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ology
41,000 Turkey Syria Earthquake Death! 9 Days Later.. 처음 5,000 death 로 시작했을 때 놀랐지만 이제는 조금 둔감해진 것인가? 아니다, 놀라기는 마찬가지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일주일 만에 사라졌다는 것, 지진, 자연재해, 인간이 만든 각종 부조리들이 함께 만든 것, 인간 생명의 무상함을 다시 느끼게 한다.
이제 뉴스 초점은 거의 ‘건설, 건축 과정의 결함’으로 모여지는 것 같다. 그곳과 일본의 예를 비교하면 정말 하늘과 땅의 차이처럼 느껴지니, 분명히 ‘상식적인 국가체계’가 얼마나 중요한 가를 절감하게 한다.
Back to ‘Agony of Tech Troubles’ 라고 부르고 싶은 그런 하루를 보냈다. 나에게 남은 몇 가지 tech issues, troubles 가 있다면, 아마도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desktop PC, Smartphone, Home Internet issue, 그리고 나의 blog website 정도가 아닐까? 이것이 현재 나에게 남은 잠정적인 기술적 문제의 요소가 되었다. 얼마 전에는 home server disk 문제들로 시간을 보냈는데, 오늘은 완전히 나의 ‘필요한 남은 인생의 동반자’ 역할을 하는personal blog website에 관한 것이었다.
두 가지 문제 중에 연숙이 10여 년 이상 매일 쓰는 Newsletter, 이것의 문제는 기술적인 것도 있지만, 이것으로 내가 너무나 stress를 받는다는 사실이다. 조금만 문제가 생기면 정말 나는 괴로워진다. 다행히도 그때 그때 문제는 해결되고 있으니까 더 이상 신경은 쓰고 싶지 않다.
하지만 나의 personal blog website는 조금 다르다. 누가 나를 괴롭히는 것은 없지만 내가 나를 괴롭히는 것이다. 이것이 며칠 간이라도 down이 되는 것을 내가 못 참는 것이다. 그 정도로 나는 이것과 함께 살아가는 셈인데… 이렇게 ‘매여 사는 것’, 어떻게 할 것인가? 서서히 winding-down을 할 것인가, 아니면 할 수 있는 한 그대로 유지를 할 것인가… 현재로서 나의 희망은 현재의 수준을 그대로 유지하며 사는 것이다.
유지하는 것, 그 자체가 이제는 예전과 같지 않게 점점 어려워지는 듯 한 것이 나를 우울하게 한다. 나의 ‘기술 수준’이 빠르게 변하는 진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노력하면 어느 정도까지는 끌고 갈 수 있지 않을까?
나의 blog website (server)에 대해서 오늘 알게 된 사실 중에는:
- 이 website server인 Linux backend PHP 를 최근 version으로 upgrade를 할 수가 없게 된 것, 이유는 다름이 아닌 현재 쓰고 있는 (10년 전의) Artisteer로 만든 WordPress Shaklee theme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 해결책은 PHP 8.x 과 compatible한 theme로 upgrade를 해야 하는데… 이것이 생각보다 복잡한 것이다. 나의 덩치 큰 website 의 frontend 격인 theme은 ‘지금은 시장에서 사라진’ Artisteer 로 만든 것이기 때문이다.
- 그렇다면 어떤 theme 을 써야 하는 것인가? Free Theme 은 많지만 그것으로는 현재 site look을 유지할 수 없는데, 노력을 하며 오히려 새로운 모습으로 다시 태어날 수 있기도 하다.
오늘 또 다른 big surprise가 있었는데.. 이것은 나를 정말 놀라게 한 것이었다.갑자기 내가 한 것도 없이 나의 blog site가 crash한 것이다. 아무런 장난도 하지 않았는데… 이런 순간이 나를 죽인다. 이유가 분명치 않기에…
하지만 어제 오늘 새로 발견한 web hosting site의 support software (cPanel) 에는 이미 WordPress troubleshooting utility들이 있었고, 정말 하늘이 도와서 그것으로 문제를 찾고 고친 것이다. 직접 원인은 WordPress plugin의 하나인 JetPack이 automatic update가 된 것이고, 그것 때문에 critical error가 생긴 것이다. 결과적으로 update를 cancel을 해서 문제를 해결 했는데, 이런 backdoor utility가 없었으면 아마도 나는 완전히 포기하며 support tech과 언쟁을 벌리지 않았을까? 이것은 사실 문제가 생겼기 때문에 배우게 된 일종의 수확이다. 앞으로 문제가 있으면 이런 backdoor tool 이 있다는 것을 안 것으로 나는 너무나 만족을 한다.
이런 ordeal 을 거치면서, 다시 test 전용 web server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일사천리로 그 동안 모르고 살았던 새로운 technique을 알게 되었다. 그 중에는 Microsoft Windows Subsystem for Linux (WSL)이란 것이 나를 신나게 했다. 최근의 desktop Windows (10, 11) 등은 이미 Linux Kernel을 가지고 있다는 얘기가 아닌가? 그러니까, 예전처럼 VirtualBox같은 거추장스러운 것을 쓸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이렇게 해서 나의 desktop PC (3 군데)는 모두 WSL 을 activate했고 그 위에 Ubuntu (terminal mode)까지 install, 이것으로 ‘공짜’ LAMP webserver stack을 구비할 준비가 되었다. 이곳에 test server를 만들면 각종 theme이나 plugin같은 것을 pre-test할 수 있지 않을까? 하지만 이런 것들, 엄청 시간을 ‘잡아먹는 위력’을 알기에 극히 조심을 해야 할 것이다.
이런 것들로 오늘 느낀 것은 거의 10여 년 간의 tech vacuum이 생각보다 깊고 길었던 것 같다는 것, 수많은 ‘technical term’ 들이 아예 잊혀졌거나, 서먹서먹해 졌다는 것인데, 이런 것들이 다시 잠재기억으로부터 살아나올지 궁금하기만 하다. 만약, 내가 다시 technology쪽으로 시간, 정력, 신경을 쓴다면 현재 심하게 느끼고 있는 ‘망각현상’을 조금은 완화시킬 수는 없을까?
어제 일단 design, assembly가 끝이 나서 simulation test를 하고 있는데, 사실 이렇게 간단한 control logic에 문제가 있을 수는 없다. 문제는 사람의 손이 가는 circuit assembly의 결과에 있다. 솔직히 이것도 사실 큰 문제를 예상하지 않기에 다음 단계인 ‘현장 상황’의 data, 즉 garage의 air temperature가 어느 정도인지 조금은 살펴보기로 했다. 가장 더운 때 (한여름)의 저녁, 밤 기온이 제일 관심이 가는데 그것을 기준으로 fan을 on/off하는 것, 이것처럼 간단한 logic이 어디 있겠는가? 현재는 오후 3시에 on, 새벽 3시에 off를 하는 clock timer에 의존하는데, 물론 없는 것보다는 낫겠지만 온도와는 크게 상관이 없으니dumb control일 것이다. 이것보다 조금 나아간 것은 역시 temperature controlled일 것인데 그것을 오래 전 programmable 이 이전의 Honeywell ‘ROUND’ thermostat를 재활용하려는 것이 이번 일의 주목적이다. 물론 다음은 IoT approach로 나아갈 것이지만. 우선 이것으로도 훨씬 smart control이 되지 않을까?
어제 저녁은 제대로 하루 일과를 정리, 마치지 못하고, 거의 한 시간이나 일찍 잠자리로 후퇴를 했는데… 이유는… 물론 너무 relax를 했던 탓이었을 것이고, 그것도 의도적인 것이었다. 그러니 후회도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이런 때도 있어야지~~’ 편하고 평안했던 시간이었다. 특히 책상 앞에서 두 다리를 얹어놓고 졸면서 잠을 쫓던 그런 순간들은 ‘살맛이 나는’ 그런 경험으로 남는다. 이런 것이 앞으로 며칠을 조금 더 가볍게 살 수 있는 힘을 준다.
오늘까지 연숙의 ‘코감기’가 호전이 안되면 ‘병원, 의사’에게 가기로 언제 정했는데, 결과는 어떨지 조금 우려 반 안심 반으로 기다린다. 크게 나아진 것도 아니지만 악화된 것도 아닌데… 어쩔 것인가… 기다리고, 기다린다.
오늘 나의 Tech/IoT front는 SONOFF flashing task로 시작이 된다. 새로 구입한 SONOFF BASIC wifi switch의 firmware를 TASMOTA 로 flashing하는 작업, 간단한 것이 아니다. 이것이 되면 원래 SONOFF cloud 대신 private cloud, 그러니까 home network으로 한정이 되기에 security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오늘 나의 일은 Simon Monk의 Raspberry Pi Cookbook의 recipe를 따른 것이라서 큰 문제는 없었다. 하지만 시간이 생각보다 꽤 많이 소요된 것, 그것은 물론 머리도 손끝도 모두 느려진 점도 있지만 생전 처음 경험하는 stuff들이라서 그럴 것이다. 이것은 ‘배우면’ 되는 것이니까…
이런 일들, 원칙적으로 간단한 것이지만 문제는 detail에 있다. 특히 hardware의 쪼잔한 세부사항들… 오늘의 문제는 대부분 FTDI cable (USB to TTL serial converter) , 전에 3개나 헐값으로 산 것들, 역시 짱깨들의 쓰레기 급 제품들, 왜 내가 이런 것이 돈을 낭비했을까? 결국은 제일 좋은 것을 $13에 Amazon에서 order할 순간이 왔다.
늦은 시간에 email을 열어보니 예상보다 훨씬 빨리 voter registration이 완료가 되었다는 소식이었다. 이제는 앞으로 driver’s license만으로도 투표를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투표소도 반갑게 지인 몇 명이 다니는 임마뉴엘 한인감리교회라서 더욱 친근감을 느끼게 되었다. 이제는 누구에게 신성한 한 표를 던질지 그것만 심사숙고 하면 되지만 이번엔 비교적 간단하다. Donald ‘개XX’ 떨거지들을 모조리 떨어뜨리면 되니까.. January 6의 악몽을 절대로 잊지 못하고, 절대로 안 한다. 기다려라, DONALD ‘개XX’야, 너 잘 만났다, 이제 payback time이 왔다!
아~ 나의 잠의 질이 계속 떨어지고 있구나… 특히 첫잠을 들 때, 그때가 고역으로 다가온다. 왜 이렇게 잠이 쉽게 들지 않는 것일까? 이것의 특징은, 신경성, 그 중에서 청각이 너무나 예민해진다는 것, 예를 들면 Roswell Road 쪽에서 들리는 차들의 소음들에 내가 모든 신경을 쏟고 있다는 사실이다. 우선 아무리 작게 들려도 ‘화가 나는 나의 모습’에 더욱 잠을 들 수가 없는 것. 이것이 무슨 해괴한 망발일까? 이것을 어떻게 해결한단 말인가? 각종 noise machine도 생각하고, ear muff들도 Amazon에서 뒤지면 시간을 낭비하는 것, 나도 한심한데… 무슨 원만하고 자연적인 해결책은 없을까…
오늘 아침 연숙이 거의 2시간 가까이 늦게 일어났다. 다른 때 같았으면 깨울 만도 했지만 오늘은 그대로 두었다. 화요일부터 어제까지 매일 외출을 했고, 오랜만에 수, 목요일은 혼자서 운전까지 하고 나갔기에 분명히 피곤할 것으로 짐작은 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런 와중에서도 정성스럽게 손으로 직접 만들어 준 콩 비지찌개와 고기가 곁들이지 않은 바로 밭에서 딴 싱싱한 상추쌈은 나의 식욕을 돋구었다. 연숙아, 고마워, 고마워~~~
바람과 냉기가 사라진 집 밖의 모습에 이끌려 며칠 만에 제일 짧은 코스로 둘이서 산책을 했다. 구름 한 점도 안 보이는 청명한 하늘의 모습에 넋이 빠질 지경, 어떤 수선화는 이미 지기 시작하는 듯하지만 dogwood는 조금씩 꽃망울이 보이기 시작한다. 하지만 아직도 대부분의 꽃나무들은 잠에서 덜 깬듯한 느낌인 것이 완연한 봄의 모습은 아니다. 우리 동네 이른 봄의 모습, 정이 들대로 들었다. 이사를 왔던 40대에서 70대를 거쳐가는 지난 30년 동안 이런 봄의 모습을 보았을 터인데 하나도 뚜렷하게 추억에 남는 모습은 아니다.
또 잊고 있다. 오늘 아침에 일어나며 그런대로 ‘내가 살아있다’라는 느낌을 주게 했던 것, 역쉬~ 꿈들이었다. 한가지가 아니고 여러 가지 episode가 엮인 것들.. 몇 가지는 깨어날 당시까지 몽유병자처럼 나의 짧은 삶과도 같은 것들이었다. 그것들이 시간이 지나며 이렇게 재빨리 사라지는 것이 너무나 아쉽구나~~ 아~ 아직도 생각이 나는 것들이 있을까? 이렇게 색깔들이 있는 꿈을 조금씩 자주 꾼다는 것, 무슨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닐까? 현재의 단조로운 삶을 조금 더 활발하고 생기 있게 만드는 것은 아닐까? 실제, 현실적인 삶은 아니더라도.. 하지만 그런 꿈들이라도 꿀 수 있다는 것, 나는 그것으로 다행이라고 여기자.
아침에 Holy Family 동네성당 아침미사엘 가고 직후에 YMCA ‘탐사’를 가려던 나의 작은 소망은 무참히 깨지고 말았다. 도저히 제시간에 일어날 수가 없었던 어처구니 없는 늦잠이었다. 이것으로 나는 또 조금씩 ‘무언가 못했다~~’ 라는 스트레스를 받을 것이다. 이것이 또한 다른 유혹인 거다. 이것을 물리쳐야 한다. 지나간 것은 지나간 것이다. 그런 스트레스에는 지나간 10여 년간의 ‘신심, 봉사 활동’ 의 유산도 포함이 된다는 생각을 어제부터 하기 시작했다. 그래, 그래도 그것은 이제 지나간 것이고, 그때 배운 각종 교훈, 유산은 앞을 위해서 간직하고 다른 쪽으로 더 잘 쓰면 될 것이 아닌가? 그런 의미에서 ‘무겁게 쌓인’ 그 당시의 각종 기록, 추억들을 완전히 ‘정리, 처분’하기로 했다. 그것이 오늘 내가 해야 할 일 중의 하나다.
오늘 식사, 늦게 일어난 것을 기화로 색다른 것으로, 그것은 역시 하루 종일 전통적 밥을 중심으로 먹는 것이다. 이렇게 먹어본 것이 꽤 되었지? 요리하기 쉽고, 설거지 하기 쉽고, 오랜만의 ‘타고난 맛’도 즐길 수 있지 않은가? 오랜만에 2 컵의 쌀을 rice cooker에 넣었다. 이 정도면 오늘 하루 우리 둘이 배를 두드리며 먹을 분량인 것이다. 평균 둘이서 한끼에 3/4 컵을 소비했는데 오늘은 1/4 컵이 많은 것, 영양보충이라고 생각하자.
Saving Canon Printer.. 오늘 오후의 대부분 나의 머리는 Save the Earth 라는 것으로 시간이 가는 줄 몰랐다. 일의 발단은 새로니가 10여 년 전에 우리 집 차고에 놓아두었던 ‘불쌍한’ Canon Pixma iP1700 inkjet printer에 있었다. 간단히 말해서 버릴 것이냐 말 것이냐 의 문제로 고민을 한 것이다. 며칠 전에 test를 해 보니 너무 오래 전 것이라서 근래의 Windows (7, 8, 10) 의 driver를 찾을 수가 없어서 실제적으로 다시 쓰기는 힘들 것이라는 결론으로 버리기로 했는데… 너무 printer condition이 좋아서 고장이 난 적이 없는 것이라면 마지막으로 살려볼까 하는 유혹을 받은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printer는 전혀 자체로서는 문제가 없는 것, 그냥 버리는 것, 죄의식까지 느낄 정도였다. 더 이상 조사를 해보니 이 printer를 support하던 마지막 O/S는 2006년, Windows VISTA 였다! 마침 10여 년 전에 진희 엄마가 쓰다가 ‘버린’ laptop이 Vista여서 test를 해보니… It works!
하지만 역시 실제적으로 이것을 지금 쓰려면? 옛날의 Windows Vista를 쓰면 되겠지만 그것을 누가 지금 쓰겠는가, 그것이 practical idea인가? 현실적으로 이 printer는 다시 쓸 수가 없는 처지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제2차 세계대전 때 나치 괴물들이 유태인 수용소에서 노약자들을 우선적으로 죽였던 것, 바로 이 printer가 지금 노약자의 신세가 아닐까? 비록 ‘신체’는 멀쩡해도 쓸 수가 없는 처지이기에… 이 printer를 쓰레기 매립지로 안 보내는 명분을 찾고 싶었다.
제일 확실한 방법은 Windows Vista PC를 printer server로 쓰는 것이다. 그러니까 이 printer를 쓸 때마다 Vista PC를 켜고 다른 PC에서 이 printer를 home network에서 골라서 쓰면 되는 것, 조금은 복잡한 것이지만 printer는 쓸 수가 있다. 하지만 Vista PC는 나에게 있긴 하지만 쓸 때마다 이 PC를 bootup하는 것, 귀찮은 일이다. 더 좋은 방법이 있다. Windows Vista를 virtual machine [Oracle’s Virtual Box] 으로 쓰면 되는 것이다. 바로 이 방법이 제일 실용적인 것이다. 나머지 과제는 이 idea를 test하는 것, 나의 생각으로는 큰 문제가 없을 듯하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이 printer는 landfill의 위험을 벗어나, 제2의 생명을 받아 살아갈 것 같다. 감사합니다~~
Mother vs. Putin… Medjugorje visionary Mirjana의 자서전 My Heart Will Triumph 를 3번 째 빨리 흥미롭게 읽고 있다. 1990년 대 Bosnian war 당시 그녀에게 계속 발현했던 성모님의 각종 암시와 계시 등에 나는 관심과 희망을 걸고, 이것을 현재의 Putin 전쟁과 함께 비교를 한다. 당시 그 ‘작은 전쟁’은 비록 피해는 많이 냈지만 세계 대전으로 발전하지는 않았다. 거꾸로 공산국가들이 약화되는 계기로 변하지 않았던가? 하지만 지금의 사태는 어떨 것인가? 지금 성모님은 어떤 의지와 계획으로 뒤에서 보고 기도하고 계실까? 얼마나 역사에 개입을 하실 수 있을까? 성모님이 알려준 비밀 속에 이 사태도 포함이 되어 있을까? 있다면 어떤 것일까? 요새 나는 천상과 인간역사의 경계선을 오고 가는 메주고리예의 visionary 들의 동향에 그렇게 관심이 갈 수가 없다. 바야흐로 이제는 성모마리아와 Putin 간의 1대1 역사적 결투를 보게 되는가… 물론 나는 성모 마리아의 깨끗한 승리를 예상한다.
아~ 또 냉랭, 싸늘, 움칠… 춥다, 추워… 조용하게 추운 바깥의 모습이 더욱 싫어진다. 이럴 바에는 아예 이상기온으로 좀 봄 같은 날씨도 나쁘지 않은데… 이제는 추운 것이 점점 귀찮아지고 싫어지는 것은 분명히 나이 때문일 것이다. 자연적 이치라고…
무언가 쫓기는 듯한 느낌을 받는 것, 왜 그럴까? 어제 순간적인 자화상의 느낌으로부터 시작된 그것일까, 아니면 다른 것이 나를 시험하는 것일까? 나에게도 성령과 악령이 교대로 오는 것일까? 그것이 사실이라면 요새 나는 분명히 악령 Screwtape의 노리개 감으로 고통을 받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러면 어떻게 성령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단 말인가?
오늘 순교자 성당의 요한복음 공부, 예상외로 좋았다. 꽤 많은 깨달음도 있었다. 송봉모 신부의 전6권 ‘요한복음산책’, 교재의 주제와 정신을 충실히 해설하시는 신부님의 강의가 우선 좋았지만 오늘의 주제가 현재 내가 겪는 혼란스러운 생각에서 헤쳐 나오는 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성령의 움직임을 나도 느낄 수 있을 거라는 자신감도 생긴다. 배우려고 하지 말고 느끼고 묵상하고 관상을 하는 예수회, 아니 이냐시오 성인의 방식을 더 알고 싶다. 아니 현재 이 복음공부는 이냐시오 영성에 바탕을 두었다고 생각한다. 이런 timing이 어디 있을까? 최근에 내가 관심을 두고 있는 James Martin신부의 책들, 대부분 이냐시오 관상, 영성에 관한 것들인데 우연일까? 이 요한복음 공부 전에 나는 이미 그쪽으로 관심을 가지고 시작을 이미 했던 것인데… 역시 프로인 신부님의 지도로 본격적으로 이것을 마주하게 되었으니… 이번이 기회다, 절호의 기회… 이것을 놓치면 나는 없다, 없어… 미래가 없다… 절대로 잡아야 한다.
오늘도 새로 산 refurbished PC에 Windows 10 Pro installation 을 계속한다. Provisioning 이라고 할까? 일단 연숙에게 주기로 했으니 그녀의 필요에 맞게 personalize를 해야 한다. 이런 작업도 앞으로 별로 없지 않을까? 오늘도 hardware test를 해 보니, 특히 video는 확실히 speed에서 큰 도움이 되는 것을 본다. 그것으로 일단 되지 않았을까? Benchmark는 역시 YouTube video일 것이니까… 그것이 pass되면 문제가 없을 것이다.
생각보다 일찍 도착했다. 책 한 권과 2개의 32GB microSD card (rather chips?).. 책은 Simon Monk, O’REILLY Raspberry PI Cookbook인데 거의 600 pages에 가까운 두툼한 책이다. Raspberry PI [tiny single board computer]에 대한 책은 이미 오래 전에 산 것이 두 권이나 있으나 문제는 너무나 오래 된 것이다. 2020년 대에 나온 이 책은 아주 fresh 한 느낌이고, Amazon의 review가 아주 좋았다. 나의 희망은 사실 이런 review들 보다는 그 동안 뜸했던 나의 흥미를 되살리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 것이다. 결과는 어떨지… 하지만 지금은 조금 희망적이다. 이 책의 인도를 받아 작년에 $$를 투자한 것들, 주로 electronic parts들, 그것에 대한 대가를 받고 싶은 것이고, 머리를 조금 더 쓰게 하는 시간을 갖고 싶은 것이다.
Biden의 대통령 취임 일주년 즈음이라는 것을 왜 내가 모르겠는가… 2021년 Jan 6 사태 악몽의 뒤로 또 다른 Biden의 검은 그림자가 서서히 다가옴을 며칠 전부터 알고 있었다. 한마디로 Biden의 [거의 바보 같은] 변신과 현재의 암담한 처지에 놀랄 뿐이다. 어떻게 일년 전 그렇게 희망의 상징이 이제는 ‘세기적 실망’의 상징이 되었을까? 설상가상으로 그의 어깨 넘어 등뒤에는 ‘DONALD 개XX’의 징그러운 미소가 나를 비웃고 있다. 그 더러운 입만 열면 99%가 새빨간 거짓말 투성이… 아~ 세상이 어쩌면 이렇게 불공평할까? 그런 개XX가 왜 이렇게도 아직도 우리를… 아~ 성모님, 좀 이것 너무하지 않습니까?
TablePress, WordPress blog에서 table structure 를 삽입하는 것, 이제까지는 Microsoft Office OneNote나 Word 의 HTML code를 그대로 copy 를 하며 가끔 쓰곤 했는데, 그 code를 보면 한마디로 가관이다. 보이는 것과 뒤에 가려진 것이 어쩌면 이렇게 다를까? 정말 ‘더럽고, 잡스럽게’ 보이는 것. 뒤에 가려진 code를 무시하면 넘어갈 수도 있겠지만, 그래도 이것은 너무한 듯하다. 그래서 혹시 자동적으로 비교적 깨끗한 table code를 generate하는 것이 없나 .. Googling을 했더니 아니나 다를까.. .없을 리가 있겠는가? 독일의 어떤 대학 박사과정에 있는 학생이 만든 ‘무료’ TablePress란 것, 아직 써 보지는 않았지만 documentation만으로도 OK, pass로 판단. 이것으로 test run해 보니, 역시 OK.
TablePress generated example table
완전하지는 않지만 우리 둘 오늘은 어제보다는 조금 나아진 듯하다. 최소한 나의 허리는 견딜만하니까.. 연숙도 어제 밤에 Theraflu Night Time을 마시고 일찍 자더니 오늘은 훨씬 생기가 돌아온 듯 보인다. 아마도 내일부터는 regular daily routine으로 복귀할 듯하다. 내일은 우선 top priority는 동네성당 아침 미사엘 가는 것이고 가능하면 요새 재미 들린 듯 가는 Goodwill에 donation할 것을 가지고 가는 것인데 어디까지나 희망사항이다. 이런 식으로 조금씩 헌 물건들을 가지고 나가면 그런대로 garage나 집이 조금은 가벼워지고 깨끗해지지 않을까? 일찍부터 이곳에 기부를 했으면 그야말로 누이 좋고 매부 좋았던 것 아니었을까? 이것은 100% 내 탓이요, 내 탓이요, 내 탓이로소이다…
지난 며칠 나의 머리를 사로잡고 있었던 VIZIO HDMI display 노력은 거의 실망으로 끝나고 있다. 결국은 다시 VGA mode로 돌아온 것이다. 그것이 최소한 현재의 display상에서는 보기가 좋은 것, 너무나 실망스럽지만 그래도 현실을 알게 되었으니 다행이라고 할까? 앞으로 VIZIO HDMI 는 Raspberry PI 같은 것에서나 다시 쓰게 될 것이다. 하지만 이번의 이런 일들이 절대로 시간 낭비는 아니라는 것만 기억하자.
빗소리보다는 바람소리와 central heating소리가 점점 커지는 새벽이 되었다. Ozzie와 깜깜한 바깥을 나가려니 비바람소리가 왔다 갔다 하며 소리를 치고 있다. 다행히 비는 심하지 않아서 Ozzie에게는 다행인가.. 일기예보로 상상하던 모습은 분명히 아닌 듯, 바람이 비를 누르고 주인공으로 show를 하는가. 일단 오늘 성당 외출은 안 하기로 했기에 일어날 필요는 없지만 한편으로는 조금 지나친 결정이었나 하는 후회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연숙의 말대로 바람이 더 우려가 되는 것이기에 우리 나이에는 이것이 현명한 생각일 것이 분명하다.
비가 눈으로 바뀌는 신기한 모습들…
뜻밖으로 [건주 wife] 인희씨가 카톡 소식을 주었다. 정말 기대를 안 하더라니… 생일을 잘 지냈다고… 허~ 놀란 것보다 허탈감이라고나 할까… 이래서 문자대화는 문제가 있구나. 그 동안 소식이 없었던 것으로 최악의 상상을 시작한 것이 나의 오판이었구나… 좋은 소식은 분명하지만 그래도.. 그렇다면 ‘녀석’ 문제가 없었구나… 그래, 그러면 됐다. 하지만 아쉬움은 남는다. 왜 조금 더 친절하고 자세한 근황을 알려주지 못하는 것일까? 저쪽 사정을 볼 수는 없지만 글자 20자에 덧붙여 40자를 쓰는 것이 그렇게 힘든 것일까? 이제는 교성이가 조금 신경이 쓰이지만 이런 경험을 통해서 조금 지긋하고 신중하게 기다리며 좋은 쪽으로 생각하는 훈련을 하면 좋겠다. 좋은 쪽으로, 좋은 쪽을, 낙관적으로, 희망의 존재를 느끼며.. 희망, 희망… 희망…
결국 올해 ‘흰 색의 물’이 하늘에서 맹렬하게 내려오는 장관을 목격하게 되었다. 나의 생일 5일 전, 대한 4일 전… 세찬 바람 속을 뚫고 쏟아지던 비가 결국은 진눈깨비로 변하기 시작한다. 과연 이것이 100% 눈으로 변할 것인가.. 흥미진진.. 지금이 오전 10시경이니까 아마도 오후에는 주변의 모습이 완전히 변할지도 모른다. 외출했던 사람들, 아마도 이제부터 조금씩 조바심들이 날 것이다. 우리는 2014년에 이미 최악의 사태를 경험을 했지만 그들 중에는 아직도 ‘설마~’ 하는 불쌍한 사람들도 많이 있을 것이니…
오늘 나의 main desktop PC 의 screen에 커다란 변화가 생겼다. VIZIO monitor INPUT으로 오랜 세월 쓰던 venerable VGA가 일단 retire를 하고 그런대로 ‘최신식’인 HDMI를 쓰기 시작한 것이다. 내가 늦은 것이지만 그 동안 VGA 를 쓰는 것에 큰 문제가 없었기에 if it aint’s broke, don’t fix it의 전통을 따른 것이다. 하지만 이것을 바꾼 계기는 Raspberry PI를 desktop mode로 같은 VIZIO를 쓰는데 이것은 그런대로 근래의 것이라 그런지 아예 모든 것이 HDMI video만 support를 하는데 있었다. HDMI의 장점은 video audio모두 digital mode이기에 결국 모든 것이 digital인 셈이다.
PC와 Raspberry PI의 linux를 같이 desk에서 쓰려면 HDMI가 적절해서 Display Port만 있는 나의 ‘고물’ PC에서는 adapter를 써야 하고 그것이 오늘 도착해서 곧바로 test를 하기시작… 큰 문제는 없지만 역시 culture shock의 순간들이 도사리고 있다. 그 중에 하나가 나에게 필수적인 Windows application Microsoft OneNote, 의외로 이것이 screen에서 선명하지 않게 보이는 것이다. 유일한 길은 screen resolution을 native 로 바꾸어야 하는데… 와~ 역시 모든 object들의 크기가 줄어드는 것… 예상은 했지만 이것에 적응이 과연 될지… 정 적응을 못하면 최후의 방법은 역시 전에 오랜 기간 문제없이 써 오던 VGA로 돌아가야 할지도… 아~ 왜 이렇게 사는 것이 복잡하단 말인가? 일단 하루 정도 trial시간을 주기로 했다…
세상이 그렇게 예측대로 돌아가는 것은 아니다! 위의 OneNote blurry problem, 그것이 오늘 모든 고뇌의 시작이었지만 기쁨으로 끝나게 하는 요인도 되었다. 알고 보니 OneNote는 HDMI mode에서도 선명하기는 마찬가지였다. Windows reboot이후에 다시 선명한 OneNote의 모습! 아~ 감사합니다. 다시 원래의 125% resolution, 고향으로 돌아갑니다. 감사합니다…
Cul-de-Sac, Dusting Starts…
오늘의 화두 話頭는 역시 눈, 그것이 아닐까? 눈은 한때 맹렬히 쏟아지듯이 내리기도 하고 함박눈 비슷하기도 했지만 거의 대부분은 잔잔히 서서히 가늘게 가랑비처럼 내려오는 눈의 모습이었다. 그러니까, 장시간 끊임없이 내리긴 했지만 양으로 보면 그저 눈의 맛을 보여준 듯하다. 이 지역에서 눈 내리는 모습은 자주 볼 수 없는 것이다.
커다란 후유증 없이 멋있게 눈의 장관을 보여준 일요일, 나는 감사한다. 최근에 느낀 어떤 예감이 맞은 것도 고맙고 생일 전에 이런 따뜻한 선물을 보내준 어머님 자연, Mother Nature가 고맙구나… 한두 번 더 보게 되었으면 더 좋겠지만 그것은 너무 큰 요구인가.
이런 Snowy day에서도 Amazon delivery system은 건재한 모양, 놀랍게도 mailbox에는 오늘 온다던 package가 얌전히 들어 있었다. 하나는 DisplayPort to HDMI adapter, 그리고 며칠 전부터 수강, 청강하게 된 University of Edinburgh Coursera ‘Philosophy, Science and Religion’ 의 교재다. 이것은 textbook format이라기보다는 관계 석학들의 essay 를 나열한 것으로, 깊이가 있는 논문집들로 보인다. 하지만 도전할만한 것이라 기대가 크다.
오늘 84도? 허~ Indian Summer? 며칠간 조금 덥다는 느낌을 들었더니 오늘 절정이 되는 것인가? 하지만 또 잊었다, 이것은 그야말로 dry heat일 뿐이다. 예보에서 ‘아마도 올해 마지막 80s’라고… 그래도 어떤 옷을 입고 하루를 시작할지 혼란이 오는 것은 조금 신경질이 난다. 결론은: 티셔츠(짧은팔)와 긴바지, 양말이 아침에 적당한 것이 되었다. 내일부터는 다시 본격적인 싸늘한 가을로 진행을 할 것이고, 특히 모레 일요일 아침은 40도 대, 이건 거의 겨울의 느낌이 아닐까…
일어나기 전까지 또 꿈을 꾸어서 아슬아슬하게 7시 전에 일어나게 되었다. 웬 놈의 개꿈을 이렇게 쉽고 많이 꾸는 것인지, 개꿈인지 아닌지는 조금 정리, 소화, 기억을 해 보아야겠지만, 전혀 없던 것보다 훨씬 살맛이 나니… 이것의 꿈의 매력인가?
오늘 아침 TV morning show Today show에 그 동안 자주 못 보았던 Asian personality, Vietnamese Vicky Nguyen의 얼굴이 보였다. 솔직히 말해서 반가웠다. 나의 딸을 보는 듯한 느낌은 왜일까? 나이도 새로니 정도가 아닐지. 혹시 그녀의 부모가 1970년대 boat people은 아니었을까? 요사이 월남 이민자들의 사회진출은 한국계보다 훨씬 활발한 것처럼 보인다. 가톨릭은 말할 것도 없고. 이 Vicky란 여자는 표정부터 아주 자신만만하게 보이는 것이 보기가 참 좋다. 작년의 이 지역의 Asian Hates 총격사건이 있었을 때 그녀가 이 show에서 보여준 동정, 정의, 동질감은 고맙기까지 했다. 그녀도 interracial family (white husband) 라서 더욱 가깝게 느껴지는 것인지도… 나도 나 자신의 변화[interracial marriage에 관한]에 놀라고 있다.
일어나 복도를 걸으며 몸의 안정감에 신경을 쓰고 있는 나를 본다. 머리 속은 상쾌하고 편한데 왜 제대로 균형을 잡지를 못하는 것인가? 심하지는 않지만 무엇 때문인지 그것에 신경이 쓰이는 것이다. 연숙과 이것에 대한 의견을 주고받으면 우선 결론은… you’re getting older & older, stupid! 정도가 아닐까? ‘노화현상’이라면 차분하게 받아들인다. 분명히 ‘망할 놈’의 ‘빨갱이‘ 중국[현재 내가 제일 싫어하는 지구상 존재 중의 하나]에서 유발된 Pandemic, 그 이후, 정기적인 [YMCA] 근육운동을 거의 2년 가까이 중단한 것이 더욱 이런 것을 가속시켰으리라..
오늘 해야 할 ‘육체적 일’ 중에는 며칠 전 kitchen에서 퇴역되었던 green ceiling fan을 back porch ceiling으로 옮기는 작업이 있었다. 이 fan은 motor 30여 년 넘게 쓴 것이지만 motor는 시퍼렇게 살아있는, 버리기 아까운 것이, 그것이 문제다. 버릴 수가 없으면 다시 써야 하지 않은가? 이것이 landfill에 묻힐 것을 생각하니 정말 아깝다. 이것이 문제다, 엄청난 양의 물건들이 애꿎게 땅 속으로 생매장되는 것이다. 지구를 살려야 한다, 어떻게 하던지… 오늘 일도 그 노력의 일환이다. 이 fan은 speed control switch에 문제가 생긴 것, 30년 전의 replacement part를 찾는 것은 거의 불가능.. 할 수없이 직접 분해, 해체 후 망가진 speed controller를 drill로 뚫어서 우격다짐으로 ‘기능상 수리’에 성공했다. 물론 모양이 흉하지만 안 보이는 것이기에 무슨 상관이 있으랴? 앞으로는 main motor가 살아 있는 한 ‘현역’으로 봉사를 할 것이다.
생매장 될 뻔했던 운명에서 다시 현역으로 새 위치에…
예상했던 시간보다 ‘물론’ 50%는 더 걸렸을 듯하다. 예외적인 놀람은 오늘은 순전히 나의 실수, wire하나를 멀쩡히 연결시키지도 않고 일을 끝낸 것, 어떻게 이런 실수가. 하지만 그것 이외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기에 이번의 job은 완전 성공으로 간주를 한다. 초록색의 color도 porch에 걸맞고 이제는 3 speed fan이 제대로 돌아간다고 생각하니 보람을 느낀다. 멀쩡한 녀석, 생매장을 피한 것이다. 덕분에 정말 오랜만에 나의 passion이 담겨있었던 lab, MAKER room에서 정말 오랜만에 2000년대 쿠사나기 츠요시 주연의 ‘자폐증’ 일본드라마 걸작, ‘내가 걷는 길, 僕の步く道’까지 다시 보며 평화로운 시간을 즐겼다. 감사합니다..
오늘 한 일은 사실 yard work정도의 심한 근육노동은 아니었지만 골머리를 꽤 쓴 모양이었다. 역시 다른 추억의 영상 ‘하늘을 나르는 타이어’를 틀어 놓고 음성만 들으며 쓰러져 누었다가 잠에 빠졌다. 이런 때의 나른하고 편한 느낌을 누가 글로 표현할 수 있으랴? 거의 1시간 이상을 잔 모양, 기분은 나르는 듯 싶다.
혹시 목성, 토성을 다시 볼 수 있을까 기대하고 있지만 구름이 얇게 낀 것이 아주 힘들 것 같은 예감이 든다. 그래, 오늘만 날인가? 앞으로 청명한 날들이 더 자주 올 때 충분히 다시 볼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보면 볼 수록 나의 Newtonian Reflector가 거의 ‘장난감’ 수준임을 알게 되는 것, 하지만 나는 여기서 더 $$$을 소비할 마음은 아직 없다. 나의 천문학 수준이 조금 더 오르면 모를까…
깜깜한 새벽의 계단을 내려온다. 밝은 아래층 대신 어둠 속에서 마지막 성탄의 빛을 발하고 있는 것 외에는 모두 잠잠… 이제 결국 우리와 함께 오랜 동안 살았던 X-10 shadow는 완전히 물러갈 때가 온 듯하다. 현재의 X-10 lighting의 문제는 아마도 controller자체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나는 솔직히 이제 이것으로부터 졸업하고 싶다. 더 이상 이런 것으로 머리를 쓰기가 싫은 것이다.다행히 어제 wifi smart plug/switch가 도착을 해서 test하며 배우고 있다. 지난 십여 년간 wifi technology는 내가 보기에도 아주 성숙한 것이 되었기에 앞으로는 이것을 전적으로 이용을 하기로 했다.
WiFi smart plug/switch, 이제 드디어 X-10 clunker가 retire할 때가 오고 있다. 오늘부터 X-10 light controller가 마지막 숨을 쉬며 거의 죽어가고 있다. 아침이 깜깜한 것이다. 싫다, 싫어… 이제는 다음 세대로 넘어가야 한다. 이런 고물들에 더 이상 시간낭비를 할 수는 없다. 4개의 power plug과 1개의 wall switch모두가 program 이 끝났다. 아마도 Ecobee thermostat와 비슷한 mode로 design이 된 듯하다. ‘Smart Life’라는 app이 cloud에 모든 data를 store하는 것, 조금은 불편한 사실이다. WiFi나 Internet이 없으면 완전히 모든 것이 정지되는 것… 그것에 비하면 X-10은 powerline 의 ‘건강’에 모든 것이 달려있으니.. 이것도 문제였다. 하지만 앞을 보고 나가자… 지나간 ‘고물’들에서 벗어나자…
오늘 주일미사부터 ‘열린 미사’를 한다고 하지만, 우리는 당분간 집에서 참례하기로 했기에 느긋하게 주일을 맞이하게 되었다. QR stuff도 해결이 되었고 사실 못 갈 이유는 적지만 지금의 분위기는 별로 좋지 않다. 이런 마지막 시기에 정말 재수가 없으면… 아찔한 시나리오다. 우선 vaccine을 맞는 것으로 다음 단계를 구상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조시몬 형제, 역쉬~~ 변함없이 8시반 미사엘 간다고… 웬만하면 우리도 가서 하얀풍차의 커피 냄새를 맡고 싶지만, 갑자기 빌빌대는 연숙도 그렇게 나도 오늘은 집에서 늘어지고 싶기도 하고, 주님 죄송합니다…
이번 주의 ‘화두’는 역시 ‘그것’… 개XX가 사라지는 순간을 만끽하는 날, 우선 이것으로 지난 4년간의 고민과 고통은 조금씩 사라지게 되기를 바라고, ‘정당한 분노’ 를 넘어선 ‘혈압의 분노’를 조절하는 노력을 시작하는 것이 좋겠다. 한마디로… 참, 기막히고 해괴한 인간상을 충분히 보았던 지난 세월들… 특히 종교계 내에 숨어있거나 아주 내놓고 떠드는 악마의 존재를 느낌은 정말 아찔한 느낌들이다. 그 중에서도 온건한 교황을 매도하는 Vigano라는 사제, 이 인간을 나는 가슴속으로부터 증오한다. 교계 내에서 드러내고 그 개XX를 지지하고, 활개를 치는 사제의 탈을 쓴 악마인 듯 하다. 내가 꿈속에서라도 정의 正義의 사자 使者 라이파이 가 되면 한칼로 모조리…
계속되는 60도 이하, 싸늘한 아침들, 거의 가을 같은 느낌인가…
며칠 만에 다시 산책길을 걷는다. 싸늘해진 날씨 덕분에 오랜만에 모두 긴 팔/바지로 입고 걸었는데 하나도 덥지를 않았다. 그래 6월 중에 이렇게 가을 같은 날씨가 꼭 있었다. 오늘이 바로 그런 날이 된다.
주마등 같이 지나가는 Tobey의 모습들…
Tobey’s Memorial Day, 6월 19일. 2018년 6월 19일 나의 사랑하는 ‘아들, 개’ Tobey가 나의 손에 안겨서 마지막 숨을 쉬던 그때, 그래 나의 사랑하는 Tobey가 昇天한 날이다. Tobey야 그립고, 그립고 사랑한다. 너와 같이 살았던 14년, 우리도 즐거웠고, 너도 그 동안 행복하게 살았지? 특히 우리 둘은 너무 가까워서 탈이었던, 명 ‘콤비’ 였지? 뒤뜰 우리 집에서 제일 아담하고, 양지바른 곳에서 잠드는 너의 안식처에는 요새 한 여름의 각종 꽃들이 시원하고 넉넉한 덕분에 더욱 만발하고 있구나. 그곳에서 너를 매일 지켜 본단다. 다음 세상에서 다시 만나자, Tobey야!
Tobey 동산에 핀 올여름의 꽃은…
thermostat controlled ‘box fan’ at hot garage
Air Condition이 안 된 곳, 우리 집 two-car garage, 여름에는 무섭게 뜨거워질 때가 있다. 커다란 냉장고 refrigerator 와 냉동고 freezer 는 물론, 유서, 역사 깊은 각종 책들이 무수히 쌓여 있는데, 너무 습하고 더우면 분명히 그들도 stress를 받을 것이다. 궁여지책으로 ‘지독히도 싼’ box fan을 창문에 달아서 환기를 시키니까 훨씬 나아졌다. 문제는 이것을 여름 내내 24시간 가동하는 것, 조금은 에너지 낭비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궁여지책으로 생각한 것이 ‘남아도는’ room thermostat (pre-smart one) 으로 이것을 control하자는 것이었다. 우선은 air conditioner처럼 on/off control로 시작해서 궁극적으로는 speed control까지 겸하는 linear control을 구상하였다.
첫 단계인 on/off control은 기존의 thermostat로 비교적 간단하게 design을 하였다. 하지만 speed control은 microcontroller가 필요한 것이고, 따라서 software가 필요한 것, 시간이 조금 걸릴 듯하다.
‘Box Fan’ speed control, 의외로 쉬운 곳에 해답이 있었다. 바로 light/heat dimmer였다. 어제 잠깐 soldering iron heat controller 로 시험을 해 보니 큰 문제가 없었다. Triac-based light dimmer도 비슷하지 않을까? 관건은 이 potentiometer를 digital format으로 바꾸는 것이고 그것은 이미 product로 Amazon에도 있었다.
Agony & Ecstasy, electronics project
Rotting Deck, 이것들 에서 이미 썩어 들어간 부분은 띄어내고 비교적 새것으로 갈았다. 훨씬 보기가 좋다. 이제는 pressure wash를 한 후, sanding/grinding을 한 후에 전에 사온 exterior ‘dark’ brown paint를 칠 할까… 쉽지는 않을 듯 한데… 그래도 해야겠지? 한 김에 screened porch도 pressure wash를 하면 더욱 나을 듯… 정말 왜 이렇게 ‘남자’들은 할 일이 많은 것일까?
불쌍한 우리집의 neglected deck… I’m so sorry…
Marathon Man, 어제 아틀란타 지역에서 유서가 깊은, 역사를 자랑하는 토니 김 치과 Tony Kim Dentistry를 찾았다. 아이들 어렸을 때부터 다니던 곳, 토니 치과의사는 오래 전, Ohio State [University]를 다닌 인연이 있어서 그렇게 생소한 느낌이 들지 않던 곳이다. 물론 나이도 훨씬 밑이고 학교 다니던 때도 달랐지만 생소한 이곳에서 그곳은 반가운 치과였다. 당시에는 교민인구가 정말 적을 때여서 아마도 치과가 요새처럼 ‘지천으로 늘어진’ 때와는 다른 때여서 ‘모국어가 통하는’ 토니 치과는 정감적으로도 편한 곳이었다.
치과를 본능적, 체질적, 역사적, 생애적으로 유별나게 무서워 하던 내가 결국은 어쩔 수 없이 그곳을 ‘끌려가게’ 되었다. 코로나 사태로 계속 미루어오던 것이지만 가급적 안 가려고 발버둥을 치고 살았다. 하지만 참는 것도 한계가 있었다. 이번은 ‘나이가 원인일 수 있는’ 탓으로 어쩔 수 없는 것으로 아주 대 작업이 필요한 case였고, 나도 이제는 별 수 없이 완전히 백기를 들고 치과를 찾은 셈이다.
나는 대학시절부터 시작된 치과와의 악연으로 ‘치과’라는 말만 들으면 몸이 움츠려 들고 가급적 안 가려고 노력하며 살았다. 특히 1976년경의 Dustin Hoffman, Laurence Olivier 주연의 Marathon Man 이란 영화를 본 후에는 나의 생각은 더욱 완고해졌다. 고문 중에 생 이빨을 drilling하는 장면… 하지만 언제나 이런 유별난 치과공포증의 결과는 나의 ‘우둔한 패배’로 끝이 나곤 했었다. 이번에도 나이에 의한 ‘잇몸’의 퇴화는 나도 어쩔 수가 없는 상황. 결국은 100% 백기를 들고 만 것이다.
Dustin Hoffman, Marathon Man, 1976
Olivier torturing Hoffman, drilling a ‘good’ tooth without anesthesia!
거의 15년 만에 ‘돌아온’ 그곳, 토니 치과, 왜 이렇게 늦게 왔느냐는 ‘냉소적인 눈길’을 따갑게 느끼기도 했다. 한마디로 가족들에게도 ‘내 탓이오, 내 탓이오…’ 만 중얼거릴 수 밖에.. 나의 변명은 간단하게 이것도 일종의 불치의 phobia라고 단정을 짓지만 어떤 사람들은 이런 내가 좀 이상하다고 보는 듯했다.
정말 오랜만에 나를 끈질기게 괴롭히던 괴물들이 입 속에서 사라진 후 나는 정말 천상의 자유를 느꼈다. 코 밑에서의 야릇한 고통으로부터 자유… 나는 분명히 그 동안 그런 고통에 ‘편하게’ 적응이 되어 살려고 했지만 그것의 부작용은 얼마나 컸나? 나도 고통, 주변도 고통… 하지만 역시 그런 나의 본성은 자진해서 변할 수가 없음도 안다. 이제는 새로운 장이 펼쳐졌고 비록 거의 한달 정도는 이곳을 드나들어야 하지만, 코로나 사태로 모든 것이 변한 세상에 이런 변화는 결국 모두에게 좋은 것이라고 위로를 한다.

성모성월의 끝자락에 내린 비, Tobey가 더욱 그리워지는 날..
¶ 성모성월, Fatima의 성모님, 어머니날, 우리들의 어머니, 그녀들의 은은한 향기로 가득했던 2020년의 5월….이라는 광경을 그리워하며 한 달을 지낸 듯하다. 올 5월은 예년과는 너무나 달랐다. 작년의 기억만 해도 그렇다. 그야말로 꽃 향기로 가득했던 성모의 밤 행사를 비롯해서 집을 떠난 레지오 피정은 물론이고, 주일미사, 평일미사, 레지오 주회합, 봉성체, 양로원 방문 봉사… 등등. 정말 이제는 그런 것들이 너무나 멀리 느껴질 정도가 되었다. 비록 얼마 전부터 조금씩 정상의 느낌이 조금씩 들긴 하지만 언제 완전히 ‘평범한’ 그런 세상이 될지는 미지수다. 그런 때가 오면 올해의 봄, 여름은 두고두고 기억에 남을 것이다.
비록 제일 중요한 성사 聖事생활에는 치명타를 입었지만, 조그만 위안은 이것이다. 갑자기 남아도는 시간을 적절히 쓰는 것, 그것도 오랜 세월 미루어 왔거나 하고 싶었던 것들을 다시 찾아서 끝낼 수 있는 것들… 이것은 예상치 못했던 즐거움에 속한다. 이런 것들조차 없었다면 이런 시기는 정말 괴로운 세월로 기억이 될 것이다.
여름이 가까이 오면서 에어컨에 신경이 쓰였지만, 결과적으로 이번에 재점검과 중요한 수리를 한 것이 되어서 아무리 지독한 더위가 닥치더라도 심리적, 육체적으로 편안한 여름을 보내게 되었다. 또한 거의 잊고 살았던 ‘납세자의 의무’ Tax Return을 끝냈고, 이것을 통해서 우리의 financial picture를 보게 된 것도 다행이었다. 이것을 근거로 앞으로의 big budget을 세우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실은 이것이 제일 중요한 것, 우리 부부의 향후 5년 정도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무언가’를 시작하였다. 이것은 개인적인 비밀에 속한 것이지만 이렇게 반공개적인 기록으로 남기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 이래서 올해 5월도 평균적으로 A 아니면 B+ 정도의 성적은 되지 않을까?

Nine year old Sharkbite connection
¶ Trauma Buster: 5월의 마지막 날에 지난 9년 동안 나의 머리 속 깊은 곳에 trauma로 남아서 나를 괴롭혔던 것의 결말을 보게 되었다. 남들이 보면 ‘뭐 그런 것 가지고 trauma씩이나..’ 할 것일 수도 있겠지만 나에게는 글자 그대로 trauma였다. 날짜도 잊지 않는다. 2011년 7월 4일, 하필이면 Independency Day가 아닌가? 거의 12시간 동안 나는 악몽 속에서 헤맸다. 그 당시의 기억이 두 posts 이곳과 이곳 에 뚜렷이 남아있다.
지금 생각해도 아찔한데 어떻게 내가 손수 water heater tank를 손수 설치를 했는가? $500을 절약하려는 것과 나의 ‘자신감’ 이 문제였다. 하지만 tank자체는 거의 문제가 없었다. 문제는 의외로 plumbing에 도사리고 있었다. Copper pipe plumbing의 soldering (납땜)이 내가 생각한 바와 아주 달랐다. Electronic soldering 의 그것과 아주 달랐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완전히 참담한 실패로 끝났고, 최악의 사태 당분간 더운물 쓰는 것은 물론이고 집안의 상수도를 못쓸 수도 있었는데, 그런 위기의 순간에 혜성처럼 나의 눈에 띤 것이 Sharkbite™ plumbing product… 극단적인 표현으로, 아이들도 만질 수 있을 정도로 쉽게 pipe를 연결시키는 것, 그것으로 납땜을 할 필요가 없이 순식간에 일이 끝났던 것이다. 물이 새는 것을 걱정했는데 정말 거짓말 처럼 그런 문제가 전혀 없었다.

Brand new Sharkbite shutoff valve sleeve
당시에 일이 끝났을 때, 너무나 피곤해서 물을 잠그는 Shutoff valve를 다시 설치하는 것을 포기하였고 그런 상태로 9년 동안 숙제로 남아 있었던 것을 이번에 다시 Sharkbite™로 깨끗이 처리한 것이다. 이 valve가 없어서 그 동안 water heater tank를 flush할 수도 없었는데 이번에 시원하게 청소를 했는데, 생각보다 물의 상태가 괜찮아서 이 water heater는 앞으로 5년 이상은 더 쓸 수 있을 듯하게 보였다.

Almost child play, Sharkbite connection
Sharkbite™는 설치하는 것이 너무나 쉽고, 여간 해서는 물이 안 새는 것으로 유명하지만 이제는 그것이 더 이상 문제가 아니다. 좌우지간, 기분이 후련~하다. 덕분에 water tank flush도 했기에 더욱 기분이 날라갈 듯하다. Now, it’s another Yuengling Time!

Another Yuengling Time!
¶ Memorial Day, No Barbecue… ‘비공식적인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5월 마지막 월요일 Memorial Day를 조용히 맞는다. 아직도 코로나 사태의 무게를 느끼며 맞는 여름시작의 휴일. 가족 이외의 그룹이 모이는 것도 조심스러운 상태. 기억으로 이날은 가족끼리 아니면 우리 둘이라도 deck에서 barbecue grill을 하고 beer를 마시던 추억들이 남지만, 올해는 아무런 계획 없이 let it be 하는 심정으로 이날을 맞는다.
연숙이 조금 피곤한 듯, 오늘은 나 혼자서 걸었다. 코로나사태 이후로 이 산책 길에서 새로운 얼굴들, 특히 비교적 젊은 가족들을 많이 새로 보게 된다. 우리 동네가 훨씬 젊은 느낌을 주는 듯해서 반갑지만, 다른 쪽으로 생각하면 이렇게 해서 우리 같은 ’60/70/80 세대’는 서서히 사라져가는 느낌, 그야말로 never die, just fade away..의 심정인 것이다.
¶ 顯忠 斷想 성조기 Stars & Stripes 가 유난히 많이 눈에 띄는 subdivision 산책길을 가면서, ‘현충 顯忠’이란 의미를 생각한다. 현충, ‘두드러진 충렬 忠烈, 충렬을 높이 드러냄’. 구체적인 의미로 이것은 국가, 나라를 지키기 위해 싸우다 숨진 사람들의 충렬을 기리는’것이다. 미국의 현충일이 바로 오늘 Memorial Day인데, 날짜가 5월 말에 있어서 더운 여름의 기후와 맞물린 휴일이고 보니, 바람직한 엄숙함보다는 휴일의 한가함이 더욱 드러나는 그런 날이기도 하다.
나라를 위해 싸운다면 전쟁을 겪은 군인들이 제일 먼저 손꼽힌다. 나는 대한민국의 국민으로 태어났지만 애석하게도 군대나 군인의 근처에도 못 가 보았다. 호적상의 이유로 그렇게 되긴 했고, 그 젊었던 시절에는 하나의 ‘공짜, 혜택’으로 받아 들였다. 당시의 사회적 여건으로 보아서 군대 안 가거나 못 가는 것, 그렇게 흠이 될 것이 아니어서 두 번 다시 생각을 안하며 살았지만, 사실은 주변에 흔히 보는 재향군인들을 보면 부끄러워진다. 이유여하를 막론하고 그들은 나라에 제일 중요한 충성을 한 것임을 너무나 잘 알기 때문이다.
이와 연관되어서, 두 나라에 충성을 하는 것, 언제나 머릿속 깊은 곳에서 나의 의식을 건드린다. 이곳의 또래들이 대한민국을 걱정하는 데 너무 열을 올리다 보면 반드시 이 문제가 걸린다. 미국과 한국의 이해가 반드시 일치하는 것도 아니고, 장래에는 더욱 그럴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이럴 때 어떻게 ‘충성의 선택’을 할 것인가? 간단치 않다.
¶ 주일미사 미사강론과 공지: 어제는 그리스도교회가 탄생된 ‘성령강림 대축일 Pentecost Sunday‘ 일주 전으로 ‘주님승천 대축일 The Ascension of the Lord‘이었다. 부활주간이 서서히 물러가며 4번의 대 축일이 이어진다. 교회 전례력에서 일년 중 가장 중요한 축일들이 시작된 것이다. 올해는 예외 중의 예외로 모든 것들이 비공식적 전례로 바뀐 것이다. 어떻게 그 놈의 ‘우한바이러스’는 이런 때에 이곳에 들어온 것인가? 우연일 듯도 하고 아닐 듯도 한 것이다.
성경에 의하면 글자 그대로 보면, 제자들이 보는 앞에서 예수님이 ‘하늘로 올라갔다’ 고 나온다. 이것을 과연 우리는 어떻게 해석을 할 것인가? 어떤 영화를 보면 글자 그대로 구름 속으로 둥둥 떠오르는 것을 묘사한 것도 있었다. 소위 깨었다는, 이성적, 과학적이라는 인간들은 그런 것들을 ‘고대적 신화’라고 재미있게 조롱하곤 한다. 나도 그랬으니까.. 과연 그럴까? 과연… 정말 확실히 그 묘사가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그 ‘과학적 방법’으로 ‘확실히’ 증명할 수 있는가? 의심의 여지는 없는가? 이것이 믿음의 관건이다.
이날 공지사항에서는 대교구의 ‘대교구 미사 제한적 재개’ 방침이 알려졌고 순교자 성당도 5월 30일 토요일 특전미사부터 공식 재개가 된다고 했다. 하지만 제한조건이 꽤 심각한 것으로, 관건은 이 조치를 보조할 ‘(자원)봉사자’들이 확보되는 것이었다. 매 미사 때마다 봉사자가 점검이 되고 안 되면 미사를 할 수 없다는 것이 골자였다. 미사 참례인원 100명 이내로, 모든 미사 외의 모든 활동 중지… 미사 중 신자들은 소리를 낼 수가 없다… 등등.. 이것이 소위 말하는 제1단계 미사재개의 모습이다.
이제 우리는 선택을 할 때가 온 듯하다. 우선은 6월 달 동안은 온라인 미사를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고, 예외적으로 가끔 성당엘 가는 것은 OK, 정도로 의견을 모았다.
¶ HP P1102W: Saved by the bell: 얼마 전에 갑자기 ‘죽어버린’ 우리 집의 main laser printer HP P1102W, 근래에 들어서 hard copy print를 할 일이 거의 없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불편할 수 있는 노릇이 아닌가? Backup printer로 Color Inkjet printer가 있긴 하지만 그것은 Ink값이 장난이 아니라서 또한 불편하다. 이런 기회에 종이의 양면을 자동적으로 print 할 수 있는 Automatic Duplexer가 있는 것을 장만하면 어떨까 하고 Brother Printer를 Amazon에서 사게 되었다. 값이 상당히 저렴해서 자세히 보니 역시 reconditioned 인 것, 그러니까 return된 것을 다시 test해서 파는 것이었다. 물론 나에게 그런 것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문제는 printer를 받아보니… 이럴 수가? Toner cartridge를 printer에 넣으려니 들어가지를 않는 것이었다. 혹시나 맞지 않는 toner를 보냈나 하고 자세히 보았지만 그것은 맞는 toner였다. 그렇다면? Printer를 자세히 살펴보니… 와~ 해체를 했다가 다시 조립한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 한마디로, ‘찌그러진’ 상태로 조립을 했던 것이다. 어떻게 이럴 수가? 이제는 대 大 Amazon의 quality control도 못 믿게 되었다. 이런 적은 아마도 나의 기억에 한 번도 없었다. Toner가 들어가지 않을 정도로 엉망으로 재조립을 했다는 사실에 놀라고 놀랍기만 하다. 당장 return process를 시작하고 UPS에 갖다 주면 끝나지만 Amazon에 대한 신뢰감이 떨어진 것은 분명하다.
버려지기 일보 직전에 구출된 정든 printer
다시 printer를 order하려는 와중에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Not So Fast… 갑자기 죽어버린 printer가 왜 ‘갑자기, 조용히’ 죽었는지 이유를 알고 싶었던 것이다. 거의 쓰레기통에 들어가기 전에 분해를 하려고 애를 썼는데… 이것, 유난히도 어려워서 포기하였고, 마지막으로 한번 다시 전원을 켰는데….. 이 사실도 믿을 수가 없다. 그 printer가 다시 살아난 것이다! 완전한 상태로… 내가 죽었다고 판정을 내린 것이 시기상조가 아니었을까? 한마디로 그것은 ‘가사상태, 죽은 듯이 보인 것’ 뿐이었다. Power system도 요새는 많이 digital circuitry화 되어서 어느 정도 ‘기억’을 하기에 만의 일의 사태에 이렇게 완전히 power system이 lockup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나의 불찰은, 그것을 좀 더 오래 두고 보아야 했다.
결과적으로 괜히 돈을 쓸 필요는 없어졌지만 그래도 내가 원하던 Automatic Duplex printer는 물 건너가게 되었다. 또한 한때 죽은 것처럼 보였던 정든 printer가 생명체라고 했다면 어땠을까? 그러니까 죽지도 않은 사람을 관속에 묻기 일보 직전에 살아있음을 알고 구해내는 것, 이것이 바로 Saved by the bell의 그림이 아닌가?
오래 전만 해도 의학기술의 미비로 사람이 죽었다고 판정을 내리는 것,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니었을 때, 가사 假死 comatose 상태의 사람을 생매장 했을 수도 있는 것이었다. 나중에 관을 열어보았을 때 어떤 관 속에는 나오려는 흔적들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나중에는 관 안에서 밖으로 연결된 종을 달아놓고 의식이 돌아오면 그것으로 ‘살려줘!’ 하고 알렸다는 얘기, 그것이 바로 Saved by the bell… 이번에 나의 정든 오래된 printer가 바로 그런 case였다. 미안하다, 나의 정든 printer야! 너의 수명이 진정으로 다 할 때까지 사랑으로 돌보아 주고 마지막 예우를 다해 줄게…
다른 한편으로, 이말 Saved by the bell 은 1969년 Bee Gees에서 solo가 되어 부른 Robin Gibbs의 single hit song이기도 했다. 잠시 그 당시 이 노래에 심취했던 ‘황금의 청춘’ 시절을 회상할 기회가 되었다.
Saved by the bell, Robin Gibbs, 1969
remote class 준비 중에 Ozzie가 학생 역할을…
Work from Home: 이번 코로나 사태로 말미암아 이제까지 niche technology에 속했던 remote commuting이 하루아침에 신경제의 주역으로 떠올랐다. 다행인 것은 data network infrastructure 역할을 하는 세계적 Internet backbone이 큰 무리 없이 견디고 있다는 사실이다. 확실한 data는 모르지만 아마도 full-capacity를 testing 할 만한 엄청난 data traffic이 현재 전세계를 흐르고 있을 것이다.
한 국가별로 보면 인터넷 기술을 발명하고 발전시켰던 미국은 비교적 작은 나라들에 비해서 뒤쳐지고 있음을 알게 된다. 게다가 연방차원의 기술보급의 주도가 없었기에 여기서도 역시 빈부의 차이가 확실하다. 이런 것들을 보면 비록 현재 출마를 포기했지만 혁신적인 ‘사회주의 적 발상’을 선거 이슈로 떠올린 Bernie Sanders의 아이디어는 큰 설득력이 있다. 건강보험과 인터넷 이용을 특권이 아닌 기본권리, 혜택으로 보는 것, 이것은 사실 다수가 선택을 해야 하는, 간단하게 결정할 수 없는 사안일 듯하다.
요새 주변을 보면 사실 코로나 사태로 집에서 일하는 사람들, 그들은 전 보다 더 ‘편한 생활방식’을 ‘즐기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실제적으로 사람들과 접촉, 접근만 못한다 뿐이지 그 이외는 사실 더 편할 지도 모른다. 상대적으로 ‘몸을 때우는’ 사람들, 그들의 정 반대의 불편함과 위험을 감수해야 하니… 아무래도 무언가 불공평한 것 같지 않은가? 사실 그렇다.
큰 딸 새로니, private elementary school teacher로 현재 역시 집에서 ‘가르치고’ 있고, 그 애는 사실 요새 ‘일하기 편한’ 부류에 속한다. 대부분의 잘 사는 집의 아이들이 대부분인 이 학교는 remote class 의 준비가 비교적 잘 되어 있는 모양이다. 올해 년 말까지 이런 식의 가르침을 대비하고 있다고 하니… 새로니 약혼자도 Verizon (communications)의 software engineer로 역시 ‘편하게’ 집에서 일을 한다. 이 친구 말이 코로나 사태로 인한 피해는 커녕 더욱더 business가 잘 된다고… 역쉬~~ 왜 안 그렇겠는가? 거의 모든 사람들이 그들의 Internet service가 필요하니까.
문득, Aldous Huxley의 futuristic classic novel, Brave New World 의 그림이 떠오른다. 그렇다, 인터넷 기술은 목적이 아니라 도구라서 이것이 어떻게 쓰이느냐는 전적으로 인류의 책임이다.
지나간 10여 년 이상 나에게 일어난 큰 변화 중, 주변에서 거의 모르는 것이 하나 있다. 사실은 나도 잊고 사는 사실이다. 쉽게 말해서 technical book을 거의 산 적이 없다는 사실이다. 나에게 technical 한 것은 물론 electronics, computer에 관한 것이다. 이 사실은 사실 나도 가끔 놀라는데, 어찌하다 이렇게 되었는지는 쉽게 말해서 나의 주 관심사가 지난 10년 동안 크게 변했다는 사실에 있다. 공학, 과학에서 신학, 인문학, 문학 쪽으로 갔다고나 할까.. 신학 중에서는, 전통적 신학이라기 보다는 ‘과학과 종교의 대화’ 쪽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도 가끔은 역시 spark가 번쩍이는 ‘전기의 기운’을 보면 본능적으로 흥분이 되고, 본능적인 희열을 느낀다. 어릴 적부터 내가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았고 그것이 나의 일생 직업이 될 것도 의심치 않았다. 비록 전문직종에서 직장생활의 인간관계가 힘들 때가 있어도 일 그 자체에 대한 사랑으로 모든 것이 극복되곤 했다.
모든 전문성이 사라진 이 나이에서도 나를 제일 흥분시키는 것은 다름이 아닌 spark가 번쩍이는 ‘전류가 흐르는’ 전깃줄 바로 그것이다. 이 보이지 않는 ‘혼’, electron들의 마력에 빠진 이후 나는 그것을 즐기는 인생을 살았지만 근래에 들어서 그런 시간들이 점점 줄어들었다. 유일하게 그것들을 손으로 느낄 수 있는 기회는 가끔 찾아오는 ‘가전제품이 망가지는’ 그런 불편한 때 밖에 없다.
부분적 고장이 난 space heater, 타버린 power diode, troubleshooting ready
몇 년 전부터 유행하는 값싼 parabolic electric space heater란 것, 이것은 분명히 ‘값싼 중국’에서 온 것이고, 수명이 그렇게 길지 못함은 값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는 그런 ‘일회용 제품’ 에 속한다. 몸에 직접 햇볕을 쬐는 효과를 최대한 살린 것이라 겨울에 몸으로 느끼는 추위를 순식간에 없앨 수 있는 이점으로 꽤 유행을 했고 우리도 예외가 아니다.
그 중에 한두 대는 이미 고장이 나서 버렸는데, 이번에는 완전히 고장이 난 것이 아니고 ‘强, 弱’ 중에 ‘弱’ setting에 고장이 났다. 내가 주로 쓰는 것이 바로 ‘弱’인데, 이것이 안 되면 또 버려야 한단 말인가? 그래서 이번에는 내가 고쳐보기로 해서 결과적으로 $5.00 part와 일주일의 시간으로 고치게 되었다. 이번에 값싸게 ‘강,약’을 조절하는 그들의 방식을 알게 되었다. AC power에 heating element 가 직접 연결이 되어있는 것이’강’ 이고 power (solid state) diode를 통한 것이 ‘弱’ setting이었다. 그러니까, 60 cycle 중에 절반의 power를 쓰는 것이므로 half power를 그야말로 ‘간단하게’ 만드는 효과적인 방식이었다.
이번의 문제는 물론 값싼 diode가 일찍 수명을 다하고 타버린 case였다. 이 diode만 교체하면 쉽게 고칠 수 있는 것인데 이 ‘값싼 중국’제 part를 구하는 것이 문제였다. Corona Virus때문인지는 몰라도 그 쪽에서 이 part를 ‘수입’하는 것, 불가능한 것이었고 할 수 없이 다른 곳에서 다른 part로 대체하는 방법을 찾았는데.. 그것과 비슷한 power diode는 미국 내에서 구하기가 쉽지 않았다. 있다고 해도 싼 것은 절대로 아님을 알게 되고, 다시 이 heater를 ‘버릴까 말까’하는 선택에 봉착하게 되었다.
60 hertz 117V power cycle, diode로 half cycle이 차단 됨
문제는 망가진 diode와 specification이 비슷한 것, 아무 것이나 OK라는 간단한 결론이고, 또한 simple diode가 아니고 bridge rectifier diode[diode가 4개나 내장된] 도 ok일 것이라는 생각이었고, 이런 종류의 것은 이곳 미국 내에서도 지천으로 널려있는 것으로 $5.00 정도로 손쉽게 그것도 그 값으로 2개나 묶음으로 사게 되어, 곧바로 고치게 되었고, 다른 heater에 이 문제가 나면 나머지 남은 part로 문제없이 고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1주일도 못 되는 ‘수리과정’에서 느낀 것은 ‘행복’ 그 자체였다. 멀쩡한 것 landfill로 가는 것도 방지했지만, 전기의 spark가 손끝에 느껴지는 순간들을 오랜만에 맛 보았던 그 사실이 나를 너무나 행복하게 한 것이다. 앞으로 더 신경이 둔화되기 전까지는, 이것도 perfect time-killer가 되겠다는 생각도 든다.
대체 부품 bridge rectifier diode, 4개 중에서 하나만 사용됨
¶ Running ‘C’ wire: Smart Home, Smartphone (now one word), Smart TV, 그리고 Smart ‘Stat (thermostat) ..
덧없는 세월의 흐름 속에서 나를 스쳐 지나는 이런 단어들, 이것들 중에서 나와 역사적으로 제일 오래된 것이 smart home일 것이고, 다음이 Smartphone, 그리고 지금 나의 코앞에 다가온 것이 바로 Smart Thermostat 이다. 얼마 전에 두 ‘아이’들이 우리에게 준 2대의 ‘dumb’ 40+” TV는 Roku, ChromeCast gadget 덕분에 곧바로 Internet streaming를 하는 smart tv의 기능을 갖추게 되어서 그런대로 우리 집도 ‘현대화’의 모습을 보이게 되었다.
그런데 이번에 우연히 큰딸 boyfriend Richard가 최신형으로 upgrade 한다고 2개의 smart thermostat를 우리에게 주었다. 그것이 EcoBee 라는 ‘웃기지 않게’ 비싼 사치품 thermostat였다. 집안의 heating & cooling system(HVAC) 을 control 하는 것이 thermostat인데 이것의 내부 구조는 간단한 electrical switch에 불과해서 예전까지 이것은 비쌀 수가 없는 그런 것이었다. 그것이 복잡한, 그러니까 smart하게 보이는 기능을 잔뜩 넣어서 멋진 fashion을 만들어 고가로 파는 것, 나에게는 솔직히 마음에 들지 않는 추세다. 수백 년 전통의 coffee를 Starbucks로 비싸게 파는 것이나 맹물을 bottle에 넣어서 파는 것과 다를 것 하나도 없다. 하지만 비싼 것은 비싼 이유가 있을 것이다.
2 ‘given’ Ecobee smart thermostats
현재 우리 집에 있는 것은 기본적인 programmable thermostat로서 하루에 네 번 정도 시간에 따라 온도를 조절하는 model로서 사실 그렇게 불편한 것은 없다. 바쁜 생활을 하는 집에서는 더 복잡한 timing이 필요할지 모르지만 retire한 상태에서는 복잡한 것이 더 골치가 아프다. 하지만 이것을 program 하는 것이 그렇게 편하지 않다. 대부분 어두운 복도에 설치된 이것을 서있는 상태에서 그 작은 글씨를 보며 program하는 것 거의 torture에 가깝다. 그래서 한번 program해 놓으면 거의 바꾸지도 않고 그러기도 싫은 것이다. 그런 것이 지금은 Smartphone이나 PC의 보기 좋은 screen을 편한 곳에 누워서 program을 할 수 있다는 사실… 그것 하나만으로 나는 족하다.
이것을 나에게 주면서 Richard는 현재 우리 집 thermostat에 ‘C’ wire가 연결되어 있냐고 물어서.. 속으로 이것이 무슨 말인가 궁금했지만 우선 ‘있다’고 대답을 했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사실 그것이 우리에게는 없는 extra wire, 24V transformer의 ‘common’ (power return) 임을 알게 되었다.
왜 이 ‘놈’이 필요한가 보니, smart ‘stat(thermostat)는 Smartphone과 같이 하나의 독립된 small computer라서 power, 본격적인 전원이 필요해서 그런 것이었다. 작은 computer라고 했지만 기능적으로 보면 웬만한 예전의 desktop PC의 그것이고, 특히 WiFi 가 필요한 것이라 생각보다 energy를 많이 필요로 하는 것이다.
이것과 다르게, 오래 전에 쓰던 mechanical ‘stat는 전혀 power가 필요 없었고 요새 많이 쓰고 있는 programmable ‘stat는 거의 모두 battery를 쓰기에 따로 power supply wire가 필요 없었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4 wires가 필요한데 (1) 24V hot side, (2) fan on, (3) heat request, (4) cool request 가 그것들이다. 예를 들면 heat가 필요하면 (1)과 (3)을 연결하면 된다. 그러니까 24V hot side가 return되는 ‘common’ 이 사실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새로 나오는 smart ‘stat들을 ‘팔아 먹으려면’ 이 extra wire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급선무인데, 해결책은 이 wire를 furnace control board로부터 thermostat가 있는 곳까지 끌어내야 한다. 이 작업을 과연 몇 명이나 ‘감히’ 할 수 있을까.. 물론 handy한 공돌이를 제외하고.
다행히도 우리 집의 in-wall wiring은 home pc networking 시절부터 10base2, 그 후의 CAT5 cabling 까지 모두 내가 설치했기에 사실 이번의 ‘C’ wiring은 그야말로 식은 죽 먹기 정도로 쉬운 job이다. 다행히 남아도는 CAT5 cable이 많아서 그것으로 위층은 해결이 되었다. 아래층 것이 끝나면 드디어 EcoBee 를 연결해 볼 수 있을 것이고 요새 아이들 자랑스럽게 말하는 ‘Smartphone으로 언제 어디서나 집의 온도를 맞출 수 있다’ 라는 것, 나도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 토요일을 수도원에서: 싸늘하지만 기가 막히게 화창한 ‘영광스러운’ 가을 하늘아래 일년 만에 다시 한 시간 정도의 drive로 Conyers, GA 의 수도원을 방문하게 되었다. 이곳은 사실 부끄럽지만 ‘자발적’으로 간 적은 없고 무슨 계기가 있으면 가는 그런 곳이다. 위치나 분위기를 보아서 이곳에 갔다 오면 다음에는 반드시 ‘자발적’으로 가보자, 문득 ‘평화로운 곳’ 생각이 들면 그곳을 차를 몰자.. 등등의 상상을 해 보곤 하지만 그것이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니었다. 그래서 ‘계기’가 생기만 거의 두 번 생각을 안 하고 OK를 하곤 했다. 올해도 그런 식으로 연숙을 포함한 교사들이 인솔하는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의 예비신자 교리반 일행을 따라서 가게 되었다.
a spectacular view of the pond at the monastery..
5~6년 전 처음 이곳에 왔을 때는 그렇게 생소하던 곳이 이제는 연륜이 쌓여가는지 아주 편안하고 익숙한 느낌이 든다. 제일 기억에 남던 때가 레지오 피정을 이곳에서 했을 때가 아닐까? 밤늦게 어두운 대성전에 홀로 앉아서 묵상하던 경험은 아직도 잊을 수 없는 아주 강렬한 것이었다. 사람은 역시 ‘주위 환경’에 철저히 지배를 받을 수 밖에 없는 오감의 피조물이지만 그것을 초월하는 무엇을 이런 곳에서 느끼고 받을 수 있음을 경험한 곳이기도 하다.
교리반 학생들은 이런 곳에서 무엇을 느끼고 배울까.. 이날도 방문후의 소감들을 나누는 시간에서 간간히 들을 수 있었다. 대부분 너무나 생소한 것을 보았다는 나눔, 이해가 간다. 어찌 안 그렇겠는가? 하지만 생소함과 더불어 ‘신비적 경건함’도 느꼈다는 나눔은 아주 고무적인 것이 아닌가? 이들의 앞으로의 신앙여정은 어떨까.. 과연 얼마나 궁극적으로 ‘절대존재’를 알게 될까… 큰 유혹 없이 세례의 은총을 받게 되기를 속으로 기도했다.
이날 오랜 만에 gift shop에서 책을 한 권 샀다. 몇 년 전에 왔을 때 C. S. Lewis의 The Joyful Christian이란 책을 산 적이 있었고 그때 이곳은 Amazon.com 같은 discount가 없음을 알았다. 그러니까 list price대로 파는 것이다. 이것으로 수도원을 유지해야 함을 누가 모를까? 이날도 그것을 알고 샀는데, 메주고리예 발현에 관한 Janice T. Connell 의 The Vision of the Children 이란 책으로 나는 속으로 쾌재를 불렀다. 아주 뜻밖의 보물을 발견한 느낌이 들었다. 비교적 읽기 쉬운 책으로 오자마자 거의 1/3을 읽었는데 ‘뜻밖의 보물’이란 느낌이 계속 사라지지 않았다.
¶ 2권의 ‘반갑고 고마운’ 책들: 문밖에서 bell 소리가 들린다. 누가 온 것, 귀찮은 sales, 아니면 delivery? 조용히 밖을 보니 벌써 누가 무엇을 문 앞에 놔두고 가는 모습이 보인다. 아하~ FedEx van이 보이니 무엇이 배달된 것이었다. 익숙한 package이지만 나는 요새 아무것도 산 것이 없는데… 하고 shipping label을 읽으니.. 아니~ 대한민국에서 온 것, 누가? 아하~ ‘도사’ 양건주가 책을 보낸 것이었다.
FedEx package from Korea
얼마 전 오랜만에 다시 연락이 되어서 너무나 반가웠는데, 이상하게 ‘주소’를 물어보았는데 그것이 바로 책을 보내려고 그랬던 것이다. 다시 눈가가 찡~ 해 짐을 느꼈다. 친구야, 친구야… 고맙다, 친구야.. 어쩌면 너는 그렇게 자상하고 배려심이 깊은가? 나는 아무래도 못 따라가는데.. 이 친구에게 받았던 ‘책 선물’이 꽤 되는데.. 책 값도 그렇지만 이렇게 실제로 행동으로 귀찮을 수 있는 일을 하는 ‘고물 우정’에 어떻게 응답을 한 것인가? 이해인 수녀님의 ‘기다리는 행복’ 이란 수필집과, 얼마 전에 출판된 ‘따끈따끈한’ 책 ‘글배우’라는 독특한 이름의 저자가 쓴 ‘오늘처럼 내가 싫었던 날은 없다’ 라는 제목을 가진 책, 모두 2권이었다. 책 값만큼 우송료가 대단했는데.. 그것도 FedEx로 속달이 된 것이다.
이해인 수녀님은 사실 종파를 떠나서 일반인들에게도 친숙한 분이지만 연숙이 특히 좋아하는 수녀님이다. 그 책은 연숙이 먼저 보기로 하고 나는 현재 ‘글배우’라는 저자가 쓴 ‘오늘처럼…’ 이란 책을 읽고 있는데, 잠깐 훑어 보니 대부분이 ‘상식적 수준의 조언’들이지만 어떤 것들은 나의 생각이 맞는다는 재확인을 하게 하는 것들도 보였다. 책의 부제가 ‘무너진 자존감을 일으켜줄 글배우의 마음 수업’으로 되어있으니 아마도 대부분 ‘무너진 자존감’에 대한 조언들일 것이다. 나의 자존감은 분명히 예전 보다는 많이 오른 상태지만 그래도 이렇게 나를 생각해 주는 ‘벗’이 지구상 어디에 살고 있다는 생각은 나를 ‘하늘로 뜨게’ 만든다. 건주야.. 고맙다, 고마워. 행복하게 살아다오.
¶ Better Korean Festival? 별로 기다리지도 않았고, 기대하지도 않았고, 근래 나의 관심사에서 제일 멀리 있던 것이 나에게 왔다가 갔다. 연숙의 문인화 전시가 올해의 한인축제, Korean Festival와 함께 열린 것이고 이것은 이제 우리 가족의 작은 가을행사도 되었다. 이 전시를 계기로 가족이 모여서 전시회, 한인축제 공연, 그리고 넓은 주차장에서 각종 booth를 구경하는 것인데, 나는 사실 큰 관심이 있다고 할 수 없지만 ‘가족의 일원’이기에 피곤해도 와야 하는 그런 종류의 시간이다.
한인축제는 몇 년 전(2~3년?)에 가족과 왔었는데, 그 당시 ‘아이들’의 논평이 ‘재미없고, 촌스럽다’ 라는 것이고 나도 사실 동감이었다. 그런데 올해의 것은 ‘조용한 놀라움’을 주는 것이었고 ‘아이들’도 동감인 표정들이었다. 우선 ‘아마추어 같은 촌스러움’이 많이 걷힌 것이다. 각종 공연들도 그런 느낌을 주었다. 무엇이 변한 것일까? 자신은 없지만 ‘event pro’ 그러니까 행사를 주관하는데 각종 프로 들이 등장한 듯 했다. 큰딸 새로니는 몇 년 전에 Greek Festival을 보고 우리의 축제와 비교를 하곤 했는데, 아마도 우리도 그런 것을 보고 더 노력을 하지 않았을까 하는 논평을 했다.
각종 공연들, 특히 Big Orchestra가 등장한 것, 비록 한인 오케스트라라고 했지만 많은 연주자들은 ‘외국인’들이었다. 그러니까 무엇인가 축제자체가 community에 open된 것이다. 거대한 남성합창단의 모습도 인상적이었고 이들과 같이 ‘나의 살던 고향은..’, ‘사랑으로..’ 등을 관객들과 열창한 것도 가슴이 저미는 뭉클한 순간들이었다. 이런 모든 것들, 이제는 ‘초 국제화’가 되어서 아마도 바다건너의 대한민국의 재력과 K-POP을 중심의 최첨단 pop culture가 이곳에서도 느껴지는 것은 나만의 생각일까.
이날 한인문화회관에서 있었던 동양화, ‘문인화’ 전시에서 나는 처음으로 정성과 시간을 써서 관람을 하게 되었다. 연숙이 이것을 그리기 시작한 것도 이제는 꽤 되었지만 나는 아무리 보아도.. 그것이 그것이라는 느낌뿐이었다. 동양화, 묵향화, 문인화.. 조금씩 성격이 다른 것 임도 이제야 알게 되었고, 어떤 그림이 더 좋은 것인가 하는 것이 이제는 조금씩 느껴지기도 했다. 우선 시간을 더 써서 자세히 묵상, 기도하는 심정으로 응시를 하였다. 이날 처음 그렇게 비슷하게 보이던 것들이 조금씩 다르게 보이는 것도 알았다. 연숙의 ‘거대한 국화들’도 자세히 보게 되었고 왜 입선이 되었고 관람객으로부터 좋은 평을 받았는지 알려고 노력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내가 좋아하는 ‘대상물’은 ‘생물들’ 그러니까 새들, 다람쥐 같은 것임을 알게 되었다. 어찌나 느낌들이 좋았는지, 연숙에게도 꽃, 식물 다음에 그렇게 ‘살아 움직이는’ 대상을 그려보라고 제안하기도 했다.
¶ 레지오 사업보고: 나의 ‘정든’ 레지오 전초분대(Praesidium, Pr.) ‘자비의 모후’의 연례 사업보고가 일요일 꾸리아 월례회의 때 있었다. 단장이 된 이후 처음 하는 것이라 물론 내가 평의원들 앞에서 발표를 했지만 이번 발표에는 ‘고발성’ 글귀가 실려있어서 나는 그것을 가급적 dramatic하게 만들려고 노력을 했다. 이 ‘고발’을 할 때 평의원들의 얼굴은 대부분 blank 였다. 내가 무슨 ‘소리’를 하는지 모른다는 뜻이라고 나는 해석했지만 다른 쪽으로는 ‘너무나 심각한 어조와 내용’이라 그런 표정을 지었을 것이라는 생각도 했다. 솔직히 나는 그들, unmotivated, uninterested 한 모습들을 보며 우리 꾸리아, 레지오의 앞날이 걱정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나의 주 관심사는 ‘고발 당한 2명’이 이런 글을 읽으면 어떤 반응을 보일까 하는 것에 계속 머물고 있었다. 그 중 한 인간은 그 회의에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제 모두 알게 된 비밀이 공식화 되었기에 나는 그 두 ‘피고들’ 의 공식징계를 위한 다음 단계로 마침내 나아가게 되었다. 앞으로의 추이가 너무나 흥미롭게만 하다. Watch out, you two’s! Here I’m coming after you!
¶ BIG flat-screen TV Envy? 우리 집에는 누구나 모두 ‘자랑’ 하고 싶어하는 monster size flat-screen TV가 없다. 그러니까.. home theater 가 없는 것이다. Desk에서나 쓸 수 있는 아주 작은 digital TV가 있을 뿐이다. 가족들이 family room에 모여서 old tube analog TV로 주로 VHS video를 보던 때가 지금은 그리운 추억이 되었지만, 아이들이 커서 모두 집을 떠나면서 그 ‘고물’ TV는 완전히 방에서 물러나고 집에 남은 우리 둘은 거의 broadcast network TV를 안 보고 살게 되었다. Movie같은 Video를 보는 것은 인터넷의 출현으로 거의 각자의 desktop PC로 해결이 되었다. 문제는 home theater같은 느낌의 즐거움이 없다는 것인데 사실 그것도 거의 모든 시간을 desk앞에 앉아 있는 우리에게 큰 문제가 안 되었다. 하지만 다른 집에 가보면 우리같이 사는 사람이 거의 없고 ‘경쟁적’으로 엄청난 큰 screen TV가 있었다. 물론 극장 같은 경험을 집에서 즐기는 것, 누가 마다하랴.. 문제는 그만큼 $$$를 투자할 가치가 있는가 하는 것인데.. 돈도 돈이지만, 우리 둘에게 아직까지도 그것은 절대로 필요한 것이 아닌 사치품에 속했다.
하지만 trickledown 현상이라고나 할까 결국은 caveman처럼 살려고 하던 우리에게 ‘공짜’ big screen TV가 흘러 왔다. 두 딸들이 쓰던 것, 새것을 산다면서 우리보고 가지라는 것.. 크기를 보니 사실 요새 기준으로는 큰 것이 아니지만 우리 집같이 traditional house에는 정말 적당한 size가 아닌가? 하나는 40″, 다른 것은 42″ 정도.. 40″는 kitchen area에 맞고 42″는 아마도 bedroom에 맞을 듯하다. 한가지 연구해야 할 것은 이것들은 1st generation TV로 한마디로 smart TV가 아니다. 그러니까 Internet streaming이 자동적으로 되지를 않는다. 하지만 Roku 나 ChromeCast를 쓰면 간단히 해결 될 듯하다. 이렇게 해서 우리 집도 HDMI digital TV 시대의 막이 올랐다.
¶ First Taste of Summer: 사나흘 전부터 갑자기 치솟은 기온으로 오늘은 올해 들어서 처음으로 a/c (air conditioner)의 잔잔한 소음을 듣는 날이 되었다. 5월의 ‘어느 날’에 이런 잔잔한 소리를 처음으로 듣게 되는가, 매년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는데 평균적으로 Mother’s Day의 전후가 됨이 흥미롭다. 이것은 그러니까 이곳 아틀란타 Atlanta지역 기후의 특성일 것이다.
오늘은 올 들어 처음으로 90도가 넘는 날이 되었다. 아마 섭씨로 31~32도 정도가 되지 않을까? 물론 이것은 평균기온을 ‘훨씬’ 넘는 것이다. 이때쯤의 평균 최고기온은 80도(섭씨 24도) 를 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무리 더워도 진짜 한 여름의 느낌과는 조금 다른 것인데 그 이유는 습도가 그렇게 높지 않고 해가 지면서 기온은 비교적 빠르게 내려가기 때문이다. 이런 5월 초의 의식 儀式 May Ritual을 치르면서 다가올 3~4개월간의 여름과 그 이후 낙엽이 쌓일 가을의 이곳 Saybrook Court의 주변과 우리들의 모습을 상상하는 것도 재미있지 않은가?
¶ A/C Checkups 2018: 내가 제일 싫어하는 job중에 하나가 우리 집의 ‘고물, 고철’, 여름의 필수품인 에어컨의 condition을 checkup하는 것이다. 한마디로 말하면 ‘이것이 과연 켜질까..’ 하는 것이다. 이 a/c system을 하나의 기계로써 만지는 것은 나에게는 재미있는 소일 거리가 될 수도 있지만 문제는 만약에 내가 못 고치는 사태가 발생하면 어떨까.. 하는 것이다. 아마도 ‘고치는’ 것 보다는 ‘바꾸는’ 것이 현명하기에 $$$이 억수로 들어갈 것이기 때문이다.
완전히 ‘죽기’ 전에는 그냥 쓰기로 했지만 만약에 그 때가 오면 새것으로 바꾸게 될 것인데 물론 $$$은 들지만 energy-efficient한 요새의 system은 사실 장점이 많이 있음도 안다. 내가 손을 볼 수 있는 것은 현재 다한 것 같기에 이제는 ‘심판’만 기다리고 있다. 현재의 상태는 cautiously optimistic한 것인데 곧 그 결과는 알게 될 것이다.
PreSummer ritual
¶ 남자가 만드는 라면: 많은 사람들이 동감하는 것 중에 ‘라면은 남자가 더 맛있게 만든다’, 라는 말이다. 나도 물론 동감이다. 왜 그런지는 의견이 분분하다. 남자들이 배 고프면 만들 수 있는 것이 바로 이것 밖에 없기에 결사적으로 노력을 해서 만든다는 것이 나의 해석이지만 자신은 없다. 여자들은 요리를 원래부터 자신이 있기에 라면 같은 것은 관심이 없고 노력도 안 하는 것은 아닐지.
나는 다른 라면은 모르지만 ‘너구리 라면‘은 확실하게 내가 더 맛있게 끓인다. 이것은 연숙도 인정하는 것이고, 그녀가 끓인 너구리 라면은 사실 내 것과 확연히 다르다. 이것과 더불어 얼마 전에 Youtube 에서 ‘너구리 라면’에 대한 video를 본 적이 있는데, 역시 왜 그 라면이 그 오랜 세월 동안 변함없는 맛으로 인기를 끌었는지 이해를 하게 되었다. 그 회사의 많은 연구, 노력의 결과였음은 말할 나위 없었다.
이 너구리 라면을 끓일 때 내가 신경을 쓰는 것 중에는: 물의 양과 온도, 그리고 불을 끈 후에 얼마 후에 먹는가 하는 것이다. 그것에서 맛의 차이가 나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연숙이 외식하러 나갔기에 오랜만에 너구리 라면을 끓였는데 이번에는 spam, mushroom을 잔뜩 넣고 끓여보았다. 그러니까 ‘spammed & mushroomed Neoguri ramen’ 인데 배가 고파서 그랬는지 기가 막히게 맛이 있었다.
¶ HP Elite 8000: 며칠 전에 order했던 hp desktop pc, 2012년 vintage Elite 8000 가 오늘 집에 배달이 되었다. 현재 내가 수집하고 쓰고 있는 hp desktop pc가 3대나 있는데 하나를 추가한 것이다. 수십 년 동안 직접 조립한 pc를 쓰다가 근래에 들어서 이렇게 ‘old’ business model desktop pc를 사들이는 것, 이제는 하나의 취미로 변하고 있는데, 인생의 황혼기에 들어서 웬 이런 괴상한 수집을 하는지 나도 나에게 묻고 있다.
거의 모든 personal computing 이 smartphone으로 옮아가고 있지만 그것이 desktop pc를 대체할 수는 없다. 특히 많은 시간을 ‘편안하고 널찍한’ desk 에서 보내고 있는 나 같은 사람에게는 더욱 그렇다. 조립해서 쓰던 나 자신 brand의 desktop pc에 제동이 걸린 것은 Microsoft 의 ‘activation tax’ 때문에 시작이 되었다. Windows XP 시대에는 그런 것이 없어서 ‘마음대로’ copy 해서 쓰는 진정한 자유를 만끽했지만 Windows Vista가 나오면서 그것을 사야 되는 한마디로 unthinkable 한 사태가 발생, 과연 이것을 돈을 주고 살만한 가치가 있는가 고민하게 되었다.
물론 ‘free & open‘ Linux 를 쓰면 되겠지만 그것과 Windows 는 너무나 다르기에 문제가 있다. 우선 ‘걸리는 것’이 Linux 에는 Microsoft Office나 Adobe Photoshop같은 것에 문제가 있기에, 바람직한 것은 두 system을 다 쓰면 좋은 것이다. 내가 죽을 때까지 고수하는 것 중에는: Blood-sucking Apple system은 절대로 안 쓰는 것, Microsoft Windows같은 Operating system software 는 절대로 ‘안 사는 것’ 이 있다. Apple system (Mac, Iphone같은 것들)을 안 사는 것은 나의 경제력으로는 그림의 떡이니 문제가 없는데, Windows 가 문제였다. 이것은 실제로 매일 매일 써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해결책이 우연히 생겼다. Windows software copy를 안 사고 아예 Windows PC를 사면 되다는 아주 간단한 방법.. 왜 이런 생각이 그 동안 안 들었을까? 그러면 어떤 pc box를 살 것인가? 결론부터 말하면 이것이다. 5~8년 정도 지난 ‘business class, refurbished or used hp pc’ 가 바로 정답이었다. 그 정도 pc 의 horsepower 면 현재 우리의 computing need를 완전히 만족시키고도 남는다. 물론 hard disk나 RAM 같은 것은 내가 junk box를 뒤져서 upgrade하면 된다. 100% genuine, legal Windows 7 or 10 system이 있으니 거의 모든 desktop software를 문제없이 쓸 수가 있다. 이것이 바로 정답중의 정답이었다.
Spring at Saybrook Court
¶ Spring finally comes: 유난히도 추웠고 (아직도 싸늘한) 길게 느껴졌던 겨울이 공식적으로 끝이 났고 봄이 시작되는 ‘춘분’이 3월 20일1이었다.
봄의 시작이라고 특별한 것은 없었지만 이때 내가 할 일이 하나 있다. 나의 blog site의 header art picture를 ‘봄’의 그것으로 바꾸는 일이다. 이 site는 이런 식으로 일년에 네 번을 바꾸는데, 사실 조금 귀찮기도 하지만 그래도 이것으로 세월의 흐름이 그렇게 ugly 하지 않다는 느낌을 주고 받고 싶은 것이다. 이렇게 ‘거저 받은 아름다운 자연의 모습’들 이런 때 다시 한번 행복한 마음으로 새기는 것, 그것에 어떤 의미가 있다는 사실을 일깨워 받고 싶은 것이다.
이 header art에 담긴 ‘봄의 모습’은 우리가 사는 집, cul-du-sac 에 있는 neighbor house들 초봄의 모습과, 비가 내린 후 blacktop에 물빛이 반사되어 흡사 커다란 ‘연못’을 연상시키는 그런 것이 잘 어울려서 나에게는 익숙한 것이다. 이런 모습으로 여름이 시작되는 하지까지 봄은 무르익어갈 것이다.
¶ Kafkaesque March day: 지나간 화요일 주회합에는 일년 만에 꾸리아 순방이 있었다. 이날 꾸리아 간부들의 방문을 맞으며 일년 전 같은 때를 기억하는 고통을 겪었다. 그 당시 blog post를 기억하면서 Kafka를 연상시키는 ‘해괴한 사건’2을 다시 생각을 안 할 수가 없다. 나에게는 ‘3월의 악몽’ 으로 뇌세포에 단단히 자리를 잡은 이 해괴한 사건, 그 사건의 장본인은 작년 8월의 ‘레지오 미친년 사건’과 더불어 ‘2명의 레지오 미친년들’ 로 내 개인 역사에 당당히 남게 되었다.
꾸리아의 위상을 완전히 진흙탕 속으로 떨어뜨린 그 사건의 여파로 나는 심각하게 레지오를 포기할 생각을 했었고 결과적으로 레지오 아치에스 acies 행사까지 포기하는 실수도 범했다. 지금은 조금 감정적이었던 그 당시를 후회하기도 하지만 그 ‘장본인 왕마귀’는 ‘절대로 절대로 절대로’ 용서할 수 없다는 것은 절대로 변함이 없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다. 누구건 간에 레지오를 분열시키거나 떠나게 만드는 것은 ‘성모님 정신을 거역하는 심각한 죄’ 라는 것을 나는 굳게 믿는다.
이런 사건들의 원인을 쉽게 찾을 수는 없겠지만 분명한 것은 ‘단원 교육’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현재까지 우리 레지오는 모두를 저질단원으로 만들고 있었던 것이다. 이런 악몽을 떠올리며 이날 다시 맞은 꾸리아 간부들, 특별한 문제없이 방문은 끝났고, 나는 속으로 안도의 한숨을 쉴 수 있었다. 사실 이번에 작년 같은 사태가 재발하게 되면 즉시 video로 기록을 남겨 Youtube로 공개할 것을 밝힌 후, ‘폭력으로 쫓아낼 각오‘까지 다질 정도로 나는 ‘아직도’ 감정이 격해 있었다. 이제는 이런 일들, 나에게 조그마한 피해망상증 paranoia 이 생겼는지, 정말 싫고 피하고 싶은 일들이 되었고 나를 조금씩 성모님의 군대로부터 멀어지게 하고 있음도 느낀다.
¶ 목요회 친구들: 6개월이나 된 ‘장구한’ 역사를 가진 우리 목요회 모임이 이번 달에는 마지막 목요일이 아니고 세 번째 목요일에 모였다. 마지막 목요일인 ‘성 목요일’에 떨어졌기 때문에 한 주를 앞당긴 것이다. 원래의 계획은 조금 늦은 시간이지만 우리 집에서 모이기로 했지만 마지막 순간에 도밍고 형제가 난색을 표명해서 예전 대로 밖 (식당)에서 모였다. 몇 개월 전에 밤에 차 사고를 당했던 경험 때문인지 깜깜한 늦은 저녁시간에 마리에타로 drive하는 것이 불편했을지도 모른다. 우리 집에는 거의 20년 전에 온 적이 있겠지만 아무리 요새의 technology, GPS와 Google Map이 있어도 밤에 이곳의 불규칙적인 residential area를 drive하는 것은 아무래도 불편했을 것이다.
칠십의 나이는 확실히 ‘밤중의 운전’을 불편하게 한다는 것을 서서히 실감한다. 나만의 느낌이 아니고 주위의 동년배들도 거의 같은 의견이다. 그래서 점점 mobility는 떨어지게 되지만 대신 virtual mobility (Internet)는 점점 발달할 것이므로 예전의 ‘노인’들이 겪던 ‘소외감’의 문제는 그렇게 크지 않을 것 같다. 우리 집에서 모였으면 spaghetti 와 wine으로 배와 기분을 채우려고 했고, 아오스딩 형제에게는 (60/70 style) guitar 101 정도를 보여 주려고 했지만, 아마도 6월 달 정도에나 우리 집에서 모이기로 하고 밤 늦은 저녁식사 모임을 끝냈다.
¶ 싸늘한 2월의 마지막 날: 28일이 되었고, 결국은 2018년 2월도 서서히 저물어간다. 을씨년스럽게 싸늘한 가랑비가 하루 종일 오락가락 하던 날, 지난 며칠 동안은 이른 봄의 기분을 한껏 느끼게 해 주더니 ‘아직 진정한 봄이 온 것이 아니다, 조금만 더 기다려..’ 라고 mother nature 는 일깨워 준다. 그래도, 그 동안 ‘갑자기’ 주위가 봄소식을 알리는 각종 식물들의 색깔로 채워져 가고 있었는데, 얼어 붓는 추위가 없는 한 그것들은 우리 둘에게 즐거운 화제가 될 것이고, 우리의 눈과 마음을 즐겁게 할 것이다.
얼마 전 이마위로 ‘재의 십자가’가 그어졌던 Ash Wednesday가 어느새 2주 전으로 멀어지고 있는가? 왜 이렇게 시간은 빠르게 흐르고 있는가? 지나간 2주 간의 사순절은 나에게 어떤 시간들이었는가? 새로 태어나는 삶을 향한 어렵고 고통스러워야 할 ‘광야의 40일’ 간의 시간을 나는 과연 올바르게 보내고 있는가? 나의 daily journal을 살펴보면 별로 큰 변화가 없는 비교적 ‘편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는 듯… 싫다, 그런 나날들.. 하루하루 새로운 하루를 보내고 싶다.
¶ Cramming… 오래 전 학교에 다닐 때 심심치 않게 겪었던 습관들, 그야말로 ‘당일치기’ 비슷한 것.. 학교를 떠나며 이런 괴로운 ‘시험 보는 것과 당일치기’ 가 없어지는 줄로 알고 쾌재를 불렀지만.. 인생은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학교시험과 비슷한 인생시험의 연속, 그곳에도 당일치기가 수없이 많았다. 당일치기 cramming을 즐기는 사람도 있다고 하지만 동시에 괴로운 것이다.
요사이 나는 잊고 살던 ‘당일치기’를 하고 있다. 2월 초에 우연히 찾아간 Coursera, 그곳에 나의 ‘우울한 마음’을 달래줄 수 있는 ‘피난처’를 찾았고 곧 ‘공부’가 시작 되었지만… 역시 제대로 매일의 study schedule을 따르지 않았기에 밀리기 시작하고, 오랜 만에 당일치기의 고통을 겪고 있는 것이다.
A Stanford online course, ‘Understanding Einstein: The Special Theory of Relativity‘ 였다. 두 달 정도 (8주) 계속되는 ‘미적분 이상의 수학이 필요 없는 특수 상대성 이론’, 목표는 다음과 같다.
Our goal will be to go behind the myth-making and beyond the popularized presentations of relativity in order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both Einstein the person and the concepts, predictions, and strange paradoxes of his theory.
고등학교 수준의 수학 [미적분 이전의]이 필요한 이 course, 처음으로 특수상대성이론의 ‘배경, 구조, 그리고 의미’를 파악하게 되었다. 일 평생 거의 ‘만화, 상상과학 수준’ 정도의 매력에 빠지곤 했지만 (4차원의 신비), 이번에 그것의 ‘실체’를 접하게 된 것이다. 몇 년 전 Harvard online course에서는 수학을 거의 쓰지 않았기에 편하기는 했지만 사실 특수 상대성 이론의 ‘실체’와는 거리가 있는 것이었다. Stanford대학의 top-class Instructor Dr. Lagerstrom, 지나친 전문학술용어를 최대한 간결하게 사용하며, ‘피부의 감각으로 느낄 수 있는 이론’으로 서서히 우리를 인도하는데.. 이것이야 말로 진정한 ‘어려운’ 과학이론을 가르치는 모범 case가 아닐까 나는 계속 놀라며 박수를 친다.
이 course를 통해서 내가 얻으려는 것은, 요사이 절제 없이 좁아진 인간관계를 보는 관점으로부터 벗어나, 내가 보고 느낄 수 있는 것이 이 세상의 전부가 아닌 것이라는 ‘실체적 진리’, 바로 그것이다.
¶ 레지오 간부교육: 지난 주말에 도라빌 순교자 성당, KMCC 꾸리아 주관 레지오 간부교육이 있었다. 내가 레지오 간부[서기]가 된 것이 2012년 정도였으니 이제는 꽤 익숙한 경험이다. 모든 신심단체는 그런대로 열심히 살아보겠다는 사람들로 특정한 신심 조직에 대해서 끊임없이 배워야 하는 것은 기본일 것이지만, 실제로 그런가? 물론 그것은 거의 이상에 불과하다.
그 동안 간부를 맡으며 지내온 동안 계속 느끼는 것은 나도 정말 부족하지만 어떻게 저런 자세로 단원 선서를 했을까.. 하는 놀라움이다. (성모님께 바치는) 선서란 것이 그렇게 형식적이었던 것일까? 실제로 하는 활동의 양도 중요하지만 단원으로써의 자세는 더욱 중요한데.. 암만 레지오 조직의 rule에 대해서 열을 올리며 토의를 해도, 왜 우리가 이런 것을 하고 있는지는 거의 잊고 사는 듯 하다.
레지오 간부교육 전 기도와 미사봉헌
기도와 활동이 균형적으로 적절히 강조되는 것에 대해서 레지오 간부들 조차 ‘해괴한 발언’을 서슴지 않는다. 왜 (묵주)기도하는 것을 발표를 하느냐.. (뛰는)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다 못해서 아예 레지오 교본을 완전히 잊고 열을 올리니.. 그런 사람들은 아마도 사회봉사단체인 ‘한인봉사센터’에 가지 왜 레지오에 들어와 고생을 하는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우리의 미국 본당 Holy Family Catholic Church의 주임신부 Fr. Miguel이 제일 강조하는 것이 바로: 기도하지 않는 봉사활동의 허구성인데 바로 이런 꼴을 이곳에서 목격을 하니.. 이런 교본적인 것에 대한 교육이 거의 없는 곳, 이제는 거의 “무명무실 무감한 님‘의 노래 가사가 떠오르게 되었다.
¶ Cursing! 마귀 성토 聲討: 아녜스 자매님 부부와 오랜 만에 저녁 식사를 하게 되었다. 한때 자주 보며 지냈던 이 부부, 이즈음 들어서 자주 못 보았기에 아주 반가운 모임이 되었다. 아녜스 자매님은 레지오를 통해서도 알았지만 형제님은 몇 년 전 내가 교리반 staff으로 있을 때 교리 공부하고 세례를 받았던 인연이 있었다. 하지만 자매님이 레지오를 떠나면서 만날 기회가 많지 않았는데 근래에 어떤 ‘성당 마귀’에게 잘못 걸려 지독히 고생한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동병상련 同病相憐’ 의 심정으로 이날 ‘마귀성토’를 속 시원히 하게 되었다.
예전에 우리 눈에 별로 안 띄던 ‘진짜 여자 마귀’들의 존재를 실제로 ‘당하고, 보고, 듣고’ 하면서… 이 세상은 역시 ‘불완전한, 악이 상존하는’ 그런 곳임을 절감하게 된다. 우리가 겪었던 ‘레지오 미친년 마귀’나 이 자매님이 겪었던 다른 ‘마귀’나 근본적으로 같은 부류의 불쌍한 인간들임을 실감할 때, 분노 이전에 슬픈 심정을 금할 수 없다. 이 두 case모두 진정한 용서는 out of question이다. 하지만 형식적, 휴전적인 용서는 불가능하지는 않겠지만 한마디로 그것은 tall order…. 힘들겠지만 그저 잊고 사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다.
¶ 등대회, Computer/Tech Talks: 매달 마지막 주일에 모이는 60+대 성당친교단체 등대회, 이곳에 참석한 것이 이제 몇 달째가 되어가나.. 지난 해 9월 무렵에 가입을 했지만 아직도 나는 ‘신입’에 속하는 느낌을 금할 수가 없다. Regular 들(자주 참석하는) 대부분은 이제야 조금 익숙해진 듯하지만 ‘안 보이는’ 사람들은 내가 알 길이 없다. 이 모임의 성격은 알듯 하기도 하고 확실치 않을 때도 없지 않다. 100% 친교? 그러면 교회 밖의 모임과는 무엇이 다른가? 설립목적, 아니면 mission statement같은 것을 본 적이 없지만 보통의 생각으로도 몇 가지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사명과 목적’은 있을 것인데.. 그 중에 ‘간단한 봉사’ 같은 것도 있음직도 해서 어렵사리 제안을 했지만 ‘그런 것 이곳에서는 안 맞는다’ 라는 여론이다.
그러면 다음은 무엇인가? 성당 공동체 다음으로 모든 회원들에게 골고루 혜택이 갈 수 있는 것이 있다면… 서로 알고 있는 지식을 나누자는 idea는 새로운 것이 아니지만, 무엇을 할 지는 문제일 것이다. 예전에 보험, 의학 정보 presentation 같은 것이 있었다고 해서 그렇게 ‘배우는 program’ 을 계속하자는 idea가 나왔고 스테파노 형제가 일반적인 computer technology 에 대한 것을 나에게 제안을 해서… 큰 생각 없이 ok 를 했는데.. 나중에 생각하니 이것도 생각만큼 간단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Computer technology라면 덩치가 너무나 큰 것이라 접근하기에 따라 무척 복잡한 것 아닌가? 한 달이라는 시간은 있지만 아무래도 다음 달 말이면 ‘성주간’인데… 약간 신경이 쓰이기 시작하는데… 그래도.. ‘해 보자!’, Don’t think twice, it’s alright!
¶ Home Wi-Fi Infra Upgrade, Finally!
TP-Link AC1200 Wireless Wi-Fi Access Point – Supports 802.3AF PoE, Dual Band, 802.11AC, Ceiling Mount, 2×2 MIMO Technology (EAP225)

1200Mbps Wireless USB Wifi Adapter, FayTun USB Wifi Adapter,
AC1200 Dual Band 2.4GHz/300Mbps+5GHz/867Mbps,
802.11 ac/a/b/g/n High Gain Antenna
Wi-Fi, 아마도 이 말은 반세기전 home audio system의 표준이었던 HiFi (High Fidelity) audio 에서 유래되었을 듯 하다. 이제 이 말은 wireless Ethernet standard로서 ‘wired Ethernet’ 의 extension을 뜻하게 되었다. 처음 device들이 나왔을 때는 사실 거의 실용 불가능에 가까운, 느리고 연결이 끊어지곤 하던 것이었다.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임시’로나 쓸 수 있을 정도였다.
벽 속으로 Ethernet wire (CAT5,6 cabling)를 설치하는 것, 아마도 보통 사람들에게는 괴로운 작업일 것이지만 우리 집은 1990년대 말에 이미 coax cabling (before CAT5 cabling standard)을 설치해서 쓰고 있었고 나중에는 모두 CAT5/6 로 바꾸었다. 그러니까 3000 sf (square feet)크기의 우리 집은 아래 위층에 있는 desktop computer들이 모두 network이 되었던 셈이고 Wi-Fi infra의 필요성이 거의 없었다.
그 이후에 Wi-Fi device들이 필요한 때가 도래했다. 바로 mobile device (laptop, mobile, Smartphone같은)들이 등장하면서부터였다. 그래서 할 수 없이 1st generation Wi-Fi (access point, router)를 설치해서 간간히 쓰고 있었는데… 문제는 mobile device들이 network speed가 점점 빨라지면서 (특히 요새 나오는 Smartphone들) 우리 집의 Wi-Fi system이 따라가지를 못했던 것, 당연한 결과였다. 이제는 Smartphone에서 streaming video가 거의 필수가 되었지 않은가?
우리는 집에서 smartphone으로 video를 안 보기에 몰랐는데… 큰딸 새로니가 가끔 집에 놀러 오면 불평이 대단했다. 자기의 iPhone에서 Internet video를 볼 수가 없다는 것… 그래서 생각해 보니 우리 집에서 마지막으로 Wi-Fi router를 설치한 것이 아마도 거의 7~8년에 가까운 것이 아닌가? 예전의 Wi-Fi system, 느리고 문제가 많았기에 거들떠도 안 보았는데…
할 수 없이 요새의 system을 찾고 샀고 설치를 했고… 결과는… shocked! 완전히 놀람의 연속이었다. 그 동안 wireless technology는 경이적인 발전.. 특히 MIMO (multiple antenna) technology의 효과는 놀랄 정도.. 우리 집의 모든 mobile device들 완벽하게 network에 연결되고 안정되고 표시된 최대의 speed, 게다가 device들의 값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reasonable 했다. 그 중에서 내가 제일 놀란 것은 우리 wired network (file server, Internet access) 에 연결된 내가 매일 쓰고 있는 workhorse desktop pc (Windows 10 box)가 이제는 100% Wi-Fi로 쓰고 있는데, ‘한번도’ hiccup 조차 한 적이 없다는 사실.. 놀라고 놀라고 있다.
¶ 마리에타 사랑반 모임: 지난 17일 봄처럼 푸근한 토요일에 모처럼 (도라빌 순교자 성당) 사랑반 구역모임엘 갔다. 이번에는 도미나 구역장님 댁에서 모였는데, 무엇인가 나로써는 새로운 느낌이 들었다. 이유는 이 댁을 처음 가보는 것이기도 했지만 사실은 이렇게 가정집에서 모이는 구역모임에 마지막으로 가본 것이 몇 년 전이었기 때문이다. 안 나간 이유는 물론 ‘내 탓이요.. 내 탓이요’ 지만 그저 게으름 때문만은 절대로 아니었다.
확실한 이유를 가지고 ‘일부러’ 안 나간 것인데 이제는 그 이유들이 없어지거나 ‘타협’이 되어서 다시 한번 ‘세월과 성모님의 도우심’을 떠올린다. 어떨 때는 ‘그저 기다리면’ 된다는 세월과 시간의 은총이 분명히 있다. 나에게는 비교적 젊은 형제, 자매님들과 어울리는 것, 비록 내가 제일 연장자의 위치로 밀려 오르긴 했지만, 약간의 술 기운과 더불어 기분이 나쁘지 않았다. 완전한 OB (old boy)의 위치에서 말 조심을 하려고 애를 쓰지만, 그저 common sense만 지키면 큰 문제가 없으리라..
¶ 고 마태오 신부님: 일요일에 오랜만에 성당 도서실에 들렸다. 빌렸던 고 마태오 신부님의 ‘이세상의 이방인‘을 반환하고 다른 책들을 둘러 보았다. 이곳의 진열된 책은 거의 random하게 배치가 되어 있어서 조직적으로 특정한 책을 고를 길이 없다. 그저 random browsing 을 하다가 ‘재수가 좋으면’ 원하는 것을 찾는 정도다.
그 동안 고 마태오 신부님의 책을 3권이나 다 보았기에 혹시 그 이후에 나온 고 신부님의 책이 과연 있을까 하며 어떤 책을 훑어 보다가 그 책의 ‘추천사’ 끝의 이름이 ‘이경우‘라는 글자가 보였다. 그것도 놀랄 지경인데 그 이름의 끝에는 ‘신부’라고 되어 있었다. 난생 처음으로 ‘이경우’란 신부님도 있다는 것을 알았다. 옛날 옛적에는 ‘이경우 농구선수’가 있었고 재동학교 시절, 나보다 5년 아래의 ‘이경우’란 여자 학생도 있었다. 그러니까 이 이름이 그렇게 희귀한 것이 아닌 것이다.
그 책의 바로 옆을 가만히 보니… 이것도 우연일까.. ‘영원의 방랑객, 고 마태오 지음‘이란 글자가 있는 책이 보이는 것이 아닌가? 바로 내가 읽었던 3권의 책 후에 나온 것이고 캐나다로 오신 후에 그곳에서의 이야기기 실린 바로 그 책이었다. 이번에는 기다리지 않고 이곳, 저곳을 난독하며 전체의 줄거리를 짐작하게 되었다. ‘쟌느 수녀, 숙과의 재회‘ 같은 것이 있었는데, 고 신부님과 여성들과의 인연들을 보며 부러운 질투 같은 생각을 떨칠 수가 없었다. 이 책은 깨알 같은 글자로 거의 500페이지가 되어서 완독(필사 포함)을 하려면 아마도 수개월은 필요할 듯하다.
¶ Pay-as-you-go: 내가 쓰는 mobile phone의 plan에 큰 변화가 있었다. 우리 집 모두가 T-mobile의 family plan을 쓴 지가 몇 년째인가.. 그러다가 얼마 전에 새로니가 iPhone을 등산을 하다가 잃어 버린 후에 새로운 plan을 찾게 되었다. 그러다가 발견한 사실이… 예상은 하고 있었지만, 지금 우리 family plan이 너무나 비싸다는 사실. 문제는 바로 나였다. 내가 너무나 ‘조금 쓴다는’ 사실이고 억울하다는 것이다. 한 달에 30분도 못 쓴다는 사실이 나는 하나도 이상할 것이 없지만 그것이 아닌 모양이다.
나는 주로 가끔 전화를 받는 것 이외에는 이것을 쓸 이유가 없었다. 집 landline 이 Internet voip으로 바뀌고 나서 사실 전화비용은 거의 zero에 가까운데 유독 나만, 거의 쓰지도 않는 데에 $30 이상을 쓴다는 것은 낭비였다. 궁리를 한 끝에 나만 따로 새 plan으로 바꾸었는데 그것이 바로 pay-as-you-go 였고 알고 보니 나 같은 사람을 위한 안성맞춤 plan이었다. 한 달에 $3/30 분, 물론 mobile data는 없다.
Call Minute는 그런대로 문제가 없는데, No Mobile Data는 조금 신경이 쓰이는데… Wifi 가 없는 곳에서 Internet이 안 될 것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gmail, map, streaming media같은 것들인데… 알고 보면 이것도 큰 문제가 되지 않을 듯 하다. 내가 언제 애들처럼 ‘밖에 나가서’ 그런 Internet service가 필요한 것인가? 정 필요하면 Wifi가 있는 hotspot을 찾으면 될 것이다. 이런 저런 사연으로 한 달에 $30이상 save가 될 것을 예상해서 한 달에 한번 ‘외식’을 한번 더 할까 하는 생각을 하며 웃었다.
¶ Tuesday’s Flower: 지난 해 ‘레지오 미친년 사건’ 이후 계속 느끼는 ‘Tuesday stress’, 시간이 갈수록 희미해지고 있다. 하지만 아주 없어진 것은 아니다. 그 정도로 나의 ‘야수처럼 이글거리는 분노’는 꺼지지 않은 모양이다. 그래서 레지오 주회합에서 우리를 지켜보시는 성모님의 모습이 더욱 어머니처럼 느껴진다. 이분만은 우리를 지켜주시리라는 염원, 이날 주회합의 성모님 옆에는 우리 집에 봄소식을 전해준 수선화를 꽂아 놓았다. 봄소식과 함께 우리를 더욱 인자로 히 지켜 주시라는 간절한 전구를 잊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