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동방송 고은정 追憶, 평화신문 有感

극동방송, 평화신문.. 이 두 잘 알려진 mass media company 들, 하나는 천주교 print media인 평화신문, 그리고 개신교 쪽의 극동방송은 broadcast media service하는데 공통점이 있다면 둘 다  내가 현재 그들의 service를 받고 있다는 사실이다. 솔직히 말해서 나는 이 ‘대한민국 산 産’의 매체들은 얼마 전까지 관심도 없었을 뿐만 아니라, 직접 ‘정기적’으로 접해본 적이 한번도 없었다. 평화신문은 도라빌 순교자 성당 사무실에 archive해 놓은 것을 몇 번 훑어 본 적은 있었지만 그것이 전부였다. 그 당시의 인상은 이런 기사들로 ‘장사’가 되나.. 하는 유치한 생각 뿐이었다.

극동방송, 이것은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고 귀로 듣는 방송매체이고 이것도 그 동안은 ‘어디선가 들어본 이름’ 정도의 관심으로 살았다. 하기야 어디선가 들은 이야기로, 미국에 살던 어떤 유명한 한인 목사 (김장환 목사)가 대한민국으로 돌아가서 세운 개신교 선교 방송국이라는 것은 어렴풋한 기억으로 남아 있을 정도였다. 이것도 현재 자주는 아니지만 그런대로 정기적으로 듣는 입장이 되었다.

이 극동방송 (FEBC) 은 분명히 ‘대한민국 발 發 생방송’이고, free version TapinRadio  (Windows, Android client apps) 를 써서 인터넷 으로 real-time  생방송을 듣게 되었는데, 사실 처음 이 ‘생’방송을 들었을 때 나는 한 동안 느껴지는 격정, 감정을 억누르기가 힘들었다. Every hour on the hour, 3-2-1 count down beep!!, 오랜 전 고국의 방송들, 매 시간마다 삡삡삡..삡~ 하며 정시를 알려주던 것, 거의 반세기 동안 못 들었던 것. 그 오랜 세월 동안에도 이 service는 안 변했구나 하는 감회가 일었다.

이 극동방송 format도 고향의 맛을 느끼게 하는 것들, 한마디로 그 옛날 ‘라디오’만 가지고 있는 ‘듣는 즐거움’에 맞게 그렇게 아기자기하게 program들을 꾸며 놓은 것도 이 방송에서 느끼게 하는 ‘오래~ 전’ 라디오에 대한 향수를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단 한가지 신경을 써야 할 것은 이 방송은 역시 ‘개신교, 마틴 루터’의 대변인 이라는 사실, 하지만 알고 보면 큰 문제는 없었다. 역사적 사실을 알고 들으면 전혀 문제가 없는 것이다. 나와는 의견이 다른 형제들이라는 사실만 알면 되는 것이다.

거기다가 이곳에서 ‘고은정’ 성우를 다시 ‘만나게’ 되었다. 1950년대 KBS ‘라디오 전성시대’부터 우리의 친근한 국민 성우로 활약했던 고은정, 그 고은정이 이 방송에 ‘매일’ 나오시는 것이 아닌가? 라디오 시대의 personality들은 목소리만 들었지 ‘모습’을 보기가 하늘의 별 따기여서 어딘가 신비감까지 들었던 분들이고 특히 이 고은정 씨는 더욱 그랬다. 비록 옛날의 낭랑한 목소리는 아니더라도 목소리의 기억은 아직도 뚜렷하다. 1950년대 KBS시절 참 ‘기라성’같은 성우들이 많았다. 나는 비록 코흘리개 애청자였지만 그들의 목소리 느낌 들 아직도 기억한다. 

이 두 그리스도교 매체들과 접하기 시작한 것도 이제는 어느덧 1년이 넘어가고 있고 그 동안 느꼈던 것을 정리할 때가 되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평화신문… 나는 이 신문과 분명히 문제가 있다는 생각이 들고, 결론은 곧 다가오는 구독갱신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이다. 한마디로 구독료에 상응하는 service를 나는 거의 못 받고 있고, 반대로 나의 신경을 건드리는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님을 인정하고 싶은 것이다. 미주 판이라는 added service가 있는가.. 나는 그렇게 많지 않다고 생각한다. 타성에 젖은 듯한 편집태도도 그렇다. 예를 들어서 일년이 가깝도록 ‘매번 등장하는 백영희 칼럼’, 도대체 이 ‘백’여인이란 사람은 누구인가? 그분의 신변잡기까지는 그렇다 치고,  누구의 신변잡기란 말인가.. 왜 이 사람의 잡기를 읽어야 하는지.. 한 번도 이 분에 대한 1줄의 배경설명이 없기에.. 물론 googling을 하면 무언가를 알 수는 있겠지만.. 솔직히 그런 정도의 관심까지 두기가 싫은 것이다. 이것은 편집태도의 타성에 의한 나태에 가까운 것 아닐까?

그것만이 아니다. 이 신문을 구독하게 된 과정을 기억하면 ‘레지오 미친년 난동사건‘을 안 떠올릴 수가 없다. 그것만으로 평화신문이 부정적으로 보이는 것은 아니지만 감정의 동물인 나로써는 ‘아직도’ 어쩔 수가 없다. 이 신문이 배달되는 그 순간 나는 그 ‘미친년, 살모사 뱀의 얼굴’이 떠오르니 어쩔 것인가? 이래 저래 나와 평화신문은 ‘악연’에 가깝다는 결론이고.. 그 결과는 뻔한 것이 아닌가?

 

Morning After..구역미사, 신부, 술, 정치

정말 오랜만에 머리가 띵~ 한 하루, 그것도 멀쩡하게 아침 미사까지 빼먹고 보내는 하루가 되었다. 사순절 시작이 2주 앞으로 다가온,  2월첫 날 아침부터 이것은 절대로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원인은 어제 저녁에 있었던 마리에타 사랑반 구역미사 후 회식에서 아차~ 하고 ‘조금’ 마셨던 술의 여파 hangover 때문이었다. 그렇게 취한 것은 아니었지만 내가 drive를 연숙에게 맡긴 것을 보면, 그리고 조금은 꼬부라진 혀끝의 감각을 기억하면 분명히 조금 over한 것을 인정해야 할 듯하다.

이날은 사실 구역미사엘 안 가려고 미리 마음을 먹고 있었는데, 세상사가 항상 나의 뜻대로 되는 것이 아님을 어찌 모르랴.. 가기 싫었던 이유는 물론 여기서 밝힐 수 없는 것이지만 그런 이유는 궁극적으로 올바른 변명이 될 수 없다는 사실을 나는 마음 속 깊이 알고 있었기에 이런 ‘끌려가는 듯한’ 사태가 나온 것인지도 모른다.

미사는 미사지만 본당신부님의 일반적인 사목적 자세는 한마디로 well-rounded한 것, 그 복잡한 사목방침을 항상 ‘중용’의 자세로, 타협점을 구하는, 공정 중간적 입장, 모든 사람을 편견 없이 보려는 자세, 알맞은 강도의 강론, 겸손한 demeanor.. 나에게는 absolutely positively NO problem.. 아니, 좋아하는 쪽이다. 하지만 세상사에 downside, dark-side가 없을 수는 없다. 그것을 어떻게 극복하는가 하는 것이 사목성패의 관건이다.

이날  pikapika 한 술들 (jumbo-size whisky, upscale wine & beer), 이 앞에서 우리 신부님도 술을 즐기는 쪽이라는 것을 알았다. 하기야 이것은 news가 아니고 이미 누군가로부터 들었던 것이기도 하지만 이날 그것을 조금은 직접 확인한 셈이다. 담배를 ‘즐기는’ 것은 만천하가 하는 사실이지만 가끔 밖에서 ‘쓸쓸히’ 끽연을 하시는 것을 보고 나는 동참한다는 이유로 ‘얻어’ 피우기도 했다. 신부님들의 일상 ‘기호’ 생활도 사실 일반인들이나 큰 차이가 없는 모양이지만 그 유혹은 더 심할 것 같아 보여서 조금은 공감을 하기도 한다.

남자들 모여서 ‘정치, 종교’ 이야기는 가급적 삼가 하라는 불문율이 깨어진 채 이날은 마구잡이로 사정없이 종교+정치 이야기가 난무했는데… 전에도 짐작은 하고 있었지만 우리 신부님은 ‘진보성향’이 농후함을 알게 되었다. 진보+보수의 갈등, 신세대+구세대의 갈등, 특히 고향 대한민국의 현 실정을 배경으로 그것은 잘못하면 화약고 앞에서 담배를 피우는 것과 비슷한 것이다. 교회나 사제들이 얼마나 정치에 관심을 두느냐 하는 것은 김수환 추기경 시절에 익힐 들어서 알기에 함부로 ‘심판, 단죄’를 할 수 없는 것이다.

나이 70으로 진입하는 마당에, 분명히 나는 보수중의 보수 세대에 속하지만 나 자신은 거의 ‘중립, 관망’하는 입장이기에 신부님의 ‘고견’을 많이 듣고 싶었다. 문제는 ‘역사적, 사실적’인 것과 ‘주관적, 편협적’인 주장과 의견이 완전히 ‘짬뽕’이 되어서 왜 그런 논쟁을 해야 하는지 모르는 지경이 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암만 관망, 중립을 지켜도 지켜야 될 마지노 선 (Ligne Maginot)Maginot Line 은 분명이 존재한다. ‘김씨 왕조’를 두둔하거나 비방하지 않는 것, 바로 그것이 나의 마지노 선이다. 그것을 무시하거나 넘기면 그때는 진보, 보수가 없다. 그것은 역사왜곡, 양심 포기에 가까운 것이기 때문이다. 6.25 전범 김일성 세습정권은 ‘이유여하를 막론하고’ 지구상에서 사라져야 한다.

이날 신부님 발언 중에는 나의 간담을 조금 써늘하게 하는 것이 있었다. ‘남북통일을 반대하는 음모세력’ 그것이 미국이라는 간접적인 논리였다. 몇 마디로 결론을 내릴 수는 없지만 귀를 의심할 정도로 나는 놀랐다. 어떻게 미국 ‘제국주의적 음모론’을 믿는 것일까? 정구사(정의구현사제협의회?) 정당성을 예전부터 주장하셨던 신부님의 입장을 나는 그저 benefit of doubt 으로 넘어가곤 했지만.. 이런 신부단, 교회의 입장 때문에 극우세력, 극보수 세력이 열을 올리는지 모른다. 수십 년 동안 실패한 햇볕인가 무시긴가 하는 것으로 장난감 폭탄으로 시작해서 이제는 미국 하와이가 비상사태에 돌입했던 희극을 생각하면.. 도대체 어떤 바보들이 그런 애 같은 생각을 했던 것인지… 이런 저런 혼란했던 머리 속에 whisky, wine, beer가 모조리 섞였던 나의 몸은 완전히 쳐지고… 결국은 오늘을 small holiday로 보낸 것, 술이 웬~수다…

 

Get Responsive!

Now, fully responsive serony.com!

Responsive,  that is responsive web design, RWD, 약 3주 전부터 나의  personal blog site, serony.comWordPress theme이 비로소 responsive mode로 upgrade가 되었다. Google 에 의한 responsive mode test를 pass 해서, 확실히 ‘공식적’으로 responsive website로 인정을 받게 된 것이다. 이제부터는 ‘움직이며’ smartphone의 tiny screen으로 나의 blog을 보는 것이 전보다 훨씬 편해진 것이 사실이라 분명히 good news 로 간주되는 것이지만 나 개인적으로는 그렇게 good 인 것만은 아니다.

몇 년 전인지 기억은 확실치 않지만 어느 big, major website 가 하루 아침에 정말 보기 싫은 모습으로 변한 것을 보았다. 당시에 나는 너무도 놀라서 과장된 표현으로 ugliest website ever.. 정도의 comment를 했던 기억이다. 그 website의 front page는 거의 빈 공간 whitespace 투성이로 보였고, 아무래도 커다란 desktop 에서는 너무나 초라해 보였다.

하지만 나의 angry, nasty comment는 완전한 실수였다. 그 이후로 다른 website들도 거의 같은 모습으로 바뀌기 시작했던 것이다. 왜 그렇게 바뀌었을까? 해답은 역시… 역시.. 바로 ‘stupid’ Smartphone 에 있었다. 아마도 그 website의 viewer들의 대부분이 mobile, smartphone 을 쓰는 사람들이어서 그랬을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그들은 Internet web traffic의 50%를 넘기 시작한 smartphone 의 tiny form factor 를 겨냥한 것이었다.

이런 annoying trend를 보면서 역시 또 세월의 횡포 tyranny 를 느낀다. 진보 progress 인가 진화 evolution 인가, 아니면 나에게는 annoyance에 불과한 것인가. 특히 (digital) technology를 보면 세월의 변화를 안 느낄 수가 없다. 1970년대에 시작된 나(우리)의 (digital) computer와의 love affair가  2010년 대에는 어떤 모습인가? 이 ‘괴물 Smartphone’은 (내가 제일 싫어하는 인간 Steve Jobs의 toy) 사실 나에게는 그렇게 중요한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이런 ‘차별대우’를 받게 되었으니.. 점점 떨어지는 시력으로 점점 작아지는 computer screen을 보는 것.. 정말 한마디로 더러운 느낌이다.

 

Google wants mobile-friendly looks!

 

갑자기 second class citizen으로 변한 (big, fat) desktop user은 앞으로 이렇게 ‘휑~하게 비어버린’ screen을 보아야 하나 걱정을 했지만 시간이 지나며 조금씩 사정이 나아지긴 했다. Truly responsive web이 개발되어가면서 한마디로 smart & responsive website들이 등장, 큰 desktop screen 에서는 옛날 같은 rich contents가 다 보이고 그 같은 website가 smartphone 에서도 편하게 보일 수 있게 된 것이다.

하지만 나의 website를 어떻게 responsive하게 바꿀 수 있을까.. 처음에는 난감했지만 하늘이 도와서 내가 쓰고 있던 WordPress theme template designer 였던 Artisteer가 upgrade되면서 이 새로운 responsive mode를 쉽게 support할 수 있게 되었고 이번에 나는 기존의 theme template를 이것으로 쉽게 upgrade할 수 있게 되었다.

 

My favorite WORDPRESS template WISIWYG designer Artisteer

 

Upgrade가 된 후 처음으로 작고 작은 Smartphone form factor에서 나의 website가 비쳤을 때, 솔직히 안도의 한숨이 나왔다. 혹시 누구라도 Smartphone으로 나의 site를 googling했을 때 큰 어려움 없이 볼 수 있으리라 생각하니 나의 인간 수명이 몇 년은 연장된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Strangers in the Night, 38th..

Thursday Friends: 처음 만난 지 4 반세기 (quarter century) 가 훨씬 넘는 오랜 세월이 지난 후, ‘실질적’으로 다시 한자리에 모인 나이 지긋한 3명의 남자들,  그것을 기념하는 의미에서 매달 마지막 목요일 ‘밤’에 갖는 ‘이상한’ 모임, 이름하여 ‘목요일 밤 친구들’, 하지만 이름은 짧게, 목요회가 되었다. 작년 9월 마지막 목요일에 강렬한 향수를 동반한 그리움을 느끼며 3명이 처음으로 함께 모였고, 그 이후는 짧은 역사가 되었고 지금도 매달마다 작은 역사의 장을 만들어 가고 있다.

만남을 거듭하면서 조금씩, 하나 둘씩 서로에 대한 느낌들이 쌓이고 어렴풋이  pattern 을 만들어 가고 있는데 one year anniversary가 되는 올해 9월의 모임이 되면 그 pattern이란 것이 어떤 것일지 미리 궁금하기도 하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그것은 건강한 것, 희망적인 것이라는 사실이다.

그 오랜 세월을 같은 지역에서 살았지만 알고 보면 우리 세 명의 ‘아빠 남자’들은 꽤 다른 인생을 살았던 듯 싶다. 서서히 나누기 시작한 옛 이야기를 통해서도 그렇고, 아주 가끔씩 간접적으로 들었던 것들도 그런 짐작을 하게 한다. 한가지 분명한 것은, 이 두 old friends들과 나의 입장이 완전히 바뀌었다는 사실이다. 지나간 오랜 세월, 이들이 냉담을 고수했던 나를 성당에서 찾았지만 지금은 반대로 내가 그들을 찾고 있다는 것, 참 긴 세월의 irony가 아닐까?  우리들의 등대였던 그곳, 성당 공동체가 어떻게 해서 나에게는 다가왔고 그들로부터는 떠난 것인지 나는 더 알고 싶기도 하고, 가급적 남은 여생에서 그들과 함께 머무는 공동체를 보고 싶기도 한 것이다.

지난 달 모임과 이번의 모임을 통해서 나는 조금 색다른 각도의 추억을 되살리기도 했다. 세 명의 남자들이 늦은 저녁식사를 끝내고, 스산하게 깜깜한 밤중에 coffee shop를 찾으러 old Korea Town (at Buford Hwy)을 걸으며.. 기억의 심연으로부터 흘러나오는 그 무엇이 있었다. 70년대 초 친구들과 종로, 명동 거리를 걷던 추억이 아니었을까?  그러니까… 그 이후 수십 년(아니, 거의 반세기?) 동안 이렇게 ‘남자들끼리’ 밤 거리를 배회’했던 기억이 거의 없는 것과 갑자기 내가 이 ‘외딴 섬, 미국 내의 stranger’란 느낌과 Frank Sinatra 의 1966년 classic oldie, Strangers in the Night의 은은한 crooning 추억, 또한 남자들만이 가질 수 있는 ‘형제애, fraternity’를 너무나 오랜 만에 느껴보기도 했다. 이런 저런 색다른 이유로 나는 우리 목요회가 ‘장수 長壽’하기를 은근히 바라고 있다.

 

Strangers in the Night – Frank Sinatra – 1966  

 

¶  Happy Anniversary, 38th!  결혼 38주년, ‘삼십 팔, thirty eight’ 이란 숫자가 주는 느낌은 거의 없지만 그래도 와~ 축하한다.. 축하해.. 하는 자축의 느낌은 어느 해 보다 강렬했다. 우리 세대에는 그렇게 이혼이 흔치는 않았지만 그래도 38년 ‘무사히’ 가정을 지켰다는 것은 솔직히 자랑스럽다. 이혼이나 사별 같은 것, 가정적으로 얼마나 자녀들에 큰 상처를 준다는 것은 그렇게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 아니다.

1980년 1월 25일에 시작된 결혼의 세월들, ‘남녀의 결혼’이란 말에 더 심각한 의미가 실린 초 현대의 해괴한 초 超 세속사회의 격동 속에 오늘을 38년의 모습들을 보게 되었다. 자연법을 거스르지 않고 두 생명이 하느님의 빛을 볼 수 있었다. 하늘을 우러러 그렇게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았다고 조심스럽게 말하며 간단한 Lemongrass 외식을 즐겼던 날이 되었다. 

 

September Morn – Neil Diamond – 1980  

 

¶  Serpents:  오늘 우리는 집 근처에 있는 미국 본당  Holy Family church대신에 한국 본당, 도라빌 순교자 성당의 정오미사엘 갔다. 이유는 그곳에서 지난 12월에 선종하신 어떤 자매님의 50일재 추모 연도 煉禱 가 있었기 때문이다. 장례미사와 연도가 함께 있는 날은 요일에 상관없이 참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지만 이렇게 금요일의 추모연도에만 참석하는 것은 예외에 속한다. 지나간 12월 달에 있었던 장례미사, 연도에 ‘snow day 날씨 관계’ 로 불참했었기에 이번에는 특별히 신경을 쓴 셈이다. 

연도가 끝나고 단체 식사를 하는 곳에서 보는 것도 진절머리가 나는 2017년  ‘레지오 난동사건 장본인’ 그 미친년의 얼굴을 목격하게 되었다. 아차.. 했지만 늦었다. 그 인간을 상상하거나 보기만 해도 나는 밥맛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심지어는 한 동안 소화까지 안 되는 정도다. 아직도 아직도 나는 꿈 속에서 ‘죽이고 싶다’라고 외치고 있었고, 그 인간의 얼굴을 보는 순간,  나는 ‘아하… 그 얼굴이 사람들이 말하던 serpent의 모습이었구나’ 하는 생각이 스쳤다. 작년에 레지오에서 난동을 일으켰던  두 ( 왕마귀 포함) 미친 년들의 얼굴이 그러고 보니 완전한 (성모님의 발꿈치에 눌린듯한) serpent의 모습들이었다. 어쩌면 이럴 수가… 나는 입을 다물지 못한다. 완전한 뱀(그것도 독사들)의 얼굴이 아닌가? 1978년 supernatural horror  movie sequel, The Omen II 에서 본 (Damien) serpents의 모습이었다. 어떻게 이런 일이…  잊고 싶다, 잊고 싶다, 영원히 잊고 싶은..

 

Big Seven-O!

2018년 1월 21일, 오늘은 나의 나이가 정확하게 70세가 되는 날이다. 우리 부모 세대에만 해도 환갑, 60세의 의미가 훨씬 컸겠지만 그 동안 세상이 많이 바뀌어 칠순이란 말에 더욱 무게가 실리게 되었다. 그러니까 한 세대를 거치며 ‘한국산 남자’의 평균수명이 10년이나 길어졌다는 뜻인지.. 이유나 생명과학 같은 것 상관없다. 그저 오늘로써 나는 현세와 ,이 지구상에서 70년 동안 숨을 쉬고 있었다는 것만 알면 된다.

‘숫자 놀음’을 떠나서, 70년이란 세월 동안 나는 어떻게 살았던가.. regret, 스치는 생각은 과연 무엇인가.. old..  올해는 다른 해에 비해서 유난하게 anxious 함을 느끼는 것, 부정할 수 없다. 그것은 사실이다. 비록, anxious하긴 하지만 꼭 ‘부정적’인 것 만은 아니다. 무언가 settle되지 않은 듯한 뒤섞임, 꼬리를 물고 묻고 묻지만 결국은 이것, 내 삶의 의미가 있다면 그것은 과연 무엇인가 라는 것에 귀착된다.

사람이 (physical) body와 soul 을 모두 가진 존재라면 (which I truly believe), 그 중에 나의 body는 대체로 건강, 건전한 편이다. 나를 아는 주위 사람들의 말에 따르면 그렇다는 얘기지만 나 자신도 70의 나이에 이 정도면 평균 이상은 될 것이라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나의 soul 은 어떤 상태인가? 그것이 나의 여생에서 더 ‘건강’하게 해야 할 제일 큰 과제라고 나는 믿는다.

약간 down된 기분으로 맞을 듯했던 나의 70세 생일은 저녁때부터 조금씩 up up & away.. 로 바뀌었는데 이유는 간단하다. 사랑하는 작은 가족들이 ‘모두’ 모였기 때문이다. 작년에 이어서 올해도 나라니 boy friend (Luke)까지 함께 작년 Father’s Day 에 찾았던 Marietta Square에 있는 Stockyard (BURGERS & BONES) 에서 beer sampler와 함께 나의 favorite인 gourmet burger,  “JANES’ NOT SO PLAIN” 로 ‘포식’을 하였다. 아무리 sampler beer 이지만 그 양도 만만치 않았고 burger 또한 작은 size가 아니어서 정말 오랜만에 배부른 저녁을 먹은 셈이다.

 

My favorite burger, Janes Not So Plain

Beer Sampler

 

모두들 집에 다시 모여서 candle blowing, unwrapping etc etc.. 솔직히 오랜 세월 동안 ‘받아온’ 이런 ‘사랑의 표현’들, 조금은 피곤할 때도 많았고 지금도 솔직히 그렇다. 그저 이런 것들 빨리 끝났으면 좋겠다는 그런 것, 남들(이런 상황에 처한)은 그렇게 즐겁기만 한 모양인데 어째서 나는 좀 다른가? 이것은 나에게도, 신비에 속한, 수수께끼다 (나도 모르니까..). 이번에 내가 받은 선물 중에는 흥미로운 것이 하나 있었다. 내가 태어나던 날 서울 하늘의 하늘, 별자리 picture frame이 그것이다. 누구의 idea인지 참 재미있지 않은가? 지난 1월 5일 새로니 가 받았던 것도 이런 것이었다. 그 때는 Columbus, Ohio 에서 본 별자리였다. 작은 딸 나라니는 이런 재미있는 gifting idea를 가지고 있다.

 

Night Sky View on January 21st, 1948 over Seoul, Korea

 

올해 들어서 나의 동년배들, 동기들, 띠 동갑들.. 하나 둘씩 모두 70고개를 넘으며 70대를 살아갈 것이고 80을 향한 고난의 행군을 시작할 것이다. 우리를 낳아준 조국 대한민국 건국 당시에 태어나 ‘재수 좋게’ 6.25 참상의 기억을 갖지는 못했지만.. 대신 그 여파로 ‘찢어지게 가난한’ 1950~1960년대 시절을 고스란히 겪었고, 이후 우리들은 희망의 등대였던 ‘해외로 해외로’ 하나 둘씩 떠났고, 그곳에 남은 친구들 초인적인 노력으로 세계 10대 경제강국으로 가는 초석을 만들어 놓았다. 아직도 ‘빨갱이‘란 말만 들어도 긴장하는 우리 세대들,  이제는 조금 relax하면 어떨까? 우리에게 익숙하던 ‘흑백논리 세계’는 많이 회색논리의 세계로 변하고 있는 것, 어쩔 수 없이 인정해야 할 것이 아닌가?  아마도 그것이 높은 곳의 뜻일 것이라 나는 믿는다.

내가 언제까지 살 것인가.. 우리 둘은 심심하면 ‘누가 먼저 죽을까’ 하는 웃기지도 않는 화제를 즐긴다. 남자가 홀로 남는 것, 그것은 한마디로 horror scenario라는 것, 통상적인 상식에 속하지만 솔직히 그것을 누가 알겠는가? 누가 먼저 죽을지.. 언제 죽을지.. 암만 science어쩌구 저쩌구 해도, 그것만은 모를 것이다. 그런 ‘지식’은 하느님의 영역이다. 하지만 ‘그날’ 까지는 최선을 다해서 ‘하느님이 보시기에’ 좋은 그런 생을 살고 싶다. 문제는, 어떻게, 무엇을 하며 남은 시간을 보내느냐 하는 것이다. 70고개가 가까워 오면서 수시로 이런 물음에 대한 묵상, 기도를 하지만 ‘아직도’ 나는 답을 듣지 못했다. 하지만 아직도 참을성 있게 그 답을 기다리고 있다.

 

다롱아, 다롱아..

우리 집 back porch에서 하루 두 끼를 먹고 backyard를 playground 삼아 평화스럽게 살고 있었던 feral ‘mother’ cat  다롱이가 하루 아침에 사라진 지 거의 2주 동안 ‘기척’이 느껴지질 않는다. 우리의 직감에 다롱이는 ‘완전히’ 사라진 것 같다.  고양이 behavior에 관해서 ‘pro’ 를 자처하는 작은 딸, 나라니 말에 의하면, 나중에 돌아올 가능성이 없지 않다고 하지만 우리는 일단 포기한 상태다.

feral ‘backyard’ mother cat, 다롱이

 

아침 저녁 거의 정확한 시간에 배고프다고 요란하게 야~옹 거리고, 우리가 backyard에 나가 있으면 어디에 있던 간에 달려오던 다롱이가 없어진 뒤뜰은 며칠 동안 우리를 초조하게 했다. 무엇인가 이상한 것이다.  하지만 다롱이는 역시 feral cat이기에 한 번도 안아 주거나 쓰다듬어 줄 수는 없었다. 그렇게 사랑스러운 눈으로 우리를 향해서 달려 와도 역시 wild cat 이기에 사람을 경계하는 자기 방어 본능은 어쩔 수가 없었기에 우리도 아쉽지만 이해하고 지냈다.

지난 해 2017년 우리에게 year of cat를 만들어준 것이 바로 다롱이였다. 1살이 갓 넘었을 때 kitten 8마리를 우리 backyard에 낳은 것이다. 우여곡절 끝에 결국 우리는 그 8 마리를 모두 손으로 키웠고 (우유를 먹이며) 모두 adopt를 시키는 쾌거를 이뤘다. 엄마였던 다롱이도 ‘불임수술’까지 시켜 주어서 다시는 ‘불필요한 kitten’을 낳는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 주었다. 2017년 거의 반년을 우리에게 kitten story를 선사해 준 ‘다롱이’… 희망은, 우리 집 근처 동네의 어떤 마음 좋은 노부부의 집 마당에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아서 편안하게 살리라는… 상상 뿐이다. 그러면 언젠가 다시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희망이…

월동준비를 갖추었던 다롱이의 backyard shelter, 이제는…

 

凍土의 아침, 2nd Snow Day

Frozen land, Saybrook court

 

아침 일찍 일어나 보니.. 어두운 집 주변이 비교적 환하게 느껴진다. 잠결 속에서도 어제부터 예보된 대로 집 주변이 모두 눈으로 하얗게 변해 있었다. 일기예보의 timing은 거의 정확한 듯 보인다. 늦은 저녁에 차가운 비로 시작된 것이 시간이 가면서 눈으로 변했지만 그것이 진짜 news는 아니었다. 바로 wind chill 화씨 제로.. 기온이 수십 도 가 떨어지면서 불어오는 바람..

아침에 Tobey 를 밖으로 잠깐 내 보냈더니 pee pee 만 잠깐하고 곧바로 들어온다. 시베리아를 연상시키는, 햇빛은 찬란한.. 땅을 보니 이것이 바로 어떤 시인이 말했던, 凍土란 느낌이 들었다. 이런 정도면 오늘은 100% hunker-down day 일 것이다. 왜냐하면 언덕 길이 완전히 빙판이기 때문에 drive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듯 보였기 때문이다.

오늘 밤에 이 빙판이 해결되지 않으면 내일 아침이 어떻게 될지 궁금하다. 결국 오늘은.. 올 겨울 들어 2nd snow day가 된 셈이다.  비교적 따뜻하게 무장한 나의 보금자리에서 coffee를 마시며 relax하면 큰 문제가 없겠지만… 직업상, 사정상 꼭 나가야 하는 사람들을 생각하면 그렇게 relax할 것 만은 아닐지 모른다.

 

Nostalgic, ramen Sapporo Ichiban

라면, ramen, 삼양라면1.. 갑자기 그렇게 흔하고 익숙한 단어 ‘라면’이란 말을 생각한다. 라면이란 무엇인가? 내가, 우리가 알고 있는 라면은 ‘역사적’으로 분명히 일본아이들의 ‘발명품’이 아니었을까 생각된다. 이렇게 라면이란 말과 역사를 생각하게 된 것은, 오늘 도라빌 순교자 성당 화요일 routine (Legion of Mary & Tuesday mass)을 마치고 들렀던 Super Hmart 에서 놀랍게도 잊고 살았던 라면을 찾았기 때문이었다.

수십 년 전인가.. 거의 잊고 살았던 그 ‘눈익은’ 포장 design, 아마도 그 옛날의 그것과 같은 package의 모습이었다. Sapporo Ichiban! 삿포로에서 제일 맛있는 라면이라는 뜻인가.

 

 

이 추억의 라면을 며칠 전부터 생각했던 것은 연숙의 입맛 문제가 아니었을까? 요새 부쩍 피곤, 어지러움, 불면 등으로 stress를 받는 듯 하더니 불현듯 ‘맑고 simple한  맛의 라면’ 을 운운한다. 그 말을 듣고 보니 나도 조금은 구미가 당기는 것을 느꼈다.

우리가 ‘통상적’으로 가끔 찾는 라면은 거의 ‘너구리‘ 라는 해괴한 이름의 라면인데 이것의 특이한 장점은… 그렇게 오랜 세월 동안 그 맛과 질이 거의 변함이 없다는 ‘경이적’인 사실이다. 그러니까… 가끔 ‘특이한 이름’의 라면 [종류가 수십 개가 되는..] 을 찾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우리는 ‘너구리 fan’이었던 것이다. 이 라면은 특유한 해물 맛은 좋은데, 너무나 heavy한 느낌의 맛.. 그것이 문제라면 문제다.  이 너구리 라면에 대한 뒷얘기는 언젠가 youtube에서 보았던 ‘미역, 다시마’에 의한 너구리 라면의 비밀을 기억하기에 더욱 그 brand 를 믿게 되었다.

하지만 오늘 운 좋게 찾은2 삿포로 이치반(一番), 집에 와서 부리나케 2 cup의 물에, 3분 동안 끓여서 먹어보니.. 와~~ 그 특유의 simple, clear한 맛이 추억에 남은 100% 그대로였다! 그리고 생각한다.. 이 라면은 우리에게는 특별한 추억과 의미가 있는 것이다. 나에게는 40여 년, 연숙에게는 35년 전부터 시작된 이 맛의 추억인데.. 그 당시 미국에는 ‘국산’ 라면을 찾을 수도 없었지만 그것을 구한다 해도 그것과 이 삿포로 이찌방의 맛은 하늘과 땅의 차이, 흡사 양담배와 국산담배 질의 차이라고나 할까.

총각시절, 특히 학교, 특히 Ohio State 에 다닐 때 나는 Panasonic rice cooker에 이것을 끓여서3 먹는 것이 일용식일 때가 많았다. 양식에 큰 문제는 없었지만 매일 그것을 먹거나 McDonalds‘ 같은 fast food를 먹던 시절 이 simple, clear한 맛은 글자 그대로 ‘천국’같은 느낌을 주었다. 그러다가 결혼 후에도 우리는 이 라면을 ‘별식’으로 참 자주 즐겼다. 그 당시만 해도 ‘국산라면’은 거의 없었던 시절이었지만 이 라면은 쉽게 찾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 이후는 역사가 되었지만, homemade 음식에 길들여져서 라면과는 거리가 생겼고, 근래에는 폭포처럼 쏟아져 들어오는 ‘국산 라면’들, 어쩌면 그렇게도 specialized가 되었는지, 솔직히 말해서 자신을 갖고 고를 수가 없게 되었다. 요새는 아주 가~끔 너구리 라면을 ‘별식’으로 즐기게 되었는데… 어떻게 이 classic of classic ramen이 우리에게 다가왔는지.. nostalgia가 깊게 배어 나오는 이 맛… 즐겁고 행복하기만 하다.

 

  1. 1962~3년 경 고국에서 처음 먹었던
  2. small package만 있고 box 포장은 없다. Hmart website에도 이것은 없었다. 그러니까.. 운 좋게 잠깐 동안만 파는 듯 하다.
  3. rick cooker가 perfect ramen cooker라는 사실, 아는 사람 그렇게 많지 않을 듯..

Obsess Not..

“… we are called to announce the Good News to everyone, but not everyone will listen. Once we’ve done our work, we should move on and not obsess about those who won’t listen. Why do some respond and some don’t? We don’t know, but that’s ultimately up to God.”Bishop Barron

 

오늘의 복음말씀에 대한 Bishop Barron의 짧은 강론 중에 나오는 ‘결론’이다. 복음, 기쁜 소식, 즉 ‘인류에게는 희망이 있다’ 라는 이 소식은 물론 부활 예수님의 message지만, 결국 이런 ‘말’을 무시하거나, 거부하는 사람들을 어떻게 ‘설복’을 하는가? 결국 이것은 개개인의 선택과 운명에 달린 것이고 너무 이 안타까운 사실에 얽매이지 말고 앞으로 나아가자는 요지.. 참 간단한 결론이지만 어떤 시점에서 이들에 대한 ‘설복, 전교’을 중단해야 하는가, 그것이 문제일 것이다.

나 자신이 ‘저쪽에 속했던’ 부류였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해서 (불과 몇 년)  그 당시의 나 자신을 생각해도 이 어려운 ‘선교’문제는 너무나 실감나게 느껴진다. 왜 그들이 그렇게 ‘초월적 이성 transcendental reasoning’을 무시하는 것 (stuffed self) 일까?  하지만 Barron 주교의 ‘not obsess’란 말씀, 결국 그들을 움직이게 할 수 있는 능력은 하느님만이 알 수 있는 영역임을 인정하고, 너무 완고한 부류에 실망, 집착하지 말고, 다음 목표로 향하는 것이 현명할 듯 하다.

Obsess Not… 이 말을 묵상해본다. 언젠가 Francis교황의 말씀을 떠올린다. 낙태반대운동을 하는 사람들을 겨냥해서 한마디로 obsess not이란 뜻을 풍기는 말씀을 하셨는데, 그의 진의는 무엇이었을까? 암만 동기가 좋고 고귀한 목표를 향한다고 해도 ‘정도껏 하라’는 말이었다고 나는 해석했다. 사실 그들 (소위 말하는 pro life group)의 열의는 대단해서 머리가 숙여질 정도지만 어떨 때는 너무나 격렬하고 전투적이어서 동기는 좋지만 결과가 어떨까 하는 의구심이 들기도 했다. 이 세상에 풀어가야 할 문제가 그것 뿐만 아닌데 너무나 그것에 빠져서 다른 문제들을 간과하지 말라는 것이 아마도 교황님의 뜻이었을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마찬 가지로 나는 다른 곳에서 obsess not 의 예를 본다. 바로 우리의 조국 ‘대한민국’의 정치적 극단적 양극화가 그것이다. 진보, 보수라는 이름은 오랜 세월 존재했지만 과연 요새 같을까? 더욱 슬프게 하는 사실은 이것이 세대적인 차이에서 더욱 극렬하게 보인다는 사실이다. 나도 한때 ‘꼰대 세대’를 그렇게 싫어 했지만 결국은 그 세대의 일원이 되었기에 더욱 놀라운 것이다. 왜 그렇게 늙으면 극단적 보수가 되느냐 말이다. 왜? 고정관념이 차곡차곡 쌓인 결과임은 알지만 왜 조금 더 균형 있는 생각을 못하는 것일까? 그러니까.. 극단을 피하란 말이다.

나도 6.25 사변으로 가정이 풍지박산, 애비 없는 후레자식으로 컸기에 김일성이라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날 판이지만, 그래도 정도 껏, obsess NOT이 아닌가? Get a life 란 말이 실감이 나도록 ‘하루 종일 YouTube를 보며’ 진보, 보수로 모든 것 편을 갈라 놓고 도매금으로 처리를 하니.. 세상이 그렇게 black & white가 아닌 것을 모르는가? 나의 주변에도 나이 비슷한 사람들 이 obsess not의 함정에 빠져 있는데 제일 놀라운 사실은 그들 자신들은 그것을 절대로 인정도 않는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obsession 아니 심지어 disorder라고 까지 할 정도인 것이다. YouTuberelated video함정에 빠진 것을 그들은 그렇게 모르는가?

 

Stupid! Freak Accident

한 마디로 stupid me… 100% 나의 실수로 나는 ‘아슬아슬한’ 사고를 새해 벽두에 맞았다. 사고니까 물론 예상치 못했던 것이지만 생각해 보니 한마디로 stupid 한 느낌만 든다. 결과적으로 ‘목숨과 상관 없는’ 상처를 입게 되었고 ‘하느님, 감사합니다’ 만 되풀이 하고 있었다.

새해 들어 강추위가 닥치면서 우리 집 (a.k.a this old house) 의 2-car garage door에 문제가 생겼다. 열릴 때 (그러니까, 문이 올라갈 때), 문이 너무 천천히 움직이다가 중간에서 stop해 버리는 ‘생전 처음 보는’ 광경이었다. 우선 생각에, ‘아하~ electric motor가 피곤하거나 죽어가고 있구나’ 하는 최악의 case였다. 이것 replace하려면 아마도 $300~$400  이상 들지 않을까? 30년도 넘은 이것, exact replacement는 없을 것이고 요새 나오는 ‘빗가 번쩍’한 garage door opener 은 우리 집의 style과는 안 맞겠고, 과분하다는 생각도 들고… 추운 날씨에 매번 손으로 이 무거운 door를 올리는 것, 상상만 해도 아찔한 모습이었다.

만약에 motor가 아니라면.. 100% kinematical/mechanical  일 것이다. 그러면.. 내가 손을 쓸 수도 있지 않을까? 부지런히 살펴보고 test해보고 공부해 보니.. 제일 유력한 용의범 culprit은 아마도 ‘피곤하게 축~  늘어진’ extension spring일 듯 보였다. 이것이 늘어지거나, 약해지면 motor가 암만 좋아도 그 무거운 문이 제대로 올라가지 않는다. 즉시 spring을 새 것으로 바꾸려는 작업에 들어갔는데… 오래 전에 한쪽 문은 내가 직접 spring을 갈았던 기억이 있지만 그 과정이 전혀 생각나지 않았다. 그러니까 거의 새로운 job을 하게 된 것이다.

 

You need a correct spring!

 

첫째 (작은) 실수는… garage door의 weight에 맞는 spring이 필요한데, 내가 산 것은 너무나 strong한 것이었다. 우리 집 garage door 의 무게는 대강 140 파운드(7′ 높이) 정도인 듯 한데 내가 산 spring은 180 파운드 급이었으니.. 정말 내가 몰라도 너무나 몰랐다. Amazon에서 산 이것은 return을 하기로 하고 부리나케 Home Depot에 가서 알맞은 것을 구해서 교체를 하는데.. 진짜 ‘대형’ 사고가 난 것이다.

나는 이 무시무시한 경고를 철저히 무시했다

한마디로 이번의 사고는 거의 치명적일 수도 있었다. 내가 ‘범’한 최대의 실수는… 교체 과정에서 그 무거운 garage door 를 screw-drive  gear에 engage (lock)을 하고 spring 빼 내어야 하는데 너무 춥고 바람이 불던 날씨라 정신이 없던 차에 그것을 잊고 말았던 것이다.

Spring을 빼 내는 순간 그 무거운 door가 서서히 나의 정면으로 굴러 떨어지며 .. step ladder에 올라서 있던 나는 너무 놀라서 떨어지는데.. worst thing to come! 나의 몸이 천천히 굴러 내려오는 garage door와 벽 사이에 얼굴 아래쪽(바로 나의 목!) 에 걸린 것이다. Spring이 빠져나간 door는 엄청 무거웠고 나는 ‘살려고’ 두 손으로 그것을 밀어내며 아래도 빠져 나오는데… 이것은 한 순간의 악몽이었다.

결국 나의 두 팔로 그 문을 밀쳐내었지만, 몸이 빠져 나와서 garage concrete 바닥에 왼쪽 어깨로 떨어지고 말았다. 어깨에 깊은 타박상은 입었지만 다행히 골격에는 문제가 없었다. 재수가 없었으면 아마도 어깨뼈를 다칠 수도 있었다. 다시 생각을 해 보니.. 내가 그 무거운 door를 두 팔로 밀어내지 못했으면.. 내 목 아래로 door가 밀었을 것이고, 그 다음은 상상하기도 싫었다.

 

 

결과적으로 신년 벽두에 ‘액땜’을 한 셈이지만 어떻게 그런 실수를 했는지…  평소에 weight lifting같은 muscle exercise를 안 했었으면 나는 ‘죽기보다’ 싫지만 Medicare와 병원 신세를 졌을 것이 분명하다. 이 사고로 일주일 동안 어깨가 아프긴 했지만 생각보다 심각한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나의 목을 서서히 누르는 그 ‘거대한’ garage door는 앞으로 자주 꿈에서 ‘악몽으로’ 나타날 듯하다.

 

Busy Twelve Days of …

¶  성탄 12일: 성탄을 기다리는 동안 느끼는 포근함과 설렘의 느낌들이 막상 성탄 season 을 맞으면 약간 피곤함이 느껴지는 바쁨을 느끼는 우리 집 yearly routine을 맞이한다. 오랜 만에 모이는 4명의 가족들이 ‘너무나 자주 만나게 되는 stress’를 느끼게 되기 때문이다. 머리들이 클 대로 커버린 2딸들과 debating, arguing (even fighting) 하는 것도 피곤하고, 그저 늘어지고 편해야만 할 듯한 때, 몸을 부지런히 움직이며 집을 들락 날락 하는 것, seventy years의 여파인지 귀찮지 않을 수가 없다. 그저.. 나의 천국인 ‘connected desk’ 에 앉아, 편히 쉬고 싶다라는 ‘Screwtape Letters (Screwtape & Wormwood)’ 의 대화만 나의 귀에 속삭인다. 하지만, 하지만 나도 smarter해 져서 절대로 그런 유혹에 질 수가 없다. 오늘 할 것은 오늘, 지금, 아니 더 빨리 하고.. ‘나에게 내일 아침이 없을 수도 있다’, ‘가슴 속 저~ 깊은 곳에 진리가 있다’ 라는 근래 나의 좌우명을 잊지 말자.

2017년 성탄절 12일은 새로니 생일인 1월 5일까지이며 (이 사실은 절대로 안 변함), 교회 전례력으로 성탄 시기는 1월 8일 ‘주님 세례축일”에 (이것은 매년 조금씩 변함) 끝난다. 그러니까 1월 9일부터 Ordinary Time 연중시기가 시작된다. 휴~~ 이제 모든 것이 끝났구나.. 하지만 2월이 되면 전례력의 절정인 부활절을 향한 long march, lent 사순절이 시작되고.. 이것이 바로 우리 인생 역정이었다. 이렇게 일년마다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이런 전례 시기, 지금 생각해보면 흥미롭기도 하고, 오랜 세월 이 전례력의 의미조차 잊고 살았다. 지금이라도 깨닫고, 의미를 두며 살게 된 것은 한마디로 은총이다.

올해의 성탄12일 전후를 나는 어떻게 보냈는가.. good, bad & ugly 골고루 있었겠지만 그래도 GOOD 부터 시작하고 싶다…

 

GOOD #1: Mother Nature!

성탄, 연말, 연시.. 이런 때의 날씨는 나의 psyche 에 꽤 큰 영향을 미친다. 다른 말로, 이 때는 cold & nasty한 것이 ‘정상’이라고 믿기에 더욱 그렇다. 이번 season이 바로 right on! Average보다 밑도는 추운 날씨의 연속..  하지만 nasty하지는 않아서 drive하는 데는 no problem! 자주 볼 수 없었던 coat, overcoat, sweater, muffler가 모조리 선을 보인 perfect season이 되었다.

GOOD #2: Family Mass, 3-2-1 Happy New Year!

최근 들어서 ‘가족’이 함께하는 곳에는 ‘절대로’ 빠지지 말자.. 라는 결심에 알맞게 노력을 한 것, 조금은 결실이 보이는지.. 만족스러운 표정들을 느낀다. 나도 좋고 그들도 좋고.. 이것이야 말로 perfect win-win이 아닐까? Organized religion이 귀찮다는 아이들, 이것도 ‘유행’이 되었나..  이번에도 without fail.. 둘이서 Champaign toasting Time Square 3-2-1로 New Year를 맞이 했다. 나는 밤 10시면 꼭 잠을 들기에.. 이렇게 밤 늦게 눈을 뜨고 있는 것 자체가 고역일 수 있지만 가끔 이런 예외도 알고 보면 보람 있는 것이었다.

GOOD #3(or BAD?): 새로니가 35번째 생일을 맞았다. 몸과 마음이 건강한 생일을 맞는다는 것은 사실 축복이요 은총이다. 외식을 즐기던 ‘아이’가 언젠가 부터는 우리 집에서 ‘미역국’ 포함한 한식으로 생일을 맞고 있고 엄마도 기꺼이 수고를 한다. 35년이란 세월은.. 사실 미혼임을 알면 ‘우아~ ‘ 할만 하지만 다른 쪽을 생각하면 변한 세상, post-modern culture 의 trend에 입을 다물 수가 없다. 한 세대가 지나면서.. 이런 변화를 바로 우리 집 식구에서 보게 된 것.. 한마디로 mixed feeling일 수 밖에. 35살이면 새로니가 태어날 때 나의 나이가 아닌가? Natural Law란 것을 생각하면…

BAD #1: Freak Accident! 새해 들어서 반갑지 않은 손님, (small) freak accident는 예기치 않는 것 (하기야 accident란 것은 그런 것이지만) 하도 기가 막혀서 생각하기도, 쓰기도 싫지만 분명히 꿈이 아닌 현실이기에 기록에 남길 수밖에 없다. Handyman 기술 영역에 속하는 fixing garage door, 약해진 spring을 replace하려다가 나는 과히 높지 않은 step ladder에서 떨어지고 door와 wall사이에 pin-down (actually hung) 되어서 최악의 사태는.. 상상하기도 싫은 그런 사고를 당한 새해 벽두.. 100% 나의 실수로 생긴 것이니 100% 반성을 할 수 밖에 없게 되었다.

UGLY #1: Limping Group: 내 시간과 노력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레지오 마리애 단원 활동임을 부인할 수 없고 나는 이것이 제일 ‘자랑스러운’ 나의 일부라고 자부하고 살았다. 그것이 2017년 일 년 동안 ‘치명적, 비극적’인 상처를 연속으로 받았고 아직도 나는 ‘anger, rage‘의 단계를 못 벗어나고 있다. 내가 ‘살아있는 인간들 (2명의 출발해서 지금은 4명으로 증가)’을 ‘죽이고 싶다’는 상상을 그렇게 오래, 심하게 했던 기억이 없었다. 그것이 ‘아직도’ 성탄과 새해를 넘어서면서도 조금도 차이가 없다. 이것은 정말 perfectly ugly, uglier, ugliest 한 것이다. 어떻게 하면 우리 (small) group을 다시 건강하게 만들 수 있는가.. 그것이 2018년 내가 생각해야 할 최대의 과제가 되었다.

 

¶  Christmas Hallmark Movies: 올해 크리스마스 시즌도 예외 없이 ‘건강하고 건전한’, ‘가급적 의미와 message가 있는’ 영화를 ‘집에서’ 보게 되었다. Merry Christmas란 말조차 ‘인정없이 내 쫓는 인간들’도 이런 영화는 큰 무리, 생각 없이 즐기는 모양인지 Youtube에 가보면 Hallmark moves들이 적지 않게 모습을 보인다. 누가 이런 것들을 upload하는 것인지, 고맙기만 하다. 분명히 이들은 집에서 TV (cable, streaming)로 record를 해서 upload하는 수고를 하는 것인데.. 나에게는 그야말로 ‘God bless them all!’.  올해는 본 것 중에 두 가지를 기억에 남기기로 했다. 최소한 3번 이상 보았던 것, Christmas Solo,  Sound of Christmas 가 그것이다.

 

Christmas Solo: 어느 작은 고장에 사는 single dad, single mom과 그들의 두 teenager딸들이 그 지역 크리스마스 festival의 singing solo 에 뽑히는 과정에서 보여주는 십대 특유의 갈등, 특히 ‘이혼한 가정’의 십대가 겪는 고민을 크리스마스 spirit으로 승화시키는 그야말로 멋진 classic, common sense finale 의 영화였다. 이 십대들의 고민과 우정이 그녀들 보호자들의 사랑과 이해에 융합이 되는 모습들은 한마디로 성탄절의 의미를 보여주는 영화였다.

Sound of Christmas: 작년 이맘때 보았던 Hallmark 다른 영화, The Twelve Trees of Christmas에 출연했던 2명의 main actor들이 다른 역할로 나온 이 영화는 작년 것과 거의 비슷한 plot과 background를 가지고 있다. 비슷한 plot: 작년 것은 New York city의 전통적인 도서관이 없어지는 것을 ‘영웅적’인 여성의 노력으로 save한 것, 올해의 것은 역시 유서 깊은 음악학원을, 역시 용감한 여성의 노력으로 부동산 업자로 부터 구하는 내용이다. community의 전통적인 유산을 급변하는 상업적이거나 이기적인 단체로부터 구하는 것, 이것이 바로 성탄의 정신이었다. 여기 출연한 두 main character들, 연기도 좋았고, 아주 깨끗한 인상의 배우들이었다. 내년에도 이 두 사람이 출연하는 Hallmark Christmas movie가 미리 기다려진다.

4시간이면 2017년은..

이제 2017년도 4시간이 채 남지 않았고, 밖에서는 은은히 firework소리가 들려온다. 올해 3-2-1 Happy New Year! 는 연숙과 둘이서 하게 되었다. 새로니는 New York의 친구 baby의 baptism에서 ‘대모’을 맡게 되어서 없고 나라니는 아마도 boy friend와 함께 보낼 듯하다. 대부분 서울에 사시는 친척들, 지금쯤은 그곳은 벌써 2018년의 아침이 밝았으리라… 근래에 들어서 연락도 잘 못하고 사는 것, 항상 나의 어깨를 누르는 듯 죄스러운 느낌을 떨칠 수 없다. 연숙아, 애들아, 새해가 되면 더 부지런히 연락을 하며 살면 어떨까..

TV에서 New York city, Time Square의 ‘apple‘ countdown을 보려고 부지런히 TV setup을 했다. 이것, TV를 안 보고 산 지 몇 년이 되었는지.. 분명히 Internet에서 볼 수 있겠지만 큰 화면에서 보는,  수많은 인파가 지켜보는 ‘진짜’ countdown의 느낌과는 분명히 다를 것이다.

며칠 전부터 북쪽 (Northeast, Midwest) 서서히 ‘남하’하는 cold wave의 여파로 이곳 아틀란타 지역도 오늘 밤부터 기온이 계속 내려가서 New Year’s Day인 내일은 낮의 최고가 32도 (섭씨 0도)라고…  우아… 춥다..  하지만, 오랜 세월 동안 ‘귀찮아서’ 피해오던 3-2-1, boom!, happy new year! Champaign!  Auld Lang Sygnmidnight routine 을 다행히 몇 년 전부터 부활을 시킨 것, 너무나 잘한 것 같다. 이런 것… 솔직히 앞으로 몇 년이나 더 하겠는가.. 새해가 되면 70으로 진입하는 내 나이를 생각해보니 더욱 그렇다.

이제 몇 시간 남지 않은 2017년, 되돌아 보니 아주 힘들었던 때가 우선 떠오른다. 그것은 정말 잊고 싶은 기억들… 하지만, 그 어렵던 순간들을 나는 blog에 모두 역사로 남겨 두었다. 그 추악한 인간들을 죽기까지 다시 보기 싫지만 역사는 역사인 것이다. 그 추악한 기억들을 남은 삶의 교훈으로 삼으며 앞을 보고 나아 가면 된다.

 

** 저를 직접이나 간접으로 아시는 분들께 새해의 인사를 드립니다. 새해에는 만사형통 萬事亨通 하시고 건강하세요! **

 

Herman’s HermitsI Understand – 1965  

 

Washer woes, Happy notes

test, electrical first..

 

불과 5년 밖에 되지 않은 GE (laundry) washer: G154 에 문제가 생겼다. 예상치 않은 이 사고의 시작은 11월 초에 시작이 되었다. 한마디로 overfill 로 인한 아주 작은 flooding, 홍수사고인데, 물이 washing machine 밑에 조금 샌 것이 아니고 세탁기 주변의 방들 (부엌, dining room) 온통 ‘얕은’ 물로 뒤 덥힌 것이다.

다른 집에서 ‘대형’ 물 사고 사건들은 심심치 않게 들어왔지만 우리가 경험한 것은 사실 처음이었다. 다행히 빨리 발견을 했기에 망정이지 조금만 늦었으면 아마도 아래층이 홍수로 laminate floor를 모조리 갈아야 했을 뻔 했다. 

Washer를 자세히 살펴보니, 물이 밑에서 샌 것이 아니고 아예 washing bucket 위로 넘친 것이었다. 이런 사고는 내 눈으로 처음 보고 경험해보는 것이라 신기하기도 했다. 그러니까.. washing cycle중에 첫 단계인 ‘물을 채우는 과정’에서 무언가 잘못 되어서 water(supply) valve가 닫히지 않아서 물이 위로 넘친 것이다.

 

lower left: water level sensor with hose

 

아이들이 다 떠나고 우리 둘만 사는 집에서 세탁기에 문제가 생긴 것은 그저 조금 불편할 정도다. 빨래거리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은 또 내가 머리를 굴려야 할 성가신 일거리, 마음이 바빠오는 연말, 연시에 시간낭비는 아닌가? Appliance를 고친 경험도 적지 않고 사실은 마음만 편하게 먹으면 이런 일들은 재미도 있고 보람도 있다. 특히 electric, electronic, mechanical한 것들은 취미로 고치는 사람들도 많기에 나에게는 사실 ‘치매방지용’의 소일거리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문제는, 이 ‘놈’의 세탁기는 내가 잘 모르는 기계중의 하나라는 사실이다. 평소에 이것, 세탁은 연숙의 영역으로 나는 거의 사용한 경험이 없었던 것이다.

이런 것 고치는 것을 배우는 제일 빠른 길은 관련된 Youtube video를 보는 것이다.  재수가 좋으면 바로 해답을 찾을 수 있기도 하지만 대부분 믿을 수 없는 불완전 한, 심지어는 가짜 해답들도 수두룩하다. 문제의 washer는 ‘서민용’ GE  model로 우리 경제수준에 100% 맞는 것이다 (내가 아는 사람들이 보기에 좀 초라할지도 모르는..) 하지만 그렇다고 5년 만에 ‘small flooding 작은 홍수’를 선사하는 것은 그야말로 자존심에 상처를 주는 것이 아닌가?

직감적으로, Washing cycle의 첫 번째인, 물을 채우는 과정에서 water-level sensor의 기능이 fail한 것을 99.999% 확신했다. Youtube에서 본 repair video도 거의 모두 sensor를 replace 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렇게 비싸지 않은 level sensor 를 급히 order해서 교체를 했지만  it didn’t work! 물은 예전대로 그칠 줄 모르고 세탁기로 쏟아졌다. 그러면 무엇이 문제인가?

YouTube는 다음으로, timer를 replace하라고 나온다. 이것은 좀 비싼 것 ($60+) 이었지만 어찌하겠는가? 하지만 결과적으로 이것도 아니었다. 이제는 나로써는.. out of option! 너무나 실망한 끝에 나는 일단은 포기하고 말았다. 새 washer를 사던가.. 아니면 repair guy를 부르던가… 둘 다 매력적인 option이 전혀 아니다. 일단 포기하고 잊고, 추운 날씨로 별로 없었던 ‘빨래거리’ 를 핑계를 대며 시간을 끌었다.

그것이 거의 한 달이 넘어가고.. 이제는 나, ‘공돌이’의 자존심이 걸려 있는 심각한 문제로 느껴지기 시작… 이런 상태로 크리스마스를 맞이 할 것인가? hell NO! 이제부터는 engineer의 자세로 기본적인 것 부터 ‘조직적’으로 test해 보기 시작했다. 우선, washer의 기본 원리를 익히고, water-level sensor를 집중적으로 test해 보니… sensor자체는 전혀 문제가 없었고, 실제로 sensor의 기능을 manual mode로 세탁기를 돌려보니 문제 없이 물이 채워지면 다음 cycle로 넘어갔다.

그러면… sensor를 trigger 작동하는 mechanism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닌가? 물이 채워지면서 가느다란 hose로 공기가 밀려 올라가서 sensor를 trigger하는 것인데 무엇인가 이유로 그것이 안 되는 것이다. 그러면 hose가 문제가 있는가?  그 값싸고 초라해 보이는 가느다란 hose가 무엇이 잘 못 될 수 있단 말인가? 결론적으로 말하면, 바로 그 hose의 중간 부분에 조그만 hole이 생겨 그곳으로 공기가 조금씩 새고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어떻게 5년 밖에 안 되는 hose에 문제가 생긴 것일까? 대강 짐작은 되었다. 전에 한번 심하게 진동을 했던 때가 있었고 그때 그 hose가 hose guide pipe의 날카로운 부분 sharp edge에 찢긴 것이다. 기가 막힌 노릇이 아닌가? 한마디로.. 재수가 없었던 case였지만 내 생각으로는 기본적인 hose guide, mechanical design에 문제가 있었다. 왜 보잘 것 없이 보이지만 ‘너무나 중요한’ water-level sensor에 관련 된 그 작은 hose를 guide하는 곳을 날카롭게 만들었을까? 진동이 심할 때 그것은 분명히 칼처럼 hose에 상처를 낼 것을 GE engineer들은 몰랐을까?

이런 실망의 연속, 우여곡절 끝에 무려 한달 반 만에 모든 것이 해결되었고 크리스마스 즈음에 밀렸던 ‘작은 양’의 빨래, 주로 underwear,  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상처받았던 나의 ‘공돌이 자존심’도 다시 회복될 수 있었고, 조금은 더 깨끗한 underwear를 입게 되었는데.. 한 해를 보내며 조금은 안도감, 만족감을 느낄 수 있게 되었다. 부수입으로는: 앞으로 이 washer에 다른 문제가 생기면 이제는 내가 고칠 자신이 있다는 사실도 있다.

 

mother of truly stupid design: $7 hose!

 

호랭아, 호랭아..

호룡이와 함께, 서울 명동성당 옆 뜰에서, 1973년 초 봄에..

 

호랭아, 호랭아!  간밤에 호룡이(친구들이 호랭이라고 불렀던, 김호룡 金鎬龍 )를 꿈에서 보았다. 정말 너무나도 오랜만에 보는 그 녀석의 자태, 얼굴은 자세히 못 보았지만 아마도 우리의 ‘젊었을 때’의 그 모습이 아니었을까? 일찍 세상을 떠난 그 녀석의 ‘늙은’ 얼굴을 내가 기억할 리가 없으니까.. 왜 나타났을까? 50대 초에 떠난 그 녀석, 어찌도 나를 두고 그렇게 빨리도 갔단 말인가? 불현듯, 갑자기, 너무나도 그 녀석을 만나고 싶고, 보고 싶고, 이야기하고 싶은 초조함이 나를 엄습한다. 믿음이 있었던 녀석이니까.. 언젠가는 어느 곳에서 다시 볼 수 있으리라는 막연한 희망을 가지고 싶지만, 나의 믿음으로 그것이 가능할까?

꿈에서 깨어나며 아하.. 녀석은 이 세상에 없지.. 하는 자괴감보다는 안도감이 더 들었다. 꿈 속에서 이미 녀석이 인간적으로 나를 떠났기 때문에 엄청 슬퍼하고 있었다가 잠을 깨었기 때문이다. 꿈 속에서 그 녀석은 친구로써 나를 떠났던 것 같던데, 그 자세한 배경 상황이 깨끗이 기억이 나질 않는다. 왜 꿈 속에서 나를 슬프게 했을까?

녀석을 마지막으로 바로 옆에서 보았던 때가 1992년 여름이었다. 미국에 교환교수로 왔고 Florida로 가족들과 함께 차로 여행을 하다가 이곳 Atlanta를 들렀던 그때였다. 40대 중반의 우리들, 식구를 거느린 한 가장으로 다시 만났던 그때, 인생의 성숙함을 조금씩 느끼기 시작했던 그때, 우리는 어렸을 때의 꿈과 이상, 환상을 어느 정도로 ‘가감 加減’을 하며 살아왔었을까? 너는 끈질기고 치열한 노력으로 원했던 모교에서  ‘연세대 교수직’을 성취했지 않니? 꿈의 사나이, 목표의 사나이, 그런 네가 나는 항상 부러웠고 질투하기도 했지만 그래도 너는 우리의 자랑스러운 친구였다.

우리들의 황금시절, 중앙고, 연세대 시절.. 전자기술에 대한 호기심으로 ‘진짜 송신기’를 만들었다는 너를 나는 참 부러워했고, 또 너는 혼자서 ‘진짜 비행기’를 만들겠다고 호언장담을 했었지? 그래서 기계공학과에 간 것은 알지만 참 그 꿈은 진짜 꿈이었음을 알고 실망했던 것 나는 잘 안다. 중앙고 시절, 당시의 희망의 상징이고 목표였던 ‘미국과 세계’를 향하여 ‘멋진 영어 구사’를 목표로 영어회화 클럽을 만들고 주도했던 네가 아니었던가? 항상 숨어 지내던 나를 밖으로 끌어낸 것, 너의 영향이 아주 컸었음을 숨길 수가 없구나.

생각이 나이에 비해서 무언가 성숙, 조숙했던 너, 당시에 아마도 신앙적인 경험이 있었는지는 몰랐지만 세월이 지난 후에 그것이 사실이었음도 알게 되었다. 어떻게 그런 ‘믿음’을 갖게 되었는지 주위의 친구들은 전혀 알 수가 없었지. 가족들의 영향, 아니면 우리가 모르게 영향을 주었던 사람, 아니면 네가 나중에 결혼을 하게 된 그 ‘자매님’ 때문이었나.. 당시에 나는 그런 기분과 배경을 알 수도 없었고 그저 ‘내가 이해할 수 없는 세상’의 경험이었음 만 어렴풋이 짐작할 정도였지.

돌이켜 보던데, 너는 나에 비하면 ‘어른’들의 수준에 가까운 사고방식과 생활의 절제 훈련을 갖고 있었던 듯 하다. ‘좋은 목표’를 향한 치열한 접근, 노력, 투쟁… 아마도 ‘좋은 것’에 대한 너의 인생관은 이미 ‘초자연적’인 것이었음도 이제는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가 있구나. 나는 그것이 수 십 년이 지난 후에야 이렇게 짐작할 정도의 수준이었다.

오늘따라 유난히 (꿈의 영향인가..) 너의 생각이 나는 것, 전혀 우연이 아니라고 믿는다. 무언가 이유가 있을 것이다.  물리적으로 다시는 너를 볼 수가 없다는 사실 이제는 모든 것을 ‘초자연적, 신비적’을 기대하는 나, 다시 어디선가 너를 볼 수 있으리라는 희망은 절대로 버리고 싶지 않다.

 

성탄 전야 2017, 새로니 condo

¶ Vigil of Christmas,   올해의 성탄절은 작년과 다르게 크리스마스 이브에 가족이 우리 집에 모이게 되었다. 우리들 4명과 나라니의 boyfriend까지 모두 다섯 명이 푸짐하게 holiday meal 을 즐기고, 밤 늦게 우리의 ‘동네본당’ Holy Family Catholic Church의 성탄 전야 미사엘 갔다. Roman Catholic  미사를 처음 보는 나라니의 boyfriend는 그런대로 인상이 좋았던 모양이었다. 성당을 이미 오래 전에 떠난 우리 아이들이지만 그래도 크리스마스와 부활절 만은 예외로 이렇게 가족과 함께 하는 것, 현재로써는 이것으로 만족할 수 밖에 없다.

 

beautiful Holy Family Catholic Church

 

예년과 같이 선물 교환을 하기도 했고 고르느라 애를 쓴 흔적들을 느끼기에 고맙기도 하지만 참.. 그렇게 이곳에서 오래 살았어도 이 ‘선물 thingy’는 아직도 ‘불편하고, 어렵고..’ 한 느낌을 떨칠 수가 없다. 나는 책과 coffee나 tools 같은 것을 좋아하기에 비교적 쉽지만 ‘어떤 책, 어떤 커피,’를 주느냐가 골치 아팠을 것이다.

작은 딸, 나라니가 선물한 책 (작년에는 Pope Francis의 책이었다) 은 나에게는 의외의 title이었다. Pope Francis와는 느낌이 멀고, 아니 정 반대인 듯한, former Vice President Joe Biden 이 쓴 최근에 간행된 Promise Me, Dad 이란 책인데, 의외라는 느낌은.. 내가 근래에 들어서 아주 멀어진 사람들 중에 Joe Biden도 포함되었기에 불편함은 떨칠 수 없다. 같은 가톨릭 교인임에도 불구하고 ‘정치를 위해 영혼을 판’ 듯한 느낌을 떨칠 수 없는 인상을 주는 인물이 바로 Joe Biden인데.. 이 책을 읽으면 내가 그 동안 몰랐던 것들로, 조금 다른 인상을 받을지도 모른다.

언니, 새로니는 나에게 요새 유행하는 듯한 wind jacket 비슷한 옷 packable down jacket, 연숙은 나에게 ‘역시’ coffee 내리는데 쓰이는 gooseneck electric kettle을 선물로 주었다. 이제부터는 coffee pour-over할 때마다 조금 더 ‘섬세하게, 천천히’ 뜨거운 물을 부을 수 있게 되었다. 오랜 세월 동안 (2006년 경, 내가 냉담에서 벗어난 이후부터) 전 가족의 연례행사, Holy Family 본당에서의 ‘Carol sing-along과 자정미사’ (사실은 밤 10시 반)엘 갔으니… 아~ 올해, 작고 외로운 우리 가족 마지막 ‘공식행사’가 끝난 것인가? 

 

¶  Day at Serony’s Condo: 크리스마스 당일은 전날 vigil mass를 했기에 전통적으로 우리는 완전한 휴일로 지낸다. 사실 이날 아침에 가족들이 모여 선물을 교환하곤 했는데 언젠가부터 그것이 성탄 전야로 바뀐 것이다. 애들이 어렸을 적, 이날 하루 종일 TV 로 방영되는 영화 The Christmas Story (little Ralphie story)를 즐기곤 했던 것 이제는 아련한 추억이 되었다. 이날 우리 둘은 오랜만에 midtown에 있는 새로니 condo로 점심을 먹으러 갔다.

이 condo를 갈 때마다 느끼는 것, 우리 새로니, 전공을 personal finance정도 바꾸었으면 Suze Orman1 처럼$$$ 많이 벌었을 것이라는 재미 있는 생각이다. 요새 아이들 $$$ 감각이 예전 같지 않다고 들었지만 새로니는 조금 특별할 정도로 예민하다. 지금 사는 condo, 2010년 전 터진 subprime bubble로 원래 값보다 훨씬 싼 값으로 산 것인데, 지금은 집 값이 엄청 올랐다.

Condo를 구입할 당시, 그 애 모든 정보력을 총동원해서 그 집을 찾았고 realtor통해서는 서류처리만 한 정도였다. 그 때 realtor였던 에밀리 자매님, 새로니의 ‘정보 찾기’ 실력에 혀를 내 둘렀을 정도다. 이런 것을 보면서 이 애는 우리 둘을 ‘절대로’ 닮지 않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래서 그런지 새로니 항상 우리의 ‘돈 관리 능력’을 한탄하기도 한다. 요새 애들이 다 이런가.. 아니면 새로니가 조금 특별한 것인가.. 모르지만 앞으로 우리는 우리 딸들의 ‘경제 상태, 전망’에 대해 좀 덜 걱정을 해도 될 듯 하다. 그것이 다른 의미에서 ‘효도’라고 하면 어떨지 모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렇게 아끼고 모은 $$$들 ‘하느님이 보시기에’.. 하는 깨달음을 언젠가는 갖게 되기만 바라고 있다. 그 동안 꽤 노력을 해서 condo의 내부도 많이 달라졌는데, 이것 조차도 ‘알뜰한 투자’의 차원에서 했을 것이라고 짐작이 되어서 웃음이 나왔다. 그래도 가진 요리 솜씨를 다 해서 만들어준 맛있는 점심, 손님용 bourbon 내가 많이 축을 내고 기분 좋게 일찍 집을 향해서 I-75 North 쪽으로 차를 몰았다.

 

Midtown Condo, 이날 편하게 The Longest Day 영화를 즐겼다.

 

  1. 처음으로 이 ‘여자’, lesbian임을 알았고 아예 다른 여자와 결혼했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어쩐지.. 한마디로 하느님 맙소사 하는 소리가 나온다.

Canadian Mist

 

크리스마스가 가까워 오면서 이곳 Atlanta Metro 지역의 날씨, 한마디로 1971년 Clint Eastwood의 첫 감독 영화, play misty for me.. 에 뽀얗게 흘러나오던 曲 Misty가 귓가에 흘러나오는 느낌으로 mist, misty & misting의 연속 편을 보여주고 있다.  새벽, 아침에 drive를 하는 사람들에게는 불편한 날들일 수도 있지만 나에게는 ‘아늑하고, 멋진’  winter holiday  냄새가 하늘에 가득한 날의 시작으로 느껴진다. 

어제 아침 ‘평일 미사’가 끝나고 돌아오는 길에, 이것이 몇 년 만인가.. Sherlock (집 근처의 liquor store)에 들렸다. 물론 ‘크리스마스 선물’을 찾으러 왔지만 사실은 나도 오랜만에 whisky같은 hard liquor의 혀끝 맛을 보고 싶던 참이었다. wine, beer같은 것으로 술 맛의 기억의 명맥을 유지하는 근래 들어서 나는 ‘양주’의 맛을 완전히 잊고 살았다. 주로 wine아니면 local microbrewery beer면 대 만족이었기 때문에 whisky, vodka같은 ‘쎈 술’ 은 사실 나와는 거리가 먼 술들이 되었다.

하지만 이날 Sherlock 술가게에 들어서면서 나의 눈에는 ‘쎈~술’들만 눈에 들어왔다. 갑자기 그 혀끝 맛의 추억이 되돌아오고 오랜만에 한번 맛을 볼까 하는 ‘충동구매’ 의 유혹을 느꼈다. 선물용으로는 본인들이 좋아한다는 bourbon 중에서 조금 비싼 것을 산 것으로 쉽게 해결이 되었는데, 문제는 나의 것이었다. 추억에 남는 것들, Johnnie Walker같은 Scotch whisky 중에서 고를까..하다가 아하 이것들 나의 수준에는 조금 비싼 것이 아닐까 망설였다. 그러다가 나의 눈을 끈 것이 있었다. Canadian Mist, 그러니까 Canada 에서 만든 whisky 였다.

요즘 같은 misty day에 캐나다 mist란 이름이 너무나 어울리지 않는가? 값에 상관없이 그것을 들고 나왔다. 나중에 보니 값도 ‘나의 수준’에 딱 맞았다. 올 추운 겨울 기분이 쳐지거나, 불안하거나, 초조하거나, 반대로 너무 기분이 좋을 때에 이것을 조금씩 홀짝거리면 맥주나 wine같은 술과 달리 큰 배탈 걱정 없이 멋진 기분이 될 것이다. 또한 이런 종류의 맛을 느낄 수 있었던 1970년대 초의 명동 cocktail house 호무랑 의 추억을 더듬으며, 당시의 가족, 친구, 연인들을 생각할 것이다.

 

Hitchin’ a RideVanity Fare – 1970  

 

Monastery, 사랑반, Cumberland, 자비의 모후, 장례미사, 싸리골

¶  Saturday at Monastery: 지난 토요일 나는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예비신자 교리반 학생, 교사들과 함께 Conyers, Georgia (east Atlanta suburb) 에 있는 Monastery of the Holy Spirit (간단히 Conyers수도원이라고 부르는) 를 방문하게 되었다. 몇 년째 (아마도 4+  년?) 아틀란타 도라빌 순교자 성당 예비신자 교리반이 이곳을 방문하는 것은 이제는 ‘짧은 전통’이 되었다. 전 주임신부셨던 하태수 미카엘 신부님이 교리반 예비신자들이 세례 받기 전에 꼭 수도원을 방문하도록 권고를 하셨음에 이 짧은 전통이 시작된 것으로 알고 있다. 이 수도원의 역사는 2차대전 무렵으로 올라가는 비교적 긴 것이지만, 그것보다 우리의 관심을 끄는 것은 이곳과 그 유명한 영성가 Thomas Merton과 관계가 있다는 사실도 있다. 이 수도원을 창립한 member들이 Thomas Merton 신부가 있었던 Kentucky 주의 Gethsemane Trappist  수도원 출신들이었던 것이다.

근래 미국에서 화제가 되었던 책, The Benedict Option 을 염두에 두며 생각하면, 이곳은 우리들에게 그렇게 낯선 곳이 아닌 비교적 가까운 곳에 있는 ‘절과 비슷한 수도원’으로 언제나 포근함과 위안을 주기도 하는 곳, 원하면 세속을 잠깐이라도 잊을 수 있는 그런 곳이다. 2013년 겨울, 나도 교리반의 교사, staff의 일원으로 예비신자들과 함께 이곳을 방문했던 기억도 새롭고 그 외에도 레지오 피정 당시 며칠 머물렀고,  몇 년 전에는 자비의 모후 레지오 단원들과 ‘자비의 해’를 맞이하기 위해 이곳을 방문하기도 했다. 1

도라빌 순교자 성당 현재 주임신부님은 예비신자들의 수도원 방문의 의미를 잘 이해를 못하는 듯 하다고 하는데, 이렇게 신부님들마다 수도원에 대한 인식이 다르다는 사실이 흥미롭기만 하다. 왜 그럴까? 하지만, 편한 거리에 있지는 않지만 일단 가 보면 완전히 다른 느낌을 주는 ‘신비스러운 곳’에서 ‘보편적이고 장구한 역사를 가진’ 천주교의 냄새를 맡게 한다는 것은 크나큰 의미가 있다고 나는 생각했다.

수도자들과 피정 온 평신도가 함께 바치는 ‘낮 기도’ 에 우리 모두 경건하게 앉아서 오랜 만에 ‘평화의 신비’를 경험했고, 나중에 Abbey Store (bookstore, gift shop, small dining)에 모여서 맛있는 Publix sandwich, gourmet coffee (정말 향기 좋은 coffee였다) 를 먹으며 교사들의 ‘수도원 역사’ small talk과 각자 느낀 것을 share하기도 했다. 그들도 우리와 다를 바 없었다. 천주교가 주는 느낌이 확실히 다르다는 것, 어찌 모를 수가 있겠는가? 마음 속으로, 이들 예비신자들, 내년 부활 때 모두 세례를 받게 되기를 간구했다. 이번에 나는 100% volunteer로 ‘따라’ 간 것이지만 앞으로 이런 기회가 오면 또 가리라 마음을 먹었던, 진정으로 ‘평화스러운’ 대림 2주, 토요일 이었다.

 

¶  마리에타 사랑반: 나로서는 너무나 오랜만에 우리가 속한 마리에타 사랑반의 구역모임에 참석을 하게 되었다. 꽤 오랜 동안 나는 이곳 참석을 못하며 살았는데 이번은 조금 예외가 되었다. 평상시 처럼 개인 집에서 모인 것이 아니고 바로 성당 내, 조그만 방에서 모인 것이 계기가 되었다.

한때 거대한 monster처럼 커져버린 ‘전 마리에타 2구역’이 어려운 과정을 거치며 공식적으로 breakup이 되어서 ‘자비반, 사랑반’ 등등 같은 이름의 smaller group으로 나뉜 것도 이제는 몇 년째가 되었나? 우리에게는 조금 한 집에서 모이기에 편한 새로운 group으로 되었지만 그래도 무슨 높은, 숨은 뜻이 있었는지, 이곳엘 참석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그저 ‘기다리면’ 된다.. 정도의 느낌으로 살았다. 하지만 그렇게 한 없이 기다리는 것은 무리, 무리… 우리의 ‘나이’를 잊고 살았는지.. old boy의 수준에서 이제는 ‘명퇴 한 나이’의 느낌마저 들게 되었다. 나이의 신비가 이런 것인가?

두 곳의 본당[마리에타 Holy Family, 도라빌 순교자 성당]을 가진 우리에게 100% 순교자 성당의 구역 활동을 하는 것은 이제는 무리인 듯하다. 현재의 사는 방식, 그러니까 status quo의 지혜를 버리기 어렵게 된 것이다. 이런 우리의 자세가 남들에게는 아마도 그렇게 바람직하게 보이지는 않을 것이지만 현재로써는 어쩔 수가 없다. 당분간, 어느 정도 이 모임에 참여를 하며, 어떻게 ‘명퇴’를 하는 것이 옳은 것인지, 이것은 나에게 결정하기가 참 힘든 문제다.

이날 성당 내에 구역모임은 우리와 자주 만나며 사는  ‘크리스’ 자매가 host를 한 것으로 총무님과 같이 맵시 있게 차려놓은 champaign 이 포함된 snack table 주위에서 담소를 즐겼다. 아마도 자택에서의 모임이 힘든 것을 이렇게 지혜롭게 해결한 것, 아주   지혜로운 idea였고,  현 총무 자매님의 의욕과 사랑으로 임무 수행하는 모습이 멋지게 보이기도 했다.

 

¶  Cumberland Mall: Holiday mall shopping.. 이런 글자만 보아도 머리가 벌써 복잡해지고 피곤해짐은 근래에 들어서 그렇게 새로운 사실이 아니다. 아니 꽤 오래된 기억에도 사람 많은 곳에서 shopping한다는 것, 즐겁지 않고 가급적 피하고 싶은 ‘시간낭비’로 보였다. 그래서 그런지, 나이가 더 들어가며 이제는 거의 이런 것들을 잊고 사는 기분이다. 하지만 올해는 조금 달랐다. 일년 동안 두 번씩이나 겪었던 ‘레지오 2명의 미친년 사건들’ 로 무언가 다른 것을 보고 싶었다. 아니 그런 kafkaesque 들을 잊고 싶기도 했다. 그래서 무리해서 그것도 월요일 날, 새로니와 셋이서 비교적 가깝지만 나에게는 생소한 곳, Cumberland Mall에서 아주 ‘정상적이고 전통적’인 shopping routine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렇게 함께 이런 곳에 온 것이 몇 년이나 되었을까? 이런 전통적인 shopping, 이제는 시간문제일까… 그러니까, brick & mortar shopping experience은 Amazon(online) shopping으로  해를 거듭할 수록 약세를 보이고 있으니..  이날 나는 비교적 작은 규모의 Cumberland Mall에서 먼 쪽의 중앙에 Sears라는 글자를 보았다. 가슴이 뭉클해옴을 느낄 수 있었다. 반 세기 전, 미국에 도착했을 때 나의 선망의 대상이었던 곳, 그것 중에는 Sears라는 글자도 있었기에, 세월의 무상함을 안 느낄 수가 없었던 것이다. 한마디로… 참, 세상 많~이 변했구나.. 상전벽해 桑田碧海 라는 말 그대로가 아닐까? 당시 시골사람들처럼 순수하게만 보였던 ‘主流 백인’들만 보이던 미국’, 얼마나 많이 변했는가?

이날 ‘해야만 했던’ holiday shopping을 하면서 이런 생각들을 하니 어찌 내가 즐겁기만 하겠는가? Good Ole Day란 말이 이래서 생겨났구나, 하지만 이런 느낌은 세대구분 없이 ‘영원히’ 계속되어 갈 것이고 progressive, conservative의 duality도 영원히 계속되어 나갈 것이다. 이래서, 영원히 계속해서 변하는 것이 아닌, ‘절대로 안 변하는 것’을 아는 것이 바로 지혜중의 지혜가 아닐까?

 

¶  Full House, 자비의 모후:  한 때 ‘레지오 미친년 사건’ 으로 치명타를 입었던 우리의 성모님의 ‘분대’, 자비의 모후가 너무나 오랜만에 full house를 맞았다. 나는 이것을 ‘재를 털고 일어난 불사조’로 기억하고 기념하고 싶다. dirty vermin 들을 St. Michael의 용맹한 도움으로 ‘요사한 뱀의 머리를 바수는’ 업적을 남긴 것이라고 나는 해석을 한다. 형제님을 불시에 천국으로 보낸 아가다 자매님이 자식들이 주선한 극진한 효도여행을 마치고 한국에서 돌아오셔서 합류를 한 것이다.

이제는 그런대로 안정권으로 돌입한 우리 레지오, 절대로 절대로 신 단원을 ‘바보같이 받아들이는’ 실책은 피할 것이다. 단원의 숫자 그 자체가 이렇게 의미가 없게 느껴졌던 적은 아마도 없었을 것이다.

 

¶  연도, 장례미사, 장지동행:  아침에 예상외로 심한 폭우가 쏟아지던 날, 우리는 천수 90세를 넘기신 젬마 자매 할머님의 연도와 장례미사에 참석을 하였다. 장례미사에서 작은 딸의 생생한 조사가 조금 길기는 했지만 의미 깊은 것이었고, 우리는 궂은 날씨지만 마리에타 공원묘지까지 장지 동행을 했다.

며칠 전에 노령과 폐렴으로 선종을 하신 이 할머님, 많은 사람들에게 낯선 분이 아니었다. 항상 변함없이 성당 제일 앞줄에 walker에 의지해서 힘겹게 들어오셔서 경건하게 미사를 보시던 분, 전에 거동이 덜 불편하셨을 때는 화요일 정오미사에도 오셔서 우리 바로 앞자리에 앉아 계셨고 인사도 나누었던 자매님이셨다. 그러다가 낮 미사에서는 더 이상 안 보이셨고 주일 미사에서는 꼭 뵈었고 불과 몇 주일 전에도 나오셨었는데… 역시 90세라는 나이에 폐렴은 초현대의 의학도 큰 도움이 안 되었는지.. 그래도.. 그래도.. 90세를 넘기셨으면 ‘천수’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우리 어머님, 80중반 까지 사셨지만 짧은 생은 아니었으니까. 

이 자매님은 연숙과 더 깊은 인연으로 알게 되었는데, 이 할머님과 가까운 사이로 지내던   African American 자매님이 우리의 미국본당 Holy Family의 신자여서 인사를 나눈 적이 있었고 이번 장례식에도 어김없이 와 주었다. 1972년 미국으로 이민을 오셔서 자식들을 다 키우신 부지런한 젬마 할머님, 각종 ‘사고’를 당하시며 고난을 겪으셨지만 그래도 굳건한 천주교 믿음을 지키시며 말년을 인근 꽃동네에서 천수를 하셨기에 자식들도 우리들도 이 영혼의 천국에서의 복락을 믿는다.

 

¶  싸리골 점심 모임:  12월 21일, 바로 동짓날이다. 어느새 겨울의 시작이 되었는가? 이제부터는 밤의 길이가 ‘조금씩 조금씩’ 짧아질 것이다. 하지만 최소한 2개월 동안은 ‘각종 일기 뉴스’가 우리의 관심의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동짓날 아는 부부와 같이 따뜻한 김이 나는 듯한 기분의 장소, 바로 마리에타 지역에서는 희귀한 한국식당 ‘싸리골’ (Tofu Village Korean BBQ) 이란 곳이다. 왜 이 집이 싸리골인지는 모르지만 ‘주인의 취향’이 아닐까.. 아마도 옛날 고국의 시골에서 보던 싸리나무, 싸리문, 싸리로 만든 담장.. 등등이 그리워서 그렇게 이름을 진 것은 아닐까.. 이 작지 않은 식당의 주변도 아예 싸리나무로 담장을 꾸며 놓았다.

크고 작은 Korea Town들이 거의 모두 아틀란타 동북쪽 (Gwinnett, Forsyth  counties) 으로 몰리게 되면서 정 반대쪽에 있는 마리에타 지역에는 한국식당이 거의 사라지고 이곳 ‘싸리골’과 ‘일미’라는 두 곳이 근근이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정도다. 하지만 이 두 곳은 business model이 Korea Town의 그것과 다르게, 거의 모든 customer들이 ‘비 한국인’들이라는 사실이고 그런 이유로 아마도 이 두 곳은 큰 실책을 하지 않는 한 계속 ‘성업’을 할 지도 모른다.

이날 우리 둘은 2주일 전에 우리를 집을 초대해서 맛있는 salmon steak요리를 즐기게 해준 ‘마리에타 토박이’ 스테파노 형제 부부와 함께 이곳에서 식사를 했다. 아무래도 우리 집으로 초대하기는 마음이 바쁜 이 시점에서 무리일 듯 했기에 이렇게 외식을 한 것이다. 이곳은 몇 개월 전에 심장수술을 했던 구역 가밀로 형제를 문병(봉성체)한 후 이곳에서 구역장님과 식사를 했던 적이 있었다. 그때 역시 같은 구역의 ‘오 안젤라’ 자매님이 이곳에서 아르바이트를 한 관계로 그 자매님으로부터 분에 넘치는 대접을 받기도 했었다.

나이가 엇비슷한 이 교우형제, 자매님 근래에 자주 보게 되고 알게도 되었지만 ‘현재까지는’ 큰 문제가 없다는 그 사실 하나 만으로도 우리들의 가슴을 쓸어 내린다. 하도 해괴하고 요상한 ‘교우 인간’들이 주변이 도사리고 있었다는 사실을 우리는 너무도 모르고 살았던 것, 불행인지.. 다행인지..  직감과 경험, 그리고 높은 곳에서 주는 지혜를 총 동원하면 앞으로 더 큰 ‘사고’는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리라는 작은 희망을 가지고 새해를 맞이하고 싶다.

 

 

  1. 이 당시 단원 중에는 그 유명한 레지오 난동사건의 주범을 포함한 3명의 빠가 온나, three Stooges 들도 포함되어 있어서 지금은 그때를 영원히 잊고 싶다.

after snow day, film noir days

¶  지난 주 금요일, 저녁부터 ‘폭포처럼’ 쏟아진 함박눈으로 이틀 정도의 뜻밖의 snow days,  애들 처럼 즐거운 ‘공짜 휴일’ 이후, 곧바로 다 녹아버릴 것 같은 예상을 뒤엎고, 계속되는 추위로 사실 아직까지 눈이 남아 있는 곳들이 꽤 있다.  그러니까… 요새는 ‘환상적인’ 12월의 느낌 으로 그러니까.. 매일매일 white Christmas의 기분으로 살고 있는 것이다.

계속되는 추위로 녹지 않는 ‘잔설 殘雪’

 

¶  등대회 망년회:  12월의 3분의 1일 지나가는 때, surprise heavy snow로 holiday 의 기분과 광경이 온통 머리 속에 가득 찬 시점에서 소위 말하는 ‘망년회’ party같은 것들이 더 돋보이는데, 사실은 꽤 오랜 동안 우리는 이것들을 거의 무시하고 살았다. 한마디로 stress받고 피곤한 경험들도 있고 그저 귀찮기만 했던 너무나 ‘세속적’인 모임들이라는 생각도 있었다.

하지만 올해는 조금 생각의 각도를 비틀어 보았다. why not..이라는 간단한 물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게다가 올해라는 세월이 너무나 ‘피곤하다’라는 자괴감도 들고, 이런 부정적이고 감상적인 생각에 대응하는 antidote는 역시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바로 그것이다. 물론 그 사람들은  ‘근본적으로 좋은 사람들’이어야 한다는 절대 조건이 있다.  만에 일이라도, 올해 두 번씩이나 당했던 ‘레지오 미친년들 사건(2명)’처럼 ‘경고 없이 순식간에 괴물 monster 로 돌변할’ 가능성이 거의 zero에 가까운 사람들이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현재까지 내가 보아온 성당 60 plus 친목단체인 등대회는 큰 문제가 없이 보였고 지난 가을의 West Bank park 야유회에 이어서 연말 모임, 망년회에 참석하게 된 것이다.

대학 동창회나 다른 단체의 연말 party 같은 곳에 안 가고 산 세월이 짧지 않았기에 이런 모임이 생소할 것으로 우려하기도 했지만 이곳은 조금 달랐다. 무슨 정해진 program이 없이 informal한 분위기였고 대부분 모르는 사람들이라 크게 신경을 쓸 필요도 없었다. 이미 알고 있는 몇몇 사람들이 있었고 사실 그 사람들이 ‘노는 데’는 주역들이어서 결과적으로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가 있었다. Duluth Korea Town에 있는 ‘초원부페‘라는 곳에서 정말 푸짐히 ‘마시고, 먹고’, 아싸 노래방에 가서 신나게 disco풍의 춤과 노래하는 것을  넋을 잃고 보며 즐겼다. 나는 예의 ‘옛 노래’ 몇 곡을 불렀지만, 그들의 폭넓은 (특히 요새 노래들) 노래실력에는 비교가 되지를 않았다. 이들은 어떻게 이런 요새 노래들을 배웠는지..

 

¶  Film Noir time again:  작년 11월 경, 을씨년스러운 날씨를 즐기는 방법으로 film noir가 나에게 다가왔고 아마도 작년의 holiday을 많은 시간을 이것, film noir를 보는 것으로 시간을 보낸 기억이다. 아~~~ film noir, glorious ‘black & white’ 느낌들… HitlerTojoevil empire를 ‘하느님의 정의로 무찌른’ victorious America의 전후에 ‘대량생산’ 한 이 film noir 영화들.. 당시에 어떻게 이것들이 대중들에게 보였는지는 알 길이 없지만 70여 년 후에 이렇게 YouTube라는 ‘해괴한 매체’를 통해서 내가 어렸을 때의 기억을 더듬으며 이런 것을 즐긴다는 사실이 사실은 surreal한 느낌인 것이다.

작년에 YouTube에서 download한 film noir 영화가 거의 50여 개에 달하는데 그 중에 ‘처음부터 끝까지’ 본 것은 손에 꼽을 정도다. 대부분이 low-budget class여서 정성스럽게 보는 것은 좀 그렇지만 신경을 써서 자세히 볼 시간이 없기도 했다. 이런 영화는 보는 분위기가 잘 맞아야 하는데, 그것이 나에게는 blustery, chilly, windy afternoon인데… 요새가 바로 그런 날들이었다. 거기다가 달콤한 mini donuts 과 아주 진한 gourmet coffee가 있으면 몇 시간이고 즐길 수가 있다. 힘들었던 올해였지만 이런 짧은 순간들이 그런 괴로운 추억을 지워주는 역할을 하니.. 한마디로 it’s fair라고 할까..

이 특별했던 회색 빛의 오후에 보았던 glorious black & white는 2차 대전 당시 미국 내에서 ‘원자탄 비밀’을 찾고 있었던 독일의 스파이 망을 FBI에서 일망타진 하는 내용의 1945년 영화 ‘The House on 92nd Street‘ 였다. FBI의 방대한 수사망의 위력을 ‘선전’하는 듯한 느낌도 있었지만 당시에 ‘적국의 스파이’들이 미국 내에서 어떻게 활동을 했었는지 짐작하게 하는, 좋은 역사 공부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도 했지만 사실은 연기와 각본 등도 뛰어난 느낌의 좋은 영화였다.

 

film noir afternoon, 2017

 

The House on 92nd Street – 1945

 

¶  Earlier Tree: 얼마 전에 Vatican Youtube를 보니 성 베드로 광장에 거대한 성탄 tree가 장식이 되었음을 무심코 보게 되었다. 얼마 후에는 성탄구유도 설치가 되었음도 알게 되었다. 근래에 들어서 교회(천주교)는 ‘세속적인 장식’을 가급적 성탄 며칠 전까지 ‘참으라고’ 권고를 하고 있었고 나도 몇 년 전부터 용기를 내어서 그 권고를 따르려고 노력하였다. 다행히 ‘아이들’이 떠난 이후 이런 ‘장식’들을 하는 것이 장난이 아니었고 나도 그 ‘취지’에 동감을 하기에 큰 문제도 없었다. 나아가서 성탄절 이후에 ‘순식간에 사라지는’ 모든 것이 사라지는 듯한 ‘세속, 상업’적 풍습이 그렇게 싫었는데, 12 days of Christmas, Octave of Nativity (of the Lord) 등등을 따르며 신년이 훨씬 지난 후까지 성탄기분을 유지하는 그런 것이 더욱 새롭고 느낌이 달랐다.

그런데 올해는 조금 나의 마음이 바뀌었다. 올해 어찌나 무언가 힘이 들었다는 쳐지는 듯한 기분을 떨칠 수가 없었는데 불현듯 성 베드로 광장의 성탄 트리를 보며..  what the heck… 이란 느낌으로 garage로 가서 일년 묵은 성탄장식들을 끌고 들어와서 순식간에 lighted treed, wreath 를 세워 놓았다. 며칠 뒤에는 올해 새로 나온 twinkling snow flake light까지 사다가 장식을 해 놓았다. 그리고 처음으로 carol 을 틀어 놓았다.. 그러니까 예년에 비해서 거의 열흘 정도 이르게 성탄의 기분으로 빠져들어간 것이다. ‘규칙, 규정, 법칙’도 중요하지만 어떨 때는 ‘직감, 느낌’도 중요함을 알게 되었다. 피곤하고 상처받은 마음들이 이런 것으로 위로를 받을 지는 모르지만 그래도 느낌은 아주 좋았다.

 

나의 office, study로 바뀐 첫 해의 성탄 wreath

 

 

Morning After, 6+ inch snow!

 

깜깜한 이른 새벽, 저 멀리 있는 digital clock radio의 clock이 잠결에서도 조금 신경을 쓰이게 하는 것, 현재 시각이… 오밤중의 그것이었다. 속으로.. 내가 불면증인가.. 나이 탓인가.. 이 오밤중에 정신이 말짱하니,  다시 자려면 고생하겠구나 하며 창 밖을 훔쳐 보니 아무래도 나의 body clock은 아침 7시 정도는 되는데 하는 생각이 들었다. 또 digital clock을 보니.. 아하, it’s blinking! 언뜻, 밤에 ‘전기가 나갔었구나’, 그러니까 그 radio clock 의 시간이 틀린 것이다.

부리나케 아래 층으로 내려오니, 나의 body clock이 거의 정확했다, 7시 10분이었다. Backyard  mother cat 다롱이가 분명히 배가 고플 것 같아 먹이를 들고 부지런히 나가려고 하니 porch door가 쌓인 눈에 걸릴 정도로 새하얀 눈이 쌓여 있었다. Deck guardrail 에 가지런히 쌓인 눈의 깊이가 족히 5~6 inch가 될 정도로 근래에 드물게 보는 ‘대설 大雪’이었다. 이렇게 한꺼번에 내린 눈은 너무나 뜻밖이었다.

 

 

우리는 어제를 snow day 로서 푹 쉬었지만 장례미사를 못 갔던 것이 조금은 마음에 걸렸다. 하지만 2014년의 악몽이 아직도 생생한 이 마당에 이러한 결정은 현명한 것이었다. 오늘 아침에 Sugarloaf mansion의 최형이 전화로 우리가 혹시 어제 ‘외출’을 했었나 부터 물었다. 3년 전 19시간 동안 I-258 freeway에서 밤을 지샜던 것 때문이었을 것이다. 어제는 3년 전과는 비교가 안 되지만 집으로 drive하는데 시간이 꽤 걸린 듯했다.  어떤 사람은 5시간, 우리 작은 딸 나라니는 3시간이 걸렸다고 했다. 하지만 일찍 시작된 rush hour가 끝나면서 눈은 엄청난 기세로 내리기 시작했다. 밤새 내리고 오늘 아침에도 내리고… ‘자, ruler’로 재어보니 정확히 6 inch였다. 그러니까… 오늘은 두 번째 snow day가 된 것이다. 그러면 내일은… 흠… 흥미로운 생각이 든다. 설마 내일까지도 문제가… 있다면… 성당과 저녁 5시에 있는 성당 60 plus 대 모임, 등대회 연말 파티 모임도.. 설마..

 

 

Atlanta wintry mix, sleeting…

sleeting ,dusting Marietta

 

¶  깜깜한 이른 새벽 침실의 curtain사이로 들어오는 가물거리는 빛들, 먼 곳에 있는 집의 security light는 거의 항상 켜 있으니 익숙한 것이고 땅 쪽에서 올라오는 어두운 빛들은 무엇인가? 우리 집의 security light는 분명히 아니고.. 잠결에 생각이 났다. 아하… 오늘 이곳에 wintry mix advisory가 있었던 것. 그러면 혹시 눈, 하지만 절대로 하얀 색갈이 아니다. 거의 검은 색으로 반짝거린다. 그러면 비.. 그것도 아닌 느낌이다. 그러면… 아하.. sleeting or freezing rain?  다롱이(backyard cat)  아침밥 주러 밖엘 나가니.. 이건 sleet 도 아니고 freezing rain도 아니고 바로 그 중간이었다. 아니.. snow도 조금씩 흩날리고 있었다. 바로 올 season 첫 번째 winter storm warning…  2014년의 ‘snowmageddon‘ nightmare가 곧바로 기억이 난다.

The Mother of humanity

오늘은 Holy Day of Obligation (의무 대축일)이다. 그러니까.. 오늘은 Immaculate Conception of the Blessed Virgin Mary,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마리아 의 대 축일이고 미국에서는 ‘의무 대축일’이기도 하다. 그런데 날씨가 이렇게 되었으니.. 어쩔 것인가? 현재의 상태 같으면 Holy Family Church로 가는 drive는 큰 문제가 없을 듯한데.. 그래도 현재의 날씨 상태로는 100% guarantee는 없다. 어쩔 것인가.. 하지만 곧 결정이 났다. 최악의 불면증으로 고생하는 연숙이 지난 밤도 예외가 아닌 듯해서 내가 결정을 내 버렸다. 성모님… 용서하소서.. 아무래도 무리입니다.

오늘 낮에는, 도라빌 순교자 성당에서 레지오로 알게 된 데레사 자매님의 시어머니의 장례미사와 연도가 예정되어 있기에 이것도 어쩔 것인가 생각을 하고 했지만 결론은 하나였다. TAKE ZERO CHANCE..였다. 2014년 20시간 I-285에 묶여 밤을 새웠던 기억은 아마 앞으로 20년은 더 갈 듯한데 이제 고작 3년도 안 된 fresh한 것이니.. 다시는 이런 날씨에 I-285 drive는 가급적 피하기로 했다. 집에서 연도를 하는 수 밖에 없지만 그래도 장례미사를 참석 못하는 것이 조금은 마음에 걸린다.

 

Ave Maria – Composed by Michal Lorenc Performed by Olga Szyrowa, Moscow Symphony Orchestra (1995)  

 

¶  어제는 가까운 곳에 사시는 스테파노 형제님 댁, 점심초대를 받아서 예외적으로 격조 있고 맛있는 점심 회식을 즐겼다. 이 댁의 자매님은 알고 지낸 지 그런대로 되었지만 스테파노 형제님과 알게 된 것은 얼마 되지 않는다. 나이도 나와 비슷하고 ‘인생철학’도 크게 유별난 것 아닌 듯해서 ‘안심하고’ 사귀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하도 ‘해괴한 인간’들이 주위에 도사리고 있어서 사람 사귀는 것, 이제는 겁이 나기도 하지만 ‘운과 지혜’의 도움을 받아서 ‘좋은 사람들’을 사귀는 즐거움도 무시할 수가 없다. 가 보니 3명의 자매님들도 오셨는데.. 모두 낯이 익은 분들이었고 한 분은 3년 전 세례를 받으신 아녜스 자매님, 우리 둘이 교리반 봉사를 할 때 예비신자 학생이었다. 그 당시 교리반 학생들, 세례 후에 많이 못 보게 되었지만 이 자매님은 그런대로 ‘가끔’ 마주치기도 했다. 멋진 table setup에다가 주로 holiday style meal, gourmet coffee 등등.. 인상적인 모임으로 기억에 남게 되었고 우리도 이런 식으로 ‘좋은 분들’을 초대할 수 있는 기회가 더 있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스쳐갔다.

 

¶  이 posting 은 아침에 시작된 wintry mix, sleet 를 보면서 한 것인데 몇 시간이 지나면서 예상을 뒤엎고 major snow로 돌변을 하였다. 지상의 온도는 빙점 위에서 머물고 있었지만 하늘은 영하였던 모양이다. 일기예보는 하루 종일 rain, 그리고 저녁부터 눈으로 바뀔 것이라는 것이 조금 빗나간 것이다. 2014년 1월 말의 Atlanta snowmageddon 교통대란 때도 비슷한 예보를 해서 고생을 했는데 이번 것도 비슷하다. 이런 종류의 기후는 정말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힘들 것 같다. 오늘 우리는 ‘현명하게도’  아침에 아예 snow day를 선언하고 모든 일정을 취소했기에 이번에는 비교적 ‘멋진 함박눈’을 하루 종일 여유 있게 감상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