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ispering Spring, Plants Coming Out…

포근하고 편하고 부드럽고 거의 꿈같은 손 길에 앉혀있는 느낌, 새벽의 기온 60도가 이런 것이었던가? 오랜 동안 잊고 살았던 이 포근함이 어쩌면 이렇게 행복한 것인지… 그렇다, 이것은 역시 나이 ‘탓’, 아니 나이의 ‘은총’인 것이다. 아~ 이래서 그렇게 수 많은 ‘노인들’이 sunny Florida로 몰려드는 것이구나~ 이제야 정말로 실감을 하게 되었으니.. 조금 늦은 듯하지만… 그래, 나는 이렇게 인생사가 항상, 언제나 남들보다 늦었으니까…

오늘도 날씨는 따뜻함 그 자체였다. 몸이 갑자기 날라갈 듯 가벼워지고 햇볕이 온 하늘에 가득한 바깥으로 나가지 않을 수가 없었다. 이런 현상은 나 자신도 은근히 놀라워했다. 그러니까 우리 몸에 가장 편하고 힘을 줄 수 있는 온도, 기온대가 있는 것이고 현재 나의 나이에는 추운 날씨는 도움이 안 된다는 사실… 분명히 이전에 나는 추운 날씨를 그렇게나 좋아했었는데 올해 처음으로 이런 사실에 놀라는 것이다. 나이와 추위… 그것, 별로 안 좋은 관계인 것이구나…

따뜻함의 힘으로 드디어 많은 화분들이 올 가을 추위 전까지 바깥에서 살려고 이사를 나가게 되었는데, 내가 그들을 보아도 기쁜 것이, 얼마나 이들도 바깥 공기, 햇살을 그리워했을까..

작은 유혹이었나, 편한 침대에서 새벽잠에서 깨어나면서 순간적으로 생각한 것… 그래 어제 연숙이 뒷마당에서 mini chainsaw로 나무 가지를 자르던 일을 한 것이 떠오르고… 그것으로 분명히 몸이 피곤할 것이라는 생각으로 이어지며,  아~ 오늘은 아침 미사 차 외출하는 것은  현명한 일이 아니라는 판단, 결국은 그것은 ‘핑계’… 솔직히 나도 편하게 아침시간을 집에서 보내고 싶었기에.. 이것은 정말 힘든 결정이다. 오히려 아침미사엘 가는 것이 결과적으로 좋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오늘은 금요일, 금육재를 지키고 싶다. 그렇다면 오늘은 pancake breakfast가 적당하고, 오후에는 오랜만에 fish late lunch가 어떨까? 요사이 우리는 fish meal을 잊고 산 듯하니까… 그것이 좋지 않을까? 오늘도 어제같이 거의 80도를 넘나드는 화창한 봄날이 된다고 하니, 그래 이렇게 멋진 초봄을 편하게 평화스럽게 맞이하자…

어제 발견했던 backyard shed 옆의  ‘썩은 기둥’ 덩치 큰 나무는 오늘 보니 전혀 안전상(쓰러지는 등)의 문제는 없었다. 그러니까 어제 한때 공연한 걱정으로 기분만 상했던 것이다. 이 rotten tree (oak tree) ‘사건’은 결론적으로 일단 긴 여유 시간을 얻은 셈이다. 아무리 보아도 이것이 조만간  ‘쓰러진다는’ 것은 상상을 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을 계기로 그 나무 주위를 크게 정리, 처리를 하면 어떨까…  이것으로 한때 잠깐 생각했던 tree removal cost는 일단 절약이 된 셈이기에 어제 한때 나의 ‘초조, stress’는 일단 사라지는 것 아닌가? 이것도 역시 성급한  ‘오두방정’에서 시작된 것이기에 속으로 나는 웃음을 참을 수가 없다. 항상 이런 식이었으니까…  하지만 결과적으로 대부분 그녀의 관찰과 판단은  맞았던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한 기회가 되었다.

오늘 뜻밖으로 C 아오스딩 형제가 전화를 주었다. 무슨 큰 일이 난 것 같아서 놀랐지만 알고 보니 그렇게 큰 변화는 없었던 것 같고, 그저 이야기를 하고 싶어서 연락을 했던 것 같았다. 봉성체가 끊어진 것 때문에 더 궁금해서 그런 것인지도 모르고… 궁금한 것이 역시 현재 몸의 상태인데… 이 양반의 이야기 만으로는 도저히 자세한 사정을 알 수가 없다. 그저 불평만 하는 것으로 일관을 하니…  이제까지 봉성체 봉사를 해왔던 소화데레사 자매의 이야기로는 그 동안 건강상의  ‘큰 변화가 없다’는 것. 그러니까 그만 그만 견디며 살고 있는 듯하다. 참 대단한 끈기의 형제님이 아닌가?  결국 이렇게 해서 다음 주 화요일부터 우리가 3년 전처럼 봉성체를 가게 되었다. 레지오 시절같이 큰 ‘보람’은 못 느끼겠지만, 그것이 상관이 있나, 성모님이 보시기에 가상하다고 생각하시면 되는 것 아닌가?  이렇게 앞으로 우리는 2 명의 ‘중 환자 형제님’들을 보살피게 되었으니… 우리로서는 좋은 활동거리를 찾은 셈이다.

오늘도 나의 next-generation WordPress ‘dream’ Theme을 찾는 노력은 거북이처럼 천천히 하지만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게 된 사실은: NicePage라는 것과 Astra를 포함한 다른 몇 가지의 free version theme으로 test를 하며 현재까지 나의 10년 이상 완전히 정이 든 Artsteer theme과 비교를 한다. 가급적 정든 그것의 모습과 조금이라도 비슷한 것을 찾고 싶은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현재까지는 조금 무리처럼 느껴지는데… 조금 바뀌더라도 내가 적응을 하면 되지 않을까? 

Shamrock at Kroger, The Untouchables in Chicago

오늘의 정규 활동, 외출 등이 2시 경에 모두 끝나고 Kroger에서 pickup한 스시, 회덮밥으로 맛있는 점심을 하고 나니 3시가 넘고… 하~ 이렇게 되면 또 하루가 반 이상이 떠나고 있는 것인가?  매일 매일 비슷한 routine이 있다는 것은 좋은 것, 싫은 것이 골고루 섞인 것이다. 심리적으로 안정감과 성취감을 주기도 하고, 반대로 ‘아~ 재미없다~’ 라는 한숨도 주는 것… 노후의 세상은 이런 것인가?
오늘 Kroger에서 우연히 flower, plant section엘 가보니 유난히 눈에 뜨이는 것이 보였다. 혹시~ 하며 보니  아~~ 역시 그것은 St. Patrick’s Day (flowering) Shamrock 이었다. 솔직히 말해서 이제까지는 사진으로만 보았던 것이었는데 오늘 어떻게 이렇게 우연히 나의 눈에 뜨이고 자세히 보게 되며, 사진까지 찍게 되었을까? 3월 17일이 바로 그 날인데… 이날은 나에게 무엇이며, St. Patrick 은 또한 어떤 의미를 주는 것일까?

Shamrock은 Ireland의 상징이고 3쪽의 잎사귀를 수호성인인 St. Patrick가 그리스도교 삼위일체 Holy Trinity의 상징으로 삼았던 전설이 있다. 봄의 상징으로도 느껴지는 초록색은 역시 Ireland를 연상하게 하는데… 세월의 횡포인지, 그들 Irish들의 대다수가 이제는 무섭게 교회를 등지고, 세속화되고 있다는 소식은 우울하기만 하다.

벌써 3월 15일… 3월 15일하면 즉시 떠오르는 구절은~~ 역시 우리 세대에는 ‘3.15 부정선거’일 것 같다. 그러니까 1960년 3월 15일의 ‘억지로 앞당겨진’ 대통령선거, 그것이 사상 유례없는 부정선거였고 한 달 뒤 4.19로 이어지던 역사적 현장의 삼삼하게 눈에 떠오른다.
오늘도 어제와 거의 비슷한 3월의 추위, 날씨를 맞는다. 어제보다는 10도 가량 높다고 하지만 느낌은 아마도 바로 ‘그 3월의 추위’일 것 같다. 이렇게 3월의 중순을 넘으면~ 아, ‘목련꽃 그늘아래서~~’의 찬란한 4월, 촉촉한 봄비의 4월이 정녕 나에게도 오는 것일까…

오늘로써 ‘수난의 시간들‘ 24시간째를 맞는다. 예수 수난 마지막 24시간은 성금요일 오후 4시에 해당하며, 예수님의 시신이 무덤에 묻히시는 것과 더불어,  ‘마리아의 비탄’ 주로 ‘성모의 고통’이 주제인 것을 보면 이 수난의 기도의 저자인  ‘The Servant of God1, 하느님의 종’, 피카레타 도 역시 신실한 성모성심의 소유자임을 알 수 있다.
오늘까지 내가 몇 번의 24시간째 기도 묵상을 했는지 확실치 않지만 이제는 이 분이 겪었고 묵상했던 이 놀라운 영적체험의 dynamic에 조금 익숙해지고 있음은 분명하지만, 아직도 나를 괴롭히는 유혹은 매번, 항상 옆에 있다. 이상한 나의 ‘반발심’이라고 할까? 쉽게 말하면 ‘당신이 무엇이길래… 어떻게 이런 놀라운 체험을…’ 하며 거의 의심하기까지 하는 나의 작은 시기심, 심지어 적대심까지… 왜 그럴까? 이런 깊디 깊은 체험을 함께 나누어 받는다는 사실에 우선은 감사하고 믿고 따라야 하지 않은가 말이다!

웃기게 춥고 싸늘한 나날들, 며칠 만에 매일 아침미사엘 갔다. 그 동안 변한 것이 있다면 ‘거꾸리와 장다리 부부’가 이제는 아침 묵주기도 팀을 인도하지 않고 자리도 뒤쪽으로 옮겨 앉는다는 것이다. 왜 그럴까? 제일 뒷자리에 앉아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혹시 몸이 쇠약해진 것은 아닐지… 이 부부는 모르긴 몰라도 이곳 매일 아침미사에서 절실하게 필요한 분들인데…  역시 세월, 나이의 진행은 이런 것인지, 은근히 매일아침미사의 앞날이 걱정이 된다.

어제 우연히 발견한 YouTube Film Noir move video, 역시 오래된 추억의 영상, black & white TV crime drama, The Untouchables이 바로 그것이었다. 1959년부터 1963년까지 ABC-TV로 4년 동안 방영된 1930년대의 Chicago gang, 특히 Al Capone 을 중심으로 그들을 일망타진 했던 전설적인 인물 Eliot Ness team의 이야기들이다. 이것도 추억의 가치가 있는 것이어서 가능하면 ‘사라지기 전에’ download해 둘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판단했다.
이 TV drama은 한국에 있을 때 전혀 듣도, 보도 못했던 것이었는데… 이유는 간단하다. 이 TV drama들의 시대가 주로 1960년대 초.. 그러니까, 미안하게도 우리의 조국 대한민국에서 TV 를 볼 수 있던 사람이 ‘거의 없었던’ 시절이었으니까.. 우리들이 TV로 미국 TV program을 본격적으로 볼 수 있었던 때는 1960년대 중반 전후였으니까..

내가 이 ‘무시무시하고 음침한 흑백drama’를 처음 본 기억은 1974년 경 시카고에서 TV를 통해 ‘재방영 rerun’된 것이었는데, 나의 관심을 끈 것은 이 drama 속에 등장하는 길거리의 이름들이 귀에 익숙했던 것이고, 알고 보니 그것들은 바로 시카고의 길 이름들이었다. 1930년대 전후를 배경으로 시카고를 주름잡던 Al Capone (우리들은 당시 카포네 라고 불렀다) gang들이 중절모와 신사복을 입고 독특하게 생긴 기관단총을 옆구리에 차고 거리를 누볐던 시절의 광경들이 이 drama에 ‘소설화’ 되어서 재현된다.

하지만 이 drama를 TV에서 보았던 그때 나는 시카고 갱들과 이를 추적하며 잡아들이는 전설적인 수사관 Eliot Ness에 대한 것은 하나도 몰랐다. 이 수사관들은 gang들로 부터의 각종 뇌물 같은 유혹을 뿌리친 덕에 ‘건드릴 수 없다’ 고 해서 the untouchables라고 불린 모양이다.비록  Al Capone는 탈세혐의로 10여 년의 감옥살이를 했지만 워낙 그는 유명한 인물이어서 모르는 사람들이 없었지만 그를 잡아들인 수사팀의 leader격인 노르웨이 출신  Eliot Ness는 나중에 소설화된 이후 이런 TV drama로 간신히 재조명, 영웅시 되었다.

Eliot Ness

이 TV drama는 미국 사회, 특히 1930년 전후 사회상 (특히 지하 범죄상)을 생생하게 묘사하기에 미국 역사 공부까지 된다.  ‘알코올 중독’의 사회적 폐해에 대응해서 등장한 ‘전무후무’한 Prohibition (일명 금주령) 가 헌법화된 것, 비록 알코올 피해는 줄었지만 반대로 지하조직 범죄가 극성을 부리게 된 결과로, 득보다 실이 훨씬 더 컸던 뼈아픈 사실은  급하게, 충분한 여론수렴이 부족한 종교적, 극단적 해법이 얼마나 위험한 것도 실감시켜 준다.

 

  1. 성인 품으로 가는 교회 수속의 첫 단계

8th Straight, Daily Morning Mass…

8일째 연속으로 계속해서 동네 본당 Holy Family  parish 아침미사엘 가는 것, 그것도 사순절이 시작되면서, 작은 성취감을 느끼게 해 주는 행복한 순간들을 경험한다. 8일째 연속 매일 아침미사… 이것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닐 듯한데, 조금 너무 자만하는 것은 아닐까? 아니다~ 우리의 노력도 그렇지만 이런 것이 가능하게 하는 현재 우리의 하루 하루의 life style, 상황, 여건에 감사하는 것이다. 다른 표현으로, 영육 간의 적절한, 아니 거의 완전한 조화, 균형을 이루며 살아가는 은총의 삶이 이런 것인가?

이 동네 성당에서 ‘사순절 선물’로  받은 ‘the WORD among US, Praying with Jesus This Lent’ Mass Readings & Daily Meditation 사순절 매일 미사, 묵상’,  결코 ‘저렴한 가격’이 아닌 소책자인 것을 보면, 올해는 이곳 성당 재정상태가 양호한 듯 보인다. 하지만 역시 ‘매일 매일’  미안한 것이, 현재 이곳에서 주일미사를 Pandemic이후 전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고, 따라서 재정적 봉헌을 못하고  있다는 것..  솔직히 ‘반쪽’ 짜리 신자라는 사실이 조금 부끄럽기까지 하다.

A BURST OF CONSCIOUS LIGHT, 제목이 조금은 의외적으로 해괴한 이 책, 오늘 나의 손에 잡힌 바로 이 책,  전체적인 내용주제와 구성이 심도가 없이 산만한 것이 마음에 들지 않지만 이 세가지 주제 [Near-Death Experience, Shroud of Turin, Universal Consciousness] 들은 모두 내가 항상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것들이었다.  저자, Dr (physician) Andrew Silverman은 이것을 ‘빛’으로 연관을 시키는 노력을 하는데 그것이 이 책의 제목: CONSCIOUS LIGHT인 것이다. 3가지 주제 중에서 현재 나에게 다시 다가오는 것이 The Shroud of Turin… 이것과 요새 재개된 ‘성체’에 대한 활동과 관심이 엮이고 있어서 당분간 나는 이 ‘세기적 호기심’으로 다시 다가갈 것이다.

오랜만에 찬란한 태양이 떠오르고 덕분에 기온까지 상승 하니 추위에 움츠리기만 하는 나를 결국 backyard로 내 보낸다. 지난 주일 동안 연숙의 모습이 그곳에 자주 보이긴 했지만 나는 역시 수수방관하는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하지만 오늘은 결국 나도 잠깐 나가서 손에 잡히는 몇 가지 ‘육체 노동’을 한 셈이다. 햇빛의 효과도 있을 것을 안다.  지난 겨울 동안 shed에서 잠자고 있었던 피크닉 테이블 umbrella를 꺼내서 설치해 놓았고, 각종 water hose들을 다시 설치를 하기도 했다. 이것으로 연숙에게 조금은 덜 미안하기도 하고, 나도 조금 자신감이 생긴다… 아~ 드디어 3월, 봄기운이 정녕 오고 있는 것인가?

어제 Kroger에 갔을 때, 작정을 하고 dirt cheap wine한 병을 사왔다. 얼마 전부터 술 종류는 안 사기로 선언을 하고 잘 살았는데 예외가 없는 것이 조금 걸리기도 했다. 밖에 나가서 얻어 마실 거라면 필요할 때 조심스럽게 조금 마시는 것도 지혜가 아닐까? 특히  Teriyaki chicken pasta salad에 wine의 맛이 필요함을 알기에 그렇게 결정을 한 것이다. 결국 오늘 그런 계획이 실현이 되어서 정말 오랜만에 둘이서 wine과 Teriyaki chicken pasta 점심을 즐기게 되었다.

어제 첫 손자 로난 3살 생일 모임에 가서 사위 Luke에게서 선물로 받아온 책.. 이 저자는 그의 직장 boss인데 물리학 박사학위 소지자로 ‘집(열역학에 관한) 의 건강’에 미친 사람이라고…  이것이 올해 우리 집의 건강에 어떤 도움을 줄 것인가? 제일 관심 있는 것이 airtight house의 효과에 관한 것이라서 한번 자세히 읽어보고 싶구나… 그리고whole house  insulation도 마찬가지.. 조금 더 경제적으로 따뜻하고, 시원하게 살고 싶다.

올해 사순절에 뜻하지 않은 목표가 생겼다. 그렇게 ‘무서워서 피하던’ 것, Mel Gibson의 2004년 super hit The Passion of the Christ.. 처음 보다가 너무나 식상을 해서 잊고 살았던 것인데 다른 영화 The Exorcist와 비슷한 경험이다. 하지만 이번에는 조금 다른 자세로 유연하게 공부하며 묵상하는 기회로 삼고 싶은 것이다. 과연 이 목표가 성취가 될 것인가?  최근 뉴스에 의하면 이 영화의 속편 (역시 Mel Gibson제작)  Resurrection이 조금 있으면 촬영에 들어간다고 한다. 주연배우도 전과 같은데, 이렇게 뉴스로 나에게 다가 온 것, 우연만은 아닐 거라는 상상도 하고 싶구나…

A Day in Chilly Frosty Winter

이제는 거의 만성적인 느낌이 되었는가, 새벽 특히 싸늘한 새벽에 꿈에서 벗어나면 거의 자동적으로 ‘느낄 듯 말 듯한 슬픔’을 느낀다. 거의 예외가 없이… 하지만 전 날 ‘쪼잔한 것, 잡동사니 stuffs 들 [예를 들면 repair tool work] 과 씨름을 했으면 이런 증상은 거의 없다. 그러니까 한마디로 너무나 머리 속이 한가하면 이런 ‘야릇한 슬픔’이 느껴지는 것이다. 처방책은 그러니까 비교적 간단한가, 머리 속을 사람들에 대한 것이 아닌 [생명이 없는] stuff들에 관한 것들로 채우면 되지 않을까…  이것이 도대체 말이나 되는 나의 심리분석인지 나도 모른다, 그런 사실 조차 나를 슬프게 하는지도… 깊고 깊은 한 겨울의 curse인가…

일어나서 바깥을 보니, 내가 목타게 기다리고 싶은 ‘눈 雪’이 아니고 그것과 비슷한 ‘서리 霜’가 하얗게 보인다.  서리의 바로 위로 뽀얗게 오르는 하얀 입김 같은 것, 솔직히 이 모습이 더 나를 춥게 느끼게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눈보다 서리가 더 몸을 움츠리게 한다는 사실…

왜 나는 올 겨울 이렇게도 추위를 타는 것일까? 우리 집의 heating system에 문제가 있는가, 아니면 insulation이 부족한가. 하지만 이런 것들은 근래에 변한 것들이 아니어서 결국 내가 육체적으로 변했다는 결론인가. 이 설명이 제일 큰 설득력이 있다. 나이다, 나이…  이것은 기본적인 지식에 속하는 것이어서 더 이상 설명할 것이 없다. 옷을 더 끼어 입으면 되고, 몸을 조금 더 움직이고 운동까지 하면 되지 않을까? 문제는 이런 ‘덤의 일’들이 귀찮다는 것, 싫은 것이다.  이곳의 친지 Y형이 요즈음 아예 ‘내복’을 입고 산다고 해서, 처음에는 그것이 무슨 말인지 어리둥절하기도 했다. 그 ‘내복’이란 것, 어렸을 적 온돌방에서 살던 시절에 입던 것 아닌가?  당시의 온돌방, 겨울에는 방안까지 영하로 떨어져서 어항의 물위가 완전히 얼었던 모습도 떠오른다. 그래서 그 당시는  겨울이 시작되어 그것을 입기 시작해서 봄이 될 때까지 거의 벗지 않고 살았던 재미있는 추억이 떠오른다. 그렇구나, 그것을 입으면 완전히 해결이 되는데, 문제는 그것을 쉽게 살 수가 없으니…

올해 장기 일기예보에서 이 지역에 ‘험한 날씨’를 예측했었다. 겨울에 험한 날씨란 분명히 얼어 붙는 눈, 진눈깨비 등이었을 것이고, 일월 말 정도가 제일 chance가 높은 때인데, 아직도 날씨는 얌전하기만 하다. 정히 나갈 일도 많지 않아서 상상으로 2014년 때의 snowmageddon, snow jam 까지는 아니더라도 조금 포근하고 얌전한 눈이 내리면 얼마나 멋질까…  백일몽을 꾸어보고 싶기도 하지만, 날씨로 수입이 좌우되는 business에 촉각을 세우는 사람들을 생각하면 나는 너무 이기적인 어린 아이와도 비슷하니… 언제나 철이 들 것인가?

오늘은 연숙이 모처럼 혼자서 외출을 했다. 몸도 몰라보게 정상으로 보이니 전처럼 크게 걱정은 안 하지만 그래도 한때 ‘쓰러질 듯 했던’ 모습이 떠올라서 우울해지기도 한다. 오늘은 현 이대동창회장(성당교우 K자매)이 역대 회장님들을 대접한다고 모이는 것이라고 했고, 갔다 돌아 오더 만족스런 모습이었다. 연숙의 이대 동창들과는 나도 꽤 오래 전에는 가깝게 보기도 했는데, 이제는 정말 정말 까마득한 옛날 얘기로 회상이 되니… 아~ 세월이여, 나이여~~ 오늘 오랜만에 보게 된 동창들을 보고 와서 화제는 역시 나이와 건강에 대한 것들, 참 올 새해 들어서는 왜 이렇게도 ‘피할 수 없는 운명’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인지…

모레 아침부터 집을 5일간이나 떠난다는 것은 솔직히 말하면 속으로나마 긴장을 하지 않을 수가 없지만 이런 때에 세월, 나이, 연륜의 도움을 받고 싶다. 분명히 예전과는 다르게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이번 여행이 가지는 깊은 의미를 얼마나 내가 심리적으로 감당을 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인데… 이것도 걱정은 안 하련다. 왜냐하면 우리는 우리의 어머니, 과달루페 성모님을 뵈러 가는 것이니까, 응석으로라도 어머님이 우리를 각별히 보호해주시지 않으실까?

 

Year of Rabbit, Mary the Holy Mother of God

2023년, 계묘년 (토끼해).. 가 밝았다.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를 재동 국민학교 시절 회초리 앞에서 달달 외웠던 것이 지금도 100% 기억이 된 덕분에 최소한 매년 동물들의 모습은 예측할 수가 있었다. 작년이 ‘인, 호랑이’였으니 분명 올해는 ‘묘, 토끼’라는 사실 정도는 알 수가 있으니 ‘암기식 교육’도 필요하구나. 호랑이가 토끼로 바뀐 것, 글쎄 분명히 올해가 조금은 덜 사납다면.. (특히 정치적으로)
갈수록 가까워지는 고국, 모국과의 심리적 거리 때문일까, 오랫동안 잊고 살았던 ‘고향의 정취’가 흠뻑 담긴 각종 추억의 환상적 새해인사, 연하장들이 넘쳐나고, 특히 이제는 ‘한국어 권’에서 필수도구가 된 카카오톡을 통해서 이런 것들을 볼 수가 있으니… 50+ 여 년 전 이곳에 살던 우리들의 모습은 그야말로 ‘역사물’에서나 볼 수가 있게 되었으니… 이것이야말로 ‘격세지감’의 정수가 아닐까.

새해 첫날, 오늘이 2023년이라는 사실 조차 깜빡 깜빡 잊으며 살고 있었다.  아마도 어제 밤 3-2-1 HAPPY NEW YEAR!의 Time Square 를 통해서 본 세상모습을 눈을 비비며 지켜보지 못했기에 그랬던 것인지도 모른다. 지나간 세월 동안 우리는 전력을 다해서 이 연말/새해 축제를 구경, 참여를 했지만 이제는 조금 피곤한 것이다. 꼭 해야만 하나~ 아니면 이제 진정으로 우리는 이런 것에서 멀어지고 있는가, 조금은 겁도 들고 슬퍼지기도 한다.

1월의 첫날, 정월 초하루는 ‘양력 설날’이기 전에 우리의 가톨릭 교회에는 다른 뜻 깊은 날이고, 의무 대축일이기도 하다. 개신교에서 ‘진저리 치는’ 우리의 어머니, 성모님이 바로 ‘당신들이 그렇게도 믿는’ 예수님을 오로지 ‘순명의 정신으로’ 낳고 기르고 십자가 사건을 몸소 경험한 ‘하느님의 어머님’을 기리는 날인 것이다.

이런 중요한 날, 우리에게는 ‘신앙의 고향’인 도라빌 순교자 성당엘 2주 만에 가는 날이 되었고, 우리들 몸이 감기로부터 ‘완전히’ 회복이 된 것을 기념하는 날이기도 했다. 평소보다 성당 아침미사에 많은 교우들이 보였고, 미사 후에는 Pandemic 이후 거의 정상으로 돌아온 친교실의 분위기를 느낄 수도 있었다. 또한 맛깔 나는 따끈한 떡국까지 준비를 해 놓아서 오늘은 하얀풍차 cafe에 가는 대신 이곳에서 색다른 전통적 친교를 하게 되었다. 정말 모처럼 오랜만에 보는 교우들… 아~ 옛날 (3년이 지난)의 느낌이 되살아난다.
앞으로는 격주로 구역점심식사를 준비한다고 하니 우리의 이제까지의 아침미사 후의 모습도 따라서 달라지지 않을까? 이런 작은 변화는 나중에 어떻게 ‘진화’를 하게 될지 흥미롭기도 하다.

이렇게 한 장소에 모인 많은 사람들을 다시 보고 느끼니 조금은 나의 ‘사람에 대한 갈망’이 충족이 되는지 모른다. 확실히 Pandemic ‘치하’의 인간 고립 경험은 ‘사람은 혼자 살 수 없다’는 인간본성 진리를 재확인 해 준 셈이다.
오늘 성당 친교실에 S형제의 모습이 보여서 잠깐 얘기를 나누게 되었는데… 놀란 사실은 그와 S자매의 관계가 눈에 뜨이게 달라진 것이다. 이것은 정말 믿을 수가 없을 정도다. 두 사람이 서로 바라보는 눈빛조차 전과 다르게 보인 것은 나만의 착각이 아니어서, 연숙도 같이 느낀 것이다. 또한 ‘둘이 잘 지낸다’라는 이제까지 듣기 힘들었던 말도 했을 정도니…  그러니까 그 동안 둘 사이의 관계에 많은 변화가 있었던 모양이다. 이런 사실들이 오늘 하루를 행복하게 했다면 과언일지…

 

Adieu Year 2022, I Love You All…

하루가 거의 지난 이때에 처음 ‘붓을 잡았다.’ 이유는 간단하다. 아침부터 Ozzie와 유나를 보아야 했기 때문일 것이다. Ozzie는 나의 침대 바로 옆에서 너무나 조용히 잤고, 유나도 못지 않게 지난 밤 깊은 잠에 들었다. 우리도 덕택에 제때에 일어나게 된 것이지만 연숙이는 아마도 긴장을 했고 제대로 깊은 잠을 못 잔 듯하고… 아침의 모든 routine들도 유나 때문에 완전히 바뀐 것이어서, 글을 쓸 수 있는 시간이 나지를 않았다. 하지만 역시 귀여운 모습으로 우리를 즐겁게 하는 유나는 즐거움 자체였다. 이런 것으로 손주들을 모두 그렇게 고생 고생하며 보아주는 모양이다.

2022년 마지막 날Ozzie와 ‘연장 延長된 산책 즉, Sope Creek까지’ 을 할 수 있었다. 비가 오락가락 했지만 다행히 쏟아지는 비가 아니어서 오히려 시원하게 걸을 수 있었다. 지치지도 않고 그렇게 시간을 쓰며 곳곳에서 냄새란 냄새는 모두 맡으며 걷는 Ozzie의 모습이 그렇게 대단할 수가 없었다.

오늘 아침에 Emeritus Pope Benedict XVI 16 이 선종한 것을 알았다. 물론 예상은 했지만 역시 다시 생각에 잠긴다. 이 교황님은 내가 다시 교회로 돌아오려고 애를 쓰던 시기의 교황님이었고 한창 회심에 불이 붙었던 시기에 갑자기 은퇴를 한 것이 어제의 일처럼 기억에 남는 것이다. 은퇴를 한 사실이 실망적이긴 했지만 나중에 천천히 이 교황님은 내가 좋아하는 type 그러니까 심각한 신학자였던 것이다. 그 이후로 나는 이 교황님으로부터 조금이라도 더 깊은 신학을 얻으려 노력을 한 기억이 남는다. 교황님의 신학사상 중 하나로부터 연유된 책, The Dictatorship of Relativism 도 ‘나라니가 성탄선물로 주었던  Barnes & Noble gift card  덕분에 사서 읽기도 했다. 나중에 알면  알 수록 이분은 역시 ‘명석한 신학자’임에 틀림이 없었다. 하지만 교황직을 완수하기에는 역시 ‘필수적 에너지’가 부족한 분이었고 그렇게 오늘 조금은 ‘사라지는 교황’의 모습으로 선종을 하게 된 것이 아닐지… 조금은 슬프기도 하다.

오늘이 2022년의 마지막 날이지만 예년과는 다른 날이 될 것이다. 3-2-1 Happy New Year! 를 올해는 안 하기로 내가 일방적으로 정했다. 연숙에게 동의를 구하지 않은 것이 조금 미안하기는 하다. 하지만 조금 피곤한 것이다. 지난 몇 년 동안은 New York Time Square 광경 앞에서, 계속 눈을 비비며 그 시간을 보내곤 했지만 올해는 역시 ‘아니다’ 였다. 하지만 미리 준비한 샴페인을 미리 맛을 보며 오랜만에 취기를 즐기긴 했다. 아~ 취기가 이렇게 사람을 즐겁게 하는 것인가? 갑자기 기쁘고 세상이 다르게 느껴지는 것이다. 내친 김에 갑자기 카톡에 보이는 모든 이름을 향해서 새해 인사를 모조리 쏘았다. 어쩌면 그런 들뜬 기분이 들던지… 그래서 술을 마시는구나… 가끔은 이렇게 취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 아닌지?

 

Totally Grounded Christmas Day

모처럼 성탄 일요일 아침에 ‘진짜 TV’  CBS의 전통을 자랑하는 ‘SUNDAY MORNING’의 시작을 잠깐 보게 되었다. 아~ 이것 오래된 것 아닌가? 그것도 12월 25일 아침에 방영되는 것이고, 사회자로 나온 사람을 보니… 아~ 금세 알아보는 얼굴, Jane Pauley다! 비록 멋진 화장과 차림을 하고 있지만 나이는 만만치 않을 이 여성… 1974년 여름 Chicago로 기억은 돌아간다. 그 당시 처음 Chicago 의 local TV anchor로 선을 보인 것, 아직도 기억을 하니~~ 정말 청순하고 애띤 모습이었었다. 이후 그녀는 우리의 예상대로 승승장구하며 CBS national news anchor가 되어 은퇴를 했고 현재는 이렇게 special programming에서 모습을 보인다. 이 여성과 함께 기억되는 사람은 다름이 아닌 얼마 전에 암으로 타계를 한 singer Olivia Newton-John이다. 둘의 얼굴 느낌이 참으로 비슷하고 비슷한 시기에 debut를 했기 때문이 아닐까? 특히 얼굴 모습이 어쩌면 그렇게 비슷한지…

아마도 기억하고 싶지 않은 그런 크리스마스를 보낸 듯하다. 나의 감기는 이제 많이 나아가고 있지만 연숙은 지금 시작 단계라고 생각하니 모든 활동을 할 수가 없게 된 것인데, 처음에는 잠깐 쉰다고 생각하며 편하기도 했지만 시간이 지나갈 수록 화가 나며 점점 우울해지고 심지어 슬퍼지기까지 하다. 어떻게 이렇게 성스러운 날이 가장 잊고 싶은 날로 바뀌었을까? 누구의 잘못인가?

성탄절 하루의 후반부는 완전한 어둠과 사투를 하는 심정이 되었으니..  제일 괴롭히는 것은 가족들이 모이는 것이 무산된 것이다. 왁자지껄 떠드는 소리가 사라진 집이 어쩌면 그렇게 무덤과도 같았을까? 하느님, 어떻게 이렇게 된 것입니까?

5일 전, 지난 화요일 나로부터 시작된 목 감기로, 고해성사부터 시작해서 성탄 가족모임, 성탄미사까지 모두 사라진 모습이 처절하게만 보인다. 어떻게 이것을 보상할 수 있단 말인가? 이럴 때 나의 모습은 비겁자의 극치로 보인다. 용기나 깡이라곤 하나도 없는 식물인간같이 축 쳐진 나의 모습이여~ 제발 사라져다오~~

뒷집 동포 방선생 댁에서 성탄선물을 보내주셨다. 우리가 어젯밤에 보낸 것을 보시고 ‘못 참고’ 답례를 하신 것, 추운 날씨에도 이렇게 예우를 하는 정성이 고맙다. 이런 것으로 같은 이웃으로 사는 보람을 조금이라도 느끼면 이런 holiday가 한 역할을 한 것 아닐까?

거의 하루의 반 정도는 (PC) monitor screen을 멍~하니 바라보며 지냈다. 바보처럼 느껴지기도 하지만,  괴로운 생각들을 떨치는 데 이것처럼 손쉬운 방법이 어디 있는가? 이런 것들이 없었던 시절에는 어떻게 했을까? 특히 이런 때  YouTube의 위력은 상당한 것이었다. 내가 원하는 듯한 것들을 AI라도 동원된 듯 알아 맞추어가며 나를 이끌고 있는 것, 이런 사실을 알면서도 끌려가는 듯한 나의 모습이 불쌍하기도 하고…  아차! 하면 fake, disinformation에 빠질 위험도 있으니…

TV programming은 물론이고 NYT 의 작은 기사까지 하루 종일 샅샅이 읽고 있는 나, 나의 영성, 과학 서적들은 어디로 갔는가? 성탄절 날 미사는 고사하고 교우들의 모습도 하나도 못보고 이렇게 외롭게  내동댕이쳐진 듯한 느낌과 장시간 싸우고 있는가?

2019년 이후 다시 보게 된 이 Czech Republic의 Handel의 Messiah 공연모습, 3년 만인가? 비록 2011년에 실제공연 장면이지만 내가 처음 본 것은 2019년 성탄 무렵이었고 이번 성탄에 다시 보게 된 것, 우연인지…

올해는 사실 어제 영국 King’s College 의 메시아 공연 video를 먼저 보다가 문득 이 것 생각이 떠오른 것이다. 아직도 ‘그곳’에 video는 건재하고 있었다. Hit count도 그때 이후 많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King’s College와 이 Czech Republic의 공연은 확실히 느낌이 다르다. 이것이 더 생동감이 느껴지는 것은 아마도 conductor때문이라는 생각이다.

오늘 성탄절의 ‘만기석방’ 선물이라고 할까, 거의 한달 동안 ground되었던 Izzie를 오늘로써 용서하는 gesture를 보여주었다. 지난 며칠 동안 나에게 가까이 오려고 탐색을 하는 모습이 이제는 불쌍하게 보였기에 오늘 직감적으로 풀어준 것이다. 물론 앞으로도 조심을 하여야겠지만 더 이상 이런 ‘심리적’인 압박을 주지 않고 싶다.  언젠가 이별을 하는 것을 예상하면 더 이상 후회할 일을 만들지 않고 싶다.

 

Dark & Long Winter Begins, Time’s Zelensky

어제 저녁 어둠이 잔잔히 깔릴 무렵 우연히 밖을 보니 수 많은  하얀 그 무엇들이 도로변으로 줄을 서 놓여있다.  그것들은 모두 촛불들이었다. 아~ 촛불이 다시 켜지는 때가 되었구나. 어둠이 깔린 후에 다시 보니 역시 모두 아련히 촛불들이 켜져 있었다. 이것이 성탄과 상관이 있었나 생각을 해보니, 그것이 아니고 분명히 오늘이 동지라서 그랬을 거라는 결론~~  Pandemic이 시작되면서 시작된 우리 subdivision의 겨울시작, 동지의 전통이 되고 있다. 제일 기나긴 밤 동안 이 불들이 우리의 가슴을 훈훈히 녹여줄 것을 생각하니 이것을 준비해 준 우리 동네 억척[아지매] volunteer들의 ‘동네사랑’ 봉사정신에 머리가 숙여진다.

어떻게 이번, 아니 올해는 ‘동지’를 완전히 잊고 살았을까? 오늘은 몸이 성치 않았으니까 그렇다 치고 지난 며칠 동안도 거의 이런 큰 절기의 변화를 잊고 살았으니 말이다. 이곳의 동지는 사실 제일 긴 밤이라는 것 뿐, 기온이나 날씨와는 큰 상관이 없다. 오히려 연말 때의 경험은 더 따뜻한 적도 많았다. 한가지, 이제부터는 낮이 길어지기 시작하는 것, 그것이 나는 왜 그런지 아쉽기만 하다. 왜 그럴까? 긴 밤이 나는 왜 좋은 것일까? 나는 이래저래 ‘긴 밤, 어두운 비’ 등을 좋아하는 것으로 보아 확실히 다른 사람들과 다른 점이 많은 사람인 모양이다.
 

오늘 ‘순병원’ regular checkup day, 항상 이곳에 가면 기대하는 대로 일이 진행되지를 않음을 안다. 요새는 거의 모든 일을 NP들이 하고 MD를 만나는 것은 예외에 속한다. 이것으로 나날이 오르는 의료비를 control한다고 하지만, 가끔 짜증도 난다. 이들 NP들, 어떨 때는 기대이상으로 기분이 좋은 것이고 반대일 때도 그만큼 있다. 오늘은 그런대로 큰 문제는 없었지만 생각보다 긴 시간을 기다린 것은 옥의 티라고 할까… 하지만 이 정도면 OK. 오늘은 blood test만 했는데, 지난 번의 검사결과의 진행상황을 보려는 듯하다. 제일 희망적인 것은 연숙의 kidney 에 관한 문제의 가능성이 거론되지 않은 것, 콩팥 수치가 borderline이라서 그런지… 한때 이것으로 걱정을 많이 했는데 추후로 큰 문제가 없는 듯해서 일단 안도의 한숨을 쉰다. 식생활 습관에 신경을 쓰기에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인지, 이런 정도의 건강상태면 노력을 해서 그대로 유지하면 되는 것이니까… 조심 조심…

집으로 들어오면서 Kroger에 들려서 ‘푸짐한 먹거리’를 사서 들어오니 세상에 부러운 것이 없다. Sushi, fried chicken, pecan pie, croissant etc.. 구세군에 $5 도 헌금을 했고, Holy Family 성당에도 $100 헌금을 하자고 연숙이 제안을 해서 모처럼 훈훈한 느낌이 우리 둘 사이를 오간다.

들어오면서 온통 관심은 날씨와 Ukraine 대통령 Zelensky의  ‘깜짝’ 미국방문에 관한 소식들이다. 대신 DONALD ‘개XX’의 소식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었으니 나에게는 정말 살맛이 나는, 신나는 시간을 살고 있다.

미국인의 영웅으로 부상한 젤렌스키, 어찌 그가 올해의 TIME magazine의 인물로 선정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영웅이 아니라 세기의 악당들이 미국이 득실거리며 온 세상으로 수출을 하고 있는 이때에 이런 귀한 영웅은 조금 더 많이 나와도 좋지 않을까? 진정한 NATIONALISM이 무엇인지를 성서급으로 격상해서 보여준 그에게 뜨거운 박수를 보낸다.

나에게 Wind Chill-Day라고 불리는 날이 내일로 다가온다.  다행히 내일은 외출 해야 할 일어 없으니 얼마나 다행인가?  아쉬운 것은 이런 때 흐리거나 눈발이 날렸으면~~~ 아마도 많은 사람들도 day off를 할 것으로 그림이 그려진다. 집안만 포근한 느낌이 들면 이런 날이 더 좋을지도 모르지만, 그것은 젊었을 적의 생각이었는데.. 아~ 그때가 좋았지, 멋졌지, 편했지, 사랑스러웠지… 그립다 그런 느낌의 시절들이…

내일 날씨에 대한 큰 문제는 바람과 추위에 과연 우리 집이 어떻게 견디는가 하는 것이다. 바라는 만큼 insulation을 못하고 사는 것이 제일 마음에 걸리는데 결국은 once-in-generation-arctic-cold-blast  의 상태까지 온 것이 나도 부끄럽기만 하다.

목감기~ 목의 통증은 거의 사라졌고 이제는 콧물과 재채기 같은 것만 남아있다. 젊었을 때를 기억한다면, 확실히 flu shot의 효능은 대단한 것 같다. 그 옛날, 이런 것은 거의 일주일을 넘어가며 기침을 계속했지 않았던가? 만약 오늘로 거의 다 낫게 된다면 나의 flu shot에 대한 생각은 맞을 듯하다. 그렇다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수난의 시간들’, 벌써 19일째가 된 것, 또 ‘벌써?’ 라는 말밖에 할 수가 없다. 벌써, 벌써? 싱겁게 짧은 것이 대부분이었는데 ‘고통이 격해지면서’ 점점 길어지는 것들이 나온다. 하지만 지금이 처음이라는 것을 핑계로 깊은 묵상을 할 엄두는 내지를 못한다. 그래도 이 정도면… OK, OK…

 

 

Pat Boone’s WHITE CHRISTMAS 1964

올해는 유별나게 holiday music, 특히 carol류를 일찍부터 자주 듣게 되었는데 우연히 머리 속의 깊은 곳에서 불현듯 떠오른 기억의 도움으로, 오늘은 1964년 성탄절 [이브]를 회상하는 날이 되었다. 바로 이 모습, 그 당시 ‘잘나가던’  Pat Boone 의 젊은 시절의 모습이 담긴. 그의 Christmas album ‘White Christmas’ LP jacket… 그 시절 집에서 보고 듣던 바로 ‘판’이었다. 그 당시에 가지고 듣던 각종 LP record들은 물론 ‘해적판’에 속하는 것이었지만 그것은 당시 우리나라의 경제사정상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다. 이런 해적판이라도 없었으면  가끔 radio에나 매달려야 하는, 아마도 정말 심심한 시절을 보냈을 것이다. 이 LP는 성탄시즌이 되어야 꺼내어 듣곤 했지만, 이후 완전히 잊고 살았는데, 오늘 그 모습과 음성이 나에게 다가온 것이다. 당시의 독특했던 유행인가,  고등학생의 감성적 나이인가, 아직도 아련하고 아름다운 추억으로 남아있다.

불현듯 떠오른 Pat Boone의 감미로운 White Christmas 와 그의 젊디 젊고 깨끗한 모습의 도움으로 이 특별한 LP를 찾아보니… 역시,  특별히 할일 없는 우리 세대들이 이미 이 album의 전체를 YouTube에 album jacket과 함께 upload를 해두어서 오늘 거의 60년 만에 다시 보고 듣는 감격의 순간을 만끽할 수 있었다. 나의 기억력은 분명히 조금 희미해지긴 했지만, 대부분의 느낌은 그대로 살아나온다. 특히 track의 첫 곡이었던  White Christmas와 comic한  Jingle Bells, 교회 합창을 연상케 하는 O Holy Night 등등, 거의 당시의 느낌이 그대로 되살아 나온다.

1964년 성탄이브 때 크리스천도 아닌 박정희 대통령의 도움1으로 통금이 해제가 된 덕분에 친구 몇 명 (아마도 안명성, 김동만이 포함된)과 이 carol을 마음껏 즐기며 남영동 금성극장 앞에 있던 집 근처를 배회했던 기억이 아물거린다. 그날 밤은 뉴스에 나올 정도로 명동거리가 사람들로 혼잡했었다2. 그런 현상은 아마도 그 당시에 아주 드문 것이었다. 통행금지가 없다는 그 사실이 ‘성탄절’ 보다 더 중요한 원인이었던 것이었다. 하지만 조금 의아한 것은 그 당시 일본 도쿄도 같은 혼잡한 모습이었는데, 그들은 통행금지가 없었기에 우리와는 사정이 달랐을 것이다. 그들은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르면서 자국의 종교와는 다른 서구의 유행, 그저 유행가 처럼 그날 성탄이브를 지냈을 것이다.

대림 2주가 벌써 금요일로? BiocentrismIdealism [심지어 Emmanuel Kant까지] 은 분명히 ‘시간[과 공간] 은 허구에 불과’하다고 하지만 어떻게 이렇게 지난 달부터 이번 달로의 세월의 흐름을 몸으로 느낄 수가 있는데, 상상, 허구라고 할 수가 있는가? 12월도 1/3이 지나가려고 한다. 조금 조바심도 나고 초조함도 없는 것은 아니나, 그럴만한 이유가 ‘하나도’ 없으니 이것은 분명히 나의 상상에 불과하니, 경우야 조금은 얼굴을 펴고 살자, 건주의 말대로 세상은 ‘마음먹기’에 달린 것이다!

Guadalupe St. Juan Diego,  아침미사엘 가서야 오늘이 과달루페 성모님 visionary  성 Juan Diego의 축일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무의식적으로 점점 과달루페 성지순례로 관심이 가는 것을 실감한다.  내년 1월 말이면 우리의 한국본당 순교자 성당의 단체 과달루페 순례가 있을 것이고 우리의 눈으로 성모님의 발현 당시의 모습들을 볼 것을 생각하니 미리부터 조금은 긴장이 되기도 한다.

Distancing from Swedenborg! 결정을 했다.  역사적인 과학자, 저자, 신비가 로써의 Emanuel Swedenborg에 대한 관심과 흥미는 떨치고 싶지 않지만, 역시 이것도 나의 가톨릭 신앙적인 면에서 잘못된 길이라는 것을 안다. 더 이상 진전이 되면 그만큼 포기하기도 힘들기에 오늘로서 이것에 대한 관심을 접기로 했다. 모든 online link들을 지워버리는 것으로 이 단절 과정을 시작했다. 이런 결정을 하게 된 마지막 관건은 역시 ‘성모님’에 관한 것임은 크게 놀랄만한 것이 아니다. 나는 성모님으로부터 모든 것이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이단까지는 아니더라도 그는 나의 ‘선지자’ 가 될 수는 없음을 알게 되었다.  앞으로는 가급적 그를 제외한 다른 ‘철학/과학’적인 석학들의 책들에 전념을 할 것이다.

 

오늘 점심은 모처럼 ‘동네방네’ style의 ‘밥과 반찬’의 한식으로 먹게 되었다. 갑자기 몸이 산뜻한지 점심 메뉴에 신경을 쓴 연숙 덕분이었다.  하지만 이런 ‘한식류’를 사진으로 다시 보니 우리가 근래에 얼마나 전통한식에서 멀어진 식생활을 하는지 새삼 실감하게 되었다. 영양학적으로도 더 좋은 것이 없다는 두부찌개와 총각김치를 더 자주 먹어야겠다는 깨달음을 얻는 시간이 되었다.

거의 가을 장마의 모습으로 비가 하루 종일 내리는 날이었다. 나의 신경은 온통 Ozzie의 산책 가능성으로 쏠렸지만 다행히 비가 수그러든  시간들이 있어서 backyard로 나가는 것은 큰 문제는 없었지만 동네 전체를 산책 할  정도로 비는 멈추지를 않았다.

 

  1. 그 당시 왜 성탄절에 통행금지가 일시적으로 해제되었는지 궁금하다.
  2. 당시 명동은 지금의 이태원이었나, 하지만 큰 사고는 없었다.

Tree Light-up Time of Year!

올해는 무슨 이유였는지, 파격적으로 대림, 성탄의 기분을 세속적, 유행적으로, 그것도 일찌감치 느끼고 싶었다. 한때 교회에서 가급적 성탄기분은 늦게 시작하는 것을 권했고, 나도 그것을 따랐지만, Pandemic이후로 생각이 바뀌었다. 가뜩이나 깜깜해진 세상, 조금이라도 ‘하느님의 빛’을 일찍 보고 싶은 것, 인지상정인가… 주위의 많은 사람들도 나와 마찬가지로 Thanksgiving Holiday가 되기도 전부터 각종 holiday lighting들이 경쟁을 하듯이 동네를 밝히게 되었다. 우리는 어제에 이어 오늘은 실내의 tree장식으로 시작을 하게 되었다. 작디작은 우리 집의 귀여운 tree, 결국은 불을 밝힌다.

지난 밤은 일기예보보다 조금 늦은 천둥, 번개를 동반한 비바람으로 조금 시끄러웠지만 솔직히 말하면 나에게는 최고의 자장가였다. 자연적인 white noise 중의 최고가 바로 이런 소리와 느낌이니까…  순간 순간 지붕으로 세차게 쏟아지는 빗소리, 몇 년 전 지붕 전체를 새로 교체하면서부터는 솔직히 ‘기쁜 안도감’을 주는 멋진 선물이 되었다. 그 전에는 지붕이 새는 걱정을 하곤 했으니까…

Dementia, Alzheimer... Old, old… horror, sad, pain… 공포영화와는 다른 또 다른 ‘황혼 인생의 고통’을 대변하는 단어들… 아~ 어쩌다 이렇게 오래 살았을까, 싫다, 싫습니다~~~

 

Twinkling Christmas Bush Lights

아~ 멋지다, 멋지다~~  해가 거의 질 무렵에 설치한 집 앞의 Christmas bush lighting의 모습이 완전히 어두워진 후에 보니 이런 감탄사가 나온다. 자질구레한 ‘오점, 흠’들이 거의 사라진 배경에 은은히 빛나는 ‘성탄의 빛’, 이것이 올해 우리의 대림절 4주간의 시작인가~

일주일 두 번 근육운동의 후유증인가, 솔직히 그것으로 포기할 수가 없는지도 모른다. 고통과 짜릿한 희열이 교차하는 것, 이것이 운동 이후에도 계속이 되는 모양, 그것에 낮잠까지 뒤따른다면 거의 완벽한 휴식의 시작이다. 간혹 꿈까지 곁들이면 아~ 그것은 my blue heaven~~ 

이런 낮잠의 유혹을 물리치고 일단 시작한 것, 집의 정면 bush lighting,  일년 만에 먼지를 털고 긴 잠에서 깨어나는 순간들…   오늘 근육운동이 조금 무리가 되었는지, 점심 이후에는 그저 눕고만 싶었고, 결국은 낮잠을 자게 되었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 오늘 하려고 했던 일, 성탄장식, tree & lighting 을 조금 시작하게 되었다. 아마도 이렇게 일찍 holiday decoration lighting을 하는 것은 근래에 드문 case가 아닐까… 우리 천주교회에서는 은근히 이런 것들 가급적 늦게 하라고 권유한 것을 그 동안 충실히 따른 것이다. 하지만 이제는 아니다, 가급적 즐겁게, 기쁨으로 이 시기를 맞이하고 보내고 싶은 것이다.

Thanksgiving, Christmas Lighting, Advent… 하루 하루가 모두 모두 의미심장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날들… 정신 바짝 차리지 않으면 하나도 건지지 못할 듯하다. 또 내가 ‘너무’ 심각한 것은 아닌지 조심하지만 ‘너무 조심하는 실수’를 하는 것이 나에게는 오히려 편하다. 조금은 relax한 편한 얼굴을 보이고 싶지만, 75년 동안 굳어진 나의 본성이 그렇게 쉽게 바뀔 수는 없지 않은가? 하지만 나를 보는 옆 사람을 조금 더 생각하도록 노력 하는 것… 좋지 않을까?

이즈음 나의 생각, 의식, 머릿속은 ‘의식의 생존’,  ‘생물학적으로 소멸한 후의 의식의 행방’에 관한 것들로 꽉 차있다. 구체적으로 생명체의 의식consciousness 이 두뇌와 별개체라는 의미심장한 가설인데… 이것은 솔직히 ‘권위자의 가르침’에 의존할 수 밖에는 없지만 나에게도 의견이 없는 것이 아니다. 우선 이런 가설을 ‘믿고 싶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가 없고, 그 다음은 이 ‘가설의 논리성, 철학, 과학’도 치명적인 문제가 없다는 것, 바로 이것이다. 이런 사실만으로도 나에게는 ‘인류의 진화’에 의한 끊임없는 새로운 깨달음 enlightenment 이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놀람의 연속이다. 요새 이런 ‘깨달음’의 연속으로 나는 살맛이 100배, 1,000배로 늘어나는 시간을 보내고 있다. 역시~ ‘감사합니다’~~

 

Two Votes for Warnock, Destroy Trumpism!

쓰레기 통을 바깥으로 내놓으면서 mailbox를 보니 기다리던 runoff election ballots 2통이 얌전히 들어있었다. 또한 Asian community에서 보낸 선거운동 post card가 연숙의 이름으로 보인다. 이제 열흘이 남은 runoff, 만의 일이라도 2016년의 ‘ DT 개XX 사고’와 같은 일이 일어날까 봐 조금 걱정은 되지만 이번에는 ‘한번 속지 두 번 속냐?’ 라는 깡으로 버틴다. 며칠 전 가족 turkey dinner에서 Luke의 의견도 마찬가지.. 어떤 말종 인간들이 그 개XX를 뽑을까, 상상조차 할 수 없다는 것, 물론 나도 동감… 이것의 흑백 논리는 너무나 당연한 것이지만 그래도, 그래도 만의 일이라도… 아~ 상상조차 싫구나~~

오늘 우리도 파격적으로 일찍 Christmas Decoration을 시작하려 했지만 의외로 바람이 세차게 부는 것을 핑계로 내일로 미루기로 결정을 했는데 어둠이 내리면서 밖을 보니… 아~ 앞집 Josh 집에서 온 가족이 나와서 장식을 하고 있는 것이 보인다. 오른쪽 Day 집도 이미 방 속에는 tree의 light가 보이고… 아~ 우리 동네도 본격적인 holiday season이 시작되고 있구나… 또 한 해의 흐름과 함께…

오늘도 어김없이 어김없이 ‘죽음의 진짜 모습, 의미’에 관한 ‘논문 급’ 글들일 포근하고 행복한 심정으로 읽고 읽는다. 그러면 그렇지, 인간, 아니 생명이란 것이 그렇게 영원히 사라질까, 그것은 너무나 너무나 이상하지 않은가? 절대 사랑의 본질인 그 하느님이 어떻게 태어난 생명이 없어지게 할 수 있단 말인가? 현재 대량의 논문, 자료들이 BICS prize winner들의 것인데 이것을 전부 읽고 나면 나는 또 어떻게 변할 것, 아니 더 신심을 돈독하게 할 것인지 지금부터 가슴이 울렁거린다.

어제의 특전미사 ‘덕분’에 모처럼 편하게 아침잠을 즐길 수 있었지만, 그래도 이른 아침의 신비는 늦잠을 허락하지 않는다.  잠을 자는 동안 후두둑거리는 빗소리를 간간히 들었지만 예상한 것처럼 쏟아지는 비는 아니었다. 잔잔히 촉촉이 적시는 정도의 얌전한 비, 이것도 일요일 새벽의 기분을 적당히 만져주는 듯하다. 이런 느낌은 한마디로 행복함 그 자체임을 인정하면 된다.

 

Strange, Manger without Baby

올해 아틀란타 도라빌 순교자 성당, 성탄구유 점등식, 대림절 전야 특전미사 등등을 나는 특별한 이유도 깨닫지 못하고 기다린 셈이 되었다. 대림의 뜻처럼, 그저 그렇게 기다리는 것이 바르다는 것, 그것이 전부였다. 결과는 물론 기대한 그런 모습, 광경이었지만 약간 차질이 없었던 것도 아니었다. 7시의 공식 시작시간보다 15분 일찍 시작한 것이어서 아차 했으면 시작 부분을 놓칠 뻔 했지만, 행사가 끝나고 나니 그런 것들이 큰 문제가 될 리가 있겠는가?

먼 곳에서 구유를 자세히 볼 수가 없어서 몰랐지만 나중에 보니 구유에는 꼭 보여야 할 ‘아기 예수님’이 없었다. 사실 이런 모습은 처음 보는 것 아닌가? 하지만 신부님의 간단명료한 강론에서 이것은 의도적인 것, 모두 모두 아직 안 보이는 아기예수를 성탄까지 기다리자는 취지, 의도였음을 알게 되었다. 이런 의도도 기억에 남을 듯하다.

어둠 속에서 익숙한 얼굴들을 보는 것도 반갑고 즐거운 것, 하지만 생각보다 교우들의 숫자가 적은 것도 그렇고, 특히 우리 또래의 교우, 친지들의 모습들도 별로 보이지 않았던 것은 역시 세월을 탓해야 할지… 이제는 이런 행사에서도 나는 동년배를 찾고 있으니… 이것, 조금 이상한 것일까, 아니면 인지상정일까… 올해의 대림절을 이렇게 시작한 것, 이제는 조금씩 불편해지는, 어둠을 뚫고 집으로 drive를 하는 것 이외에는 몇 백 번이라도 하고 싶은 것이다. 감사합니다~~~

 

오늘도 Dr. Bernardo KastrupBigelow Prize Essay를 읽는다. 이제까지 본 것 중에서 consciousness 주제에 대한 제일 학문적 논문급이라 더 흥미롭다. 예전에는 이 주제는 거의 금기사항이었고, 특히 (자연)과학계에서는 언급조차 못했고, 잘못하면 즉시로 학계에서 파문을 당하곤 했는데 이제는 그때와는 다르게  많이 다른 세상으로 변하고 있는 듯하다. 양자역학의 도움으로, 고전적 물질주의가 완전히 수세에 몰리는 듯하기까지 보이는 것은 놀랍기만 하다. 나는 솔직히 가톨릭 우주관 cosmology 교리부터 출발했기에 물론 이런 추세를 쌍수를 들어 환영하지만, 웃기는 것은 아직도 나 자신이 속으로 Consciousness, After Life 같은 것을 운운하는 것 자체를 피하고 싶은 심정… 이 정도면 현대가 얼마나 순수물질주의에 젖어 있는지 알만 하다. 하지만 나는 노력할 것이다. 의심을 가지고 열린 가슴으로 모든 것을 보고 판단할 것이다. 하지만 그래도 ‘저 너머에 아롱거리는 다른 세상’에 대한 환상은 피할 수도 없고 버릴 수도 없다. 계속 진정한 진실을 향한 노력을 계속할 것이다.

어제 늦게 뜻밖에 ‘가정교사’ 인호 형의 카톡소식을 받았다. 소식의 문체에 잔뜩 에너지가 느껴지기에 우선 ‘아~ 형님 건강하시구나~’ 하는 포근한 안심, 안도의 숨이 느껴진다. 소식이 서로 없음을 개탄하는 듯한 느낌이 더욱 반가운 것이다. 몸은 느려져도 머리, 영혼만은 끝까지, 끝까지 건강 그 자체라고 나는 항상 믿었기에, 형님 나이 82세라는 것이 심각하게 다가오질 않는다. 간단히 지난 2년간 우리 가정의 변화 변천사를 알려드렸지만 그 이외는 앞을 기약할 수가 없다. 언제는 형님과의 대화는 이렇게 간단히 끝이 나곤 했으니까… 인호 형, 이번에는 조금 긴 대화를 하며 삽시다!

한국에 계시는 연숙이 쪽 친척들, 특히 형님과 동서형님의 건강상태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며 참 세월에는 장사가 없다는 말이 그렇게 실감이 갈 수가 없다. 그렇게 건강하시던 두 양반, 모두 현재 조금씩은 문제가 있는 것이라고 하니… 형님은 얼굴자체가 너무나 초점을 잃은 듯하게 보인다고.. 동서형님은 다른 쪽, 그러니까 걷는데 문제가 있다고.. 아~ 80대가 되면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 것일까? 나도 곧 그렇게 될 것일까? 연숙이 ‘이순재’씨는 88세에도 연극 활동을 한다고 몇 번이나 칭찬 말을 하는데 결국은 나이 그 자체보다는 개인적 에너지 차이도 큰 몫을 하는 것이 아닐까? 나는 어떻게 될 것인가, 나는?

 

 

Thanksgiving Prayers

날씨는 seasonable 한 기온, 하지만 잔뜩 흐리고 빗방울이 곧 떨어질 듯 한 2022년 추수감사절을 맞는다. 모든 것, 모든 사람들, 하느님께 감사를 하고 싶다.  이렇게 비교적 조용한 한 해를 보냈다는 사실을 감사한다.

감사하는 마음을 어떻게 표현을 할까, ‘하느님께 바치는 기도’ 란 형식이 제일 적당한 것 아닌가? 기도는 마음 속으로 충분히 할 수 있겠지만 이런 날은 남들과 함께 하는 것이 적당하니, ‘통성 기도’도 필요하다. 문제는 나는 그것이 아직도 어색하기만 하니… 마음 속으로 하는  ‘모범, 전통, 영성적 기도’는 다음의 두 가지로 정했다.  Thich Nhat Hanh, Joanna Fuchs의 기도를  online에서 찾아 함께 해보니…

 

This Food is the Gift

This food is the gift of the whole universe: the earth, the sky and much hard work. May we live in a way that makes us worthy to receive it. May we transform our own unskilled states of mind and learn to eat with moderation. May we take only foods that nourish us and prevent illness. We accept this food so that we may realize the path of understanding and love.

Thich Nhat Hanh

 

Abundant Blessing

We thank you for the turkey, the gravy, and the dressing.

Dear Lord, this table overflows with Thy abundant blessing.

Let us always be aware that all gifts come from You,

and may we serve Your heavenly will in everything we do. Amen.

Joanna Fuchs

 

감사절 전통 식탁기도, 아마도 처음 하는 것, 식사 전 감사기도를 준비하는데 놀랍게도 연숙이 올해는 ‘가장 家長으로’  나보고 하라고 권유를 하는 것이 아닌가?  아닌게아니라 올해는 ‘진짜 기도’를 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이런 권유가 아마도 우연이 아닐지도… 그렇다면 어떤 기도를 할 것인가, 가톨릭의 기도문  ‘식사 전 기도’는 너무나 상투적이고, 속으로 했던 2가지 ‘영어 기도’도 조금은 분위기에 걸맞지 않고…  하지만 어떤 기도를 할 것인가의 물음은 자연히 해결이 되었다. 그래~ 제일 보편적인 기도가 최고가 아닐지…  하지만 아무리 보편적이라고 해도 우리는 ‘알파요 오메가이신 예수님’을 떠날 수는 없다. 비록 영어로 된 주의 기도였지만,  과연 40대로 접근하는 아이들이 이것을 아직도 기억을 할지도 궁금하지만, 누가 알랴, 이것이 추억의 촉매가 되어서 다시 신앙의 고향으로 돌아올지… 아이들은 조금 어색한 눈치였지만 의외로 사위 Luke는 ‘집에서 듣고 자랐다’라며 익숙하고 편안하게 따라 해서 올해의 특별한 식탁은 뜻 깊은 ‘온 가족 기도의 시작’과 함께 하게 되었다.

어제부터  음식 준비를 천천히 착실하게  시작해서 그런지 오늘은 여유롭게, 평화롭게, 천천히 turkey를 굽기 시작하며 평화로운 시간을 맞는다. 거의 하루 종일 만찬 음식을 준비하는 동안 나는 정말 오랜만에 알코올이 들어간 음료, wine의 맛을 보게 되었다. 주위에는 ‘술을 끊었다’고 했지만 이런 특별한 계절은 물론 예외다. 하지만 가급적 hard liquor류는 피하고 wine & beer 정도는 조금만 마시기로 했다. 가끔 예년에 ‘즐기던’ Canadian Mist 생각이 간절하기도 하지만 이제는 추억으로 즐기기로 했다. 이것은 주치의의 권고도 참고를 했지만 꽤 가계부에도 도움을 주기에 못할 것도 없다는 자신감이 생긴 것이다. 제일 큰 동기는 물론 ‘건강하게 죽으려면 술도 조심하라’는 의학, 임상적 권고가 귀에 깊숙이 들어온 것이었다.

Thanksgiving Holiday를 맞으며 불현듯 올해는 12월의 진짜 holiday인 Christmas의 모습이 일찍도 다가온다. 조금씩 성탄 장식에 관심이 간다. 예년에는 가급적 성탄의 느낌은 가급적 늦게 미루려고 했는데, Pandemic이후로 조금씩 바뀌어, 가급적 일찍부터 즐기게 되었다. 가뜩이나 우울한 세상살이, 이렇게 하는 것이 조금은 더 현명하고 상식적이라는 생각도 든다. 올해도 예외는 아니다. 비록 정치적인 고통은 많이 완화기 되긴 했지만, 그래도 밝은 세상의 모습을 찾고 싶은 것이다.

이런 모습이 아마도 그 익숙한 말 ‘만추 晩秋’의 모습이 될 것인가? 올 가을은 정말 천혜의 도움으로 사상 최고의 ‘단풍, 낙엽’의 모습을 만끽할 수 있었다. 이제는 서서히 겨울의 모습으로 변하고 있고, 특히 올해는 ‘눈의 가능성’이 꽤 높이 예보가 되어서 벌써부터 지나친 기대를 조심하려는 착각에 빠지기도 한다.

 

Cooling, Deepening Autumn

오늘은 예정에도 없이다른 견공 犬公  Senate와 지내는 날이 되었다. 나라니 가족이Chattanooga, Tennessee 로 놀러 가면서 우리 집에 맡긴 것이다. 물론 오랜만에 보는 Senate는 반갑지만 사실 이것도 부담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가족이라는 사실이 모든 것을 감싸주고 덮어주는 것 아닐까? 새로니 개 Ozzie에 못지 않게 Senate 이 녀석과도 이제는 은근히 정이 들었나 보다. 서로의 chemistry가 알맞게 맞는 것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이것도 ‘사랑’이라는 cosmic consciousness , 그것이 필요하지 않았을까? 

오랜만에 녀석과  깊어가는 가을의 정취가 흠뻑 담겨가는, 벌써 Thanksgiving Holiday 의 모습이 보이는  우리 동네를 천천히 걸었다. 내일 오후에 집으로 돌아 간다고 하는데, 그때까지 전처럼 이번에도 가족, 특히 Luke가 보고 싶어서 밤새 끙끙대지 않을지…

날씨는 오늘 저녁부터 돌변을 해서 추위와 강풍이 몰아치며 내일까지 계속된다고… 아~ 내일 아침 주일미사로 일찍 일어나야 되는데, 쉬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그런 날 새벽같이 일어나서 15마일을 달려 성당엘 가야 하니… 하지만 주일미사 이후의 bakery & cafe 하얀풍차 그룹과의 담소와 donut & coffee가 그리워지기도 …

 

Poor Josh, Backyard Apple, AeroGarden

그야말로, poor Josh..라는 말이 나온다. 요새는 본격적으로 낙엽이 계속 떨어지면서 쌓이고 있는데, 그것을 어떻게 처리하고 있는가 하는 것이 집집마다 독특하게 다르다. 극단적인 차이가 있는 것이다. 각자의 취향이라고 할까… 우리는 일부러 자연스럽게 놔두며 산속의 모습을 간직하고 싶은데, 어떤 집은 ‘결사적’으로 각종 power blower를 총동원해서 낙엽 한 입까지 모조리 치운다. 이런 사람들의 성격은 나와 정 반대로 ‘100% 도시형’, 그러니까 단풍잎을 거의 쓰레기로 보는 듯하다. 앞집 Josh는 극단적인 인물, 하기야 그의 직업이 landscape designer라서 그런지도 모른다. 문제는 낙엽이 떨어지기가 무섭게 요란한 blower소리로 치우는 작업이 점점 힘들어지는 season인 것. 오늘 보니 꽤 많이 떨어졌는데 인기척이 없으니… 지친 것이다. 나는 blower 특히 gas powered의 소음이 딱 질색인데, 미안하지만 쾌재를 부른다.

뜻밖의 사과 선물이 차고 앞에 놓여있다는 연락이 왔다. 1992년 이곳으로 이사올 당시 이미 이곳의 터주대감으로 사시던 유일한 동포 B 선생 댁이 보낸 것이다. 가끔 이렇게 서로 아주 작은 것을 교환하며 사는데, 꾸준히 함께 뒷집 이웃으로 산 인연이 벌써 30년이 넘은 것이지만,  사는 것이 바빠선지 별로 가까이 할 기회가 없었다. 집은 뒷면으로 등을 대고 있지만 숲이 막고 있고 차로 가려면 빙 둘러서 가야 하는 아주 묘한 위치의 이웃관계다. 하지만 그런대로 만남의 기회를 준 것이 뒷마당 텃밭의 위치가 접하고 있어서 잊을 만 하면 그곳에서 잠깐 만날 수 있었던 것. 가끔 기르던 채소를 교환하기도 했지만 우리와 다른 것은 그 집은 vegetable 보다는 꽃나무에 관심이 더 있었다. 장성한 아드님도 함께 사는데, 이제까지 거의 한번도 마주한 적이 없다는 것이 조금 특이하다고 할까.. 하기야 집집마다 다 독특한 사정이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니까…  가끔 산책길에서 마주치기도 하고, 새벽에 일어나면 먼 곳에서 서로의 불빛을 확인하기도 하는, 한마디로 이분들과의 관계는 뜨겁지도, 차지도 않은 정말 독특하고 신기한 장구한 세월의 인연이 되고 있는데… 이제 두 집의 인생여정의 연륜이 만만치 않으니.. 언제까지, 언제까지… 건강한 관계가 이어지기만…

대기만성 大器晩成…  이런 말 아직도 쓰나…  AeroGarden Sprout, 새로니가 연숙의 생일선물로 주었던 것, 집안에서 작은 식용작물을 키우는 이것, 이후 basil을 포함한 3 herb가 germinate 과정을 거쳐서 본격적으로 자라게 되었고 basil은 이미 prune과정으로 음식에 넣기도 했다. 하지만 한가지 herb가 2달이 지나도록 잠잠해서, 아마도 살지 못했나 했는데 그제 보니 이제 싹이 나오고 있는 것이 아닌가? 살아 돌아온 가족처럼 기쁜 것이다. 2주 정도면 싹이 트는데 2개월? 그래서 그런지 이 가운데 녀석에 특별히 관심과 정이 간다.

벌써 바뀐 시간에 적응이 되었는가, 새벽 6시 30분 직전에 눈이 떠진다, 아주 편하고 쾌적하게… 좋은 징조가 아닌가? 몸이 비교적 가뿐한 것이다. 침대에서 ‘기어나올 때’ 평상시에 괴로운 ‘어지러운 느낌’도 훨씬 덜하다. 혹시 요사이 안정적인 혈압의 좋은 영향은 아닐까?  시력, 특히 근시의 진행 이외에 나의 신체적 감각은 직감적으로 거의 정상이다. 다만 손끝의 감각은 조금 둔해지긴 했지만. 문제는 과연 언제까지 이런 상태가 계속될 것인가 하는 것.  물론 서서히 약해질 것은 자명한 사실이지만 그 정도가 문제, 느끼지 못할 정도면 OK.

초가을처럼 따뜻한 새벽의 느낌, 편하다. 추위의 모습을 보는 것은 나의 즐거움이지만 그것을 느끼는 것은 별문제, 나이의 영향인지 그렇게 매력적이 아니다. 오늘은 이곳의 election day이지만 앞으로 최소한 일주일은 나에게 ‘정신적인 휴가’로 사는 전통을 고수할 것이다. ‘흙탕물, 비록 필요한 것이지만’, 그곳에다 나의 즐거운 시간을 빼앗길 마음은 추호도 없는 것이다. 대강 일주일 이후면 훨씬 그 ‘더러운 흙탕물’도 맑아지니까…

대신 현재 ‘다시 읽게 된’  Robert Lanza의 Biocentrism 을 무서운 속도로 섭렵涉獵 하게 되었다. 2020년 이즈음에 처음 읽었던 것, 거의 2년 만에 재독을 하는 셈인데… 이것이 깨달음인 것인가? 처음에 비해서 무엇인가 새로운 사실을 실제로 내가 느끼게 되었다는 놀라운 사실!

혼자 집에 있는 시간,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좋다, 싫다, 모르겠다… 중간이다… 중간일 것이다. 좋은 것 반, 그렇지 않은 것 반. 하지만 좋은 것이 조금 더 많다고 하고 싶다. 이런 시간이 그렇게 자주 오는 것이 아니어서 그런지도 모른다. 우선 내가 하고 있는 시간이 갑자기 중단되는 일어 없다는 사실이 제일 반갑다. 수시로, 아무 때고 응답을 해야 하는 것, 어떨 때는 화가 나기도 하니까. 혼자 산다고 가정하면 이렇게 간섭을 받는 것이 그리워질 것 같기도 하지만, 현재로써는 마음껏 나만의 시간을 ‘방종’하고 싶은 것이다. 전혀 그런 기분을 모르는 배우자의 존재, 어쩐 종류의 대가를 치르는 것일까?

Fall Back Sunday, Fall Concert, Biocentrism

‘그날’ 새벽, 아침에 한 시간 덤으로 잠을 잘 수 있는 한 가을의 일요일 새벽… 기억으로 아마도 처음으로 시계를 손으로 바꾸지 않고 잠자리에 들었던 듯하다. 어젯밤에는 도라빌 순교자 성당 특전미사, 가을음악회 관람으로 모처럼 늦게 귀가를 한 탓도 있었지만, 솔직히 귀찮기도 했다. 이렇게 시계를 고치는 작업이 심지어 지겹게 느껴졌던 것일지. 언제까지, 언제까지… 이렇게 시간, 시계에 매어서 살아야 하나… 지루하기도 하고…

너무나 일찍 일어난 것이 조금 당황스럽기도 하지만, 이것은 덤으로 얻는 한 시간이 아닌가? 마음껏 시간을 ‘낭비’할 수도 있는 사치가 아닌가? 오늘은 어제 특전미사 덕분에 주일미사에 가지 않게 되어서 온통 우리의 시간이기도 하고… 조금은 relax하며 게으름도 피우고 싶은데, 솔직히 말해서 일부러 피우는 게으름은 나의 적성에 맞지를 않으니, 참 나도 피곤한 인간이다. 왜 그렇게 relax할 줄을 모르냐?

 

1962년에 내가 그린 자작만화, ‘민족의 비극’을 다시 꺼내 들어서 본다. 무려 태평양을 건너와 60년의 세월을 견디며 나의 곁에서 잠을 자고 있는 이것은 분명히 나의 보물1호다. 하지만 이제는 세월의 무게를 느끼며 피곤한 모습, 내가 세상을 하직할 무렵에는 아마도 종이들이 삭아져 없어지지 않을지… 결국은 scan/digitize할 때가 온 것이다. 문제는 이것을 낱장으로 해체를 해야 하는데 솔직히 망설여진다. 원형이 없어지는 사고가 겁나는 것. 하지만 결국은 결단을 내릴 것을 기대하고 있다.

 

2년 전 처음 접했던 Robert Lanza, MD의 Biocentrism 3부작을 다시 잡아서 1편 격인 BIOCENTRISM을 순식간에 거의 반을 읽어내려 갔다. 요새 새삼 깨달은 사실은, 어느 책이건 한번 읽는 것으로는 거의 큰 효과가 없다는 것. 이 책을 두 번째로 읽으며 새삼 느낀 것이다. 이제야 조금 ‘감’이 잡히는 것이다. 한마디로 지난 100여 년 동안 서서히 축적되어온 실재관의 변화가 이제는 전통과학(특히 물리학)에서 무시할 수 없을 정도가 된 것이다. 이 책의 기본적인 주제는 생명, 의식이 물질의 원자, 분자를 앞선다는 가설이다. 쉽게 말하면 생명체가 없는 우주관은 허구라는 새로운 세계관을 제시하는데, 이 저자는 quantum mechanics를 기초로 거의 완전한 이론체계까지 구성했는데, 이것도 String Theory처럼 ‘믿기에’ 따라서 성공의 여부가 달려있는 듯 보인다. 요즈음 세상은 이런 거의 혁명적인 idea들로 심심치 않다.

 

To Dance with the White Dog 1990년대 Hallmark Hall of Fame movie/video를 다시 본다. 이것은 우연한 것이 아니고 일부러 찾아서 보게 된 것이다. 영화의 무대가 이곳 Georgia주인데다, 야외 location은 전 대통령 Jimmy Carter의 자택 근처였다. 이 영화의 주인공은 아주 연로한 금실 좋은 노부부 [Hume Cronyn, Jessica Tandy] 인데, 금혼식 이후 부인이 심장마비로 먼저 세상을 떠나고 남편 혼자 살게 된다. 근처에 아들 딸 내외들이 같이 살아서 매일 집에 와서 돌보아 주는데, 문제는 하도 지극정성으로 돌보는데 아버지는 그것이 좋기는 하지만 부담이 되기도 한다. 그러다가 갑자기 흰 색깔의 수려한 개가 난데 없이 나타나며 아버지와 함께 지내고 심지어는 같이 dance 흉내를 낼 정도가 되었다. 나중에 아버지까지 임종을 맞게 되는데, 아들 손주에게 유언으로 ‘그 흰 개는 wife’ 였고, 무덤에 묻힌 다음 날 묘소에 와 보라고 한다. 그 유언대로 그곳에 가보니 정말 무덤을 덮은 모래에 개 발자국이 선명히 보였다. 

두 주인공 배우들은 실제로도 부부였고, 이 영화 이후에 모두 세상을 떠났다. 그래서 그런지 이video를 계속 보면서, 부부로 평생을 산다는 사실이 누구 말대로 거의 기적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 기적은 역시 사랑에 의한 것임은 틀림이 없을 것이다. 이제는 우리도 이런 ‘소설 같은 이야기’가 실감나게 다가오는데, 오래 전과 다른 것이 있다. 이제는 다음에 올 세상이 있다는 사실을 100% 믿기에 죽는다고 헤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어제 저녁 ‘가을 음악회’의 요란한 소리들이 귀에서 울리는 듯… 오랜만에 귀 청소를 했다는 진부한 느낌, 표현… 어제 순교자 성당 ‘가을 음악회’는 그런대로 성공적이었음은 분명하지만, 나의 취향에 맞는 그런 것은 아니었다. 요새의 흐름이 그런가, 젊디 젊은 그런, 한바탕 풍악을 경험한 듯하기도 하니까.. 왜 그랬을까? 나의 편견인지도 모르지만 이들이 추구하는 음악들은 역시 mass media의 ‘개신교 style’이나 전혀 다른 것이 없는 ‘Hillsong‘ style의 그런 것들… 우리 동네본당의 주임 신부님이 봤다면 분명히 달갑게 보지는 않았을 듯하다. 한마디로 Catholic냄새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닐까?

 

Farewell my deskmate! Family pre-Halloween Cheer up

원병태,  몇 년 전에 타계? 중앙고 3학년 때 나의 짝꿍, 단짝이었던 원병태가 이미 사망했다는 소식을 신동훈으로부터 오늘에야 들었다. 소식이 없이 조용한 듯한 동창들, 사실은 그들이 세상을 떠났을 가능성이 많다는 것을 오늘 원병태 소식을 들으며 깨닫는다. 그래, 그러니까 그렇게 조용한 거지. 살아있으면 어떤 방식으로든 어디선가 표적, 표식이 난다는 것을 왜 일부러 부정을 하며 살았는지. 특히 우리의 나이에서는 더욱 그럴 지도 모른다. 원병태, 원병태, 중앙고 졸업 이후 1970년 대 초에  다시 만나서 그가 다녔던 고려대에서 테니스를 같이 치던 추억이 서로의 마지막이었지.. 곧 미국엘 가서 친척 집의 주유소 일을 돕게 될 것이라 했지.. 그러고 나서 소식이 끊겼다. 영어 회화 실력이 별로 없어서 일을 하는데 힘들 거라 걱정스런 말을 하던 녀석의 모습이 눈에 선~ 한데… 네가 나보다 먼저 갔구나. 중앙고 3학년 큰 키에  맞지 않게 나와 짝꿍이었는데, 키 큰 애들을 조금 무서워하던 나도 그 녀석은 그렇게 편하고 친했는데…  대학 입학시험 이후 합격소식을 알려주었던 자상한 녀석… 고대 화학과에 ‘꽁지’로 합격했다고 자랑을 했던가~ 병태야, 고맙고,  편하게 쉬거라, 우리들도 곧 따라갈 터이니까, 그때 다시 만나자~~~

 

얼마 전부터 나라니가 힘들어 한다는 소식을 들었다. 요새 일을 하며 아이를 키운다는 것은 우리 때와는 완전히 차원이 다른 것으로 보인다. 둘이 벌어야 그런대로 사람처럼 사는 세상이 된 것인가? 2살을 지난 개구장이 남자아이와 씨름을 하는 것에 지친 것인지도. 그래서 새로니, 나라니 식구들 전부를 오늘 불러서 온 가족 pre Halloween Dinner 모임을 가졌다. 전에 이렇게 Halloween 을 계기로 가족이 모인 기억이 없어서 조금 새롭고 신선한 시간을 즐기게 되었다. Halloween costume 입혀서 오라고 했는데 너무나 힘이 들었는지 모두 그냥 왔기에 식사 후에 우리 동네에서 제일 거창하게 장식을 한 집을 모두 방문하기도 했다.

거창한 비바람의 도움을 하나도 받지 않고 올해의 가을낙엽들은 순전히 자기들의 의지로 하나 둘 씩 내려오고 있고 이제는 풀잎들을 거의 모두 덮을 정도가 되었다. 더 있으면 발이 빠질 정도의 두께로 덮일 것이 분명하다. 거의 정확한 때에 이렇게 반복되는 ‘하강식’, 이제는 놓치고 싶지 않은 내 생애의 마지막 장을 보는 듯하다. 내년에도 반복될 것은 분명한데 세월이 갈 수록 내년의 모습이 점점 불투명하게 보이는 것은 ‘인간 원죄의 결과’일지…

거의 초음속으로 나르는 비행기처럼 빠르게 지나가는 시간에 솔직히 말해서 은근히, 조용히 심지어 부끄럽게 경악 한다.  최근에 새로 알게 된 깨달음 중에 시간의 흐름에 관한 것도 있다. 흔히 시간은 지루할 때 보통 때보다 느리게 흐른다는데 공감을 한다. 다르게 말하면 시간이 느리게 느껴질 때 그 순간들은 지루한 것으로 보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요즈음 그런 현상이 나에게도 있음을 알게 되었는데, 바로 묵상, 명상, 기도, 실내 track에서 걷기 등을 할 때다. 전에는 이런 시간이 정말 지루하기만 했다. 시계를 보며 왜 이렇게 시간이 안 가는 것일까 할 정도인 것은 그 시간이 별로 즐겁지 않았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그것이 최근에 180도로 변한 것이다. 나도 놀랄 정도로. 한마디로 말하면 묵상, 명상, 걷기 등의 시간이 지루한 것으로부터 즐겁고 깊이가 생긴 것이다. 왜 이렇게 바뀌었을까, 그것이 나는 알고 싶은 것이다.

 

Absentee Ballots, Dirty Politics, Pansy Fix

오늘 드디어, 기다리던 Absentee Ballot이 도착했다. 월요일부터 voting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처음 해 보는 것이라 아주 나에게는 흥미롭고 만감이 교차하는 순간이 되었다. 누구를 찍느냐 하는 것이 이제는 과제로 남는다. U.S. Senator는 문제가 없는데 Georgia Governor가 골치 아프다. 이것이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정치적, 신앙적으로는Brian Kemp가 적당하고, 나머지 것 모두는 Stacey Abrams가 마음에 드니… 이것을 어찌한단 말인가?

정말 오랜만에 PBS의 Washington Weeks [about mostly dirty politics] 란 program을 우연히 보게 되면서, 생각에 잠긴다. 나는 왜 이렇게 ‘겁쟁이’일까? 무엇이 그렇게 나를 무섭게 하는 것일까? 나에게는 ‘깡’이라는 것이 그렇게 부족한 것일까? 이런 나의 성향에 대해 생각하는 것조차 무서운 이유는? 그 실체를 잘 모르기에 그런 것일까? 왜, 무엇으로부터 그렇게 도망가고 싶은 것일까? 왜 그렇게 나에게 분노를 자아내게 하는 것일까? 왜, 무엇이, 어떻게?

다시 싸늘한 새벽을 맞는다. 45도는 상당히 저온인데 바람이 거의 없으니 조금 옷에는 신경을 덜 써도 될지. 요즈음 아침마다 어떤 옷을 입는가 고민을 하는 그런 시기의 절정이다. 나에게 고를 수 있는 선택의 여지는 많지 않지만 생각 없이 잘못 고르면 결과는 ‘일그러진 자화상’으로 고생을 한다.  이것은 물론 외출을 하기에 그런 것이지만, ‘그래도, 집에 있어도’ 조금 옷에 신경을 쓰는 것이 몸과 마음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고 믿는다.

Morning Mass를 마치고, Home Depot에 들러서 Pansy 화초를 사가지고 와서 앞쪽의 커다란 부분이 죽어버려 보기가 민망한 잔디밭의 한 가운데 심었다. 새로 잔디를 심을 자신이 없으니 이것도 멋진idea가 아닌가? 하기야 이런 모습은 Indian Hill country club 의 어떤 집에서 이미 보았기에 조금 자신을 가진 것이다. 하지만 과연 이것이 어떻게 주위와 잘 어울릴지는 미지수다. 겨울이니까 크게 돋보이지 않기에 조금 시간을 벌 수 있을 것이다.

Home Depot에는 이미 Halloween과 아예 Christmas까지 완벽하게 빨리도 준비를 하고 있었다. 문제는, 물건들이 얼마나 비싼지 입이 벌어질 정도였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큰 상관이 없으니 다행이라고 할지…

오늘 아침미사에 가긴 갔지만 이것은 조금 웃기는 계기가 되었다. 40년을 같이 살아온 부부지만 생각보다 서로 모르고…  아니 너무 잘 안다고 생각하는 과신에서 오는 실수인지도 모르는 일이 아닐까? 어제 저녁에 내일 미사를 쉬자고 말을 했는데 이유는 연숙이 수영을 18 laps 한 것으로 ‘아마도’ 피로했을 것이라는 나의 생각, 그것은 비약이었다.  조금은 그녀를 도와 준답시고, 자선을 베푸는 듯한 유치할 수도 있는 것이었다. 그런데 그것을 알고는 ‘하나도 피로하지 않다’고 말하는데 당황 [아니 조금 화가 나기도], 다시 신경질적으로 그러면 미사에 가자고 해버린 것이다. 그야말로 ‘엿먹어라’하는 식이었는데… 아침에 늦게 일어나는 것을 끝까지 깨우며 분명히 이것으로 조금 티격태격할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했지만 의외로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어찌된 일인가? 내가 오해를 한 것, 아니면… 아~ 참 그렇게 오래 살았어도 서로의 마음을 이렇게 모르고 지레짐작을 하니… 오해의 여지는 죽을 때가지 충분히 있을 것인데… 하지만 결과적으로 미사에는 갈 수 있었으니 서로 웃을 수 있게 된 happy ending이 아닌가?

 

Spitzer’s Satan, Canadian Thanksgiving

드디어 나의 서재에서 쓰던 fan heater를 아래층 bathroom의 문 뒤쪽에서 찾아내었다. 이것이 내가 줄곧 쓰던 것, 오늘 아침에 첫 시동을 하게 되었다. 이제 heating season이 정식으로 시작된 것이지만 아직도 whole house central heating은 1~2도의 차이로 침묵을 지키고 있다. 하지만 이것도 며칠 뒤에는 본격적으로 새벽에 소음을 내게 될 것으로 보인다.  가벼운 스웨터를 하나 둘 씩 찾아내어서 입기 시작, 다음 차례는 jacket이 필요한 순서.. 오랜 세월의 연륜으로 이제는 그림처럼 다음 차례의 모습이 그려지니.. 이래서 하루 하루 생활이 흥미가 없어지는가, 아니면 기다리게 되는가, 모르겠다.

올 가을에는 나뭇잎, 특히 그 색깔의 변화를 매년 내가 좋아하는 우리 subdivision의 Guilford Circle 상에 있는 연로한  그 ‘가을 나무’ 대신에 기대치도 않게 옆집 Dave 네 앞뜰 나무에서 감상하게 되었다. 동네를 최근에 별로 산책을 하지를 못했던 것이 제일 큰 이유가 아닐지… 그 ‘가을 나무’는 노오란 색깔로 변하는 것이 멋졌는데 오늘 보게 된 것은 빨간 색깔 쪽에 가깝다. 이것도 멋지게 보이는구나…

어제 나의 desk 옆에 방치되어있는 책 더미 속에서 이 Satan에 관한 책을 끄집어 내어 읽기 시작하였다. 왜 갑자기 ‘악마론’인가? 아주 timing이 절묘하다고나 할까.. 지난 주의 Black Days 경험도 그렇고 현재 Halloween을 향하는 시월 달도 그렇고 모두 이 ‘악마, 귀신’이 주제가 아니던가?  이 책 CHRIST versus SATAN (IN OUR DAILY LIVES)은 내가 좋아하는  예수회 사제저자,  Dr. Robert Spitzer의 최근 저서로 ‘현존하는 Satan’을 교회, 영성, 이론, 과학적으로 설득력 있게 서술하고 있다. 거의 미신적으로 즐기다시피 하는 초현대적 문화에서 이런 이론, 주장은 자칫하면 무시당할 수도 있지만 이 저자의 자질과 배경을 알면 훨씬 이성적으로 주제를 파악할 수 있을 것 같다. 물론 이런 오해의 여지가 있는 주제는 영성적으로 열린 자세가 아니면 본질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이 책과 함께, The Exorcist (William Peter Blatty), 다시 나에게 다가왔다. 매년 10월마다 경험하는 추억의 여행이기도 하다. 매년 나에게 다가오는 이 영화의 추억, 이것을 통해서 나는 무엇을 얻으려는, 찾으려는 것인지 이런 나의 모습에 나 자신도 웃는다. 하지만 이것이 이것의 마력, 매력이 아닐까? 올해는 조금 더 적극적으로 연구하는 자세로 이 영화와 나의 인생여정의 관계를 찾아 보고 싶다.

오늘 달력을 보니 Canada의 Thanksgiving Day라고 보인다. 불현듯 중앙동창 6년 반장, 정교성이 얼굴이 떠올라 간단히 카톡을 보냈다. 그곳에서 식구들이 모두 모여서 만찬을 할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들었다. 하지만 의외로 올해는 식구가 모일 수가 없다는 소식이었다. 작은 딸애가 퇴원을 했다는 것은 안 좋은 소식이었고 사위는 군인인데 NATO일원으로 훈련 중이라고 하며 혼자서 저녁 식사를 한다는 간단하고 쓸쓸한 사연… 아~ 나도 외로운 때를 보내고 있는데 이 녀석을 생각하니 비교를 할 수가 없구나. 이제 혼자 있는 것이 익숙해 있어서 문제가 없다고… 그래, 누구나 다 이 나이에서는 별 수 없이 외로운 것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