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시 보는 삼국지
거의 50년 만에 나관중의 삼국지(연의)를 보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읽은 때가 아마도 1964년 고2때였을 것이다. 그 해 여름방학 때 시원한 마루에 누워서 3권으로 된 삼국지를 읽었던 생각이 난다. 물론 책으로 읽어서 나 나름대로 그림을 머릿속으로 그리며 즐겼다. 하지만 지금 보는 것은 정말로 그림을 보는 것이다. 언제 만들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중국에서 나온 영화, 아니면 made for TV series 쯤 되지 않을까? 총 83회로 되어있는 정말 대하 drama였다. 이것을 보면서 놀란 사실이 한둘이 아니었다.
○ 어떻게 그 많은 등장인물의 casting을 시도했고 성공했을까? 이것 하나 만으로도 이것은 기록적인 영화다.
○ 유비, 관우, 장비의 casting은 입에 다물어지지 않을 정도로 잘 되었다. 사실 이야기에 나오는 인물묘사를 거의 그대로 따랐다고나 할까? 더욱 놀라는 것은 내가 머릿속으로 상상하던 3형제의 인상착의가 99.9% 들어 맞는다는 놀라운 사실이다. 중국인 배우들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이 그렇게 넓은가?
○ 나의 짐작일지도 모르지만 이 영화는 나관중 삼국지를 거의 100% 충실하게, 그러니까 거의 ‘기록영화’에 가깝게 재현을 한 것 같다.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서 각본가가 마음대로 이야기를 바꾸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이것도 참 놀라운 일이다.
○ 중국어와 한국어의 발음이 비슷한 것이 참 많았다. 예를 들면: “만세,만세,만만세(먄쉐)”, “승상(슝샹)”, “유비(요베이)” 등이 있었다. 일본어에서도 그렇게 비슷한 말이 많음을 느꼈는데 여기도 예외가 아니었다. 물론 한자어를 우리나 일본이 받아서 흉내를 낸 것들이 많으니까 당연할지도 모르지만 이렇게 실제로 발음을 들어보니 한국,중국,일본의 오래된 역사적 관계가 조금 실감이 갔다.
○ 주요 인물들의 연기나, 영화 set는 수준급이었다. 특히 유비 삼형제들이 그랬고, 조조, 주유 모두 수준급의 casting이었다. 또한 조조나 주유의 “춤(군무) 솜씨” 도 일품이었다. 그에 비해서 뒤를 바쳐주는 extra급들은 실망적이었다. 너무나 표정들이 심각하지를 않고, 너무나 나이들이 어려 보였다. 하지만 special effect나 computer animation같은 잔재주는 거의 보이지를 않는다. 적벽대전의 scene을 보아도 아주 실전처럼 보인다.
○ 제갈량으로 분한 배우의 연기솜씨도 인상적인데 그 중에서도 주유의 장례식에서 통곡하는 연기는 가히 걸작이었다. 소설을 읽을 때 제갈량이 “도사 급” 정도로 상상이 되어서 나이가 많고 하얀 수염의 할아버지로 잘못 알았다. 여기서 알고 보니 나이가 겨우 27세의 ‘청년’ 이었다. 그런 나이에 그만한 역할을 했다는 것은 조금 믿어지지를 않는다.
• IKEA Tundra Blues
어제 드디어 dining room의 flooring job이 끝이 났다. Swedish IKEA에서 한달 전에 산 Tundra 라는 laminate floor였다. 값에 비해서 보기가 좋았다. 하지만 기록적인 더위 속에서 거의 일주일이나 걸렸다. 날씨가 조금만 시원했다면 2~3일이면 될 듯했다. 하지만 첫 번째 작업이라 실수가 꽤 많았다. 고칠 수 있는 실수와 거의 돌이킬 수 없는 실수 다 있었다. 문제는 거의 어린아이들을 상대로 한듯한 ‘그림’ 설명서였다. 문제는 그 설명서가 틀린 것이 아니라 “100% 그대로 안 하면 ‘망친다’는 사실”을 경고하지 않은 것이다. 나의 짐작은 “실제로 실수를 하면서 배우라”는 의미였다. 이제 다른 곳에 flooring을 할 때는 훨씬 전보다 실수가 적을 것이다. 다음에 할 곳은 바로 옆에 붙어있는 hallway 인데, 이곳은 정말 challenging geometry를 가지고 있다. 그러니까 ‘도형’이 간단치 않은 것이다. 이곳은 시간이 얼마나 걸릴까..이것이 현재 우리가족의 관심사가 되었다.
• Thank you, Harbor Freight Tools!
지금의 집에 이사온 지간 거의 18년이 되어가는데 그 동안 대부분의 수리는 내가 맡아서 했다. 나는 그런 것을 천성적으로 좋아하고, 돈도 절약할 수 있으니 얼마나 좋은가? 또 다른 이유는 그 handyman, contractor들 중에는 상당히 질이 나쁜 축들이 많이 있다는 사실이다. 쉽게 말하면 엉터리로 고쳐놓고 더 비싸게 돈을 받는다는 것이다.
나의 handyman 기술수준은 사실 초보를 벗어날 정도다. 진짜 pro들은 시간이 돈이기 때문에 빠른 시간에 해야 하지만 나는 그런 제한이 없으니까 더 천천히 하면 크게 문제가 될 것도 없다.. 이제까지 그런 식으로 버티어와서 꽤 많은 project를 끝낼 수 있었다. 크고 작은 sheds (간이창고)를 두 개 지었고, 각종 내부 전기배선, basic plumbing, 지붕수리, 내외 부 페인트, gutter, 높은 소나무 자르기..등등 참 그 동안 많이도 했다. 그 때마다 필요한 것이 tools, 주로 power tools (electric or pneumatic) 이 제일 많이 쓰이고 필요하다. 문제는 월급쟁이에다 아마추어수준으로써 좋은 tool을 사는 것이 무리라는 것이다. Home Depot같은 곳에 가 보면 tool들이 너무 좋은 것, 온통 미제 들이다.
과연 그것들을 pro도 아닌 내가 필요할까? 절대로 아니다. 하지만, 나의 수준에 과분하지만 또한 안 살 수도 없고..그러다가.. China가 나를 도와주러 왔다. 그들이 정말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싸게, 나의 수준에 맞는 그런 것들을 수출하기 시작하고.. 그 덕분에 나는 꿈에도 못 써볼 만한 tool들을 비교적 쉽게 사서 쓰게 되었다. Harbor Freight Tools란 회사가 바로 그 수입업체로써 그것을 사서 쓴 지도 이제 5년이 넘었다. 문제는 최근에 중국의 인건비가 오르기 시작하면서 싼 수출가격의 이점이 언제까지 버티나 하는 것이다.
• 중앙고 동창 친구 우진규와 email로 연락이 되었다. 이 친구의 소식은 아마도 간접적으로 캐나다에 사는 정교성을 통해서 듣곤 했다. 하지만 직접 연락이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앙고 57회 교우회의 신동훈 총무가 부지런히 소식과 연락처를 전해준 덕택이었다. 모습은 어떻게 변했는지는 상상하기 힘들지만 그것이 무슨 상관이랴.. 그 철없고 순진한 때의 추억을 서로 간직했으면 그것으로 된 것이다. 아들, 딸의 나이를 보니 오래 전에 이미 할아버지가 된 듯하다. 이 친구는 아직도 사회복지분야에서 일을 한다고.. 부럽다. 그 반대로 연락이 끊어진 친구도 있다. 중앙고 57회 교우회장을 역임한 서울 한성과학고 교장 목창수..의 email이 no good으로 돌아왔다. 어찌된 일 일까? 이것은 이 주소가 바뀌었다는 뜻인데.. 어디로 이사라도 갔나 궁금해진다. 몇 년 전에 우리 작은딸이 그곳에 갔을 때, 너무 잘해 주어서 아직도 고마운 마음 뿐이고 언제 그 빚을 갚을 수 있을까 하는 생각뿐이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