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other First of May

원서동 죽마고우들, 또 일 년이 흘렀구나..

이제는 꿈에서조차 보이지 않는 친구들아!  용현아, 창희야, 잘들 살아 있는가? 이제 다시 연락이 되는 기적이 일어난다고 해도, 우리들 혹시 못 알아 보는 것은 아닐까? 거울을 보기가 무서운 것, 내가 너무 민감한 것은 아닐까? 아~ 내가 무슨 걱정을 하고 있는 것인가?  그런 것이 무슨 상관이란 말인가?
친구들아,  작년 5월 1일 이후 또 일년이 흘렀구먼~ 일년? 허~ 하지만 일년이 세월의 축이 끼기라도 하는가?  하지만 그 짧은 일년 동안이었어도  꽤 일들이 모이고 쌓이고 해서 몇 가지는 알려주고 싶구나.

지난 해에는 둘째 손주를 보아서 이제는 명실공히 진짜 할아버지가 되었다. 할아버지 역할, 노릇을 하는 것도 이제는 조금 익숙해졌고, 제법 즐길 줄도 알게 되었고.. 역시 이런 인간사는 다 자연적으로 풀리는 것인 모양이야. 너희들은 지금 손주들 상황이 어떤지 전혀 알 수는 없지만 아마도 나와 비슷한 것은 아닐지.
너희들도 알다시피 작년 이후 제일 큰 세상의 변화는 역시 Pandemic이 거의 뉴스에서 사라지고 대신 Putin 괴물의 출현이 아닐까? 그것과 더불어 끊임없이 설치고 있는 다른 괴물 Trump의 정치변수 정도. 너희는 정치에 관심이 별로 없을 듯 보이지만 만만치 않는 나이 탓으로 별수없이 정치동물이 되어 있을지도 모르겠구나. 하지만 정도껏 하는 것이 건강에 좋다는 것 잊지 마라. 나도 가끔 지나친 흥분을 하며 심장에 무리를 주고 있지만 어느 정도 자제를 하며 살고 있으니까…
또 일년 동안 어떤 변화가 있었는가… 열심히 봉사를 하며 살 수 있는 여건을 거의 10여 년 동안 주었던 순교자 성당 (특히 레지오 마리애), 여러 가지 사정 (역시 인간관계) 으로 하나 둘씩 역할을 내려놓게 되었지. 나이를 탓할 수도 있지만 역시 인간관계의 변수는 예측할 수가 없더군. 조금 참을성을 가졌다면 더 버틸 수도 있었지만, 이제는 피곤하구먼… 피곤해.. 그래도 그 시절이 그리운 것은 이제 괴로움으로 남게 되고…

아~ 그래도 우리들의 시절만 생각하면 이런 현재의 관심사들은 다 사라진다. 그 시절은 무조건 살맛이 넘치던 시절이 아니었던가? 그 몇 년의 세월들을 잊을 수가 없으니, 이것도 나의 병인데, 너희들은 나와 다를지도 모르지. 그 시절의 절정은 1970년 4월부터 5월 사이가 아닐까? 그래서 5월 1일을 잊을 수도 없고… 봄이 한창 올라오던 그 해 4월 중순, 잔설이 깊이 쌓여있던 지리산 능선을 어찌 꿈속에서조차 잊겠니?  데모 덕분에 등산을 시작했던 그 시절, 요델 산악회 창희 덕분이었지. 나와 용현이는 그저 창희의 멋진 등산실력을 따라갔던 것 뿐이야.  아련하고 아름답던 1970년 봄, 봄, 봄… 

 

Memorial Day, No Barbecue…

 

¶  Memorial Day, No Barbecue… ‘비공식적인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5월 마지막 월요일 Memorial Day를 조용히 맞는다. 아직도 코로나 사태의 무게를 느끼며 맞는 여름시작의 휴일.  가족 이외의 그룹이 모이는 것도 조심스러운 상태. 기억으로 이날은 가족끼리 아니면 우리 둘이라도 deck에서 barbecue grill을 하고 beer를 마시던 추억들이 남지만, 올해는 아무런 계획 없이 let it be 하는 심정으로 이날을 맞는다.

연숙이 조금 피곤한 듯, 오늘은 나 혼자서 걸었다. 코로나사태 이후로 이 산책 길에서 새로운 얼굴들, 특히 비교적 젊은 가족들을 많이 새로 보게 된다. 우리 동네가 훨씬 젊은 느낌을 주는 듯해서 반갑지만, 다른 쪽으로 생각하면 이렇게 해서 우리 같은 ’60/70/80 세대’는 서서히 사라져가는 느낌, 그야말로 never die, just fade away..의 심정인 것이다.

 

¶  顯忠 斷想  성조기 Stars & Stripes 가 유난히 많이 눈에 띄는 subdivision 산책길을 가면서, ‘현충 顯忠’이란 의미를 생각한다.  현충, ‘두드러진 충렬 忠烈, 충렬을 높이 드러냄’. 구체적인 의미로 이것은  국가, 나라를 지키기 위해 싸우다 숨진 사람들의 충렬을 기리는’것이다. 미국의 현충일이 바로 오늘 Memorial Day인데, 날짜가 5월 말에 있어서 더운 여름의 기후와 맞물린 휴일이고 보니, 바람직한 엄숙함보다는 휴일의 한가함이 더욱 드러나는 그런 날이기도 하다.

나라를 위해 싸운다면 전쟁을 겪은 군인들이 제일 먼저 손꼽힌다. 나는 대한민국의 국민으로 태어났지만 애석하게도 군대나 군인의 근처에도 못 가 보았다. 호적상의 이유로 그렇게 되긴 했고, 그 젊었던 시절에는 하나의 ‘공짜, 혜택’으로 받아 들였다. 당시의 사회적 여건으로 보아서 군대 안 가거나 못 가는 것, 그렇게 흠이 될 것이 아니어서 두 번 다시 생각을 안하며 살았지만, 사실은 주변에 흔히 보는 재향군인들을 보면 부끄러워진다. 이유여하를 막론하고 그들은 나라에 제일 중요한 충성을 한 것임을 너무나 잘 알기 때문이다.

이와 연관되어서, 두 나라에 충성을 하는 것, 언제나 머릿속 깊은 곳에서 나의 의식을 건드린다. 이곳의 또래들이 대한민국을 걱정하는 데 너무 열을 올리다 보면 반드시 이 문제가 걸린다. 미국과 한국의 이해가 반드시 일치하는 것도 아니고, 장래에는 더욱 그럴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이럴 때 어떻게 ‘충성의 선택’을 할 것인가? 간단치 않다.

 

¶  주일미사 미사강론과 공지:  어제는 그리스도교회가 탄생된 ‘성령강림 대축일 Pentecost Sunday‘ 일주 전으로 ‘주님승천 대축일 The Ascension of the Lord‘이었다. 부활주간이 서서히 물러가며 4번의 대 축일이 이어진다. 교회 전례력에서 일년 중 가장 중요한 축일들이 시작된 것이다. 올해는 예외 중의 예외로 모든 것들이 비공식적 전례로 바뀐 것이다. 어떻게 그 놈의 ‘우한바이러스’는 이런 때에 이곳에 들어온 것인가? 우연일 듯도 하고 아닐 듯도 한 것이다.

성경에 의하면 글자 그대로 보면, 제자들이 보는 앞에서 예수님이 ‘하늘로 올라갔다’ 고 나온다. 이것을 과연 우리는 어떻게 해석을 할 것인가? 어떤 영화를 보면 글자 그대로 구름 속으로 둥둥 떠오르는 것을 묘사한 것도 있었다. 소위 깨었다는, 이성적, 과학적이라는 인간들은 그런 것들을 ‘고대적 신화’라고 재미있게 조롱하곤 한다. 나도 그랬으니까..  과연 그럴까? 과연…  정말 확실히 그 묘사가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그 ‘과학적 방법’으로 ‘확실히’ 증명할 수 있는가? 의심의 여지는 없는가? 이것이 믿음의 관건이다.

이날 공지사항에서는 대교구의 ‘대교구 미사 제한적 재개’ 방침이 알려졌고 순교자 성당도 5월 30일 토요일 특전미사부터 공식 재개가 된다고 했다. 하지만 제한조건이 꽤 심각한 것으로, 관건은 이 조치를 보조할 ‘(자원)봉사자’들이 확보되는 것이었다. 매 미사 때마다 봉사자가 점검이 되고 안 되면 미사를 할 수 없다는 것이 골자였다. 미사 참례인원 100명 이내로, 모든 미사 외의 모든 활동 중지… 미사 중 신자들은 소리를 낼 수가 없다… 등등.. 이것이 소위 말하는 제1단계 미사재개의 모습이다.

이제 우리는 선택을 할 때가 온 듯하다. 우선은 6월 달 동안은 온라인 미사를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고, 예외적으로 가끔 성당엘 가는 것은 OK, 정도로 의견을 모았다.

 

¶  HP P1102W: Saved by the bell:   얼마 전에 갑자기 ‘죽어버린’ 우리 집의 main laser printer HP P1102W, 근래에 들어서 hard copy print를 할 일이 거의 없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불편할 수 있는 노릇이 아닌가? Backup printer로 Color Inkjet printer가 있긴 하지만 그것은 Ink값이 장난이 아니라서 또한 불편하다.  이런 기회에 종이의 양면을 자동적으로 print 할 수 있는 Automatic Duplexer가 있는 것을 장만하면 어떨까 하고 Brother Printer를 Amazon에서 사게 되었다. 값이 상당히 저렴해서 자세히 보니 역시 reconditioned 인 것, 그러니까 return된 것을 다시 test해서 파는 것이었다. 물론 나에게 그런 것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문제는 printer를 받아보니… 이럴 수가? Toner cartridge를  printer에 넣으려니 들어가지를 않는 것이었다. 혹시나 맞지 않는 toner를 보냈나 하고 자세히 보았지만 그것은 맞는 toner였다. 그렇다면? Printer를 자세히 살펴보니… 와~ 해체를 했다가 다시 조립한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 한마디로, ‘찌그러진’ 상태로 조립을 했던 것이다. 어떻게 이럴 수가? 이제는 대 大 Amazon의 quality control도 못 믿게 되었다. 이런 적은 아마도 나의 기억에 한 번도 없었다. Toner가 들어가지 않을 정도로 엉망으로 재조립을 했다는 사실에 놀라고 놀랍기만 하다. 당장 return process를 시작하고 UPS에 갖다 주면 끝나지만 Amazon에 대한 신뢰감이 떨어진 것은 분명하다.

 

버려지기 일보 직전에 구출된 정든 printer

 

다시 printer를 order하려는 와중에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Not So Fast… 갑자기 죽어버린 printer가 왜 ‘갑자기, 조용히’ 죽었는지 이유를 알고 싶었던 것이다. 거의 쓰레기통에 들어가기 전에 분해를 하려고 애를 썼는데… 이것, 유난히도 어려워서 포기하였고, 마지막으로 한번 다시 전원을 켰는데…..  이 사실도 믿을 수가 없다. 그 printer가 다시 살아난 것이다! 완전한 상태로… 내가 죽었다고 판정을 내린 것이 시기상조가 아니었을까? 한마디로 그것은 ‘가사상태, 죽은 듯이 보인 것’ 뿐이었다. Power system도 요새는 많이 digital circuitry화 되어서 어느 정도 ‘기억’을 하기에 만의 일의 사태에 이렇게 완전히 power system이 lockup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나의 불찰은, 그것을 좀 더 오래 두고 보아야 했다.

결과적으로 괜히 돈을 쓸 필요는 없어졌지만 그래도 내가 원하던 Automatic Duplex printer는 물 건너가게 되었다. 또한 한때 죽은 것처럼 보였던 정든 printer가 생명체라고 했다면 어땠을까? 그러니까 죽지도 않은 사람을 관속에 묻기 일보 직전에 살아있음을 알고 구해내는 것, 이것이 바로 Saved by the bell의 그림이 아닌가?

오래 전만 해도 의학기술의 미비로 사람이 죽었다고 판정을 내리는 것,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니었을 때, 가사 假死 comatose 상태의 사람을 생매장 했을 수도 있는 것이었다. 나중에 관을 열어보았을 때 어떤 관 속에는 나오려는 흔적들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나중에는 관 안에서 밖으로 연결된 종을 달아놓고 의식이 돌아오면 그것으로 ‘살려줘!’ 하고 알렸다는 얘기, 그것이 바로 Saved by the bell… 이번에 나의 정든 오래된 printer가 바로 그런 case였다. 미안하다, 나의 정든 printer야!  너의 수명이 진정으로 다 할 때까지 사랑으로 돌보아 주고 마지막 예우를 다해 줄게… 

다른 한편으로,  이말 Saved by the bell 은 1969년 Bee Gees에서 solo가 되어 부른  Robin Gibbs의 single hit song이기도 했다.  잠시 그 당시 이 노래에 심취했던 ‘황금의 청춘’ 시절을 회상할 기회가 되었다.

 

 

Saved by the bell, Robin Gibbs, 1969

 

 

Monday Monday..

Monday Monday..   7 일마다 찾아오는 월요일은.. 예전에 그렇게 싫기만 했던 요일이기도 했다. 이런 느낌은 나 만의 전유물은 절대로 아닐 듯 하다. 특히 Monday morning 이란 것, disease라고까지 표현을 했으니 상당히 stressful한 날인 것임은 틀림 없는 모양이다. 오랜 직장 생활에서 나도 상당히 이 날 아침에 sick call을 남용했던 기억이 남고,  남은 여생 두고 두고 후회를 하고 있다. 그런 dreadful Monday가 인생후반기인 현재에 와서는 golden day로 바뀌어가고 있으니 내가 변한 것인지 환경이 변한 것인지, 나이가 변해서 그런 것인지.. 모르지만 아마도 이런 것들 모두가 나의 느낌을 바꾸어 놓고 있을 것 같다.  Monday Monday.. 하면 같은 제목의 1966년 Oldie 가 생각나고, 그 곡을 처음 들었던 연세대 앞 신촌 로타리에 있었던 ‘왕자다방‘이 생각나곤 한다. 그 때가 1967년 봄이었으니.. 정확히 50년, 반세기 전이었다. 정말 50년의 세월이란… 그 느낌을 글로는 묘사할 수가 없으니 답답하기만 하다.

 

The Mamas & the PapasMonday Monday – 1966  

 

Strange but refreshing Monday feeling… ahhha..  it’s over finally!  왜 이렇게 이번 월요일 ‘우리’의 어깨가 가볍게 느껴진 것인가? 2주 만에 처음으로 YMCA gym에 가서 모든 것들이 ‘정상’으로 돌아왔다는 이상한 느낌도 도움이 되었고, 어제 일요일에 일어난 (아니, 안 일어난?) 일들도 무척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어제 일요일은  ‘레지오 연차 총 친목회’가 있는 중요한 날이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의 ‘무대공연’은 cancel이 되었고 아예 그곳에 가지도 않았다.

6년 동안 빠짐없이 참가했던 이 행사가 우리로부터 떠난 것은 아마도 두고두고 우리의 앞날을 예측해주는 omen 처럼 느껴지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너무나 시원한’ 느낌을 받아서.. 솔직히 아직도 머리가 정리되지를 않았다. 아마도 이런 것은 아닐까… ‘이제 레지오가 지겹다…’하는 것은 아닐까? 연총 불참의 직접적인 이유는 한 두 단원이 갑자기 아팠던 것이었지만 행사 자체를 불참한 것은 더 심각한 이유가 있었음을 우리는 다 안다. 그것이 현재 우리가 속한 ‘꾸리아 조직’의 암적인 문제인 것이다.

 

feast of flowers

내가 예전에 알았고 사귀었던 그 모두들 어디로 갔나? 가끔,  이런 생각을 하며 특히 그들이 완전히 나에게서 사라졌다는 사실에  놀란다. ‘모두들 다 어디로 갔나?’ 하는 생각.. 오랜 세월 동안 서서히 나에게 보이지 않게 된 것들, 그 중에서도 특히 사람들.. 그들이 나의 옆에 없음에 소스라치게 놀라는 경험이다. 이것은 Charles Dickens의 holiday classic, A Christmas Carol 에서 Scrooge가 Spirit of Christmas Past를 따라서 자기의 과거로 돌아갔을 때의 경험이라고나 할까? 나 정도의 나이가 되면 사실 모두들 그런 경험을 조금씩 하지 않을까? 그런 생각들은 역사 고금을 통해서 짧지 않은 과거를 가지게 된 사람들이라면 다들 겪을 듯 싶지만 나는 더 예민하게 느끼는 모양인데 이런 경험과 생각들이 때로는 아주 괴롭기까지 하다.

이런 생각과 비슷한 ‘내용,가사’를 가진 folk song이 있다. 그것이 바로 Pete Seeger의 1960년대 초 hit song인 Where have all the flowers gone? 이란 노래다. 처음에 2절이던 곡이 나중에 3절이 더해져서 무려 5절이나 되는 긴 노래이지만 사실은 아주 간단한 ‘구성’이다. 처음에 flowers로 시작되어 마지막도 flowers로 끝난다. 그 동안 이 flowers가 주인을 옮기는 과정이 5절에 걸쳐 나온다. 처음에 flowers가 young girls로, young girls가 husband(man)로, husband(man)이 soldiers로, soldiers가 grave yard로, grave yard가 결국 flower로 돌아온다는.. 불교의 윤회설을 연상시키는, 인생의 여정을 생각하게도 만드는 곡으로 1960년대에는 월남전과 어울려 반전 反戰 곡으로 크게 각광을 받았던 불후의 classic이 되었다.

내가 이 곡을 알게 된 때도 바로 1960년대의 war protest song 시절이었다. 그리고 처음에는 pop chart에 올려놓은 Kingston Trio의 경쾌한 곡으로 들었지만 나중에 이 곡의 원조인 Pete Seeger의 banjo 반주로 된 것을 듣고 역시 그의 것이 이 곡의 진정한 정신을 보여주는 것임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이 곡은 수 많은 국제적인 가수들이 불렀고 record로 취입을 했다. 그 중에도 Johnny RiversSearchers 것은 완전히 Go go style로서 옆에 있으면 춤이라도 추어야 할 듯하게 경쾌하기만 하다. 나머지 것들은 그 가수 나름대로 ‘해석’을 잘 한 듯해서 모두 천천히 감상을 하면 이 곡의 ‘진수’를 맛 볼 수 있다. 개인적으로 나의 마음에 드는 것을 뽑으라면.. 글쎄 아마도 60년대 대표적 folk, rock stars 였던, Kingston TrioJohnny Rivers 가 아닐까..

 

 

 

 

 

 

 

afternoon delight, Krispy Kream..

perfect combo: donuts, coffee & banana

perfect combo: donuts, coffee & banana

 

요즈음 우리가 가는 supermarket: KrogerPublix같은 곳엘 가면 나의 눈에 아주 편안하게 들어오는 것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Krispy Kream donut box 들이다. 단맛 때문일까.. 아니면 부드럽게 느껴지는 혀끝의 맛 때문일까, 아니면 이것과 곁들여 떠오르는 향기 가득한 ‘새카만’ dark black coffee ‘맛의 모습’ 때문일까? 몇 년 전에 donuts을 먹고 배탈로 며칠을 고생한 이후 이것만은 피하며 살았지만 그런 기억도 희미해 진 요즈음 다시 이 ‘단맛과 coffee’의 유혹은 피할 수가 없는 것이었다. 이곳에서는 전통적으로 도넛은 거의 이른 아침에 먹지만, 그런 ‘직장 생활’ 시절이 다 지나간 요새, 나는 이것을 거의 혼자 먹는 ‘점심 후 간식’으로 즐긴다. 특히 hazelnut coffee 같은 것을 곁들이면 이것은 나에게 진정한  afternoon delight라고 할 수 있다. 그러다가 afternoon delight이란 말이 귀에 익은 말이고.. 이 말은 오랜 전의 hit  pop song, 노래 제목 임까지도 기억을 해냈다.

태고(太古) 적.. 이런 말이 아직도 쓰이는지.. 그러니까 까마득히 오래 전 이런 제목의 popular tune이 있었고 사실은 그 tune의 일부분은 생생히 기억한다. 누구의 노래였던가.. 이런 것으로 기억력 test하기 좋은가? 우선, 1970년대라는 것은 분명하다. vocalist도 분명히 ‘남자’ 였고… Sebastian이란 이름도 연관된 이 group은 누구인가? 아하! John Sebastian이었던가?  그 다음은 아주 깜깜해진다. googling, youtube’ing time 이 되었다. 결과는 .. 실망적인 나의 기억력. 1970년대는 맞았지만 vocal group이 완전히 틀렸다. vocalist는 남자와 여자가 반반이 섞인 4인조 Starland Vocal Band였다. 내가 왜 John Sebastian과 혼동을 했는지 분명치 않다. 이 두 artists들은 모두 1976년 경에 활동을 했는데 그 당시의 추억이 이제는 까물거리는 ‘태고’가 되어가나 보다. 더 추억을 더듬어 보니.. Afternoon Delight란 노래는 주로 radio를 통해서 들었고, John Sebastian의 귀에 익숙한 노래였던 Welcome back 은 같은 때, TV sitcom ‘Welcome back Kotter‘의 주제곡으로 들었음이 밝혀진다. 이 추억들은 모두 1976년 경.. West Virginia 에서 학교 다니던, 비교적 미성숙한 총각이었던 꿈같은 시절이었다. 나이가 많아지니까 머릿속이 온통 ‘추억거리’로 가득 차면서 가끔 조금 한가한 오후에는 이렇게 ‘유치한, 말도 안 되는’ daydreaming을 즐기기도 한다. 이런 것이 나이 먹음의 즐거움 중에 하나일지도 모른다.

 

 
Afternoon Delight – Starland Vocal Band – 1976

 

 
Welcome Back – John Sebastian -1976

Two Poets

50대 초에 처음으로 시의 세계에 눈이 뜨이면서, ‘오래 살고 볼 것이다..’ 라는 생각도 할 정도로 나는 나의 ‘변신’에 놀라기만 했다. 소설이나 역사라면 조금 그렇다 할 지라도, ‘시’라면 나에게는 정말 hell no 였다. 이것과 비슷한 종류 중에는 opera가 또 있는데, 이것은 ‘아직도’ hell no 의 영역에 속한다. 이제 살만큼 살았으니 ‘오래 살고..’ 어쩌구.. 는 빠른 속도로 멀어져 가기만 한다. 시의 세계는.. 한마디로 ‘상상의 여지’를 너무나 많이 주고 있어서 나에게 appeal하는 지도 모른다.

얼마 전에 ‘우연히’ 서로 전혀 상관도 없고 반대편의 세계에 있는 두 시인의 세계를 접하게 되었다. 하나는 서울을 중심으로 만주 용정과 일본 등, ‘3개국’ 을 오가며 불운의 시기 일제강점기(나는 ‘일제시대’가 더 익숙하다)에 반항적이지만 서정적으로 포근한 시의 세계를 펼치고 20대의 꽃다운 나이에 ‘요절’한 연세대 동문 큰 선배님, 연희전문 출신 시인 윤동주 님, 다른 하나는 20세기 후반, 아직도 활동하고 있는, 대한민국 반대 쪽의 캐나다 출신, poet, novelist로 시작한, 하지만 folk singer song-writer로 더 잘 알려져 있는 읊조리는 노래의 주인공 Leonard Cohen (한글 표기는 어떨까.. 아마 ‘레너드 코언‘, ‘레너드 코헨’ 정도가 아닐까? 나는 직감적으로 ‘레너드 코언’으로 육성 발음을 들었다.)가 바로 그들이다.

20대 윤동주 시인
20대 윤동주 시인

윤동주 시인은 사실 어렴풋이 익숙했던 이름이지만 (왜 그런지 잘 모름), 알고 보면 연희전문 출신이라는 것, 20대에 요절한 서정시인이라는 것, 그 이상 아는 것이 별로 없었다. 시인의 유일한 출판물 첫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도 시인이 타계하고 3년이 훨씬 지난 1948년(내가 태어나던 해)에 ‘유작’으로 나왔고 1970년대 이후가 돼서야 다른 유작이 발행되었기에, 우리의 중,고교시절의 국어 교과서에서 못 보았던 이름이었을 것이다. 내가 궁금한 것은 어떻게 이분이 숨어있는 보물인 모양으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는가 하는 것이다. 이와 비슷한 case는 몇 년 전, ‘불후의 가곡’ 보리밭의 작곡가 윤용하 님의 슬픈 일생을 나의 blog에서 회상했을 때도 있었다. 역시 늦게 ‘숨은 보물’을 찾는 그런 기분이 똑 같았다.

 이 두 시인들이 나에게 요새 다시 다가온 것은 조그만 이유가 있었다. 윤동주 시인의 경우는, 윤 시인의 초기 대표 작 ‘별 헤는 밤‘을 통해서 왔다. 나는 정말 심심할라 치면 typing 연습, 그것도 한글typing연습을 ‘즐긴다’. 내 나이 또래의 평균치를 훨씬 웃도는 빠른 속도를 자랑하지만 그만큼 ‘오타’도 피할 수가 없는데, 그 ‘오타’좀 줄여보려는 것도 있지만, 사실은 시간 죽이는데 이것처럼 효과적인 것도 없기 때문이다. 아래아 한글 typing practice program으로 연습을 하는데, 그곳에 바로 예문으로 나오는 것 중에 ‘별 헤는 밤’이 있었고, 그것을 통해서 윤동주 시인 시의 세계가 나에게 왔는데, 웃기는 것은 얼마 전까지 나는 이 ‘글’이 보통의 시가 아니고 아주 짧은 ‘산문’인 줄로 착각을 하였다. 그만큼 나는 윤동주 시인을 잘 몰랐던 것일까? 이 글을 typing할 때마다 나는 말로 설명할 수 없는 적막, 고요, 쓸쓸함, 천국의 어머님, 소백산 연화봉 하늘의 쏟아지던 별빛.. 등이 온통 나에게 지독한 감정의 폭포처럼 쏟아져 내려옴을 느끼곤 하고 전율마저 느끼곤 하였다. 그것이 바로 윤동주 시의 세계였다.

 

singing poet, Leonard Cohen
singing poet, Leonard Cohen

레너드 코언.. 윤시인과는 은하계의 반대편에 있음직한 느낌을 주는 시인, 읊조리는 시인 가수.. 캐나다 사람, 1934년 생.. 그러니까 윤동주 시인보다 17세가 ‘젊고’ 80세가 가까운 아직도 활동을 하고 있는 사람이다. 이 시인출신 가수는 아마도 우리들에게 널리 알려지지 않은 사람인데 반해서 좋아하는 사람들은 거의 cult적인 존재로 사랑을 받는다.

그의 가창 style은 미국의 Bob Dylan 정도로 보면 큰 무리가 없을 것 같지만 시인출신인 만큼 아무래도 ‘가사’에 더 큰 의미와 중요성이 있을 것이다. 내가 처음 이 시인을 ‘알게’ 된 것은 아마도 1980년대 초일까, Ohio State University에서 만났던 연세대 후배 금속공학과 심상희씨가 그의 열렬한 fan이었었던 것으로 기억을 한다. 그 당시에 나는 사실 레너드 코언 을 잘 몰랐지만 그가 나에게 아느냐고 물었을 때, ‘무의식적으로’ 알고 있다고 대답한 기억이 난다. 그때의 그의 표정이 코믹할 정도로 ‘냉소적’이었던 것 같았다. 그러니까.. ‘당신 거짓말이지..’ 하는 그런 표정이었던 것이다.

심상희씨가 이 시인출신 가수에 심취했던 것은 나중에 조금 이해를 하게 되었는데.. ‘아마도’ 불교가 이유가 아니었을까. 심상희씨는 비록 그 당시 우리와 같이 성당에서 영세를 받긴 했지만 대학시절에는 불교에 심취했었다고 했다. 그리고 레너드 코언 도 알고 보면 불교에 심취했었고 1996년에는 ‘공인 승려’가 되기도 했다. 그래서 그의 노래에 더 심취했었을지는.. 그렇게 해서 알게 된 이 시인가수지만 그 후에 세파에 휩쓸려 또다시 그의 세계를 잊고 살았다.

Leonard Cohen in 60's
Leonard Cohen in 60’s

며칠 전, New York Times 기사 중 에서 정말로 우연히 Leonard Cohen의 이름을 보게 되었다. 도서관에 사서 librarian 로 근무하는 어떤 중년여성이 1975년경에 경험한 이야기로서 ‘레너드 코언과 지낸 어떤 밤’ 이란 제목의 회고수필이었다.

그 당시에 그 여성은 University of Chicago의 여대생이었는데 자기 친구와 같이 그의 concert에 갔었고, 공연 후에 근처 diner에서 식사를 하다가 Cohen의 band 일행과 우연히 마주쳤고, 호텔로 따라오라고 해서 갔다가 그와 한 침대에서 밤을 지낸 이야기였다. 이런 류의 여성들을 흔히 groupie라고 불렀는데, 이 두 여성은 사실 그런 류는 아니었고, Cohen역시 그런 류의 여성들과 ‘밤을 보내는’ 그런 type은 아니었던 것 같았다. 아주 ‘깨끗한 밤’을 셋이서 보낸 이야기였다.

이기사를 쓰면서 이 여성은 Cohen의 manager에게 편지를 보낸 모양이고 회답에 ‘흥미로운 추억’이라고 썼다고 한다. 거의 40년 전 몇 시간의 일이었으니 사실 아름답게도 느껴지는 추억일지도 모른다. 당시 불교에 심취했던 Cohen이 여대생들을 밤에 어떻게 대했을까는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이렇게 해서 레너드 코언이 나에게 다가왔고 잠깐이나마, 오래 전에 알았던 Ohio State의 심상희씨와 그의 가족도 회상한 계기도 되었다.

 

캐나다 출신의 가수 중Gordon Lightfoot라는 folk singer가 있었다. 1970년대에 나는 꽤 그의 곡에 심취한 적이 있었다. 특히 비 오는 우중충한 그런 날에 우중충한 ‘자취방’에 누워 ‘백일몽’을 꾸며 그의 곡을 듣는 것은 말로 설명할 수 없는 ‘나를 기쁘게 하는 것들’의 백미였다. 그는 레너드 코언보다 훨씬 더 대중적이라 더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지만 그들 모두 곡 자체보다는 ‘가사’에 의미를 두는 사람들이다.

어딘지 모르게 캐나다의 ‘춥지만 포근한’ 기분을 듬뿍 맡게 해 주는 진정한 folk singer들이었다. 모두들 이제는 classic의 영역으로 들어가고 있지만, 도대체 요새 ‘아해’의 ‘음악’은 그것이 과연 10년의 생존율이라도 있는 것인지.. 한마디로 이 분야는 솔직히 말해서 시대적으로 ‘퇴보’하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이다.

 

 
Leonard CohenSuzanne

 

Neil DiamondSuzanne
나는 이 Neil Diamond version을 Leonard Cohen의 original보다 더 좋아한다

 

 
Judy Collins‘ rendition of Suzanne

 

 
Gordon LightfootEarly Morning Rain

 

 

Bye, Daydream Believer..

davy-jones-314
Davy Jones with Union Jack, 1967

오늘 잠깐 뉴스를 보니 낯익은 얼굴이 보이고, 심장마비로 갑자기 사망하였다고 했다. 지난주에도 심근경색증으로 ‘갑자기’ 사망한 교우님의 장례미사에 다녀왔는데 또 심장마비.. 누군가 했더니 반가운 얼굴, 60년대의 유명한 rock group, The Monkees의 ‘꼬마’ Davy Jones였다.

나이는 나보다 두 살 위인 66세였다. 언젠가 TV에서 보았을 때 모습이 참 건강해 보였는데, 살도 별로 안 찌고 심장마비의 체질로는 보이지 않았다. 이 나이가 되니까, 이렇게 하나 둘씩 같은 세대의 사람들, 그것도 이렇게 유명했던 인물이 사라짐은 역시 을씨년스럽게 느껴진다.

1968년 즈음에 정말 정말 The Monkees를 좋아했었다. 그들의 TV show를 당시의 미8군 방송이었던 AFKN에서 빠지지 않고 보았고, 유엔군 방송이었던 VUNC에서 그의 열렬한 fan이었던 여성 disc jockey (이름을 잊었다) 덕분에 그들의 hit songs들에 깊이 빠지기도 했다. 그 중에서도 바로 오늘 세상을 떠난 Davy JonesDaydream Believer, 어찌 잊으랴.. 그들의 hit 중에서도 제일 멋진 곡이었다.

작년 봄 나의 blog, The Best 5 of ’68’s 에서 나는 바로 그 곡을 제1위로 올려 놓았다. 오늘 뉴스의 기사에서, 그는 자기의 심장이 25세 정도의 심장처럼 건강하다고 의사들이 말을 했다고.. 이 말은 다른 말로 하면, 이 정도의 나이가 되면 ‘누구라도 내일을 못 볼 수 있다’는 그런 의미심장한 경고가 아닐까.. 다시 한번 우리 세대의 idol이었던 그의 명복을 빌며.. RIP..

 

Daydream BelieverThe Monkees – 1968

 

When We’re Sixty Four..

Happy Birthday, Kunjuh!

형제와 같은 친구 양건주, 다시 돌아온 생일을 축하하고, 건강한 한해가 되기를..

 

2012년 1월 15일, 그리운 동창 친구, 양건주의 생일을 축하한다. 아버지 세대 같았으면 ‘정말 오래 살았다’는 축하겠지만 완전히 한 세대가 흐르면서 그런 기분은 조금씩 사라지는 듯 하다. 꼭 오래 사는 것이 최선은 아닐지라도, 기왕 조금 길어진 수명은 소중히 써야겠다는 생각도 든다. 각자가 그렇게 덤으로 주어진 선물을 어떻게 써야 할 지는 모두 다르겠지만, 아주 작더라도 개인적, 사회적, 역사적인 유산은 조금 남기고 갈 수 있게 노력하는 것도 좋지 않을까?

그 옛날 비틀즈When I’m Sixty Four를 들을 때, 과연 우리에게 그런 때가 올까 했지만 시간과 세월만은 참으로 정직하구나. 바로 그런 순간들이 우리들에게 왔으니 말이지. 다시 한번 그리운 친구 건주의 예순 네 번째 생일을 축하 한다!

 

 

 When I’m Sixty FourThe Beatles1967

 

Advent 2011, 대림절

2011년 대림절
Advent 대림절 2011

¶  오늘은 가톨릭 달력으로 새해의 시작이 된다. 비록 세속적 새해는 아니지만 천주교 전례력은 오늘이 4개의 촛불로 상징되는 대림절의 시작, 그러니까 예수님의 탄생일이고 이곳 최대의 명절인 성탄까지 4주를 기다리는 대림절 첫 주일이 되고 성탄 이후부터는 다시 예수 부활을 기다리는 시기가 시작이 되고.. 이런 식으로 사실 성경의 말씀대로 ‘계속 기다리는’ 기간의 연속이 된다.

이런 것들이 이곳 미국에서는 거의 200여 년 동안 생활화가 되어있어서 크리스천이면 이런 종교적인 색채가 강한 명절, 휴일들에 별로 큰 무리가 없지만 다른 종교를 가진 사람들에게는 조금 눈에 거슬릴지도 모른다. 하지만, 어쩌랴.. 그것이 역사적 현실이고 문화의 일부가 되어 버렸으니.. 그래서 대림절이 시작되는 첫 주일은 의미가 큰 것인데 불행히도 우리는 미사를 거르게 되었다. 핑계는 꼭 있지만, 게으름이라는 핑계가 더 맞을 듯해서 사실 기분이 찜찜하다.

아침에 새로니가 Thanksgiving holiday를 집에서 보내고 오늘 아침에 Nashville로 떠나는 날이라서 시간이 조금 그랬지만, 역시 핑계일 것이다. 올해의 Thanksgiving은 큰 ‘문제’ 없이 지났고, 아주 적당하게 구워진 turkey가 인상적이었지만, 내가 조금 배탈이 나서 그것이 흠이 되었다. 다름 사람들은 멀쩡한데 왜 나만 그랬을까.. 암만 생각해도 그렇지만 혹시 stress성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문제는 왜 내가 stress를 느꼈을까 하는 것인데..

 

Thanksgiving feast 2011

Thanksgiving feast 2011

Rock group Iron Butterfly
Iron Butterfly circa 1970

¶  오늘 우연히 npr.org (National Public Radio)에서 (via Tweet) 1960년대 말의 LA출신 rock group Iron Butterfly에 관한 글을 읽게 되었다. 그들의 big hit In-A-Gadda-Da-Vida를 제외하고는 사실 이 그룹에 대해서 아는 것이 거의 없었다. 그저 heavy-metal rock group 정도라는 것만 알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한가지 더.. 이 big hit oldie 이외에는 다른 것을 더 들을 수 없었다는 사실도 있었다.

이 글에서 나의 짐작이 맞았는데, 역시 이 유명한 한 곡을 빼면 그들의 이름은 유명무실할 정도였다. 그룹 멤버들의 관계가 안 좋았던지, 다른 문제가 있었는지는 몰라도 이 유명한 classic 이후 사라져버린 것이다. 그래서 더 legendary하다고 할까..

이 곡의 특징은 무슨 classic의 symphony정도로 연주시간이 엄청 길었다는 것, 그러니까 17분 정도 되었나.. guitar로 내는 background noise같은 것, dramatic 하게 들리는 drum solo, guitar solo등등이 아주 다채롭고.. 듣고 있으면 무슨 환각에 빠지는 기분, 등등이 있어서 1970년 초에 들을 당시를 회상하곤 한다.

이 것을 친구 손용현과 같이 동네(상도동)에서 이 노래를 따라 부르며 걷는데, 앞서 가던 (못생긴) 아줌마가 갑자기 돌아서더니 화를 내며 ‘히야까시‘ 하지 말라고 소리를 질렀다. 처음에는 어리둥절했지만 알고 보니 우리 둘이서 그 아줌마를 쫓아가며 ‘성 희롱’하는 것으로 오해를 했었던 것이어서 두고두고 잊지 못할 추억이 되었다. 이제 다시 이 곡을 17분 동안 들어도 그때의 ‘젊은 감정’이 거의 변함없이 솟는 것을 느끼며 헤어진 휘문고 출신 친구 손용현을 생각한다.

 

IRON BUTTERFLY – IN A GADDA DA VIDA – 1968 (ORIGINAL FULL VERSION)

 

사랑과 죽음을 응시하며..

사랑과 결혼, 그리고 죽음… 어제는 인생에서 아마도 가장 중요한 시점의 이 두 가지를 같이 생각하는 날이 되었다. 물론 결혼을 안 하거나 못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그것은 아직까지는 예외에 속하니까, 이렇게 결혼과 죽음을 같은 위치에 놓는 것에 큰 무리는 없을 것이다. 세상이 하도 변해서, 남자끼리, 여자끼리 ‘결혼을 했다고’ 우기고, 할 것 다하며 같이 살면서 죽어도 결혼 안 했다고 우기고, 자식 팽개치고 이혼한 것이 무슨 ‘벼슬’을 한 듯, “괜찮다 괜찮아” 하며 행세하는 묘한 세상에, 이렇게 결혼과 죽음을 같은 위치에 놓아 보는 것은 사실 더 의미가 있다고 생각이 된다. 그만큼 결혼과 죽음은 인간이기 때문에 확실히 거쳐야 하는 중대사라는 것을 강조하고 싶은 심정이기 때문이다.

 

You Don’t Bring Me Flowers
Neil Diamond, Barbara Streisand
데레사에게 주는 선물, 오랫동안 변치 않을 사랑을.. 

 

어제는 우리 집과 안면이 있는, 김찬웅(베드로)씨 딸 데레사의 결혼 피로연, 초대를 받고 갔었다. 이미 나의 오래 전 blog에서 언급이 되었던 베드로씨네, 부인인 안젤라씨는 내가 속해있는 레지오의 단장님이기도 하다. 거의 20+년 전, 우리의 두 딸들과 어울려 놀았던 데레사가 결혼을 해서 친지들이 모여서 멋진 파티를 한 것이었다. 어렸을 때는 우리부부가 선생님을 하던 아틀란타 한국학교에도 다니던 아이들이.. 이렇게 커서 한 가정을 이루게 된 것을 보며, 또 세월의 흐름을 실감한다.

 이런 자리에 가게 되면 신경을 안 쓸 수 없는 것은 과연 ‘어떤 부류의 사람들’이 모일까 하는 것이다. 그것은 이 집을 안 역사는 오랜 되었지만 그것에 비해서 자세히 아는 바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그저 짐작으로, 우리의 문화적 배경인 동창회, 종교 단체 등을 떠올릴 수밖에 없다. 이곳은 이민 1세의 특성상, 거의가 자영업을 가지고 있어서 직장,조직에 의한 연고는 그렇게 많지 않다. 경기, 서울대를 거치는 동창회는 그런대로 아틀란타 지역에 ‘막강’한 세력이 있는 것 같고, 베드로씨는 아마도 활동적인 멤버인 것 같아서 그곳을 통한 사람들이 많이 온 것은 짐작한 대로였다. 거기다 베드로씨는 긴 세월은 아니었지만 삼성 아틀란타 지사에서 근무를 했으니까 그곳에도 ‘동창’들이 있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짐작보다 사람들이 많이 참가를 한 ‘성공적’인 피로연이 되었다.

그곳에서 ‘의외’로 만나거나 본 사람 중에는: 오래 전 아틀란타 한국학교 교장 김경숙씨, 그의 남편(경기고 출신)이 있었다. 뜻밖의 마음과,보기 싫은 마음이 싸우며 결과적으로 인사를 못했다. 아니 안 했다. 살면서 끝맺음이 잘 못되면 이런 꼴이 된다는 것, 참 불쾌한 기억이요 잊고 싶은 추억이다. 연세대 2년 선배, 장학근 선배(건축과)를 거의 5년도 넘게 만나서 인사를 했는데..글쎄.. 나를 기억을 하는지 알쏭달쏭한 표정이었다. 그의 부인이 나와 연세대 66학번(가정대) 동문이기도 했는데 어제는 인사를 못했다. 한때 잘 나가던 부동산인 김경자씨.. 언제나 같은 모습으로 만났는데.. 어떻게 이곳에 오게 되었는지 그 관계를 모르겠다. 우리가 현재 사는 집은 1992년에 이분이 소개를 해 주어서 사게 된 것이라 잊을 수 없는 인물이기도 하다.

그리고, 반가운 집 연세대 후배 Mr. 고, 그의 부인..이 집은 2005년 초에 우리 집 ‘깡패,귀염둥이 강아지’ Tobey를 준 집이다. 반가운 인사 전에 Tobey의 안부를 먼저 물을 정도였다. 이 집 부부도 사실 안지가 꽤 오랜 되었지만, 특별한 관계가 별로 없었다. 이 Mr.고, 김찬웅, 베드로씨와 삼성지사에서 같이 근무를 해서 아는 사이라 온 것이다. 그때 같이 근무하던 사람들은 가끔 ‘동창회’처럼 모인다고 했는데, 이런 것도 미국인들이 이해를 잘 못하는 한국문화 중에 하나일 것이다. 연숙은 금새 잘 알아 보았는데, 나를 보더니 고개를 갸우뚱 할 듯.. 그만큼 내가 변했다는 표정으로 보였다. 그것도 세월의 진리일 것이다. 예전보다 많이 이런 반응에 익숙해 졌고, 익숙해 지려고 기를 쓴다.

 

Perhaps Love
John Denver & Placido Domingo

 

조금은 예상했던 집들, 설재규씨 가족도 보았다. 아직도 어떻게 설재규씨 집안이 베드로씨 네 집과 연관이 되었는지 그 사연을 모른다. 이런 ‘인연’을 추리해 보는 것도 재미가 있다. 연숙의 이대 선배 박교수님 댁도 보았지만 인사를 못 했다. 이분들이 올 것은 쉽게 예상이 된 것이, 남편끼리는 경기고,서울대 동창이며, 부인들은 숙명여고 동창인 것이다. 이것 보다 더 연관이 된 것이 있겠는가? 하지만 그것 이외의 ‘개인적’인 친분의 정도는 정말 미지수일 수밖에 없다. 베드로씨와 ‘불알’ 친구라고 공개적으로 선포를 했던 EmCee 김용주씨, 역시 오래 전에 알게 되었지만 나이와 학벌 같은 이유로 공감대가 별로 없었다. 한때 아틀란타 본당의 ‘사목회장’까지 역임을 했었지만 요새는 조용한 듯 하다. 우리의 마리에타 2구역, 구역회장으로 ‘맹활약’하고 있는 ‘조덕성, 바오로’ 씨를 이곳에서 볼 것이라는 것은 100% 확실했다. 며칠 전 구역미사에서 이미 들었기 때문이었다. 이들은 ‘토요회’라는 것을 만들어서 모여서 술과 노래를 즐긴다고 했다. 그래서 이 자리에서도 Three Tenors를 모방한 연기도 있었는데, 조금은 어려운 노래, “Perhaps Love“를 고른 것이 조금은 무리였나.. 가사를 잊고 중단도 되었지만 신부 데레사가 재치 있게 이어받아 불러 주었다. 이때 데레사가 노래를 잘 부른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예상했던 반가운 사람들이 더 많았다. 물론 우리 막강한 레지오 단원들이 전원 참석해 주었기 때문이다. 단장님 딸의 경사라서 사실 ‘피할’ 여유가 없었을 것이다. 그래도 은근히 놀란 것이, 그런 자리는 사실 조금은 ‘젊은’ 취향으로 보일 수도 있는데 그것에 구애를 받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덕분에 단원 자매님들의 ‘형제님(aka 남편)’들을 뵙게 되었다. ‘생각보다’ 첫 인상들이 참 좋았다. 그리고 얼마 전에 입단한 나의 거의 동년배인 우동춘 형제 부부가 ‘용감하게’ 참석을 하였다. 나이가 너무나 나와 비슷해서 시간만 나면 조금 가까이서 얘기를 해 보려던 참에, 이 자리는 아주 좋은 기회를 제공했고, 길지 않았던 시간이었지만 인사치레를 넘어선 진지한 얘기를 나눌 수 있었다.

이곳에서는 한 세대가 바뀌는 과정을,그것도 결혼을 통해서 한 가정이 태어나는 것을 보여 주었지만 다른 곳에서는 한 사람의 삶이 마감되는 과정을 겪고 있었다. 이날 아침에는 말기 간암 판정을 받은 지 불과 한달 만에 불과 61세로 세상을 떠난 형제님이 있었다. 그는 다름이 아닌 우리 레지오 쁘레시디움의 부단장 자매님의 작은 시동생이었다. 얼마 전에 우리들이 병자기도를 하다가 며칠 전부터는 선종기도로 바뀐, 너무나 빨리 진행된 죽음의 과정을 목격한 것이다. 비록 짧은 고통을 겪게 되고, 주위 가족에게 오랜 고통을 주지 않은 것은 다행이지만, 그렇게 짧았던 이별의 시간은 어떠한가? 예전 같으면 60세가 넘었으니 우선은 살만큼 살았다고나 하겠지만 요새는 사실 빠른 죽음일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 그렇게 중요할까? 얼마큼 보람 있는 생을 살았는가가 더 중요하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예전에는 깊이 하지 못하며 살았다. 내가 오늘 죽으면 어떠할까? 보람이 있었을까? 알 수가 없지만 살아있는 만큼 동안은 ‘결사적’으로 ‘보람’을 만들며 살고 싶다.

 

Ohio State, First Years (1)

Ohio "Buckeye" Stadium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Ohio… 나는 1977년 12월 초에 시카고에서 나의 모든 짐을 Plymouth Fury에 싣고 이곳에 도착했다. 같은 해 9월경에 한번 온 적이 있어서 그렇게 낯 설지는 않았다. 그리고 ColumbusI-80 interstate highway로 지나간 경험이 많이 있어서 더더욱 먼 곳처럼 느껴지지 않았다. 사실은 그 해 가을학기, Fall Quarter에 입학을 했어야 했는데 admission office의 사무착오로 한 학기를 기다려야 했다. 대부분의 graduate course가 가을학기에 시작이 되었지만 한 학기 늦는다고 그렇게 불편할 것도 없어서 그냥 한 학기를 편히 쉰 셈이다. 나는 그 당시 그렇게 easy going, 조금 부정적으로 말하면 ‘급할 것 없다’는 자세로 살고 있었다.

OSU의 graduate school로 오게 된 것은 조금은 우연이었다. 특별하게 오고 싶어서라기 보다는 우선 application fee가 없었던 것이 첫째의 인연이었다. 그렇게 내가 $$이 없어서라기 보다는 그저 그것도 한 가지 계기가 되었다는 것이다. 다음은 이 학교 electrical engineering(EE) program의 brochure가 아주 인상적이었다. 사진 중에 일렬로 늘어선 ‘거대한’ radio telescope (전파 망원경)가 있었다. 그것은 분명히 이 EE department의 lab에서 운영하는 것이었다. 그때 나는 한창 Carl Sagan의 billions of billions of stars.. 에 심취해 있던 시기였고 extra terrestrial(ET)에 관한 것들이 유행하고 있었을 때였다. 이런 것들이 ‘어쩌다’ 나를 그곳으로 가게 만들었다.

이 학교는 그 ‘덩치’가 아주 컸다. 단일 캠퍼스로는 학생 수 50,000 이상인, 아마도 미국에서 제일 큰 캠퍼스에 속했다. (UT Austin이 제일 크다고 하는 사람도 있었다) 그러니까 당연히 한국유학생들도 만만치 않게 많았을 것이다. 이렇게 큰 학교는 좋은 점도 있고 그렇지 않은 점도 있다. 그 전까지 한국유학생이 거의 없었던 학교를 다녔던 이유로 나는 사실 큰 학교가 좋았다. 덜 외로울 거이라는 생각이었다. 이런 말을 주위에 하면 즉시로 ‘야.. 외로울 시간이 어디 있냐?’ 하는 직격탄이 꼭 나오곤 했지만.

비록 radio telescope의 사진에 반해서 오긴 왔지만 나의 진짜 passion은 그것이 아니고 (feedback) control system이었다. undergraduate에서 나는 이미 advanced control system에 아주 심취해 있었다. 특히 그 당시는 microprocessor(8080-class)의 등장으로 digital control system의 매력이 상당하던 고조되던 시기였다.

이곳에 오기 전에 나는 OSU 대학원 한국 유학생회장인 김광철씨에게 연락을 해서 수고스럽지만 rooming house(자취방)를 알아 봐 달라고 부탁을 했다. 그리고 내가 갈 전기과(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에 있는 한국유학생에게도 연락을 부탁하고 있어서 정착하는데 큰 문제가 없었다. 내가 도착한 날이 12월 초였는데 모든 것이 완전히 얼어붙는 강추위 속에서 OSU campus 정문에서 조금 떨어진 Summit street에 내가 살 자취 집으로 가 보니 한마디로 환경이 을씨년스럽게 느껴지기도 했지만, 그때의 나이에는 사실 모든 것들이 adventure처럼 느껴져서 지금 생각하면 그것도 젊음에 따른 ‘자연적인 낙관성향’ 때문이 아니었을까..

학기시작까지는 사실 한달 이상이 남아있고 그 나이에 완전한 자유의 12월은 느낌이 아주 좋았다. 도착하자 곧바로 학생회장 김광철씨의 연락을 받았는데, 주말마다 학교체육관에 모여서 배구를 한다고, 그리고 그곳에 전기과 학생들도 나온다고 귀 띰을 해주었다. . Lane Avenue에 있던 실내 체육관(Jesse Owens?) 으로 가 보니 한국유학생들이 나와서 배구를 하고 있었는데, 거기서 처음 만났던 사람들 중에 전기과에 있던 유근호씨, 이재현씨가 있었다. 그리고 경제학과의 이규방씨도 거기서 처음 만났다.

유근호씨는 나보다 한두 살 위였고, 이재현씨는 반대로 한참 밑이었다. 육사출신의 현역 육군장교인 유근호씨는 성격이 직선적이고 소탈해서 금새 친해질 수 있었고, 이재현씨는 막내 동생 같이 순진한 청년이라 호감이 갔고, 무엇보다도 내가 속한 전기과에 있어서 이들과 더 가까움을 느끼게 되었다. 그 이외도 꽤 많은 사람을 만났는데, 그 중에는 여학생들도 있어서 조금 색다른 느낌도 주었다. 이 당시 한국유학생(대학원)의 숫자는 아마도 100명 정도가 아니었을까. 학생회장 김광철씨도 만났는데 약학대학에 다니고 테니스를 프로처럼 치는 유학생인데 부인도 같이 공부를 하는 유학생부부였다.

이렇게 콜럼버스의 생활이 시작되었는데 12월 달에는 연말과 크리스마스가 있어서 사람들이 모일 기회가 그런대로 많았다. 특히 자주 모인 곳은 Frambese St.에 있는 rooming house였는데, 이곳에 내가 알게 된 유학생들이 많이 몰려 살고 있었다. 여기에는 살았던 사람은 유근호, 안서규, 이규방, 이재현, 국찬표 제씨 등등이 생각난다. 배구를 할 때, 모였다가 우르르 몰려서 그곳으로 가서 놀곤 했다. 나의 자취방은 이곳에서 그런대로 떨어져 있어서 나는 항상 차를 타고 가곤 했다. 이들은 대부분 온지가 한 학기밖에 되지 않아서, 오랜 만에 한국에서 바로 온 ‘싱싱한’ 유학생들과 어울리는 것도 신선하고 색다른 기분을 주었다.

이중에 특별히 기억에 남는 사람들, 이규방 씨와 안서규씨, 나보다 나이는 한 둘이 밑이었던 것 같지만 스스럼 없이 어울렸다. 이규방씨는 대전고, 서울대 경제학 전공이고 안서규씨는 서울고, 서울대 출신으로 이곳에서는 Industrial Engineering을 공부한다고 했다. 그리고 조금은 미지의 인물인 국찬표씨라는 사람, 아마도 경영학 전공이었나. 특히 이 분의 이름이 기억나는 것이 나중에 어떤 사람이 이름을 ‘극장표’라고 농담을 한 것 때문이었을 것이다. 대부분 미혼이었지만 유근호씨와 국찬표씨는 기혼이라고 했다. 둘 다 배우자들이 이곳에 오는 것을 기다리는 입장이었다.

그때 유학생 연말파티가 두 군데서 있었는데 나는 이 새로 사귄 그룹덕분에 그런대로 어려움 없이 어울릴 수 있었는데, 특히 내가 차를 가지고 있어서 빠질 수도 없었다. 유학생 연말파티에서 인상적인 것 중에는 약학대의 김미영씨, 얌전하게 보이던 분인데 춤을 기가 막히게도 추었다. 여기서는 그날 신시내티에서 올라온 중앙고 후배 토목과 고광백을 만났다. University of Cincinnati에서 transfer를 해서 그날 이곳에 도착을 했다고 했다. 그리고 콜럼버스 한인회주최 연말파티도 가보게 되었는데 여기서는 비교적 작은 규모의 교포사회, 한인 교수들을 포함해서 다 보게 되었다. 그 당시 한인회장은 태권도장을 운영하는 최준표씨였는데, 국악의 퉁소를 독주하는 재주를 보여주었고 특이했던 것은 사회를 이규방 씨가 보았다는 것이다. 이규방 씨는 그 이후에도 이야기 거리가 많이 남아있을 정도로 재미있는 사람이었다. 유근호씨(울고 넘는 박달재)와 안서규씨(댄서의 순정) 모두 나가서 노래를 불렀는데 미국에 온지 얼마 되지 않아서 그런지 이들 모두 ‘한국의 냄새’가 물씬 풍기게 놀아서 아주 나에게는 인상적이었다.

Harrison House에서 여자 유학생들과..1977년 12월
Harrison House에서 여자 유학생들과..1977년 12월

크리스마스 즈음에는 여학생들과 어울리기도 했는데, 그 중에 그들이 몰려 살고 있던 Harrison House란 off campus 고층 아파트에 한 그룹이 놀러 가기도 했다. 그것이 기억에 뚜렷한 것이 사진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거기에는 남자 중에는 전기과 이재현씨, 이규방 씨(빠질 수가 없는), 미남형 오용환씨, 그리고 여자 중에는 김영라 씨, 백추혜 씨, 김미영씨, 최희경씨, 김진수씨 등등이 있었다. 김영라 씨는 한국의 박물관장을 역임한 김재원씨의 딸이고 서양미술사를 전공한다고 했다. 백추혜 씨는 이화여대 영양학과 출신, 김미영씨, 최희경씨, 오용환씨는 모두 서울대 약학대 출신이고 전공이었다. 이 중에 최희경씨와 김미영씨는 나중에 내가 약학대학에서 RA(research associate)를 할 때 가까이서 보게 된다.

이 중에 이규방 씨는 학기가 시작되면서 계속 우리들(전기과 유학생들)과 가까이서 어울리게 된다. 공부하러 숫제 우리들이 있는 EE graduate student office로 거의 매일 오곤 했다. 그는 비록 경제학도였지만 우리와 어울리는데 그것은 크게 상관이 없었다. 대전고, 서울대, 한국은행을 거친 두뇌형인데, 내가 봐도 무엇이든지 ‘다 알고’ 있었다. 그만큼 말도 많아서 자주 구설수에도 오를 정도였다. 이곳에서의 인연으로 나중에 백추혜 씨와 결혼을 하게 된다. 그리고 백추혜 씨는 알고 보니 다른 인연으로 아내 연숙과 이대 영양학과 선후배 간이고 조교, 학생 사이로 알고 이미 알고 있었다.

이곳에 와서 느낀 것은 대부분의 유학생들이 흔히 말하는 ‘일류’학교 출신이라는 것이었다. 그러니까 경기,서울,경복고 출신과 서울대 출신들이 아주 많았던 것이다. 특히 대학교는 서울대가 압도적이었고, 나와 같은 연대출신은 그 당시만 해도 ‘거의’ 없었다. 하지만 2년 뒤, 1980년 유학자유화를 계기로 이런 통계는 많이 바뀌게 된다. 그래서 그런지 유근호씨(육사), 이재현씨 (Rutgers)같은 비서울대 출신만 보면 더 가까움을 느끼곤 했다. 그 당시 전기과에는 위의 두 사람 이외에 공부가 거의 끝나가던 이용한씨, 김태중씨가 있었다. 이 분들과는 사실 거의 교류가 없었다. 이용한씨는 내가 나중에 일을 하게 될 약학대학을 통해서 논문을 쓰고 있었다.

1978년 나의 첫 학기는 겨울학기여서 그런지 눈을 동반한 추위가 기억에 남고, Dreese Lab에 있는 EE student office에서 완전히 밤을 지새며 열심히 공부를 하던 것이 즐거운 추억이 되었다. 식사도 Jones Tower근처에 있던 카페테리아에서 세끼를 먹으니까 사실 우중충한 rooming house으로 자러 가는 것도 사실 귀찮았다. 유근호씨, 이재현씨, 그리고 undergraduate에 있던 고윤석씨 (이들 모두 전기과) 등이 같은 방에서 공부를 했는데 여기에 경제과 이규방씨가 특이하게 우리들과 같이 공부를 하곤 했다. 안서규씨는 Industrial Engineering 전공인데 건물이 바로 전기과 옆에 있어서 가끔 그의 office로 놀러 가곤 했는데, 그 office가 으리으리하게 넓고 커서 무슨 사장실을 연상시켰다. 일개 대학원생이 어떻게 그런 방을 쓰게 되었는지는 모르지만 그렇게 그는 ‘정치적인 재주’ 를 가진 듯 했다. 우리들과 어울릴 때도 ‘무작정’ 어울리지는 않았다.

다른 과의 유학생들은 식당에서 만나게 되는데 항상 같은 table에 모여서 먹곤 했다. 다른 나라 유학생들도 그들끼리 모여서 식사를 하니까 이것은 하나도 이상할 것 없었다. 그때, 생각나는 사람들.. 수학과의 최봉대씨, 금속과의 최호진씨, 농업경제과의 노영기씨.. 이중에 최봉대씨는 나중에 약학과의 김미영씨와 결혼을 하게 된다. 이들은 물론 대부분 미혼자들이고 기혼자 부부들은 거의 학교 대학원 아파트, Buckeye Village에서 살았다. 나중에 나도 이곳에서 살게 되지만 이곳은 값도 저렴하고, 학교 bus가 있고, 주거환경이 아주 좋았다. 우리는 유근호씨가 이곳으로 들어가게 되어서 자주 놀러 가곤 했다.

이중에 생각이 많이 나는 사람, 고윤석씨.. 어찌 잊으랴.. 나이는 나보다 밑이었지만 아주 건장하고 세련된 친구다. 고등학교 때, 조기유학으로 이곳에 와서 지금은 EE undergraduate(학부)의 졸업반이었다. 이미 기혼자였는데, 부인은 연대 출신, 연상의 여인 (나의 연대(사학과) 선배)이었고, OSU의 Admission Office에서 일하고 있어서 우리들의 ‘학벌, 이력, 신상’을 잘 알고 있었다. 나이 때문인지 대부분이 대학원생들인 우리들과 어울리고 그 인연으로 우리가 쓰는 전기과 대학원생 office를 같이 쓰게 되어서 아주 친하게 지냈다. 덕분에 그 부부가 사는 Riverview apartment로 초대를 받아가서 후하게 식사를 하기도 했다.

(계속)

 

그 당시의 즐겨듣던 hit oldie,

Do It Or Die by Atlanta Rhythm Section

 

 

Best 5 of ’68’s

가끔 생각을 한다. 내가 살아온 기나긴 세월 중에서 제일 즐겁게 기억이 되는 한 해를 고르라는 질문을 받게 된다면? 물론 앞으로 그런 질문을 받을 기회는 사실상 없을 듯 하지만, 이 질문은 내가 나에게 하는 것이니까 상관이 없다. 그것은 아마도 흔히 말하는 sixties 중에서도 1968년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 해는 국제적으로 미국주도의 월남전이 본격적으로 확전(擴戰, escalation)으로 치닫고 있었고, 동서냉전이 언제라도 핵전쟁으로 터질듯한 그런 완전한 미국,소련의 양극체제의 절정상태에 있었다. 그 중에서 우리의 조국은 독일과 마찬가지로 양분되어 양쪽 ‘주인’의 제2차 대리 전쟁이라도 치를 듯 칼을 갈고 있었고… 북녘의 <민족반역자, 전범, 개XX!> 김일성은 4.19혁명 때의 절호의 기회를 잃은 것을 만회하기라도 하듯이 나의 스무 살 생일이었던, 1968년 1월 21일 무장공비, 김신조 일당을 보내 박정희를 죽이려 했다.

이런 것들, 즐거운 기억들은 아니지만 그때의 나이가 딱 20세, 그 나이에 그런 것들의 ‘심각성’을 제대로나 알까? 철없고, 걱정 있어도 몇 시간 후에는 잊고, 모든 것이 솜사탕 구름처럼 느껴지는 그런 시절이 아니던가? 그 당시 과연 우리를 걱정이나 우울함에서 피난시켜주던 것들은 과연 무엇들이었을까?

유치하고, 순진하던 나이에 우리를 즐겁게 하는 것들이, 사실 그렇게 큰 것들이 아니다. 아주 작고, 단순한 것들, 자연스러운 것들.. 그 중에서 제일 자연스러운 것은 아마도 이성에 대한 ‘요상한’ 감정이 아닐까? 사람마다 다 그것을 처음 심각하게 느끼는 나이는 조금씩 다를 것이지만 나는 ’68이 바로 그런 해였다. 이성에 대한 자연스러운 감정, 그것은 흔한 말로 사랑이 아닐까. 마음에 드는 남자친구를 알고 사귀게 되는 것도 그렇지만 그것은 이성을 아는 것과는 근본적으로 달랐다. 최소한 우리가 겪었던 그 시절, 그때에는.

그 당시 이성을 포함한 친구들과 어울릴 수 있는 곳이라면 그 시절의 다방문화를 빼놓을 수가 없다. 음악감상실, 다과점(빵집) 등도 있었지만 제일 손 쉬운 곳은 역시 다방이었다. 요새야 커피 맛을 따라 가겠지만 그때는 분위기 ‘맛’이 더 중요했다. 여러 세대별로 가는 곳들이 조금씩 달랐다. 하지만 그곳의 공통적인 서비스 중에는 음악을 들을 수 있는 휴식공간이었다. 그렇게 해서 경험하게 되는 각종 ‘젊은 음악’들.. 그것이 사실 우리에게는 그 멋 모르던 시절의 생명수 역할을 한 것이다.

그런 여러 가지 ‘젊은’ 경험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시기가 나에게는 1968년, 연세대 2학년 시절.. 그때 ‘일년’의 추억을 어떻게 잊을 수 있을까? 돌아가고 싶은 마음보다는 그저 아름다운 추억으로 ‘즐기고’ 싶은 심정, 그것이다. 나의 주위에서 맴돌던 친구들, 그 중에는 여자들도 있어서 앞으로 살아갈 인생에서 ‘반려자로써의 여자’ 같은 생각도 미리 느낄 수 있었다. 비록 학교 공부는 조금 시들해 졌지만 그렇게 큰 후회는 안 한다. 인생 공부로 보충을 했다고 위로를 하니까.

그 당시 다방이나, 음악감상실, 남녀클럽 등을 거치면서 열광하며 듣고 즐기던 주옥 같은 음악들은 그 시대를 반영하듯 거의 미국의 60년대 반전, 반항세대의 음악들이다. Folk, Rock, Psychedelic, Soul.. 등등.. 나는 이런 곡들을 아직도 많이 듣는다. 이런 곡들을 통해서 그 시절을 생각하게 되어서 좋은데, 특히 우울할 때는 아주 특효약이 되었다. 그 시절 우리를 고민과 우울증에서 해방시켜주던 역할을 이 나이에 아직도 하는 것을 보면 참 신기하기도 하다. 나의 Best 5 of ’68 은….

 

 

Daydream Believer – The Monkees

60년대 중반부터 유명해진 그룹, The Monkees는 4명 모두들 독특하게 생긴 모습에다 아주 따라 부르기 쉬운 곡들이 주류인데, Believer 시리즈 2탄인 이 곡은 lead가 Dolentz에서 Jones로 바뀌어서 그런지 아주 느낌도 다르다. 우리가 들을 때는 69년에 더 유명해진 곡이었다. 특히 이 곡이 나올 무렵 VUNC(유엔방송)에서 pop song을 담당하고 있던 여자disk jockey가 이 곳을 무척 좋아했었던 기억이 새롭다.

 

 

Delilah – Tom Jones

고향의 푸른 잔디(Green green grass..)로 미국의 hit chart를 석권한 영국인, Tom Jones의 hit 제2탄.. 이 곡은 사실 어린아이들로부터 나이 든 사람들까지 다 좋아하던 특별한 곡이었다. 아마도 그 주제가 성경의 Samson & Delilah에서 따온 것 같은 느낌을 주어서 그랬을까. 우리가 들었을 무렵에는 국내의 내노라 하는 가수들도 다투어 한국어로 불렀는데, 그 중에서 역시 ‘압권’은 조영남의 열창이 아니었을까?

 

 

Am I That Easy To Forget – Engelbert Humperdinck

미국의 country ‘Release Me‘, 와 더불어 크게 히트한 노래였다. Tom Jones와 쌍벽을 이루던 그 당시 주류를 이루던 folk/rock/soul 같은 것들을 제치고 독특한 vocal로 그들의 genre를 굳세게 지켜서 이제는 거의 classic이 되었다. 그 당시 여자(친구)에게 ‘차였던’ 나의 심정을 구구절절 잘도 표현을 해서 이직도 기억에 남는다.

 

 

Hey Jude – The Beatles

그 많은 그들의 hit song중에서 이 곡은 나에게 a best에 속한다. extra long format도 그렇고, 그들, classic Beatles의 절정기에 부른, 4명만의 독특한 harmony, McCartney의 lead는 비교적 ‘둔탁한’ background instruments와 정말 잘 맞아떨어진다. 특히 stage에서 공연하는 모습을 보면 Yesterday와 버금가는 예술성까지 느껴진다. 그래서 그런지 이 곡을 시도한 국내가수는 그 당시 하나도 없었다. 거의 불가능했으니까.

 

 

Don’t Forget To Remember – The Bee Gees

forget-remember-don’t: 아주 oxymoron적인 제목이다. 이들은 사실 비틀즈와 쌍벽을 이루는 위치였지만 아주 스타일이 달랐다. 미국 blues/rock 영향을 상당히 받은 비틀즈와 달리 이들은 그들만의 독특한, 부드럽고, 목가적인 화음으로 일관을 했다. 그 중에서 이 곡과 First of May는 비슷한 느낌을 주어서 classic의 경지까지 느끼게 한다. Guitar로 따라 부르는 것이 비교적 쉬워서 그 당시 우리들의 기타 standard number였다. 하지만 70년대에 disco로 돌변을 한 그들의 모습에 실망.. 그 이후의 모습은 기억에서 지우고 싶을 정도다.

 

 

Catholic Sunday

Advent 2010 (2010년 대림절)…  오늘은 천주교 달력으로 새해가 되고 예수님 탄생인 12월 25일 성탄절까지의 대림절이 시작되는 첫 날이다. 그러니까 예수님의 탄생을 기다리는 시기인 것이다. 개신교회에도 이러한 시기에 대한 이름이 따로 있는지 궁금하다. 기억에 들어본 적이 없다.예수님 활동 당시 12 사도들의 시대로부터 계속 이어져온 이 Roman Catholic, 천주교의 다양하고 복잡한 역사, 전통들은 알면 알수록 , 더 알고 싶은 것 투성이다. 이날부터 제대 옆에는 대림을 상징하는 4개의 촛불이 세워지고 한 주일마다 초가 하나씩 켜진다. 이것도 천주교의 특징인 ‘상징’적인 의식일 것이다.

2010 대림절 시작, 본당 주보에서
2010 대림절 시작, 본당 주보에서

우리는 주일미사를 집 근처에 있는 미국인 본당, Holy Family Catholic Church에서 본다. 이곳도 거의 10년 넘게 다녀서 정이 들었다. 아침 8시 반의 미사에 가면 거의 앉는 자리가 정해질 정도로 익숙한 신자들이 많다. 혹시나 낯익은 얼굴이 안 보이면 신경이 쓰인다. 내가 제일 좋아하는 사제는 사실 주임신부님 보다는 부제님 중에 있다. Deacon John이라고 불리는 부제님, full name은 Deacon John Duffield인데 건장한 체구에 단정한 흰머리, 항상 진실된 웃음을 띈, 순진하게도 보이는 얼굴, 그 보다 제일 인상적인 것은 그 ‘경건’한 태도이다. 주임신부님보다 더 경건하게 미사를 돕는다. 이분이 부제가 된 것도 5년 정도 되어간다. 나이도 나와 같고 직업은 사실 nuclear engineer, U.S. navy officer로 nuclear submarine (핵 잠수함)이 전공이다. 그가 이렇게 공학도라는 사실이 나를 참 기쁘게 한다. 가끔 하는 설교도 어찌나 그렇게 틀에 박히지 않았는지.. 진실로 하느님을 믿고, 예수님을 믿는다는 것이 그분의 모든 말과 행동에서 우러나오는 그런 것들.. 흔치 않은 일이다. 사실 속으로 나도 여생을 그분과 같이 살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내일은 이 미국본당에서 penance service(판공성사)가 있는 날이다. 해가 가기 전에 이렇게 한번 하고 부활절 전에 또 있다. 쉽게 말해서 천주교 특유의 ‘고백(고해)성사’인 것이다. 이것의 중요성은 다시 말할 필요가 없지만 그만큼 이 성사를 지키는 것 또한 쉽지 않다. 이것을 하려면 정말 심각하게 자기를 되돌아 보는 ‘양심성찰’을 해야 하니까. 자기의 죄를 찾아 내는 것은 말처럼 간단하지 않기 때문이다. 나는 거의 2년간 이 성사를 못 보고 있고, 이것이 항상 나를 찜찜하게 한다. 사실 이것을 하려면 ‘기도’가 필요한 것이다. 영어로 하는 고백성사는 아무래도 준비를 단단히 해야 하니까..

 

I Understand, by G-Clefs…  며칠 전부터 정말 이상하게도 oldies중의 I Understand란 곡이 자꾸만 생각이 났다. 그 이유를 알 수가 없다. 아마도 이런 발전이 아닐까.. 년 말이 되어가고, 그러면 분명히 Auld Lang Sine이 불릴 것이다. 그 곡이 background 로 흘러나오는 곡이 바로 G-Clefs가 불렀던 60년대 초의 hit, I Understand (just how you feel) 인 것이다. 그 당시 우리는 이 곡을 부른 group G-Clefs에 대해서 아는 바가 거의 없었다. 그 이후도 마찬가지.. 이번에 알고 보니 이들은 내가 잘 못 추측한 대로 영국계통의 그룹이 전혀 아니고, 미국의 ‘흑인’그룹이었다. 사실, 적지 않게 놀란 것이 사실이다. 이렇게 잘못된 사실을 그렇게 오랜 세월 동안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 조금 부끄럽기까지 하였다.

이 곡은 미국에서 1961년에 나온 것이지만 우리 때는 거의 1964년경에 많이 알려진 곡이었다. 그러니까 내가 중앙고2 때였다. 년 말에 많이 불렸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확실한 것은 고2때가 끝날 무렵, 그러니까 역시 1964년이 저물 무렵이었을 것이다. 아마도 학급회의, 그러니까 home room이라고 불렀던 그 시간에 모두들 앞에 나가서 노래를 부르기 시작을 했다. 분위기는 완전히 고2때 특유의 감상에 젖은 그런 분위기.. 고3이 되기 전 무슨 전쟁이라도 나가는 듯한 심정으로 이별을 서러워하는 기분에 모두들 휩싸인 것이다. 바로 그때다.. 제일 키가 컷 던 김용만이 G-ClefsI Understand를 부르기 시작했다. 나는 그 광경을 지금도 잊지 못한다. 그렇다.. 이별을 서러워하던 순진했던 가슴들의 표현이었다. 그 당시 고교2학년은 정말 모두들 문학소년,소녀들이었다. 지독히도 순진하고, 이상적이었던 그 일년.. 그때에 생각하고 꿈을 꾸었던 장차 다가올 인생들.. 과연 어떠한 인생들이었을까? 얼마나 많은 기쁨, 행복, 괴로움, 후회를 만들며 살았을까? 갑자기 지독한 감상에 젖는다.

 

I Understand by G-Clefs, 1961

I understand just how you feel

Your love for me, why not be mine?

It’s over now but it was grand

I understand, I understand

If you ever change your mind

Come back to me and you will find

Me waiting there, at your command

I understand, I understand

I miss you so, please believe me when I tell you

I just can’t stand to see you go

You know

If you ever change your mind

Come back to me and you will find

Me waiting there at your command

I understand, I understand

SPOKEN: “I understand just how you feel. Let bygones be bygones. But always

remember I love

you, I love you, I love you.”

(We’ll sip a cup of wine, my dear, for Auld Lang Syne )

I understand

중앙고교의 추억(3)

중앙고 3학년 8반, 1965년
중앙고 3학년 8반, 1965년

중앙고교 추억 시리즈마지막 편이 그렇게 쓰기가 힘 들었다. 시작이 반이라고 계속 나를 push하곤 했지만 그 시작이 그렇게도 힘이 들었다. 왜 그럴까? 추억거리가 별로 없어서 그랬을까? 아니면 너무나 많아서 그랬을까? 기억을 하고 싶지 않아서 그랬을까? 이것들 중의 어느 것도 아닌 것 같다. 굳이 따지자면 내가 가장 보물처럼 간직하고 싶었던 그 시절 이야기들의 끝을 맺는 것이 섭섭해서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내가 추억할 수 있는 능력에도 한계가 있을 것이다. 더 늦기 전에..

최복현 교장 선생님, 1965년
최복현 교장 선생님, 1965년

1965년은 지난해의 6.3사태 같은 정치적인 불안을 그대로 안고 있었지만 박정희 정부는 최소한 확실한 목표를 가지고 경제발전에 모든 운명을 걸고 있었고, 한일외교정상화가 그것의 전제조건이 되었다. 해방 된지 겨우 20년 만에 국민감정이 그렇게 쉽사리 변할 리가 없었다.  지난해의 도쿄올림픽으로 일본은 튼튼한 경제기반으로 경제대국으로의 첫걸음을 걷고 있었고 그것에 걸 맞게 ‘고자세’로 한국을 대하고 있었다. 하지만 ‘지독한’ 냉전체제의 국제정세가 우리의 국민감정 같은 것은 아랑곳 하지 않았다. 모든 것이 ‘반공’에서 출발을 했으니까.

그 해 가을에 박정희 정부는 완전히 미국과 보조를 맞추려, 본격적인 전투부대인 청룡부대월남으로 보냈다. 그 전해에는 이미 비전투 부대인 비둘기부대를 보냈다. 서서히 월남전이 국내의 뉴스에 정기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때였다. 반공의 이념을 실력으로 보이려는 의도도 있었겠지만 경제적인 측면도 무시할 수 없었다. 숙적인 일본이 우리의 6.25전쟁 중에 엄청난 경제적 이득을 챙긴 것을 보면 절대로 무시할 수 없는 것 들이었다.

짱구, 정운택 선생님, 1965년
짱구, 정운택 선생님, 1965년

그런 배경에서 고교3학년을 맞은 우리들은 간접적으로나마 나라가 처해있는 사정을 모를 리가 없었고,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그저 ‘공부 잘해서 나라에 충성’하는 그것이었다. 그것의 첫 조건이 ‘좋은 대학’을 가는 것이었다. 특히 1965년에 우리 중앙고교는 벌써 최복현 교장선생님의 원대한 ‘6개년 계획’의 3년째로 접어들고 있었다. 우리학년이 이루어야 할 목표 (서울대 몇 명, 연고대 몇 명 같은)는 사실 아주 어려운 듯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그 정확한 목표는 사실 크게 중요한 것이 아니었고 더 중요한 것은 그러한 목표가 주는 심리적인 효과였다. 그것은 참으로 효과적인 campaign이었고, 심지어는 ‘재미’로 느껴지기도 했으니까.

나의 짝꿍, 원병태
나의 짝꿍, 원병태

고교 3학년이 되면서 시작된 수업에서 느끼는 그 신선한 긴장감은 지금도 생생히 기억을 한다. 무슨 비장한 각오를 가지고 떠나는 가미가제 특공대원 같은 그런 심정이었다. 그런 마음 가짐은 사실 대학입시까지 신기하게 이어졌다. 이것에 대해 나는 아직도 우리 최복현 교장선생님께 감사를 드리고 싶다. 비록 최교장 선생님은 2학기가 되면서 서울시 교육감이 되셔서 모교를 떠나셨지만 그 분이 남긴 것은 참 큰 것이었다.  하지만 이런 큰 계획의 뒤에는 후유증도 있었다. 불과 몇 번의 시험과 지난 해 학기성적으로 3학년 학급배정을 한 것이 그 중에 속한다. 쉽게 말하면 성적 순위로 분반을 한 것이다. 그런 반 배정에 개의치 않고 열심히 공부를 할 수도 있겠지만 감수성이 예민한 친구들은 실망과 좌절을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화학반, 목창수
화학반, 목창수
유학준비, 윤중희
유학준비, 윤중희

그때 분반은 문과와 이과로 나누어 졌는데 이과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나의 8반은 이과에 속했다. 나는 원래부터 전기,전자공학 쪽으로 방향을 정했기 때문에 당연히 이과를 선택한 것이다. 다행인 것은 박정희 정부의 경제개발정책이 압도적으로 이공계 쪽은 선호한다는 사실이었고, 각 대학도 그것을 반영하듯 최우수 학생들이 가는 곳은 예외 없이 이공계, 특히 공대 (화공과, 전기과, 기계과 같은) 쪽이었다.  최고의 커트라인은 몇 년 째 서울공대 화공과가 독차지하고 있던 시절이었다. 이런 환경에서, 문제점은 공부만 잘하면 거의 무조건 공대로 보내는 ‘어처구니 없는’ 풍토였다. 공대 쪽에 적성이 맞고 안 맞고가 크게 문제가 되지를 않았다. 심한 경우에는 전기, 기계 같은 것을 싫어해도 수학만 잘하면 그곳으로 간 것이다.

나의 앞자리에는 고2때부터 옆에 있었던 김진수가 앉았고, 뒤에도 오래된 친구인 이종원이 앉았다. 바른쪽 옆에는 원병태가 앉았는데 모두 나에게 좋은 친구들이었다. 하지만 대학에 갈 때는 모두가 뿔뿔이 흩어지고 말았다. 김진수는 해군, 이종원은 외대, 원병태는 고대로 가버렸다. 원병태는 사실 키가 상당히 큰데 어떻게 나의 옆에 앉게 되었는지 모른다. 담임선생님은 별명이 짱구정운택 선생님이셨는데, 조금 흥분을 잘 하시지만 속 마음은 그렇게 따뜻할 수가 없었다. 이런 모든 것들이 그 긴장되는 고3시절을 조금이나마 편하게 해 주었는지 모른다.

007, 고석찬
007, 고석찬
Love Potion, 이영윤
Love Potion, 이영윤

왼쪽 옆으로는 목창수, 문영직, 허영식, 차정호, 윤중희 등등이 앉았다. 바로 뒤 이종원의 뒤에는 고석찬, 이영윤이 앉았는데 이 두 친구들은 대학시절 종로2가에서 우연히 만났다. 고석찬의 유머러스 한 표정도 여전했고 이영윤의 멋진 미소도 여전했다. 어떻게 그 둘이 같이 있었는지 모른다. 아마도 그들은 졸업 후에도 계속 만났던 모양이다.고석찬, 그 당시 피카디리 극장에서 개봉된James Bond  “007 위기일발 (From Russia with Love)” 영화를 가지고 신나게 이야기를 하곤 했다. 사실 처음 개봉되었을 때 미성년자는 볼 수가 없었고 나중에 그것이 풀어져서 가서 보았다.  물론 검열과정에서 많이 손을 보았을 것이다. 그 당시 나는 그것을 모르고 그 영화를 보기도 전에 보았다고 거짓말을 했는데 (장난으로) 고석찬이 비웃으면서 미성년자가 어떻게 그것을 보았냐고 꼬집었다. 금새 거짓말이 들통이 나고 나는 조금 창피했다. 나는 분풀이라도 하듯이 나중에 가서 본 것이다.

이영윤은 미국 pop song을 비롯해서 노래를 좋아한 듯하다. 그가 잘 따라서 부른 노래는 “Love Potion No. 9” 이란 그 당시 유행하던  팝송이었다.  그리고 고2때 정귀영 Al MartinoI love you more..를 너무 좋아해서 따라 불렀다면 이때는 정귀영이 황석환으로 바뀌었다. 노래는 Matt MonroWalk Away로 바뀌고..  나도 그 당시 그 노래를 무척 좋아했지만 황석환은 더 좋아했나 보다. 교실에서 크게 부르며 다녔으니까. 나는 그 때 Matt Monro가 영국가수라는 것을 몰랐다. 지금 다시 45년 만에 찾아서 들어보니 역시 기가 막힌 노래와 목소리였다. 여자로 치면 아마도 미국의 Karen Carpenter에 버금가는 그렇게 티없이 맑은 목소리였다. 나중에 그의 노래, Born Free, Wednesday Child, Portrait of My Love같은 것도 무척 좋아했는데 다만 미국에서 오래 살다 보니 이곳의 풍조에 따라 다른 나라의 노래들을 거의 잊고 살았을 뿐이다.


 

From Russia With Love – Matt Monro
1965 봄 쯤에서 그 소문이 자자하던 James Bond 007 시리즈의 “007 위기일발” 이 피카디리 극장에서 개봉이 되었다. 반드시 일본을 통해서 들어오기 때문에 시간이 걸리니까 아마도 1964년 쯤 나온 영화가 아닐까. Sean Connery도 멋이 있었지만 Matt Monro의 영화 주제곡 또한 못지 않게 멋이 있다.

 

 

Love Potion No. 9 – The Searchers
이영윤이 잘 따라 불렀던 이 노래, 사랑의 향수 9번, 그 당시에 라디오에서 잘도 흘러 나왔다. 비디오를 함께 보니 The Beatles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았나, 차림새가 아주 비슷하다.

 

 

Walk Away – Matt Monro
황석환이 좋아하던 거의 명곡에 가까운 노래, 가사를 들어보면 더욱 가슴이 찌릿해진다. 숙명적으로 맺지 못할 사랑을 떠나 보내는 남자의 절규.. 참, 슬프다.

 


"관조", 백정기 선생님
“관조”, 백정기 선생님
고문, 주왕산 선생님
고문, 주왕산 선생님
국문학사, 김창현 선생님
국문학사, 김창현 선생님

그 당시 중앙고 3학년 교사 진은 상당한 수준에 있었다. 아마도 최교장선생님의 배려였을 지도 모른다. 국어의 백정기 선생님, 정열적으로 가르치시고 입시국어에는 외부에도 잘 알려지신 분이다. 입시전문지인 월간 진학 지에 글도 실으셨는데 그 글을 안 읽은 학생들을 나무라기도 하셨다.  백선생님의 정열적인 강의 중에 아직도 기억에 남는 것은 “관조“에 대한 것이었다. 특히 인상적인 수업은 역시 주왕산 선생님의 고문(古文)시간이었다. 확실히 는 모르지만 주 선생님은 주시경님의 자제분이셨던 것 같다. 그래서 그런지 그 고문강의는 더 무게가 있었다. 특히 “훈민정음, 용비어천가” 의 강의는 재미와 더불어서 이런 것을 평생 공부해도 재미있겠다는 생각까지 들 정도였다. 김창현 선생님의 국문학사도 아직도 기억에 남을 만큼 명 강의였다. 특히 김선생님은 개인적으로도 향토역사 같은 것에 관심이 많으셨던 것 같은데 그런 해박한 지식이 강의 때마다 우리에게 전해져 왔다.

숯장사, 원성욱 선생님
숯장사, 원성욱 선생님
대추방망이, 박시희 선생님
대추방망이, 박시희 선생님
썩은 살, 손영섭 선생님
썩은 살, 손영섭 선생님

담임 정운택 선생님, 숫제 일본 수학참고서를 그대로 들고 문제를 내시고 가르치셨다. 왜 그런지 그 당시는 일본의 입시풍조가 그대로 시험에 반영이 되곤 해서 그런 모양이었다. 특히 미적분을 다루는 해석시간은 숯 장사 원성욱 선생님의 독무대였다. 얼굴이 까매서 그런지 숯 장사라는 별명이 붙어 있었는데 그것은 명 강의였다. 기하 (geometry)는 “썩은 살, 깨막이“, 손영섭 선생님이 담당하셨는데 얼굴에 걸맞지 않게 항상 멋지게, 맞춘 듯한 옷을 입으시고 가르치셨다. 영어(문법)는 옆 반인 7반의 담임 “대추방망이“, 박시희 선생님이 작은 키에 맞지 않게 폭 넓고, 크게 잘 가르치셨다. 항상 산더미 같이 print물을 들고 들어오셨는데,  ‘마누라가 밤새고 typing‘한 것’ 이라는  말씀을 빼놓지 않으셨다. 특히 이 선생님은 독자적으로 개발한 입시용 영어비결이 있었다. 특히 문법을 외우는 방법을 ‘한시’ 나 시조같이 음률을 넣어서 외우도록 했다.

나는 3학년이 시작되고 서울고 출신으로 그 당시 서울공대 섬유공학과에 다니 던 송부호 형의 지도를 몇 달간 받았다. 솔직히 수학을 더 잘해야겠다는 생각에 어쩔 수 없이 과외지도를 받게 된 것이다. 어머님 친구의 아들이 서울고 출신이라 그쪽으로 부탁을 했더니 송부호형이 걸린 것이다.  조금은 수줍은 듯한 형인데 참 자상하고 때로는 재미도 있었다. 그때 그 형에게 참 많이 배웠다. 수학 자체보다도 입시 체험담 같은 것이 더 재미있고 도움이 되었다. “James Bond: 007 위기일발” 영화도 사실 그 형과 같이 피카디리 극장에서 본 것이었다.

"똥자루", 정경섭 선생님
똥자루“, 정경섭 선생님
PSSC, 이지홍 선생님
PSSC, 이지홍 선생님

빼놓을 수 없는 선생님들 중에 체육선생님 “똥자루정경섭 선생님이 계셨다. 오신지 얼마 되지 않은 선생님이셨는데, 고3때 체육시간은 완전히 서자취급을 면치 못하는 시간이고, 심지어 어떤 때는 체육시간에 골치 아픈 머리를 식힐 겸, 재미있는 이야기를 하시기도  하셨다. 나는 그 시간이 그래서 좋았다. 아닌 게 아니라 그 시간만 되면 재미있는 이야기를 기대하곤 했으니까. 이 정선생님의 얘기는 정말 실감나게 재미있었다. 그 화제가 대부분 깡패들의 싸움이야기, 무협적인 이야기.. 등등인데 아무리 생각해도 그 선생님의 경험을 듣는 것 같아서 더 재미가 있었는지 모른다. 시간 내내 웃느라고 정신이 없었다. 비록 키가 조금 작아서 “똥자루” 라는 별명은 있었지만 나는 아직도 유쾌한 기억을 간직하고 고맙게 생각하고 있다.

아주 다른 기억으로 남는 선생님, 물리담당 이지홍 선생님이다. 물리는 사실 이공계의 꽃인데 입시에서는 “국(어),영(어),수(학)”에 밀려서 어디까지나 ‘선택’ 과목이 되어버렸다. 그 선택과목의 시간은 대부분의  필수과목이 끝나고 점심시간이 훨씬 지난 뒤에 있게 마련이다. 오전에 이미 머리의 에너지를 다 써버리고 점심까지 먹은 뒤에는 사실 잠이 기가 막히게 잘도 온다. 그 때에 이 물리시간이 있었다. 그런데 예상 밖으로 이 시간은 달랐다. 이지홍 선생님의 노력과 실력 때문이랄까?  이 선생님은 얼마 전에 PSSC라는 미국에서 하는 물리교사를 위한 과정을 미국 하와이에서 이수를 하고 오신 아주 상당한 실력 파 셨다. 그 프로그램은 미국이 space program에서 소련에 뒤지기 시작하자 뒤 늦게 과학교육을 개혁하기 위해서 나온 것이었다. 대부분 ‘실습’을 위주로 하는 ‘산 교육’이었다. 물리시간 중에는 꼭 미국에서 연수를 받으실 때 쓰신 듯한 실험기재들을 가지고 들어 오셔서 정말 ‘실감나게’ 보여 주셨다. 솔직히 말하면 그때 내 눈으로 ‘목격’한 물리 실험들은 대학에 가서도 한번 못 보았다. 특히 음극관에서 음극선이 자석에 의해서 굴절하는 것, 고압에서 공기가 방전을 하는 것..등등은 너무나 인상적이었다. 아직도 나는 이지홍 선생님께 머리 숙여서 감사를 드리고 싶은 심정이다.

1965년 6월 중순경 방학을 몇 주일 앞두고 한일기본협정이 체결되면서 아예 학교에 미리 휴교령을 내려 버렸다. 반대 데모를 방지하려는 심산이었고 물론 그 효과를 톡톡히 보았을 것이다. 우리들은 사실 나쁠 것 하나도 없었다. 몸과 마음이 사실 지쳐있던 상태에 방학을 몇 주 앞 당긴다는데 누가 반대를 할 것인가. 휴교령이 내려지면서 담임인 정운택 선생님 들어오셔서 침통하신 표정으로 이런 것들을 이해 못하신다는 말씀을 하시고 흑판에 커다란 글씨로 “절호의 기회” 라고 한자로 쓰셨다. 그 뜻은 모두다 알았다. 밀린 공부를 이때에 만회를 하라는 뜻이셨을 것이다.  한편으로는 한일기본조약의 의미를 생각하고, 다른 편으로는 bonus로 생긴 몇 주일을 어떻게 보낼 것인가 생각을 하며 집으로 돌아왔다.

그 길어진 여름방학 중에 “우리의 아버지”, 이승만 전 대통령이 하와이에서 고국을 그리며 돌아가셨다. 우리들은 국민학교 6년을 우리의 아버지로 여기며 존경하던 대통령이었다. 독재자로 낙인이 찍히고, 군사정부는 국민감정을 이유로 귀국도 못하게 하였다. 장례식만은 그리던 서울에서 국민장으로 치러졌다. 그 때의 비 오던 날, 길고 긴 운구행렬을 아직도 기억한다.   방학 중에도 데모가 계속 되곤 했다. 하지만 개학이 되면서 어느 정도 가라 앉게 되고 우리들은 다시 입시공부에 돌입을 하였다.

그 당시 입시준비 풍경은 학교 밖으로 입시전문 학원과 입시전문 도서실이 있었다. 도서실이란 것은 책을 빌려보는 곳이 아니고 그저 조용한 방에 공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곳이었다. 그 중에 나는 동아 학원이란 곳에 잠시 다녔다. 그곳은 입시용 참고서를 제일 많이 출판하는 동아 출판사에서 직영을 하던 새로 생긴 학원이었다. 그 곳이 다른 곳과 다르게 기억이 나는 것은 돈만 내면 들어갈 수 있는 곳이 아니고 ‘입학시험’을 보는 곳이었기 때문이다.  사실 그런 새로운 개념의 학원이 그때까지 없었다. 그래서 나도 한번 해 보자 하는 심정으로 시험을 보았는데, 합격이었다. 사실 기분이 아주 좋았다. 그것이 상업적이건 아니건 상관이 없었다. 무슨 대학 입학시험에 합격한 기분이었으니까.

누가 생각을 한 것인지 몰라도 별로 생각이 없이 만든 학원임이 곧 들어났다. 그 정도 학원이면 다른 학원과는 다른 것이 있어야 하는데 그것이 아니었다. 어떤 과목은 다른 곳에 비해 더 나쁜 곳도 있었다. 그곳에서 친구 장맹열을 만났는데 그도 나의 생각과 마찬가지였다. 얼마 못 가서 다 그만두고 말았다. 한 때는 도서실에 다니기도 했다. 서대문 로터리로 가는 곳에 서강 도서실이었는데 그곳에서는 같은 반 친구 차정호를 만났다.

2학기가 되자마자 (아니면 바로 전) 6개년 계획의 주역 최복현 교장선생님이 서울시 교육감으로 뽑히셔서 학교를 떠나셨다. 너무나 갑작스러운 일이었다. 아마도 교장선생님께서는 학교를 떠나기 싫으셨던 듯 한 것이 발령을 받고 한때 행방불명이 되셨다고 한 소문을 들었기 때문이다. 후임으로 최형련 선생님이 부임하셨는데 너무나 우리들과는 짧은 기간이어서 별로 특별한 기억이 남지 않았다. 다른 교우들도 마찬가지라 짐작을 한다. 그리고 고교 본관과 학교 운동장 사이에 3층짜리 석조 과학관을 시공하였고 졸업 즈음에는 골격이 그 모습을 나타내었다.

3학년 때도 역시 기억에 남는 ‘사건’이 있었다. 사건이라 함은 별로 좋은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백정기 선생님, 평소에는 침착하시고 공정하신 선생님이시다. 하지만 그 날은 달랐다. 문제의 발단은 국어 모의고사에 관한 것이었다. 평소에는 사실 모의고사가 끝나면 꼭 수업시간 중에 문제를 같이 풀어 보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날은 어쩐 일인지 모의고사에 관한 것은 완전히 무시하시고 정상적인 수업을 시작하신 것이다. 궁금하긴 마찬가지지만 어쩔 수가 없는 일이 아닌가? 그런데 차정호가 끈질기게 문제를 풀어 달라고 요청을 하였고 백 선생님은 막무가내로 거부를 하시고.. 그러다가 아마도 차정호가 “선생님이 모르니까” 라는 말을 한 모양이었다.  그 뒤는 조금은 충격적이었다. 백선생님, 완전히 이성을 잃으셨다. 완전히.. 차정호의 뺨을 치시는데 거의 제 정신이 아니신 듯 했는데, 아무도 말릴 용기가 없었다. 그 시간도 꽤 길었다. 그것이 전부였다. 참 씁쓸한 추억이었지만, 선생님도 인간이고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 계기였다. 나중에 백선생님께서 차정호를 불러서 ‘사과’ 비슷한 것을 하셨을까.. 아니라고 추측을 한다. 그때의 학교의 풍토는 체벌을 교육의 일부로 여겼을 시기였으니까. 그와 비슷한 사건은 바로 옆 반인 3학년 7반에서 났는데, 역시 지나친 체벌에 관한 것이다. 이번에는 7반의 담임 영어 박시희 선생님과 그 반의 이수열이었다. 왜 그것을 알게 되었는가는 간단하다. 옆 반에서 때리는 소리가 우리 반에 고스란히 다 들렸기 때문이다. 그것도 그때 우리 반에는 우리담임 선생님이 계실 때였다. 선생님도 그 때리는 소리에 조금은 거북스러운 표정을 보이셨다. 아마도 몽둥이로 큰 소리로 오랫동안 때렸던 모양이다. 나중에 그 반에 있던 김호룡에게 물어보니 바로 이수열이 그렇게 맞았던 것이다. 왜 맞았는지는 기억이 나지를 않는다. 이 사건도 역시 선생님도 우리와 같은 감정을 가지신 사람이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좋은 예가 아닐까?

"아우성", 반장 이유성
“아우성”, 반장 이유성
수학귀재, 박상돈
수학귀재, 박상돈

우리반의 반장은 멋있게 키가 컸던 이유성이었다. 나와 이종원은 그를 아우성‘이라고 불렀다. 이유는 그 당시 국어시간에 배웠던 유치환의 시에 “이것은 소리 없는 아우성” 이란 구절에서 나왔다. 아마도 제목이 ‘깃발’이 아니었을까. 우리 반에는 키가 아주 훤칠한 친구들이 많이 있었다. 그 중에는 이유성, 김용만, 안승원, 김명전, 고송무, 김영철한정환, 박상돈, 김연응, 조남재, 황석환, 신창근, 김종호..등등 “쭉쭉 잘 빠진” 친구들이었다. 그 당시 나이에서는 학교 내에서 키가 주는 영향이 상당했다. 쉽게 말하면 대부분 비슷한 키의 친구들과 어울리게 된다는 뜻이다. 번호를 키의 순서로 정하고, 그 순서에 따라 자리를 잡으니까 더 그런 경향이 많았다. 그리고 간혹 예외는 있지만 키가 크면 힘도 세고, 외향적인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그런지 아직도 키가 컸던 친구들을 기억하면 무언가 조금은 서먹서먹 할 때가 있다.

박상돈은 키고 크고 공부도  그것도 수학을 기가 막히게 잘했다. 역시 그는 서울공대 전기공학과에 합격을 하였다. 나에게는 거의 ‘이상형’이라고나 할까. 김연응, 김영철, 조남재, 신창근, 이윤기 등은 나와 같이 연세대로 갔는데 김연응과 김영철은 기계공학과, 나머지는 모두 전기공학과였다. 신창근은 대학시절 일찍 군대를 가서 헤어졌는데, 나중에 1973년과 1975년 두 번 만날 기회가 있었다. 그 당시 그는 호남정유에 근무를 했는데 그 이후로 완전히 소식이 끊어지고 말았다.  해사에 간 최민은 연세대학 졸업식 때 우연히 만났는데, 7반의 송영근, 강교철, 이수열과 같이 사진도 찍었다. 고송무도 1975년에 정교성과 같이 만난 적이 있었다. 그 당시 그는 북구라파에서 활동한다고 들었는데, 나중에 타계 소식을 듣고 너무나 놀랐다.  조금 섭섭한 것은 송희성배희수, 둘 다 나의 재동국민학교 동창 들인데 그들과 별로 가까이 지내지 못했다는 사실이다. 배희수는 연세대에서 본 적이 있지만 그것이 전부였다. 송희성은 국민학교 6학년 때에도 같은 반이었는데, 고교 졸업 후에는 정말 한번도 소식을 들을 수 없었다.

동기회 총무, 신동훈
동기회 총무, 신동훈

신동훈은 요새 57 동기교우회의 총무로 맹활약을 해서 email로 나마 만나게 되었다. 정말 오랜 만이랄까. 또한 천주교신자임도 알게 되어 더욱 반가웠다. 이 친구는 그 이외에도 잊을 수가 없는 것이 이름이 그 당시 제일 잘 나가던 학원 영어 강사에 신동운 이라고 있어서 더 연관이 되어 기억이 되곤 한다. 이 친구 역시 pop song과 연관이 되는 것이 있다. Eddie ArnoldsSunrise Sunset과  I really don’t want you to know란 노래였는데 왜 이 노래와 신동훈이 같이 생각나게 되는 것일까? 그것이 확실하지 않다.

제일 꼬마인 김윤필은 대학졸업 후에 한번 김진수, 정양조 그룹과 같이 만난 적이 있었다. 비록 신사복차림이었지만 그 때도 어린애 같은 모습이었다. 나중에 목창수를 통해서 해병대 입대를 하고 세상을 떠났다는 놀라운 소식도 들었다. 정말 슬픈 소식이었다. 장난꾸러기 오수만은 역시 그가 장담한대로 서울치대, 치과의사,그리고  ‘중앙치과’. 윤중희는 대학 졸업 후에 가끔 만났는데 그때 그는 미국유학을 계획하고 있었다. 하지만 듣기에 그대로 국내에 남았다고 들었다. 목창수는 화학을 좋아했던 친구인데 서로 잊고 살다가 1987년경에 정말 우연히 Columbus, Ohio에서 만나게 되었다. 나는 그때 그곳에서 일을 하고 있었고 창수는 Ohio State University로 과학 교사단을 인솔하고 연수를 받으러 온 것이었다.  물론 내가 그곳에 살고 있는 것을 모르고 온 것인데 정말 우연히 나를 찾게 된 것이다. 그런 인연으로 목창수와는 가끔 연락이 되었고, 몇 년 전에 둘째 딸이 서울에 갔을 때 정말 분에 넘치는 대접을 받았다. 그 신세를 갚을 길이 난감하게 느껴질 때도 있다.

남가주 동창회장, 권명국
남가주 동창회장, 권명국
이희진
이희진

권명국은 57회 동창회의 소식을 통해서 미국  LA지역(남가주)의 동창회 지부장이라는 사실을 알았다. 그의 이름은 정말 오랜만에 듣게 된 것이다. 또 얼마 전에는 동기 회에서 명국의 딸이 결혼을 한다는 소식을 들었다. 늦게나마 email로 연락이 되었고, 또한  알고 보니 나와 같은 천주교 신자였다. 이종원은 1980년 초 나의 결혼식에도 왔었는데, 그 이후로 직접 연락이 되지를 않았다. 그런데 우연히 우진규를 통해서 월남의 싸이곤 (호지민 씨티)에 정착을 해서 산다고 들었다. 나의 옆자리에 앉았던 “키가 큰” 원병태는 고교 졸업직후 한번 편지를 받았는데, 고대 화학과에 “꽁지” 로 합격을 했다는 소식이었다. 대학졸업 후에 그를 다시 만났는데 그는 미국에 가는 준비를 하고 있었다. 친척집에서 하는 주유소를 도와주러 간다고 했다.  그 당시 그를 따라 고려대학에 자주 가서 테니스를 치곤 했다. 그 이후로 연락이 완전히 끊어졌고 그를 알던 친구들도 그의 행방을 모르고 있었다. 차형순은 연세대에서 가끔 보곤 했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LA 지역으로 이민을 와 있었다. 아직도 business를 잘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희진정교성을 통해서 현재 캐나다의Calgary에 거주하면서  geological engineer로 일을 하는 것을 알았다. 가끔 정교성이 살고 있는 Toronto에 놀러 온다고 들었다.  나머지 반창(3학년 8반) 들은 애석하게 개인적으로 소식을 모르며, 궁금하기가 말할 수 없다. 혹시 타계라도 한 친구가 있는 것이나 아닐까?

신축중인 과학관, 1965년
신축중인 과학관, 1965년

이상 대강 기억에 나는 것을 적어 보았는데 이외에도 사실 더 있을 것이다. 아니면 이것이 현재 내 기억력의 한계일지도 모른다. 그 기억력이 더 앞으로 나아질 수 없다는 것을 실감하면 조금 슬퍼지기도 한다. 비록 겉으로  보기에 긴장되고 살벌한 고교3학년의 생활이었지만 졸업 후에 대학으로 간다는 가벼운 흥분, 그러니까 성인이 되어 간다는 그런 기대감이 일년 내내 있었다. 담배를 마음대로 피울 수 있고, 다방, 술집, 연애,당구장, 영화..등등 우리를 기다리는 것들이 너무도 많아 보였다. 일본처럼 공식적인 성인식은 없다지만 우리에게는 고교 졸업이 바로 성인이 되는 시기였다. 그것들을 기대하며 열심히 공부를 한 때가 바로 고교 3학년 때였다. 특히 중앙고교가 우리에게 준 그 알찬 교육의 결실을 맺게 한 그때를 어찌 잊으랴. 우렁차게 중앙, 미래의 상징 과학관이 신축되는 것을 보며 졸업반을 보낸 우리들, 45년 동안 모두들 얼마나 민족교육의 요람인 중앙의 꿈을 실현하며 살았을까? 이미 타계한 친구들의 명복을 빌고, 남은 우리들 모두 건강하고 보람된 후년을 보내기를 기원해 본다.

 

중앙고등학교 졸업 앨범, 1966

Hyundai Sonata, Yuengling, 김용운 교수, Skeeter Davis

Hyundai SONATA 1 year anniversary:  작년 이맘때 연숙이 현대 Sonata 를 샀다. 그때는 Cash for Clunker program이 거의 끝날 무렵이었고 우리 집의 workhorse Plymouth Voyager를 그 프로그램으로 trade-in을 할까..하면서 dealership에 간 것이 화근이었다. 거기서 Sonata를 타 보게 되었다. 그 salesman은 완전한 Sonata 신봉자 (그의 가족이 모두 Sonata customers) 였고,그것이 곧 바로 우리에게 sales로 연결이 되었다. 바로 옆의 Alabama에서 조립된 차였다. 일년째 타 보면서 연숙은 대만족이었다. 이 정도면 한국 차의 미래는 아주 밝다고 할까. 즐거운 일이다.

올해는 예년에 비해서 맥주를 덜 마신 듯하다. 여름의 즐거움은 사실 일을 끝내고 저녁때 마시는 시원한 맥주가 아닐까? 전에 주로 Samuel Adams의 variety 맥주가 정말 좋았다. Micro brewery로 시작한 brand가 이제는 대량생산이 되고 있어서 조금은 매력이 줄었다.그러다가 나에게 가격과 맛으로 딱 맞는 brand가 나왔다. Yuengling이란 맥주인데 Pennsylvania주에서 나온다고 한다. 처음에는 꼭 중국제 같아서 아하.. 이제는 맥주도 중국제품인가..했는데 그게 아니었다.

3개월 계속된 올해의 무더위도 이제 며칠 남지 않았다. 올해 더위의 특징은 거의 하루도 여유를 주지 않는 변치 않는 기상 pattern이었다. 그래서 올해에 제일 보기 싫은 사람들이 TV weather person들이다. 물론 그들이 날씨를 만들지는 않겠지만 조금도 ‘과학적인 설명’을 못하고 있다. 그러니까 왜 올해는 이런 독특한 pattern이었나 하는 분석의 노력 조차 없었다. 그래서 나같이 home office에서 일하는 사람이 아닌 출근해서 일하는 사람들이 부러웠다. 얼어붙는 듯한 시원한 곳에서 하루 종일 일을 하면 사실 거의 더위를 느낄 수가 없으니까.

 

김용운 교수의 “한국어는 신라어 일본어는 백제어” 라는 책을 읽었다. 일본어를 읽는 것이 익숙지 않아서 정독은 못 했지만 대강 저자의 얘기는 이해할 수 있었다. 김용운 교수의 책은 1970년대에 수학에 관한 여러 가지 책들을 읽은 경험이 있다. 그때 저자 글의 스타일이 참 좋았다. 어려운 문제를 정말 쉽게 설명을 한다. 그것은 저자가 논제나 문제를 확실히 이해를 한다는 쉬운 증거다. 저자의 폭 넓은 해박한 지식은 참 본 받을 만 하다. 특히 일본출생이라 그런지 일본과 한국의 관계를 깊게 그리고 쉽게 설명을 한다. 신라통일로 일본과 한국의 말이 완전히 갈려 나갔다는 다음과 같은 역사적인 조명은 참 흥미롭다.

  • 백강전투 이후 한국어는 신라어 중심으로, 일본어는 백제어 중심으로 발달해 갔다.
  • 지리적으로 중국으로부터 한반도 보다 더 떨어진 일본열도는 자체적인 언어체계를 발전시킬 수 밖에 없었다.
  • 일본어의 문법과 한국어의 문법은 세계에서 유례가 없을 정도로 비슷하다.
  • 한반도는 중국,한자음운의 영향을 거의 받아들인 반면 일본은 거의 백제어 수준에 머물렀다.

 

얼마 전 중앙고 2학년 때, 그러니까 1964년경을 회상하면서 그 당시 무슨 노래들이 우리들을 즐겁게 했나 생각을 해 보았다. 거의 pop/rock/country 같은 미국중심의 것들이었다. 그 때는 Beatles가 긴 머리에 uniform을 입고 I Want To Hold You Hand를 부를 때였고, hard-rock, psychedelic같은 것은 나오기 전이었다.  맞다.. 그때 미국의 60’s country란 것이 한창 유행을 하였다. 조금씩 전통적인 country song과 현대판 pop이 섞이면서 나오던 것들은 우리들이 듣기에 무리가 없었다. 그 중에서도 Skeeter Davis의 노래들은 여성 취향이었지만 우리” 싸나이”들도 잘 따라 부르곤 하였다. 주옥 같은 그녀의 hit song 중에서 The End of the WorldHe Says the Same Things to Me 는 아직도 노래의 가사가 생생하게 기억이 난다.

 

He says the same thing to me – Skeeter Davis – 1962

 

The End of the World – Skeeter Davis – 1962

 

 

The Ventures, 60/70, 일본문화

얼마 전에 YouTube에서 60년대 Instrumental group, The Ventures를 video clip으로 다시 보게 되었다. 정말 감회가 깊다고 할까. 나의 60/70 moment인 것이다. 특히 Ventures가 일본에서 맹활약을 하던 60년대를 생생히 기억한다. 그 당시 (rock) guitar를 배운다고 하면 사실 거의 이들의 영향 때문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나도 물론 그 중의 하나였다. 그 당시 Ventures는 한국에 한번도 오질 않았다. 그 정도로 우리는 $$$가 없었다고나 할까, 아니면 그들이 그렇게 비쌌던가. 그러니 다 해적판 (그때는 우리나라에 license라는 개념조차 없었다) LP 로 그들의 연주를 즐기는 정도였다. 그때 나의 주위에는 아주 상당한 수준으로 그들의 연주를 흉내 내는 친구들도 꽤 있었다.

요즈음 일본의 TV drama를 가끔 보면 그 당시 그들의 대중문화를 간접적으로 짐작할 수 있다. 우리들은 정책적인 반일교육의 영향으로 그런 것들을 거의 모르고 지냈지만 그것은 사실 눈 가리고 아웅.. 식 이었다. 어떠한 식으로든 간접적인 영향은 상당히 받았던 것을 지금에야 실감을 한다. 한국이나 일본에 모두 상당한 미군이 주둔을 하고 이어서 그들로부터 직접 받는 것 이외에 우리는 일본을 통한 여과된 미국문화가 또 유입되고 있었던 것을 나는 알게 되었다. 그들은 그 당시 이미 경제발전이 상당히 진행이 되고 있어서 그들이 좋아하는 구미의 연예인들을 마음 놓고 불러다 공연을 시킬 수 있었다.

일제강점의 심리적 영향과 그들의 일방적인 경제부흥은 사실 그들의 ‘왜색문화’를 우위에 있다고 단정을 하고 완전히 차단을 한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 사실일까? 사실은 그 당시 일본문화라는 것은 거의 구미의 것을 흉내 내는 것 정도가 아니었을까? 지금 생각해 보면 우리의 소위 대중음악, 혹은 전통가요라고 하는 트로트풍의 노래들은 사실 일본의 엔카와 같은 것이다. 그 이외에 미국 folk song의 영향을 받은 젊은 층의 노래들 (통기타 그룹이라는) 조차도 일본이나 한국이 거의 같았다. 그러니까 정책적으로 막았다 해도 실제로는 거의 같은 것들을 하고 있었다는 이야기다.

한국의 경제수준이 상당히 나아진 지금에서 조금씩 일본문화가 유입되고 있으나 이제는 사실 그렇게 새로운 것이 들어올 것도 없을 듯 하다. 왜냐하면 원래부터 그렇게 이질적인 것들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것이 일본과 한국의 ‘숙명적’인 관계라고나 할까. 그런 배경을 염두에 두고 The VenturesForever (and ever) with You를 들으니 기분이 조금 새로워 진다. 60/70의 nostalgic한 기분도 나고 또 다른 미래의 양국관계의 한 chapter가 보이기도 하기 때문일까.

 

 

Forever (and ever) with You – Ventures

 

중앙고교의 추억(2)

아.. 나의 모교, 서울 계동1번지 중앙중고등학교.. 너를 어찌 꿈엔들 잊으랴. 죽을 때까지 못 잊을 것이고, 아마도 죽어서도 (영생을 믿는다면) 못 잊을 것이다. 이상하게도 그때의 추억들은 나이가 들면서 더욱 선명 하게 되었다. 마음에 여유가 생겨서 그런 것일까, 아니면 이것이 인간들이 인생을 정리하면서 하게 되는 자연스러운 것들일까.

오늘은 고등학교 2학년 때를 생각해 보고 싶다. 그러니까 1964년인가. 그때의 신문들을 다시 볼 수 있다면, 그때의 한국의 정치,사회 등등을 같이 엮을 수 있으련만.. 그때는 박정희 시대였다. 100% 말이다. 그가 하고자 하는 일, 하고 싶은 일들은 사실 $$만 있다면 할 수 있는 시대였다. 그가 제일 목말라 했던 것은 역시, 경제개발.. 그가 제일 주목한 것은 역시 일본.. 그가 기댈 수 있는, 그런대로 편했던 나라다. 폐허에서 경제대국으로 발돋움을 하려는 그런 시대였다. 그런 배경에서 한일회담이 거듭되고, 야당은 그것을 반대하고.. 데모로 이어지게 되는 그런 시기. 중화학 산업으로 시작이 되어서 정부는 그것을 제일 큰 업적으로 홍보를 하던 때. 1964년.. 김승옥의 “서울, 1964년“이란 단편이 월간잡지 신동아 新東亞에 실리던 그런 배경이었다.

남영동에서 본 남산
남영동에서 본 남산

나는 1년도 못되게 짧게 살았던 서울도심지 회현동에서 그런대로 조금 조용하지만 교통이 편리한 위치에 있었던 용산구 남영동으로 이사를 갔다. 금성극장에서 50m 도 안 되는 거리, 뒤쪽으론 미8군 사령부가 담 넘어 있었고 남산이 그 뒤로 가까이 보이던 곳. 2층집인데 일층은 주인의 가게가 있었고 2층은 우리가 모두 차지했다. 옥상도 있어서 나는 밤만 되면 이곳에 올라와 내가 만든 망원경으로 남산 팔각정을 보기도 했다. 너무나 나에겐 좋은 주거환경이었다. 거기서 나는 중앙고 2,3학년을 보냈다. 집에서 바로 코앞, 금성극장 앞에서 버스를 타면 재동 신작로까지 갈 수 있었다. 그리고 계동골목을 통해서, 휘문, 대동중고등학교를 지나서 숨이 목까지 차오르면 막다른 골목에 majestic 한 모습의 웅장한 석조전 모교가 우리를 맞는다. 그 당시 나는 지각은 한번도 한 적이 없었다. 반대로 거의 매일 첫 번째로 가곤 했다. 늘 지각하는 애들의 얘기를 들으면 매일 그 긴 계동골목을 뛴다고 들었다. 그래서 휘문 애들이 부러웠다고.. 바로 골목의 입구에 있었으니까.

박영세 선생님
박영세 선생님

고2가 되면서 반은 본관 뒤 왼쪽 벽돌건물로 옮겨졌다. 2학년 6반이었다. 담임은 기하를 가르치는 새로 부임한 박영세 선생님. 고려대 출신이라고 들었는데, 중앙출신인지 아닌지는 아직도 모른다. 나의 고2시절은 조금 특징이 있다. 제일 과외활동적인, 기억에 남아야 될 일이 많았던 시절임에도 불구하고 그에 맞지 않게 기억이 제일 희미하게 된 학년이었다. 왜 그런지 나도 의아스럽다. 사진이 별로 없어서 그런가, 아니면 무엇인가?

먼저 추억으로 남기고 싶은 것이 있다. 좋은 추억이 아니다. 나의 친구였던 이경증에 관한 것이다. 이름도 비슷하고 중2때부터 친했던 다정스런 친구. 그가 중3때부터 조금 사춘기적 반항을 시작한 듯 했는데 그것이 결국 새로 온 담임 박영세 선생님으로 끝이 나 버렸다. 확실히 무슨 사건이 발단이 되었는지는 모른다. 결국 박선생님이 ‘퇴학’을 시킨 결과가 되어 버렸다. 나중에 경증이와 대학 이후에 재회하면서 그때의 이야기를 들었는데 그것 조차 지금 기억에서 희미해져 버렸다. 경증아, 이 글을 읽으면 다시 한번 들을 수 있게 해다오. 그 이후 나는 박선생에 대한 인상이 별로 좋지 않게 되었다.

친구 김호룡
친구 김호룡

First thing, first.. SECC 이것을 빼 놓고는 고2에 대한 추억을 말할 수가 없다. 우리들은 그저 에쓰이씨씨 라고 불렀다. Student English Conversation Club의 약자다. 정확히 언제인지는 기억이 안 난다. 하지만 고2때의 일이었다. 중3때 알던 김호룡이 와서 영어회화클럽이 있으니 같이 하자고 제의를 해 왔다. 나는 그 당시 고1때의 외로움을 만회하려고 무엇인가 과외활동을 해야겠다고 ‘결심’을 했던 때였다. 타이밍이 아주 잘 맞았다. 그래서 따라가 보니 이건 무슨 인연이란 말인가. 그 club이 모이는 곳이 바로 우리 집에서 아주 가까운 가정집이었다. 우리 집 옥상에서 거의 보일 듯 말듯한 위치가 아닌가?

그곳에 가 보니 이미 학생 몇 명이 모여서 영어회화를 배우고 있었다. 그리고 웬 ‘어른’들 몇 명 있었고, 회원으로는 김호룡, 이종원, 우진규, 이상기, 한형업.. 등등이 우선 생각이 난다. 그러니까 그때는club이 크려고 하던 그런 초창기에 속했다. 어른들은 조금 나이가 들어 보였던 ‘신광수’선생, 그리고 대학생처럼 젊어 보이는 영어의 귀재, 이름이 생각이 안 난다. 그리고 잡일을 도와 준다는 신선생의 동생이라는 남자. 이렇게 어른 세 명이 이 클럽을 이끌고 있었다. 물론 회비는 걷었지만 얼마 되지를 않았다. 그에 비해서 ‘서비스’는 거기에 맞지 않게 좋은 편이었다. 우리가 내는 회비는 턱도 없이 모자란 듯한 기분이었다.

친구 이종원
친구 이종원

그래서 농담으로 이 사람들, 혹시 북괴 간첩이 아니냐는 말도 하곤 했다. 몇 명 되지 않았지만 가끔 극장도 데리고 갔다고 했다 (나는 못 가봤지만) 일주일에 몇 번이나 모였는지 기억은 안 나지만 정기적으로 모였다. 그리고 영어회화를 배웠다. 그 신선생이란 분은 미국과 영어문화의 신봉자처럼 보였다. 그러니까 미국 것은 무조건 좋다는 식이었고, 그러니까 영어를 절대적으로 잘 해야 한다는 식이었다. 그의 영어회화 실력은 사실 대단하질 못했지만. 다른 선생 (대학생 같은) 은 달랐다. 완전히 미국방송 AFKN에 심취해서 라디오를 귀에 대고 살았다. 그만큼 그의 영어 회화실력은 대단했다. 사실 나는 영어회화에 대한 관심보다는 새 친구들을 사귄다는데 더 관심을 두었다. 그래서 후일에 계속 친구로 남게 되는 김호룡, 우진규, 이종원, 등등과 그곳에서 어울리게 되었고 고1때와 같은 ‘외로움’을 어느 정도 없앨 수 있었다.

하지만 이 클럽은 나중에 목적이 조금씩 변화하기 시작했다. 마구잡이로 회원을 늘리려고 했고 결과적으로 다른 학교 학생들 까지 가입하기에 이르렀다. 알고 보니 그 신선생이란 사람은 아마도 이곳을 통해서 돈을 많이 벌려고 한 모양이었다. 결국 근처의 빌딩으로 이사를 가서 거기서는 일반인들에게 영어회화를 가르치기에 이르렀다. 아직도 기억이 잘 안 나는 것은 그 모임이 어떻게 끝이 났나 하는 것이다. 분명한 것은 고3이 되기 전에 그곳에서 우리들이 나왔다는 것이다. 그때 우리들은 USIS(미국공보원)에서 모이는 대학생들 영어회화 모임에 참석하기도 했다. 그 당시 영어회화를 얼마나 배웠는지는 사실 미지수지만 나에게는 보람 있던 과외활동이었다. SECC에서 조금은 더 알게 된 사람들, 한형업, 주응권, 김희태, 호봉일 등등이 생각난다.

고2 시절에서 꼭 생각나는 행사가 중앙고의 특별한 행사인 ‘토요코스‘라는 것이다. 왜 이름을 토요코스라고 했는지 모르지만 아마도 토요일에 열리니까 그런 것인가. 그러면, 코스라는 이름은? 먼 후일 Ohio State University에서 중앙후배들로 부터 그 행사가 그 이후에도 계속되었다고 듣고 너무나 반가웠다. 이 토요코스는 간단히 말해서 지금의 summer camp같은 것을 학기 중 토요일 저녁부터 일요일 오전까지 학교에서 하는 고등학교 2학년 전체가 참가하는 캠프 행사였다. 그 당시도 참 신선하고, 재미있었지만 이렇게 까지 머릿속에 ‘아름다운’ 추억으로 남을 줄은 미쳐 몰랐다. 그렇게 대학진학 6개년 계획까지 세워서 입시공부를 강조하던 최복현 교장선생님께서 이렇게 교육의 여러 가지 면을 다 생각하신 것을 보면 지금도 머리가 숙여진다.

그 당시의 경제여건으로 봐서 지금은 흔한 단체 camping같은 것은 상상할 수 없었다. 그런 것을 하려면 각자가 알아서 친구들과 해야 하고 캠핑장비가 없어서 거의 모두 암시장에서 군화, 군용장비를 사야만 했다. 그런 것들은 남자들만이 그런대로 할 수 있는 취미였다. 그런 것을 학교단위로 한 것은 지금 생각하면 역시.. 하고 감탄을 하게 된다. 토요일 방과 후, 오후부터 우리 2학년 6반 학생들은 다시 학교로 간단한 야영장비를 가지고 모였다. 거의 모두 군용장비였다. 밥을 해 먹는 ‘항고’가 필수였다. 중앙고 캠퍼스는 그때나 지금이나 너무나 아름다웠다. 비원의 담을 끼고 밖에서 밥을 해 먹었다. 물론 코스담당교사인 나까무라 주길준 선생님의 지도하게 질서 정연하게 진행이 된다. 등산, 캠핑을 해본 사람들은 큰 문제가 없었지만 그렇지 않은 학생들은 아마도 신기한 경험을 했으리라. 나도 못해본 축에 속해서 아주 재미있었다.

주길준 교련 선생님
주길준 교련 선생님

어둠이 깔린 교정.. 어둠 속에 보이는 캠퍼스는 다소 신비스럽게도 보였다. 처음 그런 광경을 접한 것이다. 교련조회 비슷한 열병식도 했고, 본관 앞 잔디에 모두 모여서 열 띈 토론을 하기도 했다. 그런 것을 주길준 선생님께서 능숙하게 지도하셨다. 그렇게 짧은 시간들이 그때는 참 오랜 시간으로 느껴진 것은 지루해서가 아니라 모두 생소한 경험을 축적하느라 body clock이 천천히 간 것일 것이다. 교정에서 camping을 하면 이상적이겠지만 실제적인 (안전)문제가 있었을 것이다. 그래서 본관 다락방 (도서관 자리) 에서 군용침대를 놓고 잠을 잤다. 물론 개구쟁이 친구들은 잠을 제대로 잘 리가 없었지만 그런 소란스러움은 잠시 후 주길준선생님의 군대스타일 취침 checkup으로 끝이 났다. 자기 전에 모두 침대 옆에 서서 취침 전 점검을 받는 것이다. 그것도 참 재미있던 추억이었다.

저녁때 잠깐 보니 1층 숙직실의 노~오란 장판 위에서 주길준 선생님과 우리 반 담임 박영세 선생님이 소주잔을 기울이고 있었는데 그 광경이 너무나 정겨워 보였다. 다음날 아침에는 특별한 행사는 없었고 오전 중에 집으로 돌아왔다. 이 행사는 이렇게 간단하고 짧았지만 그렇게 신선하고 ‘탈’ 입시적인 기억은 절대로 나의 뇌리에서 사라지지 않을 듯 하다. 이것과 연관해서 생각나는 사람은: 이종진 (별세), 김진수. 이종진은 밤에 잠을 제대로 안 자고 소란스럽게 해서 기억이 나고, 김진수는 항상 나의 옆에 있던 친구라 생각이 난다.

수학여행차 서울역에서 모였다, 1964년 가을
수학여행차 서울역에서 모였다, 1964년 가을

고2때의 다른 추억은 역시 그 흔한 수학여행이다. 이것은 물론 다른 학교들도 다 하는 것이라 특별한 것은 없다. 하지만 역시 이런 것은 빠지면 후회하게 되는 그런 행사일 것이다. 지금도 추억을 하면 아름다우니까. 그 당시의 표준코스는 역시 그런대로 시설이 되어있던 신라의 고도 경주였다. 교과서에서 귀가 따갑게 듣고 들었던 곳이라 사실 호기심도 많이 있었다. 특히 석굴암과 불국사.. 얼마나 많이 국어와 국사시간에 들었던가. 기억에 아마도 2박 3일의 여행이 아니었을까? 그 당시 학급일지를 보면 확실하겠지만.. 기억이 나는 동창들은 없을까? 구체적으로 언제였는지? 아마도 10월 정도였지 않을까?

그 당시는 고속도로가 생기기 전이라 모두 서울역에서 시커먼 기차를 탔다. 그 때의 사진이 졸업앨범에 남아있다. 아마도 하루 종일 걸려서 경주에 갔을 것이다. 여관에서 식사도 하고 잠을 잤는데, 역시 이런 경험은 처음이었다. 그렇게 학교에서 매일 만나던 친구들이었지만 학교 밖에서 며칠 같이 잠도 자고 시간을 보낸다는 것은 역시 신선하다고 할까?

증기엔진 기차로 경주까지..1964년
증기엔진 기차로 경주까지..1964년

나의 추억은 서울역에서 Steam Engine, (화통)기차를 타면서 시작되어서 다시 집으로 돌아오는 기차여행까지 하나도 빠지는 것이 없다. 갈 때는 기대감으로 들떠서 유행가를 불렀는데, 웅변반의 최고변사 김흥국의 선창으로 맨발의 청춘을 악을 쓰며 불렀다. 그 당시는 신성일과 엄앵란의 콤비가 나오는 영화가 제일 인기였고 이 맨발의 청춘 도 그 중의 하나였다. 최희준씨가 부른 주제곡은 어른이나 아이들 모두 따라 불렀다.

그 고속도로 이전시대에는 완행열차가 제일 손쉬운 교통수단이었는데, 글자 그대로 느렸다. 급행이 있다고 하지만 열차 자체가 느렸던 것이다. 하지만 나는 그렇게 늦게 가는 기차에서 보이는 농촌의 풍경이 너무 정겨웠다. 경주에서는 아주 깨끗한 여관에서 짐을 풀었는데, 그 당시는 그것이 최고의 숙박시설이었다. 경주에 호텔이란 것이 없었을 것이고 있다고 해도 그림의 떡이었을 것이다.

이번의 여행에서는 고1때와 같은 외로움은 없었다. 이종원, 김호룡 같은 친구가 생겼기 때문이었다. 우진규도 있었는데 이번에는 다른 애들과 어울리는 바람에 우리와 같이 사진도 못 찍었다. 그때 나는 사진기가 없었지만 다행히 그곳에는 사진사들이 많았다. 비록 돈을 주고 찍어준다고 하지만 참 고마운 일이었다. 그것조차 없었으면 그때의 기억은 완전히 머릿속에만 있었을 것이다. 그때의 사진을 보니 이종원, 김호룡은 물론 같이 찍었고 다른 친구들도 그 속에 있었다.

석가탑 앞에서 찍은 사진은 사진사가 찍은 것이 아니었다. 우리들 중에서 누가 찍었다.물론 이 사진 속에 그는 없었겠지만. 이 속에는 왼쪽부터: 김선일, 장맹열, 심인섭, 필자 이경우, 그리고 이종원이 다보탑 앞에서 포즈를 하고 있다. 그때 우리들은 그룹을 지어서 행동을 했는데 이들은 분명히 우리그룹에 있었다. 이중에 궁금한 것은 김선일과 심인섭이다. 장맹열은 나중에 교수가 되었다고 들었는데, 이 두 사람은 어떻게 되었을까. 특히 심인섭, 나처럼 항상 말이 없으나 친절한 사람, 학교잡지(계우)에 ‘실비야’라는 멋진 시도 실었다. 사진사가 찍은 사진에는 김호룡이 있다.그는 1995년경에 타계를 했다. 나와 참 친한 친구였는데 너무도 일찍 하늘나라로 간 것이다. 그 사실을 나는 5년이나 지나서 알게 되었고 그때의 충격과 허탈감, 그리고 외로움은 지금도 여전하다.

경주 불국사 다보탑에서 호룡이, 종원이와..
경주 불국사 다보탑에서 호룡이, 종원이와..

수학여행의 모습들은 역시 졸업앨범을 봐야 했는데 불행히도 우리 반을 비롯한 많은 반 단체사진이 얼굴을 잘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엉망으로 인쇄가 되었다(사진 탓인지, 아니면 인쇄 탓인지는 확실치 않지만). 내가 관심이 가는 사진은 역시 우리가 타고 갔을 그 증기엔진기차(그때는 화통기차라고 불렀다) 기관차, 서울역 앞에 집합한 우리들의 뒷모습.. 등등이었다. 그때 카메라를 가지고 있었던 더 잘살던 동창들이 있으면 그때의 사진을 모두에게 공개를 하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해 본다.

새벽같이 일어나 단체로 토함산을 올라 동해로 떠오르는 해를 보고 (날씨가 조금 흐렸지 않았나?) 석굴암을 보았다. 그때 나는 화장실이 급해서 발을 동동 굴렀던 기억이 난다. 그러니까 관광개발이 거의 안 되었던 시절이라 화장실이 쉽게 띌 리가 없었던 것이다. 밤에는 한방에 모두 모여서 카드놀이도 하면서 학급친구들의 다른 면을 볼 수 있어서 모든 것이 신기롭기까지 했다. 다른 방에서는 베게 싸움도 했다고 들었다.

일정을 모두 마치고 귀향열차를 타고 또 모두들 미친 듯이 목청이 터져라 노래를 부르고 어떤 그룹은 춤을 추며 열차는 밤을 달렸다. 그때 놀란 것은 대구역의 거대함.. 서울역보다 더 큰 것처럼 느껴졌다. 깜깜한 시골을 달리던 기차가 세상에서 제일 밝게 느껴지는 끝없는 불빛 속을 뚫고 달렸는데 그곳이 바로 대구였다. 물론 서울보다야 작았겠지만 나에게는 그게 문제가 아니었다. 정말 찬란하게 빛나던 대구시, 대구역.. 그 인상이 아직도 뇌리에서 떠나지를 않는다. 대구에서 잠깐 내려서 그룹별로 자유시간이 주어졌다. 식사를 같이 하고 뿔뿔이 헤어져서 대구 도심지를 해 메었다. 나는 이종원과 같이 다니다가 어느 가게에 들어가서 온도계를 사가지고 나왔다. 왜 온도계를 그곳에서 샀을까? 참, 우습기도 하다. 대구의 기념품이 온도계가 된 것이다. 기차 속의 광경은 볼만 했는데, 한쪽에서 미친 듯이 밤새 춤을 추고 있고, 기차 천정에 붙어있는 짐을 싣는 곳은 간이 침대로 둔갑이 되기도 했다. 기차는 달리고 달려 아침에 서울역에 도착했다. 우리들은 자기도 하고 놀기도 하며 왔지만 완전히 파김치가 되어서 집으로 돌아왔다. 그날은 물론 학교수업이 없었고.. 하루 집에서 논 셈이 되었다. 이 여행은 지금 생각해도 안 갔으면 일생 후회를 할 만한 그런 유익하고 추억에 남는 여행이 되었다.

불국사 석가탑에서 김선일,장맹열,심인섭,이종원과 1964년
불국사 석가탑에서 김선일,장맹열,심인섭,이종원과 1964년

잊을 수 없는 것이 또 있다. 고2때의 소풍이다. 보통 소풍..하면 대개 경치가 그런대로 좋은 곳이나 유적지 같은 데로 가기 마련이다. 하지만 그때의 소풍은 달랐다. 김포 근처에 있는(맞나?) 대한민국 공군 제11전투비행단.. 아마도 이런 곳으로 소풍을 간 학교는 없을 듯하다. 그런데 이건 누구의 idea였던가? 그게 조금 궁금하다. 아마도 역시 우리의 자랑인 “수위모자” 최복현 교장선생님이 아닐까? 그때 비행단에서는 우리들을 트럭으로 싣고 그곳으로 안내를 했다. 물론 경치 좋은 곳에 모여 앉아서 소풍점심은 못 먹었어도 우리들은 모두 기쁜 흥분을 감출 수가 없었다. 그곳의 시설을 완전히 우리들에게 공개를 한 것이다. 전투기의 조종석에도 앉아보게도 했다. 전투기는.. 그 유명한 F-86 Saber였다. 그것들이 우리의 앞에 있었고, 우리들 앞에서 뜨고, 착륙하고.. 정말 멋이 있었다. 요새 같았으면 기념 사진들이 요란하게 남아있으련만 아깝게도 그때의 사진이 한 장도 없다. 어떤 동창 중에는 아마도 남아있는 것이 있을지도. 그때 돌아오는 트럭 위에서 OB 맥주를 병 채로 신나게 마셔대던 아이들도 있었다. 아~~ 추억이여.

박영세 담임 선생님, 세월이 이렇게 흘렀어도 정이 별로 안 가는 것은 내가 좀 심했을까? 왜 그럴까? 물론 친구 이경증을 퇴학시킨 것도 이유가 될 듯하다. 2학기 중에 내가 조금 방심하면서 나의 시험성적이 떨어졌는데, 그것 때문에 나는 교무실로 불려 갔다. 나는 질책과 더불어 성적을 올릴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기대했는데, 그런 것은 전혀 없고, 기가 막힌 표정으로 시간을 보낸 뒤, 가정방문을 꼭 할 것이라고 ‘으름장’ 비슷한 말을 했다. 그저 내가 불쌍하다는 표정만 보았는데 나는 기분이 아주 나빴다. 그것과 더불어 나는 박선생님의 ‘폭력성’에 놀랐다. 물론 그 당시 선생님들은 학생을 자주 때리는 편이었다. 하지만 정도가 있었다. 사랑의 매를 들었는지, 증오심으로 개 패듯 하는 우리들이 보면 알 수 있었다. 그 ‘사건’은 하루 공부가 다 끝나고 홈룸 시간이 있었다. 그때 아마 반장이 정귀영이었는데, 홈룸 시간이 끝나기도 전에 갑자기 박선생님이 들어오더니 다짜고짜로 정귀영을 패기 시작하였다. 나는 선생님이 학생을 그렇게 경고도 없이, 설명도 없이 모든 학생 앞에서 개 패듯이 때리는 것을 본 적이 없었다. 그때의 기준으로 보아도 그것은 완전히 일방적인 폭력이었다. 그 이유도 잘 모른다. 그런 선생님이었다. 박영세 담임선생님은.. 절대로 은사님으로 존경을 할 수가 없다.

정귀영, I love you more.. 1964년
정귀영, I love you more.. 1964년

정귀영은 그렇게 해서 기억에 남았지만, 기억을 할 이유가 한가지 더 있었다. 그때 그 나이 정도면 대부분 미국(간혹 영국, Beatles, Cliff Richard같은)의 pop song에 심취하기 마련이다. 우리들도 예외 없이 마찬가지로 그랬다. 그때 Top Tune Show라고 하는 동아방송 라디오 프로그램이 있었다. 최동욱씨가 disc jockey로 미국 pop song을 소개하면서 맹활약을 할 때였다. 프로그램 이름이 아마도 <> 이었던가? 그리고 그때 히트 곡 중에는 Al MartinoI love you more (and more everyday)란 것이 있었다. 나도 정말 좋아하는 곡이었다. 하루는 정귀영이 그 노래에 거의 미쳤는지, 수업시간 사이에 교실 뒤편 구석에 벽을 향해 서서 완전히 성악가처럼 열창을 하고 있었다. 한번을 부르는 것이 아니라 계속 부르는 것이었다. 아주 멋있게 잘도 불렀다. 그 광경이 거의 45년이 지난 지금도 눈에 아주 선~하다. 정귀영은 지금 어떻게 살고 있는지..

 

 

I Love You More and More Everyday – Al Martino

교실 안에서 일어난 조금 심한 싸움을 기억한다. 쉬는 시간에 갑자기 최상철과 송관헌이 싸움을 했는데, 이건 흔히 보는 주먹싸움이 아니었다. 송관헌이 “이노무새끼 주겨버린다!” 하면서 칼(jackknife)을 들고 최상철에게 다가간 것이다. 아마도 최상철이 송관헌을 괴롭혔던 모양이다. 그런대로 조용하게 행동을 하던 그가 칼을 들었던 것은 보통 사건이 아닌 것이다. 주먹깨나 쓰던 최상철도 조금 얼어붙은 표정이었지만 체면이 있는지 곧바로 펜촉을 들고 맞섰다. 곧바로 선생님이 오시고 해서 무마가 되었다. 그 장면이 아직도 눈에 생생하다. 무엇이 송관헌을 그렇게 만들었을까? 조용하게 지내던 사람이 갑자기 독기가 나면 더 무섭다는 사실을 그때 알았다. 최상철은 자타가 공인하는 ‘주먹’이었지만 송관헌은 그런 면이 별로 없었던 것이다.

고2때 나의 주변에 앉았던 친구들을 생각한다. 김진수, 박필상, 김태영, 장맹열, 우근영..등등이 떠오른다. 김진수는 고3때에도 내 앞에 앉았다. 대학 졸업 후에 한번 만난 적이 있었다. 그가 해군에 있을 때였다. 그때 아마도 정양조, 김윤필 등도 같이 만났던 기억이다. 김태영은 1973년경 중앙청으로 여권을 신청하러 갔을 때 그곳에서 잠깐 만났다. 박필상, 졸업 후에 한번도 못 보았다. 오래 전 동창 박우윤이 보내준 1989년 57회 연말모임의 사진을 보니 그가 보였다. 반가웠다. 장맹열.. 중3때 같은 반을 했다. 항상 1등이었던 진짜 모범적인 학생이었다. 그는 지휘, 통솔력도 뛰어났다. 홈룸 시간이면 앞에 나가서 말을 조목조목 잘도 했다. 나는 그것이 정말 부러웠다. 그는 주소록을 보니 현재 경남대 경제과 교수로 있다. 그곳은 역시 그에게 적합한 곳이 아닌가?

중앙고2 시절은 나에겐 황금기였다. 분에 넘치는 과외활동으로 학교성적에는 많은 스트레스가 있었다. 하지만 그때 나는 electronics에 대한 것에 눈을 뜨고 그것을 나의 전공으로 굳히는 계기를 만들었다. 영어회화클럽으로 필수적인 영어회화를 배울 수도 있었고, 여름방학에는 시원한 마루바닥에 누워서 삼국지를 즐기는 여유도 있었고, 문화방송의 밤을 잊은 그대에게에 심취하면서 팝송에 눈을 뜨고, 새로 복간된 월간지 신동아 를 과감히 구독하며 사회적인 문제에 눈을 뜨기도 했다. 일기를 계속 쓰면서 문득, 처음으로 이대로 일기가 계속되면서 나는 언젠가 죽는다..하는 인간수명의 한계도 그때 느꼈다. 이러한 모든 사치스러운 것들은 고3이 되면서 자연스럽게 입시준비로 뒤로 밀리고 만다. 선배들이 항상 그렇게 말했다.. 고2때가 가장 기억에 남을 것이라고.. 과연 그렇다.

 

중앙고등학교 졸업 앨범, 1966

Ah…Eres tu, 1973..

아주 오랜만에 Mocedades 1973년 히트곡 Eres tuyoutube를 통해서 다시 듣고, 보게 되었다.  이곳을 통해서 이곡이 1973년 Eurovision contest에서 2위를 한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 그룹이 6인조(여자 2, 남자 4)라는 것도 볼 수 있었다. 사실 이곡을 처음 들었던 것은 1973년 미국유학 첫해였는데, 아마도 1973년 가을부터 radio를 틀기만 하면 이곡이 흘러 나왔다. Spanish노래가 이곳의 일반 radio에서 이정도로 나오는 것은 그때 당시에도 흔치를 않았다. 어떻게 해서 이곳사람들이 잘 모르는 Eurovision Contest의 곡이 미국 top chart까지 올랐는지 확실치를 않다. 하지만 1973~4년을 생각하면 이 노래가 제일 먼저 떠오른다.

Eres Tu – Mocedades – 1973 

처음 들을 당시에는 Spanish로 불리웠다는 것만으로 짐작을 해서 그런지 그저 남미나 멕시코의 가수가 부른 것이라 생각을 했는데 아주 이후에 그들이 진짜 Spanish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 중에서도 Basque 민족이라는 것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그런지 더 흥미가 간 것도 사실이다. 그들이 어떻게 생겼는지, 어떤 그룹인지 사진 같은 것은 보기도 힘들었던 시절이었는데, 이렇게 세상이 좋아져서 다시 듣고 볼 수가 있게 되었으니. 참 좋기는 한데 다른 한편으로는 조금 ‘신비스러움’ 같은 것이 줄어든 기분도 든다.

1973년 미국의 광활하고 끝없는 지평선을 차로 가로 지르면서 거의 매일 들었던 이 노래를 생각한다. 그 당시에 그 곳에서 만났던 사람들은 다 무얼 하며 지내는지 같이 궁금해진다. 특히 성성모씨, Prof. John Hahn, 3 nurses at Auburn, Nebraska, Hank Lee at Omaha, Nebraska. 이제는 거의 ‘전설’처럼 느껴진다.

 

Ah… sir Cliff Richard…

Cliff Richard, 아니 더 정확하게는 Sir Cliff Richard, 인도태생의 영국의 국민가수다. 하지만 내가 기억하고 싶은 그는 teen idol이었다. 처음 ‘본’것은 영화에서다. 1964년 명동극장에서  Teenager Story라고 제목이 된 것인데 알고 보니 원래 제목이 The Young Ones였다. 아마도 분명히 일본“아해”들이 그렇게 제목을 바꾸어서 상영을 했던 모양이다.

그러니까 이 영화가 한국에 오기 전에는 별로 그를 아는 사람이 드물었다. 그 당시는 일본이 세계로 통하는 지름길목이어서 많은 것들이 그들의 취향에 좌우되곤 했다. 그때가 그러니까 고2때였다. 한창 팝송에 열을 올리던 시기라 물론 그 영화의 영향은 상당했고 그 이후로 그는 한국에서도 최고의 인기를 누리게 되었다.

 

 

Vision – Cliff Richard

그 영화에 삽입된 거의 모든 곡들이 LP album으로 나왔고 (그때는 copyright, license란 개념조차 없어서 그냥 외국 판을 복사했다) 나도 그것을 샀다.  영화 속의 group sound는 실제로 Cliff Richard와 같이 공연을 하던 The Shadows였는데 그 중에 안경을 낀 남자가 있어서 조금 인상적이었다. 보통 group sound라고 하면 장발에 옷들이 요란했지만 그들은 아주 심하게 말해서 거의 ‘은행원’ 같은 인상이었다. 

그 후로 Cliff Richard는 영화와 상관없이 많은 top chart (물론 미국계가 아니고 유럽계였지만) 에 오르는 주옥같은 recording을 발표했는데 그 중에 Vision이란 것이 있었고 아직도 가사를 완전히 외우고 부를 수 있는 불후의 classic이 되었다. 그 외에도 Bachelor Boy, Congratulation, Tin Soldier, Evergreen Tree, I could easily 등등이 생각난다.

거의 5년 뒤에 그는 일본공연차 왔다가 서울에 잠깐 들려서 이화여대강당에서 한차례 공연을 했다. 1969년으로 기억을 하는데 아주 확실치는 않다. 아마도 1970년일지도… 누가 알면 고쳐주시기 바란다. 가을로 기억을 하는데 정말 그때 그가 그렇게 여고생들에게 인기가 있는지 몰랐다. 관중의 대다수가 여고생들이었으니까. 나는 그때 여자친구가 ticket을 구했다고 해서 어쩔 수 없이 가게 되었다. 여고생들의 ‘괴성’에 정말 시끄러웠지만 사실은 나도 실제인물과 실제노래를 ‘생방송’으로 듣는다는 사실이 가슴이 설레었던 게 사실이었다.

그때 부른 처음 곡이 It’s all in the game이란 미국 country song이어서 조금은 실망을 했지만 그 다음부터는 거의 우리들이 기대했던 standard selection이어서 정말 좋았다.  The Young Ones, The Day I met Marie, Big Ship 등등이 생각이 나는데 아마도 Vision은 없었던 것 같았다. 사회는 물론 그 당시 젊은이들에게 인기가 많았던Duo  Twin Folios의 윤형주가 맡았는데 사실 그렇게 매끄럽게 한 진행은 아니었던 것 같다.

그때 반주는 역시 The Shadows가 따라와서 했는데 사실 그들의 지나치게  ‘즐거운’ 연주는 조금 버릇이 없게 느껴지기도 했다. 그러니까, 우리 같은 ‘촌놈’들에게 이정도의 음악은 과분하지 않겠냐… 하는 모습으로 느껴지기도 했다. 사실은 그 당시 우리나라의 일반 경제수준이 워낙 떨어지다 보니까 국제적인 문화행사에서 아주 ‘죽은 곳’에 가까웠다. 그런 유명한 연예인들을 부르기에 너무나 $$가 귀했던 것이다.

Cliff RichardBeatles같은  다른 영국의 group과는 아주 다른 스타일로 자기만의 fan들을 가질 수 있었는데, 미국에 와서 보니까 그는 완전히 nobody에 가까웠다. 1970년대 말에 잠깐 American style 로 진출을 하려 한 모양인데 역시 한계가 있었던 모양이다. 인터넷 상으로 감을 잡으면, 그는 사실 미국을 제외한곤 전혀 문제가 없었다. Soccer를 생각하면 비슷하다. 

잠깐 반짝한 연예인이 아니고 정말 자기가 부른 노래들을 믿고 사랑하는 평생가수, 국민적인 가수로 노력을 하더니 결국은 Sir란 작위를 받았고 아직도 concert를 하며 다닌다. 거의 70세가 된 모양인데 전혀 은퇴를 생각하지 않는 모양이다. 새로 발표하는 노래보다도 왕년에 불렀던 노래를 더 많이 부르고 청중들도 이제는 거의 장년, 노년들로 이루어진 것을 보아도 그가 얼마나 오랫동안 활동을 하는지 알 수 있다.

 

CCR night

지난 금요일 저녁에는 예정대로 (갈 마음은 예전대로 별로였지만) 백형 네 부부와 Mable House Amphitheater에서 Creedence ClearwaterRevisited concert에 갔었다.  알고 보니 2명이 original member였고 나머지는 다 그런대로 젊은 사람들이었다. 100%가 다 즐겨 듣던 대 히트곡이라 그거 하나는 정말 감회가 새로웠다. 청중들은 예상대로 거의가 우리 또래의 baby boomer들~~~~~~  CCR concert는 결과적으로 만족했다. 거의 모든 히트곡이 원래가 시끄러운 것이라 더 새로웠다. 하지만 진짜 original에는 못 미친 곡도 많았다. 조금씩 variation (tempo etc)을 주었으면 다 낫지 않았을까. 거의가 같은 시끄러운, 빠른 템포라서 나중에는 조금 지루한 그런 느낌

머릿속은 계속 1969/70년도로 돌아가서 용현이와 어울리던 곳에 머물러 있었다. 확실히 생각나는 것은 1970년 4월초 지리산 등산을 마치고 어느 다방 (우리가 좋아하던 곳.. 이름을 잊었다.. 하느님) 어두운 곳에 앉았는데 용현이의 얼굴이 어둠 속에 묻혀 하얀 와이셔츠만 보였다.. 얼굴이 없는 사람? ㅎㅎ 그때 정말 그 녀석 Who’s stop the rain을 좋아했지.. 나도 그 이후부터 .. 그러니까 그 그룹의 시작은 1969년경이 아니었던가.. 까물거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