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top, Stone Mountain

지울 수 없는 잊혀진 대의명분, Stone Mountain, Georgia

 

미국 조지아 주,  수도 아틀란타, ‘바람과 함께 사라진’  lost cause의 역사, 공립고등교육수준  미국에서 ‘거의’ 최하위,  racist 인종차별주의자들이 득실득실, 남북전쟁 전후 노예제도 천국, 깊은 산속에 숨어사는 해괴한 백인들…  알아들을 수 없는 지독한 사투리 southern accent, 이런 모든 조지아 주의 ‘사실이건 아니건’ 불명예는 정확히 30여 년 전에 ‘북쪽’에서 이곳으로 직장을 찾아 온 가족이 내려오면서 어렴풋이 들었던 숨길 수 없는 ‘역사적’인 사실들이었다.

정치적, 문화적, 역사적으로 조지아와 모든 것이 정 반대의 극에 있는 ‘추운 동네’ Madison, Wisconsin을 떠나 새로 찾은 직장이 바로 Atlanta, Georgia에 있었기에 결과적으로 대단한 결정을 하게 된 것이지만, 사실 쉬운 결정은 아니었다. 대부분 사람들, 남쪽 특히 조지아 주로 가는 것에 대해 불쌍한 듯, 이맛살 찌푸림을 느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정치 사회적, 문화적으로 뒤 쳐진 곳’으로 가는 우리가 불쌍해 보였는지도 모른다.

 

 이사를 올 당시 우리가 잘 모르고 있던 것 중에는 ‘무식 無識이 자랑인, 무지랭이 중의 극치 極致’, 감추고 싶은 미국 역사의 수치 羞恥’인  KKK (Ku Klux Klan) 가 ‘패전 敗戰, 조지아 주’와 직접 관련된 역사가 있었다는 사실이었다.  남북전쟁 패전 직후 테네시 Pulaski, TN 주의 ‘한 동네에서’  갑자기 할 일들이 없어진 ‘패전 남부 confederate 퇴역군인, 동네깡패’들로 로 출발했던 이 hate group은,  20세기 초에 들어서면서  급변하는 세상의 불안한 심리[흑인해방, 동유럽 이민, 가톨릭]를 적절하게 이용해서 급성장 수백만 명의 member를 확보하기도 했는데 이 무렵에는 이미 ‘장난적인 hate group’에서 벗어나 당당한 정치적 그룹이 되었고 수 많은 정치인들도 가입을 한 상태가 되었다. 이 재건된 KKK의 시발점이 바로 아틀란타 교외의 Stone Mountain[현재는 州 공원]이란 곳이었다는 사실에 나는 입이 다물어지지 않았다.

Stone Mountain [Park]은 사실 이곳으로 이사오자 마자 중앙고 후배 윤주네 집의 안내로 주말에 가끔 놀러 가던 곳이었다.  가족들 picnic장소로 적당하고 거리가 우리 살던 곳에서 20분도 안 걸리는 곳의 위치, ‘세계에서 제일 큰 돌 바위 산’으로 비교적 쉽게 정상으로 hiking 할 수도 있다.  하지만 당시 제일 큰 ‘행사’는 Laser Show였다. 거대한 바위에 새겨진 ‘남부의 영웅 3명[R. Lee, Jackson, J. Davis]’ 조각위로 빠르게 움직이는 laser image는 어둠이 깔리는 잔디에 누워서 보는 것은 정말 대단한 show였다.

 

3 heroes alive with Laser

 

비록 ‘적진 敵陣’으로 이사온 기분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실제적으로 보이는 피해를 본 기억은 전혀 없다. 1990년대 이후의 아틀란타는 이미 돌이킬 수 없는 대도시 문화를 수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사온 지 몇 년 후에는 올림픽까지 치렀다. 내가 일하던 직장은 대다수가 나와 비슷하게 타 주에서 직장을 찾아 내려온 사람들이고, 최소한 수도권 안에서는 어렵지 않게 많은 이민자들이 정착해 있었다. 그 옛날 유색인 전용 화장실은 전혀 그림자도 볼 수 없었다.

이사온 지 30년이 지난 현재, 서울-아틀란타 비행기가 매일 뜨고 내리게 되어서 이제는 서울의 공기가 지척에서 느껴질 정도가 되었다. 아직도 조지아는 평균적으로 뒤 떨어진 곳이지만 부분적, 지역적으로는 진보, 발전적인 성향을 보이기도 한다.  비록 평균적인 중고등 교육수준은 최하위에서 맴돌고 있지만, 이곳에 있는 Georgia Tech이나 Emory University같은 곳은  대표적 예외에 속하는  case다.  온화한 날씨, 경제적인 부동산, 활발한 경제 등으로 이제는 너무나 많은 외부, 타 주 인들의 유입이 문제가 될 정도가 되었으니… 참, 오래 살고 볼 일이다.

 

KKK는 누구이며 무엇인가? 세계사를 통해서 이런 ‘반동, 증오’ 그룹은 언제나 있었고 그것에는 분명히 원인과 결과가 교훈으로 남는다. 미개한 것이나 덜 개화된 것이 전부가 아니다.  급변하는 세상에서 미래에 대한 불안함은 그 중에서 제일 큰 원인을 제공한다. 미국의 KKK의 교훈을 보아도 분명하다.  노예들 덕분에 편안했던 시절이 끝나게 됨은 커다란 충격이었을 듯하고, 설상가상 ‘종교가 불확실한, 못사는’ 유럽으로부터의 대량이민, 종교적으로 증오대상이었던 ‘가톨릭’의 출현, ‘보기 싫은’ 유대인들 등등, 자기를 제외한 모든 것을 증오했던 ‘백인우월주의’,  어느 정도 민중의 호응이 없었을 리가 만무하다. 이것이 정치적으로 이용을 당하면 모든 것은 끝이다.

이런 모든 것들의 실험장이 바로 미국의 19~20세기 역사가 아닐까?  이것은 전형적인 challenge-and-response의 반복 실험이다. 미국은 결론적으로 이제까지 이런 치명적인 도전을  거듭해서 물리치고 있는 형편이고,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지만, 현재 우리의 코앞에 있는 challenge 도 결코 만만치 않은 것 같다. 위의 교훈들에 비추어 보아서 현재 우리의 ‘우려, 공포, 관심’은 무엇인가? 그것을 자기의 목적을 위해 이용하거나 잘못 판단하고 돌이킬 수 없는 곳으로 이끄는 ‘주체 세력, 정치인’들은 과연 누구인가? 희망과 긍정보다는 불안과 공포를 들추어내어 우리를 더욱 불안하게 하는 세력, 인간들은 누구인가? 우리와 같은 소수민족을 더욱 불편함과 불안함을 더해 주는 정치인은 누구인가? 그와 반대로 ‘지나친 방종적 자유, 비도덕적에 대한 무감증’을 부추기는, 한 마디로 ‘내가 법이고 도덕’이라고 떠벌리는 한심한 부류들은 누구인가? 이런 것들, 결코 쉬운 도전이 절대로 아니다.

 

 

****************

 

근래 들어서 내가 살아왔던 20세기 중엽을 전후로의 ‘세계, 미국사’를 사회적 관점에서 공부하는 데 안성맞춤인 당시의 미국 주간지 LIFE magazine에서 바로 KKK on the Stone Mountain, 기사를 읽게 되었다. 화보중심의 주간지라서 이곳에 실린 사진들은 과히 역사적 가치가 있었다.  사진기자가 어떻게 ‘변장’을 하고 이들의 ‘행사’에 잠입하여 당당하게 사진을 찍었는지, 과연 LIFE journalism의 우수성이 대단했다.

여기에 보이는 ‘신 단원 선서식’에서 많은 ‘인간’들이 관공서, 경찰 들의 member라는 것으로 당시의 ‘개화된 아틀란타’ 교육 수준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이채로운 것은,  이 사진의 설명들에서, 객관성을 자랑하는  LIFE 편집자들의 ‘이 그룹에 대한 혐오감’ 이 그대로 드러난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면, ” anti-Negro, anti-Catholic, anti-Semitic, anti-foreign, anti-union, anti-democratic”, “The ghastly spectacle of hooded human beings”, “Childish ritual”, “march in lock step, like old Georgia chain gang prisoners”, “the mumbo jumbo of initiating”…  이 중에서도 Georgia chain gang prisoners라는 말로 보아서 이들 [북쪽 사람들]이 얼마나 [바람과 함께 사라진] 조지아 주를 경멸, 조롱하고 있는지 짐작이 간다.

 

On the evening of May 9 [1946] at 8 p.m. a mob of fully grown men solemnly paraded up to a wide plateau on Stone Mountain, outside Atlanta, G., and got down on their knees on the ground before 100 white-sheeted and hooded Atlantans. In the eerie light of a half-moon and a fiery 200-by-300 foot cross they stumbled in lock step up to a great stone altar and knelt there in the dirt while the “Grand Dragon” went through the mumbo jumbo of initiating them into the Ku Klux Klan. Then one new member was selected from the mob and ceremoniously “knighted” into the organization in behalf of all the rest of his fellow bigots. During the two-hour pageant the more privileged members of the Klan padded about with an electrically lighted cross. Said a local Baptist minister of the exhibition, “The ghastly spectacle of hooded human beings trekking…to Stone Mountain to burn a cross…is a sad commentary on the words of the Son of God: ‘And I, if I be lifted up from the earth, will draw all men unto Me.'”.

This was the first big public initiation into the Klan since the end of World War II. It was put on at a carefully calculated time. The anti-Negro, anti-Catholic, anti-Semitic, anti-foreign, anti-union, anti-democratic Ku Klux Klan was coming out of wartime hiding just at the time when the C.I.O. and the A.F. of L. were starting simultaneous campaigns to organize the South and just at the time when Southern politicians were starting their campaign for state and national offices. Georgia’s former “white supremacy” Governor Gene Talmadge is trying a comeback this year and has said that he will “welcome” the support of the Klan. But it is doubtful that the Klan can become as frighteningly strong as it was in 1919. One indication of the Klan’s impotence was its lack of effect on Negroes, who were once frightened and cowed by the white-robed members. More than 24,000 Negroes have already registered for next July’s primaries in the Atlanta vicinity alone, where the Stone Mountain ritual was held.

 

THE KLANS “GRAND DRAGON,” SAMUEL GREEN, AN ATLANTA DOCTOR, IS SURROUNDED BY HIS ASSISTANTS

THE “NEW MEMBERS” march in lock step, like old Georgia chain gang prisoners, up to the Klan’s big altar. The Klan exultingly announced they had initiated 600 new members in one night. But observers’ best guesses were from 150 to 200.

A BURNING CROSS DURING MAY 9 INITIATION, STONE MOUNTAIN CEREMONY WAS PUT OFF MANY TIMES, KLANSMEN SAID, BECAUSE OF WARTIME SHEET SHORTAGE.

BEFORE THE GRAND DRAGON initiates kneel, repeating the ritual. The crowd included some Atlanta policemen. The five Atlanta “klaverns”(branches) are strong because many members of the police force are also members of the Klan.

 

 

 

비 오는 날의 파고다 공원, 오후 3시

‘비오는 날 오후 3시’의 파고다 공원, 1959년

 

파고다 공원, 옛 서울 그러니까 강북이 서울의 전부이던 시절 낙원동 오른 쪽에 있던 유서 깊은 시민의 휴식공간 역할을 했던, 요새 기준으로 보면 정말 아담하고 작은 공원이었다.  역사적으로 까마득한 옛날 옛적에 원각사 圓覺寺 라는 절이 있던 자리여서 그곳에는 절에서나 볼 수 있는 높은 탑이 아직도 남아있어서 그런지 일명 ‘탑골공원’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또한 그곳에는 남산 꼭대기에 있는  ‘팔각정’ 과 비슷한 정자 亭子가 [정확히 8각角 인지 아닌지는 모르지만] 있는데, 그곳에는 그 유명한 3.1 운동의 33인 독립선언문이 낭독되었던 역사가 남아있다. 

얼마 전에 문득 1950~60년대 대한민국 추억의 옛 영화들[한국영상자료원 제공]을 보다가 한 영화 첫 장면에서 그곳, 파고다 공원의 모습이 생생하게 나오는 것을 보았다. ‘서울의 지붕 밑‘이라는 1960년에 나온, 당시로서는 크게 성공한 조흔파 원작,  신상옥 감독, 제작의 코미디 영화다.  이 영화에는 서울의 중심 세종로 일대와 주택가 기와집들이 즐비하게 보이고, 구형 시내버스, 택시들 특히 시발택시도 보게 되는데, 사실 영화의 줄거리나 배우들 보다는 이런 쪽에 더 관심이 가는 것은 역시 ‘못 말리는’ nostalgia 향수병 탓일 것이다.

 

‘서울의 휴일, 1956년’의 파고다 공원

 

다른 추억의 영화들에도 파고다 공원의 모습이 빠지지 않고 나오는데 그 중에서도 1956년의 ‘서울의 휴일‘, 1959년의 ‘비 오는 날의 오후 3시‘, 1960년의 ‘로맨스 파파‘라는 영화는 첫 장면 배경이 아니고, 주인공들이 공원 안에서 연기하는 모습까지 나온다. 이런 옛모습들을 보면서 그 옛날을 회상하지 않을 수가 있는가?

 

비오는 공원에서 추억에 잠긴 주인공 ‘이민’

그 5년 전, 비오는 공원 벤치에서 김지미와의 만남

 

처음으로 이 파고다 공원엘 갔던 기억이 60년 이상이 지난 아직도 나의 뇌리에 남아있다는 사실에 나 자신도 놀란다.  재동국민학교 3학년 때 원서동 시절, 동네 골목에서 나를 아껴주던 ‘영순 형’이 있었다. 나보다 몇 살 위였고,  학교는 우리들 모두가 다니는 재동학교와 달리 까마득하게 멀게만 느껴지는,  약수동에 있는 ‘약수국민학교’에 다녔다. 왜 그렇게 먼 곳엘 다녔는지 그 때에도 의아스럽기만 했다. 그 형이 어느 날 나를 비롯한 몇 명의 친구들을 데리고 간 곳이 바로 파고다 공원이었다.

원서동 골목을 따라 뛰어가서 신작로가 나오면 가회동에서 내려오는 큰 길 어귀에서 남산 을 바라보며 내려가면 교동학교, 문화극장, 덕성여대, 천도교교회 등이  양쪽에 보이고, 더 내려가면 앞에 종로(2가)가 나올 쯤 오른 쪽에 공원입구가 나타난다. 공원이라곤 북악산 쪽으로 산과 숲 속의 삼청공원이란 곳만 알았던 때 이런 시내 한 복판의 공원은 처음 보는 것이었다. 그때 우리들 모두 정신 없이 공원 안으로 뛰어들어서 귀신들린 듯 뛰어 놀았던 기억, 너무나 생생한 것.. 지금도 그 신나게 놀던 우리들 모습, 눈물이 날 정도로 그립기만 하다. 그때 영순형이 공원 안으로  뛰어들어가며 ‘여기 돈 안 받아!’ 라고 소리치던 것도 기억에 너무나 또렷하니… 영순형, 보고싶습니다!

그때는 1956년 경이었을 것이다. 그 해에 나온 ‘서울의 휴일’이란 영화에 나오는 공원의 모습이 바로 이때 내가 보았고 놀았을 때의 모습이었을 듯하다. 팔각정, 원각사 탑(파고다, 탑골), 도처에 있는 추억의 벤치들… 그런 모든 것들은 바로 내가 예상했던 공원의 모습들이었다.  하지만 무직자들이 널려 있었던 당시, 이곳은 그들의 휴식처이기도 했고, 가정불화로 집을 뛰쳐나와 무료로 시간을 보낼 곳이기도 했다. ‘서울의 휴일’에도 영감님이 벤치에 누어 잠에 떨어진 모습도 보이고, ‘서울의 지붕 밑’에서도 주인공 김승호가 시의원 선거에서 떨어진 후 ‘가출’을 한 후에 간 곳,  또 1960년 영화 ‘로맨스 파파’에서 역시 아빠 김승호가 실직을 한 사실을 숨기고 매일 이곳으로 출근하던 것도 바로 이 파고다 공원이었다. 

영화 ‘서울의 지붕밑, 서울’, 파고다 공원, 1960년

시의원 낙선 후 가출, 파고다 공원의 김승호, 서울의 지붕밑 1960년

‘로맨스 파파’, 실직 후 파고다 공원으로 출근하는 아빠 김승호

‘로맨스 파파’ 의 끝 장면, 당시 우리들이 동경하는 그런 가정이었다

1957년 경, 그러니까 재동국민학교 4학년 때, 나는 다시 이곳에 남은 추억이 있다. 담임 김경구 선생님이 우리 집으로 가정방문을 온다는 ‘통고’를 들은 후에 나는 ‘혼비백산’한 심정으로 방과후에 간 곳이 바로 이 공원이었다. 왜 당시 나는 그렇게 선생님이 집에 온다는 것에 대한 공포감이 있었는지..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그날은 비가 쏟아지고 있었다. 빗속의 공원에서 ‘무직자, 가출자’ 같은 심정으로 공원에서 시간을 보냈던 기억. 집에 내가 없으면 선생님도 돌아가겠지 하는 생각을 했었던 것일까… 그것에 대한 기억은 희미하다.

그러다가 새로 인터넷에서 볼 수 있는 1959년경의 영화 ‘비오는 날의 오후 3시’란 영화를 보게 되었다. 하도 영화 보존상태가 나빠서 처음엔 무시하고 넘어갔지만 자세히 보니 이것이야 말로 ‘파고다 공원 영화’였다. 비 오는 날의 오후 3시는 바로 파고다 공원에서 일어난 이야기였다. 이 영화는 그야말로 ‘진흙 속에 감춰져 있던 진주’였다. 기라성 같은 1급 배우들[이민, 최무룡, 김지미, 최지희 등등] 이 총 출연했는데 특히 주인공 이민 씨의 연기가 아주 돋보였다. 그 2년 전에 내가 경험했던 ‘비 오는 공원’이 바로 이곳에서 영화로 재현되고 있었다.

이 ‘오후 3시’ 영화에는 그 유명한 추억의 발라드 ‘검은 장갑’ 을 ‘전설적인 가수’ 손시향이 부르고, 박재란 도 노래를 부르며 출연한다. 그러면서 주제곡인 ‘비 오는 날의 오후 3시’ 멜로디를 자꾸 들으며.. 어렴풋이 기억에 떠오른다. 아마도 이 곡, 거의 60년 만에 듣는 것은 아닐까?

 

‘검은 장갑’을 부르는 가수 손시향

 

요새 거의 매일같이 쏟아지는 겨울 비를 창 밖으로 느끼고 바라보며 생각한다. 그래… 나이를 깊이 먹는 것도 나쁘지 않구나… 그러니까 이렇게 아름다운 추억거리도 깊이 쌓여가는 게 아닐까? 물론 그것이 나만의 특권은 아닐지라도…

骨多孔症 약의 부작용?

연숙이가 어제부터 ‘비리비리, 기운을 빠지게’ 했던 이유는 골다공증 약의 부작용으로 밝혀지고 있다. 잘못 넘어지면 대형사고가 될 수도 있다는 이것, 그렇게 튼튼하고 곧은 골격을 자랑하던 때도 있었는데 어떻게 이렇게 뼈들이 약해졌는가? 그래도 이 정도라는 사실이 다행인가, 아니면 그저 나이 듦의 귀찮음인가.. 그래 나도 모르겠다. 그런 현실적인 ‘남의 고통’을 나는 왜 그렇게 ‘귀찮게’만 느끼려고 하는 것일까? 나에게는 왜 그 얇은 ‘측은지심’이라도 부족한 것일까? 내가 그런 지경이 되었다고 상상을 하면 조금 문제는 간단해 진다. 그렇다… 나도 그렇게 느끼려고 노력을 하여야 하는 운명인 것이다.

‘동경 교차점, 東京 交差点’ 이란 일본의  ‘short TV drama 묶음’을 본다. 그 복잡한 일본 도쿄의 구석구석에서 매초라도 일어날 수 있는 듯한 이야기들을 4편이나 보여준다. 나는 이런 ‘일상적 이야기’를 너무도 좋아한다. 왜 그럴까? 나와 비교를 하게 되면 그런대로 나도 ‘정상적’인 인간이라는 만족감을 느끼게 되어서 그런가? 아니면… 그래 나도 보통사람이다. 특별한 사람일 수가 없는 거다. 그것만 알아도 마음이 편해진다. 특별한 거 하나도 없어…

작은딸 ‘콩콩이’, 나라니를 생각한다. 이 병신 같은 아빠에게 그런대로, 곧 ‘할아버지’가 됨을 계속 상기시키려는 듯한 하는 나라니에게 미안함을 금할 수가 없다. 왜 나는 그런 병신 같은 할아버지가 되려 하는가? 미안하다… 미안하다.. 나의 어머니에게도 미안… 당당하게 당당하게 모든 ‘불편한 심정’을 극복하고 인정하고 받아들여라… 이 병신아.

우리가 할아버지, 할머니가 된다는 것

그런대로 편안하고 사랑스럽고 심지어 평화로움을 느끼고 있다. 게다가 눈물까지 나는 순간들을 정말 오랜만에 맞이하며 몇 시간을 즐긴다. 그래.. 이런 순간들도 나에게 필요하고 아니 나도 그럴 자격이 충분히 있지 않은가?

특히 우연히 보게 된 Andre Rieu의 정말 멋진 New York 공연에서는 다른 각도로 생각을 하게 되는 놀라움도 있었다. 미국이란 나라는 과연 나와 우리 가족, 우리의 부모님들에게는 어떤 의미를 주는 것인가 하는 생각이었다. 어쩔 수 없이 우리는 ‘미국의 혼’에서 절대로 떠날 수가 없는 운명임을 어찌 못 느끼겠는가? 미국, 미국은 어떤 곳이며 어떤 사람들이 살고 있는 것인가?

나를 낳아준 나의 조국 대한민국은 지금 어떤 곳인가? 왜 나는 자꾸만 현재의 그곳, 나의 고향을 잊고 살려고 발버둥을 치는 것인가? 왜 ? 왜? 왜?

내가 우리가 할아버지, 할머니가 된다는 것, 나는 아직도 그 ‘기쁨’을 못 느끼고, 아니 안 느끼려 발버둥을 친다. 이런 병신이 이 세상에 어디에 있단 말인가? 왜 나는 이렇게 시라소니로 살다 가는 것인가? 왜? 왜?

‘비 오는 날의 오후 3시’, 1959년 대한민국 영화 제목이다. 이렇게 생소한 영화가 그 당시에 있었나… 무심코 생각했지만 그래도 혹시 숨겨진 보물이 아닐까 하며 새로 찾은 youtube downloder를 test할 겸 보게 되었다..  현재까지 본 느낌으로는, 정말 보물로 판정이 나고 있다.

‘Sparky’ Fun

지나간 10여 년 이상 나에게 일어난 큰 변화 중, 주변에서 거의 모르는 것이 하나 있다. 사실은 나도 잊고 사는 사실이다. 쉽게 말해서 technical book을 거의 산 적이 없다는 사실이다. 나에게 technical 한 것은 물론 electronics, computer에 관한 것이다. 이 사실은 사실 나도 가끔 놀라는데, 어찌하다 이렇게 되었는지는 쉽게 말해서 나의 주 관심사가 지난 10년 동안 크게 변했다는 사실에 있다. 공학, 과학에서 신학, 인문학, 문학 쪽으로 갔다고나 할까..  신학 중에서는,  전통적 신학이라기 보다는 ‘과학과 종교의 대화’ 쪽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도 가끔은 역시 spark가 번쩍이는 ‘전기의 기운’을 보면 본능적으로 흥분이 되고, 본능적인 희열을 느낀다. 어릴 적부터 내가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았고 그것이 나의 일생 직업이 될 것도 의심치 않았다. 비록 전문직종에서 직장생활의 인간관계가 힘들 때가 있어도 일 그 자체에 대한 사랑으로 모든 것이 극복되곤 했다.

모든 전문성이 사라진 이 나이에서도 나를 제일 흥분시키는 것은 다름이 아닌 spark가 번쩍이는 ‘전류가 흐르는’ 전깃줄 바로 그것이다. 이 보이지 않는 ‘혼’, electron들의 마력에 빠진 이후 나는 그것을 즐기는 인생을 살았지만 근래에 들어서 그런 시간들이 점점 줄어들었다. 유일하게 그것들을 손으로 느낄 수 있는 기회는 가끔 찾아오는 ‘가전제품이 망가지는’ 그런 불편한 때 밖에 없다.

 

부분적 고장이 난 space heater, 타버린 power diode, troubleshooting ready

 

몇 년 전부터 유행하는 값싼 parabolic  electric space heater란 것, 이것은 분명히 ‘값싼 중국’에서 온 것이고, 수명이 그렇게 길지 못함은 값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는 그런 ‘일회용 제품’ 에 속한다.  몸에 직접 햇볕을 쬐는 효과를 최대한 살린 것이라 겨울에 몸으로 느끼는 추위를 순식간에 없앨 수 있는 이점으로 꽤 유행을 했고 우리도 예외가 아니다.

그 중에 한두 대는 이미 고장이 나서 버렸는데, 이번에는 완전히 고장이 난 것이 아니고 ‘强, 弱’ 중에 ‘弱’ setting에 고장이 났다. 내가 주로 쓰는 것이 바로 ‘弱’인데, 이것이 안 되면 또 버려야 한단 말인가? 그래서 이번에는 내가 고쳐보기로 해서 결과적으로 $5.00 part와  일주일의 시간으로 고치게 되었다. 이번에 값싸게 ‘강,약’을 조절하는 그들의 방식을 알게 되었다. AC power에 heating element 가 직접 연결이 되어있는 것이’강’ 이고 power (solid state) diode를 통한 것이 ‘弱’ setting이었다. 그러니까, 60 cycle 중에 절반의 power를 쓰는 것이므로 half power를 그야말로 ‘간단하게’ 만드는 효과적인 방식이었다.

이번의 문제는 물론 값싼 diode가 일찍 수명을 다하고 타버린 case였다. 이 diode만 교체하면 쉽게 고칠 수 있는 것인데 이 ‘값싼 중국’제 part를 구하는 것이 문제였다. Corona Virus때문인지는 몰라도 그 쪽에서 이 part를 ‘수입’하는 것, 불가능한 것이었고 할 수 없이 다른 곳에서 다른 part로 대체하는 방법을 찾았는데.. 그것과 비슷한 power diode는 미국 내에서 구하기가 쉽지 않았다. 있다고 해도 싼 것은 절대로 아님을 알게 되고, 다시 이 heater를  ‘버릴까 말까’하는 선택에 봉착하게 되었다.

 

60 hertz 117V power cycle, diode로 half cycle이 차단 됨

 

문제는 망가진 diode와 specification이 비슷한 것, 아무 것이나 OK라는 간단한 결론이고, 또한 simple diode가 아니고 bridge rectifier diode[diode가 4개나 내장된] 도 ok일 것이라는 생각이었고, 이런 종류의 것은 이곳 미국 내에서도 지천으로 널려있는 것으로 $5.00 정도로 손쉽게 그것도 그 값으로 2개나 묶음으로 사게 되어, 곧바로 고치게 되었고,  다른 heater에 이 문제가 나면 나머지 남은 part로 문제없이 고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1주일도 못 되는 ‘수리과정’에서 느낀 것은 ‘행복’ 그 자체였다. 멀쩡한 것 landfill로 가는 것도 방지했지만, 전기의 spark가 손끝에 느껴지는 순간들을 오랜만에 맛 보았던 그 사실이 나를 너무나 행복하게 한 것이다. 앞으로 더 신경이 둔화되기 전까지는, 이것도 perfect time-killer가 되겠다는 생각도 든다.

 

대체 부품 bridge rectifier diode, 4개 중에서 하나만 사용됨

성모님과 수선화

꽃과 나무 같은 것들을 좋아하는 배우자와 오래 살아왔지만 나는 그런 것들에 대한 관심과 지식이 아주 빈약하다. 한때, 태고 적 시절, 정확히 고등학교 2~3학년 때 ‘화훼 花卉’ 라는 책을 열심히 보며 메마른 콘크리트 2층 집 옥상에다 ‘포장마차’같은 화분, 화단을 만들어서 식물에 심취한 적이 있었다. ‘공돌이’ 성향의 내가 어떻게 그런 ‘짓’을 한때, 그것도 공부만 해야 하는 고등학교 때 했는지 아무리 생각해도 나 자신을 이해할 수가 없었다. 그 이후 나는 이 꽃과 나무에 대해서 완전히 잊고 살았다.

근래에 나이가 지긋이 들면서 조금씩 나의 눈에 이 꽃과 나무들의 모습이 보이기 시작했다. 이것은 전혀 의도를 한 것이 아니었다. 저절로 눈이 떠졌던 것이다. 노력을 한 것도 없고 생각한 적도 없는데 하나, 둘, 셋, 보이기 시작하고 그것들을 보며 흐뭇한 느낌까지 가지게 되었다. 시에서나 보던 그 초목들의 아름다움을 몸소 느끼게 된 것이다.

몇 년 전부터 나의 눈을 끈 것은 그렇게 추운 2월 초에 어김없이 눈 속에서도 피어나는 수선화였다. 물론 서정적인 느낌의 classic folk , seven daffodils 를 추억 속으로 연상하기도 했지만, 언제나 변함없이 추위를 견디며 backyard에서 피어나는 그 모습과 성모님의 강인하고, 변함없는 인자한 미소는 잘 어울림도 알게 되었다.

우리가 속한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소속, 레지오 마리애 주 회합에서는 ‘총 사령관’인 성모님 상 앞에 2개의 꽃이 든 병을 놓게 되어있는데, 매주 이것을 구입하는 것도 사소한 일이 아니다. 요새같이 단원 수가 극소화 될 때는 재정상 더욱 문제가 된다. 이럴 때 집에 꽃을 가꾸는 시절이 오면 조금은 문제가 완화가 된다. 요새가 바로 그런 시즌의 시작인 것이다. 거기다 겨울이 지나가는 때의 청초한 수선화는 성모님과 어찌나 잘 어울리는지…

졸지에 악동 惡童이 된..

졸지에 나는 악동 惡童이 된 느낌이다. 악동, ‘악’은 나쁘지만 ‘동’은 그런대로 봐 줄만하지 않을까? 비롯 ‘불쾌한 짓’은 저질렀어도 성모님은 나의 손을 꼬옥 잡아주시면, ‘그래 그런 때도 있는 거야…’ 할 실 듯하다.

그렇게 오늘 레지오 ‘꾸리아 월례회의’를 피하고 싶었다. 왜 그렇게 피하려고 했을까… 그 레지오 토론대회, 시범주회에 연관이 되었던 탓이다. 모처럼  ‘레지오 마지막 일’로 생각하며 임했던 이 일이 정말 우습게도 꼬이고 꼬인 것, 절대로 좋은 결과가 아니었다. 조금 더 내가 참을성을 가지고 신중하게 그 ‘손주같이 젊은 애’를 다루었다면… 조금은 달라질 수도 있었지 않을까? 물론 그렇다. 하지만 그것은 불필요하게 피곤한 일로 보였다. 보람도 그렇게 크지 않을 수 있었다.  그래… 이제는 잊자. 잊자… 그런대로 할 수 있는 노력은 해 보지 않았는가?

이렇게 하느님을 젊었을 때 찾은 사람들… 상상하기가 어렵다. 물론 나의 경험에 의한 것이지만 어떻게 그렇게 젊은 나이에 하느님의 현존을 느낄 수가 있었을까? 그것이 어떻게 믿어졌을까? 그래서 은총이라고 하는 것일까? 아직도 나는 의아스럽고 신기롭기만 하다.

나와 같이 이렇게 늦게 ‘만남’을 경험한 사람들이 또 있을까? 나이와 상관이 있을까?    

Surprise snow, after Daffodils…

눈이 쏟아지기 시작, 길에 쌓이기 전

드디어 눈이 온다… 그것도 함박눈이. 비록 땅에 떨어지면서 녹을 것 같지만 그래도 이것이 웬 떡이냐? 하느님, 성모님… 감사합니다. 제 소원을 풀어주셨습니다. 이런 날을 꿈 속에서만 그렸습니다. 비록 이런 날 따끈한 커피를 마시며 Trappists 수도원으로 드라이브 하는 것은 쉽지는 않겠지만 그것이 대숩니까? 아무래도 좋습니다.

이 시간이면 우리 동네 Holy Family 성당의 아침 미사가 시작되었을 텐데… 미사를 보면서 유리로 된 제단 뒤쪽,  밖으로 눈 쏟아지는 모습을 보고 있을 우리  ‘매일미사 친구 아줌마, 아저씨’들, 얼마나 한눈을 팔까… 궁금하다. 신부님도 미사 집전에 신경을 쓰는 것이 어렵겠다는 즐거운 생각도 든다.

결국은 나의 소원은 풀어졌다. 작년에 안 왔던 이 하얀 추억의 선물을 나는 얼마나 기다렸던가. 2014년의 괴로운 추억도 이제는 아련하고 포근한 추억으로 퇴색이 되고 있지 않은가? 세월의 마력이고 매력이 아닌가?

 

이번 ‘진짜’ 눈은 거의 2시간 동안 ‘쏟아졌다’. 며칠 전부터 피기 시작한 수선화, 매화 위로 소복한 눈이 쌓인다. 내가 그리던 최소한의 소원은 풀어진 셈이다. 조금만 기온이 더 낮았으면 아마도 불편함을 느끼게 될 정도가 될 뻔했다. 오늘 것은 정말 눈으로, 기분으로 너무나 포근하고 즐겁고 아련한 것이지만 움직이는 사람들에겐 큰 불편이 없는 그런 ‘뜻밖의 사건’이 될 듯하다. 감사, 감사, 감사…

 

 

나에게 평화란 것이 요새 있을까?

나에게 평화란 것이 요새 있을까? 지나친 걱정하는 고약한 습성이 슬그머니 나에게 스며든 것은 아닐까? 즐겁고, 행복하고, 평화스러운 나의 지난 10년..이라는 것이 내가 쓴 ‘소설’은 아닐까?

너무도 자주 찾아오는 ‘깊은 슬픔이나 두려움’, 이것이 나의 우울증일까? 지나치게 분노하는 나의 깊은 속, 그것을 나는 어쩔 줄 모르며 괴로워하고… 이것이 혹시 나의 지나친 복잡한 생각일까?

무엇이 나를 우울하게 만드나. 잠도 예전처럼 깊이 들지 않고, 그렇게도 또렷하게 남던 꿈들도 이제는 흐릿하게만 느껴진다. 옛날의 아름다운 추억을 찾으려 하면 그것조차 전같이 또렷하지 않다. 많이 잊어버리고 있고 사실 희미해진 것들도 꽤 있다. 나의 자랑, 나의 보물이 바로 그 옛날의 추억들인데… 왜?      

봄이 오면 나는

2월의 매화, 그리고 수선화, 또 피었구나 올해도… 반갑다…

 

¶  2월로 달력이 넘어가면서부터 나의 머릿속 깊은 곳에서 떠오르는 것이 있었다. 2월 초면 거의 시계처럼 피어나는 ‘청초하고 노오란 것’,  늦겨울 황량한 우리 집 뒷마당 먼 쪽으로 오롯이 피어나는 수선화의 모습이 떠올랐다. 매년 이 꽃이 피는 것을 보며 봄이 아주 멀지는 않았음을 느끼곤 하는데, 올해는 왜 유난히도 이 모습이 또렷하게 떠오르는 것일까? 이런 모습을 앞으로 얼마나 더 보게 될 것인가.. 하는 아주 sentimental 한 느낌도 없지 않다.

올해는 bonus로 그 옆에 가느다란 나뭇가지에 매화꽃이 같이 피어 올랐다. 전에 못 보았던 것인데 아마도 연숙이 언젠가 이곳에 심어 놓은 모양인가 보다. 매화꽃, 연숙이 문인화에서 즐겨 그렸던 것, 나는 사실 처음으로 가까이 실물을 보는 셈이다. 그러면서 일본애들의 전통적 ‘화투’의 2월에 이것, 매화가 있었음을 알고 실소 失笑를 금치 못한다. 어떻게 이 나이에야 이런 사실을 깨달았단 말인가?

올 겨울은 나에게는 정말 재미없는 계절이 되고 있다. 비록 12월은 겨울답게 춥고 싸늘하긴 했지만 겨울의 꽃, 눈이나 진눈깨비 같은 것이 전혀 없었다. 특히 이 지역에서는 평균적으로 한두 번씩 찾아오는 snow day같은 ‘괴롭지만 즐거운’ 그런 긴장감의 기회가 현재까지 전혀 없었다.  올 겨울에 만약 ‘첫눈’이 온다면 위험을 무릅쓰고 Conyers1 의 수도원을 방문하리라 던 나의 소년 같은 희망도 이제는 포기할 때가 된 듯하다.

 

¶  봄이 오면 나는…  비록 2월 초이긴 하지만 경험상 2~3월은 겨울답지 않아도 겨울이다. 언제고 ‘날씨의 놀람’은 찾아온다. 특히 이때에 느끼는 ‘추위’는 한 겨울의 그것과 질적으로 종류가 다르다. 한마디로 더 ‘심한 싸늘함’이 있는 것이다. 그래도 이때가 되면 각가지 ‘봄의 기대’ 에 대한 추억과 생각이 떠오른다. 또한 가톨릭 전례로 이때는 사순절을 시작하는 ‘재의 수요일 Ash Wednesday‘가 있어서 올해의 부활절을 떠올린다. 이제는 이때가 나의 일년을 돌아보는 시기가 되고 있다.

요새 즐겨보는 이해인 수녀님의 오래된 1990년대 수필집 ‘꽃삽‘, 이곳에서 수녀님이 생각하는 봄의 모습을 본다.

역시 수녀님, 시인답게 ‘봄은 꽃’이라는 서두로 시작한 단상이다.  이 서문을 읽으며 나도 어린 시절의 봄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나와 나이차이가 그렇게 나지도 않고 그 무렵 서울 가회동에도 인연이 있기에 더욱 그 시절 봄의 정경이 떠오른다.

난방시설이 초라했던 그 1950년대 그 시절, 겨울을 서서히 벗어나던 때는 정말 황홀한 느낌뿐이었다. 수녀님의 묘사, 포근한 흙 내음새, 어김없이 피어나던 각종 꽃들,  어디 있다가 다들 모여왔는지 그 각종 새들, 그 중에서도 나에게 ‘즐거운 추억의 눈물’을 자아내게 하는 것은 역시 ‘이슬비’가 아닐까? 꽃이 피어나는 앞마당으로 잔잔히 내리는 이슬비를 바라보며 내가 하늘로 떠오르는 착각 속에 빠지던 시절이었다. 당시의 동요들은 어쩌면 그렇게도 단순하면서도 즐겁고 멋지던가.

추위에서 해방이 된 아이들, 갑자기 밖에서 노는 시간이 배로 불어난 즐거움 속에서 얼마나 흙과 나뭇가지를 가지고 놀았던가. 그 시절의 코흘리개 ‘남자’ 친구아이들, 이제는 모두들 할아버지가 되었을 것이다. 세월의 흐름이 가져다 준 각종 ‘편리함’이 앗아간 것들을 아쉬워하면 다음 세대와 그 다음세대를 본다.

 

***************

 

봄이 오면 나는 – <꽃삽>, 이해인

 

봄이 오면 나는 활짝 피어나기 전에 조금씩 고운 기침을 하는 꽃나무들 옆에서 덩달아 봄앓이를 하고 싶다. 살아 있음의 향기를 온몸으로 피워 올리는 꽃나무와 함께 나도 기쁨의 잔기침을 하며 조용히 깨어나고 싶다.

봄이 오면 나는 햇볕이 잘 드는 안뜰에 작은 꽃밭을 일구어 꽃씨를 뿌리고 싶다. 손에 쥐면 금방 날아갈 듯한 가벼운 꽃씨들을 조심스레 다루면서 흙냄새 가득한 꽃밭에 고운 마음으로 고운 꽃씨를 뿌리고 싶다.

 

 ‘조금 답답하겠지

그렇지만 꾹 참아야 해

땅은 엄마니까

꼬옥 품어줄거야

한잠 푹 자고 나면

우리 또 만나게 될거야’

 

언제 읽어도 정겨운 김교현 시인의 동시를 외우면 흙을 덮어주면 꽃씨들은 조금쯤 엄살을 부리다가도 말 잘 듣는 아이처럼 ‘알았어요’ 라고 대답할 것만 같다.

봄이 오면 나는 매일 새소리를 듣고 싶다. 산에서, 바다에서, 정원에서 고운 목청 돋우는 새들의 지저귐으로 봄을 제일 먼저 느끼게 되는 나는 새들의 이야기를 해독해서 밝고 맑은 시를 쓰는 새의 시인이 되고 싶다. 바쁘고 힘든 살의 무게에도 짓눌리지 않고 가볍게 날아다닐 수 잇는 자유의 은빛 날개 하나를 내 영혼에 달아주고 싶다. 봄이 오면 조금은 들뜨게 되는 마음도 너무 걱정하지 말고 더욱 기쁘고 명랑하게 노래하는 새가 되고 싶다.

봄이 오면 나는 이슬비를 맞고 싶다. 어릴 적에 항상 우산을 함께 쓰고 다니던 소꿉동무를 불러내어 나란히 봄비를 맞으며 봄비 같은 이야기를 속삭이고 싶다. 꽃과 나무에 생기를 더해 주고 아기의 미소처럼 사랑스럽게 내 마음에 내리는 봄비. 누가 내게 봄에 낳은 여자 아기의 이름을 지어 달라고 하면 서슴없이 ‘봄비’ ‘단비’라고 하고 싶다.

봄이 오면 나는 풀 향기 가득한 잔디밭에서 어린시절 즐겨 부르던 동요를 부르며 흰 구름과 나비를 바라보는 아이가 되고 싶다. 함께 산나물을 캐러 다니던 동무의 이름을 불러보고 싶고, 친하면서도 가끔은 꽃샘바람 같은 질투의 눈길을 보내오던 소녀시절의 친구들도 보고 싶다.

봄이 오면 나는 우체국에 가서 새우표를 사고, 문방구에 가서 색연필, 크레용, 피스텔, 그리고 마음에 드는 편지지와 그림엽서를 사고 싶다. 답장을 미루어둔 친지에게 다만 몇 줄이라도 진달랫빛 사연을 적어 보내고 싶다. 동시를 잘 쓰는 어느 시인으로부터 맑고 고운 무리 말을 다시 배워서 아름다운 동심의 시를 쓰고 싶다. 시를 외우다가 잠이 들고, 꿈에서도 시의 말을 찾고 싶다.

봄이 오면 나는 모양이 예쁜 바구니를 모으고 싶다. 내가 좋아하는 솔방울, 도토리, 조가비, 리본, 바느질 거리, 읽다가 만 책, 우편물 등을 크고 작은 바구니에 분류해 놓고 오며 가며 보노라면 내 마음도 바구니가 되는 듯 무엇인가를 오밀조밀 채우고 싶어진다. 바구니에 담을 꽃과 사탕과 부활달걀, 믿음과 희망과 사랑의 선물들을 정성껏 준비하며 바쁘고도 바쁜 새봄을 맞고 싶다

사계절이 다 좋지만 가을엔 ‘달맞이 마음’, 봄에는 ‘해맞이 마음’이 된다고 할까? 꽃들이 너무 많아 어지럼증이 나고, 마음이 모아지지 않아 봄은 힘들다고 말했던 나도 이젠 갈수록 봄이 좋아지고 나이를 많이 먹고서도 첫사랑에 눈뜬 소녀처럼 가슴이 설레인다.

봄이 오면 나는 물방울 무늬의 앞치마를 입고 싶다. 유리창을 맑게 닦아 하늘과 나무와 연못이 잘 보이게 하고 또 하나의 창문을 마음에 달고 싶다. 먼지를 털어낸 나의 방 하얀 벽에는 내가 좋아하는 화가 사제가 그려준 십자가와 클로드 모네가 그린 꽃밭, 구름, 연못을 걸어두고, 구석진 자리 한곳에는 앙증스런 꽃삽도 한개 걸어두었다가 꽃밭을 손질할 때 들고 나가야겠다. 조그만 꽃삽을 들고 꽃의 얼굴을 들여다보며 그 아름다운 음성에 귀를 기울이노라면 나는 멀리 봄 나들이를 떠나지 않고서도 행복한 꽃마음의 여인, 부드럽고 따뜻한 봄 마음의 여인이 되어 있을 것이다. 

<1994>

  1. Atlanta, Georgia의 suburb

YAN: Yet Another Nostalgia

Nostalgia, 향수’병’ 鄕愁病… 허~ 이것도 이제 보니 병 病 그러니까 주로 ‘정신 질병’이다. 몸과 마음, 특히 마음이 아픈,  분명한 병은 병인 모양이다. 나에게는 특히 친숙한 이 ‘병’, 약 7 년 전에 우연히 신문기사 New York Times 에서 이것에 관한 ‘연구 결과’를 본 적이 있었고 그것에 대해서 나의 생각을 쓴 적이 있었다. 당시에 이런 것도 연구 대상이 되는구나 의아하고 재미있기도 했다.

유별나게 아련한 감정에 자주 휩쓸리는 나의 모습을 숨기고 사는 것도 쉽지 않은 것이 나의 중년 이후의 모습이기도 했다. 고향도 그렇지만 지난 시절을 유별나게 그리는 것, 간혹 이것 병이 아닐까 하고 생각도 해긴 했다. 그러다가 그 ‘과학적 연구’의 기사를 읽고 많이 위안을 받고 이해를 하게 되었다. 내성적인 성격과 향수병에 쉽게 걸리는 type은 흔히 우려하는  mental disorder는 아닌 모양이었다.

그러다가 이번에는 더욱 재미있는 기사를 읽게 되었다. 이번에는 지나간 Atlantic Magazine 이 그 출처가 되었다. 기사의 제목이 유별나게 흥미롭고 재미있었다. 이름하여: Study: Nostalgia Makes Us Warm, and Cold Makes Us Nostalgic… 그러니까.. “향수’병’은 우리를 따뜻하게 하고, 추위는 우리에게 향수병은 가져다 준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부제 副題다.  ‘쉬지 않고 지나간 12월의 추억에 빠지면 집의 난방비가 줄어든다’. 와~ 과연 무슨 뜻일까…

대강 짐작은 간다. 포근한 지난날의 아름다운 추억에 빠지면, 그러니까 ‘향수병에 빠지면 몸도 따라서 따뜻해 지고,  또한 추위는 우리에게 향수병을 가져다 주고, 따라서 난방비가 줄어든다’ 는 논리다. 조금은 웃기는 듯 하지만 나는 150% 동감이 간다. 과학적으로 증명하기는 쉽지 않겠지만.

하지만 이 Atlantic의 기사는 과학적으로 그것을 증명하고자 시도한 것이고 그들의 가설은 충분히 이유가 있는 것이었다.  이 연구의 결론은: ‘춥거나, 슬프거나 외로울 때, 특히 holiday season에는 지나간 행복했던 시절의 생각에 빠져라’ 는 것이다. 따라서 나는 앞으로 죽을 때까지 그렇게 돌아가고 싶은 아름다운 시절의 추억을 즐기며 따뜻하게 살고 싶고 난방비 절약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

 

Study: Nostalgia Makes Us Warm, and Cold Makes Us Nostalgic

Lindsay Abrams  December 4, 2012

 

Non-stop reminiscing about December past may cut down your gas bill.

PROBLEM:  Why do we get so nostalgic in December? Smell, touch, and music have all be proven to evoke it, and the holidays have all three (though, apologies if you’re not being touched enough this seasons.) While they can spur us to give love to our fellow men, or remind of us what’s important in life, they may also serve a more utilitarian function.

METHOLOGOGY: Researchers at the University of Southampton recruited college students to participate in five relatively basic studies centering around nostalgia to warmth. Some of them would probably make great holiday party games.

  1. Participants were asked to keep a journal of nostalgic feelings over 30 days, which were then compared to each day’s weather.
  2. Participants were placed in rooms ranging from cold to comfortable to over-heated, and then asked how nostalgic they felt.
  3. In an online study, participants listened to music and were asked about how nostalgic it made them feel, along with how warm they currently felt.
  4. Participants were placed in a cold room and instructed to reflect on nostalgic or ordinary memories, and to then guess the room’s temperature.
  5. After being asked to recall a nostalgic or ordinary memory, participants placed their hands in iced water and were instructed to keep them there for as long as they possibly could.

Different participants were used for each study.

 

RESULTS:

Success on all fronts. The journalers recorded more nostalgic thoughts on colder days. The people in cold rooms rated highest on nostalgia scales. The people for whom the music evoked the most sentimentality reported feeling warmer. The people told to think nostalgic thoughts while in the cold room had the warmest estimates for what the temperate actually was. And the unlucky participants in the ice water experiment lasted longest when they focused on nostalgic memories.

CONCLUSION:  Nostalgia appears to both to be evoked in chilly atmosphere and to have a protective effect against the cold – either by making us feel warmer or at least increasing our tolerance.

IMPLICATIONS: If you’re cold, sad, and lonely this holiday season, lose yourself in memories of happier times. That will take care of at least one of your problems.

 

The full study, “Heartwarming Memories: Nostalgia Maintains Physiological Comfort,” was published in the journal Emotion.

LINDSAY ABRAMS is a former editorial fellow at The Atlantic.

칠십이 년과 마흔 번째..

Ruby Anniversary, 연숙아, 우리들 오래 살았다…

 

¶  지나가는 일주일 동안 나는 칠십이 년을 살아온 ‘태어난 날’ 과, 배우자와 같이 가정을 이루며 산 세월 40년의 기념일을 연속으로 맞게 되었다. 쉽게 말해서 72세 생일, 결혼 40주년 기념일을 4일 간격으로 맞은 것이다.

항상 ‘기념일’로 바쁜 느낌을 받는 1월이어서 솔직히 근래에 들어서는 은근히 스트레스까지 느끼곤 하였다. 그래서 올해는 ‘아이들’에게 모든 기념일 축하는 사절한다고 충고를 하기도 했다. 그러니까, 확실히 마음이 조금 편한 듯함을 느낀다.

생일이 그렇게 즐겁지 않다는 것을 애써 부정하는 것도 우습지만, 이렇게 ‘축하 거부’하는 나 자신도 웃긴다. 다행히도 ‘아이들’이 모두 올해는 바쁜 모양이어서 나의 전략은 성공했고 비교적 조용히 ‘미역국만 먹는 하루’를 즐기게 되었다.  진짜 옛날 ‘어렵던 시절’의 생일이 되살아난 듯 해서 신선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나이 일흔둘… 허.. 어쩌다가 이렇게 오래 살았는가? 100세 시대라는 말도 웃기지만, 70세면 어떻고 100세면 어떤가? 무조건 오래 사는 것이 그렇게 좋은가? ‘적당한 세월을 적당한 건강으로 적당한 모습으로’ 살다 가는 것, 나는 그것을 바란다. 제발 주위에 큰 부담 안 주고 가면 더욱 더 좋고. 이 세상에 있는 기간과 저 세상의 무한한 세월을 어떻게 비교를 할 수 있을까? 이런 사실을 잊고 사는 우리들이 바보가 아닌가?

가정을 이루고 산 세월이 40년, 이것은 조금은 자랑스럽다. 이유는 자명하다. 그렇게 못 살고 있는 사람들이 부지기수이기 때문이다. 어쩌다 이렇게 세상이 변하고 있는가?  결혼 초에 40년 뒤를 내다본 적이 있었을까? 없다. 절대로. 그저 미래는 안개 속에 있었을 뿐이었다.  그런 안개 속을 헤치며 나아간 우리의 인생,  이제는 조금 피곤을 느끼기도 한다. 무언가 쉬고 싶은 그런 것, 이것이 칠십 년 세월의 느낌일까?

생물학적, 육체적 죽음이 진정한 끝이 아님을 안 이후 이제는 마음만은 편하다. 궁극적 희망이라는 것을 찾았고, 느꼈기 때문이다.  이런 높은 진리를 늦게나마 알게 된 것을 감사하며 일흔두 살의 생일과 마흔 번째 결혼기념일을 조용히 지낸다.

 

연호 친구들, 1968년 9월, 관악산에서..

 

¶  ‘연호 延護’ 옛 친구들:  1월 중순 즈음이 되면 불현듯 떠오르는 옛 친구의 생일 1월 15일이 나를 반세기 전으로 되돌아가, 생일의 주인공인, 잊고 싶지 않은 친구 양건주와 당시 연세대 캠퍼스주위를 중심으로 같이 어울렸던 ‘연호’ 클럽 친구의 모습들이  함께 삼삼하게 떠오른다.

올해도 예외가 아니어서 정확히 1월 14일 저녁, 그러니까 대한민국 시간으로 1월 15일 오전 즈음에 근래에 우리들이 가끔 이용하는 카카오톡으로 생일축하 메시지를 보냈다. 솔직히 주인공인 건주의 반응 메시지는 기대했지만 의외로 ‘모두들’이 즉각적으로 생일축하 인사를 보냈고 정말 오랜만에 모두 한마디씩 신년인사를 나누게 되었다. 이런 뜻밖의 ‘모임’은 정말 즐겁지 않을 수가 없다.

반세기를 뛰어넘는 ‘늙은 우정’을 다시 확인한 것으로 나는 만족한다. 모두 어떻게 사는지, 어떤 모습으로 70대를 맞이하고 있는지 모르지만 이렇게 ‘살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모두의 정확한 생일날짜도 서로 확인을 하고 최소한 생일날에는 서로 이렇게 축하를 하자고 하였다.

그 옛날의 철없던 시절의 사진을 다시 보며 나는 숙연한 기분에 빠진다. 전보다는 이런 때의 기분을 잘 조절을 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이렇게 ‘이유 없이 즐겁게만 느껴지는’ 옛날의 추억을 나는 어찌할 수가 없다. 그저 포근하고 아름답게만 느껴지니…

 

 

¶  오늘은 신년 들어서 첫 ‘등대회’ 월례모임엘 참석을 하게 되었다.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의 유일한 ‘장년층’ 친목단체인데, 사실 옛날 같으면 ‘노인들 단체’로 분류될 법도 한 연령층인 60~70대가 주 멤버들이지만, 80대 이상의 그룹이 별도로 있기에 ‘노인’이란 말은 피하게 되었다. 우리는 1년 전에 다른 친목단체인 ‘구역모임’을 안 나가게 되었기에 이제는 이곳이 유일한 social group이 되었다. 그래서 이제는 조금 더 정성 쏟으며 이 단체를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려고 노력을 한다. 오늘은 미리 알고 있었지만 1월 달 생일을 맞는 멤버를 축하하는 모임이기도 해서 내가 혼자서 축하를 받게 되었다. 생일을 미역국으로 때우려고 했던 원래의 의도와는 달리 뜻밖으로 이곳에서 정식으로 케이크와 ‘생일축하’ 노래까지 받게 되었다. 멤버의 숫자가 갑자기 늘어나는 듯한 이 모임, 앞으로 어떻게 변화, 발전이 될 것인지 모르지만 제발 ‘분열과 갈등’이 없이 건강하게 지속되기를 우리는 기도하고 있다.

신년 벽두 장례미사有感

 

장례식, 장례미사, 연령회 연도..  이제 나에게는 너무도 친숙하게 느껴지는 이 말들은 모두 죽음에 관련되는 말들이다. 불과 10여 년 이전만 해도 나는 이런 것들을 거의 모두 피해가며 살아왔었다.  ‘죽음의 진리’를 요리조리 피하며, 모래 밑으로 얼굴을 파묻고 살았다는 표현이 바로 나의 모습이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제는 이 ‘죽음의 모습’을 눈으로 보고, 기리며 보내는 것이 거의 습관화가 될 정도로 많아졌고, 나름대로의 ‘망자 亡者와의 이별’ 하는 방법과 철학까지 생기게 되었다. 물론 기본적인 철학은 가톨릭적인 것이지만 이제는 내 생각의 일부가 되었음을 느낀다.

각양 각색의 인생을 살아온 사람들을 보내는 모습도 모두 다르겠지만 그런대로 경건함을 지키는 가톨릭 장례미사는 그 나름대로의 ‘장엄 의식’이 있고 그에 따른 조문객들의 엄숙함이 보인다. 일반 장례식은 물론이고 개신교 의식 조차도 이에 비해서 나의 눈에는 너무도 ‘사회적 모임’이라는 느낌을 떨칠 수가 없다. 한마디로 고인의 궁극적인 삶의 의미, 목적, 가는 곳, 등등에 대한 것들을 느낄 수가 없는 것이다.

 

오늘은 올해 들어서 첫 장례미사에 가게 되었다. 작년에는 1월 초에 간 기억인데 올해는 조금 늦은 셈인가. 오늘의 주인공은 40여 년 전, 우리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의 창립멤버로 활약을 했었고 그 이후에도 여러 가지 사회봉사활동을 해서 이 지역에선 잘 알려진 분이었다.  지병으로 한국의 어떤 요양원에 계시다 며칠 전, 향년 80대 중반에 선종하시고 유골함이 다시 이곳으로 왔는데, 고인의 경력을 감안하셨는지 신임주임신부님, 최대한의 예우로 장례미사를 거행하셨다. 예를 들면 부활초가 켜지고 제대의 초의 숫자 등, 모두 평소의 장례미사와는 달랐던 것을 느낄 수 있었던 것이다.

내가 생전의 고인을 직접적으로 만난 적은 없었지만 이런 분의 영결식에 참여하는 것은 레지오 단원으로서의 의무로도 생각되어서 ‘갈까 말까’하다가 온 것이었고 신부님의 고별사도 다시 기억하고 싶은 ‘신학적 깊이’를 더해 주는 그런 것이어서 ‘오길 잘 했다’하는 생각을 하였지만, 애석하게도 성당을 떠날 즈음의 느낌은 그것이 아니었다.

 작년 이맘때에 있었던 장례미사의 ‘악몽’이 떠올랐고, 그 이전에도 간혹 겪었던 좋지 않던 기억도 되살아 난 경험을 다시 하게 될 줄은 꿈에도 몰랐다. 이 지나간 두 가지의 비슷한 경험은 모두 ‘너무나 무리하게, 길고 길었던 미사’라는 것, 놀랍게도 그것이 오늘 다시 찾아온 것이다.

장례미사는 일반 장례식과 조금은 달라야 하는 것이 아닐까? 미사가 끝나기도 전에 ‘고별식’이란 것, 각종 지인들의 고인에 대한 고별사들, 어떤 사람들은 아예 짧지 않은 강연을 하기도 하는데 한국말을 모르는 조문객들이 거의 없는데 모든 말을 영어로 번갈아 가며 하기도 한다.  제일 괴로웠던 경험은 ‘정말 보기 언짢은 태도’로 한 없이 계속되는 ‘우리 사상 최고의 영웅’ 아빠에 대한 추억들.. 정말 끝도 한도 없었다. 내가 죽었을 때 딸들이 그렇게 하는 것, 관속에 들어가 내가 듣게 된다면 아마도 관 뚜껑을 열고 나올 정도가 아닐까..  어제도 큰 예외는 아니었는데, 이번엔 ‘반세기 추억의 영화’까지 가미가 된 것이 이채로웠다. 일반 장례식장에 가면 예식 전후에 뒤 배경으로 계속 보여주던 video를 이번엔 성당 미사 중에, 그것도 ‘끝이 안 느껴질 정도로’ 무수한 영상들을 보여주었다.  내가 앉았던 위치로 보아 도저히 탈출할 수가 없었던 상황이었다. 나에게 이것은 완전한 show stopper로 느껴진 셈이고 앞으로 ‘장례미사 공포증’이 생기지나 않을까 하는 우려까지 생긴다.

이래서 크건 작건 성당의 연령 행사는 ‘상식을 가진 책임자’가 책임을 지고 시작부터 끝까지 행사에 참여한 조문객들의 사정도 조금은 사려해 주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애석하게도 이제까지 이런 것들에 대한 책임자의 존재여부는 정말 불확실한 것이었다.  또한 앞으로 장례미사에 올 때는 끝나는 시간을 먼저 확인 받고 싶은 간절한 심정을 뿌리칠 수가 없다. 어쩌다가 이렇게까지 되었는가..

연말, 연시를 모두 놓친 느낌..

나는 요사이 느낀다. 깊은 곳,  속에서 우러나오는 그 ‘평화의 샘, 평정의 샘’이 예전에 비해서 덜 하다는 것을..  그것은 어떨 때는 거의 고통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왜 그럴까? 나이가 들어가는 것과 상관이 있는 것은 아닐까? 비록 내가 앞으로 어떻게 ‘죽어갈 것인가’ 하는 것에 큰 공포는 없을지라도 어찌 그것이 그렇게 간단한 문제인가? 나는 이제 분명히 하느님을 믿게 되었고, 인간이 되신 하느님의 존재와 역사도 믿게 되었지만 성인이나 현자는 분명히 아닌 것이다. 문제투성이의 이경우 ‘시라소니’ 란 사실에는 변함이 없지 않은가?

현재 나를 가까이서 괴롭히는 것은 점점 심해지는 치통일 것이고 이것이 거의 정기적으로 나를 우울하게 하는 것은 틀림이 없다. 그렇다면… 어찌 나는 이렇게 속수무책일까? 고통은 고통으로 다른 뜻으로 받을 수도 있지 않은가? 그렇게 호들갑을 떨며 고통을 호소할 필요는 없지 않은가? 이렇게 고통의 순간을 나에게 다른 쪽을 바라보고 깨달을 수 있는 기회로 삼을 수는 없을까… 모두 나의 궤변일까?

예년과 조금 다른 성탄, 새해를 보내며, 조금은 아쉬운 감이 없지는 않으나 그래도 ‘가족적’인 의무에는 큰 문제가 없었다. 간신히 가부장의 위치를 고수하고 있지 않는가? 주위의 가부장들은 여행도 가고 즐겁게 사는 것, 모르지 않고 부럽기도 하고 은근한 부러움을 넘어 시기심이 일기도 하지만 어쩔 수가 없다. 그것이 나에게 제일 중요한 것이 아님을 직감적으로, 피부로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저 2020년 이후에 확실하게 다가오는 ‘그 큰 놀라운 순간들’을 기다리며, 모든 것을 미루며 지내는 것도 그렇게 나쁘지 않은 전략이 라고 생각하니까… 그때까지 모든 것을 미루어 보자…

하얀 눈을 노래하다시피 기다렸던 올 겨울, 비록 12월은 겨울처럼 추위는 느끼게 해 주었을지언정 그 ‘하얀 가루’ 는 하늘에서 안 내려오고 있다. 게다가 현재 1월은 거의 늦은 봄같이 따뜻하고 비의 연속으로, 연숙의 ‘수선화가 피게 생겼다!’ 고 외치는 ‘지겨운’ 언급을 나는 매일 들어야 하게 되었다. 그래… 이런 것들 우리가 어찌할 것인가? 천상 어머니의 소관이 아니던가? 하지만 첫 눈이 올 무렵 Conyers, Monastery 로 drive를 하자.. 는 거의 바보같이 감상적인 느낌들, 올 겨울의 기다림으로 살아가는 나의 모습도 가관일 듯하다.

1월의 달력도 반 이상이 깨알 같은 글씨로 가득하다. 그래도 매일매일 열심히 살았기에 그렇지 않을까? ‘무거운 1월’의 느낌은 주로 새로와 나의 생일’, 그리고 결혼기념들이 몰려 있어서 그런 것이라 나는 이번에 용감하게 ‘생일모임 사절’을 선언했고 새로니도 마찬가지.. 잘 했다.. 생일이 왜 그렇게 힘들어야 하느냐 말이다!

레지오, 자비의 모후, 생각만 해도 우울해지는 것, 어찌하나? 3명의 실질적 단원이면 위기중의 위기지만 이제는 거의 잘 적응이 되었는지 예전처럼 우울하지는 않다. 하지만 솔직이 체면은 말이 아니다. 특히 월례보고를 할 무렵이면 도망가고 싶은 심정이 된다. 의연금 $30.. 도 그렇지만 진짜 문제는 더 나아질 가능성이 안 보인다는 슬픈 현실에 있다. 나는 속수무책이고 연숙이 동동 뛰는 모습도 그렇고, 왜 이렇게 되었을까?

이 모든 문제의 시발점인 그들 2명의 거의 미친X들에게 모든 불똥이 튈 수밖에 없는 바람직하지 않는 상태까지 되고… 야~~~ 이 병신 같은 미친X들아.. 너는 미쳤다.. 모든 것을 망쳤다… 소리소리 지르고 싶은 심정밖에 들지 않는다… 그 중 한 명의 미친X이 최근에 슬금슬금 비굴한 느낌으로 나타나는 것을 보고 측은하기 전에 분통을 감추기도 힘들다.

큰 일이 기대되지 않던 1월에 나와 연숙은 역시 ‘하늘에서 내려 온 과제’라고 생각하여야만 하는 일들을 맞는다. 3명 단원의 우리 자비의 모후에서 2명이 ‘차출’되어 ‘토론대회의 주역’을 맡게 된 것… 생각을 해 본다. 못할 것 없지만 이런 timing에 혹시 무슨 뜻이 있는 것은 아닐까? 이것이 우리의 레지오 과정에 어떤 영향이 있는 것은 아닐까? 조금 귀찮은 심정은 떨칠 수는 없지만 이제는 모든 것이 늦었다. 2월 26일 까지 부담감과 사명감을 가지고 나아가는 수 밖에는..

그래… 나는 아직도 제일 큰 가족사의 변화를 의식적으로 피하고 있다. 그것이 나를 가슴 속 깊이 비수로 찌르고 있다. 나는 아직도 작은 딸에 대한 그 무언가를 간직하고 있다. 이제 조금 있으면 내가 할아버지가 된다는 그 사실을 나는 거의 무조건 ‘척’하며 살고 있는 것이다. 어떻게 이럴 수가… 나도 놀란다. 나는 아직도 방관자의 입장에 서 있는 것이다. 나는 할 수가 없다. 어찌할 수가 없다. 모든 것은 시간과 세월이 해결할 것이라는 사실만 기대고 있다… 아, 하느님이시여..

Lofty shelf coming down…

몇 달 전부터 생각하던 귀찮은 일을 드디어 해치웠다. 거의 20년 전인 2001년 9.11 테러사건이 난 후에 울적한 심정으로 만들었던 두 개의 giant hanging shelve 중에 하나를 해체한 것이다. 우리 집의 garage ceiling이 유별나게 높기에 이사 오면서부터 항상 그 천정의 공간이 아깝다는 생각을 하며 살았다.  거의 2층 deck정도의 높이라서  차고 공간의 절반이 ‘놀고’ 있는 셈이었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storage용으로 거의 다락방 크기로 선반을 만들어서 천정에 매달아 놓은 것이다.  공간 재활용이 목적이긴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거의 쓸모가 없이 방치된 상태로 20년이 지나갔다. 방치된 것은 아니지만 storage용도로는 너무나 높고, 깊어서 한번 쓰려면 차를 빼고 사다리를 써야만 하는 불편함을 미처 생각지 못한 것이다.

이제는 잡동사니를 하나 하나씩 버려야 하는 나이에 이런 bonus storage은 바람직한 것이 절대로 아님을 알기에 미련 없이 없애 버렸고 나머지 하나도 곧 사라질 것이다. 4시간 노동의 보람은 충분히 있었다.

 

冊: 나가사키의 노래

나가사키의 노래, 영문판(원서) 표지

손가락이 저려온다. 아니 가끔씩은 거의 마비가 된 느낌도 든다. 거의 일주일 동안 빠른 속도로 typing을 했던 것에 대한 후유증일 것이다.  새해 벽두부터 나의 눈앞에서 사라지지 않는 책을 ‘필사’를 하며 읽기 시작해서 이제는 거의 끝이 나고 있다.

‘지난해’  12월 22일에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에서 빌려온  제목  ‘나가사키의 노래, 원제 原題: A Song for Nagasaki‘ 라는 300 page가 조금 넘는 결코 짧지 않은 책으로, 저자는 호주 Australia 출신 폴 글린 Fr. Paul Glynn 신부,  옮긴이는 [개신교 신자] 김숭희 씨로 되어있다.

이 책은 한마디로 ‘서양’ 신부가 뒤늦게 발견하고 이해하게 된,  ‘동양인’,  ‘일본의 간디’로 불리며 추앙 받는,  ‘나가이 다카시 永井隆’ (방사선학 의학) 박사에 대한 책이다.

가톨릭 신부가 저술하였으므로 분명히 이 책의 배경에는 ‘가톨릭, 천주교’가 있음이 분명하고, ‘나가사키 長崎’라는 지명이 들어가 있으니 또한 제2차 세계대전 시,  히로시마 廣島에 뒤따른  ‘제2의 원자폭탄 피폭지’가 또 다른 배경으로 깔려 있음을 짐작하게 한다.

성당 도서실에서 이 책의 제목을 보았을 때, 선뜻 손이 가지를 않았다. 불현듯 느낌에 이 책의 원류에는 ‘엔도 슈사쿠 遠藤 周作’의 책과 그에 따른 Hollywood 영화, ‘침묵‘과 연관이 있음을 짐작했고, 17세기 나가사키의 기독교인 성 ‘미키’를 포함한 26명의 순교자들의 생각도 났다. 일전에 그 책 ‘침묵‘을 빌려 읽었던 연숙의 얼굴표정을 읽었을 때, 나는 그 책에 언뜻 손이 가지 않았다. 순교를 하는 장면을 너무나 실감나게 표현하는 글들을 나는 피하곤 했었기 때문이었다.

더욱이 원자폭탄이 바로 옆에서 폭발하는 것을 목격하였고, 사랑하는 아내가 흔적도 없이 눈앞에서 사라진 것들,  그와 관련된 오랜 전 역사적 사진, 실화도 접했을 때, 솔직히 나는 이런 가공할 ‘지옥의 모습’들은 모두 없는 것처럼 피하고 싶었던 역사였다.

하지만 이번에는 불현듯 이 책으로 손이 갔고, ‘무조건 읽자’ 라는 생각이 스쳤다. 책꽂이에는 같은 책이 무려 4권이나 있었던 것을 보고 ‘아, 많은 사람들이 열심히 읽고 있구나’ 하는 안도감도 도움이 되었다.

성탄절을 며칠 앞둔 날 이 책을 빌려와서 읽기 시작했지만 본격적으로 ‘필사’를 하며 읽기 시작한 것은 새해를 맞이하면서부터였다. 그러니까 올해 2020년 경자년의 새해벽두부터 나의 머리 속은 1940년대 중반 일본 나가사키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의 일본 정세 등 자세히 몰랐던 역사의 속으로 이끌려 들어갔다. 이 책의 특징, 일단 읽기 시작하면 손을 놓을 수가 없었다는 사실이었다. 불과 일주일도 지나지 않아서 ‘필사’와 완독을 할 수 있었고, 그 이후는 이 책의 내용이 나에게 주는 교훈, 의미를 생각하게 되었다.

비록 침략적 패전국의 군의관이었지만 그는 적국의 사람들을 차별하지 않고 치료를 했으며, 과학자의 입장에서도 용감하게 신앙을 살았고, 대학 방사선과 연구의 후유증과 원폭시의 심한 상처로 백혈병으로 고생을 하면서도 지치지 않고 주위에 버려진 더 어려운 사람들을 돌보았다. 굽힐 줄 모르는 불굴의 용기와 하느님에 대한 믿음, 그에 따른 거의 완전한 인간애, 이 책은 주인공 나가이 다카시는 그야말로 한마디로 전형적인 ‘성인’ 후보감 이었다. 공식적으로 성인의 품에 오르는 첫 단계인 ‘주님의 종’ 이지만 분명히 다음 단계인 ‘가경자 venerable’, ‘복자 blessed’ 을 거쳐 언젠가는 완전한 성인이 되리라 확신한다. 나가사키의 노래,  ‘필사본’은 이곳에 한정적으로 보관되어 있다.

 

이천 이십 년?

 

이천 이십 년? 허… 지나가는 10년 동안 부지런히 이천 십…을 되뇌며 살아서 그런지 이천 이십 어쩌구… 하는 것이 이렇게 이상할 수가 없다. 십진법의 ‘십’이란 숫자의 마술인가. 이제 두 시간 정도가 지나면 부지런히 부지런히 이천이십을 되풀이해야 한다. 하지만 이곳에서는 퉈니 퉈니, twenty twenty 2020, 20/20 (2.0 시력) 로 되니까 조금은 익숙한 느낌인가…

아~  이것이 decade적인 세월인가, 10년마다 겪는 이런 것을 돌아보니 사실은 20년 전에 우리는 대사건을 겪은 경험이 있었다. 1999에서 2000으로 바뀌던 그 무렵..  이런 것들로 1900년대 중반 이전부터 살아온 덕분에 이런 멋진 ‘세월의 숫자’들을 몸소 경험하게 되었다.

 

올해의 섣달 그믐날 밤에는 예상을 벗어나 3-2-1, Happy New Year! Countdown 하는 요란한 모습, 그것도 뉴욕에서 생방송 하는 것 보는 것을 지나치기로 하고 자정 몇 시간 전에 잠자리에 들어버렸다. 원래 계획은 바쁘고 피곤한 아이들이 안 온다기에,  모처럼 우리 둘이서만  ‘멋지게’ Champaign잔을 마주치며 ‘HAPPY NEW YEAR!!’을 외치려 했었다. 하지만 생각해보니 설날 아침에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 의무대축일 미사가 있기에 일찍 일어나야 한다는 사실을 핑계로  이 몇 년 된 전통을 포기한 것이다.

 

일찍 침대에 누웠지만 사실 깊은 잠에 들 수가 없었다. 3-2-1의 뉴욕의 생방송은 꺼졌지만 이번에 집 주변에서 요란하게 터지는 firework소리가 생각보다 요란하였다. 올해는 아이들의 장난이 아니고 아주 pro들이 즐기는 모양으로 오랫동안 지속되어서 몇 시간 동안은 아예 ‘새해의 기분’ 을 즐기는 셈치고 누워있게 되었다.

2020의 요상한 숫자의 느낌을 떠나서 심각하게 ‘늦은 세월’의 의미를 찾아 보았다. 내 나이 이제는 절대적, 긍정적으로 젊어지지는 않는다. 70대의 나이는 또 따른, 가볍지 않은 짐을 지고 나아가는 느낌, 그것은 육체적인 건강상태다. 수치상으로 나는 현재까지는 큰 issue가 없지만 머리 속으로 느낌은 그것이 아니다. 나의 나이는 나이인 것이고 그것이 정직하고 겸손한 태도가 아닐까. 겸손하게 살자, 겸손하게…

다시 성탄이 지나가며..

¶  공식적 겨울이 시작된 동지 직후의 며칠은 올 겨울의 추위를 예고하듯이 뼈까지 저려오는 싸늘하고 을씨년스럽기만 한 그런 것이었다. 모든 것이 깜깜하게만 느껴지는 초저녁은 과연 일년 중 제일 밤이 길었음을 실감하게 했다. 올 겨울을 맞으며 나는 작은 꿈을 꾸고 있었다. 하얀 눈이 ‘적당히’ 내리는 날 아틀란타 교외 Conyers 에 있는 Holy Spirit Monastery,  Trappists 수도원으로 연숙과 멋진 드라이브를 하는 그런 것이었다.  그곳의 gift shop의 coffee또한 일품이어서, 눈 나리는 수도원의 풍경과 함께 멋진 우리들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하지만 역시 그것은 역시 올해도 꿈으로 끝나는 듯하다.  아직까지도 전혀 눈이 올 기미가 안 보이는 것이다.

작년에 비해서 성탄 트리, 장식은 조금 일찍이 끝났고 올해도 이것들은 새로니 생일 early January 즈음까지 성탄씨즌 동안 밤과 낮을 밝힐 것이다. 예년에 비해서 Hallmark holiday movie들을 훨씬 덜 보고 있다. 지난 2~3 년 동안 나는 이것을 정말 즐겨 보았지만 올해는 그렇게 마음의 한가함이 없었던 듯 하다. 갑자기 ‘망가진’ garage door opener  때문에, 성탄 바로 직전까지 tool time (replacing garage door opener) 으로 머리가 복잡했던 것도, 편하게 느긋하게 video를 볼 여유를 갖지 못하게 했다.

그런 와중에서도 성탄 전야에 우리 extended family members 들이 모두 모일 수 있었다. 보통 4명이 모이던 가족행사가 올해는 6명으로 늘었다. 3월 초 출산예정인 작은 딸 부부,  내년 6월 결혼예정인 큰딸 새로니와 그의 약혼자까지 남녀의 비율이 1:1 이 되었다. 세월의 횡포인지 혜택인지는 모르지만 분명히 세월은 이렇게도 정직하게 흐른다는 것을 절감한다.

 

올해의 트리 장식은 연숙이 모두 했고, 가족들로부터 책을 포함한 선물도 받았다

 

¶  Smart Garage Door,   일년도 훨씬 지나간 작은 악몽의 추억이 아직도 머리 속에 삼삼하다. 2018년 새해 즈음에 갑자기 garage door가 오르내리는 모습이 이상하여 보니 extension spring 하나가 피곤한지 축 늘어져 있었다. 하나의 door 무게가 150 파운드가 넘는데, 2개의 door의 balance는 물론이고 그것이 오르는데 너무나 힘에 겨운 것이었다.  물론  늘어진 extension spring 탓이었음은 알았지만 다행히 opener motor자체는 아니어서 그대로 넘어갔지만 그때의 ‘작은 사고’는 악몽으로 남아있었다.

그러던 것이, 최근에 점점 opener motor의 소리가 요란해지는 것을 알았고, 결국은 이번에 내가 보는 앞에서 door opener motor 에서 연기가 치솟으며 갑자기 모든 것이 조용해졌다. 30여 년의 힘겨운 service를 마치고 ‘영면’한 것이다.  실망 전에 나는 이’놈’에게 감사를 드렸다. 참 오랫동안 정직하게 임무를 수행한 것이다.

이것이 망가지면 불편함이 이만저만 아니다.  이 무거운 차고문을 차에서 내려서 손으로 열고 닫는 것, 못할 것은 없지만 비라도 오거나 하면 낭패지만 새것으로 바꿀 때까지 며칠은 피할 도리가 없었다.

급하게 Home Depot에 가서 opener model을 살펴보고 Internet을 뒤지고 해서 찾은 것이 Chamberlain B750란 놈인데, Belt Drive라서 아주 조용하고 게다가 소위 말해서 Smart Model로 Smart Phone App으로 control이 되는 것인데 나는 이 사실 보다는, 전에 쓰던 screw drive보다 훨씬 ‘조용한’ belt drive라서 이것을 골랐다.

 이것을 고르고 산 것은 쉬운 일에 속하고, 이것을 손수  install해야 하는 골치 아픈 일이 나의 온 신경을 곤두세우게 했다.  Pro의 service도 있지만, $100이상임은 둘째치고 나에게 이런 option은 한마디로 ‘최후의 선택’에 속한다. 죽이 되던 밥이 되던 이것은 나의 몫인 것이다.

나이의 영향인지 tool을 다루는 감촉도 예전과 같지 않아서 사실 특별히 조심해야 하는 부담도 있다. 전에 garage door spring 사고를 당한 경험도 별로 즐겁지 않아서 일을 선뜻 시작하기가 싫었지만 일단 시작이 되면서 거의 ‘자동적’으로 나의 머리는 ‘공돌이’의 그것으로 서서히 바뀌고 결과적으로 며칠 만에 우리는 최신형 smart garage door opener의 혜택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설치 후 첫 번 가동시에 놀란 것이.. 너무도 조용하다는 사실이었다.  전에는 ‘열차’가 지나가는 소리처럼 시끄러웠는데 지금은 그것이 가냘픈 소음 정도로 변한 것이다. 또한 smart phone으로 control이 되면서 문이 열린 상태를 real-time으로 알 수가 있다는 것, 이것도 아주 편한 점이다. 가끔 집을 떠난 후에  ‘내가 문을 닫았는가..’ 하는 의심이 들 때가 있기 때문이다.

그 과정, 공정을 되돌아 정리하면 사실 괴로운 순간 순간들이 도처에 매복해 있었다는 사실을 숨길 수가 없다. 또한 각가지 크고 작은 ‘문제’들에 접해서 시간이 pro에 비해서 훨씬 오래 걸렸지만 이것은 나에겐 큰 문제가 안 된다. 시간이 넉~넉 하기 때문이다.

 

Chilly Morning with Handel

아주 매섭게 싸늘한, 빙점으로 향해 올라가려 애처롭게 안간힘을 쓰는 아침, 무섭게 새파란 하늘이 나를 더욱 움츠려 들게 만든다. 겨울 시작의 선을 긋는 동지를 이틀 앞둔 날 치고는 seasonable한 날씨일 듯하다. 하지만 조금 더 바란다면 조금 ‘덜 싸늘하고’,  조금 ‘더 흐린’ 그런 아침이었으면… 하는 바램을 떨칠 수가 없다. 나의 느낌은 조금 덜 싸늘하고 포근하게 되지 않았을까…

조금 쳐지는 기분을 뜨게 하는 것은 역시 coffee grinding 소리와 곧 이은 아늑하고 감미로운 향기가 있고 조금은 들뜨게 하는 소리, 음악이 있다. Big Screen TV로 kitchen에서 보게 된  YouTube는 2년 전 이맘때에 심취해서 보고 또 보고 듣고 했던 Handel’s Messiah 연주공연이 아닌가.  이 공연은 comment로 알게 되었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이 합창단과 orchestra는 동구권인 Czech Republic, Prague였다. 이 공연을 보면서 비로소 conductor의 역할을 실감하게 되었다. 전 공연을 마치 마술에 이끌리듯 감상할 수 있었던 것이다.  HD이 아닌 ‘조잡한’ video였지만 그런 문제는 생동감이 넘치는 audio가 모두 감싸주었다.

 

 

Collegium & Collegium Vocale 1704

Vàclav Luks, Director

Hana Blazikova, Soprano

Delphine Galou, Alt

Markus Brutscher, Tenor

Marián Krejcik, Bass

Recorded at l’Abbatiale Saint-Robert de La Chaise-Dieu, 21 August 2011

 

Classical music에 거의 문외한이었던 나는 뒤 늦게 이런 인류의 보물을 조금이라도 알려고 노력은 했지만 역시 역부족에 미치고 있는 듯하다. 우선 젊었던 시절의 이 분야에 대한 ‘추억’이 거의 없는 것이 치명타였다. 추억의 매력이 전혀 없이 ‘공부’만 한다는 것은 쉽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는 나를 죽음의 강을 넘어가게 인도하는 길잡이인 가톨릭 신앙의 도움을 전적으로 받고 있고 이 Handel의 걸작품 역시 그런 시각으로 보고 있다. 크리스마스나 부활절, 모두 이 ‘메시아’가 주인공이 아닌가?

 

세 번째 대림초가..

¶  세 번째 대림초가 켜졌다. 대림 제3주를 맞는 것이다. 또한 2010년대 마지막 해 2019년 마지막 달의 절반이 지나가고 있다.  공식적 겨울인 동지가 일주일 정도 남았고, 대림절이 끝나고 성탄시기가 시작되는 25일을 열흘 앞두고 있다.

도라빌 순교자 성당은 예년에 비해서 일찍 성탄장식의 불들 켜지기 시작했는데, 너무 일찍 시작되는 ‘축제분위기’를 자제하라는 교황의 권고 영향인지 몇 년 전부터는 확연히 ‘기다리는 분위기’로 바뀐 것을 느끼고 있다.

나 자신도 그런 것이 싫어서 가급적 성탄 전에 가깝게 조금씩 장식을 시작하려고 했고, 확연히 그것은 심리적으로 좋은 영향을 준 것을 실감한다. 성탄절, 그러니까 크리스마스가 모든 것의 시작이라는 생각을 하는 것이다. 대림절, 그러니까 성탄절 전까지는 ‘조용히 기다리는’ 것이고 축제 분위기는 성탄부터 시작이 되는 것, 거의 나의 모든 생애에 걸쳐서 나도 ‘세속적’으로 살았음을 알게 된다.

올해 새로 부임하신 이영석 사도 요한 주임신부님의 바람인지 올해는 성당의 장식들이 일찍 준비가 되었고, ‘사상 초유’로 성당건물 밖에 ‘사람이 살만한 크기’의 거대한 구유가 설치 되었다.  성탄의 기다림을 조금이라도 실감나게 보여주려는 ‘선행 투자’가 아닌가 생각도 들었다.

 

¶  ‘새’신자 안내:  12월 한달 동안 내가 속한 레지오 ‘자비의 모후’가 교중미사  (새)신자안내의 역할을 맡았기에 한달 동안 우리는 ‘의무적’으로 한국성당엘 와야 한다. 따라서 12월 모든 주에 우리는 ‘역사를 자랑하는’ 동네 미국성당의 교중미사는 모두 빠지게 되었다. 평일, 매일미사를 미국성당으로 가기에 큰 ‘심리적’인 문제는 없지만 그래도 무언가 허전한 것은 사실이다. 이럴 때 나는 나의 ‘정체성’에 혼란을 겪는다. 내가 미국에서 사는가, 대한민국의 연장선에서 사는가… 장기간 세월이 지나면서 이런 것에서 나는 편치 않은 그 무언가 항상 느낀다. 그 무언가 확실치 않은 것, 그것이 나는 싫은 것이다.

신자 안내, 사실은 주보를 나누어 주며 인사를 하고, 혹시 새 신자가 소개되면 그들을 미사 후에 ‘접대, 신자등록’ 하는 것인데, 3주를 연속으로 하다 보니 이제는 제법 익숙한 것이 되었다. 성당 정문 안에 서서 들어오는 교우에게 주보를 나누어 주며 따뜻한 인사를 하는 것, 이렇게 쉬운 일이 세상에 어디에 있을까? 이것이야말로 ‘win-win’중의 극치, 인사 받는 사람, 주는 사람 모두 그렇게 기쁠 수가 있을까?

문제가 하나 있다면… 흠… ‘웬수’의 모습이 눈앞으로 다가온다면?  이런 상황을 예견하지 않을 수가 없다.  선택의 여지는: (1) 공손히 인사하며 주보를 건네준다. (2) 얼굴은 안 보고 주보는 건네준다. (3) 얼굴을 똑바로 보며 전혀 모르는 사람취급을 한다. (4) 안 본 척하며 비켜선다. 여기서 나는 아마도 (2) 아니면 (3)을 선택하리라 마음을 먹었고, 은근히 그 ‘레지오 미친X’ 의 얼굴을 상상하기도 했다.

하지만 내가 마주친 교우들은 100% ‘천사’같은 모습으로 나에게 다가왔고 3번씩이나 경험한 이 ‘교우신자안내’ 일은 즐거운 일로 느껴지게 되었다. 하지만 다른 쪽에 서서 안내하던 연숙은 그런 행운이 없었다. 바로 그쪽으로 ‘웬수’의 ‘가오’가 다가갔기 때문이었다. 솔직히 그 ‘웬수’가 그렇게 당당하게 접근했다는 것은 상상 밖이었기에 놀랐던 모양이고, 결과적으로 신부님께 ‘성사’를 보게 되는 사태까지 갔다. 결과적으로 다시 겪고 싶지 않은 경험이었겠지만 앞으로는 그 ‘웬수’가 다시는 우리에게 접근하지 못할 것이라는 느낌이 들어서 오히려 다행일지도 모른다.

 

¶  Rock-Bottoming Out: 지난 주 레지오 주회합을 기점으로 우리 자비의 모후 쁘레시디움은 완전히 바닥까지 갔다는 회의감이 들었다.  제일 우리가 ‘차세대’을 지향하며 희망을 걸었던 두 자매, 모두 극복하기 힘든 복잡한 가정사정으로 물러나고 실제로 움직이는 단원이 기본적인 요건을 채울 수가 없는 상황이 된 것이다. 전에는 단원의 숫자가 그렇게까지 절대적으로 중요한 것은 아니라는 편한 생각을 가졌던 것이 사실이었다. 하지만 단장의 입장이 되고 보니 이것이야 말로 기본적 요건 중의 제일 중요한 것, 왜 몰랐을까?

이렇게까지 된 제일 큰 원인은 2년 전에 그 ‘레지오 미친X’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그 ‘미친X’은 개인적으로도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주었지만 그것보다 더 치명적인 것은 우리 레지오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었다는 사실,  이 사실만은 내가 눈을 감아도 잊지 못할 것이고 아니 잊어서는 안 된다고 결심을 하였다. 우리 둘의 결론은 그 ‘미친X’은 절대로 절대로 절대로 ‘뉘우칠 능력이 결여된 불구자’라는 사실이다.

앞으로 우리 자비의 모후는 어떻게 될 것인가? 솔직히 아무도 모른다. 새해에 과연 신단원 후보가 나타날까? 신부님의 적극적인 본당차원으로 홍보는 하고 있지만 암만 보아도 요새 교우들,  친교나 노는 데 더 신경을 쓰는 것을 보면 너무나 실망적이다.

 

¶  Tool Time’s Coming! 우리가 이사올 당시에 있었던 garage door opener 가 드디어 마지막 숨을 쉬었다. 몇 달 전부터 날씨가 싸늘해지면서 garage door가 움직이는 모습이 애처로울 정도로 늦고 마지막 안간힘을 쓰는 듯 motor의 소음소리가 더욱 더 요란하게 들렸다.  우리가 이사를 온 때가 1992년 봄이니까 최소한 이 garage door opener는 거의 40년에 가까워 온다. 이 정도면 훨씬 전에 retire가 되었을지도 모르지만 우리 것은 ‘장수 長壽’를 한 셈이다.

새것을 찾아보니 완전히 wifi/internet까지 겸한 hi-tech model 들 투성이다. 내가 바라는 것은 ‘힘찬’ powerful motor 로  2개의 문짝을 문제없이 올렸다 내렸다 하면 된다. Home Depot website 에서 찾아서 사온 것은 $200 짜리 Chamberlain model B750 , 3/4 hp인데 이것은 지금 것이 screw drive인데 비해 belt drive라서 noise level이 훨씬 낮을 것이라고 하는데 물론 좋겠지만 우리에게는 절대적으로 중요한 이점은 아니다.

문제는 이것을 교체하는 ‘쉽지 않을 수 있는’ 일거리가 남았다. 한번도 내 자신이 이것을 설치, 교체해 본적이 없기에 불안한 점은 있지만 ‘만능 교실’ YouTube를 보면 그렇게 어려울 것처럼 보이지 않았다. 이것을 실제로 교체하기 까지는 차가 드나들 때마다 근육으로 문짝을 올리고 내리고 해야 하는데 소낙비가 오지 않는 한 그것은 큰 문제는 아닐 듯 싶다. 다만 절대로 젊어지지 않는 나이가 문제라면 문제다. 절대로 절대로 작년 Hyundai Sonata의 Fuel Pump 교체하던 때의 실수, 악몽을 잊으면 안 된다. 나의 지나간 시절의 기술적 감각에 연연하면 안 된다, 안 된다.

 

¶  스테파노: 정말로 오랜만에 박스테파노 형제님 부부와 마리에타 소재의 ‘싸리골’ 이란 한국음식점에서 주말의 밤 늦게까지 식사를 하며 즐겁고 보람 된 시간을 즐기게 되었다. 이곳은 비록 우리동네인 마리에타에 있는 것이지만 우리의 일들이 주로 도라빌에 가는 기회가 더 많아서 가끔은 이곳을 잊고 산다. 그래서 그런지 이곳은 한국사람보다는 이곳 사람(보통 미국사람이라고 칭하는)이 훨씬 더 많은 듯 보였다. 한국의 ‘고기요리’가 이곳에 많이 알려지면서 이곳도 business가 전 보다 더 활발한 것 같았다.

이 스테파노 형제님을 개인적으로 알게 된 것이 불과 2년이 조금 넘었지만 부부의 나이가 우리와 너무나 비슷하고 관심사도 그렇게 서로 멀지 않음을 알았다.  현재 business를 모두 정리하려고 나이에 비해서 너무나 고생하는 것을 알기에 하루 빨리 모든 것이 해결되어 편하게 retire를 할 수 있게 되기를 바라고 있다.

공대출신인 형제님의 관심사는 나의 그것과 비슷한 부분이 적지 않은데 그 중에는 ‘양자 물리학 quantum physics’ 의 각도에서 본 신앙체계도 있는데 이 형제는 나보다 더 ‘동양사상’까지 가미가 되어서 요새 읽었던 Fritjof CapraTao of Physics의 그것과 크게 차이가 나질 않는다. 앞으로 시간이 나면 부부가 서로 다시 만나서 이런 흥미로운 화제로 긴 담소를 나누는 모습을 상상하며 헤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