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중순, 와~ 춥다..

¶  2013년 2월도 반을 넘기고 이제 겨울과는 아주 멀어진 듯한 날씨에 익숙해지더니, 역시.. 자연의 ‘엄마’, mother nature는 못 말리나? 예고도 거의 없이 하루아침에 영하..로 그것도 낮 기온이 영상을 간신히 유지하는 싸늘함, 역시 아직도 춘분이 공식적인 봄의 시작이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듯하다.

모처럼 한가한 날 들을 맞이하고 있지만, 이런 날이 계속되어도 문제다. 사람은 역시 몸이고 마음이고 계속 움직여야 사는 것이니까. 2013년 사순절이 지난 수요일에 Ash Wednesday(재의 수요일)로 시작이 되었지만, 사실 우리의 매일 routine이 크게 바뀐 것이 거의 없다. 지난 일년을 거의 사순절처럼 살려고 해서 그런가.. 이건 너무 자화자찬일 것이지만. 커피도 계속 마셔대고, 즐기던 것을 끊은 것도 별로 없는 것 같다.

올해의 사순절에는 구체적으로 무엇을 ‘성취’할까.. 이것이 계획으로 이루어지기는 쉽지 않을 것이지만, 그래도 성 루도비코 마리아의 33일 봉헌 과정에 다시 한번 도전해 볼 마음은 아직도 있다. 2월 20일부터 시작이 되니 만큼 아직도 생각해볼 여유는 있다. 지난 해 바쁘고 힘들었던 한 여름에 열심히 33일 과정을 거쳤고, 그 후에 내가 느꼈던 것이 생각보다 훨씬 좋았지만, 알았던 것 보다 의문과 생각할 것들이 더욱 많아졌음을 알았고, 역시 다시 한번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었기에 또 역시, it’s now or never의 정신으로 도전해 볼까..

 

¶  요즈음 내가 즐기며 시간을 죽이는 것이 있다면 역시 computer system hacking정도 밖에 없을 것인데, 그 중에서도 요새 나의 관심은 mobile OS, 그 중에서도 Google의 Android (on Nexus tablets, mobile phones) ecosystem이 제일 관심이 간다. 지난 가을에 연숙 생일 때의 선물이 Google의 Nexus 7 tablet이었고, 올해 들어서 우리 가족이 family plan으로 T-mobile Samsung Galaxy phone으로 바꾼 뒤에 그 쪽으로 관심이 간 것이다. 두 system 모두 Android system이어서 이것 하나만 익히면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을 듯하다.

이런 것들이 요새 들어서 워낙 바쁘게 변하고 있어서 하나를 배우면 2~3년 만에 ‘고물’이 되어 버린다. 이런 것들 모두 한마디로 embedded computing device들이고, 이것을 지난 25년 넘게 ‘직업적으로 만들어’ 온 것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감회가 깊다.

 

¶  정말 오랜만에 김인호 형으로부터 email이 왔다. 지난 연말 연시 때 연락이 되지를 않아서, 혹시 아프신가.. 아니면 세계일주 여행을 가셨나 했는데, 자세한 것은 모르겠지만 그 동안에도 계속 ‘연구’만 하신 듯, ‘김인호의 경영, 경제 산책‘이라는 장문의 column을 쓰셨고 그것의 web links(1, 2, 3, 4)도 같이 보내 주셨다. 잠깐 읽어보니 경영, 경제 쪽의 전문용어들이 많이 나와서 그런지 나에게는 모두 생소한 것이 많았다.

나의 ‘경제, 금융’ 등에 대한 일반적인 인상이 대부분 부정적이어서 더 그렇게 느껴졌을 것이다. 전문 용어를 제외하면 이런 평론의 논지는 짐작이 간다. 우리 세대 (인호 형은 나보다 조금 위지만) 입장의 경제, 경영론이겠지만, 그런 매체에 실린다는 사실은 세대에 구별되지 않는 보편성이 있다고 생각이 된다. 형만 동의를 한다면 그 평론들을 나의 blog에 전재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  2월 중순에 느끼는 으스스한 추위와 ‘라디오엔 대설주의보, 남쪽엔 꽃 소식, 영동 산간 지방의 때아닌 폭설.. 하나도 아까울 것 없는 세월’을 얘기하는 김재진 시의 구절이 멋지게 어울리는 그런 날이었다.

 

세월

김재진

 

그런 잠 있었네. 낮고 흥건한

간다던 이 가고 없는

빈방에 불 켜놓고

후회없이 자리라 저녁 거르고 누운

라디오엔 대설주의보

남쪽엔 꽃소식 분분한데

영동 산간 지방엔 때아닌 폭설

환한 이마 찌푸린 채

가고는 오지 않을

아니면 오고는 가지 않을

그러나 사실은 가든지 말든지

아까울 것 없는 세월

하나도 아까울 것 없는 세월

때로는

잘 나가던 시절의

해 놓고 지키지 않던 맹세 따라

가리라 가리라 노래하다 못간

그런 날 있었네.

품팔던 사람들 돌아오는 길목마다

소리없이 타버린 심지처럼

버려야지 버려야지 마음먹다 울던

그렇고 그런

그래서 그런

낮고 흥건한 세월 있었네.

 

 

¶  40년 전 이 맘 때는 무엇이었을까? 그러니까 1973년.. 그 해 6월에 나는 나를 25년 동안 품에 안아주었던 고향산천을 등지고 미국으로 향했다. 그리고 그 뒤는 나의 긴 이어지는 역사가 되었다. 돌이켜보는 나의 마음은 어쩐지 슬프기도 하지만, 그 때는 희망과 낭만의 쌍곡선의 연속이었고, 그 당시의 추억은 역시 우리의 등대 pop song에 고스란히 얽혀있다.

그 당시에 어떤 것들이, 그 중에서 Lobo의 노래들은 쓰레기 같은 많은 것들에 눌려서 오랜 동안 숨어있었다. 다시 들어도 그것은 역시 ‘명곡, classic’이라고밖에 볼 수가 없다. Don’t expect me to be your friend, Me and You and a Dog named Boo.. 정말 정말 오랜만이다!

 

 
Don’t Expect Me To Be Your FriendLobo 1973

 

 
Me and You and a Dog Named BooLobo 1973

Groundhog Day, 2013

Movie, Groundhog Day, 1993
Movie, Groundhog Day, 1993

무려 12시간의 잠에서 깨어난 후 달력을 가만히 보니.. 오늘은 2013년 2월 2일 토요일, 가톨릭 전례력으로 ‘주님 봉헌 대축일(The Presentation of the Lord)’.. 그 밑에 조그만 글씨로.. Groundhog Day가 보인다. 아하! 또 일년이 흘렀구나 하는 신음이 섞인 소리가 나의 귀를 울린다. 일년이 지났다 함은 작년 이날을 그날에 관한 나의 blog이 생각이 났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지난 밤에 12시간을 잤던 이유가 희미하게 떠오른다.

마치 1993년 미국영화 Groundhog Day를 다시 보는듯한 기분이었다. 어제가 오늘 같고, 오늘이 어제 같고, 일년전이 오늘 같고 오늘이 일년 전 같은 comedy같은 느낌, 그런 생활과 느낌으로 나는 근래를 사는지도 모를 일이다. 12시간을 잤던 것은 몸과 마음이 ‘완전히’ 피곤해서 그랬는데, 결과적으로 ‘현재에서 도망가고 싶은 마음’을 강하게 느꼈기에 그런 생각에서도 도망하고 싶었다. 그것을 해결하는 유일한 방법은 ‘잠을 자는’ 것 밖에 없었다.

작년의 Groundhog Day를 생각하면서, 같은 이름의 영화 Bill Murray주연의 그 영화를 또 보고 싶었다. 작년에 ‘분명히’ Crackle.com에서 그것을 free로 하루 종일 보았던 기억에 그것을 찾았지만.. 불행히도 그것은 이미 ‘사라지고’ 없어졌다. 아마도 다른 site (hulu, netflix) 에 가면 paid-movie로 볼 수 있을는지도 모를 일이지만, 그렇게까지 해서 보고 싶지는 않았다. 작년 그때에 하루 종일 보았기에 나의 뇌리에 그 story와 scene들은 사진처럼 남아있기 때문이다.

이 영화를 보면서 우리가 인생의 ‘하루하루’를 살아가며 삼라만상의 ‘주기적, 반복적’인 것들과, 그 나머지 것들: 즉, 시간의 일방성 (절대로 과거로 돌아갈 수 없음), 생명의 생겨남과 사라짐 같은 철학적, 신앙적 차원의 것들도 생각할 수 있지만 그 정도까지는 아니어도, ‘각자의 최선’을 추구하며 하루 하루 사는 것이 제일 ‘멋있다’ 는 것도 이 영화를 통해서 느낄 수 있다.

Punxsutawney Phil, 2013
Punxsutawney Phil, 2013

올 겨울은 비교적 따뜻한 편이라고 할까.. 겨울답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home-heating에 많이 $$을 쓰지 않아 좋기는 하다. 그리고 조용한 편인데, 큰 눈과 강풍 같은 것이 ‘아직까지’ 없었기 때문이다. 올해 Groundhog Day에서 남은 겨울의 날씨, 아니 봄까지 얼마나 남았나 하는 것이 어떻게 ‘예보’가 되었을까?

Groundhog이 봄 예보를 하는 것은 너무나 간단하다. 이날 이 ‘두더지’가 ‘밖’으로 나갔을 때, 자기의 그림자를 보게 되면 6주일을 기다려야 봄이 온다는 것, 겨울이 아직도 많이 남았다는 것이다. 이렇게 봄 예보를 할 수 있는 groundhog은 ‘전통적’으로 (이제는 공식적으로) Punxsutawney Phil 로 이름이 된 두더지가 Punxsutawney, PA (펜실베이니아 주, 펑스토니 마을)에서 거의 festival같은 분위기와 수 많은 ‘관광객’들이 모인 자리에서 하게 되는데, 위에 말한 영화 덕분에 방문객의 숫자가 거의 곱절로 늘었다고 한다.

이 ‘두더지’전통은 옛날 옛날 옛적부터 독일에서 시작이 되었다고 하는데, 그들이 나중에 많이 정착했던 곳이 펜실베이니아 지방이었기에 그곳에서 100년도 전에 시작을 했던 것이고, 그런 행사로 $$$까지 벌게 되었으니, 참 재미있지 않은가? 12시간을 자야만 했던 올해의 Groundhog Day, 내년에는 제발 그렇게 자야만 했던 이유들이 ‘재탕’ 되지 않았으면.. 그곳에 사는 ‘두더지’에게 빌어 볼까나?

A Day in the Life, November 2012

2012년 11월이 한창이었던 11월 14일경, 오랜만에 ‘별로 마음에 들지 않는’ 나의 Olympus digital camera  를 손에 들었다. 그 동안 이것을 잊고 살았던가.. 어떤 ‘모습’이라도 이곳에 담아야겠다는 초조함을 느낀다. 밖을 보니 찬란하게 절정을 향한 아틀란타의 가을하늘.. 반세기전, 어린 시절 서울 종로구 가회동에서 삼청 공원을 향한 북악 줄기의 짓 푸른 가을 하늘을 반 상상,반 회상을 한다. 반 세기전의 그때는 서울의 도심(강남, 한강 아래가 완전히 논과 밭이었을 때)에도 그렇게 공해가 심하지 않았다. 아마도 지금 아직도 숲에 쌓여있는 이곳 아틀란타의 푸른 하늘이 그때 당시의 것과 비슷하지 않았을까?

비교적 큰 사건 같은 것이 없었던 밋밋한 시간들 속에서 나의 생각을 사로 잡았던 것들은 어떤 시시한 것들이었을까? 아마도 5년+ 역사를 자랑하는 ‘걷기’, 아니 ‘개와 같이 걷기’를 빼어 놀 수 없을 것이다. 2006년 사랑하는 처 조카 수경이네(대현이 엄마)가 고국에서 놀러 왔을 때 그것이 시작되었을 것이다. 간신히 걷기 시작한 대현이를 우리 subdivision의 가파른 언덕에서 불호령을 하며 걷게 하던 그 이후부터 나는 ‘혼자서’ 매일 걷기 시작해서 지금까지 이르렀다. 15년 전 우리 집을 다녀갔던 원서동, 재동학교 죽마고우였던 안명성이 나보고 걸으라고 ‘신신당부’를 하고 갔지만, 그때서야 걷게 된 것이고, 지금은 완전한 습관이 되어서 우리 집 깡패 강아지 Tobey를 걷게 하면서 같이 나도 걷는다.

4계절이 뚜렷한 이곳, 걸으며 4계절을 보고 느낀다. 봄, 여름, 가을, 겨울.. 그 중에서 제일 차분하게 아름다운 때는 역시 늦가을이 아닐까? 영롱한 빛깔들과, 장엄하게도 느껴지는 낙엽들.. 인생의 가을을 느끼게도 하는 그 낙엽들을 보며 또한 변하는 것과 변치 않는 것을 생각한다. 집 주위를 걷다 보면 꼭 playground를 지나게 되고 그곳에는 간단한 그네, 미끄럼틀 같은 것이 있고, 근래에는 물기만 없으면 그곳에 올라가 Tobey 와 함께 누워버린다. 짓 푸른 하늘이 우람한 단풍나무들 속으로 보이고 나는 이곳에서 꼭 묵주기도를 계속한다. 이것이 요새 나의 일과요 즐거움 중의 하나가 되었다. 묵주기도가 즐거움이라면 좀 비약적인 것으로 들릴지도 모르지만 그것은 분명한 사실이 되었다. 그래서 인생은 재미있다고 할까?

요새 나의 머리 속은 어떤 것들이 생각되고 있을까? 일주일도 더 지나간 미국의 대통령선거.. (이것을 대선이라고 하던가) 막상막하, 손에 땀을 쥐게 하리라는 예상을 뒤엎고 바락 오바마(참 그 이름 한번 요상하다) 쉽게 재선이 되었다. 압승은 아닐지라도 그 정도면 뒤에 군말들이 없을 정도로 깨끗이 이긴 것이다. 이것을 어떻게 생각해야 하나.. 이번 선거야 말로 제3의 인물이 갈망되던 때였을까.. 생각한다. 또 다르게 이름이 요상했던 ‘밋 롬니’ (아니면 밑 롬니인가?).. 무언가 참 답답한 인물이었다.

지지 않으려면 견해와 입장을 1초도 되지 않아서 바꾸는 사람, 도대체 그의 속을 ‘전혀’ 알 수가 없었다. 그것은 새빨간 거짓말 하는 것 보다 더 답답한 노릇이었다. 그와 반대쪽에서 지나치게 약자의 쪽에 서서 ‘정 많고, 따뜻하게’ 보이려 안간힘을 쓰다 못해서 나중에는 여자는 여자끼리, 남자는 남자끼리 살림 차리고 아이를 낳는 것 ‘완전히 OK’ 라고 선언을 했던 불쌍한 현직 대통령.. 그렇게 까지 해서 연임을 하고 싶었을까?

차별 당하는 그들 (동성애)..을 법적으로 보호하는 것과 그것도 ‘문제 없다’고 말하는 것은 하늘과 땅의 차이임을 어찌 그가 모르겠는가.. 하지만.. 하지만 권력의 유혹은 사실 뿌리칠 수 없을 정도였나 보다. 이제는 성숙해진 나의 신앙 체계에 이것은 말도 안 되는 ‘개소리’ 였다. 이것은 종교계를 ‘보호’ 한다는 공화당 극우론자들이 다 망쳐놓은 결과다. 정치와 종교가 섞이게 되면 이런 비극이 나오는 것이다.

얼마 전부터 새로니가 집을 사려고 realtor와 집 구경을 시작했다. 그 애의 월급으로 단독주택은 어림도 없지만 condo는 ‘사정거리’에 있고, 부동산 경기가 완전히 죽었던 여파로 여건이 좋았나 보다. 우리와 같이 임시나마 살고 있는 것이 어찌 불편하지 않을까? 그것은 완전히 상호적인 것이다. 우리도 불편하기는 마찬가지일 것이다. 다 큰 자식과 사는 것.. 이제야 힘든 것을 절감한다. 세대 차이는 그렇게도 골이 깊을까? 가장 좋은 방법은 놀러 갈 수 있는 정도의 거리를 두고 따로 사는 것이라고 누누이 들어왔는데 이제는 200% 동감을 한다.

11월은 가톨릭에서는 전통적으로 ‘위령의 달’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돌아가신 영혼들을 위해서 기도를 하고 생각을 하는 한 달인 것이다. 그래서 지난 11월 3일에 우리가 사는 마리에타에 있는 한인 공원묘지에서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하태수 미카엘 주임신부님의 집전으로 위령미사가 있었다. 올해에는 우리부부도 11월 한 달 동안 매일 우리의 돌아가신 부모님들의 영혼을 위한 ‘연도’를 하기로 하고 이미 시작해서 위령미사는 비록 처음이었지만 그다지 낯설지 않았다.

10여 년 전에 만들어진 한인 공원묘지.. 그 동안 참 많은 한인들이 이곳에 묻혔음을 보게 되었고, 2002년에 교통사고로 갑자기 떠나신 평창이씨 이주황 선생님(이만수 군의 아버님)의 묘소도 그 이후 처음으로 보게 되었고, 7월 말에 선종하셨던 레지오 친구, 은요안나 자매님의 묘소도 다시 보게 되었다. 이렇게 매일 연도를 하게 되었는데, 그렇게도 ‘지루하고 이상하였던’ 연도.. 돌아가신 부모님께도 좋았겠지만 이것을 하는 당사자인 우리가 더 위로를 받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이제는 이런 통상 기도를 진심으로 믿게 되었고, 반드시 이런 것들이 의도하고 있는 대로 영혼들에게 전해 질 것이라는 것도 믿는다. 이것이 올해 11월 위령의 달이 우리에게 주는 선물일 것이고, 우리들의 부모님들.. 이정모, 양점순, 전현찬, 김유순.. 아버지, 어머니, 장인, 장모님.. 연옥의 고통이 그치고 영원한 평화의 나라에 들게 됨을 계속 기도하며 깊어가는 가을을 맞는다.

 

Rosary under deep Marietta Autumn sky

묵주기도, 빛의 신비를 누워서 하기에 알맞는 깊은 가을 집 근처의 playground에 있는 그네에서

Autumn leaves near swimming pool

왁자지껄 시끄럽던 수영장, 테니스 코트는 적막 속에 잠기고 사람들 대신 가을의 선물, 황금 색의 낙엽들만 딩구르는 깊은 가을..

 

대구의 불볕 더위

heat wave, 2012
6월 마지막 날의 대구같은 더위

“대구 같은 더위”가 최근 이 지역에 들이닥쳤다. 오랜만에 느껴보는 3자리 숫자의 더위, 그러니까 화씨 100도, 섭씨로 36도 쯤 되나.. 심리적으로 이 세자리 숫자는 꽤 으스스한 효과가 있다. 시원하게 올해 초여름을 즐겼지만, 이제는 그것도 끝이 난 듯하다. 다행히도 이번의 불볕은 습기가 별로 없는 듯해서 견딜 만한데, 이것은 아마도 미국 Southwest, 그러니까 미 남서부 ‘아리조나’ 주 지역 같은 더위일 것이다.

오래 전부터 이 3자리 숫자의 더위는 까마득히 오래 전 대한민국 대구를 생각하게 한다. 좀더 자세히 기억하면 1972년 쯤이었나.. 그 해 여름은 한반도가 전체적으로 무척 더웠다. 에어컨이 나오기 시작할 무렵이었고, 서울의 기온도 34~5도까지 올라갔는데, 그 해 처음으로 ‘습기’를 동반한 ‘찜통’ 더위가 며칠 계속되었고, ‘난생 처음’으로 밤에 잠을 잘 수가 없었던 기억이다.

당시에는 사실 조금 ‘겁’을 먹기도 했는데, 그것은 잠을 잘 수가 없었고, 어디 도망을 갈 수도 없었기 때문이었다. 추우면 무언가 덮고, 입고 하면 될 터인데, 이렇게 견딜 수 없는 더위에는 어찌할 것인가? 해답은 물론 ‘신비의 이기’, 에어컨에 있었지만, 실제적으로 그것은 당시의 경제수준에는 그림의 떡이었다. 그 1972년 이후로 나는 사실 지독한 더위를 ‘무서워’하게 되었다. 쉽게 말하면 추운 것이 더운 것 보다 낫다는 결론이 머리 속에 새겨진 것이다.

그 당시 대구의 더위는 어떠했을까? 당연히 그곳의 기온은 한반도에서 제일 높았다. 지형적으로 어쩔 수가 없다고 했다. 그 때, 대구에 잠깐 가게 되어서 처음으로 ‘대구 더위’를 맛볼 수 있었는데, 그것이 바로 세자리 숫자의 더위였다. 섭씨로 36도 훨씬 이상이었을 것이지만 습도는 그리 높은 것이 아니었다.

그때 대구에서 느꼈던 ‘화덕’ 같은 공기를 오늘 처음으로 이곳에서 맛을 보게 되었다. 거의 똑같은 기분이었다. 절대로 유쾌한 기분은 아니었지만, 습도가 없는 이 불 같은 공기는 사실은 생각보다 기분이 불쾌하지는 않았다. 요새 대구의 더위는 어떠할까? 서울보다 아직도 더 높을까? 1972년의 한반도 불볕 더위와 그 당시 대구에 살았던 ‘그 아가씨’도 오랜만에 기억한다.

Spring rain, soaker..

Atlanta metro soaking rain
Atlanta metro soaking rain

간밤에 근래에 듣기 힘들었던 소리를 들었다. 폭우.. 쏟아지는 물.. 잔잔하게 계속 내리는 비, 어둠 속에서도 봄비의 내음새가 코를 찌른다. 끈끈하게 느껴지기만 하고 실제로 내리지 않는 비를 기다리던 날들이 얼마나 되었던가.. 초봄에 시작된 우리 집 연숙의 자랑인 텃밭의 풍작도, 이 단비를 기다린 지 얼마나 되었던가?

그것이 어제부터 낌새가 봄비의 냄새를 풍기기 시작했지만, 우리가 사는 곳은 기가 막히게도 피해가더니 결국은 아틀란타 메트로 지역전체를 휘감고 ‘물을 퍼붓기’ 시작한 것이다. 바로 이것이 단맛의 냄새를 내는 봄비였다. 이것을 한참 잊고 살았다.

 이 글의 아래 실려있는 youtube video, Spring Rain은 아주 오래 전 작을 딸애, 나라니, Veronica가 어렸을 때, Father’s Day때 나에게 선물로 준 sleep music series 의 하나인 audio cassette tape을 나의 없는 실력을 총동원해서 music video로 바꾸어 youtube에 올려놓은 것이다. 이곳의 image들을 모두 google image에서 실례를 한 것이고, Windows의 ‘공짜 프로그램’인 MovieMaker를 사용했다.

원래의 테입이 양면 (A와 B)으로 되어있어서 한 면씩 따로 copy를 해서 part 1과 part 2로 올려 놓았다. 이 ‘소리’의 특징은 자연적인 빗소리와 그에 걸 맞는 instrumental music을 절묘하게 섞어 놓아서 그야말로 sleep music 이름대로, 눈을 감고 이것을 들으면 촉촉히 대지를 적시는 봄비소리를 생각하며 잠을 잘 수도 있다.

오늘 New York Times의 기사에, 어떤 여론, 설문조사에 대한 것이 실렸다. 일반인들이 느끼는 기후에 대한 것인데, 이것은 조금 느낌이 새로운 것이, 자연 현상에 대한 여론조사? 이런 것도 있었나.. 하는 느낌이었다. 자연현상은 100% 객관적, 과학적인 것이 아니던가.. 이것도 사람들이 느끼는 ‘주관적’인 것이 상관이 되는가? 이 세계적 기후변화는 이제 과학적, 객관적인 것이 아니고 거의 ‘주관적, 정치적’인 화제로 변했다는 증거일 것이다.

특히 ‘병신같은 무지랭이‘ 일부 미국인들의 역할이 크게 작용을 한다. 과학적인 것과, 초자연적인, 종교적인 것을 ‘거의’ 혼동하는 이 ‘병신같은 무지랭이, 일부 미국인 들’.. 완전한 희극의 절정을 보여준다. 그런대로 배웠다는 정치인 중에도 이런 부류들이 섞여있다. 그들의 출신지역의 ‘병신같은 유권자‘를 의식했을 것이다.

그러던 것이 작년에 그들이 실제로 보고, 느끼고, 겪었던 extreme weather로 조금 기세가 꺾인 것이 이번 여론,설문조사에서 들어난 것이다. ‘거의 대부분’이 이제는 기후,기상 system이 무언가 잘못 돌아가고 있다는 반응을 보인 것이다. 정말, 이런 한심하고 우매한 ‘병신’들이여..극소수의 ‘목소리가 큰’ 기상 과학자들.. 그들은 이제 어떠한 반응을 보일 것인가? 종교와 과학의 회색지대에 살고 있는 이들은 정말 위험한 부류의 인간들이고, 이들이 진정한 의미의 종교철학에 오명을 남기고 있는 ‘배반자’이라는 생각이 든다.

 

 
Spring rain, soothing sound of refreshing rain! 

 

Spring rain at our backyard

너무나 멋진 봄비가 뒷뜰에 내린다

4월 단상

¶  4월은 미국태생 영국 거장 시인 T.S. Eliot 에 따르면 ‘잔인한 달, April is the cruelest month‘, 그리고 대한민국의 작곡가 박순애 교수의 가곡 classic ‘사월의 노래‘를 생각하게 하는 그런 달이다. 사월의 노래를 생각하면 특별히 1963년 4월이 생각난다. 그때에 나는 서울 중앙고교 1년 재학 중이었고, 사월의 노래는 담임 선생님 김대붕 음악 선생님께서 가르쳐주신 노래였다. 작곡자가 이화여대 음대 김순애 교수라는 것을 강조하셨는데, 그 당시 그 이유는 몰랐지만, 혹시 김선생님과 무슨 특별한 관계가 있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그 후에 들곤 했다.

1963년이면 그 전 해에 일어난 5.16 군사혁명으로 모든 것들이 ‘재건’의 구호 하에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던 때였고, 사실 ‘느끼기에’ 비록 경제적으로 가난은 했어도 앞날이 희망적인 시절이어서 그 해 4월의 유난히 더 청명하던 계절과 함께 기억하고 싶은 때였다. 이곳 아틀란타 지역은 3월에 거의 ‘여름’같은 맛을 일주일 이상 보여 주더니 4월로 접어 들면서 완전히 2월 달 같이 거의 겨울 같은 날씨로 돌아섰다. 며칠 전에는 거의 섭씨 5도까지 떨어질 정도였다. 어떤 사람들은 이것도 new normal의 하나라고 푸념을 하던데.. 확실히 무언가 변한 것 같다.

 

 

4월의 노래
김소월 시, 김순애 곡

 

¶  올해의 부활절에 이르는 기간은 정말 우리 부부에게 기억에 남을 만한 각가지 기록을 깨면서 보낸 정말 ‘은총’을 받은 듯한 기분으로 보냈다. 비록 나는 판공성사를 거르는 심각한 잘못을 하긴 했어도 다른 것들로 많이 보완을 했다고 믿는다. 그 중에서 지금은 거의 습관이 된, 매일미사 참례가 그 중에 가장 큰 보람이 되었다. 사순절이 시작되면서 화요일을 제외한 나머지 매일 우리의 미국본당 Holy Family Catholic Church에서 아침 9시의 미사를 본 것이다.

이것은 사실 연숙이 이번에 시도한 ‘33일 봉헌‘이라는 사순절 행사에 ‘도전’을 하면서 내가 옆에서 도와주는 것으로 시작이 되었다. 33일 봉헌이라는 것에는 매일 미사 참례를 ‘적극적’으로 권하기 때문이었다. 연숙은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것이 참 어려운 사람이라서 나의 도움이 필요했다. 그래서 나도 같이 갔는데.. 이것도 Never say Never 의 한 예가 아닐까 할 정도로 내가 미리 생각했던 것과 결과적 느낌이 아주 달랐다. 하루를 이 미사로 시작한 것이 너무나 하루를 보내는데 도움이 되는 듯 싶었다. 더 시간을 효율적으로 쓰게 되었고, 하루 한번 꼭 밖으로 나와서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 자체가 나에게 보이지 않는 힘을 주었던 것이다.

나는 ‘절대로’ 며칠 못 견딜 것이라 ‘단정’을 했지만, 결과적으로 그것은 내 자신에 대한 지나친 과소평가였다. 이래서 매일 미사에 나오는 사람들이 그렇게 있구나 하는 생각 뿐이었다. 이것이 올해 사순절, 부활주일에서 가장 보람된 일이었고, 성3일도 빠지지 않아서 판공성사만 빼고는 거의 완벽한 성주간을 보낸 셈이 되었다. 이것이 우리 부부나 가정에 어떠한 영향이나 도움을 줄지는 ‘수학적’으로 계산을 할 수는 없지만, 이제는 신앙이란 것, 믿는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그야말로 ‘어렴풋이’ 느끼게 되었다.

 

¶  아틀란타 혼또니 입빠이 제 2탄   믿을 수 없다. 정말 정말.. 혼또니 혼또니.. 이것이 바로 요새 유행어로 New Normal인가, New Frontier인가? 이곳 아틀란타의 ‘악명’을 하나 더 높일 사건에 우리들은 놀라기만 했다. 또 다른 한인 일가족 ‘총기 살인, 자살’ 사건이 터진 것이고, 이번에도 역시 우리가 아는 사람이 관련이 되어서 벌어진 입이 다물어지지 못했다.

이 사건들의 공통분모는 역시 ‘총’이란 것에 있다. 만약에 이것이 없었으면, 누가 알까.. 일본 같았으면 ‘칼’을 썼을 것이고, 오랜 전 같았으면 아마도 대판 주먹질을 하며 싸울 정도가 아니었을까?  이것도 New Normal 중의 하나로, 완전히 서부개척시대를 연상시킬 정도가 되었다. 불륜에서 비롯된 이런 사건은 사실 흔한 것이지만 이렇게 분에 못 이겨 그것도 여자가 총으로 분을 풀고 자살하는 case는 사실 그렇게 흔한 것이 아닌데.. 그것도 한인들이었고, 불륜의 주인공이 한때 우리가 잠시 알았던 50대 초반의 ‘아줌마’였으니.. 놀라지 않겠는가?

일명 ‘나래 엄마’.. 그 나래라는 여자 아이는 1990년대 초에 연숙의 한국학교 유치반에 있었고, 그 ‘나래 엄마’는 나도 그 당시 그곳에서 가르치고 있어서 알고 있던 한 젊은 엄마였다. 그 엄마가 어떤 인생을 살아왔기에 한 가정의 가장과 불륜을 저지르고 그런 사건의 빌미를 제공했을까? 역시, 올바른 인생은 못 살았을 것이다. 나래 엄마와 ‘공공연히 자기 앞에서’ 바람을 피운 남편이 얼마나 증오스러웠으면 그 가해자인 아내는 남편과 나래엄마를 총으로 쏘고 자기도 쏘았을까?

결과적으로 그 부부는 사망을 했지만, 나래 엄마라는 여자는 죽지는 않았다. 그 여자는 어떻게 어떻게 세상을 바라보며 살아갈지.. 상상이 가지를 않는다. 참 무서운 세상이여..  총이 사람을 죽이는 것이 아니고 그것을 쓰는 사람이 죽이는 것이라는 기가 막힌 궤변이 잘 통하는 이곳 .. 실증이 나기 시작한다.

어떤 죽음

¶  지난 레지오 화요일 1에는 그 전주에 이어서 계속 연도가 있었다. 이번 연도 대상은 역시 어떤 50대 중반의 자매님이었는데, 조금 슬픈 사연이 있어서 모두들 더 안타까운 마음이었고, 그것에 비례해서 더욱 더 열심히 연도를 바치게 되었다.

이 자매님은 원래 개신교 신자로써 개신교회에 나갔던 것 같은데, 어째서 우리 순교자 성당에서 다시 ‘줄리아’란 영세명을 받았는지 궁금했다. 연도 때 가족들이 나왔는데, 모두가 ‘미국인’들이었다. 한마디로 ‘국제부인‘ 이었던 것이고, 결혼생활에 풍파가 심했던 경우였다. 미국인 남편과 자식이 둘이나 있었는데, 어떤 이유에서 자식을 둔 채로 집에서 ‘쫓겨 났다고’ 한다. 누가 그 사연을 알 수 있겠는가? 혼자가 된 이후 거의 집 없는 ‘걸인’처럼 살았다고 하고 말년에는 암으로 고생을 하다가 아무도 돌보는 사람 없이 쓸쓸히 세상을 떠난 것이다.

이유야 어떻든 어찌 슬프지 않겠는가? 암 투병 말기에 우리 레지오 단원에게 발견이 되어서 천주교 대세를 받고 가셨다니 조금은 다행이라고 할까? 하지만 그 ‘몹쓸 놈’의 식구들이 뻐젓이 연도미사에 ‘당당히’ 나타나고, 후에 식사까지 하던가.. 도저히 그들의 심리를 이해할 수가 없었다. 세상에서 죽음만은 공평하다고 하지만, 이것을 보니 그런 말도 맞는 것이 아니었다. 너무나 차별이 많은 것이 또한 ‘죽음’이라는 생각도 해 본다.

 

¶  겨울이 끝나며 곧바로 한 여름의 맛을 일주일 동안 보았다. 이것도 참 근래에 자주 보는 기이한 기후현상일 것이다. 물론 이것으로 global warming 운운 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도 이것도 정치화, 아니 더 나아가서 ‘사상화’까지 되어서 말 잘못하다가는 완전히 ‘왕따’를 당하는 세상에 우리는 살고 있는 현실이다. 그저 조용히 ‘중간’만 하면 안전하다. 그저 100년 만에 보는 ‘기록적인 현상’이라고 하면 조용히 끝난다.

나의 기억에도 3월 달에 거의 여름 같은 날씨가 일주일 계속된 것은 없었지 않았나? 그러니 조금 신경이 쓰이는 것이다. 암만 보아도 분명히 지구는 조금씩 더워지고 있는 ‘것’ 같은데, 전문가가 아니니 할 말이 없다. 그래서 과학이 정치화가 되면 위험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웃기는 것이 왜.. 공화당 같은 보수진영은 ‘지구 온난화’란 말만 나오면 그렇게 두드러기 앓듯이 신경질을 내는지 알 수가 없다. 정말 한심한 군상들이다.

  1. 내가 속한 레지오 ‘자비의 모후’ 쁘레시디움 회합은 매주 화요일 오전 10시30분에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에서 있고, 곧 바로 정오 미사로 이어진다.

Cold, my own cold

¶  오랜만에 날씨에 관한 것이 잡스러운 뉴스를 비집고 고개를 내밀었다. 그런데 이것도 사실 놀랄만한 것이 하나도 아니다. 오래 산 ‘기억과 경험의 축적’ 탓인가.. 아무리 진짜 겨울, 1월이 별볼일 없더라도, 2월과 3월이 겨울의 진면목을 보여 줄 확률이 생각보다 높다는 사실을 안다. 특히 지난 20년 동안이 더욱 그렇다.

그런 추세의 예외가 바로 작년 한 해였다. 좌우지간, 꽃들이 만발하려 ‘완전히’ 준비가 되어가던 차에 드디어 시베리아의 바람(이곳은 캐나다의 바람, Alberta Clipper?)을 느끼게 되었다. 오늘은 낮에도 빙점에서 맴돌며 내일은 드디어 (섭씨) 영하 10도? 이런 때에 나는 오랜만에 다른 종류의 cold, 감기로 고생을 하게 되었다.

사실은 감기란 것이 고생까지는 아니지만, 거추장스럽다고나 할까.. 특히 편도선이 붓는 것이 제일 고역이고, 다음으로 진행되는 콧물,눈물..재채기.. 마지막으로 기침.. 우리 신부님 말씀대로 ‘코를 만지지 말라’는 경고를 무시했던 모양이다. 더 심술스러운 다른 병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에 비해 애교 정도로 보이는 것이 감기나 독감이지만, 섣불리 안심하는 것은 사실 그렇다. 1994년 큰 딸 새로니가 ‘조그만’ 감기로 시작한 것이, ‘거의 사경’을 헤매던 악몽으로 이어졌던 것을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 특히 나와 같은 60+ 나이에는 더욱 그렇다.

 

¶  우리들의 사회적, 과학적, 문명적인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점쟁이들의 수준을 훨씬 넘어서 아주 심각한 ‘학문’의 영역이다. 미래학회 같은 곳은 정기적으로 학회지도 간행하는 과학적인 방법으로 미래를 연구하는 단체이다. 이들의 주장을 자세히 보면, 최소한 내가 보기에, 대부분 ‘공상적’인 느낌을 많이 준다.

다른 말로 하면 그 정도로 미래를 미리 느끼기가 힘들다는 것일까. 그들은 분명히 과거와 현재의 상태에 근거해서 추측(extrapolation) 하는 것일 것이다. 한마디로 수학적(통계,확률)인 방법을 쓰는 것이다. 며칠 전에도 그런 류의 소식 중에: 인간의 수명이 150세 이상 200세까지 될 날이 ‘멀지 않았다’ 는 것도 있었다. 이것은 major network news에서 본 것이라서 신빙성도 있는 것이었다. 과연 그럴까?

분명히 지금 진행되고 있는 과학적 연구들 중에서 가장 좋은 예들을 골라서 나온 best case일 것이다. 수명이 늘어나는 것, 우선은 반가운 것으로 들리겠지만, 이것도 과연 그렇게 간단히 ‘무조건’ 좋기만 할까? 50년 전의 미래학의 ‘함정’을 보면서 이것도 not so fast!의 한 예가 되지 않을까 생각을 한다.

아래에 있는 사진은 1950년대에 ’50년 후인 2004년의 home computer’를 상상, 예측하고 RAND corporation(당시의 IBM)에서 만든 것이다. 설명을 보면, 가정에서 쓰는 이 컴퓨터는 teletype terminalFORTRAN을 쓸 것이라고 되어있다. 웃지도 못할 미래학의 결정체가 아닐까? 미래학 함정의 극단적인 케이스라고 그냥 웃을까? 이것의 치명적인 과오는 불과 몇 년 후에 출현할 반도체(solid state, transistor, IC)를 전혀 예측 못했다는 사실이다.

 

future-home-pc1950년대에 상상한 2000년대의 가정용 컴퓨터

 

¶  얼마 전에 ‘얼마 남지 않은 미국의 양심, 희망’ PBS-TV 에서 작년 3월 12일 경의 일본 도호쿠(東北)지방의 지진,쓰나미(해일), 잇달아 생긴 후쿠시마 다이이치(福島 大一) 원자력 발전소(원전) 사고(nuclear meltdown)로 인해 큰 타격을 받은 원전의 안전과 미래에 대한 FRONTLINE (주로 문제점 분석 중심) 프로그램, Nuclear Aftershock 이 방영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일본재난의 1주년에 맞추어 제작한 듯 한데, 당시에 발생한 비극적인 인명(18,000명 이상 사망),재산 피해보다 장기적인 원전사고의 후유증과 그로 인한 세계적 에너지 공급문제를 객관적으로 분석했다. 이 프로그램을 보면서 생각한 것 중에는: 인간이 원자력을 장기적으로 안전하게 control할 수 능력의 한계, 원자력의 매력과 그것을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가 생각보다 적다는 사실, 미국에 있는 원전들이 생각보다 덜 안전하다는 사실은 비록 쓰나미의 위협이 적음에도 그것과 맞먹는 최악의 사고 시나리오가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음산’한 현실 같은 것들이 있다.

그리고 지난 해의 사고 이후 독일의 ‘성급해 보이기도 하는’ 100% 원전 포기선언과 원전대신으로 전통적인 화석연료 발전소를 이용한다는 조금은 의아한 결정같은 것이 있다. 이 결정은 ‘지구온난화 문제’ 해결에 정면으로 대결하는 결정이기 때문이다. 이래저래, 이 ‘에너지’ 문제는 참 간단한 것이 아닌가 보다.

 

 

Groundhog Day, 2012

Movie Groundhog day
Movie, Groundhog Day, 1993

¶  거의 이른 봄 같은 온화한 날씨 속에 2월로 접어들었다. 무언가 신경 쓸 것들이 많았던 1월을 벗어나니 조금 어깨가 가벼워짐을 느끼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의외로 즐거운 기억을 심어주었던 한 달이 지난 것이 아쉽기도 하다. 하지만 그렇게 즐거웠던 사실이 이번 달에도 계속되리라고는 기대는 안 한다. 지난 달은 여러모로 ‘예외’적인 시간들이었지, 그것이 절대로 new normal은 아니라고 내가 나를 달래고 있다.

내일은 2월 2일.. 아하! 바로 Groundhog Day로구나. 이곳에 오랜 살다 보니 이날도 아주 친숙하게 느껴진다. groundhog은 한국어로 뭐라고 할까? 아마도 두더지 정도가 아닐까? 이것이 ‘봄’을 알리는 첫 동물로써, 이날 땅 위로 기어 나와서 자기의 그림자를 볼 수 있으면 겨울이 6주간 더 계속된다는 재미있는 날이다.

이것만으로는 별 것이 아니지만, 숫제 이것에 대한 행사를 하며, 뉴스중계까지 한다. 각 지방마다 하고 있을지 모르지만 ‘공식적’인 것은 역시 펜실베니아 주 피츠버그 근처의 Punxsutawney(펑스토니?)라는 곳에서 열리는 것이 그것이다. 그곳에 Phil이라는 groundhog을 아침 7시경에 꺼내가지고 그림자 ‘실험’을 한 후, 결과를 발표하는데.. 겨울이 6주간 더 계속 될지.. 물론 그곳은 관광지가 되어서 많은 외부인들이 방문을 한다.

이것에 대한 얘기는 이것만이 아니다. 1993년 이맘때 나온 영화제목이 또한 Groundhog Day인데, Saturday Nigh Live, Ghost BusterBill Murray가 주연을 한 comedy, fantasy, romance류의 영화로써, 처음, ‘그저 그런 영화’라는 평으로 시작을 했지만, 이제는 거의 ‘최고의 Classic’으로 각광을 받게 되었다. 그렇게 오랜 동안 인기를 누린 영화인 것이고, 특히 이맘때면 꼭 봐야 하는 (크리스마스 영화처럼) 것으로 되었다.

나도 이것을 꽤 많이 보았는데, 처음에는 별로였다가 보면 볼수록 빠지는 그런 것이었다. ‘반복되는 듯한 삶’에 지친 사람들에게는 무언가 교훈을 주는 그런 내용이어서, 이것을 자기의 삶과 비교해서 생각하는 것, 참 재미있고, 유익하지 않을까? 꼭 한번 보기를 권하고 싶다(이 영화는 이곳에서 무료로 볼 수 있음). 이것에 대한 자세한 것이 Wikipedia에 나와 있는데 이 영화를 만든 location (로케장소)이 사실은 Punxsutawney가 아니고 일리노이 주와 위스컨신 주의 접경에 있는 Woodstock, Illinois라는 사실도 그렇고, 그것으로 그곳 역시 ‘관광 명소’가 되었고, 이제는 그 곳에서도 매년 Groundhog Day행사를 열고 있다는 사실 등등.. 참 재미있지 않은가? 영화의 위력을 새삼 실감하는 예가 되었다.

 

¶  지난 달 27일에는 우리 집에서 친지들이 모여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원래는 매년 1월 21일을 전후해서 우리 집에서 모이는데 올해는 차질이 생겨서 거의 일주일 뒤에 모인 것이다. 1월 21일은 우연히도 나와 최동환씨(최형) wife(진희엄마)의 생일이라서, 그것을 기념(?)해서 매년 모이는 것인데 세월이 흘러 흘러 이제는 January Classic이 되었다.

예전에는 주로 식사로 시간이 갔지만 얼만 전부터 최형이 기타를 배우고 있어서 ‘통기타 노래잔치‘를 하곤 한다. 한마디로 아주 ‘건전’해진 모임이 된 것이다. 하기야, 술만 마시고, 종교 정치얘기로 열을 올리는 것 보다 이렇게 노는 것이 훨씬 뒤끝 맛이 좋은 것이 사실이다. 음악전공 wife가 두 명이나 되고, 윤재만씨도 색소폰을 배운지 얼마 되었고, 이태리가구 전성준 사장은 피아노, 기타로 하는 노래 솜씨가 거의 프로에 가깝다. 약간 아쉬운 것은 부인님들이 별로 노래를 안 부른다는 것인데, 시간이 지나면 조금씩 흥미를 갖고 참여를 할지도 모를 일이다.

무려 $2000짜리 Martin guitar를 장만한 최형은 생각한 것 보다 자세가 심각하다. 그 동안은 그룹으로 배우더니 이제는 개인 레슨까지 받는 모양이고, 지난 번보다 솜씨가 더 늘었다. 우리야 모여서 부르는 노래가 60/70년대 노래가 주종이고 가끔 그 이후의 노래도 배우고 부른다. 이구동성으로 말하는 것은 역시 그때의 노래가 ‘진짜’ 노래라는 것이다. 그 이후의 노래는 세월이 암만 지나도 classic이 될 수가 없다는데 모두 의견을 같이 하였다.

 

Fast Moving January 2012

¶  와~~ 언제 18일이 되었나? 근래 나의 세월이 다람쥐 쳇바퀴 도는 듯한 느낌이 지배적이지만 그래도 가끔 뜻밖의 즐거움도 가볍게 섞일 적도 있어서 빨라지는 시간에 제동을 걸기도 한다. 이미 지나간 일월의 시간들도 그런 느낌이었다. 두 번의 가족 생일과, 우리부부의 결혼기념일까지 있고 이제는 감각이 많이 희미해졌지만 ‘구정’이란 것도 있어서 잔잔하지만 약간은 상기되는 느낌의 정월이다.

이런 가족적인 것 이외에 내가 조금 관심을 가지는 행사로 매년 일월 하순경 스위스다보스(Davos)에서 열리는 World Economic Forum (WEF)이 있다. 이 Forum의 역사가 생각보다 길지만 내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게 된 것은 불과 10여 년 전부터다. 올해도 1월 25일부터 열리는데, 올해는 과연 어떤 ‘세계적인 정치, 경제, 사회적 처방‘들이 나올지 자못 궁금하다.

아래의 streaming video는 World Economic Brainstorming: Business, Governance and Leadership – New Pressures and Realities 라는 brainstorming session인데 참가자들의 모습이 아주 다양하고 태도가 진지하다.

 

 

sopa-google
Google – Free Internet Dead!

¶  SOPA/PIPA: 읽기도 요상한 이런 이름의 ‘법안’이 지금 한창 떠들썩하다. SOPAStop Online Piracy Act의 약자로 미국 하원(House of Representatives)에서 심의 중이고, PIPAProtect IP(Internet Protocol) Act의 약자로 미국 상원(Senate)에서 심의 중인 법안이다. 그러니까.. ‘소파, 피파’ 로 불리는 이 법안은 조금은 다르지만 골자는 거의 같아서, 인터넷 상에서 저작권자를 ‘강력하게’ 법적으로 보호, 대응하겠다는 것들이다.

물론 이 법안의 의도는 이해가 가고, 필요한 것처럼 들린다. 문제는 역시 이것이다. Devil’s in the detail.. 자세히 들여다 보고, 실행하는 단계에 이르면 문제 투성이고, 심지어는 아주 위험한 ‘지나 친’ 법이라는 사실이다. 이런 법은 전체주의나, 독재국가에서는 아주 쉬울 것이지만, 미국에서는 생각처럼 쉽지 않을 듯하다.

원칙적으로도 이것이 fair하지 않은 것은 바로 이런 비유를 생각하면 쉽다. 도둑이 와서 물건을 훔쳐갔을 때, 도둑을 잡기도 전에 그것을 ‘방조한 듯이 보이는’ 주변을 먼저 처벌하려는 것이다. 그것도 엄청난 처벌로, 그 주변을 ‘일방적으로 폐쇄’ 하려는 으름장을 ‘합법적’으로 내릴 수 있다는 것이다. 내가 생각해도, 아주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를 너무나 ‘쉽게’ 풀려는 의도가 보이고, ‘물건을 쌓고 사는’ 가진 자, 부자만을 너무나 보호하려는 의심까지도 보인다. 결국은 엉뚱하게 불똥일 튄 사람들, 그것도 세력이 만만치 않은 Google같은 곳도 반기를 들고, 이제는 ‘대부분 일반인’들까지 반대를 하고 나서게 된 것이다.

요새, 가진 ‘부자들'(1%)과 못 가지 대부분 사람들(99%)이 사회적, 심지어 정치적으로 부각이 되고, 미국 대선에서도 쟁점이 될 듯한 것을 보면서 이 법안도 그런 각도에서 보면 조금 더 깊게 이해를 할 수 있다. 인터넷의 raw power를 보여주기 위해서 GoogleWikipedia는 이 법안에 대한 인상을 극적으로 보여준다.  Google은 ‘검은 사각형’을 보여주는데 아마도 인터넷의 죽음을 상징하는 ‘관’이 아닐까, 그리고 Wikipedia는 숫제 site의 service를 폐쇄해 버렸다. 조금은 극단적이지만, 그 정도로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의도일 것이다.

 

¶  올해는 작년에 비해서 현재까지 날씨가 아주 한마디로 ‘양반’이다. 그러니까 쉽게 말하면 Weather Channel이 별로 돈을 못 벌고 있다는 사실이다. 날씨에 관한 커다란 뉴스가 많아야 그들이 돈을 벌 터인데, 매일매일의 별로 특별하지 않은 일기예보 말고는 별로 그것을 볼 필요조차 없는 그런 겨울인 것이다.

겨울이 아직도 많이 남았지만 작년에 비하면 정말 조용하고, 특히 작년 이곳 아틀란타 지역의 폭설을 생각하면 지금도 조금 흥분이 될 지경인 것이다. 작년의 아틀란타 폭설은 아마도 100년에나 오는 그런 것이었고, 완전히 일주일 동안 이곳의 경제활동을 stop시킬 정도였다. 그래서 이름도 snowpocalypse (snow + Apocalypse) 나 snowmageddon (snow + Armageddon)등으로 불릴 정도다.

사실은 작년은 근래 미국 역사상 가장 많은 눈이 내렸고, 전세계적으로도 일본재해, 미국의 killer tornados등으로 일기에 관한 뉴스매체는 쉴 틈이 없을 정도였다. 문제는 최악의 경제상태로 정부레벨에서 이런 재난을 대처할 재력이 없다는 것인데, 천만 다행으로 Mother Nature가 아직까지는 잘 협조를 하고 있고, 장기적 예보에도 큰 변화가 없는 듯해서 다행이다.

 

Atlanta Snowpocalypse 2011

작년의 아틀란타 폭설은 뒤따른 강추위로 일주일간 전혀 녹지 않았다

 

 

 

동짓달 이레

동짓달..이란 말, 참 오랜만에 써본다. 동짓달 하면 팥죽생각이 나야겠지만 나는 그것 보다 먼저, 국민학교시절 아마도 국어 교과서의 이순신장군 이야기가 생각나곤 한다. 참, 나도 못 말리는 인간인가, 어찌 그것까지 옛 생각과 연관을 시키고 ‘지랄’일까? 그 교과서, 이순신 장군이 동짓달에 거북선을 몰고..가는 그런 글이 아직도 생각이 나는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분명히 음력의 동짓달이었을 것이니까 사실은 양력으로 정월일 것이다. 그렇게 추운 겨울에 거북선을 몰았단 말인가.. 참으로 놀랍다. 좌우지간 지금은 동짓달 이레, 7일이다. 요새의 날씨는 거의 규칙적으로 삼한사온을 지키고 있다. 며칠 따뜻하던 흐리고 비가 오던 날씨가 차가운 비로 서서히 변하고, 급기야 싸늘한 바람이 부는 그야말로 동짓달 기분을 내게 한다. 분명히 나는 이런 날씨를 ‘사랑’하는 것이다.

요새는 조심스럽게 ‘평화로운 집’을 느낀다고 말할 수 있는 그런 나날들이다. 이것이 평화라면 아주 오랜만에 우리 부부가 서로 느낄 수 있는 그런 진정한 평화라고 할 수 있다. 어떻게 보면 엄청난 ‘고민’을 안고, 시한 폭탄 같은 짐을 지고 늙음과 죽음을 향하는 우리 부부라고 할 수도 있으련만, 그런 것이 아주 큰 문제로 느껴지지 않는 듯 살 수 있는 지혜의 은사가 우리 부부에게 선물이 된 진도.. 물론 연숙이 변하거나 변하는 것이 아닐 것이고, 분명히 내가 변하고 있어서 이런 평화가 왔을 것이라고 생각하니 지나간 세월이 조금 아까워 진다. 특히 지난 10년이 정말 정말 아쉽고, 아깝고, 안타깝게 느껴진다. 하지만, 이제라도 내가 ‘정신을 차리게’ 되었으니 그것으로 위안을 삼기로 했다. 문제는 내가 어떻게 이런 평화를 유지하도록 하느냐에 하는 것인데, 느낌에, 조금 자신이 있다고 느껴진다.

지난 7월 초 온수기를 새로 갈면서 완전히 손을 놓았던 ‘집안 일’들.. 산더미 같이 쌓여서 나를 기다리고 있다. 내일, 내일 하며 미루었던 것이 순식간에 5개월이 지나간다. 이제의 목표는 해가 가기 전까지 조금은 ‘움직여’ 놓아야 한다는 것이 되었다. 이거이야 말로 시작이 반인 그런 일들이다. 한번 손을 잡으면 많은 일을 끝낼 수 있다고 자신을 한다. 그것 말고도 계속 미루는 것, 나의 사랑하는 ‘tech note’에 넣을 수 있는 나만의 tech projects들.. webbot, Arduino, php, WordPress PlugIns.. Sebald’s novels, 일본어, Medjugorje, Social Network Bible..참 많이도 나를 기다린다. 차분히 앉아서 다 읽고, 만들고 싶다. 그것은 항상 나를 흥분하고 하고, 나를 기쁘게 하는 것들이니까..

2011년 마지막 달, 첫 날에는..

벗 하나 있었으면

 

마음이 울적할 때

저녁 강물 같은 벗 하나 있었으면

날이 저무는데 마음 산그리메처럼 어두워올 때

내 그림자를 안고 조용히 흐르는 강물 같은 친구 하나 있었으면

 

울리지 않는 악기처럼 마음이 비어 있을 때

낮은 소리로 내게 오는 벗 하나 있었으면

그와 함께 노래가 되어 들에 가득 번지는 벗 하나 있었으면

 

오늘도 어제처럼 고개를 다 못 넘고 지쳐 있는데

달빛으로 다가와 등을 쓰다듬어주는 벗 하나 있었으면

그와 함께라면 칠흑 속에서도 다시 먼 길 갈 수 있는 벗 하나

있었으면.

 

 

쓸쓸한 세상

 

이 세상이 쓸쓸하여 들판에 꽃이 핍니다

하늘도 허전하여 허공에 새들을 날립니다

이 세상이 쓸쓸하여 사랑하는 이의

이름을 유리창에 썼다간 지우고

허전하고 허전하여 뜰에 나와 노래를 부릅니다

산다는 게 생각할수록 슬픈 일이어서

파도는 그치지 않고 제 몸을 몰아다가 바위에 던지고

천 권의 책을 읽어도 쓸쓸한 일에서 벗어날 수 없어

깊은 밤 잠들지 못하고 글 한 줄을 씁니다

사람들도 쓸쓸하고 쓸쓸하여 사랑을 하고

이 세상 가득 그대를 향해 눈이 내립니다

 

¶  달력을 넘긴다. 한 장이 남아있었다. 세월은 참 정직하구나. 올해도 정확히 31일이 남았다. 12월의 기분에 알맞게 매섭게 차가운 공기가 아침의 고요를 깨고 밀려오며 나를 움츠리게 한다. 자주 찾아오게 되는 도종환 시집, 이 양반은 무섭고도 정확하게 나의 ‘쓸쓸한’ 감정을 보여주는 시를 많이도 썼다. 나를 둘러싼 사소하고도, 자연적인 것들의 감정을 참 섬세하게도 보여주어서 큰 부담 없이 읽는다. 오래 전에도 ‘벗 하나 있었으면’ 을 읽었다. 소름 끼치게 공명하는 마음에 놀라기만 했다. 특히 밖이 떠들썩하게 느낄 때 더 이런 감정에 빠지곤 한다. 그럴 때 더 나의 속 깊은 곳은 외로움과 고독함을 느끼게 되어서 그럴 것이다.

 

¶  요새는 전보다 더 자주 TV morning shows (주로 NBC Today show) 들을 본다. 몇 년 동안 전혀 그런 것 피하며 산 때에 비하면 참 많이 세상을 보게 되었다. 우리 집은 그 흔한 big screen ‘flat’ TV도 없고, cable TV, satellite TV는 물론 없다. 유일한 것은 ‘free’ over-the-air(공중파?) channel 뿐이다.

모든 것이 digital broadcast로 바뀐 후에는 그 ‘공짜, 공중파’ channel들이 아주 많아졌다. Cable service에 익숙한 사람들은 상상을 못할 듯 하지만 우리는 그것으로 충분한 것이다. 대부분 시간을 각자의 cushy chair/desk에서 있어서 그럴 것이다. 그곳에 ‘big screen’ desktop pc가 있어서 대부분의 TV programming은 그곳에서 본다.

20년 전부터 예고를 했던 TV convergence가 많이 진행이 되어서 웬만한 것들은 거의 Internet (or from home server)으로 desktop PC에서 볼 수 있게 되었고, ‘아이’들이 다 커서 떠난 집에 쓸쓸한 family room의 family TV는 거의 의미가 사라진 것이다. 어떨 때 조금은 가족들이 TV앞에 모여서 즐기던 시간이 그립기도 하지만 어쩔 수가 없다. 모든 것은 변하고 있으니까.

주변 친지들의 집에 가보면 모두들 예외 없이 monster-size flat-screen TV들이 있고 심지어는 한국에서 오는 channel들도 보고 있어서, 사실은 우리 집이 예외가 아닌가 생각도 든다. 일반적인 TV channel들이 결국은 Internet으로 다 통일이 되는 것은 예상보다 서서히 진행이 되고는 있지만 Internet speed가 점점 빨라지고 있어서 시간 문제일 듯하다.

 

Neil Diamond, singer-songwriter
Neil Diamond, singer-songwriter

¶  며칠 전에 TV morning Today show에 반가운 얼굴이 나왔다. Neil Diamond.. 나이에 비해서 아주 젊은 모습이고, 풍기는 활력도 마찬가지고, 목소리는 거의 변하지 않았다. 아주 약간 템포가 느려졌음을 느끼는 것은 나의 선입견일까.. 1960년 대 중반부터 시작된 그의 soft-rock/pop singer로써의 길고 긴 인생여정, 큰 무리 없이 꽃을 피워가는 중일까?

기억에 60년대의 pop group The Monkees의 많은 hits, 그가 없었으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그의 진정한 talent는 그 자신이 노래를 부르기 시작하면서 분명히 나타났고, 일시적인 인기가 아니고 길고 긴 진정한 프로의 길을 걷게 되었다.

개인적으로는 60년대와 70년대를 거치는 시기에 발표된 그의 classic oldies가 좋았지만, 80년대 이후의 그의 활동도 예외적으로 기억하고 좋아하게 되었다. Cliff Richard와 비슷하게 거의 전설적인 존재가 되어가고 있는 그는 내년 6월 6일에 이곳에서 Philips Arena에서 live concert를 한다고 TV에서 보았고, 혹시 갈 수 있을까..했지만 $100이나 하는 ticket때문에, 그저 군침만 삼키고 있다.

 

Play meNeil Diamond – 1972

 

깊어가는 가을에..

30년이 넘는 빛나는 역사를 자랑하며 우리를 즐겁게 해 주었고, 집안 가족들에게 진정한 안방극장의 역할을 다 했던 비디오 테이프(‘테입’ 이 더 맞을 듯 한데, 아마도 표준용어는 역시 ‘테이프’ 인 모양), VHS video tape들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몇 주 전에 우연히 VHS cassette에 있는 오래 전의 영화를 보려고 하다가 VCR(video cassette recorder, 일본에선 VTR: video tape recorder라고 함) 이 ‘고장’ 난 것을 발견하고, ‘망연자실’을 한 적이 있었다. 그리고 갑자기, 이렇게 많이 쌓여있는 ‘옛날’ 비디오 영화들을 어떻게 할 것인가 생각하게 되었다.

5년 전쯤에 우리가 찍었던 가족 비디오들은 일단 모조리 computer로 복사를 해 두었지만 돈을 주고 산 영화 비디오들은 너무 많아서 엄두를 못 내고 그대로 두었고, 최악의 경우에 그런 것들은 나중에 DVD로 다시 나올 것이니까, 가족 비디오처럼 중요한 것이 아니라서 잊고 살았던 것이다. 물론 그것은 VCR이 ‘건재’ 하다는 전제하에서의 이야기였는데, 이제는 손쉽게 테이프에 있는 영화 비디오 조차 못 보게 된 것이다. 결론은 분명히: 이번에 무언가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VCR+DVD player combo
VCR+DVD player combo

최우선의 과제는, 오랜 동안 모았던 주옥 같은 영화 비디오를 가족이 모일 때, TV로 쉽게 볼 수 있어야 하므로, VCR을 사야 하는 일이고, 다음은 언젠가는 ‘없어지거나, 상태가 나빠져 못 볼’ 이 많은 영화 비디오를 ‘가족 비디오처럼’ computer로 옮겨야 하는 일이었다. 컴퓨터로 일단 digitize가 되면, 수명은 거의 반 영구적이 될 것이고, 여기저기서 computer로 볼 수가 있게 되니까, 조금 지루한 일이지만 효과는 몇 배로 나올 것이다. 그래서 곧바로 VCR 을 사려고 보니까, 요새는 VCRDVD player가 함께 붙어서 나오고, 값도 $70 정도여서, 참 세월의 흐름을 느끼게 했다. 그 옛날 VCR이 처음 나올 당시.. 처음에는 천불이 넘었었던 것을 기억하니까.. 이렇게 해서 VHS tape을 computer(digital) movie file (WMV, Vidx/Xvid/AVI format)로 하나 둘씩 옮기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장난이 아니게 많아서, 언제 끝나게 될지 한심하다. 하지만 정말 오랜만에 다시 보는 영화들을 다시 볼 수 있어서 조금은 덜 지루할지도 모른다. 예를 들면 벌써 Carroll BakerRoger Moore의 명화 The Miracle(기적), Tom HanksApollo 13, Jennifer JonesThe Song of Bernadette (루르드 성모님 이야기) 등등을 다시 보게 되었다. 이것들의 대부분은 1990년대에 우리 집 식구들이 즐겨 본 것들이라 그 당시의 추억도 함께 떠오른다. 근래에 HD(high definition) TV에 익숙해지고 있는 마당에 VHS의 ‘조잡한’ SD (standard, low) definition을 보니까 어떻게 옛날에 저런 것을 보며 살았나 하는 생각도 들지만, 사실은 그런 ‘조잡’한 맛이 은근한 맛도 있고, 감정적으로도 부드럽고, 따뜻하게 느껴지니, 나도 참 오래 살았나 보다.

 

10 years with YMCA.. 허.. 언제 이렇게 되었나? YMCA의 gym에서 운동을 한 것이 10년이 넘었다. 우리 가족은 1990년대에 다같이 이곳에서 ‘거의’ 정기적으로 운동, 수영을 했지만, 나는 2011년 9월 이전까지는 아주 가끔 갔었다. family plan으로 멤버가 되면 조금 싼 이유도 있었지만, 정기적 육체적인 운동의 필요성을 누가 모를까, 집에서 비교적 가까운 곳에 연숙이 거의 강제로 가게 만들어 놓은 것이 이제 10년이 훨씬 넘게 된 것이다. 요새는 우리 부부만 일주일에 3일 정도를 목표로 하고 다니는데, 이제는 습관이 되어서 안 가게 되면 더 신경이 쓰일 정도가 되었다. 생각한다. 지난 10년 동안, 이것마저 없었다면 어땠을까? 생애를 통해 지난 10년은 사실 내가 감당하기 힘들었던 십 년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아마도 아마도 이 YMCA는 내가 ‘살아’ 남는데 큰 한 몫을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듯하다.

East Cobb YMCA
East Cobb YMCA

처음에는 주로 아침에 갔고, 그때면 주변에 사는 한인들과도 어울리며 커피나 얘기도 나누기도 했는데, 그때 알던 부부가 거의 연달아서 암으로 세상을 떠나기도 해서 참 가슴이 아프기도 했다. 그때 느낀 것 중에 하나가, 운동을 하고, 겉으로 건장하게 보여도 그것과 ‘수명적인 건강’과는 크게 상관이 없다는 사실이었다. 오랜 옛날 미국에 오기 전에 서울 종로에 있던 종로서적센터 뒤에 있던 그 당시에는 최신식인 health center에 몇 개월 다니면서 ‘빈약한’ 근육을 바꾸려고 노력을 한 적이 있었고, 친구 이경증과 같이 서울 운동장에 있었던 체육관에도 가본 적이 있어서, 이곳에 있는 weight training 은 그다지 생소한 것이 아니었고, bench press에서 나의 체중(145파운드) 무게로 10 reps까지 하게 되었지만, 요새는 근육의 모양새보다는 근육의 목적에 더 신경을 쓴다. 예를 들면 무거운 것을 옮긴다던가 할 때 큰 문제없이 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고, 다음은 역시 근육의 빠른 노화를 완화시키는 것인데 사실인 이것이 더 중요할 것이다. 요새는 근육운동보다 걷는 것, bike등으로 하체에 더 신경을 쓰는데, 이유는 간단하다. 더 나이가 들어서 ‘넘어지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YMCA gym에 갈 때마다 그 옛날 나에게 ‘역기운동’의 기초를 가르쳐주던 친구 이경증을 생각하곤 한다.

 

며칠 후의 일기예보는 드디어 올해 처음 아틀란타 메트로 지역에 빙점(화씨 32도, 섭씨 0도)의 가능성을 예고해서, 본격적인 가을의 중반을 향하는 느낌이다. 2주 뒤에는 크리스마스에 다음의 미국 최대 명절인 Thanksgiving Day (추수감사절)이고, 사실상 그때부터 크리스마스 season이 시작이 된다. 올해는 조금 ‘극단적인’ 기후였는지는 몰라도 단풍을 보니 역시 피곤한 빛이 역력하였다. 빛깔이 그렇게 곱지를 않은 것이다. 동네를 걷다 보면 이 근처에서 제일 빛이 찬란한 나무가 하나 있는데, 나는 그것으로 올해의 단풍의 질을 판단하게 되었다. 역시 작년에 비해서 조금은 초라한데, 색깔자체는 크게 차이가 없지만 잎사귀들이 건강하게 변하지를 않았고 심지어는 한쪽이 대머리처럼 듬성듬성 빠져 보여서 조금은 가엽게 느껴지기도 했다. 자연도 기후의 스트레스를 왜 받지 않았겠는가? 우리 집 앞쪽에 있는 나무들도 역시 색깔들이 바랜 것하고 떨어지는 모양새가 예년에 비해서 아주 비정상적으로 불규칙한 모습들이다. 확실히 ‘심한’ 기후에 의한 피곤한 자연의 표현이다. 이러다가 바람이 부는 을씨년스런 날이라도 오게 되면 아마도 하루 아침에 앙상한 가지만 남게 되지나 않을까? 작년의 폭설을 기억하면서 올해는 과연 어떨지 궁금하기도 하다.

 

Fall Colors, 2011

기후 탓으로 예년만 못한 Fall colors, 2011

 

시월의 반

시월의 반이 되어간다. 어릴 적 국민학생일 적, 10월은 십 월이 아니고 시월이라고 귀따갑게 배운 기억의 시월.. 이제는 추운 가을의 맛도 이미 느꼈고, 조금은 월동준비도 생각하게 해 주었다. 최근 아주 정상기온을 유지하며 며칠 동안은 땅속으로 포근히 스며드는 비까지 뿌려준 올 가을, 자연의 하느님께 감사를 안 할 수가 없다. 시월에 있는 눈에 띄는 날은 역시 시월 마지막 날, 할로윈 (Halloween)일 것이다. 일년의 수확을 상징하는 호박의 황금색이 온통 동네를 장식하는 날,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초자연적 존재인 ‘귀신’을 즐기는 날.. 비록 종교적으로는 ‘악마,귀신 숭배’를 우려해, 권장하는 날은 아니지만, 분명히 종교적 의미의 ‘초자연적인 귀신’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니 그럴 필요까지는 없을 것 같다. 이런 날을 재미없어 하는 축은 아마도 ‘무신론자’들 밖에 없을 것이다. 그들은 ‘귀신 조차’ 믿지 않을 테니까..

에스페란토 회보
미국 에스페란토 회보

에스페란토, 2개월마다 간행되는 회지, American Esperantist가 어제 배달되었다. 지난 번 아버지가 관련된 에스페란토 역사를 추적하며, 미국 에스페란토 협회에 문의를 한 적이 있어서 이렇게 ‘무료’로 보내주었나 보다. 이 회보를 받아보고 느낀 것은, 생각보다 ‘초라’하다는 것이었다. 각종 회원들의 연회비 (정회원은 $40/year!)로 운영이 되는데 어떻게 이렇게나 빈약한 느낌일까? 물론 인터넷의 영향으로 인쇄 간행물이 대폭적으로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더욱 그럴 것이다. 그렇다 해도 조금은 더 ‘화려하게’ 만들 수 없었을까? 역사 깊은 대한민국 천주교 잡지 경향잡지, 1950년대의 느낌을 줄 정도로 보는 느낌이 ‘차분’하다. 그에 비해서 내용은 훨씬 다양하고 깊이가 있는 ‘것’ 같은데.. 에스페란토를 읽을 수 없기 때문에 그저 짐작만 할 뿐이다. 많은 사람들이 나와 같이 느끼며, 과연 에스페란토가 얼마나 더 ‘지탱’을 할까 하는 모양인데, 나는 오래 오래 ‘살게’ 되기를 바라는 입장이다. 내가 이것을 배워서 쓰고 안 쓰고 하는 문제보다는 이런 ‘인류 평등,평화‘의 정신이 계속 발전하게 되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아틀란타 천상의 모후 꾸리아 간부교육피정, 드디어 내일로 다가왔다. 이것에 조금 의미가 있다면, 연숙이 꾸리아 부단장에 피선된 후 처음의 행사가 되었고, 나는 곁다리로 단원의 자격으로 봉사를 하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부단장이 식구에 있으니 나에게도 이렇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사실은 별로 마음에 내키지는 않았지만, 거절할 명분이 뚜렷하지도 않았다. 레지오의 철칙인 ‘순명’을 어기는 것도 되니 할말도 별로 없었다. 단장이란 사람은 나머지 임원을 완전히 믿는지 한달 동안이나 자리를 비우고 행사 하루 전에 나타나셨다. 결국은 자리를 지키는 ‘일벌’들이 실질적인 일은 다한 셈이고.. 이 동네의 거의 모든 일들이 이렇게 카프카 식으로 진행된다. 내가 맡은 일은 일일 사진기자의 역할인데, 어떻게 보면 아주 단순한 일이다. 하지만 꼬박 전체 행사를 돌아다녀야 하는 것이라 조금 신경이 안 쓰일 수 없고, 나의 camera가 아주 ‘시로도’ 급이라, 과연 사진이 잘 나올지도 걱정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역시 이것도 레지오의 중요한 봉사이기 때문에 기꺼이 하면 될 것이고, 나머지는 다 ‘위에서’ 보살펴 주실 것이다.

 

A Glorious Autumn day

2011년 10월 8일, 아침에 바깥을 보니 한마디로 ‘기가 막히게 영광스러운‘ 가을 하늘이었다. 어렸을 적 많이 보았던 북악산 쪽의 드높은 ‘시퍼런’ 하늘이었다. 오늘은 그것에 덧붙여서 산들바람이 조금은 더 세게 분다. 아마도 이것이 ‘완전한 가을’ 날씨가 아닐까? 하지만 기후에 비해서 풍경은 아직도 푸른 색이 가을 색보다 훨씬 더 많은 ‘초가을’ 이다. 아마도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색깔들이 변하게 될 단풍의 나날들로 변하게 될 것이다.

연숙의 묵향화 작품 1호, 2011
연숙의 묵향화 작품 1호, 2011

얼마 전부터 연숙이 ‘묵향’ 이라는 동양화의 일종을 배우게 되었다. 일주일에 한번 정도 아틀란타 본당에서 배우는 모양인데, 내가 동양화란 것이 거의 문외한인 탓에 크게 관심을 두지 않았고, 화구(묵, 붓, 한지 같은)를 챙길 때도 성의 없이 대하곤 했다. 그 수려하고 잔잔한 그림을 보는 것은 몰라도 내가 그린다는 것은 상상도 못할 일이다. 오래 전부터 붓글씨 같은 것을 해 보고 싶다고 하더니 선생님을 못 찾아서 애를 태우더니 이번에는 ‘아다리’ 가 맞아서 묵향 선생을 찾은 것이다. 그런데 얼마 전부터는 아주 심각해 졌는데, 이유는 얼마 후에 ‘전시회’를 한다는 것이었다. 그것을 준비하느라고 심각해 진 것이다. 본인이 아직도 초보의 수준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더니 드디어 얼마 전에 그림을 완성을 해서 표구까지 해서 집에 들고 왔는데.. 솔직히 나도 놀랐다. 한마디로 ‘괜찮은’ 것이었기 때문이다. 다른 분의 말씀에 연숙은 옛날에 서양화를 그렸기 때문에 이것도 남들보다 더 잘할 수 있을 것이라는데, 나는 그것이 일리가 있는지도 사실 확실치 않다. 재미있는 사실은 이번에 그린 것과 비슷하게 다시 그리려 했는데, 그것이 정말 어려워서 포기 했다고.. 그러니까 이런 그림은 그릴 때의 마음가짐, 자세가 중요한 것을 알게 되었다. 포인트는 이런 ‘보이는 그림’이라는 ‘결과’가 아니고, 그것을 그리는 그 자체가 그렇게 ‘즐겁다’ 고 한다. 아마도 그것이 제일 중요한 포인트일 것이다

 

 

Catholic Sunday

오늘 아침은 3주 만에 미국본당 Holy Family CC(Catholic Church) 에서 8시반 주일미사를 보았다. 그러니까 2주 계속 주일미사를 거른 셈이다. 레지오 화요일 주중 미사는 절대로 거르지 않아서 조금은 변명 감 있긴 해도 역시 주중의 ‘약식’ 미사와 주일의 ‘정식’ 미사는 느낌이 많이 다른 것이라서 역시 ‘손해’를 본 것은 우리들이다. 10월 초에 걸맞은 계절의 맛을 마음껏 내듯 아침 바깥 기온이 45도(섭씨 7도) 로 떨어져서 이건 완전히 춘추복의 날씨로 오랜만에 “넥타이만 없는 정장”으로 갈아 입었다.

Holy Family Fall Festival 2011
Holy Family Fall Festival 2011

2주 동안 못 본 낯익은 얼굴들, 비록 이름도 모르고, 본당 밖에서 따로 만난 적이 없어도,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다. 그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들의 얼굴이 안 보이면 조금은 신경이 쓰이기도 하니까. 오늘의 주보를 보니, 역시 10월의 상징인 (Halloween) pumpkin의 색깔로 가득하고 돌아오는 토요일 예정인 본당주최 Fall Festival 내용으로 그득하다 . 오늘은 주임신부님, Fr. Darragh (대라, common Irish name), 오늘 복음 말씀(마태오: 21:33-43)에서, “stewardship”을 주제로 삼아, 미사 이외의 본당활동에 더 적극 참여하라고 강조하시고, 숫제 volunteer form까지 모든 좌석이 비치해 놓으셨다. 각자가 가지고 있는 talent를 썩히지 말라고.. 그런 각자의 ‘재능’을 좋은데 쓰지 않으면 하느님께서 도로 가져간다고 거듭 강조하신다. 이런 말씀 많이 들었고, 나는 안다. 무슨 뜻인지..

생각해 보면 이 정든 ‘동네’ 본당에 내가 봉사를 할 것은 적지 않다. 하지만 현재 하나도 하는 것이 없고, 이것은 항상 갈등을 느끼게 한다. 이것은 오랜 동안의 영어문화권 직장을 떠난 후에 나타난 현상 중의 하나다. 역시 우리 같은 사람은 잔뼈가 굵은 곳의 언어문화권으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 본능일까? 이곳에 살면서 계속 겪던 문화적 혼동과 갈등이 결국 나중에는 이런 곳에서도 나타나는 것일까, 아니면 내가 조금 더 민감하게 느끼는 것일까.. 참 어려운 것이다. 아틀란타 한인 순교자 본당소속, 레지오에 입단한 이후, 조금씩 모국 문화권에 더 익숙해 지면서 이런 문화적, 언어적 갈등을 생각하게 된다. 문제는, 어떻게 나의 나머지 인생을 보내야 할까.. 너무나 멀어진 고국문화를 다시 배우며 살까, 아니면 더 영어권으로 들어가서 적극적으로 그들과 어울릴까.. 정답은 없다. 절대로 선택문제인 것이다. 어느 것이 더 나에게 보람을 느끼게 할까 에 달려있다. 

 

올 들어 처음으로 central heating system을 시험하는 날이 왔다. 아래층의 kitchen area에 앉아 있으려니 추울 정도라서 thermostat를 보니 67도.. heater로 스위치를 켰는데.. 잠잠.. 분명히 68도로 맞추었으니까 더운 바람이 잔잔하게 나와야 하는데, 아주 조용한 것이다. 직감적으로 아하! 아래층 furnace의 thermocouple을 새것으로 갈 때가 되었구나. 그러니까 thermocouple이 수명이 다 되면 pilot lamp가 꺼지고, fire(점화)가 안 되는 것이다. 요새의 furnace는 물론 거의 다 automatic firing mechanism을 가지고 있어서 이런 골치를 썩지 않아도 되지만 우리 것은 거의 20년 전의 것이라 이런 불편이 있다. 문제는 이 thermocouple이 생각보다 자주 교체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비싼 것은 아니지만, 이것을 새것으로 바꾸려면… 조금은 ‘기계적’인 머리도 필요하고, 그 우중충한 ‘지하’ 공간으로 기어 들어가다시피 해야 하는 그런 ‘남자의 일’인 것이다. 그래서 여자만 사는 집이라면 99% handyman을 $$을 주고 불러야 할 듯 한데 나의 우려는, 내가 먼저 죽으면 연숙이는 어떻게 이런 것들을 ‘고치며’ 살까.. 조금은 우습지만, 사실은 실제적인 문제다. 이런 것은 기계적인 것에 한하지 않고 우리 집에 거미줄처럼 깔려있는 computer network같은 것들.. 거의 자동적으로 돌아가지만, 문제가 생기면.. 생각만 해도 아찔하다.

 

며칠 전, 빛의 속도보다 빠른 물체를 실험으로 관측1을 했다는 기사를 보면서, 정말 오랜만에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을 추억과 함께 생각을 하게 되었다. 추억이란 물론 내가 처음 이 ‘기가 막히게 멋진 과학 이야기’ 들을 때의 기억이다. 우리 또래들은 이런 것들을 거의 대부분 책을 통해서, 그것도 ‘만화’를 통해서 접하고 배우게 되었다. 그 당시에는 교과서가 거의 유일한 지식의 원천이었다. 백과사전은 나오지도 않았고, 나왔을 때는 너무 비싸서 ‘월부’로 사기도 힘든 때였다. 라디오에서 이런 것을 가르쳐 줄 리는 만무하고, TV는 없었을 때였다. 나도 역시 만화에서, 그것도 ‘공상과학’ 만화에서 처음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원리라고 해서 듣고 배우게 되었다. 그때 내가 느낀 것은 과장되게 표현해서 ‘소름이 끼칠’ 정도였다. 그 만화에서 상대성원리의 결과로 보여 준 것이 이런 것이었다. 두 형제가 있었는데 그 중 한 명이 빛의 속도로 나르는 로켓을 타고 여행을 떠난다. 몇 년 뒤에 그는 지구로 돌아왔는데, 그 때는 이미 지구시간은 수만 년이 지난 후여서 그의 가족 뿐만 아니라 지구 전체가 완전히 바뀐 뒤였다. 이것은 광속도에 접근하는 로켓(과 그 안의 사람)에서 시간이 아주 느리게 흐른다는 사실에 근거를 한 것으로, 이론상으로는 문제가 없는 공상이었다.

이런 식의 이야기는 상당히 충격적이었는데, 중학교 2학년 가회동에 살 당시, 같은 집에서 자취를 하던 경기고교 생 양병환 형으로부터 이런 류의 이야기로 밤을 새우기도 했다. 그 중에 하나가, 우리의 과거를 볼 수 있다는 역시 조금은 소름 끼치는 이야기도 있었다. 도저히 이해는 안 갔지만 이론적으로는 역시 큰 문제가 없었다. 이 이야기의 함정은, 우리가 우리의 과거를 본다는 것이 아니고 다른 사람이 나의 과거를 본다는데 있었다. 가령 예를 들어서 지구에서 10광년 떨어진 별에서 거대한 망원경으로 지구를 보면 10년 전의 지구가 보일 것이고, 10년 전의 우리들을 볼 수 있을 것이 아닌가? 전혀 문제가 없었다.
그런 이야기들을 들으며 대학 1학년 때, 드디어 흥분의 순간이 왔다. 대학 물리시간에 특수 상대성 이론이 나온 것이다. 이것은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그대로 다룬 것인데, 조금 충격적이었던 것은, 그 이론은 전혀 ‘어렵지’ 않아 보인 것이다. 그러니까 그 이론에서 쓴 수학들이 정말 그다지 어려운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심지어 너무나 ‘간단’ 했던 것이다. 그곳에 상대성원리의 매력이 있었을 것이다. 우주의 법칙은 절대로 ‘복잡’하면 안 된다는 아인슈타인의 지론이 그것이다. ‘하느님의 법칙’ 은 의외로 간단한 것이다. 예를 들어서 에너지의 공식을 보라. E=mc2 이렇게 간단한 공식이 어디 있는가? 이런 이론들을 과학적 증명이 거의 없이 ‘발명’한 그는 한마디로 천재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 후 100년 동안 그의 이론은 거의 실험으로 하나하나 ‘직접, 간접적’으로 증명이 되고 있다. Gutenberg.org의 도움으로 아인슈타인의 원래 저서 ‘상대성 원리’를 download해서 보았다. 역시 비교적 내용이 길지 않은 책이었다. 위대한 저서는 이런 식으로 의외로 간단해 보이는가? 비록 독일어를 영어로 번역을 한 것이지만 아인슈타인의 ‘냄새’가 여기저기서 나는 위대한 책이다. 시간이 나면 한번 녹슨 머리를 굴려가며 다시 한번 읽어 보리라. 어렸을 때와 다른 것은 이제는 ‘하느님의 작품인 거대한 우주’ 라는 framework을 염두에 두고 있기에 그 때와 같이 방황하지는 않으리라.

 

  1. 아마도 이것은 quantum entanglement 실험을 말하는 것은 아니었을까?

구월 하순, GXP-285, GPS, 연고전

9월 21일, 구월의 하순으로 접어들었다. 날씨는, 지난 2 주 동안 가을의 맛을 느끼게 해주는 ‘첫’ 싸늘함으로 우리들을 즐겁게 해 주었다. 다만 매일 기대했던 비가 내릴 듯 말듯 하며 내리지를 않아서 그것이 조금 신경이 쓰인다. 지독히도 가물고 더웠던 여름 동안 앞 쪽의 잔디는 색이 바래고, 숨을 죽이고 죽은 듯이 보인다. 하지만 그들은 다시 파랗게 살아날 것이다. 올해 이곳의 날씨는 다행히 ‘뉴스’가 없이 지나갔다. 다른 곳에 비하면 그런대로 준수하다고나 할까. 과연 이번 겨울 날씨는 어떨지 자못 기대가 된다. 작년에는 정말 춥고, 많은 눈이 내렸기 때문이다.

Grandstream GXP-285 SIP Phone
Grandstream GXP-285 SIP Phone

오늘 며칠 전에 Amazon.com에 order했던 Grandstream GXP-285 (SIP) VOIP phone이 도착했다. 미리 review도 보았고, USERS MANUAL도 이미 download해서 보았기 때문에 생소할 리가 없다. 사실 몇 년 전에 이미 GRANDSTREAM의 VOIP phone adapter를 써본 적이 있어서 눈에 익은 제품이긴 하다. 하지만 진짜 phone은 이번이 처음이다. 몇 달 전에 ebay에서 LINKSYS (Cisco)의 SPA-841 2-line VOIP phone, 쓰던 것을 산 적이 있었다. 그러니까 나에게 SIP VOIP phone은 그것이 처음이었던 셈이다. 그 동안 이 전화기를 많이 쓰지는 않았지만, 얼마 전에 Google Voice로 한국에 전화를 했을 때, 너무나 음질이 좋았다. 그러니까 Internet phone의 수준이 완전히 PSTN (analog) phone의 수준에 도달한 것이다. 문제는 아직도 VOIP 의 대부분이 softphone (on PC)을 쓰는 사람들이 많고, SKYPE 같은 조금 non-standard technology를 쓰기 때문에 전통적인 Bell phone같은 ‘쓰기 쉬운’ 맛이 덜 하다는데 있다. 하지만 이제 VOIP (특히 SIP compatible) phone도보기와 느낌이 거의 똑 같이 analog phone과 비슷해서, ‘전통적인 전화기’의 남은 수명도 그렇게 긴 것 같지 않아 보인다. 나의 home-office에는 이미 Asterisk-based IP-PBX (PBX-IN-A-FLASH: PIAF)가 있어서 (running on Proxmox Virtual Server), 미국과 캐나다는 Google Voice로 무료로 통화를 할 수 있고, 국제전화도 정말 싸게 사용할 수 있다. 이번에 산 전화기는 비록 값이 저렴한 것이지만 (under $50) Home-Office에는 적당해서, 연숙의 office에서 쓰게 할 예정인데, 가끔 ‘음질이 형편없는’ cell-phone에서 벗어나서 이렇게 ‘안정되고 깨끗한’ 음성을 즐길 수 있는 것도 좋을 듯 하다.

GPS' dead battery
GPS’ dead battery

몇 년 전에 크리스마스 때 연숙에게 선물로 준 GPS가 별로 쓰지도 않았는데 charge가 되지를 않는다. 그러니까 power cord (usb or adapter)를 써야만 이것을 쓸 수가 있게 된 것이다. 우리는 GPS를 별로 쓸 필요가 없지만, 그래도 가끔 쓰려고 하면 이런 것이 짜증이 나는 것이다. 고급 차를 타는 사람들은 요새 아예 GPS가 dashboard console에 있어서 쓰기가 참 편한 것 같았다. 그렇다고 다른 것을 살 필요까지는 못 느끼고.. 이럴 때는 역시 ‘공돌이 정신 (hacker mentality)’이 발동을 하게 된다. 그래서 ‘열어보게’ 되었다. charge가 안 되니까 이것은 rechargeable battery가 ‘죽은’ 것이다. 어떻게 그렇게 빨리 죽었는지, 역시 이 battery도 Made in China였다. ‘조잡한’ 것을 썼을 것이다. 이것은 portable device에서 많이 쓰는 3..7V의 Polymer type인데, 암만 Internet을 뒤져 보아도 이것과 같은 것은 찾을 수가 없었다. 비슷한 것을 찾아도, 값이 ‘장난’이 아니게 비쌌다. 그렇게까지 해서 고칠 필요는 없지만, 그렇다고 GPS를 버리기도 그렇고.. 그러다가 얼마 전에 거의 못쓰게 된 Canon digital camera의 Battery가 생각이 나서 보니 거의 power spec이 비슷했다. 3.7V 1200mAh! 모르긴 몰라도 이것을 쓸 수만 있으면 될 것 같은데.. 문제는 battery terminal을 다시 연결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해 보인다는 사실이다. Soldering 을 해야 하는데, 워낙 terminal이 작아서 그것이 문제인 것이다. 하지만, 계속 궁리를 하면 무슨 idea가 생길지도 모른다.

오늘, 요새 거의 자취를 감춘 ‘엽서’ 한 장이 배달되었다. 보낸 사람은 Law Office of Se Ho Moon, PC (Suwanee, GA)라고 인쇄가 되어 있었다. 그러니까 스와니 (아틀란타 동북단의 suburb)에 있는 ‘문세호 변호사‘ 가 보낸 것이다. 요새 변호사 개업을 했나.. 하며 읽어보니 “친애하는 연세대학교 동문 여러분,”으로 시작이 된다. 아하! 연세대 동문회에서 보낸 것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순간, 아, 이맘때면 연례 연고전이 있던 때구나 하는 생각도 들었다. 9월 25일에는 골프대회, 10월 2일에는 구기대회. 나는 골프를 치지 않으니까 그날은 관심이 없지만, 구기대회에는 조금 생각을 하게 되었다. 내가 마지막으로 연고전 참가를 한 것이 1997년 쯤이었다. 그러니까, 15년 전이 되었다. 그 때는 무슨 바람이 불었는지, 연말 연대 송년회까지 참석을 했는데, 그 후에 어떻게 되었는지 완전히 잊고 살게 되었던 것이다.
이곳에 이사온 후 나는 사실 동창회에 별로 관심이 없었는데, 그 당시에는 가까이 알고 지내던 연대 이원선 동문이 그 해 동문회 회장이 된 바람에 조금은 손 쉽게 참가를 하게 된 것이었다. 사실, 처음 나갈 때 모르는 동문을 만나는 것이 물론 반갑기는 하지만 서먹서먹하고 어색한 것도 사실이라서 그렇게 참가를 안 한 것도 이유가 된다. 이원선 동문은 68학번 연대 기계공학과 출신인데, 내 친구였던 (타계) 같은 연대 기계과 김호룡을 알고 있었고, 우리와 같이 아틀란타 천주교회에도 같이 나갔던 동문이었다. 아쉽게 그 이후 서로 소식이 거의 끊어지게 되고 같은 지역에 살면서도 거의 잊고 살게 되었던 것이다. 요새는 내가 레지오에 입단하면서 성당에 갈 수가 있어서, 가끔 이원선씨의 부인을 뵙곤 하였지만 끝내 이원선씨는 볼 수가 없었다. 올해 이 연고전 엽서를 받고 조금은 생각을 하게 된다. 거의 숨어서 살다가 조금씩 밖으로 나간 김에 올해는 한번 연고전 ‘소프트 볼’ 대회에 참가하거나 구경을 가 볼까 하는 생각이다. 그곳에서 운동과 놀기를 좋아하는 이원선 동문을 보게 될지도 모른다.

 

낙엽을 기다리며..

 

Autumn Leaves – Edith Piaf

Autumn Leaves:  의외로 갑자기 가을의 맛이 눈앞에 다가왔다. 준비도 못한 채 맞게 된 것이지만, 절대로 가을은 반갑다. 황금색으로 바뀌는 나뭇잎을 보는 것도 즐겁고, 차가운 비를 바라보며 움츠려 드는 몸을 따뜻하게 녹이는 진한 커피향도 그렇고, 이것이 앞으로 몇 개월의 비교적 짧은 기간에만 느낄 수 있는 것들이다.
은근히 기대했던 비는 끈질기게도 오지를 않는다. 그래서 모든 것이 확률적인 수치로 나오는 일기예보는 해석을 잘 해야 한다. 그 확률이 맞는 확률도 있을 것이고 그것은 역시 개개인 마다 조금씩 다를 것이다. 그래서 나는 요새 일기예보는 거의 일부러 안 보는 편이다. 기대도 하기 싫고, 미리 알아 보았자 그렇게 이득이 될 것도 없고, 만의 일이라도 비상 적인 일기가 오게 되면 그것은 주위를 통해서 자연히 알게 되기 때문이다. 그렇게 하니까 사실 마음이 편하다. 시간적으로 변하는 날씨에 연연하던 때를 생각하면 왜 그렇게 내가 한가했나 하는 후회도 든다.
내가 사는 이곳의 9월은 사과의 계절이다. 그래서 애들이 어렸을 때는 가족적인 연례행사로 과수원을 찾고 했다. 아이들이 다 떠나면서 그런 행사도 시들해지고 작년부터는 가지 않게 되었다. 이곳에 이사올 당시, 그러니까 거의 20년 전만 해도 그렇게 과수원을 찾는 사람이 많지 않았는데 인구가 늘면서, 특히 한인들이 늘어나면서 조금은 눈에 거슬릴 정도가 되었다. 특히 단체로 버스까지 타고 오는 것을 보면서 완전히 그곳의 맛이 사라지게 되었다. 그 옛날이 그립기도 하다. 하지만 이것이 자연스러운 세월의 흐름이 아닐까.. 모든 것은 모두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것이니까.

 일본 TV 드라마:  2007년부터 보기 시작했던 일본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들, 특히 그 중에서도 연속극 드라마들 이제는 이미 방영된 것은 다 보아서 새로 나오는 것을 기다리게까지 되었다. 사실상 그것들을 보기 시작하면서 한국의 프로그램들을 하나도 안보게 되었다. 연숙은 이것을 이해를 못하는 모양이다. 어떻게 그렇게까지 되었나 하는, 조금은 실망까지 하는 눈치다. 어찌 그것을 이해를 못할까? 같은 드라마를 보아야 그런대로 얘기할 것도 생기고 하니까.. 이곳에서 가끔 모이는 친지들과도 마찬가지다. 모두들 어떤 한국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가지도 신나게 얘기를 나누는데, 나는 완전히 듣고 있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니까..
일본 프로그램을 보기 전에도 사실 나는 한국에서 나오는 것을 아주 가끔 보는 편이어서, 그 당시도 마찬가지였다. 이런 것들은 내가 보아도 조금은 이상하긴 하다. 하지만 일본의 드라마를 보는 나는 분명히 목적이 있었다. 그들을 조금이라도 ‘값싸게’ 공부해 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그것이 인터넷의 덕분으로 가능해 졌고, 최소한 듣는 일본어는 많이 익숙해 졌다. 비록 드라마지만 그들의 문화, 생각, 풍습, 역사 등등을 간접적으로 많이 배우게 되었다. 너무나 그들을 모르고, 무시하며 산 것이 조금은 후회가 될 정도였다. 그래서 올해 초의 지진, 해일, 원전사고 등 재해 때, 그들을 이제까지와는 아주 다른 눈으로 그들을 보게 되기도 했다. ‘증오’의 역사로 점철이 되었고, 철저한 반일교육으로 자란 나로써는 지난 몇 년 동안 많은 것을 새로 보는 기회를 얻은 것이다. 다행히 대한민국의 경제성장, 정치적인 완숙함, 한류의 파급 등으로 그들도 이제는 거의 친구와 같은 입장을 취하게 되어서, 참 세상을 오래 산 보람을 느끼기도 한다. 이미 내가 골라놓은 ‘최고의 일본 드라마’ 목록은 계속 불어난다

 평창이씨 시조: 얼마 전에 강원도 평창이 동계 올림픽 유치에 성공했다고 들어서, 평창이란 이름이 앞으로 귀에 아주 익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내가 평창 이씨라는 사실을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사실 평창이 본관인 성씨가 다른 것도 있는지는 모르지만 평창 이씨만은 분명하게 그곳이 고향이다. 하지만 평창이씨를 공부해 보면서 평창에 근거를 한 평창이씨는 한가지 파, ‘정숙공파’ 밖에 없고 나머지는 거의 전국에 흩어져 있다. 내가 속한 ‘익평공파’만 해도 그렇다. 나의 바로 위 조상님들의 세거지는 평창이 아니고 평택인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아직도 평창에 살고 계신 정숙공파 종씨들은 평창이 더욱 알려지게 되면서 조금 더 특별한 대우를 받게 되지 않을까..

현재 평창이씨는 시조 할아버지 문제로 두 개의 파벌로 갈린 상태가 되었다. 서울 흥인동에 위치한 평창이씨 대종회는 시조 휘 ‘광’ 자 할아버지를 시조로 하는데 반해서, 정숙공파는 독자적으로 그 보다 훨씬 위의 조상인 ‘윤장’ 할아버지를 시조로 삼는 것이다. 그러니까 사실 2개의 ‘다른’ 족보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차이는 그리 크지 않다. 대종회에서는 광 할아버지 이전의 역사는 상관이 없다고 보는 것이니까, 최소한 대종회 족보는 전체가 맞는 것이고, 정숙공파 족보는 대종회 족보에 없는 것이 더 들어가 있을 뿐이니까. 하지만 중요한 것은 정숙공파의 족보는 시조인 윤장이 경주이씨에서 갈려 나온 것까지 밝히고 있어서, 이것이 문제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것이 그렇게 중요할까? 그리고 그렇게 오래 전의 사실을 어떻게 몇 가지 남은 사료로써 단정을 지을 수 있을까? 대종회는 ‘정사’를 고수하는 입장이어서 원래 족보가 출발된 시점에서 어떠한 다른 것도 넣을 수 없다는 보수적인 입장이고 보면 그것도 이해가 간다. 어떤 분들 말대로 사실 그것이 대종회가 갈라질 정도로 심각한 문제는 아닐 것 같다.

 

 

2011 첫 가을비 우산 속

어제는 루이지애나 로 부터 북상한 tropical storm ‘Lee’가 많은 비를 몰고 결국 이곳을 지나가게 되었다. 우리가 필요했던 것은 알맞은 비 였으나, 덤으로 토네이도까지 주면서 지나갔다. 비는 예상보다는 적게 왔지만, 몇 주의 가뭄에 비하면 적지 않은 것이었다. 근처에 아주 작은 규모의 토네이도가 집 몇 채에 나무를 쓰러뜨렸지만, 이것은 다른 곳의 ‘대형 사고’에 비하면 아주 경미한 것이었다. 그러다가 오늘은 왔다. 올 것이 온 것이다. 기온이 급강하 하며 아주 음산한 비까지 뿌리는 하루였다. 이것이 바로 가을비의 전형이 아닐까? 몇 달 만에 다 잊어버렸던 ‘써늘함’을 처음으로 느낀 날이었다. 긴 팔, 긴 바지 옷들을 갑자기 찾아서 허둥대던 싸늘한 아침, 이제부터는 조금 ‘가을비 우산 속‘을 기대해도 좋은 계절이 된 것인지.. 기대가 된다.

 

미국 대통령, ‘바락 오바마.. 미국 역사상 첫 ‘흑인’ 대통령, 조금은 불쌍하다. 재수가 지독히도 없었나. 기대가 너무나도 컸었을 까? 제2의 지미 카터가 되어가는 것이 아닐까?

poor Obama on Labor Day, 2011
poor Obama on Labor Day, 2011

8년간의 ‘머저리’ 부시(stupid Bush) 밑에서 거덜이 난 미국의 현실에 진절머리가 난 후의 거의 이상적인 대통령 감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잘못이었을까? 희망과 현실이 어쩌면 이렇게 처참할 정도로 차이를 보이고 있을까? 결국은 오바마는 지금 미국이 필요로 하는 인물의 자격에 미달한다고 볼 수도 있다. 그가 제일 큰 ‘실수’를 한 것이 거의 광신적으로 그의 정책이 실패하기를 원했던 반대당을 제압할 수 없었던 것이었다. 너무나 ‘착하고, 타협적’으로 그들을 대한 것은 지금 보면 거의 치명적인 실수였다. 그 들과 똑 같은 수법으로 ‘무자비하게’ 그 광신도들을 눌렀어야 했다. 그리고 이제는 그런 실수를 회복하기에는 역부족이고, 시간적으로도 늦었다. 이제, 깡패 같은 공화당이 재집권을 하게 되면 그와 대다수 국민들이 원했던 ‘상식적인 정책’은 물 건너 갈 것이 너무나 뻔하다. 참, 암담한 미래가 보인다. 이제 이곳을 떠날 때가 하루 하루 가까이 다가오는 것일까?

돌아오는 일요일은 9월 11일이다. 뉴스에서 그것을 10년 동안 끊임없이 하지만 조금씩 낮아지는 정도로 취급을 했지만 역시 10이라는 숫자에는 약한 모양이다. 10주년이 된 나인-원-원.. 어찌 구급,비상 전화번호, 911과 같은 날이었을까? 이제는 10년 정도는 절대로 긴 세월이 아니다. 어제 같은 느낌이 들 때도 있으니까. 하지만 10년 동안 참 많은 것이 변함도 느낀다. 나도 변했고, 늙었고, 주위도 꽤 변해 있다. 특히 정치, 사회적으로 미국이 겪었고, 변한 것을 보면 조금은 소름조차 끼칠 정도다. 그것은 미국만이 아닐 것이다. 직접, 간접적으로 미친 여파는 후세에 역사가들이 말을 해 줄 것이지만, 아마추어 역사학도가 되어서 생각을 해도 그리 어려운 것이 아니다. 한마디로 ‘극단주의자들의 일시적 승리’, 그런 것이 아닐까? 이제는 웬만한 ‘끔찍한’ 것에도 그리 놀라지 않게 되었다. 극단주의는 사회, 문화 곳곳에서 활개를 치고 유행처럼 번졌다. 그런 것들이 언제까지 가게 될까? ‘양순하고, 착한’ 다수들은 도대체 어디로들 숨었을까?

 

팔월이여, 안녕..

Labor Day 그렇게 더웠던, 하지만 그런대로 잘 적응하며 더위가 친구처럼 완전히 익숙해질 무렵, 갑자기 9월을 맞이하게 되었다. 9월 첫 월요일은 전통적으로 동네의 수영장들이 문을 닫는, ‘비공식적’ 여름의 마지막 날, Labor Day(미국 노동절)이다. 요새같이 실업률이 높아서야, 노동을 하고 싶어도 못하는 세월이 되었다. 대부분의 육체적 노동을 하던 멕시코 사람들이 거의 사라지고, 그 다음의 ‘소수 인종’들이 조금은 경쟁이 완화되었지만 이번에는 일자리가 없는 것이다. 불필요한 전쟁을 몇 번씩 치르며 돈을 그렇게 찍어냈으니, 아무리 천하장사 미국 이라도 그것을 어떻게 견디겠는가? 몇 년 동안은 완전히 남의 돈으로 집과 빚을 얻어서 흥청망청 썼으니.. 과연 그 ‘없는 돈’이 어디에서 나왔겠는가? 이건 경제학의 ‘경’자도 모르는 중학생이 더 잘 알 것이다.

불경기는 분명히 걱정할 만하지만 그보다 더 걱정되는 것은 ‘중산층의 폭’이 점점 줄어든다는 사실이다. 돈을 가진 인간과 ‘절대로 가난한’ 인간들의 폭만 그 동안 넓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전형적인 제3세계의 문제들인데.. 이것이 현재의 상태로 나가면 미국의 문제가 될 전망이다. 깡패집단에 ‘납치가 된’ 공화당은 절대로 ‘대기업과 부자들을 보호’ 해야 하는 입장이고, ‘불쌍한’ 민주당은 절대적으로 없는 사람들의 지지를 받아야 하고.. 미국 정치는 완전한 ‘야쿠자 난투’ 형국이 되어가고 있는데.. ‘정치를 초월한, 윈스턴 처칠’ 정도의 지도자가 발견되지 않는 한, 지난 반세기 동안 잘 나가던 ‘무적의 미국’은 동생나라 일본을 따라서 ‘천천히’ 쇠퇴의 첫 단계로 들어가지 않을까..(아니,이미 들어섰을 것일지도) 나중에 쾌재는 아무래도 ‘짱 꼴라’ 들이 부를 것 같아 정말로 우울해 진다.

 

 

Brian Hyland – Sealed with a kiss
아련한 추억의 찬란했던 여름을 보내고 다가오는 계절을

아침의 신비:  비록 당분간도 덥겠지만 하루하루가 달라질 것이다. 벌써 아침 7시 쯤에도 어둠이 가득하게 남아있다. 그렇게 해가 짧아진 것이다. 10월의 Daylight Saving Time(DST: aka, summer time)해제 쯤까지는 해 뜨는 시간이 무서운 속도로 늦어질 것이다. 이것이 가을의 맛이다. 어두운 아침..에 일어나는 맛.. 나는 ‘절대적’으로 morning person이라서 아침을 맞이하는 기분을 못 느끼면 살 맛도 없을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연숙은 나와 절대로 궁합이 맞지를 않는다. 그녀는 절대적인 night person이기 때문이다. 그것을 바꾸어 보려고 무던히 노력하는 듯 하지만 아마도 힘들 듯 하다.

나도 한 때, 대부분은 학교 다닐 때, 정말 밤늦게 자는 올빼미 스타일이었고, 한때는 정말 그것을 즐겼다. 그러던 것이 서서히 아침으로 돌아오게 되고 이른 아침 공기와 분위기를 느끼고 즐기게 되었다. 특히 이것은 직장생활에서 받은 영향도 있는데, 이른 아침 아련히 진동하는 잠을 깨는 커피향기만 기억을 해도 아침을 사랑하지 않을 수가 없다. 그런 직장분위기가 다 끝난 지금에도 그것이 완전히 몸에 배어있는 것이다. 한마디로 아침에 하는 1시간의 ‘일’은 다른 때에 하는 것과는 ‘양과 질’로 절대로 비교할 수가 없는 것이다. 특히 가을, 겨울과 같이 밝지 않은 아침의 시간은 정말 보석과도 같이 값지고, 심지어 ‘신비스러운’ 시간인 것이다. 그런 어둡고 긴 아침의 계절이 서서히 다가오고 있으니 어찌 이것 하나만으로도 가을이 기다려지지 않겠는가?

 

느긋함과 늙음,  젊었던 시절 항상 그렇게 생각을 했다. 나이가 들면 모든 것을 느긋하게, 시간을 두고, 회상을 하며, 생각하며, 천천히 관용적으로, 이해를 하는.. 그런 ‘신사중의 신사 같은 나이 듦’ 등을 그리곤 했다. 싫어하는 사람보다는 그런대로 싫지만 이해하게 되는 그런 너그러움.. 이 나이가 들었다는 ‘보람’이 아닐까..하는 조금은 희망적인 희망을 해 본 것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그런 ‘느긋함 보다는 점점 굳어져가는 ‘나만의 생각’에 집착하는 것을 느끼고 적지 않게 실망을 하곤 한다.

왜 그럴까? 오히려 젊었을 때에 더 ‘관용과 용서’가 많았던 것을 기억한다. 나만의 ‘사상과 주관’이 나이에 비례해서 뚜렷해져서 그런지 모른다. 그러니까, 더 타협을 하기가 힘든 것이다. 나의 생각이 ‘절대적’으로 옳다고 생각해서 그럴지도.. 이 얼마나 무서운 함정인가? 이런 것에서 빠지지 않으려면 어떻게 노력을 해야 하는가? 개개인 마다 다를 것이고, 정답도 없을 것이다. 이래서 인생은 재미가 있는지도 모른다.

미국에서 가장 추악한 정치인, 딕 체이니
미국에서 가장 추악한 정치인, 딕 체이니

CheneyPowell, 정말로 극과 극의 인상을 주는 이름들이다. 그러니까 전자는 Dick Cheney, 부시, 미국을 말아먹은 인간의 꼬붕 격 이었고, Colin Powell은 같은 꼬붕 자리에 있었지만 정 반대로 그 나름대로 의 피해를 가급적 줄이려고 노력을 하려고 한 인물이다. 결과적으로 부시를 전쟁으로 몰아넣게 한 장본인들 중의 오야붕 격이 바로 Cheney인데, 이 인물은 알면 알수록 ‘무섭게’ 느껴지는 ‘전쟁 광’ 에 가깝다. 마키아벨리를 뺨치는 ‘수단과 방법에 문제 없는’ 그런 전근대적 과격주의 신봉자이기도 하다. 공공연히 고문 사용을 지지하는 만용도 가졌고,심지어 ‘전범’으로 국제재판소에 기소되는 것을 우려할 정도다.

부시의 ‘비극’은 바로 그 같은 인물을 직속 ‘상관’으로 기용을 했다는 실수였다. 같은 체제 내에서 그것을 적극적으로 직책을 걸고 제동을 걸려던 사람이 Colin Powell이다. 그 두 사람이 지금 완전히 전투태세를 갖추고 제 2의 대결을 할 모양이다. ‘철면피 같은 더러운 늙은 여우’ 같은 Cheney, 그런대로 명분과 이름을 살리려고 자서전을 발행할 모양인데, 완전히 자기만의 역사를 다시 쓴 모양인데, 그것이 그렇게 쉬울까? 지금 미국은 이런 ‘과격파’가 아니면 행세를 못할 지경에 이르고 있고, 이것은 정말 우려를 금할 수 없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