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조명: 내성적인 사람

내성적인 사람들의 시대.. What? ‘오래 살다 보니 이런 별일이..’ 라는 느낌을 받을 때가 종종 있는데, 이것도 그런 부류에 속한다. 기억에, 제일 ‘큰 별일’ 에는 20년 전쯤, ‘공산당 종주국’ 소련(Soviet Union)이 해체 된 ‘역사적 사건’ 이 있었다. 나의 살아생전에 그런 일을 볼 수 있을까 하는 그런 그런 것.. 또한, 다른 것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도 있었다. 고국 한국이 경제적으로 일본을 따라갈 수 있을까.. 하는 것. 그것이 이제는 예전처럼 아주 불가능한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한마디로 오랜 conventional wisdom이 ‘하루아침에’ 바뀌거나 생각보다 빨리 무너지는 그런 것이다.

 그러다가 지난 주의 Time magazine에는 급기야 ‘내성적인 사람의 시대'(Health Special: an article by Bryan Walsh, The Power of Introverts) 라는 특집기사가 실렸다. 내가 내성적인 인간이다 보니 이것은 아주 흥미로운 기사가 아닌가? 내성적(being introvert)인 것과 수줍어(shyness)하는 것을 연관시켜서 다루었는데, 결론적으로 말해서, 시대(문화)가 변하고 있어서 이제는 과거처럼 외향적인 사람이 더 쉽게 유명하게 되고, 성공하는 시대가 아니라는 것이다. 나는 이 두 가지 (내성적, 수줍음)에 다 해당을 해서, 이런 시대가 왜 더 빨리 오지 않았을까, 하는 불만도 생긴다.

 사람의 성격이란 것이 어찌 그렇게 2가지만 있으랴마는 많은 사람들은 그 중간에 속할 것이다. 나는 99% 내성적인 부류고, 아내 연숙은 분명히 외향적인 쪽에 치우치는 중간일 듯 싶다. 이런 것은 역시 유전적인 것으로 본인의 의지와 상관이 별로 없다는 것도 밝혀졌다. 나의 아버님도 내성적이었다고 들었고, 어머님도 외향적은 아니었다. 본인의 의지로 바꾼다고 해도 성격을 바꾸는 것이 아니고, 겉으로 바뀐 것처럼 보여도 그것은 아마도 ‘연극’에 가깝다고 한다. 내가 생각해도, 그것이 맞는 것 같다. 사회생활이란 자체가 개인, 단체들이 교류를 하는 ‘외향적’인 활동인데 그곳에서 생존하는 방법은 역시 필요에 의해서 외향적인 것처럼 행동을 하는 수 밖에 없으니까..그래도 내성적인 사람들은 그런 ‘교류 활동’을 마음속 깊이 편하게 느끼지는 않는다.

 여기서 내성적인 것이 재평가를 받게 된 것은, 오랜 동안 ‘단점만 크게 부각되는’, 과소평가를 받았기 때문인 것이고, 이것도 시대와 사회문화적 변화에 따라 이렇게 재조명을 받는 것 같다. 두 가자 부류(내성적, 외향적)가 모두 거의 같은 정도로 장, 단점이 있는데 한쪽만 지나치게 평가를 받았다는 것이다. 이런 것을 보면서, 나의 지나간 ‘인생’을 생각한다. 어릴 적 지독히도 사람들 앞에서 수줍어 하는 나를 어머니는 정말로 걱정하셨다. 이 ‘험한 남자들의 세상’에서 어떻게 살아갈까 하는 그런 생각이셨을 것이다. 줄을 서도 밀려 밀려 제일 뒤로 밀리고, 수업 중에 바보같이 보일까 봐 질문도 잘 못했다. 사람들이 많은 곳에 가면 겉으론 멀쩡해도 속으로는 계속 불안했다. 나를 포함해서 누구나, 이런 내성적인 성격으로 많이 ‘손해’를 봤을 것이라고 생각하기도 했다. 하지만, 물론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생각을 남보다 많이 하는 편이고, 남보다 더 조심하며 일을 하니까, 남보다 큰 실수는 적었을 것이고, 사람들 사이에서 즐거움을 찾는 것 만큼 내 안에서 즐거움을 찾는 것도 별로 큰 차이가 없었으니까.

 이 기사를 통해서, 새로 알게 된 사실 중에는 정치가들 중에 많은 사람이 내성적인 사람들이라는 것이고, 대표적인 예로 ‘그렇게 말을 잘하는’ 현직 ‘미국’ 대통령인 President Obama(오바마)가 그 중에 한 사람이고, 현 국무장관 (Hillary Clinton)힐러리 클린턴도 그쪽에 속한다. 현재 공화당 대통령 후보 중에는 Mitt Romney, Ron Paul이 내성적 인물이다. 그런 조명으로 이들을 보면, 대강 이해가 간다. 남들보다 그들은 조금은 주저하는 듯 하지만 대신 아주 신중하고, 치밀하다. 그러니까 아주 치명적인 실수는 피하는 것이다. 정반대 쪽에는 전직 대통령 빌 클린턴과 전 국회의장, 현 공화당 후보중의 한 사람인 Newt Gingrich가 있는데, 이들이 외향성의 위험한 면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케이스다. 빌 클린턴은 ‘아주 위험한 여자관계’로 탄핵의 고초를 겪었고, Newt Gingrich는 ‘과대망상적인 큰소리, 복잡한 여자관계’로 아직까지 피해를 겪는 셈이다. 한마디로 말해서 하느님은 인간은 ‘그런대로’ 공평하게 설계한 것일까?

 시대가 지식, 정보사회로 점점 접어들면서 아무래도 직접적인 인간관계보다는 자세하게, 치밀하게 생각하고 분석하는 쪽의 중요성이 아무래도 부각이 될 것이다. 대강 30% 정도가 내성적이라고 분류가 되는 것을 보면 대부분은 이 밖의 ‘비 내성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니까 대다수는 외향성이라고 보아야 한다. 그 동안 내성적인 ‘소수파’가 이들에 ‘눌려서’ 살았지만, 세대와 시대는 변하고 흘러서 어느덧 이들이 ‘동등한 위치’를 찾게 되었는지.. 참 인생 후반에 찾아온 반가운 소식이라고나 할까..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