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동방송 고은정 追憶, 평화신문 有感

극동방송, 평화신문.. 이 두 잘 알려진 mass media company 들, 하나는 천주교 print media인 평화신문, 그리고 개신교 쪽의 극동방송은 broadcast media service하는데 공통점이 있다면 둘 다  내가 현재 그들의 service를 받고 있다는 사실이다. 솔직히 말해서 나는 이 ‘대한민국 산 産’의 매체들은 얼마 전까지 관심도 없었을 뿐만 아니라, 직접 ‘정기적’으로 접해본 적이 한번도 없었다. 평화신문은 도라빌 순교자 성당 사무실에 archive해 놓은 것을 몇 번 훑어 본 적은 있었지만 그것이 전부였다. 그 당시의 인상은 이런 기사들로 ‘장사’가 되나.. 하는 유치한 생각 뿐이었다.

극동방송, 이것은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고 귀로 듣는 방송매체이고 이것도 그 동안은 ‘어디선가 들어본 이름’ 정도의 관심으로 살았다. 하기야 어디선가 들은 이야기로, 미국에 살던 어떤 유명한 한인 목사 (김장환 목사)가 대한민국으로 돌아가서 세운 개신교 선교 방송국이라는 것은 어렴풋한 기억으로 남아 있을 정도였다. 이것도 현재 자주는 아니지만 그런대로 정기적으로 듣는 입장이 되었다.

이 극동방송 (FEBC) 은 분명히 ‘대한민국 발 發 생방송’이고, free version TapinRadio  (Windows, Android client apps) 를 써서 인터넷 으로 real-time  생방송을 듣게 되었는데, 사실 처음 이 ‘생’방송을 들었을 때 나는 한 동안 느껴지는 격정, 감정을 억누르기가 힘들었다. Every hour on the hour, 3-2-1 count down beep!!, 오랜 전 고국의 방송들, 매 시간마다 삡삡삡..삡~ 하며 정시를 알려주던 것, 거의 반세기 동안 못 들었던 것. 그 오랜 세월 동안에도 이 service는 안 변했구나 하는 감회가 일었다.

이 극동방송 format도 고향의 맛을 느끼게 하는 것들, 한마디로 그 옛날 ‘라디오’만 가지고 있는 ‘듣는 즐거움’에 맞게 그렇게 아기자기하게 program들을 꾸며 놓은 것도 이 방송에서 느끼게 하는 ‘오래~ 전’ 라디오에 대한 향수를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단 한가지 신경을 써야 할 것은 이 방송은 역시 ‘개신교, 마틴 루터’의 대변인 이라는 사실, 하지만 알고 보면 큰 문제는 없었다. 역사적 사실을 알고 들으면 전혀 문제가 없는 것이다. 나와는 의견이 다른 형제들이라는 사실만 알면 되는 것이다.

거기다가 이곳에서 ‘고은정’ 성우를 다시 ‘만나게’ 되었다. 1950년대 KBS ‘라디오 전성시대’부터 우리의 친근한 국민 성우로 활약했던 고은정, 그 고은정이 이 방송에 ‘매일’ 나오시는 것이 아닌가? 라디오 시대의 personality들은 목소리만 들었지 ‘모습’을 보기가 하늘의 별 따기여서 어딘가 신비감까지 들었던 분들이고 특히 이 고은정 씨는 더욱 그랬다. 비록 옛날의 낭랑한 목소리는 아니더라도 목소리의 기억은 아직도 뚜렷하다. 1950년대 KBS시절 참 ‘기라성’같은 성우들이 많았다. 나는 비록 코흘리개 애청자였지만 그들의 목소리 느낌 들 아직도 기억한다. 

이 두 그리스도교 매체들과 접하기 시작한 것도 이제는 어느덧 1년이 넘어가고 있고 그 동안 느꼈던 것을 정리할 때가 되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평화신문… 나는 이 신문과 분명히 문제가 있다는 생각이 들고, 결론은 곧 다가오는 구독갱신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이다. 한마디로 구독료에 상응하는 service를 나는 거의 못 받고 있고, 반대로 나의 신경을 건드리는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님을 인정하고 싶은 것이다. 미주 판이라는 added service가 있는가.. 나는 그렇게 많지 않다고 생각한다. 타성에 젖은 듯한 편집태도도 그렇다. 예를 들어서 일년이 가깝도록 ‘매번 등장하는 백영희 칼럼’, 도대체 이 ‘백’여인이란 사람은 누구인가? 그분의 신변잡기까지는 그렇다 치고,  누구의 신변잡기란 말인가.. 왜 이 사람의 잡기를 읽어야 하는지.. 한 번도 이 분에 대한 1줄의 배경설명이 없기에.. 물론 googling을 하면 무언가를 알 수는 있겠지만.. 솔직히 그런 정도의 관심까지 두기가 싫은 것이다. 이것은 편집태도의 타성에 의한 나태에 가까운 것 아닐까?

그것만이 아니다. 이 신문을 구독하게 된 과정을 기억하면 ‘레지오 미친년 난동사건‘을 안 떠올릴 수가 없다. 그것만으로 평화신문이 부정적으로 보이는 것은 아니지만 감정의 동물인 나로써는 ‘아직도’ 어쩔 수가 없다. 이 신문이 배달되는 그 순간 나는 그 ‘미친년, 살모사 뱀의 얼굴’이 떠오르니 어쩔 것인가? 이래 저래 나와 평화신문은 ‘악연’에 가깝다는 결론이고.. 그 결과는 뻔한 것이 아닌가?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