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k from Home

remote class 준비 중에 Ozzie가 학생 역할을…

 

Work from Home:  이번 코로나 사태로 말미암아 이제까지 niche technology에 속했던 remote commuting이 하루아침에 신경제의 주역으로 떠올랐다. 다행인 것은 data network infrastructure 역할을 하는  세계적 Internet backbone이 큰 무리 없이 견디고 있다는 사실이다.  확실한 data는 모르지만 아마도 full-capacity를 testing 할 만한 엄청난 data traffic이 현재 전세계를 흐르고 있을 것이다.

한 국가별로 보면 인터넷 기술을 발명하고 발전시켰던 미국은 비교적 작은 나라들에 비해서 뒤쳐지고 있음을 알게 된다. 게다가 연방차원의 기술보급의 주도가 없었기에 여기서도 역시 빈부의 차이가 확실하다. 이런 것들을 보면 비록 현재 출마를 포기했지만 혁신적인 ‘사회주의 적 발상’을 선거 이슈로 떠올린 Bernie Sanders의 아이디어는 큰 설득력이 있다. 건강보험과 인터넷 이용을 특권이 아닌 기본권리, 혜택으로 보는 것, 이것은 사실 다수가 선택을 해야 하는, 간단하게 결정할 수 없는 사안일 듯하다. 

요새 주변을 보면 사실 코로나 사태로 집에서 일하는 사람들, 그들은 전 보다 더 ‘편한 생활방식’을 ‘즐기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실제적으로 사람들과 접촉, 접근만 못한다 뿐이지 그 이외는 사실 더 편할 지도 모른다. 상대적으로 ‘몸을 때우는’ 사람들, 그들의 정 반대의 불편함과 위험을 감수해야 하니… 아무래도 무언가 불공평한 것 같지 않은가? 사실 그렇다.

큰 딸 새로니, private elementary school teacher로 현재 역시 집에서 ‘가르치고’ 있고, 그 애는 사실 요새 ‘일하기 편한’ 부류에 속한다. 대부분의 잘 사는 집의 아이들이 대부분인 이 학교는 remote class 의 준비가 비교적 잘 되어 있는 모양이다. 올해 년 말까지 이런 식의 가르침을 대비하고 있다고 하니…  새로니 약혼자도 Verizon (communications)의 software engineer로 역시 ‘편하게’ 집에서 일을 한다.  이 친구 말이 코로나 사태로 인한 피해는 커녕 더욱더 business가 잘 된다고… 역쉬~~ 왜 안 그렇겠는가? 거의 모든 사람들이 그들의 Internet service가 필요하니까. 

문득,  Aldous Huxley의 futuristic classic novel,  Brave New World 의 그림이 떠오른다.  그렇다, 인터넷 기술은 목적이 아니라 도구라서 이것이 어떻게 쓰이느냐는 전적으로 인류의 책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