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의 방랑객, pay-as-you-go, 성모님 꽃

¶  마리에타 사랑반 모임:  지난 17일 봄처럼 푸근한 토요일에 모처럼 (도라빌 순교자 성당) 사랑반 구역모임엘 갔다. 이번에는 도미나 구역장님 댁에서 모였는데, 무엇인가 나로써는 새로운 느낌이 들었다. 이유는 이 댁을 처음 가보는 것이기도 했지만 사실은 이렇게 가정집에서 모이는 구역모임에 마지막으로 가본 것이 몇 년 전이었기 때문이다. 안 나간 이유는 물론 ‘내 탓이요.. 내 탓이요’ 지만 그저 게으름 때문만은 절대로 아니었다.

확실한 이유를 가지고 ‘일부러’ 안 나간 것인데 이제는 그 이유들이 없어지거나 ‘타협’이 되어서 다시 한번 ‘세월과 성모님의 도우심’을 떠올린다. 어떨 때는 ‘그저 기다리면’ 된다는 세월과 시간의 은총이 분명히 있다. 나에게는 비교적 젊은 형제, 자매님들과 어울리는 것, 비록 내가 제일 연장자의 위치로 밀려 오르긴 했지만, 약간의 술 기운과 더불어 기분이 나쁘지 않았다. 완전한 OB (old boy)의 위치에서 말 조심을 하려고 애를 쓰지만, 그저 common sense만 지키면 큰 문제가 없으리라.. 

 

¶  고 마태오 신부님: 일요일에 오랜만에 성당 도서실에 들렸다. 빌렸던 고 마태오 신부님의 ‘이세상의 이방인‘을 반환하고 다른 책들을 둘러 보았다. 이곳의 진열된 책은 거의 random하게 배치가 되어 있어서 조직적으로 특정한 책을 고를 길이 없다. 그저 random browsing 을 하다가 ‘재수가 좋으면’ 원하는 것을 찾는 정도다.

그 동안 고 마태오 신부님의 책을 3권이나 다 보았기에 혹시 그 이후에 나온  고 신부님의 책이 과연 있을까 하며 어떤 책을 훑어 보다가 그 책의 ‘추천사’ 끝의 이름이 ‘이경우‘라는 글자가 보였다. 그것도 놀랄 지경인데 그 이름의 끝에는 ‘신부’라고 되어 있었다. 난생 처음으로 ‘이경우’란 신부님도 있다는 것을 알았다. 옛날 옛적에는 ‘이경우 농구선수’가 있었고 재동학교 시절, 나보다 5년 아래의 ‘이경우’란 여자 학생도 있었다. 그러니까 이 이름이 그렇게 희귀한 것이 아닌 것이다.

그 책의 바로 옆을 가만히 보니… 이것도 우연일까.. ‘영원의 방랑객, 고 마태오 지음‘이란 글자가 있는 책이 보이는 것이 아닌가? 바로 내가 읽었던 3권의 책 후에 나온 것이고 캐나다로 오신 후에 그곳에서의 이야기기 실린 바로 그 책이었다. 이번에는 기다리지 않고 이곳, 저곳을 난독하며 전체의 줄거리를 짐작하게 되었다. ‘쟌느 수녀, 숙과의 재회‘ 같은 것이 있었는데, 고 신부님과 여성들과의 인연들을 보며 부러운 질투 같은 생각을 떨칠 수가 없었다. 이 책은 깨알 같은 글자로 거의 500페이지가 되어서 완독(필사 포함)을 하려면 아마도 수개월은 필요할 듯하다.

 

¶  Pay-as-you-go: 내가 쓰는 mobile phone의 plan에 큰 변화가 있었다. 우리 집 모두가 T-mobile의 family plan을 쓴 지가 몇 년째인가.. 그러다가 얼마 전에 새로니가 iPhone을 등산을 하다가 잃어 버린 후에 새로운 plan을 찾게 되었다. 그러다가 발견한 사실이… 예상은 하고 있었지만, 지금 우리 family plan이 너무나 비싸다는 사실. 문제는 바로 나였다. 내가 너무나 ‘조금 쓴다는’ 사실이고 억울하다는 것이다. 한 달에 30분도 못 쓴다는 사실이 나는 하나도 이상할 것이 없지만 그것이 아닌 모양이다.

나는 주로 가끔 전화를 받는 것 이외에는 이것을 쓸 이유가 없었다. 집 landline 이 Internet voip으로 바뀌고 나서 사실 전화비용은 거의 zero에 가까운데 유독 나만, 거의 쓰지도 않는 데에 $30 이상을 쓴다는 것은 낭비였다. 궁리를 한 끝에 나만 따로 새 plan으로 바꾸었는데 그것이 바로 pay-as-you-go 였고 알고 보니 나 같은 사람을 위한 안성맞춤 plan이었다. 한 달에 $3/30 분, 물론 mobile data는 없다.

Call Minute는 그런대로 문제가 없는데, No Mobile Data는 조금 신경이 쓰이는데… Wifi 가 없는 곳에서 Internet이 안 될 것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gmail, map, streaming media같은 것들인데… 알고 보면 이것도 큰 문제가 되지 않을 듯 하다. 내가 언제 애들처럼 ‘밖에 나가서’ 그런 Internet service가 필요한 것인가? 정 필요하면 Wifi가 있는 hotspot을 찾으면 될 것이다. 이런 저런 사연으로 한 달에 $30이상 save가 될 것을 예상해서 한 달에 한번 ‘외식’을 한번 더 할까 하는 생각을 하며 웃었다.

 

 

¶  Tuesday’s Flower: 지난 해 ‘레지오 미친년 사건’ 이후 계속 느끼는 ‘Tuesday stress’, 시간이 갈수록 희미해지고 있다. 하지만 아주 없어진 것은 아니다. 그 정도로 나의 ‘야수처럼 이글거리는 분노’는 꺼지지 않은 모양이다. 그래서 레지오 주회합에서 우리를 지켜보시는 성모님의 모습이 더욱 어머니처럼 느껴진다. 이분만은 우리를 지켜주시리라는 염원, 이날 주회합의 성모님 옆에는 우리 집에 봄소식을 전해준 수선화를 꽂아 놓았다. 봄소식과 함께 우리를 더욱 인자로 히 지켜 주시라는 간절한 전구를 잊지 않았다.

 

Bad Taste, Monthly..

거의 반년이 넘도록 한 달에 한번씩 있는 이날이 이제는 지겹다 못해서 꾀병으로라도 피하고 싶은 그런 날이 되어가고 있다.  어쩌다 이렇게 되었는지 이제는 한숨조차 나오질 않는다. 어떤 때는 왜 내가 이 자리에 앉아있는가 나에게 물을 때도 있고 그에 대한 뾰족하고 명쾌한 답이 없다. 그것이 나를 괴롭게 한다. 그래서, 심지어는 슬프기도 한 그날은..  다름이 아닌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천상은총의 모후) 꾸리아 월례회의.. 한 마디로 밥맛, 입맛이 떨어지는, bad taste  monthly 가 되어가고 있다. 어쩌다가 이렇게 되었는가.

내가 이곳엘 나가기 시작한 것이 거의 6년이 넘어가고 있는데 암만 생각해도 처음엔 그렇지 않았고, 세월이 지나가면서 조금씩 조금씩 썩어 들어가는 그런 식이 아니었을까? 하루 아침에 갑자기 변한 것이 아니라서 아마도 나를 비롯한 모든 사람들이 제대로 감지 感知 를 못했을 듯하다. 천천히 뜨거워지는 물 속에 잠긴 개구리, 바로 우리가 그런 꼴이 아닐까.

나의 밥맛을 완전히 떨어뜨리는 두 인간이 그곳에 도사리고 있음을 내가 너무도 잘 알기에 오늘도 병이 날 정도로 가기가 싫었다. 그저 그 두 ‘쓰레기 같은’ 인간들이 조금만 조용히 얌전히 앉아 있어 주기만 기대하며 그곳엘 들어갔지만, 역시 어디를 가나.. 돼지 멱따는 소리로 말도 안 되는 소리만 지껄이는 인간과 뱀 같은 얼굴로 자기도취에 빠진, 언제라도 monster로 돌변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인간 (아!  이 역시, 모두 ugly한 아줌마, 여자들이다)…  가뜩이나 쳐지는 몸이 더 쳐지는 오늘, 지독히도 맛 없는 ‘설날 떡국’ 과 함께 잊고 싶은 ‘주일’이 되었다. 최후의 희망은, 영적 신부님이라도 제발 조금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는 그것이지만, 솔직히 말해서 큰 기대는 할 수가 없다. 이제 내가 할 수 있는 남은 것들은 unthinkable 한 option 들 뿐이다.

 

Busy Twelve Days of …

¶  성탄 12일: 성탄을 기다리는 동안 느끼는 포근함과 설렘의 느낌들이 막상 성탄 season 을 맞으면 약간 피곤함이 느껴지는 바쁨을 느끼는 우리 집 yearly routine을 맞이한다. 오랜 만에 모이는 4명의 가족들이 ‘너무나 자주 만나게 되는 stress’를 느끼게 되기 때문이다. 머리들이 클 대로 커버린 2딸들과 debating, arguing (even fighting) 하는 것도 피곤하고, 그저 늘어지고 편해야만 할 듯한 때, 몸을 부지런히 움직이며 집을 들락 날락 하는 것, seventy years의 여파인지 귀찮지 않을 수가 없다. 그저.. 나의 천국인 ‘connected desk’ 에 앉아, 편히 쉬고 싶다라는 ‘Screwtape Letters (Screwtape & Wormwood)’ 의 대화만 나의 귀에 속삭인다. 하지만, 하지만 나도 smarter해 져서 절대로 그런 유혹에 질 수가 없다. 오늘 할 것은 오늘, 지금, 아니 더 빨리 하고.. ‘나에게 내일 아침이 없을 수도 있다’, ‘가슴 속 저~ 깊은 곳에 진리가 있다’ 라는 근래 나의 좌우명을 잊지 말자.

2017년 성탄절 12일은 새로니 생일인 1월 5일까지이며 (이 사실은 절대로 안 변함), 교회 전례력으로 성탄 시기는 1월 8일 ‘주님 세례축일”에 (이것은 매년 조금씩 변함) 끝난다. 그러니까 1월 9일부터 Ordinary Time 연중시기가 시작된다. 휴~~ 이제 모든 것이 끝났구나.. 하지만 2월이 되면 전례력의 절정인 부활절을 향한 long march, lent 사순절이 시작되고.. 이것이 바로 우리 인생 역정이었다. 이렇게 일년마다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이런 전례 시기, 지금 생각해보면 흥미롭기도 하고, 오랜 세월 이 전례력의 의미조차 잊고 살았다. 지금이라도 깨닫고, 의미를 두며 살게 된 것은 한마디로 은총이다.

올해의 성탄12일 전후를 나는 어떻게 보냈는가.. good, bad & ugly 골고루 있었겠지만 그래도 GOOD 부터 시작하고 싶다…

 

GOOD #1: Mother Nature!

성탄, 연말, 연시.. 이런 때의 날씨는 나의 psyche 에 꽤 큰 영향을 미친다. 다른 말로, 이 때는 cold & nasty한 것이 ‘정상’이라고 믿기에 더욱 그렇다. 이번 season이 바로 right on! Average보다 밑도는 추운 날씨의 연속..  하지만 nasty하지는 않아서 drive하는 데는 no problem! 자주 볼 수 없었던 coat, overcoat, sweater, muffler가 모조리 선을 보인 perfect season이 되었다.

GOOD #2: Family Mass, 3-2-1 Happy New Year!

최근 들어서 ‘가족’이 함께하는 곳에는 ‘절대로’ 빠지지 말자.. 라는 결심에 알맞게 노력을 한 것, 조금은 결실이 보이는지.. 만족스러운 표정들을 느낀다. 나도 좋고 그들도 좋고.. 이것이야 말로 perfect win-win이 아닐까? Organized religion이 귀찮다는 아이들, 이것도 ‘유행’이 되었나..  이번에도 without fail.. 둘이서 Champaign toasting Time Square 3-2-1로 New Year를 맞이 했다. 나는 밤 10시면 꼭 잠을 들기에.. 이렇게 밤 늦게 눈을 뜨고 있는 것 자체가 고역일 수 있지만 가끔 이런 예외도 알고 보면 보람 있는 것이었다.

GOOD #3(or BAD?): 새로니가 35번째 생일을 맞았다. 몸과 마음이 건강한 생일을 맞는다는 것은 사실 축복이요 은총이다. 외식을 즐기던 ‘아이’가 언젠가 부터는 우리 집에서 ‘미역국’ 포함한 한식으로 생일을 맞고 있고 엄마도 기꺼이 수고를 한다. 35년이란 세월은.. 사실 미혼임을 알면 ‘우아~ ‘ 할만 하지만 다른 쪽을 생각하면 변한 세상, post-modern culture 의 trend에 입을 다물 수가 없다. 한 세대가 지나면서.. 이런 변화를 바로 우리 집 식구에서 보게 된 것.. 한마디로 mixed feeling일 수 밖에. 35살이면 새로니가 태어날 때 나의 나이가 아닌가? Natural Law란 것을 생각하면…

BAD #1: Freak Accident! 새해 들어서 반갑지 않은 손님, (small) freak accident는 예기치 않는 것 (하기야 accident란 것은 그런 것이지만) 하도 기가 막혀서 생각하기도, 쓰기도 싫지만 분명히 꿈이 아닌 현실이기에 기록에 남길 수밖에 없다. Handyman 기술 영역에 속하는 fixing garage door, 약해진 spring을 replace하려다가 나는 과히 높지 않은 step ladder에서 떨어지고 door와 wall사이에 pin-down (actually hung) 되어서 최악의 사태는.. 상상하기도 싫은 그런 사고를 당한 새해 벽두.. 100% 나의 실수로 생긴 것이니 100% 반성을 할 수 밖에 없게 되었다.

UGLY #1: Limping Group: 내 시간과 노력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레지오 마리애 단원 활동임을 부인할 수 없고 나는 이것이 제일 ‘자랑스러운’ 나의 일부라고 자부하고 살았다. 그것이 2017년 일 년 동안 ‘치명적, 비극적’인 상처를 연속으로 받았고 아직도 나는 ‘anger, rage‘의 단계를 못 벗어나고 있다. 내가 ‘살아있는 인간들 (2명의 출발해서 지금은 4명으로 증가)’을 ‘죽이고 싶다’는 상상을 그렇게 오래, 심하게 했던 기억이 없었다. 그것이 ‘아직도’ 성탄과 새해를 넘어서면서도 조금도 차이가 없다. 이것은 정말 perfectly ugly, uglier, ugliest 한 것이다. 어떻게 하면 우리 (small) group을 다시 건강하게 만들 수 있는가.. 그것이 2018년 내가 생각해야 할 최대의 과제가 되었다.

 

¶  Christmas Hallmark Movies: 올해 크리스마스 시즌도 예외 없이 ‘건강하고 건전한’, ‘가급적 의미와 message가 있는’ 영화를 ‘집에서’ 보게 되었다. Merry Christmas란 말조차 ‘인정없이 내 쫓는 인간들’도 이런 영화는 큰 무리, 생각 없이 즐기는 모양인지 Youtube에 가보면 Hallmark moves들이 적지 않게 모습을 보인다. 누가 이런 것들을 upload하는 것인지, 고맙기만 하다. 분명히 이들은 집에서 TV (cable, streaming)로 record를 해서 upload하는 수고를 하는 것인데.. 나에게는 그야말로 ‘God bless them all!’.  올해는 본 것 중에 두 가지를 기억에 남기기로 했다. 최소한 3번 이상 보았던 것, Christmas Solo,  Sound of Christmas 가 그것이다.

 

Christmas Solo: 어느 작은 고장에 사는 single dad, single mom과 그들의 두 teenager딸들이 그 지역 크리스마스 festival의 singing solo 에 뽑히는 과정에서 보여주는 십대 특유의 갈등, 특히 ‘이혼한 가정’의 십대가 겪는 고민을 크리스마스 spirit으로 승화시키는 그야말로 멋진 classic, common sense finale 의 영화였다. 이 십대들의 고민과 우정이 그녀들 보호자들의 사랑과 이해에 융합이 되는 모습들은 한마디로 성탄절의 의미를 보여주는 영화였다.

Sound of Christmas: 작년 이맘때 보았던 Hallmark 다른 영화, The Twelve Trees of Christmas에 출연했던 2명의 main actor들이 다른 역할로 나온 이 영화는 작년 것과 거의 비슷한 plot과 background를 가지고 있다. 비슷한 plot: 작년 것은 New York city의 전통적인 도서관이 없어지는 것을 ‘영웅적’인 여성의 노력으로 save한 것, 올해의 것은 역시 유서 깊은 음악학원을, 역시 용감한 여성의 노력으로 부동산 업자로 부터 구하는 내용이다. community의 전통적인 유산을 급변하는 상업적이거나 이기적인 단체로부터 구하는 것, 이것이 바로 성탄의 정신이었다. 여기 출연한 두 main character들, 연기도 좋았고, 아주 깨끗한 인상의 배우들이었다. 내년에도 이 두 사람이 출연하는 Hallmark Christmas movie가 미리 기다려진다.

Monastery, 사랑반, Cumberland, 자비의 모후, 장례미사, 싸리골

¶  Saturday at Monastery: 지난 토요일 나는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예비신자 교리반 학생, 교사들과 함께 Conyers, Georgia (east Atlanta suburb) 에 있는 Monastery of the Holy Spirit (간단히 Conyers수도원이라고 부르는) 를 방문하게 되었다. 몇 년째 (아마도 4+  년?) 아틀란타 도라빌 순교자 성당 예비신자 교리반이 이곳을 방문하는 것은 이제는 ‘짧은 전통’이 되었다. 전 주임신부셨던 하태수 미카엘 신부님이 교리반 예비신자들이 세례 받기 전에 꼭 수도원을 방문하도록 권고를 하셨음에 이 짧은 전통이 시작된 것으로 알고 있다. 이 수도원의 역사는 2차대전 무렵으로 올라가는 비교적 긴 것이지만, 그것보다 우리의 관심을 끄는 것은 이곳과 그 유명한 영성가 Thomas Merton과 관계가 있다는 사실도 있다. 이 수도원을 창립한 member들이 Thomas Merton 신부가 있었던 Kentucky 주의 Gethsemane Trappist  수도원 출신들이었던 것이다.

근래 미국에서 화제가 되었던 책, The Benedict Option 을 염두에 두며 생각하면, 이곳은 우리들에게 그렇게 낯선 곳이 아닌 비교적 가까운 곳에 있는 ‘절과 비슷한 수도원’으로 언제나 포근함과 위안을 주기도 하는 곳, 원하면 세속을 잠깐이라도 잊을 수 있는 그런 곳이다. 2013년 겨울, 나도 교리반의 교사, staff의 일원으로 예비신자들과 함께 이곳을 방문했던 기억도 새롭고 그 외에도 레지오 피정 당시 며칠 머물렀고,  몇 년 전에는 자비의 모후 레지오 단원들과 ‘자비의 해’를 맞이하기 위해 이곳을 방문하기도 했다. 1

도라빌 순교자 성당 현재 주임신부님은 예비신자들의 수도원 방문의 의미를 잘 이해를 못하는 듯 하다고 하는데, 이렇게 신부님들마다 수도원에 대한 인식이 다르다는 사실이 흥미롭기만 하다. 왜 그럴까? 하지만, 편한 거리에 있지는 않지만 일단 가 보면 완전히 다른 느낌을 주는 ‘신비스러운 곳’에서 ‘보편적이고 장구한 역사를 가진’ 천주교의 냄새를 맡게 한다는 것은 크나큰 의미가 있다고 나는 생각했다.

수도자들과 피정 온 평신도가 함께 바치는 ‘낮 기도’ 에 우리 모두 경건하게 앉아서 오랜 만에 ‘평화의 신비’를 경험했고, 나중에 Abbey Store (bookstore, gift shop, small dining)에 모여서 맛있는 Publix sandwich, gourmet coffee (정말 향기 좋은 coffee였다) 를 먹으며 교사들의 ‘수도원 역사’ small talk과 각자 느낀 것을 share하기도 했다. 그들도 우리와 다를 바 없었다. 천주교가 주는 느낌이 확실히 다르다는 것, 어찌 모를 수가 있겠는가? 마음 속으로, 이들 예비신자들, 내년 부활 때 모두 세례를 받게 되기를 간구했다. 이번에 나는 100% volunteer로 ‘따라’ 간 것이지만 앞으로 이런 기회가 오면 또 가리라 마음을 먹었던, 진정으로 ‘평화스러운’ 대림 2주, 토요일 이었다.

 

¶  마리에타 사랑반: 나로서는 너무나 오랜만에 우리가 속한 마리에타 사랑반의 구역모임에 참석을 하게 되었다. 꽤 오랜 동안 나는 이곳 참석을 못하며 살았는데 이번은 조금 예외가 되었다. 평상시 처럼 개인 집에서 모인 것이 아니고 바로 성당 내, 조그만 방에서 모인 것이 계기가 되었다.

한때 거대한 monster처럼 커져버린 ‘전 마리에타 2구역’이 어려운 과정을 거치며 공식적으로 breakup이 되어서 ‘자비반, 사랑반’ 등등 같은 이름의 smaller group으로 나뉜 것도 이제는 몇 년째가 되었나? 우리에게는 조금 한 집에서 모이기에 편한 새로운 group으로 되었지만 그래도 무슨 높은, 숨은 뜻이 있었는지, 이곳엘 참석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그저 ‘기다리면’ 된다.. 정도의 느낌으로 살았다. 하지만 그렇게 한 없이 기다리는 것은 무리, 무리… 우리의 ‘나이’를 잊고 살았는지.. old boy의 수준에서 이제는 ‘명퇴 한 나이’의 느낌마저 들게 되었다. 나이의 신비가 이런 것인가?

두 곳의 본당[마리에타 Holy Family, 도라빌 순교자 성당]을 가진 우리에게 100% 순교자 성당의 구역 활동을 하는 것은 이제는 무리인 듯하다. 현재의 사는 방식, 그러니까 status quo의 지혜를 버리기 어렵게 된 것이다. 이런 우리의 자세가 남들에게는 아마도 그렇게 바람직하게 보이지는 않을 것이지만 현재로써는 어쩔 수가 없다. 당분간, 어느 정도 이 모임에 참여를 하며, 어떻게 ‘명퇴’를 하는 것이 옳은 것인지, 이것은 나에게 결정하기가 참 힘든 문제다.

이날 성당 내에 구역모임은 우리와 자주 만나며 사는  ‘크리스’ 자매가 host를 한 것으로 총무님과 같이 맵시 있게 차려놓은 champaign 이 포함된 snack table 주위에서 담소를 즐겼다. 아마도 자택에서의 모임이 힘든 것을 이렇게 지혜롭게 해결한 것, 아주   지혜로운 idea였고,  현 총무 자매님의 의욕과 사랑으로 임무 수행하는 모습이 멋지게 보이기도 했다.

 

¶  Cumberland Mall: Holiday mall shopping.. 이런 글자만 보아도 머리가 벌써 복잡해지고 피곤해짐은 근래에 들어서 그렇게 새로운 사실이 아니다. 아니 꽤 오래된 기억에도 사람 많은 곳에서 shopping한다는 것, 즐겁지 않고 가급적 피하고 싶은 ‘시간낭비’로 보였다. 그래서 그런지, 나이가 더 들어가며 이제는 거의 이런 것들을 잊고 사는 기분이다. 하지만 올해는 조금 달랐다. 일년 동안 두 번씩이나 겪었던 ‘레지오 2명의 미친년 사건들’ 로 무언가 다른 것을 보고 싶었다. 아니 그런 kafkaesque 들을 잊고 싶기도 했다. 그래서 무리해서 그것도 월요일 날, 새로니와 셋이서 비교적 가깝지만 나에게는 생소한 곳, Cumberland Mall에서 아주 ‘정상적이고 전통적’인 shopping routine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렇게 함께 이런 곳에 온 것이 몇 년이나 되었을까? 이런 전통적인 shopping, 이제는 시간문제일까… 그러니까, brick & mortar shopping experience은 Amazon(online) shopping으로  해를 거듭할 수록 약세를 보이고 있으니..  이날 나는 비교적 작은 규모의 Cumberland Mall에서 먼 쪽의 중앙에 Sears라는 글자를 보았다. 가슴이 뭉클해옴을 느낄 수 있었다. 반 세기 전, 미국에 도착했을 때 나의 선망의 대상이었던 곳, 그것 중에는 Sears라는 글자도 있었기에, 세월의 무상함을 안 느낄 수가 없었던 것이다. 한마디로… 참, 세상 많~이 변했구나.. 상전벽해 桑田碧海 라는 말 그대로가 아닐까? 당시 시골사람들처럼 순수하게만 보였던 ‘主流 백인’들만 보이던 미국’, 얼마나 많이 변했는가?

이날 ‘해야만 했던’ holiday shopping을 하면서 이런 생각들을 하니 어찌 내가 즐겁기만 하겠는가? Good Ole Day란 말이 이래서 생겨났구나, 하지만 이런 느낌은 세대구분 없이 ‘영원히’ 계속되어 갈 것이고 progressive, conservative의 duality도 영원히 계속되어 나갈 것이다. 이래서, 영원히 계속해서 변하는 것이 아닌, ‘절대로 안 변하는 것’을 아는 것이 바로 지혜중의 지혜가 아닐까?

 

¶  Full House, 자비의 모후:  한 때 ‘레지오 미친년 사건’ 으로 치명타를 입었던 우리의 성모님의 ‘분대’, 자비의 모후가 너무나 오랜만에 full house를 맞았다. 나는 이것을 ‘재를 털고 일어난 불사조’로 기억하고 기념하고 싶다. dirty vermin 들을 St. Michael의 용맹한 도움으로 ‘요사한 뱀의 머리를 바수는’ 업적을 남긴 것이라고 나는 해석을 한다. 형제님을 불시에 천국으로 보낸 아가다 자매님이 자식들이 주선한 극진한 효도여행을 마치고 한국에서 돌아오셔서 합류를 한 것이다.

이제는 그런대로 안정권으로 돌입한 우리 레지오, 절대로 절대로 신 단원을 ‘바보같이 받아들이는’ 실책은 피할 것이다. 단원의 숫자 그 자체가 이렇게 의미가 없게 느껴졌던 적은 아마도 없었을 것이다.

 

¶  연도, 장례미사, 장지동행:  아침에 예상외로 심한 폭우가 쏟아지던 날, 우리는 천수 90세를 넘기신 젬마 자매 할머님의 연도와 장례미사에 참석을 하였다. 장례미사에서 작은 딸의 생생한 조사가 조금 길기는 했지만 의미 깊은 것이었고, 우리는 궂은 날씨지만 마리에타 공원묘지까지 장지 동행을 했다.

며칠 전에 노령과 폐렴으로 선종을 하신 이 할머님, 많은 사람들에게 낯선 분이 아니었다. 항상 변함없이 성당 제일 앞줄에 walker에 의지해서 힘겹게 들어오셔서 경건하게 미사를 보시던 분, 전에 거동이 덜 불편하셨을 때는 화요일 정오미사에도 오셔서 우리 바로 앞자리에 앉아 계셨고 인사도 나누었던 자매님이셨다. 그러다가 낮 미사에서는 더 이상 안 보이셨고 주일 미사에서는 꼭 뵈었고 불과 몇 주일 전에도 나오셨었는데… 역시 90세라는 나이에 폐렴은 초현대의 의학도 큰 도움이 안 되었는지.. 그래도.. 그래도.. 90세를 넘기셨으면 ‘천수’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우리 어머님, 80중반 까지 사셨지만 짧은 생은 아니었으니까. 

이 자매님은 연숙과 더 깊은 인연으로 알게 되었는데, 이 할머님과 가까운 사이로 지내던   African American 자매님이 우리의 미국본당 Holy Family의 신자여서 인사를 나눈 적이 있었고 이번 장례식에도 어김없이 와 주었다. 1972년 미국으로 이민을 오셔서 자식들을 다 키우신 부지런한 젬마 할머님, 각종 ‘사고’를 당하시며 고난을 겪으셨지만 그래도 굳건한 천주교 믿음을 지키시며 말년을 인근 꽃동네에서 천수를 하셨기에 자식들도 우리들도 이 영혼의 천국에서의 복락을 믿는다.

 

¶  싸리골 점심 모임:  12월 21일, 바로 동짓날이다. 어느새 겨울의 시작이 되었는가? 이제부터는 밤의 길이가 ‘조금씩 조금씩’ 짧아질 것이다. 하지만 최소한 2개월 동안은 ‘각종 일기 뉴스’가 우리의 관심의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동짓날 아는 부부와 같이 따뜻한 김이 나는 듯한 기분의 장소, 바로 마리에타 지역에서는 희귀한 한국식당 ‘싸리골’ (Tofu Village Korean BBQ) 이란 곳이다. 왜 이 집이 싸리골인지는 모르지만 ‘주인의 취향’이 아닐까.. 아마도 옛날 고국의 시골에서 보던 싸리나무, 싸리문, 싸리로 만든 담장.. 등등이 그리워서 그렇게 이름을 진 것은 아닐까.. 이 작지 않은 식당의 주변도 아예 싸리나무로 담장을 꾸며 놓았다.

크고 작은 Korea Town들이 거의 모두 아틀란타 동북쪽 (Gwinnett, Forsyth  counties) 으로 몰리게 되면서 정 반대쪽에 있는 마리에타 지역에는 한국식당이 거의 사라지고 이곳 ‘싸리골’과 ‘일미’라는 두 곳이 근근이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정도다. 하지만 이 두 곳은 business model이 Korea Town의 그것과 다르게, 거의 모든 customer들이 ‘비 한국인’들이라는 사실이고 그런 이유로 아마도 이 두 곳은 큰 실책을 하지 않는 한 계속 ‘성업’을 할 지도 모른다.

이날 우리 둘은 2주일 전에 우리를 집을 초대해서 맛있는 salmon steak요리를 즐기게 해준 ‘마리에타 토박이’ 스테파노 형제 부부와 함께 이곳에서 식사를 했다. 아무래도 우리 집으로 초대하기는 마음이 바쁜 이 시점에서 무리일 듯 했기에 이렇게 외식을 한 것이다. 이곳은 몇 개월 전에 심장수술을 했던 구역 가밀로 형제를 문병(봉성체)한 후 이곳에서 구역장님과 식사를 했던 적이 있었다. 그때 역시 같은 구역의 ‘오 안젤라’ 자매님이 이곳에서 아르바이트를 한 관계로 그 자매님으로부터 분에 넘치는 대접을 받기도 했었다.

나이가 엇비슷한 이 교우형제, 자매님 근래에 자주 보게 되고 알게도 되었지만 ‘현재까지는’ 큰 문제가 없다는 그 사실 하나 만으로도 우리들의 가슴을 쓸어 내린다. 하도 해괴하고 요상한 ‘교우 인간’들이 주변이 도사리고 있었다는 사실을 우리는 너무도 모르고 살았던 것, 불행인지.. 다행인지..  직감과 경험, 그리고 높은 곳에서 주는 지혜를 총 동원하면 앞으로 더 큰 ‘사고’는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리라는 작은 희망을 가지고 새해를 맞이하고 싶다.

 

 

  1. 이 당시 단원 중에는 그 유명한 레지오 난동사건의 주범을 포함한 3명의 빠가 온나, three Stooges 들도 포함되어 있어서 지금은 그때를 영원히 잊고 싶다.

Monday Monday..

Monday Monday..   7 일마다 찾아오는 월요일은.. 예전에 그렇게 싫기만 했던 요일이기도 했다. 이런 느낌은 나 만의 전유물은 절대로 아닐 듯 하다. 특히 Monday morning 이란 것, disease라고까지 표현을 했으니 상당히 stressful한 날인 것임은 틀림 없는 모양이다. 오랜 직장 생활에서 나도 상당히 이 날 아침에 sick call을 남용했던 기억이 남고,  남은 여생 두고 두고 후회를 하고 있다. 그런 dreadful Monday가 인생후반기인 현재에 와서는 golden day로 바뀌어가고 있으니 내가 변한 것인지 환경이 변한 것인지, 나이가 변해서 그런 것인지.. 모르지만 아마도 이런 것들 모두가 나의 느낌을 바꾸어 놓고 있을 것 같다.  Monday Monday.. 하면 같은 제목의 1966년 Oldie 가 생각나고, 그 곡을 처음 들었던 연세대 앞 신촌 로타리에 있었던 ‘왕자다방‘이 생각나곤 한다. 그 때가 1967년 봄이었으니.. 정확히 50년, 반세기 전이었다. 정말 50년의 세월이란… 그 느낌을 글로는 묘사할 수가 없으니 답답하기만 하다.

 

The Mamas & the PapasMonday Monday – 1966  

 

Strange but refreshing Monday feeling… ahhha..  it’s over finally!  왜 이렇게 이번 월요일 ‘우리’의 어깨가 가볍게 느껴진 것인가? 2주 만에 처음으로 YMCA gym에 가서 모든 것들이 ‘정상’으로 돌아왔다는 이상한 느낌도 도움이 되었고, 어제 일요일에 일어난 (아니, 안 일어난?) 일들도 무척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어제 일요일은  ‘레지오 연차 총 친목회’가 있는 중요한 날이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의 ‘무대공연’은 cancel이 되었고 아예 그곳에 가지도 않았다.

6년 동안 빠짐없이 참가했던 이 행사가 우리로부터 떠난 것은 아마도 두고두고 우리의 앞날을 예측해주는 omen 처럼 느껴지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너무나 시원한’ 느낌을 받아서.. 솔직히 아직도 머리가 정리되지를 않았다. 아마도 이런 것은 아닐까… ‘이제 레지오가 지겹다…’하는 것은 아닐까? 연총 불참의 직접적인 이유는 한 두 단원이 갑자기 아팠던 것이었지만 행사 자체를 불참한 것은 더 심각한 이유가 있었음을 우리는 다 안다. 그것이 현재 우리가 속한 ‘꾸리아 조직’의 암적인 문제인 것이다.

 

On Second of December

 

¶  2017년 12월 2일:  2017년 달력이 마지막 장으로 넘어가며 12란 숫자가 눈에 들어온다. 12월, 올해의 마지막 달.. 흠.. 그렇다면 또 일년이란 ‘장구한 세월’ 이 지나가고 있단 말인가? 1년이란 시간은 아련했던 기억 속에는 ‘장구한, 영원한’ 느낌의 긴 세월이었다. 그것이 언젠가는 거의 한 달 같은 기억으로 남았고.. 지금은 모르겠다. 아마도 한 달보다는 조금 더 짧아진 듯한데 그것을 그저 인정하기 싫을 뿐이다. 신비로운 시간, 조금이라도 시계가 늦게 가는 그런 곳, 때, 감정으로 들어가고 싶지만 어찌 나 같은 ‘죄인’에게 그런 은총이 쉽게 올까 보냐.. 그저 열심히 시간의 흐름에 순명 할 뿐이다.

작년에 시작된 Youtube의 Hallmark Holiday movie들을 보며 아늑하고 편했던 때가 생각이 나서 올해도 몇 개를 download해서 보았는데, 역시 비슷한 느낌을 받는… 아~ 12월이여… 라는 아늑하고 편안함이 나를 즐겁게 한다.

 

Peter Hollens – December Song  

 

¶  연총 연습, 마지막 No 5: 레지오 연차 총 친목회 stage performance 를 위한 마지막 연습 session이 주 회합 후에 있었다. 올해로 나는 일곱 번 째 연총연습을 맞지만 올해의 이 행사는 예년들에 비해서 아주 다른 느낌으로 맞게 되었다.  생사의 고비를 간신히 넘긴 후, 군살과 독성물질 (toxin) (왕마귀와 레지오 미친년)이 완전히 빠진 것은 환영할 일이지만 대신 전체적인 레지오 내에  ‘사랑이 완전히 빠진 느낌’ 은 역시 떨칠 수가 없어서, 노래와 율동을 하는데 신명이 나지를 않았다.  이런 상황이면 예전 같았으면 ‘포기하자’ 하는 말이 나올 법도 하지만 그래도 성모님 사랑의 눈길을 느끼며 ‘달릴 곳은 끝까지 달리자’ 를 되뇌며 무려 5번의 연습 session을 다 마치게 된 것, 절대로 이것도 우연이 아닌 듯 싶다.

비록 ‘실제 공연’에서 실수를 하거나 hiccup을 해도 이제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갈 곳까지 다 갔기 때문이다. 2분도 채 안 되는 짧은 곡이지만 율동을 물론이고 vocal singing도 우리들에게는 small challenge였다. 반주를 Youtube video에서 무단copy해서 karaoke로 쓸까 했지만 완전히 우리 것으로 만들기 위해 우리가 아예 karaoke audio를 녹음을 했고 still video로 아예 YouTube video를 만들었다. 이것을 들으며 2017년 너무나 어렵던 시련의 시기에 우리들이 얼마나 ‘최선을 다했나’ 하는 것을 기억하고 싶다.

 

 

 

¶  목요회, 이 목사님 부부:  목요회… 허… 참 내가 멋진 이름을 붙였나? 첫 번째 만남이 우연히도 마지막 목요일이었기에 매달 마지막 목요일에 만나기로 한 것이 벌써 세 번째 모임이 되었다. 소박하게도 1990년 5월에 서로 만났던 것을 기념하는 모임이었지만 달을 거듭하면서 조금씩 ‘멋진 진화’를 시작하고 있음을 느낀다. 이 모임 자체의 성격이 어떻게 진화 될는지 아무도 모른다. 깊숙이 진행된 나이에 걸 맞는, 뒤를 돌아보고 인생을 관조할 수 있는 대화를 기대하기도 하지만 ‘여자가 없는 모임’의 신선, 솔직함의 진가를 나는 마음껏 즐긴다. 남자들만의 대화, 화제는 사실 너무나 오랜만이라 무엇이던지 즐겁기만 한 것이다. 비록 늦은 밤에 모이는 것이라 만날 수 있는 곳이 제한되어 있지만 이것도 색다른, 아이 같은 재미가 있는 것이다. 이 늦은 나이에, 늦은 저녁에 30마일 떨어진 곳으로 외출을 한다는 사실도 너무나 재미가 있으니..

이 (동수) 목사 부부를 해가 가기 전에 결국은 만나서 도라빌 성당 근처에 있는 ‘upscale’ 한식당 운암정에서 부부동반으로 식사를 하였다.  일년에 평균 2번 정도 만나는 이 오래된 “아틀란타 한국학교” 인연의 인생후배 부부, 나이 차이에 상관없이 이런 오래된 세월의 연륜 하나로 친척보다 가깝게 느껴진다. 몇 해전에 큰 수술을 받았던 이 목사, 그 동안 몸 관리를 열심히 한 덕에 이제는 많이 건강해진 모습이었고 식사하는 것도 불편한 제한이 없는 듯 보였다. 목회 사업이 사실 아직까지 희망하는 것 같이 열매를 맺은 듯 느껴지지는 않지만, 주어진 상황에서 열심히 지내는 것은 다행한 일이다. 이번에 만나서는 오래 전에 흔히 하던 이목사 특유의 농담하던 버릇이 다시 나온 것을 알고 반갑기도 했다. 그만큼 마음의 여유가 있다는 뜻일 테니까. 다음에 만나면 내가 듣고 싶어 했던 ‘더 심각한 신앙간증’을 기대해 보며,  내년에도 건강한 모습으로 다시 보기로 하고 헤어졌다.

 

¶  이 세상의 異邦人: 요새 나의 머릿속은 온~통 ‘고(종옥) 마태오’ 신부님의 생각으로 가득 차있다. 이 하느님의 종, 진정한 애국자, 사랑의 사제, 성인에 버금가는 행적을 남기신 이 사제가 걸었던 길을 천천히 같이 걷고 있다. 소설형식의 자서전 trilogy: 1편 사랑의 지도, 2편 예수 없는 십자가, 그리고 지금 ‘쓰면서’ 읽고 있는 것이 3편인 ‘이 세상의 이방인’이다. 첫 두 편은 reading by typing덕에 온전한 2권의 soft copy가 나의 blog site에 남아서 이 세상 어느 곳에서나 편하게 읽을 수 있게 되었다.

이 사제의 삶은 한마디로 너무나 dramatic한 epic drama 라고 볼 수 있기에, 나에게는 특별한 의미를 주고 있다. 시간, 공간적으로도 이 사제는 나에게 큰 관심을 준다. 해방 전후의 삼팔선 부근의 묘사, 원산에서의 첫 사랑, 6.25 사변을 가장 치열한 전투중의 전투 속에서 살아남은 하느님의 인도하심.. 너무나도 ‘잔인할 정도로 솔직한 고백’을 읽으며 나는 하루에도 몇 번씩이 이 사제와 같이 울기도 했다. 솔직이.. 나의 ‘빨갱이, 흑백 논리’에 조금은 ‘회색’이 가미되고 있음을 평생 처음으로 경험하고 있기도 하다. 이렇게 솔직한 분의 고백을 어찌 내가 ‘흑백’의 잣대로 가늠을 할 수 있는가..  책 하나로 난공불락의 ‘이념의 성’을 조금이라도 흔들어 놓았다는 사실이 나는 현재 신기하기만 한 것이다. 고 마태오 신부님… 고맙습니다, 사랑합니다.

 

Challenge of life time..

Advent 대림절 시작.. 동창회, 파티, 친지들의 각종 모임들.. 구세주 탄생, another turkey meal, 망년회.. 송년 countdown.. 등등 ‘즐거운 것들만’이 연상되는 12월, 2017년 마지막 달력을 앞에 두고 나는 내 자신이 깊은 시름의 늪으로 빠지고 있음을 느낀다. 왜 그럴까..  일생일대의 biggest  challenge가 나를 짓누르기 때문이다. Forgive or Forget?

올해 들어서 최소한 나로서는 처음 인생공부를 한 계기들이 2건 있었고 모두 ‘나쁜 것’들이어서 정말 해가 가기 전이라도 잊고 싶은 것들이 되었다. 잊는 것, 나는 그런대로 자신 있다고 했지만 이번의 것은 종류가 아주 다른 모양이다. 잊는 것은 고사하고 꿈속에서도 생각이 날 정도가 되었다. 문제는 내가 생각해도 지나칠 정도로 분노의 감정이 전혀 줄어들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분노라는 말이 사실은 고상한 것이다. 그보다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나는, ‘치가 떨리는’ 그런 것이다.

올해 일어난 왕마귀 사건과  미친년 사건,   모두 레지오와 직접 관계가 되어있고 또한 ‘상상을 초월한 해괴한’ 사건들이며 모두 주범(a.k.a 조폭)들이 ‘여자’ 였다는 사실이 이채롭다. 문제는 이것이다. 내가 7년 전에 사실상 냉담을 풀고 교회로 귀향한 직접적인 동기가 레지오 입단에 있었고 나는 성모님께 ‘충성을 맹세’한 몸이 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영육적으로 문제가 없는 한 ‘죽을 때까지’ 이 약속을 지키기로 마음을 먹기도 했다. 그러니까 원자탄이 아틀란타에 떨어지지 않는 한 나는 이곳 ‘자비의 모후’ 에 머물 각오가 되어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 두 사건들이 일어난 후유증은 무엇인가?  이 두 인간들이 바로 내가 속한 레지오 조직을 뒤흔들어 놓고 있는 것이다. 단원들이 떠나게 만들고, 밖에서는 요란하게 방해공작을 하는 등.. 정말 신부님(영적지도자)에게 조차 말하는 것이 창피할 정도의 유치한 짓들을 나는 모두 듣고, 목격을 하였다. 과연 이것들의 나이가 몇 살이며, 정신적으로 정상적인 인간들인가?

예전의 나였으면 거의 100%, ‘더러운 인간들이 보기 싫어서’ 교회를 즉시 떠났을 것이지만 이번은 달랐다. 그 인간들에게 보여주기 위해서도, 아니 그 인간들에게 lesson을 주기 위해서도 나는 절대로 떠나지 않기로 굳게 결심하였다. 또한 이런 사건이 다시 일어난다면 이제는 체면이고 뭐고 다 잊을 각오(teeth to teeth)가 되어있다. 이것까지는 큰 문제가 없었는데.. 나도 예측하지 못했던 문제는 딴 곳에 있었다. 시간이 지나도 ‘이글거리는 분노’가 절대로 잠잠해 지지 않는다는 것, 아니 생각만 하면 ‘목을 조르는’ 상상을 하고 있으니.. 과연 성모님이 이것을 참아 내실까.. 아닐 것이다. 이것은 분명한 ‘죄’일 것이다. 우선 ‘원수를 사랑하라’는 것부터 시작해서.. 

성경을 비롯한 많은 ‘영적 독서’에서 권하는 것은  나를 위해서 ‘용서하거나 잊거나’ 하라는 것인데.. 문제는 그것이 절대로 쉽지 않다는 사실이다. 다음은 시간,세월의 효과를 이용하는 것이다. 우선, 용서하라는 것은 한마디로 현재로는 HELL NO!에 가깝다. 불가능이다. 잊는 것은 어떤가? 이것이 쉽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 인간들을 전혀 안 볼 수 있으면 그런대로 잊을 수도 있는데 성당만 가면 이 ‘회벽칠 얼굴’들이 왜 그리 자주도 보이는가?  이것도 쉽지 않다. 마지막은 길은 오랜 세월이 지나가는 것을 기다리는 것이다. 뇌세포의 노화를 이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너무나 ‘수동적’인 idea다.  좀 더 proactive한 방법은 없을까? 기도? 그들에게는 솔직히 이 시간조차 아깝다.  다가오는 판공성사를 어떻게 할 것인가.. 이것이 현재 나의 일생일대의 커다란 도전으로 다가오고 있다.

 

as ugly as it gets..

 

Ugly, sad: 갈 때까지 갔구나..  이제는 더 이상 놀라지 않으려 마음을 굳게 먹고 지내지만 그것이 쉽지 않다. Trump-era의 한 추악한 단면을 가까이에서 자주 보며 이세상의 어두운 세력이 분명히 있음을 실감, 절감을 한다. 다른 한 편으로 내가 조금은 alarmist 성향을 갖게 되는 것은 아닌가 걱정이 들기도 한다. 이런 때 냉철한 reasoning이 필요함을 절감한다. 내가 현재 reasonable한 인간인가… 어려운 문제다.

며칠 전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레지오의 꾸리아 단장 선거를 유심히 지켜보면서 이런 alarmist 중의 하나가 되었다. As ugly as it gets.. 내가 느끼는 이 경고성 진단이 아마도 거의 현재 우리가 소속된 레지오의 현황, 바로 그것이다. Trump-era와 우리와 어떤 상관이 있을까.. 상상하기도 어렵지만 겉으로 돌아가고 있는 ‘꼴’은 정확히 Washington politic 과 비슷한 것.. ugliest, hateful, crude politics 바로 그것이다. 어떻게 이런 ‘인간’들이 ‘겸손, 순명, 부드러움’의 성모님을 따르겠다고 나섰단 말인가? 순명의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지 ‘전혀’ 모르는 듯한 인간이 순명을 외치고 있는가 하면 ‘사랑과 겸손이 결여된’ 정말 ‘야비한 인간’이 leadership으로 설쳐대는 (이날 이 flawed leadership이 보여준 행동은 아마도 absolutely positively most cruel한 case로 기억될 듯..) 그 ‘극장’은 한마디로 worst Saturday Night Live였다. 잊고 싶고 다시는 안 겪고 싶은 경험이 되었다.

 

Three ‘onna’ Stooges

 

Three Stooges.. 오래 전의 흑백영상이나 영화의 제목이 연상되는 ‘세 명의 바보 멍청이들’.. 지난 2+ 개월 동안 문득문득 3명 바보들이 보여 주었던 ‘해괴’한 행동을 생각하며 세상에는 참 ‘미친 바보’들이 적지 않게 많구나.. 하는 슬픈 생각을 했다. 이 blog의 제목이 three stooges가 아니고 three onna stooges라면 onna라 함은 무엇인가 하면, (일본어) 여자라는 뜻이다. 그러니까.. 3명의 ‘바보 여자’들이다. 아예 일본말로 ‘혼또니, 바카 온나’라고 했어도 되겠지만 구체적으로 ‘광대 clown에 가까운 바보’들을 뜻하고 싶어서 Stooges로 정했다.

이 세 명은 두 달 이상 전에 벌어졌던 ‘레지오 미친년 난동사건’ 의 주연(주범 主犯)  배우를 포함한 들러리 조연 助演들까지 3명을 말한다. 이 사건을 겪으며 나는 참 많은 인생공부를 했고 나아가 신앙적 측면으로 보는 훈련도 하게 되었다. 그러니까, 이 사건이 전혀 우연이 아닐 수도 있다는 사실이다. 그 중에서 나를 제일 슬프게 한 것은 나의 생애 처음으로 바로 가까이에서 ‘악’의 존재를 느끼게 된 사실이다. 나는 모든 사람의 깊숙한 곳에는 ‘선’이라는 ‘핵 核의 중심’이 자리 잡고 있다고 믿었다.  그것이 아닌 case를 70평생 처음으로 코 앞에서 목격을 한 것이다.

그것도 충분히 나를 경악하게 했지만 내가 더욱 놀란 것은 그런 사건에서 보여준 다른 2명 여자들의 예상치 못한 해괴한 행동이다. 한때 ‘모범적’이라고 생각했던 사람, 살 만큼 산 ‘세월의 지혜가 넘쳐야 할’ 사람, 솔직히 아직도 그들의 행동을 믿을 수가 없다. Bizarre, weird, unreasonable..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판단을 못하는 바보가 아니고서야 어떻게 사람들이 그렇게 변할 수 있는 것일까? 세상은 이런 것인가? 이렇게 unreasonable한 세상인가? 교회 안이 이렇다면 세속적인 세상은 과연 어는 정도일까? 선과 악의 존재는 분명히 구체적으로 존재한다는 ‘진리’를 깨닫게 되는 것, 정말 슬픈 노릇이다.

 

10월이여 안녕..

 

¶ 10월이여 안녕:  거의 70마일로 ‘질주’한다는 내가 느끼는 세월의 속도가, 조금은 이해하기 힘들지만, 다 지나간 10월 달에는 지나간 달들에 비해서 훨씬 느리게 40~50마일 정도로 느껴진다. 왜 그랬을까?  이번 달에 시간이 느리게 느껴지게 했던 이유는 과연 무엇인가? 평소보다 더 바쁜 하루하루를 보내면 세월이 빠르게 느껴지는 것일까? 반대로 지루한 나날을 보내면 시간이 늦게 가는 것처럼 느끼는 것일까? 그렇다면 지나가는 10월이 나에게 지루한 나날들이었다는 말인가? 그런 건 아닌 듯하다. 그런대로 ‘성과’들이 꽤 있었기 때문이다.

한 순간이나마 어떤 ‘악’의 불 기습으로 near-death-experience, coma의 위기에 몰렸던 우리의 20년 역사의 레지오, ‘자비의 모후’가 서서히 건강한 모습으로 일어나던 한 달이었는데 그것이 나의 세월감각을 100% 조종하고 있다고 생각하기에, St. Augustine, KantTime is subjective, 역시 이 ‘느껴지는 시간’은 알쏭달쏭 한 문제다.

 

 Darkest Halloween: 10월과 작별을 하려면 마지막 날인 Halloween, 그것도 어두운 저녁을 지내야 한다. 몇 년 전부터인가.. 아마도 거의 10년 전 쯤 부터가 아닐까? 우리 집에서 ‘아이들’이 완전히 떠난 후 였으니까.. 그 때부터 Halloween은 ‘아련한’ 추억으로 변하기 시작했다. Trick-or-treat 꼬마 손님들을 기다리며 저녁 시간을 보내던 의식이 완전히 사라진 집은 적막이 휩싸이고, 무언가 세월이 엄청 흘러가고 있다는 불안감까지 감돌았다. 우리 집도 이제 완전한 어른이 되었다는 사실이 그렇게 즐겁지 않았다. 새까만 옛날, 1973년 가을 미국에서 맞은 첫 Halloween,  나누어 줄 candy가 없는 것은 물론이고 그날이 어떤 날인지도 모르던 그날, 집안의 불을 모두 끄고 아무도 없는 것처럼 하는 것이 그들에게 조금은 덜 미안하였다.  근래 우리 집의 10월 31일 저녁도 서서히 그렇게 변한 것이다. 올해도 그들에게 미안해야 하는 시간이 다가오고.. 작년부터 옆집 David  도 흉가처럼 깜깜해진 것을 보고 은근히 놀랐다.  예전까지만 해도 우리 neighbor중에서 제일 ‘요란하게’ 이날 저녁을 ‘아이들처럼’ 즐겼던 집인데 아이들이 모두 떠나고 역시 깜깜한 집으로 변한 것이다.

우리 집 아이들이 동네를 돌며 trick-or-treating을 하던 시절, 이제 생각하니 아름답고 기억하고 싶은 추억으로 남는다. 비록 고국의 추석명절과 느낌은 다르겠지만 이것 역시 그것과 비슷한 것이 아닐까?  그 당시의 아이들 이제 모두 성인이 되어가고, 우리들은 빠르게 인생의 황혼기로 접어드는.. 인생 윤회의 감상에 젖는다.

올해 Halloween 저녁때는, 물론 집의 불을 완전히 끄고, 무섭기는 하지만 추억의 감상에 빠지고 싶은 그런 것을 보고 싶었다. 바로 1973년 영화 The Exorcist다.  이 영화 이후 비슷한 것들이 무척 많이 나왔지만 ‘충격적인 느낌’에는 이것을 따르는 것이 없었다. 내가 느꼈던 ‘공포의 추억’은 사실 ’45년이 지난 지금 다시 말하는 것도 무서운’ 그 정도다. 당시에 이 영화를 보고 1주일 정도는 밤에 불을 켜고 잔 기억도 난다. 그 이후 두세 번 정도 더 극장에서 보기는 했지만 집에서 혼자 보는 것은 아직도 망설여지는 것이다. 얼마 전 YouTube에서 full-version을 download했지만, 아직도 처음 30분 정도만 보고 더 진전이 없다. 그 정도로 나는 이 영화가 무서운 것이다. 단, 이 영화가 결국은 나에게 ‘가톨릭 신앙’을 주게 했던 사실은 지금 생각하니 전혀 우연만은 아닌 듯해서 불원간 조금 덜 무서운 자세로 끝까지 다 볼 각오를 다지고 있다.

Devils Exist! – The Exorcist, 1973

 

¶ 올 가을 첫 추위: 지난 며칠은 가을이 아니라 초겨울 같은 냉기서린 강풍과 첫 빙점 아래로 떨어지는 그런 날이 되었다. 아래 위층 할 것 없이 요란한 central heating fan소음이 낮에도 은은히 들리는 그런 날들이었다. 하지만 나는 이런 날들을 좋아하기에 불평은커녕 all are welcome이다. 결과적으로 엉뚱하게 나는 주일미사를 빼먹게 되었지만 미안한 마음보다는 그저 편하게 쉰다는 편안함만을 만끽하고 싶었다. 그런 날도 있는 것, 기나긴 신앙, 인생 여정에서 재미있지 않은가?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rare exception 인 것만 명심하면 되는 것이다.

 

올 가을들어 제일 춥고 을씨년스럽던 날, Tobey와 desk는 나의 피난처가 되었다

 

¶ 연총연습 시작: 올해 순교자 성당 레지오 행사를 결산하는 ‘레지오 연차 총친목회’ 줄여서 ‘연총’이 12월 3일로 다가오고 있다. 한 달이 넘게 남아있지만 우리에게는 급한 준비로 다가왔다.  우선 단원의 숫자가 줄었고 시간이 예년에 비해서 줄어들었다. 이제부터 매주 연습을 한다 해도 5번 정도다. 매주 연습을 할 수 있다는 보장도 없다.  나는 올해 ‘사정상’ 모두 취소를 하자고 제안도 했지만 결국은 ‘이럴 때일수록’ 우리의 건재함을 보여 주어야 한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졌다. 문제는 ‘무엇을 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작년에는 인원이 너무 많은 호조건으로 ‘여유 있게’ 선택을 해서 guitar반주까지 곁들인 춤, 합창을 했지만 그런 호조건은 이제 물 건너 갔다. 결과적으로 선택된 것은, ‘의도적으로 짧은’ 것. YouTube로 알려진 ‘어떤 수녀님의 귀여운 노래와 율동’ ‘앗싸 좋아요!‘ 란 것이다. 나에게 ‘율동’은 안 맞는 것이지만 오늘 첫 연습을 하고 보니 사실 못할 것도 없다는 생각도 들었다. 문제는 어떤 format으로 할 것인가.. ‘반주, 편곡’ 들의 기술적인 문제만 남았다.

 

Days in the Life

¶  Roof Leaker:  어제 갑자기 남쪽으로부터 습기가 밀려오더니.. 역시 이른 새벽부터 세찬, 그리 차갑게 느껴지지 않은 폭우가 쏟아졌다. 우리 집 2층의 bonus room(2 car garage 위) 은 제일 크지만 침실로 쓰고 있는데 몇 달 전부터 창문가 쪽으로 비가 새고 있었다. 스며드는 정도로 천정에 물기가 보이더니 폭우가 오던 날에는 뚝뚝 물이 떨어지고 있었다. 오랜만에 영화에서나 보던 광경을 목격하고 ‘내가 좋아하는 비’가 올 때마다 신경이 쓰여서.. 좋지 않았다. 비를 기다리다가도 이것을 생각하면 ‘조금만 내려라’ 하기도 했는데 어제는 드디어 지붕으로 올라가 내가 보기에 ‘범인’으로 보이는 곳을 처치해 놓고 내려왔다.

흔히 보는 asphalt shingle이 망가진 것이 아니고 ridge에 있는 ridge vent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고 응급처치를 하고 오늘 오전 중에 계속 쏟아진 비가 끝나고 또 새는가 보았다. 와~~~ 안 샜다! 물기가 전혀 보이지 않았다. 그러면 내가 진단한 그곳에 문제가 있었던 것이고… 이제부터는 ‘내가 좋아하는 비’를 계속 안심하고 기다려도 되겠다는 생각이 든다.

내가 추측하는 leak scenario는 간단히 말해서: 비가 갑자기 쏟아질 때, ridge vent의 edge에 잠깐 고인 물이 채 빠지지 못하고 vent 의 완만한 slope를 타고 ‘올라가’ roof의 안 쪽으로 스며드는 것, 바로 그것이다. 그러니까 문제는: 비가 심하게 ‘계속’ 내릴 때 물이 흘러 내려가기에 roof 의 slope가 너무나 완만한 한 것, 바로 그것이었다. 문제가 된 slope는 내가 바꿀 수는 없고 vent 자체를 조금 ‘개조’해서 물이 조금이라도 빨리 빠지게 하는 수 밖에 없었다.

 

 

¶  2층 hallway: 지난 주말 무렵 2층 hallway 주변의 flooring, painting, closet reshelving 등의 backbreaking job이 다 끝났다. 거의 반년이상 carpet이 벗겨진 벌거숭이 상태로 각종 traffic을 견디고 나의 마지막 손을 기다리고 있던 이곳, 끝나고 나니 정말 감회가 깊다. 제일 지저분하게 보이던 이곳이 어쩌면 그렇게 새 집처럼 보일까.. 특히 closet의 변화는 내가 보아도 놀랄 정도다. 꼭 벌레가 살았을 것 같은 흉하게 쳐진 particle board shelving의 흉한 모습들이 다 사라지고 ‘진짜 나무’의 깨끗하게 paint된 homemade shelving 이 그곳에 자리를 잡으니 새 집에 이사온 기분이 드는 것이다. 속으로 계속 ‘아마도 이 모습이 우리가 세상을 떠날 때까지 남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되뇐다. 다음에 할 일은 무엇인가.. Stairway 주변의 tall wall의 painting, 그리고 바로 stairway그 자체.. 내가 제일 피하고 싶던 일들이 남았다. 하지만 이제는 나의 손과 몸이 적당히 handy가 되었기에 반드시 ‘성공’하리라 믿는다.

 

Before

After

 

¶  김 M.S. 프란치스코 선종: 우리의 ‘전 前’ 마리에타 2구역,에 살던 나이는 나보다 ‘한참’ 밑이지만 구역의 역사로는 고참에 속하는 김  M.S. 형제가 선종을 하였다. terminal illness 란 것이 다 그렇듯이 예상되었던 일이지만 막상 이렇게 마지막 순간이 오면 착잡한 심정에 휩싸인다 . 췌장암으로 시작된 오랜 투병의 여정이었고 본인, 가족들 헌신적으로 투병을 하고, 주위에서 모두들 기도를 했지만 하느님의 뜻은 다른 곳에 있는지… 우리와의 인연은 역시 같은 마리에타 2구역도 있지만 우리 집 큰 딸 새로니가 10년도 전에 이 형제님 딸 ‘데보라’를 개인적으로 tutoring한 것도 있었다.

가끔 구역모임에서 볼 기회가 있었지만 가까이 어울리지는 못했다. 가톨릭 교리에 관심이 있는지 열띤 논쟁 성 토론을 했던 것도 기억에 남는다. 2000년대 말, subprime bubble 이 터지던 시기 투자에 의한 경제적 손실을 보았다는 얘기도 들었다. 그 이후 terminal cancer로 투병생활을 시작하면서 사실상 우리 성당을 떠났기에 거의 볼 기회가 없었다. 몇 번 구역 모임에 ‘인사차’ 나온 것, 그것이 전부다.

왜 성당을 떠났는지 나중에 이유는 알았지만 나는 아직도 이해하기가 힘이 든다. 비록 교리논쟁을 했었던 기억도 있지만, 왜 타 종교, 그것도  ‘안식교’에 의탁을 했었는지.. 직접적인 이유는 치유에 필요한 식이요법에서 시작되었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 정도다. 거의 평생 가져온 신앙을 ‘다른 하느님’으로 바꾸어 귀의하는 것, 나는 참 ‘판단’하기가 힘이 든다. 결국 하느님은 같은 분이라는 생각,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 것인지.. 믿음에도 최소한의 출발점 commitment가 필요한 것은 아닐까, 이 출발점만은 절대로 인간의 마음대로 자유가 주어진 것은 아닐 것이라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고인이나 가족들에게는 고향 같은 아틀란타 천주교를 마다하고 ‘조용하게’ 우리를 떠난 ‘프란치스코’ 형제, 알듯 모르듯 우리의 기억에서 오랫동안 가물 거릴 듯 하다. 부디 하느님의 영원한 평화가 이 형제님의 영혼과 함께 하기를…

 

¶  독서클럽, 등대회 2nd  Shot:  이번 바로 지난 주일(일요일), 한참을 망설였다. 미국 성당이냐, 도라빌 순교자 성당이냐.. 어디를 갈까.. 매 주일 나의 challenge 중에 하나다.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더욱 그렇다. 이번이 그런 case였다. ‘꼭 나가야 할 이유’ 를 못 찾을 때, 그러니까 공식적인 의무 같은 이유를 찾아야 한다. 포근한 느낌의 동네 Holy Family 성당의 유혹도 무시할 수가 없기에 더욱 그렇다. 그런데 이번에는 이유가 없진 않았다. ‘영적 독서클럽’ 과 ‘등대회’ 같은 두 모임이 있는 것을 알았고 만에 일이라도 마주칠 수 있는 Nexus of Evils, 정말 그것을 피하고 싶은 마음을 물리치고 20 mile의 I-285 drive를 택했고 나중에 정말 잘 갔다는 생각에 쾌재를 부르기도 했다.

book club select: 개구리의 기도 2

무언가 나에게는 아직도 elusive한 것 같은 느낌이 바로 이 ‘독서클럽’이다. 이날 주제가 된 책은 ‘개구리의 기도 2‘란 책, 나는 이미 최 프란체스카 자매님으로부터 몇 주간이나 ‘대출’을 받아 읽고, ‘필사’를 한 후여서 내용은 환히 알고 있는 그런 책이다. 하지만 솔직히, 그렇게 마음에 드는 내용이 아니라는 사실이 계속 나의 주 관심사였다. 왜 남들은 그렇게 ‘좋아한다고 하는데’, 나는 반대일까? 이것이 contrarian의 반응인가? 동양사상, 철학이 가톨릭 영성을 위압할 정도로 그것도 유머러스 하게.. 이것이 과연 올바른 방법인지?

이날 오랜만에 클럽에 참가를 했지만 몇 명밖에 모이지 않았고 시간이 없어서 나는 죄송하지만 나에게 급한 글럽 운영상에 대한 몇 가지 질문과 그에 대한 반응을 듣고, 주제의 책에 대한 나의 ‘고민점’을 나누고 나왔다. 나중에 들어보니 11월 12월은 모임이 쉰다고 했다.

 

그리고 바로 옆 방에서 모이는 60대 주축 친교모임 등대회에 ‘혼자’ 참가를 했다. 9월 모임에 이어 2번째 참가한 셈이다. 9월 말 처음 이곳에서 모였을 때 있었던 멤버들은 거의 안 보이고 또 다른 얼굴들이 많이 보였다. 부회장님은 그대로였지만 회장님이 안 보인다. 아하.. 이 그룹은 아주 informal하게 ‘자유롭게’ 모이는 곳이라는 느낌이 든다. 제약이 별로 없이 오고 싶으면 오고.. 하는 그런 곳인가? 하기야 이 나이에 제약을 느끼며 오고 싶겠는가? 하지만 그래도 모임이라는 것이 유지되려면 ‘열성당원’은 꼭 있어야 하지 않을까?

나로서는 이렇게 ‘남자가 꽤 있는’ 모임이 조금 생소하지만 너무나 refreshing하고 즐겁기만 했다. 내가 그 동안 너무나 모르고 살았던 세상이 있었구나 하는 그런 생각도 든다.

이곳의 자매님들, 레지오와 유심히 비교해 본다. 혹시 Nexus of Evils는 이곳에 없는가… 알 수가 없다. 우선은 full benefit of doubt를 줄 수 밖에 없다. 부부인 멤버가 많은 것도 좋았고, 아주 활발하게 의견을 제시하는 적극성도 좋았다. 이날의 주제는 11월 초에 있을 등대회 야유회에 관한 것인데, 나에게는 너무나 생소한 것이어서 나는 그저 듣기만 했고 나 자신도 참가하기로 했다. It’s now or never는 여기서도 예외일 수는 없다.

모임이 끝나고 오늘 회의를 주도한 부회장님이 ‘커피를 쏜다’고 해서 근처의 McDonald에 2차로 모였다. 이런 것도 나는 다시 배운다. 첫 번 성당에서 모였던 것은 조금 formal한 것이었고 2차는 완전히 informal한 그런 것이 아닐까? 이날은 우리를 등대회로 ‘인도’했던 박 스테파노 형제 부부도 있었고 낯이 익은 형제부부들도 처음으로 인사를 나누었다. Boston지역으로 1974년에 오셨다는 서울 용산고 출신 형제님, 알고 보니 나보다 나이가 꽤 위였는데 AT&T에서 오래 근무를 하셨다고 해서 나와 같은 technical 분야인 것이 너무나 반가웠다.

하지만 내가 더욱 반가웠던 사람은 다름 아닌 오늘 (임시) 사회를 보았던 부회장님, 알고 보니 나와 나이 생일이 거의 비슷했다. 나와 똑같이, 생일이 음력으로는 돼지띠, 양력으로는 쥐띠.. 이런 우연도 있는가? 그것뿐이 아니다. 서울 교동국민학교 출신이 아닌가? 나의 모교 재동국민학교 바로 아래 동네, 문화극장 앞, 덕성여대에 붙어있던 정겨운 느낌의 교동국민학교, 어렸을 적 같은 집에서 살았던 ‘시자 누나’, 나의 죽마고우 유지호가 졸업했던 역사 깊은 학교였다. 게다가 그는 경복중고교를 다녔다고 해서 사실 우리는 거의 같은 시절 같은 동네를 누비며 살았던 공통점이 있음을 알고 너무나 반가웠다. 이런 저런 이야기로 이날은 너무나 즐거운 오후가 되었고 생각을 달리해서 도라빌 성당엘 안 갔더라면 이런 일들 아마도 물 건너 갔었을 것이다. 이제는 우연보다는 ‘필연’을 더욱 믿기에 나는 여기서도 일련의 ‘사건’들에서 의미를 찾고 목적을 다시 찾는다. 왜 그날 이런 일들이 일어났을까?

 

¶  Surviving another Weekly: 자비의 모후 또 다른 화요일 주회합이 ‘무사히’ 끝났다. 아직도 나는 surviving이란 말을 쓰고 있다. 나의 심리상태가 아직도 panic mode에 있음을 말하는 것인지 나도 씁쓸한 웃음이 나온다. 아직도 나는 이 모임이 나의 실존이유와 직결되었다고 생각을 하기에 더욱 그럴 것이다. 일주일 Coma상태에서 벗어난 이후 착실하게 recover를 계속하는 모습, 모두들 흡족한 얼굴들이고 나도 마찬가지다. 확실히 자비의 모후는 현재 ‘총사령관 성모님’이 개인적으로 친히 이끌고 나가신다는 느낌도 든다.

이제 당면과제는 늦게 시작하게 되는 ‘연총 연습’이 있지만 오늘은 예외로 얼마 전 남편형제님 상을 당하신 이 아가다 자매님을 위해서 그룹 연도를 하였다. 모든 단원과 guest까지 포함해서 우리는 열심히 이요셉 형제님의 영혼을 위해서 연도를 바쳤다. 끝나고 자매님, 고맙다고 우리들을 만천홍으로 초청해서 즐거운 ‘자장면 점심’을 즐겼다. 이런 날 오후가 바로 Afternoon Delight의 ‘정수 精髓’가 아닐까?  

 

Nexus of Evils

The Shining

오늘 아침 성당 입구에서 그 ‘devilish face‘ 를 먼 곳에서 의식하고 성당 주보도 마다하고 그 ‘회벽 칠한듯한 얼굴’을 비웃으며 이미 묵주기도를 시작한 성당 안으로 곧바로 들어갔다. 성수를 찍으며 성스러운 이곳에서 이것이 도대체 무슨 짓인가 한숨을 지었다. 이런 해괴한 짓을 언제까지 하여야 하나.. 답답하기도 했지만 별 도리가 없다는 결론에는 변함이 없다.

아직까지 나는 ‘회개 없는 악행’은 절대로 용서할 수 없다는 생각이고, 아무리 ‘원수를 사랑하라’고 하지만 그런 원수도 나중에 회개를 한 후에나 사랑할 수 있는 가능성이 0.0001%라도 생긴다. 하지만 이 원수는 전혀 아니다. 아니.. 더 나아가 이 원수가 바로 nexus of evils 이라는 끔찍한 생각까지 들 정도다.

이제까지 이 인간의 과거에 대해서 들은 것만 해도, 모든 문제(폭행, 협박, 이간, 분열, 조직 해산과 붕괴) 의 중심에는 이 인간이 있었다.  어떻게 이런 인간이 성당에 나와서 ‘성모님의 기도’를 한다는 것인가… 어떻게 우리는 이제까지 그런 것들을 모르고 살았는지.. 정말 세상은 요지경 속이다.  유일한 희망은 역시 ‘성모님의 손길’이다. 현재로써는 그것만이 유일한 희망이다.

 

자비의 모후 Pr. 친목회, 사업보고

¶  Pr. 친목회: 지난 10월 10일 화요일 자비의 모후 Pr. (Praesidium 쁘레시디움) 전 단원은 주회합 후 정오 미사가 끝나고 Duluth에 있는 McDaniel Park로 차를 몰았다. 원래 9월 초 쯤에 갖기로 되어있는 ‘친목회’를 우리는 ‘간신히’ 한달 뒤에라도 이렇게 갖게 된 것, 그 이유는 다시 언급하고 싶지도 않다. 그저 이렇게 다시 성공적으로 다시 모인 것만도 성모님께 감사를 드리고 드린다.

이곳은 몇 년 전까지 친목회 때 몇 번 온 적이 있어서 익숙한 곳이다. 하지만 그때와 이번의 느낌은 하늘과 땅 같은 차이라고나 할까.. 어쩌면 그렇게 다르게 느껴질까? 그때는 그러니까.. 나는 어린애처럼 순진하였고 지금은 세상의 모든 것, 특히 더러운 것과 짓을 다 겪은 역전 노장 같은 그런 느낌.. 지난 몇 개월의 incredible ordeal이 그렇게 만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상관없다. 이제는.. 다 지나갈 것이다..

모두들 물론 자매님들이라 음식을 정성껏 잘도 준비하였나.. 우리는 밥만 준비했지만 새로 입단한 자매님이 준비하신, 군침이 도는 생선봇쌈 (이름이 맞나?) 비슷한 것, 참 맛있게 먹었다. 환자의 몸으로 참석한 단원 자매들, 어떻게 그렇게 큰 문제없이 준비를 하고 참석을 했는지.  먹고, 걷고, 얘기하며 주회합 화요일 오후를 보낸 것, 우리 자비의 모후에게는 너무나 의미 있는, 심각하게 중요한 행사 중에 하나였다.

McDaniel Farm Park

 

¶ 마지막 작은 방: 결국 이방의 flooring도 다 끝났다. 제일 작은 곳이라 비교적 빨리 끝이 났지만 역시 이곳도 closet과 door boundary 에서 골치를 썩고 시간을 끌긴 했다. 하지만 지나고 보면 역시 ‘아무 것도 아니다’ 라는 생각을 떨칠 수가 없다. 그저 시간만 가면 되는 느낌이지만 그 시간들이 고통을 수반하는 것이라 밤에는 근육통으로 고생을 한다. 이것이 내가 할 수 있는 free labor이기에 $$$을 ‘엄청 save했다는 보람’ 하나로 위안을 삼는다.

Renovated, floored ‘smallest room’

 

¶ Walking Tobey: 이것이 얼마나 오랜 만인가? 전혀 알 수가 없다. 내가 우리 ‘늙은’ Tobey와 동네 주변을 걸었던 것이 진짜 언제였나.. 전혀 기억이 나지를 않는다. 이 정도로 기억이 없으면 아마도 3개월은 훨씬 넘었을 것이다. 아니 4~5개월? Tobey에게 관절신경통이 생긴 이후 걷는 횟수가 많이 줄었는데 지난 여름에는 더위로 더 못 걸었을 듯 하다. 신경통 약을 정기적으로 먹어서 집에서는 별로 문제가 없지만 걷고 오면 먹은 것을 토하기도 하는 등 문제가 있다. 하지만 갑자기 다가온 시원한 가을의 냄새를 맡으니 나나 Tobey나 걷고 싶은 충동으로 무작정 leash를 챙기고 우선 playground로 가서 standard shot (picture)를 찍었다. 걷는 것 보다 이것이 나에게는 더 중요했다. 몇 년째 같은 pose로 찍었던 이 사진, 나의 blog header picture로 쓰이기도 한 것이다. 구름이 잔뜩 있지만 시~원한 가을하늘아래, Tobey는 과연 언제까지 이렇게 ‘문제없이’ 걸을 수 있을까.. 아니 언제까지 나와 함께 살까… 갑자기 어두운 생각이 들기 시작하자마자 그곳을 떠났다. 참으로 시원한 가을 날씨였다.

 

My favorite view & pose

 

¶ Kolbe 정신부님, 꾸리아 사업보고: 어제 주일(일요일)은 도라빌 순교자 성당엘 가야만 했다. 꾸리아 월례회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일년에 한번 하는 자비의 모후 사업보고가 있기 때문이었다. 올해 이 발표는 의미가 우리에게 중차대한 것이었다. Coma상태에서 간신히 살아난 것이 불과 한달 전, 거기에 일년 분 사업보고 준비하고 발표하는 것 사실 쉬운 장난이 아니다. 자비의 모후는 다행히 단장 서기가 부부라는 사정으로 보고서를 준비하는 것이 비교적 straightforward한 편이지만 올해는 정말 힘들었다. 나보다 단장이 더욱 힘이 들었다. 왜 안 그렇겠는가… 1000차를 바라보는 자비의 모후의 생명이 위협을 받고 있었던 마당에 심리적인 stress는 나보다 더 했을 것이다. 일주일도 전에 이미 다 작성을 해서 지난 주회합에 모든 단원들에게 선을 보였지만 막상 발표하는 그 단계는 아무도 모른다.. 어떤 accident, hiccups가 있는지, 아무도 예측을 못한다.

결과적으로 큰 ‘사고’는 없었는데 사실 실수나 사고가 날 여지가 거의 없이 우리 것은 완벽한 것이었다. 문제는 ‘문제를 위한 문제를 제기하는’ 웃기는 인간이 있었는데, 야빠리.. 그 인간이었다. 바로 그 인간.. 우리에게 순방 차 와서 순명 하라고 난동을 부렸던 그 인간.. 어째 안 그렇겠는가? 속으로 웃고 또 웃었다. 네가 어딜 가것냐?

이날 미사는 Duluth성당의 Kolbe 정만영신부님이 집전을 하셨는데.. 내가 그 동안 가졌던 이유가 있던, 이유가 없던 간에 사제를 부정적으로 본 나의 짧은 생각과 태도.. 반성을 하고 반성을 하며 식사시간에 다가가서 악수를 청하며 인사를 공손히 하고 돌아섰다. 앞으로 이런 경험을 통해서 나는 사제들을 이해하고 이해하려고 노력을 할 것이다. 이것은 메주고리예 발현 성모님이 직접 말씀하신 것이기도 하다.

 

Wikipedia: 눈에 익은 곳에서 email이 도착했다. Wikimedia에서 온 것이다. 이곳은 사실 nonprofit 이고 commercial 한 것이 거의 제로에 가까운 곳인데, 이것이 무엇인가.. 역시 fund raising성의 ‘친전’이었다. 마구잡이로 보낸 것이 아니고 이제까지 얼마라도 donation한 사람들에게 ‘호소’를 하는 편지였다.

사실 지난 몇 년간 아니 꽤 오랜 동안 나는 작은 액수나마 이곳을 돕고 있었는데.. 근래 뜸했었나.. 작년에 한 giver들에게만 보낸 것을 보니… 아마도 올해 내가 이것을 miss했었던 모양이었다. 갑자기 미안한 생각이 들고 당장 예의 액수를 Paypal을 통해서 보냈는데… 이때의 나의 심정은 날라갈 듯한 것, 나도 조금 보탬이 되었으리라..

내가 Wikimedia 특히 Wikipedia의 도움을 얼마나 이제까지 받았는지 생각하면 보낸 액수가 부끄러울 정도다. 비록 non-political, neutrality를 고수하고 있지만 그것이 조금은 지나칠 정도로 느껴지면 조금 버겁긴 하지만 이것 보다 더 fair한 deal을 아마 어디에도 없을 것이다.

 

Monster Wang

 

Monster Wang, 괴물 왕? 괴물의 왕, King of Monster란 뜻인가? 여기서는 그것이 아니고 1967년 서울에 등장한 괴물, ‘왕마귀’ 를 뜻한다. 이것은 1967년 여름에 개봉된 대한민국에서 처음 나오기 시작한 SF (Science Fiction) 영화 중의 하나고 아마도 최초일 가능성도 높다.

1967년이기에 이 blog post는 Category: memoir 에 해당이 될 듯 싶지만 사실은 daybook쪽에 가까울 정도로 나의 현재 느낌이 더 반영된 것이다.

당시 이 ‘웃기는’ 영화의 제목은 ‘우주괴인 왕마귀‘였다. 왕+마귀: 마귀의 왕이란 뜻인 모양이다. 그 정도로 이 마귀는 악질 중의 악질이 모양인가? 하기야 당시의 우주괴인 宇宙怪人 들이 성질이 온순한 놈을 없었을 것이다. 대도시에 나타나 모조리 파괴하고 나중에는 인간의 영웅들에 의해 쓰러지는 그런 것이다.

1967년 여름이니까, 연세대학에 복학하기 전 무렵이다. 당시 TV를 보던 중에 game show같은 것이 있었는데 거기에 이 영화에 출연한 cast들이 모두 나와서 ‘청백팀’ 정도로 game을 했었는데 그때야 나는 이런 ‘웃기는’영화가 나왔다는 것을 알았다. 웃긴다는 뜻은 그 당시 미국영화에 길들여진 우리들에게 이런 C-class의 장남감 영화가 통할 리가 없고, 그저 유치한 저질 comedy급으로 여겨진 것이다.

cast중에 유일하게 기억나는 사람이 아역으로 나온 ‘전상철‘이었다. 이것 정말 의아한 노릇이다. 왜 50년 전의 그 TV에 나온 ‘전상철’을 기억하는 것인지… 나도 모른다. 그가 나와서 말한 내용도 기억에 남는 듯 하니.. 기억력이란 것은 참으로 신비한 것인가…

내가 본 영화도 아니고 이렇게 50년 전 서울에서 TV에 나온 영화의 cast들을 잠깐 본 이영화가 오늘의 Daybook에 소개되는 까닭은 무엇인가? 전에 겪었던 어떤 웃기지도 않은 해괴한 사건 때문이다 이 해괴한 사건의 주범, 주연을 100% 연상시키는 것이 바로 이 ‘우주괴인 왕마귀’인 것이고 우리는 그 사건 이후부터 그 인간을 ‘왕마귀’라고 별명을 붙여버렸다. 왜 이 왕마귀와 그 주범이 연결이 되는지는 차마 이곳에서도 밝힐 수가 없다. 아마도 그 인간이 죽기 전이라도 이 blog을 본다면 알아차릴 수 있을까.. 하지만 회의적이다. 이런 monster급 인간들이 우리의 아주 가까운 주변에 하나 둘 씩 등장하는 걸 보니.. 우리도 오래 살았구나 하는 한숨이 나온다. 하지만 잊고 싶다, 왕마귀의 추억을..

 

‘Shane’ day

¶  Shane! Today becomes a Shane day. 추억의 서부영화 Shane, Alan Ladd (당시 우리들은 ‘아란 라뜨 라고 불렀다) 주연의 1953년 George Stevens의 Paramount classic western movie  주인공 이름이 바로 Shane 이다.  지난 밤에 예상했던 대로, 오늘 아침에 몸과 마음이 편치 않다는 애매모호한 이유를 내 세워, 5년 역사를 자랑하는 평일미사는 물론 근래 보기 드물게  아침식사까지 거르고, 모처럼 남아도는 아침 시간을 어떻게 ‘처리할 줄’ 몰라서 desk주위를 모처럼 자세히 살펴보니 저쪽에 SHANE이란 VHS TAPE cover에 쓰여진 빨간 글자가 눈에 들어왔다.

별 생각 없이 그것을 old video-tape player에 넣었고 처음부터 끝까지 다 보았다. 나의 영웅, Shane이 ‘피도 눈물도 없는 비겁한 완전 순 악당 무리’를 모조리 ‘쏘아 죽인 후’ 영화가 끝나며 역시 잔잔한 감동에 휩싸인다. 역시, 역시.. 진리는 이긴다, 하느님은 선이 악을 이기도록 이끄신다…

 

Shane, videotape cover art

이 명화는 어렸을 때 (중학교 1학년이었나..) 가족이 서울 중앙극장에 가서 보았는데, 그 당시 느낌은 다른 서부영화와는 조금 다르다는 것인데, 왜 그런 인상을 받았을까.. 아마도 ‘Alan Ladd 아란 라뜨’의 인상 때문이 아니었을까? 그는 암만 보아도 그렇게 총을 잘 쏘거나 주먹싸움을 잘 하게 생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체격도 비교적 왜소한 편이고 얼굴은 여자처럼 곱게 생겼다.

그런 그가 우락부락한 놈들과 주먹싸움을 해서 모두 때려 눕히는 것은 물론 ‘총 싸움’도 거짓말처럼 놀랍게 잘했으니..  지금 가지고 있는 VHS tape은 1990년대에 산 것이고 우리 가족이 모두 보기도 했지만 내가 느꼈던 ‘감동’이 그들에게는 별로 없었던 모양이다. 주 원인은 역시 ‘주먹싸움’ 정도가 당시 기준으로 보아도 조금 ‘잔인’하게 보였기 때문이었다. 남자와 여자가 이렇게 다른 것인가.

며칠 전 본 Gary CooperHigh Noon, 2년 후에 나온 이 영화를 보며 나는 나 자신 깊숙한 곳에서 아직까지 ‘이글거리는 분노‘를 삭히려고 무던히 애를 쓰고 있다. 하지만 애석하게도 아주 큰 효과는 없는 듯 하다. 그저 이것을 보는 시간 동안만은 그런대로 그 이글거리는 분노를 잠시 잊는 것 뿐이다.

내가 기억하는 한 이렇게 내가 오랜 기간 동안 한 ‘악’의 인간(a.k.a. 레지오 미친년)을 증오한 적이 있었을까… 그런 것, 기억에 별로 없는 것 같다. 내가 현재 할 수 있는 것은 고작해야 ‘대리적 복수’로 나의 분노를 삭히며 시간을 보내는 것 뿐이다. 별로 내가 할 수 있는 option이 거의 없는 듯한 것.. 그것이 나를 괴롭힌다.

 

¶  Surviving Tuesday: Crisis Mode를 가동한 우리 ‘자비의 모후’ 쁘레시디움 ‘비상사태 선언’ 이후 첫 정규 주 회합을 가졌다. ‘미친X 난동사건’의 여파는 하루 아침에 existential crisis로 이어졌지만 우리를 이끄시는 commander 성모님의 도움으로 다시 힘차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One day at a time의 정신으로 우리의 모든 energy를 모으기로 한 자세가 단원들의 얼굴과 행동에 뚜렷하게 보인다. 그 ‘미친X’은 현재도 뒤에서 5살 정도(Trump와 비슷한가) 수준의 그야말로 유치한 장난을 하는 모양인데… 참, 정말 70평생 이렇게 악랄하고, 유치한 모습은 처음 보니까.. 정말 할 말을 잊는다. 나는 결단코 이 인간을 ‘절대로 절대로’ 용서할 수 없다고 다짐하고 다짐한다. 이것이 내가 성모님께 드리는 선물이기도 하다.

자비의 모후 쁘레시디움 총사령관, 성모님

 

현재 제일 심각한 것은, ‘실존적 위기’를 느낀다는 사실이다. 나의 존재가 밑바닥부터 흔들리는 느낌, 처음 경험하는 것이다. 나를 7년 이상 ‘진리의 바다’로 이끌어 주던 ‘레지오의 조직’, 그렇게 의지하던 ‘성모님의 인도’ 이런 것에서 떠나야 할지도 모른다는 상상이 나를 괴롭히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나에게 실존적 위기인 것이다. 하느님의 현존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 요사이, 정말 깜깜한 어두운 밤의 연속이다. 빛의 터널 저쪽이 안 보인다. 과연 언제까지.. 이런 모든 실존적 위기를 느끼게 한 장본인은 한마디로 ‘악의 표본’인데, 나를 하느님, 성모님으로부터 조금이라도 멀게 하는 것은 분명히 성서적인 악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결과는 사실 뻔한 것이다. 기다리자, 기다리자, 그리고 기다리자..

 

¶  New Office/Library: 지난 7월 말에 시작된 나의 home office/library의 ‘대 이동’의 첫 단계가 끝이 났다. Furniture를 위시한 stuff들이 겨우 제 자리를 잡은 것이다. 왜 한달 이상이 걸렸는가 하면, 물건 자체보다는 내가 적응하는데 아직도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2층에 있었던 것이 1층, 그것도 옛날 가족의 보금자리였던 family ‘gathering’ room으로 왔으니 나의 습관상 아직도 익숙하지 않은 것이다. 전에는 office와 small lab desk가 한 곳에 있어서 편했는데 이제는 그것이 분산이 되었다. 2층 전 office 가 lab space전용으로 바꿀 예정이기 때문이다.  각종 hardware junk들이 그곳에 남게 되는데, 사실 공간은 넓어져도 사용하기에는 불편할 것이다. 이것 역시 적응하는데 시간이 걸릴 것이다. 다른 관심사는, 1층으로 내려온 office가 겨울에는 역시 2층보다 추울 것이라는 것, 이것은 겪어 보아야만 알 듯하다. 정 불편할 정도로 추우면 이번에는 아낌없이 central heating을 가동할 것이다. 이제 얼마나 오래 산다고 그렇게 $$$을 아끼며 춥게, 덥게 살 것인가… 조금은 더 편하게 살고 싶다.

 

 

Irma holiday and.. surprise!

Hurricane Irma ‘덕분에’ 며칠을 ‘휴일’처럼 보냈다. 물론 즐겁지 않은 휴일이었지만.. 2005년 New Orleans에 들이닥친 Hurricane Katrina를 연상시키는 그런 심정으로 얼마 전에 Houston의 Hurricane Harvey와 함께 오랜 만에 regular news를 보며 며칠을 보냈다. 그 엄청난 규모와 피해는 물론 놀라운 것이겠지만 내가 놀라는 사실은 ‘내가 그렇게 놀라지 않았다’라는 새로운 사실이었다. 이제는 매년, 매월, 매일.. 새로 나오는 통계치가 new normal이 되기 때문에 신경이 아주 둔감해 진 것이다. 어제 10명이 사망한 뉴스 뒤에, 오늘 100명이 죽는 뉴스가 나왔다 해도 ‘그저 그런 느낌’이 드는 것… 나는 이런 general psyche가 너무나 너무나 싫고 무섭다.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 것인가?

예전에 hurricane하면 사실 우리가 살고 있는 ‘깊은 내륙’에 있는 Atlanta지역은 ‘사정권 밖’에 속해서 그저 가랑비와 산들바람 정도 경험하였지만 이번 Florida로부터 올라오는 Irma도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을 조금 달랐다. ‘그 놈’이 쳐들어 오는 경로가 아주 직선적으로 이곳 Atlanta를 정 방향으로 북상을 하였던 것이다.

수백 마일 떨어진 곳에서 ‘서서히’ 올라오며 강풍과 홍수로 각종 시설들을 못쓰게 하는 것, 특히 (electric) power infrastructure가 무너지면서 초현대인들의 고통은 시작되고 하루아침에 석기시대로 변하는 것을 보며.. 인간들, 아직도 멀었다.. 라는 생각, 대 자연이 위력을 별로 실감 못하며 하루하루 사는 것, 얼마나 가소로운 일인가? Pope FrancisLaudato Si  를 통한 호소와 경고가 다시 새롭게 귓가에 쟁쟁해진다.

 

Irma’s soaking, drenching rain all days..

 

예상대로 South Georgia는 power system에 피해를 보았지만 우리가 사는 지역은 그런대로 견딜 정도로 작은 피해만 있었다. 새로니가 사는 mid town지역은 몇 시간 정도 전기가 나갔지만 ‘기적같이’ 우리 동네는 전깃불이 깜박거리지도 않았다. 전기가 나가는 큰 이유는 강풍에 나무가 쓰러지며 electric pole과 transmission line이 떨어지기 때문인데 우리 주변은 이미 ‘전봇대’가 하나도 없는 (underground) 곳이라 그런 걱정은 없는 것이다. 최악의 사태에 전기가 나가면 natural gas는 그런대로 나오기에 ‘굶을 염려’는 크게 없다. 잔잔한 바람과 대지를 촉촉히 적시는 비가 끊임없이 내렸다. 폭우가 계속 쏟아지던 몇 주일 전 우리 2층 bedroom엔 비가 조금씩 샜기에 이번에는 걱정이 많았지만 예상외로 잔잔히 내리는 비, 이번엔 새지를 않았다.

한달 이상 계속된 flooring work과 2주 이상 계속된 ‘레지오 미친X 난동 사건’ 여파 때문에 중단 되었던 YMCA workout routine이 오늘 아침부터 다시 재개 되었다. 한마디로 감개무량한 것, 우리가 다시 돌아왔구나.. 하는 감사기도가 저절로 나왔다. 인간은 역경을 당해도 의외로 질기고 강함도 느끼게 되었다. 나의 routine workout은 25파운드 dumbbell 인데 의외로 쉽게 들렸다. 아하…..  몇 주일의 중단된 운동으로는 근육이 그렇게 영향을 안 받는구나..

저녁에 어떤 성당교우 부부로부터 뜻밖의 전화를 받고 어떤 fast food restaurant 엘 나가서 두 부부가 만나서 이야기를 많이 나누었다. 얼마 전 성당에서 내가 한번 만나자고 제의를 한 것을 기억하고 바쁜 와중에 연락을 준 것이 고마웠다. 우리와 사는 여건이 비슷한 이 부부, 우리와 어떤 인연이 있을까.. 흥미진진하기도 하다. 무언가 더 가깝게 될 인연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한다. 이때 우리는 놀라운 사실들을 알게 되었다. 레지오 난동사건 주범의 ‘기가 막힌 과거’에 대한 것..  이제 이해가 간다.. 그런 인간들이었구나.. 그런 일들이 옛날에도 있었구나.. 그래서 그랬구나.. 이제는 조금 이해가 간다. 세상에 어떻게 그런 인간이 버젓이 성당과 대로를 활보할 수 있는가.. 세상은 역시 선과 악이 항상 함께 살아가는 곳이다.

 

80세 해병의 善終, 영적신부

¶  지난 주에 갑작스레 선종하신 이 요셉 형제님의 연도와 장례미사가 오늘 정오 전후에 있었다. 지난 달부터 전에 받았던 허리통증,  수술의 경과가 악화되었지만 재활치료를 받으시는 것을 알고 우리는 시간이 지나면 곧 퇴원을 하실 것으로 생각을 했는데.. 이렇게 갑자기 타계하신 것이다.

요새 병으로 사망하는 대부분의 case가 불치병인 암 아니면 심장관련의 병이라서, 비록 통증의 정도가 심하다고는 하지만 허리, 척추 수술은 비록 고령의 나이라도 불치병으로는 생각하지도 않았고 게다가 이렇게 급작스레 운명을 하시리라고는 상상도 못 한 터였다.

 이요셉 형제님은, 우리와 함께 오랜 세월 (7+ 년) 동고동락하며 자비의 모후 레지오 단원으로 활동하셨던 아가다 자매님의 부군이시라서 비록 가깝지는 않았어도 레지오의 큰 식구(협조단원) 일원으로 알고 지냈던 터였다. 조용하시고 신심도 깊으셨지만 불치병인 듯한 ‘청각 장애’로 고통을 받으시고 따라서 사람들과 긴 대화를 피하시는 듯 했다.

개인적으로도 신앙, 인생의 대 선배로서 가까이 하려는 노력도 몇 번 해 보았지만 기본적으로 조용하고 shy하신 것과 청각의 문제 때문이었는지 의미 있는 대화는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나중에 이 분이 6.25 동란 이후 대한민국 해병대에서 복무했었다는 사실을 알고 적지 않게 놀라기도 했다. 어떻게 이런 신심 깊고 조용하신 분이 그 험했던 6.25 직후 ‘귀신 잡는 해병‘의 일원이었는지.. 상상이 안 가는 것이다.

연도와 장례미사는 입추의 여지없이 많은 조객들이 함께 했고 특히 해병대 군복을 입은 ‘장정’들이 운구를 하는 모습이 이채로웠다. 아가다 자매님은 그 특유의 모습을 하나도 잃지 않고 함께한 유족들 일행을 ‘지휘’하셨는데… 나는 그런 ‘평정한 모습’을 조금은 복잡한 심정으로 읽었다.  사실 내가 그 입장이었으면 저런 평정함을 유지 못할 것 같다는 상상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 날 장례미사 후에 성당 친교실에서 ‘조객을 위한 음식’이 마련 되었고 예의 줄을 서 있었는데.. lo and behold!  Serve하는 자리에 누가 서서 밥을 퍼주고 있었던가? 얼마 전에 공개석상에서 미친 난동을 부리고 레지오에서 퇴단을 (당)한 그 ‘회 칠로 도배질한 얼굴‘이 거기 ‘우아하게’ 서 있었다. 나의 입맛, 소화효소 분비가 즉시 멈추고 내 깊은 속에 잠재해 있던 무서운 demon 이 나의 머리 위로 그대로 올라옴을 느꼈다. 그것을 억지로 막으려고 나는 엉뚱한 농담을 하며 시간을 지체하고 있었다. 세상에 어떻게 저런 파렴치한 인간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일까?  It’s not fair, not fair, not fair…

 

¶  영적신부란 무엇인가? 신부는 사실 영적 인데.. 영적이 아닌 신부도 있단 말인가? 하지만, 여기서 영적신부는 사실 어떤 역할, 직함으로 레지오 마리애 조직에서 평신도가 아닌 사제단이 개입된 것을 의미한다. 레지오 마리애는 본당에 소속이 되었고 따라서 본당 신부 밑에서 지도를 받아야 한다는 취지에서 이런 영적신부의 존재가 생기게 된 것이다.

그러니까 우리 본당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의 현 주임신부님은 ‘자동적으로’ 레지오 조직의 영적 지도자가 된다. 본인이 좋건 싫건 상관이 없이 ‘지정’이 되는 이런 제도는 사실 함정이 있다. 만약 그 본당 신부님이 레지오 조직을 싫어하거나 잘 이해를 못 한다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이것은 충분히 가능한 scenario인 것이다.

100년이 가까워 오는 오랜 역사의 레지오는 경험상으로 레지오 조직에 hostile한 사제들이 많았고 그것은 한마디로 그 단체의 불행일 수 밖에 없다. 그래서 본당 신부가 교체될 때마다 레지오는 기도를 더 할 수 밖에 없다. 조금 더 우리 단체를 이해하고 협조적인 분이 오게 되기를 기도하는 것이다.

우리 본당은 독특하게도 대한민국의 예수회소속 사제들이 사목을 하시는데 글쎄 예수회와 레지오는 어떤 특별한 관련이 있는지 확실치는 않기에 속으로 제발 우리 단체에 조금 더 협조적이기만 희망하는 정도다. 예수회의 성 이냐시오 영성체계와 레지오의 ‘성 루도비코 마리아’의 성모신심체계는 사실 직접적인 관계는 찾기 힘이 든다.

7년 여의 레지오 경험에서 나의 중요한 관심사는 바로 이것이다. 본당내의 실질적 ‘지휘본부’인 꾸리아를 누가 지도, 감독할 것인가.. 하는 절박하고 실제적인 문제 때문이다.

오늘 장례미사 후에 나는 이 문제를 의식하며 나의 요청으로 본당 이신부님과 면담을 하게 되었다. 물론 시급한 당면한 문제는 이미 일어난 ‘난동사건’에 대한 것이었다. 내가 목격한 것을 가급적 객관적으로 보고를 드리고 나의 견해를 말씀 드렸다. 끝으로 ‘영적인 지도’를 부탁 드렸다. 이럴 때 신부님의 입장은 참 난처할 것이다. 누구의 편을 들어줄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저 듣고 이해하고 ‘높은 해답’을 줄 수 있는 것 이외에는 아무것도 없고 기대도 안 한다. 다만 신부님의 간단한 대답은: 지금 hurricane Irma가  코앞으로 돌진해 오고 있는데 ‘우선 피하는 것이 상책’이라고 하셨고, ‘개개인의 안전이 본당 단체의 존망보다 우선한다’.. 는 의미 있는, 그것이 ‘영적 해답’이었다.

하지만 내가 강조한 것은 ‘본당의 의무’에 관한 것이었는데.. 만에 일이라도 본당 건물 내에서 ‘(언어, 물리적)폭력사태’가 발생한다면 본당은 법적 책임을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아주 암담한 조금은 가상적인 scenario..  이에 대한 반응은 “그 때는 ‘구조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였는데, 이 구조적인 조치가 무엇인지는 상상에서나 가능하게 되었다. 이것으로 신부님은 그런대로 내가 기대했던 레지오 영적신부의 역할을 하신 셈이다. 하지만 조금 아쉬운 것은 조금 더 proactive한 ‘영적지도’인데.. 이것은 아마도 현재 여러 가지 여건상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님을 나도 인정을 하게 되었다.

 

Get out & run away..

Getting out of ‘Legio’.. get out, get out, run away, run away: 이 것이 지난 일주일 동안 나의 머리 속을 맴도는 ‘terrible’ idea가 되었다. 뒤를 안 보고 7년여 동안 앞만 보며 신명 나게 나를 이끌어준 성모님의 이끄심을 기억하며 나만의 괴로운 시간을 보내게 되었다. 어떻게 나에게서 이런 엄청난 생각까지 들게 되었을까?

지난 주 회합 후 단원들의 회식 중에 벌어진 엄청난 광경은 나로 하여금 한 동안 성모님을 ‘완전히’ 잊게 하는 놀랍고 슬픈 재발견의 기회가 되었다. 한 사람 속에는 언제나 선과 악이 엄연히 실존하고 있다는 등골이 써늘해지는 사실에 그저 놀라고, 놀라고, 또 놀라기만 했다.

지난 3월 달의 꾸리아 간부라는 어떤 인간에 의한 Kafkaesque happening도 당시에 나에게는 슬프고도 놀라운 것이었지만 이번 것은 그것과는 비교도 안 되는 차원이 다른 심각한 것이 되었다. 왜냐하면 예상을 전혀 못했던 devil-coming-out-of-disguise moment였기 때문에 그 놀라움은 일주일이 지난 지금까지도 전혀 1%도 줄어들지 않고 있는 정도다.

암만 흥분한 상태여도 1주일 뒤에도 전혀 변하지 않는 사실은 이것이다. 이 사태는 전혀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갔다는 심각한 현실이다. 회복이 100% 불가능하다는 냉혹한 현실이고, 이 문제의 인간은 나에게는 완전히 존재가 사라진 투명인간이 되었다.

치졸하고 비열하고 유치한 방법으로 pre-emptive attack을 감행한 이 인간에게 어떤 pricey consequence가 앞으로 필요한지 알려줄 필요는 있지만, 사실 그런 것에 필요한 나의 energy가 한마디로 아까운 불쌍한 영혼 임도 안다.

나의 바로 코 앞에 다가온 대 명제는: 7년 동안 나에게 진정한 평화와 진리를 깨우쳐 준 Frank Duff의 이 ‘용감한’ 단체 레지오와 나의 관계를 더 이상 어떻게 유지하느냐 하는 나에게는 처절하고 실존적인 물음에 대한 해답이다. 물론 현재는 앞이 하나도 안 보이는 dark night이지만 모든 것에는 시간이라는 해답이 있기에 기다리고, 기다리고 기다린다. Frank Duff형제님, 제가 가야 할 길을 가르쳐 주세요, 부탁합니다!

 

탈을 쓴 악마인가..

Devil in disguise.. 귀에 익은 Elvis의 oldie.. 리듬은 신나고 가사도 애교가 있는 것이지만 지금은 그것이 아니다. 글자 그대로 ‘악’의 느낌이 드는 것이고 피하고 싶고 도망가고 싶고.. 그저 ‘이런 모든 것 다 지나가리라’ 라는 말만 되뇌고 싶은 시간들이 되었다. 한 마디로 sick & tired 의 심정인 것이다. 어떻게.. 어떻게.. 이런 세상이..

실비아라는 ‘물건’들에 무슨 악이 들러붙는 힘이 있는 것일까? 몇 년  전의 실비아는 지금 문제의 실비아에 비하면 심지어 귀여운 느낌이 드는 것은 지금의 그것이 거의 monster class이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숨어있던 (sleeper) monster였는데, 사실 나에게는 너무나 놀라운 일이라 아직도 입이 다물어지지 않고, 심지어는 당황하며 도망가고 싶은 ‘비겁한 남자의 꼴’을 보이고 있는데…

그 ‘물건’이 조용한 식당에서 벌렸던 해괴하고 놀라운 짓은 아마도 아마도 오랜 세월 나의 뇌리에서 떠나지 않을 듯 하니.. 빨리 잊고 싶은 것인데 이것을 어찌한단 말인가? 나의 성모님이 주신 평화는 도대체 어디로 갔단 말인가? 이 ‘문제’를 어떻게 ‘성스럽게’ 풀어야 하는 것일까? 전혀 나에게는 현재로는 명답이 없는 것이다.

나에게는 거의 ‘실존적인 문제’로 까지 비약을 하게 되어서 7년여 의 오랜 세월 동안 나를 인도하셨던 성모님의 군단을 완전히 잊고 싶게까지 되었으니.. 생존적, 실존적인 생사를 좌우하는 문제로 까지 비약한 이것을 어떻게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가? 도망만 간다면 해결이 되지 않음을 잘 알지만.. 나에게는 우선 생각해볼 시간이 필요하다.

그렇게 잘 나가는 것처럼 보였던 우리 자비의 모후가, 어떻게 최근에 들어 이렇게까지 도전을 받으며 흔들리는 것인지.. 암만 생각해도 누구의 잘못인지.. 간부들이 무엇을 잘못했기에 이 지경까지 되었는지.. 어디부터 생각해야 할지도 모를 지경이다. 어디서부터 기초가 흔들리게 되었을까? 아마도 지금의 실비아 monster가 입단한 그때부터 였음 을 누구도.. 이 정도로 심각한 지를 누구도 몰랐던 것인데..

단원을 제명 除名 시키려면..

레지오 단원으로 활동을 한지 벌써 7년에 가까워 오면서 한번도 퇴단이나 전입 같은 것은 물론이고 제명이란 것은 상상도 할 수 없는 나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말처럼 생각하며 살았다. 하지만 7년이란 세월의 횡포는 별수 없이 나도 처음으로 관심을 갖고 자세히 알아보게 되었다.

퇴단은 그 동안 많이 보아왔던 것들이고 그것은 물론 ‘자진 퇴단’이었다. 개인적인 사유로 quit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다른 퇴단은 무엇인가? 강제 퇴단도 있었던가? 레지오 교본에서 명시하는 퇴단은 분명히 단장의 직권으로 본인이 원하건 말건 퇴단을 시키는 case였다. 게다가 퇴단을 시킬 때 ‘설명도 필요 없다’고 나와 있다. 조금 심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지만 분명히 이유가 있을 것이라 믿는다.

그렇다면 강제 퇴단과 제명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제명.. 이것은 알고 보면 최악의 case가 되는데, 퇴단의 경우 ‘사유가 없어지면’ 다시 입단이 가능한 반면 제명의 case에는 재 입단이 불가능한 것이다. 그러니까 간단히 말하면 교회법의 ‘파문, excommunication’인 셈이다.

최근에 일어난 한 단원의 ‘상상을 초월한’ 불미스러운, 해괴한 폭력적 난동사태를 보면서 이것은 어떤 case가 될까 생각을 한다. 현재로는 ‘자진퇴단’으로 처리가 되고 있지만 내 생각에는 이것은 절대로 제명, 파문의 case라고 굳게 믿는다. 그 정도로 그 단원의 죄는 심각한 것이었고 후유증은 아마도 꽤 오래 갈 것이기 때문에 레지오가 입은 피해는 상상하기가 힘들 정도다.

좋은 것이 좋은 것, 심지어는 ‘보복이 무서워서’ 쉬쉬하며 조용히 처리하려는 것, 한마디로 관련 간부들의 직무유기에 가깝다. 다시는 조직 근처에 못 오게 하려면 제명을 하여야 하는데 그 절차는 어떤 것인가? 아무도 모르고 관심도 없다. 그런 case, 전례가 거의 없기 때문인가? 레지오 교본에 그 절차에 대한 규정이 전혀 없고, 다른 행동지침 같은 곳에도 없다. 아마도 정부관리의 탄핵 같은 절차가 아닐까? 그만큼 심각한 사항이기 때문이다.

다시 생각한다.. 이 문제의 단원을 제명시키려는 case를 만들려면 어떤 ‘자원 resources’이 필요한가? 나의 결심을 점점 굳어지고 있다. 이 탄핵, 제명 case를 내가 한번 시도해 보겠다는 생각이다. 절대로 이 case는 쉬쉬하며 덮어둘 것이 아님을 성모님께 맹세하고 싶기 때문이다.

서울 ‘무염시태’ Senatus의 website에 다음과 같은 ‘강제’ 퇴단, 제명에 관한 규정이 있고 아마도 그것이 case를 만드는 시발점이 될 것이다. 제명의 사유는 내 생각에: 제명대상 3번과 5번일 듯하다.

 

퇴단:

  1. 쁘레시디움 단장은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판단될 때에는, 다른 간부들과 의논하여 단원을 퇴단 시킬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그러나 그와 같은 자신의 결정에 대하여 쁘레시디움에 설명할 필요는 없다. (교본 138쪽)

이 말은 쁘레시디움에 피해를 끼치는 단원의 거취를 결정하는 단장의 권한이 그만큼 확실하게 유효함을 드러내는 말로 이해해야 하며 결코 단장 독단으로 쁘레시디움을 이끌어 가라는 가르침은 아니다.

  1. 퇴단의 경우에는, 퇴단의 사유가 소멸되고 본인이 원할 때 다시 입단할 수 있다. 다만, 3개월의 수련 기간과 선서 과정은 반드시 다시 거쳐야 한다.

 

제명:

  1. 단원 제명의 결정권은 쁘레시디움에 있는 것이 아니라, 꾸리아(직속 상급 평의회)에 있다. 제명된 단원은 레지오 단원으로서의 모든 자격을 잃게 되며, 차후 어떠한 경우라도 레지오에 다시 입단할 수 없다. 그러므로 꾸리아(직속 상급 평의회) 단장은 제명 결정을 내릴 때 다른 간부들과의 사전 협의는 물론, 반드시 영적 지도자와 의논하여 결정을 내려야 한다.
  2. 일단 제명을 통보 받은 단원은 해당 꾸리아(직속 상급 평의회) 바로 위의 상급 평의회에 제소할 수 있으며, 그 상급 평의회의 결정은 최종적인 것이 된다.(교본 138쪽)

 

제명의 대상이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레지오 조직을 분열시키는 단원
  2. 개인적인 목적을 위하여 레지오 조직을 이용하는 단원(선거 운동이나 상행위에 단원들을 이용하거나 단원들에게 부담을 주는 행위)
  3. 레지오 조직에 상처를 입히는 단원
  4. 교본에 명시된 규율·규칙을 존중하지 않고, 편의대로 변칙 운영을 일삼는 단원
  5. 과격한 성격의 소유자로서 동료 단원들에게 자신의 감정을 과도하게 표출하는 단원(이러한 사람은 다른 훌륭한 단원들이 레지오를 떠나게 만든다.)
  6. 조직이나 동료 단원에게 의도적으로 금전상의 손해를 끼친 단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