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도 사나이’와 원서동 ‘사이다 공장’

paldo-guys-2
1969년 1월 21일자 동아일보

얼마 전에 정말로 우연히 1969년 (국산)영화 ‘팔도八道 사나이‘란 것을 YouTube에서 download해서 보았다. 그 당시 1960년대 말, 유행하던 영화, 가요 등에 ‘팔도’란 단어가 붙은 것이 많았다. 팔도란 대한민국 행정구역의 8도를 말하고, 그저 ‘우리나라 전역’을 뜻했을 것이다. 그것의 선두주자가 ‘팔도강산‘이란 영화, 그리고 같은 이름의 주제가였다. 한창 서구, 특히 미국의 유행음악, pop song, pop culture에  심취해 있던 대학생 시절  ‘촌스럽게만’ 느껴지던 그런 영화를 보았을 리가 없었지만 세간에서 많이 유행하던 것들이고 그 주제가를 당시 최고가수 최희준씨가 ‘덩실거리며’ 불러서 기억에는 또렷이 남았다. 다른 쪽으로는 유행어 ‘팔도의 원조’ 팔도강산은 사실 당시 박정희 정부의 경제개발, 해외수출정책, 외화, 국민소득증대정책 등과 묘하게 엮이기도 했다.

 그런 ‘팔도’란 말이 거의 유행어처럼 다른 영화에도 붙어서 1 나오고 했는데 이 ‘팔도 사나이’도 그 중에 하나였을 것이라 짐작이 갔다.  하지만 정작 이 영화를 보니.. 나의 빠른 예측은 완전히 빗나갔다. 팔도 사나이의 팔도는 팔도강산의 팔도와 배경과 의미가 100% 달랐기 때문이다. 당시 액션영화에서 잘나가던 장동휘씨와 새로 나온 신선한 모습의 윤정희, 그리고 조금은 중견배우의 무게가 실려있는 태현실이 등장하며,  ‘싸움질 하는 영화의 고정 급’들이 모조리 출연한 일제시대를 배경으로 한 ‘의협심,애국심 있는 깡패들 이야기’영화라고나 할까..

1969년 영화지만 영화 줄거리의 배경은 일제시대(허.. 요새는 점잖게 ‘일제 강점기’라고 하던가..), 고아출신의 싸움 잘하는 소년이 서울 중심가 거리에서 일본 야쿠자, 고등계 형사들과 맞서서 싸운다는 이야기.. 그러고 보니 어디서 많이 듣던 익숙한 이야기가 아닌가? 그렇다… 이것은 거의 분명히 항일투사 김좌진의 아들, 반공깡패 김두한의 이야기를 각색한 것이다.  활동무대 중에는 내가 국민학교 시절 많이 갔던, 극장 우미관도 나온다. 그러고 보니, 1980년대의 영화 <장군의 아들2> 도 김두한의 이야기였다. 그러니 아마도 이 <팔도 사나이>는 전설적 ‘정치, 반공깡패’ 김두한 영화의 원조가 될지도 모른다.

 영화자체는 1960년대 말, 대한민국 영화의 수준을 보여주는 정도라고 생각 되었다. 장동휘의 연기도 평균수준.. 조금은 김빠지는 인상도 받았고, 윤정희의 연기도 별로 크게 뛰어나지 않았다. TV 쪽으로 많이 얼굴이 보이던 오지명, 그는 원래부터 액션물에 맞아서 그런지 의협심 있는 깡패 역에 잘 어울렸다. 하지만 일본 깡패들로 등장한 황해, 허장강.. 너무나 맡았던 역과 어울리지 않아 보였다. 그들의 익숙한 역과 맞지 않아서였을까? 오히려 100% 악역 전문인 ‘장혁’은 오히려 일본 헌병 역에 잘도 어울렸다.

하지만 이영화가 나를 정말로 놀라게 했던 이유는 내 추억의 황금기였던 서기 1969년의 영화라는 사실 보다 이 영화 첫 장면이 찍힌  location에 있었다. 처음 이 영화를 보는 순간, 거의 순간적으로 나는 이 첫 장면이 찍힌 곳을 알게 되었다. 마치 10여 년 전에 TV 드라마 <겨울연가>를 보았을 때, 나의 모교 중앙고교의 웅장한 campus를 순간적으로 알아 보았던 것처럼 이것도 마찬가지다. 그 장면이 찍힌 곳은 나의 어린 시절의 꿈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원서동 이었다. 내가 8살 때부터 10살 때까지 살았던 곳이 이 장면에 그대로 있었다. 하지만 나의 가슴을 울렸던 것은 그 오래된 추억만이 아니었다. 그곳 그곳에 나의 집이 없었던 사실이 나를 울리게 한 것이다.

 그 한길에서 장동휘가 싸우던 그 ‘넓은’ 길 그 자리에 바로 우리 집이 있었다. 바른쪽 비원 담 옆에 도열한 집들을 따라 원서동 개천이 흐르고 그 개천과 왼쪽에 있는 집들 사이에 우리 집이 있었다. 이 우리 집은 내가 국민학교(재동) 2학년 이후부터 4학년 1학기까지 살았던 우리가족 3식구가 살았던 유일한 단독 주택이었다. 나의 추측에 아주 헐값으로 그 단독주택을 사셨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그 집에는 사연이 있었는데, 그 집은 흔한 말로 ‘도시계획’3에 의해서 나중에 ‘철거’가 되어야 하는 운명에 있었던 것이다. 어머님이 어떤 재주로 그 집을 사셨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셋집이 아닌 우리 집이라는 사실 하나로 오래오래 기억에 남는다. 그 이후로는 세운상가 아파트를 사기 전까지 우리는 전세로 남의 집에 살았다. 이 집에서의 추억은 참으로 거의 사진처럼 선명하다. 개천 옆이라 밖에 나가면 모두 여름 겨울 모두 우리의 놀이터가 기다리고 있었고, 이곳에서 원서동의 죽마고우들이 나에게 많이 생기기도 했다. 승철이네 집, 명성이, 동만이, 창희, 용현이.. 꿈에도 잊지 못할 죽마고우들을 다 이곳에 살 때 만난 것이다.

바른 쪽 전주(그 당시에는 전보산대라고 불렀다) 에 거의 붙어 있는 집이 나의 잊지 못할 죽마고우 박창희, 손용현이 살던 집이었다(창희야, 용현아, 너희가 살던 집이 영화에 나왔다!). 그러니까..그들의 집은 1969년 당시까지 ‘건재’했던 것이다. 또 그 옆쪽으로 초가집도 보인다. 내가 살 당시만 해도 원서동에는 초가집이 참 많았고 1969년까지 그렇게 남아있었던 것이다. 사실 나는 이렇게 ‘복개공사’가 된 원서동을 1967년 경에 마지막으로 보았고 그 뒤에는 꿈에서나 보게 된다. 나의 집이 없어졌다는 사실은 그러니까 나는 이미 알고 있지만, 꿈 속에는 그대로 남아있다. 왼쪽에 무슨 ‘공장’처럼 생긴 건축물이 바로 우리가 어렸을 때 ‘사이다 공장’으로 불리던 곳인데.. 정말 1969년까지 하나도 변하지 않았던 것이다. 내가 어렸을 때 바로 집 옆에 있던 그곳 공터에서 많이 놀았다. 특히 그곳에 있던 ‘열린 계단’은 내가 ‘낙하산 실험’을 하며 놀던 곳이다. 높은 곳에 오를 길이 없어서 낙하산을 만들어 던질 곳이 없었던 차에 그 열린 계단은 안성맞춤이었다. 그때가 아마 1955~1956년경 이었을까.. 참 오래 전의 모습들이다. 지금 이곳도 ‘상전벽해’가 되었을까? 하지만 걱정은 없다. 나의 머리 속에 아직도 선명하게 남아있기 때문이다. 지금도 의문이 남는다. 그 당시 우리들은 ‘공장’을 사이다 공장이라고 불렀는데.. 과연 그곳은 사이다를 제조하던 곳이었을까? 원서동의 역사를 잘 아시는 분들, 향토역사가들 고수들은 아마도 아실지도 모를 일이다.

 

행인들이 지나가는 길 바로 옆의 집이 '창희와 용현이'가 살던 집이었다.

행인들이 지나가는 사진 정 가운데의 집이 ‘창희와 용현이’가 살던 집이었다.

이 모습은 우리집 자리에서 보이는 사이다 공장의 입구의 모습이기도 했다.

이 모습은 우리집 자리에서 보이는 사이다 공장의 입구의 모습이기도 했다.

바른쪽 장동휘씨가 서있는 그 자리에 바로 우리집이 있었고 그 옆으로 원서동 개천이 있었다.

바른쪽 장동휘씨가 서있는 그 자리에 바로 우리집이 있었고 그 옆으로 원서동 개천이 있었다.

사이다 공장 뒤로 '낙하산' 돌계단이 선명히 보인다

사이다 공장 안쪽 사람들이 모인 고 왼쪽 옆으로 ‘낙하산’ 돌계단이 선명히 보인다

원서동 사이다 공장.. 나의 기억 속의 모습도 이 모습이었다.

원서동 사이다 공장.. 나의 기억 속의 모습도 이 모습이었다.


 

1969년 영화 <팔도 사나이>

  1. 예를 들면 ‘팔도 며느리
  2. 이 <장군의 아들>을 만든 개XX는 완전히 X-rated 를 능가하는 섹스 scene을 겁도 없이 보여주었다. 이 미친 ‘제작, 감독’ XX들은 자기 가족, 아이들과 같이 그 영화를 볼 생각을 했을까?
  3. 간단히 말하면 원서동 개천을 복개공사를 하며 개천 ‘위’에 걸쳐진 모든 집을 철거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