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내가 읽은 책: 박기원씨의 이진섭(1)

이진섭, 아내가 남편에게 바치는 책, 1983
이진섭, 아내가 남편에게 바치는 책, 1983

나에게는 1983년 서울 학원사(學園社) 발행 넌 픽션, 여류 소설가 박기원씨가 쓴 <하늘이 우리를 갈라 놓을지라도> 라는 긴 제목의 책이 하나 있다. 사실은 나의 책이 아니고 아내 (전연숙)의 책이지만 실제적으로 이제 거의 나의 책이 되었다. 이 책은 1984년 초 연숙이 서울에 갔다 올 때 그녀의 학교선배가 사준 것이었다. 그러니까 역사적으로 이제 거의 30년이 되어오는 준 고서(準 古書)에 가까운 책인 것이다.

나에게는 이 정도의 역사를 자랑하는 책들이 그런대로 있지만 이 책은 좀 특이하다. 우선 내가 산 책이 아니고, 다른 오래된 책들과 다르게 거의 끊임 없이 자주 읽어 온 책이기 때문이다. 같은 책을 이렇게 읽고 또 읽고 한 것은 이 책이 거의 유일할 case가 된다. 왜 그랬을까 생각을 하지만 아주 특별한 것은 없다. 그저 이 책이 화장실에 항상 있어서 더 도움이 되었다면 조금 우습기도 하지만, 이 책을 통해서 거의 수십 년 동안 반복적으로 읽는 새로운 즐거움을 배우게 되었다.

이 책의 주인공은 우리가 젊었던 시절 널리 알려진, “직함도 많았던 팔방미인”, 이진섭씨다. 이진섭씨는 아주 유명한 신문인, 칼럼니스트, 방송작가, 시나리오작가로 나이에 상관없이 잘 알려진 분이다. 이 책의 저자는 이진섭씨의 부인이자 여류문인 박기원씨로, 그녀가 남편의 타계 직후에 이진섭씨와의 삶에 대해서 평범하고, 진솔하게 쓴 책이다.

책의 뒷 표지, 포즈를 취한 듯한 표정들..
책의 뒷 표지, 포즈를 취한 듯한 표정들..

보통 부부들이 살다가 배우자가 먼저 타계를 했을 때, 누가 먼저 간 배우자를 그리며 책을 쓸 수 있겠는가? 요새라면 책을 쓰는 것이 비교적 쉬워졌지만 그 당시는 평범한 사람들에게는 아주 어려웠을 것이다. 하지만 이진섭씨의 경우는 다행히, 그의 부인도 역시 문단에 잘 알려진 문학가였기에 그렇게 어렵지 않았을 것이다. 그 당시에 문인부부는 뉴스 감도 되고 흔히 말하는 ‘인기, 연예인’ 그룹에 속하기도 해서 신문, 방송 같은 것에서 어렵지 않게 듣고 볼 수 있어서, 나에게도 이진섭씨의 타계(60세를 못 채우시고 비교적 일찍)는 아주 애석한 소식이어서 관심을 가지고 이 책을 대하기 시작했다.

신문, 방송을 통해서 내가 아는 이진섭씨는 ‘불란서 샹송’을 좋아하는 박학다식, 재능이 많고 양심적인 언론인, 문인.. 정도일까? 그런 것들은 이 책을 통해서 다 사실임이 밝혀지지만, 가장 가까운 아내의 입장에서 본 것은 어찌 보면 평범한 남편, 아빠임을 알게 된다. 하지만 또한 이진섭씨가 그렇게 교과서적인 평범한 인생을 살지 못했다는 것도 이 책을 통해서 밝혀진다.

 

운명적인 만남

조금 놀란 사실은, 저자 박기원여사와의 결혼이 그에게 초혼이 아니었다는 사실이다. 그것이 또한 육이오 동란이 남긴 한 부부의 파경임을 알 때, 역시 사상적인 전쟁의 파괴력을 실감한다. 한마디로 공산주의자(일명,빨갱이 개xx) 가족 출신인 부인이 육이오 이후 가족을 따라 월북을 했다는 비극적인 이야기다.

6.25 전쟁! 그 전쟁으로 사실상 우리들의 만남의 운명이 결정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의 첫 결혼은 결국 결혼한지 1년도 못되어 전쟁으로 파경에 이르렀다. 그의 첫 번 아내는 폭격이 한창이던 7월에 첫아들을 낳고, 그리고 1.4 후퇴 때 친정을 따라 월북한 것이다. (그녀의 친정 아버지가 공산주의자였고 고향이 이북이었다)

그러나 그 이유만으로 결혼을 파기하고 남편을 떠나 친정을 따라서 월북해 버린 그 여자만이 아는 비애와 깊은 아픔을 알 길은 없지만 이해는 할 것 같았다. (25쪽, 본문 중에서)

새로 알게 된 사실 중에는 육이오 동란 때 잠깐 부역 죄로 인천에서 복역한 것이 조금 특이하다. 그러니까 한 때 사상적인 ‘외도’를 잠깐 한 것이다. 경위는 이해가 간다. 서울대 사회학과 출신인 그의 많은 친구들이 공산주의자로 많이 월북을 했었는데, 전쟁 때 대거 남하를 해서 이진섭씨를 포섭을 했는데, 잠깐 협조를 한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모르겠지만 사상적이 아니고 실제적인 이유로 이진섭씨의 친형님의 소식을 알기 위해서였다는 것이다. 그의 형님은 그 당시 외교관이었는데 잠깐 귀국을 했다가 6.25 동란을 맞고 곧 바로 납북이 되셨다고 한다. 여기서 나는 100% 이해를 하게 된다. 나의 아버님도 외교관은 아니셨지만 그 당시 ‘지식인’이라는 죄목으로 납북이 되셨으니까..

“그러니까 결국 이유는 어떻든 간에 부역은 한 걸로 됐죠. 그래서 인천서 재판을 받고 1년 집행유예로 풀려 나온 셈이죠.”

다음해 우리가 결혼하기 한 달 전, 수복 후 서울에서 그이는 자유의 몸이 되었다. 그러나 그이는 그때 일로 정신적으로 많은 피해를 입어 결혼 후에도 그 후유증은 오래 갔었다. (31쪽, 본문 중에서)

나는 어떤 부부들을 만나거나 알게 되면 제일 궁금한 것이 어떻게 만나서 가정을 이루게 되었나 하는 것이다. 가끔 내가 집요하게 그것을 알려고 해서 핀잔을 받을 때도 있지만 별 수가 없다. 그저 궁금한 것을 어찌하랴.. 여기서도 예외가 아니다. 오히려 더 궁금할 수 밖에. 그 만남의 역사를 감싸고 있는 여러 가지 시대적 배경이 나는 그렇게 흥미롭다. 이진섭, 박기원 부부의 역사는 민족의 비극, 육이오 동란 때의 피난지 부산이다. 그때 그곳에서 박기원씨의 심정이 이렇게 한 마디로 묘사가 되어있다.

직접 눈으로 목격했던 6.25의 공포, 그리고 아직도 전쟁의 판가름이 안 나 생(生)과 사(死)의 확증이 없는 나날은 슬프고도 우울했다. 이대로는 죽을 수 없을 것 같은 내 25세 청춘에 대한 아쉬움과 미련은 나를 고독하게도 했다. (28쪽, 본문 중에서)

 

운명의 재회

그곳에서 그들은 ‘운명의 재회’를 하게 된다. 이미 서울에서 거의 타인으로 만났었지만 거의 우연히 피난지 부산에서 재회를 하게 된 것이다. 전쟁으로 사랑하는 부인과 자식을 잃은 젊은 유부남과 젊디 젊은 신참내기 미혼의 여기자는 여기서 서로 상대의 필요성을 서서히 느끼게 된다. 문학이라는 공통 관심사와 기혼자였다는 미안함은 있지만 그래도 적극적인 이진섭씨의 구애, 전쟁의 공포 등등이 그런 것들을 더 부축이지 않았을까? 특히 박기원씨는 그 당시의 이진섭씨에 대해서 깊은 연민의 정을 가지고 있었다.

왜 나는 그 남자만 보면 비길 데 없는 쓰라림이 오는 것일까? 나는 항상 그를 만나고 돌아오는 길에는 그런 생각을 했었다. 그 모든 일은 나하고 만나기 그 이전의 그의 인생이었고, 나는 상관도 동정도 하기 싫은 모두 그의 것인데…

나는 왜 그이만 보면 가슴앓이 같은 아픔이 오는 것일까? 그이는 너무나 지쳐 있었고, 그리고 너무나 외로워 보였다. 그것은 그대로 그의 분위기, 그의 체취였는지도 모른다. (35쪽 본문 중에서)

나는 비록 남자이지만 남녀에 상관이 없이 ‘연민의 정’ 같은 것이 이해가 간다. 비록 연민이지만 그것은 사실 사랑의 다른 형태인 것이다. 그러니까 이런 심정의 박기원씨는 그때 이미 이진섭씨에 대한 사랑이 싹트고 있다고 생각이 된다.

 

소설 같은 논픽션

이렇게 아득한 옛날의 아름다운 첫사랑의 추억에 대한 글은 갑자기 죽음의 그림자가 넘나드는 급박한 현실에 대한 이야기로 돌변을 하기도 한다. 이런 서술방식은 자칫하면 평범한 전기(傳記)같은 인상을 덜 주고 흥미로운 소설적인 맛을 주어서 이 책의 가치를 높여주고 있고, 내가 20년이 넘게 오랫동안 애독을 할 수 있게 해주었는지도 모른다.

저자인 박기원여사는 문인인데다가 매일 일기를 쓰고 있어서 모든 지나간 사실들을 비교적 자세히 묘사하고 있다. 이진섭씨의 말투, 본인의 말투 같은 것들이 그런 것들이다. 이런 것들도 정기적인 일기를 씀으로 가능하지 않았을까? 이런 것들을 오래 동안 읽으면서 무의식 중에 내가 배우고 나의 것으로 만든 것 중에 이렇게 매일 삶의 생각을 글로 남기는 것도 포함이 되었다. 꼭 거창하게 ‘일기’까지 안 가더라도 무언가 내 삶의 행적을 짧은 글로 남기는 그런 것이다.

 

술의 낭만, 갈등과 문화

아깝지만 이진섭씨는 오랜 동안의 과음으로 인한 간경화로 돌아가셨다. 그 당시의 풍토는 사실 술과 담배를 못하면 남자로서 제대로 대접을 못 받는 그런 시대였다. 문제는 그러니까 그 정도에 달렸는데, 아마도 이진섭씨는 괴로움과 즐거움을 모두 술로 달랜 듯 하다. 그 괴롭던 시대를 사는 예술인들이 어찌 이런 생명수 같은 술을 피할 수 있을까?

솔직히 말해, 나는 여자한테서 질투를 느껴 본 적은 없지만 젊어서 술에 대해서는 질투를 했다. 술은 어떤 마력, 어떤 괴력이 있길래 저이를 저토록 사로잡고, 나에게 있어야 할 시간과 정신을 저토록 앗아 가는 것일까?

박기원여사는 아마도 술을 전혀 못하는 모양이다. 그러니까 술의 맛을 전혀 모르는 것이다. 이진섭씨는 그것이 조금은 섭섭하고, 심지어는 못 마땅했는지 모른다.

한가지, 가가 나에게 유감스러워했던 것은 그렇게 좋아하는 술을 나는 전연 못했던 사실이다.
그럴 때 나는”하나님이 잘 조화를 이루어 주셨지, 나까지 술꾼이 돼서 부부가 같이 노상 술판을 벌이고 앉았으면 이 집은 어떻게 되겠우?”
“허허, 그렇게까지는 안되겠지만 적어도 글도 쓰고 술꾼 남편하고 살려면 술 맛 정도는 알아야 할 텐데…”
“걱정 말아요. 나는 마시지 않아도 당신 술 냄새만 맡고도 취한 것 같이 살아 왔으니까요. 술 안 마셔도 마신 것 같은 기분 속에 젖어 산다는 내 고역을 당신은 알아야 해요.”
“알구말구. 그러니까 내 마누라지”

위의 대화를 보면 두 분의 부부금슬은 정말 좋으신 듯하다 비록 술에 대한 불만은 있어도 몸을 생각해서 적당히 드시라는 부부사랑의 다른 표현일지도.. 그리고 핀잔을 받는 이진섭씨의 반응도 어찌 보면 참 유머러스 하지 않은가? 나는 그런 여유를 이 분들께서 배우고 싶었는데.. 그게 생각보다 어려웠다. 하지만 술에 대해서 아주 심각한 때도 있었다.

내 남편 되는 사람이 술에 취해 들어온다는 이 현실에 당혹감과 실망을 느꼈던 것도 사실이다.

그 로맨틱하고 다정한 눈이 뜨물처럼 흐려지고, 정신 없이 쓰러져 잠이 들었을 때, 나는 두렵고도 서러운 마음에 울기도 많이 했다. 그래도 술 마신 다음날 아침에는 북어 국이 좋다는 말을 듣고, 어머님께 그 국 끓이는 법을 배워 아침상에 놓기도 했다. …. 남자하고 산다는 현실감에서 오는 놀라움, 그리고 술에 취해 들어오는 그이….. 그 모든 것이 놀랍고 나로서는 감당하기 힘든 일이었다.

 

십시일반(十匙一飯)

가슴에 남는 이런 이야기도 있다. “결혼식장보다는 초상집에” 라는 소제목의 대목을 보면,

그이는 생전에도 남의 죽음에 대해서는 절대적인 지론이 있어, 결혼식장에는 잘 안 가도 초상집에는 빠지지 않고 가서 뒷일을 돌봐 주었다.

그것은 죽음같이 절대적이고도 엄격한 긍정은 없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산 사람이 할 수 있는 마지막 정성과 예우를 지켜야 한다는 것이었다.

60세를 못 채우고 이진섭씨는 타계했지만 그런 비교적 ‘젊은’ 나이에도 죽음에 대한 생각은 담 달리 더 생각을 하며 사신 모양이다. 이런 대목을 사실 나는 오랫동안 이 책을 통해서 읽어와서 내가 죽음을 그때 그때 어떻게 생각하는지도 점검을 하는 좋은 기회도 되었다. 특히 요즈음 들어 나의 “망자의 가시는 길”에 대한 생각도 이런 글들이 음양으로 많은 영향을 주었다.

 

카사블랑카

피난지 부산에서 둘만이 결혼의 약속을 한 후 박기원씨 가족은 먼저 서울로 올라오게 되어서 잠시 헤어지게 된다. 그 당시의 부산역에서 헤어지는 광경은 흡사 영화 카사블랑카를 연상시킨다.

그때였다. 역사(驛舍) 기둥 한 모퉁이에서 담배를 피워 물고 이쪽을 바라보고 있는 그의 길고 큰 형체가 보였다. 그는 나와 있었다. 어제의 이별이 아쉬워 그이는 약속도 없이 나와 있는 것이었다.

나는 고함이라도 치며 달려가고 싶은 마음을 누르고 창 밖을 향해 손을 미친 듯이 흔들었다.

그러나 그이는 창가까지 다가오지 않고 그 자리에 선 채 웃으며 손을 크게 한 번 흔들었다. 그이는 하얀 이를 드러내어 웃고 있었다. 그러다가 기차가 떠나기 직전에 그이는 역사 밖으로 천천히 걸어나갔다.

허락 받지 않은 상태에서 우리 가족의 눈에 띄기 싫어한 그의 섬세하고도 단정한 마음이 나를 소리 없이 울게 했다.

 

육이오 동란 직후의 기억

이 부산역 이별의 광경은 그 당시, 그러니까 육이오 동란의 휴전이 되는 그런 시기를 기억하면서 더 실감이 난다. 비록 그때 나의 나이가 불과 5살도 채 안 되었지만 서울 원서동에서 뛰놀던 생각과 휴전 전후 서울의 풍경들이 아주 선명하기 때문이다. 그때 들은 이야기에 부산은 비도 많이 오고 불도 하루 건너 났다고 들었다. 그리고 우리 먼 친척도 그 당시 그 절망적인 시기에 결혼식을 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있어서 나는 더 실감나게 이진섭, 박기원 부부의 연애, 결혼을 그려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나는 언제나 책에 묘사된 그 당시 정경을 통해서 나의 ‘어린’ 생각과 기억을 같이 투시하곤 했다.

 

아버지중의 아버지

이 책을 통해서 이진섭씨의 흔히 알려진 불란서 풍의 섬세함과 학자 풍의 다재 다능한 면이 많이 들어난다. 그 당시 문인들의 풍조였는지도 모르지만 역시 이진섭씨는 이진섭씨만의 자란 배경과 전통적인 집안 내력을 풍기며 그 시대를 살았을 것이다. 경제적으로 어려워진 양반집안, 족벌의 의미가 거의 퇴색되어버린 일제시대.. 거기서 믿을 것이라곤 아마도 ‘우수한 머리’ 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런 배경에서 이진섭씨는 아주 앞서가는 ‘모범적인 아버지 상’을 남기며 사신 것 같다. 그렇게 어려운 역사적 격동기를 비록 술로 삭히기는 했지만 가정을 ‘절대로’ 책임지는 가장으로서 완전히 성공을 했다는 사실.. 두고 두고 나의 가슴에 남아서 내가 배울 것은 무엇일까 생각하곤 했다.

 

지금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이 책의 제목에는 “이 시대 마지막 로맨티스트 이진섭” 이란 부제가 붙어있다. 이 책을 읽고 나면 100% 수긍이 가는 표현이다. 비록 커다란 식구의 가장으로 경제적인 압박이 그렇게 커도 절대로 돈에 목을 메는 짓은 못하던 그런 면을 생각하면 이해가 간다. 어떻게 그렇게 멋과 돈의 균형을 잘 맞추며 살았을까? 그것은 이진섭 특유의 타고난 재주였는지도 모른다. 아주 잘 알려진 요절한 ‘천재시인’ 박인환님과의 인연도 그렇다. 그것은 이제 일화가 아니라 역사가 되었으니까. “지금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술집 문화에서 출발한 이 박인환님의 즉흥시가, 이진섭씨의 즉흥 샹송에 접목이 되어 결국은 불후의 클래식이 된 것은 역시 길이 남을 한국 전후 문화사의 일부가 된 것이다.

이 책에 인용된 동료 극작가 한운사 씨의 “잊을 수 없는 인물들’을 보면..

빈대떡 집에서 박인환이 즉흥시를 읊었다. ‘지금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진섭의 머리를 스치는 번개같은 인스프레이션(inspiration, 필자주) 그는 즉석에서 멜러디를 붙여 노래를 불렀다. 우뢰 같은 박수가 빈대떡집 지붕을 뒤흔들었다. 젊음과 낭만과 꿈과 산다는 것의 슬픔을 그가 타고난 재간으로 융합시킨 이 순간은 명동이 기억해둘 영원한 시간이다.

 

 

이 최인환 시, 이진섭 곡의 샹송풍의 노래는 곡이 만들어진 때보다 훨씬 뒤에 리코딩이 되어 일반 대중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다. 내가 알기로는 최양숙씨가 제일 먼저 리코딩을 하지 않았을까? 그녀의 샹송 스타일에 제일 잘 맞는 곳이었다. 하지만 내가 제일 먼저 들었던 것은 역시 박인희씨의 곡이 아니었을까.. 기억이 가물거린다. 

여기서 어떻게 이 클래식이 출발했는지 짐작을 할 수 있다. 이것을 박기원씨의 표현을 통해서 짐작을 하면 이진섭씨가 얼마나 음악을 사랑하고 특별한 재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 술 한 잔 들어가면 악보도 없는 자작곡에 바이브레이션을 넣어 피아노도 잘 쳤다. 애들과 우리만이 아는 ‘이 진섭 자작곡의 밤’이 수시로 열렸던 것이다. 싫어도 들어야 했는데, 애가 탔던 것은 그이는 술이 들어가면 시간을 초월해서 완전히 그 시간 속에 빠져 든다는 점이었다……

그이가, 시인 박 인환(朴寅煥)씨가 생존 시 명동 술집에서 낭만의 명동이 사라져 가는 것을 서러워하며 지은 시 <세월이 가면>에다 그 자리에서 작곡을 한 것은 지금도 아름다운 일화로 남아있다.

지금 생각나는데, 그날 밤 그이는 그 노래를 흥얼거리면서 내가 시집 올 때 갖고 온 어린이용 장난감 피아노에 키를 맞추어 노래를 부르며 오선지에 채보까지 했던 것이 기억난다.

샹송 풍의 그 노래는 당시엔 어려워서인지 그리 알려지지 않더니 10여 년이 지난 후에는 서서히 대학생들간에 유행이 되었고 몇몇 가수가 불러 레코드까지 나왔다……..

그의 영결식에서는……. <세월이 가면>이란 노래를 최초로 불렀던 최양숙(崔洋淑)씨가 그 노래를 다시 불러 그의 마지막 길을 장식해 주었다

(계속).

 

Weekend, Memorial Day

Indy 500 racer Janet Guthrie, 1976
Indy 500 racer Janet Guthrie, 1976

Memorial Day Weekend,  또 시간은 흐르고 계절은 슬그머니 바뀌어 비공식적인 여름의 시작인 Memorial Day 주말이 되었다. 하기야 이미 5월 중에 에어컨이 필요했던 여름의 맛을 보았으니까 별로 특별한 여름의 시작도 아니다. 우리 습관으로 하면 ‘현충일’ 정도나 될까? 그렇구나 까마득한 그 옛날에는 6월6일이 현충일이었다. 어쩌면 그렇게 이곳과 비슷한 시기로 그런 날을 정했을까? 나의 어머님의 8주기 기일도 이맘때 쯤..그래서 더욱 기분이 그렇다. 참 괴로운 추억이 얽힌 이맘때, 어떻게 이런 날들을 보내야 할지.. 대부분 이곳에선 즐겁기까지는 못해도 가벼운 휴일의 기분을 숨기지는 않는다. 어찌 보면 즐기는 인상까지 받는다. 더운 여름을 알리는 듯 수영장들이 일제히 문을 열고, 가족 친지들은 모두 뒷마당에 모여 바베큐를 즐긴다. 그러면서 먼저간 구국영령들을 과연 얼마나 생각할까.. 조금은 웃기는 휴일인 것이다.

그것과 더불어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자동차 (특별히 제작된 formula) 경주 Indianapolis Five Hundreds (Indy 500) 가 Indianapolis에서 이 주말에 열린다. 나는 별로 관심이 없지만 많은 사람들은 그것이 그렇게도 재미있는 모양이다. 하기야 사람은 다 다르니까. 하지만 여자 car racer는 참 흥미로움을 느낀다. 무슨 wonder woman같은 기분으로.. 지금은 아주 젊은 Danica Patrick이 대표적인 여자 racer지만 오래 전에 Janet Guthrie란 pioneer 여자 Indy 500 racer가 있었다. 나는 그 당시 그녀에게 너무나 ‘감명’을 받아서 딸을 나면 이름을 Janet이라고 짓겠다고 생각을 했는데 그것이 사실이 되었다. 요새는 여러 분야에superstar급의 여자들이 “수두룩 닥상” 인 세상이 되었지만 30년 전만 해도 Indy 500에서 여자가 자동차 경주를 한다는 것은 national sensation이었던 것이다.

 

Toward 250, 이번 5월 달에 나에게 신기록을 세울 기회가 바로 코앞에 왔다. 나의 블로그 monthly hit count가 250을 향하고 있는 것이다. 기억에 현재까지의 기록은 230 정도가 아니었을까? 이것도 물론 아주 인위적인 숫자에 불과하지만 심리적으로는 큰 의미가 있다. 100, 200.. 등과 같이 250, 500, 1000 등은 더 큰 것이니까. 남들이 보면 코웃음을 칠 노릇이지만 나에게는 생각보다 자랑거리에 속한다. 나는 사실 나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 찾아오는 것 보다는, 나를 한번이라도 알았던 사람들이 찾아 오는 것을 더 원하고 있다. 그것이 이 블로그를 만든 처음의 목적이었으니까. 그 다음은 나와 나이가 비슷한 ‘바보세대’들과의 대화의 광장인데, 조금씩 그것의 희망은 희미해져 가고 있다. 하지만 포기하지는 않을 것이다.

 

Oprah Winfrey
Oprah Winfrey

오프라 윈프리, Oprah Winfrey, 오늘 뉴욕 타임스 기사에 이 여자에 관한 기사가 실렸다. 물론 며칠 전에 그 여자의 기록을 깨는 오래된 텔레비전 talk show가 끝난 것이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고백을 하자면 나는 그 여자의 그 show를 한번도 처음부터 끝까지 본 적도 없고 관심도 없었다. 사실, 왜 그것이 그렇게 인기가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미국에서 사회적으로 커다란 영향을 미쳤음은 부정할 수가 없다. 그래서 이제는 아주 ‘종교적’으로 보는 시각도 생기는 것이다. 한마디로 “오프라 교” 아니면 “윈프리 교” 라고나 할까…

이런 현상은 모든 것이 너무나 제약이 없고 막강한 TV의 위력 하에 있는 이곳, 미국에서나 가능할 듯 하다. 종교, 아니 사교같이 느껴지는 것도 무리가 아닌 것이, 그 show에 나온 사람들의 일반적인 표정이나 행동을 보면 짐작이 간다. 나는 그런 것들이 아주 싫었다 거기다 완전히 상업적인 것까지 합치면 가히 ‘가관중의 가관’ 이라고 할까? ‘가난과 고통과 수치’를 거의 상업화시킨 것이 그렇게도 벼슬이라도 한 듯하게 느껴질까? 참.. 재미있는 세상을 살고 있다.

 

The Beatitudes: 참 행복, 삶의 대헌장

The Beatitudes, A One-Day Retreat coming soon to Holy Family!

윗글의 제목은 이번 주 우리가 주일미사를 보는 미국본당 Holy Family Catholic Church의 주보에서 본 기사의 제목이다. 일일 피정이 곧 열릴 예정이라는 말인데, 그 제목이 The Beatitudes.. 흠.. beatify, beatification등등의 말들은 최근에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시복식에서 본 말들이라 그 뜻이 짐작이 된다. ‘복자로 만들다’, 복을 받게 하다 라는 뜻인데 여기의 the가 붙은 말은 분명히 어떤 특정한 ‘고유명사’라는 말이다. 역시 영어로 성경을 읽었으면 금새 알만한 말이었다.

마태복음 5장 처음에 나오는 예수님의 산상수훈 중의 그 유명한 ‘행복하여라’, 즉 참 행복 (다른 말로, 삶의 대헌장)을 지칭하는 말이었다. The Beatitudes란 단어를 몰랐던 것이 조금은 부끄러웠지만 이제라도 알게 되었으니 그나마 다행이다. 다 외우지는 못하지만 그 여덟 가지 ‘참 행복’에 대한 산상수훈의 이야기를 어찌 잊으랴?

그 여덟 가지의 ‘참 행복’을 영어 성경 Jerusalem Bible 에서 보면 다음과 같다.

The Beatitudes

  1. How blessed are the poor in spirit: the Kingdom of Heaven is theirs.
  2. Blessed are the gentle: they shall have the earth as inheritance.
  3. Blessed are those who mourn: they shall be comforted.
  4. Blessed are those who hunger and thirst for uprightness: they shall have their fill.
  5. Blessed are the merciful, they shall have mercy shown them.
  6. Blessed are the pure in heart, they shall see God.
  7. Blessed are the peacemakers, they shall be recognized as children of God.
  8. Blessed are those who are persecuted in the cause of uprightness, the Kingdom of Heaven is theirs.

2005년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간행 성경을 보면 이렇게 나온다.

참 행복

  1. 행복하여라, 마음이 가난한 사람들! 하늘나라가 그들의 것이다.
  2. 행복하여라, 슬퍼하는 사람들! 그들은 위로를 받을 것이다.
  3. 행복하여라, 온유한 사람들! 그들은 땅을 차지할 것이다.
  4. 행복하여라, 의로움에 주리고 목마른 사람들! 그들은 흡족해질 것이다.
  5. 행복하여라, 자비로운 사람들! 그들은 자비를 입을 것이다.
  6. 행복하여라, 마음이 깨끗한 사람들! 그들은 하느님을 볼 것이다.
  7. 행복하여라, 평화를 이루는 사람들! 그들은 하느님의 자녀라 불릴 것이다.
  8. 행복하여라, 의로움 때문에 박해를 받는 사람들! 하늘 나라가 그들의 것이다.

이 행복을 누릴 사람들, 세속적인 이 세상에서는 그렇게 멋있게 보이는 사람들이 아닌 것 같지만 예수님께서는 그렇게 생각 치 않으시는 모양이다. 이 중에서 내가 좋아하는 행복은, 슬퍼하는 사람들, 온유한 사람들, 그리고 마음이 가난한 사람들이 받을 행복이다. 슬플 때, 위로를 받을 것을 알면 훨씬 그 슬픔이 가벼워진다. 온유한 사람들이 땅을 차지할 것이라는 것, 결국은 소리 없이, 점잔은 사람들이 더 성공을 할 것이라는 말이 아닐까? 마음이 가난한 사람이란 뜻은 역시, 겸손한 사람들을 말하는 것이 아닐까? 이런 말을 다시 생각해 보면 예수님의 이 ‘행복 대헌장’은 역시 무조건적인 사랑의 메시지가 아닐까?

 

Joplin, Mo.

surreal: after Joplin monster twister hits, May 22, 2011

surreal: after Joplin monster twister hits, May 22, 2011

오늘 뉴스를 잠깐 보니 Joplin, Mo. (미조리州, 자플린市) 란 글자가 보였다. 그것도 큰 글씨로.. Big news란 뜻이다. 또 다른monster twister가 그 지역을 강타, 100명 이상이 사망하고, 커다란 지역이 완전히 ‘사라졌다’. 이런 끔찍한 광경은 얼마 전 알라바마 주에 monster twister가 휩쓸었을 때와 비슷하다. 그때는 300명 이상이 사망했었다. 내가 사는 이곳 Atlanta지역은 최고로 더운 5월을 보내고 있다. 한 여름처럼 에어컨이 며칠째 계속 돌고 있는 것이다. 나의 기억에 이렇게 더운 5월은 별로 없었다. 지난 겨울에 그렇게 심한 추위로 극성을 부리더니.. 올해는 정말 정말 이상, 극단적인 기후를 계속 보이고 있다. 마치 지구가 고통으로 신음을 하듯, 불평을 하듯..

이번에 피해를 입은 Joplin은 나에게 추억에도 남는 그런 곳이라 더 관심을 가지고 보았다. 1973년 성성모, 이승조씨와 Volkswagen Beetle을 타고 Oklahoma에서 New York으로 장거리 drive를 할 때 우리가 지난 곳이다. 그러니까 우리가 drive를 하던 Interstate-44가 이 Joplin의 남쪽을 지나가는 것이다. 그 때의 파란만장하던 여행의 이야기가 나의 일년 전 blog에 잘 묘사되어 있는데, 더 이 town의 이름이 기억에 나는 것이 Joplin이란 이름이다. 그 당시 유명하던 여자 rock star중에 Janice Joplin이라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 당시의 나이에는 rock star의 이름 정도는 즐겁게 기억을 할 때였으니까…

 

Convergence, 10+ years after..

stupid TV를 안 본지 일주일이 넘었을까? 그리고, 생각한다. 과연 인터넷이 전통적인 의미의 TV service를 점차 죽이고 있는 것이 현실로 나타나는 것일까? 그것은 아마도 사실일 것이다. 나의 생전에 진정한 의미의 인류전체적으로 통신혁명이 일어나고, 그것이 빠른 속도로 진행 중임을 보게 된 것이 조금 흥미롭고, 편리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착잡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Telstar – The Ventures

‘6백만 불의 사나이’, Telstar. 소련의 Sputnik에서 시작된 우주경쟁, 세계통신 혁명의 시발점도 되었다. 1962년 AT&T(Bell Lab)제작 6백만 불의 통신위성.. 이론적으로 전세계인구가 실시간 통신권 안에 들어섰다.

 

이렇게 빠른 pace로 바뀌어 나가면 10년 앞도 정확하게 예측하기가 힘들 정도가 아닌가? 나의 ‘한창’ 시대, 그러니까 20~30년 전쯤엔 어땠을까? 기껏해야, 위성통신 덕분에 전세계로 전화나 TV service가 가능해지던 그런 시기였을 것이다. 기억에 Elvis PresleyHawaii 공연이 위성으로 전세계의 tv로 방영된 것이 그 당시에는 큰 뉴스였으니까.

보수와 절대가치의 아성인 가톨릭, 바티칸이 Facebook/Twitter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것을 보면 정말 새로운 통신혁명의 깊이가 실감이 간다. 이제는 웬만한 tv program들이 Internet streaming으로 볼 수 있게 되고 있다. 10+년 전쯤에 Scientific-Atlanta에서 일을 할 당시 convergence란 말이 유행했었다. 쉽게 말하면 모든 ‘것’들이 Internet service로 ‘통합’이 될 것이란 말이었다. 그것이 요새는 조금씩 실제로 느껴진다. 사실 telephone과 tv service만 Internet으로 흡수되어도 convergence는 거의 실현이 되는 것이다.

문제는 ‘나이 드신 옹고집 어르신들’ 이다. 물론 나의 세대를 포함한 말이다. 어떨 때는 현실을 피하고, 이것만은 옛 것이 좋다고 하는 그들이 Amish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심지어, 옹고집의 아성인 바티칸이 이렇게 현실을 전적으로 포용을 하는 마당에.. 제일 문제는 어중간한 ‘우리 세대’들이다. 옹고집 어르신 세대와 완전히 새로운 문화 속에서 자란 자식세대의 중간에 어정쩡하게 서있는 우리세대.. 이 새로운 문화에서 거의 ‘전맹’ 의 처지에 있는 사람들이 ‘닥상’이다. 더 세월이 흐르기 전에 조금은 노력을 하는 것이 바람 직 하지 않을까?

 

오일육(5.16) 군사혁명, 50년 전

5.16 쿠데타 성공 후 서울 시청 정문에 선 장도영(왼쪽), 박정희(오른쪽)

5.16 쿠데타 성공 후 서울 시청 정문에 선 장도영(왼쪽), 박정희(오른쪽)

 

오늘아침, 코앞의 달력을 보니 오늘이 5월 16일이다. 무심코.. 아하.. 박정희의 오일육 군사혁명 기념일이구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다가 작년 사일구(4.19)가 50년이 되었지..하는 생각이 들면서 곧바로 그러면 올해의 오일육이 50년이 되는구나 하는 조금은 ‘끔찍’한 생각이 들었다. 반세기란 기간의 느낌이 그렇지만, 50년이란 것이 사실 그렇게 긴 것이 아니었구나 하는 ‘늙어가면서’ 새롭게 느끼게 되는 사실을 재확인하면서…인간 10진법의 문화에 울고 웃는 사실이 흥미롭기도 하다.

서울시내를 내려다 보며 남산가도를 질주하는 혁명군의 Sherman tank
서울시내를 내려다 보며 남산가도를 질주하는 혁명군의 Sherman tank

작년 4월 19일 나의 blog은 분명히 4.19, 사일구 학생혁명 50주년을 회상하면서 쓴 것이었다. 그때는 내가 중앙중학교 1학년 때였고, 5.16은 그 다음해인 1961년, 내가 중앙중학교 2학년 때였다. 그날은 사일구 때와는 달리 아침부터 학교의 문을 아예 열지도 않았다. 사일구 때 최소한 등교를 한 후에 퇴교를 당했던 것에 비하면 더 심각한 것이었다. 그러니까 사일구 혁명은 4월 19일 낮에 그 열기가 절정에 달 했지만 오일육 혁명은 그날 새벽에 이미 일어난 상태였던 것이다.

그때는 ‘아마도’ KBS가 유일한 라디오 방송이었을 것이고, 그 방송에서는 앵무새처럼 군사혁명 공약이 되풀이 되면서 방송이 되었다. 중학교 2학년의 나이에 모든 것들이 다 이해는 되지 않았지만, 기억에 제일 먼저 나온 것이 “반공을 제일의 국시로 삼고” 라는 혁명공약이었다. 물론 “국시”라는 말이 확실히 이해는 안 되었지만 “반공이 제일 중요하다” 라는 말로 들렸다.

그 당시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제일의 반공국가였는데, 왜 이런 말을 제1의 혁명공약으로 삼았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지만 중학교 2학년 ‘어린아이’가 그것이 그렇게 중요했을까? 역시 사일구 때와 마찬가지로 학교를 ‘못 가는’ 것만도 고맙게 생각하며 우리들의 영웅, 산호의 라이파이를 보러 만화가게로 갈 수 있는 것만 생각해도 마음이 흥분 되었다. 국민감정을 의식해서였을까, 사일구 때의 계엄령과 다르게 비교적 자유로운 계엄령 치하가 시작되었다 (최소한 아이들의 눈에는).

달력을 다시 보니 역시 5.16에는 아무런 ‘표시’가 안 보이고 그 이틀 뒤인 5.18에는 “5.18 민주화 운동 기념일”이란 표시가 보인다. 그러니까 5.16 ‘군사혁명일’이란 것은 아예 기념일에서 조차 떨어진 모양이다. 호기심이 난다. 언제부터 이렇게 되었을까.. 그러니까 언제부터 달력에서 5.16군사혁명 기념일이 없어지고,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이 들어갔을까. 역사는 흐른다. 절대로 멈춘 것이 아닌 것이다.

혁명주체세력 제1인자 박정희 소장, 1961
혁명주체세력 제1인자 박정희 소장, 1961

사일구 때와 마찬가지로 우리가 좋아하던 “진짜” 탱크가 시내 곳곳에 보였지만 이번에는 아주 평화스럽게 보였다. 처음에는 장도영이란 이름만 요란하게 들렸고 박정희란 이름은 아주 나중에야 들리기 시작했다. 그날 이후 우선 달라진 것이 있다면, 사회전체가 아주 ‘질서정연’하게 변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것도 그럴 것이 사일구 이후에 하루가 멀다 하고 거리는 데모대로 조용한 날이 없었기 때문일까. 비상계엄령 속에서 데모를 한 다는 것은 상상도 못할 일이겠지만, 그래도 조금은 신선한 기분이었다.

지금 생각해 보아도 나는 느낀다. 사일구 이후에 전체적으로 퍼지던 지나친 자유의 공기를. 심하게 말해서 방종이라고나 할까. 이렇게 해도 법과 질서가 유지가 될까 할 정도였다. 그 예로 내가 다니던 중앙학교에도 지나친 자유의 표현으로 ‘교장선생, 물러가라’ 하는 데모가 있었다. 사일구의 독재정권 타도가 일반적인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 변한 것이다. 그 당시 중앙학교(중, 고교)는 심형필 교장선생님이 계실 때였다. 수학자로서 아주 선비 풍의 나이 지긋하신 선생님에게 ‘비리’가 있다고 데모를 하고 물러가라고 학생들이 요구를 한 것이었다.

물론 나의 나이로는 이해가 되지를 않았지만, 모든 것이 그런 식이었다. 이승만 정권 당시에도 일반적인 시민의 자유는 많았다. 그래도 치안에는 별로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사일구 뒤에는 기본적인 치안에 문제가 보일 정도랄까.. 왜 그랬을까? 결국은 이승만 ‘부패정권’ 뒤에, 거의 통치력이 없는 과도정권에 공권력이 너무나 약했던 것이 아닐까?

5.16 혁명 직후 시청 앞 육사생들의 혁명지지 대회, 1961

제일 극에 달한 것은 사회적인 것 보다는 정치적인 것이었다. 그 당시는 자세히 들 알려지지 않았지만 휴전선 너머의 김일성이 이것을 보고 얼마나 침을 흘렸을까 하는 것은 절대로 지나친 걱정이 아니었다는 것은 후세에 다 사실로 들어났다. 과도정권은 분명히 반공정권이었겠지만 극에 달한 자유의 표현은 결국 남북화해, 남북협상이란 말까지 허용하게 되었다. 그것은 분명히 현실적인 반공법 위반이었는데.. 휴전선의 포격사정권에 있던 수도를 가진 정권에게 이것은 정말 위험한 것이었겠지만 일반 시민의 정서는 거꾸로 흐르고 있었고, 결국에는 학생들 조차, “가자 판문점으로!” 라는 꿈을 꾸게 된 것이다.

 

모든 것이 그야말로 하루아침에 조용해 졌다. 우리는 며칠 뒤 등교를 한 후에 긴급 혁명공약을 배우게 되었고, 일년 동안 만끽하던 ‘학원의 방종’을 되 돌려 주게 되었다. 한가지 아쉬웠던 것 중에 하나가, 그 동안 “스포츠 가리” 이발에서 완전히 “삭발”형으로 바뀐 것.. 그러니까.. 중학교 1학년에 입학하면서 전통대로 머리를 다 중처럼 깎았다가, 사일구가 나면서 ‘자유’가 주어져서 스포츠머리로 바뀌었는데, 다시 원래로 돌아가게 된 것이다.

그리고 목격한 것이 중앙학교 구내에 하나 둘씩 들어섰던 ‘잡상인’들이 없어지기 시작한 것이다. 예들 들면, 이발소, 식당, 문방구 같은 것들이었다. 상인들에게는 큰 일자리가 없어졌겠지만 사실 이것은 잘 된 것 같았다. 학교 밖이면 몰라도 학원 내에 그런 것은 이상하지 않은가? 느슨하던 극장의 학생입장도 아주 까다로워져서 웬만한 영화는 거의 다 ‘학생입장불가’가 되었다. 내가 제일 싫어하던 깡패들도 줄줄이 잡혀 들어갔는데.. 조금 심했던 것은 일부  ‘정치깡패’들이 사형에 까지 처해진 것이었다. 하지만 그러한 일련의 정책들은 대부분 사람의 지지를 받았다.

역사적으로 오일육 군사혁명은 정권이 바뀌면서 해석도 달라지고 느낌도 달라짐을 안다. 군사혁명 10년 뒤인 1971년에는 거의 영구집권체제인 유신정권으로 바뀌고, 그 8년 후인 1979년에는 박정희도 부하에 의해서 사망을 한다. 속담에 “때는 때대로 간다” 라는 말로 그의 공과를 한마디로 말하는 사람도 있지만 나는 그렇지 않다. 세상이 그렇게 간단할까? 한때는 정치적 자유를 억압하는 그가 싫기도 했다. 나는 기껏해야 김신조 사건 이후에 대학에 생긴 교련에 대한 반대데모와 3선개헌 반대데모로 학창생활이 끝났지만 아내 연숙은 70년대의 유신체제를 반대한 거센 ‘운동권’에 끼어들게 되어서 모든 현장을 목격까지 했고, 경찰과 정보부의 감시 속에서 살았던 때도 있었다. 이것 때문에 결혼 후에 나는 사실 고개를 못 들고 살았다. 데모만 나면 나는 ‘신나는’ 등산을 즐겼는데 반해서 연숙은 모든 것 잊고 최루탄 연기를 맞으며 살았던 사실이 나를 부끄럽게 만들기도 했다.

그 운동권 출신들이 줄줄이 현재 모든 정권의 요직에 있다. 심지어 일부는 거의 ‘빨갱이’ 흉내를 낼 정도가 되었다. 오일육에 대한 해석도 극과 극을 치닫고 있다. 그들이 항상 거의 의도적으로 언급을 안 하는 것은 그 동안 그들이 그렇게 동정하던 ‘북녘’ 정권이 어떻게 그들의 ‘인민’들을 통치해 왔던가 하는 사실이다. 박정희의 반대파 탄압을 언급하려면 조금은 그것도 언급하면 조금 설득력이 있지 않을까? 어느 정도 먹고 입기 전에는 의미 있는 민주주의를 뒤로 미루겠다는 말은, 그 당시를 살아보지 않았던 사람들은 왈가왈부할 자격이 없다. 또한 반대로 박정희를 거의 ‘영웅시’하는 극우파들.. 그들이 사실 박정희의 진정한 의도와 업적에 먹칠을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까지 들 정도다.

 


시청 앞에서 박정희와 차지철

혁명 성공 후, 시청앞에서 육사생들의 사열을 받는 박정희 소장과 차지철 공수부대장

오일육 혁명 주체, 박정희 소장

이 검은안경 사진은 후세에 남는 오일육 혁명의 상징이 되었다


 당시의 신문으로 보는 오일육 쿠데타 모습들

 

50년 전의 신문으로 그 당시를 회상하는 것, 조금 감당키 어려운 감정의 복받침과 싸우기도 했다. 글과 사진들.. 확실히 이것은 이제 역사가 되었고, 교과서에서 다시 배울 정도로 오래되었다. 이 신문들을 다시 보며 뚜렷하게 느끼는 것, 당시의 신문들.. 정말 중학교 2학년 생의 한자 실력으로는 읽고 이해하기에 역부족, 그러니까 거의 문맹에 가까울 정도라는 사실..을 오랫동안 잊고 살았다. 여기 나온 신문들을 보라.. 얼마나 많은 한자가 섞여 있는가? 또한 한글조차 50년을 거치며 맞춤법이 많이 변했음을 절감하고, 언어의 변천에 50년은 그렇게 짧은 세월이 아니라는 것도 느낀다. 하지만 그것 보다 사진을 보며 더 깊은 생각을 한다. 50년 세월 동안 내가 기억한 모습들은 너무나 현재에 적응이 되었는지, 그 당시의 모습들.. 너무나 꾀죄죄하고, 볼품들이 없다. 물론 그 당시의 유행과 경제수준을 감안하면 조금 이해는 가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그 당시 신문의 사진기술에 더 큰 이유가 있을 것이다. 조잡한 사진 조판에다가, 50년이 지난 신문지.. 그것이 ‘생생하게’ 보일 리가 만무하니까.

 

오일육 당시 경향신문 석간

오일육 석간지는 유동적인 사태로 군 검열을 받지 않았다.

성공적인 무혈 쿠데타

의외로 평온한 전국 주요 도시의 분위기

서울 주요 거점에 진주한 혁명군들

오일육 낮, 어리둥절한 시민들과 군인들, 세종로,시청 근처

생생했던 역사 현장, 희미한 모습으로

그 당시 모습, 사실 이 사진보다 훨씬 더 깨끗했다

육군사관생도 혁명지지 궐기행진

쿠데타 직후 육사생들의 지지 궐기는 혁명성공의 촉진제였다

시청 앞에 집결한 육사생도들과 장도영 중장

시청앞에서 혁명지지 궐기대회, 혁명의 얼굴, 장도영 중장과 육사생들

5월 17일부터 군 검열받던 신문들

계엄령하에서 언론에 대한 군 검열은 필수적인 것이었다

서서히 등장하는 막후 1인자 박정희 소장

사실상 쿠데타 주역 박정희 소장, 장도영 중장과 기자회견에서

 


그 당시의 사회정서를 한눈에 보려면 영화광고를 보면 간단하다. 유행과 더불어 그 당시 최고 인기배우들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서부영화와 대형 종교영화가 판을 치던 그 시절, 한국의 영화풍토는 지금 수준에서 보면 정말 아이들 장난과도 같았다. 한마디로 유치하게 보였던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 또한 매력이었다. 여기의 영화광고를 보면서 손쉽게, 구봉서, 최은희, 신영균, 김진규, 허장강, 김희갑, 김혜정 등을 기억해낼 수 있었다. 당시 그들이야말로 국민배우들이었기 때문이다.

 

쿠데타 당시 상영되던 국산영화들

신상옥 감독이 한국 영화를 주름잡던 그 시절의 영화들

 

 

죽는다는 것..

죽음.. 죽음이란.. 사람의 죽음이란 어떤 것일까.. 오늘 하루 종일, 생각의 주제는 죽음이었다. 사실은 근래(10여 년?)에 들어서 평소 때에도 죽음을 잊고 산 적은 거의 없었다. 그것이 특히 나이 60이 넘어서면서 더 잦아졌다.이것이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확실치는 않지만 조금 흥미로운 것은, 죽음을 항상 생각하며 사는 것이 그렇지 않은 때보다 훨씬 덜 죽음에 대한 걱정을 하다는 사실이다.

오늘 나에게 특별히 하루 종일 죽음을 생각하게 만든 이유는 갑자기 계획에도 없이 참석하게 된 장례미사 때문이었다. 오늘의 장례미사는 정 요한씨를 위해서 바쳐졌는데, 이분은 지난 주 내내 우리 레지오 단원들이 ‘선종기도’를 바치던 그 분이었다. 이 분이 어제 선종을 하셔서, 어제 저녁 곧바로 연도가 바쳐졌고 오늘 오전에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에서 안정호 신부님의 집전으로 장례미사를 드리게 된 것이다.

몇 개월 전, 레지오(마리애)에 들어오면서 내가 달라진 것 중에 제일 큰 것이 나보다 먼저 세상을 떠나시는 사람들에 대한 나의 태도였다. 전에는 가급적 장례식 같은 것을 모른 척하려 했고, 피했고, 잊고자 했었다. 그것이 지금과 같이 비교적 ‘고립된’ 삶이 가능한 이곳 미국에서의 생활에서는 크게 힘들지 않다. 고국에서 살았으면 그렇게 살다가는 아마도 사람취급도 못 받을 듯하다. 이제는 아니다. 적극적으로 ‘망자의 행사’에 빠지지 않으려 노력을 한다. 그만큼 예전과 같이 무섭지 않은 것이다.

특히 가톨릭적인 ‘연도’는 나를 아주 평화스럽게 만든다. 레지오 회합 참석 후에 자주 연도가 있는데, 처음에는 그렇게 생소하던 것이 이제는 아주 익숙해져서, 조금 더 고인에 대해 생각을 할 여유도 생기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도 장례식에서 가끔 하는 viewing(시신을 직접 보는 것)같은 것은 너무나 visual해서 더 신경을 쓰게 된다.

오늘 장례미사는 비교적 조문객이 많지는 않았다. 사실 오늘 우리가 그곳에 가게 된 큰 이유중의 하나가, 미리 조문객이 많지 않으리라는 귀 띰 때문이었다. 조금 이해가 가는 것은 이 고인의 가족이 현재 아무런 신앙적인 곳에 소속이 되어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이민사회에서 신앙단체의 제일 큰 역할중의 하나가, 그들에게 교민간의 친교나 사회생활의 촉매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 나머지는 동창회나 사업에 관련된 단체들 밖에는 없다.

장례미사 안내문을 보고 이분이 1948년생이라는 것을 알고 반가웠다. 그래서 더 친근감이 들었는지 모른다. 우리 동갑이 먼저 나보다 저 세상으로 간다는 생각을 하니 참 심정이 착잡하였다. 63세라면 지금 세상에서는 ‘젊다고’도 말할 정도다. 신부님도 그 점을 상기시키셨다. 하지만 언제 죽는다는 것을 어느 누가 알랴? 우리도 모르게 하느님이 주신 생명을 하느님께 돌려 드린다는 신앙의 신비를 인정하면 조금 마음이 가벼워지지 않을까?

장지까지 가게 될 줄도 몰랐지만, 무언가에 끌려서 그곳까지 갔다. 그런데 가기를 참 잘한 것 같다. 유족들을 생각하면 더 그렇다. 그들은 한 사람이라도 더 위로를 해주기를 바랄 것이다. 그래서 모든 행사가 끝난 후에 점심을 같이 하는 곳까지 가게 되었다. Buford Hwy의 한인타운의 중심에 있는 ‘한일관’에서 모였는데.. 이곳에서 조그만 해프닝이 벌어졌다. 식당엘 들어가려는데 아주 오랜만에 중앙고 새카만 후배 ‘선우인호’가 보여서 이 친구도 우리 장례에 관련되어 왔으리라 생각하고 무심코 그들 일행과 합석을 하게 되었다. 나중에 알고 보니 그들은 선우인호 후배가 속한 개신교회의 다른 장례식의 뒤풀이를 하려고 모인 것이었다. 잘못했으면 다른 고인을 위한 자리에서 식사를 할 뻔 한 것이다.

이렇게 해서 뜻하지 않게 거의 하루 반나절을 동갑내기 고인과 그 가족들을 위해서 보내고 나니 참 기분이 가벼웠다. 나도 이렇게 슬픔을 같이 나눌 수 있게 되었다 생각하니 나 자신이 조금 대견스럽게 느껴지기도 한 것이다. 가톨릭 신앙적으로도 고인은 많은 기도를 필요로 한다. 그들이 저 세상에서 더 편히 쉬기를 바라는 까닭이다. 비록 고인은 선종 얼마 전에 가톨릭으로 입교를 했지만, 그것이 궁극적으로 남아있는 사랑하는 가족에게 ‘하느님을 알게’하는 커다란 선물이 될지 누가 알랴?

 

다시 만난, 평창이씨 이만수씨

얼마 전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에서 레지오 회합이 끝난 후에 연도가 있었는데, 그곳 가족의 대표 중에 평창이씨, 이만수씨가 있었다. 2002년 5월 이맘때쯤 마지막으로 보고 처음인 것이다. 그 마지막으로 보았을 때는 만수씨 아버님, 이주황 선생님께서 불의의 교통사고로 갑자기 돌아가셔서 장례미사를 했을 때였다. 공교롭게도 이번도 비슷한 연도, 하지만 이번은 만수씨의 장인어른의 연도였다.

이만수씨 가족은 우리가 1989년 아틀란타로 이사를 오면서 만난 첫 ‘가정’중의 하나다. 이것도 인연일까. 지난번에 위스컨신주의 매디슨에 살 당시를 회고하는 글을 썼을 때, 그곳에서 나는 강정열 박사님 댁에 대해서 언급을 하였는데, 이만수씨네 가족은 강정열 박사님의 사모님의 남동생 되시는 이주황 선생님의 가족인 것이다.

이만수씨는 이주황 선생님의 장남이었고 그 집은 나와 같은 평창이씨 가족이었다. 매디슨과 평창이씨의 인연으로 사실 우리는 만수씨네를 우리 가족같이 느끼게 되었다. 2남 1녀의 단란한 평창이씨 가정.. 그런데다 우리와 같은 천주교 집안이었다. 비록 가장이신 이주황 선생님은 성당에 가끔 나오셨지만 가족들이 가는 것은 마다 않으셨다. 한양대학교에서 근무를 하시다 이민을 오셨다고 했는데 과거의 이력을 다 잊으시고 세탁소를 열심히 운영하시면서 가정을 이끄셨는데, 2002년 5월에 비교적 젊으신 연세에 세상을 떠나신 것이다.

장남, 이만수씨, 그 당시는 나와 상당한 나이차이 때문에 반말을 썼지만 이번에 다시 만날 때는 그럴 수는 없었다. 그도 이제는 어엿한 가장이었기 때문이다. 덩치가 상당히 크고 아이스하키를 거의 pro처럼 하던 그가 1994년 그가 갑자기 결혼을 하게 되면서부터 서로 오가는 것이 끊어져 버렸다. 우리도, 그도 서로가 자연스럽게 잊고 살게 된 셈이다.

결혼 전에는 computer분야에 상당히 관심을 보여서 DeVry Tech에서 computer technology로 학위를 받기도 했는데 사실은 생각처럼 적성에 맞지는 않았던 것 같았다. 예상에, technology 쪽으로 직장을 잡을 것처럼 생각되었지만 의외로 완전히 retail business쪽을 투신을 한 것이다. 비록 거기서도 computer를 쓰긴 했겠지만 조금은 기대 밖이었다. 나중에 만수씨 어머님을 성당에서 가끔 뵈었는데, 소식에 business가 상당히 큰 규모라 정신이 없다고 했다.

그러다가 이번에 실제로 만나게 된 것이다. 연도 후에 참석한 사람들이 다 모여서 식사를 하는 자리에서 그와 오랜 회포를 풀었다. 서로 무슨 time machine을 탔던 기분까지 들었다. 만수씨는 별로 안 변했지만 나는 그가 보기에 무척 변했으리라.. 나를 알아본 것만 해도 다행이라고 생각되었다. 그는 20대에서 40대로, 나는 40대에서 60대로 변했으니.. 그 변화는 짐작이 되지 않는가? 그래도 만수씨는 옛날 나를 형님처럼 따르던 그때의 모습을 간직하며 다정하게 나를 대해 주었다.

이제는 서로의 소식을 알았으니 가끔은 연락을 하며 살 수 있게 되기를 바라고 있고, 궁금한 것 중의 하나.. 만수씨 가족이 평창이씨 무슨 파인지.. 그것이다. 혹시 나와 같은 익평공파가 아닐까.. 희망이지만 가능성은 있지 않을까? 그 때 들었던 사실 중에 우리 본당의 성가대장이 또 평창이씨 라는 소식도 있었다. 그 후에 조금 알아보니 40대의 남자라고 들었다. 언젠가 기회가 되면 더 알아보고 싶고, 이런 식으로 종친들이 많이 보이면 모임도 가지면 어떨까 하는 상상의 나래도 펴 본다.

 

Building Wireless Sensor Networks

A Good Introduction to ZigBee & Arduino
A Good Introduction to ZigBee & Arduino

얼마 전에 비교적 최근 (2010년 12월) O’REILLY에서 출판된 ZigBee network에 대한 이 책을 샀다. 저자는 이 방면에서 요새 많이 알려진 New York UniversityRobert Faludi 교수인데, 제목을 보면 분명히 embedded systems에 대한 것이고 조금 더 살펴보면 embedded systems engineer보다는 hobbyist를 독자로 겨냥을 한 듯하다.

내가 마지막으로 serious하게 embedded system을 ‘만진’ 것은 거의 10년이 넘었다. 나는 거의 한평생을 computer engineer로 일을 했지만 여기서의 computer란 것이 사실은 embedded system이 거의 전부였다. 첫 직장이 Columbus, Ohio에서 Dynamic Telecom Systems(DTS) 이란 start-up company였는데 그곳은 그 당시 AT&T의 시장독점이 끝이 나면서 새로 생긴 경쟁업체, MCI란 회사에 납품을 하던 automatic telephone dialer를 만들던 회사였다. 나는 그때부터 직장생활이 끝나는 날 까지 micro-controller based ’embedded systems’을 design, 처음에는 거의 hardware에서 나중에는 거의 software를 design하며 세월을 보냈다.

하지만 business software나 Internet programming과는 달리 이런 것들은 집에서 혼자 하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를 않았다. 우선 최소한의 systems laboratory가 있어야 하는데 그것은 상당하니 투자가 필요한 것이었다. 그래서 자연히 embedded system을 떠나게 되었고 거의 모든 일들이 Internet, network PC쪽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나의 마지막 직장이었던 Rockwell Automaton에서 industrial PC를 design했던 것으로, 비교적 standard, generic system에 대한 경험을 얻게 된 사실이었다.

Open design, Arduino

그러다가 얼마 전에 open hardware platform인 Arduino란 tiny system에 대해서 알게 되었는데 가격이 아주 좋아서 구입을 하게 되었다. 참, 세상이 많이 좋아진 것이 거의 모든 것이 open system쪽으로 (Linux 덕분에) 변해서 정말 모든 것들이 거의 free가 되었다. 나 같은 사람에게는 정말 구세주 같은 세상이 된 것이다. 거기에 wireless까지 합세를 해서 정말 smart, remote, connected system을 아주 저렴한 값에 design을 할 수 있게 되었는데, 여기서 wireless쪽은 ZigBee란 것이 아주 promising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consumer에게 잘 알려진 WiFi와는 비교를 할 수 있지만 그 용도가 아주 다르다. 주로 physical, environmental sensors와 controller를 염두에 두고 만든 것이다.

ZigBee2, XBee radio
ZigBee2, XBee radio

그러니까 WiFi같은 Internet을 위한 것이 절대로 아닌 것이다. 그래서 더 재미가 있지 않은가? 한번 ‘속는 셈’치고 오늘 이 책에서 언급된 hardware parts들을 order하였다. 처음 사는 것들이라 조금 투자를 하는 기분이었다. 내가 현재 구상하고 있는 것은 현재 집에 설치된 power-line based X-10 network을 모두 ZigBee-based network으로 바꾸려는 것인데.. 아마도 시간이 꽤 걸릴 듯 하지만, 이 과정에서 ZigBeeArduino system의 확실한 경험이 생길 것이라는 희망을 해 본다.

 

싱그러운 5월, 성모성월이여..

First of May, my friends’ forever day 다음날 아침, 조금 머리가 띵~해지는 느낌.. 올 들어 웬 놈의 찐한 뉴스들이 쏟아지는 것일까? 며칠 전부터 요한 바오로 2세의 시복식에 대한 뉴스가 온통 나의 머리 속에서 맴돌고 있었는데 오늘은 난데없이 이 개** Bin Laden이 모든 뉴스를 장식하고 있으니.. 죽어서도 이렇게 나를 괴롭히는 것일까? 나의 바램은 그저 이런 **는 소리 없이 사라지면 하는 것이었다. 뉴스의 한 점도 장식할 값어치도 없는 개만도 못한 **니까..

사실 교황 시복식을 전후해서 은총이 충만한 계절임을 느끼려고 노력을 하고, 그 만큼 마음도 가벼워지고, 평화를 느낄 수 있었다. 오늘은 어제의 시복식 후에 이어지는 감사미사까지 아무 ‘잡음과 혼란’이 없이 무사히 정말 멋있는 시복식의 말미를 장식하길 바랬다. 그것이 역시.. 이 개**가 죽으면서 까지 방해를 하나.

복자품에 오르시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복자품에 오르시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교황 시복식에 백오십만 명의 순례 객이 찾았다고 한다. 2005년 4월 교황 서거 이후 최대의 순례 객이라고 한다. 나는 인터넷의 CatholicTV.com에서 시복식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 보았다. 정말 엄숙하면서도 축제분위기의 그 곳 광경을 보면서.. 처음으로 나도 저런 곳에 한번 가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번 시복식을 가능케 한 프랑스 출신의 Marie Simon Pierre 수녀님도 close-up해서 잘 보여주었다. 우리 본당 레지오 단원 요안나 자매님께 지난 주일에 교황님께 부지런히 화살기도를, 그것도 ‘빛의 신비‘를 중점으로 하시라고 권해 드렸다. 프랑스 수녀님의 경험담을 듣고 그랬는데.. 누가 알까? 이 자매님은 비록 Parkinson’s disease가 아니고 다른 병이지만 교황님의 ‘전구 은총’에 나도 기대보려는 의도였다.

 

5월은 점점 내가 좋아하는 달 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큰 원인은 기후적으로도 그렇지만 제일 큰 이유는 ‘성모성월’이기 때문이다. 세속적으로도 가정 중심, 어버이, 어린이 날 등이 있지 않은가? 모든 것이 ‘어머니’를 생각하게 하는 그런 싱그러운 달이다. 시작이 Bee Gee’s First of May로 시작이 되고, 하느님 자비의 날로 천주 교회력도 시작된다. 불교의 석가 탄신 일도 있지만 이것은 내가 고국을 떠난 아주 후에 생겨서 별로 추억이 없어서 별 기분을 느낄 수가 없다. 본격적인 여름으로 가는 때, 정말 멋진 달이다. 돌아가신 사랑하는 나의 어머님을 마음껏 생각할 수 있는 그런 좋은 한달..

 

 

Extreme late April weather

완전히 파괴된 Alabama주의 한 피해지역

무섭다.. 정말 무섭다.. 이것은 정말 영화를 보는 것 같았다. 1990년대의 영화, Bill Paxton, Helen Hunt주연의 Twister를 보는 기분이었다. 문제는 이것은 영화가 아니고 ‘진짜’ 인 것이었다. 그것도 우리가 사는 Atlanta Metro area를 남과 북으로 비켜 지난, 정말 아슬아슬한 thrill & suspense였다. 이것이 ‘만약에, 만약에’ 이곳을 지나갔다면, 아마도 2005년의 mega disaster hurricane Katrina와 맞먹는 피해를 냈을 것이다. 그날 밤은 정말 ‘으시시한’ 열기가 하늘에 가득 차 있었다. 그 밤중에 기온이 80도를 훨씬 넘었으니까..

지난 수요일, 4월 27일 오후부터 Mississippi에서 시작된 이 mega tornadoes는 Alabama에서 절정에 달했고 사망자만 330명에 달했는데, 문제는 이것이 사람들이 많이 사는 곳을 지나갔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힘’이 EF-5, 그러니까 최고의 파괴력을 가진 것이어서, 200mph(시속 200마일)를 넘는 거대한 회오리바람은 사실상 커다란 집들이 기초부터 깨끗이 ‘날라갈’ 정도였다.

미국에 오래 살면서 이정도 파괴력의 tornado는 본 적이 없었다. 이 정도면 집안의 안전한 곳에 ‘숨어’있어도 살아 남기가 힘들 정도가 아닌가? 이러면 조금 겁이 안 날 수가 없는 것이다. 아주 오래 전의 classic fantasy movie, the Wizard of Oz..의 Kansas에서 Dorothy의 집이 통째로 날라가는 것을 상상하면 될 정도다.

제일 피해가 심한 곳이 그 유명한 football powerhouse Crimson Tide의 주인공인 University of Alabama가 있는 campus town, Tuscaloosa였다. 다행히 대학자체는 피해가 그렇게 크지 않았던 것 같지만, football stadium이 완전히 makeshift recovery staging area로 변한 것을 보면 이것도 무슨 영화를 보는 기분이다.

이것을 보면서 ‘왜, 왜..’라는 질문이 안 나올 수 없다. 물론 통계적으로 보면 큰 문제가 없겠지만, 그래도 조금 심한 것이 아닌가? 이것도 extreme weather pattern의 하나일 것이다. 그러면 왜 이렇게 모든 것들이 extreme으로 갈까? TV show를 보아도 모든 것들이extreme 인 것들이다. 사람들이 이제는 웬만한 것들에는 ‘자극’을 못 느끼나? Mother Nature가 조금씩 ‘불평’을 하는 것일까.. 생각이 착잡해지고, 이제부터 tornado 경보가 나오면 재산피해보다는 ‘생명의 안전’을 더 생각해야 할 듯하다.

 

Stupid wordpress “Jetpack” STAT

What did they do with this reliable ‘old’ wordpress.com stat? Months ago, it simply stopped working, then behaved weird a few days. I already had accumulated a year’s worth stat by then, but it now looked so strange. A few googling revealed the ‘old’ style wordpress.com stat server, which apparently runs by AUTOMATTIC (the wordpress company) was upgrading the whole thing. Well, no complaint for this, that’s theirs anyway, but for me it was frustrating anyway.

Then, boom! Jetpack? Wow.. the old venerable ‘stat’ is now bundled with many other junks! No choice but to have to install the ‘bloated’ stat to keep my old year’s worth stat. Now the fun part here. Yesterday, I accidentally ‘deactivated’ Jetpack (100% accident), so it was immediately reactivated. How stupid the Jetpack was..it never bother to ask ‘you might lose the whole previous stat’ part. Amazing, after reactivation, I have a 100% clean history, it has reset my year’s worth history clean! Who has come up with this stupid ‘design’ anyway?

 

 

부활주일에..

요한 바오로 2세
요한 바오로 2세

결국은 부활주일이 되었다. 올해는 사실 재의 수요일(Ash Wednesday)부터 부활절까지의 40일, 사순절 (Lent)이 조금 길게 느껴졌다. 왜 그랬을까? 짧게 느껴졌다면 아주 착실히 바쁘게 40일을 보냈을 것 같기도 한데, 그것이 아닌 것을 보니 조금 게으르게 보낸 것이 아닐까. 2008년의 사순절을 또렷이 기억한다. 그 전해부터 시작된 묵주기도의 덕분일까.. 그 해의 사순절은 정말 보람 있는 시간들이었다. 그렇게 좋아하는 커피, 불필요한 TV보기 등을 자제하고, 신약성경, 특히 사도행전과 바오로 서간문을 열심히 읽고, keyboarding으로 copy를 하기도 했다. 그 해부터 처음으로 성주간 4일의 미사를 빠지지 않고 갔었다. 그것에 비하면 올해는 아무래도.. 하지만 이번에는 레지오 활동을 한다는 사실이 조금 나를 안심시킨다. 비록 아직 협조,활동단원을 한 명도 이끌어 들이지는 못했지만.. 같은 구역의 ‘미영이 아빠’를 현재 계속 권면 중이라서 조금 기대를 걸어 보기도 한다.

부활주일이 시작되면서 이제는 온통 나의 관심이 5월 1일 자비의 주일(Mercy Sunday)에 이루어 질 우리의 희망 요한 바오로 2세(John Paul II)의 시복식(beatification)으로 쏠린다. 현재 내가 가장 존경하는 사람중의 하나가 바로 요한 바오로 2세이시다. 역사적인 인물로도 그렇지만 신앙적인 면에서는 존경의 차원을 넘는다. 우리 천주교의 자랑이고, 천주교 ‘중흥’을 이룩하신 거룩한 ‘예수님 제자의 후예’이시다. 하지만, 완전한 인간이 어디 있겠는가.. 옥의 티라고 한다면 오늘 NPR news에서도 보여 주듯이, 일부 ‘악마가 씌운’ 신부들의 어처구니 없는 ‘성추행’.. 을 조직적으로 뿌리를 뽑지 못했다는 사실이다. 그것이 천주교의 ‘비밀’스러운 관행 때문에 쉽지는 않았으리라 생각한다. 그것 이외에는 정말 오류가 없다. 하느님이 아닌 다음에야 어찌 오류가 없을 수 있으랴. 특기할 사실은 지금 교황께서 거의 ‘오해를 살 가능성까지 감수하면서’ 초특급으로 이것(시복)을 밀어 부친다는 사실이다. 그 정도로 자신이 있다는 증거일 것이다. 개인적으로 나는 정말 고맙고, 현명한 처사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Were you there..

오늘은 이곳에서는 Good Friday, 그러니까 주님 수난 성금요일이다. 어제부터 시작된 예수님 부활절로 향하는 성3일 중 가장 절정을 이루는 날일 것이다. 가장 어두운 날이라고 할까.. 하지만 이날이 있기에 부활이 있고, 따라서 기독교가 있는 것이므로 그 어둡고, 고통스러운 시간을 보내야 한다. 어제는 예수님의 제자들과의 만찬이 주제를 이루고, 미사에서는 신부님들이 12명의 신자들의 발을 씻는 의식을 한다. 오늘은 모든 신자들이 십자가 경배 (주로 십자가에 손을 대거나 입을 맞추는)가 주요 의식이다.

이렇게 우리가 성3일 미사를 가게 된 것이 몇 년이나 되었을까.. 사실, 불과 몇 년밖에 안 된다. 예전에는 부활절 미사만 갔었다. 이것은 사실 큰 ‘발전’이다. 부활절을 이렇게 ‘준비’하는 것은 정말 많은 이 날에 많은 의미를 주는 것이니까. 특히 얼마 전에 시작된 레지오 활동으로 나에게 부활절의 의미는 더 커지게 되었다. 이제는 조금 더 예수님의 passion(수난)을 피부로 느끼게 된다고 할까.. 예전에는 사실 먼 옛날의 ‘사건’ 정도, 아니면 나와는 너무나 먼 ‘끔찍한’ 이야기 정도로 느끼고 살았다. 이제는 조금 나에게 더 가까이 다가온 느낌이 든다. 그래서 그런지 오늘 꼭 부르는 성가 “Were you there( when they crucified my Lord)” 란 곡.. 오늘 밤, 십자가 경배 중에 기타에 맞추어 불리던 그 곡, 어쩌면 그렇게 예수의 수난을 잘 그려냈을까..

 

Were You There?

 

참된 행복이란..

아틀란타 성당 소책자: 참된 행복으로 초대합니다
아틀란타 성당 소책자: 참된 행복으로 초대합니다

어제는 <<Legio Tuesday>>로 정기 레지오 회합에 참석차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엘 다녀왔는데, 그때 연숙이 조그만, 아주 조그만 pamphlet을 그곳에서 가지고 와서 나에게도 주었다. format이 아마도 선교용으로 만들어진 듯 했다. 우리에게 친근한 모습, 고 김수환 추기경의 짧은 글이 실려있었는데 제목이 ‘행복’이었다.

진정한 행복이란 과연 어떤 것인가.. 그것을 너무나 쉽게 풀어 주셨다. 사랑과 긍정..이것이 잠시의 행복이 아닌 영원한 행복을 향하는 하느님과 예수님의 초대라는 말.. 요새의 세속적인 행복은 주로 건강, 지위, 명예 같은 것이고, 그것은 특히 돈으로 더 가능하게 되어버린 세상에서 “짧아도 짜릿한” 행복을 맛보려는 사람들 투성이다. 생각을 해 보면 그것들은 너무나 짧고, 그 뒤의 허탈감은 사실 불행의 시작일 수 있다는 사실들을 모를까? 나는 그것보다는 지금 앞에 보이지 않아도 먼 후일에 있는 ‘영원한 행복’을 더 기다린다. 오늘부터 예수수난과 부활의 시작인 성삼일, 특히 오늘 저녁은 최후의 만찬, 세족례(예수님께서 제자들의 발을 씻어주는 것을 기념하는)로 이루어 지는 성 목요일 미사가 시작이 된다. 부활을 향한 3일간의 첫날인 것이다.

 

행복

 

추기경 김수환

 

행복에 대해 말하기 위해 일상생활부터 생각 해보기로 합시다.

우리는 얼마 전에 신정과 구정을 지내며 자연스럽게 서로에게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라고 인사를 전했습니다.

우리 문화권에 ‘복’은 ‘건강하고 무병장수 하는 것’ 이라는 내용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바라는 모든 것이 성취되길 기원해주고 축복해줍니다.

그러나 이런 모든 것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그 사람이 사람답지 못할 때에도 그것이 참된 의미의 ‘행복’이 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성북동의 한 음식점에 걸려있는 족자에는 아홉 개의 ‘ㅁ’자가 써있었습니다.

‘사람아, 사람아, 사람! 사람이 사람이라고 다 사람이냐! 사람이 사람다워야 사람이다! 라는 의미를 지닌 족자였습니다.

아무리 인물이 잘나고, 건강도 좋으며, 돈이 있고, 높은 직위에 있다 할지라도, 만일 그 사람이 그 삶에 있어서 ‘인간’ 답지 못하다면 우리는 그 삶을 ‘사람답다. 그 사람이 행복한 사람이다!’ 라고 생각하지 못할 것입니다.

오히려 반대로 비록 좋은 건강, 많은 돈, 높은 직위가 없는 사람일지라도 참으로 인간으로서 인간답다면 ‘참사람이다!’ 라고 볼 것입니다.

 

이달 첫 주에 나온 주간지 뉴스메이커에 ‘행복하게 나이 먹기’ 라는 제목의 보고서가 커버스토리에 실렸습니다.

 

어떻게 하면 늙으면서도 행복할 수 있는가? 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돈이 노후에 행복한 삶의 비결이라 생각하는 이들이 우리 가운데 많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하버드대학 성인발달 연구소에서 820명의 미국인들을 대상으로 80년 이상의 발달 과정을 분석한 이 보고서에 따르면 성공적인 노화의 열쇠는 금전적인 것이 아니라, 자기 관리와 사랑하는 것이고, 신체적 요인들보다도 더 건강을 보장하는 것은 성숙한 [방어기제] 였다고 합니다.

[방어기제]란 불쾌한 상황에 부딪혀도 심각한 상황으로 몰아가지 않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화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합니다.

 

지난해 1월, 대구에 있는 성 베네딕트 수녀원에서 6.25 동란 동안 인민군에게 끌려가 많은 고생을 한 후 풀려나 다시 한국에 와 사시는 독일인 수녀님 두 분의 생환 50주년 축하식이 있었습니다.

그 자리에서 그분들은 자신들의 전 생애 중 가장 행복했던 시절이 그 당시였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 당시에는 모든 것을 잃고도 하느님 말씀대로 서로를 사랑하고, 심지어 자신들을 박해하는 공산당까지도 용서하고 사랑할 수 있었기에 그때가 가장 행복했다고 하셨습니다.

 

인간의 행복은 도대체 무엇인가요? 행복에 대한 예수님의 인식은 인간 세상에서 간주되는 그것과는 다릅니다.

현세는 현세의 잣대로 행복을 말하지만, 예수님은 영원하신 하느님의 관점으로 인간과 인생을 보기에 행복에 대한 관점이 다릅니다.

인간 존엄성과 관련하여 성경말씀을 요약해 본다면 하느님은 우주를 창조하시고 창조의 정점에서 인간을 만드셨습니다. 하느님 보시기에도 당신께서 지으신 피조물이 참으로 마음에 드셨다고 합니다.

하느님은 극진한 사랑으로서 만물을 창조하시고, 특히 “세상을 너무나 사랑하신 나머지 외아들을 내주시기까지” (요한 3,16) 인간에 대한 하느님의 사랑은 영구적이고 절대적이며 극진하십니다.

인생과 그 미래는 하느님으로부터 당신과 함께 사는 [영원한 생명]으로 초대를 받고 있기 때문에 위대하며 원대합니다.

바로 여기에 인간 존엄성의 가장 존귀하고 숭고한 이유가 있습니다. 존엄한 인간에게 [참 행복]이란 [영원하신 하느님과 하나]되는 데 있습니다.

결국은 현재 이승에서부터 [그 분 안에 살 때], [그분의 사랑 안에 살 때], 그때 우리는 [참된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다고 믿습니다. 그곳에 우리가 찾는 참된 행복이 있다고 믿습니다. 감사합니다.

 

Me & my dog named Tobey

어느날, 나의 무릎에서 노는 Tobey
어느날, 나의 무릎에서 노는 Tobey

Tobey, 토비, 토우비.. 우리 집 개, 강아지의 이름이다. 종자는 역시 잡종으로서는 조금 드물게 치와와, 닥션드(Chihuahua & Dachshund) 사이에서 2004년 12월에 태어났다. 그러니까 6살이 조금 지난 ‘중년’에 속한다. 하지만 small breed 때문인지 크기가 작아서 (20 파운드 이하) 그런지 누가 보아도 ‘강아지’ 로 본다. 우리 집에서 태어난 것이 아니고 알고 지내던 연대 후배의 집에서 낳는데 개가 많아서 우리 차례가 된 것이다. 그래서 우리 집에는 2005년 초에 오게 되었다.

이전에도 개를 길렀으나 모두 밖에서 키웠고, 그 중에서 제일 정이 들었던 Lucky란 개는 우리 집에서 수명을 다하고 천국으로 갔다. 그것이 2003년 여름이었다. 떠나고 나서 제일 후회스러웠던 사실은 밖에서 키워서 우리의 보살핌에 한계가 있었고, 정도 그만큼 덜 들었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다시 갓 태어난 puppy가 왔을 때는 결심을 하고 집 안에서 키우기로 하였다. 이름은 아이들이 Tobey라고 즉시 지어버려서 우리 부부에게 이름을 지어줄 기회가 없었다.

뒷뜰에서 보물을 찾는 3개월이 된 토비, 2005년 봄
뒷뜰에서 보물을 찾는 3개월이 된 토비, 2005년 봄

완전히 갓 태어난 상태로 왔는데, 꼭 생쥐 정도의 크기로, 어찌나 활발하게 집안을 돌아다녔는지.. 덕분에 금새 정이 들게 되었다. 그리고 곧 이 녀석의 독특하고, 고약한 습관들을 보게 되었다. 그것은 치와와 쪽의 성깔이었는데.. 자근자근하지만 아주 따갑게 bite하는 것이었다. 나이가 들면 조금 나아지리라 식구들 모두 희망을 했지만 역시 그 치와와 쪽의 피는 못 속이는 모양이다.

이 녀석, 토비는 나와 특별히 정이 많이 들어서 그런지 하루 종일 나를 따라다닌다. 따라다니는 정도가 아니다. 나의 앞 쪽으로 와서는 눈을 크게 뜨고 나를 ‘응시’하는 것이다. 이것도 변하려니 했지만 아주 고질로 남아 버렸다. 사람이 똑바로 보는 것과 그렇게 차이가 없이, 아주 신경이 쓰이는 것이다. 나만 그런 줄 알았더니 다른 식구들도 불편하게 느끼는 건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이 버릇을 어찌 고치랴? 나를 좋다고 앞에 와서 쳐다보는 것이 어찌 나쁘단 말인가.. 그렇다.. 내가 생각을 고쳐먹는 것이 도리가 아닐까?

이 정도면 별로 이야기 꺼리는 못될 것이다. 큰 사건은 몇 번인 있어서 우리들을 아주 긴장시켰다. 이곳에서 몇 년 전에 크게 hit한 영화(non fiction book으로부터)Marley & Me 것이 있다. 부제(sub title)가 world’s worst dog 인가 해서 아주 인상적이었다. 물론 여기서 ‘최악’이란 것은 거의 반대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장난과 사고를 매일 치는 그런 개와 살다 보니 역시 거의 사람이상으로 정이 든 것이다. 우리가 그런 것과 비슷한 경우다.

2006년에 한국에서 연숙의 조카 서수경이 한 살짜리 아들 대현이를 데리고 놀러 왔었다. 매일 조마조마한 것은 물론이다. 무슨 사고라도 날까 봐.. 하지만 예상외로 싸우면서도 정이 들면서 집으로 돌아가는 며칠 전에.. 나의 실수로 대현이 코를 물어버리는 대형사고! 이건 100%..나의 잘못이었다. 별로 문제없이 잘 지낸 듯해서 내가 안심을 하고 토비를 내가 안고 대현이 코에다 토비 코를 맞춘 것이다. 정말 눈 깜짝할 사이에 대현이 코를 물어버렸다.. 헉…기억을 하고 싶지 않다. 수경아.. 이 바보 같은 이모부를 용서해다오.. 다행히 생각보다 상처가 크진 않았지만.. 정말 아찔한 사고였다.

하지만 식구를 bite하는 것과 stranger를 bite하는 것은 전혀 다르다. 법적인 문제가 생길 수 있는 것이다. 드디어 2008년 여름에 대형사고가 났다. 우리 동네를 거의 매일 걷는 Mr. Gleason이란 같은 subdivision(동네)에 사는 아저씨 (나보다 어린)가 있었다. 거의 정기적으로 걷다가 마주치면 그렇게 사람이 좋을 수 없었고, Tobey도 반겨주곤 하던 사람이다. 그런데 운명의 그날.. 그 아저씨가 우리 집 앞을 지나칠 때, 공교롭게도 Tobey는 우리 집 backyard에 있었는데 눈 깜짝할 사이에 집 앞으로 튀었다. 내가 쫓아 갔지만 그 속도를 어찌 따르랴.. 그 아저씨는 자기가 반가워서 뛰어오는 줄 알고 손을 내밀었는데.. 손가락을 세게 물어버렸다. 손을 보니 피가 나오고 있었다. 그래도 그 사람 워낙 사람이 좋아서 별로 내색은 하지를 않았다. 다만 Rabi주사(광견병 접종)를 맞았냐고 만 물었다. 물론 맞았지만..

이런 사고가 나면 많은 사람들이 ‘고소’를 한다. 심하면 우리 Tobey는 ‘사형’에 처해 질 수도 있는 것이다. 정말 우리들.. 운이 좋았다. 세상에 그렇게 마음씨 고운 사람도 있는 것이다. 자기는 개를 아주 좋아한다고 우리를 위로하였으니까.. Tobey야.. 너 정말 운이 좋았다. 문제는 우리 집에 dog fence가 없다는 것이다. Backyard로 볼일을 보러 나가면 꼭 사람이 옆에서 지키고 있어야만 한다. 하지만 이제는 그렇게 할 수가 없다. 너무나 빨리 뛰는 것을 보았으니까. 비록 너무나 까불고, 날뛰지만 왜 그렇게 다른 사람을 물었을까? 역시 치와와의 피? 이것은 훈련으로도 고치기 힘들다. 유일한 방법은 집밖으로 불시에 튀지 않도록 하는 것 밖에..

Tobey fence finished, 2005년 8월
Tobey fence finished, 2005년 8월

그래서 부랴부랴 dog fence를 세웠다. 보통 철망으로 하지만 미관상 그렇게 할 수 없어서 lumber를 사다가 외관상 보기 좋게 세웠더니.. 정말 그렇게 편할 수가 없었다. 우리가 없이 backyard로 내 보내도 아무런 문제가 없으니까.. 일찌감치 만들어 놓을 걸..하는 후회도 있었지만 지금이라도 만들었으니까..

그 이외에 우리식구들도 가끔 조금씩 물리는 작은 사고는 계속 있었지만 이제는 우리도 적응이 되었다. 왜냐하면 이 녀석이 bite하는 때는 아주 특정한 situation이어서 그런 것을 가급적 피하는 것도 배우게 되었다. 반대로 ‘외부인’을 아주 싫어해서 사실 watch dog역할은 잘 할 듯 싶다. 도둑이 와도 아마 우리 집은 제일 나중에 털 것이다. 이런 조금 ‘나쁜’ 것을 제외하고는 이 녀석은 거의 우리 집 식구나 다름이 없고.. 특히 우리 부부의 습관을 너무도 잘 알고, 이용을 하는 아주 명석한 놈이다. 그것 이외에도 나와 거의 모든 시간을 같이 옆에서 보내는 탓에.. 비록 말을 못해도 내가 슬퍼하거나, 고민을 하거나 아주 가끔 울거나 하면 꼭 와서 ‘위로’를 한다. 이것은 사실 웬만한 사람이나 친구보다 낫다. 외로운 이 세상에서 이놈이 나에게는 best friend인 것이다.

 

수난,성지주일: Palm Sunday 2011

Palm Sunday of the Lord's Passion 2011
Palm Sunday of the Lord’s Passion 2011

오늘은 미국성당에서는 Palm Sunday of the Lord’s Passion이라고 하고 한국 성당에서는 수난의 성지주일이라고 하는 부활 전 마지막 일요일이다. 올해의 미국본당에서 나누어 준 five minutes with the Word Lent 2011라는 사순절 묵상용 소책자를 보면 오늘은 하느님의 인류를 위한 거대한 계획의 절정으로 향하는 마지막 주일로 묘사가 되어있다. “Today marks the beginning of Holy Week, the most significant week of the year. Everything that Jesus said and did while on earth was leading up to this week, to the moment of the cross, the climax of God’s great plan for humanity.

이제야 조금씩 이 흔히 말하고 들어왔지만 별로 깊이 생각하지 못하던 말들이 귀에 들어오고 의미를 알 것만 같다. 그리스 신화가 아닌, 진정한 역사 속의 예수이기도 한 이 ‘엄청난 사건’을 어찌 그 동안 그렇게 값싸게 쉽게 수동적으로 들어왔을까. 이것도 나이가 들어가면서 저절로 생기는 지혜일까, 아니면 노력에 의한 보답일까, 아니면 그 것을 훨씬 초월한 높은 곳으로부터의 ‘은총’일까.. 이번 사순절은 이것 하나만으로도 나는 만족을 해야 할 것만 같다.

크리스마스보다 부활절을 더 기다리게 된 지도 몇 년이 지나간다. 한마디로 군중심리에 쉽게 따르는 세속적 신자에서 그나마 조금은 진솔하게 십자가의 의미를 알려 노력하는 신앙적 신자가 되고 싶은 그런 시간들이 나의 앞에 갑자기 펼쳐진 것이다. 잔머리를 굴리며 의심하는 습관도 많이 누그러지는 느낌이다. 사탄이 얼마나 나의 주변에서 배회하고 있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전 보다는 훨씬 나를 유혹하는 것이 쉽지는 않을 것이다.

유난히 싸늘하게 변한 이곳의 4월 중순.. 다시 palm tree잎사귀를 받아 들고 주님 수난 성지주일의 미사를 보면서 나와 우리가족의 부활은 어떤 것일까 생각을 한다. 희망의 대명사가 되어버린 부활.. 예수님과 같은 기적적인 부활은 너무 나에게는 비약된 것이지만 그 이외의 아주 작은 기적 같은 것은 절대로 먼 곳에 있는 것이 아니다. 오늘 나누어 받은 palm tree이 다시 내년 ash Wednesday에 재로 변해서 나의 이마에 십자가를 만들 때까지 과연 나는 어떤 작은 기적을 기대할 수 있을까.. 예년과는 다르게 오늘은 깊은 생각을 하게 된다.

 

나의 오랜 친구, 야마하 기타

나의 오랜 벗, 야마하 기타 20년만에 목소리를 갈았다
나의 오랜 벗, 야마하 기타 20년만에 목소리를 갈았다

얼마 전에 정말 오랜만에 기타의 줄을 갈았다. 오랜 만이란 것이 과연 얼마나 오래 되었는지 솔직히 잘 모르겠다. 하지만 최소한 20년은 넘었을 것 같다. 아틀란타로 이사를 와서 줄을 간 기억이 전혀 안 나기 때문이다. 우리가 1989년에 이곳에 이사를 왔으니까 20년은 분명히 넘었다.

어떻게 그렇게 오랫동안 줄을 안 갈았을까? 쉽게 말해서 ‘사는데 바빠서’, 그러니까 별로 기타를 칠 기회가 없어서 그랬을 것이다. 현재 나의 기타는 1981년경에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에 살 때 산 $200짜리 중고 “야마하” 통기타(acoustic guitar)이다. 그 전에는 총각 때 시카고에서 심심풀이로 쓰던 싸구려 기타가 있었지만 어떻게 없어졌는지 모른다. 그래도 그 싸구려 기타는 1970년대에 여름방학 때마다 시카고에서 택시운전을 하던 서충일 형과 같은 아파트에 살 때 같이 흘러간 노래를 부를 때 톡톡히 한 몫을 했던 것이었다.

그것에 비해서 지금까지 쓰고 있는 YAMAHA기타는 그 당시 나의 경제사정(그 당시도 가난한 학생부부신세)에 비해서 정말 파격적으로 비싼 것이었다. 그때 빠듯한 사정에 그것을 산 것은 그때 콜럼버스 성당에서 성가대를 시작하게 되었던 것이 제일 큰 이유였다. 미국인 성가 팀이 모두 베이스와 기타로 노래를 부르는데 우리가 합세를 한 것이라 우리도 같이 기타를 쓰게 되었던 것이다.

그 당시의 값으로 보아서 나에게는 조그만 ‘가보’가 되었고, 가끔 사람들과 어울릴 때 예전에 즐겨 부르던 folk song, 통기타에 맞는 노래들을 부를 때 이 기타는 효자 노릇을 톡톡히 했다. 세월이 지날 수록 그런 기회가 드물게 되었고, 기타는 어디에 ‘쳐 박혀’있는 지도 모를 정도로 수모를 당하기도 했는데, 얼마 전부터 다시 찾아내서 조금씩 만지고, 추억을 하고 그렇게 다 잊은 것 같았던 기타 코드(chord)들도 기억해 내면서 추억의 노래를 부르게 되었다. 그 동안 하도 노래를 못 하면서 살아서 그런지 완전히 목이 잠겨있었지만 노력을 하니 조금씩 풀려나갔다. 옛 노래와 그에 맞는 기타 코드들도 하나 둘씩 생각이 나기 시작한 것이다. 앞으로 기억이 나는 곡들을 모두 정리를 해 두고, 더 나아가서 추억의 통기타 folk song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여서 즐거운 시간을 갖는.. 그런 꿈같은 꿈도 꾸어본다.

 

1970년 4월 13일

On April 13, 1970, Apollo 13, four-fifths of the way to the moon, was crippled when a tank containing liquid oxygen burst. (The astronauts managed to return safely.) — today’s New York Times

오늘 뉴욕타임스 이메일 뉴스를 잠깐 보니 위의 ‘오늘의 역사’ 구절이 눈에 띄였다. 1970년 오늘에 일어난 ‘사건’이었다. 그 유명한 Apollo 13이 아닌가? 그 중에서도 13이란 숫자가 두 번이나 반복된 것이 인상적이었다. 그리고 ‘나는 그 당시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 하고 생각하는 나를 보게 된다..

어찌 잊으랴.. 뚜렷이 기억을 한다. 나는 그 당시 top news였던 아폴로 13호 폭발사고를 전혀 몰랐던 것을 기억한다. 왜 그랬을까? 그 당시 그 뉴스의 심각성을 아직도 피부로 느끼지 못한 것은 간단히 말해서 그 뉴스를 듣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1970년이면 지금에 비하면 거의 ‘원시적’인 뉴스 매체, 그러니까 신문, 라디오, 흑백 TV가 전부였던 시절이지만 그것을 못 듣고, 보고 하는 것은 특히 그 나이 (20을 갓 넘은)에 힘들었을 것이다.

1970년 4월, 지리산 정상 천왕봉에서 운해를 내려다보며..
1970년 4월, 지리산 정상 천왕봉에서 운해를 내려다보며..

사실, 그 당시 나는 죽마고우 친구들과 함께 지리산 깊은 산중에 있었다. 그렇게 이유는 간단했다. 그 해 초에 아주 오랜만에 재회를 한 원서동 죽마고우, 손용현과, 다른 원서동 친구, 박창희.. 그리고 나 셋은 아직도 눈이 쌓였던 지리산 능선 종주등반 중이었다. 라디오를 가지고 갔지만 뉴스 같은 것을 들을 정도로 편한 등산이 절대로 아니었다. 예상을 뒤엎고, 지리산 주 능선에는 아주 깊은 눈이 그대로 쌓여있어서 걷는 자체가 힘이 들고 시간이 걸렸다. 화엄사에서 출발을 해서 노고단을 거쳐서 계속 천왕봉을 향해서 능선을 따라 걷고 걸었다. 그때 처음 주능선 등반의 매력을 깊이 느끼게 되었다. 그 유명한 지리산의 운해(雲海)란 것을 눈(雪)과 함께 즐긴 것이다. 그때 생각나는 곳들, 노고단, 토끼봉, 지보등, 세석평전.. 천왕봉에서는 다른 코스로 남원쪽으로 하산을 하였다. 그때만 해도 지리산 등반은 그렇게 흔치 않았던 것인지, 하산을 하니까 경찰에서 나와서 입산 기록부에 우리의 이름을 적기도 했다.

거의 일주일 만에 ‘속세’에 나와보니 참 기분이 달랐다. 그때 처음으로 ‘세상을 떠난’ 경험을 한 것이다. 그 당시 나이에 일주일 동안 세상 돌아가는 것과 차단이 된다는 것은 참 힘든 일이었으니까. 일주일 동안의 뉴스 중에 아폴로 13호에 큰 사고가 난 것과, 서울의 ‘와우 아파트’가 붕괴된 것들이 있었다. 사실 와우 아파트 사고가 우리에겐 더 큰 뉴스였다. 그때 서울 시장이 김현옥씨였는데 그 사고를 계기로 ‘불도저’ 스타일의 밀어 부치는 행정에 브레이크가 걸리기도 했다. 그 것이 1970년 4월 이맘때 쯤이다. 조금 후회가 되는 것이 있다면, 지리산 등반은 나와 박창희가 연세대 전기과 4학년 졸업여행(제주도)을 빼먹고 갔다는 사실이었다. 그 당시는 전혀 미안한 마음이 없었지만 세월이 지나고 보니 그것이 아니었다. 졸업여행이 사실은 더 중요한 것이었다. 지리산 등산이야 그 후에 갈 수도 있었던 것이었지만 졸업여행은 그야말로 딱 한번의 기회가 아니었던가? 이런 후회될 만한 일들이 그 후에도 계속이 되었지만, 어찌하랴.. 그때는 절대로 후회란 것을 생각도 못하던 젊은 시절이었으니 말이지..

그 당시를 회상하면 꼭 생각나는 것이 하나가 있는데.. 지리산의 고요 속에서 일주일을 보내고 다시 시끄러운 고향 서울로 돌아와서 위의 등산친구 셋이 어느 다방에서 다시 모이게 되었다. 그때 우리의 아지트는 중앙극장의 길과 퇴계로가 만나는 곳에 있는 지하다방(절대로 이름을 잊었다) 이었는데, 손용현이 먼저 나와서 기다리고 있었는데.. 웃기는 것은 얼굴이 전혀 안 보이고 하얀 셔츠의 상체만 보였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무슨 ‘투명인간’ 영화의 그런 모습이었다. 이유는 용현이가 원래 얼굴이 조금 거무틱틱한 편인데, 이번에 지리산 종주등반을 할 때 쌓인 눈 때문에 완전히 타버리고, 그 당시 지하다방들이 대부분 어두워서 그렇게 보였던 것이다. 박창희가 나중에 와서 똑같이 그것을 보고 한참을 웃었고, 두고두고 그것이 우리의 ‘일화’로 남게 되었다. 그 당시 다방에서는 손용현이 제일 좋아하고, 우리도 열광을 하던 CCR (Creedence Clearwater Revival)의 Who’ll Stop the Rain이 우렁차게 나오고 있었다.

 

Who’ll Stop the RainCreedence Clearwater Revival

 

4월 초의 잡상(雜想)들

나이에 따른 기후의 변화: 봄이 본격적으로 맛을 보여주던 3월 중순 한때의 따뜻함이 거짓말처럼 거의 빙점으로 떨어지는 꽃 시샘 날씨로 바뀌어서 며칠이 되었다. 이제는 이곳의 날씨에 웬만큼 익숙해져서 그런지 하나도 놀랄 일이 아니다. 이런 것들을 젊었을 때는 그저 무관심하게 보냈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 예전보다 훨씬 더 빨리 가는 시계처럼 변하는 기후의 거대한 pattern을 그야말로 몸으로 느끼는 것이다.

이것이 소위 말하는 인생의 연륜이라는 것일까? 60대에 느끼는 기후는 분명히 20대가 느끼는 기후와 다를 것 같다. 똑 같은 기후를 사람마다, 나이마다, 지역마다, 전혀 다르게 느끼는 것은 분명 비과학적인 발상이지만.. 어찌하랴.. 하느님께서 인간을 그렇게 창조하신 것이 아닐까. 요새 내가 제일 좋아하는 날씨는 어떤 것일까? 주저 없이 말할 수 있다. 나는 싸늘하게 비가 내리는 그런 날이 제일 좋다. 나와 TV에 나오는 weatherperson의 의견과는 ‘공식적으로 정 반대’가 된다. 이렇게 사람은 ‘자유로운 의지’를 가진 피조물인 것이다.

 

레지오와 나의 현재: 레지오 (마리애)[Legio Mariae, Legion of Mary] 선서를 한지 2달이 되었다. 3개월 대기단원을 포함하면 레지오 단원이 된 것이 벌써 5개월이 되어간다. 그 동안 내가 얼마나 변했을까? 얼마나 레지오 중심의 생활이 나를 바꾸고 있을까? 매주 화요일 정기회합에 참석하는 것은 군대와 같은 규율에 따른 의무라서 기본중의 기본에 속하지만 나에게는 아주 커다란 의무가 되었다. 별로 정기적인 운전을 하지를 않았던 지난 10년간의 ‘동면’을 깨어버린 것이다. 비록 대다수가 자매님들이지만 많은 ‘사람’을, 그것도 ‘한국인’들을 만나고 살게 되었다. 처음에는 정말 외국에 온 기분까지 느끼며 불편한 적도 많았지만 그 동안 많이 적응이 되어가고 있다.

성모님께 가까이 가는 지름길인 정기적인 묵주기도.. 어떻게 하면 성실하게, 경건하게, 많이 바칠 수 있는가.. 조금씩 방법을 터득해가고 있다. 밤 9시30분에 정기적으로 우리 부부가 하는 것 이외에, YMCA gym에서 운동을 하면서 하는 것, 아침에 Tobey(dog)와 subdivision(우리 동네)을 산책하면서 하는 것, 이제는 드디어 운전을 할 때도 하게 되었다. 그래서 잘 하면 일주일에 100단의 ‘기록’을 깨기도 했다. 이런 반복기도가 무슨 의미가 있겠냐고 의문을 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고, 물론 나도 그렇게 생각을 했지만.. 보라.. 모두들 다 틀렸다. 그대들은 하나만 알고 둘을 모르는 ‘바보’들인 것이다. 이것을 모르면.. 그 동안 나보다 뒤에 입단한 ‘후배 단원’이 들어 오기도 했다. 역시 ‘자매님’이다. 현재 우리 단원들은 내가 더 이상 바랄 것 없이 좋은 분들이라 이런 상태가 계속되기만 바라고 있다.

 

본당협조와 아틀란타 전산팀: 레지오 입단에 따라서 본당협조에도 신경을 더 쓰게 되었다. 비록 주일미사는 우리가 사는 곳 근처의 미국본당(Holy Family Catholic Church)에 나가지만 (거의 10년도 넘게), 역시 본당협조는 레지오가 속하는 아틀란타 순교자성당에서 하는 것이 마땅하다. 그래서 지난 몇 달 동안 속한 곳이 본당 ‘전산관리팀’이었다. 줄여서 전산팀, 아니면 웹팀이라고 불린다. 성당주보에 새 팀 멤버를 찾는다는 글을 보고 자원을 한 것이 벌써 5개월이 되었다.

기대와 현실의 rollercoaster를 타고 갈등을 계속하고 있고, 이곳에서 나의 역할이 조금은 불투명하지만 이것만은 분명하다. 이 일은 레지오의 사명감을 가지고 시작을 했고 그렇게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전과는 조금, 아니 많이 다르다. 절대로 감정적인 결단은 최대한 피할 것이다. 그런 마음으로 시작을 해서 벌써 몇 명이 도중하차를 했지만 나는 아직도 건재하다. 현재 나에게 제일 문제가 되는 것은 나의 정확한 위치를 찾는 일이다. 현재 core member들에게 큰 불만은 없다. 하지만 skill set, technical background, work experience등에서 차이가 있는 것이 분명한 사실이고, 기존멤버들을 내가 설득하거나 할 자신이 없으면 결국은 내가 적응을 해야 하는 현실이다. 내가 보기에 현재 성당의 system이 재정상태에 걸 맞는 ‘최적’ 의 IT system과는 거리가 멀다. 나의 역할을 이것을 조금 더 professional level로 올리는 것인데.. 이것은 technical challenge라기 보다는 political challenge에 더 가깝다. 하지만, 나는 현재 그것을 쉽게 풀 자신이 없다. 그래도 레지오의 정신으로 하면 조금은 가능하게 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