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루하고 쳐지는 유월 초에..

하루 하루 날씨가 똑같으니까 세월이 서서히 가는 듯도 하지만 벌써 목요일.. 하면 너무 빠른 듯… 이것이 나이가 들어가며 느끼는 세월의 모습인가? 빠른 듯도 하고 느린 듯도 하고…  날씨의 변화가 이제는 조금 그립다. 덥던 춥건, 다시 땅이 말라가는 것을 보니까, 조금은 삭막한 느낌이다.

 

성경통독, 어느새 삼손과 데릴라..아니 ‘들릴라’까지 왔다. 이 대목에서는 어쩔 수 없이 1950년대의 Hollywood영화, Samson & Delilah 를 생각 안 할 수가 없다. 사자를 동물의 턱뼈로 때려죽이는 Samson역 Victor Mature, 십대의 나이에 느껴본 ‘관능적인 매력’의 Delilah역 Heddy Lamar의 요염한 모습…  1967년 Tom Jones가 불렀던 hit oldie, Delilah 딜라이라, 당시 ‘겁도 없이 날뛰던’ 조영남의 딜라일라, 이런 것들이 줄줄이 연상퀴즈처럼 풀려 나온다. 이모든 것들이 구약 판관기의 짧지 않은 대목이었다는 것을 어찌나 알았으랴.

하느님에게서 눈이 멀어지면 이민족에게 억압을 당하고, 돌아오면 그들을 ‘쳐 죽이며’ 해방을 얻고… 이것이 거의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자그마한’ 이스라엘의 역사, 이것이 구약의 거대한 흐름인 듯하다. 여기서 끝나는 유대교의 신앙인가, 그들은 어떻게 그렇게 철저히 예수의 존재를 무시할 수가 있었던 것일까?

 

간단하지 않은 결정을 오늘 단행 했다. Catholic sites: CRISIS Magazine, Catholic Thing과  EWTN의 National Catholic Register같은  newsletter를 모조리 cancel한 것이다. 이것 이외도 정리해야 할 곳이 더 있을 것이다… 그 동안 그들의 위선적인 ‘정치적’ 논조에 동의할 수가 없었던 것이 쌓인 것이다.  소위 말해서 예수 그리스도를 신봉한다는 fundamentalist들이 가톨릭에도 예외가 아님을 알았지만 이제는 솔직히 지겨워지기 시작한 것이다. 사랑과 정의는 흑백논리와는 다른 그 너머에서도 의미를 찾아야 하고, 가슴속에서 뛰는 느낌을 무시할 수 없는 것이다. 이들, 소위 말하는 ‘원칙, 원리주의자’들은 그런 것들이 심히 결여된 집단인 듯, 요새의 인종문제로 시끄러울 때 그들의 논조, 비록 조심스러운 듯하지만 실제 그들의 기본적인 생각은 숨길 수 없는 듯하고, 나도 이제는 지겨운 것이다. 이들은 한마디로 예수가 그렇게 질타하던 ‘바리사이’의 위선자들인 것이다.  또라이 트럼프에게 정치적으로 이용을 당하고 있음을 알면서도 그를 지지하는 그들은 후에 돌이킬 수 없는 커다란 후유증을 남길 것이다. 세속의 문화는 종교나 교회를 이제보다 더 증오할 것임을 어찌 그 위선자들은 모르는가?

 

성당에서 봉사를 많이 하시던 요셉회의 김계환 안토니오 형제님, 선종기도 요청이 왔다. 어쩌나.. 어쩌나.. 그렇게 건강하시던 형님 같은 형제님, 왜 그렇게 빨리 가시나요? 우리 시대는 이렇게 하나 둘씩 사정없이 떠나야만 하는 겁니까? 형제님, 나으시지는 못하더라도 고통 없이 성모님의 손을 잡고 가세요…

이 형제님을 생각하면 우미관의 의협깡패 김두한을 연상케 한다. 의리 있는 젊잖은 깡패, 시대를 잘못 만난 탓으로 험한 생을 살았었을 것 같은 형제님이었다.가끔 만나면 그 옛날 잘나가던 시절의 무협담을 끊임 없이 자랑하셨다. 기억나는 것 중에는 6.25때 가족과 헤어져서 백선엽 장군의 포병 부대에서 house boy로 일했던 것, 명동, 삼선교 근처에서 깡패들과 싸우던 이야기 등등… 6. 25 이후 시절 서울 장안을 누볐을 듯. 하지만 다행으로 자유당정권에 개입된 정치깡패의 그림자는 벌로 찾을 수가 없었다. 어떻게 근육이 좋으시던지, 한번은 성당사무실에 놓여있던 커다랗고 무겁게 생긴 상자, 내가 한번 들어보려다 그냥 놓았는데, 글쎄 그것을 산뜻 번쩍 들고 나가시는 것이 아닌가? 나도 웬만한 것은 무리 없이 들곤 하는데… 나는 놀랐다. 어떻게 그런 분이 갑자기 폐암이라니.. 그것도 폐암 말기…허~~  참, 인생이란…

 

하루의 일정이 나의 마음대로 흐르지 않는 느낌, 끌려가는 느낌, 심지어는 불안한 느낌까지.. 평화의 강의 깊이가 얕아지는가. 요새의 각종 [코로나, 인종]사태 때문에 그런지도. 아까 podcast [tested.com]에서 이야기하는 것을 듣고 더 그렇게 되었나? 세상이 조금 불안하게 느껴지는 것은, 역시 나의 믿음에 문제가 있는지도 모르겠다. 아~ 레지오 활동을 하던 시절이 갑자기 그리워진다. 장례미사, 연도를 하던 때가 진정으로 나에게는 축복의 시간들이었다. 이제는 다 갔는가? 나의 진정한 평화는 언제 다시 찾아오려나?

 

점점 나아지는 아침 메뉴 요리 솜씨, 이것은 나의 영역, 담당, 그리고 나의 자랑이다. 처음에는 아침잠이 많은 연숙의 고통을 조금이라도 덜어주려고 ‘장난 삼아’ 시작했던 아침 담당이 이제는 10여 년이 훨씬 넘어가는 역사가 되었다. 모든 것을 연숙에게 배워서 시작했지만 계속 하다 보니 어떤 것은 내가 만든 것이 더 맛있게 되는 이변까지 생겼고, 그것에 신이 난 나는 아예 ‘움직일 수 있을 때까지’ 내가 아침을 하기로 한 것이 이제까지 온 것이다.

아침 메뉴 중에서 내가 거의 완숙의 경지에 도달한 것 중에는 pancake과 French toast가 있는데 사실 이것들은 비교적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것이라  아침 맛이 식상을 하면 이것으로 대체를 하곤 하는데 오늘 아침도 그런 날이 되었다. 이런 것들을 만들며 배운 것은 요리는 절대로 시간과 세월, 경험’이 절대로 필요한 것이라는 진리였다.

 

 

부활 6주 수요일에..

¶  아침, Talmud 필사로 시작한다. 요새 읽기 시작한 순교자 성당의 일년 성경통독 중의 모세 오경과 맞물려 혹시 큰 수확이 있지는 않을까? 크리스천 성경 중에서 가장 유태교적인 부분이 이곳이고 이것이 유대교 믿음의 전승인 탈무드를 더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듯하다.

오래 전부터 우리 집 서가에 꽂혀있던 ‘탈무드의 지혜’란 ‘초라한’ 책, 이것을 요새 우연히 발견하고 ‘필사’하고 있는 것이다. 그 저자도 궁금하고 탈무드의 배경을 알기 위해 시간을 쓴 결과, 역시 Google의 힘으로 Talmud와 이 책의 저자로 나와있는 Rabi Marvin Tokayer 의 jackpot을 찾았다.

이 노력의 결과로, 한국과 이 토케이어 Tokayer의 저서, ‘탈무드의 지혜’는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고, 나의 기존의 생각이 확인되기도 했다. 한국인과 유태인의 관계라고 할까? 문화적으로나, 역사적으로 보나… 하지만 종교적, 신앙적으로는 커다란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닐까?

이미 내가 모르는 사이에 대한민국에서 이 특정한 책의 영향력이 미친 모습을 보며, 조금 내가 늦었구나 하는 아쉬움이 없던 것은 아니다. 하지만 지금이라도 이 사실을 알게 된 것은 다행일 것이다.

How the Talmud Became a Best-Seller in South Korea, 2015년 The New Yorker Magazine,   Ross Abes의 기사를 읽으며 완전히 ‘감’을 잡게 되었다. 각가지 의문들이 풀리는 것이다. 왜 그렇게 대한민국에서 이 특정된 탈무드에 관한 Marvin Tokayer의 책이 그렇게 ‘성경’ 처럼 많이 팔리고 유명해 진 과정과 이유들이 이해가 되는 것이다. 이 괴기한, 의아한 현상은 알고 보니 그렇게 오랜 된 것이 아니고 주로 2010년대에 일어난 것, 문득 고 故 차동엽 노베르또 신부님의 얼굴과 강론이 떠오른다. 그의 강연에서 수없이 들었던 화제들이 아닌가? 나는 사실 이런 현상, 특히 유태인과 관련된 것들 깊이 관심을 가졌던 적이 없었다. 요새 성경통독으로 두 번째 읽게 된 구약, 특히 모세오경을 통해서 조금씩 관심이 발동했던 것, 그리고 우연히 눈에 들어온 ‘탈무드’라는 글자의 책, 그것뿐이다.

내가 현재 읽고 필사하며 공부하는 이 특정한 책 ‘탈무드의 지혜’는 이상한 책으로, 발행연도 (대강 1980년대?) 나 출판사의 연락처, 책의 가격도 없는 ‘해적판의 모습’을 하고 있다. 나의 추측에 일본책을 100% 그대로 조잡하게 번역하여 판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일본책의 원저자라도 밝혔으면 어땠을까?

 

¶  며칠 전에는,  아침식사 후면 곧바로 하던 대한민국 평화방송 CPBC 매일미사를 나중으로 미루고, ‘내가’ drive를 하여 Holy Family 동네 성당까지 가서 food  pantry donation할 것을  굳게 잠긴 출입구 앞에 놓아두고, 멀리서 얘기하고 있던 주임신부를 보고 차 안에서 손을 흔들고 떠났다. 성당이 굳게 잠긴 것, 도라빌 한국성당과는 대조적이지만 그 이유는 짐작이 갔다. 한국본당과 달리 이곳은 대부분 연로자들이 평일에 오갔기 때문에 그들이 혹시라도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이 될까 봐 ‘과잉책’을 쓰는 듯했다. 그래도 성당 문을 닫은 것은 좀 지나친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돌아올 때 집 가까이 있는 Kroger에 잠깐 들려서 나는 차에 머물고 연숙이 모든 수고를 해 주었다. 내가 감사하지 않으면 나는 한마디로 ‘개새끼’일 것이다. 오자마자 가벼운 마음으로 동네를 비가 쏟아질 듯한 염려 속에서 걸었다. 걷다가 또 Tobey와 100% 닮은 잘 생긴 개를 만나 그들과 인사를 하였다. 어쩌면 그렇게 Tobey를 연상시킬까..(2년 전에 떠난) Tobey야, I miss you dearly!

 

 

¶  5.16이 지나고 5.18을 맞는다. 나에게 거의 느낌이 없는 날이 바로 5.18인데… 나도 이제 역사관을 조금 더 확고하게 세워야겠다는 생각 오래 전부터 들긴 들었다. 하지만, 그것이 생각만큼 간단치를 않으니, 나이 탓도 있고 세월 탓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시간이 남는 한 나는 ‘역사의 진실’을 더 알고 싶다. 그러고 나서 나의 생각을 정하면 어떨까? 언제나 이것은 나에게 짐으로 남아있다.

이렇게 과거의 민감한 역사는 나같이 비정치적인 인간에게는 큰 골치거리일 수밖에 없다. 소위 말해서 진보, 보수 어느 쪽에도 동조를 하려고 하지 않으니 아마도 ‘비겁자’로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나의 확고한 입장은 딱 한가지다. ‘김일성 민족반역자’의 역사적 재판, 그것 하나밖에 없다. 그 후에 이승만, 박정희, 등등 모두 그들 나름대로의 애국관이 있을 것이고, 보는 시각에 따라 한 가지 역사적 사실도 완전히 다른 것으로 해석될 것이다. 그것이 사실 ‘정상’이다. 사람의 생각과 머리는 컴퓨터의 두뇌가 아닌 것이다.

그래서 나는 사실을 더 깊이 알려고 노력을 할 뿐, 100% 흑백논리로 ‘좋은 놈, 나쁜 놈’을 가리고 싶지는 않고, 결국은 차원을 높여서 ‘하느님’이 보시기에 어떨까 하는 쪽으로 갈 수 밖에 없다. 

 

¶  요새 다시 microcontrollers [BeagleBone Black, Arduino, Raspberry PI, NodeMCE ESP32, Sparkfun ESP32 Things, Particle’s Photon, ZigBee Xbee etc.]  들을 건드리며 만지작거리는데 연숙이 신기한 눈초리로, 그것이 뭐냐고 묻는다. 얼떨결에… ‘발명 좀 해보려고..’ 하고 얼버무렸는데.. 글쎄  연숙의 반응이 나를 놀라게 했다. 순간적으로 ‘뭘 그런 장난감으로 시간을…’ 할 줄 알았는데, 나 같으면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이라나… 와우! 반가운 칭찬인가, 아니 실제로 그렇게 나를 평가하고 있는지도… 그렇다면, 한번 우리들 같은 ‘senior citizen을 위한 gadget’을 발명해 볼까? WHY NOT?

 

¶  Muggy feeling이 계속되었던 지난 며칠, 반가운 열대성 폭우도 맛 보았고, 이제는 편하게 느껴지는 우리 집 위층의 잔잔한 에어컨의 소음, 작년에 경험했던 90+ 의 일주일 이상의 날씨들, 모두 머리 속에서 맴돈다. 또다시 기울어가는 성모성월의 한달, 현재까지 해야 할 것들은 거의 하며 살았다. 제일 큰 것, a/c service와 Tax Return 도 했고, 그렇게 궁금하던 우리의 Fidelity IRA account의 실상도 알게 되고…  지난 해 stock market이 꽤 활발했던 듯했다. 올해는 좀 달라질 것이 분명하지만. 그렇게 그렇게 우리는 잘 하고, 살고 있다. 이영석 주임신부님의 말처럼 우리도 우리 자신들을 좀 칭찬을 해 보자…

열흘 정도 남은 5월을 어떻게 현명하게 보낼 것인가?  ‘서류정리’, 이것부터 머리를 친다. 사실은 2014년 이후, 특히 2017년 아래층으로 office를 옮긴 후 나는 모든 서류들을 잊고 살았다. 그렇게 어려울 것도 없다. 귀찮다는 유혹만 계속 물리치면 되는 것 아닌가? 이제는 그렇게 ‘무서운 것’이 숨어 있지 않을 듯하니까, 걱정하지 말자.

 

¶  오랜만에 Bishop Robert BarronWord On Fire video 를 본다. 요새 나의 머리를 잠시 떠난 나의 등대 불이 이렇게 쉽게 나에게 다가왔다. 한 순간, 한 순간 나의 관심과 손끝이 어디로 가는지 조심해야 한다. 잘못 ‘고르면’ 완전히 하루를 망칠 수가 있는 것이다. 높은 것을 보고 높을 것을 찾고, 높은 것을 만지며 하루를 보낼 수 있는 여건과 환경을 만드는 것, 그것이 나에게는 아주 중요한 것이다.

 

¶  궁중비사 조선편 마지막 7편을 필사, 수정하게 되었다.  야사 野史 형식이라 각가지 음담패설류의 상상적인 것들도 있지만 이것을 읽으며 그 때, 그러니까 대원군, 민비 등과 일본의 접근한 때의 이야기들, 어렸을 때 만화로 많이 보던 것도 생각이 나고, 그 당시의 역사가 다시 새로워 진 것도 한 몫을 했다. 다시 보게 된, 식민주의 시대의 일본제국 모습을 조금 더 우리의 눈으로 보는 것은 아마도 두고두고 유익할 듯 하다.

일본과 조선의 역사가 1860년대부터 한쪽은 고종, 다른 쪽은 명치유신으로 시작되는데, 결과가 참으로 보기가 민망하다. 대원군, 민비의 치열한 이기주의적 ‘당파’ 싸움과 절대 무력한 고종, 이들이 향후 50년간 이루어 놓은 역사는 정말 믿을 수 없을 정도다. 한 나라를 말아먹으려면 이렇게 하면 된다… 라는 교훈중의 교훈이라고 할까.

 

¶  ‘먹을 것’을 사러 연숙이 조금 전에 Doraville H-mart로 떠났다. 참, 부지런한 사람이다. 특히 먹을 것을 챙기는 것은 너무도 솔직한가? 안 먹고 살 수 있는 ‘항우장사’는 없다고 하는 말, 재미있지 않은가? 그래, 할 것은 해야 한다. 나처럼 이런 것에서 내숭을 떠는 것 그렇게 보기 아름답지 않다.

 

요새 한창 즐겨보는 Youtube video는 vegetable garden 에 관한 것들, 정말 pro들은 다르다!

신록의 계절, 알맞은 비와 기온으로 더욱 푸르러진 backyard

Pandemic 덕분에 나와 더 가까워진 우리집 lucky 터주대감 Izzie

부활 여섯째 주일에..

지난 2주일은 그야말로 화살이 나의 눈앞을 쌩! 하고 날라가는 듯한 느낌, 게다가 귀가 멍~할 정도로 외롭고 고립된 느낌들, 이것은 코로나사태의 영향일 듯하다. 둘이서 그렇게 규칙적인, 정상적으로 살려고 노력을 했는데도 이것은 역시 ‘비 정상적’인 생활이 아닌가? 역시 물을 떠난 고기와 같은 그런 꼴일 것이다. 서서히 정상적으로 돌아가는 듯하니 지긋이 기다려 보자. 오늘부터는 명심하고, 미완성인 것들, 자질구레한 서류정리, 겨울 옷 정리를 시작해보면 어떨까? 머리 청소도 되고 집도 깨끗해지고, 얼마나 좋은가?

 

우연히 손이 간 곳에 책 ‘탈무드 Talmud 의 지혜’가 있었다. 역시 오래된 아주 연약하게 정장이 낡은 책, ‘탈무드의 지혜’였다. 오래 전부터 나의 눈에 가끔 뜨이던 책이지만 한번도 심각하게 읽은 적이 없었다. 그것으로 나의 손이 간 것은 우연이 아닐지도. 요새 성경통독의 일환으로 모세 오경을 매일 읽으며 다시 나의 눈에 들어온 글들, 유태인들에 관한 것이다. 한번 필사를 시작해 보는 것은? 그래 책의 분량이 그렇게 무섭게 거창하지 않아서 우선 안심이다. 이것도 나의 online library에 큰 무게를 더할지도 모른다. 해보자!

 

이번 코로나 사태 중에 나에게 조금 마음의 여유와 즐거움을 주었던 것들, electronics, IoT, microcontroller etc etc, 지금까지 거의 완전히 손을 놓은 상태가 되었다. 어떻게 다시 시동을 걸 수는 없을까? 이것에 어느 정도 길들여지게 되면 앞으로 두고 두고 시간, 정신 활용에 도움이 될 것인데.

 

Agony & Ecstasy of Microcontrollers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부활 제 6주일 online 미사

강론중인 이영석 세례자 요한 주임 신부님

 

오늘,  순교자 성당 online 주일미사, 역시 좋았다. 이영석 신부님 어쩌면 그렇게 기억에 남을만한 그런 강론을 하는 것일까? 오늘 말씀도 참 좋았다. 비록 우리보다 한참 어린 것은 분명하지만 이 신부님도 나름대로의 연륜의 빛을 발하는 것일까? 불교철학을 통한 폭넓은 인생 안목이 더해져서 그런 것일까?  근래에 우리는 정말 ‘신부님 복’이 많다고 생각하며 산다. 이것도 우리의 운이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윗동네 형제성당의 볼품, 예의, 매력 없는 신부와 비교하여 생각하면 더 그렇다. 분명히 그 신부에게는 미안한 말이지만 어쩔 수가 없다.

이영석 주임신부님 복음, 미사 강론 – 2020년 5월 17일 online 미사 중

 

정말 오랜만에 비가, 그것도 늦은 저녁에 내리기 시작한다. 갑자기, 이거 정말 오랜만이 아닌가, 거의 잊고 살았던 느낌이 든다. 맞다 지난 주 한번도 온 적이 없었다. 그렇다. 5월이 들어서 처음 보는 비다! 내가 그렇게 좋아하는 비! 반갑다… 새로 단장한 tool shed에 비 챙, 이런 말도 있나… 그러니까… awning, 이제는 shed 근처에 조금 더 비를 피할 공간이 생긴 것이 흐뭇하다. 이제 더 정리를 하고 나면 밀렸던 tool shed를 정리하는 일들을 하자.

 

Mother’s Day, 오월 둘째 일요일

 

¶  나는 5월 달이  ‘성모성월’ 임을 올해 거의 잊고 살고 있다.  내 탓이지만, ‘빨갱이 짱깨’들의 ‘선물’인 일명 ‘우한바이러스’ 탓도 없지 않다. 온통 그곳에 신경이 쓰였으니 아무리 날짜가 5월 중순을 향하고 있지만 어머니의 냄새가 안 나는 것이다. 게다가, 어머니의 냄새와 함께 5월 13일은 Fatima, Portugal에서 1917년 성모님께서 3명의 목동들에게 발현하신 날이기도 하다. 어떻게 머리 속에서 그런 것들이 희미해 졌단 말인가?

새로니와 Richard 그리고 정든 개 Ozzie가 Mother’s Day날 집으로 찾아왔다. 아마도 어머니 날 이라 일부러 온 것일 듯하다. 오랜만에 Ozzie를 만났다. 이 녀석을 보는 것은 좋은데, 2년 전에 저 세상으로 간 나의 개, Tobey생각이 나곤 해서 우울해지기도 한다. Ozzie가 새로니에게 너무나 가깝게 붙어 산다고 Richard가 불평 비슷한 언급하니…  불현듯, 또, 나중에 일어날 그날, Ozzie가 떠나는 날, 을 생각하니 미리 슬퍼진다. 그래 그것이 우리 모두, 피조물들의 운명이 아닌가? 그런 것 미리 걱정하는 것, 별로 안 좋다.  가지고 온, 오랜만에 보는 doughnut을 보니 군침이 흘렀다.  Backyard lawn mowing을 오랜만에 했더니 너무나 멋진 모습을 드러낸다. 다음엔 front yard를 할 차례이다.

올해는 사실 외식도 못하고, 선물도 없고, 그야말로 완전히 다른 모습의 Mother’s Day가 되었다. 그래도 아이들은 신경을 써서 이렇게 어려운 방문도 하고 나라니는 특별히 주문한 ‘팻말’을 선물로 주었다.  하도 garden을 좋아해서 아예 ‘Yonsook’s Garden‘이라는 글자를 새겨 놓았다.

 

¶  지난 밤에는 Tylenol PM 두 알 먹은 탓인지 잠에 쫓겨서 10시도 되지 않아서 잠자리에 쫓겨 들어갔다. 반갑지 않은 치통으로 기분도 저하되고 무언가 손에 잡히지 않았고, 오랜만에 backyard mowing이 생각보다 힘이 들었나 보다. 모든 것이 서로 합쳐져서 그랬던 것, 묵주기도도 모두 생략하고… 별로 자랑스러운 것이 없다. 개인묵주기도와 가족저녁기도는 필수적으로 해야 전체적으로 하루를 보냈다는 느낌이 들었는데…  그래, 정신력, 성령의 도움으로 다시 일어나보자.

 

¶  Tax Return을 시작하였다. SSA income은 작년과 거의 같을 것인데, 문제의 Fidelity IRA는 사실 조금 걱정이었는데… 의외로 stock market이 작년보다 꽤 오른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런 것으로 또라이 트럼프가 그렇게 자신만만하게 생색을 내곤 했구나… 피식 비웃음이 나온다. Tax Return, 끝냈다. $300+ refund 란 것, 빛깔 좋은 개살구인가… 이것은 IRA withhold 된 것이라 사실 원래가 우리의 돈이 1년 동안 무이자로 돌아온 것이다.

모든 것이 끝나고 기분 좋게 tax form의 hardcopy print를 하려고 보니…. 어~~ HP Laser Printer가 죽어버렸다. 전혀 깜깜… 추측에 어젯밤이 power가 나간 모양이었던데 그때 power surge, spike로 무엇이 타버린 것 아닐까? 이것 시간을 두고 고칠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조금 피곤하다. 이번 기회에 새것을 하나 사는 좋은 구실이 될지도..  생각난 김에 곧바로 printer하나를 찾아 order 하였다. 물론 기준은 good enough, just barely good… 찾은 것은:

Brother HLL2370DW  Black & White Laser, Automatic Duplexer, Wireless: 내가 원하는 모든 기능이 있다. 제일 싸기도 한 것, 죽어버린 printer와 비슷하지만 이것은 종이 양면을 자동적으로 printer하는 automatic duplexer가 있다.

 

¶  부활 제6주일 미사, 이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의 온라인 미사는 이제 벌써 2개월에 가까운 new normal 중의 하나가 되었다. 일요일 아침이면 9시 반이면 Doraville로 drive를 하곤 했던 것이 이제는 까마득한 옛날처럼 느껴진다. 집에 갇히게 된 이후 처음에는 이상하긴 했지만 편한 점도 없지는 않았다. 나이 탓도 있었겠지만, 어떨 때는 정말 일요일 아침을 한가하게 보내고 싶었던 적도 있었으니까.

하지만, 가톨릭 미사의 정점 頂点인 ‘물리적’ 영성체가 빠진 것은 ‘ 천주교 교리적 결함’이 있음도 인정을 하지만, 어쩔 수가 없지 않은가? 그것 빼놓고 긍정적인 점 중에는, 미사와 강론 등에 예전보다 더 정신을 집중할 수 있다는 것, ‘보고 싶지 않은 사람들’을 안 보아도 되는 것 등도 있다. 

오늘 미사 강론을 들으며, 신부님의 어머니에 대한 생각을 알 수 있다. 하느님을 아버지로 부르나 어머니로 부르나 똑 같다는 생각. 어떨 때는 하느님을 어머니의 이미지로 투영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것, 어머님의 사랑은 하느님의 사랑이고, 하느님은 전능한 것이 아니고 무한한 사랑이란 것 등등…  사랑에는 고통이 필연적으로 따른다는 사실, 고통이 없는 사랑은 사랑이 아니다라는 생각. 어머니도 고통이 따른 사랑을 한다. 모든 사랑의 행위에는 고통이 필연적으로 따른 다는 사실, 고통과 괴로움은 다르다는 사실을 주지시키는 명강론이었다.  

 

이영석 세례자 요한 주임 신부님

미사 강론,  19분

A Day in May, Marian Month

 

¶  이것이 5월 초 느낌의 모습이다. 창문을 다 열고 잔 후 아침에 싸늘한 느낌으로 긴 바지를 찾아 입고 계단을 내려오는… 그런 5월 초, 아련한 추억 속의 ‘어린이날’, 3일 뒤에 꼭 찾아오던 내시절의  ‘어머니날’, 모두 모두 포근하고 아련한 느낌들, 역시 나쁘진 않다. 각 계절, 절기, 달, 날에 대해서 70년 이상 쌓여온 추억과 날씨에 대한 느낌들, 내가 좀 심했는가, 확실히 나는 ‘감 感’을 잡고 있다. 아~ 오래 살았다. 그곳에서도, 이곳 지역에서도 익숙한 날씨와 추억들이여…

 

¶  요사이 읽던, 성경말씀   “나는 빛으로서 이 세상에 왔다…  나를 믿는 사람은 … 어둠 속에 머무르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요한 12, 46) 이 구절을 비롯한 많은 성경(구약, 신약) 말씀에서 빛이란 말이 자주 언급된다. 예전에 ‘빛의 신비‘라는 묵주기도 중의 주제를 가지고 blog post를 했었다. 그때부터 빛의 다른 초월적 의미에 대해 주목을 하기 시작했는데, 100% 상징적, 철학적인 것부터 시작해서 양자역학 quantum physics 에서의 빛, 100%  기계적인 자연과학의 입장까지 모든 것을 알게 되며, 이것은 전혀 우연의 일치가 아님을 서서히 깨닫게 되었다. 급속히 밝혀지고 바뀌고 있는 최첨단 물리학이 이제는 거꾸로 초월적인, 상징적으로 보였던 것들을 설명할 수 있는 단계로 와서 ‘신학자를 도와주는’ 경지에 온 것을 보며, 정말 세상은 조금이라도 오래 살고 볼 것이다.

 

¶  오랜만에 조시몬 형제로부터 ‘음성’ 전화가 왔다. 사랑하는 고양이 Penny가 소변을 안 보고, 신음소리를 낸다고…  참, 이 형제님 정말 마음에 든다. 어쩌면 그렇게 모든 피조물 creature들에 대한 공감과 동정심과 사랑이 많을 것일까? 나는 부럽다. 그것이…  우리 작은 딸,  자칭 고양이 박사, 나라니에 의하면 UTI (urinary track infection, 요도염)일 것이라고, 의사에게 갈 필요 없이, 항생제만 먹여도 된다고 해서 그렇게 알려주었다. 이런 도움말 덕분에 몇 백 불을 절약할 수 있었다고 나중에 반가운 소식을 들었다. 참, 세상은 이렇게 고마운 사람들이 아직도 많이 사니,  이 세상에 희망은 얼마든지 있지 않은가?

 

¶  오늘도 2~3시간 정도 tool shed의 awning frame을 설치하기 시작했다. 이것의 그렇게 시간을 잡아먹는 것인지 몰랐다. Frame은 달렸지만 panel이 문제다. 자재가 없는 것이다. 원래로라면 plastic roof 를 사서 달면 되겠지만 $100까지 예상해야 하는데, 어쩔 것인가? 제일 싼 방법은 보기에 별로지만 [사실은 흉하다]  blue tarp 를 쓰는 것인데, 그것은 이미 사놓은 것이 있으니까, 궁상맞지만 한번 시도해 보자. 덜 필요한 것을 사서 집에 들고 오는  것, 하나라도 버려야 할 나이와 처지에 그런 것은 가급적 자제하려는 생각, 이미 집안에 어딘가에 있는 것을 찾아서 쓰면 된다.

 

¶  새로니, 그리고 나라니, 이번 코로나 사태를 겪으면 감동을 조금씩 느낀다. 우리를 진정으로 걱정해주고 생각해주는 것을 느끼고 있다. 나이가 들어서 그런지도 모르지만, 원래 그런 애 들이었는지도 모른다. 철이 든 지도 모르고… 요새 shopping문제와 관련이 되어 우리에게 ‘베푸는’ service에 우리, 특히 나는 감동을 받는다. 이래서 가족이고, 식구인가….  하지만, 우리 어머님은 그런 잔 정을 못 받고, 못 느끼시며 사셔야 했는데, 어찌 내가 이런 것으로 만족을 할 수 있단 말인가?

 

¶  거의 15년 만에 위층 full bathroom의 shower door에 손을 대기 시작했다. 원래 목적은 ‘꾀 죄죄’ 한 shower door 와 frame을 ‘새 것으로’ 만들고 싶은 충동 때문이었다. 알루미늄 frame과 glass door 이기 때문에 그것이 가능한 듯 보였다. 문제는 frame을 뜯어 내는 것, 이것은 100% physical work이 필요한 것, 별 도리가 없다. 현재까지 이것 접착제로 붙인 것, 떨어지지를 않는다. 그야말로 ‘시간문제’이길 바란다.

 

¶  우리를 ‘먹이기’ 위해서 연숙이 또 혼자서 Sam’s Club으로 용감하게 drive하여 나갔다. 나는 기분이 사실, 묘한 것이 무슨 왕자님 같은 기분이 드는 것이다. 이런 것도 큰 대접을 받는 것 아닌가, 하지만 ‘나이 대접’을 받는 것인지도 모른다. 아무려면 상관이 있나. 둘 다 사실일 뿐이다. 나이 대접을 받는 것, 조금 그런 느낌을 떨칠 수는 없지만, 한편으로 ‘인생을 살아온 보람’으로 여기면 좋지 않겠는가.

 

¶  며칠 전부터 ‘오래~ 전’  내가 list를 만들고 즐겨 들었던 Pop Song들로 만든,  Whispering Hope album 1, 2를 아예 <repeat all>로 하루 종일 듣는다. 20여 년 전쯤일까… 그 때의 기억은 사실 거의 잊고 살았던 때, 요새 새삼스레 1990, 2000년 대의 기억이 되살아 나온다. 하지만 사실, 내가 피하고 싶은 때이기도 한데, 언제까지나 그렇게 방치할 수는 없다. 그 당시는 사실 모든 것이 ‘영혼의 밤’이었기에 잊고 싶은 세월들이었다.  하지만, 모든 시대의 추억들, 모두 나의 것이고 값진 것이다. 모두 차별을 두지 말고 기억하고 간직하자.

오월 첫 월요일의 느낌은…

5월 초의 특유한 느낌, 냄새, 기분… 모두 겪는 이른 아침에 뒷마당을 편하게 거닐고, 갑자기 활기를 띈 나의 tool shed,  조금씩 변하는 모습을 즐겼다. 어제 피곤으로 ‘고꾸라진’ 연숙, 아직도 깊은 잠에 빠진 모양, 그래 성질 좀 적당히 control하면 누가 때린다냐?

 

하루 하루 변하는 나의 자랑, Tool Shed…

 

예의 월요일의 느낌이 희미해지는 요즈음이다. 일요일에 ‘주일 외출’이 없어졌고 화요일의 ‘레지오 외출’이 없다는 것, 처음에는 그렇게 편할 수가 없었지만 이제는 조금씩 ‘불안한 예감’을 느끼기도 한다. 나는 ‘사람을 만나고 그들의 시선을 느껴야’하는 의무감 같은 것을 오래 전에 알았기 때문이다. 가상적virtual한 만남과 큰 차이가 있을 것이다. 최소한 5월 말까지는 이렇게 되니, 기왕이면 ‘즐기는 마음’을 갖도록 하자.

다시 레지오 주회합, 활동… 생각하니 먼~ 나라를 바라보는 느낌이 든다. 언제 마지막으로 레지오 회합, 활동을 했었던가… 아득~ 하기만 하다. 그래도 간신히 묵주기도 routine은 시작했지만 레지오의 느낌은 아직도 돌아오지 않는다. 우선 성당 공동체의 느낌조차 멀어지고 있다. 비록 주일미사를 통해서 간신히 신부님의 기억은 간신히 명맥을 유지하고 있지만 이것도 한 달이 지나면 더욱 희미해지지 않을까? 최소한 나의 방어선은 이것이다. 절대로 절대로 ‘공동체, 성당, 레지오’에서 떨어져 나가면 안 된다는 사실이다. 이것만은 절대로 잊지 말자. 움직일 수 있는 한 그래야 한다.

COVID-19, Pandemic, 이것이 과연 앞으로의 모든 사회적, 정치적.. 심지어 신앙적은 환경을 바꾸어 놓을 것인가? 나도 분석하고 생각할 수 있지만 어디까지가 적당한 것인가? 분명하거나, 예상이 쉬운 것들도 있지만 그 이외의 것들은 불필요한 우려나 자아내게 할 수 있지 않을까? 그래서 요새 자주 보는 Dr. Michael Convington같은 Christian Scientist는 내가 깊게 참고를 해도 좋을 듯하다.

 

월요일 아침의 menu는 내가 ‘눈을 감고도’ 만들 수 있는 pancake 이었다.

이것도 Pandemic project중의 하나, lab bench가 달라지는 것…

‘돌아온 사월’을 보내며

April shower brings May…

 

돌아온 사월은 생명의 등불을 밝혀 든다… 빛나는 꿈의 계절아 눈물 없는 무지개 계절아..’ 

—  ‘4월의 노래’ 중에서

 

‘사월의 노래’가 서서히 사라지는 2020년 사월의 마지막 날,  시인 詩人은 이렇게 생명, 꿈, 무지개등을 노래하는데..  이천이십 년의 사월은 어찌하여 이렇게 상상도 못했던 상처[코로나바이러스] 의 기억과 추억을 남긴 것일까? 내년의 사월은 ‘사월의 노래’ 속의 모습으로 다시 오기를 기대하는 수밖에 없을 듯…

지난 밤에 또 2시간밖에 못 잤다고 실망한 연숙, 그래도 7시 30분에 깨워달라고 한 약속을 지키려 눈을 비비고 일어나 Sam’s Club으로 ‘먹을 것’ shopping을 하러 갔다. 미안한 마음을 금할 수가 없다. 평상시 같았으면 100% 나하고 함께 가야 하는 것이었는데… 고맙고 미안하다… 더구나 요즘에는 엄마,아빠 먹을 것 챙겨주느라 (밖에 나가지 말라고)  큰 딸 새로니가 신경을 너무 써주어 ‘늙어 가는 것’, 그렇게 나쁜 것만은 아니구나 하는 생각까지 든다.

예상을 뒤엎고 날씨가 아주 음산하다. 거의 비가 올 듯하지만 안 내리고 센 바람은 아니지만 아주 싸늘하게 느껴지고,  바깥으로 나가고 싶은 마음이 수그러드는 그런 날씨. 연숙이 Wendy’s Dave Single burger를 먹고 싶다고 해서 혼자서 drive-in 까지 가서 사가지고 왔다. 역쉬~~  이런 fast-food 먹었던 것이 꽤 오래 전인 듯 느껴진다. 최소한 2달을 넘었을 것이다.

 

¶  COVID-19 Pandemic을 치료하는 ‘희망의 백신 vaccine’ 개발에 큰 진전이 있었다는 뉴스를 보고 있다. 과연 희망은 있을까… 과학과 이성에 덧붙여 자비의 성모님과 주님의 손길이 함께 하기를…  관건은 ‘국가경제 와 개인경제’, 과연 이것이 어떻게 진행될 것인가? 우리에게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 적게 먹고 적게 쓰는 것 우리는 그런대로 단련이 되어있어서 크게 걱정하지는 말자.

 

¶  ‘코로나 여가선용’의 하나로 10여 년간 질질 끌어오던 TOOL SHED가 그 모습을 잡아가고 있다. 이 작업이 끝나면 우리는 찾고 싶은 tool들을 1분 이내에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오랜 만에 1970년, 50년 전의 추억을 더듬으려 LIFE magazine을 portrait mode  (vs. landscape mode) monitor 를 꺼내어 그 위력을 보게 되었다. 책이나 magazine은 portrait format으로 되어 있기에 이것이 있으면 scan을 할 때 너무나 편리하다.

 

LIFE digital copy in full on portrait mode

 

¶  이번 코로나 사태 이후로,  거의 30년 살아온 정든 우리의 subdivision 동네를 걸으면서 느낀 것은 ‘아마도’ 우리가 이 동네에게 몇 번째로 가장 오래 산 고참 중에 하나일 것이라는 것이다.  손꼽아 우리보다 더 오래 살고 있는 집은 몇이 안 되니까… 나머지는 모두 나중에 이사 온 사람들인데 그 중에 많은 사람들이 한창 자라나는 아이들을 가진 젊은 층인 듯했다. 그것은 평소에 school bus를 기다리는 아이들을 보면서 알았지만, 이번 코로나 사태 이후로 모든 아이들이 집에 머물게 되면서 그들의 움직임을 볼 때 확실히 알게 되었다. 평소에 조용하게만 보였던 집들이, 가족들이 나와서 집 앞을 가꾸는 모습들을 보면서, 다시 바빠지는 세상이 오더라도 그런 모습이 계속 보이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동네 고참 중의 고참, 전 airline pilot이었던 Mr. Johnson 집의 소나무들을 제거하는 tall crane.

 

¶  얼마 전, 요새 자주 보게 되는 Roku TV에 눈에 익은 장면이 나와서 보니, 아니나 다를까… 정확히 40년 전의 Steven King 원작 Stanley Kubrick 감독 영화 psychological horror classic, The Shining, 바로 그것이었다. 나올 당시 연숙과 같이 극장에서 본  이후로는 오래 전 VHS format으로 조그만 analog TV로 본 것, 그것을 이제는 극장과 같은 화면으로 보게 된 것이다.

Story는 비교적 단순하지만, 이 영화의 cast들과 감독의 다양한 혁신적인 기법 등의 도움으로 후에 greatest and most influential horror films ever made란 극찬의 평을 얻게 되었다. 

1980년, 우리는 신혼 때 본 영화로서 추억과 향수를 자아내게 하는 이 영화는 사실 graphic한 것 보다는 psychological한 공포로 진정한 terror의 효과를 남겼다. 코로나 사태 중에 이런 영화를 보니, 현재의 virus terror를 일 순간이나마 깨끗이 잊게 되는 장점도 있었다.

 

사람의 핏물이 폭포처럼 쏟아지는 ‘악령들린’ Hotel의 로비

호텔 악령의 영향으로 서서히 가족 살인자로 변하는 주인공 Jack Torrance

영를 볼 수 있는, the shining, 능력을 가진 아들 Danny

Holy Communion, Virtual & Spiritual

평화방송 매일미사 성찬례

¶  Virtual Holy Communion, Spiritual Communion, 신영성체?   기억을 더듬는다… 마지막으로 성체를 손으로 받아 모셨던 ‘진짜’ 영성체를 했던 것이 언제였더라… 책상 위에 있는 일지/달력을 뒤져본다. 그때는, 지금은 거의 태고, 골동품, 녹슨 느낌이 드는..  3월 14일 토요일, 동네 미국본당 Holy Family Catholic Church의 아침미사 때, Father Junot 로부터 성체를 손을 받아 모셨던 것, 바로 그때.  우리의 한국본당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에서의 마지막 영성체는 그 보다 4일 전, ‘레지오 화요일’ 정오 미사 때, 임기를 모두 마치고 이임준비를 하시는 ‘착한목자’ 김형철 시메온 신부님으로부터였다.  그 이후로 세상은 급변해서, 한번도 성체의 모습을 볼 수가 없었다.

평소에 성체신심이 그렇게 출중했던 것도 아닌데, 이제는 사실 그리워지기도 한다. 아니 그리워 해야 한다는 조바심도 난다. ‘성체에 현존하는 예수님’ 은 가톨릭 교리의 핵심부분이다. 동물적오감 五感으로 믿기건 안 믿기건 전혀 상관이 없는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오랜 세월 동안 이 ‘성체성사’를 못하게 되므로, 해괴한 전염병 때문이 이 가톨릭 핵심교의가 치명타를 입는 것인가?

그 대안이 사실은 교의적으로 타당한 방법이 오랜 전통으로 이어져 오고 있었다. 그 동안 이렇게 세계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될 줄은 아무도 몰랐을 뿐이다. 미국 예수회 Society of Jesus의 월간지 America Magazine 에 비교적 자세히 설명이 된 기사가 있었다. 2020년 3월 31일자의 Colleen Dulle 의 기사가 바로 그것이다.

 

Coronavirus has cancelled public Masses. How can we participate in our own homes? Ms. Dulle 은 본인이 겪는 경험과 더불어 많은 가톨릭 신자들이 집에서 참례하는 미사를 어떤 식으로 하고 있는가를 survey하고 있는데 그 중에 미사의 정점, 절정인 성찬례와 영성체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이 신령성체(신영성체) spiritual communion 은 성찬례를 갈망하며 드리는 기도의 형식으로 중세로부터 내려온 가톨릭 전통이며, 이 가르침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 St. Thomas Aquinas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성체를 모시는 것은 ‘영적 spiritually‘인 것과 ‘물질적 physically ‘인 것 두 가지가 있음은, 지나간 몇 세기 동안에 대부분 신자들은 일년에 몇 번 정도 실제적 영성체를 했고, 나머지 주일에는 신부가 성체거양 聖體擧揚을 할 때에  ‘영적’인 영성체를 했다고 밝히고 있다. 이런 전통에 근거해서 프란치스코 교황은 모든 가톨릭 신자들이 영상에 의한 성체거양 시에 ‘합법적’인 영성체를 할 수 있음을 권고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교회전통이 있음을 알고 매일미사에 참여를 하는 것, 정말 큰 도움이 된다. 미사 ‘시청’시 마음의 자세가 전혀 다른 것이다. 수수방관하는 입장에서, 시청자의 입장이 아닌 실제 미사와 깊숙이 연대관계를 느끼는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경험들은 사실 이번 코로나 사태가 없었으면 죽을 때까지 알 수가 없었을 것이다. 또한 우리에게는, 조국 대한민국의 가톨릭 계, 문화, 흐름, 맥박을 조금 더 가까이 느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매일 바뀌는 평화방송 미사 주재 신부님들, 대부분 어쩌면 그렇게도 ‘애 띤 얼굴’들일까.. 감탄을 한다. 대부분 노인사제들인 이곳의 환경과 너무나 대조적이 아닌가? 거의 손자들 같이 느껴지는 이 사제들, 참 대한민국의 수많은 순교성인들이 뿌린 씨앗일까… 복 받는 느낌을 떨칠 수가 없다.

 

¶ 요새 집의 뒤쪽, yard에서 간간히 목공 일을 하며 라디오 뉴스로 조지아의 코로나 사태에 관련된 소식을 간간히 들었다. 이발소 같은 곳이 문을 열기시작 했다는 소식이었다. 성급한 느낌은 떨칠 수는 없지만 다른 쪽으로는 심리적으로 무엇인가 평상으로 돌아 간다는 느낌도 있었다. ‘과학적’으로 아직 준비가 안 되었다는 것, 그것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것이 아님을 알면 이것도 이해는 된다. 먹고 사는 것, 그것을 어떻게 무시할 수 있을까? 우리가 그런 문제를 피부로 못 느껴도 머리로는 알 수 있지 않을까?

 

¶ 내친 김에 서둘러, 최인호의 1990년대 수필집,  ‘작은 마음의 눈으로 사랑하라‘ 필사를 바로 전에 끝냈다. 지난 9일부터 시작한 것, 하루 평균 20 쪽 이상을 필사하였던 것이다. 아마도 거의 매일 했으니까, 이 평균은 정확할 것이다. 신 神 들리듯 한 기분으로…   읽으며 제일 공감이 안 갔던 것 중에는 그 놈의 ‘초등학교’라는 어휘였다. 시대적, 상황적으로 어쩌면 그렇게 둔감한 표현을 썼을까… 하지만 혹시 이것 편집자들의 횡포는 아니었을까.. 하는 상상도 해 본다. 

추억은 역사다. 역사를 소급해서 정치적, 사회적으로 수정하는 버릇은 어디서 나온 것인가? 한마디로 그 단어, ‘초등학교’는 나의 기분을 크게 상하게 할 정도로 어울리지 않는 것이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이해인 수녀님의 수필집에서 그녀는 추억의 창경 ‘국민학교’임을 분명히 회고하고 있다. 이제 이 책을 중심으로 나의 생각과 추억을 정리하고 싶다. 어떻게? 모른다. 하지만 이 책의 배경이 1960년대부터 1990년대 말까지라서, 소재는 얼마든지 널려있는 것이다.

 

¶ 날씨도 꾸물거리는 아침 무렵에 ‘걷기는 뒤로 미루고…’, 하다가 오늘은 못 걸을 가능성이 있다. 정말 비가 쉬지 않고 나리던 날 빼고는 99.99% 우리는 동네 trail을 걸었다. 정말 이것은 최고의 기분전환, 운동 까지 되는 완벽한 우리의 일과가 되었다. 감사합니다. 언제까지 이렇게 걸을 수 있을 까? 또 부른다, 백년설의 나그네 길,  ‘오늘도 걷는다마는 정처 없는 이 발길…

 

오늘도 걷는다마는.. 정처 없는 이 발길..

 

¶ 일요일 아침이 빨리 지나갔다. 하지만 벌써 1. french toast아침 먹고, 2. 온라인 순교자 성당 주일미사를 10:30분에 봉헌했고, 3. 곧바로 걸으러 나갔다.  이 정도면 일요일의 start가 꽤 좋았던 셈이다. 할렐루야!

미사 후 공지사항에서 ‘아틀란타 대교구의 공식적 미사는 5월 말까지 계속 중단이 된다’는 소식을 들었다. 생각보다 좀 긴 느낌도 들었다. 사업체들이 조금씩 open을 하는 마당에 한 달은 긴 것이다. 하지만 이유는 충분히 있다고 믿는다. 우리의 성사생활에 어떤 영향이 있을지 그것을 가늠하여야 할 듯, 특히 레지오는 특히 우리에게 큰 관심사이지만 현재로서는 조금 먼 곳에 있는 듯 느껴지기만 하니… 이러다가 레지오 마리애의 위상이 크게 떨어지지나 않을지 그것이 우려가 된다.

 

¶ 레지오 꾸리아에서 개인연도 공지가 왔다. 주일 온라인 미사 중에 연미사 명단에서 들었던 인천교구의 어떤 몬시뇰 monsignor 이었는데, 알고 보니 하필이면, 2017년 가을에 우리 레지오를 엉망으로 짓밟아 놓고 사라진 어떤 ‘미친x  단원’의 작은 시아버지라고… 허~ 갑자기 기분이 가라앉음을 느낀다.  개인적인 상처도 그렇지만 어떻게 충성을 맹세한 성모님의 군단을 그렇게 짓밟을 수 있는지, 또 일거리가 생겼구나… 어찌할 것인가? 오늘 미사 강론에서 그렇게 또 ‘용서 용서, 화해’를 강조하던데…  하지만 그 미친x은 ‘공적인 용서’는 가능할지는 몰라도,  사적인 진정한 용서는 99.9999% 불가능함을 우리는 잘 알고 있기에 모든 것을 가급적 잊고 살기로 했다.

 

Ubuntu Linux ecosystem으로 서서히 들어서고 있다. 6년 이상 동안 잊고 살았던 것이 ESP32의 매력으로 다시 돌아오고 있는 것이고, command line의 위력도 다시 찾게 되었다. 이것으로 나의 여가시간이 100% 활용되면 얼마나 좋을까?

꽤 긴 시간이 걸렸다. Ubuntu upgrading (18.04 LTS에서 20.04 LTS로) 하는 것.. 왜 내가 이것을 하고 있을까? 꼭 필요해서였을까? 물론 아니다. 시간을 죽이려고? 물론 그것도 있다. 하지만 그저 신나고, 좋고, 흥미롭고, 재미있기 때문이다. 이런 것들이 머리를 쓰는 것이 그 흔한 치매방지 하려고 하는  웃기는 퀴즈 같은 것 보다 낫지 않을까? 지난 밤에는 어깨가 쑤시고, 꿈까지 그것도 생생한 것들을 많이 꾸었다. 하지만 일어나면 급속도로 사라지는 그런 것, 아쉽다. 예전에는 기억에 꽤 남기도 했는데… 이것도 나이 탓인가? 하기야 요새 전혀 예상치도 못한 것, 익숙한 단어들이 생각이 안 나는 것, 조금은 나를 무섭게 하지만, 아닌 척 하며 살기로 했다. 어쩔 것인가? 도밍고 형제처럼 그 웃기는 ‘퀴즈’를 풀며 시간을 보내라고? 나는 절대로 그렇게 머리를 낭비하고 싶지는 않은 것이다. 나에게 머리를 쓰게 할 수 있는 것들이 얼마나 많은데…

 

Ubuntu Desktop LTS 20.04 on VirtualBox

결과적으로 Ubuntu 20.04 desktop의 모습을 보게 되었는데, 일반적으로 모든 것들이 더욱 세련된 느낌을 주었다. 이 정도면 매일 매일 쓸 수 있는 main desktop pc로서 큰 문제가 없을 듯하다. 하지만 역시 문제는 killer apps, 나에게는 역시 Microsoft Office, OneNote인데 이것을 대체할 만한 open source app은 없는 듯 보인다.  따라서 아직까지는 VirtualBox에 의존하며 관망을 하는 입장이다.

이번에 upgrade를 하면서 골치를 썩은 것, 시간을 낭비한 것은 의외로 ‘한글 system’에 관한 것이었다. 한글의 위력인지 이제는 한글 쓰는 것 거의 문제가 없지만 이번에는 문제가 있었다. 한글입력 system에 아직도 작은 glitch가 있는지, 몇 번이나 시도한 끝에야 겨우 한글입력이 가능해 졌다. 이것이 바로 시간낭비의 좋은 예가 아닐까? 해결책은 역쉬~~~ 겨우 2 lines의 command-line solution 이었다.

ANNOYING!!! IBUS-HANGUL NOT SHOWING!

UBUNTU IBUS-HANGUL SETUP: -> it works now! on Ubuntu 20.04

sudo apt-get update -y

sudo apt-get install -y ibus-hangul

 

바람 부는 마지막 토요일에..

 

거짓말 같이 평화로운 2020년 4월의 마지막 토요일은..

 

¶  구름과 해가 오락가락하고 바람이 살살 불더니 해가 떨어지면서 세찬 바람이 불기 시작한다. 눈치를 미리 채고 backyard의 picnic table의 파라솔을 접어 놓았는데 아주 현명한 판단이었다. 내일은 오늘보다 더 심하게 바람이 분다는 일기예보를 확인한 것이다. 다행히 기온이 그렇게 낮지 않아서 밖에서 걷거나 일 하는 것은 문제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나는 이런 ‘비상적’인 날씨를 무척 좋아하기에 속으로는 쾌재를 부를 정도다.

4월도 거의 저물어 간다. 벌써 마지막 토요일을 맞은 것이다. 코로나19라는 뉴스가 온통 우리의 머릿속을 맴돈 지도 2달에 가까운 것이다. 이제는 조금 적응이 되어서 이것이 new normal이 아니고 그냥 normal인 것처럼 느껴진다.

 

¶  코로나19, COVID-19, 이름도 부자연스러운 이것, 언제까지 우리의 주위에서 맴돌 것인가? 장기적인 여파는 과연 어떤 것일까? 우리 가족부터 시작해서 주위의 모든 (사회) 공동체들, 특히 신앙공동체들, 나아가 우리가 사는 이 지역, 나라 아니 나아가서 NOOSPHERE는 어떤 변화가 있을 것인가? 우선 과학적으로 알고 싶고 다음은 영적인 눈으로…

 

나를 ‘살려준’ Tech Guy podcast, 과학적인 코로나 뉴스를…

 

이것에 관한, 요새 나의 안도감과 예기치 않은 즐거움은 바로 tech-guy style podcaster들이다. 코로나19 뉴스는 이들의 의견으로 간접적으로 듣게 되는데 이것이 (빠가, 또라이) 트럼프의 웃기는 발언들이나, major news outlet들의 조금은 과장된, dramatic한 style들보다 훨씬 믿음성이 있고 공감이 가는 것이다.  아마 앞으로도 나는 tech news podcast그 자체보다는 그들이 풍기는 분위기로 코로나 사태의 모든 것을 가늠할 것이다.

 

Backyard에 있는 open shed를 tool, workshop shed로 바꾸는 작업이 시작되었다

 

¶  어제 밖 backyard에서 일을 하며 라디오로 조지아 주의 코로나19  소식을 간간히 들었다. 이발소 같은 곳이 문을 열기시작 했다는 소식이었다. 성급한 느낌은 떨칠 수는 없지만 다른 쪽으로는 심리적으로 무엇인가 평상으로 돌아 간다는 느낌도 있었다. ‘과학적’으로 아직 business 를 열 준비가 안 되었다는 것, 그것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것이 아님을 알면 이것도 이해는 된다. 먹고 사는 것, 그것을 어떻게 무시할 수 있을까? 우리가 그런 문제를 피부로 못 느껴도 머리로는 알 수 있지 않을까?

 

¶  오늘 우리의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본당 레지오의 꾸리아에서 한국 서울 세나뚜스 단장의 글을 forward 보내왔다. 레지오 마리애 잡지에 난 기사를 보낸 것인데, 역시 코로나19로 인한 레지오의 시련, 도전, 그리고 희망에 관한 메시지였다. 교회전체가 겪고 있는 시련과 도전에 못지 않게 레지오도 앞으로의 운영과 선교 방향이 미지수인 것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한마디로 ‘사회적 거리두기, social distancing’ 와 레지오의 (대인 선교) 활동방식을 어떻게 지혜롭게 절충하느냐 하는 것인데, ‘쫄짜’ 단장인 나도 요새 이것에 대해 생각을 하면 한숨부터 나올 지경이다. 이것이야 말로 올해 우리들의 풀어나가야 할 제일 큰 도전인 듯하다.

 

¶ 故 최인호 (연세동문선배, 작가) 의 1990년대 말 자전적 수필집 ‘작은 마음의 눈으로 사랑하라‘ , 요새 신들린 듯이 필사를 하며 읽고 있고 이제 거의 마지막으로 향하고 있다. 그 중에서 오늘 읽으며 생각하는 것, ‘젊은 날의 약속’ 이 제목인 데.. 이것을 아마 언젠가 한번 읽었고 그 기억이 남아있는 것이다. (서울) 고등학교 동창회에 나갔던 이야기였다. 당시에 나는 ‘꿈속에서나 보고 느낄 수 있는’ 그런 그리운 동창회 광경이었다. 한마디로 슬프기만 했던 심정이었다.  이 글은 그가 50세가 넘으며 쓴 것인데, 어쩌면 그렇게들 그 당시에 벌써 ‘늙음의 문화’에 익숙해져 있었을까? 나는 그것이 부러운 것이다.

 

돌아온 공동배당 묵주기도

어제는 조금 변칙적인 날인가…  평소에 아침잠을 즐기는 연숙이, ‘새벽’  7시경에 눈을 비비고 일어나 부리나케 차를 몰고 아침 8시에 문을 연다던 도라빌 Doraville H-Mart로 간 것이다. 무엇을 sale을 하는지 모르지만 집에 있는 내가 미안할 정도였다. 하지만 가보니 9시로 시간이 바뀌었다고 울상, 결국은 기다리다가 장을 보는 모양이었다. 그래서 모든 하루 일과가 조금씩 늦게 진행되는 하루가 되었다. Grocery shopping이 거의 모험이 된 듯한 요즈음, 다시 깨닫는다. 아… 먹는 것이 이렇게도 중요한 의무요 책임이었구나…

 

‘연세대 선배, 인기작가’ 고 故 최인호 님의 ‘필사’ 중인, ‘작은 마음의 눈으로 사랑하라‘ 를 읽으며 지금은 ‘아버지 상像’에 대한 글을 읽고 있다. 어찌 나의 아버지 상에 대한 의견이 없겠는가… 자상한 아버지의 함정, 단점, 허구성이랄까… 그도 아마 자상한 아빠였을 듯 보이지만 자책적으로 너무 감정적이라고 했다. 그런가, 바로 그것이다. 자상한 것은 감정적이라고… 그렇게 좋은 것은 아니라고..  오히려 엄격한 것이 낫다고 고백하는 것을 보니 공감이 간다. 우리 아이들도 그 집의 애들과 비슷하게 느꼈을 것을 생각하면 미안한 마음이 들기도 한다. 최인호 님와 비슷하게 나에게도 본받을 만한 아버지상을 배울 여건이 아니었지 않은가? 곧바로 나의 입에서는 자동적으로 ‘김일성 [왕조] 개새끼.. ‘소리가 다시 나온다.

 

어제 저녁부터 ‘레지오 공동배당’ 묵주기도를  5단으로 시작을 하였다. 감개가 무량할 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조금은  아련하고 그리운 추억과 생각에 잠긴다. 이 공동배당…을 얼마나 오랜 세월 나는 ‘신 들린 듯’ 하였던가…  이것을 거의 한 달 이상 못하며 살았다. 아니 거의 잊었다. 일주일에 거의 90단 이상 씩 하던 것인데… 이것은 안 된다. 안돼…. 무조건 시작하자. 어제는 5단이고 오늘도 5단, 아니면 10단… 이것의 ‘위력’을 나는 잊었단 말인가? 무조건 무조건 하고 보자.

 

 

흘끗 본 일기예보대로 정확하게 오늘 이른 새벽에 꾸릉거리면 잔잔하게 비가 내렸다. 어제 gutter를 청소한 후라서 조금은 기분이 가볍다. 그래 이것은 은혜로운 비라고 할 수 있다. 꽃가루 특히 송학가루 앨러지 의 귀찮음을 덜해주는 것이리라.

 보니, 토요일이다. 하지만 토요일이 무슨 큰 상관이 있단 말인가? 요새는 정확하게 모든 요일이 똑 같은 느낌으로 다가온다. 예외는 일요일 주일 온라인 미사와 쓰레기를 버리는 일, 그것 뿐이 아닐까? 예전의 규칙적인 요일 별 외출, 활동이 제로가 된 상태가 이런 것이구나. 재미있기도 하다.

날짜를 보니… 18일… 그것도 4월 18일. 그렇다 내일은 4.19가 아닌가? 요새 대한민국에서 4.19는 어떻게 기억이 되고 있을까? 물론 googling을 하면 조금은 알 수 있겠지만 그런 overinformation 은 피하고 싶다.  99.9% 불필요한 그야말로 trash급일 것이다.  나는 나만의 4.19를 기억하고 생각하고 싶다. 역사는 계속 흐르고 보는 관점도 변할 수 있겠지만, 나에게 남은 4.19의 기억은 절대로 안 변할 것이다.

 

몇 달 만에 내가 우리의 점심을 준비하였다. 아침은 통상적으로 내가 준비하지만 점심은 아직도 우리의 ‘주부’인 연숙이 긴 시간을 들여 정성껏 만든다. 하루 아침과 늦은 점심 두 끼를 먹기에 이 점심은 사실 다른 집에 비해서 훨씬 양과 질이 높다.

지나간 십여 년을 넘게 내가 만드는 음식 중에, 아침에는 pancake 그리고 점심에는 vegetable/ground beef stir fry, 우리는 그저 간단히 ‘소고기 볶음’이라고 하는,  이 두 가지는 이제 완전히 감이 잡혀서 눈을 감고도 만들 정도가 되었고, 맛도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정도가 되었다. 물론 이 평은 모두 연숙에게서 나온 것이므로 과장된 표현일 것이다.

이렇게 같이 준비하고 같이, 편하게 먹는 두 끼의 식사는 정말 이런 코로나 사태 같은 비상시국에는 더욱 더 빛을 낸다. 동시에 이렇게 평화스럽고 맛있는 시간에도 걸리는 것은, 역시 현재 고생하고 있는 많은 형제 자매님들이고, 그저 모든 것이 순리대로 하느님의 섭리대로 나아지기를 바라는 마음뿐이다.

 

성 월요일 雜記

비교적 산뜻하고 편한 마음으로 일어난 성주간 월요일 아침.. 오늘은 어떤 날이 될 것인가? 요새 아침을 같이 먹으면서 내가 바보처럼 중얼거리는 말이 바로 ‘하루 또 살아보자!’ 다. 그래 하루 하루 현재를 충만하게 사는 것이 나머지 인생을 충만하게 사는 것이다.

어제 성지주일, 머리에서 많이 떠난 사순절, 성주간의 느낌을 되 찾으려 부리나케 교황님의 쓸쓸하고 피곤한 모습을 보며 가슴이 저려온다. 교황님의 모습은 그야말로 고통 받는 쓸쓸한 목자의 모습이다. 그래도 우리 같은 양들은 조금 그런 모습으로 위안을 받는다. 

Palm Sunday 성지주일 일요일 낮미사, 이영석 신부님 수고하셨습니다!

 

어제 3주 만에 운전대를 잡았다. 나라니 집, 산이를 보러 간 것이다. 로난, 산, 루크, 모두 조금은 아직도 생소한 느낌이지만 시간과 세월이 약일 것이다. 산이른 안고 보니, 어쩜 그렇게 귀여운지… 하지만 나는 예의 ‘참을성’을 발휘, 그저 지긋이 보는 할아버지의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그래, 나는 무엇이든지 무엇이든지 시간이 필요하다. 기다려다오..

운전을 하는 것이 이때처럼 즐거운 순간이 있었을까? 흡사 새벽 3시경에 freeway를 달리는 느낌이었다. 그것 빼고는 모든 산천초목이 전혀 다른 것이 없다. 빛나는 태양도 마찬가지, 모든 건물들도.. 하지만 자세히 보면 정말 ‘혼이 빠진’ 듯 보인다. 사람들이 오가는 것도 그렇고 business들도 비록 일요일이기는 하지만 달랐다.  하지만 이것도 지나가리라. 지나가리라…

 

문득, 나의 산성 山城, 나의 보배 레지오 (마리애) 를 떠 올린다. 99% 잊으며 살아간다. 나를 10년 동안 ‘구원의 뚝’ 위 로  올려 놓으신 성모님,  성모님께 선서, 맹세, 약속한 것은 어디로 갔나?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무엇인가? 레지오 단원으로서 지금 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나를 기쁘게 하는 것 중에 ESP32란 것, 어제 Sparkfun board 를 ‘재빠른’ amazon delivery 로 받았다. 어쩌면 그렇게 빨리 올 수가 있었을까? 요새 이렇게 밖에서 일하는 사람들, customer를 상대하는 사람들, 거의 영웅처럼 보인다. 그들을 보통, 평소 때에 이렇게 감사하며 살았을까? 그들의 minimum wage, 이곳에서는 아직도 $6 이 안 된다는 사실이 더욱이 놀라게 한다. 그들은 어떻게 살아갈 수 있는가? 이래서 Bernie Sanders의 의미가 있는 것일까?  이번 코로나 사태를 당하고 보내면서 이런 사회적 문제와 목표가 다시 재조명되면 얼마나 좋을까? 이럴 때 교회의 입장은 어떤 것인가?

 

Corona Beer보다는 Heineken Beer가…

Heineken beer, 부대찌개, 알맞게 따뜻한 화창한 날씨… 자꾸 미안한 마음이 드는 것을 어찌할 수가 없다. 우리 집 밖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필요이상으로 자기의 잘못이 아닌 것으로 인해서 고통을 받는 다는 사실과 우리가 현재 시간 시간 보내는 것을 비교해서 그런 것이다. 나는 물론이고 연숙도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며 시간을 보내고 있다. 어떻게 하는 것이 그들의 고통에 동참할 수 있는 것일까?

 

며칠 전부터 말썽을 부리던 bidet가 설치된 ‘나의’ toilet (stool) 이 완전히 막혀버렸다. 정말 신경질이 나긴 했지만 더 이상 당하고만 있을 수 없다는 생각에 일을 벌렸다. 무언가 ‘꽈~악~’ 막혔다는 결론에서 그것을 ‘뚫어야’ 겠다 는 일념으로.. 시작했다. 호기심이 불편함을 이긴 것이다.

결론적으로 오늘 일을 한 결과는, 역쉬~ 냄새 나는 ‘그것’, 아마도 수십 년 동안 막혀있었던 것들이 하나하나씩 쏟아지는 것을 보았다. 이것은 결론적으로 ‘물리적’ 방법보다는 ‘화학적’인 방법이 더 빠르고 효과적임을 알게 되었다.  이제는 ‘안심하고’ 나의 bidet toilet에 앉을 수 있게 되었다는 생각을 하니 저절로 휘파람이 나온다.

 

total plumbing & cleaning toilet stool

 

April’s Fools…

 

¶  Psalmy Morning:  4월이 시작되는 이른 아침은 밝지만 겨울처럼 싸늘한 느낌을 준다.  지나간 3개월 동안 하루도 빠지지 않고 계속되어온 순교자 성당의 야심에 찬 yearly project, 성경통독, 이제는 거의 자동적으로 어둠 속에서 성경을 펼친다.

거침없이 정직하게 흐르는 세월은 결국 우리 모두 신약성경을 모두 읽게 만들었다. 이것을 계기로 조금 신약의 전체 흐름과 느낌을 새롭게 하였다. 매일 복음과 더불어 이것은 다른 각도로 볼 수 있는 기회를 준 것, 너무나 감사한 것이다.

오늘 아침에 펼친 시편, 91편… 어쩌면 timing이 이렇게도 맞아 떨어지던가… 어둠과 두려움은 한마디로 악, 악의 표현, 구현이니까… 궁극적인 피난처를 우리는 믿는다.

 

나는 무서워하지 않으리라, 밤의 공포도

낮에 날아드는 화살도

어둠 속에 돌아다니는 흑사병도

한낮에 창궐하는 괴질도.

네 곁에 천 명이,

네 오른쪽에서 만 명이 쓰러져도

너에게는 닥쳐오지 않으리라.

오히려 네 눈으로 바라보리라.

악인들이 벌받음을 너는 보리라.

이는 네가 주님을 너의 피신처로,

지극히 높으신 분을 너의 안식처로 삼았기 때문이다.

너에게는 불행이 닥치지 않고

재앙도 네 천막에는 다가오지 않으리라.

 

<시편 91편 중에서>

 

¶  April’s Fools:  H 자매로부터 S 형제의 소식을 잠깐 들었다. 다시 비관적인 평가를 시작하는 것이, 옛날이나 크게 다를 것이 없다는 것.  Counselor 상담사를 만나기 시작한 이후 일말의 희망을 건 것이 사실이었는데… 근본적인 변화는 전혀 없었던 것인 듯하다. 그렇다면 그 나름대로 ‘꾀’를 부리며 주변 사람들을 오도 誤導한다는 느낌도 없지 않으니… 어떻게 이런 인간이 있단 말인가? 본인이 전혀 문제가 없다는 병적인 집착이 모든 비극의 원인일 듯하다. 나의 말대로 이것은 한마디로 ‘하느님의 영역’이다. 어쩔 수가, 기도 외에는, 없다.

 

3월을 결산하며 가능한 한 많은 ‘묵상, 단상, 기록, 일기’를 블로그에 남기려고 ‘이를 갈고’ 있지만 솔직히 자신은 없다. 내가 나 자신을 sabotage 하며 지낸 것이 거의2주가 넘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늘은 노력할 것이다. 의미 있는 나의 깊은 생각을 만들어 놓고 싶은 것이다.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는 나 자신이나 우리가족에게 어떤 후유증을 남겨놓을 것인가? 내가 걸리면, 우리 가족이 걸리면, 아니 주변사람들이 걸리면, 심지어 죽으면… 가슴 깊은 곳에서는 ‘설마, 설마, 설마’하고 외치지만 자신이 만만한 것은 아니다. 나이를 의식하며 걱정해야 될 운명이지만 아직도 큰 걱정은 안 하고 있다. 경제적인 것이 더 관심이 가고 있지만, 더 이상 어떻게 최선을 다 한단 말인가?

차를 타고 밖으로 나가는 것이 가끔 그립고, 차에서 내리지 않으면 문제가 없으니까 성당도 가고 하고 싶지만 마지막 순간에 자제를 한다. 이렇게까지 까다롭게 내가 나를 막는 것, 큰 자신은 없지만 이것이 모든 것을 돕는 것이라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그래… 참자.. 연숙이가 손자를 보러 나라니에게 가는 것도 사실 조금 걱정이 되지만 그것까지는 어떻게 할 수가 없다. 나라니가 그렇게 엄마를 찾는다는 것은 흐뭇하기도 하고, 아직도 나이는 들었어도 변함없는 막내라는 느낌도 든다.

 

근래에 우연히 성당에서 만나 알고 지내던 시몬형제, 나이는 10년 아래이지만 ‘교회적, 성사적 신심’은 놀랄 정도로 투철한 형제다. 특히 성사, 미사참례를 절대적으로 여기는,  요즘 주변에서 보기 드문 남자라고 할까. 알 수 없는 면이 더 많은 듯한데 우선 친근감을 주며 우리와 가까워지게 되었다. 느낌에 ‘알 부자’인 듯 하기에 조금은 우리와 거리감을 느끼게 하는 그런 면도 없지는 않다.

이 형제가 어제 밤에 할아버지가 되었다고 연락이 왔다. 기대했던 것이라 놀라진 않았다. 하지만 나 같으면 말하지 않아도 될 말을 아주 자연스럽게 하는 것을 보고 조금은 실망을 금치 못한다. ‘부자임’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듯한 것, 왜 나는 그런 것들에 그렇게 거부감을 느끼는 것일까? 그냥 받아들이면 되지 않는가?

 

이것과 연관되어서 나를 우울하게 하는 것도 곁들여 반성을 하고 싶다. 대한민국, 대한민국, South Korea는 과연 현재 나에게 어떤 나라인가 하는 절대적 명제다. 나는 이것을 가지고 왜 그렇게 씨름을 하는 것일까?

오늘 이런 나의 어려움과 씨름하며 문득 깨우치는 것이 있었다. 왜 나는 현재 나의 조국 대한민국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게 되었는가 하는 것이다.  결국 내가 대한민국 사람이 아닐 수가 없지 않은가? 미국의 좋은 점, 조국의 좋은 점 모두 나에게 기쁜 일이라고 생각하면 되는 것 아닌가? 왜 나는 그런 생각을 못하며 산 것일까?

이제는 아무래도 더 늦기 전에 조국과 더 친하게 되어야 하는 것인 아닌가? 어떻게? 연숙의 수준 정도로 조국의 참 실상을 서서히 알아 보면 된다. 무엇이 좋고 무엇이 나쁘고, 우선 실상을 알아야 시작할 수 있지 않을까? 더 늦기 전에… 더 늦기 전에…

 

Spring Forward Sunday

 

¶  Spring Forward!   지나가는 주중에 줄기차게 내리던 비, 그친 지 며칠 째이지만 하도 많이 내려서 마르는데 시간이 꽤 걸렸지만 오늘로서 완전히 빠삭빠삭한 땅과 하늘의 느낌을 맞게 되었다.

어느새 그 귀찮은 일, 집안의 모든 시계들을 한 시간 앞 forward 으로 돌리는 날이 되었다. 왜 이렇게 귀찮은 법을 만들었지 어떨 때는 은근히 화가 나기도 하지만 나의 힘으로 이것을 바꿀 능력은 전혀 없다. 하기야 이 법에도 의도하는 이로운 목적이 있으니까. 갑자기 저녁 시간이 밝아 진 것 daylight saving 은 사실 직장생활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큰 bonus일 것이기도 하니까.  이것을 ‘정상’의 시간으로 바꾸는 fall back,  늦가을.. 이제는 그렇게 멀게만 느껴지지 않는다. 그렇게 세월은 점점 빨라지고 있으니까. 다만, 다음 시계를 바꾸는 그날까지 우리는 어떤 ‘모양새’의 세월을 보낼 까 그것이 궁금할 따름이다.

 

¶  주일미사, 고해성사 깜:  지난 주일 미사에 이어서 이번 주일미사도 사정상 거르게 되었다. 비록 매일미사 참례를 한다고 해도 주일미사는 미사중의 꽃인데 어떻게 이렇게 되었는가 우리도 한심하지만, 따지고 보면 ‘나이 탓’을 안 할 수 없는 그런 처지에 우리가 ‘진입’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나니 그렇게 이상할 것도 없다. ‘그 날’까지 마라톤을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상식에 의거한 현명한 판단을 우리는 매일 아침에 해야 하는 것이다. 요즈음 문제의 주범은 연숙의 불면증이지만 그것 외에도 앞으로 나이에 따른 문제가 없을 리가 없다. 이제 우리의 사회생활은 물론, 모든 신심활동이나 신앙생활도 거의 우리의 건강상태에 달려 있다고 생각하니 긴장이 되기도 한다. 우리들의 비교적 건강함도 무한정 지속될 리가 만무하기 때문이다. 평화롭게 이성적, 상식적으로 하루하루를 감사하게 보내는 것, 그것이 관건이다.

 

이 사진과 신천지는 무슨 관계?

¶  개신교와 신천지:  요새는 우리 집의 ‘한국소식통’인 연숙을 통해서 그쪽의 소식을 가끔 듣곤 한다. 내가 워낙 그쪽에서 오는 소식을 피하거나 싫어하는 것을 알기에 별로 자세한 소식은 모르지만 요새는 조금 예외에 속한다. 바로 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이다. 왜 하필이면 그곳이 뉴스의 가운데에 나온 것인가? 그런데 알고 보니 참 기기 막히는 소식은 나도 알고 있는 것이었다. 그 바로 ‘신천지’인지 구천지인지 하는 걸맞지 않은 이름을 가진 ‘개신교’ [가톨릭이 아니면 일단 개신교라고 생각하고] 사교집단에 관한 것이다.

자세히는 잘 모르지만 그 집단 신도들에 의해서 그 바이러스가 퍼졌다는 것이 골자였다. 그러니 갑자기 뉴스에 나온 것이다. 자세한 정황은 알 수 없지만 결과적으로 그들이 이번 한국 바이러스 유포의 일등 ‘공범’이 된 셈이다. 하필이면 ‘예수님’을 믿는다는 사람들이 이런 나쁜 뉴스에 연루가 되었는지 한심하기도 하지만, 역시 ‘사필귀정 事必歸正’으로 생각하면 어떨까?

신천지, 이름도 촌스러운 이것에 대해서 내가 알게 된 것은 2013년 경이 아닐까? 아틀란타 도라빌 순교자 성당, 하태수 미카엘 주임신부님 재직시절 예비신자 교리반의 [teaching] staff으로 ‘레지오 활동’을 할 때였다. 부활절을 향한 교리반이 과정의 끝머리 즈음에 하 신부님이 특별강의 시간 하나를 추가해서 강론을 하셨는데 그 주제가 바로 ‘사교집단 신천지의 정체’ 였다.

그러니까 이 집단은 새로 등장한 것이 아니었고 꽤 역사가 있었던 모양이다. 예비신자들에게 이들의 정체를 알게 하고 경계심을 일깨워주려는 것이 신부님의 목적이었다.  이들의 특징 중에는 대부분 ‘잘 나가는, 지식적이고 말쑥한’ 젊은이들이 이곳으로 흡수가 되며 이들의 포섭공작이 아주 조직적이라는 것도 있었다. 특히 ‘성경공부’ 같이 하자면서 접근하는 젊은이들은 십중팔구 그들이라는 놀라운 사실이었다.

우리 같이 ‘한 물 간 부류’는 사실 그들의 안중에도 없기에 걱정이 전혀 없다. 하지만 교리반에서 공부하는 사람들은 문제다. 그들의 언변과 성경지식은 절대로 못 따라가니까. 그렇다. 이것이 바로 개신교의 고민일 것이다. 거의 자기 마음대로 성경을 해석하고 설교를 하는 그들, 이제 조금은 자체적으로  ‘교통정리’를 해야 할 때가 안 되었나?  전통과 초대교계를 완전히 버리고 그저 ‘성경유일’로 ‘자기 마음대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은 아무리 머리를 굴려 보아도 나는 이해할 수가 없다.

 

 

¶  문제없는 교황님: 오늘 지난 주일에 이어 다시 교황청 비디오를 보게 되었다. 일요일에 정오에 있는 교황님 주도의 삼종기도의 모습을 보려는 것이다. 이곳에서 교황의 모습을 보고 느낄 수 있고, 그 바티칸 주변에 모인 순례객들의 동정도 간접적으로 볼 수 있다.

지난 주일보다 순례자들의 수는 훨씬 줄어들었지만 아무도 마스크를 착용하지는 않아 보였다. 아마도 바티칸 주변 로마는 그렇게 바이러스가 심하지 않은 모양인가?

하지만 교황의 동정은 지난 주와 달랐다. 삼종기도 메시지를 ‘간접적’으로 video를 통해서 밖으로 방송을 한 것이다. 왜 그랬을까? 평상적으로 교황이 군중들을 내려다 보는 것, 바이러스와 큰 상관이 있을까? 하지만 모든 메시지 방송이 끝난 후에는 평상시와 마찬가지로 창문으로 나와서 군중들을 축복하는 짧은 시간이 있어서 크게 아쉬움은 없었다.

문제는 이제부터가 아닐까? 분명히 로마 주변에도 감염자 숫자가 늘어날 것이 아닐까? 그렇게 되면 결과적으로 바티칸의 모든 ‘성사’는 취소가 되는 것은 아닐까? 수요일의 교황님 주재 일반군중과의 만남 시간도 취소가 되었으니, 나머지 행사도 축소가 될 듯..  어떻게 세상이 이렇게까지 되었는가…

신년 벽두 장례미사有感

 

장례식, 장례미사, 연령회 연도..  이제 나에게는 너무도 친숙하게 느껴지는 이 말들은 모두 죽음에 관련되는 말들이다. 불과 10여 년 이전만 해도 나는 이런 것들을 거의 모두 피해가며 살아왔었다.  ‘죽음의 진리’를 요리조리 피하며, 모래 밑으로 얼굴을 파묻고 살았다는 표현이 바로 나의 모습이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제는 이 ‘죽음의 모습’을 눈으로 보고, 기리며 보내는 것이 거의 습관화가 될 정도로 많아졌고, 나름대로의 ‘망자 亡者와의 이별’ 하는 방법과 철학까지 생기게 되었다. 물론 기본적인 철학은 가톨릭적인 것이지만 이제는 내 생각의 일부가 되었음을 느낀다.

각양 각색의 인생을 살아온 사람들을 보내는 모습도 모두 다르겠지만 그런대로 경건함을 지키는 가톨릭 장례미사는 그 나름대로의 ‘장엄 의식’이 있고 그에 따른 조문객들의 엄숙함이 보인다. 일반 장례식은 물론이고 개신교 의식 조차도 이에 비해서 나의 눈에는 너무도 ‘사회적 모임’이라는 느낌을 떨칠 수가 없다. 한마디로 고인의 궁극적인 삶의 의미, 목적, 가는 곳, 등등에 대한 것들을 느낄 수가 없는 것이다.

 

오늘은 올해 들어서 첫 장례미사에 가게 되었다. 작년에는 1월 초에 간 기억인데 올해는 조금 늦은 셈인가. 오늘의 주인공은 40여 년 전, 우리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의 창립멤버로 활약을 했었고 그 이후에도 여러 가지 사회봉사활동을 해서 이 지역에선 잘 알려진 분이었다.  지병으로 한국의 어떤 요양원에 계시다 며칠 전, 향년 80대 중반에 선종하시고 유골함이 다시 이곳으로 왔는데, 고인의 경력을 감안하셨는지 신임주임신부님, 최대한의 예우로 장례미사를 거행하셨다. 예를 들면 부활초가 켜지고 제대의 초의 숫자 등, 모두 평소의 장례미사와는 달랐던 것을 느낄 수 있었던 것이다.

내가 생전의 고인을 직접적으로 만난 적은 없었지만 이런 분의 영결식에 참여하는 것은 레지오 단원으로서의 의무로도 생각되어서 ‘갈까 말까’하다가 온 것이었고 신부님의 고별사도 다시 기억하고 싶은 ‘신학적 깊이’를 더해 주는 그런 것이어서 ‘오길 잘 했다’하는 생각을 하였지만, 애석하게도 성당을 떠날 즈음의 느낌은 그것이 아니었다.

 작년 이맘때에 있었던 장례미사의 ‘악몽’이 떠올랐고, 그 이전에도 간혹 겪었던 좋지 않던 기억도 되살아 난 경험을 다시 하게 될 줄은 꿈에도 몰랐다. 이 지나간 두 가지의 비슷한 경험은 모두 ‘너무나 무리하게, 길고 길었던 미사’라는 것, 놀랍게도 그것이 오늘 다시 찾아온 것이다.

장례미사는 일반 장례식과 조금은 달라야 하는 것이 아닐까? 미사가 끝나기도 전에 ‘고별식’이란 것, 각종 지인들의 고인에 대한 고별사들, 어떤 사람들은 아예 짧지 않은 강연을 하기도 하는데 한국말을 모르는 조문객들이 거의 없는데 모든 말을 영어로 번갈아 가며 하기도 한다.  제일 괴로웠던 경험은 ‘정말 보기 언짢은 태도’로 한 없이 계속되는 ‘우리 사상 최고의 영웅’ 아빠에 대한 추억들.. 정말 끝도 한도 없었다. 내가 죽었을 때 딸들이 그렇게 하는 것, 관속에 들어가 내가 듣게 된다면 아마도 관 뚜껑을 열고 나올 정도가 아닐까..  어제도 큰 예외는 아니었는데, 이번엔 ‘반세기 추억의 영화’까지 가미가 된 것이 이채로웠다. 일반 장례식장에 가면 예식 전후에 뒤 배경으로 계속 보여주던 video를 이번엔 성당 미사 중에, 그것도 ‘끝이 안 느껴질 정도로’ 무수한 영상들을 보여주었다.  내가 앉았던 위치로 보아 도저히 탈출할 수가 없었던 상황이었다. 나에게 이것은 완전한 show stopper로 느껴진 셈이고 앞으로 ‘장례미사 공포증’이 생기지나 않을까 하는 우려까지 생긴다.

이래서 크건 작건 성당의 연령 행사는 ‘상식을 가진 책임자’가 책임을 지고 시작부터 끝까지 행사에 참여한 조문객들의 사정도 조금은 사려해 주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애석하게도 이제까지 이런 것들에 대한 책임자의 존재여부는 정말 불확실한 것이었다.  또한 앞으로 장례미사에 올 때는 끝나는 시간을 먼저 확인 받고 싶은 간절한 심정을 뿌리칠 수가 없다. 어쩌다가 이렇게까지 되었는가..

Lofty shelf coming down…

몇 달 전부터 생각하던 귀찮은 일을 드디어 해치웠다. 거의 20년 전인 2001년 9.11 테러사건이 난 후에 울적한 심정으로 만들었던 두 개의 giant hanging shelve 중에 하나를 해체한 것이다. 우리 집의 garage ceiling이 유별나게 높기에 이사 오면서부터 항상 그 천정의 공간이 아깝다는 생각을 하며 살았다.  거의 2층 deck정도의 높이라서  차고 공간의 절반이 ‘놀고’ 있는 셈이었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storage용으로 거의 다락방 크기로 선반을 만들어서 천정에 매달아 놓은 것이다.  공간 재활용이 목적이긴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거의 쓸모가 없이 방치된 상태로 20년이 지나갔다. 방치된 것은 아니지만 storage용도로는 너무나 높고, 깊어서 한번 쓰려면 차를 빼고 사다리를 써야만 하는 불편함을 미처 생각지 못한 것이다.

이제는 잡동사니를 하나 하나씩 버려야 하는 나이에 이런 bonus storage은 바람직한 것이 절대로 아님을 알기에 미련 없이 없애 버렸고 나머지 하나도 곧 사라질 것이다. 4시간 노동의 보람은 충분히 있었다.

 

이천 이십 년?

 

이천 이십 년? 허… 지나가는 10년 동안 부지런히 이천 십…을 되뇌며 살아서 그런지 이천 이십 어쩌구… 하는 것이 이렇게 이상할 수가 없다. 십진법의 ‘십’이란 숫자의 마술인가. 이제 두 시간 정도가 지나면 부지런히 부지런히 이천이십을 되풀이해야 한다. 하지만 이곳에서는 퉈니 퉈니, twenty twenty 2020, 20/20 (2.0 시력) 로 되니까 조금은 익숙한 느낌인가…

아~  이것이 decade적인 세월인가, 10년마다 겪는 이런 것을 돌아보니 사실은 20년 전에 우리는 대사건을 겪은 경험이 있었다. 1999에서 2000으로 바뀌던 그 무렵..  이런 것들로 1900년대 중반 이전부터 살아온 덕분에 이런 멋진 ‘세월의 숫자’들을 몸소 경험하게 되었다.

 

올해의 섣달 그믐날 밤에는 예상을 벗어나 3-2-1, Happy New Year! Countdown 하는 요란한 모습, 그것도 뉴욕에서 생방송 하는 것 보는 것을 지나치기로 하고 자정 몇 시간 전에 잠자리에 들어버렸다. 원래 계획은 바쁘고 피곤한 아이들이 안 온다기에,  모처럼 우리 둘이서만  ‘멋지게’ Champaign잔을 마주치며 ‘HAPPY NEW YEAR!!’을 외치려 했었다. 하지만 생각해보니 설날 아침에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 의무대축일 미사가 있기에 일찍 일어나야 한다는 사실을 핑계로  이 몇 년 된 전통을 포기한 것이다.

 

일찍 침대에 누웠지만 사실 깊은 잠에 들 수가 없었다. 3-2-1의 뉴욕의 생방송은 꺼졌지만 이번에 집 주변에서 요란하게 터지는 firework소리가 생각보다 요란하였다. 올해는 아이들의 장난이 아니고 아주 pro들이 즐기는 모양으로 오랫동안 지속되어서 몇 시간 동안은 아예 ‘새해의 기분’ 을 즐기는 셈치고 누워있게 되었다.

2020의 요상한 숫자의 느낌을 떠나서 심각하게 ‘늦은 세월’의 의미를 찾아 보았다. 내 나이 이제는 절대적, 긍정적으로 젊어지지는 않는다. 70대의 나이는 또 따른, 가볍지 않은 짐을 지고 나아가는 느낌, 그것은 육체적인 건강상태다. 수치상으로 나는 현재까지는 큰 issue가 없지만 머리 속으로 느낌은 그것이 아니다. 나의 나이는 나이인 것이고 그것이 정직하고 겸손한 태도가 아닐까. 겸손하게 살자, 겸손하게…

Chilly Morning with Handel

아주 매섭게 싸늘한, 빙점으로 향해 올라가려 애처롭게 안간힘을 쓰는 아침, 무섭게 새파란 하늘이 나를 더욱 움츠려 들게 만든다. 겨울 시작의 선을 긋는 동지를 이틀 앞둔 날 치고는 seasonable한 날씨일 듯하다. 하지만 조금 더 바란다면 조금 ‘덜 싸늘하고’,  조금 ‘더 흐린’ 그런 아침이었으면… 하는 바램을 떨칠 수가 없다. 나의 느낌은 조금 덜 싸늘하고 포근하게 되지 않았을까…

조금 쳐지는 기분을 뜨게 하는 것은 역시 coffee grinding 소리와 곧 이은 아늑하고 감미로운 향기가 있고 조금은 들뜨게 하는 소리, 음악이 있다. Big Screen TV로 kitchen에서 보게 된  YouTube는 2년 전 이맘때에 심취해서 보고 또 보고 듣고 했던 Handel’s Messiah 연주공연이 아닌가.  이 공연은 comment로 알게 되었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이 합창단과 orchestra는 동구권인 Czech Republic, Prague였다. 이 공연을 보면서 비로소 conductor의 역할을 실감하게 되었다. 전 공연을 마치 마술에 이끌리듯 감상할 수 있었던 것이다.  HD이 아닌 ‘조잡한’ video였지만 그런 문제는 생동감이 넘치는 audio가 모두 감싸주었다.

 

 

Collegium & Collegium Vocale 1704

Vàclav Luks, Director

Hana Blazikova, Soprano

Delphine Galou, Alt

Markus Brutscher, Tenor

Marián Krejcik, Bass

Recorded at l’Abbatiale Saint-Robert de La Chaise-Dieu, 21 August 2011

 

Classical music에 거의 문외한이었던 나는 뒤 늦게 이런 인류의 보물을 조금이라도 알려고 노력은 했지만 역시 역부족에 미치고 있는 듯하다. 우선 젊었던 시절의 이 분야에 대한 ‘추억’이 거의 없는 것이 치명타였다. 추억의 매력이 전혀 없이 ‘공부’만 한다는 것은 쉽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는 나를 죽음의 강을 넘어가게 인도하는 길잡이인 가톨릭 신앙의 도움을 전적으로 받고 있고 이 Handel의 걸작품 역시 그런 시각으로 보고 있다. 크리스마스나 부활절, 모두 이 ‘메시아’가 주인공이 아닌가?

 

세 번째 대림초가..

¶  세 번째 대림초가 켜졌다. 대림 제3주를 맞는 것이다. 또한 2010년대 마지막 해 2019년 마지막 달의 절반이 지나가고 있다.  공식적 겨울인 동지가 일주일 정도 남았고, 대림절이 끝나고 성탄시기가 시작되는 25일을 열흘 앞두고 있다.

도라빌 순교자 성당은 예년에 비해서 일찍 성탄장식의 불들 켜지기 시작했는데, 너무 일찍 시작되는 ‘축제분위기’를 자제하라는 교황의 권고 영향인지 몇 년 전부터는 확연히 ‘기다리는 분위기’로 바뀐 것을 느끼고 있다.

나 자신도 그런 것이 싫어서 가급적 성탄 전에 가깝게 조금씩 장식을 시작하려고 했고, 확연히 그것은 심리적으로 좋은 영향을 준 것을 실감한다. 성탄절, 그러니까 크리스마스가 모든 것의 시작이라는 생각을 하는 것이다. 대림절, 그러니까 성탄절 전까지는 ‘조용히 기다리는’ 것이고 축제 분위기는 성탄부터 시작이 되는 것, 거의 나의 모든 생애에 걸쳐서 나도 ‘세속적’으로 살았음을 알게 된다.

올해 새로 부임하신 이영석 사도 요한 주임신부님의 바람인지 올해는 성당의 장식들이 일찍 준비가 되었고, ‘사상 초유’로 성당건물 밖에 ‘사람이 살만한 크기’의 거대한 구유가 설치 되었다.  성탄의 기다림을 조금이라도 실감나게 보여주려는 ‘선행 투자’가 아닌가 생각도 들었다.

 

¶  ‘새’신자 안내:  12월 한달 동안 내가 속한 레지오 ‘자비의 모후’가 교중미사  (새)신자안내의 역할을 맡았기에 한달 동안 우리는 ‘의무적’으로 한국성당엘 와야 한다. 따라서 12월 모든 주에 우리는 ‘역사를 자랑하는’ 동네 미국성당의 교중미사는 모두 빠지게 되었다. 평일, 매일미사를 미국성당으로 가기에 큰 ‘심리적’인 문제는 없지만 그래도 무언가 허전한 것은 사실이다. 이럴 때 나는 나의 ‘정체성’에 혼란을 겪는다. 내가 미국에서 사는가, 대한민국의 연장선에서 사는가… 장기간 세월이 지나면서 이런 것에서 나는 편치 않은 그 무언가 항상 느낀다. 그 무언가 확실치 않은 것, 그것이 나는 싫은 것이다.

신자 안내, 사실은 주보를 나누어 주며 인사를 하고, 혹시 새 신자가 소개되면 그들을 미사 후에 ‘접대, 신자등록’ 하는 것인데, 3주를 연속으로 하다 보니 이제는 제법 익숙한 것이 되었다. 성당 정문 안에 서서 들어오는 교우에게 주보를 나누어 주며 따뜻한 인사를 하는 것, 이렇게 쉬운 일이 세상에 어디에 있을까? 이것이야말로 ‘win-win’중의 극치, 인사 받는 사람, 주는 사람 모두 그렇게 기쁠 수가 있을까?

문제가 하나 있다면… 흠… ‘웬수’의 모습이 눈앞으로 다가온다면?  이런 상황을 예견하지 않을 수가 없다.  선택의 여지는: (1) 공손히 인사하며 주보를 건네준다. (2) 얼굴은 안 보고 주보는 건네준다. (3) 얼굴을 똑바로 보며 전혀 모르는 사람취급을 한다. (4) 안 본 척하며 비켜선다. 여기서 나는 아마도 (2) 아니면 (3)을 선택하리라 마음을 먹었고, 은근히 그 ‘레지오 미친X’ 의 얼굴을 상상하기도 했다.

하지만 내가 마주친 교우들은 100% ‘천사’같은 모습으로 나에게 다가왔고 3번씩이나 경험한 이 ‘교우신자안내’ 일은 즐거운 일로 느껴지게 되었다. 하지만 다른 쪽에 서서 안내하던 연숙은 그런 행운이 없었다. 바로 그쪽으로 ‘웬수’의 ‘가오’가 다가갔기 때문이었다. 솔직히 그 ‘웬수’가 그렇게 당당하게 접근했다는 것은 상상 밖이었기에 놀랐던 모양이고, 결과적으로 신부님께 ‘성사’를 보게 되는 사태까지 갔다. 결과적으로 다시 겪고 싶지 않은 경험이었겠지만 앞으로는 그 ‘웬수’가 다시는 우리에게 접근하지 못할 것이라는 느낌이 들어서 오히려 다행일지도 모른다.

 

¶  Rock-Bottoming Out: 지난 주 레지오 주회합을 기점으로 우리 자비의 모후 쁘레시디움은 완전히 바닥까지 갔다는 회의감이 들었다.  제일 우리가 ‘차세대’을 지향하며 희망을 걸었던 두 자매, 모두 극복하기 힘든 복잡한 가정사정으로 물러나고 실제로 움직이는 단원이 기본적인 요건을 채울 수가 없는 상황이 된 것이다. 전에는 단원의 숫자가 그렇게까지 절대적으로 중요한 것은 아니라는 편한 생각을 가졌던 것이 사실이었다. 하지만 단장의 입장이 되고 보니 이것이야 말로 기본적 요건 중의 제일 중요한 것, 왜 몰랐을까?

이렇게까지 된 제일 큰 원인은 2년 전에 그 ‘레지오 미친X’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그 ‘미친X’은 개인적으로도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주었지만 그것보다 더 치명적인 것은 우리 레지오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었다는 사실,  이 사실만은 내가 눈을 감아도 잊지 못할 것이고 아니 잊어서는 안 된다고 결심을 하였다. 우리 둘의 결론은 그 ‘미친X’은 절대로 절대로 절대로 ‘뉘우칠 능력이 결여된 불구자’라는 사실이다.

앞으로 우리 자비의 모후는 어떻게 될 것인가? 솔직히 아무도 모른다. 새해에 과연 신단원 후보가 나타날까? 신부님의 적극적인 본당차원으로 홍보는 하고 있지만 암만 보아도 요새 교우들,  친교나 노는 데 더 신경을 쓰는 것을 보면 너무나 실망적이다.

 

¶  Tool Time’s Coming! 우리가 이사올 당시에 있었던 garage door opener 가 드디어 마지막 숨을 쉬었다. 몇 달 전부터 날씨가 싸늘해지면서 garage door가 움직이는 모습이 애처로울 정도로 늦고 마지막 안간힘을 쓰는 듯 motor의 소음소리가 더욱 더 요란하게 들렸다.  우리가 이사를 온 때가 1992년 봄이니까 최소한 이 garage door opener는 거의 40년에 가까워 온다. 이 정도면 훨씬 전에 retire가 되었을지도 모르지만 우리 것은 ‘장수 長壽’를 한 셈이다.

새것을 찾아보니 완전히 wifi/internet까지 겸한 hi-tech model 들 투성이다. 내가 바라는 것은 ‘힘찬’ powerful motor 로  2개의 문짝을 문제없이 올렸다 내렸다 하면 된다. Home Depot website 에서 찾아서 사온 것은 $200 짜리 Chamberlain model B750 , 3/4 hp인데 이것은 지금 것이 screw drive인데 비해 belt drive라서 noise level이 훨씬 낮을 것이라고 하는데 물론 좋겠지만 우리에게는 절대적으로 중요한 이점은 아니다.

문제는 이것을 교체하는 ‘쉽지 않을 수 있는’ 일거리가 남았다. 한번도 내 자신이 이것을 설치, 교체해 본적이 없기에 불안한 점은 있지만 ‘만능 교실’ YouTube를 보면 그렇게 어려울 것처럼 보이지 않았다. 이것을 실제로 교체하기 까지는 차가 드나들 때마다 근육으로 문짝을 올리고 내리고 해야 하는데 소낙비가 오지 않는 한 그것은 큰 문제는 아닐 듯 싶다. 다만 절대로 젊어지지 않는 나이가 문제라면 문제다. 절대로 절대로 작년 Hyundai Sonata의 Fuel Pump 교체하던 때의 실수, 악몽을 잊으면 안 된다. 나의 지나간 시절의 기술적 감각에 연연하면 안 된다, 안 된다.

 

¶  스테파노: 정말로 오랜만에 박스테파노 형제님 부부와 마리에타 소재의 ‘싸리골’ 이란 한국음식점에서 주말의 밤 늦게까지 식사를 하며 즐겁고 보람 된 시간을 즐기게 되었다. 이곳은 비록 우리동네인 마리에타에 있는 것이지만 우리의 일들이 주로 도라빌에 가는 기회가 더 많아서 가끔은 이곳을 잊고 산다. 그래서 그런지 이곳은 한국사람보다는 이곳 사람(보통 미국사람이라고 칭하는)이 훨씬 더 많은 듯 보였다. 한국의 ‘고기요리’가 이곳에 많이 알려지면서 이곳도 business가 전 보다 더 활발한 것 같았다.

이 스테파노 형제님을 개인적으로 알게 된 것이 불과 2년이 조금 넘었지만 부부의 나이가 우리와 너무나 비슷하고 관심사도 그렇게 서로 멀지 않음을 알았다.  현재 business를 모두 정리하려고 나이에 비해서 너무나 고생하는 것을 알기에 하루 빨리 모든 것이 해결되어 편하게 retire를 할 수 있게 되기를 바라고 있다.

공대출신인 형제님의 관심사는 나의 그것과 비슷한 부분이 적지 않은데 그 중에는 ‘양자 물리학 quantum physics’ 의 각도에서 본 신앙체계도 있는데 이 형제는 나보다 더 ‘동양사상’까지 가미가 되어서 요새 읽었던 Fritjof CapraTao of Physics의 그것과 크게 차이가 나질 않는다. 앞으로 시간이 나면 부부가 서로 다시 만나서 이런 흥미로운 화제로 긴 담소를 나누는 모습을 상상하며 헤어졌다.

Off Day Muses..

¶  제일 따뜻한 양말도 별로 따뜻하게 느껴지지 않는, 겨울느낌의 늦가을이 서서히 계절상의 겨울로 향해 서서히 흘러간다. 더위보다는 추위가 낫다.. 라는 깊숙한 추억으로, 이런 쓸쓸한 싸늘함의 일초 일초를 즐기고 있다. 비교적 유순한 날씨의 차례가 끝나고 매서운 바람에 실려온 시베리아[이곳은 캐나다] 성 냉랭함은 달력의 넘김과 더불어 세월의 움직임을 다시 느낀다.

오늘은 예기치 못한 off day가 되었다. 얼마 전 나를 ‘가볍게 [flu-shot덕분인지..]’  스쳐간 감기가 이번에는 드디어 연숙에게 닥친 것. 이럴 때마다 우리가 공감하는 것 하나가 있다. ‘이른 아침에 (돈 벌러) 나가지 않고, 편하게 쉴 수 있다…’ 라는 안도감. 언제까지 우리가 현재의 pace로 뛸지는 모르지만 어느 정도 살 날이 그런대로 남았다면 이럴 때는 조금 쉬면서, 천천히 가면 됨을 경험을 통해서 익히 알게 되었다.  그래… 하루 푹~ 쉬면 되는 것 아닌가?

근래에 자주 성당 공동체 주변에서 알게 된 나이가 엇비슷한  ‘친구’들을 통해서 그 동안 익숙지 않았던 ‘다른 삶’들을 알게 되면서, 아직도 꾸준히 매일 매일 일하는 형제, 자매님들에게 미안함을 느끼게 되었다. 우리가 살아가는 하루하루는 최소한 육체적으로는 편안한 것이라는 사실. 특히 가까이 알고 지내는 사람들 중에도 ‘새벽같이 집을 나간다는’ 사실을 자꾸 잊고, 실없고, 무심한듯한 comment를 하던 내가 부끄럽기도 하다.

 일년 열두 달, 매주 ‘레지오 마리애 화요일’이 우리에게는 主日과 더불어  laborious week 의 절정이기에 수요일 아침에는 언제나 조금 늦게 일어나고 싶은 유혹이 오고 ‘감기’와 같은 사유가 생기게 되면 다음날을 ‘반가운’  off-day로 결정을 한다.  그래도 daily morning mass는 우리에게 변함없는 7년 째 전통과  rule 이기에 이것을 거르게 되면 무언가 허전함을 느낀다.  하지만 매일 아침 보는 정다운 regular들의 얼굴이 떠오르고,  이것이 우리가 ‘우연히 시작한’ best ever life habit 임을 상기하면 절로 무한한 보람과 행복을 느낀다.

 

¶  거의 두 달 만에 Ozzie[새로니 pet dog]가 우리 집으로 ‘휴가’를 와서 열흘 넘게 머물게 되었다. 거의 14년 동안 우리 가족이었던 가족, Tobey가 작년 여름에 영원히 잠을 든 이후로는 다행히 Ozzie가 가끔씩이지만 거의 정기적으로 나의 공허함을 채워주고 있다. 가을이 되면서 동네를 개와 천천히 걸으며 단풍, 낙엽 등을 감상할 기회가 그리워지곤 했기에 은근히 Ozzie가 오는 것을 기다리기도 했다. 이렇게 우리 집에 pet sitting을 하게 되면서 새로니 는 조금 자유스럽게 되니 얼마서 좋은 일인가?

 

¶  Topless Natalie : 요새 심심할 때면 소일거리로 75+년 전의 LIFE magazine을 본다. 내가 태어나기 전 것이지만 20세기 최대의 사건인 세계 2차 대전을 전후로 한 ‘미국의 눈’에 비친 세계상을 화보 중심으로 볼 수 있다는 사실이 너무나 감사하고 신기하기에 즐겁고 보람된 소일거리로 삼게 되었다. 오늘 우연히 본 것 중에는 topless Natalie (Wood)가 있었다. 비록 6살 짜리 아이의 천진스러운 모습이지만 사진의 주인공이 우리시절의 잘 나가던 여배우 Natalie Wood 인 것, 그것도 상체가 모두 드러난 모습… 이런 사진 배경을 전혀 모르고 인터넷으로 이 모습만을 유포를 하면 요사이 태어난 젊은 아이들 아마도 pedophile로 FBI에 고발이라도 하지 않을까.. 웃음이 난다. 그녀의 부모가 Russia출신이라는 것과 그녀가 매력적인 것 뿐만 아니라 ‘머리가 아주 우수한’ 여배우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한창 시절에 사고로 익사한 것 등등으로, 역시 일찍 세상을 떠난 The CarpentersKaren Carpenter의 모습을 떠올리기도 했다. 아~~ 모두 옛 이야기들…

위령의 달, 두 죽음

 

¶  가톨릭의 전례력으로 매년 11월은 ‘위령의 달’, 그 중에서도 11월 2일은 ‘위령의 날’로써 ‘돌아가신 영혼들’을 기리고 있다. 영어로는 The Commemoration of All the Faithful Departed 라고 부르지만 간단히 All Soul’s Day, Month 로 불리기도 한다. 한마디로 ‘죽은 영혼들’이 이 기념일들의 주인공인 것이다.

내가 속한 레지오 마리애에서는 11월 중에 반드시 위령미사봉헌을 하게 되고, 전례행사에도 ‘죽은 영혼’들이 주제를 이룬다. 미사 중의 성가들도 거의 모두 ‘죽은 영혼들’에 관한 것들이다. 비록 일반인들에게는 11월의 절정이 ‘추수감사절’이고 크리스마스의 기분을 서서히 내는 때이긴 하지만 가톨릭은 충실하게 죽은 영혼들을 기리는 것, 나는 너무나 좋은 전통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것들을 보며 나는 마틴 루터가 너무나 성급하게 종교개혁을 했다고 단정하고 있다.

올해의 위령의 날 (11월 2일), 우리는 동네 미국본당에서 미사를 보았다. 지난  몇 년 동안은 한국 본당(도라빌 순교자 성당)의 위령미사엘 갔었다. 이 미사는 마리에타 공원묘지에서 야외미사 형식으로 하기에 그야말로 ‘위령’의 분위기가 정말 좋았다. 하지만 그 후, 이 미사를 집전하는 사람이 둘루스 한인성당의 주임신부라는 것을 알고는 그야말로 완전히 포기를 하게 되었다.  그를 보는 것만으로 연옥으로 떨어지는 느낌이 들기에 그렇게 한 것이지만 그 신부가 완전히 아틀란타를 떠나면 생각을 바꾸게 될 듯 하다.

 

 

¶  위령의 달을 지내면서 우리는 너무나 놀라운 ‘두 죽음’을 접하게 되었고 아직도 그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첫 번째 놀라움은 위령의 날 미국본당에서 알게 된 어떤 Hispanic 형제님의 죽음이었다. 매일 아침미사에서 보고 알게 된 이 형제님이 갑자기 지난 일년 동안 돌아간 신자들의 명단 사진에 오른 것. 위령의 날에는 지난 일년 간 선종한 신자들의 이름과 사진을 보여주며 신부님이 일일이 이름을 부르고 종을 친다. 이 형제님은 나이는 비록 나와 비슷한 편이겠지만 아주 건강한 편이었는데, 얼마 전에 돌아가신 것, 우리는 모르고 지냈던 것이다. 우리의 놀라움은 사실 컸다. 소문에 의하면 ‘갑자기 쓰러진’, 그러니까 아마도 심장마비 같은 것이 아니었을까 추측을 한다.  선종소식도 못 듣고 장례식도 못 알았기에 우리의 놀람이 컸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것과는 비교가 안 되는 놀람 중의 놀람은 며칠 전에 일어났다.  Roswell Nursing Home에서 우리 부부가 레지오 단원으로 몇 년간 방문하며 알게 된 한국사람 유학남 형제님, 나보다 5 년 위이신 치매성 환자인데 정신질환 을 빼면 이분은 사실 나보다 더 건강하고 깨끗한 모습이었다. 치매병동의 갑갑한 분위기에서도 항상 복도를 배회하며 ‘집에 가야 한다고’ 하던 이 형제님이 언제부터는 확연히 조용해지고 방에만 머무는 모습을 보게 되었다. 덕분에 우리가 방문하면 방에서 차분하게 대화를 할 수 있었다. 얘기가 잘 풀리면 가끔 ‘이분이 정말 치매환자인가?’ 하는 의문이 들 정도로 거의 정상인처럼 말씀을 하시곤 했다. 서울 아현동 철물점도매를 하던 시절의 이야기, 동양극장 주변의 이야기들, 독립문파 깡패, 부통령 이기붕 집의 추억 등등 이야기는 정말 흥미로웠다. 나는 그런 옛이야기를 나누면 아마도 서울에서 이분을 본 적이 있었을지도 모르겠다는 착각에도 빠지곤 했다. 문제는, 그 옛추억은 100% 논리적이고 실감나는 것들이었지만 지금 현재의 본인의 상태는 거의 모르는 듯 했다는 사실이었다. 현재 자기가 어디에 있는지를 모르는 것이다. 치매환자는 다 이런 식인가?  나는 이 형제님을 형이라고 불렀는데 얼마 전부터 나는 이 ‘형’이 나의 머리에서 떠나질 않게 되는 이상한 불길한 ‘예감’이 들곤 했는데 나의 우려가 갑자기 극단적인 현실이 되었다.

이 날도 평소의 routine대로 아래층 접근제한이 된 병동엘 내려가서 습관적으로 이 형제님의 방을 노크를 하고 들어가려 하니 옆에 있던 staff들이 와서 ‘무조건, 집에 연락을 하라고 한다. 표정들이 아주 심각하고 불친절한 느낌마저 들었다. 연락처를 받아 전화를 하니 형제님의 사위라는 사람이 전화를 받았고 곧 바로 어제 밤에 돌아가셨다는 놀라운 소식을 전해 듣게 되었다. 뒷통수를 꽝… 하고 맞는 듯한 충격을 느꼈다.

도저히 믿을 수가 없는 일이 아닌가… 아무리 정신질환이라고 해도 육신은 정말 건강하고 깨끗한 상태였는데 어떻게 아무런 불길한 전조 前兆 없이 그렇게 숨을 거두셨을까…나이도 팔십이 채 되지 않았는데… 아무리 망각증으로 고통을 받는다고 해도, 이해가 되질 않았다.

곧바로 사위분으로부터 ‘카톡’ 메시지가 왔고 ‘리 장의사’에서 고별입관예배 공지문을 받았다. 가족이 개신교에 다닌다는 사실은, 한때 병실 벽에 붙어있던 <아틀란타 한인교회> 달력을 보고 짐작은 했었다. 하지만 가족사항에 대해서는 전혀 idea가 없었다. 장례식에 가보니 역시 개신교회예식으로 준비가 되어있었고 가족들과도 인사를 나누게 되었다. 비교적 단란한 대가족이었고 부인이신 권사님을 통해서 어떻게 돌아가셨는지도 듣게 되었다. 그야말로 갑자기 호흡곤란이 왔고 곧바로 숨을 거두셨다는 것, 참… 어떻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을까? 가족들도 도저히 이해가 안 간다는 표정들이었다.

형제님의 지나간 인생을 보여주는 각종 사진들이 screen으로 비쳐지고, 또 다른 형제님의 모습들을 볼 수 있었다. 손주들에게 그렇게 자상하셨다는 고별사를 들을 때는 ‘아현동을 주름잡던 시절’의 이야기와는 아주 다른 느낌의 형제님 모습을 그리게 되었다. 어떤 인생을 사셨는지 항상 우리는 궁금했는데 이렇게 비극적인 이유로 다 알게 되어서 허탈한 심정을 금할 수가 없었다. 거의 2년 동안 정기적으로 ‘꿈 같은 이야기’를 서로 나누었던 추억들이 우리에게 언제까지 남게 될 것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