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e Francis from Argentina

새 교황 프란치스코, Pope Francis
새 교황 프란치스코, Pope Francis

¶  프란치스코, 프란시스, Francis  새 교황님: 드디어, 아니 생각보다 ‘훨씬’ 빨리 새 교황님이 선출되었다. 며칠 전 레지오 마리애 꾸리아 월례회에서 교황선출에 대한 특별 기도 활동이 하달 되었는데, 이틀도 되지를 않아서 ‘결말’이 난 것이다. 별로 알려진 선두주자가 없었기에 쉽게 절대다수(2/3)표가 나오기 힘들 것이라고 예상이 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은퇴하신 베네딕트 명예교황은 사실 그 전의 요한 바오로 2세의 총애를 받았던 분이기에 예측하기에 그렇게 어렵지 않았을 것이다. 이번의 교황님은 결국 1200여년 만에 처음으로 유럽계가 아닌 곳에서 뽑히신 분이 된다. 이것은 분명하고, 강력한 ‘신호’일 것이다. 이제 가톨릭의 본고장 유럽의 무대는 서서히 끝이 나고 있는 것이고, 신세계 그것도 남반구 쪽으로 교회의 주류세력이 내려가고 있다는 징조가 아닐까?

Vatican의 독특한 신호, 하얀연기는 교황의 선출을..
Vatican의 독특한 신호, 하얀연기는 교황의 선출을..

나이 76세면 생각보다 ‘한창의 나이’는 지나간 것이지만, 개개인 마다 활력과 건강은 다 다른 것이라 전 명예교황님과 직접 비교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사진으로 보기에도 아주 아주 건강해 보이신다.

이름은 조금 이태리 냄새가 나는 Bergoglio(버골리오), 역시 이분은 이태리 이민의 후손이시다. 결국은 이태리 가톨릭의 전통으로 자랐을 것 같고, 이태리 중심인 로마 바티칸의 ‘이태리 문화’를 잘 이해하고 무리 없이 잘 교회를 이끄실 것 같은 희망은 준다.

제일 큰 관심사는 그런 주변적인 것 보다는 역시 교회의 당면한 과제들에 대한 새 교황님의 대응책인데, 이것은 역시 정치적인 문제가 아닌, 종교적인 문제로서 더 높은 곳에서 해결책을 찾으실 것이다. 교회의 방향을 시대에 맞게 바꾸자는 사람들을 보면 조금 답답한 것이 그들은 비록 ‘사람’들의 교회이긴 하지만 아마도 무슨 정치, 사회단체로 생각하는 경향이 많다는 것이다.

비록 시대를 한 걸음 뒤 늦게 가는 것처럼 보일지도 모르지만, 나는 절대로 그렇게 생각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모든 것이 다 바뀌어도 ‘절대로 바뀌지 않는’ 것은 시대성이라는 요구와는 별개이기 때문이다. 이 새교황님은 두 분의 전 교황님들과 그런 면에서 비슷한 견해를 가지셨다고 하고, 결국은 일반인들이 말하듯 이것은 ‘보수적’인 것이라, 당분간 교회의 전반에 걸쳐서 큰 변화는 없을 것 같다.

동포의 교황선출에 환호하는 브에노스 아이레스
동포의 교황선출에 환호하는 브에노스 아이레스

알젠티나 수도지역인 브에노스 아이레스 대교구 출신의 추기경인 버골리오, 프란치스코 새 교황님은 ‘청빈하고 단순한’ 실 생활을 하셨다고 보도가 되고 있어서 더욱 호감이 간다. New York Times는 그를 A Conservative With a Common Touch라고 평하기도 했다.가난한 수많은 사람들의 목자가 되기에 부족함이 없다.

이런 면에서 미국 대통령 오바마는 빠른 성명서를 발표했는데, 모처럼 나는 그에게 ‘후한 점수’를 주게 되었다. 걸핏하면 ‘평등’을 내세워 가톨릭 교회를 괴롭히던 그가 재빨리 새 교황에게 찬사를 보내는 것은 조금 의외라는 생각이 들 정도지만, 그래도 그의 성명서는 ‘진심으로’ 역사, 정치 속의 하느님을 ‘인정’하는 느낌을 주었기에 흐뭇한 기분을 가지게 한다.

나는 개인적으로 새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성모신심, 특히 레지오 마리애에 대한 견해와 관심도에 신경을 쓴다. 이분은 예수회 출신(SJ Society of Jesus)이라고 한다. 예수회는 비록 성모님을 주보성인으로 모신다고 하지만, 프란치스코 회 같은 그런 밀착된 관계는 없는 듯 하다. 하느님을 팔아먹는 듯한 악마 같은 존재들인 ‘성추행 사제’들을 그는 어떻게 ‘근본적’으로 해결할 것인가 하는 것은 물론 당면한 ‘치명적’인 과제들일 것이고, 인터넷 시대에 맞게 ‘홍보, 전교’하는 문제는 보수적인 아닌 진보적인 사고로 대응을 하는 ‘상식’을 가지고 교회를 이끌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Ash Wednesday 2013, Lenten wishes

 

For you are dust, and to dust you shall return. – Genesis 3:19

 

어느덧 사순절의 시작인 ‘재의 수요일’이 내일, 코앞으로 다가왔다. 2013년 Lenten season이 시작되는 것이다. 오늘은 ‘금욕과 극기’의 40일을 조금이라도 늦추려는 듯 안간힘을 쓰는 ‘살찐 화요일 , Fat Tuesday: Mardi Gras‘, 아마도 New Orleans는 이것으로 오늘 하루 종일 떠들썩 하지 않았을까?

재의 수요일, 2013
재의 수요일, 2013

나의 매년 매년 재의 수요일과, 그에 따르는 사순절은 느낌도 달라지고, 의미도 다르게 느끼며, 무언가 조금씩 ‘발전’하는 듯 느낀다. 이것은 정말 나에게 만족스러운 현상이다. 이 나이에 나에게도 이렇게 ‘발전’하는 것이 있다는 것은 내 자신도 믿어지질 않는다.

작년의 사순절 때와 나는 한 살 더 먹은 것 이외에 무엇이 달라졌을까.. 생각한다. 작년에 비해 올해 나는 더 많은 영혼들과 작별을 했고, 그런 와중에 나는 ‘역사적’인 몽포르의 성 루도비코 마리아 (St. Louis Marie de MontFort)의 ’33일 봉헌’과 그 뒤에 따르는 우주관의 격한 변동을 경험하였다. 이것이 작년에 맞은 사순절과 올해의 차이일 것이다. 이것을 발판으로 올해 40일에 나는 무엇을 ‘바치고 바랄’ 것인가?

예년에 하던 통상적인 아침 커피 피하는 것 같은 것은 이제 조금 그 매력이 떨어졌다. 우리 Holy Family 성당 주임신부님도 ‘하지 않는 것’ 보다 ‘더 하는 것’에 신경을 쓰라고 하신다. 나는 그것이 무슨 뜻인지 짐작이 간다. 더 적극적인 삶으로 하루하루를 보내라는 뜻일 것이다. 무엇인가 절약을 했거나 삼가 했으면 그것을 누구에게 준다거나, 레지오의 정신으로 이웃에게 본격적으로 선교를 한다던가 하는 것들이 ‘적극적’인 것 들일 것이다. 구체적으로 나는 어떤 ‘적극적’인 것들을 하여야 할 것인가..

Rediscovering Catholicism작년 7월 중에 했던 위에 말한 ’33일 봉헌’.. 그것을 할 당시에 나는 더위와 싸우며, 계속되는 장례, 연도, 슬픔, 이별 등을 경험할 때였다. 그래서 그 ‘봉헌’이 의미는 더 있었을 것이겠지만 정성을 들여 집중을 할 수는 없었다. 그래서 이번 사순절에 다시 그것에 ‘도전’을 할까 생각 중인데, 아마도 하게 되지 않을까? 그것 이후에 내가 ‘받았던’ 것들을 생각하면, 정말로 이것은 우선 순위 중에 으뜸일 것이다.

그 동안 ‘천천히’ 읽어오던 책, Matthew Kelly의 걸작, 책 Rediscover Catholicism을 정독, 완독을 하면 어떨까? 교황 베네딕트 16세의 은퇴 선언으로 다시 교회는 앞으로 갈 길을 찾는 기로에 서있어서 이 책은 정말로 의미가 있을 듯 하다. 이런 것들.. 다 좋지만 역시 레지오 단원으로써 제일 값진 것은 ‘헤매는 영혼을 구하는 것’, 그러니까 새로운 ‘전사, 단원’을 찾아내는 것인데 이것은 현재 나에게는 거의 Mt. Everest처럼 높게만 보인다. 앞으로 가야 할 시간은 많지 않고, 이렇게 할 것은 많은데 어떻게 이런 것들 현명하게 풀어나갈 것인가.. 역시 어머님의 도우심이 필요함을 절감한다.

What? Why..why not, Benedict XVI

오랜만에 일찍 아침잠에서 깨고 보니 아직도 깜깜하고, 시계를 어렴풋이 보니 6시도 되지를 않았다. 아침잠을 이렇게 설치면 기분이 과히 좋지 않음을 알기에 ‘무조건’ 6시까지 뒤척이며 기다렸다. Flash flood watch까지 예보된 축축한 늦겨울.. 귀를 기울여도 빗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지붕의 gutter에서 새는 빗소리가 땅에 떨어지는 소리는 이런 새벽이면 유난히 잘 들리고, 심지어 문학적으로 느껴지기도 해서 기대했지만 그래도 조용하다.

모처럼 깜깜한 가운데 침실에서 나가니, 역시 우리 집 귀염둥이 고양이 Izzie가 배고프다고 문밖에서 기다리고, 나는 거의 로봇처럼 내려가 밥을 주고, 오랜만에 ‘진한’ 커피를 갈아 내리고 아직도 켜지지 않은(programmed-timer에 의해서 아침 6시 45분에 켜지는) living room light를 ‘강제로’ 키고, 이번 달의 ‘주제곡’ Telemann symphony CD를 들으며 aroma가 ‘죽여주는’ Christmas blend Starbucks coffee로 이른 아침의 목을 축인다. 시간은 비록 일찍이었지만 이것은 내가 매일 아침마다 거치는 routine이다.

교황 베네딕트 16세
교황 베네딕트 16세

그런대로 해 없는 ‘여명’의 시간이 되면서 desktop PC로 streaming TV channel을 켜 보니.. 갑자기 머리가 띵~ 해지는 news가 흘러나온다. 그것을 듣고 보면서.. 내가 아직도 잠에서 덜 깨었나 할 정도로 믿을 수 없는 news를 보고 있었다. Pope is resigning at end of the month.. 교황, 2월 28일에 사임..무슨 comedy인가.. 며칠 전까지 Angelus (삼종기도)에서 비록 느리지만 ‘건강한’ 얼굴을 본 것 같았는데..

‘거의’ 역사상 유례가 없다고 해서 더 놀란다. 마지막으로 ‘자진해서 사임’한 case는 15세기.. 우아.. 정말 너무하다. 전 교황, ‘복자’ 요한 바오로 2세(Blessed Pope John Paul II)는 혼신과 혼미의 몸과 정신으로도 끝까지 버티셨는데, 거의 ‘멀쩡하게’ 보이시는 베네딕트 16세(Pope Benedict XVI)는 왜 그런 ‘폭풍’과 같은 결정을 하셨을까? 공식적인 이유가 ‘건강상’의 문제고, 분명히 그것이 이유일 것이라도 나는 믿는다.

요새 85세면 그 옛날의 85세는 아닐 것 같고, 교황의 오랜 경험과 명석한 두뇌는 젊은이 못지 않다고 생각했는데, 어째서 그런 결정을 하셨을까? 주위의 사람들도 거의 몰랐고, 그래서 더 놀랐다고 보도가 되고.. 논평하는 ‘바티칸 전문가’ 들도 한결같이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 어찌 안 그렇겠는가? 전 교황이 그렇게 오래 병마와 싸우면서도 교황 직은 고수하셨기에, 그런 과정을 또 기대했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교황이 그런 괴로운 결정을 한 이유를 알 것 같기도 하다. 전 교황이 겪었던 ‘괴로운’ 과정이 지금 천주교회의 여러 가지 사정과 입장에 맞지 않고,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수많은 교회의 문제들을 보고, 오랜 동안 견딜 수 있는 젊은 교황의 출현을 기대했는지도.. 그분의 예외적인 신학적인 지식과 영성을 알기에 그런 어려운 결정을 믿는 것이 올바르다고 나는 믿는다.

그래도 왜 지금인가.. 내일 모래가 사순절(Lent)의 시작인 ‘재의 수요일(Ash Wednesday)’인데.. 우리에게 왜 이런 ‘분심’을 주게 한 것인가? Timing으로 보면 아마도 부활절 전까지 새 교황이 선출 될 것이다. 우리는 거기에 또 적응을 해야 한다. 무언가 머리가 복잡해진다. 이것은 교회, 이 세상, 아니 나와 우리가족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일까? 새 교황, 그것도 ‘젊은’ 교황이 선출되면 그는 교회를 어떤 쪽으로 이끌고 갈 것인가..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어두운 아침’을 맞는다.

 

Postscript

몇 시간 후에 교황 베네딕트 16세께서 직접 은퇴, 사임 발표하는 video가 Vatican TV에 실렸다. 역시 ‘건강’하신 모습이다. 이제 조금씩 교황님의 뜻을 알 것 같다. 야심적인 개인 의견을 접고 점점 복잡하고 어려워지고 있는 교회를 생각하신 것이 분명하다는 생각.. 아마도 그것이 아닐까?

 

레지오 친목회, 2012

한 해가 서서히 저물어가기 시작하는 올해의 마지막 달 12월, 첫째 일요일 12월 2일 오후 2시에 우리 레지오 단원들의 친교를 위한 레지오 연차 총 친목회가 열리면서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은 성탄절과 송년의 분위기로 서서히 접어들었다.

나에게 이 레지오 연말 총 친목회는 올해로 벌써 3번째가 되었다. 첫해의 친목회는 입단 2개월도 못 미치는 예비단원(선서하기 전까지 단원등급)이었을 때여서 사실 레지오의 ‘문화’에 대해서 아는 바가 거의 없었다. 그저 ‘신 나게’ 노는 정도로만 알았다. 하지만 비록 ‘노는’ 시간은 있었어도 비교적 차분하고, 경건하게 진행이 되었던 느낌이었다. 레지오 교본에 의하면 이 친목회의 의도가 분명히 적혀있다. 모르는 단원들과 친교를 이루는, 바로 그것이었다.

 의도적으로 군대의 체계를 갖춘 레지오에서 단원들끼리 친교를 갖는 것은 사실 그렇게 중요한 것이 아님을 알게 되었다. 건전한 친교를 이루는 것도 레지오의 목적을 달성할 때 도움이 되는 정도에서 까지 중요한 것이었다. 절대로 ‘사교적’인 단체와는 달랐다.

그러다 보니 단원들 간의 교류가 비교적 적어서 그런지 만나면 서먹서먹 할 때가 많았던 것도 사실이었다. 그것을 조금이라도 도와주려는 것이 일 년에 딱 한번 있는 이 연차 총 친목회였던 것이다.

작년까지는 쁘레시디움 별로 ‘장기자랑’ 같은 것으로 했지만 올해는 완전히 바꾸어서 장기(talent) 별로 모든 단원들이 자유로이 섞여서 발표를 하게 되었다. 이런 방식의 의도는 바로 ‘모르는 단원 간의 친교’를 노린 것임은 두말 할 나위가 없다. 하지만, 이런 방식의 단점은 거의 전혀 모르는 단원들이 서로 모여서 ‘연습’을 하는 것이 전 보다 훨씬 어렵다는 것이었다.

합창, line dance, clogging(tap dance와 비슷한), 사물놀이, 청년 팀들의 ‘강남 스타일‘ 등이 있었는데, 내가 갈 수 있는 유일한 곳은 그 흔한 합창(chorus)밖에 없었다. ‘춤 종류’는 절대 질색이기 때문이었다. 나이를 먹으면 ‘무조건’ dance를 하는 사람들에게 좀 미안하지만 조금 바보같이, 우습게 보이기 때문이었고 사실 나는 전혀 관심이 없고, 그것은 보는 것도 마찬가지였다.

내가 할 수 있는 유일한 ‘장기’는 그저 조용히 노래를 하는 합창인데, 올해는 그것마저 조금 싫증을 느꼈는데, 이곳 역시 99.9%가 female, 여성동무들.. 그들의 목소리에 남자가 맞추는 것.. 생각보다 힘들다. 여자들 속에 ‘파 묻히는 것’, 소싯적에는 대환영이었지만, 지금은 그것도 조금 다르게 느껴진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내가 모르고 지내던 ‘소수민족’ 남자(들)과 중창을 하는 ‘기발한’ idea 였다. 연숙에게 의논을 하니, 의외로 대환영이었다. 모르는 ‘남자’를 알게 된다는 것도 괜찮고, 거의 여성위주인 행사에서 남자들이 모여서 노래를 한다는 것도 신선하지 않은가?

행사 한 달 전에 생각을 굳히고, 남성동무 들을 찾았는데.. 이것이 정말 장난이 아니었다. 요새 세상에 완전히 여자세상 이라고 는 하지만 정말 정말 남자를 찾기가 힘들었던 것이다. 특히 신앙단체에서는 그 현상이 더 심한 것이다. 그야말로 남자란 ‘것’은 희귀한 존재였던 것이다. 거의 포기를 하려 던 참에 구세주같이 한 사람을 찾았는데, 연숙이 부단장으로 있는 꾸리아의 서기였던 자매님의 남편 형제님, 그도 레지오 단원이었던 것이다. 알고 보니 노래를 무척이나 즐기고 잘하는 형제님 이었고 나보다 나이가 2살 정도 아래여서 노래의 세대가 거의 비슷했다.

한 가지 문제점은 진한 경상도 사투리 억양이 있고, 목소리가 나에 비해서 ‘엄청’ 우렁 찬 것… 하지만 이것들은 어렵지 않게 극복할 수 있는 것들이었다. 우리가 친목회에서 부를 곡은 모두 3 곡으로 정해졌는데, 시작할 때 다같이 부를 곡과, 정식 program에서 우리 둘이 부를 곡이 2 곡이었던 것이다. 

선곡은 그렇게 어렵지 않았다. 지난 7월 초 레지오 교육 피정 당시 불렀던 복음성가 중, 2곡이 아주 가사를 포함해서 좋았다. ‘주님이 좋아요’ 와 ‘실로암’ 이 그것이었다. 나머지 한 곡은 1979년 발표되었던 그룹 ‘해바라기’의 ‘사랑으로’.. 이 곡은 특히 돌아가신 김수환 추기경께서 좋아했던 것이라, 더욱 마음에 들었다.

곡이 정해지고 나서 제일 큰 문제는 60대의 머리로 3절까지 되는 가사와 기타의 코드.. 이것은 정말 큰 challenge에 속했다. 결과적으로는 그런대로 무난하게 끝을 낼 수 있었지만, 이것들을 ‘외우는’ 비결은 의외로 간단했다. ‘바보처럼 반복‘하는 연습.. 그것이었다. 아마도 프로들이 쓰는 방식이 그것일 것이다. 머리를 쓰는 것이 아니고, 기계적인 반복 연습인 것이다. 처음에는 악보 stand를 사용해서 악보를 보려고도 했지만, 그것은 너무나 소극적인 모습이었다. ‘안경’을 끼고 악보를 응시하는 ‘노인네’의 모습이 얼마나 웃기겠는가?

실제로 ‘공연’을 할 때, 역시 나의 우려가 현실로 되었다. 같이 나온 형제님의 목소리가 엄청 큰 것.. 거기다 그 형제님은 마이크를 손에 들고, 입에 대고 불렀으니.. 나의 목소리는 상대적으로 마이크 stand를 통한 관계로 뒤에서는 거의 들리지 않았다고 했다. 그러니까 결과적으로 나는 기타 반주자로 등장한 꼴이 된 듯했다. 하지만, 그것이 무슨 큰 문제가 되겠는가? 그런대로 신선하게 60/70/80 style(통기타)로 불렀고, ‘남자들’ 만의 모습도 보였고, 잘 모르던 형제님도 사귀게 되었으니.. 목적은 달성한 것이었으니까.

 

위에 있는 audio track은 이번 남성 이중창을 위한 연습 session중의 하나를 record한 것이다. 이런 식으로 우리는 바쁜 시간에 1시간 정도 짬을 내어서 4번을 연습 하였다.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이것을 다시 들으면 또 하나의 추억이 될 듯하다.

Advent 2012, 대림절

거짓말 조금 보태서 바로 엊그제Advent 2011을 지낸 느낌이 들 정도인데.. 이 나이에 너무나 진부한 표현일 것 같다. 60대에서 60마일로 세월이 흐르고 70대에는 70마일로.. 아주 공감이 가는 말이기도 하다. 아마도 그것은 작년 대림절을 비교적 실감 있게 기억하기 때문일 것이다. 오늘 슬그머니 12월 1일, 2012년의 마지막 달로 접어들었다. 무언가 또 거의 뚜렷한 이유 없이 머릿속이 바빠지는 느낌.. 이것이 바로 holiday blues의 시작일 것이다. 이것이 나는 ‘지독히’도 싫은데 빠짐없이 찾아 든다. 특히 12월에..

사실 2012년 holiday는 이미 지난 11월 셋째 목요일 Thanksgiving Day로 시작이 된 상태이다. 올해의 ‘추수감사절 (이 번역된 말이 조금 무리인 듯 느껴짐은?)’ 내가 기억하는 한 우리 가족은 이날에는 꼭 ‘핵가족’이 다 모여서 turkey meal을 즐겼는데, 드디어 세월의 흐름을 느끼게 하는 예외가 생기고 말았다. 큰 딸 새로니가 Miami, Florida로 친구와 같이 vacation을 가 버렸기 때문이다. 조금 배반당한 느낌이 들 정도로 기분도 그랬지만, 이제 아~~ 우리 가족, 가정도 변화를 겪고 있구나 하는 실감도 들었다.

그래서 전통적인 가족이 만드는 turkey early dinner를 생략하고 대신 크리스마스에 turkey 를 하기로 했다. 조금은 안 되었는지 작은 딸 나라니가 그 다음날 자기 집에서 맛있는 요리를 해 주겠다고 해서 ‘염치불구하고’ 그곳에 갔고, 식사 후에는 Life of Pi 라는 새로 나온 fantasy 영화를 같이 보았다. 거의 일년 만에 가보는 ‘진짜 극장’이었다.

올해의 대림절은 어떨까.. 크게 다를 것은 없을 것이지만 조금 더 ‘성숙된 믿음’으로 대림절을 지내게 되기를 바라고 있다. 지난 사순절부터 시작된 ‘평일 마사’ 참례는 아직도 계속되고 있어서 대림절 동안도 마찬 가지일 것이다. 내가 속하고 활동하고 있는 레지오는 내일 연차 총 친목회를 마지막으로 올해를 마감한다.

올해, 내가 생각해도 참 열심히 레지오를 살았다. 비록 나타난 성과는 많지 않아도 내가 느끼는 나의 변화, 그것은 큰 성과인 것이다. 내년에는 가능하면 눈에 보이는 외적인 성과가 나오기를 기도하고 있다.

15W Behringer Acoustic Amp
15W Behringer ‘personal’ Acoustic Amplifier

내일은 대림절 주일 시작이고 오후에는 우리의 ‘또 하나의 본당’인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에서 레지오 연차 총친목회가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열린다. 연숙이 꾸리아 부단장인 ‘여파’로 나는 여러 가지 눈에 잘 안 보이는 ‘봉사’를 해야 한다. 주로 여성 단원들이 대부분이라 남자의 역할은 대부분 ‘근육적’인 것 뿐이다.

하지만 올해는 조금 ‘소수 족’인 남자단원의 사기도 살릴 겸 해서 나와 새로 알게 된 다른 ‘남성’ 박 대건 안드레아 형제와 총 친목회에서 노래를 부르기로 했고, 지난 몇 주 몇 번 만나서 노래 연습을 했다. 처음에는 ‘남자 중창단’을 예상하고 사람들을 모으려고 했지만 나로써는 무리였다. 워낙 남자단원의 수가 적고, 있어도 너무나 바쁜 것 같았다. 포기하려 했지만 다행히 이 안드레아 형제와 ‘의기투합’이 되어서 결실을 보게 된 것이다.

Seymour Duncan acoustic pickup
Seymour Duncan acoustic pickup

덕분에 그 동안 가끔, 조금씩 ‘즐기던’ 나의 야마하 기타.. 얼마 전에 Seymour Duncan ‘Woody SC’ acoustic guitar pickup과 앙증맞게 조그맣고 예쁘게 생긴 Behringer AT-108 15-Watt acoustic mixing amplifier를 구입해서 이번에 쓰게 되었다.

지난 7월 달 허윤석(요한) 신부님이 지도하셨던 레지오 교육피정 때 ‘신나게’ 부르던 ‘개신교 스타일’ 복음 성가 ‘주님이 좋아요’, ‘실로암’과 김수환 추기경의 애창곡이었던 해바라기의 ‘사랑으로’를 골라서 연습을 하고 부르게 된 것이다. 내일singing duet performance의 결과에 상관없이 나는 그 동안의 연습과정을 통해서 얻은 ‘즐거움’ 하나 만으로 만족하기로 했다. 덕분에 오랜만에 여자가 아닌 남성을 알게 되었다는 것도 즐거운 일이 아닐까?

Personally amplified YAMAHA guitar
‘Personally amplified’ old YAMAHA guitar

올해의 대림절은 어떻게 보내게 될까? 우리는 그렇게 흔한 holiday travel은 100% 없을 것이고, 아.. 그렇다! 올해는 지난 십 수년 동안 못했던 손으로 쓰는 정성 드린 성탄 카드, 연하장을 ‘우체국을 통해서’ 보내는 것을 해 보련다.

내 인생에서 알고 지냈지만 잊혀진 수많은 사람들, 찾을 수 있는 대로 찾아서 ‘내가 살아있다’ 는 것을 알리련다. 그것만 해도 나는 진정한 ‘구세주를 기다리는’ 대림절의 의미를 조금 알 수 있을지 모른다.

 

레지오 입단 2주년

우리(나와 연숙)의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소속, 성모님 군단의 최전방 소대, “자비의 모후 쁘레시디움”.. 지난 몇 개월 동안 많이 변했고, 현재도 변하고 있다. 많이 변했다고 했지만.. 이것이야 말로 sea-change라고 부를 수 있고, 그것은 바로 perfect storm을 뚫고 나온 느낌이었다. 그중에 제일 큰 변화, 그것도 충격적인 것은 역시 우리의 사랑하는 단원, 친구, 영적 선배.. 은효순 요안나 자매님.. 영웅적인 암 투병을 하시던 용감하고 멋진 여성, 결과적으로 성모님은 그녀를 더 심한 고통에서 구해 주셨을까, 한창 더울 때였던, 7월 26일에 하느님의 품으로 가셨다.

솔직히 우리들은 ‘흔치 않은’ 기적을 바라고 있어서 그랬을까.. 끝까지 더 오랜 동안 우리와 함께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서 조금은 충격적인 떠남이었다. 그 자매님은 우리, 특히 우리에게 잠시 살다가는 이 세상을 어떻게 작별을 하는 가 하는 특별한 모범을 보여주었다. 많은 사람들이 ‘나도 그렇게 이 세상을 떠나야지’ 하는 말을 하였다. 그 짧은 말이 이 자매님이 마지막 순간들을 살아간 모습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일 아닐까?

나로써는, 2년 전 레지오에 입단을 안하고 살았으면 이런 ‘귀중한 체험’들은 사실 상상도 못했을 것이라서, 생각하면 할 수록 나를 이, ‘진리와 행동’의 집인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 자비의 모후 쁘레시디움으로 이끌어 주신 모든 사람들에게(특히 연숙) 머리가 숙여지는 감사가 이어진다.

요안나 자매님의 선종과 거의 같은 시기에 다른 단원 자매님의 (미국인) 남편께서 선종을 하셨다. 비록 지난 몇 달간 예상을 못했던 것은 아니었지만 timing이 참 놀라웠다. 그렇게 갑자기 가실 줄 몰랐던 것이다. 미국인 남편이어서 장례미사, 연도의 절차가 우리들과 달라서 조금 더 신경이 쓰였겠지만, 모든 것들이 비교적 잘 마무리를 지었고, 특히 그 무더운 날씨에도 우리 레지오 단원들은 정성을 다 했다고 생각한다.

이런 ‘완전한 폭풍’ 같은 일들이 끝나자 마자 우리 단원들은 다시 단장, 부단장이 떠나야 하는 시련을 겪게 되었다. 이것도 사실은 몇 개월 전부터 알고, 예상하던 일이었지만, 그 과정이 사실 생각만큼 부드럽지 못했다. 간부진들이 조금 더 신경을 써서 조금 더 매끄럽게 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 것이다. 간부들, 그것도 제일 핵심인 단장 부단장이 떠난다면 그 뒤에 제일 큰 문제가 무엇인가? 당연히 새 간부진을 만드는 것이 아닌가?

그것, 그런 변화의 준비가 비록 위에 말한 폭풍과도 같은 시련들이 있었다고 해도 별로 되고 있지 않았다. 만사가 바쁘기만 한 단장님의 사정은 이해하지만 그래도 정들었던 곳에 조금 더 세세한 신경을 썼으면.. 하는 아쉬움은 지금까지도 남는다.

그런 과정에서 연숙이 단장, 내가 서기로 ‘어쩔 수 없고 피할 수 없는 승진’ 했던 것은 충분히 예견이 되었고 큰 무리는 없다고 하지만 나머지 부단장, 회계 직을 채우는 과정이 참.. 기가 막히게 어렵고, 심지어 놀라움과 실망의 연속이었다. 우리 부부는 최소한 ‘순명과 사명’의 의식은 잃지 않았다.

하지만 제일 놀라웠던 사실은 가깝게 느껴지기도 했던 단원이었던 분들의 지금도 이해할 수 없는 예상도 못했던 언행과 반응이었는데 나는 이것을 한마디로 small Kafka moment로 이름을 지었다. 그만큼 우리 부부는 놀랐던 것이다. 레지오 선서, 순명의 정신 같은 것들을 벌써 잊어버렸나 할 정도의 언행에 놀라기도 했지만, 다음은 ‘차가운 현실’을 느끼게 하는 실망으로 이어지고, 곧바로 damage control 로 이어졌다.

12명까지 불어나 ‘승승장구’하던 우리 레지오가 거의 몇 주일 만에 6명 이하로 떨어지는 쓸쓸한 공기로 휩싸이고, 심지어 적막감까지 느낄 정도였다. 그때야 비로소 우리의 bible, 레지오 교본들에 언급된 ‘경고’ 들을 실감하게 되었다. 조그만 시련기인 것이다. 군대와 같은 조직인 레지오에서 leadership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 가 절감하게 되는 첫 시련기라고 할 수 있을까?

다른 조직과 다르게 우리는 ‘사령관’인 성모님이 계시고 보호한다고 늘 생각은 하지만 우선 매주간 동안 살아 남아야 하는, survive하는 급박한 문제는 우리들이 풀어야 하는 것들이 아닌가? 군대에서 군인의 숫자에 문제가 생기면 그것은 거의 치명적인 것이다. 하지만 성모님께서는 새로운, 그것도 에너지가 충만한 젊은(상대적으로) 여성 단원을 우리에게 보내 주셨고, 그 단원이 씨앗이 되어서 다른 예비단원들의 입단도 어렵지 않게 꿈꾸게도 되었다.

그런 와중에 나는 레지오 입단, 역사적인 2주년을 맞게 되었고, 지난 2년간 나의 ‘변화’를 조금씩 생각해 보게 되었다. 암만 생각해도 나는 참 많이 변했고, 변해가고 있다. 세속적인 자질구레한 습관들의 변화는 어렵지 않게 식구들에 의해서 발견되고 심지어 놀라워한다. 특히 연숙은 크게 나타내지는 않지만 (거의 의도적으로) 간접적으로 나의 변화를 ‘즐기고’ 있는 듯하다.

쉽게 말해서 out of closet같은 느낌.. 이제와 다른 세상을 보고 느끼는 2년 간이었다. 그전에는 내가 어떻게 살았을까 할 정도였다. 급기야 그런 나의 변화를 연숙은 공개적으로 평신도 주일 강론에서 밝히기도 했다. 물론 그것은 다른 사람들에게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하려고 하는 의도였을 것이다.

물론 2년은 어떻게 보면 아주 짧은 기간일 수도 있지만, 나의 레지오와 연관된 세월들은 참으로 귀중하고 길었던 경험의 연속이었다. 단적인 예로 새로 알게 된 성모님과 성모신심(Marian Devotion)은 나에게 새롭고 귀중한 보물이었다. 궁극적인 진리인 성삼위로 향하는 지름길, 안전한 길을 제공하는 우리의 어머님, 보호자를 찾게 된 것이다.

그곳으로 향하는 비교적 안전한 것, 묵주기도.. 그것의 진실과 참 뜻도 깨닫게 되었다. 비록 레지오 2년 생의 초보자이지만 남은 여생의 한계를 생각하면 남보다 10배의 노력이 필요함을 절감하며 ‘월반’을 꿈꾸지만, 그것이 그렇게 쉬울까?

지난 8월 15일에 끝이 난 “33일 봉헌” 과정 이후에 나의 우주,세계관은 아주 폭풍과도 같은 변화를 겪게 되었다. 이제야 무엇이 이 세상을 움직이는 지도 짐작하게 되었고, 아.. 이것이 바로 진리, 진실이었구나 하는 생각, 왜 이런 사실들을 1982년 영세 후 30년이 지난 지금에게 알게 되었을까 하는 아쉬움이 많았지만, 지금이라도 ‘알게’ 된 것을 감사하는 것이 더 옳을 듯하다. 하지만 제일 중요한 것은 이것이다.. “이제는 최소한 뒤로 물러설 것 같지는 않다” 는 사실이다.

평신도 전연숙 베로니카

 

 

결국은 끝이 났다. 지난 일요일은 ‘아마도’ 대한민국 전례력에 의하면 평신도 주일이었던 모양이다. 분명히 이곳 나의 교민본당,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은 아틀란타 대교구 소속이라서 머나먼 대한민국의 전례력에 좌지우지 되지 않아도 될 것이지만, 그런 것들은 흑백을 가리듯 분명한 것이 절대로 아니다. 한마디로 grey area인 것이다. 따라서 이곳 순교자 성당도 그때 그때 ‘편리한 전례’의 관습을 따르는 모양이다.

그래서 지난 일요일은 대한민국 식으로 ‘완전한’ 평신도 주일의 전례를 따랐고, 신부님의 강론도 평신도가 대신 맡아서 하게 된 것이다. 나의 추측이지만 이것은 아마도 작년부터 실시가 된 듯한데, 작년 6월에 부임하신 서강대 예수회 소속 하태수 미카엘 신부님께서 지시하신 것이 아닐까.. 그리고 작년의 평신도 주일에도 평신도였던 서재욱 사목회장이 강론을 했던 것을 video를 보고 알았다.

1960년대에 있었던 바티칸 2차 공의회 (Vatican II) 이후 평신도의 역할은 그 이전에는 상상도 못했던 이상으로 눈부시고 확장되어가고 있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쉽게 말하면 지독하게 보수적인 천주교회가 민주화가 되어가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르는 것은 쉽게 이해할 수 있지만, 문제는 그 정도일 것이다. 이것은 고도의 ‘정치적’ 기술도 필요한 것이 아닐까?

갈릴레오를 처단했던 커다란 오류도 문제지만, 진짜 문제는 ‘완전한 방종적 자유’를 갈구하는 불완전한 인간들의 요구에 쉽게 부응하는 그것일 것이다. ‘완전한 평등’의 환상아래 너무도 많은 돌이킬 수 없는 실수들을 정치인들은 ‘표를 얻기 위해’ 자행하고 있는 사실은 어떤가?

하지만 바티칸 2차 공의회의 덕분에 교회 내에서 여성들의 지위는 눈부시게 향상한 것은 사실이고 이제는 여성들이 없으면 몇 시간도 교회가 움직일 수 없게 된 듯하게 되었다. 그런 시대의 흐름 때문일까.. 올해 평신도 주일의 신부님 대신하는 강론이 연숙에게 돌아온 것이다. 이런 것들은 ‘나서기 좋아하는 남자’들 몫일 텐데 겨우 레지오 꾸리아의 부단장 정도의 명함으로 선택이 된 것을 보니 역시 시대가 변하고 있음을 느낀다.

사람들 앞에 서본 경험이 ‘소싯적’에 그렇게 많았던 연숙도 이번에 이런 ‘요청’을 받고는 완전히 긴장을 했던 것 같았다. 강론 대에 서서 신부님 강론 대신 한다는 것은 조금 stressful했을 것이다. 처음에는 완강히 거절을 했지만 하태수 신부님도 만만치 않았던지, 굴복하고 말았고 그것을 지난 일요일에 하게 된 것이다.

나는 옆에서 보는 입장이었지만 수수방관할 입장만은 아니었던 것이, 그 강론의 주제가 바로 나였던 까닭이었다. 그저 ‘돌아온 탕자’ 에 비유하면 딱 맞는 그 ‘이야기’의 주인공은 바로 ‘나’ 였다. 나의 ‘과거’가 적나라 하게 들어나게 되는 것에 거부감을 처음에 느끼긴 했지만, 그런 이야기가 다른 사람들에 줄 수도 있는 잠재력을 생각하고 가만히 있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그 평신도 강론은 반응도 좋았고, 본인도 앓던 이를 뺀 것 같은 들뜬 기분으로 다음날을 보내게 되었으니, 이것으로 하태수 신부님이 밀어부친 평신도 주일의 성과를 느끼게도 된 것이다.

 

귀신들, 성인들, 그리고 영혼들..

10월 31일은 이곳 미국에서 Halloween (할로윈), 이어서 다음날, 11월 1일은 가톨릭 전례력으로 All Saints Day (모든 성인의 날?), 11월 2일은 역시 가톨릭의 달력으로 ‘위령의 날‘ 이다. 그 다음날, 11월 3일은 아직도 귀에 익은 광주학생 사건을 기념하는 ‘학생의 날’.. 줄줄이 이어진다. 종교성이 거의 없는 할로윈은 나쁘게 말하면 ‘귀신’에 대한 날이고, 모든 성인의 날은 정 반대로 귀신을 쫓는 ‘성인’들의 날이다. 이런 이유로 할로윈 다음 날을 모든 성인의 날로 정한 것이 아닐까?

얼마 전에 연숙과 얘기를 하다가, 올해부터는 11월 달이 ‘위령의 달’ 임을 생각하며 돌아가신 우리 두 부모님들에게 ‘매일’ 위령기도를 바치자고 합의로 하였다. 연숙은 오래 전부터 이것을 하고 싶었던 것 같지만 역시 내가 요지부동으로 가슴을 닫고 있어서 못하다가 올해는 무언가 아무 문제없이 이렇게 ‘멋있게’ 합의를 본 것이다. 나의 마음이 그 정도로 열려있음은 알고 나 자신도 사실 놀랐다.

이제는 우리의 자랑, 오랜 전통의 천주교의 일년 흐름을 아주 자연스럽게 느끼게 되고 그런 오랜 전통적 달력을 음미하고 받아들이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5월의 ‘성모성월’과 11월의 ‘위령의 달’은 더 나에게 가까이 느껴짐은 왜 그럴까? 성모성월은 어머니가 주제요, 위령의 달은 돌아가신 부모, 조상, 친척들에 관한 것이라서 그럴 것이다. 가슴 깊이 고여있는 어머님, 보지도 못한 아버지에 대한 사무친 서러움, 그리움, 불효막심 등등이 한꺼번에 솟아 오르는 듯한 감정.. 그것이 무서워 항상 나는 도망만 하며 살았음을 인정하기에 더욱 더 나에게 의미가 있는 것이다.

특히 어머님께 따로 특별히 연도는커녕 기도 한번 변변히 못한 나는 사실 이런 날이나 달들을 생각하기도 무서웠다. 그러다가 레지오에 입단하게 되면서 ‘남 들’에 대한 연도와 기도를 자연적으로 시작했고, 이제는 조금씩 마음도 열리고, 더 이상 도망하고 싶지 않았다. 고향에 돌아온 듯이 살고 싶었다. 내 자신이 나의 부모님께 연도와 기도를 바치게 될 진정한 용기가 생김을 알게 되었다.

이제는 ‘영혼의 존재’를 나는 믿게 되었고, 영혼에 대한 기도나 연도가 정말 의미 있다는 것도 믿는다. 그 중에서도 나의 부모의 영혼께 기도를 하고, 혹시라도 아직도 고통을 받는 곳에 머물지 않게 기도를 할 수도 있게 되었다. 비록 하느님을 모르고 떠났다 하더라도 그것은 큰 문제가 아닐 것이다.

11월 3일, 고국의 학생의 날.. 에 이곳에서는 11월 위령성월을 맞아 아틀란타 지역 두 천주교회(순교자, 성 김대건) ‘합동’으로 마리에타 한인 공원묘지에서 위령미사가 거행 되었다. 매년 얘기만 듣던 것.. 올해는 ‘무조건’ 참례를 하였다. 집에서 비교적 가까이 있는 이곳에는 한인들만의 공원묘지가 따로 조성되어있고, 지난 7월에 떠나신 우리 레지오 단원 요안나 자매도 이것에 안치되어 있고, 2002년 4월에 불의의 교통사고로 타계하신 ‘평창이씨’ 종친 이주황 선생님도 이곳에 계셔서 우리와 익숙해진 곳이다. 가톨릭의 예식을 따랐지만 그 의식은 많이 우리나라의 전례 예절이 가미된 것이라 더욱 우리에게 가까이 다가 오기도 했다.

이런 저런 생각을 하며, 나도 이제 나이가 많이 들었는가.. 아니면 많이 이런 것들에 익숙해 졌는가.. 만감이 교차됨을 느꼈는데, 특히 1980년대 초 천주교 영세 후에 ‘멋도 모르고’ 장례미사에 갔다가 ‘시체’를 처음 보고 놀라서 그 다음부터 절대로 그런 곳에 안 가겠다고 ‘결심’을 했었던 나의 유치한 믿음을 회상하며 웃어보기도 했다. 아.. 영혼들이여.. 편히 편히 잠 드소서..

33일 봉헌을 위한 준비

성 루도비코 마리아의 "33일 봉헌"
성 루도비코 마리아의 33일 봉헌 지침서

33일 봉헌… 오래 전, 아마도 10년 전쯤일까, 이런 말도 들었고, 책도 본 희미한 기억을 가지고 있다. 물론 모두 연숙을 통해서였다. 한쪽 귀로 듣고 1초도 채 안되어 다른 쪽 귀로 내보냈을 것이다. ‘전혀’ 관심도 없고, 흥미도 없고, 귀찮기만 한 이야기들로 들렸으니까.

그로부터 10년 뒤로 fast forward한 지금 나는 어떤가? 그것을 지금 ‘체험’적인 적극성을 가지고 대하게 되었다. 이것은 사실 나로서도 놀라운 자신의 변화라고 할 수 있고, 여기에는 더 높은 곳의 뜻이 있다고 믿게 되었다. 나 자신의 노력만으로는 예전 같으면 상상이나 꿈도 못 꾸었을 그런 ‘추상적, 형이상학적, 신비적’인 것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33일 봉헌, 더 구체적인 말로는 ‘봉헌을 위한 33일간의 준비’ 가 더 맞을지도 모르지만, 사람들은 간단하게 그저 ’33일 봉헌’이라고 부른다. 간단히 말하면 33일 연속으로 ‘관상,묵상,기도’를 하고 그의 결과로 ‘공적인 인정’을 받게 되는 그런 것이다. 비록 매일 혼자서(사적으로) 하는 신심행위이지만, 이 행위자체는 완전히 공개적으로 알리고, 공개적으로 인정을 받는 것이라, 가벼운 마음으로 대할 수는 없는 것이고,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쉽게 할 수 없는 듯 하다.

그런 것이 올해 나에게 ‘분위기’가 무르익었는지, 자연스레 다가왔다. 예전 같은 콧방귀나 거부감, 무관심이 많이 사라진 상태였고, 나는 나 자신을 시험대에 올려보고 싶은 장난기도 발동했다. 종교를 완전히 떠난 ‘세속적인’ 것으로 말하면 Tony Robbins같은 세계적 inspirational coach가 지도하는 $$이 엄청 소요되는 seminar에 ‘개인적’으로 참석한 그런 상황을 생각하기도 했다.

이것이나 저것이나 모두 기본적인 것은 ‘개인적인 변화’ 그러니까 change인 것이다. 변하지 않고서는 진전이 없다는 대명제가 아닐까? 나도 변하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했다. 아주 세속적인 ‘낮은 곳’이 아니고 천상의, 높은 곳에서 나를 변화시킨다는 사실은 아주 매력적인 것이 아닐까?

 

St. Louis of Montfort best Marian classic
성 루도비코의 성모신심 best classic

이 33일의 ‘기나긴 묵상,기도’는 100% 17세기 프랑스 신부님인 몽포르의 성 루도비꼬 마리아 (St. Louis Marie Grignion de Montfort) 성인의 ‘작품’이다. 이 분의 성모신심(Marian Devotion)은 정말 역사적인 것으로, 20세기에 들어와서 레지오 마리애 운동으로 현실화 되었고, 근세에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서 일반적인 승인을 받게 되었다.

이 성인의 대표적 저서 ‘성모님께 대한 참된 신심’ 은 저술 후 100년이 지난 후에 ‘기적적’으로 발견이 되어서 지금은 예수님께 가까이 갈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신심, 방법으로 널리 인정되고 있다. 레지오 마리애 신심의 기초가 된 이 신심은, 내가 레지오에 가입하면서 이렇게 자연스레 다가온 것이다. 이것을 접하게 되면서, ‘아무것도 모르면서 마리아 신심을 비방하는 무식한 사람’들을 내가 전적으로 무시하게 되었다. 비방을 하려면 ‘좀 알고’ 하라는 소리밖에 나오질 않는 것이다.

 33일이 끝나고 봉헌하는 날이 일년에 6번으로 ‘고정’이 되어있어서 이것을 시작하는 날도 그만큼 고정이 되어있다. 내가 시도하는 때는 7월 13일에 시작이 되어서 8월 15일, 봉헌에 맞추어져 있다. 하루 최소, 약 1시간내지 1시간 반이 걸리는 이 신심 행위는 매일 미사를 강력히 권하는 조건도 있어서 아마도 ‘꽤 가치가 있는’ 무더운 여름을 예상케 한다.

나의 하루 일과를 어떻게 이것에 맞추어야 할지는 ‘무조건 해보고’ 조정해 나가기로 했고, 사실 그것이 제일 효과적인 길일 것이다. 이런 것은 ‘자세한 계획’에 의해서 되는 것이 아니라 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이제 주사위는 던져졌다. 나 자신의 ‘천상적’ 변화를 기대하며.. “Totus Tuus

 

총 33일

첫째 시기 12일

세속 정신을 끊음

1일

제 1일

그리스도께서 나를 당신 제자로 부르심

2일

제 2일

양 진영

3일

제 3일

결단

4일

제 4일

권력과 명예

5일

제 5일

우상화된 육욕

6일

제 6일

지성주의

7일

제 7일

집단적 인간성

8일

제 8일

쾌락

9일

제 9일

거짓과 위선

10일

제 10일

자유에 대한 무절제한 갈망

11일

제 11일

삶에 대한 불안과 근심

12일

제 12일

생의 마지막 것들

 

둘째 시기 제 1주

자기 자신을 알기

13일

제 1일

자신에 대한 인식

14일

제 2일

자신의 죄에 대한 인식

15일

제 3일

내적 죽음

16일

제 4일

이기심

17일

제 5일

교만

18일

제 6일

나태

19일

제 7일

애덕이 없음

 

둘째 시기 제 2주

성모님을 알고 사랑하기

20일

제 1일

지극히 거룩하신 성삼위와 마리아

21일

제 2일

성령의 정배이신 마리아

22일

 제 3일

그리스도의 어머니시며 그 신비체의 어머니이신 마리아

23일

제 4일

은총의 중개자이신 마리아

24일

제 5일

사도의 모후이신 마리아

25일

제 6일

묵시록의 여인

26일

제 7일

마리아 공경의 필요성

 

둘째 시기 제 3주

예수 그리스도를 인식하기

27일

제 1일

죄인을 부르러 오신 그리스도

28일

제 2일

십자가에서 죽으신 그리스도

29일

제 3일

생명의 빵이신 그리스도

30일

제 4일

모든 신심의 궁극 목적이신 그리스도

31일

제 5일

세례성사의 갱신인 그리스도께 의 봉헌

32일

제 6일

그리스도 안에서의 변화

33일

제 7일

마리아를 통하여 그리스도께로

 

다시 찾은 인호 형

인호 형, 김인호 형을 다시 인터넷을 통해서 다시 찾게 되었다. 실마리는 나의 blog 을 정말 ‘하느님의 뜻’으로 인호 형이 보게 된데 있었다. 시간적으로도 사실 아주 빨랐다. 요새는 가끔 이렇게 surreal한 일들이 종종 일어나긴 하지만 이것도 점점 빨라지고 거대해지는 global information network를 감안하면 이런 추세는 가속화 될 듯 싶다. 비록 전화를 통한 음성은 못 들어도, 가깝게 느껴지는 문자 소식으로 50년이 가까워오는 거대한 세월의 징검다리를 넘는 듯 느꼈고, 가벼운 흥분 감을 억제할 길이 없었다. 더욱이 인호 형이 나를 ‘분명히’ 기억하는 사실에 더욱 반가웠다.

유명인이었던 박계형 여류 작가의 조그만 신문광고가 이렇게 나를 50년 전 나를 잠깐 가르쳤던 ‘가정교사 김인호’ 형을 찾게 되어서 형의 부인이신 박계형 여사에게도 특별한 감사의 심정을 전하고 싶지만.. 조금 시기상조가 아닐지 모르겠다. 그 옛날, 나는 여사의 ‘청춘 물’ 책을 ‘하나도’ 읽었던 적이 없지만 근래에 들어서 쓰신 책들은 무척 많은 관심이 간다. 특히 이번에 알게 된 여사의 심혈작인 ‘환희’는 더욱 더 관심을 갖게 된다.

대학생과 고교생으로 만났던 때를 50년 훌쩍 뛰어넘어서면 ‘호칭’부터 문제가 될 것이다. 나는 비교적 쉽게 그때와 같이 ‘인호 형’으로 부르는 것이 자연스러웠지만, 인호 형은 그것이 아닌 모양이었다. 난데 없이 나타난 환갑을 훌쩍 넘긴 ‘동생, 제자’를 어떻게 불러야 할지는 곤혹스러웠을까.. 이해가 간다. 활달한 성격이었던 것을 기억하면 그저 나보고 ‘경우 야..’ 하고 불러주면 너무나 반가울 터인데..

친절하게도 두 번째 편지에서 형의 ‘과거와 종교관’ 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글을 보내주셨는데, 아마도 형의 출신고교인 서울고교 동창회지에 투고된 글인 듯 싶었다. “인생은 Given Way“라는 제목의 일종의 ‘고백록’은 형의 고통과 영광스러움이 조화된 아주 멋진 신앙여정을 그리고 있었다. 이것으로 대강 나의 ‘형이 긴 인생여정에 대한 호기심’ 은 충족이 되었다. 대강 추측을 해 보면 우선 박계형 여사는 천주교 집안 출신이었고, 형은 관면혼배로 결혼을 했던 것 같아서, 그때까지만 해도 교인은 아니었던 듯.. 이 글로 나의 궁금증이 풀린 것은 다음과 같다.

  1.  나를 가르칠 때 상대생(인문계)으로 왜 그렇게 과학이론을 여담으로 가르쳐주었나 하는 것은, 형이 원래는 서울고교 재학 당시 이과에 속했고, 이공대를 지망했었다는 글에서 그 의문이 풀렸다. 하지만 ‘갑자기’ 공대 지망에서 상대로 바꾸어서 진학을 한 것이다. (이것도 단순한 우연이 아닐지도..)
  2.  박계형 여사와 ‘연애’를 하고 결혼을 하게 된 것은, 원래 형이 6.25 피난시절 대전에서 국민학교 다닐 때 박여사를 알고 지냈던 사이라고 했고, 대학졸업 후에 다시 만나게 된 것이었다. 그러니까, 나와 같이 공부를 하던 1965년 형이 서울상대에 다닌 그때에는 사실 박계형 여사와 다시 만나기 이전이었다. 그렇다면 이것은 분명히 ‘나중에’ 형의 친구였던 건우형을 통해서 우리 집에 전해졌을 것이다.
  3.  인호 형이 직접적으로 하느님을 알게 된 것은 역시 공군 장교 근무 중에 당한 ‘대형사고’ 의 후유증과, 이미 하느님을 알고 있던 문학소녀 박계형 씨와의 ‘운명적인 만남’ 때문이 아니었을까?
  4.  그러한 ‘부부결합’ 된 신앙가족이 꾸준히 신앙을 지키게 되었던 것은 다음에 일어난 첫 아기(아들)의 ‘생명을 건 수술’ 이 도움이 되었을까.. 그리고 거의 ‘공짜’로 받게 된 형의 영세도 ‘생각하며 서서히 진행된’ 긴 신앙여정에 커다란 활력소가 되었을 듯하다.
  5.  제일 궁금한 것은 역시 형이 ‘만들어 놓은’ 새로운 경영학 이론, dynamic management theory인데.. 단순히 요새의 networked economy를 의식하고 가볍게 만든 것이 아니고, 형의 인생관, 종교관, 세계관 나아가 우주관이 총 집결된 그런 조금은 ‘높은 곳’의 이론이 아닐까.. 특히 엉망진창인 세계경제, 특히 미국의 문제들을 생각하면 이제는 새로운 ‘절대적 기준’의 이론이 필요하지 않을까..

 이렇게 해서 다신 ‘만난’ 형은 나에게 부인인 박여사의 심혈작 ‘환희 1.2부‘를 보내 주시겠다고 했고, 나는 정말 그 책을 읽어보고 싶다. 이것도 형의 인생 반려자였던 여사의 인생,종교관을 보여 줄 것으로 기대가 되기 때문이다. 인호 형을 처음 우리 집에 소개시켜 주었던 건우 형, 내가 ‘이건우‘ 가 아닌 ‘박건우’로 성을 잘못 알고 있어서 정말 당황하기도 했다. 그저 ‘건우 형’으로만 알고 있어서 성까지는 기억이 나질 않았지만 정말 ‘창피’한 노릇이었다. 나의 어머님이 아직도 살아계셔서 이 사실(인호 형을 찾은)을 알았으면 얼마나 반가워 하셨을까..

book, dynamic-management

 인터넷 경제에 부응하는 새로운 경영학 이론, 김인호 교수와  북경대 교수들 공저

 

 

서울 1964, 해괴한 변증

서울 세종로 네거리, 1964

1964년 4월 서울 세종로 네거리의 모습

 

¶  1964년 4월 경에 발간된 고국의 한 신문에서 한 사진이 나의 눈길을 끌었다. 서울, 1964.. 이런 소설의 제목도 있었지만 여기서는 실제로 1964년 경의 서울 심장부의 실제 모습을 말한다. 1964년의 대한민국 서울의 심장부는 역시 세종로 네거리를 빼놓고 말할 수 없다. 외국에서 말하는 Boulevard의 전형이 이곳에서 ‘중앙청’까지 펼쳐지고, 외국의 원수들이 방문하면 이곳을 ‘꼭’ 거치면서 사진기록을 남긴다.

보신각(사진, 왼쪽 아래) 같은 역사유물과, 일제에 맞서 조선인의 입과 귀를 살리려 애쓴 민족신문 동아일보사, (사진, 왼쪽 중간)가 이 네거리에 당시에 흔치 않던 5층, 고층빌딩으로 버티며, 6.25, 4.19, 5.16같은 굵직한 역사적 격동의 모습을 이곳에서 보며 기록을 하기도 했다. 새로 ‘도입된’ 민주주의의 뿌리를 내리고자 몸부림치던 현장, 4.19당시 고대생들이 진을 치고 자유당의원들을 ‘감독, 질책’하던 그곳, 삼성 밀수사건 때는 깡패출신 야당의원 김두한이 파고다 공원 ‘변소’에서 퍼온 민중의 분뇨를 정일권 국무총리 얼굴에 뿌렸던 곳, ‘원래’의 국회의사당 tower가 바른쪽 먼 곳에 보인다.

 

일제 에노 전차¶  1964년 당시의 traffic jam의 모습.. 당시에 느끼기에 그곳에 이렇게 움직이는 것들이 많았다. 그 중에는 거북이 전차 (일제 유물, 귀엽게 생긴 ‘에노 전차‘ 들과 San Francisco style 미국 대형 전차들)가 당시에 ‘활개를 치며’ 이 세종로 네거리에서 공중가설선에서 불꽃을 튕기며 좌,우회전을 하는 모습도 있다. 그 ‘장관’은 어린 시절 하도 ‘멋져서’ 하루 종일 네거리에 서서 입을 벌리고 서서 구경을 하기도 했다. 이런 거북이 전차는 2년 뒤까지 모두 철거가 되고 완전히 자동차 전용도로로 변했다.

네거리의 바른쪽에 진을 치고 있는 것이 대한민국 간판 격 극장, 국제극장이고, 그것의 조금 왼쪽으로 ‘신성일, 엄앵란’ 단골인 ‘아카데미 극장’, 그 바로 옆, 붙어서 Cinema Korea(시네마 코리아)라는 외화 전용 재 개봉관이 있었다. 이 사진이 찍힐 시절, 나는 용산구 남영동에서 효자동행 전차를 타고 중앙청 앞에서 내려서 중앙고등학교까지 걷거나, 시간이 급하면 시내버스를 타고 아예, 안국동, 재동 까지 가기도 해서 이곳 네거리는 ‘꼭’ 지나가곤 했다. 그 당시 그렇게 넓게 보이고, 멀게 보이던 것들이 지금 자세히 보니 어쩌면 그렇게도 좁고, 가까울까.. 그곳이 변한 것이 아니라 내가 세월과 함께 변해서 그럴 것이다.

 

¶  정말 오랜만에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대한민국 천주교회 공식 월간지, 경향잡지를 보게 되었다. 전에는 많은 사람들의 손을 거치고, 날짜가 많이 지난 실제의 책을 보기도 했지만, 요새는 인터넷으로 그런대로 편하게 접할 수 있어서 좋다. 하지만, ‘진짜 책’으로 느끼는 그 편안하고 게으른 느낌은 ‘절대로’ 이 곳을 통해서 얻을 수는 없다. 진짜 책이 주는 느낌을 ‘전자 책’ 의 형태로 옮기려면 생각보다 더 긴 세월과 더 큰 노력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도 든다.

최근에 발행된 2012년 6월호를 훑어 보다가 정말 우연히 ‘성염‘이라는 저자의 글의 시작 부분을 읽게 되었다. 기사의 제목은 “아우구스티노를 만나다, 하느님 나라의 초석: 사회적 사랑, 「신국론(De civitate Dei)」” 이라는 아주 거창한 것이다. 나는 이 ‘성염’이라는 사람은 전혀 모른다. 하지만 제목이 주는 느낌이 ‘역사적인 종교론’ 이고 특히 로마제국이 등장을 해서 나의 눈길을 잡았다. 요새 급속히 세속화 되어가는 선진국 문화에 대한 경고를 4세기 때의 ‘사건’에서 찾으려는 노력이 아닐까 희망을 하며 읽다가 다음의 ‘해괴한 변증‘에서 손을 놓고 말았다.

제3천년대에 들어서면서 세계 최강을 자랑하던 미국이 이른바 ‘9·11 테러’를 당한 후유증으로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리비아를 상대로 벌이는 무차별한 군사행동, UN을 허수아비로 만들고 국제정치와 세계윤리를 완전히 붕괴시켜 버린 그 포학성 앞에서 속수무책으로 지켜보고만 있어야 하는 인류 지성계의 심각한 번뇌를 염두에 두면, 「신국론」은 현대에도 읽힐 만한 명분이 되고 남는다.

세계문학전집에 이 책이 빠지는 일이 거의 없다. ‘하느님의 도성(civitas Dei)’을 다룬 「신국론」은 다섯 단원, 22권으로 나누어진다. 전반부(1-10권)는 로마 몰락이 그리스도교 탓이라던 로마 지성인들에게 건네는 호교론으로, 그들의 종교와 역사가 정치사회에도, 도덕적 문화에도 불완전했음을 밝혀 보인다.

 

 기묘하게 반달족의 쇠퇴하는 로마제국 약탈사건을 미국의 9.11 테러와 대비시키는 저자는 과연 ‘어떤 머리’를 가진 ‘로마 교황 대사’인가? 그런 해괴하고, 일방적인 논리로 어떻게 그는 학생들을, 그것도 ‘사랑의 하느님’에 관해 가르친단 말인가? 나는 “인류 지성계의 심각한 번뇌를 염두에 두는” 이 성염이라는 인간이 절대로 대한민국의 main-stream 의 일부가 아니라는 희망만 할 뿐이다.

내가 본 글이 주는 느낌이 out-of-context에서 나왔을 위험이 없는 것은 아니다. 내가 ‘인류지성계의 심각한 번뇌‘와 이 저자를 잘 모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context보다 더 중요한 사실은, 이 ‘out-of-context’ 가 주는 느낌은 느낌 정도가 아니라 ‘성염’이라는 사람 자체를 보여 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래서 현재 대한민국, 그것도 천주교계가 아직도 ‘사상’문제로 홍역을 앓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이런 한 물 지나간 ‘사상’을 종교와 기묘하게, 그것도 ‘지식인’의 이름으로 cocktail하는 것이 어떻게 ‘경향잡지의 desk를 통과했는지 앞으로는 더 주의를 해서 읽기로 했다.

아틀란타 성체대회, 2012

Atlanta Eucharistic Congress, 2012
Atlanta Eucharistic Congress, 2012

아틀란타 성체대회, Atlanta Eucharistic Congress, AEC 2012.. 올해의 아틀란타 성체대회가 아틀란타 국제공항 옆에 위치한 거대한 Georgia International Convention Center에서 30,000+ 명이 넘는 아틀란타 대교구 지역의 가톨릭 형제, 자매들이 참가해 뜨거운 열기에 찬 파견미사를 끝으로 막을 내리고, 거의 같은 시기에 올해로 50주년이 되는 세계 성체대회, IEC 2012 가 아일랜드, 더블린 (Dublin, Ireland)에서 서서히 막을 올리고 있다.

이런 대규모 모임은 모두 예수님의 성체(성사), Eucharist에 관한 주제로 열리는 것으로, 모든 행사의 초점은 역시 ‘예수님의 몸과 피(성체, 성혈)’에 모여진다. 이런 까닭에 이 대회는 전례력으로 매년 6월 쯤에 있는 “그리스도의 성체성혈 대축일, The Solemnity of the Most Holy Body and Blood of Christ“을 전후로 열리게 되고 올해는 그날이 바로 6월 10일로써 그전의 이틀, 6월 8일, 9일에 걸쳐서 열렸다.

아마도 더블린의 세계 성체대회도 이날에 맞추어 열리는 것일 것이다. 나는 작년에 ‘난생’ 처음 이곳 아틀란타 성체대회에 참가해서 기대나 생각보다 더 많은 것을 느끼고 얻게 되어, 올해도 꼭 가리라 계획을 했었고, 결국은 ‘무사히’ 연숙과 같이 참가를 하게 되었다.

 작년 6월 아틀란타 성체대회에서의 느낌을 적은 나의 blog에도 있었듯이, 내가 이 대회에서 제일 기대하는 것은 ‘성체’에 관한 것 보다는 그저 머리로만 알고 있는 나와 비슷한 ‘인생,세계,우주관’을 가지 형제,자매들과 그들이 한 곳에 모였을 때의 ‘열기’를 느끼고 보는 것이다. 특히 근래에 들어서, ‘종교와 믿음의 자유’가 사회적, 정치적으로 제한, 차별을 당하는 느낌을 받으며 그런 생각이 더 간절해 졌다. 한마디로 ‘뭉치면 살고, 헤어지면 죽는다’라는 생각까지 드는 것이다.

더욱이, 소위 ‘자유세계의 지도자’라는 바락 오바마(Barak Obama) 와 조 바이든(Joe Biden) 이라는 인간들이 자기들은 ‘동성 결합’ 에 ‘절대’ 문제가 없다는 발언이 나온 뒤에는 무언가 세상이 크게 잘못 돌아가고 있다는 생각들이 모여지는 것을 느끼게 된다. 그래서 올해의 성체대회는 또 다른 사명을 지고 있다고 느끼게 된다.

 6월에 이곳에서는 보기 드문 장마 monsoon 성 날씨로 수영장이 파리를 날릴 정도로 시원한 날씨가 계속되어서 더욱 쾌적한 성체 대회가 되었고, 3만+ 명, 거대한 수의 사람들이 일심동체가 되어 일사불란하게, 아무런 사고 없이 움직이는 것도 역시 인상적이었다. 이런 것은 나의 육체를 그곳에 끌고 가지 않았으면 절대로 느낄 수 없는 것이다.

특히 미국본당과 한국본당 두 곳에 양다리를 걸치고 있는 우리들은 백인, 한국인 이외 제3의 형제,자매들을 그곳에서 경험한다. 엄청난 수의 Hispanic (주로 중남미, 카리비안), 나날이 늘고 있는 Vietnamese(월남인) 계통의 가톨릭 신자들이다. 아틀란타 대주교님까지 흑인이고 보면, 이런 경향이 미국 가톨릭의 미래 모습을 보여준다 고나 할까.

특히 작년에 이곳에 왔을 때 느낀 것이지만 월남계 가톨릭의 눈부신 발전은 정말 눈에 부시다. 그들보다 이민 역사가 더 긴 한국계나 중국계를 완전히 제치고 동양계에서, 아마도 그들이 앞서서 우리들까지 이끌고 나갈지도 모른다. 프랑스 식민통치에 의한 ‘빌려온’ 신앙이지만 그들이 이미 이곳 성체대회에서 그들만의 언어로 따로 모임을 갖게 된 것, 그렇게 이상할 것도 없다.

 한국계 신자들의 참여는 확실히 작년에 비하면 현저하게 늘었다. 본당도 한 곳에서 두 곳,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과 둘루스 성 김대건 성당, 이 되어서 그 들을 대표하는 banner를 가지고 입장도 해서, 참 보기에도 좋았다. 특히 어린애들을 가진 부모들이 많이 참여를 해서 흐뭇했는데, 그들이 앞으로 언젠가는 우리 공동체를 이끌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간이 남는’ 나이 든 (우리를 포함) 세대와 어린애들 부모들을 제외한 주류세대(30~50대)는 거의 볼 수가 없었다. 물론 가정을 책임진 입장에서 시간이 남아 돌 리는 없을 것이지만.. 나도 그 당시에 그렇게 살았기에, 지금은 서서히 후회를 하게 되었다. 그렇게 바쁘게 살았지만, 시간을 얼마나 ‘효율적, 생산적, 의미 있게’ 쓰며 살았을까 하는 것은 확실치 않기 때문이다.

 올해 성체대회의 slogan은 위에 있듯이 We though many are one body under Christ 이다. 그리스도 안에서 역할이 다른 ‘지체, branch’는 여럿이지만 몸, body는 하나라는 뜻이다. 나날이 줄어드는 신학생, 목자, 사제, 수도자, 수녀님들의 수는 누구나 의 관심 사일 수밖에 없어서 작년부터는 성체대회의 모든 에너지가 ‘성소, vocation‘에 모아지고 있다.

듣기에 아프리카, 아시아 특히 한국에서는 오히려 목자의 수가 늘고 있다고 하는데, 그것은 전 세계적으로 예외에 속할 것이다. 무서운 속도로 퍼지고 있는 세속적, 상업적 문화는 가히 경악할 정도인 것일까? 특히 유럽의 세속화, 탈 교회 경향은 가공할 정도라고 한다. 미국도 질세라 그 뒤를 따르기 시작을 했는가.. 이것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은 ‘단결된’ 교회세력, 특히 잘 조직화 된 가톨릭 교회 밖에 없을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든다.

 올해도 낯익은 얼굴이 대회를 이끌었다. 바로 local TV Fox 5의 News Anchor인 Russ Spencer, 그는 내가 기억하는 한 이 성체대회의 고정 멤버일 정도로 매년 ‘봉사’를 했다. 나는 개인적으로 ‘극우적’인 Fox TV를 싫어하지만, 이 anchor는 아주 reasonable한 신앙인으로 보였다. 6명이나 되는 자녀를 둔 것을 보면 그가 어떤 천주교인인지 대강 짐작이 간다. 말도 잘하고, 용모도 좋고, 신앙심도 좋은 인기인, 무엇을 더 바라겠는가? 그래서 그런지 대주교님도 항상 그를 my best friend라고 부른다. 대주교가 뉴스를 타게 되면 반드시 Fox news를 통해서 나오는 것도 우연은 아닐 것이다.

작년에는 프로그램 전부를, 점심때를 제외하고, 경청해서, 대회장 밖에서 열리는 다양한 활동을 못 보았다. 그래서 올해는 중간 중간에 hallway로 나와서 여러 가지를 보기도 했다. 대부분 수녀회,수도회, 신앙단체를 소개하는 desk였지만, 상업적인 것으로 종교서적, 각종 video, audio disc, 묵주, T-shirts등도 있어서 신선한 공기와 더불어 기분 전환을 하기에 좋았다. 특히 Adoration Chapel (성체조배실)도 올해는 잊지 않고 방문을 해 보았다. 그곳에서 우연히 우리 미국본당의 주임신부 Fr. Darragh도 볼 수 있었다.

 또한 특별 전시물도 있었는데, 그 중에 제일 인상적인 것이: ‘성체의 기적’에 관한 ‘유물’이었다. 이것은 The Real Presence Association이란 곳에서 소개하는 것이었는데, 나도 언젠가 이야기로 들었던 것이었다. 그것 중에는 ‘Miracle of Luciano’ 가 있는데, 미사 중 성체성사 때, 실제로 빵과 포도주가 ‘살과 피’로 변한 case였고, 그것을 ‘과학적’으로 분석한 것이 눈길을 끌었다. 예전에는 나도 쉽게 무시해 버렸던 역사적 사실이었는데, 지금은 다르다. 나는 그것을 믿게 된 것이다. 쉽지 않지만, 나는 이제는 믿는다. 이래서 ‘신앙의 신비’라고 했던가?

 

Profiles of speakers, emcee

Deacon Jones, Fr. Leo, Emcee Russ Spencer

올해, 초청 speaker 중에 제일 ‘유쾌’했던 분은 바로 필린핀 출신 미국 신부님인 Fr. Leo Patalinghug, 이름의 느낌으로, 나는 태국 출신인줄 알았다. 볼티모어 Baltimore, MD 지역에서 유명한 신부님인데, 요리가 프로급으로 아마도 요리를 제일 잘하는 신부님일 것이라고 한다. 요리로 선교도 한다는데, 그것보다 ‘조그맣고 젊은’ 이 동양 사제는 정말 말을 유창한 영어로 잘, 재미있게 해서 웃음이 끝이지 않았다. 젊은 나이로 보아서 앞으로 정말 크게 기대가 되는 star라는 인상을 받았다.

또한 개신교, 그것도 ‘지독한’ 쪽인 evangelical Christian에서 ‘개종’을 한 흑인 부제, Deacon Alex Jones라는 사람, 이 부제님도 참 가슴에 와 닿는 이야기를 ‘경험에서’ 우러나온 솔직함으로 우렁차게 전했다. 요새 개신교, 특히 ‘대형 교회’가 많은 문제를 노출하면서 신앙을 버리거나 개종을 하는 news가 종종 있다. 아마도 이 부제님도 그런 case였을 것이다.

 5시에 시작된 마감미사, 특전미사, vigil Mass가 이 성체대회의 ‘절정’이다. 거의 모든 참가자들이 이 미사의 ‘성체성사’를 기다린다. 거의 3만에 가까운 사람들이 질서정연하게 영성체를 하는 것은 정말 보기에도 장엄하다고 할까.. 이것을 안 하고 일찍 자리를 뜬 사람들은 사실, ‘결정적’인 것을 놓치는 것이다. 올해도 작년과 같이 영성체의 느낌이 아주 좋았다. 비록 대주교님으로부터 직접 받지는 않았어도 그것이 무슨 상관이랴.

쾌적하게 넓고 큰 대형버스와 점심때의 맛있는 김밥까지 무료로 서비스를 해 준 우리 한국본당, 순교자 성당의 선교부 형제 자매들.. 코가 시큰하게 느껴지는, 고마움 뿐이다. 내년에는 올해보다 조금 더 많은 사람들이 참가했으면, 희망을 하고, 우리 (나와 연숙)도 또 올 수 있게 되기를 기도해본다.

 Atlanta Eucharistic Congress, 2012성체대회에 참가한 성가대 그룹

 

Atlanta Eucharistic Congress, 2012대주교님의 개회 선언, 아틀란타 성체대회, 2012

 

Atlanta Eucharistic Congress, 2012아틀란타 성체대회, 입장하는 성체를 보며

 

입장하는 한인성당 Banner들수많은 Banner들과 같이 들어오는 순교자와 김대건 한인성당 들  

 

전시실에 보이는 레지오 마리애 선교단전시 홀에서 보이는 레지오 마리애 선교단

 

성체대회 merchandise and vendorsAEC 2012, merchandise and vendors in concourse area

 

 

아틀란타 성모의 밤

Atlanta Night of Virgin Mary
아틀란타, 성모의 밤

우리의 또 하나의 본당,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에서 지난 5월 24일 저녁에 연례 성모의 밤 행사 (May Rosary Procession and May Crowning) 가 있었고, 나도 ‘난생’ 처음으로 참석을 해 보았다. 대강 무엇인지 짐작은 했으나, 결과적으로 참 느낌이 좋았던, 기대보다 알찬 행사였다.

비록 본당의 전 신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라지만 성모님이 행사의 중심에 있어서 역시 성모 마리아를 ‘총사령관’으로 모시는 레지오 마리애가 주관을 했고, 올해는 연숙이 레지오 꾸리아의 간부인 부단장의 위치에 있어서 더더욱 적극적으로 참석을 한 셈이 되었다. 게다가 얼마 전부터 나도 꾸리아의 정회원 (지단, 쁘레시디움의 회계)이 되어서 조금은 참가한다는 사실이 그렇게 이상할 것도 없었다.

2007년부터 시작된 성모님께 전구(intercession)기도를 바치는 묵주기도로 나는 사실 ‘상전벽해’ 같은 개인적인 변화를 느꼈고, 이제는 뒤로 한발자국도 물러설 수 있는 ‘사치’가 없게 되었다. 그렇게 나는 성모님의 존재와 의미를 믿게 된 것이다. 성모신심을 ‘거의 장난 삼아’ 놀리는 인간들을 보면 하나만 알고 둘을 모르는 바보같이 느껴지고, 그들에게 해주고 싶은 이야기는 수없이 많다만, 그런 구차스러움 보다 한마디만 한다면, ‘Never Say Never’ 라는 것 뿐이다.

이런 행사들은 그렇게 ‘절차’가 복잡하지는 않지만 조그만 실수는 곧바로 ‘신심’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많기에 치밀하게 계획을 하는 것을 이번에 옆에서 보게 되었다. 성당 내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행사들, 모두 그런 과정을 거칠 것이고 그것을 위해 수 많은 ‘봉사자’들이 바쁜 시간을 쪼개어 땀을 흘리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것도 나에게는 신선한 놀라움이었고, 그들을 다시 보게도 되었다. 한마디로 하면, ‘말 많은 몇 사람들 보다 묵묵히 신앙심 하나로 거북이처럼 움직이는 일꾼 봉사자들’ 을 보게 된 것이고 나도 그렇게 묵묵히 봉사하고 싶은 마음이었다.

성모님께 ‘바치는’ 수 많은 뜨거운 촛불과 장미꽃들의 행렬, 너무나 인상적이었다. 수 많이 모여있는 촛불 옆에서 더운 날씨 속에서 땀을 뻘뻘 흘리던 한복을 곱게 입고 봉사하던 자매님들, 어쩌면 그렇게 아름답게 보였을까, 그것이 성모님을 연상시킨다면 지나친 비약이었을까. 사회를 경건하고도 활발하게 잘 이끌어 준 자매님과 Ave Maria를 ‘기가 막히게’ 잘 불러 준 자매님과 젊은 냄새가 풀풀나는 성가를 선사해준 청년 성가대원들, 끝까지 하나도 흐트러지지 않고 행사에 참여한 형제,자매님들, 모두 멋들어진 교향악단원 들이었다.

하지만, 굳이 조금 아쉬운 것이 있다면, 신부님께서 조금 더 그 특유의 ‘학구적인 접근’으로 성모의 밤을 해석해 주었으면 하는 것이었다. 그분의 성모신심을 다른 쪽으로 생각하지는 않지만, 조금 아쉬운 감은 감출 수가 없다. 또한, 본당 사무실이 조그만 신경을 더 쓴다면 이럴 때 에어컨을 ‘빵빵’ 틀어주어서 수 많은 촛불과 사제복 속에서 땀을 흘리시는 신부님과, 성장을 한 한복의 자매님들을 편안하게 해 주었으면 아쉬움도 있었다.

 

Marian Hill at Korean Martyrs Catholic Church in Atlanta아틀란타 성모신심의 결정체, 순교자 성당의 아름다운 ‘성모동산

 

 
Shubert’s Ave Maria – Andrea Bocelli 

 

40명 사제의 미사, 채준호 신부 희재 연도

¶  2012년 5월 17일, 지난 목요일, 그러니까 천주교 전통적 전례력으로 “예수 승천 대축일(Ascension of the Lord)” 인 그날 저녁에 아주 이색적인 매일미사가 이곳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에서 집전이 되었다. 아마도 평생, 40명 사제가 드리는 미사는 처음이자 마지막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 정도다.

그 사제, 신부님들은 올해 이곳 아틀란타에서 개최된 (한’민족’) 북미주 지역 사제회의에 참석한 신부님들의 일부였고 그들이 회의 일정을 모두 마치고 떠나면서 드린 일종의 ‘파견’ 미사였고, 덕분에 우리 본당이 큰 ‘은총’을 받은 셈이 된 것이다. 결코 작지 않은 우리 본당의 좁게 느껴질 정도로 꽉 차고, 열기 넘치던 한마디로 ‘장엄미사’를 경험하게 되었다. 40여명의 사제들, 갓 신품 받은 젊은 신부부터 노익장들까지.. 그들은 어떻게 저런 ‘어려운’ 소명을 받아드렸을까? 

북미주 한인사제 중 40 신부님의 미사처음에는 ‘혹시라도’ 참가 사제 수에 비해서 빈약한 신자들의 참여를 염려했는지, 주임신부 하태수 미카엘 신부님 그 동안의 비교적 ‘점잖은’ 태도에서 아주 적극적으로 각종 channel을 통해서 ‘홍보’ 활동을 하시고, 결과적으로 대 성공적인 추억의 미사가 되었다. 인천교구에서 오신 해외사목담당 주교님을 비롯해서 북미주 지역 구석구석에서 한인들의 영혼의 건강의 맡고 있는 120명이나 되는 사제들.. 참 인상적이다.

대한민국의 사제의 숫자가 아무리 많다고 해도 120명의 사제가 북미주에서 사목을 한다는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커다란 은총이 아닐 수 없다. 우리 부부가 속한 레지오는 숫제 이번 미사참가가 ‘활동’으로 배당이 되었기에 선택의 여지가 없었지만, 얼마 전에 분가한 형제 본당 (김대건 성당) 소속 레지오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는 소식에 흐뭇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

 

¶   故 채준호(마티아) 신부님희재 연도가 2012년 5월 18일, 신부님이 한때 ‘머무셨던’ 이곳 미국 아틀란타 한인 순교자 성당에서 있었다. 희재 연도라 함은, 나에게는 귀에 익지 않은 용어지만, 대한민국(한국) 전통적 불교 장례의 49재와 비슷한 것으로 ’50재’에 해당한다고 한다. 그러니까 신부님 선종일로부터 50일째가 되는 날 드리는 연도인 것이다. 3월 말에 선종을 하셨으니 아마도 그쯤 되었다고 생각이 되는데, 이것은 확실치는 않지만 ‘본당차원’으로 가지는 것으로 다른 개인연도와는 다를 것이다.

개인적으로 알 기회가 없었던 이 채 신부님은 시간이 갈 수로 더 알고 싶어지는 그런 삶의 소유자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렇게 일찍 선종하신 확실한 이유가 시원스레 알려지지 않았던 것은 조금 생각해 볼 문제가 아닐까. 죽음은 궁극적으로 ‘개인적이고, 홀로 겪은’ 엄숙한 과정 (천주교 교리에서의, “다음 세계로 가는”)이긴 하지만 이 채 신부님같이 널리 알려진 ‘공적인 삶’이라는 사실도 무시할 수 없다. 비록 희미하게나마 ‘아주 어려운 case의 암 투병‘ 이었다고 듣기는 했지만 누구도 확실하게 장담을 못하는 실정이다.

그렇게 어려운 투병은 일반 평신도들은 원하면 누구나 널리 ‘기도의 요청’을 하며 같이 견디는데, 어찌해서 그런 지도자의 위치에서 그런 ‘공적인 도움’을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지 않는 것일까? 이것이야말로 속단은 금물이고, 결국은 신부님이나 그의 가족만의 privacy에 속하는 것이라고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고통도 나누며 견디면 그만큼 덜하다고 하던데..

레지오 斷想

이제 레지오 활동 단원 선서를 한지도 일년이 훨씬 넘게 되었다. 일요일 미사에 가는 것이 가톨릭 신자 삶의 전부인 줄로 크게 착각하며 산지도 거의 30년이 지난 후 어떻게 이렇게 내가 레지오 마리애란 본당소속 평신도 단체에 들어오게 되었는지 생각하면 할 수록 신앙이란 것이 오묘하다는 생각이 든다. 우연이라고 생각한 적도 있지만, 사실 그것은 천만의 말씀 임도 깨닫게 되었다.

누군가, 어떤 무엇이 나를 위해 기도를 한 것이 큰 역할을 했다는 ‘상투적인 말’이 이제는 많이 이해가 가고 믿게 되었다. 그러니까 쉽게 말하면 한마디로 ‘기도의 힘’을 믿게 된 것이다. 그것을 깨닫기 시작하면서 이제는 많은 전에 못 보며 살았던 것들이 눈에 보이고, 들리고, 이해가 되기 시작한 것이다.

얼마 전에 레지오 마리애 특유의 ‘군대 같은 조직의 힘‘을 발휘해서 쓸쓸할 수밖에 없을, 가족 친지가 그렇게 많지 않은 어떤 교우 가정의 연도와 장례식에 참석을 해서 마지막 가시는 길을 같이했다. 이런 것이 레지오 활동의 대표적인 예인데, 이것 이외에 상당히 많은 종류의 레지오 활동들이 있지만 나는 개인적으로 이렇게 가족들과 고통의 슬픈 이별을 하는 과정을 함께 같이하는 것에서 제일 보람을 느낀다.

그래서 레지오의 ‘왕’ 초보과정을 거치면서 한가지 결심한 것 중에는, ‘쓸쓸한 연도와 장례’일 수록 ‘우선적’으로 참여한다는 것도 있었다. 어떤 의미로 이것은 내가 개인적으로 겪은 수치스럽고, 후회스럽기만 한 쓰라린 경험에서 나온 것이다. 내가 나의 가족에게 못다한 것을 이것으로 조금이라도 보상받으려는 얄팍한 심리일지도 모르지만, 그것이 무슨 상관이랴?

이렇게 쓸쓸하게 보이는 영혼을 조금 더 따뜻하게 보내드리는 것 이외에 신앙의 신비를 체험 못하고 살았던 사람들을 교회로 인도하는 것도 레지오 마리애 으뜸의 사명으로 꼽힌다. 나는 사실 ‘왕 초보’ 급이어서 그것까지는 사실 꿈도 못 꾸는 단계지만 연숙은 그런대로 경험이 쌓인 단원이라서 옆에서 보는 것만으로도 실습적인 공부가 된다.

이것이 바로 레지오가 말하는 ‘도제제도(apprenticeship)’ 라는 것인데, 이론적인 것보다는 그저 선배를 보며 자연스럽게 배우는 것이다. 예술가나 장인匠人들이 선배들의 기술을 옆에서 배우는 과정과 비슷할 것이다. 얼마 전에 그런 완전한 한 과정을 보게 되었는데, 연숙이 어떤 영혼과 육체가 모두 지친 자매님을 교회로 이끌어 세례까지 받게 한 것이다. 몇 개월에 걸친 꾸준한 노력의 결실을 맺는 것을 보면서 나는 큰 감명을 받았다.

마냥 편하고, 행복하게 인생을사는 것이 그리 쉬운 것이 아님을 매일 느끼며 살지만, 이런 활동을 통해 보면 우리보다 훨씬 덜 행복하고, 덜 편한 삶과 인생도 안 보이는 곳에 많다는 것을 보며 놀란다. 이번에 새로 ‘부활절 이후 특별 영세’ 를 받은 자매님도 그런 인생을 살았었을 듯 한데, 그날 본 인상은 정말 완전히 새로 태어난 듯한 행복한 얼굴이었다. 이것이 바로 레지오 활동과 보람의 ‘정수(精髓, essence)’가 아닐까.. 거듭 생각하고 생각하며, 나도.. 어떨까.. 이런 일을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에 머물면 망설여진다.

바로 내가 이런 초보, 겁 많은 단계에 있는 것이다. 레지오 교본을 거듭 읽으면, 이런 것들은 역시 ‘인간 의지’만으로는 부족함을 알 수 있고, 성모적 신심과 조직의 힘을 절묘하게 ‘이용’해야 가능함을 알게 된다. 나는 아직도 멀었다는 생각도 들지만, 첫 술부터 배부르랴.. 모든 것에는 다 초보단계를 거치며 실수와 방황을 하게 마련이니까, 조급할 것은 없지만, 그래도, 시간이 그렇게 생각보다 많지 않으니..

채준호 마티아 신부님 연도

오늘은 레지오 화요일, 우리부부가 속한 레지오 쁘레시디움 (Presidium1 ‘자비의 모후’가 모이는 날이었다. 지난 몇 주간 유럽 성지순례를 다녀오신 고레따 자매님이 돌아 오셔서 조그만 성물 기념품까지 나누어 주셔서 반가웠지만, 거의 ‘영웅적으로’ 암 투병을 하시고 있는 쁘레시디움 회계 J 자매님은 회합이 거의 끝날 무렵에 얼굴을 비치셨다. 회합이 끝나면 곧 12시 정오 미사가 있는데, 오늘은 본당 신부 하태수 미카엘 신부께서 강론 대신에 4월 1일 채준호 신부님의 급작스런 선종에 대해서 개인적인 일화를 하나 하시고 사회자로 하여금 마티아 신부의 글 ‘나 왔수‘ 를 낭독하게 하셨다. 미사 후에 곧 이어서 채 신부님의 연도가 이어졌다.

나는 채준호 마티아 신부님을 본 적도 없고, 강론을 들은 적도 없다. 다만 본당의 website에서 신부님의 강론 비디오가 사진과 함께 실려 있다는 사실만 알고 있었다. 하지만 마티아 신부님에 대해서는 들은 바가 많았다. 우선 우리의 한국 본당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에 2000년대 말에, 몇 년간 거주신부로 계신 것을 알고 있고2, 본당 신심단체 중의 하나인 CLC을 적극적으로 활성화 시키신 분으로 알려져 있었다. 또한 얼마 전에 레지오 꾸리아에서 빌려온 다른 예수회 소속 송봉모 신부님의 저서 <미움이 그친 바로 그 순간> 읽으면서 채 신부님의 글이 많이 인용된 것도 보았기에 그가 심리학적 상담의 대가인 것도 알게 되었다.

‘채준호 Googling‘ 도 이번에는 큰 수확이 없었지만, 그래도 그가 미국 Loyola University 심리학 박사라는 것도 알았고, 한국의 ‘초대’ 예수회 관구 장을 역임했다는 ‘빛나는’ 이력도 알게 되었다. 그러다가 갑자기 4월 1일 선종했다는 조금은 ‘의아스러운’ 비보를 듣게 된 것이다. 의아스럽다는 표현은, 글자 그대로다. 50대 중반이긴 하지만, 요새의 50대가 어디 옛날과 같을까.. 거의 ‘청년’일 수도 있는 몸과 마음을 가질 수 있는 나이가 아닐까. 확실하게 어떤 ‘병’으로 선종하셨는지는 모르지만 ‘사고’는 아닌 듯 싶다. 한마디로 정말 ‘아까운’ 일이다. 천주교회, 수 많은 기대를 어깨에 짊어졌을 만한 ‘인물’이었을 텐데..

본당 신부님은 예수회 입회 당시 만난 채 신부님을 조금은 ‘덜 심각한’ tone으로 들려 주셨는데, 경상도 출신으로 겪는 ‘쌀’과 ‘살’ 발음에 얽힌 유머러스한 일화였다. 솔직히 그런 것보다는 조금 더 ‘높은 차원’의 일화나 추억을 기대했는데.. 하지만 그 신부님의 기억이 그것이 전부였는지도 모를 일이다. 이 신부님들은 전부가 ‘서강대 사단‘의 일원이라서 이곳의 ‘서강대 친지’들에게서 다른, 더 들을만한 일화를 기대하지만.. 글쎄.. 과연 있을는지. 연옥을 지나쳐서 천국으로 직행 하셨을 신부님의 명복과 그의 가족, 친지들의 마음의 평화를 빌면서..

  1. 레지오 마리애에서 가장 작은 단위의 조직, 군대 조직의 소대에 해당함.
  2. 아틀란타 순교자 성당은 1990년 중반부터 전적으로 한국 예수회에서 파견 신부를 받아들이고 있다.

Palm Sunday, 2012

Palm Sunday of the Passion of the Lord, 2012. 오늘은 천주교 전례력으로 이런 기다란 이름으로 불리는 날이다. 고국에서는 아마도 ‘주님 수난 성지 주일‘이라고 하던가? 간단히 말하면 부활절 바로 전 일요일인 셈이다. 신약 성경에서 비롯된 이날의 모습은, 열두 제자와 함께 ‘조랑말’을 타고 예루살렘 성으로 들어오실 때, 군중들이 palm tree (종려나무?)가지를 흔드는 모습이 그려진다. 그리고 수난(passion)의 ‘성 금요일’을 향한 일주일이 시작되는 것이다. 아마도 기독교 자체가 이 한 주일에 집약이 되었다고 생각하면 간단하다.

올해의 사순절(Lent) 기간 매일 미사를 빠짐 없이 찾았기에, 우리 미국본당에 오는 것이 그렇게 편하게 느껴질 수가 없어서 올해의 부활절은 그런대로 잘 맞을 준비가 된 듯한데, 한 가지 중요한 것을 빼먹고 있다. 바로 ‘고백성사’ 다. 어떨 때는 비교적 쉽게 할 수 있었고, 이번처럼 거의 전신이 마비된 듯 느끼며 피할 때도 있다. 나는 왜 이 고백성사라는 것이 그렇게 힘든 것일까? 누구는 안 그렇겠는가.. 하지만 어떤 사람은 수시로 거의 습관된 듯 자주 하는 사람들도 있다던데.. 대부분 무슨 큰 죄를 지었겠는가?

하지만 그런 죄가 아니고 마음 속의 ‘안 보이는’ 죄를 모조리 기억하고 고백을 해야 함은 생각보다 어렵다. 준비를 철저히 해야만 그런대로 ‘만족’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나의 고민은 그것이 아니고, 다른 것이다. 내가 고백해야 할 것의 주제가 바로 나의 고백을 들어주시는 신부님이라는 사실.. 쉽게 말하면 내가 신부님께 ‘불만’이 있다는 ‘죄’를 고백해야 하는 것이다. 이것이 아직도 나를 붙잡고 있다. 어떻게 그런 사실을 그에게 고백을 해야 하는가? 이것의 해답은 사실 다른 신부님께 하면 되는데 불행히 그런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어찌할 것인가? 그대로 부활절을 맞아야 하는가.. 그러기에는 찜찜하기만 하다.

 

Palm Sunday, 2012

Palm Sunday, 2012 Holy Family CC

 

3월의 마지막 날에

¶  어느덧 삼월의 마지막 날이 되었다. 시간과 세월은 흐르는 것, 어찌 이날이 오지 않으리.. 시적인 감상에 젖는다. 3월이란 통상적인 기억과 조금 다른 ‘너무나 빨리 온 봄’ 같은 날씨의 연속이었다. 하지만 나이가 듦으로써 분명히 달라지는 것 중의 하나, 매섭게 추운 것 보다는 은근하게 포근한 날씨가 점점 좋아진다는 사실 때문인지, 그렇게 거부감을 느끼지는 않는다.

다만 적당히 포근하기만 하면, 그러니까 창문을 열어 놓을 정도면 된다. 갑자기 따뜻해진 날씨에 꽃나무들이 놀라서 지독하게 꽃가루를 내 뿜는 바람에 한때 비상이었지만, 그런대로 알맞게 촉촉한 봄비로 그것들을 진정해 주곤 했던 3월이었다.

별로 크게, 보이게 한 일은 없다지만, 그래도 예년과 분명히 달랐던 것은 사순절 동안 거의 매일같이 ‘매일 미사’에 연숙과 둘이서 갔었다는 사실.. 나도 믿기지는 않지만 그것이 사실이다. 아침 9시의 Holy Family Catholic Church, 우리의 미국본당 매일 미사를 꼬박 (레지오 화요일을 빼고) 갔다는 사실은 생각할 수록, 흥미롭기까지 하다.

우리 본당이 비록 가까운 위치에 있다지만, 그래도 매일 8시 반에 차를 타고 외출을 한다는 사실이 우리에게는 사실 조그만 기적에 가까운 것이기 때문이다. 더욱 놀라운 것은 그런 것들이 ‘생각보다 훨씬 수월했다는’ 사실이었다. 이런 것도 ‘never say never‘ 중의 하나일 것이다.

그 시간의 regular들은 거의 미국 (분명히 Irish처럼 보이는) 파란 눈의 아줌마, 할머니들이 대부분이지만 우리 같은 부부들도 있고, 가끔 ‘젊은 축’도 보인다. 조금 일찍 도착하면 그들 중의 한 그룹은 열심히 소리 높이 묵주기도를 하는데, 물론 영어이기 때문이 우리가 따라 하지는 않지만 다 이해를 하며 듣는다.

그들이 레지오 단원인지는 확실치 않지만, 대부분 ‘열성 신자’들임에는 틀림이 없고, 아마도 우리 본당의 요소에서 중책을 맡고 있는 사람들일 듯 싶다. 그곳에서 의외로 우리의 다른 본당인 아틀란타순교자성당 우리구역(마리에타 2구역)의 구역장 wife가 빠지지 않고 나와서 보곤 하는데, 글쎄.. 조금은 의외로운 느낌을 떨칠 수가 없다1.

이렇게 아침마다 매일 미사를 가는 것은 과연 우리에게 어떤 뜻이 있을까.. 생각을 해 본다. 우선 매일 영성체(성체를 모심) 하는 것, ‘살아있는, 잘 모르는 사람들을’ 매일 아침 만난다는 것.. 우리 부부가 ‘매일 아침’ 같이 외출을 한다는 것.. 사실은 모두 좋은 것들이다. 그렇다면 아침에 조금 ‘노력’을 하면 매일 못할 것도 없다는 생각도 든다. (사순절 뿐이 아니고) 참 세상은 의외로움의 연속이고 놀라운 것, 찾으려면 이렇게 얼마든지 있다는 사실을 2012년 3월을 보내며 새삼스레 느낀다.

 

¶  오늘 New York Times2의 한 기사, 어떤 ‘잘 알려진’ 사람의 자살에 관한 것이 있었다. 제목이 Love Story여서, 자살과 love와의 관계가 궁금해서 읽었다. 얼마 전에 New York Times의 columnist David Brooks3 가 그의 column에서 ‘치매(망각증)의 사회적 파장’ 에 대해서 독자들의 의견을 구했고, 많은 응답이 왔는데, 그 중에 오늘 ‘자살한 유명인사’의 ‘꽤 긴 글’ 도 있었다.

그는 그의 글에서 ‘꽤 길게 그의 자랑스런 집안 내력’ 을 언급하고, 현재 그의 사랑하는 wife의 오랜 치매 간병에 대해서 쓴 것이었다. 그의 글이 조금 길어서 다 읽지는 못했지만 그 오랜 기간의 간병에 대해 자신이 있음을 나타냈다고 했다. 그가 갑자기 총으로 자살을 한 것이고 그의 ‘불쌍한 치매환자’인 wife도 죽었다고 했는데, 동반 자살인지는 100% 확실치 않지만 아마도 그런 case가 아닐까.

이 기사는 많은 사람들의 심금을 울렸지만, 의견은 모두 달랐다. 자살한 것이 ‘너무 쉬운’ 것이 아니냐.. 하는 것이다. 이런 혼동이 어디에서 오느냐 하는 것은 나의 신앙 가톨릭 교리를 보면 간단히 알 수 있다. 사람의 생명이 과연 ‘누구의 것이냐’ 하는 문제에 해답이 있는 것이다. 교리는 분명히 나의 생명은 ‘나의 것이 아니다’ 라는 것이다.

실제적으로 그렇게 안 느껴도 할 수가 없다. 나의 생명도 ‘거저 받았기에’ 내가 어쩔 수 없다는 것이다. 왜 자살을 했고, 사랑하는 wife까지 죽였어야 했는지 그 고통과 번민을 누가 모르겠는가? 하지만 자살이 정답은 아닌 듯 싶다. 아니 정답이 아니다. 그런 처지의 모든 사람들이 다 그런 식으로 답을 찾지는 않는다는 것이 또한 사실이니까.

 

¶  집 부근을 산책하며 꽃들이 피고 지는 것을 유심히 본다. 이것도 나이가 들었다는 증거일 것이다. 전혀 모르던 꽃나무들을 열심히 구박을 받아가며 연숙에게 물어 외우곤 하지만 금새 잊는다. 그러기를 몇 해, 이제는 조금은 알게 되었다. 고등학교 다닐 당시 한때 ‘화훼학‘에 몰두했던 적도 있었지만, 그것이 전부였다. 본격적인 삶의 굴레 속에서 꽃과 나무들은 완전히 잊고 살았다.

내가 사는 이곳의 꽃 나무들이 고국과 비슷한 점이 많이 있고, 지형도 서울부근의 구릉지대 (piedmont)를 연상케 하는 점도 많이 있다. 땅과 흙의 색깔도 역시 비슷하다고 할까.. 봄을 알리는 첫 신호는 역시 이곳에 많은 ‘값싼’ Bradford Pear 꽃나무일 것이다. 이곳에 와서 제일 많이 본 꽃나무가 바로 이것이고 제일 먼저, 아마도 3월 초에서 중순까지, 만발을 한다. 이것이 지면 곧바로 전설적인 Dogwood tree가 피기 시작한다. 이 Dogwood의 꽃 중에 많은 것이 십자가 형상을 하고 있어서 부활절을 연상케 하는 전설이 많이 있다.

특히 이 나무는 이곳 Southeastern 지역의 특산물일 정도로 많이 있고, 이곳 아틀란타에는 4월에 숫제 Dogwood Festival이 있을 정도다. 그러니까 Washington DC지역의 Cherry Blossom(벗 꽃) 에 맞먹는 정도로 유명한 것이다. 3월이 지나가는 이즈음에 이런 꽃나무와 더불어 진달래, 개나리, 수선화, 목련.. 정말 찬란한 색들이 온통 이곳을 덮는데, 한가지 문제는.. 역시 하늘에 가득한 꽃가루 ‘공해’ 인데, 이것도 알맞은 비가 내림으로서 적당히 조절이 되는 것을 보면 참 자연의 ‘순리’를 느낄 수 있다.

 

Saybrook Spring 2012

아틀란타의 봄 2012, white dogwood, pink azalea

 

  1. 우리 미국 본당을 떠난 지 오래되었기 때문이다
  2. 오늘까지는 한 달에 20개의 기사가 무료였고, 내일 부터는 5개의 기사만 무료.. 흠.. 이것도 이제부터는 돈을 주고 보아야 하나?
  3. 그는 비교적 신사적인 moderate conservative에 속한다.

Lenten fast & feast

어제 배달된 우리의 정든 미국본당(parish)  Holy Family CC (Catholic Church)의 newsletter에 작자 미상의 ‘사순절에 실천할만한 14가지 황금률‘ 이 실려 있었다.  이런 종류의 ‘사순절 목표’는 얼마든지 있다. 하지만 이것은 특별하게 Fast(단식,금기)와 Feast(축일)에 절묘하게도 비교를 시켜놓아서 사실 별 큰 관상(contemplation)이나 깊은 생각 없이 음미를 할 수 있어서 좋았다.

이것을 읽으면서 ‘인간의 나약함’을 순간적으로 느끼게 된다. 암만 각오하고 실천을 하려 해도 하루는 고사하고 몇 시간도 못 넘기고 실패함을 느끼니까.. 그러니까, ‘죽을 때까지’ 노력을 하는 수 밖에 없다.

 

원문을 table-format 으로 요약을 하면:

 

Fast from

Feast on

1

Judging other

Christ living in them

2

Harsh words

Words that build up others

3

Discontent

Gratitude

4

Anger

Patience

5

Pessimism

Optimism

6

Worry

God’s care

7

Complaining

Appreciation

8

Bitterness

Forgiveness

9

Self-concern

Compassion for others

10

Discouragement

Hope

11

Facts that depress

Facts that uplift

12

Suspicion

Truth

13

Thoughts that weaken

Promises that inspire

14

Idle gossip

Silence with a purpose

 

‘억지로’ 번역을 하자치면,

1

남을 심판하기 보다는 그의 마음에도 그리스도가 있음을 느끼자.

2

심한 말 보다는 그를 도와주는 말을 찾자.

3

짜증내기 보다는 감사하는 마음을 찾자.

4

화를 삼가고 대신 참을 성을 기르자.

5

비관보다는 낙관을…

6

걱정보다는 주님의 보살핌을 느끼자.

7

불평보다는 고마움을 느끼자.

8

원한을 갖지 말고, 용서하는 마음을 갖자.

9

나만 생각하지 말고 남에게 더 신경을 쓰자.

10

낙망하기 보다는 희망을 갖자.

11

우울하게 만드는 생각을 떨치고 기분을 좋게 하는 생각을 하자.

12

의심이나 의혹보다는 높은 곳의 진실과 진리를 찾자.

13

마음 약하게 하는 생각을 떨치고, 감동을 주는 약속을 생각하자.

14

한가한 소문에 들뜨지 말고, 사명감 넘치는 침묵을 갈망하자.

 

나이가 들면서 점점 힘들어지는 것은 바로 #1, 섣불리 남을 판단하고 비판하는 것이다. 그만큼 나의 ‘경험과 주장’이 있다는 얘기겠지만 상대방에게는 그것이 공평하지 않을 때가 많다. 특히 머리가 다 커버린 ‘자식’들에게 더욱 그러하다.

별 생각 없이 ‘충고’를 해도 그것이 ‘심판’의 소리로 들린다. 우리 젊었을 때도 그 정도였는지.. 요새 세상이 더욱 그렇게 되어서 그런지 모른다. 그래도, 옳다고 생각하는 것은 얘기해 주어야 한다는 것이 우리 부부의 지론이다.

레지오 활동을 하면서 제일 많이 ‘덕’을 본 분야는 #3, #7, #9, #14 일 것이다. 이것은 역시 레지오의 특성에서 나온 것으로 역시 ‘동료 인간’들과 수없이 접촉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그런대로 ‘자연적으로’ 이 분야에 도움이 된다는 생각도 든다.

#8.. ‘원한과 용서‘.. 이것은 그렇게 간단한 문제가 아닐 것이다. 죽을 때까지 노력을 해도 큰 성과가 없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희망을 가지고 나아간다는데 더 뜻이 있지 않을까? 오랜 된 기억을 동원하고 생각해서 아직도 용서 못할 ‘놈 들‘ 을 추려 내긴 했지만, 그들을 어떻게 ‘용서’ 해야 할지는 확실히 모른다. 그저 가능하리라는 희망만 가지고 있다. 나의 혼자 힘으로는 안 될 것이다.

#12.. 이것도 최근 5년 동안 많은 ‘발전’을 보았다. 그렇게 강철같은 힘으로 모든 믿음을 거부하던 시기는 지나고 있음을 느끼니까.. 이제는 모든 benefit of doubt높은 곳에 주기로 하며 살고 있다. 그것이 바로 모든 문제의 ‘열쇠’였다.

내가 아는 3월 15일은..

내가 사는 아틀란타의 35년에 가까운 역사, 전통을 자랑하는 한인천주교회1, 그곳에서 매년 신자들에게 발부하는 달력이 바로 나의 코앞에 걸려있다. 이것은 최근의 일이고, 그 전에는 다른 달력을 쓰거나 아예 걸지도 않았다. 그래서 근래에는 조금 신경을 쓰고 자세히 보게 되었다.

과연 이 달력이 어떤 사람들의 손에 의해서 만들어졌을까2..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것은 분명히 천주교의 전례력을 중심으로 만들어져서 신자들의 신앙 생활에 도움을 주게 되어있다. 그 다음은 아무래도 세속적인 것을 떠난 신앙생활은 힘드니까, 다수의 명절이 표기가 되어있다. 문제는 ‘어느 나라의 명절’ 이냐는 것이다.

제일 충격적인 것은 고국인 ‘대한민국’의 명절이 제일 큰 빨간 글자로 표기가 되어있는 반면, 현지인 미국의 명절은 보통글자로 빨갛게 되어있다는 사실이다.  그것 뿐이 아니다. 천주교의 전례력도 숫제 대한민국 전례력 중심이고, 그렇게 유명하고 중요한 Irish ‘천주교’ 명절인 St. Patrick’s Day(3월 17일)는 ‘완전히’ 빠져있다3.

그리고 오늘인 3월 15일에는 ‘3.15의거 기념일’이란 글씨가 올라가 있다. 내가 아는 3월 15일은 사일구(4.19) 학생혁명의 기폭제가 되었던 1960년의 부정 (정,부통령)선거 밖에 없는데, 언제 또 ‘데모와 혁명’이 그날에 있었을까? 더 웃기는 것은 4월 22일에, ‘정보통신의 날, 자전거의 날, 새마을의 날‘ 이 함께 쓰여있다. 여보세요, 도대체 이런 것들 이곳, 미합중국 아틀란타, 조지아에서 왜 필요하단 말씀입니까?

그것 이외에도 이렇게 ‘지역감정’을 완전히 무시한 것들이 수도 없이 많다. 이것은 본당신부의 지역,정체성 착각일까, 사무실의 무식이나 향수병에 의한 억지일까. 본당 지역역사가 거의 35년에 가까운 이곳의 의식이 이 정도면 조금 신경이 쓰인다. 앞으로 수십 년이 흘러야 이 달력도 조금은 ‘현지화, 미국화’ 가 되려나.. 과연 언제나 이곳에 Irish St. Patrick’s Day가 ‘조그만 글자’로라도 올라올까?

아무리 ‘대한민국’에서 신부님들이 오셔서 쉽지 않은 사목하시느라 고생하는 것은 알지만, 그래도 ‘현지가 어떤 곳이라는 정체성’은 조금 배려하며 사목을 하시는 것이 장기적 교포사목이 가야 할 길이 아니겠습니까? 오네가이시마스(おねかいします)!

  1. 아틀란타 한국 순교자 천주교회, Korean Martyrs Catholic Church of Atlanta
  2. 대한민국의 달력업체에 주문을 하는 것이 관행이라고 함.
  3. 이해가 안 되는 것은, 대한민국에서는 이날 Irish Association 주최퍼레이드까지 있다는 사실