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대회 즐거움, 배 자매 4주기

Fort Yargo State Park picnic area

 

¶  지난 주일에는 전부터 예정되어 있었던 우리 60~70대 성당모임인 등대회의 야유회 picnic 엘 갔었다. 2017년 가을에 입회한 이후 몇 번 이런 행사엘 갔기에 이제는 조금 익숙한 편이지만 나로써는 감회가 새로운 것이, 이런 ‘사람들 모임’ 그것도 ‘놀러 가는’ 것에 나는 거의 가질 않고 오랫동안 살았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나도 많이 변했구나 하는 ‘흐뭇한’ 느낌이 들기도 했다. 이런 삶이 ‘정상적인 삶이 아닐까..

이번의 야유회가 조금 더 색다른 것은 우리 부부가 같이 참가했기 때문이었다. 이제까지는 각종 임무로 너무나 바쁜 스케쥴에 얽매인 연숙이 마음 놓고 참여하기가 힘들었었는데 최근에 하나 둘 씩 ‘책임’을 내려 놓기 시작해서 가능하게 된 것이다. 나도 지난 해에 맡았던 구역장 임무를 내려놓고 얼마나 홀가분한 기분이었는지 모른다.

이번에 간 곳은 나도 한번 간 적이 있었던 Fort Yargo State Park으로 작년에 구역장 연수회를 그곳에서 한 관계로 나는 한번 간 적이 있는 곳이었다. 그 당시는 cottage에서 하루를 묵었지만 이번에는 picnic area로 가서 몇 시간을 먹고 즐기다 돌아왔는데, 여행을 별로 즐기지 않는 우리들에게는 적당한 하루의 휴식, 여행을 한 셈이 되었다.

이 등대회의 특징 중에 하나는 우리와 나이가 아주 엇비슷한 사람들이 꽤 있고, 그 중에서도 나와 동갑인 형제, 자매들도 꽤 있다는 사실이다. 미국에 오랜 세월을 살면서 이렇게 ‘동류의식’을 느껴본 적은 아마도 없었을 듯 하다.  나이가 비슷한 것이 그렇게 중요한가.. 어떤 사람들은 상관을 안 하는 모양이지만 나는 정 반대다.  그들이 거의 친구처럼 느끼며 ‘좋아하는 것’을 연숙은 조금 이상하다고 보는 모양이지만 나는 사실 그렇다. 같은 시대를 살아왔다는 사실이 어찌 큰 의미가 없겠는가? 이 그룹은 한마디로 ‘자연스럽게 편한’ 느낌을 주기에 ‘큰 사고’가 없는 한 열심히 참여하고 싶다.

 

¶  오늘 우리는 레지오 주회합 후에 배해숙 (베로니카) 자매님 선종 4주기 (5월 2일)를 맞아 성당 근처에 있는 Winters Chapel  memorial park 엘  갔었다. 돌아 가신지 벌써 4년이 되었나.. 2014년 가을에 말기암 환자로 처음 만났고 2015년 5월 2일에 선종한 어떻게 보면 참 ‘불쌍한’, 나와 동갑내기 자매님이었다. 남편 형제님은 그 전해에 먼저 타계를 하고 ‘철없이 보이는’  장성한 두 아들을 댕 그러니 남겨놓고 간 자매님이었다.  다행히 친 오빠, 친 여동생이 있어서 장례식 이후 가끔 소식을 주고 받지만, 이제는 4년의 세월 탓인지 당시의 강렬했던 느낌들도 조금씩 빛을 잃어가는 듯 하다.

당시, 우리 둘은 ‘레지오 활동’을 염두에 두고 열심히 배 자매님을 천주교인으로 입교시키는 데 혼신의 힘을 쏟았고 성공을 한 셈이지만, 과연 자매님 우리가 배운 대로, 희망하는 대로 ‘좋은 곳’에 가셔서 평화로운 다른 삶을 ‘남편 형제님’과 같이 사시는 지는 확신이 없다. 하지만 믿는다. 그것이 신앙이고 희망이니까.. 자매님, 짧은 기간이었지만 보람 있는 시간을 허락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편히 쉬시고 남아있는 두 사랑하는 아들들 그곳에서 잘 보호해 주소서…

Never Lose Hope

Hope… 희망 希望..  인생의 황혼기, 후반기 중의 한 시점을 살아가면서 이 희망이란 말은 사실 크게 .  생각보다 더 많은 뜻을 함축한 이 희망이란 말, 요즈음 들어서 조금 더 깊고 다르게 생각 하게 되었다. 희망이란 말, 그렇게 단순한 말이 아님을 깨닫게 된 것은 이번에 ‘우연히’ 읽게 된 Pope Francis (교황 프란치스코) 의 short essay: Never Lose Hope 에서였다.

우리는 ‘희망이 필요하다!’. 허.. 누가 모르나. 희망이 적거나 없으니까 문제가 아닌가? “하느님, 예수님이 우리를 ‘무조건’ 사랑하시니까 우리는 희망이 있다”.. 는 말, 솔직히 그렇게 실감을 할 수가 없을 때가 너무나 많은 우리의 삶이 아닌가?  그런 먼 미래의 희망들이 절망이나 실망 속에 빠진 우리들에게 그렇게 큰 도움이 될까?

문제의 관건은 역시 ‘믿음’이다. 그것도 무조건 적인 믿음, 바로 그것이 아닐까? 영원한 생명, 절대로 다시는 죽지 않으리라는 엄청난 약속의 희망으로부터 우리는 자기가 처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다는 것, 그것이 희망이다.  절망의 순간들 속에 우리는 희망이 있는 영원한 미래를 향해 나아간다. 그것이 믿음의 진실인 것이다. 그런데 왜 이렇게 간단히 보이는 진리가 그렇게도 ‘다루기 handle’ 가 힘든 것일까?

 


 

NEVER LOSE HOPE

POPE FRANCIS

 

Hope never disappoints. Optimism disappoints, but hope does not! We have such need, in these times which appear dark. We need hope! We feel disoriented and even rather discouraged, because we are powerless, and it seems this darkness will never end.

We must not let hope abandon us, because God, with his love, walks with us. “I hope, because God is beside me”; we can all say this. Each one of us can say: “I hope, I have hope, because God walks with me.” He walks and he holds my hand. God does not leave us to ourselves. The Lord Jesus has conquered evil and has opened the path of life for us…

Let us listen to the words of Sacred Scripture, beginning with the prophet Isaiah… the great messenger of hope.

In the second part of his book, Isaiah addresses the people with his message of comfort: “Comfort, comfort my people, says your God. Speak tenderly to Jerusalem, and cry to her that her warfare is ended, that her iniquity is pardoned… A voice cries: ‘In the wilderness prepare the way of the Lord, make straight in the desert a highway for our God. Every valley shall be lifted up, and every mountain and hill be made low;  the uneven ground shall become level, and the rough places a plain. And the glory of the Lord shall be revealed, and all flesh shall see it together, for the mouth of the Lord has spoken'” (Isaiah 40:1-2, 3-5)…

The Exile was a fraught moment in the history of Israel, when the people had lost everything. The people had lost their homeland, freedom, dignity, and even trust in God. They felt abandoned and hopeless. Instead, however, there is the prophet’s appeal which reopens the heart to faith. The desert is a place in which it is difficult to live, but precisely there, one can now walk in order to return not only to the homeland, but return to God, and return to hoping and smiling. When we are in darkness, in difficulty, we do not smile, and it is precisely hope which teaches us to smile in order to find the path that leads to God. One of the first things that happens to people who distance themselves from God is that they are people who do not smile. Perhaps they can break into a loud laugh, on after another, a joke, a chuckle… but their smile is missing! Only hope brings a smile; it is the hopeful smile in the expectation of finding God.

Life is often a desert, it is difficult to walk in life, but if we trust in God, it can become beautiful and wide as a highway. Just never lose hope, just continue to believe, always, in spite of everything…. Each one knows what desert he or she is walking in – it will become a garden in bloom. Hope doe snot disappoint!

The prophet Isaiah once again helps us to open ourselves to the hope of welcoming the Good News of the coming of salvation.

———————

Isaiah chapter 52 begins with the invitation addressed to Jerusalem to awake, shake off the dust and chains, and put on the most beautiful clothes, because the Lord has come to free his people (verses 1-3). And he adds: “[M]y people shall know my name; therefore in that day they shall know that it is I who speak; here am I” (verse 6). It is to this “here am I” said by the Lord, which sums up his firm will for salvation and closeness to us, that Jerusalem responds with a song of joy, according to the prophet’s invitation…

These are the words of faith in a Lord whose power bends down to humanity, stoops down, to offer mercy and to free man and woman from all that disfigures in them the beautiful image of God, for when we are in sin, God’s image is disfigured. The fulfillment of so much love will be the very Kingdom instituted by Jesus, that Kingdom of forgiveness and peace which we celebrate at Christmas, and which is definitively achieved at Easter…

These are, brothers and sisters, the reasons for our hope. When everything seems finished, when, faced with many negative realities, and faith becomes demanding, and there comes the temptation which says that nothing makes sense anymore, behold instead the beautiful news… God is coming to fulfill something new, to establish a kingdom of peace… Evil will not triumph forever; there is an end to suffering. Despair is defeated because God is among us.

And we too are urged to awake a little, like Jerusalem, according to the invitation of the prophet; we are called to become men and women of hope, cooperating in the coming of this Kingdom made of light and destined for all, men and women of hope…. God destroys such walls with forgiveness! And for this reason we must pray, that each day God may give us hope and give it to everyone; that hope which arises when we see God in the crib in Bethlehem. The message of the Good News entrusted to us is urgent….

———————

It was also Isaiah who foretold the birth of the Messiah in several passages: “Behold, a young woman shall conceive and bear a son, and shall call his name Immanuel” (Isaiah 7:14); and also: “there shall come forth a shoot from the stump of Jesse, and a branch shall grow out of his roots” (Isaiah 11:1). In these passages, and meaning of Christmas shines through: God fulfills the promise by becoming man; not abandoning his people, he draws near to the point of stripping himself of his divinity. In this way God shows his fidelity and inaugurates a new Kingdom which gives a new hope to mankind. And what is this hope? Eternal life.

When we speak of hope, often it refers to what is not in man’s power to realize, which is invisible. In fact, what we hope for goes beyond our strength and our perception. But the Birth of Christ, inaugurating redemption, speaks to us of a different hope, a dependable, visible, and understandable hope, because it is founded in God. He comes into the world and gives us the strength to walk with him: God walks with us in Jesus, and walking with him toward the fullness of life gives us the strength to dwell in the present in a new way, albeit arduous. Thus for a Christian, to hope means the certainty of being on a journey with Christ toward the Father who awaits us. Hope is never still; hope is always journeying, and it makes us journey. This hope, which the Child of Bethlehem gives us, offers a destination, a sure, ongoing goal, salvation of mankind, blessedness to those who trust in a merciful God. Saint Paul summarizes all this with the expression: “in this hope we were saved” (Romans 8:24). In other words, walking in this world, with hope, we are saved. Here we can ask ourselves the question, each one of us: Am I walking with hope, or is my interior life static, closed? Is my heart a locked drawer or a drawer o open to the hope which enables me to walk – not alone – with Jesus?….

Those who trust in their own certainties, especially material, do not await God’s salvation. Let us keep this in mind: our own assurance will not save us; the only certainty that will saves us is that of hope in God. It will save us because it is strong and enables us to journey in life with joy with the will to do good, with the will to attain eternal happiness.

Christian hope is expressed in praise and gratitude to God, who has initiated his Kingdom of love, justice, and peace… It will truly be a celebration if we welcome Jesus, the seed of hope that God sets down in the furrows of our individual and community history. Every “yes” to Jesus who comes, is a bud of hope. Let us trust in this bud of hope, in this “yes”: “Yes, Jesus, you can save me, you can save me.”

 

성모님의 손길이여..

2019년 4월 21일… 결국은 이날을 맞는다. 4.19 이틀 뒤가 바로 올해의 부활절이 되는 날.. 어제부터 겨울로 돌변한 날씨가 아직도 요란한 heating noise로 가득하고 완전 군장 겨울옷을 입고 앉아 있는 나의 모습.. 별로 마음에 들지 않고 심지어는 ‘슬프기’까지 한 것은 왜…

이렇게도 사람의 마음은 간사한 것인가? 왜 내가 이런 좋은 날에 쳐진 기분으로 고생을 한단 말이냐? 요사이 조금씩 자주 겪고 있는 이런 ‘큰 이유가 없는’ 때에 겪는 우울감, 불편한 느낌들… 오늘 아침에 일어나며.. 새삼 느낀다. 이것은 분명히 나, 우리를 시기질투하는 ‘악마’의 농간일 것이라는 우스꽝스러운 생각이었다. 사실이기를 바라지만 물론 확실한 것이 있는가?

왜 가장 기뻐야 할 부활절이 빨리 지나가기만 학수고대한단 말이냐? 혹시 나의 과거에 겪었던 그런 부정적인 생각과 생활태도가 다시 고개를 드는 것은 아닐까.. 이것이 제일 나를 두렵고 무섭게 하는 ‘사태’일 것이다. 하지만 설마.. 나는 거의 10년 전에 새로운 사람으로 거듭하고 있지 않은가? 결국은 나는 다시 성모님의 무릎을 느끼고 싶은 것이다. 성모님… 저의 마음을 위로하시고 나를 두렵고 불편하게 하는 모든 생각들과, 그의 원인들을 치료해 주세요… 저는 그것을 현재 현명하게 대처를 못하며 휘둘리고 있는 느낌입니다… 예수님의 부활을 진정한 기쁨으로 느끼게 도와주십시오… 우리 어머니, 성모님!

세월의 짐을..

The day after..라고.. 나 할까? 불과 1초도 걸리지 않았던 ‘지구 중력의 피해‘ 는 아직도 나를 멍~ 하게 만들고 있다. 이것은 100% 사고다. 하지만 피할 수 있었던 사고라는 것이 나를 괴롭게 한다. 왜 이렇게 서론이 기냐.. 병신아.. 조금은 주의를 하며 살라고!

아차~ 하며 순식간에 돌 같은 차고 garage computer server closet의 바닥에 모서리를 부딪친 것은 바로 2Tera-2 라는 우리 집 file server의 hard-disk였다. 그런 것이 2개가 있는데 모두 떨어뜨린 것이다. 아차! 잘못하면 내가 ‘마구 집어넣은’ 모든 ‘쓰레기’들이? 불행 중 다행인가? 2개 중에 하나가 깨끗하게 ‘비명을 지르며’ 갔다. 그곳에 있는 것… 다행히도 personal 한 것은 거의 없었다. 하지만 folder ‘software’에는 각종 ‘공짜’ software들이 많았고… folder ‘video-2’에는 ’10년도 넘은’ 한국 드라마 (대장금, 겨울연가 같은) … 아차… 어찌하나… 몇 년 전 비슷한 ‘사고 (내가 사고로 지운 것)’ 수 많은 일본 video들이 사라진 것을 기억한다…

어제의 이런 사고를 겪으며 필요이상으로 생각에, 나이와 연관되어 깊은 생각에 잠긴다. 생각해 보고 넘어가는 기회로 만들고 싶은 것이다.  세월의 짐, 그것이 이제는 너무나 커진 것은 아닐까? 이제는 서서히 하나 둘 씩 잊으며 놓아주어야 하는 것은 아닐까? 하지만 현재는 아직도 나에게 필요하기에 너무 서두를 필요까지는 없을 듯 하다. 하지만 제발 이제 그 지겨운 backup data들의 속박에서 벗어나고 싶은 것이다.

4월에는 – 안톤 슈낙

 

Anton Schnack 안톤 슈낙 (슈나크)1 , 독일의 서정시인, 짧은 산문의 대가. 이름은 희미해졌어도 그의 글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들’은 반세기기 훨씬 지난 지금도 비교적 분명하게 기억한다.  국어 ‘국정’교과서의 위력인가, 감수성이 최고조에 달했던 시기였던 고등학교 2학년생의 특권, 혜택이었나.

비록 ‘입시 준비의 각도’로 국어교과서를 대했지만 그래도 그 ‘슬프게..’ 하는 짧은 글은 남녀, 인문,자연, 이공계를 불문하고 모두의 가슴 깊은 속을 자극했었다.  아마도 ‘첫 허무감’을 맛보게 하는 계기를 주었는지도 모른다. 그 글이 어떻게 국어교과서에 실렸는지, 누구의 글이었는지는 모르지만 ‘아마도’ 독일을 신처럼 숭배하던 일본아해들이 ‘원조’가 아니었을까? 혹시 일본교과서를 그대로 ‘베낀 것’은 아니었을까?

 

 최근에 이 독일 ‘슬픈 서정 시인’의 글을 책으로 다시 보게 되었는데 이번에는 슬픈 것이 아닌 기쁜, 행복한 것들에 대한 감성적 산문집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것들’ 에서다.  50여 년 전의 기억을 배경으로 이 저자를 찾아보고, 역시… 우리가 너무나 ‘신화적’으로 이 글을 배웠구나 하는 자괴감이 든다. 이 ‘감성적 시인’도 역시 시대를 피할 수 없는 한 인간이었고, 나아가서 꿈에서 벗어나게 할 만한 ‘과거’를 가지고 있었다. 한 마디로… 전범은 아니더라도, ‘부역자’ 급이라고 할까?  암만 잘 봐준다고 해도.. 역시 ‘양심상 허점이 가득했던’ 인물일 수 도 있지 않을까? 어떻게 히틀러에게 ‘가장 높은 충성의 맹세, Vow of Most Faithful Allegiance‘ 에 서명을 했던 것일까? 1, 2차 대전에 골고루 참전을 했던 것도 마찬가지다.  그 당시 비정치적, 평범한 독일남자인 것으로 봐줄 수도 있지만 ‘서정적’인 그의 모습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 과거가 아닐까? 그래서 그의 명망이 후년에 서서히 빛을 잃어갔던 것을 나는 그렇게 애석하게 생각지 않는다. 아직도 우리의 기억에는 ‘미친 독일인’들의 생생했던 죄악상을 생생하게 남아 있기 때문이다.

 

이런 배경에서도 나는 4월에 관한 모든 것, 놓칠 수가 없다. 4월의 느낌은 너무나 좋은 것이고 안톤 슈낙도 멋있게 그가 경험했던, 상상했던 4월을 예찬했고 글로 남겼다. 싸늘한 4월의 가랑비와 싸늘하고 찬란한 햇볕의 어루만짐..  하루 모르게 새로 얼굴을 내미는 각종 꽃들의 율동… 그러한 4월이 ‘부활의 기쁨’과 함께 나를 기다리고 있다.

 

 

ANTON SCHNACK

ANWEISUNGEN ZUM GLUCKLICHSEIN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것들

 

 

4월에는 …

수선화에 수줍은 채 인사를 해보라….

 

 

튤립에 기침용 시럽을 똑똑 떨어뜨려 보라

 

온상에 채소잎이 이미 돋아 나왔으면 조심스럽게 잡초를 제거해 주어라.

참빗을 써 보는 것도 괜찮다. 참빗은 진딧물이 잎사귀에 무더기로 나타날 때에 써도 되는제, 그렇다고 잎이 빗질에 떨어져 나가지는 않는다.

양파 냄새를 줄이려면 어린 양파의 새순이 약간 솟아 올라올 때, 세발용 향수를 거기에 부어 보라.

 

앵초꽃, 제비꽃, 튤립 같은 꽃들이 감기에 걸리지 않고 콧물을 흘리지 않게 하려면 나일론 속옷을 준비해 두는 게 좋다. 만일을 생각해서 기침 시럽을 꽃받침 안에 똑똑 떨어뜨려 보라.

그러면 정말 개미떼가 몰려오기 전에 미리 보호 조치를 취하게 되는 거다. 만일 개미들이 관청의 허가도 없이 밤을 틈타 길을 만들고, 담을 세우고, 터널의 구멍을 뚫어버렸다는 걸 알게 되어 화가 나고 기분이 나빠지더라도 어쩔 수 없는 일이지 않는가.

이 모든 것이 사전에 비용 측정도 하지 않고, 지방의회의 토의와 위원회의 협의도 거치지 않고, 트랙터와 굴착기도 사용하지 않고, 관련 담당자에게 뇌물도 바치지 않고 이루어졌으니 말이다.

 

개미들은 모든 소지품을 휴대하고 이동을 한다. 그것도 유독 남의 나라 땅이나 남의 지역으로만 이동을 한다.

개미가 가는 곳의 평화를 깨뜨리고 물건을 손상시켜 규정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음 지역 경찰청에 고발을 해야 한다. 고발을 할 경우 관계 공무원이 이맛살을 찌푸리더라도 개의치 않으면 그만이다.

집에서 취미 삼아 열심히 정원을 가꾸는 공무원을 한 사람 고를 필요가 있다. 그러면 그도 당신과 마찬가지로 개미를 싫어한다면서 길게 이야기를 늘어놓을 테니까 말이다.

 

개미들은 머리 부분이 아스파라거스처럼 툭 튀어나와 있고, 이제 막 쏘아 올리려는 로켓 모양이므로 급할 때에는 재빨리 덤불이나 헛간 속으로 숨어서 자신을 엄호한다.

개미는 자신의 신변이 계속 위태로울 경우에는 참호나 땅굴을 파고 그 곳에 몸을 구부리고 꼼짝도 하지 않는다. 하지만 신변의 위험이 그리 크지 않으면 세게 3차 대전이 일어날 때까지 마냥 그 속에 틀어박혀 있지는 않는다.

 

땅속에서 갖가지 씨앗들이 자라면서 내는 소리를 들어 보아라. 밤은 둔탁하고 묵직한 소리를 내고, 오이씨는 트림하듯이 소리를 내고, 콩꼬투리는 천천히 묵직하게, 완두콩은 돌돌돌 물이 흘러가듯이 꾸르륵 소리를 내는 것 같다.

해바라기씨는 그리움을 담은 하프음과 같다. 사과씨는 즐겁게 ‘아하’ 하는 듯하고, 개암나무 열매의 요들송 소리, 호두나무의 빠르게 연타되는 북소리, 호박씨는 불꽃놀이 할 때의 폭죽 터지는 소리를 낸다.

 

여러 가지 다양한 생명의 소리를 들어보려면 귀를 지표면에 아주 가까이 갖다 대어 보라.

애벌레의 소근거림, 딱정벌레 유충의 속삭임, 두더지의 고통스런 사랑의 하소연, 들쥐들이 먹이를 먹으면서 내는 발라드, 땅벌들의 사프란 꿀과 히아신스 포도주를 만들려고 윙윙거리며 즐거워하는 소리, 초록빛 나무들이 있는 낙원과 기가 막히게 맛있는 나뭇잎의 즙을 생각하며, 한편으로는 청정한 공기와 따뜻한 일광욕을 생각하는 딱정벌레 유충들의 그리움에 가득 찬 소리……

 

 

무욕을 배워라

 

한 쌍의 박새가 둥지를 짖는 걸 보라. 그저 초록으로 칠해진 채 위쪽을 향해 서있는 철로 된 관이나, 빨래 너는 표백장의 기둥 같은 곳에 보금자리를 지으려고 하는, 저 무엇에도 얽매이지 않는 점이 부럽다.

집세도 내지 않고, 주택국의 허가를 받을 필요도 없고, 빨래 너는 표백장의 주인과 상의를 하지 않아도 되지 않는가. 새들의 무욕을 삶의 본보기로 삼으면 어떨까. 그 소박한 방의 배치나, 아주 초라하다 할 수 있는 신방을….

몇 개의 바싹 마른 이파리들과 마른 풀 줄기와 깨끗이 털어낸 카펫에서 나온 솜털 부스러기나 농가의 우리에 있는 양들의 털 부스러기, 그리고 자기 자신의 가슴에서 뽑은 깃털 몇 개나 지붕 위에서 그르르 거리는 비둘기의 가슴에서 뽑은 깃털 몇 개나 지붕 위에서 그르르 거리는 비둘기의 가슴에서 뽑은 깃털로 만든 방이 아닌가…. 게다가 새들의 넘쳐나는 행복과 기쁨을 함께 넣어서 말이다.

 

수줍게 무릎을 꿇으며 공손한 자세로 수선화에게 인사를 해 보라.

그리스의 신화에 따르면 수선화는 어느 소년의 때이른 죽음에 대한 상징이기 때문이다. 마치 그 꽃의 뒤에서는 병적으로 자기애에 빠져 있는 소년의 반짝이는 눈망울을 보는 듯하다.

하지만 요정 에코는 그 소년에 대한 사랑에 응답이 없자 병이 들어버렸고 그로 인해 오직 그 목소리, 에코(산울림)만 남아 있게 되었다.

히아신스 꽃은 히아킨투스 혹은 히아신스라고 하는 용모가 잘 생긴 신의 아들이었는데 아폴로 신과 바람의 신 보레아, 두 신으로부터 동시에 사랑을 받게 되어서 모습이 바뀌어진 향기가 짙은 꽃이다. 이 꽃에도 한 번 조심스럽게 가까이 다가가 보아라.

 

그리고 히아신스 주변에서 일어난 비극적 사건을 생각해 보면 어떨까. 차가운 북풍의 화신인 보레아 신의 질투로 인해, 아폴로 신이 던진 투척용 원반이 바람에 날려가 이걸 바라보고 있던 소년 히아신스의 머리 위로 떨어진다.

아폴로의 총애를 받던 소년 히아신스는 치명적으로 상처를 입고 땅바닥에 쓰러진다. 그러자 아폴로가 그 수려한 용모를 지닌 소년의 피로 한 송이 꽃을 만들었는데 그게 바로 히아신스다. 오늘날 우리는 그 히아신스 꽃을 세상에 보내준 아폴로에게 감사를 드리고 있다.

 

 

비를 성장 촉진제로 이용해 보라

 

하늘에 떠 있는 황소별자라 자매들인 히아든을 면밀히 관찰해 보라.

히아든은 붉게 빛나는 알파성인 알데바란 주위에 있는 황소의 뿔과 머리 위에 자리를 잡고 있는데, 사냥 중에 죽은 동생 히아스에 대한 슬픔과 괴로움을 잊게 하려고 제우스신이 그쪽 별이 되게 했다는 신화가 전해진다.

황소궁에서 꽃피는 지구 위로 보슬보슬 내리는 미지근한 빗방울을 이 사랑스런 자매들이 흘리는 눈물이라 상상해보면 어떨까.

키가 작은 사람들은 이 미지근한 비가 내릴 때 우산을 쓰지 말고 머리에 아무것도 쓰지 말고 마음껏 돌아다녀보라고 권유하고 싶다.

따뜻한 빗방울에는 사람의 몸을 성장시키는 힘이 내재해 있다고 하니까.

 

 

백설공주를 산지기 딸로 생각해 보라

 

숲 속에서 야생 비둘기의 매혹적인 노랫소리에 귀를 기울여 보라.

마치 동화 속에 나오는 듯한 낯선 ‘르루쿠…. 쿠쿠르…. 르르쿠…. 쿠쿠르… ‘ 소리는 깊은 곳에서 솟아나오는 샘물소리처럼 들린다. 그러나 사실은 그 가장자리가 뾰족하고 끝이 금빛으로 어른어른 반짝이는 수비둘기와 빨간 부리에서 나오는 소리이다.

비둘기 소리에는 신비스런 마력이 들어 있다고 믿어 보라.

비둘기가 그런 소리를 낼 때 귀엽게 생긴 불쌍한 소녀가 햇빛 바른 숲길을 따라 총총 사라진다거나, 파스텔 조의 초록빛 금팔찌로 장식한 멜루지네 소녀가 사라진다든지, 때묻지 않은 아름다운 백설공주가 사라진다고 생각해 보라….

혹은 피부가 밤색인 18세 산지기 딸이 날쌔게 자전거를 타고 지나간다고 생각해 보면 어떨까.

 

 

바람을 타고 아프리카로 여행하라

 

극지방의 기압과 열대지방의 기압이 부딪치거나, 냉기와 열기가 충돌하거나, 그린랜드 저기압권과 아조랜 고기압권이 부딪치는 곳을 방안에서 정신을 바짝 차리고 관찰해 보라.

산을 넘어서 불어 내리는 건조한 열풍 때문에 머리가 아프고 자극을 받더라도 오히려 애착심이 깃든 큰 소리로 ‘브라보’라고 외쳐 보아라.

아예 열대 지방 기압이 머무는 곳으로 아주 기꺼이 즐기면서 여행을 한다고 상상을 해보면 어떨까. 그러면 바로 아프리카 깊숙한 곳으로 가게 된다.

카포 베르데 군도의 봉우리나 서부 아프리카 엘 추프 사막의 지옥처럼 작열하는 더위 한가운데로 들어가기도 하고 리비아 쿠프라의 야자수가 자라는 오아시스에 가보게도 된다.

또는 서북부 아프리카의 커다란 나일 강가에 있는 팀부크투에 까지 가보게 된다. 그곳에서라면 남쪽의 미풍을 타고 미모사숲에서 나오는 향기를 맡을 수 있을 것이고, 원숭이와 하이애나들이 외치는 소리를 들을 수 있을 것이다.

큰 불꽃이 타오르듯 쏴쏴 소리를 내는 사막의 모래 회오리 소리와 코끼리가 내는 트럼펫 소리도 더불어 듣게 된다.

 

편안한 욕조 속에 들어 있는 것처럼 누워서 따뜻한 바람을 맞으며 꿈을 꾸어 보라.

머리가 흑단처럼 까만 어린 새를 꿈꾸어 보면 어떨까. 그 새는 ‘마하바박 아쉬라’라고 지저귀는데, 그건 오아시스 샘 옆에서 꿈을 꾸는 사람에게 ‘어서 오세요’ 라고 열 번씩 환영의 인사를 한다고 말이다.

 

북유럽 전선이 짙게 깔릴 때라든지, 사월 소나기가 갑자기 쏟아질 때, 혹은 오월의 돌개바람이 몰아칠 때는 방안에 틀어박혀 뜨거운 그로크 주나 몸에 좋은 따끈한 적포도주를 마시고 있으면 좋을 거다.

한파가 내습한다고 어떻게 미리 보도할 수 있겠는가? 그린랜드는 여전히 아주 두꺼운 얼음 층으로 덮여 있으며, 빙하가 여전히 둔탁하게 쿵쾅거리며 부서져 내리고 있지 않은가.

북쪽의 끝과 북구의 항구 도시 함메르페스트에는 아직도 눈보라가 마치 사자의 포효 같은 소리를 내며 보트니아 만으로 밀어닥치고 있지 않은가.

습기 찬 한파가 몰려간 후, 편도선염이나 독감, 콧물감기에 걸린 사람들, 통풍, 류머티스, 좌골신경통에 걸려 뜨끔뜨끔한 통증을 느낀 사람들을 한 번 찾아보라.

하지만 이런 고통을 받고 있는 희생자들의 수를 꼭 헤아리려고 하지 말고 북쪽에서 불어오는 나쁜 바람이 끝내 골골거리며 사라질 때가지 인내하면서 기다리는 게 좋지 않을까.

 

 

한 그루 나무를 심어라

 

사람은 인생에서 한 그루의 나무를 심어야 한다는 말을 되새겨 보라.  이제 그 시기가 되었다고 자신을 설득하라. 그리고 어떤 나무를 심을 수 있을지 신중하게 숙고해 보자.

사과나무를 한 그루 심을까? 사람들이 이미 죽고 이 땅에 묻혀버렸다 하더라도 사과나무는 초봄마다 되풀이해서 빨갛고 하얗게 화사한 빛깔로 꽃을 피울 수 있을까? 또는 사과나무를 뿌리째 뽑아 대양을 건너 멀리에까지 옮기더라도 계속 자살 수 있을까?

아니면 보리수나무를 한 그루 심을까? 여름밤에 보리수나무에서는 얼마나 매혹적인 향기가 날까. 연인들의 나지막한 속삭임은 그전보다 얼마나 달콤할까!

참나무 한 그루를 심을까? 참나무는 청딱따구리의 휴식처가 될 거라고 생각해 보자.

호두나무를 심으면 어떨까? 그러나 나중에 소년들이 돌팔매질을 해서 나무를 아프게 해서는 안될 텐데!

너도밤나무새나 피리새가 둥지를 짓도록 나무를 심어볼까? 혹은 아치형 나무 그늘 아래서 눈을 반쯤 감고는 아무런 욕심도 없이 그저 행복에 젖은 채, 작열하는 태양이 내리쬐는 땅을 눈을 깜박이며 바라보는 한 남자를 위해 나무를 심을까?

그렇지 않으면 수년 전 제때에 맞추어, 어린 나뭇가지를 땅에 심었던,얼굴도 잘 모르는 사람을 칭찬해 마지않는 의미에서 한 그루 나무를 심을까?

 

  1. 안톤 슈나크(Anton Schnack, 1892년 7월 21일 ~ 1973년 9월 26일)는 독일의 시인으로 프레드리히 슈나크의 동생이다. 시대의 조류에 초연하여 고아한 정적의 경지를 지켰다. 1919년 〈욕망의 노래〉로 문단에 데뷔했고, 오랫동안 침묵을 지키다가 1936년 〈조우자로부터의 소식〉에서 새로운 낭만풍의 시경을 개척하였다. 그 밖에 소설로는 장편 《사랑의 후조》가 있다. – 한글 위키피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