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방송 매일미사 성찬례
¶ Virtual Holy Communion, Spiritual Communion, 신영성체? 기억을 더듬는다… 마지막으로 성체를 손으로 받아 모셨던 ‘진짜’ 영성체를 했던 것이 언제였더라… 책상 위에 있는 일지/달력을 뒤져본다. 그때는, 지금은 거의 태고, 골동품, 녹슨 느낌이 드는.. 3월 14일 토요일, 동네 미국본당 Holy Family Catholic Church의 아침미사 때, Father Junot 로부터 성체를 손을 받아 모셨던 것, 바로 그때. 우리의 한국본당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에서의 마지막 영성체는 그 보다 4일 전, ‘레지오 화요일’ 정오 미사 때, 임기를 모두 마치고 이임준비를 하시는 ‘착한목자’ 김형철 시메온 신부님으로부터였다. 그 이후로 세상은 급변해서, 한번도 성체의 모습을 볼 수가 없었다.
평소에 성체신심이 그렇게 출중했던 것도 아닌데, 이제는 사실 그리워지기도 한다. 아니 그리워 해야 한다는 조바심도 난다. ‘성체에 현존하는 예수님’ 은 가톨릭 교리의 핵심부분이다. 동물적오감 五感으로 믿기건 안 믿기건 전혀 상관이 없는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오랜 세월 동안 이 ‘성체성사’를 못하게 되므로, 해괴한 전염병 때문이 이 가톨릭 핵심교의가 치명타를 입는 것인가?
그 대안이 사실은 교의적으로 타당한 방법이 오랜 전통으로 이어져 오고 있었다. 그 동안 이렇게 세계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될 줄은 아무도 몰랐을 뿐이다. 미국 예수회 Society of Jesus의 월간지 America Magazine 에 비교적 자세히 설명이 된 기사가 있었다. 2020년 3월 31일자의 Colleen Dulle 의 기사가 바로 그것이다.
‘Coronavirus has cancelled public Masses. How can we participate in our own homes?‘ Ms. Dulle 은 본인이 겪는 경험과 더불어 많은 가톨릭 신자들이 집에서 참례하는 미사를 어떤 식으로 하고 있는가를 survey하고 있는데 그 중에 미사의 정점, 절정인 성찬례와 영성체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이 신령성체(신영성체) spiritual communion 은 성찬례를 갈망하며 드리는 기도의 형식으로 중세로부터 내려온 가톨릭 전통이며, 이 가르침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 St. Thomas Aquinas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성체를 모시는 것은 ‘영적 spiritually‘인 것과 ‘물질적 physically ‘인 것 두 가지가 있음은, 지나간 몇 세기 동안에 대부분 신자들은 일년에 몇 번 정도 실제적 영성체를 했고, 나머지 주일에는 신부가 성체거양 聖體擧揚을 할 때에 ‘영적’인 영성체를 했다고 밝히고 있다. 이런 전통에 근거해서 프란치스코 교황은 모든 가톨릭 신자들이 영상에 의한 성체거양 시에 ‘합법적’인 영성체를 할 수 있음을 권고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교회전통이 있음을 알고 매일미사에 참여를 하는 것, 정말 큰 도움이 된다. 미사 ‘시청’시 마음의 자세가 전혀 다른 것이다. 수수방관하는 입장에서, 시청자의 입장이 아닌 실제 미사와 깊숙이 연대관계를 느끼는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경험들은 사실 이번 코로나 사태가 없었으면 죽을 때까지 알 수가 없었을 것이다. 또한 우리에게는, 조국 대한민국의 가톨릭 계, 문화, 흐름, 맥박을 조금 더 가까이 느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매일 바뀌는 평화방송 미사 주재 신부님들, 대부분 어쩌면 그렇게도 ‘애 띤 얼굴’들일까.. 감탄을 한다. 대부분 노인사제들인 이곳의 환경과 너무나 대조적이 아닌가? 거의 손자들 같이 느껴지는 이 사제들, 참 대한민국의 수많은 순교성인들이 뿌린 씨앗일까… 복 받는 느낌을 떨칠 수가 없다.
¶ 요새 집의 뒤쪽, yard에서 간간히 목공 일을 하며 라디오 뉴스로 조지아의 코로나 사태에 관련된 소식을 간간히 들었다. 이발소 같은 곳이 문을 열기시작 했다는 소식이었다. 성급한 느낌은 떨칠 수는 없지만 다른 쪽으로는 심리적으로 무엇인가 평상으로 돌아 간다는 느낌도 있었다. ‘과학적’으로 아직 준비가 안 되었다는 것, 그것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것이 아님을 알면 이것도 이해는 된다. 먹고 사는 것, 그것을 어떻게 무시할 수 있을까? 우리가 그런 문제를 피부로 못 느껴도 머리로는 알 수 있지 않을까?
¶ 내친 김에 서둘러, 최인호의 1990년대 수필집, ‘작은 마음의 눈으로 사랑하라‘ 필사를 바로 전에 끝냈다. 지난 9일부터 시작한 것, 하루 평균 20 쪽 이상을 필사하였던 것이다. 아마도 거의 매일 했으니까, 이 평균은 정확할 것이다. 신 神 들리듯 한 기분으로… 읽으며 제일 공감이 안 갔던 것 중에는 그 놈의 ‘초등학교’라는 어휘였다. 시대적, 상황적으로 어쩌면 그렇게 둔감한 표현을 썼을까… 하지만 혹시 이것 편집자들의 횡포는 아니었을까.. 하는 상상도 해 본다.
추억은 역사다. 역사를 소급해서 정치적, 사회적으로 수정하는 버릇은 어디서 나온 것인가? 한마디로 그 단어, ‘초등학교’는 나의 기분을 크게 상하게 할 정도로 어울리지 않는 것이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이해인 수녀님의 수필집에서 그녀는 추억의 창경 ‘국민학교’임을 분명히 회고하고 있다. 이제 이 책을 중심으로 나의 생각과 추억을 정리하고 싶다. 어떻게? 모른다. 하지만 이 책의 배경이 1960년대부터 1990년대 말까지라서, 소재는 얼마든지 널려있는 것이다.
¶ 날씨도 꾸물거리는 아침 무렵에 ‘걷기는 뒤로 미루고…’, 하다가 오늘은 못 걸을 가능성이 있다. 정말 비가 쉬지 않고 나리던 날 빼고는 99.99% 우리는 동네 trail을 걸었다. 정말 이것은 최고의 기분전환, 운동 까지 되는 완벽한 우리의 일과가 되었다. 감사합니다. 언제까지 이렇게 걸을 수 있을 까? 또 부른다, 백년설의 나그네 길, ‘오늘도 걷는다마는 정처 없는 이 발길…“
오늘도 걷는다마는.. 정처 없는 이 발길..
¶ 일요일 아침이 빨리 지나갔다. 하지만 벌써 1. french toast아침 먹고, 2. 온라인 순교자 성당 주일미사를 10:30분에 봉헌했고, 3. 곧바로 걸으러 나갔다. 이 정도면 일요일의 start가 꽤 좋았던 셈이다. 할렐루야!
미사 후 공지사항에서 ‘아틀란타 대교구의 공식적 미사는 5월 말까지 계속 중단이 된다’는 소식을 들었다. 생각보다 좀 긴 느낌도 들었다. 사업체들이 조금씩 open을 하는 마당에 한 달은 긴 것이다. 하지만 이유는 충분히 있다고 믿는다. 우리의 성사생활에 어떤 영향이 있을지 그것을 가늠하여야 할 듯, 특히 레지오는 특히 우리에게 큰 관심사이지만 현재로서는 조금 먼 곳에 있는 듯 느껴지기만 하니… 이러다가 레지오 마리애의 위상이 크게 떨어지지나 않을지 그것이 우려가 된다.
¶ 레지오 꾸리아에서 개인연도 공지가 왔다. 주일 온라인 미사 중에 연미사 명단에서 들었던 인천교구의 어떤 몬시뇰 monsignor 이었는데, 알고 보니 하필이면, 2017년 가을에 우리 레지오를 엉망으로 짓밟아 놓고 사라진 어떤 ‘미친x 단원’의 작은 시아버지라고… 허~ 갑자기 기분이 가라앉음을 느낀다. 개인적인 상처도 그렇지만 어떻게 충성을 맹세한 성모님의 군단을 그렇게 짓밟을 수 있는지, 또 일거리가 생겼구나… 어찌할 것인가? 오늘 미사 강론에서 그렇게 또 ‘용서 용서, 화해’를 강조하던데… 하지만 그 미친x은 ‘공적인 용서’는 가능할지는 몰라도, 사적인 진정한 용서는 99.9999% 불가능함을 우리는 잘 알고 있기에 모든 것을 가급적 잊고 살기로 했다.
¶ Ubuntu Linux ecosystem으로 서서히 들어서고 있다. 6년 이상 동안 잊고 살았던 것이 ESP32의 매력으로 다시 돌아오고 있는 것이고, command line의 위력도 다시 찾게 되었다. 이것으로 나의 여가시간이 100% 활용되면 얼마나 좋을까?
꽤 긴 시간이 걸렸다. Ubuntu upgrading (18.04 LTS에서 20.04 LTS로) 하는 것.. 왜 내가 이것을 하고 있을까? 꼭 필요해서였을까? 물론 아니다. 시간을 죽이려고? 물론 그것도 있다. 하지만 그저 신나고, 좋고, 흥미롭고, 재미있기 때문이다. 이런 것들이 머리를 쓰는 것이 그 흔한 치매방지 하려고 하는 웃기는 퀴즈 같은 것 보다 낫지 않을까? 지난 밤에는 어깨가 쑤시고, 꿈까지 그것도 생생한 것들을 많이 꾸었다. 하지만 일어나면 급속도로 사라지는 그런 것, 아쉽다. 예전에는 기억에 꽤 남기도 했는데… 이것도 나이 탓인가? 하기야 요새 전혀 예상치도 못한 것, 익숙한 단어들이 생각이 안 나는 것, 조금은 나를 무섭게 하지만, 아닌 척 하며 살기로 했다. 어쩔 것인가? 도밍고 형제처럼 그 웃기는 ‘퀴즈’를 풀며 시간을 보내라고? 나는 절대로 그렇게 머리를 낭비하고 싶지는 않은 것이다. 나에게 머리를 쓰게 할 수 있는 것들이 얼마나 많은데…
Ubuntu Desktop LTS 20.04 on VirtualBox
결과적으로 Ubuntu 20.04 desktop의 모습을 보게 되었는데, 일반적으로 모든 것들이 더욱 세련된 느낌을 주었다. 이 정도면 매일 매일 쓸 수 있는 main desktop pc로서 큰 문제가 없을 듯하다. 하지만 역시 문제는 killer apps, 나에게는 역시 Microsoft Office, OneNote인데 이것을 대체할 만한 open source app은 없는 듯 보인다. 따라서 아직까지는 VirtualBox에 의존하며 관망을 하는 입장이다.
이번에 upgrade를 하면서 골치를 썩은 것, 시간을 낭비한 것은 의외로 ‘한글 system’에 관한 것이었다. 한글의 위력인지 이제는 한글 쓰는 것 거의 문제가 없지만 이번에는 문제가 있었다. 한글입력 system에 아직도 작은 glitch가 있는지, 몇 번이나 시도한 끝에야 겨우 한글입력이 가능해 졌다. 이것이 바로 시간낭비의 좋은 예가 아닐까? 해결책은 역쉬~~~ 겨우 2 lines의 command-line solution 이었다.
ANNOYING!!! IBUS-HANGUL NOT SHOWING!
UBUNTU IBUS-HANGUL SETUP: -> it works now! on Ubuntu 20.04
sudo apt-get update -y
sudo apt-get install -y ibus-hang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