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mrock at Kroger, The Untouchables in Chicago

오늘의 정규 활동, 외출 등이 2시 경에 모두 끝나고 Kroger에서 pickup한 스시, 회덮밥으로 맛있는 점심을 하고 나니 3시가 넘고… 하~ 이렇게 되면 또 하루가 반 이상이 떠나고 있는 것인가?  매일 매일 비슷한 routine이 있다는 것은 좋은 것, 싫은 것이 골고루 섞인 것이다. 심리적으로 안정감과 성취감을 주기도 하고, 반대로 ‘아~ 재미없다~’ 라는 한숨도 주는 것… 노후의 세상은 이런 것인가?
오늘 Kroger에서 우연히 flower, plant section엘 가보니 유난히 눈에 뜨이는 것이 보였다. 혹시~ 하며 보니  아~~ 역시 그것은 St. Patrick’s Day (flowering) Shamrock 이었다. 솔직히 말해서 이제까지는 사진으로만 보았던 것이었는데 오늘 어떻게 이렇게 우연히 나의 눈에 뜨이고 자세히 보게 되며, 사진까지 찍게 되었을까? 3월 17일이 바로 그 날인데… 이날은 나에게 무엇이며, St. Patrick 은 또한 어떤 의미를 주는 것일까?

Shamrock은 Ireland의 상징이고 3쪽의 잎사귀를 수호성인인 St. Patrick가 그리스도교 삼위일체 Holy Trinity의 상징으로 삼았던 전설이 있다. 봄의 상징으로도 느껴지는 초록색은 역시 Ireland를 연상하게 하는데… 세월의 횡포인지, 그들 Irish들의 대다수가 이제는 무섭게 교회를 등지고, 세속화되고 있다는 소식은 우울하기만 하다.

벌써 3월 15일… 3월 15일하면 즉시 떠오르는 구절은~~ 역시 우리 세대에는 ‘3.15 부정선거’일 것 같다. 그러니까 1960년 3월 15일의 ‘억지로 앞당겨진’ 대통령선거, 그것이 사상 유례없는 부정선거였고 한 달 뒤 4.19로 이어지던 역사적 현장의 삼삼하게 눈에 떠오른다.
오늘도 어제와 거의 비슷한 3월의 추위, 날씨를 맞는다. 어제보다는 10도 가량 높다고 하지만 느낌은 아마도 바로 ‘그 3월의 추위’일 것 같다. 이렇게 3월의 중순을 넘으면~ 아, ‘목련꽃 그늘아래서~~’의 찬란한 4월, 촉촉한 봄비의 4월이 정녕 나에게도 오는 것일까…

오늘로써 ‘수난의 시간들‘ 24시간째를 맞는다. 예수 수난 마지막 24시간은 성금요일 오후 4시에 해당하며, 예수님의 시신이 무덤에 묻히시는 것과 더불어,  ‘마리아의 비탄’ 주로 ‘성모의 고통’이 주제인 것을 보면 이 수난의 기도의 저자인  ‘The Servant of God1, 하느님의 종’, 피카레타 도 역시 신실한 성모성심의 소유자임을 알 수 있다.
오늘까지 내가 몇 번의 24시간째 기도 묵상을 했는지 확실치 않지만 이제는 이 분이 겪었고 묵상했던 이 놀라운 영적체험의 dynamic에 조금 익숙해지고 있음은 분명하지만, 아직도 나를 괴롭히는 유혹은 매번, 항상 옆에 있다. 이상한 나의 ‘반발심’이라고 할까? 쉽게 말하면 ‘당신이 무엇이길래… 어떻게 이런 놀라운 체험을…’ 하며 거의 의심하기까지 하는 나의 작은 시기심, 심지어 적대심까지… 왜 그럴까? 이런 깊디 깊은 체험을 함께 나누어 받는다는 사실에 우선은 감사하고 믿고 따라야 하지 않은가 말이다!

웃기게 춥고 싸늘한 나날들, 며칠 만에 매일 아침미사엘 갔다. 그 동안 변한 것이 있다면 ‘거꾸리와 장다리 부부’가 이제는 아침 묵주기도 팀을 인도하지 않고 자리도 뒤쪽으로 옮겨 앉는다는 것이다. 왜 그럴까? 제일 뒷자리에 앉아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혹시 몸이 쇠약해진 것은 아닐지… 이 부부는 모르긴 몰라도 이곳 매일 아침미사에서 절실하게 필요한 분들인데…  역시 세월, 나이의 진행은 이런 것인지, 은근히 매일아침미사의 앞날이 걱정이 된다.

어제 우연히 발견한 YouTube Film Noir move video, 역시 오래된 추억의 영상, black & white TV crime drama, The Untouchables이 바로 그것이었다. 1959년부터 1963년까지 ABC-TV로 4년 동안 방영된 1930년대의 Chicago gang, 특히 Al Capone 을 중심으로 그들을 일망타진 했던 전설적인 인물 Eliot Ness team의 이야기들이다. 이것도 추억의 가치가 있는 것이어서 가능하면 ‘사라지기 전에’ download해 둘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판단했다.
이 TV drama은 한국에 있을 때 전혀 듣도, 보도 못했던 것이었는데… 이유는 간단하다. 이 TV drama들의 시대가 주로 1960년대 초.. 그러니까, 미안하게도 우리의 조국 대한민국에서 TV 를 볼 수 있던 사람이 ‘거의 없었던’ 시절이었으니까.. 우리들이 TV로 미국 TV program을 본격적으로 볼 수 있었던 때는 1960년대 중반 전후였으니까..

내가 이 ‘무시무시하고 음침한 흑백drama’를 처음 본 기억은 1974년 경 시카고에서 TV를 통해 ‘재방영 rerun’된 것이었는데, 나의 관심을 끈 것은 이 drama 속에 등장하는 길거리의 이름들이 귀에 익숙했던 것이고, 알고 보니 그것들은 바로 시카고의 길 이름들이었다. 1930년대 전후를 배경으로 시카고를 주름잡던 Al Capone (우리들은 당시 카포네 라고 불렀다) gang들이 중절모와 신사복을 입고 독특하게 생긴 기관단총을 옆구리에 차고 거리를 누볐던 시절의 광경들이 이 drama에 ‘소설화’ 되어서 재현된다.

하지만 이 drama를 TV에서 보았던 그때 나는 시카고 갱들과 이를 추적하며 잡아들이는 전설적인 수사관 Eliot Ness에 대한 것은 하나도 몰랐다. 이 수사관들은 gang들로 부터의 각종 뇌물 같은 유혹을 뿌리친 덕에 ‘건드릴 수 없다’ 고 해서 the untouchables라고 불린 모양이다.비록  Al Capone는 탈세혐의로 10여 년의 감옥살이를 했지만 워낙 그는 유명한 인물이어서 모르는 사람들이 없었지만 그를 잡아들인 수사팀의 leader격인 노르웨이 출신  Eliot Ness는 나중에 소설화된 이후 이런 TV drama로 간신히 재조명, 영웅시 되었다.

Eliot Ness

이 TV drama는 미국 사회, 특히 1930년 전후 사회상 (특히 지하 범죄상)을 생생하게 묘사하기에 미국 역사 공부까지 된다.  ‘알코올 중독’의 사회적 폐해에 대응해서 등장한 ‘전무후무’한 Prohibition (일명 금주령) 가 헌법화된 것, 비록 알코올 피해는 줄었지만 반대로 지하조직 범죄가 극성을 부리게 된 결과로, 득보다 실이 훨씬 더 컸던 뼈아픈 사실은  급하게, 충분한 여론수렴이 부족한 종교적, 극단적 해법이 얼마나 위험한 것도 실감시켜 준다.

 

  1. 성인 품으로 가는 교회 수속의 첫 단계

Second Anniversary, Trump’s Capitol Attack

잊고 싶지만 절대로 잊지 못할 악몽의 그날, 한편으로 까마득한 옛날처럼 다가오고 [잊고 싶기에], 반대로 어제의 일처럼 느껴지는[잊어서는 안 될] ‘혼동과 격정, 분노, 실망, 자괴감, 살의’ 등등이 온통 하루 종일 머리 속에서 맴도는 21세기 version,  Day of Infamy, 그것이 January 6 의 얼굴이 아닐까… 오늘도 아쉬운 것은 이 infamy의 ‘유일한 주범’이 자유의 몸으로 아직도 거품을 품고, 거짓말을 퍼뜨리고 있다는 희극적인 사실이다.  도대체 ‘정의는 승리한다’ 라는 명언은 어떤 순진한 인간이 만든 것인가?

다시 겨울날씨로 돌아왔다. 하지만 조금은 따뜻한 겨울의 모습, 그러니까… 영하의 기온은 아닌 것이다. 그래도 central heating과 space heater가 필요한 날씨, 대신 바람이 거의 없고 햇볕이 쏟아지는 것으로 ‘조용한 겨울’의 포근함조차 느낀다. 이제 우리들은 2023년의 ‘정월’의 한 가운데로 서서히 접근하고 있다. 일월, 일월, 정월… 새로니와 나 그리고 ‘잊지 못할 친구’ 건주의 생일, 우리부부 (가족의 시작)의 43회 결혼기념일…  1월 말의 ‘눈이 내릴 가능성’, 아하~ 제일 크고 중요한 것은 역시 ‘과달루페 순례길’… 아~ 조금은 아찔하게 인상적인  정월을 보내게 될 것인가?  주님, 성모님~ , 저희를 안전하게 그곳으로 인도해 주소서…

“A man of prayer is capable of everything.” – St. Vincent de Paul

오늘 성인의 말 … 기도를 하는 사람에게 불가능한 것이 있을까? 그래, 현재 거의 중단된 가족 저녁기도… 어떻게 재개를 할 것인가?
어제 매일미사에 갔다가 그곳에서 받아온 책, 역시 Matthew Kelly의 ‘선물 책’이다. 제목이 The WISDOM of the SAINTS… 매일 하루 365일 동안 성인들의 짧은 어록이다. 오늘부터 하루 하나씩 읽게 되었다.

오늘은 연숙이가 Tony K 치과에 가서 아픈 이를 뽑게 되었다. 아프다 안 아프다 하는 세월이 지속되었지만 이제는 별 수가 없는 모양.. 나보고 어떻게 그 오랜 세월 동안 아픈 이를 참고 살았느냐고 몇 번이고 묻는다. 사람마다 고통을 상대하는 방법이 천양지차 天壤之差 이지만 나와 그녀는 하늘과 땅의 차이가 아닌지?  나는 물론 치과에 가는 것이 참는 것보다 더 싫기에 그런 것이었다. 후회가 조금도 안 되는 것은 아니지만 별 수가 없었음도 사실이다.  새해부터 Humana PPO dental coverage가 훨씬 나아졌기에 이제는 연숙에게 치과방문도 부담이 적어질 듯하다.  이를 뽑으면 오늘 점심 식사도 문제가 되겠기에 아침은 일부러 deluxe double mushroom/ham sandwich로 가득 채웠다.

 

Finding Your Roots, My Roots…

일요일 아침 TV, 오래 전 NBC, CBS, ABC, PBS 시절에는 각종 News ShowsTV를 보던 시절도 있었지만 이제 그것도 아련한 역사, 추억이 되었다. 그 중에 제일 덜 자극적이고 안전한 곳이 역시 PBS kind가 아니었던가? 오늘 아침은, 아~ 잘 걸렸다. 족보 탐정, 역사 탐정, history detectives program, Henry Louis Gates, Jr. PBS 의  ‘Finding Your Roots‘이다. 전에 꽤 재미있게 보았던 프로, 참 잘도 만들었다. 오늘은 나의 족보와 연관을 시켜서 상상의 나래를 편다. 이제 ‘대한민국’도 족보를 이런 식으로 찾으면 어떨까? 그러니까 이것을 한국판 version으로 만들면 어떤 모습일까 생각하는 것이다. 그것이 만약에 실현이 된다면, 나의 족보도 고려 초까지 거슬러 올라가서 찾을 수 있을까? 기록은 어딘가에 분명히 남아있지 않을까? 아버지 대 까지 ‘간신히’ 남아있는 우리 평창이씨 익평공파 족보를 누가 누가 조금 파 헤쳐줄 수는 없을까?  이 중에는 분명히 한국천주교 첫 영세신자 이승훈 베드로 할아버지도 있을 텐데, 과연 이런 기록들이 얼마나 찾을 수 있는 것일까? 내가 해보면 어떨까, 아니 관심과 능력을 가진 젊은 종친과 힘을 합칠 수 있으면… 아~ 꿈같은 상상의 날개, 나래… 느낌은 정말 하늘을 나르는 기분~  그것도 우리 어머니 쪽, 원산 楊씨와 함께~

 

Our Diaspora Koryo-in

대한민국 광주지역에 정착한 고려인들

고려인, 고려인은 누구인가?  천여 년 전 고려왕조 사람도 고려인이겠지만 이것은 최근에 알게 된 새로운 종류였다. 자세하게 말하면 이들은 조선조 말기 (19세기 말) 부패하고 가난에 찌들은 조선땅을 떠나 두만강 이북 연해주 지방에 정착했던 우리 민족 동포들인데, 당시 복잡한 국제정세의 소용돌이 속에서 소련의 스탈린의 정책으로 그 정착지에서 강제로 쫓겨나 시베리아, 소련 각지에 흩어져 살던 사람들이었다. 이들이 바로 이후에 고려인으로 불려진 것이다. 그들의 이야기는 세계사에 등장하는 각종 민족유배의 그것을 연상시킨다. 올해 여름에 그들에 관한 것들을 접하게 되었고, 그 중에서도 그들이 대한민국의 배려로 다시 고국에 정착한 이야기들은 한마디로 눈물을 참을 수 없는 그러한 대서사시, 그것을 읽는 기분이다.

이들은 말도 문화도 완전히 다른, 게다가 공산주의 체제 속에서 그곳에서 뿌리를 내리고 억척같이 살았지만, 역시 피는 물보다 진한 것인가?  완전히 변했지만 발전한 조국 대한민국으로 ‘역이민’을 하며 정착하고 있는 모습들이 감동적으로 보인다.  이제 이들의 150여 년 간의 고통은 조금 보상을 받을 것일까? 이런 것들로 ‘부강한 민주주의’로 발전한 조국이 그렇게 사랑스럽고, 자랑스러울 수가 없다. 고맙습니다, 대~한 민국!

오늘도 시간이 나면 며칠 째보는 것, ‘고려인’과 관계되는 video들, 어쩌면 그렇게 나를 심취하게 만드는 것일까?  그들의 신세와 나를 종종 비교하는 것도 피할 수가 없고, 그 동안 참았던 눈물이 그렇게 쏟아지는 것, 어찌할 수가 없으니~ 내가 무엇을 그렇게 참고 살았던 것일까? 나의 뿌리, 그것의 가치와 의미는 무엇일까? 울고, 웃고, 기쁘고 , 슬프고… 모든 각종 상상할 수 있는 깊은 속에 있는 감정들이 완전히 뒤엉키는 듯 느껴지고… 하지만 열심히 보고 본다. 시간이 그렇게 빨리 지나가는 것을 보니 분명히 나는 몰두해서 보는 것, 분명하다.  돌아온 고려인들, 피곤했던 과거를 모두 잊고 포근한 조국에서 그들이 세세대대로 다시 건강한 뿌리를 내리기를 기도한다.

Young Queen Elizabeth, Rest in Peace

Elizabeth, Queen, Elizabeth! 편안히 잠드소서.. 연옥을 안 거치는 천국 여정, 하느님의 은총과 함께… 여왕이 타계한 때가 9월 8일, 그날은 성모님의 생일이었다. 우연의 일치일까? 모든 것이 다 우연이 아님을 이 나이에야 깨닫는다. 이 여왕은 나의 기억 속에 어떻게 남아 있을까?  나의 세계사에서는 나타났다가 사라진 그런 존재가 아니었다. 나의 기억으로는 여왕은 언제나, 항상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1952/3년, 나의 기억력 한계점, 이후로 항상 나의 ‘막내 이모’같은 여왕의 모습이었다.  더욱이 그의 첫아들, 찰스는 나와 생년이 같은 1948년의 인연으로 항상 나와 함께 자라던 세대, 이후로 그의 결혼과 그의 가족사는 나의 그것과 함께 비교가 되곤 했다. 그가 이제 공식적으로 King Charles III로 불리는 명실공히 영연방의 정신적 지도자가 되었으니…  참 세월이 많이 흘렀구나… 나와 동갑, 그의 건강상태는 잘 모르지만  보이는 자태로 분명히 우리 세대에 비해서 장수할 것 같고, 그렇기를 바란다.

 

오늘은 뜻밖에 로난과 나라니가 갑자기 놀러 왔다. 갑자기 심심해진 모양이라고 추측을 했지만 나중에 돌아간 다음에 알고 보니 로난과 우리가 조금 더 친해지게 하려는 의도였다. 가끔 보고 살긴 했지만 아이의 기억에서 우리가 많이 멀어진 것을 우리도 알고 있기 했다. 역시 오늘 녀석을 보니 불편해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가랑비가 올 듯한 날씨에 녀석을 데리고 playground 에 갔다 왔는데, 1년 전의 그때와 확연히 다른 모습, 그 때는 걷지를 못했는데 지금은 문제가 없고, 대신 말을 잘 듣지 않고 고집을 피우는 등, 사실 짧은 거리를 걸으며 나도 불안하고 힘이 들었다.  자기 마음대로 걷는 녀석과 지나가는 차를 같이 보니 정말 고역중의 고역.  이렇게 두어 시간 같이 보냈지만 그것이 다시 가까워지는데 도움이 되었을지, 의문…

 

 

Lesson from History, Looking for Mr. Goodbars

명성황후, 명성황후… 오늘도 짬이 나는 대로 그 동안 꽤 많이 download했던  History Special, ‘역사스페셜 류’ video 중에서 몇 개를 보았다. 올 여름 나를 그런대로 시원하게 보낼 수 있게 해 준 것들 바로 이 역사물인데, 오늘 본 것 중에서 ‘명성황후’에 대한 것이 나의 눈길을 끌었다.  그때 시해 弑害에 가담했던 ‘일본 낭인 浪人’들의 후손들이 개인적인 사죄를 하러,  이미 일본에서 한류드라마 겨울연가가 인기를 끌기 시작하고 있던,  2005년에 한국을 방문했던 것에 대한 것이었다. 이들은 비록 ‘살인범들의 후손’들이지만 민간인으로써 진심으로 사죄를 하는 것으로 드물게 잔잔한 감명을 주었다. 이들의 표정에서 그들의 진심을 읽는다. 대부분의 민간인들, 아니 그 외의 일본인들이 사실은 역사적 사실을 모르는 순진한 모습을 보이는 것을 보며 사람들은 다 비슷할 거라는 희망을 갖는다. 몇몇 사람들, 아니 많은 사람들이 시대의 거대한 세계사적 운명을 피할 수 없었는지도 모른다. 누구의 사주, 아니 지시로 이런 일이 일어났는지 이 프로그램은 추적하지만 100% 확실한 것은 없다. 하지만 거의 이토 히로부미가 배후에 있을 것 아닐까 하는 확신을 보여 주고, 조선인들이 적극적으로 가담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과연 누구의 잘못인가, 일부, 아니면 전체가… 하지만 기구한 운명의 명성황후를 생각하면 정말 눈물을 참을 수는 없다. 새삼 재확인 하는 교훈적 진리는 우리가 사는, 속한 국가, 나라가 어떻게, 왜, 언제 흥망성쇠 興亡盛衰 과정을 거치는가 하는 것이다.

Pandemic이 야기한 외로움의 여파가 썰물처럼 사라진 이즈음, 나의 ‘3명 남자의 만남’ 제안에 대한 R형의 답신, 조금 이해하기 힘든, 씁쓸한 맛, 아니 심지어 기분이 안 좋은 느낌인 것이다. 조금은 우려하고 배려를 했지만 결과는 결국 부정적인 것으로 끝났다. 2017년 가을 이즈음을 추억하는 의미도 있고 해서 P 형제와 함께 세 명의 남자들만 모여 볼까 했던 나의 소박한 희망은 무리였나 보다. 그들 둘 사이의 관계가 원인으로 보긴 하지만 이것으로 나는 R 형 자체에게 걸었던 ‘새로운 친구’의 기대가 현실적이 아니었던 것으로 느낀다. 심지어, 나의 마지막 ‘친구 만들기’ 노력도 무산되는 듯한 생각까지 든다. 그것뿐만 아니라 그의 말 tone에서 느껴지는 인상들이 나를 실망시킨다. 조금은 ‘유아독존, 자기 중심’적인 사람은 아닐까. 이제 3년에 가까운 honeymoon적인 시기는 완전히 지났는지도 모른다. 그의 life style 외적, 취미, 활동 등도 우리와 너무나 상이한 것, 어찌할 수가 없는 것이고.  이제 내가 더 할 수 있는 일이 없을까… 이것이 바로 고향을 떠나 사는 사람들이 치르는 싸지 않은 대가일지도 모른다.

 

Golbin Lunatic Party, Republicans…

Online NYT, streaming channel France24에서 지구상의 소식을 조심스럽게 느껴본다. 다행인가, 새로운 big news는 없는 것, 조금은 심심하기도 하지만…  일본 뉴스는 이미 알고 있었고 아베의 장례식이 오늘이라는 것 정도인데… 뉴스의 초점이 이제는 일본과 미국의 총기 문화의 커다란 차이로 맞추어지고 있는 것도 본다. 지난 해 1명이 gun 으로 사망한 일본과 수 만의 미국과의 차이는 정말로 너무 심한 것은 분명하니까…  이것은 법 보다는 역사, 문화의 차이인 것도 모두 알지만 문제는 그것을 해결하는 정치적 의지와 방법인데… 참 이래서 더욱 정치인들, 특히 극우 쪽 인간들을 조심하게 되니… 모든 문제는 이 ‘골빈당 극렬, 맹종 분파, 분자‘들인 것인데… 경제적 중산층에 맞먹는 건강하고 온건한 정치적 온건, 중립층의 뚜렷한 존재가 절실히 요구되는 때인데 앞을 봐도 뒤를 봐도, 나도 포함이 되었을지도 모르는, 극단 골빈당들만 보이니.. 이래서 요즈음 세상이 비관적으로 느껴지는 것일지도 모른다.

미국 Republican이란 정당, 한때 나에게는 친근한 친구들처럼 보이기도 했고 지난 10여 년의 나의 신앙적 귀향 때에는 적극적으로 지지를 하기까지 했던 링컨의 정당, 세상이 아무리 바뀌어도 어떻게 이렇게 바뀔 수가 있는가? 어떻게 그런 DONALD 개XX에게 아직도 이끌려가는가?  정책이고 나발이고 이 어처구니 없는 사실 하나로 그들은 한마디로 위선자중의 위선 집단이라고 생각된다.  남북으로 분단되는 것을 전쟁으로 저지했던 링컨,  그런 후예들이 이제 또 ‘남북’으로 갈라놓겠다고? 오늘 뉴스가 글쎄… 처음으로 그XX의 지지율이 50% 이하로 떨어졌다고? 기가 막히고 코가 막히고… 그러면 그 동안은 절대지지? 허~ 어떻게 이런 일이 21세기 미국에서 일어날 수가 있는가? 사상 유례없는 devil’s masterpiece, scam-artist, liar, racist, narcissist, egoist, sex offender, dirty old man, Al Capone, misogynist, … 이것 말고 수천 가지가 더 있을듯한데…  제일 나를 웃기고 울리게 하는 사실은 다른 것이 아니고 이름뿐인 Christian을 자처하는 개신교, 그 중에서도 evangelicals들의 90%이상이 이 개XX에게 미쳐있다는 사실이다. 그들이 믿는 ‘예수교’는 도대체 무엇을 믿는 종교인가?

요새도, 오늘도 끊임없이 줄기차게 거의 무의식적으로 보고 또 본다. 역사스페셜 류의 비디오들… 다행히 새로 찾은 YouTube downloader덕분이다. 이것은 하나도 download failure가 없는 것이어서 많은 역사물을 개인소장할 수 있게 되었다. 혼자 보는 것으로 가정하고 모조리 720p format이어서 비교적 download속도도 빠르고 나의 hard disk storage도 큰 부담이 없으니 얼마나 잘 되었나? 이로서 나의 한여름 더위를 조금이라도 잊게 할 수 있는 것 중에 최고임을 알았으니… 다음 해 여름에도 반드시 잊지 않을 것인데.. 역사물을 다 보게 되면 그 다음은 어떤 것을 찾아야 할 것인가? 물론 희망은 ‘영성물’이어야 한다. 그것이 나의 궁극적인 납량물이 되어야 한다.

오랜만의 여름독서, 올해는 Robert Barron의 essay, Redeeming The Time… 근래 우리에게 최악의 도전이 되고 있는 각종 사건에 대한 성경, 영성적 해답을 시도한 정말 시기적으로 적절한 책이 아닌가?  읽기도 큰 부담이 없을 정도로 명쾌하고 비교적 짧은 글들이 나에게는 제일 큰 이 책의 장점이다. 끝까지 ‘단숨에’ 읽을 자신을 주니까… 올 여름 독서목록의 첫 번째 책이 되지 않을까?

시원한 며칠 밤을 자는 것, 편하고 꿈까지 활발하고 더 이상 무엇을 바라겠는가? 몸이 쑤시는 것도 별로 느껴지지 않고 일어나서 어둠 속을 걷는 것도 비록 조금은 균형을 잡기 쉽지 않지만 이 정도면 또 하루를 살 수 있다는 안심. 다만 손, 손가락을 쥐는 것이 전과 같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손가락을 크게 쓰지도 않았는데… 아하~ 이제 TV의 광고가 떠오른다. 이것이 ‘늙음의 신경통’인가? 그러니까… 이대로 계속되는 것? 그렇다면 적응하며 살면 될 것 아닌가?

오늘도 유나와 노는 시간이 있었고, 점점 익숙해지니 나를 보면 방실방실 웃기도 한다. 아~ 이제야 손주의 맛과 재미를 맛보는 것인가? 나는 유난히도 손주의 재미를 기대하지 않고 살았기에 새롭기도 하다. 유나네는 이사를 갈지도 모르기에 조금이라도 더 정을 들려두는 것도 좋다.  이번 주일은 새로니 집의 실내공사로 우리에게도 조금은 시간을 빼앗기는 결과를 초래했지만 이것을 빼앗긴다고 표현하면 곤란하겠지….만… 그래도 조금은 신경이 쓰이는 것도 솔직한 심정이다. 게다가 내일의 스케줄은 더욱 바뀌어서 Ozzie가 우리 집에서 하룻밤을 보내게 되었다. 그래, 이러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들을 해 주면 되는 거야~~

 

Abe Shinzo, Steamy Days, YouTube Downloader

아베 신조 (영어로 쓰면 아마 링컨을 떠올렸을 듯한데) 나이에 비해서 건강하고 젊게 보이는 일본 ‘프로 정치인’이 어처구니없게 저격을 당해 사망했다는 것, 슬프기 이전에 너무나 세상이 한심하다는 느낌밖에 들지 않는다. 우리의 한일관계의 정서를 무시할 수는 없지만 이 ‘신사적이고 애국적인’ 일본인을 억지로 싫어할 수는 없는 것이다. 아니다, 나는 그의 집안 내력과 행적들에 호감을 가지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물론 거의 그에 대한 것을 나는 모르지만 최소한 대화가 가능할 것만 같은 인상인 것이다. 상고사를 들추면 그도 역시 백제의 후손일 수도 있을 것이다. 조금 더 높은 곳에서 역사를 보는 교육이 현대에서 더욱 필요한 것은 아닐지… 모르겠다, 모르겠어…

Another Heat Advisory? 허~ 3일 연속으로~ 그런데 몸이 적응을 했는지, 예보가 조금은 극단적인지.. 오후의 heat index 문제는 그렇게 괴로운 것이 아닌 듯 느껴진다. 매일 오후에 고맙게도 잔뜩 흐리며 비가 올 듯 말 듯하게 되기에 그런 모양… 그래, 제발 이 정도로 여름을 나게 해주라…
요새의 평균 최고기온은 92도 정도, 습도는 비교적 완만하게 유지하는 so so, same ole, same ole days를 지나가고 있다. 이럴 때 바닷가에 가는 것은 거의 꿈처럼 느껴진다. 얼마나 시원하고 쾌적할 것인가… 생각한다, 못 갈 것도 없니 않느냐… 하는 생각, 하지만 못 간다, 안 간다, 아니다 가고 싶지 않다.. 그러니 불평 불만도 없는 것이다. 돈 때문인가, 아니다, 귀찮기 때문이다. 집에 있는 것이 제일 편하고 행복하기 때문이다.

오늘 YMCA pool schedule이 완전히 바뀐 것을 오늘 아침에서야 깨달았다. 처음으로, 기껏 좋은 자리를 찾았는데 저녁 때 갑자기 cancel email이 온 것이다. 처음에는 website에 문제가 있구나 했지만 오늘 아침에 App으로 들어가보니.. pool의 filtration work이 끝이 나지를 않았다고… 그래서 cancel email이 온 것이구나… 아쉬운 것은 그러면 이유까지 reservation system으로 알려주면 누가 때리냐? 오늘의 YMCA routine은 이래서 조금 짧게 되었다. 그래도, 감사해야지… 이렇게라도 미사와 Sonata Cafe를 즐길 수 있으니 말이지…

더위를 편하고 즐겁게 이기는 비결 중에 ‘역사스페셜’류의 video들의 위력을 실감하는 며칠을 맞는다. 처음에는 소위 말하는 여름 납량물 시리즈 ‘전설의 고향’류를 자연스레 보기 시작했지만, 우연히 ‘다시’ 보게 된 역사물이 훨씬 좋다는 사실을 매일 실감하게 되었다. 왜 그럴까? 이유가 분명하지 않다. 물론 역사에 깊은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이 어떻게 더위를 덜 느끼게 한다는 말인가? 결국 억지로 찾은 이유 중에는, 옛날은 날씨가 언제나 시원했을 것, 사람도 많지 않고 자연 속에 묻혀서 시원한 경치를 보며 살았을 듯한 역사 속의 사람들이 떠오르는 것 등등 모두 사실 시원한 것뿐 아닌가? 역사물을 보며 ‘덥다’라고 느끼게 하는 것은 아마도 거의 없었지 않을까? 참 재미있는 발상이고, 덕분에 올해의 지독한 ‘매일 더위’를 지나가고 있는 것이다.

Battery Power! 오늘 처음으로 어제 Home Depot에서 도착한 B&D Battery powered Detail Hand Sander를 써보았다. 물론 나는  power cord가 없다는 사실을 날듯이 기뻐하고 감사한다. 이것이 이것을 산 이유 중에서 제일 중요한 것이었으니까… 그것으로 며칠 동안 애를 쓰며 만드는 simple carpentry job, hand vacuum holder에 처음으로 써보았고, 효과는 즉각적이었다. 순식간에 sanding job이 끝나서 paint까지 칠했으니까… 게다가 20V battery들은 이제까지 5개로 늘어나서, 이제는 쓰다가 언제라도 backup battery 4개가 대기하고 있으니… 이런 기막히게 소비자를 편리하게 하는  product idea가 어디에 있는가? [나중에 알고 보니 다른 brand들도 거의 비슷한 idea를 이미 쓰고 있었구먼…]

4K YouTube Downloader: 역사스페셜 시리즈를 YouTube에서 보며 어떤 것들은 나의 hard drive에 남기고 싶은 것들이 있다. 이유는 물론 (1) 그것이 YouTube에서 사라질 수 있고, (2) 요새는 YouTube가 보편화 되어서 아예 나를 겨냥한 각종 광고들이 만발하고, (3) 만약 Internet이 down되거나 slow하면 보는 것이 힘들고, (4) Home network의 speed가 Internet보다 훨씬 빠르다는 사실이 그것이다. 예전에 쓰던 YouTube downloader는 WinX YouTube downloader였는데 update 뒤에는 이곳에서도 각종 광고들 투성이… 게다가 많은 video들이 download가 안 되는 것들 투성이였는데 오늘 새로 찾은 4K Video Downloader란 것을 써보니 현재까지는 전번 것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훨씬 깨끗하게 download가 되었다. 하지만 이것도 시간문제일지 누가 알리오?

 

오늘 아침 Holy Family 동네성당 미사, Fr. Vincent Sullivan, Parochial Vicar 보좌 신부님 오랜만에 나오셨다.  Pandemic중에 부임을 해서 우리는 그의 background같은 것을 거의 모른다. 그의 조금 독특한 미사집전 스타일 [표준 전례문에서 조금씩 벗어나는], 처음에는 조금 짜증스럽기까지 했지만 적응이 될 수록 큰 문제가 없다. 게다가 가끔 강론에서 나와 파장이 딱 맞는 수도 있었는데 오늘이 바로 그런 날이 되었다. 오늘 성경말씀도 역시 ‘성령’이 주제다. 왜 요새는 거의 매일 성령을 주제로 하는 것인지 궁금하기도 하다. 이 보좌신부님은 오늘 성령에 대한 강론으로 Scott Hahn의 wife Kimberly 를 예로 든 것이 새롭다. 나도 그 story를 개종 자서전 Rome Sweet Home에서 읽어 알기 때문이다. 그녀가 최후로 개종의 장벽을 넘은 것도 역시 기도에 매달려 성령의 도우심에 의한 것이라는 사실을 상기시켜 주었다.

오늘의 반영억 신부님의 매일 묵상글이 유난히도 가슴에 와 닿고, 결과적으로 위안을 참 많이 받았다. 특히 다음의 글들이 더욱 나에게 작은 희망을 주었다.

‘참는 데도 한계가 있다’는 말을 합니다. 인간이기에 한계를 갖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사실 참다 보면 병이 생깁니다. 그래서 마음속에 쌓아두지 말고 풀어버리라고 합니다. 그런데 예수님께서는 “끝까지 견디는 이는 구원을 받을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 더군다나 주님의 이름 때문에 사람들에게 미움을 받고 가족 간에도 마음이 갈라질 텐데 그 때에 참고 견디라고 하십니다. 서로의 뜻이 다르고 오해가 있을 때 참고 기다려 주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그때야말로 인내가 필요한 때이고 “뱀처럼 슬기롭고 비둘기처럼 순박하게” 처신할 때입니다.

어떤 상황이나 처지에 구애됨이 없이 예수님 이라면 어떻게 하셨을까? 묻고 행해야 합니다. 그리하면 지금 당장은 지는 것처럼 보여도 결국은 이깁니다. 감정이나 분위기에 휘둘리지 않고 신앙 안에서 굳건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매사에 ‘예수님이시라면?’이라는 자문이 필요합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부딪치는 벽이 참으로 많습니다. 인간적인 한계상황의 벽이 산 넘어 산입니다. 생로병사는 물론이고 고독, 미움과 분노, 죄가 한계상황으로 다가옵니다. 이때 우리가 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은 견디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악을 악으로, 욕을 욕으로, 공격을 공격으로, 모욕을 모욕으로, 미움을 미움으로 되갚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혹 참을 수 없다면 잠시 하느님께서는 ‘나의 결점에도 불구하고 항상 참아주신다.’는 것을 생각해 보십시오.

참고 견뎌서 모두가 구원을 얻기를 바랍니다. 모함이나 수군거리는 소리에 속상해하지 말고, 뒤에서 딴소리하는 사람 때문에 억울해하며 상처받지도 말고 오직 주님의 이름 때문에 견디시길 바랍니다. 잠잠하게 참고 견디면 의심 없이 주님께서 도와주실 것입니다. 이 순간 다가오는 한계를 주님으로 말미암아 극복하시길 기도합니다. 힘들고 지칠 때 예수님의 십자가를 바라보십시오.

 

 

Heat-Index Advisory, Shakeup Day …

오랜 만에 Windows Weather App에 warning sign이 뜬 것이 보인다. 혹시, severe thunderstorm이면 나는 오히려 기대했을 것인데, 반대였다. 올해는 웬 놈의 heat-advisory가 계속해서 놀라게 하는가? 하지만 오늘 것은 전번의 100도까지 위협하는 것과는 조금 다르게 heat-Index warning이었다. 온도보다는 습도에 관한 것이었다. 따가운 태양열보다는 물기가 가득한 공기가 더 문제인 것, 이것은 a/c의 힘이 필요한 것, 그것이 물기를 제거할 수 있는 유일한 tool이 아닌가? 그래 실내에 있으면 그런대로 잠은 잘 수 있으니 얼마나 다행인가? 오래 전 1971년 7월 서울에서 밤잠을 못 잤던 것, 또한 Chicago 1975년 초여름 때의 기억도 생생하구나… 에어컨 없이 밤잠을 못 잤던 추억… 아~ ‘진짜 정말’ 오랜 전이구나…

Heat advisory를 보고 겁을 잔뜩 먹었지만, 사실상 얼마 전 것에 비하면 별것이 아니었다. 습도가 예상보다 높지 않았기 때문인 듯하다. 가급적 바깥에 안 나가려고 했기에 오랜만에 나의 desk에 앉아 있게 되었는데, 나쁜 생각들을 계속 멀리하고 물리치려고 안간힘을 쓰긴 했지만 나를 그런대로 안정시킨 것은 바로 다름이 아닌 ‘역사물’ video를 보는 것이었다. 요즈음 식사 때마다 둘이서 같이 보던 ‘납량물, 전설의 고향’류 YouTube vidoe들이 있었지만 사실은 이 역사물에 납량물 보다 훨씬 가슴과 머릿속을 시원하게 만드는 것이 있음을 알게 되었는데… 그 이유가 분명치를 않다. 왜 역사물 을 보면 더위를 잊게 되는 것일까? 여기서 역사물은 물론 나의 조국의 것이다. 그것도 이유가 될지도 모르겠다. 왜 고국의 산천과 옛날을 생각하면 시원함을 느끼는 것일까…

‘역사스페셜’ 1990년 말부터 방영된 유인촌 진행의 이 ‘대하 시리즈’는 한마디로 내가 태어난 조국 역사공부의 classic이 되었고, 거의 다 볼 수 있었다. 그 2000년대 이후로 계속된 프로그램들도 보았지만 첫 번 것과는 다른 느낌, 질적으로도 못 미치는 듯했다. 2000년대 중반에 이어진 HD 역사스페셜, 물론 video quality [DVD class]는 현저하게 선명해졌고 내용도 새로운 것이었지만 한가지 흠은 역시 진행자[고두심이란 여성]가 아닐지. 워낙 타고난 목소리가 그런가, 어찌나 그렇게 톱니바퀴처럼 크고 날카로울까.. 나는 이때마다 sound volume을 내려야만 하는 고역을 치른다. 그런데 그 후  2010년경에 나온 것들을 요새 보면서 느낀 것은 의외로 프로그램의 내용보다는 남녀 진행자들의 옷차림에 신경이 쓰였다는 사실.. 남자는 ‘한XX’이란 사람이고 여자는 ‘엄XX [이외 두 명]’ 인데 솔직히 이들이 전달하려는 ‘역사의 의미와 무게’와는 너무나 동떨어진 언행들, 특히 의상들이 그랬다. 무슨 상품 광고에서나 볼 수 있는 그런 차림들, 한 사람은 옷감 선전, 또 다른 사람은 cheerleader나 fashion선전을 하는 듯한 것이 솔직히 눈에 거슬리는 것이었다.  또한 내용물을 자세히 해설하는 사람은 흡사 20세기 초의 무성영화시절의 변사와 거의 같은 느낌[이 사람의 이름을 나중에 찾았다. 이정구란 사람], 우습기도하고 당혹스러울 정도였으니… 물론 세대차이, 문화적 차이에 원인이 있을지도 모르지만, 결론은 역쉬~~ 유인촌 version이 왜 classic 이 되었는지 그 이유를 알 듯하다.  ‘고구려와 수나라의 전력… ‘의 이미지와는 너무나 동떨어진, 줄줄이 등장하는 정말 어울리지 않는 미니 스커트의 애 띤 미성숙한 모습들[솔직히 말해서 제작/연출자가 술을 너무 마셨나..하는 의구심까지], 이래서 아예 screen은 안 보거나  꺼버린 채 소리만 틀어 놓고 싶은 충동까지 들 때도 있었으니…

Charlie’s Angels

 

오늘은 사실 미사엘 갈지 말지 생각조차 못하고 있었는데, 의외로 연숙이 먼저 가자고 한다. 아~ 이것은 솔직히 반가운 것이다. 요즈음에는 많은 경우 내가 먼저 유도를 한 셈이기 때문이다. 갈 수 있을 때, ‘무조건’ 가자… 라는 생각이 서로 통한 것이 너무나 반가운 것이다.
이제는 성당의 아침 묵주기도 team들과도 익숙해졌고, 그들이 우리에게 매일미사책과 기도문까지 준 것들이 고맙기도 했다. 묵주기도까지 같은 시간에 시작했으면 좋겠지만 오랜 습관 탓에 그것까지는 시도를 못하고 있다.
아침 식사는 연숙이 McDonald’s에 가자고 해서 자연스럽게 해결이 된 것인데, 참 고맙게 느껴졌다. 나의 조금은 ‘쳐진 듯한’ 모습을 어찌 모르겠으랴… 며칠 째 이어진 나의 우울한 모습에도 불구하고 평상처럼 나를 대해 준 연숙에게 나는 정말로 감사를 해야 할 것이다.

오늘 아침에 갑작스럽게 생각이 떠올랐다. 오늘부터 며칠 간을 SHAKE-UP DAYS로 ‘선포, 선언’을 하자는 것. 2017년에 나의 main office가 현재의 장소, family room으로 내려 온 것, 그러니까 5년 전이다. 그러면 한번 한바탕 뒤집어 엎어도 될 세월이 흐른 것이다. 많이 적응이 된 것이지만 그래도 한번 새로 대 청소를 비롯해서 바꾸는 것도 좋을 것 같구나. 특히 현재 주체를 못하고 있는 책, 서류들 그리고 어중간한 모습의 나의 작은 electronics breadboard들… 솔직히 2층의 lab보다는 이곳에서 electronics를 가지고 ‘놀고’ 싶은 것인데… 무슨 좋은idea가 없는지… 이번에 함께 해결을 해 보면 좋지 않을까? 그래서 오늘이 SHAKE-UP DAY NO. 1 첫째 날이 되는데, 무엇부터 시작을… 그래, 모두 흐트러진 책들 만이라도 정리를 시작해볼까..

 

Dean & Hutchinson, NATO Responds to Putin…

John Dean, Nixon’s Whitehouse counsel at Watergate Hearing – 1973

아~ 해도 해도 너무했다~ 이 역사적 깡패 Donald 개XX, 쓰레기 같은 욕설,  “I DON’T FUCKING CARE THAT THEY HAVE WEAPONS”… 이 전무후무 역사적 깡패, 쓰레기, 새빨간 거짓, 자기도취, 안하무인.. Son of Bitch.. 대통령 선거 패배 직후에 최후의 발광을 하던 그의 모습이 생생하게 증언이 된 것,  그야말로 1973년 여름 거의 매일 TV로 방영되었던 [미국에서 직접 보았던] Watergate Hearing 때의 John Dean의 잔잔하지만 충격적인 그의 Nixon의 모습에 대한 증언과 대비가 될지도 모르겠다.  당시의 Nixon은 최소한 공적으로는 대통령 품위의 모습을 보이고 있었지만 그도 역시 사적으로는 ‘험한 쌍시옷’의 욕지거리를 했던 것이 나중에 secret audio tape에 남아있었다. 그런 그의 모습을 그의 전속 counsel John Dean이 신빙성 있게 밝힌 것이다. 그로부터 닉슨은 퇴임의 길로 서서히 들어서게 된 것. 과연 이번에 이 ‘Donald 개XX’의 case는 어떤 과정을 취하게 될까… 물론 그때와 지금은 ‘많은 여건’들이 다르지만, 과연 ‘법’이란 것이 ‘법의 보편적 정신’을 살릴 수 있을지…  나는 이 천하의 ‘개XX’가 감옥에 가는 것보다 다시는 ‘공식적인 정치활동’을 못하게 되는 것을 더 기대하는데… [이 ‘개XX’가 엉뚱하게 ‘순교자’ 로 역사에 남는 것은 끔찍하다. 아직도 꿈에서 헤매고 있는 그의 졸개들이여, 정말 해도 해도 너무했다. 특히 80% 개신교[mostly evangelicals] 신자, 병신들, 어떻게 이런 쓰레기 근처에 아직도 머물고 있는가…]

 

또 다른 세기적 ‘개XX’ Putin 자신이 100% 자초한 unexpected consequence 정도라고나 할까…  섣불리 불장난을 한 것이 긁어 부스럼이 되고 있는가? Buffer Zone 역할의 중립 Finland, Sweden이 ‘적국’으로 만들었으니… 한마디로 ‘병신Putin 개XX’, 쌤통이다~~ 라는 생각뿐이다. 이로서 세계는 바야흐로 새로운 cold war 시대로 들어가는 듯하다. 완전히 Soviet시절 cold war 판도가 도래한 것이다. 변수는 물론 빨갱이 짱깨중국, strategic challenge라고 지목이 된 이 짱깨들도 피할 수 없는 uncharted territory를 헤매게 되었으니…  이제까지 잠자듯이 세월을 보내던 NATO, 그의 무게는 어떻게 변화를 하게 될 것인지 궁금한데, 유럽 이외에 미치는 영향도 상당할 것 같은데 대한민국이나 미국도 예외는 아닐 듯하다. 처음으로 Asia-Pacific partners들도 초청을 한 것이 이채롭다. 대한민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4국가의 안보상 비중 때문이었을 것이다. 한일 양국은 비교적 새로운 지도급의 얼굴들이 국제 무대에서 선을 보이는 기회가 되었는데… 아마도 지금쯤 빨갱이들 북한, 그리고 짱깨 중공, 무척 고심하고 있을 듯하다. 이건 완전한 1950년대의 세계구조가 재현되는 것 아닌지.. 참 역사는 돌고 돈다고 하더니… 우리에게 그때와 하늘과 땅의 차이만큼 다른 것이 있다면… 굶어서 허덕이는 김씨왕조 손주XX가 제2의 불장난은 절대로 못할 것, 하지만 미친놈들 돌대가리 논리를 누가 믿겄냐?

‘할 수 있을 때 하자’ 라는 간단한 motto를 따라서 오늘도 아침미사엘 갔다. 아침 묵주기도 팀 멤버들이 제자리를 지키면서 묵주기도와 함께 아침미사를 기다리는 그 분위기가 나는 너무너무 좋고, 은혜롭게 느껴질 수가 없다. 미사 자체에 어떻게 보면 형식적, 의식적으로  진행되긴 하지만 그것은 미사의 진가를 모를 때의 느낌이고 지금은 전혀 다르다. 무슨 마력이나 은총에 이끌리는 듯 몰입하는 나 자신을 보는 나 자신이 신기하기만 한 것이다. 이것이 바로 ‘작은 기적’이 아니겠는가?  현재 나와 우리 부부를 영적으로 지탱해주는 것 중에 제일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매일미사 임을 감사해야 한다. 오늘 Miguel 주임신부님의 강론, Peter & Paul Solemnity, 대축일과 연관을 해서 Roe Overturn 충격을 언급한다. 한마디로 그도 나와 비슷한 생각, 이런 날이 이렇게 ‘갑자기’ 온 것을 전혀 예측을 못했다는 것, 하느님의 뜻은 이렇게 오묘하다는 것이 요지였다. 나도 마찬가지로 기뻐해야 하는데 왜 이렇게 씁쓸하고, 허탈한 것인지… (정치적 배경 때문인데… 그것이 그렇게 중요한지를 나는 아직도 자신이 없다)

벽에 걸린 커다란 ‘성당’ 달력이 wall painting을 한 이후 사라진 탓인가, 요새 어떠한 시기와 날짜를 살고 지나가는지 감각이 둔해진 것인가, 지금은 분명히 6월 말, 마지막 주라는 것만은 분명한데 그 다음이 잘 안 보이는데… 오늘 새벽 밖을 보니 앞집  Josh집의 trash cart가 밖에 나와 있는 것이 조금 이상했다. 평소 같았으면 오늘 저녁 무렵에 그것이  보이곤 했는데…  이유는 분명히 그 집 식구가 집을 Independence Day 연휴를 맞아 며칠 동안 떠난 것, 그렇다면 연휴~~ 어찌 내가 모르고 있었나? 월요일이 바로 7월 4일이 아닌가? 그것을 완전히 잊고 살았으니… 내가 그 동안 얼마나 ‘미래 달력’을 무시하고 살았는지… 완전히 ‘과거와 오늘’에 묻혀서 살았던 것이 아닌가?   미래는 고사하고 내일조차도 신경을 전혀 이렇게 안 쓰며 산 것은 조금 문제다… 문제야…  그래, 오늘과 다가올 시간들을 조금 더 사랑하고 생각하자.

 

 

War 72 Years Ago, Roe v. Wade 50 Years Ago

전쟁 발발 직후 수원근교로 남하하며 지나가는 피난민 대열

달력을 보니… 25일, 허~ 그것도 6월! 아하~ 육이오, 융요, Yu-Gi-Oh!  1950~2022=72!  정확히 72년 전이구나… 맞다 맞아.. 2살 때 일어난 민족의 비극, 내란, civil war.. 1949년에 시작된 미-소 냉전의 첫 hot war가 왜 하필이면 한반도였던가? 덕분에 원수 같던 [당시 이승만 대통령의 숙적은 빨갱이 못지 않게 일본이었다] 일본이 톡톡히 재미를 보고.. 정말 한민족에게는 살맛이 제로에 가깝던 시대였을 것이다. 왜 하필이면 우리가 살던 나라였나? 왜 하필이면 우리 아버지를 끌고 가서 ‘애비없는 후레자식’으로 만들었나? 왜 1급 전범이 버젓이 ‘악마의 종자’를 퍼트리며 아직까지 손주XX까지 날뛰는가? 왜 금수강산을 떠나 제2의 조국을 만들지 않으면 안 되었나? 세상에 이렇게 불공평한 역사가 어디에 있는가? 아직도 그 원수들을 ‘흠숭’하는 인간들은 도대체 어디가 잘못된 동물들인가?

 

오늘 아침의 ‘화두’는 역시 Roe Overturn이 아닐까? 1973년 초의 이 Supreme Court의 ‘낙태 자유화’ 판결이 완전히 무효화가 된 것이다. 이것으로 앞으로 낙태법은 각 주에서 관장하게 된, 이 놀라운 결정이 나에게는 어떤 의미를 주는 것일까?  1973년 미국에 올 당시의 ‘낙태 자유화’ 판결, 당시에는 남자였던 이유일지는 몰라도 큰 관심은 없었다. 가끔 나의 ‘잘못으로’ 이러한 낙태결정의 단계까지 간다면… 등등의 상상은 있었을 것이고 한때 그런 아찔한 순간이 가까이 다가올 수도 있는 것을 어떻게 성모님께 숨길 수 있겠는가… 하지만 그때는 호르몬이 왕성했던 20대의 남자였고, 당시 문화, 유행의 산물에서 벗어날 수도 없었고… ‘생명체의 기적’에 대한 깊은 철학적, 신앙적이 안목이 제로를 넘어서 마이너스 쪽에서 철없이 살았던 시절이 아니었던가?

거의 2달 만에 처음으로 ebook posting 작업에 손가락과 머리를 쓰고 있고, 그 첫 결과가 page posting인 토마스 머튼 저 소책자, ‘명상이란 무엇인가‘ 였다. C베로니카가 선물로 준 책들 중에서 제일 쉽게 손이 갔던 책, 2주도 채 안 걸려서 필사가 끝났고 이것을 books & papers menu 에 posting을 한 것이다. 필사본 posting은 사실 ‘대한민국의 출판사 바오로의 딸 소속, 바보 수녀들‘ 의 근시안적인 태도 이후,  잊고 살았는데… 다행히 이 책은 ‘바보수녀들의 바오로 딸‘과는 일단 사업적 관계가 없기에 안심하고 posting을 하였다.  

 

Sah-Il-Gooh! Student Phenomenon, RIDGID compressor

사일구, 사일구.. 아~ 그런데…  춥다, 아니 싸늘하다, 싸늘해~~ 4월 19일, 아하 ‘우리 들’의 사일구였지.. 1960년 4월 19일 아침도 이렇게 싸늘했을까? 그날 아침의 날씨는 분명히 해가 뜨는 전형적 4월 말 서울의 날씨였었다. 중앙중학교 입학한지 얼마 안 되었을 때, 당시는 4월 초에 신학기가 시작되었다. 등교를 하자마자 퇴교를 당했다. 물론 그보다 더 ‘신나는 달밤’을 없었고 곧바로 재동국민학교 앞 만화가게로 돌진을 해서 ‘정의의 사자, 라이파이’나 ‘철인 28호’에 심취했을 즈음에 근처의 종로경찰서에서 시작해서 나중에는 경무대 근처에서 총소리 [그것은 카빈소총]가 나기 시작하고… 생후 처음으로 방송극에서나 들었던 진짜 총소리를 들었던 신비하기도 했던 그 시간에 데모 형님들이 쓰러지며 부정선거를 규탄했던 때…  종로경찰서 쪽 신작로[비원 앞에서 안국동 쪽 길, 당시에는 길 이름이 없었음]에 나가보니 트럭에 가득 탄 대학생 형님들의 고함소리가~ 아직도 눈에 선하고..  운집했던 어른들, 발을 동동 구르며 자녀들의 생사를 애타게 기다리던… 그날은 결국, 사일구라고 즉시 불리기 시작한 역사적인 날이 되었고 나중에 미국의 LIFE magazine은 Student Phenomenon이란 논설로 그날을 보도하기도 했다. 

 

성당에서 집으로 오는 길목에서 순간적으로 아침 식사를 McDonalds에서 결정하고 그곳으로 차를 몰았다. 특별히 아침 식사를 만드는 것이 귀찮은 것도 아니었는데 어떻게 이런 순간적인 생각이… 이런 것들, 선택, 결정, 자유의지 등등 과학적인 분석이 불가능하지 않을까? 이유가 결여된 갖가지 선택과 결정들… 하지만, 오늘 억지로 만든 이유는 ‘이대로 집으로 들어가는 것’이 싫어진 것은 아닐까? 그리고, McCafe coffee의 향기도 있고, 다른 분위기에서 둘이 있고 싶었던 것, 그것이었다.

 

며칠 전에 fence screen을 고치면서 알게 된 사실은, Harbor Freight 의 cheap Chinese-made 4 gallon air compressor가 죽어 있었다는 것, 나에게는 첫 air compressor였기에 정이 들대로 들었던 pro tool이 아닌가? 2000년대에 산 것이니까 도대체 얼마나 쓴 것인가? 자주 쓴 것은 아니더라도 나에게 자부심을 주었던 tool이었다. 한번 pressure switch가 고장이 나서 교체를 하기도 한 것인데..  다시 이것을 서야 하는데, 이번에는 Harbor Freight로 가고 싶지 않았다. 잠재적으로 Chinese를 피하고 싶기도 했고, 처음으로 유명 name brand를, 그것도 Home Depot에서 사고 싶었다. 며칠 전, garage door sealer를 online으로, 그것도 free deliver service을 경험하고 보니 Amazon과 다를 것이 하나도 없었고, 별도로 shipping charge가 없는 것이 아닌가? 값도 값이지만 이런 새로운 방식으로 오늘 $140 정도로 RIDGID 6 gallon 150 PSI compressor를 order해 버렸다. 무언가 큰일을 한 기분까지 든 것, 처음으로 non Harbor Freight product를 산 것이 어쩌면 이렇게 기분이 좋을까?

 

오늘로서 며칠 동안 골머리를 쓰며 준비했던 PC system emergency recover & migration plan을 일단 끝내게 되었다. 계기는 우연히 ‘당했던’ ransomware-malware 의 추악한 모습에 질려서 시작된 것이다. 매일 쓰던 나의 필수품 desktop pc가 순간적으로 못쓰게 된다면, 제일 아쉬운 것이 무엇인가… 그것은 Microsoft Office 2008 OneNote [with Korean Language Pack]과 open-source email client Thunderbird 두 가지였다. 비상사태 발생시 이것만 즉시 다시 쓰게 된다면 과도한 stress는 피할 수 있을 것인데…  하지만 critical personal data는? 일단 거의 매일 usb flash stick으로 manual backup이 되니까.. 크게 걱정할 필요가 있을까? Stop right here! 더 이상 이것에 신경을 쓰지 말자! 이것도 과분한 것이다. 최악의 경우 모두 잃는다고 해도 어쩔 것이냐? 그것이 나의 생명과 관계라도 있단 말이냐? Ok, Ok, Forget it!

 

지난 성주간 동안 나는 ‘소죄 小罪’를 짓고 살았다. 제일 가까이 해야 했을 ‘영성적 서적’들은 물론이고 나를 흥분시키는 다른 책[주로 과학과 신앙]들을 더 멀리하며 산 듯한 것이다. 왜 그랬을까? 조용하게 명상을 할 침묵의 시간을 못 만들고, 심지어 신앙심이 해이해진 것은 아니었을까? 그럴 리는 없다고 강변을 하고 싶지만, 결과적으로는 정말 책에 손이 가지를 않았다. 책상 오른쪽에서 나를 노려보고 있는 ‘책더미’ 사진을 찍은 후에 가만히 보니 모두 읽고 싶었던 것들인데 왜 이렇게 게으름을 피우는 것인지… 자세히 보기조차도 미안해서 흑백으로 바꾸어서 보니 조금은 덜 미안하다. 잘 보이지 않아서 그런지도.

 

Wintry Mix, Sope Creek Crossing Ghosts…

Wintry Mix, 드디어 winter weather advisory 가 이곳 저곳에 보인다. 2개 중, 하나는 freezing rain이고 나머지는 strong wind… 이 정도면 거의 준準 비상 급이 아닌가? 첫 눈이 오는 것은 내심 은근히 기다리고 있던 것이지만 피해가 생기게 되면 문제다. 하지만 느낌에 그럴 것 같지는 않다. 오늘 저녁부터 비가 오기 시작하고 내일 아침에는 북서풍 강풍을 동반한 비, 서서히 눈으로… 얼기 시작하면… 와~ 운전하는 것 문제다. 결국 우리 둘은 내일 아틀란타 순교자성당 미사 차 20+ 마일 freeway 외출하는 것을 자제하기로 결정할 수밖에… 그래 안전한 것이 우선이다. Online mass에 이제는 익숙해졌으니까…

밤새 유나의 울음소리가 간간히 들렸지만 그래도 긴 울음이 아니라서 우리가 자는 것은 거의 문제가 없었다. 얼마나 감사한지… 최악의 경우 밤을 꼬박 샐 것도 상상을 했는데… 이 정도면 양반이다.  이렇게 해서 유나도 자기 집이 아닌, 할머니, 할아버지  집에서 자는 경험을 만든 것, 우리는 물론이지만 새로니에게도 조금은 새로운 경험이 될 것 같다.

오늘 1월 15일은 친구 양건주의 74세 생일… 언제부터 이날을 기억하며 사는 것인지… 이제는 완전히 기억을 하며 살 수 있게 되었다. 나보다 며칠 위 형 뻘이지만 지금은 도저히 생사여부조차 알 수가 없으니… 왜 인희씨는 한마디 소식이라도 전해주지 못하는 것일까? 그저 큰 문제만 없기를 기도하는 수밖에… 건주야~ 네가 오래오래 도사처럼 우리에게 삶과 건강의 모범을 보여주어야 하지 않겠니?

 

Sope Creek Crossing

Ozzie와 둘이서 거의 2시간가까이 걸었다. 오늘은 Sope Creek Apt trail East 쪽을 정말 오랜만에 들러보았다. 하지만 오늘의 산책 뉴스는 뜻밖으로  historical landmark를 발견한 사실이다. Sope Creek 상류를 처음 발견했을 때 그 위치와 연관되는 것, 바로 옆 Roswll Road에 세워져 있었던 다른 landmark 를 오래 전에 본 기억이 나는 것이다. 그것을 읽어본 기억에 Civil War 당시Lincoln의  Union Army [북군]가 바로 이 근처, 이곳을 거쳐서 Atlanta로 진격을 했다는 것. 그러니까 오늘 우리가 서있었던 Sope Creek 개울가에 돌다리가 있었고 그곳을 거쳐서 Union Army가 Atlanta 최후의 Chattahoochee River 방어선을 넘었다는 역사적 사실이 이곳, Sope Creek에 숨어있었던 것이다. 그것이 바로 Sope Creek Crossing의 역사적 사실이었다. 이런 사실을 안 이상 앞으로 이곳에 산책을 올 때마다 Kennesaw Mountain 격전 후 1864년 7월 초 이곳을 넘나들던 Union Army의 ghosts 말발굽, 군화 소리를 상상하는 것도 뜻이 있는 것 아닐까? 오늘 보게 된 Sope Creek Crossing historical landmark plaque는 이렇게 증언을 하고 있다.

On July 8, 1864 General Sherman sent a contingent of troops to cross the Chattahoochee only a few miles from this site. That crossing was successful in penetrating the Confederate defenses, the final stronghold in front of the fortifications around Atlanta. From the 9th to the 13th of July an estimated 30,000 Union soldiers under the command of McPherson, Howard, and Logan passed over Sope Creek on their way to the eastern flank of Sherman’s advance. Many of these soldiers traveled down Old Roswell Road and crossed Sope Creek at a classic plank and stone-covered bridge located where this overlook now stands. As Sherman’s troops moved through Sope Creek Crossing, Atlanta waited restlessly under the shadow of an impending attack. War’s dark clouds were gathering for the storm that would destroy the South’s grandest city.

1864년 Atlanta Campaign 직전 외곽지대에 도착한 Gen. Sherman

지금은 예전의 가교는 없어졌지만 이런 landmark와 전망대가 그 당시를 기억하게 한다. 우리 동네를 휘휘 감으며 졸졸거리는 Sope Creek을 따라 내려가면 커다란 강줄기 Chattahoochee River가 나온다. 그러니까 아틀란타 최후의 격전지였던 Kennesaw Mountain과 ‘패전 도시’ Atlanta사이에 있는 이곳 ‘우리동네’  Marietta는 향후 미국역사를 판가름하는 그 길에 있었던 것이다. 가끔 상상을 빼놓지 않는다. 만약 이 전투에서 Lincoln이 졌다면… 아니 최소한 휴전으로 끝났다면 미국이란 나라는, 아니 전 세계의 역사는 지금 어떻게 되었을까?  쉽게 말하면 소위 말하는 ‘미국식 자유자본민주주의’의 모습은 기대할 수가 없었을지도 모른다. 상상에 따라서 ‘아찔’할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

 

밤이 깊어오면서 예보대로 차가운 빗발이 뿌리기 시작, 비와 눈이 강풍과 함께 내일 올 것을 머리로 그린다. 비가 눈으로 바뀌면 우리는 Ozzie를 데리고 산책을 시도하고 Sope Creek쪽으로 가서 그곳의 겨울풍경을 만끽하고 싶다. 그것이 과연 실현이 될 것인가? 나의 흐릿했던 상상력, 올해는 눈 비슷한 것을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막연한 예감을 확인하고 싶은 것이다. 가급적 내 생일 전에 ‘대한 추위와 함박눈’의 선물을 기대하는 것, 너무나 유치한 바램일까?

 

April 19th, Seamless Gutters Up…

아차! 미안, 자괴自愧, 실망… 오늘이 사일구 4.19  61주년 기념일이었구나! 미안합니다, 선배님들, 형님, 누님들! 어떻게 이런 일이? 사일구를 어제 잠깐 생각은 했지만 바로 오늘인지는 확실치 않았다. 그것 뿐이었다. 죄스러움, 나이와 세월의 횡포, 등등만 핑계거리만 생각하고 있으니… 1960년의 이날을 어찌 이렇게 잊었단 말인가?  요새 무슨 생각을 하며 사는 것인가? 그 당시에 잘 모르고 경험했던 어린아이의 추억이 지금은 조금 역사적 조망을 할 나이가 되었으니… 한마디로 ‘순수함의 결정체’ 였던 민중, 아니 학생들의 염원이었다. 다른 생각은 별로 없었을 것이다. 빨갱이가 싫긴 했지만 그렇다고 빨갱이로 모함을 받는 것도 마다한 정말 깨끗한 분노의 발로였다. 부정, 부정 그것을 더 이상 참을 수 없었던  형님, 누님들, 그들의 순수한 희생, 그날은 바로 바로 그런 날이었다.

 

지난 밤 3시가 지나서 깼지만 다시 자려고 노력을 하며 6시 반까지 굳세게 자리를 지켰다. 자다, 깨다, 자다, 깨다.. 그 중에서도 성모님의 추억을 떠올렸다. 특히 2014년 경의 성모님, 나를 진흙탕 도랑에서 손을 잡고 이끌어 올려주시던 모습, 북망산을 닮은 먼~ 곳의 서너 개의 봉우리를 바라보며 나를 계속 잡고 이끌어 주셨다. 마지막 봉우리는 아마도 내가 ‘고향으로 돌아가는’ 그런 것이라고 짐작한다. 성모님, 저는 당신이 절대적으로 이제는 더 필요합니다. 절대로, 절대로…

2010년대 초 성모님의 추억을 떠올리며 다시 생각한다. ‘용서’를 선언했던 올해 성금요일, 나는 무엇을 했던가? 아직도 앙금이 깊이 남아 있는 자신을 보며 다시 생각하니 나는 ‘용서를 하기로 결정을 했다’ 였다. ‘용서를 했다’ 가 아닌 것이다. 그 전까지는 ‘용서를 절대로 안 하겠다’였고 지금은 ‘용서를 하도록 노력하겠다’ 인 것이다. 그것이 그렇게 ‘작은 기적’인 것이다. 그래, 서서히 잊으며 다시 예전에 없었던 때로 돌아가는 노력을 하면 되는 것이다. 너무 너무 쪼잔한 신경에 목을 매지 말자.

 

Ozzie와 지내는 첫 아침이다. 계획에는 이 녀석을 데리고 이른 아침에 산택을 하는 것도 포함되어 있다. 잘 하면 하루에 두 번 산책을 할 수 있는 기회다. 너도 좋고 나도 좋고… 일주일 편하게 사고 없이 서로 사랑하며 지내면 얼마나 좋을까? 새로니 부부는 어제 Pensacola [Florida] beach hotel에서 Gulf [of Mexico] 의 저녁 모습을 담은 사진을 보내왔다. 갑자기, 숙연해 진다. 어~~ 우리가 이런 모습을 마지막으로 본 것이 도대체 언제였던가? 거의 참을 수 없는 향수, 그것을 느낀다. 가보고 싶기도 하고… 오랜 만에 둘이서 편하게 푹 쉬다 오면 좋겠다.

7시 반에 Ozzie와 기다리던 이른 아침 산책을 하였다. 이 녀석 요사이 새로니가 늦게 일어나기에 아마도 처음 이런 산책을 할 듯하다. 너무나 기운이 넘치고 유유작작 온 동네를 섭렵하는 모습 나도 맑은 공기를 실컷 들어 마시며 즐긴 셈이다. 푸푸를 무려 세 번씩이나 하는 것, 이제는 나도 기대를 하기에 큰 문제가 아니다. 이런 식으로 토요일까지 걷는 것이 나의 목표다. 나의 허리운동에도 도움이 될 것이고, 날씨까지 협조적이니 얼마나 좋은가?

 

HISTORIC FIRST FLIGHT ON MARS!  화성의 표면에서 처음으로 뜬 헬리콥터 drone Ingenuity… 정말 재미있는 소식이 아닌가? 대기권이 거의 공허한 그곳에서 어떻게 ‘뜬’단 말인가? 무엇을 밀어 제칠 것이 있단 말인가? 무언가 있으니까 떴겠지만. 공기가 너무 희박한 것을 해결하려면 결국 이 drone의 무게를 가급적 가볍게 해야 하는데, 이것들을 가지고 ‘노는’ engineer들이 정말 부러워 진다. 분명히 여자, minority들이 섞어 있거나 그들이 주역인지도 모른다. 이렇게 세상은 변하고 있고 변했다.

 

오늘로 일단 우리 집의 ‘대 공사’는 끝나게 되었다. 마지막이 gutter인데 오늘 예정된 시간에 Duckworth Gutters guys 들이seamless gutter extractor 차를 몰고 와서 2시간도 안 걸려서 말끔히 6″ seamless aluminum gutter를 설치해 좋고 갔다. 2 black guys까지 포함된 날렵한 teamwork도 그랬고 black/white가 어울린 team이 오늘의 George Floyd 공판의 뉴스와 함께 생각을 많이 하게 했다. 생각보다 큼직하고 탄탄하게 보이는 gutter는 우리 집 전체를 돋보이게도 했지만 이제부터는 소낙비가 오더라도 안심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이 우리를 행복하게 했다. 이로써 total  $30,000 의 결산으로 tree, roofing, siding, gutter가 모두 끝나게 되었다. 분명히 집값도 영향을 받게 되리라….

Binge Watching 역사스페셜

 

KBS 역사 스페셜… History Special… 이름도 독특하다. 무엇이 스페셜 하다는 것인지 분명하지는 않지만, 아마도 역사에 접근하는 방식, 보여주는 방식이 독특하다는 뜻은 아닐까? 물론 여기서 역사 스페셜 이란 거의 20여 년 전에 대한민국 국영방송 KBS 에서 제작, 방영한 인기 다큐멘터리다. 이 프로그램을 나는 이번 코로나바이러스 Pandemic 사태 중에 다시 많이 보게 되었다. 물론 여유 시간이 거의 무제한으로 나에게 다가온 시기였기에 이것도 그것을 해결하는 한 방법으로, 나를 가끔 찾아오던 우울증에서 벗어나게 하는 특별한 역할을 하기도 했기에 지금은 아주 감사하고 고마운 마음이다.

 나는 50대가 되기까지 세계적인  ‘정치적, 사회적’ 역사에 큰 관심이 없었다. 그러니까 한마디로 그때까지 나이를 살아가는데 필요성이 없어서 그랬을까? 한마디로 나에게 역사란 물리적인 시간이 모두 지나간 때의 ‘실재 實在 사실 事實’, 그림, 글, 사진들에 남은 퇴색된 옛날 이야기로 느껴지기도 했던 것이다.

50대가 넘어가면서 늦게나마 나에게는 역사의식이란 것이 움트기 시작한 것을 생생하게 기억한다. 이것은 모든 사람에게 자연적인 것인가 아니면 나만이 경험한 우연적인 일인가 확실하게 알 수는 없지만 확실한 것은 30대 이전에 보편적 역사의식이 생기는 것은 드문 사실이라는 것이다. 그런 것을 감안하면 나는 아마도 조금 늦게 이런 의식이 생긴 것이 아닐까.

 KBS 역사 스페셜, Wikipedia에서 자세한 내용을 거의 우연히 찾게 되었다. 알고 보면 내가 가지고 본 것들은 제1차 스페셜 [1998~2003]의 완전한 전부였다. 그 이후 나도 기억하는 ‘고두심’ 진행의 2차 HD 역사 스페셜[2005~2006]이 2006년부터 일년 정도 있었다. 하지만 나는 3차 스페셜[2009~2012] program이 있었는지 전혀 몰랐다. 그것도 거의 1차의 반 정도가 되는 100회가 넘는 긴 series였던 것을 오늘 알고 깜짝 놀랐다. 물론 진행자는 ‘한상권’이라는 아나운서라고 하는데 물론 나는 전혀 안식이 없는 사람이다. 제1차 시리즈에 매료된 나는 역시 ‘전원일기’ 유인촌의 진행에 모든 가치 기준을 두고 있다. 그가 ‘사실상 표준’을 만들었기 때문일 것이다.

제1차 시리즈 전체 150회가 넘는 갓, 이미 오래 전 우연히 download를 해서 언제라도 볼 수가 있었는데, 문제는, 그 후 시리즈의 것들을 어떻게 볼 수 있을 것인가 하는 것, Wikipedia link를 따라가 보니 그곳은 원래 제작자인 KBS site였고 물론 그곳에서 공식적으로 그것을 ‘공짜’로 보여 줄 리는 만무… 작은 희망인 ‘open’ YouTube를 가보니 그곳에서는 몇 편인지는 모르지만 볼 수 있는 희망이 조금 보인다. 일단 ‘낚시 줄에 걸리는 것’ 부터 download를 시작했는데…. 과연 몇 편이나 건질 수 있을지…

새로 찾고 download한 ‘續’ KBS 역사스페셜 후편들…  2006년에 방영된 2차 시리즈, ‘전원일기’ 고두심 진행의 것 중에 ‘수도 한성의 건설이야기’를 본다. 2006년 즈음의 강북 江北 서울이 고스란히 나온다. 어찌 가슴이 저며오지 않으랴… 죽기 전에 다시 한번 볼 수 있는가 하는 것은 이제 거의 question mark가 되었고, 이제는 그런 가능성을 받아들이고 있다. 오래 전에는, 100% 고향에 가서 죽으리라 했던 것이 이제는 이렇게 나도 현실을 받아들일 수 밖에 없게 되었다… 어떨까? 나의 원래의 소원이 비현실적이었는가?

 

On top, Stone Mountain

지울 수 없는 잊혀진 대의명분, Stone Mountain, Georgia

 

미국 조지아 주,  수도 아틀란타, ‘바람과 함께 사라진’  lost cause의 역사, 공립고등교육수준  미국에서 ‘거의’ 최하위,  racist 인종차별주의자들이 득실득실, 남북전쟁 전후 노예제도 천국, 깊은 산속에 숨어사는 해괴한 백인들…  알아들을 수 없는 지독한 사투리 southern accent, 이런 모든 조지아 주의 ‘사실이건 아니건’ 불명예는 정확히 30여 년 전에 ‘북쪽’에서 이곳으로 직장을 찾아 온 가족이 내려오면서 어렴풋이 들었던 숨길 수 없는 ‘역사적’인 사실들이었다.

정치적, 문화적, 역사적으로 조지아와 모든 것이 정 반대의 극에 있는 ‘추운 동네’ Madison, Wisconsin을 떠나 새로 찾은 직장이 바로 Atlanta, Georgia에 있었기에 결과적으로 대단한 결정을 하게 된 것이지만, 사실 쉬운 결정은 아니었다. 대부분 사람들, 남쪽 특히 조지아 주로 가는 것에 대해 불쌍한 듯, 이맛살 찌푸림을 느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정치 사회적, 문화적으로 뒤 쳐진 곳’으로 가는 우리가 불쌍해 보였는지도 모른다.

 

 이사를 올 당시 우리가 잘 모르고 있던 것 중에는 ‘무식 無識이 자랑인, 무지랭이 중의 극치 極致’, 감추고 싶은 미국 역사의 수치 羞恥’인  KKK (Ku Klux Klan) 가 ‘패전 敗戰, 조지아 주’와 직접 관련된 역사가 있었다는 사실이었다.  남북전쟁 패전 직후 테네시 Pulaski, TN 주의 ‘한 동네에서’  갑자기 할 일들이 없어진 ‘패전 남부 confederate 퇴역군인, 동네깡패’들로 로 출발했던 이 hate group은,  20세기 초에 들어서면서  급변하는 세상의 불안한 심리[흑인해방, 동유럽 이민, 가톨릭]를 적절하게 이용해서 급성장 수백만 명의 member를 확보하기도 했는데 이 무렵에는 이미 ‘장난적인 hate group’에서 벗어나 당당한 정치적 그룹이 되었고 수 많은 정치인들도 가입을 한 상태가 되었다. 이 재건된 KKK의 시발점이 바로 아틀란타 교외의 Stone Mountain[현재는 州 공원]이란 곳이었다는 사실에 나는 입이 다물어지지 않았다.

Stone Mountain [Park]은 사실 이곳으로 이사오자 마자 중앙고 후배 윤주네 집의 안내로 주말에 가끔 놀러 가던 곳이었다.  가족들 picnic장소로 적당하고 거리가 우리 살던 곳에서 20분도 안 걸리는 곳의 위치, ‘세계에서 제일 큰 돌 바위 산’으로 비교적 쉽게 정상으로 hiking 할 수도 있다.  하지만 당시 제일 큰 ‘행사’는 Laser Show였다. 거대한 바위에 새겨진 ‘남부의 영웅 3명[R. Lee, Jackson, J. Davis]’ 조각위로 빠르게 움직이는 laser image는 어둠이 깔리는 잔디에 누워서 보는 것은 정말 대단한 show였다.

 

3 heroes alive with Laser

 

비록 ‘적진 敵陣’으로 이사온 기분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실제적으로 보이는 피해를 본 기억은 전혀 없다. 1990년대 이후의 아틀란타는 이미 돌이킬 수 없는 대도시 문화를 수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사온 지 몇 년 후에는 올림픽까지 치렀다. 내가 일하던 직장은 대다수가 나와 비슷하게 타 주에서 직장을 찾아 내려온 사람들이고, 최소한 수도권 안에서는 어렵지 않게 많은 이민자들이 정착해 있었다. 그 옛날 유색인 전용 화장실은 전혀 그림자도 볼 수 없었다.

이사온 지 30년이 지난 현재, 서울-아틀란타 비행기가 매일 뜨고 내리게 되어서 이제는 서울의 공기가 지척에서 느껴질 정도가 되었다. 아직도 조지아는 평균적으로 뒤 떨어진 곳이지만 부분적, 지역적으로는 진보, 발전적인 성향을 보이기도 한다.  비록 평균적인 중고등 교육수준은 최하위에서 맴돌고 있지만, 이곳에 있는 Georgia Tech이나 Emory University같은 곳은  대표적 예외에 속하는  case다.  온화한 날씨, 경제적인 부동산, 활발한 경제 등으로 이제는 너무나 많은 외부, 타 주 인들의 유입이 문제가 될 정도가 되었으니… 참, 오래 살고 볼 일이다.

 

KKK는 누구이며 무엇인가? 세계사를 통해서 이런 ‘반동, 증오’ 그룹은 언제나 있었고 그것에는 분명히 원인과 결과가 교훈으로 남는다. 미개한 것이나 덜 개화된 것이 전부가 아니다.  급변하는 세상에서 미래에 대한 불안함은 그 중에서 제일 큰 원인을 제공한다. 미국의 KKK의 교훈을 보아도 분명하다.  노예들 덕분에 편안했던 시절이 끝나게 됨은 커다란 충격이었을 듯하고, 설상가상 ‘종교가 불확실한, 못사는’ 유럽으로부터의 대량이민, 종교적으로 증오대상이었던 ‘가톨릭’의 출현, ‘보기 싫은’ 유대인들 등등, 자기를 제외한 모든 것을 증오했던 ‘백인우월주의’,  어느 정도 민중의 호응이 없었을 리가 만무하다. 이것이 정치적으로 이용을 당하면 모든 것은 끝이다.

이런 모든 것들의 실험장이 바로 미국의 19~20세기 역사가 아닐까?  이것은 전형적인 challenge-and-response의 반복 실험이다. 미국은 결론적으로 이제까지 이런 치명적인 도전을  거듭해서 물리치고 있는 형편이고,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지만, 현재 우리의 코앞에 있는 challenge 도 결코 만만치 않은 것 같다. 위의 교훈들에 비추어 보아서 현재 우리의 ‘우려, 공포, 관심’은 무엇인가? 그것을 자기의 목적을 위해 이용하거나 잘못 판단하고 돌이킬 수 없는 곳으로 이끄는 ‘주체 세력, 정치인’들은 과연 누구인가? 희망과 긍정보다는 불안과 공포를 들추어내어 우리를 더욱 불안하게 하는 세력, 인간들은 누구인가? 우리와 같은 소수민족을 더욱 불편함과 불안함을 더해 주는 정치인은 누구인가? 그와 반대로 ‘지나친 방종적 자유, 비도덕적에 대한 무감증’을 부추기는, 한 마디로 ‘내가 법이고 도덕’이라고 떠벌리는 한심한 부류들은 누구인가? 이런 것들, 결코 쉬운 도전이 절대로 아니다.

 

 

****************

 

근래 들어서 내가 살아왔던 20세기 중엽을 전후로의 ‘세계, 미국사’를 사회적 관점에서 공부하는 데 안성맞춤인 당시의 미국 주간지 LIFE magazine에서 바로 KKK on the Stone Mountain, 기사를 읽게 되었다. 화보중심의 주간지라서 이곳에 실린 사진들은 과히 역사적 가치가 있었다.  사진기자가 어떻게 ‘변장’을 하고 이들의 ‘행사’에 잠입하여 당당하게 사진을 찍었는지, 과연 LIFE journalism의 우수성이 대단했다.

여기에 보이는 ‘신 단원 선서식’에서 많은 ‘인간’들이 관공서, 경찰 들의 member라는 것으로 당시의 ‘개화된 아틀란타’ 교육 수준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이채로운 것은,  이 사진의 설명들에서, 객관성을 자랑하는  LIFE 편집자들의 ‘이 그룹에 대한 혐오감’ 이 그대로 드러난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면, ” anti-Negro, anti-Catholic, anti-Semitic, anti-foreign, anti-union, anti-democratic”, “The ghastly spectacle of hooded human beings”, “Childish ritual”, “march in lock step, like old Georgia chain gang prisoners”, “the mumbo jumbo of initiating”…  이 중에서도 Georgia chain gang prisoners라는 말로 보아서 이들 [북쪽 사람들]이 얼마나 [바람과 함께 사라진] 조지아 주를 경멸, 조롱하고 있는지 짐작이 간다.

 

On the evening of May 9 [1946] at 8 p.m. a mob of fully grown men solemnly paraded up to a wide plateau on Stone Mountain, outside Atlanta, G., and got down on their knees on the ground before 100 white-sheeted and hooded Atlantans. In the eerie light of a half-moon and a fiery 200-by-300 foot cross they stumbled in lock step up to a great stone altar and knelt there in the dirt while the “Grand Dragon” went through the mumbo jumbo of initiating them into the Ku Klux Klan. Then one new member was selected from the mob and ceremoniously “knighted” into the organization in behalf of all the rest of his fellow bigots. During the two-hour pageant the more privileged members of the Klan padded about with an electrically lighted cross. Said a local Baptist minister of the exhibition, “The ghastly spectacle of hooded human beings trekking…to Stone Mountain to burn a cross…is a sad commentary on the words of the Son of God: ‘And I, if I be lifted up from the earth, will draw all men unto Me.'”.

This was the first big public initiation into the Klan since the end of World War II. It was put on at a carefully calculated time. The anti-Negro, anti-Catholic, anti-Semitic, anti-foreign, anti-union, anti-democratic Ku Klux Klan was coming out of wartime hiding just at the time when the C.I.O. and the A.F. of L. were starting simultaneous campaigns to organize the South and just at the time when Southern politicians were starting their campaign for state and national offices. Georgia’s former “white supremacy” Governor Gene Talmadge is trying a comeback this year and has said that he will “welcome” the support of the Klan. But it is doubtful that the Klan can become as frighteningly strong as it was in 1919. One indication of the Klan’s impotence was its lack of effect on Negroes, who were once frightened and cowed by the white-robed members. More than 24,000 Negroes have already registered for next July’s primaries in the Atlanta vicinity alone, where the Stone Mountain ritual was held.

 

THE KLANS “GRAND DRAGON,” SAMUEL GREEN, AN ATLANTA DOCTOR, IS SURROUNDED BY HIS ASSISTANTS

THE “NEW MEMBERS” march in lock step, like old Georgia chain gang prisoners, up to the Klan’s big altar. The Klan exultingly announced they had initiated 600 new members in one night. But observers’ best guesses were from 150 to 200.

A BURNING CROSS DURING MAY 9 INITIATION, STONE MOUNTAIN CEREMONY WAS PUT OFF MANY TIMES, KLANSMEN SAID, BECAUSE OF WARTIME SHEET SHORTAGE.

BEFORE THE GRAND DRAGON initiates kneel, repeating the ritual. The crowd included some Atlanta policemen. The five Atlanta “klaverns”(branches) are strong because many members of the police force are also members of the Klan.

 

 

 

REVOLT IN KOREA

요즈음 ‘심심하면’ 들추어 보는 미국의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화보 주간지 LIFE magazine, 그 중에서 내가 태어날 즈음의 것을 보다가 1948년 10월에 일어난 여수 순천 반란사건에 관한 기사를 읽게 되었다. 2년 뒤에 일어난 6.25 동란부터는 거의 정기적으로 한국에 관한 기사가 실렸지만 그 이전에는 사실 이 반란사건이 처음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전에 이런 기사를 보게 되면 그저 ‘분단 역사’의 비극의 하나로 생각하기도 했겠지만 현재의 나의 조국 ‘대한민국’의 돌아가는 꼴을 생각하면 아주 착잡한 심정을 금할 수가 없다.

이 기사가 실렸을 때까지의 LIFE 지를 살펴보면 미국의 여론은 압도적으로 ‘반공 중의 반공’이었음을 알게 된다. 그러니까 2차 대전을 승리로 이끌었던 미국이 거의 갑자기 ‘소련과 공산주의’에 대한 공포와 혐오감 속에서 고민하기 시작했던 것이고 세계 도처에서 공산주의의 확장, 특히 철의 장막에 대한 경계심을 날로 고조되고 있었다.

미국인들, 특히 ‘진보적 성향’의 LIFE 지 조차도 공산주의의 실체를 알리기 시작하고 나치 독일의 뒤를 이어 나타난 소련의 공포 (특히 스탈린)를 미리 파악하지 못한 미국 행정부의 정책 실패를 비난하고 있다. 중국 국민당 정부가 모택동의 공산정권에게 거의 패배하던 마당에 이번에는 한반도에서 이런 사건이 난 것을 LIFE 지는 중요하게 화보로 다룬 것이다.

이 기사를 읽으면 2년 뒤에 일어날 CIVIL WAR, 한국전쟁도 예견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승만 정권이나 미국의 2차 대전을 전후로 한 루즈벨트 정권이나 모두 공산주의의 실체를 일시적이나마 무시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뒤돌아 본다면 쉽게 말해서 기회가 있을 때 이들의 ‘악의 뿌리’를 제때에 청소를 했었더라면 현재 한반도의 사정은 많이 달라졌을지 않았을까?

 

 

REVOLT IN KOREA

 

AT YOSU IN THE U.S. ZONE, WHERE KOREA’S REBELLION BEGAN
ON OCT 19, LOYAL TROOPS FLUSH OUT COMMUNISTS FOR TRIAL
AFTER RETAKING THE CITY

YOSU’S RECAPTURE was achieved on Oct. 27 by loyal troops. Only their
white helmet bands differentiated them from the rebels, who also used
new American equipment.

TWO OF SUNCHON’S BEREAVED WOMEN MOURN A LOYAL KOREAN WHO FELL BEFORE A REBELE SLAUGHTER SQUAD AS THE REBELLION BEGAN. AN AMERICAN ADVISER, LIEUT. RALPH BLISS LOOKS ON SILENTLY WHERE NO ADVICE WILL HELP

 

 

A NEW COMMUNIST UPRISING TURNS MEN INTO BUTCHERS

Sooner or later the cold war in Korea was sure to turn hot, and so it did in late October on a signal from Soviets. The reason were well known: Korea had been split between U.S. and Soviet control at Yalta, and the Soviets obstructed all later efforts to unite it, preferring to establish a Communist “people’s republic” in North Korea and equip it for civil war which would make all Korea Red. The urgency increased in August when the U.S. gave South Korea a government under President Syngman Rhee. When the Red rebellion came, it splattered blood across the new southern nation. It began on the cool night Oct. 19 while the Moscow radio trumped the news that Soviet troops were leaving Korea. Simultaneously a Red cell of 40 soldiers in a regiment of the American-trained Korean national army at the southern port of Yosu killed the regimental officers, gathered the entire regiment in revolt, murdered the local police and quickly captured both Yosu and the city of Sunchon 25 miles to the north. There the rebels, still in American Army uniforms, and followers raised the flag of the North Korean People’s Republic, and for a few bloody days ruled a small chunk of Rhee’s south. Before they melted into the hills, at least temporarily repulsed by loyal troops, LIFE’s Carl Mydans was on the scene with a camera to record the brutal consequences.

 

HOW DEATH CAME TWICE TO “PEACEFUL HEAVEN”

At Sunchon, which means “Peaceful Heaven,” the rebellion’s Red leaders opened the city jail and let political prisoners lead them through the city from house to house pointing out enemies for revenge. With this help the rebels had slaughtered about 500 civilians and 100 police before the Korean national army retook Sunchon (pop. 60,000) on Oct. 23. Then it was the government’s turn, and LIFE’s Carl Mydans watched with horror as the process of retribution began again. He cabled:

“Now the national army, aided by a few police who had fled to the hills and come back, repaid brutality with brutality. We watched from the sidelines of a huge playground with the women and children of Sunchon while all of their men and boys were screened for loyalty. Four young men stripped to their shorts were on their knees begging. One had his hands up in a symbol of prayer. Suddenly these suppliant hands were crushed into his mouth and nose as a rifle smashed out his teeth.

“Behind them stood two men with clubs. They beat the kneeling group over heads and backs until the beaters, grinning, had to pause for breath. A policeman wearing black glasses and Japanese helmet danced madly before the victims. Uttering staccato barks, he alternately spun his carbine butt forward and smashed a kneeling man in the face, then twirled the gun muzzle downward and feigned shooting. Finally, without missing a stroke, he charged like a goat, helmet lowered, and smashed the steel hat into the begging victim’s head.

“We drove through the city – empty except for bodies – and here we saw the reason for brutal retaliation. Bodies lay just as they had been slain by the rebels – in heaps with hands tied behind backs. In the police compound there were two heaps: 85 corpses, some of them civilian, some police. We found others near the river, tumbled grotesquely down an embankment and on the edges of paddy fields. Some were burned in charred masses on the streets, or lay alone where they had fallen beside looted shops and homes.

“During the first terrible days of Sunchon’s blood bath, no relative dated claim a body for fear that doing so would identify the living with the dead and thus bring quick retaliation from either the Communists or the government. Later, when it was safe, women streamed away from the big playground to poke among the heaps of bloated dead – a scene not easy to watch. When they found theirs, they were stoical at first. Then tears came and they were hysterical.”

 

DEAD REBELS, their bodies dotted with bullet holes, lie beside a school ground at Sunchon. Other rebels in army uniform (below) are hauled away tightly trussed in army trucks, after their capture by loyal army forces, for trial by a Korean military tribunal.

 

A CIVILIAN REBEL holds his bloody head after “questioning” by loyal
soldiers who took Sunchon back from the revolting troops. He may
get death sentence. Many Koreans, who traditionally jump at a chance
to attack their police and officials, joined the rebels believing
Red propaganda that all Korea had fallen to the Communists.

Iconic, 이 미국 여자는..

Margaret Burke-White

 

언제였을까? 아마도 1950년대 후반이 아니었을까? 아직도 선명하게 뇌리에 남아있는  이 (사진) 모습의 여자, Margaret Burke-White를  처음 보았던 것이…  어디에서 보았는가… 그것은 잊혀진 듯 하지만, 거의 분명히 당시의 미국의 대표적인 화보뉴스 주간지,  LIFE magazine이었을 것이다. 이것이야 말로 iconic한, 절대로 잊혀지지 않는 그런 역사적인 사진. 요새 들어서 다시 우연히 Atlantic (magazine, online)에서 찾았고, 다시 ‘실컷’ 보며 짠~한 추억을 되새긴다. 바로 ‘그 미국여자’ 였다. 그 당시에는 ‘서양 여자’를 보면 우선 ‘미국여자’라고 불렀기에 국적 같은 것은 상관이 없었다.

이 사진 – 우람하고, 정열적이고 멋진 – 의 이 ‘미국여자’를  처음 보았을 때 나는 어린 마음이었지만 아주 충격적이고 강렬한 느낌을 받았다. B-17 bomber (전폭기) 앞에서 방한복으로 중무장,  ‘거대한’ 사진기를 사뿐 들고 자신만만한 미소를 짓는,  와~ 한마디로 ‘어떻게 여자가…’ 란 느낌을 떨칠 수가 없었던 것이다.

1950/60년대의 대한민국 사회적인 분위기와 여필종부, 부부유별 등과 같은 유교적 전통적 여파의 끝자락을 보며 자랐기에 당연한 반응이었을 것이다. 매일 ‘남자에게’ 얻어맞고 사는 아줌마들이 동네마다 적지 않게 살았던 그 시절,  용감하게 보이는 여자들을 보면 나는 정말 감탄도 하고 부럽기조차 했었다. 우리 어머님도 그 중에 하나였을 지도 모른다.

아득한 기억 속의 ‘멋진 여자’가 누구인지 전혀 몰랐지만 생각보다 유명한 ‘앞서가는 여자’ 중의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요새말로 남녀차별의 glass ceiling을 ‘부숴버리는’ 그런 feminism 의 신봉자가 아니었을까. 그러니 당시의 상황으로 보면 물론 ‘모든 남녀차별의 벽을 깨는’ 첫 번째의 기록을 깨었던 인물이었다. 웬만한 남자들도 못 가는 곳들로 가서 역사적인 사진들을 남긴 것..  한마디로 photojournalism의 선구자…  공적인 직업적 성격은 아주 남성적이었지만, 사적인 다른 모습은 정말 매력적이고 온순한, 대조적인 모습의 ‘미국 여자’, 나는 아직도 상상의 날개를 펴고 있다. 멋진 미국여자.. 여자.. 여자..

 

천주교와 빨갱이

지난 5월 달에 들어서 부쩍 역사적 5월의 사건들 (5.16, 5.18 같은)에 추억을 더듬어 관심을 거의 반강제적으로 쏟았다. 내가 만일 내일 아침에 못 일어난다면..  나를 낳아준 조국 역사의 일부분, 그것도 아주 의미가 큰 것을 모른다면 조금 억울할 것 같았다. 게다가 요사이 나의 주변에는 ‘조국의 빨갱이화’를 염려하는 ‘생각하는 사람’들이 보인다. 그들 앞에서는 나는 거의 ‘완전한 외계인’이 된다. 어떻게 그렇게 모르고, 관심 없이 살았을까?

그 잃어버린 1980년대 이후의 대한민국 역사가 ‘이념 논쟁’과 마주 어울려서 정체를 알 수가 없게 되었다. 한마디로 누구의 말이 더 신빙성이 있는지 알기 어렵게 된 것이다. Internet의 덕분으로 Fake news까지 등장하고, Youtube란 것은 자칫하면 우리들 거의 몇 시간 만에 brainwash를 시켜 버린다.

오늘 나의 생각은 ‘천주교와 빨갱이’란 거북한 화제에 머물러 있었다. 오늘 읽은 1990년 5월호 천주교 잡지 ‘생활성서’의 ‘4.3 항쟁, 인간해방의 토대’란 ‘특별기고’를 읽은 후, 나는 나의 눈을 의심할 정도였다.  간단히 말해서, 1990년의 천주교 잡지의 글이 이 정도라면, 지금은 과연 어느 정도일 것인가?

이 특별기고의 저자 ‘김명식 시인’이란 사람은 과연 어떤 사람일까? Googling하려는 유혹을 참았다. 더 자세히 알아보면 나는 이 저자에 대한 ‘증오의 유혹’을 뿌리쳐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 글을 실은 ‘생활성서’는 분명히 (천주교)교회인가를 받은 출판물인데, 어떻게 이렇게 편파적, 아니 ‘빨갱이’의 mouthpiece역할을 했던 것일까? 이 글을 읽은 후 나는 ‘광주사태에 대한 생활성서의 기사들’은 철저한 검증이 필요함을 느꼈고, 거의 무의식적으로 ‘색안경’을 끼고 보게 되었다. 만약 광주’항쟁’이 이 ‘시인’의 4.3 ‘항쟁’과 같은 맥락이라면 나는 색안경이 아니고 ‘증오의 눈’으로 그들을 볼 것이다.

이 글을 전재하는 것, 읽는 것 자체가 고역이었지만 이런 것 감수하기로 결심을 했기에 강행을 하였다. 문제는 ‘천주교’가 이런 ‘말도 안 되는 글’을 어떻게 허용을 했는가 하는 것이다. ‘사필귀정 事必歸正’의 맥락에서 ‘혁신정당 남로당과 함께 민족해방의 대열에 합류’ 한 4.3 항쟁이라면 나는 더 이상 할 말이 없다. 이 ‘시인’이란 분, 과연 어떤 인간인가? 어떻게 천주교를 말살했고, 하려던 빨갱이들이 이렇게 천주교의 이름을 팔아가며, 합류할 수 있었는지.. 역사를 배워라, 역사를.. 이 ‘事必歸正’의 인간들아…  당신은 당신이 숭배해온 주사파, 김씨 세습왕조의 최후 발악적 말로와, 그 밑에서 인류역사 유래 없는 카프카도 웃지도 못할 어이없는 고통을 받고 있는 동족들을 한번이라도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전재 全載: 생활성서 1990년 5월호에서

 

제주 4.3 항쟁 42주년 특별기고 (2)

 

4.3 항쟁, 인간해방의 토대

 

김명식 시인,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연구원 원장1

 

 

이승만 정권을 앞세우려고

2차대전 이후 미국은 국제관계에 있어서 패권 팽창주의의 야심을 노골화 해 나갔다. 그들은 한반도 문제에 있어서도 대소련정책에 우위를 차지하려고 했으며 소련과의 협상을 계속하면서도 모스크바 3국(미, 영, 소) 외상 협의 사항조차 지키지 않았다. 3상 협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조선에 주재한 미,소 양국군 사령관은 2주 이내에 회담을 개최하고, 양국의 공동위원회를 설치하며, 조선임시민주정부 수립을 원조한다. 또 미, 영, 소, 중 4국에 의한 신탁통치제를 실시하는 동시에 조선임시정부를 수립하도록 하여 조선의 장래 독립을 고려하여 신탁통치기간은 최고 5년으로 한다” (1945. 12. 17)

그리스, 터키, 중국 등지에서의 사회주의 확대경향과 소련의 세력확대에 위협을 느낀 미국은 다음의 여러 이론과 주장을 통하여 국제적 입지를 구축하려 했고 한반도 문제도 같은 방식을 사용하였다.

  • 케난의 주전론; 소련과의 협력은 더 이상 유지될 수 없으며 미국은 이제 소련과의 상호적대적이고 상호불신하는 관계를 받아들일 준비를 해야 한다(1946년 초)
  • 처칠의 철의 장막론; 소련의 도전에 대처하기 위하여 영어권 국민이 단결하자 (1946.3)
  • 이승만의 분단고착 발언; 우리는 남한만이라도 임시정부 혹은 위원회 같은 것을 조직하여(1946.6)
  • 트루만 톡트린: 공산주의 침략으로부터 자유주의를 보호하기 위하여 그리스, 터키에 4억 달러 원조요청(1947.3)
  • 마샬 플랜; 자유주의를 유지한다는 조건으로 유럽 여러 나라에 경제원조(1947.6)

 

미국은 ‘1948년 3월 31일 이전에 한국에서 유엔 한국임시위원단(UNTCOK)의 감시하에 인구비례에 따라 보통선거 원칙과 비밀투표에 의한 총선거를 실시해야 한다’는 자기들의 안을 유엔 총회에 전격적으로 통과 시켰다(1947.11.14). 결국 UNTCOK 제1차 회의 (서울 1948.1.12)->소련측 반대->유엔 소총회 결론(1948.2.26 접근 가능한 한국의 지역에서 선거 실시)->UNTCOK 결의(한국의 일부지역에서 선거실시를 감시하며 동 선거는 늦어도 1948년 5월 10일 이전에 시시되어야 한다)라는 형식적 과정을 밟고 대리점령통치기구 구축음모를 착실히 굳혀나갔다.

미국은 당시 이승만의 단독정부론을 지지하는 한민당과 북한 피난민 대표로 이루어진 조선민족당을 내세워 선거가 가능한 지역에서라도 자기들의 전략이 실현될 수 있도록 유도했다. 그들은 한반도 전역을 전초기지화하기 위해서 전략상 제주도에 반공기지를 구축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생각하였고, 그러기 위해서는 제주도를 완벽하게 장악할 필요가 있었다.

 

삼무도(三無島)는 처형도로 바뀌어

명분상으로는 선거전략을, 작전상으로는 초토화작전을, 토벌대에는 용병인 반공우익집단, 친일경찰, 친미경비대 등을 이용하려는 미국의 음모는 1948년 벽두부터 시작되었다. 5.10 선거운동은 리, 동 단위의 18~55세 청장년으로 구성된 향보단을 이용하였고 그 필요경비는 해당 지방민의 기부금으로 충당되었다.

그리고 빨갱이를 잡는다는 구실로 계엄령 선포, 통행제 실시, 해상교통차단, 무차별 총살, 마을 가옥 소각, 주민 소개, 주민 격리작전(해안으로부터 4 km 내에 있는 중산간부락과 산간부락을 격리, 후에 9 km로 바뀜) 등으로 이루어진 초토화 작전이 자행되었다. 이러한 초토화작전 앞에서 제주도민은 혼연일체가 되어 미국의 지배전략에 전면 거부, 항거의 기치를 들고 단선단정을 타도하기 위해 일어섰다. 이는 유엔 조선위원단 입국거부로 시작하여 2.7 구국투쟁, 자위무장투쟁, 전선합류투쟁으로 이어졌다.

1947년부터 본격적으로 고양되어가는 제주도민의 항전 기세에 대하여 미군은 제주지방 비상경비사령부를 설치하여 1천 7백여 명의 경찰토벌대를 증원했다 (1948.4.5) 그리고 1948년 5월 6일 점령군 전세력을 망라한 긴급대책회의 – 군정장관 딘 (Dean)도 참가 – 를 열고 구체적인 제주도 초토화 작전을 모의했다. 제주도 인민의거자 김달삼과 제9연대장 김익력 간의 협상을 유도하는 선무공작, 첩보활동, 합동토벌작전, 제11연대 창설, 수도청 형사대파견(1948.5.18) 등을 이유로 5.10 선거를 전후해서 기존병력의 50 퍼센트 이상이 증원되었다. 그들은 확보된 지상, 해상, 공군 화력으로 집단 대량학살, 집단 방화, 주민 추방, 전략촌 건성 (3광 3진 작전)을 자행했던 것이다.

결국 그들은 1948년 4월부터 1949년 4월 사이에 제주도의 4백여 부락 중에서 295부락의 1만여 호를 불태웠고 무려 5~8만의 무고한 제주도 양민을 살해했다. 산 좋고 인심 좋은 제주도는, 이국인의 총탄에 쓰러진 시체더미로 인해 거지 없고, 도둑 없고, 대문 없는 삼무도(三無島)에서 ‘처형도’로 바뀌어 버렸다. 미국은 한반도 전역을 지배하기 위해서 제주도를 초토화했던 방식 그대로 이승만 정권을 앞세우고 초토화작전을 확대해 나가려 했던 것이다.

 

한 목숨 떳떳하게 살고자 한라산으로

1947년 11월 14일 유엔 총회에서 유엔 감시하에 총선거를 실시한다는 결정을 내리도록 유도한 미국은 사실상 전후 조정문제를 금한 유엔 헌장 제 107호 및 내정간섭을 금한 동 헌장 2조 7항을 위배한 것이었다. 결국 대리점령통치기구를 세우려는 미국의 음모 앞에서 제주도민들은 하나 둘 한라산을 향해 떠나기 시작했다. 제주도민의 유일한 꿈이었던 민족의 통일과 자주정부를 수립하기 위해서는 미국에 의한 민족의 분열과 38선 이남에서의 대리점령통치기구(이승만 정권) 설치음모를 분쇄하여야 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제주도민의 저항은 일본의 침략에 맞서 싸워온 정신 그대로였다.

민족해방지도자들은 감옥에 갇혀 있었고, 미국의 체포명령에 쫓기는 민주인사들은 지하로 들어가 활동하게 되었고, 용병이 되라는 미국의 책략에 결코 부응할 수 없었던 제주도민들은 한 목숨 떳떳하게 살기 위하여 한라산으로 발길을 옮겼던 것이다. 그리하여 강압적인 미국의 선거전략에 맞서서 제주도민들은 단선, 단정저지투쟁에 몸과 마음을 다 쏟아 넣게 되었다. 그들은 실력저지만이 민족통일과 자주정부수립이 가능하다는 판단 아래 경찰의 탄압에 무력항쟁으로, 그 외 지서공격, 용병경찰처단 등으로 맞섰다. 동시에 제주도민들은 다음과 같은 요구를 했다. “유엔 조선위원단은 물러가라” “망국 단선 단정결사 반대” “미소양군은 즉시 철수하라” “토벌대를 즉시 해체하라” “반미구국통일전선에 총 집결하라”. 민중의 생존권과 자유활동을 쟁취하기 위하여…

1948년 2월부터 3월까지 한라산으로 들어간 제주도민들은 스스로를 지키고 민족통일과 자주정부수립을 위해서 자위적 무장을 갖추게 되었다. 이 자위적 무장조직은 초기에는 한라산으로 들어간 주민들이 중심이 되어 대정지역, 중문지역, 애월-한림지역, 제주, 조천지역, 남원지역, 성산-표선지역으로 뭉쳐 이루어졌다. 이렇게 구성된 자위무장대의 활동사항을 보면 그 성격이 뚜렷해진다.

“조선인민이라면 조국과 인민을 압박하는 외적을 몰아내는 폭넓은 투쟁에 서야 함이 명백하지 않은가? 단독선거를 반대하고 조국의 통일과 민족의 독립을 위하여… 미국과 그 앞잡이의 학살만행을 제거하기 위하여… 우리들과 함께 조국과 인민이 이끄는 길로 결연히 떨쳐 일어서 행진합시다”(1948.4.3 인민무장대).

5.10 선거전략을 원만히 수행하기 위해 자행된 ‘미국식 빨갱이 토벌전(W. L. 로버트)’에 맞서 경비대(문상길 중위와 함께 백 여명, 1948.4.27), 혁신정당 (남로당 1948.6.3), 사회단체 (단선단정 반대투쟁 총파업 위원회, 1948.5.5.) 및 학생, 지식인, 종교인들은 제주도민 무장대와 함께 민족해방의 대열에 합류하기 시작했다.

 

선거전략의 실패는 잔악한 초토화작전으로

결국 이렇게 합류한 제주도 민주세력에 의해 미국의 선거전략, 즉 대리점령 통치기구 설치음모는 여지없이 깨어지고 말았다. 제주도 감과 을 두 선거구에는 투표에 참가하는 사람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었다. 바로 5.10 선거 반대투쟁은 미국의 극동전략을 분쇄한 민족해방투쟁의 첫 번째 승리로 기록되었다.

선거전략에 실패한 미국은 앞잡이들을 내세워 제주도 전체를 불바다로 만들려고 획책하였다. “한라산 일대에 휘발유를 뿌리고 불을 지른 다음 항공기로 소이탄을 퍼부으면 제주도 빨갱이들을 몰살할 수 있다”. 이것은 11연대장 박진경의 말이었다(1948.6.17). 미국은 제주도를 시발로 한반도 전체를 장악하려고 6.25를 거쳐 오늘날까지 그 지배야욕을 버리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역사의 흐름을 거스르는 한 항쟁은 계속되리라

미국의 초토화작전에 묵묵히 맞서 싸우다 죽어간 5~8만의 목숨들, 이들은 도대체 어떤 사람들이었던가? 당시 제주도민들은 무엇을 바랐고 어떻게 활동했는가? 최근 모슬포 송악산에 미 공군기지 건설계획에 대해 제주도민 전체는 왜 반대하고 일어섰는가? 4.3항쟁은 이상과 같은 소박한 질문에 대한 대답이다.

4.3 항쟁의 주체는 분명 제주도민 전체였다. 왜냐하면 그들은 민족의 하나됨과 통일된 정부수립을 갈구했고 민족의 통일과 통일된 자주정부수립을 방해하는 미점령정책에 반대하여 싸웠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4.3 항쟁은 외세의 침략을 막으려고 궐기한 민족해방전쟁이었다. 수만의 제주도민이 바로 이 싸움에서 전사한 것이다. 물론 이 싸움에는 제주도민의 생존권 투쟁도 포함된다.

4.3 항쟁은 역사적으로 볼 때 침략세력, 즉 여몽연합군 -> 조일 연합군 -> 한미연합군에 대항하여 싸운 민중해방투쟁사와 그 궤(軌)를 같이 한다. 그러기에 4.3 항쟁은 각 시대, 각 지역에서 해방을 위해 싸워왔던 민중해방투쟁의 보편성을 지니게 된다. 도식적인 민족주의, 인종주의, 종파주의, 이념주의를 훨씬 넘어선 인간해방이라는 지상과제를 안고 4.3 항쟁은 민족적 힘과 민중적 힘의 합류에 의하여 결행되었던 것이다.

이 합류된 힘은 바로 작은 규모였지만 외세의 침략을 막을 수 있었다. 오늘도 이 작은 힘들이 모여 역사를 정 방향으로 인도하고 사회를 민주화로 이끌며 인간다운 세상, 평화스런 사회를 창조해 나가고 있다. 4.3 항쟁은 모름지기 인간해방의 토대이다. 누구든지, 어느 것이든지 역사의 올바른 흐름을 거스르는 한 이 4.3 항쟁은 계속될 것이다.

“너희들은 누구를 위해 싸우는가? 무엇 때문에 미제 살인귀들의 총마개가 되려는가? 오늘 네놈들은 우리의 생명을 빼앗을 수는 있겠지만 밝아오는 조국의 아침햇살을 쇠사슬로 묶어 둘 수는 없다”(문상길 중위의 최후진술).

 


  1. 아주 제3세계만 골고루 섞어 놓으셨군요… 소련은 빼고, 미제를 혐오하는 이유를 짐작하겠습니다.

광주의거의 성서적 조명 – 김찬국

올해 5월은 조금 특이하다. 왜 ‘갑자기’ 1980년의 5월이 자꾸만 생각이 났을까? 이제까지 나에게 추억의 5월은 주로 꿈 속에서나 볼 수 있는 어린 시절, 철없던 젊은 시절들의 그것이었다. 그때의 5월들은 언제나 나에게 아련하고 짜릿한 기쁨을 주는 그런 시절들이었다. 하지만 올해의 5월은 5월 18일의 그 ‘비극적 사건’ 으로 거의 고정이 되었다. 5.18 광주사태, 나의 기억에 남았던 단어, 광주사태였다. 나의 나이를 감안해서도 더 이상 외면, 미룰 수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더 이상 머리를 모래 속에 파묻고 외면을 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래, 조금 더 알아보자.. 내가 외면하고 살았던 그것을 하나 하나씩 다시 뒤져보자.. 나의 눈에 1989년 5월호  천주교 잡지 ‘생활성서’가 눈에 들어왔다. 정치적인 시각이 아닌 신앙적, 교리적인 눈으로 본 광주는 과연 어떤 것인가? 최소한 그들은 양심적 진실을 말하고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그것을 ‘전재’하기로 하며, 내가 잊은 역사를 다시 들쳐내 보기로 한다. 첫 번째 기사가 당시 연세대 부총장 김찬국 교수의 ‘광주의거의 성서적 조명’, 여기에 전재를 한다.

 

 


 

5월이 오면, 우리의 분노와 미움과 원망을 승화시켜 하느님의 심판에 맡기고 그의 구원을 확신하는 신앙의 길을 따라 삶의 새로운 포용력을 키워 나가야 할 것이다.

김찬국

 

 

민족적 수치이자 비극인 광주학살

 

9년 전인 1980년 5월 18일 비상계엄령 전국확대조치에 항거한 광주 학생들의 평화적 시위가 도화선이 되어 피비린내 나는 광주시민 학살사건이 일어난 민족적 수치이자 비극인 당시를 기억할 때 우리 모두 무어라고 해야 할지 할 말을 잃고 만다. 공수부대의 과잉진압으로 무죄한 학생과 시민들이 비참하게 죽어갔던 것이다. 실로 천인공노할 민족적 대참사였지만 한편 한국인의 민중항쟁역사에 뿌려진 거룩한 의거의 희생이었던 것이다.

이 광주의거로 인한 민족전체의 분노와 탄식의 소리는 하늘을 찌를 듯 높았었지만 군사독재정치를 자행하던 집권자들은 폭동진압이란 명목으로 학살사건을 정당화했고, 시민들의 무죄한 희생에 대한 보상을 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광주시민들의 명예회복을 해주지 않고 지내온 지 9년이 된 것이다. 더욱이나 광주민중항쟁에 대한 사건진상을 밝히는 국회청문회가 열렸었지만 비무장의 학생과 시민에게 발포하여 끔찍스런 사상자를 내게 한 군 작전 책임을 가리는 데 있어서 책임을 회피하고 은폐하고 있는 부끄러운 오늘의 역사의 현장에서 국민들은 또다시 분노와 실망을 감추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광주에 5월이 오면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묻습니다.

우리가 영원히 살 것을 갈망한다면

왜 우리는 죽는가?

정의를 위해 싸우다가 쓰러지는 자들의

죽음에 무슨 남는 게 있는가?

자신의 권리를 지키려고 일어섰다가

권력자에게 살해당하고 만 자들,

이들 이름 없는 자들이 흘린 피에

누가 있어 과연 의미를 부여할 것인가?”

– 빛고을출판사가 펴낸 <광주여 우리나라의 십자가여> (1988)에 실린 ‘오월의 묵상’에서 인용

 

이런 기도는 한국인의 탄원시이다. 5월이 오면 김준태의 시 ‘아아, 광주여 이 나라의 십자가여’란 탄원시로 한 맺힌 분노를 삭이면서 절망 속에서도 피어나는 새 희망과 새 힘을 키우는 다짐을 하게 된다.

 

“아아, 광주여 무등산이여

죽음과 죽음 사이에

피 눈물을 흘리는

우리들의 영원한 청춘의 도시여,

…..

아아, 광주여 광주여

이 나라의 십자가를 짊어지고

무등산을 넘어

골고타 언덕을 넘어가는

아아, 온몸에 상처뿐인

죽음뿐인 하느님의 아들이여…”

 

구약성서의 시편에는 탄식시 또는 탄원시들이 많이 있다. 민족적 수난과 역경에서 하느님께 한을 풀면서 도와달라고 부르짖는 신앙의 시편들이다.

 

“야훼여! 언제까지 나를 잊으시렵니까?

영영 잊으시렵니까?

언제까지 나를 외면하시렵니까?

밤낮없이 쓰라린 이 마음, 이 아픔을,

언제까지 견뎌야 합니까?

언제까지 원수들의 우쭐대는 꼴을 봐야 합니까?”

– 시편 13편

 

원수로 인해서 박해와 피해를 입고 있는 탄식자의 한풀이 시다. 이 시인은 ‘언제까지’ 란 표현을 네 번이나 쓰면서 하느님의 구원을 호소하고 하느님께 의지하는 신앙의 힘을 키워가고 있다. 이런 탄원시들은 개인작품이지만, 이스라엘인들에게는 민족의 탄원을 대변하면서 신앙의 힘을 키워나가는 기도문이 되고 있다.

오월 그날이 오면 우리 광주시민 뿐만 아니라 온 국민들이 다 이런 시로써 한을 풀면서 새로운 다짐을 해 나가고 있는 것이다.

예언자들도 시적인 표현으로 자기들 당대 국민의 소리를 하느님의 말씀으로 대변하였다.

정의의 예언자 아모스는 심판예언자였다. 권력형 구조악으로 피해를 입은 약자들의 인권을 대변할 때 분노를 터뜨리며 욕하는 저주의 말로 시작하였다.

 

“저주 받아라!

너희 공평을 뒤덮어 소태같이 쓰게 만들고 정의를 땅에 떨어뜨리는 자들아,

성문 앞에서 시비를 올바로 가리는 사람을 미워하고 바른 말하는 사람을 싫어하는 자들아 너희가 힘없는 자를 마구 짓밟으며 그들이 지은 곡식을 거둬 가는구나

– 아모 5,7-11

 

아모스는 하느님의 심판을 우선으로 하는 사회정의를 강조하였다. (아모 5,18-20).

 

폭군으로서 11년간 남쪽 유다를 통치한 여호야킴(609-598) 왕 때 하바꾹 이란 예언자가 등장하여

 

“야훼여, 살려달라고 울부짖는 이 소리

언제 들어 주시렵니까?

호소하는 이 억울한 일,

언제 풀어주시렵니까?

……

보이느니 약탈과 억압뿐이요,

터지느니 시비와 말다툼뿐입니다.

법은 땅에 떨어지고

정의는 끝내 무너졌습니다.

못된 자들이 착한 사람을 등쳐 먹는 세상,

정의가 짓밟히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 하바 1,2-4

 

이런 탄원의 말로 당시 시대상을 대변하면서 “화를 입으리라”라는 저주의 심판선언을 하고 있다. (2,12-20).

 

 

최고 책임자까지도 마땅히 심판 받아야 한다

 

이스라엘 왕정역사에서 제일가는 폭군으로 유다 왕 므나쎄(687-642)가 있었다. 12살 때 왕위에 올라 예루살렘에서 45년간 다스렸는데 우상을 만들어 야훼 하느님께 불충성한 신앙적 배신과 폭력정치를 저질렀는데 후세 역사가인 신명기적 편집자는 므나
쎄 왕을 고발하고 “그가 저지른 죄는 유다 왕조실록에 기록되어 있다”(2 열왕 21,17)고 적어 놓았다.

 

“그는 우상을 만들어 유다를 죄에 빠뜨렸다… 므나쎄는 나의 눈에 거슬리는 그 못할 짓을 하도록 이끌어 유다 백성을 죄에 빠뜨린 데다가 무죄한 사람의 피마저 흘려 예루살렘을 피바다로 만들었다.”

– 2 열왕 21,11-16

 

이 말을 예언자의 말이라고 하면서 쓴 글이지만 후대 역사비평가인 신명기적 편집자의 정확한 역사서술과 평가가 담겨져 있음을 본다. 므나쎄 왕의 폭력정치시대에는 백성들이 입을 다물어버렸기 때문에 반체제인사로서 저항한 예언자의 이름이 나타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솔로몬 왕도 실은 자기가 왕이 될 때에 찬성하지 않았던 사람들은 왕이 된 다음에 피의 숙청을 하고 궁전과 성전을 짓는 데에 강제로 국민노동력을 동원하고 세금을 강제로 징수한 죄와 또 이방종교의 신을 예루살렘에 허용한 죄 때문에 후세사가에 의해서 고발이 되었었다. 솔로몬이 죽은 다음 나라가 남북으로 분열이 되어 (기원전 922) 남 유다의 왕으로 솔로몬의 아들인 르호보암(922-915)이 왕위에 올랐다. 르호보암은 원로정치인들의 충고를 듣지 않고 젊은 후견자들의 건의를 받아들여 “선왕께서 너희에게 무거운 멍에를 메웠다. 그렇지만 나는 그보다 더 무거운 멍에를 메우리라. 선왕께서는 너희를 가죽채찍으로 치셨으나 나는 쇠채찍으로 다스리리라”(1 열왕 12,12-15)라고 했다는 것이다.

후세사가는 르호보암 왕이 끝내 백성들의 요구를 들어주지 않았다(12,15)고 지적하고 있다. 선조들보다도 더 큰 죄를 범하여 ‘야훼께 미움을 샀다’ (1열왕 14,22)고 평가되어 있다.

구약 역사에서 왕정정치가 시작되고 남북분열이 된 다음 북왕국 이스라엘에는 군사 쿠데타가 수없이 일어나 선왕을 죽이고 정권을 잡는 일이 일곱 차례나 있었다. 이런 혼돈이 200년이나 계속되다가 북 이스라엘은 강대국인 아시리아에게 멸망 당하고 말았다. 신명기사가는 왕들의 업적을 평가할 때마다 북 이스라엘의 최초의 왕인 여로보암 왕(922-901)이 저지른 종교죄 (우상신을 섬긴 죄)의 전철을 밟아 죄를 지었다고 명기하고 있다. 폭력정치죄나 우상종교를 허용한 죄는 역사적으로 두고두고 따라다니는 꼬리표가 되어 전철을 밟지 말아야 한다는 역사적 교훈과 자료로 알려지게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남 유다의 여호야킴 왕 (기원전 609-598)과 예언자 예레미야와의 관계가 예레미야 서에 가끔 나온다. 즉 폭군과 대결한 예언자의 모습을 보게 된다. 예레미야는 성전설교에서 당시 사회상을 고발하였다.

 

“너희의 생활태도를 깨끗이 고쳐라. 너희 사이에 억울한 일이 없도록 하여라. 유랑인과 고아와 과부를 억누르지 말라. 이곳에서 죄 없는 사람을 죽여 피를 흘리지 말라…. 너희는 훔치고 죽이고 간음하고 위증하고 바알에게 분향하고 있다…. 이 땅 위에 나의 맹렬한 진노를 쏟으리라, 아무도 나의 타오르는 분노를 끄지 못하리라” (예레 7,.5-20).

 

하느님은 분노하시는 분으로서 여호야킴 왕의 폭력적 탄압정치와 우상숭배를 심판하신다는 점을 예언자 예레미야 가 대변하고 있다.

 

“그날이 오면 이 끝에서 저 끝까지 야훼의 손에 죽은 시체들이 너저분하게 굴러 다니리라…. 백성의 목자, 민중의 우두머리들아, 너희가 도망쳐도 난을 피하지 못하리라…”

– 예레 25,33-38

 

혹독한 심판의 예언이다.

 

폭군인 여호야킴 이 새로운 강대국인 바빌론의 침략을 받아 굴복했었다가 3년 후에 바빌론에게 반기를 들자 다시 침략을 받아 유다 전국이 침략군에게 짓밟히고 말았다.(기원전 598). 신명기적 역사가는 이런 평가를 남겼다.

 

“이런 일이 유다에서 일어난 것은 므나쎄가 온갖 못할 짓을 하는 것을 보시고 야훼께서 유다 백성을 내쫓으시겠다고 하셨는데 그 말씀이 이루어진 것일 따름이다. 그런데다가 그는 무죄한 피마저 흘려 예루살렘을 피바다로 만들었으므로 야훼께서는 용서하실 마음이 없으셨던 것이다”

– 2 열왕 24,3-4

 

우리가 이런 성서적인 조명으로 광주 민중항쟁을 보면 참으로 하느님은, 무죄한 사람들의 피를 흘려 도시를 피바다로 만든 폭력적 진압을 한 군관계 책임자 뿐만 아니라 이에 관련한 최고 책임자까지도 국민과 역사 앞에서 책임을 면치 못할 것이며 마땅히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보시는 것이다. 그 해 5월 광주에서 무참히 희생당한 사람들은 한국의 민주주의를 부르짖는 대열에 나섰다가 총칼로 인한 폭력으로 생명을 잃거나 부상을 당한 것이기 때문에 그들 희생자들의 넋을 위로하고 그들 가족들의 한을 풀어주고 그들의 정당한 인권이 회복되어 역사에서 그들의 희생 정신이 바르게 평가를 받을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광주시민의 희생은 민주화운동의 길잡이

 

“광주에 5월이 찾아오면 들려오는 이 회피할 수 없는 질문에 대답해주는 것은 바로 예수님의 부활입니다.

….

새 생명의 눈부신 빛 줄기가 이제 세상 구석구석을 비춥니다.

우리는 이제 새 하늘과 새 땅의 동이 트는 첫 창조를 봅니다. 아멘”

– ‘5월의 묵상’ 중에서

 

 

인간의 비극은 비극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비극자체는 비참한 종말이지만 비극을 극복하고 넘어서는 새로운 삶의 약동과 희망을 만들어 나가야 할 책임이 살아남은 우리 사람뿐만 아니라 온 겨레에게 지워져 있다고 생각한다.

예수를 따랐던 제자들이 예수께서 기득권을 가진 종교인들이 힘을 가진 로마 총독 빌라도를 업고 무죄한 예수를 잡아갔을 때 도피하거나 모른다고 했었고 십자가에 달렸을 때에도 멀리 피해 있었었다. 그러나 예수가 부활하신 다음에 흩어졌던 제자들이 예수의 수난과 부활의 의미를 새롭게 받아들여 예수의 교훈과 복음을 널리 펼치는 데에 앞장섰을 뿐만 아니라 순교까지 하면서 예수의 삶과 그의 교훈을 따라 실천하는 데에 자신들의 삶을 투신했던 것이다.

김준태 시인은 ‘아아, 광주여 이 나라의 십자가여’ 란 시를 이렇게 끝맺고 있다.

 

“광주여, 무등산이여

아아, 우리들의 영원한 깃발이여

꿈이여 십자가여

세월이 흐르면 흐를수록

더욱 젊어져 가는 청춘의 도시여

지금 우리들은 확실히

굳게 뭉쳐있다 확실히

굳게 손잡고 일어선다.”

 

 

예수의 십자가 사건은 자기 희생이며 그의 부활사건은 그의 삶만 아니라 그 자신인 진리의 부활과 희생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래서 5월이 다시 오면 우리는 광주의 희생과 새로운 약동을 불러 일으키고 그 수난과 희생을 새롭게 의미화하여 한국 민주주의의 부활과 정의사회의 건설을 위한 기회로 키워나가야 하는 것이다.

구약의 시편 작가들도 용기와 희망을 심어주는 신앙에 의한 삶의 길을 보여 주고 있다.

 

“악한 자가 잘 된다고 불평하지 말며 불의한 자가 잘 산다고 부러워 말아라. 풀처럼 삽시간에 그들은 시들고 푸성귀처럼 금방 스러지리니 야훼만 믿고 살아라.”

– 시편 37,1-2

 

“야훼께서는 정의를 사랑하시고 당신께 충성하는 사람을 버리지 아니하신다. 그러나 악하게 사는 자는 영원히 멸망하며 악인들은 그 자손이 끊기리라.”

– 시편 37,27-28

 

 

탄원시들은 억울한 일들을 고발하면서 하느님께 분노를 터드리고 구원을 호소하고 마지막에는 하느님께 감사찬송을 드리는 내용으로 끝나고 있다. 시편 13편을 보면 원망하는 소리로 원수를 고발하다가 (1-2절), 다음에는 구원을 호소한다.

 

“야훼 나의 하느님

굽어 살피시고 대답해주소서.

죽음의 잠 자지 않도록

이 눈에 빛을 주소서.

……….

이 몸은 주의 사랑만을 믿사옵니다.

이 몸 건져주실 줄 믿고 기뻐합니다.

온갖 은혜 베푸셨으니

야훼께 찬미드리리이다”

– 시편 13,3-6

 

이런 하느님께 의지하는 신앙을 가지게 되면 우리의 기도를 하느님이 들어주셨음을 확신하고 끝에 가서는 구원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감사찬송을 하게 된다. 미움과 원망에서부터 시작했다가 정의의 하느님의 심판과 구원을 믿고 신뢰할 때 그 원망이 희생으로 바뀌어져서 찬양으로 끝나는 그런 전환을 보게 된다.

5월이 오면, 우리의 분노와 미움과 원망을 승화시켜 하느님의 심판에 맡기고 그의 구원을 확신하는 신앙의 길을 따라 삶의 새로운 포용력을 키워나가야 할 것이다.

 

광주에서 무참히 희생당한 희생자들의 넋을 위로하고 그들 가족들의 한을 풀어주고 그들의 정당한 인권이 회복되어 역사에 길이 남아 그들의 희생정신이 바르게 평가를 받아야 할 것이다.

 

 

찬양 시편에서 우리가 배우는 바가 또 있다. 시편 33편을 요약해본다.

 

“의인들아 야훼께 감사하며 기뻐 뛰어라.

………….

옳은 사람들의 찬양이라야 기뻐 받으신다.

………….

야훼의 말씀은 언제나 옳은 말씀.

그 하시는 일 모두 다 진실이다.

………….

왕들아 너희가 대군을 거느렸다고 이길 성 싶으냐?

힘 좀 있다 해서 궁지에서 살아날 성싶으냐?

군마만 믿다가는 살아나기 어렵고 대군을 거느렸다 해서 사지에서 벗어나지는 못 하리라.

야훼의 눈은 당신을 경외하는 자들은, 그 사랑을 바라는 자들을 자켜보시며…………

우리가 이렇게 당신만을 기다리오니 야훼여, 한결같은 당신 사랑 베푸소서.”

 

여기에서 의인들이 하느님을 찬양하고 하느님의 오심을 기다리는 힘을 키워나가야 함을 교훈하고 있다. 의인들이 자기교만에 빠져서 하느님의 역사의 심판과 구원을 기다리지 못하고 성급하게 자기의 의견을 주장하고 남을 정죄만 하는 오류에 빠지기 쉽다. 성경은 우리에게 ‘하느님의 오심’을 기다리게 하는 신앙을 키워주려 하고 있다. 하느님의 오심을 이 5월의 광주와 함께 생각해 볼 때 하느님의 정의로운 심판을 기초로 하느님의 승리를 의심치 않고 믿고 기다리는 확신을 키워나가야 할 것이다.

예레미야는 예루살렘이 바빌론 군의 침략을 받아 멸망하기 직전인 위기상황 속에서 하느님의 심판을 받게 될 유다 나라의 최후를 앞에 두고서도 백성들에게 다음과 같은 약속을 하여주었다.

 

“나 야훼가 선언한다. 나 비록 이 백성에게 이토록 큰 재앙을 내린다 마는 그만큼 약속한 행복도 모두 베풀 것이다…….. 이 땅에서 다시 밭을 사고 팔게 되리라……….. 이렇게 나는 이 백성의 운명을 회복시켜주리라. 이는 내 말이다. 어김이 없다.”

– 예레 32,42-44

 

 

멸망 후의 회복을 예언한 것이고 약속한 것이다. 예언자의 이런 꿈이 그냥 꿈으로서가 아니라 실현될 약속으로서 이스라엘의 회복과 해방과 재출발을 전망한 것이다.

1989년 5월이 다시 온다. 광주의 5월은 우리 온 국민이 겸허한 마음으로 희생의 피를 기억해야 한다. 군부 독재가 몰고 온 광주시민의 희생은 우리의 의로운 민주화로의 길을 바르게 보여주는 역사의식의 기초가 되고 민주화 운동의 길잡이가 되는 것이다. 광주의거를 이렇게 성서적으로 조명해볼 때 하느님께서 정의와 자비로써 희생당한 광주시민의 명예의 회복만 아니라 한국 국민 전체의 자유와 정의의 회복을 보여주시리라고 믿는다.

 

김찬국 씨는 연희대 신학대학과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유니온 신학교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부총장으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