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었던 느낌, 가을이 다시..

 

¶  어제 저녁에 backyard에 잠깐 나갔을 때, 아주 오랜만에, 피부에 와 닿는 다른 느낌의 공기를 보았다. 무언가 다른 것, 아하… 바로 ‘가을’이 ‘아주’ 멀지는 않았구나 하는 안도감이었다. 특별히 대지가 타는 듯이 ‘마르게’ 더웠던 올해의 여름은 인상적이었지만 추분을 며칠 앞둔 때라서 잊혀진 가을의 모습이 그리운 것이다.

달력상의 가을은 추분에서 시작되고 며칠 남지 않았다. 그때로 낮은 하루하루 짧아지기 시작하며 나와 같은 나이의 인간, 피조물들은 어쩔 수 없이 ‘인생의 깊은 가을’로 빠져들어갈 것이다. 모든 것들이 땅으로 떨어지는 계절, 올해는 어떠한 새로운  깨달음을 얻게 될 것인가 미리부터 궁금하다.

 

¶  진실되고 심각한 의미의 신앙이란 무엇인가? ‘하느님’이라고 불리는 ‘절대’ 를 믿는다 함은 어떤 것인가? 그것을 어떻게 쉽고 식별할 수 있는 것인가? 어떻게 일초, 하루, 매년 살아가는 것이 ‘믿으며 사는 것’인가? 어렵게 보이지만, 의외로 쉬운 답을 찾으면,  ‘나의 인생은 나에 대한 것이 아니다’ 라는 간단한 것으로 생각의 전환을 하는 것이다. Word On FireBishop  Robert Barron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One of the most fundamental statements of faith is this: your life is not about you. Youre not in control. This is not your project. Rather, you are part of Gods great design. To believe this in your bones and act accordingly is to have faith. When we operate out of this transformed vision, amazing things can happen, for we have surrendered to “a power already at work in us that can do infinitely more than we can ask or imagine.” Even a tiny bit of faith makes an extraordinary difference.

– Bishop Robert Barron (a daily gospel reflection)

 

하루하루, 매달, 매년이 그저 지루하게 느껴지고 사는 것 같지 않을 때 이렇게 조금 깊이 생각하게 하는 말을 들으면 사막에서 오아시스를 만난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오늘이 바로 그런 날이 되는가…

올 9월의 느낌은..

나의 기억 속, 머리 속의, 아니 바라던 가을의 느낌은 무엇이었지? 지나가는 2주 정도의 뜨거운, 작열하는 태양과 함께 나는 기억이나 기억하고 싶은 것, 아니 바라는 것 등이 쉽게 구별이 안 간다. 기억의 종류가 ‘생각’과 합쳐질 때 이런 현상이 나는 것인가? 그렇다면 ‘물질적, 기계적’인 기억은 사실 ‘정신적, 영적인 바람’과 섞이며 나타나는 것일까? 하여튼 ‘은근히 화가 나던’ 그런 시간을 견디어 냈다. 집착, 고집, 심지어 공포감.. 누가 공황장애라는 말을 했는데 이것도 그런 것인가? 내가 왜 이렇게 된 것일까?

작년 이때를 계속 달력을 뒤지며 생각한다. 그렇다. 그 당시에는 그것도 ‘지옥’ 처럼 느껴지던 것들이었다. 이제는 그것도 기억으로는 그렇게 나쁜 것들이 아니었는데… 지금 내가 지나가고 있는 시간들도 불과 몇 달 후면 그렇게 느껴지는 것들일 것이다. 그러니 그러니… 견디자.

지금은 2마리의 ‘충실한 개’가 우리와 함께 있다. 나라니가 여행을 가면서 Senate가 오고 내가 Ozzie도 오라고 해서 그렇게 된 것인데, 막상 오게 되니까 조금은 후회가 되기도 했지만 일단 와서 몇 시간을 지내고 보니 역시 문제가 없다. 이렇게 우리의 무미건조한 하루 일정에 다른 것이 가미되는 것, 나쁘지 않은가?

지난 한달 간 나의 머리는 한가지 ‘사건, 시대의 변화’를 의식하며 살고 있다. 작은 딸, 나라니의 ‘그  사건’이 바로 그것이다. 나는 역시 이렇게 인생을 보내는 인간인가? 나의 생각을 아직도 정리를 못하고 있다. 아니 하기가 싫은 것이다. 그저 우리 나라니의 삶이 이해가 안 되는 것이다. 인정을 하며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신앙의 도움도 별로 효과가 없는가? 그렇게 성모님께 도움을 청했지만 아직도 속수무책이다. 어떻게 두 아이가 모두 ‘우리의 족보’에서 완전히 떠나려고 하는가?  우리 집의, 평창이씨의 족보는 어떻게 되는 것인가? 나의 정체는 도대체 어떻게 되는 것인가? 왜 내가 이곳에 와서 살게 되었고, 나의 후손은 어떤 모습을 하게 되는 것인가? 나는 남들이 다 별 문제없이 인정하며 사는데 반하여 이렇게 지지리 늦게,  못나게 보이는 것인가? 모든 ‘도전’을 높은 곳의 뜻을 따르고 이성적으로 받겠다고 그렇게 하늘에 약속을 하며 살았는데 왜 나는 이렇게 벼랑으로 떨어지는 기분으로 살고 있는가? 

Iconic, 이 미국 여자는..

Margaret Burke-White

 

언제였을까? 아마도 1950년대 후반이 아니었을까? 아직도 선명하게 뇌리에 남아있는  이 (사진) 모습의 여자, Margaret Burke-White를  처음 보았던 것이…  어디에서 보았는가… 그것은 잊혀진 듯 하지만, 거의 분명히 당시의 미국의 대표적인 화보뉴스 주간지,  LIFE magazine이었을 것이다. 이것이야 말로 iconic한, 절대로 잊혀지지 않는 그런 역사적인 사진. 요새 들어서 다시 우연히 Atlantic (magazine, online)에서 찾았고, 다시 ‘실컷’ 보며 짠~한 추억을 되새긴다. 바로 ‘그 미국여자’ 였다. 그 당시에는 ‘서양 여자’를 보면 우선 ‘미국여자’라고 불렀기에 국적 같은 것은 상관이 없었다.

이 사진 – 우람하고, 정열적이고 멋진 – 의 이 ‘미국여자’를  처음 보았을 때 나는 어린 마음이었지만 아주 충격적이고 강렬한 느낌을 받았다. B-17 bomber (전폭기) 앞에서 방한복으로 중무장,  ‘거대한’ 사진기를 사뿐 들고 자신만만한 미소를 짓는,  와~ 한마디로 ‘어떻게 여자가…’ 란 느낌을 떨칠 수가 없었던 것이다.

1950/60년대의 대한민국 사회적인 분위기와 여필종부, 부부유별 등과 같은 유교적 전통적 여파의 끝자락을 보며 자랐기에 당연한 반응이었을 것이다. 매일 ‘남자에게’ 얻어맞고 사는 아줌마들이 동네마다 적지 않게 살았던 그 시절,  용감하게 보이는 여자들을 보면 나는 정말 감탄도 하고 부럽기조차 했었다. 우리 어머님도 그 중에 하나였을 지도 모른다.

아득한 기억 속의 ‘멋진 여자’가 누구인지 전혀 몰랐지만 생각보다 유명한 ‘앞서가는 여자’ 중의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요새말로 남녀차별의 glass ceiling을 ‘부숴버리는’ 그런 feminism 의 신봉자가 아니었을까. 그러니 당시의 상황으로 보면 물론 ‘모든 남녀차별의 벽을 깨는’ 첫 번째의 기록을 깨었던 인물이었다. 웬만한 남자들도 못 가는 곳들로 가서 역사적인 사진들을 남긴 것..  한마디로 photojournalism의 선구자…  공적인 직업적 성격은 아주 남성적이었지만, 사적인 다른 모습은 정말 매력적이고 온순한, 대조적인 모습의 ‘미국 여자’, 나는 아직도 상상의 날개를 펴고 있다. 멋진 미국여자.. 여자.. 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