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rkegaard to the rescue..

예기치 않은 작은 일 하나로 어제 오후의 기분은 평상적인 평화로운 화요일의 그것과 다른 것이었다. 오랜 만에 마음의 평정이 공략을 받는 듯한 위기감까지 느낀 고요한 화요일 오후, 오랜 만에 openculture website를 들렸다. 이곳이 언제부터 나의 favorite site list에 있었는지 기억은 안 나지만 최소한 3년 이상은 되었을 것이다. 이곳은 주로 ‘인류 문화적 유산’에 큰 가치를 두고 그 가치를 유지 발전 보급하기 위해서 노력하는데 그 일환으로 무료나 저렴한 비용으로 online course를 제공하는 information을 싣곤 한다. 이곳의 소개로 내가 ‘들었던’ course도 이제는 몇 개가 된다.

오늘 쳐지는 기분 속에 나의 눈에 들어온 글자가 바로 Kierkegaard란 이름이었다. 한글로는 ‘키에르케고르’ 로 번역되는 이 19세기 덴마크의 국보급 철학자에 관한 course가 그곳에 소개되고 있었다. 게다가 course가 어제인 6월 4일에 시작이 되니, 알맞은 timing이 아닌가?

8주간 계속되는 이 course는 19세기 덴마크 실존주의 신학, 철학자인 키에르케고르의 성장 배경과 그의 주 관심인 그리스도교적 실존철학, 주관론, 소크라테스의 Irony개념, 그리고 급변하는 세상에서 느끼는 ‘절망감’ 같은 것들을 공부한다.

 

문제는 왜 내가 이 course에 관심이 가는가 하는 것이다. 오래 전부터 보아온 이름 ‘키에르케고르’, 그는 과연 누구인가, 왜 많은 ‘생각하며 사는 사람들’이 이 사람에 관심을 두는가.. 알고 싶다. 피상적으로 이 철학자의 profile을 보면, 우선 그의 철학은 완전히 그리스도교에 바탕을 두고 있다. 바로 이것이다. 내가 알고 싶은 것이 바로 이런 것이다. 특히 ‘죽음에 이르는 병, The Sickness Unto Death‘이라는 후기작의 제목은 바로 ‘요한복음 11장 4절1‘ 에서 나온 것을 알고 나서 나는 이번 여름 8주를 coursera 제공, ‘open & free2‘ course를 통해서 이 덴마크 신학철학자에 대해 알아 보기로 결심했다.  

이런 과정에서 기억 속을 헤치고 나온 것이 하나 있다. 1984년 신동아 잡지의 별책 부록, ‘역사를 움직인 100권의 철학책’이란 것, 분명히 ‘키에르케고르’는 그 곳에 소개 되고 있었다. 특히 위에 소개한 ‘죽음에 이르는 병’에 관한 저자의 소개가 그곳에 있었다. 그것을 이곳에 전재를 하여 기억력을 살린다.

이러다 보니.. 온종일 쳐지고 우울한 머리가 한결 가벼워짐을 느끼며,  한결 살맛이 난다. 이래서, 우울할 때 그대로 쳐지고 있으면 하나도 해결되는 것이 없다는 나의 경험철학을 다시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키에르케고르(덴마크 Søren Aabye Kierkegaard 1813~1855)

죽음에 이르는 病 (1849)

 

표재명 表在明 (고려대 문과대학교수 서양철학)

역사를 움직인 100권의 철학책3

 

 

<1>

‘쇠얀 키에르케고르’는 1813년 5월 5일 북 유럽의 작은 나라 덴마크의 수도 코펜하겐에서 부유하고 경건한 모직상의 7남매의 막내로 태어났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부친에게서 풍부한 상상력과 날카로운 변증력을 훈련 받았고 깊은 시름을 물려 받았다. 코펜하겐대학에서 신학과 철학을 배우고 부친의 뜻에 따라 신학 국가시험에 합격, 왕립전도학교에서 목사가 되기 위한 교육을 받았다. 한편, ‘소크라테스’를 언제나 염두에 두고 쓴 ‘아이러니의 개념’으로 철학 학위를 받았다. 한때 베를린대학에 가서 ‘헤겔’의 뒤를 이은 만년의 ‘셸링’의 강의를 듣기도 했다.

1838~39년에 그는 부친의 소년시절에 관련된 비밀을 알게 되어 ‘큰 지진’을 체험하고 죄의식에 눈을 떴다. 이 때문에 사랑하는 여인 ‘레기네 올센’과의 결혼도 포기하고 죽을 때까지 독신으로 지냈다.

1846년 진보적 민주주의를 표방하는 악덕 풍자신문 ‘코르사르'(해적)와 충돌하면서 그는 사회와 대중이란 것을 알게 되었고, 종교적 저작가로서의 사명에 살 것을 결심했다. 1854년부터는 팜플렛으로 된 ‘순간’으로 덴마크국교회와의 싸움에 나서 순교자의 길을 택했는데, 1855년 가을에 길에서 쓰러져 병원에 옮겨졌으나 다시 일어나지 못하고 11월 11일 42세의 한창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사람들은 그를 가리켜 현대실존사상의 선구적 사상가 철학자라고 한다. 그러나 그 자신은 ‘종교적 저작가’ 또는 ‘그리스도교적 저작가’로 자처했다. 그의 저작활동의 목적은 ‘사람은 어떻게 그리스도인이 되는가’라는 것을 기술하는 것이며, 낱낱의 사람으로 하여금 그가 있는 곳에서 그 자신의 책임으로 이 문제와 씨름하도록 하려는 것이었다.

이것은 각 사람에게 ‘단독자 單獨者’의 범주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하는 것이었다. 단독자의 범주는 그의 모든 저작활동이 그것을 축으로 전개된 그의 모든 저작활동이 그것을 축으로 전개된 근본 이념이며, 그리스도교의 결정적 범주였다. 그에게 있어 단독자는 하느님 앞에서 자기 자신에게 무한한 관심을 가지는 믿음으로 홀로 서는 한 사람의 그리스도인을 뜻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민 모두가 나면서부터 그리스도인인 그리스도교 국가에서 ‘한 사람의 그리스도인’이 되는 일에 이토록 힘을 써야 하는 것은 무슨 까닭일까? 이 물음의 뜻은 ‘그리스도교 세계는 터무니없는 착각이다’, ‘그리스도교 세계는 저도 모르게 그리스도교를 말살시켜 버렸다’는 그의 놀라운 단언에서 밝혀진다.

그가 볼 때 당시의 그리스도교 세계는 ‘데카르트’ 이래의 근대적 합리주의사상이라든가 낭만주의 사상, 특히 그리스도교와 국가를 합리화하고 종교와 국가를 융합시킨 헤겔철학의 영향 아래 그리스도교 본래의 신앙을 잃어버리고 있었다. 사람들이 그리스도교로 생각하고 있는 것은 이미 신앙이 아니라 한갓된 교리와 사상으로 변질된 겉치레만의 것이었다. 그리하여 “신약성서’의 그리스도교, 사도 使徒 들의 그리스도교와는 아무 상관도 없는 것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리스도인이라는 것은 신앙으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세속적 행복을 좇아 ‘미적인 것’의 범주에서 사는 것이며 따라서 그리스도인으로 행세하는 것은 터무니없는 착각이요 기만이었다. 여기에 ‘그리스도교 세계에 그리스도교를 이끌어 들이는 일’을 위한 그의 저작활동의 의의와 저작가로서의 사명이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또한 그의 정치-사회적 인식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가 자기의 사명을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던 1848년에 ‘마르크스’는 <공산당선언>을 냈고 파리혁명을 기폭제로 유럽 전역에서는 혁명의 폭풍이 회오리치고 있었다. 덴마크에도 혁명의 여파가 밀려와 절대군주제가 폐지되고 입헌군주제로 바뀌면서 시민의 자유와 평등이 널리 보장받는 사회가 되었다.

그러나 ‘키에르케고르’는 시대의 유행이 된 사회주의의 이념이나 국민 사회운동이 시대의 구원이 되리라고는 믿지 않았다. 그 같은 것은 낱낱의 단독자를 대중이라든가 그 밖의 유개념의 추상물 속에 묻어버리는 대중화, 평균화의 위험을 촉구하는 것일 뿐이었다.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것은 민중을 집단의 힘 에로 결속시키는 일이 아니라 거꾸로 그것을 붕괴의 시대의 유일한 고정점으로서 하느님 앞의 단독자로 해체시키는 일이었다. 곧 이 시대의 구원은 각 사람이 ‘자기의 원시성 原始性’에 눈뜨고 ‘1800년을 그것이 마치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 뛰어 넘어’ 예수와 함께 하는 삶, 곧 신약성서의 그리스도교로 돌아가는 데 있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것은 각 사람에게 ‘감히 자기 자신이 될 것’ 곧 ‘감히 하느님 앞에서 오직 홀로서는 단독자가 될 것’을 요구하는 것이었다.

‘키에르케고르’는 ‘이 거대한 노력과 이 엄청난 책임을 지고 오직 홀로 서는 특정한 단독자’가 스스로 되려고 했으며 또 다른 사람도 그러기를 원했다. 그는 이것을 ‘그리스도교적인 영웅주의’라고 불렀으며 이러한 그리스도교적 영웅주의를 위해 ‘교화와 각성을 위한 그리스도교적이고 심리학적 論述’로서 <죽음에 이르는 병>(1849)을 썼던 것이다.

 

<2>

<죽음에 이르는 병>의 본문은 ‘인간은 정신이다. 그러나 정신은 무엇인가? 정신은 자기다’ 라고 하는 유명한 말로 시작한다. 인간은 ‘정신’으로, 그리고 이 정신을 ‘자기’로 파악한 데 ‘키에르케고르’의 독특한 인간이해가 있다.

‘헤겔’은 정신의 본질을 주관과 객관, 사고와 존재, 이성과 감성, 논리와 자연을 의식적으로 종합하는 ‘절대정신’으로 파악했다. 그러나 ‘키에르케고르’에게 있어서는 이 같은 절대정신은 유한한 인간에게는 당치도 않은 것이었다. 그에게 있어서 유한한 인간의 실존재하는 정신은 영원자의 의식을 가지고 있으면서 현실로는 그렇지 못한 자기이며, 영원자가 되는 일을 과제로 안고 있는 자였다. 본래 그렇게 되어야 할 자기가 되려는 자기생성의 무한한 노력 중에 있는 것이 인간 실존의 진실이요, 인간으로서 실존재하는 정신이란 이러한 과제를 자신의 과제로 자각하는 자기, 이 과제를 지금을 사는 이 단독의 자기의 삶을 통해서 실현하려는 자기였다. 자기가 이러한 의미에서의 실존이 되어 있지 못한 상태, 자기의 본래의 모습을 잃어버린 상실의 상태에 있는 것, 이것이 곧 절망인 것이다.

이러한 절망이 바로 인간에게 있어서 죽음에 이르는 병이다. 그러나 그것은 신앙, 곧 구제를 위한 첫째 계기가 된다는 변증법적인 성질의 것이다.

인간적으로 말해서 죽음은 일체의 것의 마지막이다. 그러나 그리스도교적으로는 죽음조차도 일체의 것의 마지막이 아니다. 죽음이 최대의 위험일 때, 인간은 삶을 희망한다. 그러나 죽기를 바랄 만큼 위험이 클 때, 그리고 죽음조차도 희망이 될 수 없을 때 이것이 절망이다.

절망의 진행과정은 절망의 현상학이 된다. 절망의 강도는 인간의 자기의식의 도 度 에 따라서 높아진다. 곧 ‘자기가 절망하고 있다는 것을 모르는 절망’ (영원한 자기를 가지는 일에 대한 무지)에서 ‘자기가 절망하고 있음을 자각하고 있는 절망'(어떤 영원한 것을 가진 자기라는 것을 자각하고 있는 것)에로 높아진다. 이것은 인생행로의 여러 단계에 있어서 정신성의 미적 실존의 단계에 해당되는 ‘재미’를 찾아 헤매는 직접적인 대상의식의 절망에서 윤리적-종교적 실존의 단계까지 이르는 자기의식의 절망이 된다.

윤리적 실존에 눈을 뜬 인간의 절망은 ‘절망하여 자기자신 이려고 하지 않는’ 약한 여성적 절망이 되든지 ‘절망하여 자기자신 이려고 하는’ 반항적인 남성적 절망이 된다. 이 반항적 절망은 자기의식의 강도에 따라 악마적인 반항, 절망적 광포에까지 이른다. ‘키에르케고르’는 이것이 현대의 윤리적 상황이라고 보았다. 그리하여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것은 소크라테스 적인 윤리적 교정이었다. 그러나 ‘소크라테스’의 주지주의적 윤리는 시대의 구원이 되지 못한다. 인간은 알면서 선을 행하지 않고 부정을 행하기 때문이다. 이 반항하는 인간의지가 죄를 자각하고 그 마음을 돌이킬 때 구제의 길이 있다. 여기에 그리스도교의 하느님의 계시와 원죄의 가르침의 의미가 있다.

그리하여 <죽음에 이르는 병>의 제2부에서 절망은 ‘하느님 앞에서의 절망’ 곧 죄로 규정되면서 하느님과의 올바른 관계에 들어서는 일, 곧 믿음에 의한 절망의 근절을 말하고 있다.

이 <죽음에 이르는 병>은 그 다음해에 나온 <그리스도교 안에서의 훈련>과 함께 ‘파스칼’의 <팡세>에 비겨지는 그리스도교 변증론의 명저가 되었다. 그리고 여기서 구명된 그의 인간이해는 그 후의 수많은 사상가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특히 현대의 실존주의 현상학 해석학 변증법적 신학은 물론 교육학 심리학 문학예술사상의 형성과 전개에 크게 이바지했다.             

 

주요저서

  • Either-Or <이것이냐, 저것이냐>, 1843.
  • Fear and Trembling <공포와 전율>, 1843.
  • Repetition <반복>, 1843.
  • Philosophical Fragments <철학적 단편>, 1844.
  • The Concept of Dread <불안의 개념>, 1844.
  • Stages on Life’s Way <인생행로의 여러 단계>, 1845.
  • Concluding Unscientific Postscript <철학적 단편에 대한 後書>, 1846.
  • The Present Age <현대비판>, 1846.
  • Work of Love <사랑의 역사 役事>, 1847.
  • Christian Discourse <그리스도교 講話>, 1848.
  • Training in Christianity <그리스도교 안에서의 훈련>, 1850.
  • Attack upon Christendom <순간>, 1855.
  • The Point of View for my Work as an Author <관점>, 1848.
  1. 그 병은 죽을 병이 아니라 오히려 하느님의 영광을 위한 것이다. 그 병으로 말미암아 하느님의 아들이 영광스럽게 될 것이다.
  2. 이 course는 100% 무료로 audit 청강이 가능하다.
  3. 신동아 1984년 1월호 별책부록

광주의거의 성서적 조명 – 김찬국

올해 5월은 조금 특이하다. 왜 ‘갑자기’ 1980년의 5월이 자꾸만 생각이 났을까? 이제까지 나에게 추억의 5월은 주로 꿈 속에서나 볼 수 있는 어린 시절, 철없던 젊은 시절들의 그것이었다. 그때의 5월들은 언제나 나에게 아련하고 짜릿한 기쁨을 주는 그런 시절들이었다. 하지만 올해의 5월은 5월 18일의 그 ‘비극적 사건’ 으로 거의 고정이 되었다. 5.18 광주사태, 나의 기억에 남았던 단어, 광주사태였다. 나의 나이를 감안해서도 더 이상 외면, 미룰 수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더 이상 머리를 모래 속에 파묻고 외면을 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래, 조금 더 알아보자.. 내가 외면하고 살았던 그것을 하나 하나씩 다시 뒤져보자.. 나의 눈에 1989년 5월호  천주교 잡지 ‘생활성서’가 눈에 들어왔다. 정치적인 시각이 아닌 신앙적, 교리적인 눈으로 본 광주는 과연 어떤 것인가? 최소한 그들은 양심적 진실을 말하고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그것을 ‘전재’하기로 하며, 내가 잊은 역사를 다시 들쳐내 보기로 한다. 첫 번째 기사가 당시 연세대 부총장 김찬국 교수의 ‘광주의거의 성서적 조명’, 여기에 전재를 한다.

 

 


 

5월이 오면, 우리의 분노와 미움과 원망을 승화시켜 하느님의 심판에 맡기고 그의 구원을 확신하는 신앙의 길을 따라 삶의 새로운 포용력을 키워 나가야 할 것이다.

김찬국

 

 

민족적 수치이자 비극인 광주학살

 

9년 전인 1980년 5월 18일 비상계엄령 전국확대조치에 항거한 광주 학생들의 평화적 시위가 도화선이 되어 피비린내 나는 광주시민 학살사건이 일어난 민족적 수치이자 비극인 당시를 기억할 때 우리 모두 무어라고 해야 할지 할 말을 잃고 만다. 공수부대의 과잉진압으로 무죄한 학생과 시민들이 비참하게 죽어갔던 것이다. 실로 천인공노할 민족적 대참사였지만 한편 한국인의 민중항쟁역사에 뿌려진 거룩한 의거의 희생이었던 것이다.

이 광주의거로 인한 민족전체의 분노와 탄식의 소리는 하늘을 찌를 듯 높았었지만 군사독재정치를 자행하던 집권자들은 폭동진압이란 명목으로 학살사건을 정당화했고, 시민들의 무죄한 희생에 대한 보상을 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광주시민들의 명예회복을 해주지 않고 지내온 지 9년이 된 것이다. 더욱이나 광주민중항쟁에 대한 사건진상을 밝히는 국회청문회가 열렸었지만 비무장의 학생과 시민에게 발포하여 끔찍스런 사상자를 내게 한 군 작전 책임을 가리는 데 있어서 책임을 회피하고 은폐하고 있는 부끄러운 오늘의 역사의 현장에서 국민들은 또다시 분노와 실망을 감추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광주에 5월이 오면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묻습니다.

우리가 영원히 살 것을 갈망한다면

왜 우리는 죽는가?

정의를 위해 싸우다가 쓰러지는 자들의

죽음에 무슨 남는 게 있는가?

자신의 권리를 지키려고 일어섰다가

권력자에게 살해당하고 만 자들,

이들 이름 없는 자들이 흘린 피에

누가 있어 과연 의미를 부여할 것인가?”

– 빛고을출판사가 펴낸 <광주여 우리나라의 십자가여> (1988)에 실린 ‘오월의 묵상’에서 인용

 

이런 기도는 한국인의 탄원시이다. 5월이 오면 김준태의 시 ‘아아, 광주여 이 나라의 십자가여’란 탄원시로 한 맺힌 분노를 삭이면서 절망 속에서도 피어나는 새 희망과 새 힘을 키우는 다짐을 하게 된다.

 

“아아, 광주여 무등산이여

죽음과 죽음 사이에

피 눈물을 흘리는

우리들의 영원한 청춘의 도시여,

…..

아아, 광주여 광주여

이 나라의 십자가를 짊어지고

무등산을 넘어

골고타 언덕을 넘어가는

아아, 온몸에 상처뿐인

죽음뿐인 하느님의 아들이여…”

 

구약성서의 시편에는 탄식시 또는 탄원시들이 많이 있다. 민족적 수난과 역경에서 하느님께 한을 풀면서 도와달라고 부르짖는 신앙의 시편들이다.

 

“야훼여! 언제까지 나를 잊으시렵니까?

영영 잊으시렵니까?

언제까지 나를 외면하시렵니까?

밤낮없이 쓰라린 이 마음, 이 아픔을,

언제까지 견뎌야 합니까?

언제까지 원수들의 우쭐대는 꼴을 봐야 합니까?”

– 시편 13편

 

원수로 인해서 박해와 피해를 입고 있는 탄식자의 한풀이 시다. 이 시인은 ‘언제까지’ 란 표현을 네 번이나 쓰면서 하느님의 구원을 호소하고 하느님께 의지하는 신앙의 힘을 키워가고 있다. 이런 탄원시들은 개인작품이지만, 이스라엘인들에게는 민족의 탄원을 대변하면서 신앙의 힘을 키워나가는 기도문이 되고 있다.

오월 그날이 오면 우리 광주시민 뿐만 아니라 온 국민들이 다 이런 시로써 한을 풀면서 새로운 다짐을 해 나가고 있는 것이다.

예언자들도 시적인 표현으로 자기들 당대 국민의 소리를 하느님의 말씀으로 대변하였다.

정의의 예언자 아모스는 심판예언자였다. 권력형 구조악으로 피해를 입은 약자들의 인권을 대변할 때 분노를 터뜨리며 욕하는 저주의 말로 시작하였다.

 

“저주 받아라!

너희 공평을 뒤덮어 소태같이 쓰게 만들고 정의를 땅에 떨어뜨리는 자들아,

성문 앞에서 시비를 올바로 가리는 사람을 미워하고 바른 말하는 사람을 싫어하는 자들아 너희가 힘없는 자를 마구 짓밟으며 그들이 지은 곡식을 거둬 가는구나

– 아모 5,7-11

 

아모스는 하느님의 심판을 우선으로 하는 사회정의를 강조하였다. (아모 5,18-20).

 

폭군으로서 11년간 남쪽 유다를 통치한 여호야킴(609-598) 왕 때 하바꾹 이란 예언자가 등장하여

 

“야훼여, 살려달라고 울부짖는 이 소리

언제 들어 주시렵니까?

호소하는 이 억울한 일,

언제 풀어주시렵니까?

……

보이느니 약탈과 억압뿐이요,

터지느니 시비와 말다툼뿐입니다.

법은 땅에 떨어지고

정의는 끝내 무너졌습니다.

못된 자들이 착한 사람을 등쳐 먹는 세상,

정의가 짓밟히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 하바 1,2-4

 

이런 탄원의 말로 당시 시대상을 대변하면서 “화를 입으리라”라는 저주의 심판선언을 하고 있다. (2,12-20).

 

 

최고 책임자까지도 마땅히 심판 받아야 한다

 

이스라엘 왕정역사에서 제일가는 폭군으로 유다 왕 므나쎄(687-642)가 있었다. 12살 때 왕위에 올라 예루살렘에서 45년간 다스렸는데 우상을 만들어 야훼 하느님께 불충성한 신앙적 배신과 폭력정치를 저질렀는데 후세 역사가인 신명기적 편집자는 므나
쎄 왕을 고발하고 “그가 저지른 죄는 유다 왕조실록에 기록되어 있다”(2 열왕 21,17)고 적어 놓았다.

 

“그는 우상을 만들어 유다를 죄에 빠뜨렸다… 므나쎄는 나의 눈에 거슬리는 그 못할 짓을 하도록 이끌어 유다 백성을 죄에 빠뜨린 데다가 무죄한 사람의 피마저 흘려 예루살렘을 피바다로 만들었다.”

– 2 열왕 21,11-16

 

이 말을 예언자의 말이라고 하면서 쓴 글이지만 후대 역사비평가인 신명기적 편집자의 정확한 역사서술과 평가가 담겨져 있음을 본다. 므나쎄 왕의 폭력정치시대에는 백성들이 입을 다물어버렸기 때문에 반체제인사로서 저항한 예언자의 이름이 나타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솔로몬 왕도 실은 자기가 왕이 될 때에 찬성하지 않았던 사람들은 왕이 된 다음에 피의 숙청을 하고 궁전과 성전을 짓는 데에 강제로 국민노동력을 동원하고 세금을 강제로 징수한 죄와 또 이방종교의 신을 예루살렘에 허용한 죄 때문에 후세사가에 의해서 고발이 되었었다. 솔로몬이 죽은 다음 나라가 남북으로 분열이 되어 (기원전 922) 남 유다의 왕으로 솔로몬의 아들인 르호보암(922-915)이 왕위에 올랐다. 르호보암은 원로정치인들의 충고를 듣지 않고 젊은 후견자들의 건의를 받아들여 “선왕께서 너희에게 무거운 멍에를 메웠다. 그렇지만 나는 그보다 더 무거운 멍에를 메우리라. 선왕께서는 너희를 가죽채찍으로 치셨으나 나는 쇠채찍으로 다스리리라”(1 열왕 12,12-15)라고 했다는 것이다.

후세사가는 르호보암 왕이 끝내 백성들의 요구를 들어주지 않았다(12,15)고 지적하고 있다. 선조들보다도 더 큰 죄를 범하여 ‘야훼께 미움을 샀다’ (1열왕 14,22)고 평가되어 있다.

구약 역사에서 왕정정치가 시작되고 남북분열이 된 다음 북왕국 이스라엘에는 군사 쿠데타가 수없이 일어나 선왕을 죽이고 정권을 잡는 일이 일곱 차례나 있었다. 이런 혼돈이 200년이나 계속되다가 북 이스라엘은 강대국인 아시리아에게 멸망 당하고 말았다. 신명기사가는 왕들의 업적을 평가할 때마다 북 이스라엘의 최초의 왕인 여로보암 왕(922-901)이 저지른 종교죄 (우상신을 섬긴 죄)의 전철을 밟아 죄를 지었다고 명기하고 있다. 폭력정치죄나 우상종교를 허용한 죄는 역사적으로 두고두고 따라다니는 꼬리표가 되어 전철을 밟지 말아야 한다는 역사적 교훈과 자료로 알려지게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남 유다의 여호야킴 왕 (기원전 609-598)과 예언자 예레미야와의 관계가 예레미야 서에 가끔 나온다. 즉 폭군과 대결한 예언자의 모습을 보게 된다. 예레미야는 성전설교에서 당시 사회상을 고발하였다.

 

“너희의 생활태도를 깨끗이 고쳐라. 너희 사이에 억울한 일이 없도록 하여라. 유랑인과 고아와 과부를 억누르지 말라. 이곳에서 죄 없는 사람을 죽여 피를 흘리지 말라…. 너희는 훔치고 죽이고 간음하고 위증하고 바알에게 분향하고 있다…. 이 땅 위에 나의 맹렬한 진노를 쏟으리라, 아무도 나의 타오르는 분노를 끄지 못하리라” (예레 7,.5-20).

 

하느님은 분노하시는 분으로서 여호야킴 왕의 폭력적 탄압정치와 우상숭배를 심판하신다는 점을 예언자 예레미야 가 대변하고 있다.

 

“그날이 오면 이 끝에서 저 끝까지 야훼의 손에 죽은 시체들이 너저분하게 굴러 다니리라…. 백성의 목자, 민중의 우두머리들아, 너희가 도망쳐도 난을 피하지 못하리라…”

– 예레 25,33-38

 

혹독한 심판의 예언이다.

 

폭군인 여호야킴 이 새로운 강대국인 바빌론의 침략을 받아 굴복했었다가 3년 후에 바빌론에게 반기를 들자 다시 침략을 받아 유다 전국이 침략군에게 짓밟히고 말았다.(기원전 598). 신명기적 역사가는 이런 평가를 남겼다.

 

“이런 일이 유다에서 일어난 것은 므나쎄가 온갖 못할 짓을 하는 것을 보시고 야훼께서 유다 백성을 내쫓으시겠다고 하셨는데 그 말씀이 이루어진 것일 따름이다. 그런데다가 그는 무죄한 피마저 흘려 예루살렘을 피바다로 만들었으므로 야훼께서는 용서하실 마음이 없으셨던 것이다”

– 2 열왕 24,3-4

 

우리가 이런 성서적인 조명으로 광주 민중항쟁을 보면 참으로 하느님은, 무죄한 사람들의 피를 흘려 도시를 피바다로 만든 폭력적 진압을 한 군관계 책임자 뿐만 아니라 이에 관련한 최고 책임자까지도 국민과 역사 앞에서 책임을 면치 못할 것이며 마땅히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보시는 것이다. 그 해 5월 광주에서 무참히 희생당한 사람들은 한국의 민주주의를 부르짖는 대열에 나섰다가 총칼로 인한 폭력으로 생명을 잃거나 부상을 당한 것이기 때문에 그들 희생자들의 넋을 위로하고 그들 가족들의 한을 풀어주고 그들의 정당한 인권이 회복되어 역사에서 그들의 희생 정신이 바르게 평가를 받을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광주시민의 희생은 민주화운동의 길잡이

 

“광주에 5월이 찾아오면 들려오는 이 회피할 수 없는 질문에 대답해주는 것은 바로 예수님의 부활입니다.

….

새 생명의 눈부신 빛 줄기가 이제 세상 구석구석을 비춥니다.

우리는 이제 새 하늘과 새 땅의 동이 트는 첫 창조를 봅니다. 아멘”

– ‘5월의 묵상’ 중에서

 

 

인간의 비극은 비극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비극자체는 비참한 종말이지만 비극을 극복하고 넘어서는 새로운 삶의 약동과 희망을 만들어 나가야 할 책임이 살아남은 우리 사람뿐만 아니라 온 겨레에게 지워져 있다고 생각한다.

예수를 따랐던 제자들이 예수께서 기득권을 가진 종교인들이 힘을 가진 로마 총독 빌라도를 업고 무죄한 예수를 잡아갔을 때 도피하거나 모른다고 했었고 십자가에 달렸을 때에도 멀리 피해 있었었다. 그러나 예수가 부활하신 다음에 흩어졌던 제자들이 예수의 수난과 부활의 의미를 새롭게 받아들여 예수의 교훈과 복음을 널리 펼치는 데에 앞장섰을 뿐만 아니라 순교까지 하면서 예수의 삶과 그의 교훈을 따라 실천하는 데에 자신들의 삶을 투신했던 것이다.

김준태 시인은 ‘아아, 광주여 이 나라의 십자가여’ 란 시를 이렇게 끝맺고 있다.

 

“광주여, 무등산이여

아아, 우리들의 영원한 깃발이여

꿈이여 십자가여

세월이 흐르면 흐를수록

더욱 젊어져 가는 청춘의 도시여

지금 우리들은 확실히

굳게 뭉쳐있다 확실히

굳게 손잡고 일어선다.”

 

 

예수의 십자가 사건은 자기 희생이며 그의 부활사건은 그의 삶만 아니라 그 자신인 진리의 부활과 희생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래서 5월이 다시 오면 우리는 광주의 희생과 새로운 약동을 불러 일으키고 그 수난과 희생을 새롭게 의미화하여 한국 민주주의의 부활과 정의사회의 건설을 위한 기회로 키워나가야 하는 것이다.

구약의 시편 작가들도 용기와 희망을 심어주는 신앙에 의한 삶의 길을 보여 주고 있다.

 

“악한 자가 잘 된다고 불평하지 말며 불의한 자가 잘 산다고 부러워 말아라. 풀처럼 삽시간에 그들은 시들고 푸성귀처럼 금방 스러지리니 야훼만 믿고 살아라.”

– 시편 37,1-2

 

“야훼께서는 정의를 사랑하시고 당신께 충성하는 사람을 버리지 아니하신다. 그러나 악하게 사는 자는 영원히 멸망하며 악인들은 그 자손이 끊기리라.”

– 시편 37,27-28

 

 

탄원시들은 억울한 일들을 고발하면서 하느님께 분노를 터드리고 구원을 호소하고 마지막에는 하느님께 감사찬송을 드리는 내용으로 끝나고 있다. 시편 13편을 보면 원망하는 소리로 원수를 고발하다가 (1-2절), 다음에는 구원을 호소한다.

 

“야훼 나의 하느님

굽어 살피시고 대답해주소서.

죽음의 잠 자지 않도록

이 눈에 빛을 주소서.

……….

이 몸은 주의 사랑만을 믿사옵니다.

이 몸 건져주실 줄 믿고 기뻐합니다.

온갖 은혜 베푸셨으니

야훼께 찬미드리리이다”

– 시편 13,3-6

 

이런 하느님께 의지하는 신앙을 가지게 되면 우리의 기도를 하느님이 들어주셨음을 확신하고 끝에 가서는 구원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감사찬송을 하게 된다. 미움과 원망에서부터 시작했다가 정의의 하느님의 심판과 구원을 믿고 신뢰할 때 그 원망이 희생으로 바뀌어져서 찬양으로 끝나는 그런 전환을 보게 된다.

5월이 오면, 우리의 분노와 미움과 원망을 승화시켜 하느님의 심판에 맡기고 그의 구원을 확신하는 신앙의 길을 따라 삶의 새로운 포용력을 키워나가야 할 것이다.

 

광주에서 무참히 희생당한 희생자들의 넋을 위로하고 그들 가족들의 한을 풀어주고 그들의 정당한 인권이 회복되어 역사에 길이 남아 그들의 희생정신이 바르게 평가를 받아야 할 것이다.

 

 

찬양 시편에서 우리가 배우는 바가 또 있다. 시편 33편을 요약해본다.

 

“의인들아 야훼께 감사하며 기뻐 뛰어라.

………….

옳은 사람들의 찬양이라야 기뻐 받으신다.

………….

야훼의 말씀은 언제나 옳은 말씀.

그 하시는 일 모두 다 진실이다.

………….

왕들아 너희가 대군을 거느렸다고 이길 성 싶으냐?

힘 좀 있다 해서 궁지에서 살아날 성싶으냐?

군마만 믿다가는 살아나기 어렵고 대군을 거느렸다 해서 사지에서 벗어나지는 못 하리라.

야훼의 눈은 당신을 경외하는 자들은, 그 사랑을 바라는 자들을 자켜보시며…………

우리가 이렇게 당신만을 기다리오니 야훼여, 한결같은 당신 사랑 베푸소서.”

 

여기에서 의인들이 하느님을 찬양하고 하느님의 오심을 기다리는 힘을 키워나가야 함을 교훈하고 있다. 의인들이 자기교만에 빠져서 하느님의 역사의 심판과 구원을 기다리지 못하고 성급하게 자기의 의견을 주장하고 남을 정죄만 하는 오류에 빠지기 쉽다. 성경은 우리에게 ‘하느님의 오심’을 기다리게 하는 신앙을 키워주려 하고 있다. 하느님의 오심을 이 5월의 광주와 함께 생각해 볼 때 하느님의 정의로운 심판을 기초로 하느님의 승리를 의심치 않고 믿고 기다리는 확신을 키워나가야 할 것이다.

예레미야는 예루살렘이 바빌론 군의 침략을 받아 멸망하기 직전인 위기상황 속에서 하느님의 심판을 받게 될 유다 나라의 최후를 앞에 두고서도 백성들에게 다음과 같은 약속을 하여주었다.

 

“나 야훼가 선언한다. 나 비록 이 백성에게 이토록 큰 재앙을 내린다 마는 그만큼 약속한 행복도 모두 베풀 것이다…….. 이 땅에서 다시 밭을 사고 팔게 되리라……….. 이렇게 나는 이 백성의 운명을 회복시켜주리라. 이는 내 말이다. 어김이 없다.”

– 예레 32,42-44

 

 

멸망 후의 회복을 예언한 것이고 약속한 것이다. 예언자의 이런 꿈이 그냥 꿈으로서가 아니라 실현될 약속으로서 이스라엘의 회복과 해방과 재출발을 전망한 것이다.

1989년 5월이 다시 온다. 광주의 5월은 우리 온 국민이 겸허한 마음으로 희생의 피를 기억해야 한다. 군부 독재가 몰고 온 광주시민의 희생은 우리의 의로운 민주화로의 길을 바르게 보여주는 역사의식의 기초가 되고 민주화 운동의 길잡이가 되는 것이다. 광주의거를 이렇게 성서적으로 조명해볼 때 하느님께서 정의와 자비로써 희생당한 광주시민의 명예의 회복만 아니라 한국 국민 전체의 자유와 정의의 회복을 보여주시리라고 믿는다.

 

김찬국 씨는 연희대 신학대학과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유니온 신학교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부총장으로 있다.

5月 – 千鏡子

주로 1980년대 책들, 그것도 거의 ‘대한민국’에서 출판된 책들만 꽂혀있는 bookshelf 가 우리 집에 하나 있다. 거의 ‘고서’에 가깝게 된 이 책들은 분명히 우리 주위의 어딘가에 항상 있었겠지만 나의 관심과 눈을 끈 것은 그리 오래 전이 아니다.

이 책들을 살펴보면 우리가 살 만한 책들도 아니었다. 그러니까 누구에게서 ‘선물’로 받은 몇 백 권인 것이다. 어떻게 이렇게 많은 책을 받았을까? 추억을 더듬어 보니 1990년 전후로 우리가 아틀란타에서 처음 살았던 Norcross 에 있는 Four Seasons 아파트 이웃에서 살았던 ‘선경 지상사원’의 wife가 영구귀국을 하면서 우리에게 준 것이었다. 그 집 아이들 (경윤이와 동생)과 우리 집 아이들이 어울리고, 그 집 wife는 알고 보니 나의 재동국민학교 동창 후배였고, 나의 서울 중앙고 57회 동창 박우윤의 친 동생 임도 알게 되기도 했다.

한글로 쓰인 책을 거의 잊고 살았던 시절에 이렇게 무더기로 얻은 책들, 나는 거의 못 읽고 살았지만 요새 들어서 하나 둘 씩 눈에 뜨이고 어떤 책은 나의 ‘필사’ 원본이 되기도 했다. 완전히 잊고 살았던 1980년대 이후의 조국과 그 냄새가 훈훈히 풍기는 고국문화의 정수인 책들, 이제 남은 시간에 하나 둘 씩 읽는 것도 좋을 듯하다.

오늘 우연히 발견한 책, 천경자 화백의 수필집 ‘사랑이 깊으면 외로움도 깊어라’, 선명하고 강렬한 색깔의 그림들과 글들, 이제는 이런 ‘여자’의 글들 나도 익숙해 졌다. 그 중에서도 ‘5월’이란 제목의 글을 읽고 ‘나에게도 5월에 얽힌 romance 가 있었지..’ 하는 아련한 추억을 찾기도 했다.

 


 

5월 – 천경자

 

라일락이 향기를 잃어 버린 밤이다. 장미가 부풀었던 가슴을 헤치고 이제 요염한 자세를 일으키는지 화사한 날개로 숨소리를 덮는 듯 짓눌러 오는 밤, 내 심장의 고동이 어둠 속에서 이따금 날개를 터는 십자매(十姉妹)의 동작과 더불어 호수의 파동처럼 주름을 잡는다.

고요하고 화려한 환상도 무너지고 시든 라일락의 영혼마저 증발하는 것 같은 쓸쓸한 5월의 밤이다.

이렇듯 식물성(植物性)의 생명들이 시들어 가고 또 새로운 생명을 노래도 하고…

5월의 생리(生理)는 슬픔과 환희를 한꺼번에 쏟아 놓는다. 이 밤도 가고픈 옛날의 논두렁 길에선 개구리들이 녹색의 소리로 울어대고 있을 것인데 덧없는 인생이 취한 내 가슴엔 이슬 같은 것이 괴고 있다.

5월은 인생에서 어떤 피하지 못할 인과(因果)를 지어 주는 것 같다. 지열(地熱)에 익은 포플라가 상기한 풋냄새를 피우고 태양의 직사(直射)를 받아 떨어뜨린 선명한 그림자에 바람이 깃들면 5월을 바라보는 사람의 마음도 흔들리기 마련이다. 알지 못할 5월의 회화(會話)에 귀를 기울이고 풀지 못할 인과에 마음을 태워야 한다.

나는 5월이 오면 옛날의 추억을 더듬어야 했고, 내일을 위해서 화필(畵筆)을 들어야 했다.

5월을 불러 누구나 다 아름답다고 한다. 꽃들이 그 아름다운 자태를 견주는 것도 5월이요, 신록들이 바람에 하늘거리는 것도 5월이고 보면 5월의 자연은 아름답지 않은 것이 없다.

그러나 그 아름다움들은 여인들의 마음을 얼마나 아프게 했는지, 그리고 눈물도 얼마나 괴이게 했는지 모른다.

옛날 젊은 시절 어느 5월에 나는 여인네들끼리 가족적으로 들놀이를 가는데 권함을 받아 바람을 쐬러 따라간 일이 있었다. 지금 같으면 소풍을 갔었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그 무렵 나는 인생의 시련 같은 것을 단단히 믿고 있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어떤 인연의 줄기가 나의 운명 앞으로 뻗어왔다는 것도 알 수가 있었다. 쉽게 말하자면 나는 사랑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여인네들 가운데는 인텔리 오뎅집 마담 형제 일행과 인생면에서 나와 비슷한 환경의 직업 여성인 Y양도 나처럼 ‘옵서버’ 격으로 얼굴을 내놓고 있었다.

나무 위로 무척이나 왕개미 떼가 올라가는 송림(松林)의 구릉(丘陵)이 목적지었던가 그들과 나는 거기에 올라가서 잡초가 무성한 어느 무덤 위에 앉았었다.

화제는 어느덧 막연한 사랑 이야기로부터 시작하여 나중엔 두 여인이 서로 제각기 자기가 사모한다는 것보다 상대의 이성(異性)이 자기를 사모하여 늘 전화가 걸려온다는 등 아베크 하기에 여념이 없었다는 등의 이야기에 꽃을 피우고 있었다. 이야기라기보다 자기 자랑을 하는 것으로 그들의 표정은 해당화처럼 활짝 피어 있는 것이었다. 여인들이 이야기에 꽃을 피우고 있던 상대방 주인공은 아마도 동일한 남성인 것 같았고 Y양의 것이 농도가 더 짙은 모양이었다.

나는 그들의 이야기를 뒤로 구릉을 내려와 논두렁에서 와글거리는 개구리를 수십 마리 잡아서 손수건에 싸 들었다.

그 후 그 개구리들은 나의 화재로서 희생이 되었지만 나는 지금도 그 여인네들의 대화가 잊혀지지 않고, 그때의 감정이 사라지지 않는다. 그 얘기의 주인공은 나의 애인이었기 때문이다.

나는 그때 개구리에 대해서 나의 슬픔을 호소(呼訴)하고 싶지는 아니했지만 개구리들의 녹색의 울음 소리가 나의 심경을 한결 더 구슬프게 울려 주었다. 나는 어쩐지 5월이 오면 개구리의 울음 소리와 함께 마음이 설렌다.

그러나 나는 이 밤에 시든 라일락의 향기를 슬퍼만 할 수는 없다.

내일 아침이면 화사하게 피어났을 장미의 붉은 정열과 견주기 위해서 이 밤이 있게 해야 하는 것이다.

冊: 우울증, 기쁨으로 바꾸기

Transforming Depression into Joy, ‘우울증, 기쁨으로 바꾸기‘, 문종원 지음. 2008년 문종원 지음. 약 한 달 전쯤 성당에서 대출한 이 책의 ‘필사’가 일주일 전쯤 끝났다. ‘영적 성장을 위한 감성 수련’ series  중의 하나로 이 책은 우울증을 영성적인 각도로 조명한 책이지만 실용적인 치료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문종원 지음’ 이라고 해서 처음에는 ‘우울증 전문가, 의사’ 정도로 짐작했지만 나중에 보니 ‘저자 문종원’은  사실 1992년 서울 대교구에서 사제품을 받은 ‘신부님’ 임을 어렵사리 알게 되었다. 왜 ‘문종원 신부’라고 밝히지 않았는지 궁금하기도 하고, 가톨릭 사제로서 ‘세례명, 본명’도 생략한 것은 무슨 선택이었는지 알 수가 없다.

신부님의 간단한 profile을 보면: 미국 로욜라 대학에서 사목학을 공부 (Chicago 로욜라 인지 California 로욜라 인지 확실치 않음), 평화방송 라디오 주간, 현재 성령쇄신 운동을 지도하고 있고, 부정적 감정들 (우울증, 걱정, 두려움, 분노, 상실감 같은) 다스리는 프로그램 기획, 개발, 강의를 하고 있음, 다수의 저서와 번역서가 있음.. 으로 나와있다.

이 책의 제목이 나의 눈길을 끈 것은, ‘우울증’이란 단어 때문이었다. 한 때 나 자신의 우울증을 의심했던 적도 있었고, 현재는 아주 가까운 주위에서 ‘분명한’ 우울증, 조울증을 목격하고 있기에 무심코 손이 그 책을 집어 들게 만들었다. 이 책을 읽음으로써 조금 더 체계적으로 우울증을 ‘과학적, 영성적’으로 접근 할 수 있으리라는 희망으로 필사를 끝내고 예의 ‘한정판’을 이곳에 올려놓았다.

 

목차, 차례를 보면 대강 이 책이 다루는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짐작할 수 있다.

 

1. 우울증이란?

2. 우울증의 여러 모습

3. 우울증이 영향을 미치는 영역

4. 우울증의 자가 진단

5. 우울증은 언제 찾아오는가?

6. 중년기 우울증

7. 우울증을 어떻게 치유할 것인가?

 

이 책은 대한민국 가톨릭서적 출판사 ‘바오로의 딸’ 에서 간행한 것으로 분명히 영성적으로 근본문제를 접근하는 것, 하나도 이상할 것 없다. 하지만 자연과학적, 의학적인 접근에 소홀 하면 그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이 책은 두 접근 방법을 적절한 균형으로 다룬 듯 하고, 의학적인 ‘화학요법’과 더불어 영적인 치료를 통해 우울증을 앓는 신앙인들을 주 대상으로 삼고 있는 듯 하다.

양창순 신경정신과 전문의는 서두 추천글에서 ‘이 책에서 내가 가장 감명을 받은 것은 신앙을 통한 치유다’ 라고 밝혔듯이 우울증이 당뇨나 고혈압 같은 신체적(특히 두뇌)인 병 이상의 그 무엇이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내 자신이 한때 겪었던 가벼운 우울증 (아니면 비슷한 것), 현재 만나는 어떤 사람에서 실제로 목격하고 있는 심한 우울증(사실은 조울증)의 case들을 조금 더 체계적으로 분석하며 이 책을 다시 정독하는 것도 good idea라는 생각도 들고, 그것을 ‘독후감’으로 남기면 좋을 것 같다.

冊: ‘어떻게 나에게 이런 일이’

‘어떻게 나에게 이런 일이’… 쉽게 공감이 갈 수 있는 제목을 가진 2013년경에 출간된 이 책의 ‘필사’1가 얼마 전에 끝났다. 이 책은 두께에 비해서 쪽수는 읽기에 편할 정도인 230여 쪽 정도, 내용도 비교적 가벼운 것이라 읽는 데 어렵거나 지루하지 않았고, 저자가 살아온 경험에 따른 시대적 에피소드 중심의 글의 구성이 ‘계속’ 흥미로운 것이어서 거의 쉼이 없이 2~3주 정도 편하게 읽으며 ‘필사’를 무사히 끝내서 serony.com의 K-Gutenberg page에 ‘한정판’으로 올려 놓았다.

이 책을 읽으며 제일 먼저 떠오른 생각은, 저자인 안득수 (가톨릭 세례명 마리오)  (의학) 박사님, ‘마리오 형제님2‘의 본성적 성품이 얼마 전에 읽었던 고종옥 마태오 신부님과 닮은 점이 많이 있었다는 것이었다. 그 중에서도,  ‘간혹 듣기에 불편할 정도로’ 솔직한 성격이 인상적이었다. 내가 그렇지 못해서 그런지 나는 이런 분들의 직선적이고 솔직한 성격을 아주 좋아한다. 사실 지나치게 겸손해서 거의 ‘내숭’의 수준에 도달한 ‘겸손한 사람들’이 이제는 더 경계가 되고 피하고 싶을 지경이다.

 

안득수 (의학박사) 마리오 형제님

 

하지만 그것 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가톨릭 신앙에 따르는 ‘지칠 줄 모르는 불굴의 신심’ 또한 비슷한 점이었다. 솔직히 말해서 나머지 나의 생애에서의 role model을 찾았다는 안도감이 느낄 정도였다. 흔한 말로 ‘겸손, 순명, 부드러움, 사랑’을 알맞은 비율로 골고루 갖춘 분이 바로 이 책의 저자 마리오 형제라는 생각이 든다. 그것 이외에도 ‘청빈’의 모습까지 보이고3, ‘공허한 말보다 행동’, ‘명석하지만 겸손한 박학다식함’… 이 정도면 나의 role model이 되시기에 절대로 부족함이 없다.

이런 책을 적절히 재편집해서 성당 공동체에서 ‘교과서’로 쓰면, 아니 독서클럽 같은 곳에서 ‘연구, 토론’하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위에 말한 ‘모범적인 덕목’들을 이런 ‘수기’를 통해서 배우는 것, 얼마나 효과적일까? 이런 분과 같은 사람이 우리 공동체 안에서 ‘나이 먹은 사람들’ 중에 ‘하나라도’ 있었으면 하는 ‘개꿈’을 꾼다. 솔직히, 내가 아는 ‘늙은이’들(나를 포함해서) 중에는 눈을 씻고 보아도 이런 분을 연상시키는 사람은 정말 하나도 없었고 현재도 없다. 모두 모두 실망스런 영혼들 뿐이다.

일단 읽고 필사는 끝났지만 진짜 일은 이제부터다. 다시 한번 읽으며 정리하고 ‘성경 읽듯이’ 이분에게 배울 수 있는 것을 요약하며 다른 blog post로 남기고 싶은 것이다. 오래 전에 내가 좋아했던 ‘팔방미인 극작가, 이 시대 마지막 로맨티스트’ 이진섭 선생의 책4을 그런 식으로 남겼는데, 두고 두고 다시 내가 보아도 만족스러웠기에 다시 한번 시도해 보고 싶은 것이다. 다시 한번… 안득수 마리오 형제님, 감사합니다!

 

  1. 손으로 쓰는 것이 아니고 computer typing으로 softcopy를 만드는 것
  2. 가톨릭 공동체에 서 평신도의 최고 존칭은 ‘형제, 자매님’ 이다.
  3. 의학박사, 약사 부인, 국립대학 병원장 등을 역임한 분의 공개된 재산을 보면 가히 짐작이 간다.
  4. 1983년 간행된 부인 박기원 여사의 ‘이진섭’ 회고록: ‘하늘이 우리를 갈라놓을지라도

영원의 방랑객, pay-as-you-go, 성모님 꽃

¶  마리에타 사랑반 모임:  지난 17일 봄처럼 푸근한 토요일에 모처럼 (도라빌 순교자 성당) 사랑반 구역모임엘 갔다. 이번에는 도미나 구역장님 댁에서 모였는데, 무엇인가 나로써는 새로운 느낌이 들었다. 이유는 이 댁을 처음 가보는 것이기도 했지만 사실은 이렇게 가정집에서 모이는 구역모임에 마지막으로 가본 것이 몇 년 전이었기 때문이다. 안 나간 이유는 물론 ‘내 탓이요.. 내 탓이요’ 지만 그저 게으름 때문만은 절대로 아니었다.

확실한 이유를 가지고 ‘일부러’ 안 나간 것인데 이제는 그 이유들이 없어지거나 ‘타협’이 되어서 다시 한번 ‘세월과 성모님의 도우심’을 떠올린다. 어떨 때는 ‘그저 기다리면’ 된다는 세월과 시간의 은총이 분명히 있다. 나에게는 비교적 젊은 형제, 자매님들과 어울리는 것, 비록 내가 제일 연장자의 위치로 밀려 오르긴 했지만, 약간의 술 기운과 더불어 기분이 나쁘지 않았다. 완전한 OB (old boy)의 위치에서 말 조심을 하려고 애를 쓰지만, 그저 common sense만 지키면 큰 문제가 없으리라.. 

 

¶  고 마태오 신부님: 일요일에 오랜만에 성당 도서실에 들렸다. 빌렸던 고 마태오 신부님의 ‘이세상의 이방인‘을 반환하고 다른 책들을 둘러 보았다. 이곳의 진열된 책은 거의 random하게 배치가 되어 있어서 조직적으로 특정한 책을 고를 길이 없다. 그저 random browsing 을 하다가 ‘재수가 좋으면’ 원하는 것을 찾는 정도다.

그 동안 고 마태오 신부님의 책을 3권이나 다 보았기에 혹시 그 이후에 나온  고 신부님의 책이 과연 있을까 하며 어떤 책을 훑어 보다가 그 책의 ‘추천사’ 끝의 이름이 ‘이경우‘라는 글자가 보였다. 그것도 놀랄 지경인데 그 이름의 끝에는 ‘신부’라고 되어 있었다. 난생 처음으로 ‘이경우’란 신부님도 있다는 것을 알았다. 옛날 옛적에는 ‘이경우 농구선수’가 있었고 재동학교 시절, 나보다 5년 아래의 ‘이경우’란 여자 학생도 있었다. 그러니까 이 이름이 그렇게 희귀한 것이 아닌 것이다.

그 책의 바로 옆을 가만히 보니… 이것도 우연일까.. ‘영원의 방랑객, 고 마태오 지음‘이란 글자가 있는 책이 보이는 것이 아닌가? 바로 내가 읽었던 3권의 책 후에 나온 것이고 캐나다로 오신 후에 그곳에서의 이야기기 실린 바로 그 책이었다. 이번에는 기다리지 않고 이곳, 저곳을 난독하며 전체의 줄거리를 짐작하게 되었다. ‘쟌느 수녀, 숙과의 재회‘ 같은 것이 있었는데, 고 신부님과 여성들과의 인연들을 보며 부러운 질투 같은 생각을 떨칠 수가 없었다. 이 책은 깨알 같은 글자로 거의 500페이지가 되어서 완독(필사 포함)을 하려면 아마도 수개월은 필요할 듯하다.

 

¶  Pay-as-you-go: 내가 쓰는 mobile phone의 plan에 큰 변화가 있었다. 우리 집 모두가 T-mobile의 family plan을 쓴 지가 몇 년째인가.. 그러다가 얼마 전에 새로니가 iPhone을 등산을 하다가 잃어 버린 후에 새로운 plan을 찾게 되었다. 그러다가 발견한 사실이… 예상은 하고 있었지만, 지금 우리 family plan이 너무나 비싸다는 사실. 문제는 바로 나였다. 내가 너무나 ‘조금 쓴다는’ 사실이고 억울하다는 것이다. 한 달에 30분도 못 쓴다는 사실이 나는 하나도 이상할 것이 없지만 그것이 아닌 모양이다.

나는 주로 가끔 전화를 받는 것 이외에는 이것을 쓸 이유가 없었다. 집 landline 이 Internet voip으로 바뀌고 나서 사실 전화비용은 거의 zero에 가까운데 유독 나만, 거의 쓰지도 않는 데에 $30 이상을 쓴다는 것은 낭비였다. 궁리를 한 끝에 나만 따로 새 plan으로 바꾸었는데 그것이 바로 pay-as-you-go 였고 알고 보니 나 같은 사람을 위한 안성맞춤 plan이었다. 한 달에 $3/30 분, 물론 mobile data는 없다.

Call Minute는 그런대로 문제가 없는데, No Mobile Data는 조금 신경이 쓰이는데… Wifi 가 없는 곳에서 Internet이 안 될 것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gmail, map, streaming media같은 것들인데… 알고 보면 이것도 큰 문제가 되지 않을 듯 하다. 내가 언제 애들처럼 ‘밖에 나가서’ 그런 Internet service가 필요한 것인가? 정 필요하면 Wifi가 있는 hotspot을 찾으면 될 것이다. 이런 저런 사연으로 한 달에 $30이상 save가 될 것을 예상해서 한 달에 한번 ‘외식’을 한번 더 할까 하는 생각을 하며 웃었다.

 

 

¶  Tuesday’s Flower: 지난 해 ‘레지오 미친년 사건’ 이후 계속 느끼는 ‘Tuesday stress’, 시간이 갈수록 희미해지고 있다. 하지만 아주 없어진 것은 아니다. 그 정도로 나의 ‘야수처럼 이글거리는 분노’는 꺼지지 않은 모양이다. 그래서 레지오 주회합에서 우리를 지켜보시는 성모님의 모습이 더욱 어머니처럼 느껴진다. 이분만은 우리를 지켜주시리라는 염원, 이날 주회합의 성모님 옆에는 우리 집에 봄소식을 전해준 수선화를 꽂아 놓았다. 봄소식과 함께 우리를 더욱 인자로 히 지켜 주시라는 간절한 전구를 잊지 않았다.

 

Last Leaves, leaf & O Henry

 

어제 우리 집 Saybrook court driveway로 들어오는 cul-de-sac  에서 집 쪽을 바라보니 눈에 익은 듯한 광경이 우리 앞에 펼쳐졌다. 아~ 올해 우리 집, ‘마지막 잎새 들’이 로구나..  하며 ‘마지막 잎새’란 생각이 들고, 재빨리 스쳐 지나가는 슬픔을 느꼈다. 결국은 다~ 떠나는구나.. 보통 12월 초 이맘때가 되면 이렇게 ‘마지막 추수’ 가 수북이 쌓임을 이제 경험적으로 알 수 있게 되었다. 나보다 훨씬 젊은 앞집의 Josh는 아마도 올 가을에 걸쳐서 수십 번은 power blower로 낙엽들을 치우고 있는데.. 도대체 그 wasted time & energy aching muscle등등은 둘째치고 그는 ‘낙엽을 즐길 수 있는 여유’가 그렇게 없다는 사실에 솔직히 ‘비웃음’이 나온다.

세월은 흐르고 올해도 한 달도 채 남지 않고, 깊은 겨울로 들어가며 새해 2018년을 맞는다. 칠십 70이란 숫자가 가슴 속 깊은 곳에서 나의 처지는 감정을 달랜다… 그래도, 그래도, ‘하늘을 우러러 부끄럽지 않게’, 건강하게 오래 살았다. 70년의 세월은 나에게 과분하게 느껴진다. 솔직히 ‘여한이 없다’ 라고 위로를 받는다.

 

pen name O Henry

마지막 잎새,  명작 단편의 제목이었다. 필명 O Henry라는 미국 단편 작가가 20세기 초에 발표한 그야말로 ‘짧은’ 단편 그것이 바로 The Last leaf 였다. 낙엽 중에서도 제일 마지막에 떨어지는 ‘놈’이 있을 것이다. 바로 그 마지막 잎.. 그러면 세상은 갈색에서 하얀 색으로 변하고 겨울잠을 자야 하는 때, 이 소설의 주인공 여성, 폐렴으로 죽음의 그림자가 드리울 때 하나 하나 떨어지는 낙엽을 자기의 운명과 연관이 있음을 느낀다. 결국 마지막 잎이 떨어지면 자기도 ‘따라 떨어진다’ 믿는다. 하지만 그 마지막 잎새는 ‘절대로’ 떨어지지 않았다. 그녀도 안 떨어졌다. 대신 그 마지막 잎새를 ‘살려준’ 아름다운 마음씨의 친구 화가 할아버지가 대신 폐렴으로 세상을 떠난다.. 얼마나 아름답고 운명적인 단편이었던가..

 

 

왜 이 단편이 나의 기억에 그렇게도 남았는가. 1960년 57년 전 서울 중앙중학교 1학년 때 국어 담당 ‘소재영‘ 선생님 때문이었다. 소재영 소재영 선생님… 그 어린 나이의 눈에도 이 선생님의 ‘학자적 겸손, 능력, 품위’가 그렇게 인상적이었다. 한마디로… 나에게는 멋진 선생님이셨다. 교실에 들어오실 때는 책을 한 꾸러미를 들고 오셨는데, 그 두꺼운 국어사전으로부터 시작해서 각종 참고자료들을 가지고 국어시간에 가르치신 것이다. 그 때가 고작 중학교 1학년이었는데.. (입시공부와는 거리가 멀었던 때) 그 선생님은 완전히 우리에게 국어라는 학문을 가르쳐주신 것이다. 그 중에 바로 이 ‘마지막 잎새‘에 관한 공부도 들어있었고 그것이 반세기 뒤에도 뚜렷이 남아 있게 되었다.

 

The Gift of the Magi

크리스마스 ‘사랑의 마음’을 적절히 묘사한 O Henry의 다른 단편 The Gift of the Magi, (한글제목은 생각이 안 난다) 도 기억에 남는 것이다. 가난하지만 서로 사랑하는 젊은 ‘신혼’부부 Jim과 Della의 크리스마스 선물교환 이야기.. 서로를 위해서 Della는 머리를 팔아서 Jim의 watch chain을 샀고, Jim은 watch를 팔아서 머리 빗을 샀다는 슬프지만 너무나 사랑스런 이야기였다. 이것이 바로 the Magi(동방박사)의 아기예수에게 드리는 선물과 비슷한 것이 아니었을까? 

그렇게 해서 O Henry라는 이름을 어린 나이에 알게 되었지만 인생의 항해를 하며 모든 것을 잊고 살다가 우리 집 앞에 쌓인 마지막 잎새들을 보며 회상을 하게 되었다. 그 동안 이 작가에 대해서 자세히 알 길이 없었지만 알고 보니 사실은 그렇게 ‘존경할 만한’ 인물이 아님을 알고는 조금 실망을 했다. 많은 유명한 단편은 남겼지만, 그의 비교적 짧았던 생(47세)은 각종 색깔의 행적을 남겼다. 그 중에는 우리가 살았던 Columbus, Ohio의 감옥에 죄수로 수감되었던 것도 있다. 물론 폭력적인 범죄는 아니었고 비교적 가벼운 ‘사기 횡령죄’로 복역을 한 것이다.  말년에 마음과 행동을 가다듬고 쓰기 시작한 단편들, 바로 그것이 그에게 커다란 이름을 남겨주게 되었다. 한마디로 ‘역량, 잠재성’이 있었던 인물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알콜 중독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타계한 것을 보면 말년이 고통스러웠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O Henry라는 이름을 사랑한다. 나도 그 중에 하나고, 그것은 중학교 1학년 국어, 소재영 선생님의 고귀한 가르침에서 비롯되었다.

 

 

The Last LeafThe Cascades – 1963

 

On Second of December

 

¶  2017년 12월 2일:  2017년 달력이 마지막 장으로 넘어가며 12란 숫자가 눈에 들어온다. 12월, 올해의 마지막 달.. 흠.. 그렇다면 또 일년이란 ‘장구한 세월’ 이 지나가고 있단 말인가? 1년이란 시간은 아련했던 기억 속에는 ‘장구한, 영원한’ 느낌의 긴 세월이었다. 그것이 언젠가는 거의 한 달 같은 기억으로 남았고.. 지금은 모르겠다. 아마도 한 달보다는 조금 더 짧아진 듯한데 그것을 그저 인정하기 싫을 뿐이다. 신비로운 시간, 조금이라도 시계가 늦게 가는 그런 곳, 때, 감정으로 들어가고 싶지만 어찌 나 같은 ‘죄인’에게 그런 은총이 쉽게 올까 보냐.. 그저 열심히 시간의 흐름에 순명 할 뿐이다.

작년에 시작된 Youtube의 Hallmark Holiday movie들을 보며 아늑하고 편했던 때가 생각이 나서 올해도 몇 개를 download해서 보았는데, 역시 비슷한 느낌을 받는… 아~ 12월이여… 라는 아늑하고 편안함이 나를 즐겁게 한다.

 

Peter Hollens – December Song  

 

¶  연총 연습, 마지막 No 5: 레지오 연차 총 친목회 stage performance 를 위한 마지막 연습 session이 주 회합 후에 있었다. 올해로 나는 일곱 번 째 연총연습을 맞지만 올해의 이 행사는 예년들에 비해서 아주 다른 느낌으로 맞게 되었다.  생사의 고비를 간신히 넘긴 후, 군살과 독성물질 (toxin) (왕마귀와 레지오 미친년)이 완전히 빠진 것은 환영할 일이지만 대신 전체적인 레지오 내에  ‘사랑이 완전히 빠진 느낌’ 은 역시 떨칠 수가 없어서, 노래와 율동을 하는데 신명이 나지를 않았다.  이런 상황이면 예전 같았으면 ‘포기하자’ 하는 말이 나올 법도 하지만 그래도 성모님 사랑의 눈길을 느끼며 ‘달릴 곳은 끝까지 달리자’ 를 되뇌며 무려 5번의 연습 session을 다 마치게 된 것, 절대로 이것도 우연이 아닌 듯 싶다.

비록 ‘실제 공연’에서 실수를 하거나 hiccup을 해도 이제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갈 곳까지 다 갔기 때문이다. 2분도 채 안 되는 짧은 곡이지만 율동을 물론이고 vocal singing도 우리들에게는 small challenge였다. 반주를 Youtube video에서 무단copy해서 karaoke로 쓸까 했지만 완전히 우리 것으로 만들기 위해 우리가 아예 karaoke audio를 녹음을 했고 still video로 아예 YouTube video를 만들었다. 이것을 들으며 2017년 너무나 어렵던 시련의 시기에 우리들이 얼마나 ‘최선을 다했나’ 하는 것을 기억하고 싶다.

 

 

 

¶  목요회, 이 목사님 부부:  목요회… 허… 참 내가 멋진 이름을 붙였나? 첫 번째 만남이 우연히도 마지막 목요일이었기에 매달 마지막 목요일에 만나기로 한 것이 벌써 세 번째 모임이 되었다. 소박하게도 1990년 5월에 서로 만났던 것을 기념하는 모임이었지만 달을 거듭하면서 조금씩 ‘멋진 진화’를 시작하고 있음을 느낀다. 이 모임 자체의 성격이 어떻게 진화 될는지 아무도 모른다. 깊숙이 진행된 나이에 걸 맞는, 뒤를 돌아보고 인생을 관조할 수 있는 대화를 기대하기도 하지만 ‘여자가 없는 모임’의 신선, 솔직함의 진가를 나는 마음껏 즐긴다. 남자들만의 대화, 화제는 사실 너무나 오랜만이라 무엇이던지 즐겁기만 한 것이다. 비록 늦은 밤에 모이는 것이라 만날 수 있는 곳이 제한되어 있지만 이것도 색다른, 아이 같은 재미가 있는 것이다. 이 늦은 나이에, 늦은 저녁에 30마일 떨어진 곳으로 외출을 한다는 사실도 너무나 재미가 있으니..

이 (동수) 목사 부부를 해가 가기 전에 결국은 만나서 도라빌 성당 근처에 있는 ‘upscale’ 한식당 운암정에서 부부동반으로 식사를 하였다.  일년에 평균 2번 정도 만나는 이 오래된 “아틀란타 한국학교” 인연의 인생후배 부부, 나이 차이에 상관없이 이런 오래된 세월의 연륜 하나로 친척보다 가깝게 느껴진다. 몇 해전에 큰 수술을 받았던 이 목사, 그 동안 몸 관리를 열심히 한 덕에 이제는 많이 건강해진 모습이었고 식사하는 것도 불편한 제한이 없는 듯 보였다. 목회 사업이 사실 아직까지 희망하는 것 같이 열매를 맺은 듯 느껴지지는 않지만, 주어진 상황에서 열심히 지내는 것은 다행한 일이다. 이번에 만나서는 오래 전에 흔히 하던 이목사 특유의 농담하던 버릇이 다시 나온 것을 알고 반갑기도 했다. 그만큼 마음의 여유가 있다는 뜻일 테니까. 다음에 만나면 내가 듣고 싶어 했던 ‘더 심각한 신앙간증’을 기대해 보며,  내년에도 건강한 모습으로 다시 보기로 하고 헤어졌다.

 

¶  이 세상의 異邦人: 요새 나의 머릿속은 온~통 ‘고(종옥) 마태오’ 신부님의 생각으로 가득 차있다. 이 하느님의 종, 진정한 애국자, 사랑의 사제, 성인에 버금가는 행적을 남기신 이 사제가 걸었던 길을 천천히 같이 걷고 있다. 소설형식의 자서전 trilogy: 1편 사랑의 지도, 2편 예수 없는 십자가, 그리고 지금 ‘쓰면서’ 읽고 있는 것이 3편인 ‘이 세상의 이방인’이다. 첫 두 편은 reading by typing덕에 온전한 2권의 soft copy가 나의 blog site에 남아서 이 세상 어느 곳에서나 편하게 읽을 수 있게 되었다.

이 사제의 삶은 한마디로 너무나 dramatic한 epic drama 라고 볼 수 있기에, 나에게는 특별한 의미를 주고 있다. 시간, 공간적으로도 이 사제는 나에게 큰 관심을 준다. 해방 전후의 삼팔선 부근의 묘사, 원산에서의 첫 사랑, 6.25 사변을 가장 치열한 전투중의 전투 속에서 살아남은 하느님의 인도하심.. 너무나도 ‘잔인할 정도로 솔직한 고백’을 읽으며 나는 하루에도 몇 번씩이 이 사제와 같이 울기도 했다. 솔직이.. 나의 ‘빨갱이, 흑백 논리’에 조금은 ‘회색’이 가미되고 있음을 평생 처음으로 경험하고 있기도 하다. 이렇게 솔직한 분의 고백을 어찌 내가 ‘흑백’의 잣대로 가늠을 할 수 있는가..  책 하나로 난공불락의 ‘이념의 성’을 조금이라도 흔들어 놓았다는 사실이 나는 현재 신기하기만 한 것이다. 고 마태오 신부님… 고맙습니다, 사랑합니다.

 

Deep November, ‘예수 없는 십자가’

¶  그야말로 11월 말, deeper & deeper November를 달리고 있다. 주위의 올 가을의 낙엽들이 무섭게 떨어진 후 이제는 O Henry의 `’마지막 잎새’를 연상시키듯 처량하게 남은 잎새들이 떨어지기만 기다리게 되었다. 11월의 처량함이라고 할까.. 성탄을 기다리는 가톨릭 대림절 Advent, 11월은 또한 바로 그날을 기다리는 나날들이기도 하기에 나는 근래에 11월이 그렇게 좋을 수가 없다.

 

 

Sandy Denny – Late November – 1971

 

¶  단출한 가족인데 그것도 한 사람이 빠진 올해의 Thanksgiving Day, 하지만 ‘무사히’ 지나갔다. 작은 딸의 초대로 올해 그들의 1st Home 이 있는 Tucker로 가서 몇 시간을 즐겼다. 오랜 세월 엄마의 전통을 배운 듯 아주 맵시 있게 traditional turkey meal을 준비한 나라니, 정성을 다 한 것이 보여서 고마운 마음으로 배불리 먹고 마셨다.

 

날씨가 너무나 화창해서 사실은 holiday 기분이 좀 덜 나지만 여행을 하는 사람들은 너무나 좋았으리라. 새로니는 친구들과 Nevada로 rock climbing trip을 갔는데 보내온 사진을 보니 생각보다 심각한 climbing을 즐기고 있는 것 같았다. 내가 오래 전 ‘바위를 타던’, 서울에 있는 도봉산 선인봉의 바위와는 아주 느낌과 종류가 다른 것처럼 보였다.

 

¶  지난 주 부터 약간씩 느껴지던 ‘감기 기운’이 일주일째 가고 있는데, 이제는 기분이 쳐지는 느낌이다. 올해 처음 맞았던 flu shot 덕분인지 모든 감기, 독감의 증상이 아주 mild한 듯한데 문제는 이렇게 질질 시간을 끌며 나의 신경을 건드린다는 사실이다. 미열도, 살살 흐르는 콧물 등은 큰 문제가 아닌데 목이 간질간질하게 느껴지는 잔기침, 이것이 사람을 괴롭히고, 놀리는 것이다. 제발 빨리 이런 것에서 벗어나고 싶다.

 

¶  예수 없는 십자가: 밤에 밖을 보니 멀리서 휘황찬란한 빛이 퍼진다. 자세히 보니 ‘크리스마스 light’ 가 아닌가? 아~ 그렇구나… 올해 ‘첫 Holiday’ 기분이 잔잔히 주변에 가라앉는 이즈음 나는 의미 있는 ‘시간,공간’ 여행을 하고 있다. 그것도 ‘책’으로…  고 마태오 신부님의 trilogy중에서 2편 ‘예수 없는 십자가‘, 바로 그것이다. 1편인 ‘사랑의 지도‘를 얼마 전에 ‘필사’로 읽은 후 곧바로 2편의 ‘필사 독서’가 시작되었다. 하도 typing을 많이 해서 그런지 손가락 끝의 감각이 무디어진 듯하다. 이제는 아주 익숙해져서 typing하면서 reading하는 것 전혀 문제가 없다.

고 마태오 신부님을 ‘재발견’하게 된 이번의 ‘책 여행’은 놀랍게도 나에게 너무나 많은 ‘생각거리’를 폭포처럼 쏟아내고 있다. 이런 속도로 typing & reading을 하면 2편 ‘예수 없는 십자가’는 2~3일 내로 끝이 날 듯하고 곧바로 3편 ‘이세상의 이방인‘을 읽기 시작할 예정이다. 12월 중에 이것을 완독하면 나는 2+ 개월 사이에 고 마태오 신부님의 true classic trilogy를 모두 읽게 되는 것이고 부수입으로 soft copy가 남게 된다.

이 책으로 나는 고 마태오 신부님을 정확히 이해하게 되고 더 나아가서 그가 살아온 민족의 비극을 같이 걷게 된다. 3.8선부터 시작하여 원산, 함흥, 제주도, 최전방 고지 전투를 하느님을 믿는 젊은 눈으로 본 기록영화, 참회록, 사랑의 드라마.. 이 세 권의 기록소설은 한 마디로 대 서사시 라고 부르고 싶다. 이것을 읽으면서 나는 ‘처음으로’,  6.25를 전후로 왜 그렇게 ‘무자비하게’ 싸웠는지를 생각해 보게 되었다. 아니 아직까지도..  한반도에는 하느님의 손길이 미치지 않았던가..

 

Uncle Julio’s, urge to, 사랑의..

¶  Uncle Julio’s: 지난 금요일 저녁에는 김 바오로, 데레사 예랑씨 부부의 초대를 받아서 외식을 하게 되었다. 몇 개월 전에는 우리가 그 부부를 초대해서 Duluth 에 있는 Stone Grille에서 식사를 한 적이 있었는데 아마도 그에 대한 응답인 듯 해서 고마운 마음으로 저녁 때의 rush hour를 헤치고 Sandy Spring에 있는 Uncle Julio’s라는 Mexican restaurant로 갔다. 우리에게는 조금 생소한 감이 있는 Mexican food였지만 비교적 Americanized된 것이라 큰 surprise는 없이 맛있게 즐겼다.

 

 

이 부부와 처음 인사한 것은 사실 몇 년이 되었을 것이지만 인연이 없는지 다시 어울릴 기회가 좀처럼 오질 않다가, ‘악질 여자’들을 몇 번 겪고 나서 ‘보통 형제님’들이 갑자기 그리워짐을 느끼고 부부친교의 기회를 만든 것이다.

우리와 살아온 background가 많이 다르기에 공통 화제를 찾는 것이 쉽지 않지만 부부가 같은 교우에다가 자매님은 레지오, 문인화 등으로 엮인 것이 있어서 큰 걸림돌은 없다. 다만 형제님이 나보다 더 말이 적은 편이고, 대화하는 방식도 아주 달라서 적응하려면 아마도 시간이 걸릴 듯하다. 하지만 그런 것들은 사실 하나도 문제가 안 된다. 기본적인 예의와 ‘정상적인 사고방식’만 있으면 그 이외에 무엇이 문제인가?

 

¶  Urge to KILL: 내가 기억하는 한 나의 주변에 있는 사람 중에 ‘죽이고 싶다’라는 Urge를 느껴본 적은 한번도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올 한 해에 연속으로 일어난 ‘왕마귀 사건, 레지오 미친년 사건‘ 이후, 지난 수개월 동안 나는 하루에도 몇 번씩 그런 충동을 느끼곤 했다.  그 정도로 분노를 하고 있는 나 자신이 이 정도까지 간 것에 나는 사실 너무나 충격을 받았다. 한 인간이 이렇게 쉽게 변할 수도 있다는 것, 참 슬픈 사실이었다. 하지만 이것은 실제로 나에게 일어나는 감정임을 숨길 수가 없다.

Hollywood 영화배우 (Loving You 에서 Elvis Presley와 열연)에서 수녀가 된 Dolores Harts  의 자서전 The Ear of the Heart 에 Urge to kill 이란 표현을 한 것이 보인다. 그녀도 영화배우 시절에 주변의 ‘어떤 나쁜 인간’에 대해 이렇게 솔직한 감정을 느꼈다고 쓴 것이다. 그것을 보고, 나도 용기를 내고 더 솔직하게 urge to kill 이란 표현을 쓴 것이다. 그녀가 Stephen Boyd와 공연했던 영화 Lisa의 한 장면, 꿈 속이라면 몇 번이라도 가능하겠지만, 이것은 사실 큰 죄라고 할 수 있기에, 올해가 가기 전에  나의 제일 심각한 고해성사 주제가 되었다.

 

영화 Lisa, Stephen Boyd와 공연했던 World War II suspense drama의 한 장면

 

¶  ‘사랑의 지도’ 필사 완료: 고 마태오 신부님의 자서전 epic love story 제1편인 ‘사랑의 지도’, ‘필사’가 며칠 전 완전히 끝났다. 9월 초부터 간간히 ‘쓰다가’, 지난 며칠 동안은 ‘미친 듯한’ 속도로 결국 마지막 paragraph에 도달한 것이다.  9월 초부터 간간히 ‘쓰다가’, 지난 며칠 동안은 ‘미친 듯한’ 속도로 결국 마지막 paragraph에 도달한 것이다.  6.25당시 해군으로 원산에 상륙한 이후 중공군 개입 이전까지 머물던 그곳에서 우연히 만난 ‘지적이고 아름다운 여성, 숙’과의 사귐, 결혼약속, 그리고 급작스러운 이별로 끝나는 1편 ‘사랑의 지도’ 다음 2편인 ‘예수 없는 십자가‘의 필사가 곧바로 시작이 되었다. 주로 해병대로 싸운 전투경험일 터이지만 나는 숙과 이후에 어떻게 되었는지 그것이 더 관심이 간다.

근래 내가 책을 읽는 방식은 조금 비정상적으로 보인다. 우선 화장실에 둔 책이 있다. 대강 2~3 권 정도가 toilet 옆에 항상 있는데, 이것들은 ‘장기간, 급하지 않은’ 그런 책이지만 결국은 꼭 완독하고 싶은 책을 이곳에 둔다. 그러니까.. 그 중에 조금 더 관심이 가는 책을 하나 골라 toilet에 앉아 있는 동안만 번갈아 가며 보는 것이다. 이때에 책을 읽는 기분은 상상하기에 따라 우습기도 하지만 아주 즐거운 시간이다. 이것은 책 전체를 확실히 읽게 되는 아주 효과적인 방법이다.

또 다른 나의 ‘비법’은, ‘필사 독해‘하는 것인데 ‘쓰면서 읽는 것’이다. 여기서 필사, 쓴다는 것은 사실은 typing을 하는 것이다. 이렇게 읽으면 이중의 효과가 있다. 난독을 피하게 되고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게 되고 끝이 나면 멋진 나만의 soft copy가 생기는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나는 수십 권의 softcopy를 만들어 blog site에 올려 놓기도 했다. copyright문제에는, 이것은 어디까지나  fair use 임을 밝혀둔다.

고 마태오 신부님, 고인이 되셨지만 나는 이 ‘서사시’적인 걸작 사랑의 지도를 읽고 이 신부님을 너무나 그리워하게 되었다. 아니.. 존경하고 싶은 분이 되었다. 불과 20여세까지의 이야기지만 어쩌만 그렇게 성숙, 성실, 용기, 부드러움.. 골고루 갖춘 젊은 남자였을까? 솔직하고 섬세한 필체로 그렸던 ‘숙과의 사귐 과정’은 나를 완전히 매료시켰다. 내가 그 주인공, 고 마태오가 된 듯한 착각에 빠질 정도였으니까… 이 독후감은 꼭 써야겠다고 결심을 했다. 나이 70에서도 나이 20세 당시의 ‘고백록’을 쓰려면 이와 같은 ‘모범적’인 글이 나에게 필요한 것이다.

 

그래, 사는 거다!

돼지띠 동갑내기 ‘프카’ (Francesca) 자매님이 ‘약속을 잊지 않고’ 책 한 권을 내게 슬며시 건네주었다. 비교적 근간 近刊 이라는 느낌을 주는 경쾌한 장정과 비교적 ‘젊은’ 묵상, 명상이 간결한 수필로 엮어진 책, 책의 제목이 바로 ‘그래, 사는 거다!‘ 라는 조금은 low-key지만 대담히 선언적인 제목이다.

저자는 ‘전원’ 이라는 천주교사제 인데 가톨릭 세례명이 조금은 흔치 않은 예수님의 12사도 12 disciples  중의 하나인  ‘바르톨로메오, Bartholomew, Bartholomaeus‘ 다.  1995년에 서울 대교구에서 사제로 서품 된 것으로 미루어, 아마도 40대 정도의 ‘비교적 젊은 사제’가 아닐까 추측해 본다.

이렇게 추측에 그치는 것, 사실은 내심 생각한다… 분명히 googling 한 번 정도면 ‘얼굴, 근황, 별로 중요하지 않은 잡소리’ 등이 꽤 있을 것이다. 그것이 나는 NO, HELL NO! 인 것이다. 사람과의 관계나 마찬 가지로 minimum, safe distance는 절대적으로 중요하니까…

이 책이 나의 손까지 ‘굴러들어온’ 사연은, 지난 여름에 시작된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에 새로 생긴 ‘영적독서클럽’의 첫 번째 ‘선정 選定 도서’ 였는데 내가 늦게 그곳엘 갔던 join 관계로 이미 모두들 읽고 와서 의견을 나누고 있어서 적지 않게 당황했었다.

도대체 무슨 말들을 하는지 확실치는 않았지만 어떤 신부의 고백록 같은 정도로 추측은 했었고 당시에 자매님들이 꽤 있었기에 아마도 여성취향의 책이 아니었을까 생각도 했다. 그러다가 이제 그 의문들이 한꺼번에 풀리게 된 것이다. 아주 경량급 light-weight 하고 짧은 chapter들, 이것이야 말로 ‘필사’하며 읽기에 거의 완전한 책이 아닌가?

지금까지 ‘필사’로 읽어 본 것들로 보아, 사실 은근히 호감이 가는 책으로 생각된다. 그 중에서 나에게 생각, 묵상거리를 준 글 중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C.S.Lewis character in Shadlowlands, BBC TV drama

첫 부분에 나오는 1993년 영국 영화 Shadowlands 를 통해서 본 ‘이론, 영성적 사랑과 이성간의 사랑’은 나에게 조금 익숙한 것이었다. 나는 작년에 1985년 Television film으로 나온 같은 제목의 ‘영화’를 본 적이 있었고 지난 몇 년간 C. S. Lewis에 심취해 있었기에 더욱 그렇다.

이론적, 영성적 ‘추상적’인 사랑에서 ‘인간, 이성’에 대한 사랑을 너무 늦게 발견한 Lewis, 그는 진정한 사랑을 배운 셈이다. 그것도 고통스러운(연인, 아내와 영원히 이별하는) 쪽으로… 결국 Lewis는 고통 속에서 이론적, 영성적으로 체득한 ‘순수한 사랑’을 실천하는 ‘위대한 영성, 문필가’로 남게 된 것은 아닐까?

성당 사목을 하면서 사람관계에 대한 저자의 괴로운 경험은 나도 어느 정도 이해가 간다. 의견이 다른 것으로 원수 관계로 치닫는 요새 세상에서 더욱 이해가 가는 것이다. 최근 2개월간의 나 개인적 경험을 통해서도 나는 안다. 저자의 결론이 나에게는 아직도 실천이 ‘불가능’한 것으로 남는다. 상대방의 입장이 되어 보라는 것,  ‘상상’하는 것은 아마도 가능할 지도 모르지만 그 이상은 ‘무리,무리!’ 라는 결론이고 상책은 ‘100% 잊는 것’ 이다.

‘욕망에 대하여’, 불륜에서 벗어나 제자리를 찾은 어떤 주부에 대한 이야기, 탕자의 비유로 ‘우리는 결국 모두 죄인’이고 죄인이 될 가능성이 항상 있는 ‘불완전한 세상’에서 우리는 살고 있음을 일깨워 주는 글이다. 그렇다, 항상 ‘죄인이 될 악마의 유혹’은 실재한다는 사실만 알고 있어도 우리는 조금 나은 자세를 가진 것이다. 그렇게 조심하면 사는 것, 그것이 행복을 유지하는 첩경일 것이다.

이렇게 시작된 ‘필사로 읽는 독서’의 즐거움을 안겨준 돼지띠 ‘프카’ 자매님, 나는 언제나 먼저 좋은 책을 사거나 구해서 빌려 드릴 것인가…  언제 끝날지 모르는 ‘필사본 post’는  이곳에 있음.

 

Days in the Life

¶  Roof Leaker:  어제 갑자기 남쪽으로부터 습기가 밀려오더니.. 역시 이른 새벽부터 세찬, 그리 차갑게 느껴지지 않은 폭우가 쏟아졌다. 우리 집 2층의 bonus room(2 car garage 위) 은 제일 크지만 침실로 쓰고 있는데 몇 달 전부터 창문가 쪽으로 비가 새고 있었다. 스며드는 정도로 천정에 물기가 보이더니 폭우가 오던 날에는 뚝뚝 물이 떨어지고 있었다. 오랜만에 영화에서나 보던 광경을 목격하고 ‘내가 좋아하는 비’가 올 때마다 신경이 쓰여서.. 좋지 않았다. 비를 기다리다가도 이것을 생각하면 ‘조금만 내려라’ 하기도 했는데 어제는 드디어 지붕으로 올라가 내가 보기에 ‘범인’으로 보이는 곳을 처치해 놓고 내려왔다.

흔히 보는 asphalt shingle이 망가진 것이 아니고 ridge에 있는 ridge vent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고 응급처치를 하고 오늘 오전 중에 계속 쏟아진 비가 끝나고 또 새는가 보았다. 와~~~ 안 샜다! 물기가 전혀 보이지 않았다. 그러면 내가 진단한 그곳에 문제가 있었던 것이고… 이제부터는 ‘내가 좋아하는 비’를 계속 안심하고 기다려도 되겠다는 생각이 든다.

내가 추측하는 leak scenario는 간단히 말해서: 비가 갑자기 쏟아질 때, ridge vent의 edge에 잠깐 고인 물이 채 빠지지 못하고 vent 의 완만한 slope를 타고 ‘올라가’ roof의 안 쪽으로 스며드는 것, 바로 그것이다. 그러니까 문제는: 비가 심하게 ‘계속’ 내릴 때 물이 흘러 내려가기에 roof 의 slope가 너무나 완만한 한 것, 바로 그것이었다. 문제가 된 slope는 내가 바꿀 수는 없고 vent 자체를 조금 ‘개조’해서 물이 조금이라도 빨리 빠지게 하는 수 밖에 없었다.

 

 

¶  2층 hallway: 지난 주말 무렵 2층 hallway 주변의 flooring, painting, closet reshelving 등의 backbreaking job이 다 끝났다. 거의 반년이상 carpet이 벗겨진 벌거숭이 상태로 각종 traffic을 견디고 나의 마지막 손을 기다리고 있던 이곳, 끝나고 나니 정말 감회가 깊다. 제일 지저분하게 보이던 이곳이 어쩌면 그렇게 새 집처럼 보일까.. 특히 closet의 변화는 내가 보아도 놀랄 정도다. 꼭 벌레가 살았을 것 같은 흉하게 쳐진 particle board shelving의 흉한 모습들이 다 사라지고 ‘진짜 나무’의 깨끗하게 paint된 homemade shelving 이 그곳에 자리를 잡으니 새 집에 이사온 기분이 드는 것이다. 속으로 계속 ‘아마도 이 모습이 우리가 세상을 떠날 때까지 남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되뇐다. 다음에 할 일은 무엇인가.. Stairway 주변의 tall wall의 painting, 그리고 바로 stairway그 자체.. 내가 제일 피하고 싶던 일들이 남았다. 하지만 이제는 나의 손과 몸이 적당히 handy가 되었기에 반드시 ‘성공’하리라 믿는다.

 

Before

After

 

¶  김 M.S. 프란치스코 선종: 우리의 ‘전 前’ 마리에타 2구역,에 살던 나이는 나보다 ‘한참’ 밑이지만 구역의 역사로는 고참에 속하는 김  M.S. 형제가 선종을 하였다. terminal illness 란 것이 다 그렇듯이 예상되었던 일이지만 막상 이렇게 마지막 순간이 오면 착잡한 심정에 휩싸인다 . 췌장암으로 시작된 오랜 투병의 여정이었고 본인, 가족들 헌신적으로 투병을 하고, 주위에서 모두들 기도를 했지만 하느님의 뜻은 다른 곳에 있는지… 우리와의 인연은 역시 같은 마리에타 2구역도 있지만 우리 집 큰 딸 새로니가 10년도 전에 이 형제님 딸 ‘데보라’를 개인적으로 tutoring한 것도 있었다.

가끔 구역모임에서 볼 기회가 있었지만 가까이 어울리지는 못했다. 가톨릭 교리에 관심이 있는지 열띤 논쟁 성 토론을 했던 것도 기억에 남는다. 2000년대 말, subprime bubble 이 터지던 시기 투자에 의한 경제적 손실을 보았다는 얘기도 들었다. 그 이후 terminal cancer로 투병생활을 시작하면서 사실상 우리 성당을 떠났기에 거의 볼 기회가 없었다. 몇 번 구역 모임에 ‘인사차’ 나온 것, 그것이 전부다.

왜 성당을 떠났는지 나중에 이유는 알았지만 나는 아직도 이해하기가 힘이 든다. 비록 교리논쟁을 했었던 기억도 있지만, 왜 타 종교, 그것도  ‘안식교’에 의탁을 했었는지.. 직접적인 이유는 치유에 필요한 식이요법에서 시작되었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 정도다. 거의 평생 가져온 신앙을 ‘다른 하느님’으로 바꾸어 귀의하는 것, 나는 참 ‘판단’하기가 힘이 든다. 결국 하느님은 같은 분이라는 생각,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 것인지.. 믿음에도 최소한의 출발점 commitment가 필요한 것은 아닐까, 이 출발점만은 절대로 인간의 마음대로 자유가 주어진 것은 아닐 것이라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고인이나 가족들에게는 고향 같은 아틀란타 천주교를 마다하고 ‘조용하게’ 우리를 떠난 ‘프란치스코’ 형제, 알듯 모르듯 우리의 기억에서 오랫동안 가물 거릴 듯 하다. 부디 하느님의 영원한 평화가 이 형제님의 영혼과 함께 하기를…

 

¶  독서클럽, 등대회 2nd  Shot:  이번 바로 지난 주일(일요일), 한참을 망설였다. 미국 성당이냐, 도라빌 순교자 성당이냐.. 어디를 갈까.. 매 주일 나의 challenge 중에 하나다.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더욱 그렇다. 이번이 그런 case였다. ‘꼭 나가야 할 이유’ 를 못 찾을 때, 그러니까 공식적인 의무 같은 이유를 찾아야 한다. 포근한 느낌의 동네 Holy Family 성당의 유혹도 무시할 수가 없기에 더욱 그렇다. 그런데 이번에는 이유가 없진 않았다. ‘영적 독서클럽’ 과 ‘등대회’ 같은 두 모임이 있는 것을 알았고 만에 일이라도 마주칠 수 있는 Nexus of Evils, 정말 그것을 피하고 싶은 마음을 물리치고 20 mile의 I-285 drive를 택했고 나중에 정말 잘 갔다는 생각에 쾌재를 부르기도 했다.

book club select: 개구리의 기도 2

무언가 나에게는 아직도 elusive한 것 같은 느낌이 바로 이 ‘독서클럽’이다. 이날 주제가 된 책은 ‘개구리의 기도 2‘란 책, 나는 이미 최 프란체스카 자매님으로부터 몇 주간이나 ‘대출’을 받아 읽고, ‘필사’를 한 후여서 내용은 환히 알고 있는 그런 책이다. 하지만 솔직히, 그렇게 마음에 드는 내용이 아니라는 사실이 계속 나의 주 관심사였다. 왜 남들은 그렇게 ‘좋아한다고 하는데’, 나는 반대일까? 이것이 contrarian의 반응인가? 동양사상, 철학이 가톨릭 영성을 위압할 정도로 그것도 유머러스 하게.. 이것이 과연 올바른 방법인지?

이날 오랜만에 클럽에 참가를 했지만 몇 명밖에 모이지 않았고 시간이 없어서 나는 죄송하지만 나에게 급한 글럽 운영상에 대한 몇 가지 질문과 그에 대한 반응을 듣고, 주제의 책에 대한 나의 ‘고민점’을 나누고 나왔다. 나중에 들어보니 11월 12월은 모임이 쉰다고 했다.

 

그리고 바로 옆 방에서 모이는 60대 주축 친교모임 등대회에 ‘혼자’ 참가를 했다. 9월 모임에 이어 2번째 참가한 셈이다. 9월 말 처음 이곳에서 모였을 때 있었던 멤버들은 거의 안 보이고 또 다른 얼굴들이 많이 보였다. 부회장님은 그대로였지만 회장님이 안 보인다. 아하.. 이 그룹은 아주 informal하게 ‘자유롭게’ 모이는 곳이라는 느낌이 든다. 제약이 별로 없이 오고 싶으면 오고.. 하는 그런 곳인가? 하기야 이 나이에 제약을 느끼며 오고 싶겠는가? 하지만 그래도 모임이라는 것이 유지되려면 ‘열성당원’은 꼭 있어야 하지 않을까?

나로서는 이렇게 ‘남자가 꽤 있는’ 모임이 조금 생소하지만 너무나 refreshing하고 즐겁기만 했다. 내가 그 동안 너무나 모르고 살았던 세상이 있었구나 하는 그런 생각도 든다.

이곳의 자매님들, 레지오와 유심히 비교해 본다. 혹시 Nexus of Evils는 이곳에 없는가… 알 수가 없다. 우선은 full benefit of doubt를 줄 수 밖에 없다. 부부인 멤버가 많은 것도 좋았고, 아주 활발하게 의견을 제시하는 적극성도 좋았다. 이날의 주제는 11월 초에 있을 등대회 야유회에 관한 것인데, 나에게는 너무나 생소한 것이어서 나는 그저 듣기만 했고 나 자신도 참가하기로 했다. It’s now or never는 여기서도 예외일 수는 없다.

모임이 끝나고 오늘 회의를 주도한 부회장님이 ‘커피를 쏜다’고 해서 근처의 McDonald에 2차로 모였다. 이런 것도 나는 다시 배운다. 첫 번 성당에서 모였던 것은 조금 formal한 것이었고 2차는 완전히 informal한 그런 것이 아닐까? 이날은 우리를 등대회로 ‘인도’했던 박 스테파노 형제 부부도 있었고 낯이 익은 형제부부들도 처음으로 인사를 나누었다. Boston지역으로 1974년에 오셨다는 서울 용산고 출신 형제님, 알고 보니 나보다 나이가 꽤 위였는데 AT&T에서 오래 근무를 하셨다고 해서 나와 같은 technical 분야인 것이 너무나 반가웠다.

하지만 내가 더욱 반가웠던 사람은 다름 아닌 오늘 (임시) 사회를 보았던 부회장님, 알고 보니 나와 나이 생일이 거의 비슷했다. 나와 똑같이, 생일이 음력으로는 돼지띠, 양력으로는 쥐띠.. 이런 우연도 있는가? 그것뿐이 아니다. 서울 교동국민학교 출신이 아닌가? 나의 모교 재동국민학교 바로 아래 동네, 문화극장 앞, 덕성여대에 붙어있던 정겨운 느낌의 교동국민학교, 어렸을 적 같은 집에서 살았던 ‘시자 누나’, 나의 죽마고우 유지호가 졸업했던 역사 깊은 학교였다. 게다가 그는 경복중고교를 다녔다고 해서 사실 우리는 거의 같은 시절 같은 동네를 누비며 살았던 공통점이 있음을 알고 너무나 반가웠다. 이런 저런 이야기로 이날은 너무나 즐거운 오후가 되었고 생각을 달리해서 도라빌 성당엘 안 갔더라면 이런 일들 아마도 물 건너 갔었을 것이다. 이제는 우연보다는 ‘필연’을 더욱 믿기에 나는 여기서도 일련의 ‘사건’들에서 의미를 찾고 목적을 다시 찾는다. 왜 그날 이런 일들이 일어났을까?

 

¶  Surviving another Weekly: 자비의 모후 또 다른 화요일 주회합이 ‘무사히’ 끝났다. 아직도 나는 surviving이란 말을 쓰고 있다. 나의 심리상태가 아직도 panic mode에 있음을 말하는 것인지 나도 씁쓸한 웃음이 나온다. 아직도 나는 이 모임이 나의 실존이유와 직결되었다고 생각을 하기에 더욱 그럴 것이다. 일주일 Coma상태에서 벗어난 이후 착실하게 recover를 계속하는 모습, 모두들 흡족한 얼굴들이고 나도 마찬가지다. 확실히 자비의 모후는 현재 ‘총사령관 성모님’이 개인적으로 친히 이끌고 나가신다는 느낌도 든다.

이제 당면과제는 늦게 시작하게 되는 ‘연총 연습’이 있지만 오늘은 예외로 얼마 전 남편형제님 상을 당하신 이 아가다 자매님을 위해서 그룹 연도를 하였다. 모든 단원과 guest까지 포함해서 우리는 열심히 이요셉 형제님의 영혼을 위해서 연도를 바쳤다. 끝나고 자매님, 고맙다고 우리들을 만천홍으로 초청해서 즐거운 ‘자장면 점심’을 즐겼다. 이런 날 오후가 바로 Afternoon Delight의 ‘정수 精髓’가 아닐까?  

 

고(종옥) 마태오 신부님..

책, 사랑의 지도 – 고 마태오

또 우연히 (사실 근래 들어서 우연이란 말을 피하려고 하지만)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주일미사에 갔다가 성물방/도서실 (성물 판매와 도서를 같은 방에서 service하는) 을 기웃거렸다. 이제는 조금 익숙해진 그곳에 있는 ‘고서’ 같은 냄새를 풍기는 진열된 책들의 제목들.. 또 우연인가.. 몇 년 전에 ‘산 바람 하느님 그리고 나‘  서울 재동학교 동창, 김정훈 부제의 유고집을 찾았을 때처럼 이번에는 사랑의 地圖 – 고 마태오 라는 글자가 눈에 들어왔다. 우연인지 아닌지는 현 시점에서 알 길이 없다.

고 마태오, 실제 이름은 고종옥 신부님.. 오래 전의 가물거리는 기억이 조금씩 되살아난다. 오래 전, 그러니까 1982년 경이었던가.. 우리 부부가 콜럼버스(오하이오) 한인성당(공동체)에서 왕영수(프란치스코) 신부님으로부터 세례를 받던 해, 그 무렵이다. 그 해 부활절에 세례(그 당시는 영세라고 했다)를 받았는데 그 한달 전쯤인가, 세례를 받기도 전에 연숙 홀로 ‘용감하게도’ 신시내티 에서 열리는 성령세미나엘 갔었는데 그 때 왕 신부님은 물론이고 캐나다에서 내려오셨다는 고 마태오 라는 ‘건강하고 풍채가 좋았던’ 신부님도 하셨다. 물론 나는 나중에 연숙을 통해서 들은 이야기지만 단체사진에서 그 분의 모습을 보았다.

 

서부 전선 ‘사천강 전투’ 때, 신부 되기를 결정한 직후, 1952

그러면서 이 ‘전설적인 신부님‘에 대한 이야기를 책을 돌려보며 듣게 되었다. 아마도 그때 돌려서 본 책이 바로 오늘 내가 찾고 빌려온 ‘사랑의 지도’가 아니었을까.. 100% 확신은 없지만 거의 분명하게 나는 책 뒤 표지의 사진, ‘멋진 sunglass를 끼고 호탕한 미소를 짓는 군인‘의 모습을 기억한다. 당시 나는 이 책을 읽지 않았지만 연숙으로부터 들었던 것들, ‘6.25 동란을 겪는 영화 같이 파란만장한 과거, 사랑하던 여성, 기적같이 신부가 되었던 이야기’ 모든 것들이 그야말로 어떤 영화를 보는 느낌을 받았던 기억들.. 그러고 나서 이 고 마태오란 이름은 30여 년의 긴 인생역마차 바퀴에 치어 나의 관심권에서 완전히 사라지고 잊혀졌다가 홀연히 나의 눈앞에 나타났다.

Googling으로 본 고 마태오 신부님, 이미 돌아가신 것은 어렴풋이 알고 있었지만 확실하게 2004년 12월 31일에 선종하셨음을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풍채 좋았던 몸집’에 걸맞게 역시 고혈압과 당뇨병으로 고생하시고 75세란 ‘길지 않은’ 생을 마치신 것, 타국 땅 캐나다의 어떤 양로원에서 가셨다는 사실이 그렇게 가슴을 아프게 한다. 유명인사 라고 해도 생각보다는 쓸쓸히 가신 것 같아 더욱 가슴이 저려온다. 은퇴사제들의 은퇴 후의 option이란 사실 거의 이런 것인가? 그래도 긴 세월 불치병으로 고생하신 것이 아닌 것 같아 그나마 위안이라고 할까?

고 신부님의 저서를 ‘한 번’도 제대로 본 적이 없기에 나는 조금 가슴이 설렌다. 하나, 하나, 하나.. 내가 겪지 못했던 조국의 근대사를 신부님의 눈으로 다시 겪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얼마나 평화통일을 원하셨다는 것은 이미 가끔 짧은 소식을 통해서 들을 기억이 있다. 그런 노력과 현재 모국의 돌아가는 ‘꼴’을 비교해서 생각하면 정말 한숨만 나온다.고 마태오 신부님의 하느님은 도대체 현재 어떤 계획을 가지고 계신 것인가?

이제 이 책을 typing (keyboarding)으로 읽기 시작하며, 일제시대와 6.25동란에 얽혔던 생생한 증언을 소설 같은 이야기로 내가 상상하던 당시의 상황과 비교할 것이다. 그러면서, 나의 1950년대 조국의 모습과, 1980년 초 우리가 세례를 받으며 하느님을 찾고 있었던 시절을 회상할 것이다. Reading by Typing 은 난독, 정독, 완독에 비해서도 훨씬 시간이 더 든다. 그래도 나의 정신건강 상태에 따라 2달 정도 걸릴 것으로 희망을 한다. 이 ‘고생’이 끝나면 그래도 online, softcopy가 ‘영구히’ 남기에 더욱 분발할 것이다.

 

.

1982년 3월경 신시내티에서 열린 성령세미나, 고마태오, 왕영수 신부님 그리고 최옥진 데레사 모두 한 자리에.. 왼쪽 제일 뒷쪽에 연숙, 고완석씨 등의 얼굴도 반갑다.

수녀님 옆에 있는 연숙, 이 수녀님은 양수녀로 나중에 아틀란타 성당에서 신부파, 수녀파로 싸우던 그 장본인이다.

 

another day in the life

인생의 황혼기에 아주 길지 않을 것 같은 이 시간들은 초록빛이 하늘을 덮었던 지나간 시절들에 비해서 일초 일초가 너무나 귀중할 것이다. 그런데 나는 과연 이 귀중한 시간을 귀중하게 아끼고 있는 것일까? 어제, 오늘 찬물을 뒤집어 쓴 기분으로 일초 일초의 의미를 되 찾으려고 발버둥을 친다. 하지만 무슨 깊은 함정에 빠졌다는 기분은 떨칠 수가 없다. 이것도 그저 며칠이 지나면 또 a day in the life가 될 것이지만 그래도 아깝기만 한 일초일초.. 시간은 거침없이 지나간다.

예측할 수 없는 감정의 기복과 인간관계에 의한 놀라움, 잘잘못을 떠나서 전혀 예측할 수도 없고 방지할 수도 없는 그야말로 함정 중의 함정, 예방책이 그렇게 효과적이 아님으로 사후 대책에 안간힘을 쓰지만, 이것은 최소한의 냉각기 같은 시간이 필요함을, 오랜 인생의 경험에서 체득한 바다. 그저 .. let it be, let it pass, let’s wait and see.. 같은 값싼 말만 되 뇌일 뿐이다. 청명하고 빠삭.. 한 깊은 가을 하늘을 바라볼 뿐이다. 지나가라.. 지나가라..

Sudden death, black day, blow-up day 같은 간단한 단어들이 나의 journal 에 적힐 뿐 다른 활동은 거의 없는 이런 며칠을 어떻게 보낼까.. 이런 지혜는 성경의 어느 구절에 나오는 것일까? 아니면 어떤 inspirational books같은 것은 없는 것인가? 결국 며칠 동안 실감하는 것은 이것이다. 인간은 비록 사회적 동물일 수 밖에 없지만 때에 따라서는 절대적으로 고독한 ‘홀로 존재’라는 놀라운 사실이다. 결국은 인간은 혼자인 것이다. 그래도 여기에 위로는 있다. 절대로 혼자인 인간은  놀라운 transcendent nature 를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 오감과 경험에 의한 것들에서 초월한 것들, 감성적이 아닌 이성적인 믿음을 향하는 존재라는 사실이다.  결국은 나는 ‘며칠 동안’ 이곳으로 몸과 마음을 의탁하며 Robert Spitzer의 글1을 다시 묵상해 본다.

 

The dark side of life can sometimes be quite daunting, but the love of Christ, prayer, the Church Community, the Holy Spirit, the Holy Eucharist, and the Word of God can bring light into the darkness. This gives rise to a great mystery that most people of faith will well recognize – that challenge oftentimes turns into opportunity, suffering into new viewpoints and ways of life, dejection into strengthened hope, fear into trust in God, weakness into spiritual strength, temptation into strengthened virtue, and confrontation with evil into the triumph of love.

 

  1. Robert Spitzer, S.J., Ph.D. 2016.  God So Loved The World.  San Francisco: Ignatius Press, p. 340

Spitzers’ Quartet

 

God and Science” by Fr. Robert J. Spitzer, S.J.

 

한번에 3권의 책FINDING TRUE HAPPINESS, THE SOUL’S UPWARD YEARNING, FIVE PILLARS OF THE SPIRITUAL LIFE 그것도 동일한 저자의 책을 order한 것, 오랜 만이 아니라 처음이 아닐까? 예전에 이렇게 여러 권의 책을 샀으면 아마도 꽤 $$이 들었을 것이다. 그 때는 거의 모두 technical한  책들이라 최소한 한 권에 $30~$40 이상은 되었을 것이니까.. 하지만 요사이 나의 관심을 끄는 science & religion분야의  책 들은, 하느님이 도우사 그렇게 내가 못 살 정도로 비싼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서 이런 책들은 그렇게 인기가 많은 것이 아니라는 뜻일 수도 있기에 조금은 mixed feeling일 수도 있겠지만.. 상관이 전혀 없다. 내가 필요한 내용들이고 나의 호기심에 대한 해답을 충분히 줄 수 있는 것이니까 일반 독자에게 인기가 있건 없건 ‘전혀’ 상관이 없다.

The Spitzer’s Quartet

 

우연히 알게 된  가톨릭 예수회사제인 하와이 태생, Father Robert Spitzer, 이 신부님의 책을 읽으면 읽을 수록 ‘이것이 내가 오랫동안 알고 싶던 것에 대한 답이다!’ 라는 감탄과 흥분을 자아내게 한다. 그러니까.. 오랫동안 나에게 의문이 되었던 것이지만 ‘물어도, 찾아도 해답을 찾기 쉽지 않았던’ 그런 것, 분야들, 그것들도 이 신부님의 주관심사였기에, 이것이야말로 ‘아다리’가 딱 맞은 기분이다. 이분은 materialistic science, scientism 을 항상 염두에 두고 이론정연 하게, 이성적으로, ‘수리분석, 과학적으로’, 영성적인 것과 초월적인 것에 접근을 하는데.. 바로 나를 염두에 두고 쓴 것 같은 착각을 받을 정도다. 이런 분의 책이 30년 전에 이세상에 나왔으면 나의 인생은 조금 달라지지 않았을까?

영성적인 것은 물론이고 ‘학술적, 지성적, 과학적’인 이 신부님의 apologetics는 가히 ‘호교론’의 초 현대판 교과서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예수회는 전통적으로 progressive, scientific한 분위기지만 이런 ‘초현대적인 접근’은 요새같이 smartphone이 과학기술의 전부로 착각하는 ‘덜 성숙한’ 젊은이들에게 필요한 것이고 아마도 큰 저항 없이 받아들여질 수 있을 것이다. 특히 holy bible의 ‘글자글자’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개신교적 creationism의 ‘분명한 오류’를 수정하는 Francis Collins의 BioLogos 개념과 더불어 이러한 ‘깨우친 신진 영성, 과학자’들이 최근 20~30년 간 활발하게 전개하는 new apologetics는 정말 가려운 곳을 알맞게 긁어주는 효자손 같은 느낌을 받는다.

 

 

 

 

독후감 讀後感 “산 바람 하느님 그리고 나” Part 1

2주일 대출기한이 수개월을 지나가면서 이 책을 우선 반납하여야 한다는 stress를 느끼며 이제까지 ‘시간이 날 때마다’ 이곳 저곳을 훑어보고, 비교적 가볍게 접한 이 책에서 나의 재동 齋洞 동창, 김정훈 부제에 대해서 알게 되고 느낀 것을 정리한다.

신학생 김정훈
신학생 김정훈

이 책을 처음으로 접하면서 제일 궁금했던 사실은 정훈이가 어떻게 그렇게 일찍 타계 他界 를 했던가 하는 것보다는 그가 생전에 어떻게 살았는가, 그의 집안, 가족은 어떠한 사람이었는지.. 어떻게 신앙, 성소를 가지게 되었는지..그런 것들이었다. 하지만 이 책은 그가 20대를 훨씬 넘은 시절부터 쓰여진 일기 형식이기도 하고 자기의 생각이 정성스럽게 담겨진 ‘문학적 냄새’가 나는 글로써,  꼼꼼히 ‘정독’을 하지 않는 한 그러한 나의 궁금증에 대한 답은 쉽게 찾을 수가 없었다.

처음 대강 책을 훑으며 느꼈던 감정은 의외로 반갑지 않는 나의 반응이었다. “좋은 집안, 머리가 좋은 덕으로 선택된 선망의 대상으로 어려움과 고민 같은 것 별로 없이 유럽 유학 중, 좋아하는 등산을 하다가 조난사고로 운명”.. 비록 너무나 이른 인생의 비극적인 마감이지만 이러한 피상적인 이력서적인 눈에 쉽게 뜨이는 사실들 만으로는 정훈이 이야기가 왜 이렇게 ‘김수환 추기경의 서문’이 실릴 정도로 큰 화제나 영원히 남을 만한 책으로의 가치가 될까 하는 의문은 남는다. 물론 이 책을 계속 읽으며 이것은 나의 ‘너무나 성급한’, 생각임을 알게 된다.

 

¶ “산, 바람, 하느님 그리고 나.. “ 김정훈 유고집의 제목인데.. 과연 이것은 어떻게 나온 것일까? 이 궁금증은 19 쪽을 보면 간단한 설명이 나온다. 이 대목은 김정훈의 신학교 영적 지도 신부인 Stefan Hofer신부의 추모의 글에 있는데 그 신부님은 김정훈이 조난을 당한 사고 현장에 있었다고 했다.

우리는 별이 총총한 밤에 세르레스(Serles)에 등반하였던 적도 있었다. (중략) 베텔풀프(Bettel Wurf) 정상 정복자가 된 우리는 그 곳의 방명록에 우리들의 이름도 기록하였다. 베드로(김정훈)는 이름뿐만 아니라 한국 말로 무엇인가 썼다. 내가 무엇을 썼는지 그에게 묻자 그는 독일어로 그 밑에 주를 달았다.

산, 바람, 하느님과 나, 김 베드로.”

이처럼 베드로는 단순한 산에의 낭만주의뿐만 아니라 그때 그때의 깊은 종교적 느낌 속에서 산을 찾고 만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런 ‘회고’를 보며 생각한다. 정훈이는 진정으로 산을 사랑하고 등반을 했지만 단순히 산이 좋아서, 산이 그곳이 보이고 있어서라기 보다는 깊은 종교적 체험을 통한 등반을 더 사랑하였던 듯 싶다. 나도 대학시절 참 산을 많이 찾아 다녔지만.. 어떨까, 종교적인 체험을 하였던 기억이 거의 없음에 정훈이의 나이에 비해 ‘성숙한’ 인생체험은 더욱 돋보인다.

 

¶ 정훈이의 가족관계는 어떤가? 이것은 사실 기본적인 호기심이 아닐 수 없다. 비록 재동 동창생이지만 ‘공부를 잘 해서 경기중학교에 갔다’는 사실 이외는 아는 것이 아무 것도 없다. 재동학교 졸업 후 중학교 시절, 파고다공원 수영장에서 그가 아이(아마도 동생)를 데리고 가는 것을 보았던 기억.. 그것이 전부다. 그러니까 남자 동생은 있었을 듯 하다. 이 책에 가족에 관한 단편적인 이야기들이 간단히 이곳 저곳에 나오기에 한 눈에, 명확하게 알기는 힘이 들었다. 우선 자신이 묘사한 가정은 204쪽에 다음과 같이 나온다.

사직동 김판사네 가정도 한국에서는 신앙으로 가꾸어진 훌륭한 이상적인 가정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근래에 와서 일이 잘 풀려 나가지 않는 면들도 보인다. 아이들이 제 발로 걸을 수 있을 때까지, 자기가 사리를 스스로 옳게 판단할 수 있을 때까지는 부모가 이끌어 주어야 한다. 그들의 인생관과 신앙에 근거해서. 그런데 압도적으로 비중이 큰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그만 손보기가 어려워져 버린 난맥상이 드러나고 있다. (중략) 곧 아버님 돌아가신 지 10년째가 된다. 벌써 그렇게. 강산이 정말로 크게 변했다. 아버지의 그 보화를 캐내어 나눠 줘야 할 큰 책임은 바로 나에게 있는 것이 이 순간 확연해진다. (1975년 3월 10일)

이 글은 1975년 3월 10일 일기에 나오는 것이다. 오스트리아 친구 클레멘스의 가정을 부러워하는 글 뒤에 나온 것이다. 그 친구의 가정이 부러운 이유 중에는 ‘아버지가 높은 지위에 있고 건강한 아이들, 높은 교육을 받은 것, 3남 2녀라는 것.. 이런 것과 더불어 잘 화합된 부모의 교육, 그것도 참된 신앙에 의한 것.. 이라는 사실. 아마도 김정훈의 가정도 이에 뒤지지 않았던 이상적인 가정은 아니었을까? 하지만 10년 전에 돌아가신 ‘김판사’ 아버님의 비중이 너무나 컸기에 가정은 ‘난맥상’이 드러났다는 판단이다. 그러니까.. 1965년 경에 아버님이 타계를 하셨으니까, 정훈이 경기고 3학년 때였을 것이다. 혹시 그런 충격이 정훈이에게 깊은 성소의 뜻을 남긴 것은 아니었을까? 사회적 지위가 높고, 신앙심이 깊고, 가정을 사랑하는 아버님을 가진 정훈이었다. 아버지 없이 자란 나로써는 부럽지 않을 수가 없다. 분명히 천주교 가정이었기에 자연스럽게 천주교인이었을 정훈이네 가정, 혹시 대대로 내려온 ‘박해 받았던 가문’은 아니었을까? ‘비중에 컸던 아버지’에 대한 회고는 이곳 저곳에 나온다.

나가이 다카시의 ‘만리무영’에서 여러 대목을 읽었는데 느끼는 점이 많다. 우선 그 글에서 풍기는 분위기가 차분하고, 원만하고, 노력을 기막히게 많이 한 신앙인인 것을 알게 해 준다. 내게 특히 좋게 여겨지는 것은 그 글의 분위기와 저자가 바로 돌아가신 아버지를 연상시키는 까닭이다. 무엇보다 진지하고 신념에 찬 신앙인의 모습을 보여 주는 것도 그러하고, 어투며 그 상황까지 어쩌면 그렇게 흡사할까. 공감 가는 점이 정말 많다. 자식에 대한 배려, 아내 생각 등도 아버지 경우와 같다. 동시에 그 사람의 아들들은 어떨까 하는 호기심이 부쩍 동하는데, 많은 사람이 우리 집안이나 나에게 대해 갖는 기대와 주시도 그런 종류일 것이다. 불쌍하신 아버지, 죽음을 앞두고 아내를, 자녀들을 그대로 놔두고 가야 한다는 것을 알았을 때 무슨 생각에 젖으셨을까? 얼마나 우심 憂心 이 크셨을까? (1972년 6월 11일)

위의 일기에서, 아버지가 권해준 책을 읽으며 그 책의 저자가 아버지를 연상시키는 ‘좋은 점’들을 열거한다. 여기서 보아도 그 아버지는 정말로 존경 받을 만한 가장이었음이 짐작이 된다. 일찍 운명을 하신 아버지, 아마도 불치의 병으로 돌아가신 듯하다. 장남일 것 같은 정훈이, 이때부터 아마도 가장으로써의 기대를 받으며 성장하지 않았을까?

 

¶ 20대를 꽉 차게 살아오던 정훈이의 모습, 언행, 성품 등은 어땠을까? 이것은 친구들이 본 것이 아마도 제일 정확한 것이 아닐까? 일찍 타계한 친구를 보내며 친구 대표 ‘기헌’의 ‘조사’에 잘 묘사되어 있다.

너는 너의 가족들이 기도하며 바랐던 대로, 평소에 너를 아끼고 사랑했던 사람들과 친구들이 기대했던 대로, 너의 훌륭한 재능과 착하고 인간미 넘치는 성품이 더욱 닦아지고 완성되어 이 한국 교회를 위해서 많은 일을 했어야 하는데.. 이제 겨우 서른 해를 넘기고 가다니.. (중략)

너는 순진하고 단순하면서도 깊이가 있는 사람이었어. 너의 신심 생활의 진보는 언제나 앞서 있었고, 너의 정신적인 사고력은 언제나 예리하게 우리를 압도했었지.

책 읽기를 그렇게나 좋아하고, 깊은 명상과 기도의 생활을 너는 얼마나 사랑했었니? 그러면서도 네 마음은 언제나 뜨거운 인정이 넘치고 있었다. 친구들을 얼마나 사랑하고 아낀 너였는지 우리는 잘 안다. 모든 친구들에게 한결같이 잘 해 주었어. 특히 괴로운 일을 당하고 있는 친구들에게는 어떻게 해서라도 도와 주고 싶어하던 너였지. 너의 특징인 아무 말도 못하고 그저 머리를 긁적거리면서 두 눈을 껌벅거리던 너. 어떻게 해서라도 그 괴로움을 나누고 싶어 너는 애썼지.  (중략) 그러기에 친구이면서도 우리는 너를 존경하였고, 우리를 대신해서 큰 일을 해 주리라 믿었다. (중략) 착하고 아름답게 산 너의 영혼이었기 때문에 우리는, 주님께서 말씀하신 백 배의 보상을 틀림없이 천국에서 받을 것이라고 확신하고, 너와 영결하는 이 마지막 순간을 기쁘게 받아들이겠다. (1977년 6월 7일, 정훈이를 보내며.. 친구대표 기헌이가)

비록 고인을 기리는 조사이긴 하지만 이 글에서 정훈이의 이목구비, 면모, 표정, 성격 들이 직접 간접적으로 다 보인다. 나로써는 이것이 ‘성인’ 정훈이를 상상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친구들에게 그렇게 기대를 받았던 ‘장래가 촉망되던 큰 재목’ 이었다는 인상을 받지 않을 수가 없다.

 

¶ 가톨릭 신부와 여성, 신부 지망생 그러니까 신학생이었던 김정훈은 어떤 여성관, 여성 경험을 가졌을까.. 20대 중반의 혈기왕성한 ‘멋진 남자’에게 여성과의 교제가 없다는 것은 사실 말이 안 된다. 나와 동갑(돼지띠) 이기에 1970년대 중반의 나를 생각하면 너무나 쉽게 상상이 가는 것이다. 다만 나의 background와 그 이외 많은 것들이 아마도 나와는 ‘하늘과 땅’ 같은 차이가 있었음을 생각한다.

우선 절대자 하느님, 예수님을 자연스레 알고 믿는 그, 완벽한 가정교육을 받고 자란 유복한 가정.. 등을 생각하면 정말 ‘자격을 갖춘 멋진 여성’이 그의 주변이 있었을 듯 하다. 다만 이 유고집에는 그에게 가장 중요한 여성, J 라는 여성만이 눈에 뜨인다. 과연 J란 여성은 누구일까? 거의 한 chapter “J와 인생” 이 J 라는 여성에 관한 일기인 것을 보면 ‘신부와 결혼’에 대한 그의 결심에서 가장 심각한 인물이었음 에는 틀림이 없다.

J에 대한 나이, 출신배경, 알게 된 경위 같은 것은 알 수가 없다. 다만 집 식구들에게는 알려진 사람, 공개된 데이트였음은 확실히 알 수 있다. 신부를 지망하는 신학생과 데이트를 하는 여성은 어떤 여성들일까? 결혼을 전제로 할 수가 없는 100% 순수한 지적인 만남이었을까? 계속되는 깊어지는 만남에 자신에게 제동을 거는 자신의 결심도 보인다.

J와의 문제에 단안을 내려야 하고, 내렸으면 확실하게 밀고 나가야 한다.

‘그래야 하는 까닭’

1. 실험적인 사귐은 있을 수 없다.

2. 그렇지 않으면 내 자신이 문제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타의에 의하게 됨.

3. 그녀를 위해서도 더 깊어지지 않는 것이 좋다. 실제로 나의 결론은 지어졌는데, 실행은 빠를수록 좋다.

4. 언젠가 끝에 가선 내가 당황하게 될 것이다.

이 문제는 내 햄, 내 의지만으로 될 수 없는 것이니 주님, 빛과 길을 주소서. 이럴 때 주님을 찾는다고 나무라지 마소서. 이럴 수밖에 없습니다.

이 일기에서 그는 ‘조직적’으로 차근차근하게 문제의 본질과 방향을 찾으려고 필사적인 노력을 한다. 문제의 심각함과, 어려움을 알고 그는 결국 ‘절대자’의 힘을 기대하고 있다. 그 당시, 나의 모습을 여기에 비추며 돌아본다. 이런 문제에 있어서, 나는 절대로 혼자였다. 절대자가 절대로 나에게는 없었다. 혼자였던 나는 모든 것을 ‘나침반’이 없이 헤매며 허우적거린 세월들이었다. 나와 정훈이의 20대 중반은 이렇게 하늘과 땅만큼 멀리 있었던 것이다. 그는 한마디로 ‘은총을 일찍 받았던’ 영혼이었다.

곧바로 그는 J에게 쓴 ‘헤어짐의 편지’를 쓴다. ;7월 23일자 일기에 편지가 실려있다. 분명하지 않은 것이.. 이 편지는 일기인가 아니면 실제로 J에게 보내진 편지인가 하는 것이다. 이별의 편지, 참 balance와 courtesy, essence가 모두 있는 편지가 아닐까?

J씨 귀하,

이 시간을 얼마나 기다렸는지 모릅니다. 왜냐하면 어차피 있어야 할 순간이고 또 그 때는 빠를수록 좋기 때문입니다. 이런 책이며 글 같은 것이 부질없는 것이고 오히려 없느니만 못한 것이라고도 생각됩니다만 다른 방법이 없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역시 글로 써야 제 뜻을 그래도 명확히 전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동안 정말 고마웠습니다. 그리고 참으로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그 동안 받은 것에 대해 어떻게 감사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주로 받기만 하고 드린 것은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그것은 제가 주는 방법을 몰라서가 아니라 줄 것을 가지고 있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사람에게는 누구나 자기의 길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설령 기존의 길이란 있는 것이 아니라 해도 자기가 뜻을 정하고 온 가능성을 모으고 있는 터에 이와 상치되는 사상 (事象)을 지닌다는 것은 일을 이루지 않겠노라는 것과 다를 바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저의 목표가 확실한데 이런 상태를 계속한다는 것은 저로써 더 이상 용납 못 할 일입니다. 그것은 제 자신과 J씨를 크게 속이는 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이것입니다. 그리고 그 시간이 길면 길수록 쓰라림만 커질 것입니다. 여기서 해야 할 것이 무엇이겠습니까? 저는 항상 이것을 알면서도 갈팡질팡하며 생각을 모으려고 노력해 왔습니다. 그리고 오늘을 기다린 거지요.

지금 이 글월을 쓰면서 저는 이 글의 의미가 엄청난 데 스스로 놀랍니다. 이는 우리의 사귐에 대한 결단일 뿐 아니라 저로서는 제 삶의 의미를 향해 다시 한 번 크게 내딛는 순간이기도 한 때문입니다. 이런 결정이 일방적이고, 제게 있어서는 쉬운 일이고 또 회피가 아니냐고 하지 마십시오. 또 이 일이 그런 점을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하고, 단안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이냐고 도 하지 마십시오. 제가 얼마나 힘들게 이 글을 쓰고 있는지 또 그런 만큼 얼마나 정확하게 그 의미를 파악하려 하고 있는지를  J씨라면 아실 것입니다. 우리는 일생에 몇 번은 결정을 내려야 할 때를 만나고, 또 한 번 내린 결정은 단호히 밀고 나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J씨는 제게 너무도 과분하고 소중한 분이었습니다. ‘두 번 다시 그런 사람은 만나지 못한다.’ 는 것을 분명히 알고 있습니다. 그런 만큼 지금의 제 심정도 몹시 단호함으로 차 있습니다. 아니, 단호하려고 애써 노력하고 있습니다. 학교 주소도 아시고 또 9월에 학관에도 나가겠지만 제게 소식 주지 마시기를 바랍니다. 끝으로, 언젠가 고등학교 때 학생회장이 말했다고 한 것처럼 저도 J씨가 그 근본을 향한 고귀하고 투철한 노력을 조금도 흩뜨리지 않고, 그 동안 얘기했던 모든 것을 이루실 수 있으리라고 굳게 믿으며, 용맹스럽게 전진하시기를 진정으로 빕니다.

– 김정훈

이 책은 그 동안의 우정에 대한 저의 기념의 선물입니다. 기꺼이 받아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작별편지를 보면, 그의 확고한 결심을 J에게 전하며 다시는 연락을 하지 말라는 부탁을 한다. 이 정도만 아주 단호한 결심이 아니었을까? 이런 것으로 보아서 J라는 여성은 ‘적극적’으로 정훈이를 만나는 사람으로 느껴지고, 아주 나이에 비해서 성숙할 것이라는 생각도 든다. ‘9월에 학관에도 나간’다는 구절을 보아서 이들은 아마도 같은 ‘학관’에 다녔던 것은 아닐까? 학관이란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대강 그 당시에는 ‘학원’이라는 말을 썼는데.. 학관은 종류가 다른 것이었을까? 마지막 구절에 ‘근본을 향한 고귀하고 투철한 노력을 … 용맹스럽게 전진하시기를..’ 이것으로 J라는 여성도 무슨 뚜렷한 목표를 향한 ‘지식층’ 여성이었을 것 같은 느낌도 받는다.

이 ‘편지 일기’ 이후에도 그는 사실 J를 잊은 것이 아닌 것 같다. 계속 J를 만나며 그녀에 대한 글이 나오니까.. 아마도 서로가 ‘가벼운 마음’으로 ‘결혼의 가능성을 배제한’, ‘진정한 친구’로써 만난 것일지도 모른다. 다음 8월 21일의 일기는 J에 대한 끈질긴 미련과 자신의 필연적인 결심에 대한 분석이 나온다.

J를 본 지 열흘이 지났다. 지난 금요일과 월요일에도 만나지 못했다. 당연한 일이다 하면서도 보고 싶다.

그냥 당겨지는 이 마음은 무엇인가? 왠가? 누가 무엇이라 한다 해도 이런 마음은 참 순수한 것이다. 그리고 자연적 현상이다.

간단한 기록으로 끝나려 했는데 또 길어진다. 내심에 잠겨 있는 것이 들고 일어나는 까닭이다. 파헤쳐 본다는 것도 힘에 겨웁다.  문제는 결단만이 해결의 관건임을 너무나 잘 알고 있다. 또한 결단을 내렸으면 책임지고 수행해야 하고, 끝까지 충실해야 한다.

그런데 결혼도 포기하고, J와 같은 사람과의 사귐도 금기(禁忌)인 신부가 되려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신부행(神父行)을 결심한다는 것은 그만한 의미가 있어서일 터인데 과연 그런가? 어째서 내 단 하나뿐인 인생을 사제에다 걸었는가? 사제가 무엇인가? 그 본질을 분명히 보고 결단해야 하는 것이다. 오늘은 비교적 분명하게 문제점들이 드러난다.

내가 보는 신부에 대한 정의, 그 신원(身元)은? 고전적 정의로서는 내게 그 의미가 약하다.

위의 일기로 나는 그가 아직 신부가 되려는 결정을 하지 못한 것을 안다. 하지만 계속 내면적으로 고민을 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자연적으로 생리적으로 끌리는 사랑을 느끼는 이성, 그것도 20대 중반의 나이에.. 어찌 간단히 결단을 내릴 수가 있단 말인가? 이 과정에서 김정훈의 ‘결단의 힘’을 볼 수 있다. 한 인간인 여성에 대한 사랑, 관심, 끌림 등과 신부가 되려는 성소의식이 치열하게 싸우는 듯한 몇 개월로 1973년의 마지막을 보내는 김정훈, 드디어 무서운 결단을 내리며 편지를 쓴다. 신부가 된다는 확고한 결심이다.

J씨 귀하.

이 시각을 위해 사귐을 해 왔다는 말이 과언이 아닐 정도로 저는 초조하리만치 이 순간을 기다려 왔습니다. 뜻밖의 이 글월을 받고 놀라시리라 믿습니다만 끝까지 읽으시기 바랍니다. 이 글이 가능한 근거는 우리가 하느님을 지고(至高)로 모시고 있고, 그 동안 J씨나 저나 거짓 한 점 없이 서로 성실하였다는 사실 자체에 있습니다. 무슨 얘기를 하려는지 벌써 짐작을 하실지 모르나 정말 그렇습니다. 결단을 지금 내려야 합니다. 일찍이 저는 신부행(神父行)을 결단했습니다. 설령 각 사람에게 이미 정해진 길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해도 저의 그 선택에는 후회나 변함이 없습니다. J씨는 제게 너무나도 소중한 분이었습니다. 지난 번에 J씨가 말한 뜻대로 그 동안 우리는 분명 서로에게 성실하였습니다. 그러나 한계가 있다는 것 자체가 피치 못할 불성실의 시작입니다. 반드시 그렇습니다. 제가 J씨를 아끼는 그만큼 이 문제는 절실합니다. 이 문제는 누가 무어라 해도, 어떤 식으로 가설을 세운다 해도 사실입니다. 이 점을 항상 의식한 저는 두려워하면서도 이 시각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한껏 회피하려 했으나 결단은 있어야 할 것이 분명합니다. 그리고 빠를수록 좋을 것입니다. 비참하고 단호한 심정으로 이 글을 씁니다. 저는 이 글을 쓰기가 쉬웠고, J씨는 어렵다고 믿고 싶지 않습니다. 우리의 만남, 사귐이 그렇게 순수했던 것처럼 이 시작도 서로에게 순수해야 하고, 전적인 동의로써 받아들여져야 한다고 믿습니다. J씨는 J씨의 길을 힘차고 명랑하게 가십시오. 저도 제 길을 용기 있게 웃으면서 가렵니다. 이상이 제가 쓰고 싶은 전부입니다. 사실 J씨는 이 글의 진의(眞意)를 잘 알고 계십니다. 저의 집 전화번호도 알고 또 찾을 수도 있지만 저를 찾지 마십시오. 이별은 엄청난 사건이지만 한 순간에 이루어집니다. 저도 결코 J씨를 찾지 않겠습니다.

1973년 12월 26일 김정훈

정중하고 진심이 우러나오는 글이지만, ‘영원히’ 남녀로써 헤어져야 한다는 냉혹한 진실 또한 외면하지 않았다. 미련을 0%도 남기지 않고 그는 ‘결코 J씨를 찾지 않겠습니다.’라는 작별인사로 끝을 내는 그.. 얼마나 괴로웠을 결단이었을까? 그 나이에 나라면 ‘절대로 절대로’ 못하였을 것이고 그렇게도 하지 않았을 것이다. 다음 해 1974년 봄 무렵 유럽 유학을 떠나는 그는 아마도 그 때서야 J씨를 조금은 더 쉽게 잊을 수 있지 않았을까? 그렇게 남녀관계는 알 수가  없는 것이니까..  (Part 2로 계속 됨)

 

C. S. Lewis, Mere Christianity

Scan10137-1

 

C. S. Lewis.. Clive Staples Lewis or Jack Lewis.. 불과 1년 전만 해도 내 관심의 radar ‘위’에는 없었던 이름이었지만 사실은 ‘radar의 밑’ 에서 전부터 분명히 있었던 이름이다. 2005년에 나온 children’s fantasy movie였고 우리들이 ‘아이들’ 에게 ‘억지로 끌려가서’ 보았던 big screen blockbuster move.. 바로 The Chronicle of Narnia1, 의 첫 편,  The Lion, the Witch and the Wardrobe 가 C. S. Lewis의 1950년대 초 작품이었던 것.. 이 영화를 볼 그 당시만 해도 나는 이 C. S. Lewis가 누구인지 ‘전혀’ 몰랐었다. 그저.. ‘영국계통’의 ‘영감, 꼰대2 같이 생긴 영문학 교수, 문필, 소설가’ 정도로만 알고 지나갔었다. 이 영화를 같이 볼 당시, 큰 딸 새로니의 설명에 의하면 학교 elementary school  다닐 당시 이 책은 ‘필독’의 대상이었다고 했는데 나의 귀에 남았던 것은  ‘아마도 이 책의 발상은 기독교 성경이 아닐까’ 하는 뜻밖의 말이었다. 그 예로 lion king이었던 Aslan이 예수의 전형 model이었다는 것, 그것이 나에게 전부였다, 최소한 그 당시에는..

그 후 10년이란 세월이 흐른 지금은 어떤가? 우습게도 나도 ‘꼰대’가 된 이 시점에서, 이 ‘꼰대, 영감’에게 완전히 매료가 된 상태가 되었다. 그런 이유 중에 제일 돋보이는 것이 바로 그의 1950년대의 classic , Mere Christianity라고 할 수 있다. 그는 Oxford 대학의 대표적 영문학교수였지만 그의 관심은 이것을 뛰어넘어 (Christian) apologetics 에 후대에 더 그의 명성을 날리게 하는 영향력 있는 글을 남겼다. 쉽게 말하면… 좀 ‘배운 사람’에게 종교 (주로 그리스도교)를 알리는데 논리적으로 설명하는데 타의 주종을 불허하는 설득력을 가진 그 자신이 지식인 중의 지식인인 그런 사람이랄까.. 다른 말로.. 대부분 전통적인 교육을 받은 사람들에게 안 믿어지면 ‘무조건 믿어라’ 라는 식의 전교를 큰 효과가 없으니까, 그들의 수준에 맞게 ‘논리, 이성적’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것.. 그것이 그가 종교, 특히 그리스도교의 apologetics에 남긴 빛나는 유산인 것이다.

  1. C. S. Lewis가 1949년부터 1954년 까지 발표한 children’s fantasy series: 41가지 언어로 전 세계적으로 1억을 넘는 판매부수를 자랑하는 저자의 가장 인기 있던 작품
  2. 아주 옛날에 유행하던 비어, 그저 별볼일 없이 보이는 영감탱이를 뜻했다.

초조한 사순절 4주째..

차분하고 경건해야 할 것만 같은 사순절의 한 가운데를 지나면 왜 이렇게 ‘우리’는 초조함을 느끼는 것일까? 평화가 줄어들고 수심과 걱정이 휩싸이는 느낌.. 이번 사순시기는 무엇인가 이런 느낌을 떨칠 수가 없었지만 대부분 나의 탓이기에 할 말이 없다. 내가 그렇게 만든 것.. 이라고 생각한다. 해야 할 ‘중요한’ 것은 계속 뒤로 미루며 사는 것, 왜 나는 진정한 proactive한 인간이 못 되는 것일까? Matthew KelleyThe Four Signs of a Dynamic Catholic에게 오랜 만에 자극을 받는가 싶었지만 다시 주저앉는 나의 모습.. 절제된 자기훈련이 된 하루하루를 살고 싶었고 그렇게 할 희망은 충분히 아직도 있다. 비록 치통에 모든 잘못을 탓하고, 비실비실 잠열에 뒤척이는 모습이었지만.. 훌훌 털고 일어나자! 작년에 비한 우리의 ‘위상’은 하늘과 땅이 아니던가? 최소한 무언가 변하게 될 ‘희망’이 있지 않은가?

진정으로 우리를 초조하게 하는 것은 배해숙 자매의 병세 때문일 것이다. 생각보다 더 약한 모습으로 변하는 자매님, 돼지띠 동갑 자매님.. 놓칠 수가 없다. 우리 부부는 그런 심정으로 지금 싸우고 있는지도 모른다. 얼마 더 오래 살지는 하느님만 아시겠지만 우리의 ‘요구’는 최소한 이 자매님이 짧지 않은 ‘진정 행복한 나날’을 아드님들과 즐길 수 있는 ‘건강한 나날’을 주시라는 것이다. 수 십 년도 아니고 아니 몇 년이라도 좋다. 진정한 행복한 인생이 무엇인지 되돌아 볼 수 있는 건강한 기간, 시간을 주시라는 우리의 기도가 그렇게 무리일까? 아니지요.. 성모님.. 어머님.. 인자하신 성모님, 기도해 주세요.

오늘 예정대로 ‘병원’에서 배 자매님의 세례식이 ‘거행’될 것이다. 분명히 그녀는 하느님의 자녀로 새로 태어나실 것이다. 그것과 더불어 더 건강한 새 생명이 함께 하시게 되시기를 우리는 기도한다. 하신부님의 배려로 성사되는 이번의 세례식.. 조금 있으면 떠나게 되는 하 신부님, 지금부터 서운하기만 하다. 어쩌면 나와 그렇게 모든 ‘코드’가 잘 맞았는지 아무도 모들 것이다. 이런 신부님 앞으로 나는 다시 못 만날 것이다. 개인적으로 친해지고 싶었지만.. 지금은 모든 것이 다 지나지 않았던가..

경제대왕 숙종

얼마 전에 인호형의 email을 받았다. 예의 ‘김인호 컬럼’이 아닐까 했지만 이번에는 다른 ‘한양대 명예교수 정기인 교수‘에 관한 것이었다. ‘국제무역 특히 상사(商事) 중재 분야의 국내전문가’라고 소개 된 이 정교수가 ‘대변신’을 해서 어떤 책을 출간한 것에 관한 소식이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전공인 경제와 다른 분야인 역사를 접목하고 거기다 ‘문학’ 장르를 감싼 그야말로 대 변신이었다는 것이다. 이름하여 ‘경제 역사소설’이라고 한다. 어떤 역사를 경제인의 눈으로 본 것이라고 하면 큰 무리가 없을까 생각을 했다.

소개된 글에 의하면 정 교수는 아마도 조선기에도 ‘경제통’이 있었을까 연구를 한 후에 그 사람이 바로 조선 19대 왕 숙종이었고, 수많은 사화를 통해 피를 뿌린 정치 뒤에는 ‘거대한 새로운 화폐 경제‘의 창출이 있었다고 한다. 이때가 바로 조선 전역에서 화폐가 보편된 때라고 한다. 화폐가 있어야 가치가 나오고 경제적 발전이 온다고 한다. 또한 더욱 흥미로운 사실은 그런 ‘정책’에 장희빈의 역할이 컸다고 했다.

 

 

정기인 명예교수 시사 talk 대담

 

나는 역사통도 아니고 경제통도 아니지만 상식적인 선에서 이런 사실은 가능하다고 추측은 한다. 한가지 사건을 여러 쪽의 각도에서 보는 것은 충분히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예전의 사극에서 본 것처럼 장희빈과 숙종의 이야기는 분명 흥미위주의 가느다란 각도로 본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나의 의문은 이 ‘소설’이 몇 percent가 fiction인가 하는 것인데 거기에 대한 명쾌한 답은 찾을 수가 없다. 그가 출연한 TV Talk Show에서도 그것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기에 그저 나는 아마도 ‘거의가’ 다 사실적, 역사적인 것이 아닐까 생각을 해 보았다.

 저자인 정기인 교수는 “과거역사에서 음모술수와 권력투쟁, 전쟁으로만 묘사된 불건전하고 부끄러웠던 역사를 완전히 씻어냈다’고 자부를 했고, “전문가”로부터 “재미: 95점, 신지식: 100점, 다음 작품에 대한 기대치: 90점“을 받았다고 했다.

 

신간: 정기인 저, 경제대왕 숙종

신간: 정기인 저, 경제대왕 숙종

이 책을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부끄러웠던 역사를 씻어냈다”고 하는 것은 어떤 뜻일지 조금 의아해진다. 역사를 그렇게 쉽게 바꿀 수 있는 것일지. 만약에 fiction으로 쓰여진 것이라면 그런 표현을 해도 되는 것인지.. 숙종의 “경제업적”을 박정희 대통령의 경제 성과와 비교하는 표현도 흥미롭기만 하다. 

 


세계 최초의 『경제 역사 대하소설』

 

경제 대왕 숙종

숙종,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멸망한 조선을 경제대국으로 만들다

 

매일경제신문사 발행

 

노벨문학상에 도전하는 세계 최초의 ‘경제역사’소설!

-이제까지 역사소설은 음모술수, 권력투쟁, 전쟁뿐이었다-

-이제까지 노벨문학상작품들은 암울한 인권만 묘사했다-

-진정한 인권은 먹는 것과 전쟁예방이다-

 

숙종은 백성의 진정한 인권은 ‘먹는 것’과 ‘전쟁예방’이라 생각했다!

왜, 역사소설들은 음모술수, 권력투쟁, 전쟁 등 불건전한 주제만 다루었을까? 이 소설은 진정한 인권은 먹고 사는 것임을 확신하고 쓴 ‘경제역사소설’이다. 소설은 숙종이 화폐경제로 저축과 투자, 생산, 고용, 외상거래라는 초기자본주의 거시경제운용을 해서 불과 30년 만에 단축성장으로 경제대국을 이뤄냈음을 발견했다.

숙종은 박정희대통령에 300년 앞서 조국근대화와 경제개발에 성공한 경제대왕이었다. 왜란과 호란으로 멸망한 조선을 거시경제운용으로 성장동력을 일으켜 영조와 정조의 부강한 왕조를 열어주었다. 박대통령이 한국에 세계10대 경제대국의 길을 열어준 것과 비슷했다. 숙종 뒤에는 무역 장사꾼이었던 장옥정의 내조가 있었다. 이 소설에는 그 과정이 매우 재미있고 생생하게 그려져 있다.

 

<추천사>

“이 책은 경제역사대하소설이다. 300년 전에도 배곯는 백성을 위해 경제개발에 성공한 임금이 있었음을 알고 자긍심이 생겼다. 나는 한국경제의 개발과정에 깊숙이 관여했던 한 사람으로서 이 어려운 시기에 대학생과 직장인, 공무원, 군인, 정치가들에게 일독을 권하고 싶다.”

서강대학교 전 총장 손병두

 

 

줄거리 요약

이제까지의 역사소설들은 권력투쟁, 음모술수, 전쟁 등 불건전한 주제만 다루었다. 과거의 국가통치자들도 富國强兵을 첫째로 삼았었을 텐데도 ‘富國’은 전혀 다룬 소설이 없었다. 저자는 300년 전에 숙종이 화폐경제로 저축과 투자, 생산, 고용, 외상거래라는 초기자본주의 거시경제운용을 해서 경제대국을 이뤄냈음을 발견했다. 박정희 대통령이 경제대국을 이룬 것보다 더 처절하고 리얼하다.

 

숙종 당시의 사회경제상황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조선의 폐해는 숙종 때까지 전해졌다.

선조실록에 의하면 “기근이 극심하여 사람고기를 먹기에 이르렀는데, 아무렇지도 않게 생각해 괴이함을 알지 못하더라. 길바닥에 굶어 죽은 사람의 시신을 메어 먹어 완전히 살이 붙어있는 것이 하나도 없을 뿐 아니라, 산사람을 도살하여 장과 위, 뇌의 골도 함께 씹어 먹는다”고 씌어 있고, “백성들은 굶다 못해 부모와 자식, 형제간에도 잡아먹었다”고 전하고 있다.

농토는 양란으로 170만결이 40만 결로 축소되었고 경상도는 6분지 1로 축소되어 충청도에 전세를 대신 내도록 명령하자 충청도 농민들은 야반도주했다.

그럼에도 사대부과 아문들은 권력을 이용해 농민과 상인들을 다시 수탈하기 위해 고문과 횡포를 자행한 지옥 같은 상이었다.

숙종은 자본과 교통, 통신, 항만 등 산업인프라와 학교, 병원 등 생활 인프라가 제로인 상태에서 경제적 성공을 이룩한 것이다. 높이 평가해야 마땅하다.

 

숙종의 거시경제운용과 단축성장 성공

저자는 과거 왕조들의 경제문제를 파고들다가 조선시대에 뛰어난 경제대왕이 있었음을 발견하였다. 조선 제19대 왕 숙종은 화폐경제와 거시경제운용으로 조국근대화에 착수해 국토개발과 과학기술개발, 자주국방의 시대를 이룩했다.

숙종의 화폐경제 정립은 경제학적으로 큰 업적이었다. 국가경제는 부가가치창출이 핵심으로 저축(투자)과 소득(소비·고용)에서 나온다. 저축은 화폐가 유통돼야 한다. 위대한 세종대왕이 경제대왕이 못된 것은 저축이 없었기 때문이다.

①화폐(상평통보)유통으로 저축과 투자, 교환, 손익계산, 대부 및 외상거래가 가능한 상업시대를 열었다. ②이로 인해 노동의 상품화가 이뤄지고 인신의 지배예속이라는 중세적 신분제도는 서서히 변화되었다. ③민간부문이 살아나고 공공부문도 숨쉬기 시작했다. 공사의 구분 및 기업과 가계의 분리가 이뤄지며 성장동력이 생겼다.

 

장희빈의 경제적 역할과 성과

숙종 뒤에는 칠패시장(현 남대문시장)에서 무역업을 한 장사꾼 장옥정(장희빈)이 있었다는 우리가 몰랐던 사실이 밝혀졌다.

장옥정은 장현의 조카로 칠패시장(현 남대문 시장)에서 장사와 무역을 했다. 장현은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이 심양에 볼모로 있을 때 6년을 모신 역관이었다.

장현은 효종의 비호아래 칠패시장에서 인삼무역, 비단무역, 무기무역으로 국중거부가 되었다. 장옥정은 외국어를 잘 해서 무역과 장사를 총괄했다.

장옥정은 1680년 22세의 늦은 나이에 장현의 권력야욕으로 궁녀가 되었으나 그녀의 뇌는 시장마인드와 정글법칙에 염색돼 성리학의 사대부들과 충돌한다.

성리학은 송시열을 필두로 선비는 장사나 농사를 해선 안 되며 오직 학문에 정진해야 한다고 주장해 인적자원 낭비의 주범이었다.

숙종 당시 인구는 680만 명인데 선비가 대략 10만 명인 경우 1인당 연간 생산액(GNP)을 30냥(쌀 30석)이라고 어림잡아도 연간 3백만냥의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셈이었다.

장옥정은 숙종에게 사농공상의 신분차별을 타파하고 선비들도 장사와 농사를 하도록 하여 국가의 인적 낭비를 없애도록 권고하였다.

장옥정은 화초처럼 자란 숙종에게 경제마인드를 심어주었으며, 화폐유통 등 경제혁신을 반대하는 노론의 지주인 송시열을 사사하도록 하는 등으로 방해자를 제거해 경제개발에 성공을 이뤄냈다.

그 결과 1,000여개의 장시가 생기고 3백만 명이라는 놀라운 고용이 창출돼 숙종은 불과 30년 만에 단축성장을 이뤄내 영조와 정조에게 부강한 문예부흥시대를 열어주었다.

 

숙종과 장희빈의 자주국방 노력

숙종은 자주국방을 위해 강소대국의 국방전략을 세웠다. 군인의 숫자보다 강력한 폭탄을 개발해서 국방을 강화하려 했다. 요즘으로 치면 핵을 보유해 국방을 강화하려는 것과 유사했다.

장옥정은 숙종의 자주국방에 대한 염원을 이루기 위해 화란의 폭탄전문가를 초청해 비밀리에 폭탄개발에 성공했다.

폭탄개발의 성공을 알게 된 청국은 병자호란 항복강화조약(기축약정) 제8항의 위반이라고 폭탄을 해체할 것을 강력히 압박함(요즘 핵개발을 금지하는 것과 유사)

청국은 이 폭탄이 청국에 대한 공격용인 동시에 외몽골과 위구르에 전달돼 위협이 된다며 폭탄의 해체와 숙종과 장희빈을 북경으로 입조하라고 압박한다.

이 기회를 이용해 노론은 청국과 힘을 합쳐 장희빈을 사사하도록 해서 숙종은 압력에 못 이겨 그녀를 사사한다.

 

장희빈에 대한 노론의 저주와 악담조작

장희빈은 노론에 의해 죽임을 당했지만 그들에 의해 지금까지도 악의적으로 비하되고 있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인현왕후전』과 『수문록』, 『숙종실록』(편집책임자: 인현왕후 오빠 민진원), 『사씨남정기(노론 김만중)』등이 노론의 대표적 허위기록들이다. 한 예로, 수문록은 노론의 사림학자들이 썼다고 보기에 민망할 정도로 저급하다.

“장희빈은 사약을 먹지 않기 위해 발악했고, 아들의 하초를 잡아당겨 고자로 만드는 패악을 부리다 억지로 사약이 부어졌다. 드디어 장녀가 죽으니 하늘의 천벌을 받아 시체가 순식간에 썩어 냄새가 궐내를 진동하는지라 즉시 궁밖에 내다버렸다.”

 

숙종 사후 조선의 몰락

경제대왕 숙종의 경제적 업적 역시 폄훼된 것은 정조가 독살 된 후 정순왕후와 노론의 세도 정치가들이 상인들의 재산을 탈취하고 경제행위를 억압함으로써 성장동력을 말살한 때문이다.

그 결과 경제적 쇠퇴와 자주국방이 불가능해져 일본에게 나라를 바친 것이다.

 

Readers: Hope, Merton

¶  CROSSING THE THRESHOLD OF HOPE

Scan10105-1 몇 개월 전이던가.. 확실치 않다.. 하지만 6개월은 넘지 않았을 것 같은 느낌. 우리가 다니는 미국 본당 Holy Family CC (Catholic Church)의 성체조배실 (adoration chapel) 에서 비교적 낡은 책 하나를 읽게 되었다. 조그만 책자였는데, 눈에 익은 이름이 보였다. HIS HOLINESS JOHN PAUL II.. 그러니까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저자인 책이었다. 제목이 바로 ‘CROSSING THE THRESHOLD OF HOPE” 였다. 직역을 하면 ‘희망의 문턱을 넘어서..’ 정도가 될까. 나 나름대로의 의역은 ‘희망으로 넘어 가며’  조금은 어색한가.. 희망이 없던 사람이 그것을 찾으려 노력하다가 비로소 조금씩 그것을 찾아간다 정도가 아닐까?

성체조배실에서는 주로 성체를 앞에 두고 명상이나 묵상 나가가서 관상까지도 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무엇을 하던 사실 제한은 없는 것 같다. 연숙과 그곳을 거의 정기적으로 가게 된 것은 우리가 ‘평일 미사’를 시작하면서였고 평일 미사가 끝난 후에, 필수적으로 일주일에 몇 번을 하는 것은 정하지 않고, ‘가고 싶으면’ 가는 것으로 했는데 의외로 정기적인 것이 되었다. 이 본당의 성체조배 활동은 참으로 활발해서, 우리의 한국본당 순교자 성당에 비하면 ‘하늘과 땅의 차이’라고 할만 하다. 왜냐하면 순교자 성당에는 ‘성체조배실’이란 것이 아예 없기 때문이다. 항상 비어있는 듯한 컴컴하고 춥고, 더운  순교자 성당의 분위기1와 이곳의 24시간 쾌적하게 돌아가는 성체조배실이 있는 미국본당의 ‘눈에 안 보이는 차이’는 아마도 상상을 초월할 듯 하다. 어떤 자매님은 경험적으로 성체조배 활동이 있는 모든 본당의 신심 수준2은 ‘거의 자동적으로’ 올라가게 되어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나는 성체조배 Eucharistic Adoration  란 것이 처음에 너무나 생소했지만 의외로 좋은 ‘선배’들을 만나서 큰 무리 없이 합류가 되었고 이제는 ‘좋은 시간’ 중에 하나가 되었다. 레지오 덕분에 처음에는 ‘기본’ 묵주기도 의무를 채우려 이곳에서 그것을 하기도 했지만 시간이 지나며 나만의 ‘묵상, 생각’의 시간들이 늘어나기도 했다. 다른 것 중에는 그곳에 비치된 ‘좋은 책’들을 ‘난독’하는 것이다. 거기서 정독을 할 수는 없기에 눈에 ‘꽂히는’ 것을 읽는다. 이런 것들이 우연일 수도 있지만 이제는 그렇게 생각지 않게 되었다. 그 중에 하나가 여기에 언급하는 이제는 ‘성인’이신 요한 바오로 2세의 책인 것이다.

 처음에 이 책을 접했을 때 직감적으로 ‘괜히 어려운 책을 골랐구나..’하는 생각을 했다. 교황님이 쓰신 글들은 ‘무조건 어렵다’ 는 선입관 때문이었을 것이다. 분명히 ‘교황 회칙이 어쩌구.. 교회 헌장이 어쩌구..’ 하는 글들이 태반이기 때문이었다. 그것이 원인이었을까.. 이 책을 조금 읽으며 나는 너무나 놀라서 입이 다물어지지를 않았다. 웬만한 교구신부님3들이 일반 본당에서 하시는 수준의 글들.. 주제 들은 ‘항상 궁금했지만 창피해서 물어보지 못하던 것’들로 꽉 차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이 우연이었을까.. 내가 이 책을 고르게 된 것이.. 아닐 듯 하다.

그렇게 성체조배실에서 ‘가끔’ 즐기던 이 책이 어느 날 보니 다시 찾을 수가 없었다. 누가 ‘빌려간’ 모양인지.. 아쉬운 마음이었지만 포기를 하고 있었는데, 최근에 다시 그 책이 돌아왔기에 이번에는 never again의 심정으로 그 책의 제목을 적어와서 Amazon.com에서 찾았다. 1994년 발행된 책으로 그러니까 20년이 된 책이었다. 역시 이것도 contemporary classic 영역으로 들어가는가.. 왜 이렇게 세월이 빨리 가는가. 아직도 ‘출판’이 되는 책인 것을 보니 역시 popular classic이 된 듯하다. 거의 free로 사게 된 (shipping & handling + nothing!)이 책.. 나와는 우연이 아닌 인연으로 성체조배실 보다 더 쾌적한 나의 서재에서  ‘정독’을 하게 되었다.  읽으며 ‘남기는’ 방법.. Reading by Typing.. 이것보다 더 좋은 방법이 어디에 있을까? ‘성경필사‘를 하는 이유와는 다른 것이지만 아마도 그 다음으로 좋은 방법이 아닐까? 읽은 후에 다른 ‘영혼’들과 이 생각과 글을 나눈다는 것은 내가 생각하는 ‘레지오의 사명‘ 중의 하나일 것이다.

이 책이 나오게 된 연유, 과정이 머리글에 자세히 적혀있다. 그것을 읽어보니 ‘왜 이 책이 그렇게 읽기 쉽던가?’ 하는 의문이 저절로 풀린다. 1993년 가을 이탈리아의 TV 방송국에서 ‘교황청 역사상 유례없는’ 기획을 했는데.. 교황과 TV인터뷰를 하는 idea였다. 그것도 ‘전세계로 방영이 되는’ 것으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은 그 당시에도 거의 ‘의외적’인 교황으로 ‘예상을 불허하는’ 교황직을 수행하고 있었기에 이런 제안을 ‘수락’한 것도 전혀 예상 밖은 아니었다고 한다. 교황과 인터뷰를 하려면 아마도 미리 ‘예상적인 질문’ 이 있었을 것이지만 그것, 대답, 반응도 예측 불허였을 것이다.

하지만 또 예상을 뒤엎고 이런 기획이 취소가 되었다. 너무나 바쁜 교황의 스케줄 때문이었다고 한다. 연기를 할만한 여유도 없었고.. 그러니까 TV 인터뷰 계획은 ‘물 건너 간 것’이 되었다. 몇 개월 후에 또 다른 surprise가 있었는데, 역시 요한 바오로 2세의 ‘예측 불허’한 행적이었을까.. TV 인터뷰 대신에 ‘서면’으로 인터뷰를 할 수 있다는 교황님의 대답이 왔고 그 결과가 이 책이 된 것이다. 이 책을 보면 ‘질문’과 ‘대답’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질문의 ‘수준’이 거의 예비자 교리공부의 것과 비슷할 정도다. 그러니까 교황님이 직접 지도하는 예비자 교리반 같은 분위기인 것이다.

이 책의 비교적 짧은 질문, 대답 을 읽는 것은 한마디로 즐겁기만 하다. 감히 교황님께 이런 질문이… 가당한가.. 하는 것들이지만 ‘기가 막힌 대답’들이 너무나 놀라운 것이다. 이분의 ‘지식’은 상상을 초월하지만 ‘알기 쉽게’ 설명하는 실력은 더 놀라운 것이다. 내가 제일 놀라워한 질문은 ‘예수님이 진정 하느님의 아들인가?‘ 하는 것이다. 이 정도면 우리 교리반 교사들 같으면 어떻게 대답을 했을까? ‘그것도 모르며 어떻게..’ 하지는 않았을까? 아마도 ‘그것은 ‘무조건’ 믿어야 하는 ‘공리’ 중에 하나다’ 할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의 대답은 그런 것들을 모두 뛰어 넘는 ‘자상한’ 대답들이다. 현재 1/4 정도 typing을 하고 있고, 덕분에 더 빠른 pace로 모두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정독을 하며, 각 질문과 대답에 대한 나의 생각을 정리하는 것은 전혀 다른 과제일 듯 하다.

 

 ¶  MERTON by Thomas Merton

Scan10109-1Thomas Merton, 가톨릭 교회, 특히 ‘미국 가톨릭’ 계에서는 너무나 잘 알려진 ‘트래피스트 수사님’..이기전에 bestseller author 인 것을 나는 비교적 근래에 들어서야 알게 되었고 그 분의 사후 posthumous 의 인기와 power를 실감을 하게 되었다. 우선 1968년, 그러니까 아주 오래 전에 ‘선종’한 이 Trappist Monk가  왜 아직도 그렇게 화제이며 유명할까.. 흥미롭지 않은가? 현대판 성 어거스틴, 아우구스티노 라고도 불리는 이분의 일생은 비록 50세를 조금 넘는 비교적 짧은 기간이만 너무나 색채가 진하고 강하고 다양해서 이분의 전기를 쓰는 사람들은 아주 애를 먹으리라 생각이 된다. 50세의 인생을 이렇게 강렬한 후광을 뿌리고 갔다는 것 자체가 ‘멋진’ 것이 아닐까?

The Seven Storey Mountain 칠층산 이란 제목의 ‘자서전, 참회록’이 초기 대표작이지만 그 이후 수 많은 주옥 같은 시집을 비롯한 저서를 남겼고, 사후 이분에 대한 저서는 셀 수도 없이 많다. 그만큼 후대에 큰 영향을 미친 ‘수도자’라 할 것이다. 일화에 위에 말한 그의 첫 자서전이 세상에 나온 뒤 1950년대에 많은 ‘건강한 젊은 남자’들이 이 책의 영향으로 가톨릭 수도회에 입회를 했다고 한다. 그들은 한결같이 뒤 주머니에 이 책을 끼고 왔다고 했다. 그 정도면 대강 짐작이 가지 않을까?

Thomas Merton
Thomas Merton

여기서 이들의 공통점은 그 책의 저자도 당시 ‘젊다’라는 것이고 영향을 받았던 이들도 젊었다는 것인데.. 지금 60대 중반을 훌쩍 넘어가는 나는 과연 이것들과 무슨 공통점이 있단 말인가? 나이에서는 전혀 공통점이 없다. 하지만 ‘진리를 찾고 싶고, 그 진리로 생을 살고 싶다.’ 라는 것은 비슷하지 않을까? 하지만 나는 그들처럼 수도승이 되고 싶지도 않고 사실 이제는 되고 싶어도 될 수도 없다. 그것 빼고 나머지는 나도 ‘진리’를 알고 싶은 것이다.

Thomas Merton을 가장 ‘짧게 소개한’ 글이 있을까? 대강 2~3 페이지 정도로.. 물론 내가 신뢰하는 Wikipedia를 보았지만 그곳은 ‘객관적’인 역사, 사실, 업적 들을 dry하게 기술했을 뿐이다. 그곳에는 ‘주관성’이 개입할 여지가 별로 없다. 그러다가 ‘우연히’ A Thomas Merton Reader란 책에서 내가 원하는 것을 찾았다. 그 방대한 Merton 저서들을 모아서 500 여 페이지 한 권으로 압축한 편리한 이 책의 서두에 있는 Introduction(by M. Scott Peck) 바로 그것이다. 이 ‘소개장’을 한마디로 줄이면 “Merton은 짧은 글로 표현하기 힘든 복잡한 사람’ .. 이것은 나도 이제 충분히 이해가 가고, 그래서 그렇게 많은 책들이 그를 모든 각도에서 조명하려고 했구나 하는 생각도 든다.

 

Merton에 대한 Introduction은 이렇게 시작이 된다. 

It is impossible to adequately “introduce” Thomas Merton. I have a sense I might almost as well attempt to introduce God. This is not because I worship Merton but because he was an extraordinarily complex and complicated man, multifaceted, diverse, and variable. He was one of those occasional people who could be described as “larger than life”.

 

500 페이지의 Reader 어떤 방식으로 읽을까 생각하니 이것이 장난이 아니다. Reading by Typing 물론이지만.. 페이지부터 읽을 것인가.. 아니면 난독random 하게 골라서, 아니면 다른 곳에서도움 받아서 읽을 것인가.. 아직은 전혀 idea 없다. 하지만 이제까지의 경험으로 나는난독으로 시작할 하다. 나에게 방법이 제일효과적임을 나는 알기 때문이다.

  1. 한 여름에 순교자 성당 대성당에서 성체조배를 해본 사람들이면 이것이 무슨 말인지 짐작이 갈 것이다.
  2. 이것은 또한 신자 수와 헌금액수에도 관계가 있을 것이다.
  3. 예수회신부님들이나 수도회 수사들과 다른 일반 목회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