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고도 짧았던 3개월

3개월 만에 이곳, 고향같이 느껴지기도 한다. blog count가 288에서 멈추었던 것을 기억한다. 곧 300을 돌파하리라 생각을 하곤 했지만 그곳에서 하나도 나아가질 못했다. 3개월, 나는 이 3개월 동안 과연 무엇을 생각하며 살았을까.. 깜깜하게 느껴지기도 하고, 너무나 많은 일들이 있었던 것 처럼 느껴지기도 하지만, 결론적 말하면 그렇게 즐거운 시간들은 아니었던 것 같다.

7월 중순에 나는 이곳에서 떠났고, 10월 중순이 지나서 다시 ‘서서히’ 돌아오고 있다. 절대로 짧았던 기간이 아니다. 그 동안 ‘쓴 것’이 거의 없었다. 어떻게 그 동안의 역사를 찾아내어 남길 것인가.. 한숨만 나오며, 아마도 그런 ‘고역’ 을 생각하며 더욱 이곳에 오기 꺼렸을 것이다. 그것이 나의 잘못된 성격 중에 하나이기도 하니까.. 하지만 나는 나의 역사를 ‘절대로’ 잊지는 않을 것이다. 하나하나 찾아내어 남길 것이다. 그것이 이 blog의 제일 중요한 목적이기도 하니까.

미워도 다시 한번

미원도 다시 한번, 1968
미원도 다시 한번, 1968

42년 만에 다시 생각해 보는 유치하기도 하고, 진부하기도 한 이 구절은 물론 1968년에 대한민국에서 나온 영화의 제목이요, 주제곡의 이름이기도 하다. 우연히 Internet에서 이 영화를 다시 보게 되었는데, 참 감회가 깊었다. 어찌 안 그렇겠는가? 42년이면 강산이 최소한 4번 변할 정도라고 하지만 요새의 강산은 아마도 그보다 더 변했으리라..

나는 이 영화를 아마도 개봉관이었던 을지로 4가쯤이 있었던 국도극장에서 당시 같이 모이곤 했던 혼성그룹의 여대생들과 같이 보았을 것이다. 당시는 사실 외국, 특히 미국문화가 판을 치던 당시라서 국내의 영화는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대학생이 되면 사실 국산영화는 피하는 것이 ‘멋’이었다. 국내 영화를 본 기억이 거의 없었다. 하지만 이 영화만은 예외였다. 그만큼 선풍적인 인기를 몰고 온 ‘수준 작’이라고 평가를 했었던 것이다.

최고의 배우였던 신영균, 문희, 전계현, 박암.. 우선 cast가 화려했고, 비록 ‘신파조’의 진부한 story였지만, 사람들의 깊은 공감을 자아낸 영화였었던 것 같았다. 우리의 나이에서 그 영화를 보면, 그저.. 와 저 남자 참 복도 많구나.. 하는 정도였지만 남녀관계, 특히 결혼과 가정과의 역학관계를 어렴풋이 짐작하게도 되었다.

이 영화를 다시 보면서 느끼는 것 중에는 신영균, 생각보다 세련되었고, 연기도 무리가 없어 보이지만 상대적으로 문희의 연기는 기억보다 실망적이었다. 그 당시 영화기술의 수준으로 자기의 목소리를 넣을 수 없었으므로(동시 녹음) 성우가 대신 대사를 했는데.. 그것이 문희에게는 너무나 어울리지를 않았다. 당시에 나는 문희가 ‘최고의 미인’으로 기억에 남았는데, 지금 다시 보니 사실은 ‘별로’ 였는데.. 이것은 아마도 내가 보는 ‘미인’의 눈이 바뀌어서 그런 것 같다.

영화의 스토리도 스토리지만 나는 영화에서 보이는 그 당시의 배경 물들 (길거리, 버스, 택시, 집안 풍경)이 더 흥미로웠다. 내가 기억하는 것과 그다지 큰 차이가 없음을 보고 나의 기억은 퇴색되거나 왜곡되지는 않았다는 안도감도 있었다. 이 영화의 주제곡도 영화와 같이 크게 인기가 있었는데, 당시의 역시 최고로 잘 나가던 ‘이미자’, ‘남진’이 같이 불렀고, 나는 영화보다 주제곡이 더 좋았던 기억이다.

멜러드라마의 특징은 모조리 갖춘, ‘눈물을 찔찔 짜게’ 만들기는 했지만 역시 그 목적은 달성한 영화였고, 40년이 지난 지금 다시 봐도 느낌이 비슷하니 이것이야 말로 한국의 movie classic이 아닐까?

이 movie classic미워도 다시 한번‘은 이곳에 가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