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ther’s Day Reflection

Mother’s Day 2018

 

¶  Mother’s Day 2018:  미국에서 유래된 오랜 전통의 Mother’s Day, 생명이 약동하는 포근한 5월의 둘째 일요일. 그 옛날에는 나의 조국 대한민국에도 ‘어머니 날’이 분명히 있었다. 그것이 어린이날에서 사흘이 지난 5월 8일이었다. 고국을 떠날 때까지 분명히 있었고 어머니 날의 선물을 나의 어머니께 드렸던 마지막 기억도 있다. 그것이 그 후에 없어졌고 ‘아버지가 꼽사리1 낀, 어버이 날’이라는 거북한 날로 만들어 버렸다. 아직도 나는 이것은 honest mistake라고 믿고 있다.

그렇게 바꾸어버린 ‘이유’는 분명히 있었을 것은 알지만 아직도 나는 ‘어머니와 아버지는 분명히 다른 존재인데…’ 라는 아쉬움을 버릴 수가 없다. 그런 이유로 나는 미국의 전통적 Mother’s Day와 더불어 따로 6월의 3째 일요일에 Father’s Day를 만든 것 ‘이곳 사람들’의 생각을 좋아한다. Motherhood와 Fatherhood를 구별하는 것은 타당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생각의 연장선에 나는 ‘고유한 의미의 가정’을 ‘지나치게’ 걱정한다. 말도 그럴듯한 LGBT 인간2들이 혹시라도 Mother와 Father라는 말도 없애자고 $$$을 억수로 써서 유명한 lawyer라도 매수하는 것은 아닐까… 와~ 2018년에 생각하는 Mother의 의미는 정말 해괴하게 복잡하기만 하다.

어머니 날은 미국 West Virginia에서 출발했다. 남북전쟁에서 봉사자로 일을 했던 자신의 어머니를 기리기 위해서 Anna Jarvis가 제안하고 기념을 하기 시작했고 1914년에 미국의 ‘공식 기념일’로 Wilson대통령이 선포를 하고 매년 5월 둘째 일요일을 Mother’s Day로 제정한 것이다.  Anna Jarvis가 밝힌 이유는 간단하게 ‘a mother is the person who has done more for you than anyone in the world‘ 였다. 단순하지만 설득력이 있는 이유였다.

그녀가 밝힌 이름은 Mother’s Day였고 결코 Mothers’ Day가 아닌데 이유는 ‘자기 자신의 어머니’를 기리는 것이 목적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오늘 같은 날, 나를 낳아준 어머니를 기리는 것이 타당한 것이다. 예를 들면 우리 아이들의 엄마를 생각하기 전에 나의 어머니가 우선적이라는 것.. 조금 까칠한 논리로 들릴지는 모르지만 ‘나를 낳아준 어머니’, 그녀 존재의 이유를 먼저 생각하는 것은 100% 옳다고 본다.

오늘은 공교롭게도 5월 13일, Mother’s Day 일요일인데다 우리의 천상의 어머니 Virgin Mother (성모 마리아)가 1917년 포르투갈 파티마 (Fatima, Portugal) 에서 3명의 ‘아이들’에게 발현한 날이기도 해서 더욱 Universal Motherhood의 의미가 돋보인다. 오늘은 거의 의도적으로 동네성당 Holy Family Catholic Church엘 갔는데, 결과적으로 성모님에게는 조금 송구스럽게 되었다. 레지오 꾸리아 월례회의가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에서 있는 날이라 원래는 그곳엘 갔어야 했기 때문이다. 이런 유례없는 파격적인 결정에 우리가 무리 없이 공감한 이유는, 그 월례회의에서 ‘성모님의 사랑이 썰물처럼 빠져나간 것‘ 을 미리 느낄 수 있었고, 오늘 Mother’s Day의 기분을 깨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한마디로 우리들의 평화가 하수구로 빠져나갈 것 같은 그 자리를 피하고 싶었다. 하지만 의무는 의무, 불참은 불참, ‘총사령관’ 성모님께 죄송한 마음은 금할 수 없다.

오늘은 작년과 같이 ‘아이들’이 와서 엄마를 데리고 나가 외식을 하고 들어왔다. 오늘 그들이 갔던 식당의 분위기는 안 보아도 그림이 그려진다. 모두들 일년 간 ‘불효’ 했던 것을 만회라도 하듯 경쟁적으로 자식들이 엄마를 ‘끌고’ 나왔을 듯 하다. 그렇게 해서 잠시나마 나만의 안식일을 맞이했던 오늘, 잠깐이나마 나의 하늘에 계신 어머니를 생각할 수 있었다. 효자건 불효자건 상관없이 돌아가신 어머님을 생각하면 후회 안 할 사람이 있을까?  하지만 지난 날에 비해서 조금 밝게 생각하는 것이 있다면… ‘언젠가, 아니 곧 다시 만날 수 있다는’ 희망이다. 아니 희망이 아니고 이것은 내가 굳게 믿는 사실이 되었다. 올해 어머니 날에 다시 확인하고 싶은 ‘진리’는 바로 이것이다.

 

  1. 그 당시의 유행어로 슬그머니 모임에 끼어드는 얌체 같은 느낌의 말
  2. 이들은 인간본성을 포기한 subhuman이라고 나는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