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 부는 마지막 토요일에..

 

거짓말 같이 평화로운 2020년 4월의 마지막 토요일은..

 

¶  구름과 해가 오락가락하고 바람이 살살 불더니 해가 떨어지면서 세찬 바람이 불기 시작한다. 눈치를 미리 채고 backyard의 picnic table의 파라솔을 접어 놓았는데 아주 현명한 판단이었다. 내일은 오늘보다 더 심하게 바람이 분다는 일기예보를 확인한 것이다. 다행히 기온이 그렇게 낮지 않아서 밖에서 걷거나 일 하는 것은 문제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나는 이런 ‘비상적’인 날씨를 무척 좋아하기에 속으로는 쾌재를 부를 정도다.

4월도 거의 저물어 간다. 벌써 마지막 토요일을 맞은 것이다. 코로나19라는 뉴스가 온통 우리의 머릿속을 맴돈 지도 2달에 가까운 것이다. 이제는 조금 적응이 되어서 이것이 new normal이 아니고 그냥 normal인 것처럼 느껴진다.

 

¶  코로나19, COVID-19, 이름도 부자연스러운 이것, 언제까지 우리의 주위에서 맴돌 것인가? 장기적인 여파는 과연 어떤 것일까? 우리 가족부터 시작해서 주위의 모든 (사회) 공동체들, 특히 신앙공동체들, 나아가 우리가 사는 이 지역, 나라 아니 나아가서 NOOSPHERE는 어떤 변화가 있을 것인가? 우선 과학적으로 알고 싶고 다음은 영적인 눈으로…

 

나를 ‘살려준’ Tech Guy podcast, 과학적인 코로나 뉴스를…

 

이것에 관한, 요새 나의 안도감과 예기치 않은 즐거움은 바로 tech-guy style podcaster들이다. 코로나19 뉴스는 이들의 의견으로 간접적으로 듣게 되는데 이것이 (빠가, 또라이) 트럼프의 웃기는 발언들이나, major news outlet들의 조금은 과장된, dramatic한 style들보다 훨씬 믿음성이 있고 공감이 가는 것이다.  아마 앞으로도 나는 tech news podcast그 자체보다는 그들이 풍기는 분위기로 코로나 사태의 모든 것을 가늠할 것이다.

 

Backyard에 있는 open shed를 tool, workshop shed로 바꾸는 작업이 시작되었다

 

¶  어제 밖 backyard에서 일을 하며 라디오로 조지아 주의 코로나19  소식을 간간히 들었다. 이발소 같은 곳이 문을 열기시작 했다는 소식이었다. 성급한 느낌은 떨칠 수는 없지만 다른 쪽으로는 심리적으로 무엇인가 평상으로 돌아 간다는 느낌도 있었다. ‘과학적’으로 아직 business 를 열 준비가 안 되었다는 것, 그것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것이 아님을 알면 이것도 이해는 된다. 먹고 사는 것, 그것을 어떻게 무시할 수 있을까? 우리가 그런 문제를 피부로 못 느껴도 머리로는 알 수 있지 않을까?

 

¶  오늘 우리의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본당 레지오의 꾸리아에서 한국 서울 세나뚜스 단장의 글을 forward 보내왔다. 레지오 마리애 잡지에 난 기사를 보낸 것인데, 역시 코로나19로 인한 레지오의 시련, 도전, 그리고 희망에 관한 메시지였다. 교회전체가 겪고 있는 시련과 도전에 못지 않게 레지오도 앞으로의 운영과 선교 방향이 미지수인 것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한마디로 ‘사회적 거리두기, social distancing’ 와 레지오의 (대인 선교) 활동방식을 어떻게 지혜롭게 절충하느냐 하는 것인데, ‘쫄짜’ 단장인 나도 요새 이것에 대해 생각을 하면 한숨부터 나올 지경이다. 이것이야 말로 올해 우리들의 풀어나가야 할 제일 큰 도전인 듯하다.

 

¶ 故 최인호 (연세동문선배, 작가) 의 1990년대 말 자전적 수필집 ‘작은 마음의 눈으로 사랑하라‘ , 요새 신들린 듯이 필사를 하며 읽고 있고 이제 거의 마지막으로 향하고 있다. 그 중에서 오늘 읽으며 생각하는 것, ‘젊은 날의 약속’ 이 제목인 데.. 이것을 아마 언젠가 한번 읽었고 그 기억이 남아있는 것이다. (서울) 고등학교 동창회에 나갔던 이야기였다. 당시에 나는 ‘꿈속에서나 보고 느낄 수 있는’ 그런 그리운 동창회 광경이었다. 한마디로 슬프기만 했던 심정이었다.  이 글은 그가 50세가 넘으며 쓴 것인데, 어쩌면 그렇게들 그 당시에 벌써 ‘늙음의 문화’에 익숙해져 있었을까? 나는 그것이 부러운 것이다.

 

Near perfect Monday after…

동네를 걷다가 하늘을 보니.. 지난 밤의 폭우성 구름이 걷히며 청명한 하늘이…

 

봄바람이 시속 10+ 마일 정도로 불며,  갑자기 파래진 나무 이파리들이 계속 살랑거린다. 꽃, 나무, 송학가루가 진해지기 시작하기만 하면 시원한 바람과 빗물로 씻어 진다. 이것이야말로 천혜 天惠 라고 하던가… 거의 완벽한 날씨가…

2020년 부활절 바로 다음날, 그러니까 부활주일 월요일인 셈이다. 가톨릭 전례용어로, ‘부활 팔일 축제 월요일’, 영어로는 ‘Monday within the Octave of Easter‘ 인 셈이다. ‘그 망할 놈’의 pandemic 코로나 바이러스만 빼면 near perfect,  gorgeous day 라고 할 수 있는 그런 날, 지나간 한 주일, 특히 성주간, 성삼일 을 되돌아본다.

 

성목요일 온라인 미사, 이날은 각자의 가정에서 ‘세족례, 발씻김’ 의식을 했다

 

제일 큰 관심사였던 성삼일 Triduum  미사와 부활절 낮 미사는 예정된 대로 online live YouTube stream 으로 각자 집에서 참례할 수 있었다. 매일 미사를 이미 online으로 하고 있어서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이것은 모두 live라서 정해진 시간에 정확히 TV/Monitor앞에 있어야 한다. 매일미사 (대부분 cpbc, 평화방송) 는 사실 on demand format이라 우리에게 편한 시간에 했지만 Live Format은 모든 신자들이 같은 시간에 참례하는 것이라 더욱 큰 의미와 무게를 가진다.

이번에 아틀란타(나는 ‘애틀랜타’라는 ‘괴상한’ 이름을 지독히 싫어함, 언제 누가 왜 바꾸었나?)  도라빌 순교자 성당은 주임신부님 (이영석 세례자요한 신부)을 비롯한 봉사자들이 4일 동안 정말 노력과 수고를 아끼지 않은 듯 보인다. 아마도 주임신부님의 의지였을 듯 하다. 또한 부활절 낮 미사의 강론은 정말 근래에 보기 드문, 두고두고 기억에 남을 만한 명 강론으로 꼽고 싶다.

안방 TV screen 위로 4일 동안 계속 마주보게 되는 주임신부님의 얼굴은 ‘교우 여러분들, 그립습니다…’ 그 자체였고 그것을 느낄 때마다 우리는 눈물이 날 정도였다. 어려운 시기에 어떤 목자가 진정한 목자인가는 이런 때 극명하게 드러난다. 그것만으로도 이번 코로나 사태의 고통을 잠시나마 잊을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미사 자체는 순교자성당의 대성전에서 평소에 하던 그대로 집전이 되었지만 일반 신자는 물론이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거의 보이지 않는 것으로, 그저 ‘쓸쓸한’ 그런 느낌을 감출 수가 없었다. 신부님을 보좌하는 사람들과 성가대의 보조를 최소한 인원으로라도 참여시켰으면 어땠을까 아쉽기만 하다.

 

현재의 Shelter In Place (Stay Home, 칩거?) life style도 거의 한 달에 가까워 온다. 지난 주일 날, 성지주일 Palm Sunday에는 ‘용단을 내려’,  새로 태어난 지 한 달이 조금 넘은 손자를 보러 20 마일 떨어진 곳까지 외출한 것을 제외하면 사실 그야말로 ‘칩거생활’이었다. 처음에는 정말 이상한 느낌이었지만 지금은 Social Distancing 같은 New Normal에 아주 적당하게 적응을 하게 되었고 심지어는 너무나 평화스럽고 건강한 나날들이 된 듯하다. 

한때 ‘난무하는’ YouTube의 함정에 빠져 우울하기도 하고 기운도 빠지곤 했었다.  그곳에 잘못 빠져서 하루 종일 코로나19 뉴스를 보게 되면 정말 정신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고 오늘부터는 ‘완전히’ 그곳에서 빠져 나오니, 정말 세상이 다르게 보이며 살 맛도 제자리로 오는 듯 하다. 그래… choice다, choice… 이제는 지긋지긋한 또라이 트럼프가 10대 깡패의 얼굴로 기자들을 위협하는 희귀하고 희한한 광경을 안 보게 될 희망이 생긴다.

 

우리 subdivision의 30분 walking course ‘trail’ roadway, Guilford Circle

 

이제는 연숙과 30분 걸리는 우리 동네 Hanover Wood trail (사실은 roadway)를 걷기 시작한지 한 달도 넘는다. 이번에 느낀 사실은 이 walking trail course가 정말로 우리 나이에 알맞은 코스 [거리나 경사] 라는 사실이다. 이것으로 나는 물론이고 연숙에게 나타나는 ‘건강의 신호’는 정말 놀랍기만 하다. 고질적인 불면증도 아주 안정이 되어 혈압수치도 거의 정상으로 돌아왔다. 걷는 그 자체보다 그것에서 얻는 평화의 느낌 때문일 것이라고 우리는 진단한다. 게다가 그 동안 각종의 외출로 힘들었던 뒤뜰의 텃밭을 가꾸는 일은 이럴 때 정말 완벽한 소일거리가 되었다.  이런 것도 어떻게 보면 코로나19가 준 good side effect가 아닐까? 하지만 이런 모든 예상치 못했던 ‘좋은 점’들에도 불구하고 우울할 수 있는 이유는 간단하다.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아무 잘못도 없이’ 고통을 겪고 있다는 사실, 바로 그것이다.

 

Spring Forward Sunday

 

¶  Spring Forward!   지나가는 주중에 줄기차게 내리던 비, 그친 지 며칠 째이지만 하도 많이 내려서 마르는데 시간이 꽤 걸렸지만 오늘로서 완전히 빠삭빠삭한 땅과 하늘의 느낌을 맞게 되었다.

어느새 그 귀찮은 일, 집안의 모든 시계들을 한 시간 앞 forward 으로 돌리는 날이 되었다. 왜 이렇게 귀찮은 법을 만들었지 어떨 때는 은근히 화가 나기도 하지만 나의 힘으로 이것을 바꿀 능력은 전혀 없다. 하기야 이 법에도 의도하는 이로운 목적이 있으니까. 갑자기 저녁 시간이 밝아 진 것 daylight saving 은 사실 직장생활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큰 bonus일 것이기도 하니까.  이것을 ‘정상’의 시간으로 바꾸는 fall back,  늦가을.. 이제는 그렇게 멀게만 느껴지지 않는다. 그렇게 세월은 점점 빨라지고 있으니까. 다만, 다음 시계를 바꾸는 그날까지 우리는 어떤 ‘모양새’의 세월을 보낼 까 그것이 궁금할 따름이다.

 

¶  주일미사, 고해성사 깜:  지난 주일 미사에 이어서 이번 주일미사도 사정상 거르게 되었다. 비록 매일미사 참례를 한다고 해도 주일미사는 미사중의 꽃인데 어떻게 이렇게 되었는가 우리도 한심하지만, 따지고 보면 ‘나이 탓’을 안 할 수 없는 그런 처지에 우리가 ‘진입’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나니 그렇게 이상할 것도 없다. ‘그 날’까지 마라톤을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상식에 의거한 현명한 판단을 우리는 매일 아침에 해야 하는 것이다. 요즈음 문제의 주범은 연숙의 불면증이지만 그것 외에도 앞으로 나이에 따른 문제가 없을 리가 없다. 이제 우리의 사회생활은 물론, 모든 신심활동이나 신앙생활도 거의 우리의 건강상태에 달려 있다고 생각하니 긴장이 되기도 한다. 우리들의 비교적 건강함도 무한정 지속될 리가 만무하기 때문이다. 평화롭게 이성적, 상식적으로 하루하루를 감사하게 보내는 것, 그것이 관건이다.

 

이 사진과 신천지는 무슨 관계?

¶  개신교와 신천지:  요새는 우리 집의 ‘한국소식통’인 연숙을 통해서 그쪽의 소식을 가끔 듣곤 한다. 내가 워낙 그쪽에서 오는 소식을 피하거나 싫어하는 것을 알기에 별로 자세한 소식은 모르지만 요새는 조금 예외에 속한다. 바로 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이다. 왜 하필이면 그곳이 뉴스의 가운데에 나온 것인가? 그런데 알고 보니 참 기기 막히는 소식은 나도 알고 있는 것이었다. 그 바로 ‘신천지’인지 구천지인지 하는 걸맞지 않은 이름을 가진 ‘개신교’ [가톨릭이 아니면 일단 개신교라고 생각하고] 사교집단에 관한 것이다.

자세히는 잘 모르지만 그 집단 신도들에 의해서 그 바이러스가 퍼졌다는 것이 골자였다. 그러니 갑자기 뉴스에 나온 것이다. 자세한 정황은 알 수 없지만 결과적으로 그들이 이번 한국 바이러스 유포의 일등 ‘공범’이 된 셈이다. 하필이면 ‘예수님’을 믿는다는 사람들이 이런 나쁜 뉴스에 연루가 되었는지 한심하기도 하지만, 역시 ‘사필귀정 事必歸正’으로 생각하면 어떨까?

신천지, 이름도 촌스러운 이것에 대해서 내가 알게 된 것은 2013년 경이 아닐까? 아틀란타 도라빌 순교자 성당, 하태수 미카엘 주임신부님 재직시절 예비신자 교리반의 [teaching] staff으로 ‘레지오 활동’을 할 때였다. 부활절을 향한 교리반이 과정의 끝머리 즈음에 하 신부님이 특별강의 시간 하나를 추가해서 강론을 하셨는데 그 주제가 바로 ‘사교집단 신천지의 정체’ 였다.

그러니까 이 집단은 새로 등장한 것이 아니었고 꽤 역사가 있었던 모양이다. 예비신자들에게 이들의 정체를 알게 하고 경계심을 일깨워주려는 것이 신부님의 목적이었다.  이들의 특징 중에는 대부분 ‘잘 나가는, 지식적이고 말쑥한’ 젊은이들이 이곳으로 흡수가 되며 이들의 포섭공작이 아주 조직적이라는 것도 있었다. 특히 ‘성경공부’ 같이 하자면서 접근하는 젊은이들은 십중팔구 그들이라는 놀라운 사실이었다.

우리 같이 ‘한 물 간 부류’는 사실 그들의 안중에도 없기에 걱정이 전혀 없다. 하지만 교리반에서 공부하는 사람들은 문제다. 그들의 언변과 성경지식은 절대로 못 따라가니까. 그렇다. 이것이 바로 개신교의 고민일 것이다. 거의 자기 마음대로 성경을 해석하고 설교를 하는 그들, 이제 조금은 자체적으로  ‘교통정리’를 해야 할 때가 안 되었나?  전통과 초대교계를 완전히 버리고 그저 ‘성경유일’로 ‘자기 마음대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은 아무리 머리를 굴려 보아도 나는 이해할 수가 없다.

 

 

¶  문제없는 교황님: 오늘 지난 주일에 이어 다시 교황청 비디오를 보게 되었다. 일요일에 정오에 있는 교황님 주도의 삼종기도의 모습을 보려는 것이다. 이곳에서 교황의 모습을 보고 느낄 수 있고, 그 바티칸 주변에 모인 순례객들의 동정도 간접적으로 볼 수 있다.

지난 주일보다 순례자들의 수는 훨씬 줄어들었지만 아무도 마스크를 착용하지는 않아 보였다. 아마도 바티칸 주변 로마는 그렇게 바이러스가 심하지 않은 모양인가?

하지만 교황의 동정은 지난 주와 달랐다. 삼종기도 메시지를 ‘간접적’으로 video를 통해서 밖으로 방송을 한 것이다. 왜 그랬을까? 평상적으로 교황이 군중들을 내려다 보는 것, 바이러스와 큰 상관이 있을까? 하지만 모든 메시지 방송이 끝난 후에는 평상시와 마찬가지로 창문으로 나와서 군중들을 축복하는 짧은 시간이 있어서 크게 아쉬움은 없었다.

문제는 이제부터가 아닐까? 분명히 로마 주변에도 감염자 숫자가 늘어날 것이 아닐까? 그렇게 되면 결과적으로 바티칸의 모든 ‘성사’는 취소가 되는 것은 아닐까? 수요일의 교황님 주재 일반군중과의 만남 시간도 취소가 되었으니, 나머지 행사도 축소가 될 듯..  어떻게 세상이 이렇게까지 되었는가…

Relentless Rain, 우리들의 삼일절..

줄기차게 며칠 째 밤낮으로 쏟아지는 ‘사랑하는’ 비…

 

Relentless Rain:  올 들어 늦겨울을 통해서 비가 줄기차게 내린다. 아니 엄청 쏟아진다. 홍수경보는 이제 눈에 너무나 익은 듯하다. 지난 오랜 기간 겨울은 사실 통계적으로 가뭄이라고 하지만, 이렇게 한꺼번에…  그야말로 끝임 없이 비가 오는 듯한 착각에 빠진다.

비, 비, “비가 오도다.. 비가 오도다”… 그 옛날 서울 재동 국민학교 시절에 귀따갑게 들었던 가수 남해 씨의 히트 가요의 제목. 그 당시 특히 비가 올 때 그 노래를 들으면, 참 싫은 노래라고 느꼈다. 그 어린 시절에 누가 비를 좋아하겠는가? 요새라면 아이들, 집 밖보다 집안에서 시간 보내는 것 문제가 없지만 그 옛날에는 집안에서 ‘재미없는 책을 읽는 것’ 이외에는 할 것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대학시절까지도 비는 귀찮은 것, 담배연기 가득 찬 시내버스 속으로 우산을 접고 들어가는 꾀죄죄함, 특히 등산 같은 것을 할 때는 더욱 싫기만 했다. 그것이 나이가 훨씬 들어가면서 ‘세상에서 제일 멋진 것’으로 변해 버렸다. 남에게 말하기 부끄러울 정도로 나는 비가 ‘내려’ 오는 모습을 사랑하게 되었다. 한때는 그 이유를 생각하기도 했다. 왜 그렇게 남달리 비를 좋아하게 되었을까? 애석하게도 확실히 그것이 아리송한 것이다. ‘그저, 그저’ 좋은 것이다. 굳이 찾으라면, 아마도 비를 맞지 않고 사는, 그러니까 실내 생활을 더 즐기게 되었다는 것, 그런 것은 아닐까?

 

I don’t like rain! Ozzie의 모습이 바로 그런 표정일 듯…

 

그런 것에도 예외는 있기 마련이다. 두 딸애들의 ‘강아지’ 두 마리를 잠시 맡고 있을 때, 비가오면 산책을 하는 것이 조금 불편한 것, 그 두마리들을 비를 맞으며 ‘bathroom‘ backyard 로 내보내야 하는 일, 근래에 와서 자주 조금씩 새는 지붕 등등.. 하지만 그래도 나는 비를 너무나 사랑한다. 나의 장례식 때에도 비를 맞으며 운구를 하는 모습까지…

 

¶ 우리들의 삼일절:  올해도 어김없이 3월 1일을 맞이했다. 하지만 평상의 3.1절이 아닌 우리들만의 3.1 을 생각한다. 공교롭게도 유관순 누나의 삼일절보다 이것이 우리에게는 더 중요한 것이 되었다. 3월 1일에 연관되는 우리가족, 특히 부부에게 너무나 뜻 깊은 날이 되었기에 몇 년 전부터 이날을 생일이나 결혼기념일 같은 것 보다 더 의미를 두며 지내게 되었다. 얽힌 사연들이 비밀까지는 아니지만,  아직도 나는 극히 ‘사적’인 것으로 생각하기에 얽힌 뒤 배경 스토리를 밝히는 것은 자제하고 있다.

하지만 자신을 가지고 밝히고 싶은 것 중에는 현재 우리가 사는 집으로 이사온 날, 그리고 더욱 중요한 것은,  ‘매일미사’ 의 역사가 이날로 올해 9년째로 접어 든다는 사실, 이것은 당당하게 자랑하고 싶은 것이다.  그러니까, 2012년 사순절 3.1일에 첫 매일미사를 시작하게 된 것인데, 솔직히 이 ‘과업’은 우리 둘 다 생각할 수록 놀라는 사실이다. 아마도 우리들이 ‘운전’을 할 수 있는 한 계속될 듯하다. 100% 장담은 물론 못하지만 의지는 있다.  이 비교적 ‘사고적’으로 시작된 결정이 우리 생활을 얼마나 바꾸어 놓았는지, 특히 나에게는 더욱 그렇다. 이것도 ‘선택’이라면 선택이겠지만 나는 그렇게 간단하게 결론은 못 내린다. 그 이상의 무엇이 있는 것을 이제야 믿기에 더욱 그렇다.

‘우리들의 삼일절’은 집 근처에 있는 Thai restaurant, Lemon Grass 에서 점심식사를 하는 것이 반드시 곁들여져야 하는데, 문제는 이 식당이 없어지면 어쩌나 하는 것이다. 이 식당은 거의 20여 년의 역사로 지역 사람들의 신뢰와 사랑을 받고 있는데, 정말 주인부부 꾸준히 성실하게 service를 하는 것, 우리에게도 참으로 인상적인 쾌거가 아닐 수 없다.

비 오는 날의 파고다 공원, 오후 3시

‘비오는 날 오후 3시’의 파고다 공원, 1959년

 

파고다 공원, 옛 서울 그러니까 강북이 서울의 전부이던 시절 낙원동 오른 쪽에 있던 유서 깊은 시민의 휴식공간 역할을 했던, 요새 기준으로 보면 정말 아담하고 작은 공원이었다.  역사적으로 까마득한 옛날 옛적에 원각사 圓覺寺 라는 절이 있던 자리여서 그곳에는 절에서나 볼 수 있는 높은 탑이 아직도 남아있어서 그런지 일명 ‘탑골공원’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또한 그곳에는 남산 꼭대기에 있는  ‘팔각정’ 과 비슷한 정자 亭子가 [정확히 8각角 인지 아닌지는 모르지만] 있는데, 그곳에는 그 유명한 3.1 운동의 33인 독립선언문이 낭독되었던 역사가 남아있다. 

얼마 전에 문득 1950~60년대 대한민국 추억의 옛 영화들[한국영상자료원 제공]을 보다가 한 영화 첫 장면에서 그곳, 파고다 공원의 모습이 생생하게 나오는 것을 보았다. ‘서울의 지붕 밑‘이라는 1960년에 나온, 당시로서는 크게 성공한 조흔파 원작,  신상옥 감독, 제작의 코미디 영화다.  이 영화에는 서울의 중심 세종로 일대와 주택가 기와집들이 즐비하게 보이고, 구형 시내버스, 택시들 특히 시발택시도 보게 되는데, 사실 영화의 줄거리나 배우들 보다는 이런 쪽에 더 관심이 가는 것은 역시 ‘못 말리는’ nostalgia 향수병 탓일 것이다.

 

‘서울의 휴일, 1956년’의 파고다 공원

 

다른 추억의 영화들에도 파고다 공원의 모습이 빠지지 않고 나오는데 그 중에서도 1956년의 ‘서울의 휴일‘, 1959년의 ‘비 오는 날의 오후 3시‘, 1960년의 ‘로맨스 파파‘라는 영화는 첫 장면 배경이 아니고, 주인공들이 공원 안에서 연기하는 모습까지 나온다. 이런 옛모습들을 보면서 그 옛날을 회상하지 않을 수가 있는가?

 

비오는 공원에서 추억에 잠긴 주인공 ‘이민’

그 5년 전, 비오는 공원 벤치에서 김지미와의 만남

 

처음으로 이 파고다 공원엘 갔던 기억이 60년 이상이 지난 아직도 나의 뇌리에 남아있다는 사실에 나 자신도 놀란다.  재동국민학교 3학년 때 원서동 시절, 동네 골목에서 나를 아껴주던 ‘영순 형’이 있었다. 나보다 몇 살 위였고,  학교는 우리들 모두가 다니는 재동학교와 달리 까마득하게 멀게만 느껴지는,  약수동에 있는 ‘약수국민학교’에 다녔다. 왜 그렇게 먼 곳엘 다녔는지 그 때에도 의아스럽기만 했다. 그 형이 어느 날 나를 비롯한 몇 명의 친구들을 데리고 간 곳이 바로 파고다 공원이었다.

원서동 골목을 따라 뛰어가서 신작로가 나오면 가회동에서 내려오는 큰 길 어귀에서 남산 을 바라보며 내려가면 교동학교, 문화극장, 덕성여대, 천도교교회 등이  양쪽에 보이고, 더 내려가면 앞에 종로(2가)가 나올 쯤 오른 쪽에 공원입구가 나타난다. 공원이라곤 북악산 쪽으로 산과 숲 속의 삼청공원이란 곳만 알았던 때 이런 시내 한 복판의 공원은 처음 보는 것이었다. 그때 우리들 모두 정신 없이 공원 안으로 뛰어들어서 귀신들린 듯 뛰어 놀았던 기억, 너무나 생생한 것.. 지금도 그 신나게 놀던 우리들 모습, 눈물이 날 정도로 그립기만 하다. 그때 영순형이 공원 안으로  뛰어들어가며 ‘여기 돈 안 받아!’ 라고 소리치던 것도 기억에 너무나 또렷하니… 영순형, 보고싶습니다!

그때는 1956년 경이었을 것이다. 그 해에 나온 ‘서울의 휴일’이란 영화에 나오는 공원의 모습이 바로 이때 내가 보았고 놀았을 때의 모습이었을 듯하다. 팔각정, 원각사 탑(파고다, 탑골), 도처에 있는 추억의 벤치들… 그런 모든 것들은 바로 내가 예상했던 공원의 모습들이었다.  하지만 무직자들이 널려 있었던 당시, 이곳은 그들의 휴식처이기도 했고, 가정불화로 집을 뛰쳐나와 무료로 시간을 보낼 곳이기도 했다. ‘서울의 휴일’에도 영감님이 벤치에 누어 잠에 떨어진 모습도 보이고, ‘서울의 지붕 밑’에서도 주인공 김승호가 시의원 선거에서 떨어진 후 ‘가출’을 한 후에 간 곳,  또 1960년 영화 ‘로맨스 파파’에서 역시 아빠 김승호가 실직을 한 사실을 숨기고 매일 이곳으로 출근하던 것도 바로 이 파고다 공원이었다. 

영화 ‘서울의 지붕밑, 서울’, 파고다 공원, 1960년

시의원 낙선 후 가출, 파고다 공원의 김승호, 서울의 지붕밑 1960년

‘로맨스 파파’, 실직 후 파고다 공원으로 출근하는 아빠 김승호

‘로맨스 파파’ 의 끝 장면, 당시 우리들이 동경하는 그런 가정이었다

1957년 경, 그러니까 재동국민학교 4학년 때, 나는 다시 이곳에 남은 추억이 있다. 담임 김경구 선생님이 우리 집으로 가정방문을 온다는 ‘통고’를 들은 후에 나는 ‘혼비백산’한 심정으로 방과후에 간 곳이 바로 이 공원이었다. 왜 당시 나는 그렇게 선생님이 집에 온다는 것에 대한 공포감이 있었는지..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그날은 비가 쏟아지고 있었다. 빗속의 공원에서 ‘무직자, 가출자’ 같은 심정으로 공원에서 시간을 보냈던 기억. 집에 내가 없으면 선생님도 돌아가겠지 하는 생각을 했었던 것일까… 그것에 대한 기억은 희미하다.

그러다가 새로 인터넷에서 볼 수 있는 1959년경의 영화 ‘비오는 날의 오후 3시’란 영화를 보게 되었다. 하도 영화 보존상태가 나빠서 처음엔 무시하고 넘어갔지만 자세히 보니 이것이야 말로 ‘파고다 공원 영화’였다. 비 오는 날의 오후 3시는 바로 파고다 공원에서 일어난 이야기였다. 이 영화는 그야말로 ‘진흙 속에 감춰져 있던 진주’였다. 기라성 같은 1급 배우들[이민, 최무룡, 김지미, 최지희 등등] 이 총 출연했는데 특히 주인공 이민 씨의 연기가 아주 돋보였다. 그 2년 전에 내가 경험했던 ‘비 오는 공원’이 바로 이곳에서 영화로 재현되고 있었다.

이 ‘오후 3시’ 영화에는 그 유명한 추억의 발라드 ‘검은 장갑’ 을 ‘전설적인 가수’ 손시향이 부르고, 박재란 도 노래를 부르며 출연한다. 그러면서 주제곡인 ‘비 오는 날의 오후 3시’ 멜로디를 자꾸 들으며.. 어렴풋이 기억에 떠오른다. 아마도 이 곡, 거의 60년 만에 듣는 것은 아닐까?

 

‘검은 장갑’을 부르는 가수 손시향

 

요새 거의 매일같이 쏟아지는 겨울 비를 창 밖으로 느끼고 바라보며 생각한다. 그래… 나이를 깊이 먹는 것도 나쁘지 않구나… 그러니까 이렇게 아름다운 추억거리도 깊이 쌓여가는 게 아닐까? 물론 그것이 나만의 특권은 아닐지라도…

Surprise snow, after Daffodils…

눈이 쏟아지기 시작, 길에 쌓이기 전

드디어 눈이 온다… 그것도 함박눈이. 비록 땅에 떨어지면서 녹을 것 같지만 그래도 이것이 웬 떡이냐? 하느님, 성모님… 감사합니다. 제 소원을 풀어주셨습니다. 이런 날을 꿈 속에서만 그렸습니다. 비록 이런 날 따끈한 커피를 마시며 Trappists 수도원으로 드라이브 하는 것은 쉽지는 않겠지만 그것이 대숩니까? 아무래도 좋습니다.

이 시간이면 우리 동네 Holy Family 성당의 아침 미사가 시작되었을 텐데… 미사를 보면서 유리로 된 제단 뒤쪽,  밖으로 눈 쏟아지는 모습을 보고 있을 우리  ‘매일미사 친구 아줌마, 아저씨’들, 얼마나 한눈을 팔까… 궁금하다. 신부님도 미사 집전에 신경을 쓰는 것이 어렵겠다는 즐거운 생각도 든다.

결국은 나의 소원은 풀어졌다. 작년에 안 왔던 이 하얀 추억의 선물을 나는 얼마나 기다렸던가. 2014년의 괴로운 추억도 이제는 아련하고 포근한 추억으로 퇴색이 되고 있지 않은가? 세월의 마력이고 매력이 아닌가?

 

이번 ‘진짜’ 눈은 거의 2시간 동안 ‘쏟아졌다’. 며칠 전부터 피기 시작한 수선화, 매화 위로 소복한 눈이 쌓인다. 내가 그리던 최소한의 소원은 풀어진 셈이다. 조금만 기온이 더 낮았으면 아마도 불편함을 느끼게 될 정도가 될 뻔했다. 오늘 것은 정말 눈으로, 기분으로 너무나 포근하고 즐겁고 아련한 것이지만 움직이는 사람들에겐 큰 불편이 없는 그런 ‘뜻밖의 사건’이 될 듯하다. 감사, 감사, 감사…

 

 

봄이 오면 나는

2월의 매화, 그리고 수선화, 또 피었구나 올해도… 반갑다…

 

¶  2월로 달력이 넘어가면서부터 나의 머릿속 깊은 곳에서 떠오르는 것이 있었다. 2월 초면 거의 시계처럼 피어나는 ‘청초하고 노오란 것’,  늦겨울 황량한 우리 집 뒷마당 먼 쪽으로 오롯이 피어나는 수선화의 모습이 떠올랐다. 매년 이 꽃이 피는 것을 보며 봄이 아주 멀지는 않았음을 느끼곤 하는데, 올해는 왜 유난히도 이 모습이 또렷하게 떠오르는 것일까? 이런 모습을 앞으로 얼마나 더 보게 될 것인가.. 하는 아주 sentimental 한 느낌도 없지 않다.

올해는 bonus로 그 옆에 가느다란 나뭇가지에 매화꽃이 같이 피어 올랐다. 전에 못 보았던 것인데 아마도 연숙이 언젠가 이곳에 심어 놓은 모양인가 보다. 매화꽃, 연숙이 문인화에서 즐겨 그렸던 것, 나는 사실 처음으로 가까이 실물을 보는 셈이다. 그러면서 일본애들의 전통적 ‘화투’의 2월에 이것, 매화가 있었음을 알고 실소 失笑를 금치 못한다. 어떻게 이 나이에야 이런 사실을 깨달았단 말인가?

올 겨울은 나에게는 정말 재미없는 계절이 되고 있다. 비록 12월은 겨울답게 춥고 싸늘하긴 했지만 겨울의 꽃, 눈이나 진눈깨비 같은 것이 전혀 없었다. 특히 이 지역에서는 평균적으로 한두 번씩 찾아오는 snow day같은 ‘괴롭지만 즐거운’ 그런 긴장감의 기회가 현재까지 전혀 없었다.  올 겨울에 만약 ‘첫눈’이 온다면 위험을 무릅쓰고 Conyers1 의 수도원을 방문하리라 던 나의 소년 같은 희망도 이제는 포기할 때가 된 듯하다.

 

¶  봄이 오면 나는…  비록 2월 초이긴 하지만 경험상 2~3월은 겨울답지 않아도 겨울이다. 언제고 ‘날씨의 놀람’은 찾아온다. 특히 이때에 느끼는 ‘추위’는 한 겨울의 그것과 질적으로 종류가 다르다. 한마디로 더 ‘심한 싸늘함’이 있는 것이다. 그래도 이때가 되면 각가지 ‘봄의 기대’ 에 대한 추억과 생각이 떠오른다. 또한 가톨릭 전례로 이때는 사순절을 시작하는 ‘재의 수요일 Ash Wednesday‘가 있어서 올해의 부활절을 떠올린다. 이제는 이때가 나의 일년을 돌아보는 시기가 되고 있다.

요새 즐겨보는 이해인 수녀님의 오래된 1990년대 수필집 ‘꽃삽‘, 이곳에서 수녀님이 생각하는 봄의 모습을 본다.

역시 수녀님, 시인답게 ‘봄은 꽃’이라는 서두로 시작한 단상이다.  이 서문을 읽으며 나도 어린 시절의 봄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나와 나이차이가 그렇게 나지도 않고 그 무렵 서울 가회동에도 인연이 있기에 더욱 그 시절 봄의 정경이 떠오른다.

난방시설이 초라했던 그 1950년대 그 시절, 겨울을 서서히 벗어나던 때는 정말 황홀한 느낌뿐이었다. 수녀님의 묘사, 포근한 흙 내음새, 어김없이 피어나던 각종 꽃들,  어디 있다가 다들 모여왔는지 그 각종 새들, 그 중에서도 나에게 ‘즐거운 추억의 눈물’을 자아내게 하는 것은 역시 ‘이슬비’가 아닐까? 꽃이 피어나는 앞마당으로 잔잔히 내리는 이슬비를 바라보며 내가 하늘로 떠오르는 착각 속에 빠지던 시절이었다. 당시의 동요들은 어쩌면 그렇게도 단순하면서도 즐겁고 멋지던가.

추위에서 해방이 된 아이들, 갑자기 밖에서 노는 시간이 배로 불어난 즐거움 속에서 얼마나 흙과 나뭇가지를 가지고 놀았던가. 그 시절의 코흘리개 ‘남자’ 친구아이들, 이제는 모두들 할아버지가 되었을 것이다. 세월의 흐름이 가져다 준 각종 ‘편리함’이 앗아간 것들을 아쉬워하면 다음 세대와 그 다음세대를 본다.

 

***************

 

봄이 오면 나는 – <꽃삽>, 이해인

 

봄이 오면 나는 활짝 피어나기 전에 조금씩 고운 기침을 하는 꽃나무들 옆에서 덩달아 봄앓이를 하고 싶다. 살아 있음의 향기를 온몸으로 피워 올리는 꽃나무와 함께 나도 기쁨의 잔기침을 하며 조용히 깨어나고 싶다.

봄이 오면 나는 햇볕이 잘 드는 안뜰에 작은 꽃밭을 일구어 꽃씨를 뿌리고 싶다. 손에 쥐면 금방 날아갈 듯한 가벼운 꽃씨들을 조심스레 다루면서 흙냄새 가득한 꽃밭에 고운 마음으로 고운 꽃씨를 뿌리고 싶다.

 

 ‘조금 답답하겠지

그렇지만 꾹 참아야 해

땅은 엄마니까

꼬옥 품어줄거야

한잠 푹 자고 나면

우리 또 만나게 될거야’

 

언제 읽어도 정겨운 김교현 시인의 동시를 외우면 흙을 덮어주면 꽃씨들은 조금쯤 엄살을 부리다가도 말 잘 듣는 아이처럼 ‘알았어요’ 라고 대답할 것만 같다.

봄이 오면 나는 매일 새소리를 듣고 싶다. 산에서, 바다에서, 정원에서 고운 목청 돋우는 새들의 지저귐으로 봄을 제일 먼저 느끼게 되는 나는 새들의 이야기를 해독해서 밝고 맑은 시를 쓰는 새의 시인이 되고 싶다. 바쁘고 힘든 살의 무게에도 짓눌리지 않고 가볍게 날아다닐 수 잇는 자유의 은빛 날개 하나를 내 영혼에 달아주고 싶다. 봄이 오면 조금은 들뜨게 되는 마음도 너무 걱정하지 말고 더욱 기쁘고 명랑하게 노래하는 새가 되고 싶다.

봄이 오면 나는 이슬비를 맞고 싶다. 어릴 적에 항상 우산을 함께 쓰고 다니던 소꿉동무를 불러내어 나란히 봄비를 맞으며 봄비 같은 이야기를 속삭이고 싶다. 꽃과 나무에 생기를 더해 주고 아기의 미소처럼 사랑스럽게 내 마음에 내리는 봄비. 누가 내게 봄에 낳은 여자 아기의 이름을 지어 달라고 하면 서슴없이 ‘봄비’ ‘단비’라고 하고 싶다.

봄이 오면 나는 풀 향기 가득한 잔디밭에서 어린시절 즐겨 부르던 동요를 부르며 흰 구름과 나비를 바라보는 아이가 되고 싶다. 함께 산나물을 캐러 다니던 동무의 이름을 불러보고 싶고, 친하면서도 가끔은 꽃샘바람 같은 질투의 눈길을 보내오던 소녀시절의 친구들도 보고 싶다.

봄이 오면 나는 우체국에 가서 새우표를 사고, 문방구에 가서 색연필, 크레용, 피스텔, 그리고 마음에 드는 편지지와 그림엽서를 사고 싶다. 답장을 미루어둔 친지에게 다만 몇 줄이라도 진달랫빛 사연을 적어 보내고 싶다. 동시를 잘 쓰는 어느 시인으로부터 맑고 고운 무리 말을 다시 배워서 아름다운 동심의 시를 쓰고 싶다. 시를 외우다가 잠이 들고, 꿈에서도 시의 말을 찾고 싶다.

봄이 오면 나는 모양이 예쁜 바구니를 모으고 싶다. 내가 좋아하는 솔방울, 도토리, 조가비, 리본, 바느질 거리, 읽다가 만 책, 우편물 등을 크고 작은 바구니에 분류해 놓고 오며 가며 보노라면 내 마음도 바구니가 되는 듯 무엇인가를 오밀조밀 채우고 싶어진다. 바구니에 담을 꽃과 사탕과 부활달걀, 믿음과 희망과 사랑의 선물들을 정성껏 준비하며 바쁘고도 바쁜 새봄을 맞고 싶다

사계절이 다 좋지만 가을엔 ‘달맞이 마음’, 봄에는 ‘해맞이 마음’이 된다고 할까? 꽃들이 너무 많아 어지럼증이 나고, 마음이 모아지지 않아 봄은 힘들다고 말했던 나도 이젠 갈수록 봄이 좋아지고 나이를 많이 먹고서도 첫사랑에 눈뜬 소녀처럼 가슴이 설레인다.

봄이 오면 나는 물방울 무늬의 앞치마를 입고 싶다. 유리창을 맑게 닦아 하늘과 나무와 연못이 잘 보이게 하고 또 하나의 창문을 마음에 달고 싶다. 먼지를 털어낸 나의 방 하얀 벽에는 내가 좋아하는 화가 사제가 그려준 십자가와 클로드 모네가 그린 꽃밭, 구름, 연못을 걸어두고, 구석진 자리 한곳에는 앙증스런 꽃삽도 한개 걸어두었다가 꽃밭을 손질할 때 들고 나가야겠다. 조그만 꽃삽을 들고 꽃의 얼굴을 들여다보며 그 아름다운 음성에 귀를 기울이노라면 나는 멀리 봄 나들이를 떠나지 않고서도 행복한 꽃마음의 여인, 부드럽고 따뜻한 봄 마음의 여인이 되어 있을 것이다. 

<1994>

  1. Atlanta, Georgia의 suburb

YAN: Yet Another Nostalgia

Nostalgia, 향수’병’ 鄕愁病… 허~ 이것도 이제 보니 병 病 그러니까 주로 ‘정신 질병’이다. 몸과 마음, 특히 마음이 아픈,  분명한 병은 병인 모양이다. 나에게는 특히 친숙한 이 ‘병’, 약 7 년 전에 우연히 신문기사 New York Times 에서 이것에 관한 ‘연구 결과’를 본 적이 있었고 그것에 대해서 나의 생각을 쓴 적이 있었다. 당시에 이런 것도 연구 대상이 되는구나 의아하고 재미있기도 했다.

유별나게 아련한 감정에 자주 휩쓸리는 나의 모습을 숨기고 사는 것도 쉽지 않은 것이 나의 중년 이후의 모습이기도 했다. 고향도 그렇지만 지난 시절을 유별나게 그리는 것, 간혹 이것 병이 아닐까 하고 생각도 해긴 했다. 그러다가 그 ‘과학적 연구’의 기사를 읽고 많이 위안을 받고 이해를 하게 되었다. 내성적인 성격과 향수병에 쉽게 걸리는 type은 흔히 우려하는  mental disorder는 아닌 모양이었다.

그러다가 이번에는 더욱 재미있는 기사를 읽게 되었다. 이번에는 지나간 Atlantic Magazine 이 그 출처가 되었다. 기사의 제목이 유별나게 흥미롭고 재미있었다. 이름하여: Study: Nostalgia Makes Us Warm, and Cold Makes Us Nostalgic… 그러니까.. “향수’병’은 우리를 따뜻하게 하고, 추위는 우리에게 향수병은 가져다 준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부제 副題다.  ‘쉬지 않고 지나간 12월의 추억에 빠지면 집의 난방비가 줄어든다’. 와~ 과연 무슨 뜻일까…

대강 짐작은 간다. 포근한 지난날의 아름다운 추억에 빠지면, 그러니까 ‘향수병에 빠지면 몸도 따라서 따뜻해 지고,  또한 추위는 우리에게 향수병을 가져다 주고, 따라서 난방비가 줄어든다’ 는 논리다. 조금은 웃기는 듯 하지만 나는 150% 동감이 간다. 과학적으로 증명하기는 쉽지 않겠지만.

하지만 이 Atlantic의 기사는 과학적으로 그것을 증명하고자 시도한 것이고 그들의 가설은 충분히 이유가 있는 것이었다.  이 연구의 결론은: ‘춥거나, 슬프거나 외로울 때, 특히 holiday season에는 지나간 행복했던 시절의 생각에 빠져라’ 는 것이다. 따라서 나는 앞으로 죽을 때까지 그렇게 돌아가고 싶은 아름다운 시절의 추억을 즐기며 따뜻하게 살고 싶고 난방비 절약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

 

Study: Nostalgia Makes Us Warm, and Cold Makes Us Nostalgic

Lindsay Abrams  December 4, 2012

 

Non-stop reminiscing about December past may cut down your gas bill.

PROBLEM:  Why do we get so nostalgic in December? Smell, touch, and music have all be proven to evoke it, and the holidays have all three (though, apologies if you’re not being touched enough this seasons.) While they can spur us to give love to our fellow men, or remind of us what’s important in life, they may also serve a more utilitarian function.

METHOLOGOGY: Researchers at the University of Southampton recruited college students to participate in five relatively basic studies centering around nostalgia to warmth. Some of them would probably make great holiday party games.

  1. Participants were asked to keep a journal of nostalgic feelings over 30 days, which were then compared to each day’s weather.
  2. Participants were placed in rooms ranging from cold to comfortable to over-heated, and then asked how nostalgic they felt.
  3. In an online study, participants listened to music and were asked about how nostalgic it made them feel, along with how warm they currently felt.
  4. Participants were placed in a cold room and instructed to reflect on nostalgic or ordinary memories, and to then guess the room’s temperature.
  5. After being asked to recall a nostalgic or ordinary memory, participants placed their hands in iced water and were instructed to keep them there for as long as they possibly could.

Different participants were used for each study.

 

RESULTS:

Success on all fronts. The journalers recorded more nostalgic thoughts on colder days. The people in cold rooms rated highest on nostalgia scales. The people for whom the music evoked the most sentimentality reported feeling warmer. The people told to think nostalgic thoughts while in the cold room had the warmest estimates for what the temperate actually was. And the unlucky participants in the ice water experiment lasted longest when they focused on nostalgic memories.

CONCLUSION:  Nostalgia appears to both to be evoked in chilly atmosphere and to have a protective effect against the cold – either by making us feel warmer or at least increasing our tolerance.

IMPLICATIONS: If you’re cold, sad, and lonely this holiday season, lose yourself in memories of happier times. That will take care of at least one of your problems.

 

The full study, “Heartwarming Memories: Nostalgia Maintains Physiological Comfort,” was published in the journal Emotion.

LINDSAY ABRAMS is a former editorial fellow at The Atlantic.

Chilly Morning with Handel

아주 매섭게 싸늘한, 빙점으로 향해 올라가려 애처롭게 안간힘을 쓰는 아침, 무섭게 새파란 하늘이 나를 더욱 움츠려 들게 만든다. 겨울 시작의 선을 긋는 동지를 이틀 앞둔 날 치고는 seasonable한 날씨일 듯하다. 하지만 조금 더 바란다면 조금 ‘덜 싸늘하고’,  조금 ‘더 흐린’ 그런 아침이었으면… 하는 바램을 떨칠 수가 없다. 나의 느낌은 조금 덜 싸늘하고 포근하게 되지 않았을까…

조금 쳐지는 기분을 뜨게 하는 것은 역시 coffee grinding 소리와 곧 이은 아늑하고 감미로운 향기가 있고 조금은 들뜨게 하는 소리, 음악이 있다. Big Screen TV로 kitchen에서 보게 된  YouTube는 2년 전 이맘때에 심취해서 보고 또 보고 듣고 했던 Handel’s Messiah 연주공연이 아닌가.  이 공연은 comment로 알게 되었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이 합창단과 orchestra는 동구권인 Czech Republic, Prague였다. 이 공연을 보면서 비로소 conductor의 역할을 실감하게 되었다. 전 공연을 마치 마술에 이끌리듯 감상할 수 있었던 것이다.  HD이 아닌 ‘조잡한’ video였지만 그런 문제는 생동감이 넘치는 audio가 모두 감싸주었다.

 

 

Collegium & Collegium Vocale 1704

Vàclav Luks, Director

Hana Blazikova, Soprano

Delphine Galou, Alt

Markus Brutscher, Tenor

Marián Krejcik, Bass

Recorded at l’Abbatiale Saint-Robert de La Chaise-Dieu, 21 August 2011

 

Classical music에 거의 문외한이었던 나는 뒤 늦게 이런 인류의 보물을 조금이라도 알려고 노력은 했지만 역시 역부족에 미치고 있는 듯하다. 우선 젊었던 시절의 이 분야에 대한 ‘추억’이 거의 없는 것이 치명타였다. 추억의 매력이 전혀 없이 ‘공부’만 한다는 것은 쉽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는 나를 죽음의 강을 넘어가게 인도하는 길잡이인 가톨릭 신앙의 도움을 전적으로 받고 있고 이 Handel의 걸작품 역시 그런 시각으로 보고 있다. 크리스마스나 부활절, 모두 이 ‘메시아’가 주인공이 아닌가?

 

세 번째 대림초가..

¶  세 번째 대림초가 켜졌다. 대림 제3주를 맞는 것이다. 또한 2010년대 마지막 해 2019년 마지막 달의 절반이 지나가고 있다.  공식적 겨울인 동지가 일주일 정도 남았고, 대림절이 끝나고 성탄시기가 시작되는 25일을 열흘 앞두고 있다.

도라빌 순교자 성당은 예년에 비해서 일찍 성탄장식의 불들 켜지기 시작했는데, 너무 일찍 시작되는 ‘축제분위기’를 자제하라는 교황의 권고 영향인지 몇 년 전부터는 확연히 ‘기다리는 분위기’로 바뀐 것을 느끼고 있다.

나 자신도 그런 것이 싫어서 가급적 성탄 전에 가깝게 조금씩 장식을 시작하려고 했고, 확연히 그것은 심리적으로 좋은 영향을 준 것을 실감한다. 성탄절, 그러니까 크리스마스가 모든 것의 시작이라는 생각을 하는 것이다. 대림절, 그러니까 성탄절 전까지는 ‘조용히 기다리는’ 것이고 축제 분위기는 성탄부터 시작이 되는 것, 거의 나의 모든 생애에 걸쳐서 나도 ‘세속적’으로 살았음을 알게 된다.

올해 새로 부임하신 이영석 사도 요한 주임신부님의 바람인지 올해는 성당의 장식들이 일찍 준비가 되었고, ‘사상 초유’로 성당건물 밖에 ‘사람이 살만한 크기’의 거대한 구유가 설치 되었다.  성탄의 기다림을 조금이라도 실감나게 보여주려는 ‘선행 투자’가 아닌가 생각도 들었다.

 

¶  ‘새’신자 안내:  12월 한달 동안 내가 속한 레지오 ‘자비의 모후’가 교중미사  (새)신자안내의 역할을 맡았기에 한달 동안 우리는 ‘의무적’으로 한국성당엘 와야 한다. 따라서 12월 모든 주에 우리는 ‘역사를 자랑하는’ 동네 미국성당의 교중미사는 모두 빠지게 되었다. 평일, 매일미사를 미국성당으로 가기에 큰 ‘심리적’인 문제는 없지만 그래도 무언가 허전한 것은 사실이다. 이럴 때 나는 나의 ‘정체성’에 혼란을 겪는다. 내가 미국에서 사는가, 대한민국의 연장선에서 사는가… 장기간 세월이 지나면서 이런 것에서 나는 편치 않은 그 무언가 항상 느낀다. 그 무언가 확실치 않은 것, 그것이 나는 싫은 것이다.

신자 안내, 사실은 주보를 나누어 주며 인사를 하고, 혹시 새 신자가 소개되면 그들을 미사 후에 ‘접대, 신자등록’ 하는 것인데, 3주를 연속으로 하다 보니 이제는 제법 익숙한 것이 되었다. 성당 정문 안에 서서 들어오는 교우에게 주보를 나누어 주며 따뜻한 인사를 하는 것, 이렇게 쉬운 일이 세상에 어디에 있을까? 이것이야말로 ‘win-win’중의 극치, 인사 받는 사람, 주는 사람 모두 그렇게 기쁠 수가 있을까?

문제가 하나 있다면… 흠… ‘웬수’의 모습이 눈앞으로 다가온다면?  이런 상황을 예견하지 않을 수가 없다.  선택의 여지는: (1) 공손히 인사하며 주보를 건네준다. (2) 얼굴은 안 보고 주보는 건네준다. (3) 얼굴을 똑바로 보며 전혀 모르는 사람취급을 한다. (4) 안 본 척하며 비켜선다. 여기서 나는 아마도 (2) 아니면 (3)을 선택하리라 마음을 먹었고, 은근히 그 ‘레지오 미친X’ 의 얼굴을 상상하기도 했다.

하지만 내가 마주친 교우들은 100% ‘천사’같은 모습으로 나에게 다가왔고 3번씩이나 경험한 이 ‘교우신자안내’ 일은 즐거운 일로 느껴지게 되었다. 하지만 다른 쪽에 서서 안내하던 연숙은 그런 행운이 없었다. 바로 그쪽으로 ‘웬수’의 ‘가오’가 다가갔기 때문이었다. 솔직히 그 ‘웬수’가 그렇게 당당하게 접근했다는 것은 상상 밖이었기에 놀랐던 모양이고, 결과적으로 신부님께 ‘성사’를 보게 되는 사태까지 갔다. 결과적으로 다시 겪고 싶지 않은 경험이었겠지만 앞으로는 그 ‘웬수’가 다시는 우리에게 접근하지 못할 것이라는 느낌이 들어서 오히려 다행일지도 모른다.

 

¶  Rock-Bottoming Out: 지난 주 레지오 주회합을 기점으로 우리 자비의 모후 쁘레시디움은 완전히 바닥까지 갔다는 회의감이 들었다.  제일 우리가 ‘차세대’을 지향하며 희망을 걸었던 두 자매, 모두 극복하기 힘든 복잡한 가정사정으로 물러나고 실제로 움직이는 단원이 기본적인 요건을 채울 수가 없는 상황이 된 것이다. 전에는 단원의 숫자가 그렇게까지 절대적으로 중요한 것은 아니라는 편한 생각을 가졌던 것이 사실이었다. 하지만 단장의 입장이 되고 보니 이것이야 말로 기본적 요건 중의 제일 중요한 것, 왜 몰랐을까?

이렇게까지 된 제일 큰 원인은 2년 전에 그 ‘레지오 미친X’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그 ‘미친X’은 개인적으로도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주었지만 그것보다 더 치명적인 것은 우리 레지오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었다는 사실,  이 사실만은 내가 눈을 감아도 잊지 못할 것이고 아니 잊어서는 안 된다고 결심을 하였다. 우리 둘의 결론은 그 ‘미친X’은 절대로 절대로 절대로 ‘뉘우칠 능력이 결여된 불구자’라는 사실이다.

앞으로 우리 자비의 모후는 어떻게 될 것인가? 솔직히 아무도 모른다. 새해에 과연 신단원 후보가 나타날까? 신부님의 적극적인 본당차원으로 홍보는 하고 있지만 암만 보아도 요새 교우들,  친교나 노는 데 더 신경을 쓰는 것을 보면 너무나 실망적이다.

 

¶  Tool Time’s Coming! 우리가 이사올 당시에 있었던 garage door opener 가 드디어 마지막 숨을 쉬었다. 몇 달 전부터 날씨가 싸늘해지면서 garage door가 움직이는 모습이 애처로울 정도로 늦고 마지막 안간힘을 쓰는 듯 motor의 소음소리가 더욱 더 요란하게 들렸다.  우리가 이사를 온 때가 1992년 봄이니까 최소한 이 garage door opener는 거의 40년에 가까워 온다. 이 정도면 훨씬 전에 retire가 되었을지도 모르지만 우리 것은 ‘장수 長壽’를 한 셈이다.

새것을 찾아보니 완전히 wifi/internet까지 겸한 hi-tech model 들 투성이다. 내가 바라는 것은 ‘힘찬’ powerful motor 로  2개의 문짝을 문제없이 올렸다 내렸다 하면 된다. Home Depot website 에서 찾아서 사온 것은 $200 짜리 Chamberlain model B750 , 3/4 hp인데 이것은 지금 것이 screw drive인데 비해 belt drive라서 noise level이 훨씬 낮을 것이라고 하는데 물론 좋겠지만 우리에게는 절대적으로 중요한 이점은 아니다.

문제는 이것을 교체하는 ‘쉽지 않을 수 있는’ 일거리가 남았다. 한번도 내 자신이 이것을 설치, 교체해 본적이 없기에 불안한 점은 있지만 ‘만능 교실’ YouTube를 보면 그렇게 어려울 것처럼 보이지 않았다. 이것을 실제로 교체하기 까지는 차가 드나들 때마다 근육으로 문짝을 올리고 내리고 해야 하는데 소낙비가 오지 않는 한 그것은 큰 문제는 아닐 듯 싶다. 다만 절대로 젊어지지 않는 나이가 문제라면 문제다. 절대로 절대로 작년 Hyundai Sonata의 Fuel Pump 교체하던 때의 실수, 악몽을 잊으면 안 된다. 나의 지나간 시절의 기술적 감각에 연연하면 안 된다, 안 된다.

 

¶  스테파노: 정말로 오랜만에 박스테파노 형제님 부부와 마리에타 소재의 ‘싸리골’ 이란 한국음식점에서 주말의 밤 늦게까지 식사를 하며 즐겁고 보람 된 시간을 즐기게 되었다. 이곳은 비록 우리동네인 마리에타에 있는 것이지만 우리의 일들이 주로 도라빌에 가는 기회가 더 많아서 가끔은 이곳을 잊고 산다. 그래서 그런지 이곳은 한국사람보다는 이곳 사람(보통 미국사람이라고 칭하는)이 훨씬 더 많은 듯 보였다. 한국의 ‘고기요리’가 이곳에 많이 알려지면서 이곳도 business가 전 보다 더 활발한 것 같았다.

이 스테파노 형제님을 개인적으로 알게 된 것이 불과 2년이 조금 넘었지만 부부의 나이가 우리와 너무나 비슷하고 관심사도 그렇게 서로 멀지 않음을 알았다.  현재 business를 모두 정리하려고 나이에 비해서 너무나 고생하는 것을 알기에 하루 빨리 모든 것이 해결되어 편하게 retire를 할 수 있게 되기를 바라고 있다.

공대출신인 형제님의 관심사는 나의 그것과 비슷한 부분이 적지 않은데 그 중에는 ‘양자 물리학 quantum physics’ 의 각도에서 본 신앙체계도 있는데 이 형제는 나보다 더 ‘동양사상’까지 가미가 되어서 요새 읽었던 Fritjof CapraTao of Physics의 그것과 크게 차이가 나질 않는다. 앞으로 시간이 나면 부부가 서로 다시 만나서 이런 흥미로운 화제로 긴 담소를 나누는 모습을 상상하며 헤어졌다.

Into Advent, 10th 연총 2019

세월은 흘러 흘러 어느새 겨울이 되어가는가? 올해 날씨의 특징이 있다면 일단 일기 패턴이 자리를 잡으면 별로 변하려는 기운이 없다는 것,  그렇게 익숙하던 옛날의 三寒四溫 이란 말은 완전히 사라진 듯하다. 다행히도 그 pattern이란 것이 ‘늦가을 초겨울 같은’ 그런 것이라 다행이라고 할까..

지나간 11월 초라고 기억되는 때에 벌써 요란한 Christmas carol이 흘러나온 곳은 의외로 ‘대한민국 극동방송, FEBC streaming service’이었다. 역시 대한민국의 개신교회는 이곳과는 조금 다른가..  어떻게 이렇게 일찍이 크리스마스 기분을 내는가? 덕분에 추억의 캐럴을 편하게 즐기게는 되었지만 Thanksgiving holiday 전에는 그렇게 편한 느낌은 아니었다.

가톨릭 교회에서는 사실 그런 세속적인 느낌의 성탄축제 보다는 ‘대림절, Advent‘의 엄숙하게 예수탄생을 기다리자는 전통이 있어서 매년 고민을 하게 된다. 어느 정도 ‘전통’과 ‘현세적 문화’를 절충하는가 하는 문제다. 전에는 젊은 시절의 추억적인 크리스마스 기분을 100% 기억, 만끽하려고 했지만 몇 년 전부터는 교회의 권고를 따르기로 결정하고 모든 holiday decoration을 성탄 10일 전 이내로 늦추고 있다. 한마디로 차분한 대림절이 되었고 대신 성탄의 기분을 1월 중순까지 지속시키려 노력을 한다. 그것이 진정한 대림-성탄시기의 뜻일 것이다.

 

12월이 되자 YMCA에서 성탄느낌의 색깔들이 하나 둘 씩 보이기 시작하더니 우리의 한국본당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도 본격적으로 성탄 장식은 물론 주차장에는 Nativity scene 성탄구유 까지 만들어 놓았다. 우리 성당에서 이런 건물 밖의 구유는 처음 보는 듯하다. 새로 부임하신 이영석 신부님이 이런 것을 특별히 원하셨는지 올해는 조금 모든 것들이 더 일찍, 더 ‘요란한’ 느낌이 든다. 아마도 피곤한 삶을 살아가는 교우들을 조금 더 배려한 것은 아닐지…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레지오 연차 총 친목회 2019

 

오늘은 예년에 비해서 1주일 뒤늦게 레지오 연차 총친목회가 열렸다. 손가락으로 계산을 해 보니 내가 이 모임에 참석한 것이 딱 10년째가 됨을 알았다. 갑자기 ‘오래 되었다..’ 라는 自照감이 ‘엄습’한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고…  그 동안, 무엇이 변했는가? 많이 변했다.. 

나에게 처음 레지오 연총 (2010년대 초 연차 총친목회)의 적극적이고, 참신했던 느낌은 많이 희석된 듯 느껴지고 이제는 조금은 ‘수수방관자’적인 입장이 된 듯해서 조금은 쓸쓸하기까지 하다.  통기타반주로 70/80노래를 목청을 돋구어 부르며 연총 에서 어울렸던 여러 형제님들도 이제는 뿔뿔이 헤어지고, 결국은 ‘별로 쓸모 없는’ 자매님들만 주위에 남은 듯하다. 이것이 레지오의 生老病死인가 아니면 보통 있는 진화과정인가..

나이로 보아도 leading edge에 있는 우리들, 이제는 조금씩 후진, 후배 단원들의 ‘양과 질’을 생각하게 되었다. 한마디로 양과 질 모두 정체, 아니 퇴보인 듯 우려되고, 어제 있었던 신부, 단장 간담회에서는 정식으로 ‘신부님의 전폭 협조’ 요청이 있었다.  협조란 것은 다름이 아닌, 조금이라도 좋으니 ‘레지오 선전’을 해 달라는 것이었고, 오늘 교중미사에서 드디어 그 효과가 나왔다. 전 신자들에게 레지오에 관심을 가져달라는 ‘간곡한 언급’.. 얼마나 ‘멋진 신임 신부’인가!

오늘 연총에서 우리는 예상대로 ‘공연’을 포기한 상태로 끝났다. 부끄럽기도 하지만 어쩔 수 없는 일,  올해 초에 우리의 기대를 한 몸에 받으며 우리의 구세주로 등장했던 ‘자매님 들’, 엄청난 실망을 안겨주고 갑자기 떠난 상태에서 나는 모든 희망을 잃은 상태가 되었기에 사실 연총 같은 ‘축제’는 관심 밖에 있었다. 그 ‘기대주 자매님’은 도대체 어떻게 인생을 살아왔었는지 동정심과 실망을 넘어서 화가 날 지경인데.. 이런 ‘위기’는 어떻게 극복할지 역시 해답은 우리의 총사령관이신 성모님이 가지고 계실지…

가을, 사랑, 추억, 소년..

 

본격적인 ‘깊은’ 가을의 모습이 나의 두 눈과 귀, 그리고 뇌리 속으로 무섭게 다가오고 있다. 정말 멋지고 멋진 가을 모습, 느낌의 정수精髓를 나는 만끽하고 있다.  가을 중에도 ‘추운 쪽’의 가을은 정말 멋지고 고요하다. 모든 만물들이 하나하나 막을 내리듯 가라앉는 것들, 바로 ‘낙엽과 단풍’들… 그와 함께 나의 살결에도 주름이 몇 개난 더 생겨났는가…

박인환 朴寅煥 시인의 명시, ‘歲月이 가면’,  거의 자동적으로 떠오르기도 하지만 이번에는 그 보다 조금 덜 ‘속 된’ 느낌을 주는 ‘추억의 샘’을 발견하였다.  8.15의 감격을 며칠 앞두고 이국의 형무소에서 선종한 윤동주 시인, 자신의 어린 시절을 회상한 듯한 ‘소년의 사랑 고백’이었다.

이 ‘少年’이란 짧은 시를 읽으며 우리, 아니 나의 소년시절 추억을 넘길 수가 있는가. 소년이 느끼는 어렴풋한 사랑의 감정… 소년이란 몇 살부터 시작되고 몇 살에 끝나는지 확실치 않지만, 나의 추억은 확실한 ‘소년적인 감정’이고 추억이다. 가을, 사랑, 추억..의 모습이 겹치며 보이는 것은 한마디로 ‘아련함’, 바로 그것이다.

10대 초, 서울 가회동  집 골목에서 경험했던 어렴풋한 사랑의 감정, 아이에게도 이성 異性에 대한 감정은 있었지 않았을까?  윤동주 시인의 소년은 ‘순이’에게 느끼는 감정이 있었고 나에게도 아직 기억에 남는 ‘소년의 느낌’이 있었다. 어떻게 이렇게 긴 세월 뒤에 그런 기억이 사진처럼 남는 것인가… 올해 가을이 나에게 일깨워 준 ‘추억의 힘’이었다.

 

 

少年

尹東柱

 

여기저기서 단풍잎 같은 슬픈 가을이 뚝뚝 떨어진다.

단풍잎 떨어져 나온 자리마다 봄을 마련해 놓고

나뭇가지 우에 하늘이 펼쳐 있다.

가만히 하늘을 들여다 보려면 눈썹에 파란 물감이 든다.

두 손으로 따뜻한 볼을 씻어보면 손바닥에도

파란 물감이 묻어난다.

다시 손바닥을 들여다 본다.

손금에는 맑은 강물이 흐르고, 맑은 강물이 흐르고,

강물 속에는 사람처럼 슬픈 얼골

아름다운 순이 順伊의 얼굴이 어린다.

소년은 황홀히 눈을 감어본다.

그래도 맑은 강물은 흘러 사랑처럼 슬픈 얼골

– 아름다운 순이 順伊의 얼골은 어린다.

 

우산위로 차가운 가을비가..

 

¶  결국은 보고야 말았다. 우산위로 내리는 가을비를, 그것도 마음껏.. 마음껏.. 얼마나 오랜 동안 기다리고 기다리던 날씨의 즐거움인가.  ‘최헌’의 ‘가을비 우산 속’ 추억을 연상케 하는 날, 실제로 커다란 우산을 쓰고 가을비를 맞아 보았다. 싸늘하고 어두운 비, 그것도 거의 하루 종일. 지독히도 길었던 올 늦여름, 초가을의 잔인했던 더위와 가뭄도 거의 순간적으로 사라지는 그런 날이었다. 어머니의 손길, Mother Nature의 투명한 자비하심은 역시 기다리는 끈기도 있어야…

지난 며칠 전부터 서서히 떨어지던 새벽기온 ‘덕분’에 그제 아침에 올 들어 첫 furnace fan의 은은한 소음을 듣게 되었고 나의 study에는 space (parabolic radiant) heater까지 꺼내 놓았다.  지난 해 선물로 받아서 쓰고 있는  ecobee Smart Thermostat에는 heat-cool auto (change) mode가 있어서 사실 cool mode (air conditioner)에서 heat mode (furnace)로 일부러 바꿀 필요는 없지만, 나는 이렇게까지 자동적인 것은 마음에 들지 않는다. 가을/겨울에도 가끔 더운 날이 있는데 그런 때는 창문을 열어 놓으면 되지만 그 때에 air conditioner가 자동적으로 나오는 것,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다.

끈질기게 하루도 빠짐없이, 변함없는 ‘마른 뜨거움’를 유지하던 9월 말까지 사실 추위를 막는 옷, 그러니까 ‘춘추복’의 필요성은 거의 제로였는데 그것이 지난 주일부터 서서히 바뀌어서 어느 날 새벽에는 따뜻한 옷을 어둠 속에서 찾으라 애를 먹었다.  아~ 계절의 변화여..  앞으로 얼마나 더 이런 변화를 경험하게 될 것인가… 점점 짧아지는 듯한 ‘남은 인생’이여…

 

¶  오늘은 2년 만에 다시 열린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천상은총의 모후 꾸리아>  ‘레지오 간부 피정 (정식명칭: 레지오 평의회 의원 1일 교육)’엘 연숙과 같이 참가하게 되었다. 매년 이때쯤 실시되는 것인데 작년에는 처음 시도된  ‘레지오 토론대회’으로 말미암아 한 해를 거르게 되었다.  싸늘하고 궂은 날씨였지만 비교적 많은 ‘평의원’ (간부들) 참여 하에  오전에는 보좌 신부님(Fr. 김형철 시메온)의 특별강론 , 오후에는 서 토마스 형제의 ‘가톨릭 혼인에 대한 지침’, 꾸리아 단장님의 ‘특별 (호소} 훈화’ 등으로 아주 유익한 토요일을 보냈다.

레지오 활동 (거의 9년째) 초기에는 이런 것이 생소하기만 했는데 이제는 세월의 연륜으로 아주 편해지고 나름대로의 추억, 생각, 아이디어 등이 머리를 맴돌곤 한다.  이제는 정이 든, 이곳 ‘천상은총의 모후’ 꾸리아 (평의회)가 더 발전해서 더 큰 활동을 하면 하는 바람 뿐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들대로 든 나이’를 의식하지 않을 도리가 없다. 관건은 ‘세대 교체, 신선한 물결’.. 등.. 역시 세월을 얏 잡아 보면 불현듯 많은 것을 놓친다.

꾸리아 단장의 ‘훈화, 호소’, 나는 심각하고 심지어 숙연한 심정으로 공감하며 들었다. 100% 옳을 말씀, 어쩌면 그렇게 ‘순명과 충성’의 정신을 놓은 단원들이 대다수인 느낌이 드는 것일까? 어떻게 이들에게 ‘불을 붙일 수’ 있을까?  역시, 역시, 교육, 재교육… 재재교육..’ 뿐이다.

오늘 ‘피정, 교육program’ 중에는 ‘혼인 조당’에 관한 서(재욱) 토마스 단장의  ‘보고, 강의’가 우리들의 관심을 끌었다.  아틀란타 교구청에서 수 개월에 걸쳐 ‘연수’를 마친 후 certificate를 받았다고 한다.  그러니까, 교회 내에서 생기는 결혼법적인 문제를 상담하는 첫 창구역할을 하는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나를 비롯해서 많은 가톨릭 신자들이 ‘결혼성사’가 정말 ‘성사’ 임을 간과하며 살고 있었는데,  한마디로 교회법상에는 ‘이혼’이란 말이 없음을 왜 모르고 살았을까? 나도 최근에서야 이 ‘혼인성사’의 심각성을 실감하고 있는데,  우리 딸들의 결혼문제와 겹쳐서 고민을 안 할 수 없게 되었다. ‘세속적 쓰나미 tsunami’ 의 거대한 물결을 헤지고 나가는 우리 ‘불쌍한 교황님’, 절대로 굴복하시면 안 됩니다.  이것이 세속적으로 무너지면 다음에는? 진실은 진실이고 진리는 진리이고 일 더하기 일은 죽어도 이(2) 입니다.

 

¶  오늘 일일 교육피정이 끝나고 점심 식사 때 우연히 오늘 미사, 피정 강론신부, 김 시메온 신부님과 옆자리에 앉게 되었다. 이 ‘비교적 젊은’ 경남 산청 출신 보좌신부님, 내가 연숙에게 ‘이 신부님을 보면 하루 종일 기분이 좋다’고 고백한 적이 있었던 분.  소년처럼 활짝 웃는 모습이 인상적, 얼마 전 마주쳤을 때 ‘불현듯’ 떼이야르 샤르댕 (예수회) 신부님에 대해서 짧은 대화를 했었다. 김 신부님, 샤르댕이 예수회출신임을 알기에 자신을 갖고 물었는데, 역시 잘 알고 있었고 ‘먼 앞날을 내다보는 선구자’라는 사실도 잊지 않고 언급. 그런데 오늘 대화에서 그것을 잊지 않고 언급하시는 것이 아닌가?  기억력인가, 아니면 신자들에 대한 배려와 관심인가?

예수회의 역사적 ‘진보성, 개방성’에 대해서도 언급을 했는데, 그런 사실들(예수회원 임)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계셨다. ‘진보적 경향’은 요새 항상 아슬아슬한 말, 특히 정치적으로 더욱 그렇다. 한걸음 조금 더 나아가서 ‘신부님의 정치적 성향’을 살짝 듣고 싶었지만 그것만은 피할 수 밖에 없었다. 결과가 뻔하지 않던가? 그런 화제를 일부러 피하시는 듯한 모습이 나에게는 커다란 플러스로 여겨졌다.  이런 것들에 비하면 ‘윗동네’의 같은 예수회 출신 신부님들의 ‘행태’가 너무나 크게 비교가 됨을 알고 쓴 웃음을 지을 수밖에 없었다.

Hot August Day..

2019년의 8월이 서서히 저물어가고 있는 이즈음,  올해 들어 유난히도  ‘시퍼렀던’ 신록의 주변들과  마르게 작열하는 태양 같은 것들이,  서서히 지루하고 지겹게 느껴지지 시작한다.  이제는 조금 선선하고 빠삭하게 마른 대기가 그리워지는 것이다. 그 동안 이른 새벽에 일어나면 그렇게 밝았던 뒷마당이 이제는 앞이 거의 안 보일 정도로 어두워졌다.  낮이 그만큼 짧아진 것이다.

6월을 맞으며…

 

 

슬그머니 6월을 맞는다. 어제로 가버린 2019년 5월은 사실 온통 ‘어머니’의 모습으로 가득한 ‘제일 좋은 시절’ 이었지만 5월의 마지막 2주간의 ‘한여름 더위’는 기억에 남을 듯하다. 6월의 싱그러움은 뒷마당의 초록색의 향연으로 익히 즐기고 있지만 사실 나에게 이달은 우울한 추억이 있기에 조금은 슬퍼지기도 한다. 작년 6월에 영원히 우리 곁에서 떠나간 ‘나의 아들’ Tobey, 일년의 세월이 조금은 슬픈 기억을 무디게 한 듯 하지만 사실은 아직도 나는 ‘작은 고통’을 느낀다.

안톤 슈낙의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것들’의 6월은 역시 그의 특유의 ‘푸른 여름,  자연의 찬가’를 들려준다. 그는 자연주의자인가, 어떻게 그렇게 주변의 소소한 것들, 하지만 그것들은 모두 우리와 함께 진화하며 살아가는 친구들임을 나이가 들어가며 더욱 실감한다. 특히 birch tree, 버치, 어릴 때 따먹던 ‘뻐찌’열매로 알고 있던 것들과 함께 역시 6월, 초록색의 싱그러움을 예민하게 관찰한 이 6월의 찬가를 안톤 슈낙은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것’ 들 중에 하나로 꼽았다.

이미 여름 같은 더위에 익숙해졌기에 더위는 그리 두렵지 않지만, 6월의 하루, 6월 25일을 다시 맞으며 나는 6.25 동란을 피해갈 수가 없다. 어떻게 나는 이런 ‘전쟁’의 피해자가 되었는가… 왜 김일성이란 괴물이 나의 시절에 존재했던가… 역사는 역사지만 인과응보적인 종말론으로 나는 조금 위안을 삼는다.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안톤 슈낙의 6월은..

풋풋한 사랑 체험으로 특허를 내어보라

 

스스로 잊어 버리도록 하라

 

시냇가에 앉아 보자. 될 수 있으면 너도밤나무 숲 가까이에 앉아 보도록 하자.

한 쪽 귀로는 여행길 떠나는 시냇물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다른 쪽 귀로는 나무 우듬지의 잎사귀 살랑거리는 소리를 들어보자

그리고는 모든 걸 잊어보도록 해 보자. 우리 인간의 어리석음, 질투, 탐욕, 자만심 결국에는 우리 자신마저도, 사랑과 죽음조차도….

 

조금 있다가 프랑크푸르트 시의 포도농장에서 만든 1953년도 내지는 1954년도 호흐아이머 돔데샤나이 포도주를 차가운 물에서 끄집어내 마셔 보자.

첫 한 모금을 마시기 전에 사랑스런 여름 구름, 시냇물, 숲과 언덕을 둘러보며 우리들의 건강을 축복하며 건배하자.

가까운 시야에 원을 기르며 날아다니는 나비떼, 둥글게 줄지어 피어 있는 꽃들과 골짜기의 풀밭에서 부지런히 건초더미를 뒤집고 있는 자그만 여인네들도 바라보면서…

 

 

버찌씨로 유리창을 깨뜨려 보라

 

텃밭에 있는 따리 모판을 들여다 보자.

거기엔 탐스러운 딸기가 빨갛게 타오르는 숯불처럼 잘 익어가고 있다.

그 자리에서 즉각 딸기로 볼주를 만들어 보라.

우리들에게 기쁨을 선사하는 모판에 대한 고마움의 뜻으로 포도주를 약간 뿌려보자.

근처에 있는 곤충들이 애타게 볼주를 마시고 싶어 갑자기 몰려오면 가느다란 콩넝쿨대로 쫓아버리면 된다.

 

버찌나무 회초리로는 개구쟁이 사내 아이들이나 개똥지빠귀, 찌르레기들을 쫓아내면 된다.

만일 개구쟁이 사내 아이들이 버찌나무 가까이 접근해 오면 번갯불에 콩 볶듯이 뛰쳐나가야 한다. 그래야만 틀림없이 달아날 거다. 그래도 정말 소용이 없을 수가 있다.

저만치 떨어져 있는 곳에서는 개똥지빠귀 암수가 적이 불쾌한 표정을 지은 채 계속 이쪽을 기웃거리며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고 있기 때문이다. 가마우지새를 미끼로 고기를 낚는 중국 어부를 흉내내어 몰래 버찌를 따먹는 찌르레기를 괴롭히는 시도를 해 보자.

버찌 나무 가까이에 있는 커다란 전신기둥으로 가 보면, 숱하게 버찌씨가 떨어져 있다.

찌르레기가 주로 모여 있는 버찌나무 아래는 버찌씨로 꽉 덮여 있다. 그 수를 헤아려 본다면 수백 개도 더 될 거다. 그러나 실제로 그 씨의 오분의 일 정도만 다시 열매를 맺게 된다.

그러니 화를 내지 말고 비를 들고 떨어진 씨들을 쓸어 모아서 자루에 넣어 겨울까지 보관해 두었다가, 버찌씨를 먹는 겁많고 부리가 딱딱한 새들의 겨울 먹이용으로 정원길에 뿌려 두면 어떨까.

 

찌르레기들이 과일 서리 수업을 받고 있는 버찌나무에 계속해서 돌을 던져 보자.

정확히 잘 맞는다고 잘난 체 으스대지 말고 차라리 나무 뒤에 가려서 잘 보이지 않는 작은 집의 알록달록한 유리창을 돌을 던져 깨뜨려 보자.

중요한 건 산산이 부서진 유리 조각들 때문에 끊임없이 귀에 거슬리는 소리가 난다는 건데, 찌르레기들은 이런 소음을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싫어한다.

다만 자기 자신들이 내는 소음만은 별반 시끄럽게 여기지 않으면서 말이다.

 

 

새들이 읽을 수 있는 글자로 푯말을 세워라

 

만일 정원에 뽕나무가 있으면 인간의 탐욕에 버금갈 정도로 버찌를 먹고 싶어 안달하는 새들을 그런대로 괜찮은 과일 매장으로 유혹해 보자.

그러니까 새들의 나라 말로 작은 푯말에 ‘하늘에 계신 존경하는 새님들에게 전혀 방해 받지 않는 먹이터를 보장해 드립니다!’라고 써서 갖자 붙여 보라.

지빠귀, 녹색 방울새, 도요새들은 종종 이런 꼬임에 쉽사리 넘어가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찌르레기들은 이런 걸 재빨리 눈치채고 마구 삐삐거린다.

정말로 무언가 항의할 듯이 부리와 꼬리를 흔들면서 요란스레 삐삐거린다.

 

 

개똥벌레로 여자 친구를 사귀어 보라

 

밤에 갑자기 몸이 후텁지근해지면 개똥벌레를 잡아서 여자 친구들에게 선물로 주어 보라.

그리고는 개똥벌레가 요즘 유행하는 장신구 중에서도 ‘최신의 유행’이라고 설득을 해 보라.

다이아몬드보다 더 잘 어울린다고 말이다.

만일 당신의 여자 친구들 중에 단 한 명이라도 그걸 믿는다면, 당신은 남은 여름을 함께 지내게 될 기가 막히게 멋진 벗을 찾은 셈이다.

 

그녀와 같이 옛 성터나 유적지를 찾아 다니거나 진한 자줏빛 나무딸기를 따서 손으로 콕 찔러 터뜨려보기도 하고, 고색창연한 물레방아 바퀴가 돌 때 끊임없이 새어 나오는 한숨 소리를 들어보기도 하고, 금잔화로 뒤덮인 언덕에 함께 앉아 있어 보면 어떨까.

물이 맑고 차가운 강의 상류 움푹 들어간 웅덩이에서 송어를 살짝 잡아보기도 하고 나무 위에 올라가 보기도 하고 말이다.

그러면서 당신은 발이 예쁜 소녀에게 자전거 타는 모습이 정말 잘 어울릴 거라며 은근히 칭찬을 해 볼 수도 있지 않은가.

 

 

풀벌레 오페라에 귀를 기울여라

 

꽃피는 보리수 나무 아래로 가서 풀벌레 오페라단인 ‘찌르르단’과 ‘쓰르람단’의 공연을 들어보자.

먼저 관객이 쇄도해서 놀랄 거고 그 소리의 다양성과 위력에 또 한 번 놀라게 될 거다.

높은 음에서 가장 묵직한 저음에 이르기까지…

연한 자줏빛의 사프란 색 먼지가 머리와 피부에 살그머니 내려 앉는다고 해서 불쾌하게 여기지는 마라.

그건 유황가루도 아니고 원자탄의 먼지도 아니며 다만 꽃가루일 뿐이다.

황홀한 기분으로 보리수향을 맡아 보라. 그리고는 왜 이런 대단한 향이 아직도 향수의 재료로 사용되지 않는지 곰곰이 생각해 보라.

이런 좋은 아이디어가 있다면 특허를 내어 보자.

 

전문 음악지에 이 두 풀벌레 오페라단들에 대한 상세한 기사를 쓰려는 헛된 생각은 하지 마라.

이런 오페라의 형식과 내용은 선풍적인 인기를 끌지 못하며, 그야말로 현대의 음악 발전에 아무런 보탬도 되지 않는다.

이 밖에도 풀벌레들은 날아다니기만 할 뿐 하나같이 글을 읽을 줄도 모르며, 기사가 나오기 전에 이미 생명이 다했거나 새들의 부리에 찍혀서 일용한 양식이 돼 버렸을지도 모른다.

 

 

풋풋한 사랑 체험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가라

 

보리수나무 아래에 앉아 있는, 나이가 지긋이 들어보이는 여성들에게 친절하게 인사를 해보라.

그녀들은 짤막한 인상이나 달콤한 향기를 모으는 게 아니라, 손에 닿을 수 있는 꽃들을 모두 따버리거나, 11월에 내릴 비와 안개, 겨울에 대해 생각하거나 기관지에 담이 차지나 않을지 독감에 걸리지나 않을지 염려한다.

깜짝 놀랄 일이 있었으면 곧바로 휴가를 내어라. 가능하다면 연장을 해서 초가을까지 휴식을 취해 보는 게 어떨까.

휴가일이 서서히 끝나가고 있다고 해서 신경을 쓸 필요는 없다.

다만 은은한 차의 향, 찻물 끓일 때 나는 증기, 소금 결정체, 알프스의 들장미, 춤 출 때의 즐거운 기분, 풋풋한 사랑 체험을 하고서 집으로 돌아가 내면 깊숙이 추억을 간직해 두는 게 좋지 않을까.

Mother’s Day, soggy..

Soggy backyard, Mother’s Day

 

2019년 5월 12일 오월의 둘째 일요일, 어머니 날의 ‘원조’격인 미국의 Mother’s Day를 맞는다. 2010년대 마지막 5월의 이날은 정확한 일기예보대로 아침부터 비가 내리기 시작한다.  올 봄은 자연의 어머니 손길인가.. 그렇게 때에 맞게 비가 내리곤 했다. 그 덕분에 주변은 눈이 따가울 정도로 온통 초록색으로 덥혔다. 사방이 온통 초록색..  정녕 은혜롭게 느껴진다.

 

대한민국의  ‘어버이날’이란 것이 생기기 전에 그곳을 떠났기에 나의 기억은 어린 시절의 5월 5일 ‘어린이 날’과 5월 8일의 ‘어머니 날’ 밖에 남지 않았다.  어머니 날은 우선 나에게 이 인생을 갖게 해 준 나의 어머니를 생각한다. 어머님과의 영원한 이별을, 이제는 슬프고 아련한 감정을 뒤로하고 어머니의 인생을 ‘기리는’ 쪽으로 살려고 한다.

어머니가 어찌 나를 낳아준 어머님 뿐이랴… 우리 아이들의 어머니를 비롯, ‘법적으로 이어진’ 어머니, 신앙적인 어머님인 성모 마리아.. 모두들 생각만 해도 포근하고 편안하고, 가슴 속 깊이 기쁨이 스며든다.

 

아틀란타 도라빌 순교자 성당의 주보편집 15년, 예비신자 교리반 director 직 5년을 ‘미련 없이’ 뒤로하고  완전은퇴를 선언, 그것을 감행한 연숙, 올 봄은 완전한 자유인으로써 ‘뒤뜰 농원’을 편하게 가꾸는 꿈으로 어찌할 바를 모른다.  아직도 레지오 서기, 매일복음묵상글 e-newsletter를 하긴 하지만 전에 비하면 그것은 시간적으로 자유인을 뜻하기에 지긋지긋한 기억밖에 남지 않는 나의 6여 개월 ‘구역장직’ 경험을 완전히 뒤로한 나도 100% 공감을 하며 조금은 편해진 둘만의 세월을 기다린다.

 

계속되는 비로 grill은 back porch로 옮겨야 했다

 

오늘은 원래 도라빌 한국 순교자 성당이 야외미사를 할 예정이어서 가까운 모처럼 동네본당 Holy Family 성당엘 가려고 했는데, 우천관계로 야외미사가 취소된 것을 핑계로 오랜만에 아예 주일 미사를 쉬기로 했다. 덕분에 진짜 안식일을 맞이하긴 했지만 아무래도 조금은 께름칙한 기분은 떨칠 수가 없었다. 올해의 Mother’s Day는 예년과 완전히 반대로 ‘기운과 신이 난’ 엄마가 손수 가족들을 대접한다고 해서 4명의  ‘식구와 친구들’ 을 집으로 불러서 grill dinner를 나누었다. 모두들 조금은 이상한 느낌은 들었지만 사연을 알고 나서는 고맙게 저녁식사를 즐겼다.

 

나라니가 가지고 온 Mother’s Day bouquet

4월에는 – 안톤 슈낙

 

Anton Schnack 안톤 슈낙 (슈나크)1 , 독일의 서정시인, 짧은 산문의 대가. 이름은 희미해졌어도 그의 글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들’은 반세기기 훨씬 지난 지금도 비교적 분명하게 기억한다.  국어 ‘국정’교과서의 위력인가, 감수성이 최고조에 달했던 시기였던 고등학교 2학년생의 특권, 혜택이었나.

비록 ‘입시 준비의 각도’로 국어교과서를 대했지만 그래도 그 ‘슬프게..’ 하는 짧은 글은 남녀, 인문,자연, 이공계를 불문하고 모두의 가슴 깊은 속을 자극했었다.  아마도 ‘첫 허무감’을 맛보게 하는 계기를 주었는지도 모른다. 그 글이 어떻게 국어교과서에 실렸는지, 누구의 글이었는지는 모르지만 ‘아마도’ 독일을 신처럼 숭배하던 일본아해들이 ‘원조’가 아니었을까? 혹시 일본교과서를 그대로 ‘베낀 것’은 아니었을까?

 

 최근에 이 독일 ‘슬픈 서정 시인’의 글을 책으로 다시 보게 되었는데 이번에는 슬픈 것이 아닌 기쁜, 행복한 것들에 대한 감성적 산문집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것들’ 에서다.  50여 년 전의 기억을 배경으로 이 저자를 찾아보고, 역시… 우리가 너무나 ‘신화적’으로 이 글을 배웠구나 하는 자괴감이 든다. 이 ‘감성적 시인’도 역시 시대를 피할 수 없는 한 인간이었고, 나아가서 꿈에서 벗어나게 할 만한 ‘과거’를 가지고 있었다. 한 마디로… 전범은 아니더라도, ‘부역자’ 급이라고 할까?  암만 잘 봐준다고 해도.. 역시 ‘양심상 허점이 가득했던’ 인물일 수 도 있지 않을까? 어떻게 히틀러에게 ‘가장 높은 충성의 맹세, Vow of Most Faithful Allegiance‘ 에 서명을 했던 것일까? 1, 2차 대전에 골고루 참전을 했던 것도 마찬가지다.  그 당시 비정치적, 평범한 독일남자인 것으로 봐줄 수도 있지만 ‘서정적’인 그의 모습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 과거가 아닐까? 그래서 그의 명망이 후년에 서서히 빛을 잃어갔던 것을 나는 그렇게 애석하게 생각지 않는다. 아직도 우리의 기억에는 ‘미친 독일인’들의 생생했던 죄악상을 생생하게 남아 있기 때문이다.

 

이런 배경에서도 나는 4월에 관한 모든 것, 놓칠 수가 없다. 4월의 느낌은 너무나 좋은 것이고 안톤 슈낙도 멋있게 그가 경험했던, 상상했던 4월을 예찬했고 글로 남겼다. 싸늘한 4월의 가랑비와 싸늘하고 찬란한 햇볕의 어루만짐..  하루 모르게 새로 얼굴을 내미는 각종 꽃들의 율동… 그러한 4월이 ‘부활의 기쁨’과 함께 나를 기다리고 있다.

 

 

ANTON SCHNACK

ANWEISUNGEN ZUM GLUCKLICHSEIN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것들

 

 

4월에는 …

수선화에 수줍은 채 인사를 해보라….

 

 

튤립에 기침용 시럽을 똑똑 떨어뜨려 보라

 

온상에 채소잎이 이미 돋아 나왔으면 조심스럽게 잡초를 제거해 주어라.

참빗을 써 보는 것도 괜찮다. 참빗은 진딧물이 잎사귀에 무더기로 나타날 때에 써도 되는제, 그렇다고 잎이 빗질에 떨어져 나가지는 않는다.

양파 냄새를 줄이려면 어린 양파의 새순이 약간 솟아 올라올 때, 세발용 향수를 거기에 부어 보라.

 

앵초꽃, 제비꽃, 튤립 같은 꽃들이 감기에 걸리지 않고 콧물을 흘리지 않게 하려면 나일론 속옷을 준비해 두는 게 좋다. 만일을 생각해서 기침 시럽을 꽃받침 안에 똑똑 떨어뜨려 보라.

그러면 정말 개미떼가 몰려오기 전에 미리 보호 조치를 취하게 되는 거다. 만일 개미들이 관청의 허가도 없이 밤을 틈타 길을 만들고, 담을 세우고, 터널의 구멍을 뚫어버렸다는 걸 알게 되어 화가 나고 기분이 나빠지더라도 어쩔 수 없는 일이지 않는가.

이 모든 것이 사전에 비용 측정도 하지 않고, 지방의회의 토의와 위원회의 협의도 거치지 않고, 트랙터와 굴착기도 사용하지 않고, 관련 담당자에게 뇌물도 바치지 않고 이루어졌으니 말이다.

 

개미들은 모든 소지품을 휴대하고 이동을 한다. 그것도 유독 남의 나라 땅이나 남의 지역으로만 이동을 한다.

개미가 가는 곳의 평화를 깨뜨리고 물건을 손상시켜 규정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음 지역 경찰청에 고발을 해야 한다. 고발을 할 경우 관계 공무원이 이맛살을 찌푸리더라도 개의치 않으면 그만이다.

집에서 취미 삼아 열심히 정원을 가꾸는 공무원을 한 사람 고를 필요가 있다. 그러면 그도 당신과 마찬가지로 개미를 싫어한다면서 길게 이야기를 늘어놓을 테니까 말이다.

 

개미들은 머리 부분이 아스파라거스처럼 툭 튀어나와 있고, 이제 막 쏘아 올리려는 로켓 모양이므로 급할 때에는 재빨리 덤불이나 헛간 속으로 숨어서 자신을 엄호한다.

개미는 자신의 신변이 계속 위태로울 경우에는 참호나 땅굴을 파고 그 곳에 몸을 구부리고 꼼짝도 하지 않는다. 하지만 신변의 위험이 그리 크지 않으면 세게 3차 대전이 일어날 때까지 마냥 그 속에 틀어박혀 있지는 않는다.

 

땅속에서 갖가지 씨앗들이 자라면서 내는 소리를 들어 보아라. 밤은 둔탁하고 묵직한 소리를 내고, 오이씨는 트림하듯이 소리를 내고, 콩꼬투리는 천천히 묵직하게, 완두콩은 돌돌돌 물이 흘러가듯이 꾸르륵 소리를 내는 것 같다.

해바라기씨는 그리움을 담은 하프음과 같다. 사과씨는 즐겁게 ‘아하’ 하는 듯하고, 개암나무 열매의 요들송 소리, 호두나무의 빠르게 연타되는 북소리, 호박씨는 불꽃놀이 할 때의 폭죽 터지는 소리를 낸다.

 

여러 가지 다양한 생명의 소리를 들어보려면 귀를 지표면에 아주 가까이 갖다 대어 보라.

애벌레의 소근거림, 딱정벌레 유충의 속삭임, 두더지의 고통스런 사랑의 하소연, 들쥐들이 먹이를 먹으면서 내는 발라드, 땅벌들의 사프란 꿀과 히아신스 포도주를 만들려고 윙윙거리며 즐거워하는 소리, 초록빛 나무들이 있는 낙원과 기가 막히게 맛있는 나뭇잎의 즙을 생각하며, 한편으로는 청정한 공기와 따뜻한 일광욕을 생각하는 딱정벌레 유충들의 그리움에 가득 찬 소리……

 

 

무욕을 배워라

 

한 쌍의 박새가 둥지를 짖는 걸 보라. 그저 초록으로 칠해진 채 위쪽을 향해 서있는 철로 된 관이나, 빨래 너는 표백장의 기둥 같은 곳에 보금자리를 지으려고 하는, 저 무엇에도 얽매이지 않는 점이 부럽다.

집세도 내지 않고, 주택국의 허가를 받을 필요도 없고, 빨래 너는 표백장의 주인과 상의를 하지 않아도 되지 않는가. 새들의 무욕을 삶의 본보기로 삼으면 어떨까. 그 소박한 방의 배치나, 아주 초라하다 할 수 있는 신방을….

몇 개의 바싹 마른 이파리들과 마른 풀 줄기와 깨끗이 털어낸 카펫에서 나온 솜털 부스러기나 농가의 우리에 있는 양들의 털 부스러기, 그리고 자기 자신의 가슴에서 뽑은 깃털 몇 개나 지붕 위에서 그르르 거리는 비둘기의 가슴에서 뽑은 깃털 몇 개나 지붕 위에서 그르르 거리는 비둘기의 가슴에서 뽑은 깃털로 만든 방이 아닌가…. 게다가 새들의 넘쳐나는 행복과 기쁨을 함께 넣어서 말이다.

 

수줍게 무릎을 꿇으며 공손한 자세로 수선화에게 인사를 해 보라.

그리스의 신화에 따르면 수선화는 어느 소년의 때이른 죽음에 대한 상징이기 때문이다. 마치 그 꽃의 뒤에서는 병적으로 자기애에 빠져 있는 소년의 반짝이는 눈망울을 보는 듯하다.

하지만 요정 에코는 그 소년에 대한 사랑에 응답이 없자 병이 들어버렸고 그로 인해 오직 그 목소리, 에코(산울림)만 남아 있게 되었다.

히아신스 꽃은 히아킨투스 혹은 히아신스라고 하는 용모가 잘 생긴 신의 아들이었는데 아폴로 신과 바람의 신 보레아, 두 신으로부터 동시에 사랑을 받게 되어서 모습이 바뀌어진 향기가 짙은 꽃이다. 이 꽃에도 한 번 조심스럽게 가까이 다가가 보아라.

 

그리고 히아신스 주변에서 일어난 비극적 사건을 생각해 보면 어떨까. 차가운 북풍의 화신인 보레아 신의 질투로 인해, 아폴로 신이 던진 투척용 원반이 바람에 날려가 이걸 바라보고 있던 소년 히아신스의 머리 위로 떨어진다.

아폴로의 총애를 받던 소년 히아신스는 치명적으로 상처를 입고 땅바닥에 쓰러진다. 그러자 아폴로가 그 수려한 용모를 지닌 소년의 피로 한 송이 꽃을 만들었는데 그게 바로 히아신스다. 오늘날 우리는 그 히아신스 꽃을 세상에 보내준 아폴로에게 감사를 드리고 있다.

 

 

비를 성장 촉진제로 이용해 보라

 

하늘에 떠 있는 황소별자라 자매들인 히아든을 면밀히 관찰해 보라.

히아든은 붉게 빛나는 알파성인 알데바란 주위에 있는 황소의 뿔과 머리 위에 자리를 잡고 있는데, 사냥 중에 죽은 동생 히아스에 대한 슬픔과 괴로움을 잊게 하려고 제우스신이 그쪽 별이 되게 했다는 신화가 전해진다.

황소궁에서 꽃피는 지구 위로 보슬보슬 내리는 미지근한 빗방울을 이 사랑스런 자매들이 흘리는 눈물이라 상상해보면 어떨까.

키가 작은 사람들은 이 미지근한 비가 내릴 때 우산을 쓰지 말고 머리에 아무것도 쓰지 말고 마음껏 돌아다녀보라고 권유하고 싶다.

따뜻한 빗방울에는 사람의 몸을 성장시키는 힘이 내재해 있다고 하니까.

 

 

백설공주를 산지기 딸로 생각해 보라

 

숲 속에서 야생 비둘기의 매혹적인 노랫소리에 귀를 기울여 보라.

마치 동화 속에 나오는 듯한 낯선 ‘르루쿠…. 쿠쿠르…. 르르쿠…. 쿠쿠르… ‘ 소리는 깊은 곳에서 솟아나오는 샘물소리처럼 들린다. 그러나 사실은 그 가장자리가 뾰족하고 끝이 금빛으로 어른어른 반짝이는 수비둘기와 빨간 부리에서 나오는 소리이다.

비둘기 소리에는 신비스런 마력이 들어 있다고 믿어 보라.

비둘기가 그런 소리를 낼 때 귀엽게 생긴 불쌍한 소녀가 햇빛 바른 숲길을 따라 총총 사라진다거나, 파스텔 조의 초록빛 금팔찌로 장식한 멜루지네 소녀가 사라진다든지, 때묻지 않은 아름다운 백설공주가 사라진다고 생각해 보라….

혹은 피부가 밤색인 18세 산지기 딸이 날쌔게 자전거를 타고 지나간다고 생각해 보면 어떨까.

 

 

바람을 타고 아프리카로 여행하라

 

극지방의 기압과 열대지방의 기압이 부딪치거나, 냉기와 열기가 충돌하거나, 그린랜드 저기압권과 아조랜 고기압권이 부딪치는 곳을 방안에서 정신을 바짝 차리고 관찰해 보라.

산을 넘어서 불어 내리는 건조한 열풍 때문에 머리가 아프고 자극을 받더라도 오히려 애착심이 깃든 큰 소리로 ‘브라보’라고 외쳐 보아라.

아예 열대 지방 기압이 머무는 곳으로 아주 기꺼이 즐기면서 여행을 한다고 상상을 해보면 어떨까. 그러면 바로 아프리카 깊숙한 곳으로 가게 된다.

카포 베르데 군도의 봉우리나 서부 아프리카 엘 추프 사막의 지옥처럼 작열하는 더위 한가운데로 들어가기도 하고 리비아 쿠프라의 야자수가 자라는 오아시스에 가보게도 된다.

또는 서북부 아프리카의 커다란 나일 강가에 있는 팀부크투에 까지 가보게 된다. 그곳에서라면 남쪽의 미풍을 타고 미모사숲에서 나오는 향기를 맡을 수 있을 것이고, 원숭이와 하이애나들이 외치는 소리를 들을 수 있을 것이다.

큰 불꽃이 타오르듯 쏴쏴 소리를 내는 사막의 모래 회오리 소리와 코끼리가 내는 트럼펫 소리도 더불어 듣게 된다.

 

편안한 욕조 속에 들어 있는 것처럼 누워서 따뜻한 바람을 맞으며 꿈을 꾸어 보라.

머리가 흑단처럼 까만 어린 새를 꿈꾸어 보면 어떨까. 그 새는 ‘마하바박 아쉬라’라고 지저귀는데, 그건 오아시스 샘 옆에서 꿈을 꾸는 사람에게 ‘어서 오세요’ 라고 열 번씩 환영의 인사를 한다고 말이다.

 

북유럽 전선이 짙게 깔릴 때라든지, 사월 소나기가 갑자기 쏟아질 때, 혹은 오월의 돌개바람이 몰아칠 때는 방안에 틀어박혀 뜨거운 그로크 주나 몸에 좋은 따끈한 적포도주를 마시고 있으면 좋을 거다.

한파가 내습한다고 어떻게 미리 보도할 수 있겠는가? 그린랜드는 여전히 아주 두꺼운 얼음 층으로 덮여 있으며, 빙하가 여전히 둔탁하게 쿵쾅거리며 부서져 내리고 있지 않은가.

북쪽의 끝과 북구의 항구 도시 함메르페스트에는 아직도 눈보라가 마치 사자의 포효 같은 소리를 내며 보트니아 만으로 밀어닥치고 있지 않은가.

습기 찬 한파가 몰려간 후, 편도선염이나 독감, 콧물감기에 걸린 사람들, 통풍, 류머티스, 좌골신경통에 걸려 뜨끔뜨끔한 통증을 느낀 사람들을 한 번 찾아보라.

하지만 이런 고통을 받고 있는 희생자들의 수를 꼭 헤아리려고 하지 말고 북쪽에서 불어오는 나쁜 바람이 끝내 골골거리며 사라질 때가지 인내하면서 기다리는 게 좋지 않을까.

 

 

한 그루 나무를 심어라

 

사람은 인생에서 한 그루의 나무를 심어야 한다는 말을 되새겨 보라.  이제 그 시기가 되었다고 자신을 설득하라. 그리고 어떤 나무를 심을 수 있을지 신중하게 숙고해 보자.

사과나무를 한 그루 심을까? 사람들이 이미 죽고 이 땅에 묻혀버렸다 하더라도 사과나무는 초봄마다 되풀이해서 빨갛고 하얗게 화사한 빛깔로 꽃을 피울 수 있을까? 또는 사과나무를 뿌리째 뽑아 대양을 건너 멀리에까지 옮기더라도 계속 자살 수 있을까?

아니면 보리수나무를 한 그루 심을까? 여름밤에 보리수나무에서는 얼마나 매혹적인 향기가 날까. 연인들의 나지막한 속삭임은 그전보다 얼마나 달콤할까!

참나무 한 그루를 심을까? 참나무는 청딱따구리의 휴식처가 될 거라고 생각해 보자.

호두나무를 심으면 어떨까? 그러나 나중에 소년들이 돌팔매질을 해서 나무를 아프게 해서는 안될 텐데!

너도밤나무새나 피리새가 둥지를 짓도록 나무를 심어볼까? 혹은 아치형 나무 그늘 아래서 눈을 반쯤 감고는 아무런 욕심도 없이 그저 행복에 젖은 채, 작열하는 태양이 내리쬐는 땅을 눈을 깜박이며 바라보는 한 남자를 위해 나무를 심을까?

그렇지 않으면 수년 전 제때에 맞추어, 어린 나뭇가지를 땅에 심었던,얼굴도 잘 모르는 사람을 칭찬해 마지않는 의미에서 한 그루 나무를 심을까?

 

  1. 안톤 슈나크(Anton Schnack, 1892년 7월 21일 ~ 1973년 9월 26일)는 독일의 시인으로 프레드리히 슈나크의 동생이다. 시대의 조류에 초연하여 고아한 정적의 경지를 지켰다. 1919년 〈욕망의 노래〉로 문단에 데뷔했고, 오랫동안 침묵을 지키다가 1936년 〈조우자로부터의 소식〉에서 새로운 낭만풍의 시경을 개척하였다. 그 밖에 소설로는 장편 《사랑의 후조》가 있다. – 한글 위키피디아

을씨년스러운 3월 마지막 날은..

올 들어 처음으로 느껴본 ‘후덕지근’ 한 어제 밤을 보낸 후 결국은 자연의 섭리는 다시 ‘통계적 평균’을 찾아 제자리로 돌아오긴 했지만 조금 심했나… 극과 극의 맛을 자랑이라도 하듯 오늘 새벽은 완전한 겨울 같은 느낌이다. 3월 31일은 역시 이른 봄이라기 보다는 늦은 겨울이기도 한 것이다. 차가운 비와 더불어 시베리아 같은 느낌의 세찬 바람소리가 들리는 뒤 뜰에 잠깐 나가보니 어제 입던 옷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그런 날씨로 변해 있었다. 지나간 해 이맘때쯤 남긴 ‘세찬바람 불어오면…’ 을 읊조린 글과 그림이 생각이 나는 아침이 되었다.

이런 날 제일 먼저 머리에 떠오른 광경은 역시 ‘포근하고 따뜻한 늦잠’을 즐기는 나의 모습이지만 오늘은 그런 가능성이 제로이기에 아쉽기만 하다.  오늘은 ‘주일’이기도 하고, 한가하게 쉴 수 있는 여건도 아닌 것이 아쉽기만 하다. ‘주일은 쉬어라’.. 십계명.. 흠…. ‘노동’은 쉬겠지만 나의 七十 老軀 를 끌고 밖으로 차를 몰고 나가야 하는데..

주일 아침의 ‘십계명의 부담’ 넋두리의 유혹을 제치고 나머지 일요일 하루를 보낸 후에 느낌은 역시.. 이것이다. ‘할 것은 해야 하고, 뛸 데가 있으면 끝까지 뛰는..’ 바오로 성인의 가르침, 아니면 레지오 교본이 강조하는 ‘부지런함과 절제되고, 훈련된 삶 disciplined life’가 주는 기쁨,  기본적으로 ‘게으름의 죄악’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것도 죄악임을 가끔 완전히 잊고 살 때가 얼마나 많은가? ‘무상으로 받은’ 자유의 시간들, 정말 공짜가 아님을 잊으며 ‘나는 절대로 죄가 없다’고 코웃음을 치는 사람들.. 가끔 나도 그 중에 하나다. 오늘도 그런 유혹을 받았고 결과적으로 완전히 그것을 물리친 안식일이 되었다.

 

3월의 마지막 주일날 (다섯째)에는 21차 레지오 아치에스 Acies1 행사가 열렸고 우리 ‘자비의 모후’, 연숙이 사회를 진행하게 되어서 한 명이 빠진 상태였지만, 다행스럽게 협조단원 2명, 그것도 모두 ‘형제님들’ 이 참석을 해서 ‘기본적인 체면’을 유지할 수 있었다. 2년 전 ‘레지오 미친년들 사건‘ 이후부터 이런 행사가 오면 단원의 숫자에 무척 신경이 쓰였다.  워낙 신입단원 모집이 어려운 요새의 실정에서 기도 이외에는 크게  상황이 호전될 기미가 보이질 않는다. ‘독을 뿜는 독사들’ 한두 명만 있어도 이렇게 오랫동안 여운을 남기는 피해를 보며… 역시 ‘뱀의 머리를 바수는 어머니’의 역할을 더욱 실감하게 된다. 군대 같은 질서로 우리들 모두 성모님께 충성을 서약하며 의미 있고 보람된 ‘안식일’ 인 3월 마지막 날이 되었다.

  1. 총사령관이신 성모님께 대한 개인 및 단체 봉헌식, 3월 25일을 전후로 개최한다. 아치에스는 라틴어로 전투대형을 갖춘 군대’라는 뜻이다.

가는 2월, 오는 3월은…

¶  물 건너 간 것, ‘첫눈’: 2019년 2월이 이제 며칠 남지 않았다.  28일 밖에 되지 않아서 더 빨리 지나가는 듯 하다. 목을 빼고 애처럼 기다리던 올 겨울  ‘첫, 하얀 시루떡, 눈 雪’,  은 결국 물 건너가는 듯 느껴진다.  왜 올해 내가 그렇게 ‘첫 눈’을 기다렸는지는 사실 나도 잘 모른다. 지나간 몇 년간 매년 보고 즐기기도 했던 것이라 습관이 되었는가, 아니면 그저 나이답지 않게 ‘감상적 感傷的’ 인 기분에 빠졌는가.  비록 눈 구경은 못 했지만 대신 비 구경은 실컷 즐기며 살았던 주일을 보냈으니 그렇게까지 실망할 것은 아니다. 대신 YouTube의 video를 통해서 눈보라 치는 모습과 곁들인 멋진 영상음악은 Google ChromeCast의 도움으로 big screen TV를 통해서 실컷 보고 들었다. 하지만 이것은 역시 ‘속임수’에 지나지 않는다.  뒤뜰로 흩날리는 몇 송이의 눈발과 어떻게 비교를 할 수가 있겠는가?

 

¶  규칙적인 대장 운동:  지난 주에는 뜻하지 않게 regularity 문제로 며칠간 고생을 했다.  평소에 큰 신경을 안 쓰고 살았는데 가끔은 이것이 찾아온다. ‘변비, constipation’이라고 하면 당장 ‘냄새’가 나는 듯해서 조금 부드러운 표현이 ‘규칙적인 대장 大腸 운동, regularity’ 지만 이것 역시 기분은 마찬가지다.  왜 이런 ‘불규칙 증상’이 찾아왔나 생각해 보니 주범은 역시 ‘달콤하고 편리한 stick instant coffee 중독’인 듯하다. 그것 말고는 혐의를 둘 것이 별로 없으니 말이다.  예방은 물론 이런 ‘편리,달콤함’에서 벗어나면 되는데 ‘처방, 치료’가 문제다.

Toilet에 오래 앉아 있어야 하는 불편함은 경험이 없는 사람은 모를 것이다. 나도 잘 몰랐으니까..  이 regularity문제 자체보다 더 심각한 것은 이로 인해서 ‘Prep-H, hemorrhoid’ moment 까지 나가면 정말 골치를 썩게 된다.  나도 경미하게 Prep-H 증상을 몇 번 겪었지만 무슨 수를 쓰더라도 이것만은 피하고 싶지만 항상 운이 좋은 것은 아니다.

이번에도 이틀 정도 이것으로 고생을 했지만, 증상자체도 신경을 심하게 건들이지만 그것보다 이것으로 기분이 축 쳐지고 우울감까지 느끼게 되는 것도 만만치 않은 도전이다. 이런 며칠 간 고생의 경험으로 이제는 ‘입으로 들어가는 것들’을 조심하고,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서 Kroger drug counter에서 찾은 ‘stool softener’ 란 pill을 정기적으로 복용하기 시작했고, 최악의 경우에도 대비를 하기로 했다. 이것도 ‘앞서가는 나이’와 상관이 있는 불편함인가…

 

¶  2월 마지막 주일:  거의 매일 비가 온 듯한 느낌을 주는 2월, 마지막 주일 미사는 도라빌 순교자 성당으로 가게 되었다. ‘절대적인 이유’가 아니면 앞으로 주일미사는 동네 미국본당으로 가기로 달 전에 결심을 했지만 예외는 항상 예상 해야 한다.  이날이 바로 그런 날이 되었다. 이유는 도라빌 성당 60~70대 친교모임인 등대회 회식 때문이었다.  정말 오랜만에 찬란하게 떠오른 태양으로,  미사 시작을 ‘쨍~하고 해 뜰 날’ 이란 말로 시작한 주임신부님도 주일에 보게 된 것도 반가웠고, 한달 만에 다시 만난 등대회원들도 새롭고 즐겁게 느껴진 것을 느끼고, 이곳도 조금은 정이 들었나..하는 포근함까지 느끼는 등, 이날, ‘주일’은 그야말로 ‘주님이 주신 안식일’이 되었다.

오늘 ‘레지오 화요일’,  오늘도 우리 집 뒤뜰에서 계속 초봄의 소식을 전해주는 수선화를 꺾어가지고 가서 레지오 성모상 옆에 꽂았다.  성모님 (상)을 보면서, 현재 조금씩 안정되어가고 있는 우리의 ‘자비의 모후’를 쉽게 포기하지 않으시는 듯한 모습을 그린다. 몇 주 전부터 ‘방문자’로 참관을 하는 ‘예비신자’ 자매를 보며 나는 놀라움을 금할 수가 없다. 어쩌면 이 자매도 ‘성모님 job’이었나 할 정도다. 또한 얼마 전 퇴단한 실망스런 자매들과 이 예비신자 자매와 비교를 하며, 어떻게 세상에 이렇게 사람들이 다를 수가 있는가.. 나는 입을 다물지 못한다.

대체적으로 올해 2월은 우리로 하여금 지나간 6개월 여 ‘구역모임’으로 인한 ‘고통의 기억’들로부터 더욱 멀게 해 주는 그런 시기가 되었다. 이제는 우리는 다시 제 정신을 차린 듯한 산뜻한 기분을 느끼며 ‘우리들의 3.1절’을 기다리게 되었다.  ‘우리들의 3.1절’, 1919년의 기미년이 아니고, 우리 둘에게 3월 1일을 즈음해서 일어났던 각종 ‘좋은 추억’들, 예를 들면: ‘1992년 현재의 집으로 이사 왔던 날’, 부터 시작해서 2012년의 ‘매일 미사’ 전통의 시작까지 3.1절은 우리에게 소중한 날이 되었고 올해도 예외 없이 이날이 되면 추억과 더불어 ‘때려 먹는’ 즐거움도 놓치지 않을 것이다.

 

Daffodils come forever

올들어 처음 피어나는 수선화 꽃망울

 

¶  돌아온 수선화여, 주일 전부터 우리의 가슴을 설레게 하는 모습, 올해 처음으로 피기 시작한 수선화,  일주일 동안 거의 매일 아침미사 15분 drive하는 동안 우리는 오늘은 어떤 모습의 봄 소식을 찾을 수 있나 차창밖에 온통 신경을 쓴다. 이것은 우리 같은 ‘젊은 노인’ 부부에게는 논쟁의 여지를 줄 수 없는 거의 완벽한 대화 소재가 아닌가 생각한다.

꽃 망울이 겨우 눈을 뜨기 시작한 수선화가 작년에 하늘로 간 Tobey1의 무덤 주위에서 그 녀석의 영혼을 감싸듯이 정렬을 하고 있음을 매일 본다.  추위를 견디는 수선화의 안쓰러운 모습과 나의 손에 머리를 안겨 마지막 숨을 쉬던 그 녀석의 얼굴이 겹치며 나를 순간적으로 우울하게 한다. 역시 봄과는 거리가 있는 싸늘함은 어쩔 수가 없나 보다.

 

 

올해의 겨울과 봄의 사이는 유난스럽게 이상한 것이, 겨울이 정말 춥지를 않았다. 영하로 내려갔던 날이 며칠이나 될까? 덕분에 에너지는 많이 절약했겠지만 이런 상태로는 올 겨울 ‘눈 구경’은 물 건너 가고 있다.  대신 장마철을 연상하게 하는 ‘싸늘한 비’의 연속을 겪고 있다. 아마도 봄을 준비하는 초목들은 땅 속에서 잔치를 벌리고 있을 듯 하다.

 

기다리던 눈 대신 싸늘하게 내리는 줄기찬 비

 

거의 ‘악몽’ 처럼 느껴졌던 작년 후반기 6개월의, ‘구역’에 대한 기억, 이제는 그런 것들을 뒤로하고  2019년의 봄은 우리에게 조금 더 다른 의미를 주는 기회를 주기를 진정으로 바라고 있다. 청순한 수선화여, 피어있는 동안 우리에게 모든 괴로웠던 기억들을 말끔히 씻어 가게 해주길..

 

¶  수선화의 성모님:  모처럼, 나와 우리의 ‘등대’, ‘자비의 모후’  주회합 성모님 제대의 주위가 ‘꽉 찬듯한 느낌’을 주었다. 지난 몇 개월간 생존의 위기를 거듭했던 ‘자비의 모후’,  몇 주 전에는 결국  ‘파산선고’ 까지 우려했지만 역시 성모님의 도움이신가.. 최소한의 간부구성이 갑자기 이루어졌다.

 

수선화의 성모님, ‘자비의 모후’를 도와주소서,,

 

게다가 신단원 모집에 희망이 보이기 시작했다. 예비신자 자매님이 부활 세례직후에 입단이 거의 확실하게 되는 듯하니, 어찌 수선화의 축복을 받는 성모님이 더욱 더 아름답게 보이지 않겠는가? 지나치게 큰 기대는 안 하지만, ‘독물 毒物 이 전부 빠져나간 듯한 ‘ 우리 ‘자비의 모후’가 이렇게 조금씩 조금씩 새 모습으로 탈바꿈하는 것, 올 봄에 기대할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이 될 것이다.

 

  1. 작년 6월에 14살 천수를 다하고 떠난 나의 ‘영혼의 벗’ 개 Dachshund 의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