지만, 역시 핑계일 것이다. 올해의 Thanksgiving은 큰 ‘문제’ 없이 지났고, 아주 적당하게 구워진 turkey가 인상적이었지만, 내가 조금 배탈이 나서 그것이 흠이 되었다. 다름 사람들은 멀쩡한데 왜 나만 그랬을까.. 암만 생각해도 그렇지만 혹시 stress성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문제는 왜 내가 stress를 느꼈을까 하는 것인데..

 

Thanksgiving feast 2011

Thanksgiving feast 2011

Rock group Iron Butterfly
Iron Butterfly circa 1970

¶  오늘 우연히 npr.org (National Public Radio)에서 (via Tweet) 1960년대 말의 LA출신 rock group Iron Butterfly에 관한 글을 읽게 되었다. 그들의 big hit In-A-Gadda-Da-Vida를 제외하고는 사실 이 그룹에 대해서 아는 것이 거의 없었다. 그저 heavy-metal rock group 정도라는 것만 알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한가지 더.. 이 big hit oldie 이외에는 다른 것을 더 들을 수 없었다는 사실도 있었다.

이 글에서 나의 짐작이 맞았는데, 역시 이 유명한 한 곡을 빼면 그들의 이름은 유명무실할 정도였다. 그룹 멤버들의 관계가 안 좋았던지, 다른 문제가 있었는지는 몰라도 이 유명한 classic 이후 사라져버린 것이다. 그래서 더 legendary하다고 할까..

이 곡의 특징은 무슨 classic의 symphony정도로 연주시간이 엄청 길었다는 것, 그러니까 17분 정도 되었나.. guitar로 내는 background noise같은 것, dramatic 하게 들리는 drum solo, guitar solo등등이 아주 다채롭고.. 듣고 있으면 무슨 환각에 빠지는 기분, 등등이 있어서 1970년 초에 들을 당시를 회상하곤 한다.

이 것을 친구 손용현과 같이 동네(상도동)에서 이 노래를 따라 부르며 걷는데, 앞서 가던 (못생긴) 아줌마가 갑자기 돌아서더니 화를 내며 ‘히야까시‘ 하지 말라고 소리를 질렀다. 처음에는 어리둥절했지만 알고 보니 우리 둘이서 그 아줌마를 쫓아가며 ‘성 희롱’하는 것으로 오해를 했었던 것이어서 두고두고 잊지 못할 추억이 되었다. 이제 다시 이 곡을 17분 동안 들어도 그때의 ‘젊은 감정’이 거의 변함없이 솟는 것을 느끼며 헤어진 휘문고 출신 친구 손용현을 생각한다.

 

IRON BUTTERFLY – IN A GADDA DA VIDA – 1968 (ORIGINAL FULL VERSION)

 

Sunday before Thanksgiving

¶  와~~ 벌써 11월 20일 일요일.. 2011년 추수감사절이 4일 밖에 남지 않고, 가톨릭 달력으로는 2011년의 마지막 일요일이기도 하다. 그러니까 다음 주 일요일부터 새 전례력이 시작 되고, 성탄까지는 대림절 (Advent)의 4주가 또한 시작되는 등, 세속적인 제일 큰 두 명절(추수감사절, 성탄절)로 겹쳐서 조금은 휴일 스트레스가 쌓이기 시작하는 때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제는 그런 쓸데없는 스트레스를 감당하는 지혜도 함께 쌓여서 조금은 나은 편이다. 각종 휴일의 유래와 전통, 목적, 뜻을 음미하면 훨씬 도움이 된다. 비 직계가족 식구가 아무도 없는 우리 집은 이럴 때 잘못하면 외로움을 느끼기도 하지만, 그래도 모이면 네 명은 되지 않는가? 혼자서 휴일의 외로움을 달래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가를 생각하면서 위로를 한다.  

 

Archbishop Emeritus John Francis Donoghue
아틀란타 전 대주교님 John Francis Donoghue

¶  지난 11월 11일 (이곳은 Veteran’s Day, 유럽에서는 Armistice Day?), 전 아틀란타 대교구의 John Francis Donoghue 대주교님께서 향년 83세로 선종하셨다. 그 동안 별로 주교님의 건강에 대한 뉴스가 없어서, 이런 갑작스러운 뉴스에 놀라게 되었다. 특히 나는 이 뉴스를 4일이나 지난 11월 15일 레지오 회합에서 듣게 되어서 아주 부끄럽기까지 했다.

한 지역소속 종교지도자의 선종은 사실 큰 뉴스는 아닐지라도 내가 어떻게 4일씩이나 늦게 알게 되었을까? Local TV뉴스를 자주 보면 아마도 알았을 것이지만 제일 큰 이유는 11월 13일의 주일 미사를 못 간 것이 치명적인 원인이 되었다. 신자들 대부분은 그 때 알게 되었을 것이다. 이 도노휴(도나휴, Donahue와 스펠링이 조금 다른 common Irish name) 대 주교님은 1993년에 아틀란타 대주교가 되시어 2004년 12월에 은퇴하실 때까지 참 많은 일을 하셨다. 그 전 오랫동안 침체 속에 있던 이 아틀란타 대교구를 눈부시게 활성화 시키신 것이다.

미국에서 제일 큰 <아틀란타 성체대회, Eucharistic Congress>를 크고, 단단히 성장시키고, 대교구에 <성체조배, Eucharistic Adoration> 신심행사를 강력히 권고하셔서 우리 ‘미국성당’ 에도 계속되고 있다. 전형적인 ‘사제 같은 인자한 품성’을 보이시고, 대교구내 수많은 크고 작은 본당의 견진성사를 주관하셔서 우리 아이들도 가까이서 뵙고, 사진도 찍기도 해서 대주교라는 직함에 어울리지 않게 친근한 할아버지 같은 추억을 갖게 되었다. 은퇴 후에는 ‘명예’ 대주교라는 직함으로 사실 전과 같은 정열로 그 모습을 보이셔서, 이번의 ‘뜻밖의’ 선종은 너무나 아쉽고, 슬프기만 하다. RIP, Rest In Peace.. Archbishop John Francis Donoghue..

 

¶  YouTube에 조금씩 나의 조잡한 video를 올리면서, 조금씩 이곳을 더 자세히 보게 되고, 가끔은 그 동안 못 찾던 것을 찾게 되기도 하는데.. 이번이 바로 그런 때가 되었다. 작년에 나의 중앙고교 3학년을 추억하는 블로그를 쓸 때, 이 추억의 노래를 찾고 찾았지만 소용이 없었는데, 이번에 찾은 것이다. 아마도 그 동안 어떤 분이 만들어 올려놓았던 것 같다. 그것을 찾을 당시, 노래의 제목을 잊은 상태여서 더 찾지 못했을까?

 

행복의 샘터 , 박재란 이양일 1965년

 

알고 보니.. 그것은 <박재란, 이양일> 두 분의 <행복의 샘터> 였다. 이제 생각을 하니 제목이 어렴풋이 기억이 되는 것 같았다. 이것은 1965년 초에 나온 거의 ‘가곡 풍’의 유행가였다. 한참 유행하던 시절이 바로 내가 중앙고 3학년 초였던 것이고, 그 때부터 고3 하면 두 분이 연관이 되어 기억이 된 것이다. 그러다가 정말로 46년 만에 다시 듣게 되었다. 그 당시 최고의 인기가수 박재란씨와 이양일씨는 그 동안 어떻게 살아 오셨는지..

 

Draganflyer X8
카메라가 달린 Draganflyer X8

  DraganFly?  <dragonfly, 잠자리> 의 misspelling일까? 내가 만일 내일 아침을 못 보는 신세가 된다면, 이것도 중의 하나가 아니었을까? 그러니까, 인터넷 파급효과의 하나를 건진 것이다. 거의 10년이 넘는 역사의 이 흥미로운 UAV (Unmanned Aerial Vehicle) technology를 그 동안 나는 모르고 살았던 것이다.

한 마디로 이름에서 연상이 되고, 어렸을 때 꿈도 많이 꾸었던, ‘잠자리 비행기’와 비슷한 이것의 특징은 회전날개가 1개나 2개인 기존의 헬리콥터와 달리 최소한 4개의 회전날개를 가지고 remote control로 조종이 되는 ‘취미용 비행기’인 것이다. 장난감 헬리콥터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것은 취미의 수준과 ‘상업용’ 수준의 구분이 잘 안 될 정도로 ‘심각한 기술’이라는 점이다.

Canada에 본사를 둔 이 DraganFly Innovation이라는 회사는 Zenon & Christine Dragan이라는 발명가에 의해서 무선조종 풍선, 비행접시 등의 취미로 시작을 해서 근래에는 완전히 심각한 상업용 UAV technology회사로 성장을 해서 지금은 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곳의 demo video를 보면 따로 이것의 잠재성에 대해서 긴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정부의 차원에서 쓰는 UAV는 크고, 비싼 것들이지만 이것들은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저렴한 것들이다. 현재는 주로 공중 비디오 촬영으로 쓰이고 있지만 이것의 쓰임은 상상력에 달렸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빛의 신비

레지오 단원 제일의 무기, 묵주
나를 ‘살려 준’ 이 묵주는 연숙이 San Antonio (Texas)에 갔을 때 사 준 선물이었다

빛의 신비, Luminous Mysteries, Mysteries of Light.. 여기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과학적인 빛의 성분이나 빛의 속도에 따른 상대성 이론, 빛의 구성에 대한 양자역학.. 등등에 대한 것이 아니고, 신학적인 빛의 신비인 것이고, 조금 더 구체적으로 천주교의 ‘복되신 성모 마리아'(Blessed Virgin Mary: BVM) 묵주기도(Rosary)의 2번째 신비를 말한다.

묵주기도에는 4가지 신비가 있고 이것을 반복하며 읽고, 묵상을 하는데, 첫 번째 신비: 환희의 신비(Joyful Mysteries), 두 번째 신비: 빛의 신비(Luminous Mysteries), 세 번째 신비: 고통의 신비 (Sorrowful Mysteries), 네 번째 신비: 영광의 신비 (Glorious Mysteries) 가 그것이다. 이 중에서 이상하게도 내가 유별나게 더 많이, 깊이 생각하고 묵상하고, 심지어는 좋아하게 된 신비가 바로 ‘빛의 신비’ 인 것이다.

나는 그 이유를 확실하게 글로 표현할 자신이 없다. 하지만, 조금 간단하게 말 하자면 나머지 3가지 신비는 사실 너무나 ‘유명’하다고나 할까.. 환희의 신비는 예수님 탄생, 고통의 신비는 예수님의 수난, 영광의 신비는 예수님의 부활에 대한 것이다. 이것들은 모두 잘 알려진 기독교의 핵심부분에 해당한다. 하지만 빛의 신비는 조금은 ‘평범할 수도 있는 예수님의 공(公)생활’에 해당하는 것이다.

Fatima(파티마) 목동들에게 나타나신 성모님
Fatima(Portugal) 목동들에게 나타나신 성모님은 이미 묵주를 가지고 계셨다

어느덧 내가 묵주기도를 시작한지 4년이 훨씬 지나고, 내년 3월이면 만 5년 ‘기념일’이 다가온다. 세월이 빠른 것은 물론 잘 알지만, 내가 사고 없이 이것을 5년 계속해 왔다는 사실로는 5년이 그렇게 빠른 것도 아닌 듯 싶다. 그만큼 나의 묵주기도 5년은 나에게 풍부한 개인적 경험을 체험케 했고, 나아가서 전혀 예기치 않은 방향으로 나를 계속 끌고 갔기에 이제는 전부터 들어왔던 묵주기도의 신비를 어렴풋이 느끼게 되었다.

묵주기도를 ‘시작해 본’ 자체도 나에게는 신비에 가까웠지만, 그것을 지금까지 4년이 훨씬 넘도록 계속해온 자체는 그 이전의 나 자신을 생각해 보면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사실이었다. 처음 이것을 시작할 당시는 기도문을 외우지 못해서 불편했지만, 그것은 시간이 자연히 해결해 주었다. 완전히 외우고 나면서, 조금씩 생각, 묵상 등을 할 여유가 생기고, 그것이 모든 것의 시작이었다. 자유기도에 대한 지독한 거부감 (대부분 개신교 신자들의 통성기도 스타일 때문에)으로 나는 기도란 것을 못 했는데 이 묵주기도가 아주 자연스레 나를 구해 주었다.

빛의 신비에 대해서 조금 조사를 해 보니, 의외로 이 신비는 아주 역사가 짧았던 것이었는데, 2002년에 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Pope John Paul II) 께서 기존의 3단에 덧붙인 것이었다. 묵주기도의 오랜 역사를 감안한다면 2002년에 더해진 빛의 신비는 사실 바로 불과 몇 분 전에 더해진 것 처럼 느껴지는 ‘새 것’ 인 것이다. 흔히 ‘레지오 박사’로 알려진 최경용 베드로 신부님의 저서 <레지오 마리애 영성> 을 보면 묵주기도의 역사를 짐작할 수 있는데:

 

오늘날과 같은 형태의 묵주기도는 ‘로사리오의 첫 교황’ 이라고 불렸던 비오 5세가 1569년에 만들었는데, 그 2년 후인 1571년 10월 7일의 레판토(Lepanto) 해전에서 유럽이 회교국의 손아귀에 들어갈 위기에 봉착하자 신자들이 전승을 위한 지향으로 묵주기도를 열심히 바친 결과 마침내 승리를 거두게 되었다. 이를 기념하여 비오 5세의 후임자인 그레고리오 13세는 1573년에 매년 10월 첫 주일을 ‘로사리오의 성모 축일’로 정하였다. 그 후 레오 13세 교황(재위: 1878~1903)이 10월을 ‘로사리오 성월’로 정하고 성모 호칭 기도에 ‘지극히 거룩한 로사리오의 모후’라는 칭호를 추가함으로써 묵주기도를 통한 성모신심을 장려하였다.

Five Luminous Mysteries, 빛의 신비 5단
빛의 신비 5단, St. Joseph Sunday Missal 에서

전 교황 복자이신 요한 바오로 2세의 성모신심은 너무나 잘 알려진 최근 역사의 일 부분이다. 개인적으로나 교회 역사적이거나 나는 이 복자를 존경하게 되었는데, 아마도 이것도 나의 ‘자유의지’와는 크게 상관이 없이 ‘알게 되고 좋아하게’ 되었다는 생각도 든다. 특히 2005년 선종을 하실 때부터가 아니었을까?

근대사 인물 중에 내가 확실하게 존경하고 ‘믿을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이 바로 이 복자, 요한 바오로 2세가 아닐까.. 왜 이 신비가 ‘빛’의 신비로 이름이 되었을까? 그것은 요한복음 9장 5절의: “While I am in the world, I am the light of the world” (내가 이 세상에 있는 동안은 내가 세상의 빛이다: 공동번역에서) 에서 나온 것이다. 그 분이 첨가한 묵주기도 두 번째 신비 ‘빛의 신비’는 그렇게 나에게 다가왔고, 나를 움직였을 것이다. 결국, 요새는 참 신앙이라는 것이 오묘하다는 생각 뿐이다

 

 

 

복자 요한 바오로 2세의 빛의 신비:

  1. 예수님께서 세례 받으심을 묵상합시다 (The Baptism of Jesus in the Jordan)
  2. 예수님께서 가나에서 첫 기적을 행하심을 묵상합시다. (Christ’s Self-Manifestation at the Wedding in Cana)
  3. 예수님께서 하느님나라를 선포하심을 묵상합시다. (Christ’s Proclamation of the Kingdom of God)
  4. 예수님께서 거룩하게 변모하심을 묵상합시다. (The Transfiguration of Our Lord)
  5. 예수님께서 성체성사를 세우심을 묵상합시다. (Christ’s Institution of the Eucharist)

 

사랑과 죽음을 응시하며..

사랑과 결혼, 그리고 죽음… 어제는 인생에서 아마도 가장 중요한 시점의 이 두 가지를 같이 생각하는 날이 되었다. 물론 결혼을 안 하거나 못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그것은 아직까지는 예외에 속하니까, 이렇게 결혼과 죽음을 같은 위치에 놓는 것에 큰 무리는 없을 것이다. 세상이 하도 변해서, 남자끼리, 여자끼리 ‘결혼을 했다고’ 우기고, 할 것 다하며 같이 살면서 죽어도 결혼 안 했다고 우기고, 자식 팽개치고 이혼한 것이 무슨 ‘벼슬’을 한 듯, “괜찮다 괜찮아” 하며 행세하는 묘한 세상에, 이렇게 결혼과 죽음을 같은 위치에 놓아 보는 것은 사실 더 의미가 있다고 생각이 된다. 그만큼 결혼과 죽음은 인간이기 때문에 확실히 거쳐야 하는 중대사라는 것을 강조하고 싶은 심정이기 때문이다.

 

You Don’t Bring Me Flowers
Neil Diamond, Barbara Streisand
데레사에게 주는 선물, 오랫동안 변치 않을 사랑을.. 

 

어제는 우리 집과 안면이 있는, 김찬웅(베드로)씨 딸 데레사의 결혼 피로연, 초대를 받고 갔었다. 이미 나의 오래 전 blog에서 언급이 되었던 베드로씨네, 부인인 안젤라씨는 내가 속해있는 레지오의 단장님이기도 하다. 거의 20+년 전, 우리의 두 딸들과 어울려 놀았던 데레사가 결혼을 해서 친지들이 모여서 멋진 파티를 한 것이었다. 어렸을 때는 우리부부가 선생님을 하던 아틀란타 한국학교에도 다니던 아이들이.. 이렇게 커서 한 가정을 이루게 된 것을 보며, 또 세월의 흐름을 실감한다.

 이런 자리에 가게 되면 신경을 안 쓸 수 없는 것은 과연 ‘어떤 부류의 사람들’이 모일까 하는 것이다. 그것은 이 집을 안 역사는 오랜 되었지만 그것에 비해서 자세히 아는 바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그저 짐작으로, 우리의 문화적 배경인 동창회, 종교 단체 등을 떠올릴 수밖에 없다. 이곳은 이민 1세의 특성상, 거의가 자영업을 가지고 있어서 직장,조직에 의한 연고는 그렇게 많지 않다. 경기, 서울대를 거치는 동창회는 그런대로 아틀란타 지역에 ‘막강’한 세력이 있는 것 같고, 베드로씨는 아마도 활동적인 멤버인 것 같아서 그곳을 통한 사람들이 많이 온 것은 짐작한 대로였다. 거기다 베드로씨는 긴 세월은 아니었지만 삼성 아틀란타 지사에서 근무를 했으니까 그곳에도 ‘동창’들이 있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짐작보다 사람들이 많이 참가를 한 ‘성공적’인 피로연이 되었다.

그곳에서 ‘의외’로 만나거나 본 사람 중에는: 오래 전 아틀란타 한국학교 교장 김경숙씨, 그의 남편(경기고 출신)이 있었다. 뜻밖의 마음과,보기 싫은 마음이 싸우며 결과적으로 인사를 못했다. 아니 안 했다. 살면서 끝맺음이 잘 못되면 이런 꼴이 된다는 것, 참 불쾌한 기억이요 잊고 싶은 추억이다. 연세대 2년 선배, 장학근 선배(건축과)를 거의 5년도 넘게 만나서 인사를 했는데..글쎄.. 나를 기억을 하는지 알쏭달쏭한 표정이었다. 그의 부인이 나와 연세대 66학번(가정대) 동문이기도 했는데 어제는 인사를 못했다. 한때 잘 나가던 부동산인 김경자씨.. 언제나 같은 모습으로 만났는데.. 어떻게 이곳에 오게 되었는지 그 관계를 모르겠다. 우리가 현재 사는 집은 1992년에 이분이 소개를 해 주어서 사게 된 것이라 잊을 수 없는 인물이기도 하다.

그리고, 반가운 집 연세대 후배 Mr. 고, 그의 부인..이 집은 2005년 초에 우리 집 ‘깡패,귀염둥이 강아지’ Tobey를 준 집이다. 반가운 인사 전에 Tobey의 안부를 먼저 물을 정도였다. 이 집 부부도 사실 안지가 꽤 오랜 되었지만, 특별한 관계가 별로 없었다. 이 Mr.고, 김찬웅, 베드로씨와 삼성지사에서 같이 근무를 해서 아는 사이라 온 것이다. 그때 같이 근무하던 사람들은 가끔 ‘동창회’처럼 모인다고 했는데, 이런 것도 미국인들이 이해를 잘 못하는 한국문화 중에 하나일 것이다. 연숙은 금새 잘 알아 보았는데, 나를 보더니 고개를 갸우뚱 할 듯.. 그만큼 내가 변했다는 표정으로 보였다. 그것도 세월의 진리일 것이다. 예전보다 많이 이런 반응에 익숙해 졌고, 익숙해 지려고 기를 쓴다.

 

Perhaps Love
John Denver & Placido Domingo

 

조금은 예상했던 집들, 설재규씨 가족도 보았다. 아직도 어떻게 설재규씨 집안이 베드로씨 네 집과 연관이 되었는지 그 사연을 모른다. 이런 ‘인연’을 추리해 보는 것도 재미가 있다. 연숙의 이대 선배 박교수님 댁도 보았지만 인사를 못 했다. 이분들이 올 것은 쉽게 예상이 된 것이, 남편끼리는 경기고,서울대 동창이며, 부인들은 숙명여고 동창인 것이다. 이것 보다 더 연관이 된 것이 있겠는가? 하지만 그것 이외의 ‘개인적’인 친분의 정도는 정말 미지수일 수밖에 없다. 베드로씨와 ‘불알’ 친구라고 공개적으로 선포를 했던 EmCee 김용주씨, 역시 오래 전에 알게 되었지만 나이와 학벌 같은 이유로 공감대가 별로 없었다. 한때 아틀란타 본당의 ‘사목회장’까지 역임을 했었지만 요새는 조용한 듯 하다. 우리의 마리에타 2구역, 구역회장으로 ‘맹활약’하고 있는 ‘조덕성, 바오로’ 씨를 이곳에서 볼 것이라는 것은 100% 확실했다. 며칠 전 구역미사에서 이미 들었기 때문이었다. 이들은 ‘토요회’라는 것을 만들어서 모여서 술과 노래를 즐긴다고 했다. 그래서 이 자리에서도 Three Tenors를 모방한 연기도 있었는데, 조금은 어려운 노래, “Perhaps Love“를 고른 것이 조금은 무리였나.. 가사를 잊고 중단도 되었지만 신부 데레사가 재치 있게 이어받아 불러 주었다. 이때 데레사가 노래를 잘 부른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예상했던 반가운 사람들이 더 많았다. 물론 우리 막강한 레지오 단원들이 전원 참석해 주었기 때문이다. 단장님 딸의 경사라서 사실 ‘피할’ 여유가 없었을 것이다. 그래도 은근히 놀란 것이, 그런 자리는 사실 조금은 ‘젊은’ 취향으로 보일 수도 있는데 그것에 구애를 받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덕분에 단원 자매님들의 ‘형제님(aka 남편)’들을 뵙게 되었다. ‘생각보다’ 첫 인상들이 참 좋았다. 그리고 얼마 전에 입단한 나의 거의 동년배인 우동춘 형제 부부가 ‘용감하게’ 참석을 하였다. 나이가 너무나 나와 비슷해서 시간만 나면 조금 가까이서 얘기를 해 보려던 참에, 이 자리는 아주 좋은 기회를 제공했고, 길지 않았던 시간이었지만 인사치레를 넘어선 진지한 얘기를 나눌 수 있었다.

이곳에서는 한 세대가 바뀌는 과정을,그것도 결혼을 통해서 한 가정이 태어나는 것을 보여 주었지만 다른 곳에서는 한 사람의 삶이 마감되는 과정을 겪고 있었다. 이날 아침에는 말기 간암 판정을 받은 지 불과 한달 만에 불과 61세로 세상을 떠난 형제님이 있었다. 그는 다름이 아닌 우리 레지오 쁘레시디움의 부단장 자매님의 작은 시동생이었다. 얼마 전에 우리들이 병자기도를 하다가 며칠 전부터는 선종기도로 바뀐, 너무나 빨리 진행된 죽음의 과정을 목격한 것이다. 비록 짧은 고통을 겪게 되고, 주위 가족에게 오랜 고통을 주지 않은 것은 다행이지만, 그렇게 짧았던 이별의 시간은 어떠한가? 예전 같으면 60세가 넘었으니 우선은 살만큼 살았다고나 하겠지만 요새는 사실 빠른 죽음일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 그렇게 중요할까? 얼마큼 보람 있는 생을 살았는가가 더 중요하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예전에는 깊이 하지 못하며 살았다. 내가 오늘 죽으면 어떠할까? 보람이 있었을까? 알 수가 없지만 살아있는 만큼 동안은 ‘결사적’으로 ‘보람’을 만들며 살고 싶다.

 

Catholic Sunday

오늘 아침은 3주 만에 미국본당 Holy Family CC(Catholic Church) 에서 8시반 주일미사를 보았다. 그러니까 2주 계속 주일미사를 거른 셈이다. 레지오 화요일 주중 미사는 절대로 거르지 않아서 조금은 변명 감 있긴 해도 역시 주중의 ‘약식’ 미사와 주일의 ‘정식’ 미사는 느낌이 많이 다른 것이라서 역시 ‘손해’를 본 것은 우리들이다. 10월 초에 걸맞은 계절의 맛을 마음껏 내듯 아침 바깥 기온이 45도(섭씨 7도) 로 떨어져서 이건 완전히 춘추복의 날씨로 오랜만에 “넥타이만 없는 정장”으로 갈아 입었다.

Holy Family Fall Festival 2011
Holy Family Fall Festival 2011

2주 동안 못 본 낯익은 얼굴들, 비록 이름도 모르고, 본당 밖에서 따로 만난 적이 없어도,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다. 그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들의 얼굴이 안 보이면 조금은 신경이 쓰이기도 하니까. 오늘의 주보를 보니, 역시 10월의 상징인 (Halloween) pumpkin의 색깔로 가득하고 돌아오는 토요일 예정인 본당주최 Fall Festival 내용으로 그득하다 . 오늘은 주임신부님, Fr. Darragh (대라, common Irish name), 오늘 복음 말씀(마태오: 21:33-43)에서, “stewardship”을 주제로 삼아, 미사 이외의 본당활동에 더 적극 참여하라고 강조하시고, 숫제 volunteer form까지 모든 좌석이 비치해 놓으셨다. 각자가 가지고 있는 talent를 썩히지 말라고.. 그런 각자의 ‘재능’을 좋은데 쓰지 않으면 하느님께서 도로 가져간다고 거듭 강조하신다. 이런 말씀 많이 들었고, 나는 안다. 무슨 뜻인지..

생각해 보면 이 정든 ‘동네’ 본당에 내가 봉사를 할 것은 적지 않다. 하지만 현재 하나도 하는 것이 없고, 이것은 항상 갈등을 느끼게 한다. 이것은 오랜 동안의 영어문화권 직장을 떠난 후에 나타난 현상 중의 하나다. 역시 우리 같은 사람은 잔뼈가 굵은 곳의 언어문화권으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 본능일까? 이곳에 살면서 계속 겪던 문화적 혼동과 갈등이 결국 나중에는 이런 곳에서도 나타나는 것일까, 아니면 내가 조금 더 민감하게 느끼는 것일까.. 참 어려운 것이다. 아틀란타 한인 순교자 본당소속, 레지오에 입단한 이후, 조금씩 모국 문화권에 더 익숙해 지면서 이런 문화적, 언어적 갈등을 생각하게 된다. 문제는, 어떻게 나의 나머지 인생을 보내야 할까.. 너무나 멀어진 고국문화를 다시 배우며 살까, 아니면 더 영어권으로 들어가서 적극적으로 그들과 어울릴까.. 정답은 없다. 절대로 선택문제인 것이다. 어느 것이 더 나에게 보람을 느끼게 할까 에 달려있다. 

 

올 들어 처음으로 central heating system을 시험하는 날이 왔다. 아래층의 kitchen area에 앉아 있으려니 추울 정도라서 thermostat를 보니 67도.. heater로 스위치를 켰는데.. 잠잠.. 분명히 68도로 맞추었으니까 더운 바람이 잔잔하게 나와야 하는데, 아주 조용한 것이다. 직감적으로 아하! 아래층 furnace의 thermocouple을 새것으로 갈 때가 되었구나. 그러니까 thermocouple이 수명이 다 되면 pilot lamp가 꺼지고, fire(점화)가 안 되는 것이다. 요새의 furnace는 물론 거의 다 automatic firing mechanism을 가지고 있어서 이런 골치를 썩지 않아도 되지만 우리 것은 거의 20년 전의 것이라 이런 불편이 있다. 문제는 이 thermocouple이 생각보다 자주 교체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비싼 것은 아니지만, 이것을 새것으로 바꾸려면… 조금은 ‘기계적’인 머리도 필요하고, 그 우중충한 ‘지하’ 공간으로 기어 들어가다시피 해야 하는 그런 ‘남자의 일’인 것이다. 그래서 여자만 사는 집이라면 99% handyman을 $$을 주고 불러야 할 듯 한데 나의 우려는, 내가 먼저 죽으면 연숙이는 어떻게 이런 것들을 ‘고치며’ 살까.. 조금은 우습지만, 사실은 실제적인 문제다. 이런 것은 기계적인 것에 한하지 않고 우리 집에 거미줄처럼 깔려있는 computer network같은 것들.. 거의 자동적으로 돌아가지만, 문제가 생기면.. 생각만 해도 아찔하다.

 

며칠 전, 빛의 속도보다 빠른 물체를 실험으로 관측1을 했다는 기사를 보면서, 정말 오랜만에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을 추억과 함께 생각을 하게 되었다. 추억이란 물론 내가 처음 이 ‘기가 막히게 멋진 과학 이야기’ 들을 때의 기억이다. 우리 또래들은 이런 것들을 거의 대부분 책을 통해서, 그것도 ‘만화’를 통해서 접하고 배우게 되었다. 그 당시에는 교과서가 거의 유일한 지식의 원천이었다. 백과사전은 나오지도 않았고, 나왔을 때는 너무 비싸서 ‘월부’로 사기도 힘든 때였다. 라디오에서 이런 것을 가르쳐 줄 리는 만무하고, TV는 없었을 때였다. 나도 역시 만화에서, 그것도 ‘공상과학’ 만화에서 처음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원리라고 해서 듣고 배우게 되었다. 그때 내가 느낀 것은 과장되게 표현해서 ‘소름이 끼칠’ 정도였다. 그 만화에서 상대성원리의 결과로 보여 준 것이 이런 것이었다. 두 형제가 있었는데 그 중 한 명이 빛의 속도로 나르는 로켓을 타고 여행을 떠난다. 몇 년 뒤에 그는 지구로 돌아왔는데, 그 때는 이미 지구시간은 수만 년이 지난 후여서 그의 가족 뿐만 아니라 지구 전체가 완전히 바뀐 뒤였다. 이것은 광속도에 접근하는 로켓(과 그 안의 사람)에서 시간이 아주 느리게 흐른다는 사실에 근거를 한 것으로, 이론상으로는 문제가 없는 공상이었다.

이런 식의 이야기는 상당히 충격적이었는데, 중학교 2학년 가회동에 살 당시, 같은 집에서 자취를 하던 경기고교 생 양병환 형으로부터 이런 류의 이야기로 밤을 새우기도 했다. 그 중에 하나가, 우리의 과거를 볼 수 있다는 역시 조금은 소름 끼치는 이야기도 있었다. 도저히 이해는 안 갔지만 이론적으로는 역시 큰 문제가 없었다. 이 이야기의 함정은, 우리가 우리의 과거를 본다는 것이 아니고 다른 사람이 나의 과거를 본다는데 있었다. 가령 예를 들어서 지구에서 10광년 떨어진 별에서 거대한 망원경으로 지구를 보면 10년 전의 지구가 보일 것이고, 10년 전의 우리들을 볼 수 있을 것이 아닌가? 전혀 문제가 없었다.
그런 이야기들을 들으며 대학 1학년 때, 드디어 흥분의 순간이 왔다. 대학 물리시간에 특수 상대성 이론이 나온 것이다. 이것은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그대로 다룬 것인데, 조금 충격적이었던 것은, 그 이론은 전혀 ‘어렵지’ 않아 보인 것이다. 그러니까 그 이론에서 쓴 수학들이 정말 그다지 어려운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심지어 너무나 ‘간단’ 했던 것이다. 그곳에 상대성원리의 매력이 있었을 것이다. 우주의 법칙은 절대로 ‘복잡’하면 안 된다는 아인슈타인의 지론이 그것이다. ‘하느님의 법칙’ 은 의외로 간단한 것이다. 예를 들어서 에너지의 공식을 보라. E=mc2 이렇게 간단한 공식이 어디 있는가? 이런 이론들을 과학적 증명이 거의 없이 ‘발명’한 그는 한마디로 천재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 후 100년 동안 그의 이론은 거의 실험으로 하나하나 ‘직접, 간접적’으로 증명이 되고 있다. Gutenberg.org의 도움으로 아인슈타인의 원래 저서 ‘상대성 원리’를 download해서 보았다. 역시 비교적 내용이 길지 않은 책이었다. 위대한 저서는 이런 식으로 의외로 간단해 보이는가? 비록 독일어를 영어로 번역을 한 것이지만 아인슈타인의 ‘냄새’가 여기저기서 나는 위대한 책이다. 시간이 나면 한번 녹슨 머리를 굴려가며 다시 한번 읽어 보리라. 어렸을 때와 다른 것은 이제는 ‘하느님의 작품인 거대한 우주’ 라는 framework을 염두에 두고 있기에 그 때와 같이 방황하지는 않으리라.

 

  1. 아마도 이것은 quantum entanglement 실험을 말하는 것은 아니었을까?

천천히 바뀌는 천주교 영어미사

Holy Family's Fr. Stewart's guide to 'changing Mass'
Holy Family CC Fr. Stewart’s guide to ‘changing Mass’

8월의 마지막 일요일을 맞는다. 다른 쪽에서는 허리케인 아이린 으로 떠들썩 하지만 이곳은 거짓말처럼 파~란 하늘에 가을기분의 따가운 햇볕이 작열을 하는 한가한 느낌의 일요일.. 우리 집의 ‘숙명의 적’ pet duo 토우비(Tobey, dog)와 이지(Izzie, 고양이) 를 보아도 한가한 느낌을 받는 것이, 둘 다 완전히, 절대적으로 ‘평화롭게’ 낮잠에 떨어진 모습이 정말로 한가한 느낌을 주는 것이다. 나에게는 이런 한가한 순간들도 ‘좋아하는 시간’에 속한다.

오늘 일요일의 미국본당 미사에서는 올해의 대림절 (교회력 신년의 시작, 올해는 11월 27일)부터 부분적으로 바뀌게 되는 영어 미사의식에 대한 설명이 시작되었다. 정확히 말하면 미사의식이 바뀌는 것이 아니고 미사의식에서 하는 문구(text) 들이 바뀌는 것이다. 현재 영어 미사는 1975년부터 사용된 것이라고 하니까, 상당한 기간 신자들이 쓰던 것이라 이것이 조금이라도 바뀌게 되면 아무래도 처음에는 불편할 것이다. 문제는 “왜” 바꾸어야 하는가에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것은 바티칸 교황청에서 지시를 한 것이 아니고, 그 동안 쓰던 영어미사의 ‘결점’을 보완하려고 문구를 원래 ‘라틴어 미사의 정신’에 더 가깝게 번역을 한 것이었다. 그러니까 원래의 ‘영어번역’에 문제가 있다고 본 것이고, 그것을 늦었지만 바꾼 것이다. 나의 의문은 그러면 다른 언어, 예를 들면 한국어 미사는 어떻게 된 것인가 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그곳이 영어로부터 번역을 한 것이었다면 그쪽도 바꾸어야 할 것인데, 들은 바에 의하면 아마도 한국말 미사는 이미 바뀌었다고 들은 것 같다. 현재 이곳의 한국본당,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에서는 이미 바뀐 것을 쓰고 있을 듯한데, 현재 우리가 주일미사를 그곳으로 가지를 않아서 100% 확실치는 않다.

라틴어 미사는 1970년에(그 훨씬 전에 있었던 바티칸 2차 공의회(the Second Vatican Council, 1963)의 정신에 의해서) 바뀐 이후 한번도 바뀌지 않았다. 그리고 조금 놀라운 사실은, 1970년 이전에는 세계적으로 모두가 라틴어로 미사를 드렸다고 한다. 어떻게 그 어려운 라틴어로 미사를 보았는지 상상하기는 힘들지만 그것은 사실이었던 모양이다. 그러니까 한국에서도 그때는 라틴어를 쓴 것이다. 영어와 라틴어는 그 근원이나 비슷하지만 한국과 같이 ‘전혀 다른 계통의 언어권’ 에서는 어떠했을까? 하지만 역시 중요한 문제는 어떻게 ‘현지 언어’가 원래 라틴어의 ‘정신’을 충실하게 전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인데, 참 어려운 작업이었을 것이다.

모든 것을, ‘천천히, 재미있게’ 하려는 미국 천주교인들, 이것도 ‘응석을 부리면서’ 9월부터 조금씩 ‘연습’을 하면서 목표인 대림절까지 갈 모양이다. 9월 초부터 일주일에 ‘한가지 씩’ 을 ‘연습’해 보는 것이다. 자세히 보면 크게 바뀐 것도 아니던데 이렇게까지 하는 것을 보면 참 본 받을 만하다.

 

 

Changes in the People’s Parts    
PART OF MASS OLD TEXT NEW TEXT
Greeting  Priest: The Lord be with you.
People: And also with you.
Priest: The Lord be with you.
People: And with your spirit.
Penitential Act,Form A (Confiteor)   I confess to almighty God,and to you, my brothers and sisters, that I have sinned through my own fault in my thoughts and in my words, in what I have done, and in what I have failed to do;        
and I ask blessed Mary, ever virgin, all the angels and saints, and you, my brothers and sisters, to pray for me to the Lord our God.
I confess to almighty Godand to you, my brothers and sisters, that I have greatly sinned  
in my thoughts and in my words, in what I have done and in what I have failed to do,
through my fault,
through my fault,
through my most grievous fault; therefore I ask blessed Mary ever-Virgin,
all the Angels and Saints, and you, my brothers and sisters, to pray for me to the Lord our God.
Penitential Act,Form B Priest: Lord, we have sinned against you: Lord, have mercy.
People: Lord, have mercy.
Priest: Lord, show us your mercy and love. People: And grant us your salvation.
Priest: Have mercy on us, O Lord.
People: For we have sinned against you.
Priest: Show us, O Lord, your mercy.
People: And grant us your salvation.
Gloria  Glory to God in the highest,and peace to his people on earth.  
Lord God, heavenly King, almighty God and Father, we worship you, we give you thanks, we praise you for your glory.    
Lord Jesus Christ, only Son of the Father, Lord God, Lamb of God,  
you take away the sin of the world: have mercy on us;      
you are seated at the right hand of the Father: receive our prayer.  
For you alone are the Holy One, you alone are the Lord, you alone are the Most High, Jesus Christ, with the Holy Spirit, in the glory of God the Father. Amen.
Glory to God in the highest,and on earth peace to people of good will.  
We praise you, we bless you, we adore you, we glorify you, we give you thanks for your great glory, Lord God, heavenly King, O God, almighty Father.  
Lord Jesus Christ, Only Begotten Son, Lord God, Lamb of God, Son of the Father,
you take away the sins of the world, have mercy on us;
you take away the sins of the world, receive our prayer;  
you are seated at the right hand of the Father, have mercy on us.    
For you alone are the Holy One, you alone are the Lord, you alone are the Most High, Jesus Christ, with the Holy Spirit, in the glory of God the Father. Amen.
At the Gospel Deacon (or Priest): A reading from the holy Gospel according to N.People: Glory to you, Lord. Deacon (or Priest): A reading from the holy Gospel according to N.People: Glory to you, O Lord.
Nicene Creed  We believe in one God,the Father, the Almighty, maker of heaven and earth, of all that is seen and unseen.    
We believe in one Lord, Jesus Christ, the only Son of God, eternally begotten of the Father,    
God from God, Light from Light,
true God from true God, begotten, not made, one in Being with the Father.
Through him all things were made.
For us men and for our salvation he came down from heaven:
by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he was born of the Virgin Mary, and became man.
For our sake he was crucified under Pontius Pilate;
he suffered, died, and was buried.
On the third day he rose again in fulfillment of the Scriptures;
he ascended into heaven and is seated at the right hand of the Father. He will come again in glory to judge the living and the dead,
and his kingdom will have no end.    
We believe in the Holy Spirit, the Lord, the giver of life, who proceeds from the Father and the Son.
With the Father and the Son he is worshiped and glorified.
He has spoken through the Prophets.  
We believe in one holy catholic and apostolic Church.
We acknowledge one baptism for the forgiveness of sins.
We look for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and the life of the world to come. Amen.
I believe in one God,the Father almighty,
maker of heaven and earth, of all things visible and invisible.  
I believe in one Lord Jesus Christ, the Only Begotten Son of God,
born of the Father before all ages.  
God from God, Light from Light, true God from true God, begotten, not made,
consubstantial with the Father; through him all things were made.
For us men and for our salvation he came down from heaven, and by the Holy Spirit was incarnate of the Virgin Mary,
and became man. For our sake he was crucified under Pontius Pilate,
he suffered death and was buried, and rose again on the third day in accordance with the Scriptures.
He ascended into heaven and is seated at the right hand of the Father. He will come again in glory to judge the living and the dead and his kingdom will have no end.  
I believe in the Holy Spirit, the Lord, the giver of life, who proceeds from the Father and the Son,
who with the Father and the Son is adored and glorified,
who has spoken through the prophets.  
I believe in one, holy, catholic and apostolic Church.
I confess one baptism for the forgiveness of sins
and I look forward to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and the life of the world to come. Amen.
Apostles’ Creed I believe in God,the Father almighty, creator of heaven and earth.  
I believe in Jesus Christ, his only Son, our Lord.
He was conceived by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and born of the Virgin Mary.
He suffered under Pontius Pilate, was crucified, died, and was buried.
He descended to the dead. On the third day he rose again.  
He ascended into heaven, and is seated at the right hand of the Father.
He will come again to judge the living and the dead.    
I believe in the Holy Spirit, the holy catholic Church,
the communion of saints, the forgiveness of sins,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and the life everlasting. Amen.
I believe in God, the Father almighty,
Creator of heaven and earth,  
and in Jesus Christ, his only Son, our Lord,
who was conceived by the Holy Spirit,
born of the Virgin Mary, suffered under Pontius Pilate,
was crucified, died and was buried; he descended into hell;
on the third day he rose again from the dead;  
he ascended into heaven, and is seated at the right hand of God the Father almighty;
from there he will come to judge the living and the dead.  
I believe in the Holy Spirit, the holy catholic Church,
the communion of saints, the forgiveness of sins,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and life everlasting. Amen.
Invitation to Prayer  May the Lord accept the sacrifice at your hands
for the praise and glory of his name, for our good,
and the good of all his Church.
May the Lord accept the sacrificeat your hands
for the praise and glory of his name,
for our good and the good of all his holy Church.
Preface Dialogue  Priest: The Lord be with you.
People: And also with you.
Priest: Lift up your hearts.
People: We lift them up to the Lord.
Priest: Let us give thanks to the Lord our God.
People: It is right to give him thanks and praise.
Priest: The Lord be with you.
People: And with your spirit.
Priest: Lift up your hearts.
People: We lift them up to the Lord.
Priest: Let us give thanks to the Lord our God.
People: It is right and just.
Sanctus  Holy, holy, holy Lord, God of power and might.
Heaven and earth are full of your glory.
Hosanna in the highest.
Blessed is he who comes in the name of the Lord.
Hosanna in the highest.
Holy, Holy, Holy Lord God of hosts.
Heaven and earth are full of your glory.
Hosanna in the highest.
Blessed is he who comes in the name of the Lord.
Hosanna in the highest.
Mystery of Faith(formerly the Memorial Acclamation)  Priest: Let us proclaimthe mystery of faith:  
People: A – Christ has died, Christ is risen, Christ will come again.    
or B – Dying you destroyed our death, rising you restored our life. Lord Jesus, come in glory.    
or C – When we eat this bread and drink this cup, we proclaim your death, Lord Jesus, until you come in glory.    
or D – Lord, by your cross and resurrection, you have set us free. You are the Savior of the World.
Priest: The mystery of faith.   
People: A – We proclaim your death, O Lord, and profess your Resurrection until you come again.  
or B – When we eat this Bread and drink this Cup, we proclaim your death, O Lord, until you come again.  
or C – Save us, Savior of the world, for by your Cross and Resurrection, you have set us free.
Sign of Peace Priest: The peace of the Lordbe with you always.
People: And also with you.
Priest: The peace of the Lordbe with you always.
People: And with your spirit.
Invitation to Communion  Priest: This is the Lamb of Godwho takes away the sins of the world. Happy are those who are called to his supper.
All: Lord, I am not worthy to receive you,   but only say the word and shall be healed.
Priest: Behold the Lamb of God,behold him who takes away the sins of the world. Blessed are those called to the supper of the Lamb.
All: Lord, I am not worthy that you should enter under my roof, but only say the word and my soul shall be healed.
Concluding Rites  Priest: The Lord be with you.
People: And also with you.
Priest: The Lord be with you.
People: And with your spir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