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dPress Bible, totally disappointing, so far…

After the very affordable, easy-looking WordPress for Dummies, I’ve looking for next level ‘technical’ book about the popular WordPress blogging platform for months. But I’m not impressed, no going further, totally disappointed! Maybe my expectations about this ‘bible’ have been too high or unrealistic.

In a nutshell, overall coverage about various aspects of this excellent platform were off-balanced. The general layout is by any means excellent, but the contents are not. Overall treatment of each subjects is very shallow with some surprisingly ‘too deep’ dive into ‘nonsensically too long’ code snippets all over. For example, I was eager to find some ‘value-added’ tips on non-blogging CMS setup, but it’s not even close even to the Dummies’ WordPress book which in my opinion is the best introductory book.

One more thing, the sample codes were downloaded from the publisher’s site, it shocked me dearly.. why?  Its format was docx… well I need MS Office 2007+ to open this ‘codes’. I can’t remember the last time code written in docx. Maybe, the author writes the code with MS Words.

Ah…Eres tu, 1973..

아주 오랜만에 Mocedades 1973년 히트곡 Eres tuyoutube를 통해서 다시 듣고, 보게 되었다.  이곳을 통해서 이곡이 1973년 Eurovision contest에서 2위를 한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 그룹이 6인조(여자 2, 남자 4)라는 것도 볼 수 있었다. 사실 이곡을 처음 들었던 것은 1973년 미국유학 첫해였는데, 아마도 1973년 가을부터 radio를 틀기만 하면 이곡이 흘러 나왔다. Spanish노래가 이곳의 일반 radio에서 이정도로 나오는 것은 그때 당시에도 흔치를 않았다. 어떻게 해서 이곳사람들이 잘 모르는 Eurovision Contest의 곡이 미국 top chart까지 올랐는지 확실치를 않다. 하지만 1973~4년을 생각하면 이 노래가 제일 먼저 떠오른다.

Eres Tu – Mocedades – 1973 

처음 들을 당시에는 Spanish로 불리웠다는 것만으로 짐작을 해서 그런지 그저 남미나 멕시코의 가수가 부른 것이라 생각을 했는데 아주 이후에 그들이 진짜 Spanish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 중에서도 Basque 민족이라는 것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그런지 더 흥미가 간 것도 사실이다. 그들이 어떻게 생겼는지, 어떤 그룹인지 사진 같은 것은 보기도 힘들었던 시절이었는데, 이렇게 세상이 좋아져서 다시 듣고 볼 수가 있게 되었으니. 참 좋기는 한데 다른 한편으로는 조금 ‘신비스러움’ 같은 것이 줄어든 기분도 든다.

1973년 미국의 광활하고 끝없는 지평선을 차로 가로 지르면서 거의 매일 들었던 이 노래를 생각한다. 그 당시에 그 곳에서 만났던 사람들은 다 무얼 하며 지내는지 같이 궁금해진다. 특히 성성모씨, Prof. John Hahn, 3 nurses at Auburn, Nebraska, Hank Lee at Omaha, Nebraska. 이제는 거의 ‘전설’처럼 느껴진다.

 

Ah… sir Cliff Richard…

Cliff Richard, 아니 더 정확하게는 Sir Cliff Richard, 인도태생의 영국의 국민가수다. 하지만 내가 기억하고 싶은 그는 teen idol이었다. 처음 ‘본’것은 영화에서다. 1964년 명동극장에서  Teenager Story라고 제목이 된 것인데 알고 보니 원래 제목이 The Young Ones였다. 아마도 분명히 일본“아해”들이 그렇게 제목을 바꾸어서 상영을 했던 모양이다.

그러니까 이 영화가 한국에 오기 전에는 별로 그를 아는 사람이 드물었다. 그 당시는 일본이 세계로 통하는 지름길목이어서 많은 것들이 그들의 취향에 좌우되곤 했다. 그때가 그러니까 고2때였다. 한창 팝송에 열을 올리던 시기라 물론 그 영화의 영향은 상당했고 그 이후로 그는 한국에서도 최고의 인기를 누리게 되었다.

 

 

Vision – Cliff Richard

그 영화에 삽입된 거의 모든 곡들이 LP album으로 나왔고 (그때는 copyright, license란 개념조차 없어서 그냥 외국 판을 복사했다) 나도 그것을 샀다.  영화 속의 group sound는 실제로 Cliff Richard와 같이 공연을 하던 The Shadows였는데 그 중에 안경을 낀 남자가 있어서 조금 인상적이었다. 보통 group sound라고 하면 장발에 옷들이 요란했지만 그들은 아주 심하게 말해서 거의 ‘은행원’ 같은 인상이었다. 

그 후로 Cliff Richard는 영화와 상관없이 많은 top chart (물론 미국계가 아니고 유럽계였지만) 에 오르는 주옥같은 recording을 발표했는데 그 중에 Vision이란 것이 있었고 아직도 가사를 완전히 외우고 부를 수 있는 불후의 classic이 되었다. 그 외에도 Bachelor Boy, Congratulation, Tin Soldier, Evergreen Tree, I could easily 등등이 생각난다.

거의 5년 뒤에 그는 일본공연차 왔다가 서울에 잠깐 들려서 이화여대강당에서 한차례 공연을 했다. 1969년으로 기억을 하는데 아주 확실치는 않다. 아마도 1970년일지도… 누가 알면 고쳐주시기 바란다. 가을로 기억을 하는데 정말 그때 그가 그렇게 여고생들에게 인기가 있는지 몰랐다. 관중의 대다수가 여고생들이었으니까. 나는 그때 여자친구가 ticket을 구했다고 해서 어쩔 수 없이 가게 되었다. 여고생들의 ‘괴성’에 정말 시끄러웠지만 사실은 나도 실제인물과 실제노래를 ‘생방송’으로 듣는다는 사실이 가슴이 설레었던 게 사실이었다.

그때 부른 처음 곡이 It’s all in the game이란 미국 country song이어서 조금은 실망을 했지만 그 다음부터는 거의 우리들이 기대했던 standard selection이어서 정말 좋았다.  The Young Ones, The Day I met Marie, Big Ship 등등이 생각이 나는데 아마도 Vision은 없었던 것 같았다. 사회는 물론 그 당시 젊은이들에게 인기가 많았던Duo  Twin Folios의 윤형주가 맡았는데 사실 그렇게 매끄럽게 한 진행은 아니었던 것 같다.

그때 반주는 역시 The Shadows가 따라와서 했는데 사실 그들의 지나치게  ‘즐거운’ 연주는 조금 버릇이 없게 느껴지기도 했다. 그러니까, 우리 같은 ‘촌놈’들에게 이정도의 음악은 과분하지 않겠냐… 하는 모습으로 느껴지기도 했다. 사실은 그 당시 우리나라의 일반 경제수준이 워낙 떨어지다 보니까 국제적인 문화행사에서 아주 ‘죽은 곳’에 가까웠다. 그런 유명한 연예인들을 부르기에 너무나 $$가 귀했던 것이다.

Cliff RichardBeatles같은  다른 영국의 group과는 아주 다른 스타일로 자기만의 fan들을 가질 수 있었는데, 미국에 와서 보니까 그는 완전히 nobody에 가까웠다. 1970년대 말에 잠깐 American style 로 진출을 하려 한 모양인데 역시 한계가 있었던 모양이다. 인터넷 상으로 감을 잡으면, 그는 사실 미국을 제외한곤 전혀 문제가 없었다. Soccer를 생각하면 비슷하다. 

잠깐 반짝한 연예인이 아니고 정말 자기가 부른 노래들을 믿고 사랑하는 평생가수, 국민적인 가수로 노력을 하더니 결국은 Sir란 작위를 받았고 아직도 concert를 하며 다닌다. 거의 70세가 된 모양인데 전혀 은퇴를 생각하지 않는 모양이다. 새로 발표하는 노래보다도 왕년에 불렀던 노래를 더 많이 부르고 청중들도 이제는 거의 장년, 노년들로 이루어진 것을 보아도 그가 얼마나 오랫동안 활동을 하는지 알 수 있다.

 

Peru, Nebraska라는 제목으로

Peru, Nebraska라는 제목으로 성성모씨의 추억을 글로 표현해 보고 싶었다. 그러니까 이곳에 눈이 오면서 생각이 그 아득한 시절의 1973년 겨울, Peru, Nebraska로 멈췄다. 그러다 성성모씨와 같이 눈길에서 헛바퀴를 돌고 있던 차를 밀어주던 생각으로 흐르고 자연히 그곳에서 교수를 하던 한국인 John Hahn, 그리고 근처 Auburn, Nebraska의 병원에서 근무하던 세 한국인 간호사들.. 참 소설 같은 배경이 아닐까?

 글을 쓰다가 조금 느낀 게 그렇게 또렷이 기억을 했다고 생각한 것이 구체적인 사실로 묘사를 하려니 턱없이 ‘사실’이 부족했다. 나의 머릿속에 그냥 두서없이 기억된 것일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조금은 생겼다. 생각과 글과 말은 서로 다 그 정도의 차이가 대단하다는 것도 함께.  그래서 부랴부랴 생생하다고 자부하던 미국유학과정을 시대별로 써 내려가기 시작을 했는데..이걸 어떻게 끝을 낼지 아니면 얼마나 자세히 써야 할지 현재로써는 난감하다. 하지만 시작이 반.. 이 아닐까?

 ‘눈’을 기대한 월요일 아침, 하지만 ‘물’로 끝이 났다. 연숙의 business일정으로 사실 눈의 ‘사치’는 귀찮기만 할지도 모른다. 며칠 계속되는 민감하고, 차게만 느껴지는 나라니와 같이 점심을 할 용기를 못 느끼고 도서관에서 평소 때 보다 30분 더 있었다. 1월 달 충격적인 거짓말 같은 우리의 ‘고백’을 담담히 받아드린 고마움도 있고 해서 조금 더 친하게 지내려는 희망은 잠시였고, 식사도 같이 안 하려고 하고 무언가 얼굴이 불만으로 가득 차 있다.

 내가 또 지금 무슨 ‘일’을 하고 있는 것일까? 제일 중요한 것을 먼저 해야 하지 않을까? 현재 나를 즐겁게 하는 것은 WordPress이다. 2~3년 전의 DotNetNuke와 비슷하다고나 할까? 그때의 것은 사실 ‘물거품’으로 끝이 났다. 하지만 이번 것은 그때보다 훨씬 낫다. 결과가 조금은 보이니까. 이것을 기점으로 PHP를 더 배우고 그러면 무언가 내가 할 일을 찾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WordPress Bible이란 책을 $30+ 거금을 들여 사서 현재 ‘재미있게’ 읽기 시작했다. 무언가 이번에는 결과를 기대해 본다.

 

인생 고수

책, 인생고수……참 제목이 좋다. 인생을 통달한 듯 한 저자의 자신 있는 실용화 된, 바로 써 먹을 수 있는 오래된 인류의 축적된 지혜와 철학.. 이렇게 책 하나에 그것을 모아 놓은 것은 사실 드물게 만나는 작은 기쁨이다. 목차를 보면 저자의 의도가 한 눈에 들어온다.

 

고단한 이들에게 보내는 응원

  • 내 힘든 삶은 무엇으로 보상받을 수 있을까?
  • 오늘이 내 생애 마지막인 것처럼
  • 건강한 생활을 위한 지혜로운 습관
  • 스스로 선택할 줄 아는 어른 되기
  • 언제 어디서나 통하는 고민 해결법
  • 왜 사람들은 나를 몰라주는 걸까?
  • 삶의 행복지수를 높이는 방법
  • 나이 듦에 대처하는 자세
  • 콤플렉스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싶다면

 

원하는 것 하며 살아가기

  • 왜 나는 항상 불리한 조건에 있는 걸까?
  • 하고 싶은 일과 안정된 직업 사이에서
  • 터닝 포인트를 꿈꾸는 이들에게
  • 인정받고 싶은 마음, 버림받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
  • 하루하루 힘겨운 일상, 미래는 언제 준비하나?
  • 존경 받는 리더 되기
  • 내가 있는 집단은 언제나 옳은 것일까?
  • 오늘도 나 혼자 모임을 준비하는 이유는

 

너에게 의미 있는 사람이고 싶다

  • 지금 하는 이 사랑, 진정한 사랑일까?
  • 세상의 반항아들과 대화하기
  • 인간관계가 나를 괴롭힐 때
  • 이기적인 이웃과 평화롭게 살아가기
  • 나를 알아주는 친구는 어디에 있을까?
  • 피할 수 없다면 제대로 싸우자
  • 서로 다른 믿음이 관계를 악화시킨다면
  • 세상의 폭력에 맞서는 가장 큰 힘

 

큰 제목 밑의 소 항목 들은 사실 서로 많은 연관은 없어 보인다. 그러므로 소 항목은 차례를 무시하고 읽어도 될 듯하다. 이중에서 나에게 제일 흥미롭거나 관계가 있다고 하는 것들을 열거 해 본다.

  • 오늘이 내 생애 마지막인 것처럼
  • 건강한 생활을 위한 지혜로운 습관
  • 왜 사람들은 나를 몰라주는 걸까?
  • 나이 듦에 대처하는 자세
  • 콤플렉스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싶다면
  • 터닝 포인트를 꿈꾸는 이들에게
  • 오늘도 나 혼자 모임을 준비하는 이유는
  • 인간관계가 나를 괴롭힐 때
  • 나를 알아주는 친구는 어디에 있을까?
  • 피할 수 없다면 제대로 싸우자
  • 서로 다른 믿음이 관계를 악화시킨다면

 

생각이 머릿속에서 자꾸 맴돈다. 혼자서 읽고 생각한 것보다 이런 것들은 누구와 같이 읽고 의견을 교환하거나 토론을 하면 어떨까 하는 것이다. 읽은 후의 서로의 생각은 비슷한 것 보다 다른 것이 많을 것처럼 생각이 된다.  바로 그것이다. 그 다른 것을 서로 생각해 보면 책을 혼자서 보는 것보다 효과가 그만큼 증가하게 되지 않을까? 사실 성경공부와 크게 다를 것이 없다. 다만 종교를 떠난 것이라 그만큼 제한조건이 줄어든다.  

아주 오래 전 그러니까 1990년 초 내가 마리에타로 이사를 오게 만든 직장: Automated Logic Corporation(ALC) 에서 일을 할 때 그 사장 (별명이 Jaws였다) 이름도 생생히 기억이 난다, Gerry Hull이었다. Gerry는 Jerry로 발음을 하는 게 아니고 Gary로 발음을 하였다. 그 사장이 우리 그룹의 중요 멤버와 같이 공부를 하던 게 있었다. 나는 거기에 참여를 못했지만 (이미 진행 중이었다) 옆에서 보니 참 신선하고 건강한 회사로 느껴졌다. 그때 같이 공부하며 토론을 하던 책이 바로 그 유명한 Stephen Covey의 “7 Habits of Successful People” 이었다. 이 책은 이미 베스트셀러였고 후에 나도 사서 읽게 되었다. 

그 이후로 나도 기회가 되면 이런 모임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며 살았다. 결과는 역시 제로.. 나의 고질병인 timid &passive.. 최근 10년은 연숙의 ‘눈치’를 보게 되어서 아주 그런 것은 꿈도 꾸지 못하였다. 나의 알량한 자존심을 버리고 싶지 않다. 경제력도 없는 꼴에 사람들을 모으고 만나서 한가하게 인생철학을 토론한다고?  웃기지도 않는 한가한 얘기가 아닐까? 구차하게 그녀에게 구걸하고 싶은 마음 눈곱만치도 없다.

궁극적으로는 이런 discussion group이 virtual이건 아니건 상관이 없을 것이다. 하지만 virtual한 것은 현재도 작업 중이 아니던가! (정말 웃기는 인간이 바로 이경우, 이경우 병신XX 다) 그래도 시작해 볼만한 resource는 하나 있다. 바로 이 “진희네 그룹” 이다. 이제 보니 10년이 훨씬 넘은 관록도 자랑한다. 요새야 10년 하면 별거 아니라는 기분도 들지만 10년은 결코 짧은 기간이 아니다. 그 동안 끊어질 듯 말듯 교제를 해온 나의 유일한 ‘친지’들이 되었다. 친구라고까지는 하지 못하지만 10년 동안 꾸준히 만났다는 것은 그런대로 친지의 영역에 속하지 않을까? 

이 그룹에서 만약에 이런 진지한 토론을 하게 된다면.. 아니 이게 우선 말이나 되는지 생각해 봐야 한다.  그것도 wife들까지 참여를 한다면.. 말이나 되나.  아.. 조금 이건 힘들지 않을까?  성경공부에선 그게 별로 문제가 되지를 않았다. 왜 그럴까? 이게 더 공부를 해야 돼서 그런가? 인원이 너무나 적어서 그런가?

Snowing Atlanta

Cul-de-sac under wet snow

 

물기가 한껏 담긴 무거운 눈이 펄펄 내린다. 일 년에 한두 번 구경할 정도의 big event에 속하는 ‘눈’은 이곳에서 커다란 뉴스 깜이다. 이번의 눈은 일기예보의 정확성을 다시금 느끼게 할 정도로 정확한 시간에 거의 정확한 양으로 내리고 있다. 

이른 오후 도서관에서 나올 무렵부터 앞이 안보일 정도로 내리기 시작해서 저녁 무렵에는 완전히 온 세상이 winter wonderland로 변했다. 이렇게 예쁘게 내린 것은 그리 흔치를 않았다. 기온이 아주 적당해서 차도는 차가 가는데 거의 지장이 없어서 그렇게 신경을 쓸 필요도 없다.

이렇게만 내리면 눈을 운전 때문에 걱정하는 게 아니라 즐길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오늘 밤 모두 얼어 버리면 내일 오전중은 차들이 아주 고생할 듯하다.

지난 주말부터 Midwest, Mid Atlantic에 최고기록의 엄청난 눈이 내려서 그야말로 난리더니 이번에는 이곳도 피할 수가 없는 모양. 그래서 현재 눈이 땅에 없는 state는 하와이 주밖에 없다고 할 정도이다. 이것도 global warming의 한 결과인가, 아니면 그 반대인가..  

하지만 이것만은 확실하다. 눈이 오는 게 비가 오는 것 보다 구경하기가 훨씬 아름답다는 것이다. 오랜만에 그런 감상에 젖는다.

 

두 권의 책

며칠 조금 포근한 날이 다시 매섭게 추운 날로 돌아왔다. 이곳의 2월 달은 사실 포근한 달이 아니다. 깜짝 놀랄만한 겨울날씨는 이때부터 시작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까. 이번 겨울은 나도 조금은 놀랄 정도로 추운 겨울의 체면을 살렸다. 거의 잊어버렸던 두꺼운 스웨터도 찾아 입게 되었고, 별로 인기가 없던 두꺼운 장갑, 그리고 드디어 생일선물로 ear muff까지 생겼다. 얼마 전에 Tobey 산책을 시킬 때 착용을 했는데 그 ‘위력’은 사실 대단했다. 조금 듣는 것, 특히 ear bud로 음악을 듣는 게 문제가 되지만 산책 내내 아주 편안하게 머리가 따뜻했다.

그렇게 가물고, 따뜻하던 날들이 언제부터인지 싸늘하고 비가 계속 오는 그런 날씨로 변했다. 참, 자연은 공평한가 보다. 시간이 지나면서 ‘평균치’를 이렇게 채워주시니 말이다.  정도의 문제겠지만 가뭄보다는 장마같이 비가 많은 게 좋고 더운 것 보다는 추운 게 더 좋다.

오늘Cobb library 에서 건강에 관한 일본인의 책(“몸이 따뜻해야 몸이 산다.”, “이시하라 유미”저, 김정환 옮김, 2006)을 읽었는데, 체온이 내려가면서 생기는 신체의 각가지 부작용, 그러니까 한마디로 면역력이 떨어진다고 하는 내용의 것이었다. 이것은 동양의학적으로 보면 수긍이 간다. 항상 몸을 따뜻하게 하라고 하지 않았던가? 이 책의 저자는 이것을 그 나름대로 ‘과학적’으로 연구를 한 모양이다. 음식도 찬 것을 피하고, 목욕도 따뜻하게 하고.. 그런 식이다. 나는 어떤가? 우선 먹는 것은 이빨 때문에 찬 것은 피하는 편인데, 예외적인 것은 냉수와 우유 정도일까.. 문제는 겨울에 집안 기온이 낮다는 것이다. 춥게 사는 게 나는 머리를 맑게 하고 경제적이라고 생각을 했는데.. 이것도 문제가 있는 모양 인가.

 또 하나 비슷한 종류의 책 (역시 일본인 저자: “병 안 걸리는 사람들의 3법칙“, “아보 도루” 지음, 박인용 옮김, 2007) 에서는 병 안 걸리는 사람과 잘 걸리는 사람의 특징을 다루었다.  권장하는 건강법은 ‘반신 욕’, ‘호르메시스’, ‘수면’으로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질병은 면역력의 저하에서 오니까 면역력을 높이면 된다는 뜻일 것이다. 외부적인 사고로 죽거나 부상을 당하지 않는 한 이 ‘질병’만 잘 다스리면 ‘장수’를 한다는 그런 것일까? 어쨌건, 죽기 전까지 건강한 몸을 유지하는 것은 사실 얼마나 행복한 것인가. 주변가족에게 부담도 필요이상 주지 않고, 더 나아가서 사회에도 경제적인 부담을 덜 주지 않겠는가?  이 권을 책을 빌려서 집에서 차분하게 읽어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Whispering piano가

Whispering piano가 the Whispering Piano Internet channel에서 감미롭게 굴러 나온다. 어쩌면 그렇게 피아노 소리가 감미로울까. 하지만 이렇게 듣기 좋은 것도 오랫동안 들으면 영락없이 시끄러운 ‘소리’로 변하고 만다. 세상만사가 다 그렇듯이..

화창한 월요일 아침 또 Cobb Central로 drive해서 왔다. 이제는 아주 친숙해진 곳.. 어쩌면 그럴까.. 예전에 이곳을 오면 그렇게 ‘빌려온 사람’처럼 안절부절못하고 가는 시간만 기다렸지 않은가. 그때는 누구와 같이 왔었고 분명히 내가 ride를 주었을 그런 상황이었을 것이다. 그때도 좋아하는 책을 보는 것은 즐거웠지만 나의 마음가짐이 전혀 달랐다. 오죽하면 가족들이 나보고 왜 그 많은 시간을 좁은 나의 방에만 처박혀 있냐고 의아한 눈초리를 보냈지 않았나. 이유는 없었다. 그냥 ‘결단’을 못 내렸던 것뿐이다. 나의 세상만사가 거의 그런 식이었을 것이다. 특별한 이유 없이 그렇게 된 것 투성이일 것이다. 굳이 이유를 찾자면 ‘나의 차’가 없어졌다는 것일까? 교훈은 “남의 말을 진정으로 생각해 보자” 라는 것일 게다.

현재 나를 조금이라도 지탱해 주는 것 “dadpc-2: Compaq Presario X1300″ laptop이다. 비록 거의 6년이나 된 ‘고물’ 이라고는 하지만 나에게는 ‘쌩쌩’한 보물인 것이다. 다행히 이것을 나라니가 살 당시에 wide-screen으로 비교적 비싼 model이었기 때문에 현재도 거의 문제가 없다. 그런데 역시 문제가 있다. 다행히 external한 것이라 조금은 다행이라고나 할까. 하지만 조금은 화가 난다. 이것은 거의 예측이 가능한 고질적인 laptop mechanical weakest link 라고 해야 할까? 바로 power (from charger) connection problem이다. 전번에 새로니가 쓰던 것도 여기서부터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 당연히 charger를 쓸 때 이 connector에 아주 예기치 않게 stress가 가는 것을 mechanical designer들이 몰랐을 리가 없는데 어쩌면 아직도 이것을 더 잘 만들지 못했을까. 문제는 charger connector에 연결된 pc board에 damage가 간다는 것이다. 이곳에 monster-class strain-relief mechanism이 필요한 것을 왜 그들은 더 신경을 쓰지 못하는 것일까. 좌우지간 이것이 더 악화되기 전에 손을 보아야 할 듯 하다.

지난 주말에는 예정대로 새로니가 다녀갔다. Vanderbilt University에 campus tour에 참가를 했는데 갔다 온 인상이 아주 좋았던 것 같고 financial aid이 더 좋게 되면 그곳으로 가기로 마음을 굳히는 모양이다. Vanderbilt하면 물론 아주 오래 전 김수근 씨가 생각이 나곤 하는데.. Oklahoma에서 조금 신세도 지고 알고 지내던 그분은 거의 공부를 끝낸 상태의 유학생이었지만 그 당시 Sherman의 조그만 college에서 가르치던 아주 ‘우수’한 경제학도였다. 그가 바로 Vanderbilt에서 공부를 했었기 때문에 그때 그 이름을 알았다. 남부의 명문사립이라는 것도 그때 알았다. 학교자체는 나도 마음에 든다. 하지만 아직까지 조금 이해하기 힘든 것은 현재의 job을 ‘버리고’ elementary school teacher가 되기 위해 Master’s degree를 받아야 하는가 하는 사실이다. 조금은 나의 머리로는 앞뒤가 맞지를 않아서.. 나의 희망은 그곳에서 공부를 하다가 더 ‘재미’가 붙게 되어서 higher degree에 도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조금은 우리부부의 ‘염원’을 생각해서 그런 것이다. 이런 논리는 이제 너무나 구식이 (여기나 고국이나) 되어서 남에게 말하는 것은 조금 치사한 일이다.

나의 지금은 어떠한가? 이게 무슨 해괴한 질문인가? 그래.. 나의 현재 건강상태는 A-minus정도는 될 것이다. 그냥 A라고 해도 되겠지만 조금은 자신이 없다. 아침에 일어난 후의 기분 나쁜 두통과 계속 느껴지는 얼굴의 경련 (연숙은 분명히 눈 주의의 경련이라고 하지만) 등등 그리고 계속 ‘악화’되는 시력.. 등등 때문이다. Physical checkup없이 이렇게 살아온 사람이 나의 주위에 또 있을까? 조금은 창피해서 말을 못한다. 하지만 나나 연숙은 상식적인 건강보험을 규칙적으로 들고 있지 않은가?  거의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고, life style또한 건강한 것이라고 믿고 있으니까. 하지만 우리도 모르게 몸 안에 무언가 ‘자라고’ 있다면 어쩔 수 없는 것이라 조금은 체념을 한 상태다. 우리의 경제력으로는 조금은 말이 안 되는 ‘사치’처럼 보인다. $1000씩 한 달에 지불하고 ‘안심’을 한다는 것 말이다. 이것도 사실 우리가 좋아하던 Obama때문에 얼마나 갈지 의문이다.

 

Obama and Aging…

Religion of Humanity…… 나에게는 아주 생소한 말이다. 아마도 처음 들어보는 용어가 아닌가 한다. 그러니까 아마도 Religion of God에 대응하는 말인 모양이다. Religion 하면 ‘신’의 존재를 가정하는 게 보통이니까 아마도 이 말은 religion을 비유법 정도로 쓴 것일 것이다. 최근 10년 동안 나에게는 ‘기피대상’으로 변해버린 Conservative ‘Political’ Magazine  중의 대표적인 the Weekly Standard 의 cover title에서 이것을 다루었다.

이 magazine의 ‘지독한’ 보수성은 인정을 하면서도 이들이 또 ‘종교’의 이름까지 쓰면서, ‘학문적 냄새’를 피우며 Obama를 몰아세운다. 하나도 놀랄 일은 아니나, 이렇게 종교와 정치를 연관시키려는 것을 생각하면 이들이 참 지독한 친구들이구나 하는 생각까지 든다. 사상적인 보수파, 극우파 들은 humanity란 말을 싫어하는 것 같다. 한마디로 ‘신’을 빼놓았다는 말일 것이다. 그래서 주제가 “The Roots of Obama Worship: Religion of Humanity finds a 21st-century savior” 로 되어있다. 이 제목이 사실 그들이 하고 싶은 “We hate everything about you, Obama“의 ideology를 암시해 주고 있다.

이 article의 내용은 아직까지 자세히 정독하지는 않았지만 대충 읽어보아도 그 ‘정체’를 짐작케 한다.  저자 (James W. Ceaser: a visiting fellow at the Hoover Institution and professor of politics at the University of Virginia) 의 의도와 주장은 간단하다. 취임 일 년 만에 지지도가 80% 에서 50%이하로 떨어진 것은 ‘미국 건국역사 이래’ 처음이라는 것이다. 그러니까 그것은  ‘이상과 현실’을 ‘착각’한 Obama의 정책에 잘못이 있다는 뜻이다. 그리고 일반국민의 환상을 만족시켜줄 희망은 주었지만 그것을 실행하는 ‘힘’이 부족하다고 주장한다.  이 글은 물론 대학교수가 쓴 것이기에 이론적인 배경이 역사적 배경과 더불어 아주 확실히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이 저자도 어쩔 수 없는 ‘정치적 시민’이기에 자기의 정치적인 주관성으로 한쪽 ‘편’을 드는 것은 이해를 할 수 밖에 없는 듯하다. 하지만 ‘변화’를 갈구하는 다수의 유권자를 Obama ‘숭배자’로 몰아 부치는 것을 보니 그의 설득력은 많이 떨어진다. 조금 더 자세히 읽은 후 나의 생각을 더 정리를 해야 할 듯하다.

오랜만에 US News &World Report magazine을 읽게 되었다. Issue는 2010년 2월호인데…… 이게 조금 놀랐다. 나는 Time이나 Newsweek같이 weekly magazine인줄 알았는데 monthly라서. 언제 부터 weekly에서 monthly로 바뀌었나, 확실치 않다.  이 잡지는 아주 오래전에는 Time, Newsweek등과 비슷하게 경쟁적인 잡지였는데 언제인가 부터는 그 conventional format을 많이 바꾸었다. 조금은 과장적인 coverage와 표지로 바뀌었고 America’s Top 100 Universities같은 ‘경쟁을 유발’ 하는듯한 자극적인 기사를 즐겨서 쓴다. 그게 오랫동안 계속되니까 이제는 완전히 그들의 ‘상품’으로 둔갑을 하게 되었다. 나는 이런 유의 기사가 참 마음에 들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그 ‘순위’ 가 각 학교나 단체의 ‘목표’가 되기도 하니까 말이다.

이번 February issue또한 ‘눈에 띄게 튀는’ 표지와 기사특집이다. “How to Live to 100“..이렇게 눈에 띄게 만드는 제목이 또 있을까?  거기다가 빠지지 않고 America’s 100 Nursing Home을 곁들인다. 주제는 물론 장수하는 비결이겠지만 골골하게 오래 사는 게 아니고 ‘거의’ 젊은이 못지않게 ‘씩씩’하게 오래 사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한다. 이런 유의 기사는 어디에서고 어렵지 않게 찾을 수는 있다. 하지만 이건 major national magazine에다가 최근 issue이니까 조금은 흥미가 간다.   두 가지로 요약을 하면: reduced calories, moderate exercise 그러니까 아주 상식적인 것이다. 적게 먹는 게 동물실험으로 건강하게 장수하는 것으로 이미 밝혀진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적당한 운동이 여러 가지 ‘노인병’을 방지하거나 늦춘다는 것도 많이 연구가 된 것도 사실이다. 현재 나의 생각도 거의 이것과 비슷하다.

 

2월이 되었다

글을 쓸 때 무엇으로 쓰느냐, 그러니까 붓, 펜, 연필, 만년필 같은 것으로 종이에 쓰느냐 아니면 요새처럼 keyboard로 쓰느냐 하는 것이 나는 솔직히 그렇게 차이를 주지 않는다고 생각해왔다. 하지만 가만히 생각해 보니 그것이 아님을 알게 되었다. 이것은 다른 사람들, 특히 쓰는 것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에게는 더욱 미묘하게 차이를 준다고 한다. 얼마 전에 나도 그런 것을 경험하고 조금은 놀랐다. 정말 오랜만에 생각이 잘 정리가 안 되는 것을 우연히 책상 앞에 놓여있는 메모지에 ‘그리기’ 시작을 했는데.. 역시 생각이 모이면서 정리가 됨을 느꼈다. 사람은 역시 ‘기계’가 아닌 것이다.

올해 1월 달도 어제로 끝나고 2월의 첫날이다. 겨울답게 추운 이번 겨울은 고국의 옛 겨울을 연상시켜주어서 사실 포근하게 느껴지곤 했다. 내 생일전후는 1월21일이라서 ‘대한’ 절기가 그날 앞뒤로 떨어진다. 내가 태어났던 서울의 그때 추위는 대단했다고 누누이 들었다. 눈도  많이 왔다고 곁들여서.  상상하며 그려본다. 해방 후, 6.25전의 서울풍경을.. 그때의 풍경이나 내가 처음 기억하던 서울거리나 그렇게 차이가 없다면 대강 그려지곤 한다.

올해 2월은 고국엔 설날이 제일 큰 명절일 것이고.. 이곳은 사실 그 정도 큰 것은 없겠지. 내일은 Ground Hog Day로구나. 이제는 이 날도 조금은 정이 들었다. 처음에는 그렇게 생소하고 웃기는 날이었지만 지나고 보니 그게 아니었다. 동양적인 계절적 절기의 하나라고 생각하니 편하게 느껴지고 그 유래 같은 것 등등이 더 정답게 느껴지기도 한다. 결국은 몇 년 전에 영화까지 나오지 않았던가..

하지만 몇 년 전부터 나에게는 Ash Wednesday도 아주 중요한 날이 되었다. 개신교에서도 이런 날이 있는지 모르지만 Roman Catholic에서는 이날로 부터 Lenten season(사순절)이 시작된다. 그러니까 Easter(부활절)까지 40일 (4순)이 시작되는 날인 것이다. 이날은 Mass에서 신부님이 앞이마 가운데 재의가루를 문질러 주신다. 처음에는 조금 이상했지만 이제는 기다려지기도 한다. 그 이유를 이해를 하면 모든 것이 받아들여진다. 올해 사순절은 무엇을 하며 지낼까.. 서서히 생각을 정리해야겠다.

 

아.. Davos..

Davos World Economic Forum, 2000… 내가 기억하는 가장 오래된 Davos Forum이 바로 2000년이었다. Forum의역사가 그보다 훨씬 오래 되었지만 아마도 Internet과 digital technology의 도움으로 더 활발해지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2001년부터는 매년 흥미롭게 주시하는 1월 달의 큰 행사였다. 2000년에는 사실 우연히, San Diego, CA 에서 있었던 Microsoft Windows CE seminar/workshop에서 한 가지 course를 맡았던 한 instructor/author가 Davos에 wife와 같이 다녀왔다는 자랑에 섞인 이야기를 들었다. 그 instructor 이름이 아마도 Douglas Boling이었지. 나의 기억력도 이정도면..

그가 왜 그곳에 갔느냐 하는 것이 조금 문제인데.. 왜냐하면 그곳에는 세계적으로 내로라하는 유명 인사들이 참가해서 얼굴을 보이는 곳이기 때문이었다. 사실 실속보다는 무슨 큰 영화제 같은 인기성을 강조하는 듯 한 인상이었다. 하지만 사실 정치권의 거장들, 심지어는 현직 수상 급들까지 얼굴을 비치곤 해서 무슨 UN총회를 연상시킬 정도였다.

일월 달은 나에게는 정신적으로 조금 바쁜 달이다. 가족생일이 두 번 이나 있고, 결혼기념일까지 있어서 더 그렇다. 어떨 때는 조금 부담을 받기도 하는 그런 달인데 이 Davos Forum은 적당히 그런 것들이 거의 잠잠해질 무렵에 열려서 아주 편하게 Internet으로 보곤 했다. 아침에 찐한 Coffee를 마시며 Internet으로 이것을 보고 있노라면 사실 의욕의 피가 끓어오름을 느낀다. 내가 그곳에 가 있는 착각에 빠지기도 한다. 한마디로 ‘활동적’인 ‘성취한 인간’들을 마음속 깊이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매년 주제가 그 당시에 가장 급박한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서 더 흥미롭고, 가끔 적대적인 관계의 정치 인사들이 예행연습 없이 벌이는 ‘희극’도 빼놓을 수 없다. 가장 참담한 심정으로 본 것은 아마도 2002년인데 이유는 간단하다. 2001년의 9/11 Terror사건 때문이다. 그때 흔히들 Clash of Culture같은 ‘책임 없는’ 주장들을 했다. 그만큼 사람들에게 준 9/11의 심리적  충격은 심각했다. 나도 그중의 하나였지만 이 Forum을 통해 그것을 재삼 확인을 할 수 있었다.

최근의 world financial meltdown으로 올해도 어김없이 등장한 것이 다른 종류의  clash of culture인 모양인데, 이번에는 Islam vs West가 아니고 China vs West인 모양이다. 글쎄 잘 모르겠지만 이게 너무나 성급한 진단이 아닌가 모르겠다. 시간적으로 China factor가 너무나 짧아서.. 이것을 가지고 너무 호들갑을 떠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이렇게 시간적으로 짧은 것은 사실 culture라는 말을 주기가 적합하지 않다. 그저 ‘현상’ 정도라면 몰라도..

 

결혼 30주년에..

오늘은 우리부부 결혼 30주년이 되는 날이다. 연숙이나 나나 정말 쉽게 믿어지지를 않는다. 30년이란 기간은 조금 상상하기가 힘들었으니까. 누군들 그렇지 않으랴. 참 긴 여정이었다. 앞으로 얼마나 더 긴 여정이 될지도 짐작하기가 힘이 든다. 25주년은 필요이상으로 신경을 써서 준비도 하고 했는데 30주년은 50주년이 아니라서 그런지 조금 덜 생각한 것이 사실이다. 준비라고 해 봐야 어디 기억에 남을 만한 여행을 하거나 fancy한 restaurant에서 식사를 하는 것이지만. 극성맞은 아이들도 나이가 먹어감에 따라서 극성이 조금 잠잠해 진 모양이다. 오늘은 잠정적으로 간단히 아주 편한 곳에서 점심을 하기로 했다. 이번에는 편한 곳이 근처에 있는 Thai restaurant Lemon Grass..

어제는 올해 들어 처음 마리에타2구역 Dinner & Bible모임이 있었다. 아주 아주 오랜만에 조금은 ‘홀 가분’한 기분으로 참가를 했는데, 이것도 요새 내가 조금씩 의식하고 있는 out of closet같은 감정일까. 의식적으로 덜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에 신경을 쓰려는 나의 노력이다.  내 마음에 상처를 주는 것을 피하려는 나의 노력은 사실 나를 더 상처를 주는 것일지도 모른다. 나는 나고 너는 너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그런 덕분인지 1분이라도 그 시간을 보람 있게 ‘즐기려고’ 노력을 한다. 내가 그곳에 있음이 그곳에 모인 형제, 자매에게 도움이 된다는 생각을 하려고 노력을 한다.

그런대로 사람들이 ‘북적 이는’ 도서관에 앉아서 무언가 써야겠다는 생각에 몇 자 적으려 한다. 월요일 오전이다. 활동적인 사람들은 무언가 커피냄새 진동하는 일터에서 어느 정도 긴장감과 성취감 그리고 기대감 등으로 바쁜 시간을 보내리라. 그들이 부럽다. 나는 그런 것을 못 느끼니까.. 하지만 느껴보려고 내 나름대로 제일 값싼 방법을 찾은 게 이곳이다. 집과의 거리도 알맞고, traffic도 적당하고, 우선 $$가 차의 gas이외는 없고.. 기본조건을 만족한다. 내가 보고 싶은 책들은 많이 없는 곳이지만 우선 책이 있는 곳이고, 그런대로 쾌적한 환경을 주는 곳, 그것뿐이랴.. 많지는 않지만 근래에 출판된 한국에서 온 책들이 200여권이 넘게 있는 곳..현재 나의 ‘직장’이다.

이곳에는 눈에 뜨이게 흑인들이 많이 보인다. 그야말로 out of proportion할 정도라서 처음에는 정말 의아했는데 지금은 나의 눈도 많이 적응이 되었다. 그 많은 백인들은 모두 어디에 있나.. 하는 의아심..하지만 조금은 이해가 된다. 많은 흑인도서관 이용자들은 이곳을 거의 job seeking headquarter로 쓰는 모양이고, 그 만큼 그들이 out of proportion으로 out of job이란 뜻일지도 모른다. 어디까지나 너의 추측에 불과하지만 말이다.

 

Freezing Atlanta…

 

거의 20년 전에 이곳으로 이사 온 후에 겨울답지 않은 겨울을 보내면서 자주 ‘추운’겨울을 그리곤 했다. 그리곤 고국 부산의 겨울날씨를 이곳과 비교하기도 했다. 내가 부산에 살아 보지는 않았지만 듣기에 부산의 겨울은 눈이 일 년에 한번정도 내린다고 들었기 때문이다. 이곳의 겨울이 그랬다. ‘재수 좋으면’ 한번 정도 시원하게 내리곤 했으니까.

이번 주에 겪고 있는 이곳의 겨울은 부산이 아니라 서울을 연상케 하기에 충분했다. 공식적인 기록은 아직 모르지만 아마도 계속해서 거의 일주일동안 계속되는 한파는 처음인 듯하다. 처음에는 밖에 주차가 된 차의 시동을 거는 게 귀찮은 정도였는데, 이제는 그 정도가 아니고 거의 괴로울 지경이다. 이곳의 따뜻한 날씨에 20년간 적응이 잘 되었다는 확실한 증거가 아닐까?

그동안 잊고 살았던 두꺼운 스웨터를 다시 찾게도 되었다. 그리고 아~~ 겨울이 이랬지.. 하는 아득한 오래전의 ‘진짜’겨울을 생각케도 되었다. 어제는 급기야 눈까지 합세를 하였다. 많이 내린 것은 아니지만 길을 하얗게 만들기에 충분했다. 그리고 이번에는 절대로 녹지도 않는다. 학교가 쉬게 되어서 밖에 나와서 우리 어렸을 적에 많이 보던 진짜 아이들의 모습으로 변했다. 썰매를 타는 것이다.  이런 것들이 크리스마스 전에 일어났다면 아주 멋있는 기분이었을 것이다. 지금도 사실은 기분이 포근해지고.. 아주 감상적이 되기에 충분하다.

 

행복어 사전

 

우연히 도서관에서 “삶을 아름답게 하는 100가지” 라는 작은 제목이 붙은 행복어 사전이란 책을 보게 되었다. 이곳의 bookstore 에서는 아마도 SELF HELP section쯤에 속하는 책일까… 이 책이 왜 금방 눈에 띄었는가 하면 같은 제목의 책이 전에 있었음을 알기 때문이다. 나의 기억이 옳다면 아마도 <이병주> 라는 저자의 소설 이었을 것이다. 그 당시 제목이 조금 특이해서 읽게 되었음을 기억한다. 처음에는 non-fiction인줄 알고 읽고 보니 그야말로 소설이었다.

하지만 이번의 행복어사전은 글자 그대로 행복어사전 이었다. 진짜 사전은 아니지만 행복으로 가게 하는 저자의 90세 경험에서 우러나온 경험적 글들의 모음 정도라고 해야 할까. Subtitle에 의하면 100가지라고 분명히 개수까지 밝히고 있다.  오늘 아침 크리스마스 다음날 일찍이 도서관에 나와서 읽게 되었는데 이건 내가 생각해도 나답지 않다고나 할까? 예전에는 사실 그냥 나의 서재에 앉아서 진한 아침 커피를 즐기며 있었을 시간이 아닐까? 이래서 인생은 꼭 예측대로만 진행되지를 않기에 조금은 재미있는 게 아닐까?

최근 거의 3년간 ‘다시 알게 되는 일본‘ 의 나만의 ‘공부’ 덕분에 조금은 일본인 저자가 생소하지 않고 일본의 이름들도 이제는 조금 친숙한 편이다. 그렇다. 이 책의 저자는 사이토 시게타라는 90세의 일본인이다. 90세라는 나이의 느낌도 이제는 나에게는 30세라는 나이보다 덜 생소하다. 나의 나이가 60세를 넘어서 그런가..  30세라는 나이는 이미 내가 살아 본 나이라 덜 흥미롭지만 90세라는 나이는 내가 혹시라도 가보게 될지도 모르는 ‘미지’의 나이라 그런지도 모른다.

이 책에 조금 더 관심이 가는 것은 저자가 60세 이후의 ‘막내 늙은이’에 대해 언급을 하고 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평균적으로 직장생활이 60세 전후에서 끝난다고 생각해서 그런 것인지 아니면 저자의 경험상 그런 것인지는 확실치는 않지만 책을 더 깊이 읽게 되면 더 알게 되지를 않을까? 현재까지 읽은 것에서 공감이 바로 가는 것 중에는 “고민거리 도 마감날짜를 만들어 두자” 가 있다.  처음에는 조금 우습게도 들렸는데.. 가령 “여보시오, 그게 그렇게 마음대로 된단 말이요?” 하고 곧바로 반문을 하면 뭐라고 저자는 말을 할까? 굳이 따지자면 시간을 질질 끌면서 고민하지 말자는 뜻 정도가 아닐까?  하지만 저자는 말한다. 저자 자신이 아주 ‘효과’를 본 방법이라고. 아주 구체적인 방법으로 고민의 정도에 따라서 작은 고민은 10분에 고민을 끝내고 그 다음은 30분, 또는 최대 한 시간.. 등등.. 으로 개인에 맞게 시간을 정한다는 것이다. 조금은 너무나 현실적인 게 아닐까 생각을 하지만 이것도 도움이 되는 테크닉이 아닐까. 이것은 다른 말로 하면 모든 ‘일’을 끝을 생각하며 일을 하라는 뜻일 듯하다. 나의 style과 아주 정반대라고 생각도 된다. 나는 그 과정을 더 즐기는 타입이라 그런 모양이다.

 

결국은, 결국은?

결국은, 결국은 크리스마스 ‘이브의 이브…  이 말이 웃긴다. 시간이야 다 결국은..이 아닌가!  그래 결국은 크리스마스 ‘이브의 이브’가 되었다. 이 말도 웃긴다. 이브의 이브라.. 처음 써 보는 말인데 그럴 듯 하구나. 분명히 나는 이제 61번째의 ‘이브’를 맞이하는 셈이다. 구정과 추석 다음으로 나는 이날이 좋았다. 예수와 나는 개인적인 관계가 없어도 그건 상관이 없었지 않은가? 

춥기만 했던 그 한겨울 누나, 누나친구들과 그리던 크리스마스카드.. 는 생각만 해도 눈물이 날 지경이다. 미제 카드, 그것도 새것이 아닌 쓴 것을 그림만 잘라 가지고 다시 만든 카드를 보며 그 아름답고, 이국적인 눈 덮인 세계를 우리는 다시 옮겨서 그렸다. 눈 덮인 조그만 교회당, 산타클로스 할아버지의 크디큰 선물자루, 뉴욕의 야경에 찬란히 빛나는 크리스마스트리, 장식들…… 모두가 가난했던 우리들에겐 동경과 환상의 대상이었다. 그림을 좋아했던 (그다지 잘 그린 것은 아니라도), 나는 그 시간들이 너무나 좋았다. 비록 추웠어도 온돌은 따끈해서 화로 불을 옆에 놓고 우리들은 그곳에 누워서 만화도 즐기고 카드도 그리곤 했다. 특히 누나친구들과 같이 놀던 생각도 많이 난다. 누나야, 참 그때는 즐거웠지?

하지만 그때 우리나라는 분명히 성탄절의 나라는 아니었다. 비록 이승만대통령의 ‘희망’대로 휴일이었고 이브의 밤에는 ‘통행금지’가 없었다. 소위 통금이 없다는 것은 그 당시 사람들을 심리적으로 완전히 풀어 버려서 1964년 (내가 고2때)에는 서울시내, 특히 명동의 거리는 완전히 밤새 동안 ‘광란’의 거리로 변해 버렸다. 그게 사회적으로 ‘문제’가 될 정도였다. 최근에 일본에 대해서 알게 되면서 거의 같은 시기에 일본도 거의 같은 현상을 겪고 있었다. 그러니까 1964년의 겪은 것을 같은 때 일본이 앞서 가고 있었던 것이라서, 지금 생각해 보면 조금 흥미롭기도 하다. 그러니까 1964년 성탄절은 기억이 또렷한 게, 나도 그 ‘소란’함에 조금 기여를 했던 것인데.. 그때 명성이와 동만이를 우리 집으로 불러서 밤을 새운 것이다.  아마도 그때의 분위기가 모든 사람들을 그렇게 만들었던 모양이다. 그러니까 고2 였던 우리들까지 합세를 하지 않았던가?  그 당시는 나이가 나이인지라 한창 외국 (거의가 미국이겠지)의 pop song들에 심취해 있었는데, Christmas carol도 예외가 아니었다. Living Stereo라고 label이 붙은 LP jacket에 그때의 유명했던 Pat Boone이 있었다.  그가 불렀던 Jingle Bells는 아직도 기억이 생생하다. TV가 그다지 많이 보급되지 않았던 당시에 라디오가 왕 이었는데, 그곳에서도 완전히 Christmas special일색이었다. 그 당시에 왜 그렇게 까지 ‘과열’이 된 상태가 되었을까? 아직도 그게 나는 궁금하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아무리 분위기가 그랬어도 그것은 역시 12월 24일 하루뿐이었다. 그 전이나 그 이후에는 전혀 그런 분위기가 없었다. 그게 지금 내가 여기 살면서 얼마나 이곳이 그런 분위기를 오랫동안 가지고 있는지 실감을 하게 된다. 요새는 거의 Thanksgiving이 끝나자마자 시작되는 느낌이다. 그래서 나는 요새는 한마디로 ‘지겹다’는 느낌도 든다. ‘소박’한 기분이 거의 들지를 않는다. 너무나 상업화 되어서 그런가? Holiday blues란 말이 실감이 간다. 분명 나는 오랜 전부터 내가 즐기는 게 아니고 아이들이 즐기는 것을 보며 위안을 삼을 그 정도가 되었다. 내가 확실히 ‘우울’한 인생의 후반을 보내고 있는지도 모른다.

 

Foggy holiday mood..

다시 12월이 되었고, 성탄과 연말을 향해 시간과 나의 머리가 줄달음을 치고 있다. 휴일느낌의 포근함과 무엇인가 ‘정리’가 되지 않고 무엇인가 또 했어야 한다는 불안감이 동시에 나의 머리를 사로잡는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 필요한 ‘선물’에 대한 압력(?), 연말과 새해로 인한 나의 나이에 대한 착잡한 생각……참, 이런 느낌을 나와 비슷한 나이의 사람들..다 같이 겪는 것일까.. 궁금하기만 하다. 그런 느낌을 나눌 수 있고 들어주고 들을 수 있는 그런 ‘인간’이 나는 그립다. 아마도 그게 친구란 것이 아닐까? 아마도 그런 면에서 나는 친지 최형이 이 세상에서 제일 부러운 사람 중의 하나다. 그는 그 포근한 감정을 만끽할 수 있는 모든 조건을 자랑하고 있다.  나는 그것들의 어느 것도 가지고 있질 못하다. 그런 면에선 나는 참 불행한 남자다.

얼마 전부터 다시 오래 전의 기타를 손에 잡았다. 구역모임, 엄 형제 댁이 귀국할 때, 남 형제 집에서 모였을 때 거의 즉흥적으로 모두 노래를 불렀다. 그때 거의 또 우연히 그 집에 기타가 있었다. 그래서 연숙과 둘이서 우리들의 ‘영원한 듀엣’ 곡 드림드림을 부르게 되었다. 물론 나의 목청이 수십 년(?)동안 침으로 막혀있어서 결과는 뻔 했지만 기분은 무척이나 상쾌하고 즐거웠다. 그 후로 다시 나의 먼지가 소복이 쌓였던 ‘사랑하는 기타’를 꺼내게 되었다. 기타 줄이 낡아서 소리는 뻔했다. 하지만 그것보다 나의 기타에 대한 모든 것을 진땀 나게 기억을 해야만 했다. 코드도 다 잊고, 손끝의 통증이 고통스러웠지만 역시 기분만은 즐거웠다. 

Cobb Central Library의 concourse 의 널찍한 desk에 앉아서 뽀얗게 안개가 자욱한 밖을 바라본다. 그곳에는 묘지가 창문전체를 차지하고 있다. 아마도 그곳에는 내가 알기로 미국 남북전쟁의 dead veteran들이 묻혀 있을 듯하다. 경사가 심하게 진 언덕전체가 하얀 비석으로 조밀하게 채워져 있다. 그들은 과연 어떻게 그곳에 묻히게 되었을까? 무슨 사연들을 다 가지고 있을까? 그들의 가족들은 어디에 살고 있을까? 고국과는 너무나 다른 묘지이지만 그게 무슨 상관이 있을까? 이 세상에 나와서 다시 갈 곳으로 간 것은 틀림없지만 어쩔 수 없이 시대를 잘못 만나서 아마도 훨씬 평균수명의 몇 분의 일도 못 채우고 이 세상을 떠났으리라. 아마도 그것도 그들의 운명이 아닐까?

이제는 이곳 도서관이 익숙해져 가고 있다. 벌써 2달이 되어 가나보다. 10월19일 날 처음 ‘용감’하게 나의 closet에서 나오지 않았던가? 물론 전부터 계획을 세워서 나온 것은 아니다. 거의 ‘불현듯’ 생각을 행동으로 옮긴 것뿐이다. 전부터 식구들의 ‘충고’가 조금이라도 도움은 되었을지 모르지만 역시 나는 그렇게 남의 말을 듣고 바로 행동에 옮기는 그런 ‘쉬운 인간’이 아니다. 하지만 연숙이 나의 도서관행을 전적으로 찬성을 하고 동의하는 것을 보면서 조금은 마음이 착잡하기도 하다. 내가 집에 없는 시간을 즐길 수 있는 ‘권리’라도 찾은 것 같이 느껴진다. 어찌 아니랴? 내가 그렇게 집에 뿌리를 내리고 칩거한지가 거의 10년이 되어가지 않는가? 참, 나도 어쩔 수 없는 인간이다. 나라니 에게 차를 뺏기고(?) 더 변명할 구실도 생기고, $$에 대한 거의 ‘공포감’도 한 몫을 하고.. 어쩔 수가 없었다. 이제는 내 차(?)도 생기고, 나의 used laptop도 나라니 의 도움으로 생기고, 조건이 좋아진 것도 사실이다.

 

아주 싸늘한 12/12…

오늘은 12월 12일이다. 이 날짜를 우리말로 읽은 음감이 항상 기억을 더듬게 한다. 그러니까 십이 십이가 아닌가? 이날 전두환이 박정희와 비슷한 무혈혁명을 한 날이 아닌가? 1979년 12월 12일이다. 그렇다. 정확하게 30년 전이다. 아…아…하는 신음소리가 안 날 수 없다.  30년이면 어떤가? 긴 건가, 별로인가. 이제는 세월 감각이 많이 ‘역사적’ 인 단위로 적응이 되어서 별로 긴 듯이 느껴지지 않는다. 하지만 60년의 반.. 이 아닌가.

1979년 12월 12일에 우리, 그러니까 나와 연숙은 김포공항에 갔었다. 꽤 늦은 저녁시간이었는데 아마도 그날 밤에 전두환이가 일을 저질렀던 모양이다. 우리는 그날 전혀 그런 것을 몰랐고 관심도 없었다. 거의 결혼이 결정된 인생 최고의 기분으로 살던 때였으니까. 그날도 매섭게 바람이 불고 추웠던 기억인데 그게.. 아직도 생생하다. 연숙의 지도교수인 김숙희 교수가 미국으로 가게 되어서 공항으로 배웅을 가게 된 것인데, 아마도 그 교수에게 나를 보여주기 위해서 나와 같이 나간 듯 하다.  버스를 너무 일찍 내리는 바람에 공항 터미널까지 걸어가야 했는데 그때 내가 연숙의 손을 처음으로 잡고 갔던 기억이다. 나중에 연숙의 말이 손이 추워서 혼이 났다고 했다. 그저 춥다는 말을 하면 내가 미안 할까 봐 말을 못했다고.  지금 생각하면 그저 아름다운 추억이다. 30년 뒤에 이렇게 회상을 하니까 물론 아름답게 보인다고 할 수도 있지만 사실 그때는 구름 위를 걷는 듯 참 아름다운 시절이었다.  그런 아름다운 시절이 우리에겐 있었다. 그걸 많이 잊고 산다. 너무나 서로에게 익숙해져서 모든 걸 미리 가정해가며 건조하게 우린 살고 있다. 그렇게 살 필요가 없는데. 참 그게 현재 우리의 불행인지도 모른다. 그럴 능력이 모자람 없이 가득한 우리 두 ‘인간’인데.  신앙도 신앙적인 노력도 이것을 극복 하기가 쉽지 않은 듯하다.

아주 싸늘하다. 아니 숫제 춥다. 이곳은 Cobb Central Library 이다. 조용한 토요일 아침, 비록 추워서 손에 입김을 불기도 하지만 이곳에서 interruption없이 ‘마음대로’ 책을 읽고, 집에서는 도저히 자주 중단이 되어서 하기가 힘들 것 같은 일들을 여기서는 할 수 있으니 어찌 좋지 않으랴. 요새는 돋보기 없이는 책을 읽기가 힘든 상태가 되었다. 그렇게 거의 1년 전 까지만 해도 크게 불편이 없었는데 이제는 조금 이것을 쓰는 게 익숙해졌다. 이래서 다 살게 되어있는 모양이다. 돋보기로 보이는 나의 손등이.. 이제는 영락없이 늙었다. 그러니까 많이 쭈글쭈글해졌다. 슬프다. 하지만 이게 정상이고 자연스러운 것이다. 그저 받아 들여야 하지 않을까?

 

2000년대의 마지막 해,마지막 달…

2000년대의 마지막 해, 마지막 달이 성큼 나에게 다가왔다. 별로 생각 없이 그저 또 ‘부담스러운’ 성탄의 달이 왔구나 생각을 하다가.. 생각해보니 2009년이 지나가려고 하고 있음을 알고 조금 더 부담을 느낀다. 그리고 2000년대가 그러니까 decade가 저물고 있음을 생각하고.. 2000년대가 나에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또 생각을 한다.

올해 Thanksgiving도 하느님의 도우심으로 우리 사랑하는 작은 가족이 같이 turkey를 먹을 수 있었다. 새로니가 큰 언니답게 부지런히 움직여 주어서 10시간 넘게 drive를 해서 모이게 되었다. 덕분에 우리가 구해 주었던 Izzie[kitten, cat] 와 다시 만나게 되었다. 아마도 이런 게 ‘인연’, ‘운명’, 아니면 ‘숙명’이 아닐까. Tobey & Izzie는 아마도 우리와 운명을 같이 하는 하느님의 선물인지도 모른다. 부디 행복한 삶을 우리와 살기를 기원한다. 나에게는 나의 오래 전의 끔찍한 ‘죄’를 보속 받을 수 있을 지도 모르는 그런 하느님의 배려라고 나는 믿고 싶다.

나의 수중에는 Cash $450의 ‘거금’이 있다. 아마도 연숙도 짐작은 할지도 모르지만 그 액수는 확실히 모를지도. 그것은 상관이 없다. 유혹이 너무나 많다. 그렇게 갖고 싶어 하던 VT-enabled CPU/PC를 살 수 있는 모처럼의 기회인가..도 생각했지만 거의 포기를 한 상태이다. 그것도 아주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게 훨씬 더 많음을 실감한다. 내가 지금 이 세상을 떠난다면 제일 아쉬워할 것이 무엇일까? 가족이겠지. 그 다음은 … 아마도 내가 알지도  못하는 사람들 그 중 에서도 우리 보다 덜 행복한 사람들.. 그것이 지금은 더 중요하게 느껴지고 아니 그렇게 느끼고 싶다. 그렇다. 그 돈은 이번에 오는 성탄을 생각하면 써야 한다. 가족들의 선물과, 자선단체, 조금이라도 우리와 연관된 친지들에게 고마움을 표시하는 것으로 쓰리라.. 다짐을 하는데 문제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써야 하는지.. 그러니까 역시 devils in the detail이 아닐까..

 

지금 이 entry는 사실 조금 ‘과장’된 system environment에서 씌어지고 있는 것이다. 조금 나에게 자만심을 줄 만큼 사실 convoluted 된 remote access 인 것이다.  지금 나는 Cobb Central Library에서 우리 집에 있는 VM-WINXP-EN-2라는 virtual machine 을 remote desktop으로 access하면서 거기에 있는 OneNote로 이 entry를 edit하고 있는 것이다. 이게 사실 조금 과장하면 거의 ‘기적’에 가까운 technique 이 아닐까? 최소한 10년 전만 해도 상상도 못하던 그런 쾌거이다. 정말 it’s a wonderful life가 아닐까?  물론 이것은 Hamachi VPN의 덕분에 가능한 것이지만 역시remote desktop mode는 정말 필요할 때만 쓸 것이, speed penalty가 너무 심하기 때문이다. 생각을 한다. 이 speed bottleneck이 어디에 있는 것일까? Hamachi VPN 자체에 있는 것일까.. 아니면 Cobb Central wireless에 있는 것일까.. 이것은 다른 곳에서 test해 보는 수밖에 없을 것이다. 언젠가 Panera에 laptop을 가지고 가서 test를 해 보면 조금 더 idea를 얻을 수 있겠지.

오늘도 비가 많이 온다. 예보처럼 ‘폭우’는 아니고 그냥 잔잔하게 꾸준히 내린다. 경우야, 너는 언젠가부터 rain person이었지 않니? 그냥 비가 좋았지. 환경 탓으로 눈은 포기한지 오래지만 비만은 언제나 나를 즐겁게 해 주었지. 하지만 올해는 조금 신경이 쓰인다. 아늑한 실내가 있어야만 비를 즐길 수 있는 것인데, 그게 gutter가 주룩주룩 새는 바람에 꿈이 깨어졌고, 설상가상으로   이제는 나의 차 Voyager가 비가 새고 있으니..조금 ‘아늑한’ 꿈은 깨어지고 말았다. 해결책은 모두 손을 쓰면 된다. 불가능한 것이 아니니까.. $$도 크게 필요하지 않으리라 희망을 한다. 다만 그 놈의 사다리를 타는 게 겁도 나고, 따라서 일을 하는데 신이 나지를 않는다.

 

그런대로 싸늘하지만

그런대로 싸늘하지만 바람도 없고 햇빛이 가득한 오전.. 다시 피곤한 몸을 이끌고 Cobb Central에서 가방을 풀었다. 온몸이 어제 하루 종일 대청소를 한 탓으로 그야말로 뻑적지근~~하다.  운동으로 그 힘든 bench press해도 이렇지 않았는데.. 역시 이건 ‘운동’이 아니고 ‘노동’이라서 그런가 보다. 며칠간 머릿속에 맴돌던 마리에타2구역의 모임이 어젯밤에 있었고 식구 셋이서 열심히 노력을 한 덕분에 무사히 잘 끝을 맺었다. 거의 2년 만에 우리 가족의 보금자리였던 family room을 청소한 셈이다. 여름 내내 거기서 밤잠을 잤건만 참 생소하게 느껴짐은 역시 나의 하루 일과가 거의 100% 그 좁고 덥고 밝기만한 나의 study에서 이루어져서 그럴 것이다. 벽에 걸려있는 엄마의 1980년도 사진을 다시 보았다. 얼마나 젊어 보였을까? 내가 연숙과 결혼할 당시의 사진이다. 가슴이 뭉클하고.. 또 말을 잊는다. 무슨 말이 필요할까?

내가 Cobb Central로 ‘출근’을 시작한 것이 10월 19일 이었구나.. 그러니까 거의 한 달이 되어간다는 말인데.. 이건 조금 나도 놀랐다. 벌써 그렇게 되었나 하는 우려가 깃든 (그러니까 세월이 더 빨리 간다는 걱정?) 생각에 싸인다. 하지만 시간감각에 상관이 없이 나는 이 ‘쾌거’를 단행을 했다는 사실에 더 주목을 해야 한다. 경우야.. 너는 아직 그렇게 늙지도 않았고 죽지도 않았다.  현재 까지는 사실 이곳 Cobb Central(CC)에 오면 새로운 환경의 분위기를 만끽하느라 특별히 계획을 세워서 하는 것이 아직 없다. 이제 한 달 동안 ‘즐거움’만 맛보았으니 이제부터는 무언가 ‘이루어야’ 한다.

 

Halloween, Cobb Central

11월 들어서 처음의 entry인가…… Halloween eve에 쓰고 처음이다. 올해의 Halloween은 아마도 처음으로 비가 주룩 주룩 내리는 그런 날이었다. 바람도 불고 땅도 완전히 젖어서 아무도 오지 않으리라는 예상은 조금 틀려서 그런대로 아이들이 다녀갔다. 하지만 예년 같이 날씨가 협조를 했으면 옆의 Rhodes네 식구들 특히 David같은 친구는 집 앞에 앉아서 treat를 했겠지만.. 올해는 그런 모습조차 보이질 않았다. 조금 쓸쓸한 기분인데.. 이게 사실 우리 집도 몇 년 전부터 느끼는 것이었다. 아이들이 커가면서 그런 것들이 확실히 느껴져서.. 쓸쓸하게 느껴진다.

그날 밤부터 Summer Time (Daylight Saving Time)이 풀어지면서 standard time으로 돌아왔다. 한 시간 아침에 버는 것인데, 나에게는 아침에 깜깜한 방을 헤매는 것이 조금 나아졌다. 7시경에 조금은 밝으니까.. 대신 저녁이 무섭게 빨리 깜깜해 졌다. 세월은 어김 없이도 정직하게 흐른다.

10월 19일 월요일부터 시작된 나의 out-of-closet to Cobb Central (library)은 기대보다 더 잘 진행되고 있다. 최소한 일주일에 3번은 그런 식으로 집을 벗어나고 있다. 초점은 우선 집을 나온다는 사실에 있다. Library에서 하는 일은 아직 심각한 것은 별로 없다. 그게 지금은 중요한 게 아니다. 나의 life style을 조금이라도 바꾸는데 우선 목적이 있지 않은가?  Laptop을 가지고 ‘나의 차’를 타고 거의 private office같은 곳에서 거의 무한정의 책들을 접하는 몇 시간은 정말로 황홀하기만 하다. 그래서 그런지 시간이 더 빨리 간다. 하루 종일 있고 싶은데 그게 아직은 조금 무리일까? Remote Access setup도 많이 진척이 되어서 거의 완벽한 단계에 온듯하다. 덕분에 Hamachi VPN도 다시 찾았고.. 이제는 VoiP 만 연결이 되면 완전하다.

며칠 전에는 속을 끓이던 Sonata windshield crack을 고쳤다. Internet 으로 찾아서 Cobb Galleria근처의 Office Park parking garage에 있는 곳으로 가서 손을 보았는데 그 고친 친구가 참 독특한 친구였다. 중년의 black man이었는데.. 참 stereotyping의 무서움을 다시 느끼고 반성을 하게 되었다. 이런 black도 있구나.. 하는 생각.. 나는 정말 이런 것을 반성을 해야 한다.

나라니가 며칠 전에 드디어 Starbucks를 그만 두었다. 아주 지친 듯한 느낌이다. 하기야 비록 part-time이라고는 하나 2 jobs를 뛰는 것은 힘들다. 하지만 그것보다 그 주변 사람들에게 더 문제가 있었던 모양이다. 내가 어찌 그것을 모르랴…… 나라니야.. 앞으로 그런 일들이 더 있을 것이다. 어떻게 그것을 handle하느냐 하는 것 그것이 인생을 사는 지혜인 것을 알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