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anksgiving 2014
¶ Give Thanks, Count my blessings..
이제야 이런 속어, 숙어들의 의미를 새로 생각하게 되는가.. 올해는 역사적이고 종교적인 것에서 완전히 세속화 되었고 되고 있는 Thanksgiving Day 2014를 진정한 고마움을 느끼며 맞는다. 일에서 쉬고, 푸짐히 먹는 그런 날만이 아니고 피부로 느끼는 ‘고마움’의 기분이 가득한 그런 날이 되고 싶은 것이다. 왜 다른 해보다 더 감사를 드려야 하는가.. 올해는 이것이 그렇게 어려운 질문이 아닌 듯하다.
예년에 비해 너무나 추운, 한겨울 같은 11월은 더욱 holiday의 분위기를 주어서 큰 불만은 없지만 다른 편으로 holiday blues의 가능성을 전혀 떨칠 수는 없다. Holiday = Family라는 등식의 의미를 생각하면 다른 차원의 기쁨과 슬픔이 교차됨을 느낀다. 대가족에 대한 부러움이 더욱 커지는 이런 season에 이제는 우리보다 더 쓸쓸한 가족의 외로움에 동참하고 싶다.
Thanksgiving Song – Mary Chapin Carpenter
올해는 가족 역사상 ‘처음으로’ Thanksgiving Day Mass에 가 보았다. 이런 날 미사를 거르는 우리 가족의 전통이 근래 들어서 조금씩 부끄러웠던 것도 사실이지만 그런 가족전통을 깨고 싶지도 않았다. 그런 것이 올해는 얼음이 녹듯이 해결되었다. 전통적인 ‘장시간 터키 요리 준비’를 올해는 ‘단시간 Spanish seafood roasting’으로 바꾸어서 아침부터 음식준비를 하지 않아도 되었기 때문이다. 처음 간 Holy Family Church 미사는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왔다. 아마도 그들은 매년 왔던 ‘고정적’인 사람들이었을 것이다. 하기야, Thanksgiving을 하는 제일 좋은 방법이 ‘성찬의 전례, Eucharist‘가 있는 가톨릭 미사일 것이다. 진정으로 하느님께 감사를 드리고 시작하는 ‘추수감사절’은 예년에 비해서 훨씬 마음이 가벼웠다.
올해의 feast menu는 ‘완전히’ 바뀐 것으로 ‘아이들 (두 딸)’이 합작으로 생각한 것으로 전통적인 turkey에서 seafood으로 바뀌고 준비시간도 크게 단축이 되고 따라서 energy소비도 격감이 되었다. 결과는 ‘먹어 보아야’ 알겠지만.. 우선 ‘맛 없을 수 있는’ turkey가 없는 것이 left-over를 먹어야 하는 부담을 덜 수 있어서 마음도 가벼웠다. 올해는 ‘정신적 여유’가 조금 있으면 guest를 한 명 정도 부를까 하는 생각도 했지만 역시 ‘여유가 없는 세월’에 채여서 실현을 할 수 없었다.
지나간 해, 세월에서 감사를 드릴 것은 가지 수로 따지면 많지 않지만 그 몇 가지에 대한 감사의 정도와 농도는 아마도 쉽게 글로 표현할 수 없을 것 같다. 진정으로 가슴으로 높은 저곳의 ‘누군가’에게 감사를 드려야 하고 드리고 싶다. 나를 개인적으로 ‘사사건건’ 인도해 주신 ‘하느님의 어머니’.. 2007년부터 나를 보이게 안 보이게 인도해 주신 ‘그 어머니‘ 그리고 나를 항상 안쓰럽게만 바라보시는 어머님.. 나를 우리를 인도해 주신 것.. 첫 번째의 감사 대상이 아닐까. 특히 ‘하느님의 어머님’은 조금이라도 빗나가기만 하면 바른길로 잡아 주셨다. Holy Family CC에서 soul friend가 된 ‘한국말을 쓰는 자매님‘들.. 진정한 친구로서 서로를 격려하며 살았다. 오랜 가족의 숙원, 숙제를 큰 어려움 없이 풀어갈 수 있게 도와준 가족들, 높은 곳의 어머님들.. 감사합니다. 이제는 ‘오늘 죽어도’ 큰 고통이 없을 것 같습니다. 일년 열두 달.. 매일을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 수 있기를 기도합니다.
¶ Eat Turkey, Become American..
어제 날자 New York Times PRIVATE LIVES Opinion Page에 조금은 익숙한 이름 Marie MYUNG-OK LEE라는 ‘한국 이름’의 저자가 쓴 글이 실렸는데 그 제목이 바로 Eat Turkey, Become American이었다. Thanksgiving Day 에 맞추어 어떤 Korean-American author가 어린 시절을 회상하며 쓴 것인데, 생각보다 세월을 거슬러 올라가는 시절의 얘기라 나의 관심을 끌었다.
글을 보니 ‘매끄러운 문제’여서 혹시 professional writer 가 아닐까 했더니 나의 짐작이 맞았다. ‘잘 나가는’ 저자였던 것이다. 저자는 한국인 부모를 둔 여성으로 어린 시절 집에서 Thanksgiving Day와 다른 ‘미국 명절’을 지내며 한국, 미국의 두 문화권을 살았던 이야기를 재치 있게 그렸는데, 그 시절은 한국전쟁 이후에서 시작되는 ‘오래 전’의 역사였다.
그녀, 저자의 아버님은 원래 의사였는데 한국전쟁 때 미군 장성의 통역관으로 일을 해서 미국에 올 수 있었다고 한다. 그 때가 1953년 경이니.. 휴전 할 당시일 것이다. 당시에는 아시아 이민의 길이 ‘전혀’ 없어서 올 수 있는 길은 모두 ‘임시 비자’에 의한, 그러니까 유학생 같은 것 뿐이었을 것이다. 임시 정착한 곳이 춥기로 유명한 미네소타 북부지역의 조그만 ‘의사가 거의 없는’ town이었고 그곳에서 자녀들이 태어났고 Thanksgiving Day같은 holiday를 turkey를 먹으며 ‘ 미국인처럼’ 살았다. 임시비자가 만료되어 이민국에서 출국명령을 받고 ‘위기’를 맞았지만 현지 congressman의 도움으로 영주권을 받고 1965년 아시아계 이민이 개방되는 법으로 시민권을 받았다고 한다.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시대를 알면 왜 그 부모님들이 자녀들에게 ‘한국에 대한 것을 잊게’ 하려는 노력을 했는지 대강 짐작이 간다. 1970년대 유학생들도 그런 것은 마찬가지였다. 한국말을 ‘못 쓰게’한 가정도 많이 보았고 그것을 ‘자랑’으로 생각하던 시절이었다. 그러니 이 글의 저자가 겪는 문화갈등은 더 했을지도 모른다. 오죽하면 어린 시절 자기들이 ‘우주선을 타고 미국에’ 내렸다는 기분이었다고 했을까? 자기들의 ‘근본’을 모르고 자란 것이다. 가난하고 찌든 조국을 잊게 하려는 ‘의사 부모님’의 심정을 지금 이해하려면 조금 힘들지만 그런 시절을 나는 반 정도는 겪었기에 조금 쉽게 이해한다.
이 글을 읽으며 곁들여 생각나는 것 중에는 1970년대 유학생들이 ‘선배 유학생’들에게 들었던 ‘미국 개척사’들.. 50/60년대 유학생들의 이야기들.. 특히 이 글의 배경이 된 미네소타 북쪽의 맹 추위와 돈이 없어서 pet food를 먹었다는 이야기.. 김치와 쌀을 완전히 잊고 살았던 시절..나의 시절은 그 정도는 아니었지만 짐작은 할 수 있었다. 특히 처음 보는 Thanksgiving Day culture는 당시에는 ‘100% 미국적’인 것으로 보였다. 그러기에 저자의 부모들이 그렇게 turkey 요리 준비에 신경을 썼던 것이 아닐까.. 참 오래 전의 ‘흘러간’ 이야기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